KR102228472B1 - 수질 정화기능이 내장된 조류를 포함한 수중 미생물 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수질 정화기능이 내장된 조류를 포함한 수중 미생물 제거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28472B1 KR102228472B1 KR1020190075024A KR20190075024A KR102228472B1 KR 102228472 B1 KR102228472 B1 KR 102228472B1 KR 1020190075024 A KR1020190075024 A KR 1020190075024A KR 20190075024 A KR20190075024 A KR 20190075024A KR 102228472 B1 KR102228472 B1 KR 10222847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discharge
- electrode
- active gas
- alga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52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1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41000195493 Cryptophyt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9
- 239000013535 sea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5
- 241000195628 Chlorophyt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17
- IJGRMHOSHXDMSA-UHFFFAOYSA-N Atomic nitrogen Chemical compound N#N IJGRMHOSHXDMSA-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72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65
- -1 oxygen ion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116
- 210000000170 cell membrane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07
- UFHFLCQGNIYNRP-UHFFFAOYSA-N Hydrogen Chemical compound [H][H] UFHFLCQGNIYNR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9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5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3
- 239000001257 hydroge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7
- 229910052739 hyd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87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81
- 229910052757 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81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75
- 229910052698 phosphorus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75
- 239000011574 phosphoru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5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66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5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3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1
- 210000004027 cell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39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9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9
- MMDJDBSEMBIJBB-UHFFFAOYSA-N [O-][N+]([O-])=O.[O-][N+]([O-])=O.[O-][N+]([O-])=O.[NH6+3] Chemical compound [O-][N+]([O-])=O.[O-][N+]([O-])=O.[O-][N+]([O-])=O.[NH6+3] MMDJDBSEMBIJBB-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6
- 238000005868 electrolysis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5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5
- XLYOFNOQVPJJNP-UHFFFAOYSA-M 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 XLYOFNOQVPJJNP-UHFFFAOYSA-M 0.000 claims description 34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150000002500 ion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8000004520 electropo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125000004435 hydrogen atom Chemical group [H]*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150000002431 hydrogen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41000206572 Rhodophyt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WABPQHHGFIMREM-UHFFFAOYSA-N lead(0) Chemical compound [Pb] WABPQHHGFIMREM-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9000003054 catalys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29910017053 inorganic salt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7
- NBIIXXVUZAFLBC-UHFFFAOYSA-K phosphate Chemical compound [O-]P([O-])([O-])=O NBIIXXVUZAFLBC-UHFFFAOYSA-K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29910052783 alkali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150000001340 alkali metal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9000002585 bas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WNROFYMDJYEPJX-UHFFFAOYSA-K aluminium 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OH-].[OH-].[Al+3] WNROFYMDJYEPJX-UHFFFAOYSA-K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29910017119 AlPO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6907 apoptotic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3647 oxid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13632 homeostatic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4941 influx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WBJZTOZJJYAKHQ-UHFFFAOYSA-K iron(3+) phosphate Chemical compound [Fe+3].[O-]P([O-])([O-])=O WBJZTOZJJYAKHQ-UHFFFAOYSA-K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125000004430 oxygen atom Chemical group O*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3487 electro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WHXSMMKQMYFTQS-UHFFFAOYSA-N Lithium Chemical compound [Li] WHXSMMKQMYFTQS-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10052987 metal hydrid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6
- 150000004681 metal hydride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6
- ZLMJMSJWJFRBEC-UHFFFAOYSA-N Potassium Chemical compound [K] ZLMJMSJWJFRBEC-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10000398 iron phosphat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10000103 lithium hydrid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0813 microbi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10052700 potas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11591 potassiu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10018626 Al(OH)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
- QGZKDVFQNNGYKY-UHFFFAOYSA-O Ammonium Chemical compound [NH4+] QGZKDVFQNNGYKY-UHFFFAOYSA-O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2448 Lithium borohydr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ILRRQNADMUWWFW-UHFFFAOYSA-K aluminium phosphate Chemical compound O1[Al]2OP1(=O)O2 ILRRQNADMUWWFW-UHFFFAOYSA-K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1575 calciu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7791 liquid phas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1777 magnesiu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10052708 so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1734 sodiu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2279 sodium borohydr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10000033 sodium borohydrid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
- CSDQQAQKBAQLLE-UHFFFAOYSA-N 4-(4-chlorophenyl)-4,5,6,7-tetrahydrothieno[3,2-c]pyridine Chemical compound C1=CC(Cl)=CC=C1C1C(C=CS2)=C2CCN1 CSDQQAQKBAQLLE-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1001012508 Carpiodes cyprinu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10082 LiAlH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XUIMIQQOPSSXEZ-UHFFFAOYSA-N Silicon Chemical compound [Si] XUIMIQQOPSSXEZ-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HCHKCACWOHOZIP-UHFFFAOYSA-N Zinc Chemical compound [Zn] HCHKCACWOHOZI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52744 lith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2280 lithium aluminium hydr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12375 magnesium hydrid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150000003013 phosphoric acid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52725 zinc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1701 zin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3513 alkali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ACXKRCJOEGQIPF-UHFFFAOYSA-N gallium potassium Chemical class [K].[Ga] ACXKRCJOEGQIPF-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150000004677 hydrate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2
- 125000002887 hydroxy group Chemical group [H]O*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1556 precipit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claims 3
- DGAQECJNVWCQMB-PUAWFVPOSA-M Ilexoside XXIX Chemical compound C[C@@H]1CC[C@@]2(CC[C@@]3(C(=CC[C@H]4[C@]3(CC[C@@H]5[C@@]4(CC[C@@H](C5(C)C)OS(=O)(=O)[O-])C)C)[C@@H]2[C@]1(C)O)C)C(=O)O[C@H]6[C@@H]([C@H]([C@@H]([C@H](O6)CO)O)O)O.[Na+] DGAQECJNVWCQMB-PUAWFVPOSA-M 0.000 claims 2
- FYYHWMGAXLPEAU-UHFFFAOYSA-N Magnesium Chemical compound [Mg] FYYHWMGAXLPEAU-UHFFFAOYSA-N 0.000 claims 2
- AZDRQVAHHNSJOQ-UHFFFAOYSA-N alumane Chemical compound [AlH3] AZDRQVAHHNSJOQ-UHFFFAOYSA-N 0.000 claims 2
- 241001122767 Theaceae Species 0.000 claims 1
- 230000002378 acidific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claims 1
- 150000002258 gallium Chemical class 0.000 claims 1
- 235000014413 iron hydroxide Nutrition 0.000 claims 1
- NCNCGGDMXMBVIA-UHFFFAOYSA-L iron(ii) 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OH-].[Fe+2] NCNCGGDMXMBVIA-UHFFFAOYSA-L 0.000 claims 1
- 229910052749 magne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1
- 239000000155 melt Substances 0.000 claims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claims 1
- 210000003739 neck Anatomy 0.000 description 4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4
- 230000005684 electr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2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8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29910019142 PO4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2427 irreversi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6722 reduc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FAPWRFPIFSIZLT-UHFFFAOYSA-M Sod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Na+].[Cl-] FAPWRFPIFSIZLT-UHFFFAOYSA-M 0.000 description 6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494 dissoci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5593 dissociation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2071 ph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2441 reversi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2195 synerg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0000030833 cell death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498 cool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232 Lipid Bi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33 gall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VWDWKYIASSYTQR-UHFFFAOYSA-N sodium nitrate Chemical compound [Na+].[O-][N+]([O-])=O VWDWKYIASSYTQ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29910002651 NO3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NHNBFGGVMKEFGY-UHFFFAOYSA-N Nitrate Chemical compound [O-][N+]([O-])=O NHNBFGGVMKEFG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CBENFWSGALASAD-UHFFFAOYSA-N Ozone Chemical compound [O-][O+]=O CBENFWSGALASA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HEMHJVSKTPXQMS-UHFFFAOYSA-M Sodium 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Na+] HEMHJVSKTPXQMS-UHFFFAOYSA-M 0.000 description 3
- ATJFFYVFTNAWJD-UHFFFAOYSA-N Tin Chemical compound [Sn] ATJFFYVFTNAWJ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RTAQQCXQSZGOHL-UHFFFAOYSA-N Titanium Chemical compound [Ti] RTAQQCXQSZGOH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851 eutroph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907 flux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0856 hast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452 phosph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244 precipi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18 ti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19 tit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936 titan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UXVMQQNJUSDDNG-UHFFFAOYSA-L Calc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Cl-].[Cl-].[Ca+2] UXVMQQNJUSDDNG-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VTLYFUHAOXGGBS-UHFFFAOYSA-N Fe3+ Chemical compound [Fe+3] VTLYFUHAOXGGB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VGPSUIRIPDYGFV-UHFFFAOYSA-N [N].O[N+]([O-])=O Chemical compound [N].O[N+]([O-])=O VGPSUIRIPDYGF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0 chlo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801 chl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HVYWMOMLDIMFJA-DPAQBDIFSA-N cholesterol Chemical compound C1C=C2C[C@@H](O)CC[C@]2(C)[C@@H]2[C@@H]1[C@@H]1CC[C@H]([C@H](C)CCCC(C)C)[C@@]1(C)CC2 HVYWMOMLDIMFJA-DPAQBDIF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687 destabil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6351 engineering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284 exci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60004887 ferric hydroxide Drug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365 glass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505 iron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IEECXTSVVFWGSE-UHFFFAOYSA-M iron(3+);oxygen(2-);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O-2].[Fe+3] IEECXTSVVFWGSE-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RSHAOIXHUHAZPM-UHFFFAOYSA-N magnesium hydride Chemical compound [MgH2] RSHAOIXHUHAZP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5 non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3904 phospholip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962 physiological cond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376 precipit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344 sodium nitr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317 sodium ni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344 surfac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UUTKICFRNVKFRG-WDSKDSINSA-N (4R)-3-[oxo-[(2S)-5-oxo-2-pyrrolidinyl]methyl]-4-thiazolidinecarboxyl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H]1CSCN1C(=O)[C@H]1NC(=O)CC1 UUTKICFRNVKFRG-WDSKDSINSA-N 0.000 description 1
- WKBOTKDWSSQWDR-UHFFFAOYSA-N Bromine atom Chemical compound [Br] WKBOTKDWSSQWD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ZAMOUSCENKQFHK-UHFFFAOYSA-N Chlorine atom Chemical compound [Cl] ZAMOUSCENKQFH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MYMOFIZGZYHOMD-UHFFFAOYSA-N Dioxygen Chemical compound O=O MYMOFIZGZYHOM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13184 LiBO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08010052285 Membrane Prote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9440 Mg(OH)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90 activ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87 air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147 aluminium phosph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44000052616 bacterial pathogen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96 body weigh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GDTBXPJZTBHREO-UHFFFAOYSA-N bromine Substances BrBr GDTBXPJZTBHRE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4 brom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1164 cell adhe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421 cell wa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00 cholester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66 destr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118 dimethyl group Chemical group [H]C([H])([H])*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891 electric arc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527 eukaryotic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49 f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27 fu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984 hydrogen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6 impac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632 lip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18 molded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4433 nitrogen atom Chemical group 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085991 phosphate ion Drugs 0.000 description 1
- NBIIXXVUZAFLBC-UHFFFAOYSA-N phosphoric acid Substances OP(O)(O)=O NBIIXXVUZAFLB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43 photosynth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NTTOTNSKUYCDAV-UHFFFAOYSA-N potassium hydride Chemical compound [KH] NTTOTNSKUYCDA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105 potassium hydr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236 prokaryotic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5962 receptor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20003175 receptor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92 spr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41 stabili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5 stabil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87 stabil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75 superhydrophob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2 surface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60 trigger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260 vorte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 C02F1/0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heating by distillation or evaporation
- C02F1/043—Detail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echanical oscill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oagula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ai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도 1의 수질 정화기능이 내장된 조류를 포함한 수중 미생물 제거 장치의 활성기체공급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활성기체공급기의 고전압 방전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은 도 1의 수질 정화기능이 내장된 조류를 포함한 수중 미생물 제거 장치의 활성기체 용해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수질 정화기능이 내장된 조류를 포함한 수중 미생물 제거 장치의 조류균 살균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수질 정화기능이 내장된 조류를 포함한 수중 미생물 제거 장치의 기포파괴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a는 도 6의 기포파괴기의 제1 기포파괴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b는 도 6의 기포파괴기의 제2 기포파괴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c는 도 6의 기포파괴기의 제3 기포파괴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수질 정화기능이 내장된 조류를 포함한 수중 미생물 제거 장치의 질소 및 인 제거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a는 도 1의 수질 정화기능이 내장된 조류를 포함한 수중 미생물 제거 장치의 선회류(swirl flow) 유동형 질소 및 인 제거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b는 도 1의 수질 정화기능이 내장된 조류를 포함한 수중 미생물 제거 장치의 쿠에뜨 유동형 질소 및 인 제거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c 도 8의 질소 및 인 제거기의 수소발생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9d 도 8의 질소 및 인 제거기의 수소공급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1의 수질 정화기능이 내장된 조류를 포함한 수중 미생물 제거 장치의 제어반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101: FAN 110: 고전압 방전부
111: 방전챔버 111a: 안내판
111b: 소켓 111c: 절연봉
111d: 고정용 볼트 및 너트 111e: 방전가이드핀 조정구
112: 방전전극 112a: 방전가이드 핀
112b: 영구자석 112c: 돌출방전극
112d: 플레이트 113: 접지전극
113a: 방전가이드 핀 113b: 영구자석
113c: 돌출방전극 113d: 플레이트
113d: 플레이트 114: 고전압 발생기
115: 도선 120: 가압기
200: 활성기체 용해기
201: 필터유닛 202: 유량조절기
203: 기액혼합기 204: 펌프
300: 살균기
301: 유량조절기 302: 가열기
302a: 챔버 302b: 활성기체 공급관
302c: 히터 302d: 온도검출센서
303: 벤츄리이젝터 303a: 벤츄리이젝터 목부
304: 히터 305: 전원공급기
400: 기포파괴기 401: 본체
410: 제1 기포파괴기 411: 고전압펄스 발생기
412: 방전전극 413: 접지전극
414: 도선
420: 제2 기포파괴기 421: 고전압펄스 발생기
422: 방전전극 423: 접지전극
424: 도선 425: 트리거 전압발생기
426: 트리거 전압전극 427: 도선
430: 제3 기포파괴기 431: 고전압펄스 발생기
431a: 도선 431b: 도선
431-2b: 도선 431-2e: 도선
432: 방전전극 433: 접지전극
434: 트리거 전압전극 435: 트랜스
500: 질소 및 인 제거기
500A: 선회류(swirl flow)형 질소 및 인 제거기
501: 음극 501a: 돌기
502: 상부 고정판 503: 하부 고정판
504: 소켓 511: 양극
511a: 돌기 512: 상부축
512a: 제2 베벨기어 513: 하부축
514: 베츄리이젝터 515: 베츄리이젝터 목
520: 구동모터 521: 모터축
521b: 절연부 522: 제1 베벨기어
530: 직류전원 공급기 531: 도선
500B: 꾸에트 유동형 질소 및 인 제거기
501a: 음극 501b: 돌기
502b: 상부 고정판 503a: 하부 고정판
504a: 소켓 511a: 양극
511b: 돌기 512a: 상부축
512b: 제2 베벨기어 513a: 하부축
514a: 베츄리이젝터 515a: 베츄리이젝터 목
520a: 구동모터 521a: 모터축
521c: 절연부 522a: 제1 베벨기어
530a: 직류전원 공급기 531a: 도선
540: 수소발생기 541: 반응기
541a: 급수관 541b: 냉각용 급수관
542: 알카리금속 저장용기 542a: 계량기
543: 무기염 촉매저장용기 543a: 계량기
544: 금속수화물 저장용기 544a: 계량기
545: 교반기
546: 가열코일 547: 전원공급기
548: 자켓 549: 가압기
540a: 수소공급기 541a: 압축수소저장용기
542a: 압력조정기 543a: 유량조정기
600: 제어반
601: 캐비테이션 검출기 602: 미세기포 건축기
Claims (19)
- 방전챔버(111) 내부에 서로 마주보게 설치된 방전전극(112) 및 접지전극(113)에 고전압 발생기(114)에서 생성된 고전압을 도선(115)을 통하여 인가하여 방전극(112, 113) 사이에서 방전을 개시하면서 고전계 전자에너지 대역을 형성하고, FAN(101)에 의해 흡입되는 외부공기를 가압하여 방전극(112,113) 사이에서 형성되는 고전계 전자에너지 대역을 통과시켜 해리, 여기, 이온화, 산화, 환원반응의 전기화학적 반응으로 산소이온(O), 히드록실 이온(OH-), 수소양성자(H+)의 활성기체를 생산하고, 생산된 활성기체를 가압기(120)로 가압하여 활성기체 용해기(200) 및 살균기(300)로 공급하는 활성기체 공급기(100);
펌프(204)의 흡인력으로 하천수 또는 해수를 흡입하는 과정에서 흡입관상에 설치된 필터유닛(201)을 통과시켜 협잡물을 제거하고, 흡입관상에 필터유닛(201)과 간격을 두고 설치된 혼합기(203)로 통과시키는 과정에서 활성기체 공급기(100)에서 생산되고 가압기(120)에서 가압하여 유량조정기로 공급하여 유량조절기(202)에서 유량을 적정량으로 조절하여서 혼합기(203)에 공급하여, 유입되는 하천수 또는 해수 수중에 공급하여 기체상 액체상이 혼합된 기포를 포함하는 유체상태로 펌프(204)에 흡입되어 고속으로 회전하는 펌프의 날개(Blade)와 충돌하여 유체상의 활성기체를 함유한 기포가 파괴되면서 충격을 수반하고 수중에 방출되는 활성기체중의 산소이온(O), 히드록실 이온(OH-), 수소양성자(H+)의 활성기체가 용해되면서 히드록실 이온(OH-)에 의해 녹조 또는 적조류를 1차 살균하는 활성기체 용해기(200);
벤츄리이젝터(303)외부에 솔레노이드 형상으로 권선된 히터(304)에 전원공급기(305)에서 전원이 공급되어 히터의 발열로 193℃ 이상으로 가열되는 벤츄리이젝터(303)에 활성기체 용해기(200)의 펌프(204)를 이용하여 하천수 또는 해수를 공급하면, 193℃ 이상의 고온으로 가열되는 벤츄리이젝터(303)에 내면에 유입되는 하천수 또는 해수가 접촉되어 라이텐프로스트 효과(Leidenfrost effect)에 의해 하천수 또는 해수가 비등(증기화)하고 증기층에 수중의 조류가 접촉되어 열적충격으로 살균 제거되고, 활성기체 공급기(100)에서 생산되고 가압기(120)에서 가압하여 공급되는 활성기체를 유량조절기(301)로 적정량을 조절하면서 외부에 권선된 히터(302c)에 전원이 공급되어 고온으로 가열된 가열기(302)로 통과시켜 전도 및 대류방식으로 활성기체를 250℃ 내지 500℃ 범위로 가열하여 벤츄리이젝터(303)의 목부(303a)로 공급하면 벤츄리이젝터(303)의 내면에서 하천수 또는 해수가 증발하여 생성되는 수증기와 접촉 및 상대적으로 저온상태의 수중에 고온으로 공급되는 활성기체의 기포가 응축되어 파괴되는 초 공동화 현상으로 소음과 진동을 수반한 수격작용으로 고온의 기포가 연쇄적으로 파괴되는 과정에서 방출되는 히드록실 이온(OH-)의 활성기체와 접촉에 의한 세포막의 천공, 비등하는 수증기 및 고온의 기포 표면과의 접촉에 의한 열적 충격, 기포파괴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을 수반한 충격파에 의해 수중의 녹조 또는 적조류를 2차 살균하는 살균기(300);
고전압 펄스 발생장치(411), 방전전극(412) 및 접지전극(413), 도선(414)으로 구성되어 사전에 고전압 펄스 발생장치(411)에서 출력전압, 출력전류, 펄스 반복율, 펄스폭이 설정된 출력전원이 도선(414)을 통하여 방전전극(412) 및 접지전극(413)에 인가 되면 방전극(412, 413)사이로 유입되는 조류가 포함된 수중에 펄스에너지가 전달되면서 조류의 세포막에 1volt 이상의 임계전압이 인가되어 전기천공 방식으로 조류의 세포막이 천공됨과 동시에 방전이 개시되고, 방전에 의하여 충격파가 발생하고, 동시에 방전극(412, 413)을 통과하는 활성기체 용해기(200)에서 파괴되지 않은 활성기체가 함유된 기포와 살균기(300)의 가열기(302)에서 고온으로 가열되어 벤츄리이젝터(303) 목부(303a)로 공급되어 수중에 함유된 고온의 기포가 방전 충격파로 파괴되며, 기포가 파괴되면서 발생하는 수격압이 가해져 기포를 다시한번 파괴하는 제1 기포파괴기(410)와,
고전압 펄스 발생장치(421), 방전전극(422), 접지전극(423), 도선(424), 트리거 전압발생기(425), 트리거 전압전극(426), 도선(427)으로 구성되어 사전에 고전압 펄스 발생장치(421)에서 출력전압, 출력전류, 펄스 반복율, 펄스폭이 설정된 출력전원이 도선(422a)을 통하여 방전전극(422) 및 도선(424)를 통하여 접지전극(423)에 인가하고, 트리거 전압발생기(425)에서 생성되는 전압을 도선(427)을 통하여 트리거 전압전극(426)에 인가하면 방전전극(421), 트리거 전압전극(426) 및 접지전극(423) 사이로 유입되는 조류가 포함된 수중에 펄스에너지가 전달되면서 조류의 세포막에 1volt 이상의 임계전압이 인가되어 전기천공 방식으로 조류의 세포막이 천공됨과 동시에 방전이 개시되고, 방전에 의하여 충격파가 발생하고, 동시에 방전전극(422), 접지전극(423) 및 트리거 전극(426)을 통과하는 활성기체 용해기(200)에서 파괴되지 않은 활성기체가 함유된 기포와 살균기(300)의 가열기(302)에서 고온으로 가열되어 벤츄리이젝터 목부(303a)로 공급되어 수중에 함유된 고온의 기포가 방전 충격파로 파괴되며, 기포가 파괴되면서 발생하는 진동을 수반한 충격파로 작용하여 기포를 효율적으로 파괴하는 제2 기포파괴기(420)와,
고전압 펄스 발생 장치(431), 방전전극(432), 접지전극(433), 트리거 전압전극(434), 트랜스(435), 도선(431a, 431b)으로 구성되어 사전에 고전압 펄스 발생장치(431)에서 출력전압, 출력전류, 펄스 반복율, 펄스폭이 설정된 출력전원이 방전전극(432) 및 접지전극(433) 및 트리거 전압전극(434)에 인가되며, 고전압 펄스 발생장치(431)의 출력측의 한 도선(431a)은 트랜스(435)의 2차측 인덕터(L2)를 경유하여 접지전극(433)에 연결되며, 다른 한 도선은 트랜스(435)의 1차측 인덕터(L1)을 사이에 끼워 콘덴서(c)의 1차측 단자에 접속 및 2차측 단자에 접속되어 방전전극(432)에 연결되고, 고전압 펄스 발생 장치(431)의 다른 한 출력도선(431b)은 트리거 전압전극(434)에 연결되며, 제어반(600)에서 고전압 펄스 발생 장치(431)에 전원이 공급되고, 고전압 펄스 발생 장치(431)의 출력선에 정(+)의 전위로 되는 고전압 펄스가 인가되면 콘덴서(c)는 1차측(L1)에 의하여 서서히 충전되며 이때의 전류변화에 의하여 2차측(L2)으로 트리거 전압이 발생하여 트리거 전압전극(434)와 접지전극(433)의 사이로 유입되는 조류가 포함된 수중에 펄스에너지가 전달되면서 조류의 세포막에 1volt 이상의 임계전압이 인가되어 전기천공 방식으로 조류의 세포막이 천공됨과 동시에 자유방전이 발생하고, 이 자유 방전에 의해 유발되어서 방전전극(432) 및 접지전극(433)사이로 주 방전이 발생하여 충격파가 발생하고, 동시에 방전전극(432), 접지전극(433) 및 트리거 전극(434)을 통과하는 활성기체 용해기(200)에서 파괴되지 않은 활성기체가 함유된 기포와 살균기(300)의 가열기(302)에서 고온으로 가열되어 벤츄리이젝터 목부(303a)로 공급되에 수중에 함유된 고온의 기포가 방전 충격파로 파괴되며, 기포가 파괴되면서 발생하는 진동을 수반한 충격파로 작용하여 기포를 효율적으로 파괴하는 제3 기포파괴기(430) 중에서 어느 한기종이 선정되어 사용되는 기포파괴기(400);
외통(501)(음극), 양 끝단면이 원형인 원기둥 형상의 내통(511)(양극), 구동모터(520), 직류 전원공급기(530)로 구성되며, 음극(501)은 하부에 벤츄리이젝터(514)가 설치된 원기둥형의 형태이며 외통(501)(음극)의 내면, 내통(511)(양극)의 외면의 재질이 철(Fe) 또는 알루미늄(Al) 재질중에 선택되어 사용되거나 또는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복수개의 단수를 두어 단계적으로 철, 알루미늄 재질 순 또는 알루미늄, 철 재질 순으로 서로 다른 재질을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고 각각의 재질 표면에 복수개의 돌기(501a)가 형성되도록 가공되고, 외통(501)내부 상하부면에 중심부에 베어링(502a)이 설치되고 음극(501)과 절연되어 중심부에 베어링(502a)이 설치된 상부 고정대(502) 및 하부 고정대(503)가 설치되고, 설치된 고정대(502, 503)의 베어링(502a, 503a)에 양 끝단면 중심부에 회전축(512)이 설치된 양극(511)의 회전축(512)이 삽입되어 양극(511)이 설치되고, 양극(511)의 상부 회전축(512) 끝단에 제2 베벨기어(512a)가 설치되며, 회전축 끝단에 제1 베벨기어(522)가 설치된 구동모터(520)가 음극(501)외부에 설치되어 제어반(600)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모터(520)가 가동되어 회전력을 회전축 및 베벨기어(512a, 522) 로 전달받는 양극(511)이 회전하면 음극(501)과 양극(511)사이에서 선회류 유동(Swirl flow)을 형성하면서서 직류 전원공급기(530)로부터 직류 전원을 받아 전기분해 작용으로 음극(501)에서 생성되는 수소(H2)가스 및 활성기체 용해기(200) 및 살균기(300)에서 저온 고온의 활성기체를 함유한 기포가 파괴되면서 방출되는 수소 양성자(H+)가 수중의 질산성질소와 반응하여 유리질소(N2)와 물(H2O)을 생성하면서 질산성 질소가 제거되는데, 수소(H2) 및 수소양성자(H+)공급량이 부족하여 수중의 질산성질소의 제거율이 목표치에 미달시에는 수소발생기에서 가열되는 반응기(541)에 알카리 금속저장용기(542)에 저장되어 공급되는 알카리금속의 적정량과 무기염촉매저장용기(543)에 저장되어 공급되는 무기염 촉매의 적정량과 금속수화물 저장용기(544)에 저장되어 공급되는 금속수화물의 적정량이 계량기(542a, 543a, 544a)에서 계량되어 반응기(541)에 중력차로 투입되어 물과 혼합되고 교반기(545)로 교반되면서 발열반응으로 생성된 수소가스를 가압기(549)로 가압하여 벤츄리이젝트 목부(515a)로 공급 또는 압축수소용기(541a)에 저장된 수소가스를 압력조정기(541b)에서 적정압력으로 조정하면서 유량조정기(541c)에서 유량이 조정되어 벤츄리이젝트 목부(515a)로 공급되는 수소가스를 유입되는 하천수또는 해수에 미세기포 형태로 공급하여, 수중의 질산성 질소와 반응하여 유리질소(N2)와 물을 생성하고 생성된 유리질소는 최종 출구를 통헤 대기로 배기되고 물은 수중에 첨가되고, 수중에 산소에 의해 산화되어 생성된 인산이온(PO4 3-)은 양극에서 전기분해작용으로 석출되는 철이온(Fe3+) 또는 알루미늄 이온(Al3+)과 반응하여 인산철(FePO4(s))염 및 인산알미늄염(AlPO4(s))으로 침전시키고 잉여의 철이온(Fe3+) 또는 알루미늄 이온(Al3+)은 히드록실 이온(OH-)과 반을하여 수산화제3철(Fe(OH)3(s)) 및 수산화알루미늄염(Al(OH)3(s))으로 침전시켜 수질을 정화하는 선회류(swirl flow) 유동형 질소 및 인 제거기와,
외통(음극)(501a), 양 끝단면이 타원형인 타원기둥 형상의 내통(양극)(511a), 구동모터(520a), 직류 전원공급기로 구성되며, 음극(501a)은 하부에 벤츄리이젝터(515a)가 설치된 원기둥형의 형태이며 외통(음극)(501a)의 내면, 내통(양극)(511a)의 외면의 재질이 철(Fe) 또는 알루미늄(Al) 재질중에 선택되어 사용되거나 또는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복수개의 단수를 두어 단계적으로 철, 알루미늄 재질 순 또는 알루미늄, 철 재질 순으로 서로 다른 재질을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고 각각의 재질 표면에 복수개의 돌기(501b)가 형성되도록 가공되고, 외통(501a)내부 상하부면에 중심부에 베어링(502c, 503c)이 설치되고 음극(501a)과 절연되어 중심부에 베어링(502c, 503c)이 설치된 상부 고정대(502b) 및 하부 고정대(503a)가 설치되고, 설치된 고정대(502b, 503a)의 베어링(502c, 503c)에 양 끝단면 중심부에 회전축(512a)이 설치된 양극(511a)의 회전축이 삽입되어 양극(511a)이 설치되고, 양극의 상부 회전축(512a) 끝단에 제2 베벨기어(512b)가 설치되며, 회전축(521a) 끝단에 제1 베벨기어(522a)가 설치된 구동모터(520a)가 음극(501a)외부에 설치되어 제어반(600)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모터(520a)가 가동되어 회전력을 회전축(521a, 512a) 및 베벨기아(522a 512b)로 전달받는 양극(511a)이 회전하면, 음극(501a)과 양극(511a)사이에서 유체의 흐름은 불규칙한 난류흐름 및 충분한 원심력이 생성되면서 Turbulent Tayler Voltex flow(TTVF) 흐름이 되어 파괴되지 않은 활성기체가 함유된 기포와 음극(501a)에서 전기분해작용에 의해 생성되는 수소(H2)가스 및 활성기체 용해기 및 살균기에서 저온 고온의 활성기체를 함유한 기포가 파괴되면서 방출되는 수소 양성자(H+)와 수중의 질산성질소와 반응하여 유리질소(N2)와 물(H2O)을 생성하면서 질산성 질소가 제거되고, 수소(H2) 및 수소양성자(H+)공급량이 부족하여 수중의 질산성질소의 제거율이 목표치에 미달시에는 수소발생기에서 가열되는 반응기(541)에 알카리 금속저장용기(542)에 저장되어 공급되는 알카리금속의 적정량과 무기염촉매저장용기(543)에 저장되어 공급되는 무기염 촉매의 적정량과 금속수화물 저장용기(544)에 저장되어 공급되는 금속수화물의 적정량을 계량기(542a, 543a, 544a)계량되어 반응기(541)에 중력차로 투입되어 물과 혼합되고 교반기(545)로 교반되면서 발열반응으로 생성된 수소가스를 가압기(549)로 가압하여 벤츄리이젝트 목부(515a)로 공급 또는 압축수소용기(541a)에 저장된 수소가스를 압력조정기(541b)에서 적정압력으로 조정하면서 유량조정기(541c)에서 유량이 조정되어 벤츄리이젝트 목부로 공급되는 수소가스를 유입되는 하천수 또는 해수에 미세기포 형태로 공급하여 수중의 질산성 질소와 반응하여 유리질소(N2)와 물을 생성하고 생성된 유리질소는 최종 출구를 통헤 대기로 배기되고 물은 수중에 첨가되고,수중에 산소에 의해 산화되어 생성된 인산이온(PO4 3-)은 양극에서 전기분해작용으로 석출되는 철이온(Fe3+) 또는 알루미늄 이온(Al3+)과 반응하여 인산철(FePO4(s))염 및 인산알미늄염(AlPO4(s))으로 침전시키고 잉여의 철이온(Fe3+) 또는 알루미늄 이온(Al3+)은 히드록실 이온(OH-)과 반을하여 수산화제3철(Fe(OH)3(s)) 및 수산화알루미늄염(Al(OH)3(s))으로 침전시켜 수질을 정화하는 쿠에뜨 유동형 질소 및 인 제거기(500B)
중에서 어느 한기종이 선정되어 사용되는 질소 및 인 제거기(500); 및
활성기체 공급기(100), 활성기체 용해기(200), 살균기(300), 기포파괴기(400), 질소 및 인 제거기(500)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제어역할을 하는 제어반(600);
을 포함하는 수질 정화기능이 내장된 조류를 포함한 수중 미생물 제거 장치. - 삭제
- 제1항에서,
상기 활성기체 공급기(100)의 방전챔버(111)는 직육면체형상이며, 내부에 서로 마주보게 복수개의 안내판(111a)이 챔버 수직면과 30도 내지 75도 범위의 각도로 복수개가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고, 안내판(111a)과 아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방전챔버(111)를 관통하여 내부에 절연봉(111C)이 삽입되는 제1 소켓(111b)이 직육면체 형상의 방전챔버(111)에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고, 제1 소켓(111b)과 아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방전 가이드핀 조정구(111e)가 챔버를 타공하여 직육면체 형상의 방전챔버(111)에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고, 방전 가이드핀 조정구(111e)와 아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제2 소켓(111b)이 방전챔버(111)을 관통하여 서로 마주보게 복수개가 방전챔버(111)를 관통하여 내부에 절연봉(111C)이 삽입되는 제2 소켓(111b)이 직육면체 형상의 방전챔버(111)에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는,
수질 정화기능이 내장된 조류를 포함한 수중 미생물 제거 장치. - 제1항에서,
고전압 방전부(110)의 방전전극(112) 및 접지전극(113)은 방전 가이드핀(112a, 113a), 영구자석(112b, 113b), 돌출방전극(112c, 113c), 양 끝단면에서 20mm 간격을 두어 절곡되어 일정한 높이를 가진 방전 플레이트(112d, 113d)로 구성되고, 양 끝단부에서 안쪽으로 10mm 이격된 중심부에 6mm 내지 10mm 범위의 직경을 갖는 방전극(112, 113) 고정용 홀(112e, 113e)이 타공되며, 절곡되어 일정높이를 갖게되는 정면부의 절곡선과 간격을 두고 수평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복수개의 방전 가이드핀(112a, 113a)이 방전 플레이트(112d, 113d)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방전 가이드핀(112a, 113a)과 아랫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일정 두께를 갖는 원기둥 형상이며 외표면이 삼각 나사산으로 가공된 돌출방전극(112c, 113c)이 복수개가 설치되고 배면에는 방전 플레이트(112d, 113d)를 관통하여 돌출된 방전 가이드핀(112a, 113a)과 아랫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일정 두께를 갖는 직육면체의 네오디움 제질의 영구자석이 방전 플레이트(112d, 113d)와 면접하여 설치되는,
수질 정화기능이 내장된 조류를 포함한 수중 미생물 제거 장치. - 제3항에서,
방전전극(112) 및 접지전극(113)사이의 방전간극 1차 간격조정은,
방전챔버(111) 일측면에 관통하여 내면에 나사산이 가공되어 복수개가 설치된 제1, 제2 소켓(111b)내부에 설치되는 외표면에 나사산이 가공되어 복수개 설치된 절연봉(111c)를 수공구를 이용하여 회전시켜 mm단위로 조정하고, 1차 간격조정은 방전전극(112) 및 접지전극(113)의 정면에 복수개 설치된 방전 가이드핀(112a, 113a)을 수공구를 이용 회전시켜 mm단위로 조정하여 방전극간 방전이 용이하게 하고 균일한 방전을 유지하는,
수질 정화기능이 내장된 조류를 포함한 수중 미생물 제거 장치. - 제1항에서,
상기 활성기체 용해기(200)는,
필터유닛(201), 유량조절기(202), 혼합기(203), 펌프(204)로 구성되어 펌프(204)의 흡인력으로 흡입관에 유입되는 하천수 또는 해수를 흡입하여 필터유닛(201)에서 협잡물을 제거하고 혼합기(203)에 공급하면서 활성기체 공급기(100)에서 생성되고 가압기(120)에서 가압되고 유량조절기(202)에서 적정량으로 유량을 조절한 후 혼합기(203)로 공급되어 유입되는 하천수 또는 해수에 분사하여 유체상태로 펌프(204)에 흡입되어 고속으로 회전하는 펌프의 날개(Blade)와 충돌하여 유체상의 활성기체를 함유한 기포가 파괴되면서 활성기체중의 산소이온(O), 히드록실 이온(OH-), 수소양성자(H+)의 활성기체가 수중에 용해되거나 함유되면서 유입되는 하천수 또는 해수중의 녹조류 또는 적조류의 세포막을 히드록실이온(OH-)이 천공하여 녹조 또는 적조류를 1차살균하는,
수질 정화기능이 내장된 조류를 포함한 수중 미생물 제거 장치. - 제1항에서,
상기 살균기(300)는,
유량조절기(301), 가열기(302), 제1 히터(302c), 벤츄리이젝터(303), 제2 히터(304)로 구성되어, 벤츄리이젝터(303)외부에 솔레노이드 형상으로 권선된 히터(304)에 전원공급기(305)에서 전원이 공급되어 히터의 발열로 내면이 193℃ 이상으로 가열되는 벤츄리이젝터(303)에 활성기체 용해기(200)의 펌프(204)를 이용하여 하천수또는 해수를 공급하면 193℃ 이상의 고온으로 가열되는 벤츄리이젝터(303)에 내면에 유입되는 하천수 또는 해수가 접촉되어 라이텐프로스트 효과(Leidenfrost effect)에 의해 하천수 또는 해수가 비등(증기화)하면서 수중의 조류균이 살균되고, 활성기체 공급기(100)에서 생산되고 가압기(120)에서 가압하여 공급되는 활성기체를 유량조절기(301)로 적정량을 조절하면서 외부에 권선된 히터(302c)에 전원이 공급되어 고온으로 가열된 가열기(302)로 통과시켜 전도 및 대류방식으로 활성기체를 250℃ 이상으로 가열하여 벤츄리이젝터(303)의 목부(303a)로 공급하면 벤츄리이젝터(303)의 내면에서 비등하는 수증기와 접촉, 상대적으로 저온상태의 수중에 고온으로 공급되는 활성기체의 기포가 응축되어 파괴되는 초 공동화 현상으로 소음을 수반한 수격작용으로 고온의 기포가 연쇄적으로 파괴되는 과정에서 방출되는 히드록실 이온(OH-)의 활성기체와 접촉, 고온의 기포 표면과의 접촉에 의한 열적 충격, 기포파괴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을 수반한 충격파에 의해 수중의 녹조 또는 적조류를 2차 살균하는,
수질 정화기능이 내장된 조류를 포함한 수중 미생물 제거 장치. - 삭제
- 제1항에서,
제1 기포파괴기(410)는,
챔버(401), 고전압 펄스 발생장치(411), 방전전극(412), 접지전극(413), 도선(414) 및 침상형 반사판(415)으로 구성되어, 고전압 펄스 발생장치(411)에서 생성되는 고전압 펄스를 도선(414)을 통하여 방전전극(412) 및 접지전극(413)에 인가하여 양 전극간(412, 413)에 방전시켜, 이 방전에 의하여 발생되는 충격파에 의해서 살균기(300)에서 유입되는 고온의 활성기체가 함유된 기포가 1차 파괴하고, 기포가 파괴될 때 생성되는 수격압력 의하여 기포가 2차 파괴하고, 기포가 파괴될 때 방출되는 히드록실이온(OH-)은 수중의 조류균의 세포막을 천공하여 살균하고, 수소양성자(H+)와 잉여의 히드록실이온(OH-), 산소원자(O) 및 산소이온(O2 *)이 수중에 용해 및 기포형태로 질소 및 인 제거기(500)로 유입되는,
수질 정화기능이 내장된 조류를 포함한 수중 미생물 제거 장치. - 제1항에서,
제2 기포파괴기(420)는,
챔버(401), 고전압 펄스 발생장치(421), 방전전극(422), 접지전극(423), 도선(424), 트리거 전압발생기(425), 트리거 전압전극(426), 도선(427)으로 구성되어 고전압펄스 발생 장치(421)의 한 출력선은 트리거전압 발생기(425)에 연결되고, 트리거전압 발생기(425)의 출력선은 트리거전압전극(426)에 연결되고, 고전압펄스 발생 장치(411)의 한 출력선은 방전전극(422)에 또다른 출력선은 접지전극(423)에 연결 설치되어 고전압펄스 발생장치(421)가 방전전극(422) 및 접지전극(423)에 고전압펄스를 인가할 때, 도선을 사이에 끼워 트리거전압발생기(425)에 동기작동신호를 부여하고, 트리거전압 발생기(425)는, 고전압펄스발생장치(421)가 고전압펄스를 방전전극(422) 및 접지전극(423)에 인가하기보다 이전에 또는 동시에 트리거전압을 트리거전압전극(426)에 인가시 트리거전압전극(426)은 자기와 달리하는 극성의 방전전극(422) 및 접지전극(423)사이에서 펄스에너지가 전달되면서 방전을 개시하면, 방전전극(422) 및 접지전극(423)은 방전전극(422) 및 접지전극(423) 인가된 고전압펄스 보다도 저전압으로 주 방전을 개시하여 방전거리를 신장하고, 이 방전에 의하여 발생되는 충격파에 의해서 살균기(300)에서 유입되는 고온의 활성기체가 함유된 기포가 1차 파괴하고, 기포가 파괴될 때 생성되는 진동을 수반한 충격파(수격압력)에 의하여 기포가 2차 파괴하고, 기포가 파괴될 때 방출되는 히드록실이온(OH-)은 수중의 조류균의 세포막을 천공하여 살균하고, 수소양성자(H+)와 잉여의 히드록실이온(OH-), 산소원자(O) 및 산소이온(O2 *)이 수중에 용해 및 기포 형태로 질소 및 인 제거기(500)로 유입되는,
수질 정화기능이 내장된 조류를 포함한 수중 미생물 제거 장치. - 제1항에서,
제3 기포파괴기(430)는,
고전압 펄스 발생 장치(431), 방전전극(432), 접지전극(433) 및 트리거 전압전극(434), 트랜스(435), 도선(431a,b)로 구성되며,
고전압 펄스 발생 장치(431)에서 생성된 고전압이 방전전극(432), 접지전극(433) 및 트리거 전압전극(434)에 인가되며, 고전압 펄스 발생장치(431)의 출력측의 한 도선(431-2b)은 트랜스(435)의 2차측 인덕터(L2)를 경유하여 접지전극(433)에 연결되며, 다른 한 도선(431-2e)은 트랜스(435)의 1차측 인덕터(L1)을 사이에 끼워 콘덴서(c)를 거쳐 방전전극(432)에 연결되고, 또 다른 한도선은 트리거 전압전극(434)에 연결되어, 제어반(600)에서 고전압 펄스 발생 장치(431)에 전원이 공급되고, 고전압 펄스 발생 장치(431)의 출력선(431-a)에 정(+)의 전위로 되는 고전압 펄스가 인가되면 콘덴서(c)는 1차측(L1)에 의하여 서서히 충전되고, 이때의 전류변화에 의하여 2차측(L2)으로 트리거 전압이 발생하여 트리거 전압전극(434)와 접지전극(433)의 사이로 펄스에너지가 전달되면서 자유방전이 발생이 개시되고, 이 자유 방전에 의해 유발되어서 방전전극(432) 및 접지전극(433)사이로 주 방전이 발생되어 이 방전에 의하여 발생되는 충격파에 의해서 살균기(300)에서 유입되는 고온의 활성기체가 함유된 기포가 1차 파괴하고, 기포가 파괴될 때 생성되는 수격압력 의하여 기포가 2차 파괴하고, 기포가 파괴될 때 방출되는 히드록실이온(OH-)은 수중의 조류균의 세포막을 천공하여 살균하고, 수소양성자(H+)와 산소원자(O) 및 산소이온(O2 *)이 수중에 용해 및 기포 형태로 질소 및 인 제거기(500)로 유입되는,
수질 정화기능이 내장된 조류를 포함한 수중 미생물 제거 장치. - 제1항에서,
상기 기포파괴기(400)는,
제1 기포파괴기(410), 제2 기포파괴기(420), 제3 기포파괴기(430)의 고전압 펄스 발생장치(411, 421, 431)의 출력측 전압은 1KV 내지 30KV 범위내서 적정전압을 선택하여 선정하고, 전류값은 5A 내지 300A 범위내서 적정전압을 선택하여 선정하고, 펄스반복율(단위시간당 펄스횟수;PRR)은 20Hz 내지 10KHz 범위내서 적정전압을 선택하여 선정하며, 펄스폭은 1ms 내지 5ms범위내서 적정전압을 선정하여 사용하는,
수질 정화기능이 내장된 조류를 포함한 수중 미생물 제거 장치. - 제1항에서,
상기 기포파괴기(400)는,
제1 기포파괴기(410), 제2 기포파괴기(420), 제3 기포파괴기(430)의 어느 한기종이 선택되어 사용되며 제1 기포파괴기(410)의 방전전극(412) 및 접지전극(413)을 통과하는 하수 또는 해수 수중의 조류가 고전압 펄스 발생장치(411)에서 방전전극(412) 및 접지전극(413)에 고전압을 인가시키면, 방전극(412, 413)사이로 유입되는 조류가 포함된 수중에 펄스에너지가 전달되면서, 조류의 세포막을 가로질러 부가적인 전압(V)에 유도되고 누적된 전위의 합이 200mmV에서 1V사이인 임계전압(threshold voltage)을 능가하면, 세포막에서 기공(transmembrane pore.p)이 형성되기 시작하고, 세포막의 전위가 임계치 이상인 상태에서 세포가 보다 오랜 시간 동안 노출되면, 천공은 세포외 이온의 유입을 야기하고, 이는 항상성(homeostasis)의 상실 및 그에 따를 세포 자멸(apoptosis)하는 전기천공의 특성을 갖는,
수질 정화기능이 내장된 조류를 포함한 수중 미생물 제거 장치. - 제1항에서,
제2 기포파괴기(420)의 방전전극(422), 접지전극(423) 및 트리거 전압전극(426)을 통과하는 하수 또는 해수 수중의 조류가 고전압 펄스 발생장치(421) 및 트리거전압발생기(425)에서 방전전극(422), 접지전극(423) 및 트리거 전압전극(426)에 고전압을 인가시키면, 방전전극(422), 접지전극(423) 및 트리거 전압전극(426)사이로 유입되는 조류가 포함된 수중에 펄스에너지가 전달되면서, 조류의 세포막을 가로질러 부가적인 전압(V)에 유도되고 누적된 전위의 합이 200mmV에서 1V사이인 임계전압(threshold voltage)을 능가하면, 세포막에서 기공(transmembrane pore.p)이 형성되기 시작하고, 세포막의 전위가 임계치 이상인 상태에서 세포가 보다 오랜 시간 동안 노출되면, 천공은 세포외 이온의 유입을 야기하고, 이는 항상성(homeostasis)의 상실 및 그에 따른 세포가 자멸(apoptosis)하는 전기천공의 특성을 갖는,
수질 정화기능이 내장된 조류를 포함한 수중 미생물 제거 장치. - 제1항에서,
제3 기포파괴기(430)의 방전전극(432) 및 접지전극(433)을 통과하는 하수 또는 해수 수중의 조류가 고전압 펄스 발생장치(431)에서 방전전극(432) 및 접지전극(433)에 고전압을 인가시키면, 방전극(432, 433)사이로 유입되는 조류가 포함된 수중에 펄스에너지가 전달되면서, 조류의 세포막을 가로질러 부가적인 전압(V)에 유도되고 누적된 전위의 합이 200mmV에서 1V사이인 임계전압(threshold voltage)을 능가하면, 세포막에서 기공(transmembrane pore.p)이 형성되기 시작하고, 세포막의 전위가 임계치 이상인 상태에서 세포가 보다 오랜 시간 동안 노출되면, 천공은 세포외 이온의 유입을 야기하고, 이는 항상성(homeostasis)의 상실 및 그에 따른 세포가 자멸(apoptosis)하는 전기천공의 특성을 갖는,
수질 정화기능이 내장된 조류를 포함한 수중 미생물 제거 장치. - 제1항에서,
질소 및 인 제거기(500)는,
선회류(swirl flow) 유동형 질소 및 인 제거기, 꾸에트 유동형 질소 및 인 제거기 중에서 어느 한가지 기종이 선택되어 사용되는데,
선회류(swirl flow) 유동형 형 질소 및 인 제거기(500)는,
양 끝단면이 원형인 원기둥형 외통(501) 및 내통(511)구조의 이중 중공구조이며 내통(511)의 외면 및 외통(501)의 내면의 재질이 철(Fe) 또는 알루미늄(Al) 재질중에 선택되어 사용되거나 또는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복수개의 단수를 두어 단계적으로 철, 알루미늄 재질 순 또는 알루미늄, 철 재질 순으로 서로 다른 재질을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고 각각의 재질 표면에 복수개의 돌기(501a)가 형성되도록 가공되고, 내통(511)은 외통(501)의 내부 상하 고정대(502, 503)에 설치되고 외부에 설치된 구동모터(520)와 동력전달 링크로 연결되어 모터(520)의 회전력을 동력전달 링크(521, 522)로 전달받아 회전하여 음극과 양극 사이에서 선회류(swirl flow)를 형성하면서 외부에 설치된 직류전원공급기(530)로부터 생성된 직류전원을 외통(501)(음극) 및 내통(511)(양극)에 공급받아 외통(501)과 내통(511)사이에서 전기분해작용으로 양극(511)과 음극(501)에서 발생되는 철이온과 알루미늄 이온과 활성기체 용해기(200) 및 기포파괴기(400)에서 생성된 수소양성자(H+), 전기분해작용에 의하여 생성된 수소(H2), 수소발생기(540)에서 생성되어 공급되는 수소(H2)가스 및 히드록실 이온(OH-)이 수중에 존재하는 질산성질소 및 인과 반응하여 수중의 질산성질소 및 인을 제거하여 수질을 정화하는,
수질 정화기능이 내장된 조류를 포함한 수중 미생물 제거 장치. - 제16항에서,
꾸에트 유동형 질소 및 인 제거기는,
양 끝단면이 타원형인 타원기둥형 외통(501a) 및 내통(511a)구조의 이중 중공구조이며 내통의 외면 및 외통의 내면의 재질이 철(Fe) 또는 알루미늄(Al) 재질중에 선택되어 사용되거나 또는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복수개의 단수를 두어 단계적으로 철, 알루미늄 재질 순 또는 알루미늄, 철 재질 순으로 서로 다른 재질을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고 각각의 재질 표면에 복수개의 돌기(501b)가 형성되도록 가공되고, 내통(양극;511a)은 외통(501a)의 내부 상하 고정대(502b, 503a)에 설치되고 외부에 설치된 구동모터(520a)와 동력전달 링크(521a, 522a)로 연결되어 모터(520a)의 회전력을 동력전달 링크(521a, 522a)로 전달받아 회전되어 단변과 장변의 차이에 의해 음극(501b)과 양극(511b)사이에서 음극(501b)방향으로 원심력이 작용하여 난류흐름이 생성되는데 이러한 난류흐름을 쿠에트 유동(Tayler-Couette flow 또는 Turbulent Tayler Voltex flow(TTVF))형성하면서 음극(501b)외부에 설치된 직류전원공급기(530a)로부터 생성된 직류전원을 외통(501a)(음극) 및 내통(511a)(양극)에 공급받아 외통(501a)과 내통(511a)사이에서 전기분해작용으로 양극과 음극에서 발생되는 철이온과 알루미늄 이온과 활성기체 용해기(200) 및 기포파괴기(400)에서 생성된 수소양성자(H+), 전기분해작용에 의하여 생성된 수소(H2), 수소발생기(540)에서 생성되어 공급되는 수소(H2)가스 및 히드록실 이온(OH-)과 수중에 존재하는 질산성질소 및 인과 반응하여 수중의 질산성질소 및 인을 제거하여 수질을 정화하는,
수질 정화기능이 내장된 조류를 포함한 수중 미생물 제거 장치. - 제16항에서,
상기 수소발생기(540)는,
반응기(541), 알카리금속저장용기(542), 무기염촉매저장용기(543), 수소발생용 금속수화물 저장용기(544), 교반기(545), 가열코일(546), 전원공급기(547), 냉각용 자켓(548) 및 가압기(549)로 구성되며,
상기 알카리금속저장용기(542)에서 계량되어 반응기 내부로 수소화붕소나트륨(NaBH4), 수소화붕소리튬(LiBH4), 수소화붕소칼륨(KBH4), 수소화붕소암모늄(NH4BH4) 또는 알카리금속저장용기(542)에 저장된 수소화알루미늄나트륨(NaAlH4), 수소화알루미늄리튬(LiAlH4), 수소화알루미늄칼륨(KAlH4), 수소화갈륨나트륨(NaGaH4), 수소화갈륩리튬(LiGaH4), 수소화갈륨칼륨(KGaH4)의금속하이드라이드의 가수분해물(metalhydride)중의 어느 한물질이 선택되어 반응기(541)에 공급되어 물과 반응하여 수소를 발생시는 방법 또는 수소화칼슘(CaH2), 디수소화붕소칼슘(Ca(BH4)2), 수소화마그네슘(MgH2), 디수소화붕소마그네슘(Mg(BH4)2), 수소화일루미늄칼륨(KAlH4), 수소화리튬(LiH)의 물질중에서 어느 한가지 물질이 선택되어 반응기(541)에 공급되어 물과 반응하여 수소를 발생시키는,
수질 정화기능이 내장된 조류를 포함한 수중 미생물 제거 장치. - 제16항에서,
금속수화물 저장용기(544)에 저장된 알루미늄, 규소, 아연의 물질중에서 어느 한가지 물질이 선택되어 반응기(541)에 공급되어 물과 반응하여 수소를 발생시키는,
수질 정화기능이 내장된 조류를 포함한 수중 미생물 제거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75024A KR102228472B1 (ko) | 2019-06-24 | 2019-06-24 | 수질 정화기능이 내장된 조류를 포함한 수중 미생물 제거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75024A KR102228472B1 (ko) | 2019-06-24 | 2019-06-24 | 수질 정화기능이 내장된 조류를 포함한 수중 미생물 제거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00353A KR20210000353A (ko) | 2021-01-05 |
KR102228472B1 true KR102228472B1 (ko) | 2021-03-17 |
Family
ID=74140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75024A Active KR102228472B1 (ko) | 2019-06-24 | 2019-06-24 | 수질 정화기능이 내장된 조류를 포함한 수중 미생물 제거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28472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50085144A (ko) | 2023-12-05 | 2025-06-12 | 주식회사 이테크놀리지 | 펄스 방전 장치를 이용한 수질 개선 장치 및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64803B1 (ko) * | 2021-05-20 | 2023-08-07 | 홍승훈 | 가스 용해 시스템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021869A (ja) | 2003-07-04 | 2005-01-27 | Nippon Resource Kk | 水中プラズマによる水処理方法及びその水処理装置 |
KR101535247B1 (ko) | 2013-10-16 | 2015-07-30 | 운해이엔씨(주) | 세정수 정화유닛을 이용한 폐수 배출이 없는 백연 및 오염물질 제거용 스크러버 |
KR101776287B1 (ko) | 2015-07-06 | 2017-09-20 | 김부열 | 다목적 수처리 및 스케일형성방지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28175B1 (ko) | 2009-06-16 | 2011-04-08 | 한국수자원공사 | 황토분사기능을 갖는 선박형 적조 및 녹조제거 장치 |
KR101629202B1 (ko) | 2014-04-22 | 2016-06-10 | 주식회사 플라즈마코리아 | 플라즈마를 이용하는 녹조 또는 적조제거장치 |
KR101570120B1 (ko) | 2015-04-01 | 2015-11-19 | 주식회사 현진기업 | 초음파 녹조제거 시스템 |
KR20180042886A (ko) * | 2016-10-18 | 2018-04-27 | 운해이엔씨(주) | 수중 세균 및 미생물 제거 장치 및 그 방법 |
-
2019
- 2019-06-24 KR KR1020190075024A patent/KR102228472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021869A (ja) | 2003-07-04 | 2005-01-27 | Nippon Resource Kk | 水中プラズマによる水処理方法及びその水処理装置 |
KR101535247B1 (ko) | 2013-10-16 | 2015-07-30 | 운해이엔씨(주) | 세정수 정화유닛을 이용한 폐수 배출이 없는 백연 및 오염물질 제거용 스크러버 |
KR101776287B1 (ko) | 2015-07-06 | 2017-09-20 | 김부열 | 다목적 수처리 및 스케일형성방지장치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50085144A (ko) | 2023-12-05 | 2025-06-12 | 주식회사 이테크놀리지 | 펄스 방전 장치를 이용한 수질 개선 장치 및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00353A (ko) | 2021-01-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243122B2 (ja) | 液体にプラズマ粒子を当て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並びに水を殺菌するための使用 | |
JP5295485B2 (ja) | 液中プラズマ型被処理液浄化方法及び液中プラズマ型被処理液浄化装置 | |
US8137703B2 (en) | Ozone water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 |
JP5544181B2 (ja) | オゾン微細気泡の電解合成方法 | |
EP1942951B1 (en) |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biocidal activated water solutions | |
US10941062B2 (en) | Microbubble generator for enhanced plasma treatment of liquid | |
KR102228472B1 (ko) | 수질 정화기능이 내장된 조류를 포함한 수중 미생물 제거 장치 | |
KR20180042886A (ko) | 수중 세균 및 미생물 제거 장치 및 그 방법 | |
EP2799401B1 (en) | Method of operating a purifying device | |
US20140054242A1 (en) | Liquid treating apparatus and liquid treating method | |
CN103562142B (zh) | 带有正电荷的微细气泡发生装置及利用其的水处理装置 | |
JP6252955B2 (ja) | ナノバブルによる殺菌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ナノバブルの発生装置 | |
CN103496761A (zh) | 等离子体和超声波联合水处理装置及其工艺流程 | |
JP6678338B2 (ja) | 液体処理装置 | |
KR102533716B1 (ko) | 이온화된 수소 및 산소이온을 기체상, 액체상, 고체상 물질과 혼합하고 이들 혼합물에 양자에너지를 전사하는 장치 | |
KR101776287B1 (ko) | 다목적 수처리 및 스케일형성방지장치 | |
KR102243748B1 (ko) | 양자에너지가 조사되는 다용도 반응기 | |
KR20130078327A (ko) | 양전하를 갖는 미세기포 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장치 | |
WO2013150960A1 (ja) | 太陽光発電方法および発電装置 | |
JP2013138978A (ja) | イオン水供給機構 | |
KR20090091479A (ko) | 이온교환막을 이용한 전해오존발생기 및 이를 이용한살균수제조장치 | |
JP2013139953A (ja) | クーリングタワーシステム | |
KR20220058726A (ko) | 기체,액체,유체 처리용 방전기능이 내장된 양자에너지 발생장치 | |
JP2020049209A (ja) | 滅菌処理方法 | |
KR20220058013A (ko) | 플라즈마 방전을 이용한 고농도 살균소독수 생성장치 및 생성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62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1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030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103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103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2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