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8350B1 - 반려 동물 모니터링을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반려 동물 모니터링을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8350B1
KR102228350B1 KR1020190051897A KR20190051897A KR102228350B1 KR 102228350 B1 KR102228350 B1 KR 102228350B1 KR 1020190051897 A KR1020190051897 A KR 1020190051897A KR 20190051897 A KR20190051897 A KR 20190051897A KR 102228350 B1 KR102228350 B1 KR 1022283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bservation area
companion animal
reaction
special event
det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1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7544A (ko
Inventor
장재훈
박재만
이용원
이지훈
윤용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90051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8350B1/ko
Publication of KR20200127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7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8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83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려 동물 모니터링을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반려 동물의 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모니터링하는 반려 동물 모니터링 장치가 수행하는 제어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상기 촬영 영상 중 서로 다른 복수 개의 목적에 각각 대응되는 관찰 영역에 대한 지정이 있는 경우, 각 관찰 영역을 그 대응되는 목적에 매칭시켜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관찰 영역에서 상기 반려 동물의 반응이 감지되면 해당 반려 동물의 반응이 감지된 관찰 영역의 목적에 대응되는 특별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반려 동물 모니터링을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ERING PET}
본 발명은 반려 동물 모니터링을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출 중에도 반려 동물의 움직임이나 상태 등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강아지, 고양이 등과 같이 반려 동물을 키우는 사람들이 많은데, 외출시 다양한 이유로 인해 반려 동물과 함께 하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한다.
이때 반려 동물은 집 안에 머무르게 되는데, 외출중인 주인 입장에서는 반려 동물의 상태가 걱정되기도 하고, 식사를 잘 하는지 또는 다른 문제가 없는지를 살펴보고 싶어 한다.
방범 시스템 등과 같이 외부에서 댁내의 모습을 관찰하는 시스템이 제시되고 있기는 하지만, 주인이 수시로 방범 시스템을 통해 댁내를 살펴보는 것은 상당히 번거로운 일이다.
특히 소정의 방범 시스템의 경우 촬영 영역에서 소정의 움직임이 발생하는 경우 경고를 주는 기능을 수행하기는 하지만, 이러한 방범 시스템의 기능은 다양한 영역에서 다양한 행동을 보이는 반려 동물의 모니터링에는 적합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 제10-1168129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댁내의 반려 동물이 다양한 영역에서의 특정 행동에 따라 외출 중인 주인에게 반려 동물의 상태를 적절하게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반려 동물의 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모니터링하는 반려 동물 모니터링 장치는, 저장부와; 사용자로부터 상기 촬영 영상 중 서로 다른 복수 개의 목적에 각각 대응되는 관찰 영역에 대한 지정이 있는 경우, 각 관찰 영역을 그 대응되는 목적에 매칭시켜 상기 저장부에 저장 등록하는 관찰 영역 등록부와; 상기 관찰 영역에서 상기 반려 동물의 반응을 감지하는 반응 감지부와; 상기 반응 감지부에서 상기 반려 동물의 반응이 감지된 경우, 해당 반응이 감지된 관찰 영역의 목적에 대응되는 특별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특별 이벤트 관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반려 동물의 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모니터링하는 반려 동물 모니터링 장치가 수행하는 제어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상기 촬영 영상 중 서로 다른 복수 개의 목적에 각각 대응되는 관찰 영역에 대한 지정이 있는 경우, 각 관찰 영역을 그 대응되는 목적에 매칭시켜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관찰 영역에서 상기 반려 동물의 반응이 감지되면 해당 반려 동물의 반응이 감지된 관찰 영역의 목적에 대응되는 특별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외출 중에서 댁내에 있는 반려 동물의 특정 영역에서의 활동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복수개의 관찰 영역마다 각기 다른 목적 및 조건으로 설정됨으로써, 반려 동물의 구체적인 상황, 예를 들어 식사중인지, 배변을 보고 있는 중인지, 또는 외부 인기척에 반응하고 있는지 등을 영상 시청 이전에라도 알림 메시지 등을 통해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각 관찰 영역마다 구체적인 조건이 매칭됨으로써 무의미하고 빈번한 알림 메시지의 발송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서버를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모니터링 서버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3은 촬영 영역 중 소정의 관찰 영역이 지정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링 서버의 제어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은 각 실시예에 포함되는 개별 구성, 개별 기능, 또는 개별 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편의상 청구 범위의 일부 청구항에는 '(a)'와 같은 알파벳을 포함시켰으나, 이러한 알파벳이 각 단계의 순서를 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에서 언급하는 각 신호는 한 번의 연결 등에 의해 전송되는 하나의 신호를 의미할 수도 있지만, 후술하는 특정 기능 수행을 목적으로 전송되는 일련의 신호 그룹을 의미할 수도 있다. 즉, 각 실시예에서는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전송되거나 상대 장치로부터의 응답 신호를 수신한 이후에 전송되는 복수 개의 신호들이 편의상 하나의 신호명으로 표현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 동물 모니터링 장치를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의 개략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시스템은 촬영 카메라(200), 반려 동물 모니터링 장치의 일 예로써 모니터링 서버(100), 사용자 단말기(300), 댁내 제어 장치(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선 촬영 카메라(200)는 댁내에 위치하여 지속적으로 촬영을 수행하여 모니터링 서버(100)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영상 촬영을 위한 영상 모듈은 물론이고, 음성 감지를 위한 음성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영상 모듈과 음성 모듈을 각기 별도의 장치에 구현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기(300)는 반려 동물의 주인이 보유한 단말기로서, 예를 들어 외출 중에 반려 동물의 상태를 실시간 확인이 가능한 무선 통신 단말기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단말기(300)는 스마트폰인 것을 일 예로 하고 있으나, 모니터링 서버(100)와 통신이 가능한 장치라면 모두 가능하고, 특히 유선으로 연결된 컴퓨터일 수도 있다.
반려 동물의 주인은 이러한 사용자 단말기(300)를 이용하여 촬영 카메라(20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모니터링 서버(100)가 전송하는 각종 정보를 확인하고, 더 나아가 소정의 관찰 영역을 지정할 수도 있다.
여기서 관찰 영역은 반려 동물의 반응을 추적하거나 확인할 영역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촬영 카메라(200)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 내의 영역 중 급식용 사료 그릇(502)이 촬영된 영역(501) 또는 배변용 기구 또는 장소가 촬영된 영역 등이 이에 해당할 수 있다.
이처럼 관찰 영역이 지정된 경우 모니터링 서버(100)는 그 관찰 영역 내에서의 반려 동물의 반응(움직임 또는 울음 등)이 감지되면 이와 관련된 특정 정보를 사용자(반려 동물 주인)에게 알리게 되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토록 한다.
관찰 영역을 설정함에 있어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300) 상의 특정 영역을 터치 드래그를 하고 그 터치 드래그 정보를 모니터링 서버(100)에 전송함으로써 자신이 원하는 특정 영역을 지정할 수 있는데, 이때 지정되는 각 특정 영역이 특정 목적에 매칭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 목적이라 함은, 반려 동물에 대한 모니터링을 위한 각종 목적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배변 활동 관찰 목적, 식사 관찰 목적, 위험 감지 목적 등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촬영 카메라(200)에 의해 촬영된 영상 중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급식용 사료 그릇(502)이 표시되는 영역(501)을 지정하면서 '식사 관찰 목적'을 함께 지정할 수 있고, 다른 예로써 배변용 기구가 표시된 영역을 지정하면서 '배변 활동 관찰 목적'을 함께 지정하여, 모니터링 서버(100)에 각 특정 영역이 서로 다른 목적에 매칭 등록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댁내 제어 장치(400)는 모니터링 서버(100)의 제어에 따라 댁내에 구비된 각종 설비를 제어하는 장치로서, 예를 들어 가스 잠금 제어 장치, 전등 점등/소등 제어 장치, TV 온/오프 제어 장치 등에 해당할 수 있다.
이러한 댁내 제어 장치(40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에 의해 모니터링 서버(100)로부터 각종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댁내에 구비된 설비 또는 전자 장치 등을 제어하는데, 모니터링 서버(100)에 의한 댁내 제어 장치(400)의 제어는 최근 널리 활성화되고 있는 IoT(Internet of Things) 기술을 이용한 것일 수 있다.
물론 모니터링 서버(100)와 댁내 제어 장치(400) 간의 통신 또는 제어 프로토콜은 공지된 다양한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특히 댁내 제어 장치(400)는 촬영 카메라(200)와 통합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모니터링 서버(100)는 상술한 촬영 카메라(200), 사용자 단말기(300), 댁내 제어 장치(400)와 통신하는 것으로서, 촬영 카메라(200)로부터 촬영 영상을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기(300)에 특정 정보를 제공하거나 댁내 제어 장치(400)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모니터링 서버(100)의 구체적인 기능 블록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니터링 서버(100)는 저장부(110), 관찰 영역 등록부(120), 반응 감지부(130), 특별 이벤트 관리부(140), 이동 판단부(150), 제어부(160), 사용자 입력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선, 사용자 입력부(170)는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의 각종 요청을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70)에는 관찰 영역을 지정하기 위한 신호 또는 촬영 영상의 시청을 위한 요청 신호가 입력될 수 있다.
저장부(110)는 모니터링 서버(100)의 동작을 위해 필요한 애플리케이션, 정보, 데이터를 저장하고, 더 나아가 모니터링 서버(100)의 동작 중 새로 발생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정보, 촬영 영상 등을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더 나아가 저장부(110)에는 각종 '목적' 및 그에 대한 '조건' 및 '알림 메시지' 등이 서로 매칭 등록되어 있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저장부(110)에 저장된 '목적'에는 '배변 활동 관찰 목적', '식사 관찰 목적', '위험 감지 목적'이 포함되고, 이 중 '배변 활동 관찰 목적'에 대응되는 조건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머무름'이, '식사 관찰 목적'에 대응되는 조건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머무름 및 식사 소리 감지'가, '위험 감지 목적'에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머무름 및 짖는 소리 감지'가 될 수 있다.
또한 '배변 활동 관찰 목적'에 대응되는 알림 메시지는 '반려 동물이 현재 배변을 보고 있습니다'가, '식사 관찰 목적'에 대응되는 알림 메시지는'반려 동물이 현재 식사를 하고 있습니다'가, '위험 감지 목적'에 대응되는 알림 메시지는 '반려동물이 위험영역에 접근 하였습니다'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매칭 데이터를 활용하는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토록 한다.
관찰 영역 등록부(120)는 사용자 즉,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촬영 영상 중 서로 다른 복수 개의 목적에 각각 대응되는 관찰 영역에 대한 지정이 있는 경우, 각 관찰 영역을 그 대응되는 목적에 매칭시켜 저장부(110)에 저장 등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촬영 카메라(200)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 내의 영역 중 일부를 일명 '관찰 영역'으로 지정할 수 있는데, 관찰 영역 등록부(120)는 이러한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촬영 영상 내의 특정 영역을 관찰 영역으로 등록 및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관찰 영역 등록부(120)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촬영 영상을 사용자 단말기(300)에 전송하고, 또한 저장부(110)에 저장된 복수 개의 '목적'을 포함하는 '목적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기(300)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관찰 영역 등록부(120)는 '배변 활동 관찰 목적', '식사 관찰 목적', '위험 감지 목적'이 포함된 목적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기(300)에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300) 상에서 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관찰 영역을 지정하는 경우 관찰 영역 등록부(120)는 해당 관찰 영역 지정 정보 및 목적 선택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관찰 영역을 그 선택된 목적에 매칭시켜 등록하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목적 리스트느 해당 목적에 부합되는 특정 사물명칭들의 그룹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밥그릇', '물그릇', '화장실', '잠자리' 등과 같은 명칭이 각각의 목적에 대응하여 목적 리스트에 포함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일 예로 사용자가 촬영 영상 내의 급식용 사료 그릇(502)이 놓여 있는 곳을 중심으로 소정 사각형 영역(501)을 지정하면서 '식사 관찰 목적'을 선택한 경우, 관찰 영역 등록부(120)는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영상 내의 좌표 영역 정보와 '식사 관찰 목적'을 서로 매칭시켜 등록할 수 있는 것이다.
참고로 도 3에는 전체 촬영 영역 중 '식사 관찰 목적'을 위한 관찰 영역과 '배변 활동 관찰 목적'을 위한 관찰 영역을 지정한 상태가 나타나 있다.
이처럼 관찰 영역의 등록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관찰 영역 등록부(120)가 동적으로 재설정/등록 처리할 수도 있다.
즉, 이동 판단부(150)는 관찰 영역에 포함된 고정 피사체의 이동을 판단할 수 있는데, 이러한 이동 판단부(150)에 의해 관찰 영역에 포함된 고정 피사체가 이동하였다고 판단되는 경우 관찰 영역 등록부(120)는 그 이동된 위치를 기초로 관찰 영역을 자동으로 재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식사 관찰 목적'에 매칭되어 급식용 사료 그릇(502)을 포함하는 관찰 영역(501)이 지정된 상태에서, 이동 판단부(150)에 의해 해당 급식용 사료 그릇(502)이 관찰 영역(501) 밖으로 이동하였다고 판단하는 경우, 관찰 영역 등록부(120)는 그 급식용 사료 그릇(502)이 이동된 위치를 기준으로 '식사 관찰 목적'의 관찰 영역(일 예로 사각형 형상의 영역)을 재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관찰 영역 등록부(120)는 급식용 사료 그릇(502)이 이동되기 이전에 설정되었던 관찰 영역(501)은 삭제할 수 있다.
이러한 처리를 위해 이동 판단부(150)는 관찰 영역에 포함된 고정 피사체의 이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어야 하는데, 이는 특정 시점을 기준으로 관찰 영역을 촬영한 영상 간의 비교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반려 동물과 고정 피사체 간의 구별이 필요함은 물론이다.
더 나아가 사용자가 고정 피사체에 대한 별도의 사진을 제공하는 경우 관찰 영역 등록부(120)는 해당 사진과의 비교를 통해 촬영 영상 내에서 고정 피사체를 식별할 수 있고, 이러한 고정 피사체의 식별을 통해 고정 피사체의 이동을 추적할 수도 있다.
촬영 이미지 상에서 소정 객체의 이동 추적 그 자체는 이미 공지된 기술에 해당하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반응 감지부(130)는 기 설정된 관찰 영역에서의 반려 동물의 반응을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반응 감지부(130)는 기 설정된 관찰 영역에서 반려 동물이 움직이거나 소리는 내는 경우 이를 감지할 수 있다.
반려 동물이 관찰 영역에서 움직이는지 여부는 상술한 이동 판단부(150)와 마찬가지로 영상 분석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때 반려 동물에 대한 일종의 객체 인식 역시 각종 영상 처리 기술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특별 이벤트 관리부(140)는 반응 감지부(130)에서 반려 동물의 반응이 감지된 경우, 해당 반응이 감지된 관찰 영역의 목적에 대응되는 특별 이벤트 정보를 생성 또는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특별 이벤트 관리부(140)는 특정 관찰 영역에서 반려 동물의 반응이 감지된 경우 그 특정 관찰 영역의 목적에 대응되는 조건과 해당 반려 동물의 반응을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 상기 특정 관찰 영역에서의 반려 동물의 반응이 해당 특정 관찰 영역의 목적에 대응되는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 특별 이벤트 정보를 생성 또는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응 감지부(130)에 의해 반려 동물이 '식사 관찰 목적'의 관찰 영역에 머물러 있고 또한 사료 먹는 소리가 감지된 경우, 특별 이벤트 관리부(140)는 해당 관찰 영역의 목적 즉, '식사 관찰 목적'에 대응되는 알림 메시지인 '반려 동물이 현재 식사를 하고 있습니다'를 특별 이벤트 정보로써 추출하거나 생성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특별 이벤트 관리부(140)는 이렇게 생성 또는 추출한 특별 이벤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300)에 알림 메시지를 즉시 전송하거나, 또는 알림 메시지를 일시 저장해 두었다가 추후 사용자 단말기(300)의 요청이 있는 경우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써 특별 이벤트 관리부(140)가 생성하는 특별 이벤트 정보는 해당 반려 동물의 반응을 촬영한 촬영 영상일 수 있다.
즉, 촬영 카메라(200)로부터 촬영 영상이 지속적으로 수신된다 하더라도 특별 이벤트 관리부(140)는 반응 감지부(130)에 의해 반려 동물의 반응이 감지된 시점 또는 그 반응이 감지된 시점의 바로 이전 시점(일 예로 소정의 시간 이전 시점)으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다른 영상과 구별하여 사용자에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일 예로 특별 이벤트 관리부(140)는 다른 영상은 저장하지 않고, 상술한 반려 동물의 반응이 감지된 시점의 영상만을 별도로 저장하여 사용자에게 실시간 제공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제공할 수도 있는 것이다.
특히, 특별 이벤트 관리부(140)는 관찰 영역에서 반려 동물의 움직임이 감지된 경우에 항상 특별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아니라, 해당 움직임이 감지됨과 아울러 반려 동물의 울음 소리가 기 설정된 회수 이상 감지된 경우에 비로소 특별 이벤트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앞서 설명한, '위험 감지 목적'에 대응되는 관찰 영역에서의 처리가 해당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 입장에서 보면 무분별하게 빈번한 알림 메시지가 수신 수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단순히 관찰 영역에서 반려 동물의 움직임이 감지될 때마다 특별 이벤트 정보에 해당하는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게 되면 과도한 메시지 전달이 발생할 수 있는데, 반려 동물의 울음 소리를 고려하고 더 나아가 그 울음 소리를 카운트 하여 기 설정된 회수를 넘어서는 경우에 비로소 위험 알림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전송하게 되면 이처럼 무분별하고 과도한 메시지 전달이 사전에 방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 동물 모니터링 장치의 제어 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도 4는 촬영 영상 중의 특정 영역이 관찰 영역으로 설정 등록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촬영 카메라(200)에 촬영된 영상은 모니터링 서버(100)에 지속적으로 전송되고 있다고 가정한다.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300)를 조작하여 촬영 영상을 요청하면(단계 S1), 모니터링 서버(100)는 촬영 카메라(200)로부터 기 수신되거나 실시간 수신되는 촬영 영상을 사용자 단말기(300)에 전송한다(단계 S3).
이에 사용자 단말기(300)는 모니터링 서버(100)로부터 수신된 촬영 영상을 표시한다(단계 S5).
또한 사용자 단말기(30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모니터링 서버(100)에 목적 리스트를 요청하고(단계 S6), 모니터링 서버(100)는 기 등록되어 있는 목적 리스트를 추출하여 사용자 단말기(300)에 전송한다(단계 S7).
이러한 목적 리스트는 사용자 단말기(300) 상에 선택을 위해 표시될 수 있는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특정 관찰 영역이 지정되고 또한 목적 리스트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목적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단계 S9), 사용자 단말기(300)는 그 지정된 관찰 영역 정보(일 예로 좌표 정보)와 선택된 목적 정보(특정 목적 항목 등)를 모니터링 서버(100)에 전송한다(단계 S11).
모니터링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된 관찰 영역에 대한 정보와 목적에 대한 정보를 서로 매핑시켜 등록한다(단계 S13).
이처럼 관찰 영역에 대한 정보에는 촬영 영상 이미지 상의 좌표가 포함될 수 있으므로, 해당 영역을 다른 영역과 구별하여 처리하고, 해당 관찰 영역에서의 반려 동물의 반응 등을 선별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도 5에는 도 4의 과정을 거쳐 설정된 관찰 영역에서 반려 동물의 반응에 따른 처리 과정이 나타나 있다.
모니터링 서버(100)는 기 지정된 관찰 영역에서의 반려 동물의 움직임이 감지되면(단계 S21), 그 관찰 영역의 목적에 매칭된 조건을 추출한다(단계 S23).
예를 들어 그 관찰 영역의 목적이 '식사 관찰 목적'인 경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머무름 및 식사 소리 감지'가 그 조건일 수 있다.
이어서 모니터링 서버(100)는 반려 동물의 반응(즉, 움직임 등)이 그 추출된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단계 S25), 대응되는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고(단계 S27), 사용자 단말기(300)에 전송한다(단계 S29).
이에 따라 반려 동물이 급식용 사료 그릇(502)이 있는 위치 머물면서 사료를 먹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300)에는 반려 동물이 식사 중이라는 메시지가 표시될 수 있다(단계 S31).
물론 모니터링 서버(100)가 촬영 영상을 함께 전송하는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기(300)에는 반려 동물이 먹이를 먹는 영상이 함께 표시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촬영 카메라(200)에 의해 촬영된 동영상이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서버(100)에 전달되는 것을 일 예로 하고 있으나, 동영상 촬영과 스틸컷 촬영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여기서 스틸컷 촬영은 동영상 촬영과 같이 지속적인 영상을 촬영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시점의 특정 장면만을 촬영한 것을 의미한다.
즉, 촬영 카메라(200)는 기 설정된 시간 간격(예를 들어 1초)마다 스틸컷 촬영 이미지를 모니터링 서버(100)에 전송하고, 모니터링 서버(100)는 촬영 카메라(200)로부터 수신된 스틸컷 촬영 이미지를 그 이전 이미지와 비교하여 관찰 영역에서의 반려 동물의 반응(즉, 움직임 등)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 반려 동물의 반응이 발생한 경우 촬영 카메라(200)에 동영상 촬영 모드로 전환할 것을 요청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요청에 따라 촬영 카메라(200)는 동영상 촬영 모드로 전환하여 동영상 촬영 영상을 모니터링 서버(100)에 전송하게 된다.
이에 따라 불필요한 동영상 전송에 따른 트래픽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6은 이미 설정된 관찰 영역이 동적으로 갱신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모니터링 서버(100)는 관찰 영역을 등록할 때 그 관찰 영역 내의 고정 피사체(예를 들어 급식용 사료 그릇(502) 등)를 확인 및 함께 등록한다(단계 S51).
이러한 고정 피사체에 대한 판단은 사용자가 고정 피사체 외곽을 지정함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고정 피사체 사진을 미리 등록한 경우 그 미리 등록된 고정 피사체 사진과 관찰 영역 내의 이미지에 대한 비교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이후 모니터링 서버(100)는 고정 피사체를 별도의 객체로 인식하여 그 이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단계 S53).
따라서 고정 피사체가 이동하였다고 판단하는 경우 모니터링 서버(100)는 그 고정 피사체가 이동된 위치를 기초로 관찰 영역을 자동으로 재설정할 수 있다(단계 S55).
상술한 바와 같이 관찰 영역 내의 고정 피사체는 미리 별도의 객체로써 인식한 후 그 이동 여부가 판단될 수도 있지만, 별도의 객체로써의 인식이 없는 상태라 하더라도 관찰 영역내의 촬영 영상에 대한 단순 비교를 통해 고정 피사체의 이동 여부를 판단할 수 있음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촬영 카메라(200)와 모니터링 서버(100)가 서로 구별되는 것을 일 예로 하였으나, 촬영 카메라(200)와 모니터링 서버(100)가 일체화된 형태로 댁내에 구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술한 각 실시예를 수행하는 과정은 소정의 기록 매체(예를 들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에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기록 매체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전자적 기록 매체, 하드 디스크와 같은 자기적 기록 매체, CD(Compact Disk)와 같은 광학적 기록 매체 등을 모두 포함한다.
이때,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은 컴퓨터나 스마트폰 등과 같은 하드웨어 상에서 실행되어 상술한 각 실시예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링 서버의 기능 블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이러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면 본 발명에 포함된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200 : 촬영 카메라(200) 100 : 모니터링 서버
300 : 사용자 단말기 400 : 댁내 제어 장치
110 : 저장부 120 : 관찰 영역 등록부
130 : 반응 감지부 140 : 특별 이벤트 관리부
150 : 이동 판단부 160 : 제어부
170 : 사용자 입력부

Claims (12)

  1. 반려 동물의 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모니터링하는 반려 동물 모니터링 장치가 수행하는 제어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로부터 상기 촬영 영상 중 서로 다른 복수 개의 목적에 각각 대응되는 관찰 영역에 대한 지정이 있는 경우, 각 관찰 영역을 그 대응되는 목적에 매칭시켜 등록하는 단계와;
    (b) 상기 관찰 영역에서 상기 반려 동물의 반응이 감지되면 해당 반려 동물의 반응이 감지된 관찰 영역의 목적에 대응되는 특별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관찰 영역에 포함된 고정 피사체의 이동을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관찰 영역에 포함된 고정 피사체가 이동하는 경우 그 이동된 위치를 기초로 관찰 영역을 자동으로 재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 동물 모니터링 장치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각 목적에 대응되는 조건이 등록되어 있는 경우,
    상기 (b) 단계는,
    (b1) 특정 관찰 영역에서 상기 반려 동물의 반응이 감지되면 그 특정 관찰 영역의 목적에 대응되는 조건과 해당 반려 동물의 반응을 비교하는 단계와;
    (b2) 상기 (b1) 단계의 비교 결과 상기 특정 관찰 영역에서의 상기 반려 동물의 반응이 해당 특정 관찰 영역의 목적에 대응되는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 상기 특별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 동물 모니터링 장치의 제어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생성하는 특별 이벤트 정보는 해당 반려 동물의 반응을 촬영한 촬영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 동물 모니터링 장치의 제어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는, 상기 관찰 영역에서 상기 반려 동물의 움직임이 감지됨과 아울러 상기 반려 동물의 울음 소리가 기 설정된 회수 이상 감지된 경우에 상기 특별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 동물 모니터링 장치의 제어방법.
  5. 삭제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7.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
  8. 반려 동물의 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모니터링하는 반려 동물 모니터링 장치에 있어서,
    저장부와;
    사용자로부터 상기 촬영 영상 중 서로 다른 복수 개의 목적에 각각 대응되는 관찰 영역에 대한 지정이 있는 경우, 각 관찰 영역을 그 대응되는 목적에 매칭시켜 상기 저장부에 저장 등록하는 관찰 영역 등록부와;
    상기 관찰 영역에서 상기 반려 동물의 반응을 감지하는 반응 감지부와;
    상기 반응 감지부에서 상기 반려 동물의 반응이 감지된 경우, 해당 반응이 감지된 관찰 영역의 목적에 대응되는 특별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특별 이벤트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찰 영역에 포함된 고정 피사체의 이동을 판단하는 이동 판단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찰 영역 등록부는 상기 관찰 영역에 포함된 고정 피사체가 이동한 경우 그 이동된 위치를 기초로 관찰 영역을 자동으로 재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 동물 모니터링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에는 각 목적에 대응되는 조건이 등록되어 있고,
    상기 특별 이벤트 관리부는 특정 관찰 영역에서 상기 반려 동물의 반응이 감지된 경우 그 특정 관찰 영역의 목적에 대응되는 조건과 해당 반려 동물의 반응을 비교하고, 그 비교 결과 상기 특정 관찰 영역에서의 상기 반려 동물의 반응이 해당 특정 관찰 영역의 목적에 대응되는 조건에 부합하는 경우 상기 특별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 동물 모니터링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특별 이벤트 관리부가 생성하는 특별 이벤트 정보는 해당 반려 동물의 반응을 촬영한 촬영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 동물 모니터링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특별 이벤트 관리부는 상기 관찰 영역에서 상기 반려 동물의 움직임이 감지됨과 아울러 상기 반려 동물의 울음 소리가 기 설정된 회수 이상 감지된 경우에 상기 특별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 동물 모니터링 장치.
  12. 삭제
KR1020190051897A 2019-05-03 2019-05-03 반려 동물 모니터링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2283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1897A KR102228350B1 (ko) 2019-05-03 2019-05-03 반려 동물 모니터링을 위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1897A KR102228350B1 (ko) 2019-05-03 2019-05-03 반려 동물 모니터링을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7544A KR20200127544A (ko) 2020-11-11
KR102228350B1 true KR102228350B1 (ko) 2021-03-16

Family

ID=734517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1897A KR102228350B1 (ko) 2019-05-03 2019-05-03 반려 동물 모니터링을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83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6333B1 (ko) * 2022-02-28 2023-05-30 주식회사 써니웨이브텍 개용 인터랙티브 표시 시스템, 이의 동작 방법 및 개용 인터랙티브 표시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31254A1 (en) * 2000-11-24 2004-07-08 Yiqing Liang System and method for object identification and behavior characterization using video analysis
KR101413043B1 (ko) * 2013-11-14 2014-07-14 신태식 실시간 양방향 통신을 이용한 애완 동물 보호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5191A (ko) * 1999-02-04 2000-09-05 이중구 고정된 시야내에서 촬영 범위가 가변되도록 하는 카메라 및 그 방법
KR101168129B1 (ko) 2010-12-30 2012-07-24 재 훈 장 반사체를 이용한 보안구역의 경보시스템
KR102644782B1 (ko) * 2016-07-25 2024-03-07 한화비전 주식회사 모니터링 장치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31254A1 (en) * 2000-11-24 2004-07-08 Yiqing Liang System and method for object identification and behavior characterization using video analysis
KR101413043B1 (ko) * 2013-11-14 2014-07-14 신태식 실시간 양방향 통신을 이용한 애완 동물 보호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7544A (ko) 2020-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2284B1 (ko) 경보 방법 및 장치
US10555393B1 (en) Face recognition systems with external stimulus
KR101825045B1 (ko) 경보 방법 및 장치
US10789485B2 (en) Guardian system in a network to improve situational awareness at an incident
JP6229656B2 (ja) 制御装置および記憶媒体
CN103297749B (zh) 现场操作员和移动操作员之间点播视频交换的系统和方法
KR101328246B1 (ko) 이동 객체 자동 추적 시스템과 그 방법
US11228736B2 (en) Guardian system in a network to improve situational awareness at an incident
US20170347068A1 (en) Image outputting apparatus, image outputt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US10417884B2 (en) Method and system for incident sharing in a monitoring system
US11563888B2 (en) Image obtaining and processing apparatus including beacon sensor
JP2016214173A (ja) ペット見守りシステム及びペット見守り方法
CN113628404A (zh) 一种减少无效告警的方法及装置
EP346273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irectly accessing video data streams and data between devices in a video surveillance system
US20120280826A1 (en) Management apparatus for managing a content display change time on a display apparatus and content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a terminal
KR102238322B1 (ko) 반려 동물 모니터링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50041939A (ko) 실시간 이벤트 감지를 통한 도어 감시시스템 및 그 방법
JP3942606B2 (ja) 変化検出装置
KR102228350B1 (ko) 반려 동물 모니터링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200139987A (ko) Ess 침입자 및 화재 감지 장치 및 방법
WO2014026901A1 (en) Method for provisioning a person with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n event
JP2002230654A (ja) 遠隔監視システム
JP2017111506A (ja) 見守りシステム
KR102567011B1 (ko) 메타 데이터 기반의 이벤트 알림 시스템, 방법 및 어플리케이션
US11417214B2 (en) Vehicle to vehicle secur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