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8027B1 - 비말 차단장치 - Google Patents

비말 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8027B1
KR102228027B1 KR1020200053730A KR20200053730A KR102228027B1 KR 102228027 B1 KR102228027 B1 KR 102228027B1 KR 1020200053730 A KR1020200053730 A KR 1020200053730A KR 20200053730 A KR20200053730 A KR 20200053730A KR 102228027 B1 KR102228027 B1 KR 1022280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ing film
winding
support
blocking devic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3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현
Original Assignee
박정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현 filed Critical 박정현
Priority to KR1020200053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80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8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80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53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panels and support posts, extending from floor to ceiling
    • E04B2/745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panels and support posts, extending from floor to ceiling with wallboards attached to the outer faces of the posts, parallel to the part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002/7479Details of connection of flexible sheets to frame or po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말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조물의 바닥과 천장 간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지지대(10); 투명 소재로 되어 상기 지지대(10)에 고정되면서 소정 형상의 가림벽이 형성되게 하여 가림벽 내에 위치하는 강연자의 비말이 가림벽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차단하는 가림막(20); 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편하게 설치 가능한 다수의 지지대(10)를 이용해 투명 소재로 된 가림막(20을 설치함으로써 강연자의 의사 전달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면서도 강연자의 비말이 청중에서 직접 비산되는 것을 차단하여 비말 감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비말 차단장치{saliva spray blocking device}
본 발명은 비말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간편하게 설치 가능한 다수의 지지대를 이용해 투명 소재로 된 가림막을 설치함으로써 강연자의 의사 전달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면서도 강연자의 비말이 청중에서 직접 비산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한 비말 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비말의 사전적 의미는 날아 흩어지거나 튀어 오르는 물방울을 말하며, 사람이 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 코나 입에서 배출되는 콧물이나 침 등의 작은 물방울도 비말이라 한다.
비말의 크기는 일반적으로 5마이크로미터 이상이며, 보통 사람들은 기침을 한 번 할 때 한 번에 약 3,000여 개의 비말이 전방 2m까지 날려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최근 독감, 메르스, 백일해, 코로나 19 등 각종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의 집단 감염 사례가 빈번히 발생하면서, 비말 감염에 의한 전염에 대한 주의가 특히 요구되고 있다.
비말 감염이란 감염 바이러스를 가지고 있는 감염자가 기침이나 재채기 등을 할 때 발생한 비말에 바이러스나 세균이 섞여 나오게 되어 그 비말이 타인의 입이나 코로 직접 들어가 감염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비말 감염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밀폐된 공간에서 감염 바이러스를 가지고 있는 감염자와 함께 있지 않는 것이 중요하며, 불가피하게 감염자와 같은 공간 내에 있어야 하는 경우에는 감염자와 최소 2m 이상의 거리를 유지하는 것이 감염자의 비말에 의한 감염을 방지하는 데 효과적이다.
한편, 비말을 차단하는 물리적 방법으로 마스크가 주로 이용되는데, 학교나 학원, 종교시설 등과 같이 다수의 사람을 대상으로 강연자가 강의나 강연, 연설 등을 해야 하는 경우에, 강연자가 마스크를 착용하게 되면 발음이 부정확하거나, 목소리가 너무 작게 들리면서 청중에게 정확한 의사 전달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강연자는 마스크 착용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강연자의 의사 전달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면서도 강연자의 비말이 청중에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1091928호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간편하게 설치 가능한 다수의 지지대를 이용해 투명 소재로 된 가림막을 설치함으로써 강연자의 의사 전달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면서도 강연자의 비말이 청중에서 직접 비산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한 비말 차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투명 소재로 된 가림막의 자동 권취가 가능케 하여 투명 소재로 된 가림막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펼치거나, 보관할 수 있게 한 비말 차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높이 조절이 가능한 불투명한 보조가림막을 더 구비하여 강연자의 프라이버시를 선택적으로 보호할 수 있게 한 비말 차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비말 차단장치는,
구조물의 바닥과 천장 간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지지대(10);
투명 소재로 되어 상기 지지대(10)에 고정되면서 소정 형상의 가림벽이 형성되게 하여 가림벽 내에 위치하는 강연자의 비말이 가림벽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차단하는 가림막(20); 을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지지대(10)는,
소정 길이의 상부관(102);
상기 상부관(102)의 하부에서 상부관(102) 내부로 삽입 가능케 설치되는 하부관(103);
상기 상부관(102)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상부관(102) 내부로 삽입되는 하부관(103)을 고정하는 고정수단(104); 을 포함하여 지지대(10) 전체의 길이 조절이 가능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가림막(20)은,
양단부에 탈부착수단(201)을 더 구비하여 지지대(10)에 탈부착 가능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가림막(20)은,
하단부에서 수직으로 소정 길이만큼 절개되되, 절개부의 양측에 부착수단(202a)이 더 구비되어 선택적인 개폐가 가능케 한 절개출입부(202)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지지대(10)에는 상기 가림막(20)을 자동 권취하는 제1권취부(30)가 세로 방향으로 설치되되,
상기 제1권취부(30)는,
내부에 수용부가 형성되고, 일측에 배출공(301a)이 형성된 제1케이스(301);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해 회전력이 발생하도록 제1케이스(301) 내부에 설치된 제1권취봉(302);
상기 제1권취봉(302)에 일단부가 고정된 가림막(20)의 타단부에 설치되어 제1권취봉(302)에 의해 자동 권취되는 가림막(20)을 배출공(301a)을 통해 제1케이스(301) 외부로 당겨내기 위한 제1파지부(303);
제1케이스(301) 외면에 방사형으로 설치되어 또 다른 지지대(10)에 설치된 제1권취부(30)의 제1파지부(303)를 고정하는 제1고정부(30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지지대(10)에는 가이드레일(105)이 더 구비되고,
소정 간격으로 대칭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대(10) 사이에는 불투명 소재로 된 보조가림막(401)을 자동 권취하는 제2권취부(40)가 가로 방향으로 설치되되,
상기 제2권취부(40)는,
내부에 수용부가 형성되고, 일측에 배출공(301a)이 형성된 제2케이스(402);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해 회전력이 발생하도록 제2케이스(402) 내부에 설치된 제2권취봉(403);
상기 제2권취봉(403)에 일단부가 고정된 보조가림막(401)의 타단부에 설치되어 제2권취봉(403)에 의해 자동 권취되는 보조가림막(401)을 배출공(301a)을 통해 제2케이스(402) 외부로 당겨내기 위한 제2파지부(404);
상기 제2파지부(404)의 양단부에 대칭으로 설치되어 지지대(10)에 형성된 가이드레일(105)을 따라 이동 가능케 설치된 제2파지부(404)가 일정 위치에 고정되도록 고정력을 발휘하는 제2고정부(405);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2고정부(405)는,
상기 제2파지부(404)의 일단부에서 전후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가이드레일(105)의 내면에 밀착되는 안내돌부(405a);
상기 파지부의 일단부에 회동 가능케 힌지 결합되어 가이드레일(105)의 내부에서 고정력이 발휘되는 고정편(405b);
상기 파지부의 일면과 고정편(405b)의 일면 간에 탄설되어 고정편(405b)이 고정력을 발휘하기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405c);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편하게 설치 가능한 다수의 지지대를 이용해 투명 소재로 된 가림막을 설치함으로써 강연자의 의사 전달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면서도 강연자의 비말이 청중에서 직접 비산되는 것을 차단하여 비말 감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투명 소재로 된 가림막의 자동 권취가 가능케 하여 투명 소재로 된 가림막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펼치거나, 보관할 수 있게 됨으로써 투명 소재로 된 가림막의 선택적인 사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사용 편의성 및 취급, 보관의 용이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높이 조절이 가능한 불투명한 보조가림막을 더 구비함으로써 강연자의 프라이버시를 선택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비말 차단장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비말 차단장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평면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비말 차단장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비말 차단장치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지지대를 나타낸 측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비말 차단장치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탈부착수단을 나타낸 평면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비말 차단장치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절개출입부를 나타낸 측면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비말 차단장치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제1권취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비말 차단장치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제1권취부의 사용 상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비말 차단장치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제2권취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비말 차단장치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제2고정부 평면 확대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비말 차단장치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제2고정부 정면 확대 단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이나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 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 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비말 차단장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비말 차단장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평면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비말 차단장치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사용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비말 차단장치는 간편하게 설치 가능한 다수의 지지대(10)를 이용해 투명 소재로 된 가림막(20)을 설치함으로써 강연자의 의사 전달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면서도 강연자의 비말이 청중에서 직접 비산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지지대(10), 가림막(20)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대(10)는 소정 직경의 관체로 되어 구조물의 바닥과 천장 간에 수직으로 설치된다.
즉, 실내 또는 실외 구조물의 바닥과 천장 간에 지지대(10)를 설치하되, 지지대(10)의 상단부는 천장에 고정하고, 지지대(10)의 하단부는 바닥에 고정하기 위하여 앵글 형태로 된 설치브래킷(101)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한편, 지지대(10)와 가림막(20)을 이용하여 별도의 구획된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서 지지대(10)는 적어도 2개 이상, 더 바람직하게는 4개를 가로세로 소정 간격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림막(20)은 플라스틱 필름과 같은 연질의 투명 소재로 되어 다수의 지지대(10)를 한꺼번에 감싸는 형태로 고정되거나, 플라스틱 판재 또는 유리 등과 같은 경질의 투명 소재로 되어 다수의 지지대(10)에 한 면씩 고정되는 형태로 설치됨으로써 가림벽이 형성된다.
이때, 가림막(20)의 높이는 한정하지 않으나, 원활한 공기 소통 및 음성(소리)의 정확한 전달을 위하여 가림막(20)의 하단부는 바닥면에서 5 내지 30㎝의 간격을 유지하고, 가림막(20)의 상단부는 천장에서 5 내지 30㎝의 간격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림막(20)을 지지대(10)에 고정하는 수단은 가람막(20)이 지지대(1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어떠한 수단이든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가림막(20)의 내측에 강연자가 위치하고, 가림막(20)의 외측에 청중이 위치한 상태에서 강연자가 강연을 하는 도중에 강연자의 입이나 코에서 비말이 비산되더라도 투명한 가림막(20)에 의해 강연자의 비말이 청중에게 직접 비산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비말에 의한 감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비말 차단장치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지지대를 나타낸 측면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 예와 중복되는 구성 및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지지대(10)는 길이 조절이 가능케 상부관(102), 하부관(103), 고정수단(10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관(102)은 소정 길이의 관체로 형성된다.
상기 하부관(103)은 상단부가 상부관(102)의 하부에서 상부관(102) 내부로 삽입 가능하도록 상부관(102)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는 소정 길이의 관체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수단(104)은 상부관(102)의 하단부에 설치됨으로써 상부관(102) 내부로 삽입되는 하부관(103)의 외주면에 마찰력을 가하여 하부관(103)의 위치를 고정함으로써 상부관(102) 내부로 삽입되는 하부관(103)의 길이 조절을 통해 지지대(10) 전체의 길이 조절이 가능케 된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수단(104)은 상부관(102)의 주벽을 관통하게 나사 결합되는 고정볼트를 사용함으로써 고정볼트를 조이면 주벽을 관통한 고정볼트의 몸통부가 하부관(103)의 외주면을 가압함으로써 하부관(103)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지지대(10)의 길이 조절을 통해 바닥과 천장 간의 거리가 균일하지 않은 구조물에서도 지지대(10)의 설치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바닥과 천장 간의 거리가 서로 다른 실내 또는 실외 등 다양한 구조물(건축물의 실내, 실외 등)에 설치가 가능케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비말 차단장치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탈부착수단을 나타낸 평면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 예와 중복되는 구성 및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가림막(20)은 양단부에 탈부착수단(201)을 더 구비하여 지지대(10)에 탈부착 가능케 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탈부착수단(201)은 벨크로테잎, 마그네틱, 스냅단추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탈부착수단(201)에 의해 가림막(20)의 설치가 신속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간편한 탈부착이 가능하기 때문에 가람막(20)의 설치 후 가람막(20)에 의해 형성된 가림벽의 안팎으로 강연자가 오갈 때, 지지대(10)에 부착된 가람막(20)의 탈부착을 통해 간편한 통행(출입)이 가능케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비말 차단장치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절개출입부를 나타낸 측면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 예와 중복되는 구성 및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가림막(20)은 선택적인 개폐가 가능케 한 절개출입부(202)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절개출입부(202)는 가림막(20)의 하단부에서 수직으로 소정 길이만큼 절개 형성되되, 절개부의 양측에 부착수단(202a)이 더 구비되어 양측의 부착수단(202a) 간에 선택적인 부착이 가능케 함으로써 부착수단을 분리를 통해 절개출입부(202)의 개방이 가능케 되고, 부착수단의 부착을 통해 절개출입부(202)의 폐쇄가 가능케 된다.
따라서 강연자가 가림막(20)의 내외부로 출입할 때, 절개출입부(202)를 통해 용이한 출입이 가능케 되며, 강연자가 가람막(20) 내측에서 강연할 때에는 부착수단(202a)이 상호 부착되어 가림막(20)이 폐쇄됨으로써 강연자의 강연 중 강연자의 비말이 가림막(20) 외부로 직접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비말 차단장치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제1권취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비말 차단장치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제1권취부의 사용 상태 예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 예와 중복되는 구성 및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지지대(10)는 가림막(20)을 자동 권취하는 제1권취부(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지지대(10)에 세로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1권취부(30)는 가림막(20)을 자동으로 권취하고 원하는 길이만큼 인출이 가능하도록 제1케이스(301), 제1권취봉(302), 제1파지부(303), 제1고정부(304)를 포함한다.
상기 제1케이스(301)는 소정 직경의 통체로 되되, 권취된 가림막(20)이 수용되는 수용부가 내부에 형성되고, 주벽의 일측에는 수용부에 수용된 가림막(20)이 배출되는 배출공(301a)이 형성된다.
상기 제1권취봉(302)은 제1케이스(301) 내부에 회전 가능케 설치되되, 제1케이스(301)의 내면과 제1권취봉(302) 간에는 태엽스프링이 설치됨으로써 태엽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제1권취봉(302)은 일측 방향으로 회전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제1권취봉(302)에는 가림막(20)의 일단부가 고정됨으로써 태엽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제1권취봉(302)이 회전하면 가림막(20)이 제1권취봉(302)에 자동 권취된다.
상기 제1파지부(303)는 제1권취봉(302)에 일단부가 고정된 가림막(20)의 타단부에 설치됨으로써 제1파지부(303)가 제1케이스(301)와 멀어지게 당기면, 제1권취봉(302)에 의해 자동 권취되는 가림막(20)이 제1파지부(303)를 당긴 거리만큼 제1케이스(301)의 배출공(301a)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제1파지부(303)에는 마그네틱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상기 제1고정부(304)는 제1케이스(301) 외면에 방사형으로 설치되어 또 다른 지지대(10)에 설치된 제1권취부(30)의 제1파지부(303)를 고정한다.
이때, 제1고정부(304)는 제1파지부(303)의 마그네틱이 자력에 의해 부착되는 금속재로 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그리하여 제1권취부(30)를 구비한 지지대(10)를 가로세로 소정 간격으로 설치한 후, 각 지지대(10)의 제1권취부(30)에 구비된 제1파지부(303)를 당겨내어 인접한 다른 지지대(10)의 제1고정부(304)에 부착하면, 제1파지부(303)에 의해 제1케이스(301)에서 인출된 가림막(20)이 가림벽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제1권취부(30)가 구비된 다수의 지지대(10)를 이용하여 다양한 면적과 다양한 공간 형태로 투명한 가림벽을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동 및 설치가 용이하고, 사용하지 않은 가림막(20)은 권취하여 간편하고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비말 차단장치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제2권취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비말 차단장치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제2고정부 평면 확대 단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비말 차단장치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제2고정부 정면 확대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 예와 중복되는 구성 및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 실시 예에서 본 발명의 비말 차단장치는 연질의 불투명한 필름 소재로 된 보조가림막(401)을 자동 권취하는 제2권취부(4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대(10)에는 가이드레일(105)이 더 구비되고, 소정 간격으로 대칭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대(10) 사이에는 불투명 소재로 된 보조가림막(401)을 자동 권취하는 제2권취부(40)가 가로 방향으로 설치된다.
대칭으로 설치된 지지대(10) 사이에 가로 방향으로 설치되는 제2권취부(40)는 보조가림막(401)의 자동 권취가 가능함과 동시에 원하는 높이로 보조가림막(401)을 올려 사용할 수 있도록 제2케이스(402), 제2권취봉(403), 제2파지부(404), 제2고정부(405)를 포함한다.
상기 제2케이스(402)는 소정 직경의 통체로 되되, 권취된 보조가림막(401)이 수용되는 수용부가 내부에 형성되고, 주벽의 일측에는 수용부에 수용된 보조가림막(401)이 배출되는 배출공(301a)이 형성된다.
상기 제2권취봉(403)은 제2케이스(402) 내부에 회전 가능케 설치되되, 제2케이스(402)의 내면과 제2권취봉(403) 간에는 태엽스프링이 설치됨으로써 태엽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제2권취봉(403)은 일측 방향으로 회전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제2권취봉(403)에는 보조가림막(401)의 일단부가 고정됨으로써 태엽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제2권취봉(403)이 회전하면 가림막(20)이 제2권취봉(403)에 자동 권취된다.
상기 제2파지부(404)는 제2권취봉(403)에 일단부가 고정된 보조가림막(401)의 타단부에 설치됨으로써 제2파지부(404)가 제2케이스(402)와 멀어지게 당기면, 제2권취봉(403)에 의해 자동 권취되는 보조가림막(401)이 제2파지부(404)를 당긴 거리만큼 제2케이스(402)의 배출공(301a)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제2고정부(405)는 제2파지부(404)의 양단부에 대칭으로 설치되어 지지대(10)에 형성된 가이드레일(105)을 따라 이동 가능케 설치된 제2파지부(404)가 일정 위치에 고정되도록 안내돌부(405a), 고정편(405b), 탄성부재(405c)를 포함한다.
상기 안내돌부(405a)는 제2파지부(404)의 일단부에서 전후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가이드레일(105)의 내면에 밀착됨으로써 제2파지부(404)가 가이드레일(105)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때 원활한 이동이 가능케 된다.
상기 고정편(405b)은 제2파지부(404)의 일단부 상면에 회동 가능케 힌지 결합되며, 외측 단부가 가이드레일(105)의 내면과 밀착되면서 마찰력이 작용하여 파지부의 위치가 고정되게 한다.
따라서 고정편(405b)의 외측 단부 또는 가이드레일(105)의 내면에는 마찰력을 높일 수 있는 마찰부재를 더 구비하거나, 가이드레일(105)의 내면에는 래치형 걸림치부를 형성하여 고정편(405b)의 외측 단부가 걸림치부에 걸리면서 고정되게 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두는 바이다.
상기 탄성부재(405c)는 제2파지부(404)의 일면과 고정편(405b)의 일면 간에 탄설되어 고정편(405b)이 고정력을 발휘하기 위한 탄성력을 제공한다.
그리하여 가이드레일(105)이 구비되어 대칭으로 설치된 지지대(10) 사이에 제2권취부(40)를 설치한 후, 제2권취부(40)에 구비된 제2파지부(404)를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로 당겨 올리면, 제2파지부(404)를 당겨 올린 만큼 제2케이스(402)에서 불투명한 보조가림막(401)이 인출되어 펼쳐지게 된다.
또한, 필요한 높이로 제2파지부(404)를 당겨 올린 후, 제2파지부(404)를 당겨 올리는 힘을 해제하면, 제2권취부(40)에 구비된 제2권취봉(403)에 작용하는 태엽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제2권취봉(403)이 회전하면서 보조가림막(401)이 하방으로 당겨지게 된다.
이때, 탄성부재(405c)의 탄성력이 작용하는 고정편(405b)의 외측 단부가 가이드레일(105)의 내면과 긴밀하게 밀착되면서 마찰력이 작용하여 고정됨으로써 제2파지부(404)의 위치가 고정되고 그로 인해 보조가림막(401)을 원하는 높이까지 펼칠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자(강연자)의 필요에 따라 보조가림막(401)을 펼쳐 사용자의 신체를 원하는 만큼 가릴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프라이버시 보호가 가능케 된다.
한편, 고정된 제2파지부(404)를 내릴 때는 제2파지부(404)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고정편(405b)의 내측 단부를 하방으로 가압하면 제2파지부(404)에 힌지 결합된 고정편(405b)의 외측 단부가 가이드레일(105)의 내면과 이격되면서 마찰력에 의한 고정력이 해소됨에 따라 제2파지부(404)를 원하는 높이로 내릴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지지대 101: 설치브래킷
102: 상부관 103: 하부관
104: 고정수단 105: 가이드레일
20: 가림막 201: 탈부착수단
202: 절개출입부 30: 제1권취부
301: 제1케이스 301a: 배출공
302: 제1권취봉 303: 제1파지부
304: 제1고정부 40: 제2권취부
401: 보조가림막 402: 제2케이스
402a: 배출공 403: 제2권취봉
404: 제2파지부 405: 제2고정부
405a: 안내돌부 405b: 고정편
405c: 탄성부재

Claims (6)

  1. 구조물의 바닥과 천장 간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지지대(10);
    투명 소재로 되어 상기 지지대(10)에 고정되면서 소정 형상의 가림벽이 형성되게 하여 가림벽 내에 위치하는 강연자의 비말이 가림벽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차단하는 가림막(20); 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10)에는 가이드레일(105)이 더 구비되고,
    소정 간격으로 대칭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대(10) 사이에는 불투명 소재로 된 보조가림막(401)을 자동 권취하는 제2권취부(40)가 가로 방향으로 설치되되,
    상기 제2권취부(40)는,
    내부에 수용부가 형성되고, 일측에 배출공(301a)이 형성된 제2케이스(402);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해 회전력이 발생하도록 제2케이스(402) 내부에 설치된 제2권취봉(403);
    상기 제2권취봉(403)에 일단부가 고정된 보조가림막(401)의 타단부에 설치되어 제2권취봉(403)에 의해 자동 권취되는 보조가림막(401)을 배출공(301a)을 통해 제2케이스(402) 외부로 당겨내기 위한 제2파지부(404);
    상기 제2파지부(404)의 양단부에 대칭으로 설치되어 지지대(10)에 형성된 가이드레일(105)을 따라 이동 가능케 설치된 제2파지부(404)가 일정 위치에 고정되도록 고정력을 발휘하는 제2고정부(405);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말 차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0)는,
    소정 길이의 상부관(102);
    상기 상부관(102)의 하부에서 상부관(102) 내부로 삽입 가능케 설치되는 하부관(103);
    상기 상부관(102)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상부관(102) 내부로 삽입되는 하부관(103)을 고정하는 고정수단(104); 을 포함하여 지지대(10) 전체의 길이 조절이 가능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말 차단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막(20)은,
    양단부에 탈부착수단(201)을 더 구비하여 지지대(10)에 탈부착 가능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말 차단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막(20)은,
    하단부에서 수직으로 소정 길이만큼 절개되되, 절개부의 양측에 부착수단(202a)이 더 구비되어 선택적인 개폐가 가능케 한 절개출입부(202)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말 차단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0)에는 상기 가림막(20)을 자동 권취하는 제1권취부(30)가 세로 방향으로 설치되되,
    상기 제1권취부(30)는,
    내부에 수용부가 형성되고, 일측에 배출공(301a)이 형성된 제1케이스(301);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해 회전력이 발생하도록 제1케이스(301) 내부에 설치된 제1권취봉(302);
    상기 제1권취봉(302)에 일단부가 고정된 가림막(20)의 타단부에 설치되어 제1권취봉(302)에 의해 자동 권취되는 가림막(20)을 배출공(301a)을 통해 제1케이스(301) 외부로 당겨내기 위한 제1파지부(303);
    제1케이스(301) 외면에 방사형으로 설치되어 또 다른 지지대(10)에 설치된 제1권취부(30)의 제1파지부(303)를 고정하는 제1고정부(30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말 차단장치.
  6. 삭제
KR1020200053730A 2020-05-06 2020-05-06 비말 차단장치 KR1022280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3730A KR102228027B1 (ko) 2020-05-06 2020-05-06 비말 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3730A KR102228027B1 (ko) 2020-05-06 2020-05-06 비말 차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8027B1 true KR102228027B1 (ko) 2021-03-12

Family

ID=75177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3730A KR102228027B1 (ko) 2020-05-06 2020-05-06 비말 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802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2768B1 (ko) 2021-04-13 2021-09-14 박종성 개인용 공기정화장치
KR20230000219U (ko) 2021-07-20 2023-01-27 김도균 이동식 휴대용 가림막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78689A (ja) * 2004-03-26 2005-10-13 Iris Ohyama Inc パネル取付具及び該パネル取付具を用いた間仕切り
KR101091928B1 (ko) 2010-02-11 2011-12-08 (주)유영지앤아이 위생 마스크
JP2018100805A (ja) * 2016-12-21 2018-06-28 株式会社サンロード 簡易クリーンブース
KR20180072032A (ko) * 2016-12-20 2018-06-29 주식회사 참빛팩토리 염화칼슘 피해 방지를 위한 자동 가로수 가림막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78689A (ja) * 2004-03-26 2005-10-13 Iris Ohyama Inc パネル取付具及び該パネル取付具を用いた間仕切り
KR101091928B1 (ko) 2010-02-11 2011-12-08 (주)유영지앤아이 위생 마스크
KR20180072032A (ko) * 2016-12-20 2018-06-29 주식회사 참빛팩토리 염화칼슘 피해 방지를 위한 자동 가로수 가림막
JP2018100805A (ja) * 2016-12-21 2018-06-28 株式会社サンロード 簡易クリーンブース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2768B1 (ko) 2021-04-13 2021-09-14 박종성 개인용 공기정화장치
KR20230000219U (ko) 2021-07-20 2023-01-27 김도균 이동식 휴대용 가림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8027B1 (ko) 비말 차단장치
US5336896A (en) Cellular telephone users protective device
DE50111169D1 (de) Atemmaske mit einer Stirnstütze
MY128803A (en) Compact optical system and packaging for head mounted display
FR2784588B1 (fr) Casque de protection et son dispositif d'accrochage de masque respiratoire
KR101866294B1 (ko) 방충망과 미세망 겸용 방충장치
JP2004508583A (ja) プロジェクションユニット
KR102317114B1 (ko) 위생 가림판
KR102300871B1 (ko) 휴대용 도어 개방 유지 장치
KR102106799B1 (ko) 자연환기기능을 구비한 소음 저감 장치
DE60010158D1 (de) Netzanordnung
KR102321697B1 (ko) 3방향으로의 위치 조정 자유도를 가지는 휴대 단말 거치 장치
KR101910064B1 (ko) 블림프 구조를 갖는 마이크
JP2016125225A (ja) 日射遮蔽装置
CN217130811U (zh) 一种智能化教务管理系统
KR200363450Y1 (ko) 방충망의 양측단 지지구조
CN217181784U (zh) 一种电梯间多媒体展示设备
KR102308539B1 (ko) 방충망과 미세먼지차단망을 포함하는 창틀
CN216527337U (zh) 一种基于大数据分析的校园食堂管理装置
KR102570840B1 (ko) 방연 마스크 키트
CN219997455U (zh) 一种便于安装拆卸的遮光片
CN213450467U (zh) 一种矿井通风加热装置
CN214045916U (zh) 一种零售无人结算通道自助设备普通扬声器保护隔离装置
CN210428875U (zh) 一种教学用具有位置移动功能的教学视频投影仪
CN115559658A (zh) 一种民用建筑用设有防虫结构的纱窗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