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8001B1 - 윈도우 글라스 제어 장치와 윈도우 글라스 제어 장치가 설치된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윈도우 글라스 제어 장치와 윈도우 글라스 제어 장치가 설치된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8001B1
KR102228001B1 KR1020150172059A KR20150172059A KR102228001B1 KR 102228001 B1 KR102228001 B1 KR 102228001B1 KR 1020150172059 A KR1020150172059 A KR 1020150172059A KR 20150172059 A KR20150172059 A KR 20150172059A KR 102228001 B1 KR102228001 B1 KR 1022280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glass
signal
vehicle
generating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2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5828A (ko
Inventor
양희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72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8001B1/ko
Publication of KR20170065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58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8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80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8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01Upper door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 E05F15/689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vertic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dows
    • E05F15/695Control circui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20Electronic control of 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or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10Electronic control
    • E05Y2400/44Sensors therefo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ing
    • E05Y2900/55Windows

Abstract

본 발명은 윈도우 글라스 제어 장치 및 윈도우 글라스 제어 장치가 설치된 설치된 차량에 관한 발명으로서 윈도우 글라스에 고착 현상이 발생하여 차량의 윈도우 글라스가 동작되지 않는 경우 윈도우 글라스를 움직이는 모터와 케이블을 이용하여 윈도우 글라스의 고착 현상을 푸는 윈도우 글라스 제어 장치 및 윈도우 글라스 제어 장치가 설치된 차량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경우 모터와 케이블을 유격 현상을 이용하여 고착 현상이 발생한 경우 윈도우 글라스에 충격을 가해 윈도우 글라스와 도어 글라스 런과의 고착 상태를 효율적으로 해결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윈도우 글라스 제어 장치와 윈도우 글라스 제어 장치가 설치된 차량 및 그 제어 방법{The Window Glass Control System And, A Vehicle Which The Window Control System Installed In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윈도우 글라스 제어 장치 및 윈도우 글라스 제어 장치가 설치된 설치된 차량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윈도우 글라스를 제어함에 있어서 차량의 글라스에 고착 현상이 발생하여 차량의 윈도우 글라스가 동작되지 않는 경우 윈도우 글라스를 움직이는 모터와 케이블을 이용하여 윈도우 글라스의 고착 현상을 푸는 윈도우 글라스 제어 장치 및 윈도우 글라스 제어 장치가 설치된 차량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현대 사회에서 차량은 승객 또는 화물을 운송하는 수단으로써, 차량의 좌우 측면에는 실내와 실외를 선택적으로 개방할 수 있는 개폐형 윈도우가 설치된다.
종래에는 수동으로 사용자가 직접 기구적인 구동부에 물리적을 힘을 가하여 윈도우를 개방하거나 폐쇄시켰으나, 최근에는 모터 구동식으로 차량 내부에 윈도우 스위치를 설치하여 자동으로 차량의 윈도우가 작동되는 스위치가 구비되었고 일반화되었다.
즉, 차량의 실내에 설치된 파워 윈도우 스위치를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내림방향 또는 올림방향으로 조작하면, 도어의 프레임 내측에 마련된 전동 모터가 구동되면서 차량의 윈도우가 해당 방향으로 이동되어 유리창이 열리거나 닫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차량의 윈도우는 윈도우의 보호를 위해 윈도우와 접촉되는 도어의 프레임 부분에는 도어 글라스 런(Door Glass Run)이 부착되어 있다.
도어 글라스 런(Door Glass Run)이란, 윈도우 글라스가 오르내릴 때 안내 역학을 하는 장치로서, 윈도우 글라스와 접촉하는 도어 프레임 부분에 가느다란 막대 모양으로서 부착되어 있다.
도어 글라스 런(Door Glass Run)은 윈도우 글라스와 프레임 사이에 기밀과 수밀을 유지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윈도우를 닫았을 때 윈도우 글라스의 진동을 흡수하는 역할도 한다. 일반적으로 표면에 나일론을 부착하거나 우레탄 계통의 수지를 코팅하는 방식으로 부착되어 있다.
그러나 도어 글라스 런(Door Glass Run)은 고무가 주성분인 특성상 윈도우 글라스와 고착 현상이 자주 발생하는 문제가 존재한다.
고착 현상이란, 윈도우 글라스가 닫힌 경우 윈도우 글라스와 도어 글라스 런이 밀접하게 결합되어 있는데, 이 때 사용자가 윈도우 글라스를 작동시키기 위해 윈도우의 스위치를 조작하였음에도 모터의 구동력이 윈도우 글라스와 글라스 런 사이의 고착력보다 작아 윈도우 글라스가 움직이지 않는 현상을 말한다.
특히 이러한 고착현상은 도어 글라스 런의 점성이 높아지는 여름철이나, 작동 빈도가 앞 좌석보다 낮은 뒷 자석의 윈도우에 자주 발생한다. 또한, 차량의 선팅이 일반화되면서, 필름에 의해 도언 글라스 런과의 마찰력이 높아져 고착 현상이 자주 발생하기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윈도우 글라스와 도어 글라스 런과의 고착으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발명으로서, 윈도우 글라스 런의 고착상태가 발견이 되면 도어의 모터와 케이블을 이용하여 윈도우 글라스에 충격을 가해 윈도우 글라스와 도어 글라스 런과의 고착 상태를 효율적으로 해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글라스 제어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부와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명령을 기초로 윈도우 글라스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1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된 제1신호에 따라 상기 윈도우 글라스를 이동시키는 동작부와 상기 윈도우 글라스의 이동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신호에 따른 상기 윈도우 글라스의 이동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명령에 따른 방향으로 윈도우 글라스를 이동시키는 제2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윈도우 글라스의 이동이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명령에 따른 방향으로 윈도우 글라스를 이동시키는 제2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은 30ms 이상 70ms 이하의 시간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신호를 생성한 후에도 상기 윈도우 글라스의 이동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윈도우 글라스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지 신호를 생성한 후,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명령의 반대 방향으로 상기 윈도우 글라스를 움직이는 제 3의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의 신호를 80ms 이상 120ms 이하의 시간 동안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의 신호를 생성한 후,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명령에 따른 방향으로 상기 윈도우 글라스를 움직이는 제 4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4의 신호를 생성한 후에도 상기 윈도우 글라스의 이동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윈도우 글라스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부와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명령을 기초로 윈도우 글라스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1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된 제1신호에 따라 상기 윈도우 글라스를 이동시키는 동작부와 상기 윈도우 글라스의 이동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신호에 따른 상기 윈도우 글라스의 이동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명령에 따른 방향으로 윈도우 글라스를 이동시키는 제2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윈도우 글라스의 이동이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명령에 따른 방향으로 윈도우 글라스를 이동시키는 제2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은 30ms 이상 70ms 이하의 시간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신호를 생성한 후에도 상기 윈도우 글라스의 이동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윈도우 글라스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지 신호를 생성한 후,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명령의 반대 방향으로 상기 윈도우 글라스를 움직이는 제 3의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의 신호를 80ms 이상 120ms 이하의 시간 동안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의 신호를 생성한 후,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명령에 따른 방향으로 상기 윈도우 글라스를 움직이는 제 4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 받는 단계와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명령을 기초로 윈도우 글라스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1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제1신호에 따라 상기 윈도우 글라스를 이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윈도우 글라스의 이동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제1신호에 따른 상기 윈도우 글라스의 이동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명령에 따른 방향으로 윈도우 글라스를 이동시키는 제2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윈도우 글라스의 이동이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명령에 따른 방향으로 윈도우 글라스를 이동시키는 제2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은, 30ms 이상 70ms 이하의 시간일 수 있다.
상기 제 2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2신호를 생성한 후에도 상기 윈도우 글라스의 이동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명령의 반대 방향으로 상기 윈도우 글라스를 움직이는 제 3의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의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3의 신호를 80ms 이상 120ms 이하의 시간 동안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의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3의 신호를 생성한 후,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명령에 따른 방향으로 상기 윈도우 글라스를 움직이는 제 4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글라스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와 케이블간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해당하는 종래 기술의 시간에 따른 모터의 전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해당하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글라스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윈도우 글라스 제어 장치의 동작 흐름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모터의 전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모터의 전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이며, 본 출원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 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 요소는 제2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이하 글라스와 도어 글라스 런과의 고착상태가 발생한 경우 도어 레큘레이터를 이용하여 손쉽게 고착 상태를 풀 수 있는 윈도우 글라스 시스템 및 윈도우 글라스 시스템이 설치된 발명에 대해 윈도우 글라스 시스템이 설치된 차량을 기초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은 차량에 설치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종류의 차량, 예를 들면 모터사이클, 원동기 장치 등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1및 도2를 통해 본 발명이 설치된 차량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은 차량(1)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80), 차량(1)을 이동시키는 차륜(93, 94), 차륜(93, 94)을 회전시키는 구동 장치(95),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키는 도어(84), 차량(1) 내부의 운전자에게 차량(1) 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전면 유리(87), 운전자에게 차량(1)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사이드 미러(91, 92), 차체(80)의 후방 측에 설치되어 차량(1)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리어 윈도(90)를 포함하며 차체(80)는 후드(81), 프런트 휀더(82), 도어(84), 트렁크 리드(85), 및 쿼터 패널(8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차륜(93, 94)은 차량의 전방에 마련되는 전륜(93), 차량의 후방에 마련되는 후륜(94)을 포함하며, 구동 장치(95)는 본체(80)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전륜(93) 또는 후륜(94)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구동 장치(95)는 화석 연료를 연소시켜 회전력을 생성하는 엔진(Engine) 또는 축전기(미도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력을 생성하는 모터(Motor)를 채용할 수 있다.
도어(84)는 본체(80)의 좌측 및 우측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개방 시에 운전자가 차량(1)의 내부에 탑승할 수 있도록 하며, 폐쇄 시에 차량(1)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킬 수 있다.
윈드 스크린(87)은 본체(80)의 전방 상측에 마련되어 차량(1) 내부의 운전자가 차량(1) 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사이드 미러(91, 92)는 본체(80)의 좌측에 마련되는 좌측 사이드 미러(91) 및 우측에 마련되는 우측 사이드 미러(92)를 포함하며, 차량(1) 내부의 운전자가 차량(1) 측면 및 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외에도 차량(1)은 후방의 장애물 내지 다른 차량을 감지하는 근접 센서, 강수 여부 및 강수량을 감지하는 레인 센서 등의 감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근접 센서의 일 예로서, 차량의 측면 또는 후면에 감지 신호를 발신하고, 다른 차량 등의 장애물로부터 반사되는 반사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수신된 반사 신호의 파형을 기초로 차량(1) 후방의 장애물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고, 장애물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근접 센서는 초음파를 발신하고, 장애물에 반사된 초음파를 이용하여 장애물까지의 거리를 검출하는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 구성도이다.
도2를 참조하여 차량내부(10) 구성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차량내부(10)에는 외부와 통신하기 위한 텔레메틱스(Telematics) 단말기(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텔레메틱스는 텔레커뮤니케이션(Telecommunication)과 인포매틱스(Informatics)의 합성어로, 자동차 안에서 이메일(E-mail)을 주고 받거나 인터넷을 통하여 각종 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말한다.
텔레메틱스 단말기는 컴퓨터 무선 통신 위성 항법 기능을 모두 갖춘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는 텔레메틱스 단말기를 이용하여 외부에 존재하는 텔레메틱스 서버에 접속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데이터와 영상을 주고 받는 등 여러 가지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텔레메틱스 단말기는 차량 내부(10)에 설치되기 때문에 운전자가 눈에 볼 수 있는 외부 장치는 아니지만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차량 내부(10)의 디스플레이(80)을 이용하여 텔레메틱스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차량내부(10)에는 공조장치(16)가 설치 될 수 있다. 공조장치(16)는 차량(1)의 실내 실외의 환경 조건, 공기의 흡/배기, 순환, 냉/난방 상태 등을 포함한 공조 환경을 자동으로 제어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제어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난방과 냉방을 모두 수행할 수 있으며, 가열되거나 냉각된 공기를 통풍구를 통해 배출하여 차량내부(10)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차량내부(10)에는 운전자가 차량(1)을 조작하기 위한 각종 기기가 설치되는 대시보드(Dashboard)(14), 차량(1)의 운전자가 착석하기 위한 운전석(15), 차량(1)의 동작 정보 등을 표시하는 클러스터 표시부(51, 52)를 포함할 수 있다.
대시보드(14)는 윈드 스크린(11)의 하부로부터 운전자를 향하여 돌출되게 마련되며, 운전자가 전방을 주시한 상태로 대시보드(14)에 설치된 각종 기기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운전석(15)은 대시보드(14)의 후방에 마련되어 운전자가 안정적인 자세로 차량(1)의 전방과 대시보드(14)의 각종 기기를 주시하며 차량(1)을 운행할 수 있도록 한다.
클러스터 표시부(51, 52)는 대시보드(14)의 운전석(15) 측에 마련되며, 차량(1)의 운행 속도를 표시하는 주행 속도 게이지(51), 동력 장치(미도시)의 회전 속도를 표시하는 rpm 게이지(5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 내부(10)에는 차량의 각종 장치들의 조작을 위한 별도의 조그 다이얼(60)을 포함할 수 있다. 조그 다이얼(60)은 회전시키거나 압력을 가하여 구동 조작을 수행하는 방법뿐만 아니라, 터치 인식 기능을 구비한 터치 패드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별도의 터치 인식 기능을 구비한 도구를 이용하여 구동 조작을 위한 필기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자동차의 운행을 조작하는 조향 장치는 운전자로부터 주행 방향을 입력 받는 조향 핸들(42), 조향 핸들(42)의 회전 운동을 왕복 운동으로 전환하는 조향 기어(미도시), 조향 기어(미도시)의 왕복 운동을 앞바퀴(93)에 전달하는 조향 링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향 장치는 바퀴의 회전축의 방향을 변경함으로써 차량(1)의 주행 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제동 장치는 운전자로부터 제동 조작을 입력 받는 제동 페달(미도시), 바퀴와 결합된 브레이크 드럼(미도시), 마찰력을 이용하여 브레이크 드럼(미도시)의 회전을 제동시키는 브레이크 슈(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동 장치는 바퀴의 회전을 정지시킴으로써 차량의 주행을 제동할 수 있다.
이상 도1 및 도 2를 통하여 본 발명이 장착된 차량의 외부와 내부(10) 구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하 도 3을 통하여 본 발명의 기본 구조인 차량의 도어 구조에 대해 알아보고 도4를 통하여 본 발명의 작동 원리에 대해 알아본다.
도 3은 차량의 도어를 분해하여 표현한 분해도로서, 도어 본체(110), 도어 글라스 선(Door Glass Run, 120), 윈도우 글라스(130)와 케이블(140) 및 모터(150)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차량의 도어는 차량 도어의 기본 골격을 유지해주는 도어 본체(110)와 차량의 내부에서 차량 외부를 볼 수 있게 해주는 윈도우 글라스(130), 도어 본체(110)와 윈도우 글라스(130)사이에 결합 역할을 해주는 도어 글라스 런(Door Glass Run, 120) 및 윈도우 글라스(130)의 상하 움직임을 조절하는 모터(150)와 모터에 감겨 있는 케이블(1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모터(150)와 케이블(140)을 포함하여 도어 레귤레이터(Door Regulator)라고 부르기도 한다.
도어 글라스 런(Door Glass Run, 120)이란, 윈도우 글라스(130)와 접촉하는 도어 프레임 부분에 가느다란 막대로 이루어진 부분을 말하며, 윈도우 글라스(130)와 프레임 사이에 기밀과 수밀을 유지해주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도어를 닫았을 때 윈도우 글라스(130)의 진동을 흡수해주는 역할도 한다. 일반적으로 표면에 나일론을 부착하거나 우레탄 계통의 수지를 코팅하는 방식으로 부착되어 있다.
도 4는 도 3의 모터(150)와 케이블(140)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작동 원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의 (a)를 참조하면, 모터(150)는 케이블(140)에 의하여 감겨져 있으며 모터(150)의 움직임에 따라 케이블(140)도 같이 움직인다. 모터(150)가 케이블(140)을 감으면 케이블(140)에 장력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장력에 의해 윈도우 글라스(130)가 움직인다. 즉, 케이블(140)은 모터(150)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바꾼 후 이러한 힘을 이용하여 윈도우 글라스(130)를 이동시킨다.
또한, 윈도우 글라스(130)의 상승 방향과 하강 방향은 서로 180도 반대 이므로 윈도우 글라스(130)가 상승 하는 경우와 하강 하는 경우 케이블(140)의 장력 또한 반대 방향으로 발생한다. 따라서 상하 방향이 바뀌는 경우 장력 방향의 차이에 따른 유격이 발생한다.
도 4는 이러한 현상을 설명한 도면으로서, 도4의 (a)의 경우 마지막 작동 방향이 상승 방향인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따라서 케이블(140)의 장력은 아래 방향으로 향하므로 모터(150) 기준으로 아래의 케이블(140)은 팽팽하며 윗 방향의 케이블(140)은 상대적으로 느슨하게 감겨 있다.
이러한 경우 하강 방향으로 스위치가 작동이 되면 장력의 방향이 반대로 되어야 하므로 도 5의 (b)와 (c)처럼 케이블(140)이 반대 방향으로 충분한 장력을 받을 때까지 모터(150)가 회전하게 되며 하강 방향으로 충분한 장력이 생성되면 윈도우 글라스(130)는 이 힘에 의하여 하강하게 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본 기술에 관해 알아보았다. 이하 본 발명의 문제점에 해당하는 고착 현상에 대해 알아본다.
도 3을 참고하면, 운전자 또는 동승자는 윈도우 스위치(미도시)를 이용하여 차량의 윈도우 글라스(130)를 제어하는데 일반적으로 윈도우 글라스(130)의 상승 또는 하강을 제어한다.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윈도우 글라스(130)에 대한 상승 또는 하강의 명령을 내리면 그에 따라 모터(150)는 케이블(140)에 장력이 발생하도록 모터(150)를 회전시키면서 케이블(140)을 감싼다. 그리고 이러한 움직임에 따라 케이블(140)에 장력이 발생하고 이러한 장력이 윈도우 글라스(130)의 상승 또는 하강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케이블(140)의 장력을 이용하여 윈도우 글라스(130)를 제어하기 때문에 마지막 작동 방향이 상승 방향이었다면, 아래 방향으로 윈도우 글라스(130)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케이블(140)이 충분한 반대 방향의 장력을 받을 수 있도록 모터(150)는 회전을 유지한다.
그러나 도어 글라스 런(120)은 고무가 주성분인 특성상 윈도우 글라스(130)가 움직이는데 움직임을 방해하는 고착 현상이 자주 발생한다.
고착 현상이란, 윈도우가 닫힌 상태에서 윈도우 글라스(130)과 도어 글라스 런(120)이 서로 밀접하게 붙어있어 사용자가 윈도우의 스위치를 조작하였음에도 모터(150)의 구동력이 윈도우 글라스(130)와 도어 글라스 런(120) 사이의 고착력보다 작아 윈도우 글라스(130)가 움직이지 않는 현상을 말한다.
특히 이러한 고착현상은 도어 글라스 런(120)의 점성이 높아지는 여름철이나, 작동 빈도가 앞 좌석보다 낮은 뒷 자석의 윈도우 글라스(130)에 자주 발생한다. 또한, 차량의 선팅이 일반화되면서, 필름에 의해 윈도우 글라스(130)와 도어 글라스 런(120)과의 마찰력이 높아져 고착 현상이 더 자주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고착 현생이 발생한 경우, 모터(150)의 구동력이 윈도우 글라스(130)와 도어 글라스 런(120)과의 고착력보다 크다면 고착 상태가 쉽게 풀려 윈도우 글라스(130)가 작동하는데 아무런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일반 파워 윈도우를 보면, 운전자가 파워 윈도우 스위치 조작시, 차량의 전압이 그대로 모터(150)에 인가되어 구동 초기부터 일정한 속도로 윈도우 글라스(130)가 움직인다. 일반적으로, 파워 윈도우의 경우 차량이 시동이 걸린 상태라면 약 14V ~15V의 전압이 모터(150)에 인가 되는데 이 정도의 전압이면 윈도우 글라스(130)와 도어 글라스 런(120)사이에 고착 현상이 발생하였다 하더라도 모터(150)의 구동력이 고착력을 이기고 윈도우 글라스(130)를 움직이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속도 가변 방식이 적용된 윈도우 글라스 제어 장치의 경우 그렇지 못하는데 도 5.6을 통하여 이러한 문제점에 대해 알아본다.
도 5는 속도 가변 방식이 적용된 윈도우 글라스 제어 장치의 시간에 따른 모터의 전압 변화를 표시한 도면이다.
도5를 참조하면, 일반적인 속도 가변 방식이 적용된 윈도우의 경우, 부드러운 작동감을 위해 윈도우 글라스(130)의 이동 속도는 처음에는 저속으로 시작하여 속도를 서서히 높이는 방식으로 작동을 한다.
그러나 도5에서 보듯이 속도 가변 방식이 적용된 윈도우의 경우에는 초반 모터의 구동 전압이 낮아(약8V) 모터(150)의 토크가 윈도우 글라스(130)와 도어 글라스 런(120)과의 고착력을 이기지 못해 운전자가 스위치를 조작했음에도 윈도우 글라스(130)가 움직이지 못하는 단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경우, 윈도우 글라스(130)를 여러 번 두드려 충격에 의해 윈도우 글라스(130)와 도어 글라스 런(130)사이의 고착 상태를 푸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러나 사용자는 윈도우 글라스(130)에 충격을 가하기 보다는 반복적으로 하강 스위치를 작동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아무리 사용자가 하강 스위치를 작동 시켰다 하더라도 모터(150)의 구동력이 커지는 것은 아니므로 여전히 윈도우 글라스(130)와 도어 글라스 런(120)와의 고착 상태를 풀지 못한다.
그리고 이렇게 고착 상태를 풀지 못한 상태에서 계속적으로 운전자가 스위치를 작동시킨다면 모터(150)에는 전원이 지속적으로 인가되는데 윈도우 글라스(130)가 움직이지 못하는 상황에서 모터(150)에 전원이 지속적으로 인가된다면 모터(150)의 손상이 발생할 수 도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모터(150)에 달린 제어기는 모터(150)의 구속을 감지하여 모터(130)를 보호한다. 즉, 스위치를 조작하였음에도 일정 시간 동안 모터(150)가 회전하지 않는 경우 제어기는 모터(150)의 출력을 강제로 끊어 운전자가 스위치를 조작하였어도 모터(150)로 전압이 인가되지 않도록 하여 모터(150)를 보호한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도 모터(150)를 보호 할 뿐 실질적으로 윈도우 글라스(130)와 도어 글라스 런(120)과의 고착 현생을 풀지 못하는 단점이 여전히 가지고 있었다.
도 6은 이러한 문제점을 표현한 도면으로서 윈도우 글라스(130)가 고착 상태에 빠진 경우 홀 센서와 모터 전원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와 도6을 참고하면, 도 4의 (a)처럼 윗 방향으로 스위치가 작동되어 있다가 도 4(b)와 (c)처럼 아래 방향으로 스위치가 작동이 되면 모터(150)는 홀 센서는 모터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도6의 (a) 처럼 홀 센서의 변화가 주기적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고착 현상이 발생한 경우 모터(150)는 구동이 되지만 모터(150)의 구동력이 윈도우 글라스(130)와 도어 글라스 런(120)사이의 고착력을 이기지 못하므로 모터는(150) 회전을 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도6의 (a) 처럼 홀 센서의 변화 주기는 점점 길어지고 나중에는 회전을 할 수 없어 홀 센서의 변화가 나타나지 않는다.
또한, 이러한 경우 홀 센서의 변화는 감지되지 않지만 실제로는 모터(150)는 구동중이므로 모터(150)의 전원은 계속 구동이 된다. 하지만 윈도우 글라스(130)의 움직임이 없음에도 계속 모터(150)가 구동이 되면 모터(150)의 손상이 발생하므로 일반적으로 200ms 동안 윈도우 글라스(130)의 변화가 없는 경우 도6의 b처럼 강제로 모터(150)의 전원을 차단 시켜 모터를 보호한다.
지금까지 종래 기술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동 원리에 대해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윈도우 글라스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사용자로부터 글라스(100)의 이동 방향에 대해 입력을 받는 입력부(210)와 입력부(210)에서 받은 사용자의 명령을 기초로 윈도우 글라스(130)의 이동 방향에 대한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220)와 제어부(220)에서 생성된 신호를 기초로 윈도우 글라스(130)의 이동 방향 및 이동 속도를 제어하는 동작부(240) 및 윈도우 글라스의 이동 변화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210)는 운전자 또는 차량에 탑승한 동승자로부터 윈도우 글라스(130)의 이동 방향에 대한 명령을 입력 받고 입력 받은 정보를 제어부(220)로 보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입력부(210)는 일반적으로 윈도우 스위치(71, 72)를 포함하고 있다. 윈도우 스위치(71,72)는 노브(Knob) 형태로 구성 될 있으며 전동식으로 구성 될 수 도 있다.
제어부(220)는 입력부(210)에서 받은 사용자의 명령을 기초로 윈도우 글라스(130)의 이동 방향에 대한 신호를 생성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전자가 입력부(210)의 노브(Knob)를 위로 당겼다면 제어부(220)는 이를 윈도우 글라스(130)를 위로 움직이라는 신호로 인지하고 이에 따른 신호, 즉 제 1신호를 생성하여 동작부(230)로 보낸다. 만약, 운전자가 노브(Knob)를 아래로 밀었다면 윈도우 글라스(130)를 아래로 이동시키는 신호를 동작부(230)로 보낸다.
또한 제어부(220)는 감지부(230)에서 받은 정보를 기초로 기존의 신호에 따른 윈도우 글라스의 이동이 없다고 판단이 되면 다시 새로운 신호를 생성한다. 즉. 고착 현상이 발생하였다고 판단된 경우 고착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모터(130)의 방향 및 토크의 크기를 조절하는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동작부(240)로 보내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능에 해당하며 자세한 설명은 후술 하도록 한다.
감지부(230)는 윈도우 글라스(130)가 제어부(220)로부터 명령을 받은 경우 상기 명령에 따라 윈도우 글라스(130)가 움직이는지 감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설명하였듯이 윈도우 글라스(130)와 도어 글라스 런(120)과의 고착 현상이 풀리지 않는 이뉴는 모터(130)의 초기 구동 전압이 윈도우 글라스(130)와 도어 글라스 런(120)과의 고착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감지부(230)는 초기 일정 시간 동안 윈도우 글라스(130)의 변화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스위치를 조작하였음에도 윈도우 글라스(130)의 변화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고착 현상이 발생되었다고 판단을 하고 이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220)로 보낸다.
제어부(220)는 고착 현상이 발생되었다고 판단이 되면 1차적으로 사용자가 입력한 윈도우 글라스(130)의 방향으로 모터(150)가 최대 출력을 낼 수 있는 신호, 즉 제2신호를 생성한다. 일반적으로 모터(150)의 구동 전압을 높이면 모터(150)의 토크가 증가해 최대 출력을 낼 수 있기 때문에 구동 전압을 높여 고착 현상을 해결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2신호는, 모터(150)의 최대 출력에 해당하는 크기로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고착 현상을 풀 수 있을 정도의 모터의 전압이면 이에 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윈도우 글라스(130)를 아래 방향으로 내리기 위해 스위치를 아래 방향으로 조작하였음에도 초기 일정 시간 동안 윈도우 글라스(130)의 변화가 없다고 감지부(230)에서 판단이 된 경우 제어부(220)는 모터(150)가 최대의 출력을 내도록 제 2신호를 생성하고 동작부(230)는 이에 따라 윈도우 글라스(130)를 아래 방향으로 당긴다.
일반적으로 윈도우 글라스(130)와 도어 글라스 런(120)과의 고착 현상은 윈도우 글라스(130)가 닫힌 상태에서 발생하지만 단순히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원도우 글라스(130)가 일부분 열려 있거나 완전히 열려 있는 상황에서도 도어 글라스 런(120)과 고착 현상이 발생할 수 도 있으므로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에도 적용될 수 있다.
감지부는(230)는 제어부(220) 생성한 제2신호에 따라 윈도우 글라스(130)가 움직이는지 감지한다. 만약 윈도우 글라스(130)가 상기 제2신호에 따라 움직이는 것으로 판단이 된다면 고착 현상이 해결된 것이므로 평상시의 상태로 돌아간다.
그러나, 제어부(220)가 제 2신호를 생성하였음에도 윈도우 글라스(130)의 변화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여전히 고착 상태가 유지되고 있는 상태에 해당하므로 제어부(220)는 모터의 전원 공급을 차단한다. 그리고 다시 사용자가 입력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모터가 최대 출력을 낼 수 있는 신호, 즉 제3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일정 시간 후, 다시 사용자가 입력한 방향의 방향으로 모터가 최대 출력을 낼 수 있는 신호, 즉 제4신호를 생성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는 이유는, 모터(150)가 운전자가 입력한 반대 방향으로 돌았다가 다시 원래 방향으로 돌아오면 그 만큼 회전 에너지가 윈도우 글라스(130)에 충격으로 가해지므로 모터(150)를 구속 상태에서 구동 시키는 것보다 고착 상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사용자가 아래 방향으로 스위치를 작동 시켰는데 아래 방향으로 최대 전압을 구동했음에도 윈도우 글라스(130)가 움직이지 않는 경우, 윗 방향으로 최대 전압을 구동하고 다시 아래 방향으로 최대 전압을 구동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3,4신호는, 모터(150)의 최대 출력에 해당하는 크기로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고착 현상을 풀 수 있을 정도의 모터의 전압이면 이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작동 원리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면 8,9 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감지부(230)는 윈도우 글라스(130)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어야 하므로 변화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각종 센서 등을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홀 센서(Hall Sensor)가 사용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러한 기능을 할 수 있는 다른 센서들이 구비될 수도 있다.
동작부(240)는 제어부(220)에서 생성된 신호를 수신 받고 그에 따라 윈도우 글라스(130)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부(220)에서 윈도우 글라스(130)의 상승 또는 하강에 대한 신호가 생성된 경우 그에 따라 윈도우 글라스(130)를 상승 또는 하강 시킨다. 따라서 동작부(240)는 이러한 동작을 할 수 있도록 모터(150)와 케이블(1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140)은 모터(150)에 감겨 있는데 제어부(220)의 신호에 따라 모터(150)는 케이블(140)을 감싸고, 이에 따라 케이블에 발생하는 장력을 이용하여 윈도우 글라스(130)를 제어한다. 즉, 케이블(140)은 모터(150)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바꿔서 윈도우 글라스(130)를 제어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하 도면을 통하여 본 발명의 동작 순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본다.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동작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의 경우 일반적으로 고착 현상이 쉽게 발생하는 경우 즉, 차량의 윈도우가 닫힌 상태에서 고착 현상이 발생하여 운전자가 아래 방향으로 윈도우 글라스(130)를 제어하려고 할 때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특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술한 바와 같이 윈도우 글라스(130)가 열린 상태에서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운전자는 윈도우 글라스(130)를 열기 위해 윈도우 스위치를 하강 방향으로 작동시킨다.(S100)
운전자에 의해 스위치가 하강 방향으로 작동이 되었으면 초기 일정시간 동안 윈도우 글라스(130)의 이동 변화가 있는지 감지한다.(S200)
윈도우 글라스(130)의 이동을 감지하는 이유는 윈도우 글라스(130)와 도어 글라스 런(120) 사이에 고착 현상이 발생하지 않았다면 운전자가 명령한 방향대로 윈도우 글라스(130)는 움직일 테지만, 고착 현상이 발생하였다면 운전자의 명령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윈도우 글라스(130)는 움직이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초기 일정시간은, 일반적으로 30ms에서 70ms 사이의 시간에 해당한다. 운전자가 명령을 입력하였음에도 이 시간까지 윈도우 글라스(130)가 움직이지 않는다면 고착 현상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기 초기 일정시간이 30ms ~ 70ms 시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균등한 시간 범위까지 이에 해당할 수 있으며, 이 시간은 사용자가 설정할 수도 있다.
S200 과정에 의해 윈도우 글라스(130)의 이동이 감지되었다면 아무런 문제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다시 원래대로 돌아오겠지만 일정시간 동안 윈도우 글라스(130)의 이동이 감지되지 않았다면 고착 현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사용자가 입력한 방향, 즉 하강 방향으로 모터(150)의 출력을 최대치로 구동한다.(S300)
도 9는 상기 과정(S300)을 표현한 도면으로서, 초기 일정 시간 동안의 전압으로 고착 현상이 해결되지 않았으면 초기 일정 시간 후 모터의 전압을 최대 전압으로 상승시킨다.
상기 과정은 전술한 바와 같이, 속도 가변 방식이 적용된 윈도우의 경우 초기 구동 모터(150)의 전압이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고착 현상을 해결하기가 어려우므로 모터(150)가 낼 수 있는 최대 출력을 이용하여 고착 현상을 해결하기 위함이다.
도9의 경우 초기 일정 시간을 50ms 로 표현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균등한 범위에 속하는 시간 또한 포함될 수 있다.
S300 과정에 의해 모터의 출력을 최대치로 구동하였다면 다시 일정 시간 동안 윈도우 글라스(130)의 이동이 있었는지 감지한다.(S400)
만약, 윈도우 글라스(130)가 이동이 감지 되었다면 고착 현상은 해결된 것이므로 다시 원래의 상태로 돌아온다. 그러나 일정 시간 동안 윈도우 글라스(130)가 이동 되지 않았다면 아직 고착 현상을 해결하지 못한 것이므로 모터(150)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일단 모터(150)의 전원 공급을 차단한다.(S500)
그리고 사용자가 입력한 방향의 반대 방향, 즉 상승 방향으로 일정 시간 동안 모터(150)를 구동시킨다.(S600)
상기 과정은, 전술한 바와 같이 모터의 유격현상을 이용하여 모터(150)의 회전력을 윈도우 글라스(130)에 전달시켜 고착 현상을 해결하기 위함이다.
즉, S100 ~ S500 과정에 의해 현재 모터(150)는 하강 방향으로 구동되어 있다. 이 때 상승 방향으로 일정 시간 동안 모터(150)를 구동 시키면 모터(150)의 회전 에너지만큼 윈도우 글라스(130)에 충격이 가해지므로 이러한 충격력이 윈도우 글라스(130)와 도어 글라스 런(120) 사이의 고착력을 푸는데 도움이 되어 보다 손쉽게 고착 현상을 해결할 수 있다.
상기 일정시간은 모터(150)의 회전력을 윈도우 글라스(130)에 전달시킬 수 있는 시간이면 충분하므로 일반적으로 80ms ~ 120ms 사이의 시간이 적절하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와 균등한 시간으로서 모터(150) 회전력을 윈도우 글라스(130)에 충분히 전달 시켜 줄 수 있는 시간이면 이에 해당할 수 있다.
S600 과정에 의해 상승 방향으로 윈도우 글라스(130)에 충격이 전달되었다면 다시 하강 방향으로 모터(150)를 구동시켜 고착 현상을 해결한다.(S700)
도 9는 상기 S500 ~ S700에 해당하는 과정을 그래프로 표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일정 시간 동안 반대 방향으로 모터(150)의 최대 출력으로 모터(150)를 구동 시킨 후에 다시 원래 방향으로 모터(150)를 최대 출력으로 구동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만약 S600 과정에 의해 고착 현상이 해결되었다면, 윈도우 글라스(130)는 하강 방향으로 이동할 것이며 만약 고착 현상이 해결되지 않았다면 윈도우 글라스(130)는 움직이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윈도우 글라스(130)가 움직이지 않는데도 계속 모터(150)를 구동 시키는 것은 모터의 손상이 초래할 수 있으므로 일정 시간 동안 윈도우 글라스(130)의 변화가 없는 경우 모터(150)의 전원을 차단하여 모터를 보호한다.
S500과 S600 과정에 의한 모터 출력의 크기는 모터의 최대 출력으로 하는 것이 고착 현상을 푸는데 효율적일 것이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고착 현상을 풀 수 있을 정도의 크기이면 최대 출력이 아니어도 이에 해당할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 도면을 통하여 본 발명의 구조 및 동작 원리에 대해 알아보았다. 상기 설명하였듯이 운전자는 본 발명을 통하여 별도의 장치를 설치할 필요 없이 도어의 모터와 케이블을 이용하여 윈도우 글라스와 윈도우 글라스 런과의 고착상태를 손쉽게 해결할 수 있다.
1: 차량
10: 차량 내부
110: 도어 본체
120: 도어 글라스 런(Door Glass Run)
130: 윈도우 글라스
140: 케이블
150: 모터

Claims (21)

  1.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부;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명령을 기초로 윈도우 글라스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1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된 제1신호에 따라 상기 윈도우 글라스를 이동시키는 동작부;
    상기 윈도우 글라스의 이동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신호에 따른 상기 윈도우 글라스의 이동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명령에 따른 방향으로 윈도우 글라스를 이동시키는 제2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윈도우 글라스의 이동이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신호를 생성하는 윈도우 글라스 제어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은
    30ms 이상 70ms 이하의 시간인 윈도우 글라스 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신호를 생성한 후에도 상기 윈도우 글라스의 이동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윈도우 글라스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신호를 생성하는 윈도우 글라스 제어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지 신호를 생성한 후,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명령의 반대 방향으로 상기 윈도우 글라스를 움직이는 제 3의 신호를 생성하는 윈도우 글라스 제어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의 신호를 80ms 이상 120ms 이하의 시간 동안 생성하는 윈도우 글라스 제어 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의 신호를 생성한 후,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명령에 따른 방향으로 상기 윈도우 글라스를 움직이는 제 4신호를 생성하는 윈도우 글라스 제어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4의 신호를 생성한 후에도 상기 윈도우 글라스의 이동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윈도우 글라스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신호를 생성하는 윈도우 글라스 제어 장치.
  9.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부;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명령을 기초로 윈도우 글라스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1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된 제1신호에 따라 상기 윈도우 글라스를 이동시키는 동작부;
    상기 윈도우 글라스의 이동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신호에 따른 상기 윈도우 글라스의 이동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명령에 따른 방향으로 윈도우 글라스를 이동시키는 제2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윈도우 글라스의 이동이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신호를 생성하는 차량.
  10. 삭제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은
    30ms 이상 70ms 이하의 시간인 차량.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신호를 생성한 후에도 상기 윈도우 글라스의 이동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윈도우 글라스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신호를 생성하는 차량.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지 신호를 생성한 후,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명령의 반대 방향으로 상기 윈도우 글라스를 움직이는 제 3의 신호를 생성하는 차량.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의 신호를 80ms 이상 120ms 이하의 시간 동안 생성하는 차량.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의 신호를 생성한 후,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명령에 따른 방향으로 상기 윈도우 글라스를 움직이는 제 4신호를 생성하는 차량.
  16.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 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명령을 기초로 윈도우 글라스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 1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제1신호에 따라 상기 윈도우 글라스를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윈도우 글라스의 이동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제1신호에 따른 상기 윈도우 글라스의 이동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명령에 따른 방향으로 윈도우 글라스를 이동시키는 제2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윈도우 글라스의 이동이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17. 삭제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은,
    30ms 이상 70ms 이하의 시간인 차량의 제어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2신호를 생성한 후에도 상기 윈도우 글라스의 이동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명령의 반대 방향으로 상기 윈도우 글라스를 움직이는 제 3의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3의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3의 신호를 80ms 이상 120ms 이하의 시간 동안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21.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3의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3의 신호를 생성한 후,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명령에 따른 방향으로 상기 윈도우 글라스를 움직이는 제 4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 방법.
KR1020150172059A 2015-12-04 2015-12-04 윈도우 글라스 제어 장치와 윈도우 글라스 제어 장치가 설치된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KR1022280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2059A KR102228001B1 (ko) 2015-12-04 2015-12-04 윈도우 글라스 제어 장치와 윈도우 글라스 제어 장치가 설치된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2059A KR102228001B1 (ko) 2015-12-04 2015-12-04 윈도우 글라스 제어 장치와 윈도우 글라스 제어 장치가 설치된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5828A KR20170065828A (ko) 2017-06-14
KR102228001B1 true KR102228001B1 (ko) 2021-03-16

Family

ID=59218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2059A KR102228001B1 (ko) 2015-12-04 2015-12-04 윈도우 글라스 제어 장치와 윈도우 글라스 제어 장치가 설치된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800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2314A (ja) * 2002-09-03 2004-03-25 Tokai Rika Co Ltd パワーウインドウ駆動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92314A (ja) * 2002-09-03 2004-03-25 Tokai Rika Co Ltd パワーウインドウ駆動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5828A (ko) 2017-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128262B (zh) 用于车辆车门系统的电力管理
CN107130875B (zh) 用于电动车辆车门的温度控制
CN102470735B (zh) 用于识别翻盖驱动装置中接合器的触发的方法和装置
US10315661B2 (en) Speed-based window control
KR20170108643A (ko) 차량용 도어 제어 장치 및 차량
CN106671913B (zh) 车辆及控制车辆的方法
US8093849B2 (en) Closure panel control apparatus
US20170225654A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or otherwise manipulating vehicle components, and methods of use and manufacture thereof
JP4904603B2 (ja) ドア開閉装置
US20220325571A1 (en) Electronics system for controlling an adjustment part by means of an acceleration sensor
KR102228001B1 (ko) 윈도우 글라스 제어 장치와 윈도우 글라스 제어 장치가 설치된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70459A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2012678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US10604154B2 (en)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090240845A1 (en) Audio help system
US7476011B2 (en) Lamp assembly with variable illuminating direction
KR102430170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US11402631B2 (en) Motor vehicle control member, associated control device and method
US20190381871A1 (en) Method for adjusting a force that has to be applied by a user to operate a lid
US9315153B2 (en) Vehicle door with side mirror system
KR100904718B1 (ko) 차량 개방 가동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11858319B2 (en) Automatic sunvisor assembly
CN116021967B (zh) 车副驾遮阳屏的人机交互方法、系统及车辆
KR101619220B1 (ko) 차량용 헤드 업 디스플레이 장치
US20070086096A1 (en) Rear under view mirror system for veh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