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7601B1 - 방송신호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방송신호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7601B1
KR102227601B1 KR1020140110984A KR20140110984A KR102227601B1 KR 102227601 B1 KR102227601 B1 KR 102227601B1 KR 1020140110984 A KR1020140110984 A KR 1020140110984A KR 20140110984 A KR20140110984 A KR 20140110984A KR 102227601 B1 KR102227601 B1 KR 1022276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input
broadcast signal
received
tu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0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4321A (ko
Inventor
김종화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10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7601B1/ko
Priority to US14/829,783 priority patent/US10178340B2/en
Publication of KR201600243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43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76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76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07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 H04N21/4263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involving specific tuning arrangements, e.g. two tun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3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수신장치는 복수의 채널 중 어느 하나의 채널 선택을 위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수신부와;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선택된 채널의 방송신호를 튜닝할 수 있는 제1튜너부와; 사용자의 제1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1입력에 대응하는 제1채널의 방송신호를 튜닝하도록 상기 제1튜너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1입력이 수신된 후 소정시간 내에 사용자의 제2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1입력과 상기 제2입력의 조합에 대응하는 제2채널의 방송신호를 튜닝하도록 상기 제1튜너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채널 전환을 함에 있어, 한자리 또는 두자리 채널 입력시 해당 채널의 튜닝을 바로 개시하여 채널 전환 속도를 향상시키는 방송신호수신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빠른 채널 전환에 의해 사용자의 만족감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방송신호수신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방송신호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BROADCASTING SIGNAL RECEIV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방송신호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채널 전환을 함에 있어 채널 전환 속도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송신호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방송을 제공하는 셋톱박스나 TV는 다양한 채널을 서비스하고, 사용자는 채널 변경을 통해 원하는 채널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디지털 방송에서 채널 전환 속도는 사용자가 체감하는 제품의 성능과 관련이 있다.
기존의 셋탑박스 또는 TV에서는 사용자가 가장 많이 시청하는 메인 채널 또는 선호 채널이 대부분 한자리 또는 두자리 채널에 할당되어 있고, 한자리 또는 두자리 채널로의 이동을 위해서는 리모컨에서 숫자키를 누른 후 1 내지 2초 정도 대기하거나 확인(OK)키를 누름에 의해 채널 전환 요청이 처리된다.
따라서, 채널 전환을 위해서는 사용자가 숫자키를 입력하는 시간 외에도 숫자키 입력 후에 채널 전환을 위한 대기 시간이 소요되므로, 채널 전환 속도가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TV에서 시청 가능한 채널이 점점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채널을 좀더 빠른 채널 전환에 의해 시청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요구가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채널 전환을 함에 있어, 한자리 또는 두자리 채널에 대해 채널 전환 속도를 향상시키는 방송신호수신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방송신호수신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채널 중 어느 하나의 채널 선택을 위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수신부와;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선택된 채널의 방송신호를 튜닝할 수 있는 제1튜너부와; 사용자의 제1입력이 수신되면, 제1입력에 대응하는 제1채널의 방송신호를 튜닝하도록 제1튜너부를 제어하고, 제1입력이 수신된 후 소정시간 내에 사용자의 제2입력이 수신되면 제1입력과 제2입력의 조합에 대응하는 제2채널의 방송신호를 튜닝하도록 제1튜너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방송신호수신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채널 전환을 함에 있어, 한자리 또는 두자리 채널 입력시 해당 채널의 튜닝을 바로 개시하여 채널 전환 속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빠른 채널 전환에 의해 사용자의 만족감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튜닝된 방송신호의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튜너부에 의해 튜닝된 방송신호의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채널 전환을 위해 한자리 또는 두자리 채널 입력시, 대기시간 없이 튜닝된 해당 채널의 영상을 바로 시청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입력이 수신된 후 소정시간 내에 상기 제2입력 수신되면, 상기 제1채널의 방송신호의 튜닝을 중단하고, 상기 제2채널의 방송신호를 튜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제1입력에 대응하여 제1채널을 튜닝하다가 소정 시간 이내에 사용자의 제2입력이 수신되면, 사용자가 선택하고자 하는 채널이 제1채널이 아닌 제2채널인 것으로 판단하여 제1채널의 튜닝을 중단하고 제2채널의 튜닝을 개시함에 의해, 빠르게 채널 전환을 할 수 있다.
상기 제1튜너에서 튜닝되는 채널과는 다른 채널의 방송신호를 튜닝할 수 있는 제2튜너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튜너부의 튜닝 중에, 상기 제1채널 또는 상기 제2채널의 방송신호를 튜닝하도록 상기 제1튜너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현재 시청중인 채널은 제2튜너부에서 튜닝되고, 사용자의 새로운 채널 입력에 대해서는 제1튜너부에서 튜닝을 준비함에 의해, 현재 시청중인 채널에서 새로운 채널로 빠르게 전환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튜닝된 방송신호의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튜너부에 의해 튜닝된 방송신호의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중에, 상기 제1채널 또는 상기 제2채널의 방송신호를 튜닝하도록 상기 제1튜너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현재 시청중인 채널이 화면에 표시되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는 채널에 대해 제1튜너부에서 튜닝을 준비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튜너부는, 상기 제1채널 또는 상기 제2채널의 방송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방송신호를 록킹(Locking)하고, 상기 방송신호의 데이터에 대해 디코딩(Decoding)을 수행함에 의해 상기 방송신호를 튜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는 채널에 대해 제1튜너부가 튜닝 및 디코딩을 수행하여 채널 전환을 위한 준비를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채널 또는 상기 제2채널의 방송신호의 튜닝이 완료되면, 상기 튜닝된 채널의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는 채널에 대해 튜닝이 완료되면 튜닝된 채널의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입력이 있으면, 상기 튜닝된 채널의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는 채널의 튜닝이 완료된 후에 소정의 사용자의 입력이 있으면 튜닝된 채널의 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1입력을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제1입력이 수신된 후 소정시간 내에 상기 제2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1입력 및 상기 제2입력의 조합을 화면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제1입력 및 제2입력이 화면에 표시되므로 사용자는 자신의 채널 선택 진행상황을 직접 화면에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입력이 수신된 후 소정시간이 경과하거나, 또는 상기 제2입력이 수신된 후 소정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제1입력 또는 상기 제2입력의 화면 표시를 해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제1입력 또는 제2입력이 화면에 표시된 후 소정시간이 지나면, 채널 선택을 위한 사용자의 새로운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방송신호수신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제1입력이 수신되면, 제1튜너부가 제1입력에 대응하는 제1채널의 방송신호를 튜닝하는 단계와; 제1입력이 수신된 후 소정시간 내에 사용자의 제2입력이 수신되면, 제1튜너부가 제1입력과 제2입력의 조합에 대응하는 제2채널의 방송신호를 튜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송신호수신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채널 전환을 함에 있어, 한자리 또는 두자리 채널 입력시 해당 채널의 튜닝을 바로 개시하여 채널 전환 속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빠른 채널 전환에 의해 사용자의 만족감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제1튜너부에 의해 튜닝된 방송신호의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채널 전환을 위해 한자리 또는 두자리 채널 입력시, 대기시간 없이 튜닝된 해당 채널의 영상을 바로 시청할 수 있다.
상기 제1입력이 수신된 후 소정시간 내에 상기 제2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1채널의 방송신호의 튜닝을 중단하고, 상기 제2채널의 방송신호를 튜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제1입력에 대응하여 제1채널을 튜닝하다가 소정 시간 이내에 사용자의 제2입력이 수신되면, 사용자가 선택하고자 하는 채널이 제1채널이 아닌 제2채널인 것으로 판단하여 제1채널의 튜닝을 중단하고 제2채널의 튜닝을 개시함에 의해, 빠르게 채널 전환을 할 수 있다.
제2튜너부가 상기 제1튜너에서 튜닝되는 채널과는 다른 채널의 방송신호를 튜닝하는 중에, 상기 제1튜너부가 상기 제1채널 또는 상기 제2채널의 방송신호를 튜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현재 시청중인 채널은 제2튜너부에서 튜닝하고, 사용자의 새로운 채널 입력에 대해서는 제1튜너부에서 튜닝을 준비함에 의해, 현재 시청중인 채널에서 새로운 채널로 빠르게 전환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튜너부에 의해 튜닝된 방송신호의 영상을 표시하는 중에, 상기 제1튜너부가 상기 제1채널 또는 상기 제2채널의 방송신호를 튜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현재 시청중인 채널이 화면에 표시되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는 채널에 대해 제1튜너부에서 튜닝을 준비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튜너부가, 상기 제1채널 또는 상기 제2채널의 방송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방송신호를 록킹(Locking)하고, 상기 방송신호의 데이터에 대해 디코딩(Decoding)을 수행함에 의해 상기 방송신호를 튜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는 채널에 대해 제1튜너부가 튜닝 및 디코딩을 수행하여 채널 전환을 위한 준비를 할 수 있다.
상기 제1채널 또는 상기 제2채널의 방송신호의 튜닝이 완료되면, 상기 튜닝된 채널의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는 채널에 대해 튜닝이 완료되면 바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의 입력이 있으면, 상기 튜닝된 채널의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는 채널의 튜닝이 완료된 후에 소정의 사용자의 입력이 있으면 튜닝된 채널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제1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1입력을 화면에 표시하고, 상기 제1입력이 수신된 후 소정시간 내에 상기 제2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1입력 및 상기 제2입력의 조합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제1입력 및 제2입력이 화면에 표시되므로 사용자는 자신의 채널 선택 진행상황을 직접 화면에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1입력이 수신된 후 소정시간이 경과하거나, 또는 상기 제2입력이 수신된 후 소정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제1입력 또는 상기 제2입력의 화면 표시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제1입력 또는 제2입력이 화면에 표시된 후 소정시간이 지나면, 채널 선택을 위한 사용자의 새로운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방송신호수신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제1입력이 수신되면, 제1입력에 대응하는 제1채널의 방송신호를 튜닝하고, 제1입력이 수신된 후 소정시간 내에 제2입력이 수신되면 제1입력과 제2입력의 조합에 대응하는 제2채널의 방송신호를 튜닝함에 의해, 한자리 또는 두자리 채널 입력시 채널 전환 속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빠른 채널 전환에 의해 사용자의 만족감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신호수신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신호수신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선택된 채널의 튜닝이 개시되는 시점을 관련기술과 대비하여 도시한 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숫자키 입력에 따른 방송신호수신장치의 동작의 흐름을 도시한 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선택된 채널의 영상을 표시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선택된 채널의 영상을 표시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입력을 화면에 표시 및 해제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신호수신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먼저 도 1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방송신호수신장치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의 특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하며, 필요에 따라 도 3 내지 7을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신호수신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신호수신장치(100)는 입력수신부(110), 제1튜너부(120), 제1신호처리부(130),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방송신호수신장치(100)는 예컨대 TV 또는 셋톱박스(Set top box)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방송신호수신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방송신호수신장치(100)는 사용자의 제1입력이 수신되면, 제1튜너부(120)가 제1입력에 대응하는 제1채널의 방송신호를 튜닝한다. 방송신호수신장치(100)는 제1입력이 수신된 후 소정시간 내에 사용자의 제2입력이 수신되면, 제1튜너부(120)가 제1입력과 제2입력의 조합에 대응하는 제2채널의 방송신호를 튜닝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방송신호수신장치(100)는 채널 전환을 함에 있어, 한자리 또는 두자리 채널 입력시 해당 채널의 튜닝을 바로 개시하여 채널 전환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빠른 채널 전환에 의해 사용자의 만족감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입력수신부(110)는 복수의 채널 중 어느 하나의 채널 선택을 위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한다. 입력수신부(110)는 예컨대 리모컨에 의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입력수신부(110)는 사용자의 입력으로서 숫자키의 입력을 수신할 수 있고, 다른 실시예로서 숫자키가 아닌 문자키의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이 때, 채널 선택을 위한 사용자의 입력은 숫자키 또는 문자키의 입력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제1튜너부(120)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선택된 채널의 방송신호를 튜닝할 수 있다. 제1튜너부(120)는 선택된 채널의 방송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방송신호를 록킹(Locking)할 수 있다. 제1튜너부(120)는 수신하는 방송신호의 규격 및 방송신호수신장치(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식으로 마련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방송국으로부터 송출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신호나 위성신호를 수신하는 튜너로 구현될 수 있다.
제1신호처리부(130)는 제1튜너부(120)에서 수신한 방송신호에 대해 신호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제1신호처리부(130)가 수행하는 신호처리 프로세스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 바, 예컨대 방송신호의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decoding)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제1신호처리부(130)는 제1튜너부(120)에 포함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제1튜너부(120)는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선택된 채널의 방송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방송신호를 록킹(Locking)하고, 수신한 방송신호의 데이터에 대해 디코딩(decoding) 등의 신호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사용자의 제1입력이 수신되면, 제1입력에 대응하는 제1채널의 방송신호를 튜닝하도록 제1튜너부(120)를 제어한다. 제어부(150)는 제1입력이 수신된 후 소정시간 내에 사용자의 제2입력이 수신되면 제1입력과 제2입력의 조합에 대응하는 제2채널의 방송신호를 튜닝하도록 제1튜너부(120)를 제어한다. 구체적인 예로서 도 3 내지 도5를 이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선택된 채널의 튜닝이 개시되는 시점을 관련기술과 대비하여 도시한 예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A)관련기술의 경우, 제1채널로의 변경을 위해 사용자의 제1입력이 수신(310)되면 소정시간이 경과한 후에 제1채널의 튜닝을 개시(314)하고, 제2채널로의 변경을 위해 제1입력 및 제2입력이 수신(310, 320)되면 소정시간이 경과한 후에 제2채널의 튜닝을 개시(324)할 수 있다. 따라서, (A)관련기술의 경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채널을 변경함에 있어 튜닝을 위한 대기시간이 소요되므로 이로 인해 채널 전환의 속도가 다소 느려지는 문제점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B)본 발명의 경우, 사용자의 제1입력이 수신(310)되면 곧바로 제1입력에 대응하는 제1채널의 방송신호의 튜닝을 개시(312)하도록 하고, 제1입력이 수신(310)된 후 소정시간 내에 제2입력이 수신(320)되면 제2채널의 방송신호의 튜닝을 곧바로 개시(322)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B)본 발명의 경우 채널을 변경하기 위한 사용자의 입력이 수신되면 각각의 입력에 대응하는 채널을 즉시 튜닝하여 빠른 채널 전환을 준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숫자키 입력에 따른 방송신호수신장치의 동작의 흐름을 도시한 예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동작 S410에서 첫번째 숫자키가 입력되면, 동작 S412에서 첫번째 숫자키에 대응하는 해당채널의 디코딩을 준비하고, 디코딩이 완료되면 동작 S440에서 해당채널의 영상을 재생한다. 동작 S410 이후에 추가적인 숫자키 입력이 없으면 동작 S440에서 디코딩된 해당 채널의 영상을 재생하고, 동작 S420에서 두번째 숫자키가 입력되면, 동작 S422에서 첫번째 숫자키 및 두번째 숫자키의 조합에 대응하는 해당채널의 디코딩을 준비하고, 디코딩이 완료되면 동작 S440에서 해당채널의 영상을 재생한다. 마찬가지로 동작 S420 이후에 추가적인 숫자키 입력이 없으면 동작 S440에서 디코딩된 해당 채널의 영상을 재생하고, 동작 S430에서 세번째 숫자키가 입력되면, 동작 S432에서 첫번째 숫자키, 두번째 숫자키 및 세번째 숫자키의 조합에 대응하는 해당채널의 디코딩을 준비하고, 디코딩이 완료되면 동작 S440에서 해당채널의 영상을 재생한다.
구체적인 예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채널 '5'를 시청중인 사용자가 채널 '12'로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에, 리모컨(550)을 이용하여 제1입력으로서 '1'을 입력하면, 제어부(150)는 '1'의 입력에 대응하는 채널 '1'의 방송신호를 튜닝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1'의 입력 후 소정시간 내에 제2입력으로서 '2'를 입력하면, 제어부(150)는 '1'과 '2'의 조합에 대응하는 채널 '12'의 방송신호를 튜닝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TV에서 사용자가 채널 변경을 시도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제1입력 및 제2입력에 대해 대기시간 없이 곧바로 튜닝을 개시하여 빠른 채널 전환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방송신호수신장치(100)는 튜닝된 방송신호의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150)는 제1튜너부(120)에 의해 튜닝된 방송신호의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사용자가 채널 '5'의 영상(595)을 시청하던 중에 리모컨(550)으로 '1'을 입력하면 대응하는 채널 '1'에 대해 튜닝을 개시하되 시청중이던 채널 '5'의 영상(595)을 그대로 유지하여 보여줄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1'의 입력 후 소정시간 내에 '2'를 입력하고 더 이상 추가적인 입력이 없거나 사용자가 리모컨에서 확인(OK)버튼을 누르면, '1'과 '2'의 조합에 대응하는 채널 '12'에 대해 튜닝을 개시하여, 튜닝된 채널 '12'의 영상(525)을 화면에 보여줄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사용자가 채널 '5'의 영상(695)을 시청하던 중에 리모컨(660)으로 '1'을 입력하면 대응하는 채널 '1'에 대해 튜닝을 개시하여 튜닝된 채널 '1'의 영상(615)을 화면에 보여줄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1'의 입력 후 소정시간 내에 '2'를 입력하고 더 이상 추가적인 입력이 없거나 사용자가 리모컨에서 확인(OK)버튼을 누르면, '1'과 '2'의 조합에 대응하는 채널 '12'에 대해 튜닝을 개시하여, 채널 '1'의 영상(615)에서 튜닝된 채널 '12'의 영상(625)으로 변경된 화면을 보여줄 수 있다.
제어부(150)는 제1입력이 수신된 후 소정시간 내에 제2입력이 수신되면 제1채널의 방송신호의 튜닝을 중단하고, 제2채널의 방송신호를 튜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1'의 입력에 대응하는 채널 '1'에 대해 튜닝을 수행하는 중에 소정시간 내에 사용자가 리모컨(550)으로 '2'를 입력하면, 채널 '1'에 대한 튜닝을 중단하고 채널 '12'에 대한 튜닝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제1채널 또는 제2채널의 방송신호의 튜닝이 완료되면, 튜닝된 채널의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1'의 입력에 대응하는 채널 '1'에 대해 튜닝을 수행하여 튜닝이 완료되면, 튜닝된 채널 '1'의 영상(615)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1'의 입력 후 소정시간 내에 '2'를 입력하면 채널 '12'에 대한 튜닝을 수행하고, 튜닝이 완료되면 채널 '12'의 영상(625)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채널 선택을 위해 예컨대 숫자키를 입력하는 경우, 첫번째 숫자키의 입력에 대해 대응하는 한자리 채널을 튜닝한 영상을 표시할 수 있고, 소정시간 내에 두번째 숫자키가 입력되면 첫번째 숫자키 및 두번째 숫자키의 조합에 대응하는 두자리 채널을 튜닝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사용자는 숫자키를 입력할 때마다 대응하는 채널의 영상을 확인하여 채널 선택을 완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어부(150)는 사용자의 입력이 있으면, 튜닝된 채널의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예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채널 '5'를 시청중인 사용자가 채널 '12'로 전환하고자 하는 경우에, 리모컨(550)을 이용하여 제1입력으로서 '1'을 입력하면, 채널 '1'의 방송신호의 튜닝을 개시하고, '1'의 입력 후 소정시간 내에 제2입력으로서 '2'를 입력하면, 채널 '12'의 방송신호의 튜닝을 개시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2'를 입력한 후, 리모컨에서 확인(OK)버튼을 누르는 등의 소정의 사용자의 입력이 있으면, 튜닝된 채널 '12'의 영상을 바로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제1입력이 수신되면, 제1입력을 화면에 표시하고, 제1입력이 수신된 후 소정시간 내에 제2입력이 수신되면 제1입력 및 제2입력의 조합을 화면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리모컨(750)을 이용하여 제1입력으로서 '1'을 입력하면, '1'(710)을 화면의 소정 영역에 표시할 수 있고, '1'의 입력 후 소정시간 내에 사용자가 제2입력으로서 '2'를 입력하면, '1'과 '2'의 조합인 '12'(720)를 화면의 소정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즉, 채널 전환을 위해 사용자의 제1입력 및 제2입력이 순차적으로 수신되면, 먼저 제1입력을 화면에 표시한 상태에서 제2입력을 추가하여 표시하는 방식으로, 사용자가 제1입력 및 제2입력을 화면에서 직접 확인하며 채널을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제1입력이 수신된 후 소정시간이 경과하거나, 또는 제2입력이 수신된 후 소정시간이 경과하면, 제1입력 또는 제2입력의 화면 표시를 해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제1입력에 의해 '1'(710)을 화면에 표시하고, 소정시간 내에 사용자의 제2입력에 의해 '12'(720)를 화면에 표시한 상태에서 소정시간이 경과하면 사용자의 제1입력 및 제2입력이 더 이상 유지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12'(720)의 화면 표시를 해제(730)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입력 및 제2입력의 화면 표시가 해제된 후에, 사용자는 다시 채널 선택을 위해 새로운 입력을 시도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신호수신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신호수신장치(200)는 입력수신부(210), 제1튜너부(220), 제2튜너부(225), 제1신호처리부(230), 제2신호처리부(235), 제어부(250)를 포함하고, 다른 실시예로서 디스플레이부(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방송신호수신장치(200)는 예컨대 TV 또는 셋톱박스(Set top box)로 구현될 수 있다. 입력수신부(210), 디스플레이부(240), 제1튜너부(220) 및 제1신호처리부(230)는 각각 도 1의 입력수신부(110), 디스플레이부(140), 제1튜너부(120) 및 제1신호처리부(130)에 대응하는 구성이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2튜너부(225)는 제1튜너(220)에서 튜닝되는 채널과는 다른 채널의 방송신호를 튜닝할 수 있다. 제2튜너부(225)는 어느 한 채널의 방송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방송신호를 록킹(Locking)할 수 있다.
제2신호처리부(235)는 제2튜너부(225)에서 수신한 방송신호에 대해 예컨대 디코딩(Decoding)과 같은 신호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제2신호처리부(235)는 제2튜너부(225)에 포함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제2튜너부(225)는 어느 한 채널의 방송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방송신호를 록킹(Locking)하고, 수신한 방송신호에 대해 디코딩(decoding) 등의 신호처리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제2튜너부(225)의 튜닝 중에 제1채널 또는 제2채널의 방송신호를 튜닝하도록 제1튜너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50)는 제2튜너부(225)에 의해 튜닝된 방송신호의 영상을 디스플레이부(240)에 표시하는 중에, 제1채널 또는 제2채널의 방송신호를 튜닝하도록 제1튜너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사용자가 시청하고 있는 채널 '5'에 대해서는 제2튜너부(225)가 튜닝을 수행하도록 하고, 사용자가 리모컨(550)으로 '1'을 입력하면 대응하는 채널 '1'에 대해 제1튜너부(220)가 튜닝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1'의 입력 후 소정시간 내에 '2'를 입력하면 '1'과 '2'의 조합에 대응하는 채널 '12'에 대해 제1튜너부(220)가 튜닝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제2튜너부(225)에서 튜닝되는 채널 '5'의 영상(595)을 계속 시청하면서, 채널 변경을 위한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는 채널에 대해서는 제2튜너부(225)가 아닌 제1튜너부(220)가 튜닝을 수행하도록 함에 의해, 효율적으로 빠른 채널 전환을 준비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이 두 개의 튜너가 현재 시청중인 채널과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채널을 각각 튜닝하도록 함에 의해, 사용자가 채널 변경을 취소할 경우 새로운 튜닝 과정 없이 현재의 시청 화면을 그대로 유지하도록 하는 편리함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방송신호수신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동작 S810에서, 사용자의 제1입력이 수신되면, 제1튜너부가 제1입력에 대응하는 제1채널의 방송신호를 튜닝한다. 다음으로, 동작 S820에서, 제1입력이 수신된 후 소정시간 내에 사용자의 제2입력이 수신되면, 제1튜너부가 제1입력과 제2입력의 조합에 대응하는 제2채널의 방송신호를 튜닝할 수 있다. 여기서, 제1튜너부에 의해 튜닝된 방송신호의 영상을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사용자가 채널 '5'의 영상(595)을 시청하던 중에 리모컨(550)으로 '1'을 입력하면 대응하는 채널 '1'에 대해 튜닝을 개시하고, '1'의 입력 후 소정시간 내에 '2'를 입력하면 '1'과 '2'의 조합에 대응하는 채널 '12'에 대해 튜닝을 개시하여, 튜닝된 채널 '12'의 영상(525)을 화면에 보여줄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제1입력이 수신된 후 소정시간 내에 제2입력이 수신되면, 제1채널의 방송신호의 튜닝을 중단하고, 제2채널의 방송신호를 튜닝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1'의 입력에 대응하는 채널 '1'에 대해 튜닝을 수행하는 중에 소정시간 내에 사용자의 '2'의 입력이 수신되면, 채널 '1'에 대한 튜닝을 중단하고 채널 '12'에 대한 튜닝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제1채널의 방송신호를 튜닝하는 동작 S810 및 제2채널의 방송신호를 튜닝하는 동작 S820은, 제1채널 또는 제2채널의 방송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방송신호를 록킹(Locking)하고, 방송신호의 데이터에 대해 디코딩(Decoding)을 수행함에 의해 방송신호를 튜닝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채널 또는 제2채널의 방송신호의 튜닝이 완료되면, 튜닝된 채널의 영상을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1'의 입력에 대응하는 채널 '1'에 대해 튜닝을 수행하여 튜닝이 완료되면, 튜닝된 채널 '1'의 영상(615)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1'의 입력 후 소정시간 내에 '2'를 입력하면 채널 '12'에 대한 튜닝을 수행하고, 튜닝이 완료되면 채널 '12'의 영상(625)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사용자의 입력이 있으면, 튜닝된 채널의 영상을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1입력으로서 '1'을 입력하면, 채널 '1'의 방송신호의 튜닝을 개시하고, '1'의 입력 후 소정시간 내에 제2입력으로서 '2'를 입력하면, 채널 '12'의 방송신호의 튜닝을 개시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2'를 입력한 후, 리모컨에서 확인(OK)버튼을 누르는 등의 소정의 사용자의 입력이 있으면, 튜닝된 채널 '12'의 영상을 바로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서, 제1입력이 수신되면 제1입력을 화면에 표시하고, 제1입력이 수신된 후 소정시간 내에 제2입력이 수신되면 제1입력 및 제2입력의 조합을 화면에 표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입력이 수신된 후 소정시간이 경과하거나, 또는 상기 제2입력이 수신된 후 소정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제1입력 또는 상기 제2입력의 화면 표시를 해제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리모컨(750)을 이용하여 제1입력으로서 '1'을 입력하면, '1'(710)을 화면의 소정 영역에 표시할 수 있고, '1'의 입력 후 소정시간 내에 사용자가 제2입력으로서 '2'를 입력하면, '1'과 '2'의 조합인 '12'(720)를 화면의 소정영역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12'(720)를 화면에 표시한 상태에서 소정시간이 경과하면 사용자의 제1입력 및 제2입력이 더 이상 유지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여 '12'(720)의 화면 표시를 해제(730)할 수 있다.
제2튜너부가 제1튜너에서 튜닝되는 채널과는 다른 채널의 방송신호를 튜닝하는 중에, 제1튜너부가 제1채널 또는 제2채널의 방송신호를 튜닝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튜너부에 의해 튜닝된 방송신호의 영상을 표시하는 중에, 제1튜너부가 제1채널 또는 제2채널의 방송신호를 튜닝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재 사용자가 시청하고 있는 채널 '5'에 대해서는 제2튜너부가 튜닝을 수행하도록 하고, 사용자가 '1'을 입력하면 대응하는 채널 '1'에 대해 제1튜너부가 튜닝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1'의 입력 후 소정시간 내에 '2'를 입력하면 '1'과 '2'의 조합에 대응하는 채널 '12'에 대해 제1튜너부가 튜닝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100 : 방송신호수신장치
110 : 입력수신부
120 : 제1튜너부
130 : 제1신호처리부
140 : 디스플레이부
150 : 제어부
200 : 방송신호수신장치
210 : 입력수신부
220 : 제1튜너부
225 : 제2튜너부
230 : 제1신호처리부
235 : 제2신호처리부
240 : 디스플레이부
250 : 제어부

Claims (20)

  1. 방송신호수신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채널 중 어느 하나의 채널 선택을 위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입력수신부와;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선택된 채널의 방송신호를 튜닝할 수 있는 제1튜너부와;
    상기 튜닝된 방송신호의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의 제1숫자의 제1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1숫자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제1숫자로 표시되는 채널번호의 제1채널의 방송신호를 튜닝하도록 상기 제1튜너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1입력이 수신된 후 상기 제1숫자의 제1채널을 튜닝하는 동안 소정시간 내에 사용자의 제2숫자의 제2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1숫자와 상기 제2숫자의 조합으로 표시되는 제3숫자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제3숫자로 표시되는 채널번호의 제2채널의 방송신호를 튜닝하도록 상기 제1튜너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2채널의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제1입력이 수신된 후 상기 제1숫자에 대응하는 제1채널을 튜닝하는 동안 상기 소정시간 후에 상기 사용자의 제2숫자의 제2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1숫자 없이 상기 제2숫자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상기 제2숫자로 표시되는 채널번호의 제3채널의 방송신호를 튜닝하도록 상기 제1튜너부를 제어하여 상기 제3채널의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방송신호수신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입력이 수신된 후 상기 소정시간 내에 상기 제2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1채널의 방송신호의 튜닝을 중단하고, 상기 제2채널의 방송신호를 튜닝하도록 제어하는 방송신호수신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튜너에서 튜닝되는 채널과는 다른 채널의 방송신호를 튜닝할 수 있는 제2튜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튜너부의 튜닝 중에, 상기 제1채널 또는 상기 제2채널의 방송신호를 튜닝하도록 상기 제1튜너부를 제어하는 방송신호수신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튜너부에 의해 튜닝된 방송신호의 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중에, 상기 제1채널 또는 상기 제2채널의 방송신호를 튜닝하도록 상기 제1튜너부를 제어하는 방송신호수신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튜너부는, 상기 제1채널 또는 상기 제2채널의 방송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방송신호를 록킹(Locking)하고, 상기 방송신호의 데이터에 대해 디코딩(Decoding)을 수행함에 의해 상기 방송신호를 튜닝하는 방송신호수신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채널 또는 상기 제2채널의 방송신호의 튜닝이 완료되면, 상기 튜닝된 상기 제1채널 또는 상기 제2채널의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방송신호수신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입력이 있으면, 상기 튜닝된 상기 제1채널 또는 상기 제2채널의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방송신호수신장치.
  9. 삭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입력이 수신된 후 소정시간이 경과하거나, 또는 상기 제2입력이 수신된 후 소정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제1입력 또는 상기 제2입력의 화면 표시를 해제하는 방송신호수신장치.
  11. 방송신호수신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방송신호의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와;
    사용자의 제1숫자의 제1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1숫자를 표시하고, 제1튜너부에 의해 상기 제1숫자로 표시되는 채널번호의 제1채널의 방송신호를 튜닝하는 단계와;
    상기 제1입력이 수신된 후 상기 제1숫자의 제1채널을 튜닝하는 동안 소정시간 내에 사용자의 제2숫자의 제2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1숫자와 상기 제2숫자의 조합으로 표시되는 제3숫자를 표시하고, 상기 제1튜너부에 의해 상기 제3숫자로 표시되는 채널번호의 제2채널의 방송신호를 튜닝하여 상기 제2채널의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제1입력이 수신된 후 상기 제1숫자에 대응하는 제1채널을 튜닝하는 동안 상기 소정시간 후에 상기 사용자의 제2숫자의 제2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1숫자 없이 상기 제2숫자를 표시하고, 상기 제1튜너부에 의해 상기 제2숫자로 표시되는 채널번호의 제3채널의 방송신호를 튜닝하여 상기 제3채널의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송신호수신장치의 제어방법.
  12. 삭제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입력이 수신된 후 상기 소정시간 내에 상기 제2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1채널의 방송신호의 튜닝을 중단하고, 상기 제2채널의 방송신호를 튜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송신호수신장치의 제어방법.
  14. 제 11항에 있어서,
    제2튜너부에 의해 상기 제1튜너부에서 튜닝되는 채널과는 다른 채널의 방송신호를 튜닝하는 중에, 상기 제1튜너부에 의해 상기 제1채널 또는 상기 제2채널의 방송신호를 튜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송신호수신장치의 제어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튜너부에 의해 튜닝된 방송신호의 영상을 표시하는 중에, 상기 제1튜너부에 의해 상기 제1채널 또는 상기 제2채널의 방송신호를 튜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송신호수신장치의 제어방법.
  1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튜너부에 의해, 상기 제1채널 또는 상기 제2채널의 방송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방송신호를 록킹(Locking)하고, 상기 방송신호의 데이터에 대해 디코딩(Decoding)을 수행함에 의해 상기 방송신호를 튜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송신호수신장치의 제어방법.
  17.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채널 또는 상기 제2채널의 방송신호의 튜닝이 완료되면, 상기 튜닝된 상기 제1채널 또는 상기 제2채널의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송신호수신장치의 제어방법.
  18. 제 1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입력이 있으면, 상기 튜닝된 상기 제1채널 또는 상기 제2채널의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송신호수신장치의 제어방법.
  19. 삭제
  20.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입력이 수신된 후 소정시간이 경과하거나, 또는 상기 제2입력이 수신된 후 소정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제1입력 또는 상기 제2입력의 화면 표시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송신호수신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40110984A 2014-08-25 2014-08-25 방송신호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2276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0984A KR102227601B1 (ko) 2014-08-25 2014-08-25 방송신호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4/829,783 US10178340B2 (en) 2014-08-25 2015-08-19 Broadcasting signal receiv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0984A KR102227601B1 (ko) 2014-08-25 2014-08-25 방송신호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4321A KR20160024321A (ko) 2016-03-04
KR102227601B1 true KR102227601B1 (ko) 2021-03-16

Family

ID=55349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0984A KR102227601B1 (ko) 2014-08-25 2014-08-25 방송신호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178340B2 (ko)
KR (1) KR10222760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94633B (zh) * 2019-12-03 2021-11-23 海信视像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epg用户界面的展示方法及显示设备
CN111836091A (zh) * 2020-06-01 2020-10-27 视联动力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遥控设备的响应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47140A1 (en) * 2007-12-06 2009-06-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apparatus for processing plurality of images and control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9099B1 (ko) 1997-06-21 2001-12-15 윤종용 채널 선국방법 및 장치
KR100217184B1 (ko) * 1997-06-30 1999-09-01 윤종용 디지털 다채널 텔레비젼 수상기의 채널 절환방법
JP3632205B2 (ja) 2001-05-15 2005-03-23 船井電機株式会社 受信装置
US20040001500A1 (en) 2002-07-01 2004-01-01 Castillo Michael J. Predictive tuning to avoid tuning delay
KR20080039597A (ko) 2006-11-01 2008-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채널전환방법 및 장치
KR100841442B1 (ko) 2006-11-24 2008-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및 그의 채널 선국 방법
KR101804516B1 (ko) 2011-08-31 2017-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 수신 장치 및 방법
US20130135535A1 (en) 2011-11-30 2013-05-30 Curtis Ling Method and apparatus for fast channel chang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47140A1 (en) * 2007-12-06 2009-06-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apparatus for processing plurality of image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4321A (ko) 2016-03-04
US10178340B2 (en) 2019-01-08
US20160057376A1 (en) 2016-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26488A1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video switch thereof
US2004018987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witching television channels
US8739196B2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pre-tuning a second tuner in anticipation of a channel surfing activity
US8763040B2 (en) Method of processing transmit streams independently to display multiple broadcasts at the same time and a receiver for implementing the same
KR102227601B1 (ko) 방송신호수신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30085906A (ko) 복수의 튜너를 갖는 텔레웹정보 수신장치 및 채널검색방법
WO2006089022A1 (en) Channel navigation on integrated atsc tuner tv set
US20080083008A1 (en) Broadcasting receiv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7266717A (ja) 放送受信機
KR19990042395A (ko) 텔레비젼에서의 방송 탐색 방법
JP2007049539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20090010714A (ko) 주/부화면 채널 선택방법 및 이를 적용한 영상표시장치
KR20060060174A (ko)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633090B1 (ko) 디지털 tv의 제어방법
JP3609727B2 (ja) ディジタル・アナログ放送受信装置
KR20060030739A (ko) 디지털 다채널 텔레비전 수신기에서 간편한 채널 전환 방법
US20090135308A1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remote controller and method for scanning channels thereof
KR20060007162A (ko) 케이블 디지털 텔레비전의 자동 채널 검색 방법
KR100685994B1 (ko) 영상기기 및 그 국가별 채널 운용 방법
JP2004015076A (ja) 放送受信装置
KR100742338B1 (ko) 채널을 네비게이션할 수 있는 방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
KR100697424B1 (ko) 영상표시기기의 피아이피 제어장치 및 방법
JP2009111468A (ja) 放送受信機
JP2009065266A (ja) チャンネル選択装置及び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20050072952A (ko) 최다 시청 채널의 자동선국 기능을 갖는 영상표시장치 및그 최다 시청 채널 자동선국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