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7408B1 - 장식 벽체의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장식 벽체의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7408B1
KR102227408B1 KR1020190158510A KR20190158510A KR102227408B1 KR 102227408 B1 KR102227408 B1 KR 102227408B1 KR 1020190158510 A KR1020190158510 A KR 1020190158510A KR 20190158510 A KR20190158510 A KR 20190158510A KR 102227408 B1 KR102227408 B1 KR 1022274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
formwork
timber
wood
cut w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8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재호
Original Assignee
신재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재호 filed Critical 신재호
Priority to KR1020190158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74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7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74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08Forms, which are completely dismantled after setting of the concrete and re-built for next pou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1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with additional peculiarities such as surface shaping, insulating or heating, permeability to water or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시공 방법은, 건물의 장식 벽체를 형성하기 위해 거푸집을 설치하고, 상기 거푸집의 안쪽면에 절단 목재를 고정하는 단계와; 콘크리트를 상기 거푸집안으로 타설하여 양생하는 단계와; 상기 콘크리트가 양생된 다음, 상기 절단 목재를 상기 거푸집으로부터 분리하여 건물 벽체에 복수의 홈을 형성하고, 상기 절단 목재의 외피를 상기 홈에 부착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거푸집을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장식 벽체의 시공 방법{Building Decorating Wall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건물 시공시 벽체에 각종 나무 문양이 구현되도록 함으로써 자연친화적인 경관미를 연출할 수 있는 건물의 장식 벽체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벽체를 시공하기 위해서는, 거푸집을 마련하며, 여기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제작한다.
종래에는 건물 벽체의 외면에 심미감을 주고자 하는 경우에는, 다양한 문양의 외장재를 별도로 부착하는 작업을 수행하는데, 외장재를 건물 벽체 외면에 별도로 부착하는 공정이 추가되어야 하므로 그 만큼 시공기간이 지연되고, 작업도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건물 벽체 시공시 껍질이 있는 절단 목재를 거푸집안에 구비한 후 콘크리트 타설작업을 수행하고, 콘트리트 양생후 절단 목재 및 거푸집을 제거하며, 절단 목재에서 분리된 외피가 건물 벽체 외면에 부착되고, 외피에 의하여 벽체에 다양한 문양이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시공이 매우 간편하면서도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건물 장식 벽체의 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공 방법은, 건물의 장식 벽체를 형성하기 위해 거푸집을 설치하고, 상기 거푸집의 안쪽면에 절단 목재를 고정하는 단계와; 콘크리트를 상기 거푸집안으로 타설하여 양생하는 단계와; 상기 콘크리트가 양생된 다음, 상기 절단 목재를 상기 거푸집으로부터 분리하여 건물 벽체에 복수의 홈을 형성하고, 상기 절단 목재의 외피를 상기 홈에 부착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거푸집을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건물 벽체를 시공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문양의 절단 목재를 거푸집안에 구비하고 콘크리트 타설 작업을 수행한 다음, 콘크리트 양생후 절단 목재 및 거푸집을 제거하면, 건물 벽체 외면에 자연 친화적인 외피로 이루어진 다양한 문양이 구현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피에 의해 문양부가 형성될 때, 벽체를 시공하기 위해 타설하는 콘크리트가 양생후, 절단 목재를 제거하면 자동적으로 문양부가 형성되므로, 자연 친화적인 조경미를 표현하기 위한 별도의 작업이 요구되지 않아 심미감을 구현하는데 큰 어려움 없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물 장식 벽체의 시공시, 벽체의 시공과 문양부를 형성하는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어, 벽체 시공이 매우 간편하면서도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장식 벽체의 일부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장식 벽체의 시공 방법을 설명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장식 벽체의 시공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절단 목재의 준비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에 있어서, 건물 장식 벽체(10)는 편의상 소정의 사이즈로 표현한 것으로서, 실제로는 건물 전체 크기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장식 벽체(10)는 복수의 홈(12)이 형성될 수 있다. 홈(12)안에는 외피(14)에 의해 문양부가 형성될 수 있다. 외피(14)는 절단 목재(30)의 껍질이 분리된 것이다.
홈(12)은 건물의 외면에 해당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고, 외피(14)는 다양한 종류의 절단 목재(3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홈(12)은 반원형으로 형성할 수 있는데, 절단 목재(30)의 절단 형태에 따라 좌우될 수 있다. 절단 목재(30)가 반원형으로 절단되는 경우, 홈(12)도 동일하게 반원형의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절단 목재가 반원형이 아닌 직각 형태로 절단되는 경우, 홈(12)도 동일하게 직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문양부는 다양한 종류의 외피(14)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피(14)는 참나무, 소나무 등의 껍질(외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 목재는 거푸집(20)안에 고정된 다음, 콘크리트가 양생되는 과정에서 외피(14)가 절단 목재(30)로부터 분리되어 콘트리트면에 부착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건물 장식 벽체(10)의 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건물 벽체를 형성하기 위해 거푸집(20)을 설치할 수 있다. 거푸집(20) 설치후 거푸집(20)의 안쪽면에 절단 목재(30)를 고정할 수 있다. 절단 목재(30)의 고정 후 콘크리트(C)를 거푸집(20)안에 타설하여 양생할 수 있다. 콘크리트(C) 양생 후 절단 목재(30)를 거푸집(20)으로부터 분리하여 건물 벽체에 복수의 홈(12)을 형성할 수 있다. 홈(12)에 다양한 종류의 외피가 문양부로서 부착될 수 있다. 문양부 형성 후 거푸집(20)을 제거할 수 있다.
다양한 외피(14)를 부착하기 위하여, 한가지 종류의 절단 목재(30)를 거푸집(20)에 투입하거나, 여러 종류의 절단 목재(30)를 거푸집(20)에 투입할 수 있다.
절단 목재(30)를 거푸집(20)의 안쪽면에 고정시킬 때에는, 못과 같은 체결 부재(31)로 절단 목재(30)를 거푸집(20) 안에 고정시킬 수 있다. 체결 부재(31)는 절단 목재(30)의 길이 방향 또는 폭 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방법을 통해 절단 목재(30)는 거푸집(20)의 안쪽면에 간격을 두고 복수로 고정될 수 있다.
절단 목재(30)가 거푸집(20)의 안쪽면에 간격을 두고 복수로 고정될 때, 고정되는 간격은, 문양부의 패턴을 고려하여 좁게 하거나 또는 상대적으로 넓게 할 수 있다. 절단 목재(30)의 폭은 일정한 크기로 하거나 또는 다양한 크기로 형성하여 거푸집(20)의 안쪽면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절단 목재(30)의 폭을 고려하여 복수의 절단 목재(30)의 배치 간격도 다양하게 배치하여, 최종적으로 구현되는 건물 장식 벽체(10)의 외관 디자인이 다양하게 표현되도록 할 수 있다.
건물의 전체 벽면을 볼때, 외피(14)에 의해 형성되는 홈(12)의 크기와 절단 목재(30)간의 간격은, 벽체 전체 면적에 모두 일정하게 형성할 수 있고, 또는 절단 목재(30)의 폭(도 3에서 평면상 가로길이)을 달리하여 홈(12)의 크기가 다양하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절단 목재(30)간의 간격은 일정하지 않고 다양하게 달리하여 형성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절단 목재(30)의 폭은 복수의 절단 목재(30)의 배치 간격보다 크게 형성할 수도 있다. 절단 목재(30)는 거푸집(20)안에 고정시, 서로 인접되게 붙여서 배치할 수도 있다.
거푸집(20)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거푸집(20)의 안쪽면 즉, 건물의 외면에 해당하는 부분에 복수의 절단 목재(30)를 체결 부재(31)로 고정하고, 콘크리트(C)를 타설하여 양생할 수 있다.
콘크리트(C)의 양생후, 거푸집(20)에 고정된 체결 부재(31)는 별도의 공구를 통해 거푸집(20)으로부터 빼내고, 거푸집(20)안에 삽입된 절단 목재(30)를 분리할 수 있다. 건물 장식 벽체(10)의 외면에는, 간격을 두고 복수의 홈(반원형 홈)(12)이 형성될 수 있다. 홈(12)안에는 절단 목재(30)의 제거시 외피(14)로 이루어진 문양부가 부착되어 자연 친화적인 문양을 형성할 수 있다.
건물 벽체를 구성하는 콘크리트는, 시멘트와 염료를 적절한 조성비로 구성할 수 있다. 장식 벽체(10)의 색상 형성을 위하여, 거푸집(20)에 타설되는 콘크리트(C)에 염료를 섞고, 컬러 색상을 구현할 수 있다. 콘크리트(C) 및 홈(12)이 동일한 색상을 갖고, 자연 재료인 외피(14)는 콘크리트(C) 또는 홈(12)과 다른 색상을 가질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절단 목재(30)는 서로 다른 길이, 굵기, 또는 형상을 갖는 제1 절단 목재(51) 및 제2 절단 목재(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절단 목재(51) 및 제2 절단 목재(52)의 길이와 거푸집(20)의 높이는 다를 수 있다.
일일이 절단 목재(30)의 길이를 거푸집(20)과 맞출 필요없이, 절단 목재(30)와 거푸집(20)이 대면되는 부분에만 콘크리트(C)를 타설할 수 있다. 절단 목재(30)를 길이 방향으로 잘라낼 필요없이 절단 목재(30)를 그대로 들어내면 콘트리트 영역에 홈(12)이 형성되게 할 수 있다.
제1 절단 목재(51) 및 제2 절단 목재(52)는 거푸집(2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서로 대면될 수 있다. 거푸집(20)의 높이 방향을 따라, 거푸집(20)과 제1 절단 목재(51)가 대면되는 부분에만 콘크리트(C)가 타설되고, 양생 후에 거푸집(20)보다 더 긴 제1 절단 목재(51)를 제거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거푸집(20)보다 제2 절단 목재(52)가 짧은 경우, 제2 절단 목재(52) 위에 제1 절단 목재(51)를 연장 배열한 후에 제1 절단 목재(51) 부분까지 콘크리트(C)를 채울 수 있다.
반면, 거푸집(20)보다 제2 절단 목재(52)가 짧은 경우, 거푸집(20)과 제2 절단 목재(52)가 대면되는 부분에만 콘트리트를 타설하고, 절단 목재(30)가 배열되지 않은 거푸집(20) 부분에는 콘크리트(C)가 타설되지 않을 수 있다. 절단 목재(30)가 배열되지 않은 부분은 추후에 절단 목재(30)를 배열한 후에 콘크리트(C)를 타설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장식 벽체(10) 전체 영역에 걸쳐 홈(12) 및 외피(14)가 타설될 수 있다.
제1 절단 목재(51)와 제2 절단 목재(52)는 형상이나 길이, 굵기에 있어서 서로 다른 것을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장식 벽체(10)의 홈(12)은 평행한 상태로 일정 간격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홈(12)은 높이 방향을 따라 끊어지지 않고 길게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홈(12)은 횡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평행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홈(12)은 거푸집(2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일직선상으로 길게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절단 목재(30)의 단부(56)가 서로 밀착될 수 있다. 거푸집(20)의 높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제1 절단 목재(51) 및 제2 절단 목재(52)의 단부(56)가 서로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절단 목재(51)의 단부(56) 및 제2 절단 목재(52)의 단부(56)가 공통의 절단선(54)을 따라 절단될 수 있다.
서로 다른 특성을 갖는 외피(14)와 콘크리트(C)의 접착력 강화 수단이 필요하다. 절단 목재(30)를 홈(12)에서 분리한 다음, 외피(14)가 포함된 홈(12)에 세라믹 코팅제를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라믹 성분이 경화되면 외피(14)와 콘크리트(C) 사이의 빈 틈이 강하게 채워질 수 있다.
도 3과 같이 절단 목재(30)를 길이 방향으로 직선이 아닌 상태가 많지만, 홈(12)은 일직선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거푸집(2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제1 절단 목재(51) 및 제2 절단 목재(52)를 인접하게 대면시킬 수 있다.
제1 절단 목재(51)의 단부(56)에 제2 절단 목재(52)의 일측의 단부(56)를 밀착시킬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제2 절단 목재(52)를 체결 부재(31)로 거푸집(2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일측 단부(56)가 거푸집(20)에 고정된 제2 절단 목재(52)를 구부릴 수 있다. 도 3에 화살표 방향의 힘을 가하면 제2 절단 목재(52)를 직선에 가깝게 휠 수 있다. 일측 단부(56)의 체결 부재(31) 고정과 휨 모멘트의 작용에 의하여 제2 절단 목재(52)가 제1 절단 목재(51)와 일직선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제2 절단 목재(52)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을 향하여 체결 부재(31)를 순차적으로 체결하면 홈(12)이 거푸집(2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직선상에 배열되게 할 수 있다.
제1 절단 목재(51)가 거푸집(20)에 고정된 다음, 제2 절단 목재(52)는 거푸집(20)의 높이 방향 또는 횡 방향을 따라 제1 절단 목재(51)에 인접하게 배열될 수 있다. 제2 절단 목재(52)의 일측 단부(56)를 체결 부재(31)에 의하여 고정하고, 제2 절단 목재(52)의 중앙 부분(53) 또는 제2 절단 목재(52)의 타측 단부(56)를 구부릴 수 있다.
제2 절단 목재(52)의 중앙 부분(53) 또는 타측 단부(56)가 제1 절단 목재(51)와 높이 방향을 따라 직선상에 배열되거나 횡 방향을 따라 제1 절단 목재(51)에 밀착된 상태에서, 체결 부재(31)가 일측 단부(56)로부터 중앙 부분을 향하는 순서로 체결되거나, 일측 단부(56)로부터 타측 단부(56)를 향하는 순서로 체결될 수 있다.
C : 콘크리트 10 : 건물 장식 벽체
12 : 홈 14 : 외피
20 : 거푸집 30 : 절단 목재
31 : 체결 부재 51...제1 절단 목재
52...제2 절단 목재 53... 중앙 부분
54...절단선 56...단부

Claims (6)

  1. 외피가 노출된 반원형 또는 곡면형의 단면을 갖는 절단 목재를 준비하는 단계;
    장식 벽체가 형성될 건물의 외벽에 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거푸집에 상기 절단 목재를 체결 부재로 고정하는 단계;
    상기 거푸집과 상기 절단 목재 사이의 빈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하는 단계;
    상기 절단 목재를 분리하고, 상기 절단 목재가 분리된 위치에 형성된 복수의 홈에 상기 외피가 부착되어 상기 홈에 문양부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절단 목재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고 상기 거푸집의 횡 방향 또는 높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제1 절단 목재 및 제2 절단 목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절단 목재 및 상기 제2 절단 목재는 상기 거푸집의 높이 방향을 따라 서로 대면되며,
    상기 거푸집의 높이 방향을 따라, 상기 거푸집과 상기 제1 절단 목재가 대면되는 부분 또는 상기 거푸집과 상기 제2 절단 목재가 대면되는 부분에만 상기 콘트리트가 타설되고,
    상기 제1 절단 목재가 상기 거푸집에 고정된 다음, 상기 제2 절단 목재는 상기 거푸집의 높이 방향 또는 횡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절단 목재에 인접하며,
    상기 제2 절단 목재의 일측 단부를 체결 부재에 의하여 고정하고,
    상기 제2 절단 목재의 중앙 부분 또는 상기 제2 절단 목재의 타측 단부를 구부리며,
    상기 제2 절단 목재의 상기 중앙 부분 또는 상기 타측 단부가 상기 제1 절단 목재와 높이 방향을 따라 직선상에 배열되고, 상기 횡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절단 목재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 부재가 상기 일측 단부로부터 상기 중앙 부분을 향하는 순서로 체결되며, 상기 일측 단부로부터 상기 타측 단부를 향하는 순서로 체결되어서 상기 홈이 높이 방향을 따라 일직선상에 형성되고,
    상기 절단 목재를 상기 홈에서 분리한 다음, 상기 외피가 포함된 상기 홈에 세라믹 코팅제를 도포하며,
    상기 거푸집에 타설되는 상기 콘크리트에 염료를 섞고,
    상기 콘크리트 및 상기 홈이 동일한 색상을 갖고,
    상기 외피는 상기 홈과 다른 색상을 갖는 장식 벽체의 시공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90158510A 2019-12-02 2019-12-02 장식 벽체의 시공 방법 KR1022274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8510A KR102227408B1 (ko) 2019-12-02 2019-12-02 장식 벽체의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8510A KR102227408B1 (ko) 2019-12-02 2019-12-02 장식 벽체의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7408B1 true KR102227408B1 (ko) 2021-03-12

Family

ID=75177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8510A KR102227408B1 (ko) 2019-12-02 2019-12-02 장식 벽체의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740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0235Y1 (ko) * 2004-09-20 2004-12-13 박해준 건물외벽의 돌출무늬 성형용 조립식 거푸집
KR20110136344A (ko) * 2010-06-15 2011-12-21 김홍만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부표면에 나무 겉껍질과 동일한 무늬 및 색상을 성형할 수 있는 시공방법
KR101139942B1 (ko) * 2009-03-23 2012-04-30 임채열 노출콘크리트 표면의 보수 및/또는 보강공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0235Y1 (ko) * 2004-09-20 2004-12-13 박해준 건물외벽의 돌출무늬 성형용 조립식 거푸집
KR101139942B1 (ko) * 2009-03-23 2012-04-30 임채열 노출콘크리트 표면의 보수 및/또는 보강공법
KR20110136344A (ko) * 2010-06-15 2011-12-21 김홍만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부표면에 나무 겉껍질과 동일한 무늬 및 색상을 성형할 수 있는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59761B2 (en) Joint filling strip
US7926235B2 (en) Monolithic concrete wall expansion joint system
KR102227408B1 (ko) 장식 벽체의 시공 방법
JP2006291697A (ja) 装飾用施工具、装飾用施工具の製作方法、装飾方法、建築資材
US5325652A (en) Contoured marble and method of fabrication
DK3075565T3 (en) Building plate and method of making it
US7749346B1 (en) Decorative inlay repair method
KR102227404B1 (ko) 건물 장식 벽체와 이러한 장식 벽체의 제조방법
KR100418448B1 (ko) 자연석을 이용한 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100362356B1 (ko) 장식블록의 성형방법
JP6286347B2 (ja) 目地溝の形成方法
CN217581189U (zh) 一种弧形竖纹竹模清水混凝土施工结构
US6038822A (en) Octagonal shaped concrete block
ITMI20120222A1 (it) Kit per casseforme a perdere per la costruzione di recinzioni
KR19990078905A (ko) 고전한옥의 공포(拱包)성형용 금형 및 그 금형에 의한 공포성형방법
JPH05287829A (ja) 型枠建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220575Y1 (ko) 자연석 블록
BE1023001B1 (nl) Strengpersmond, strengpersinrichting en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steenstrippen
TWI604114B (zh) Method for setting decorations on a building wall
US4089925A (en) Method for making faced blocks
KR100430394B1 (ko) 자연석 부착 합성수지 패널 및 이를 위한 제조방법
JPS5942623B2 (ja) 石膏化粧ボ−ドの成形方法
CA222786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n ornamental surface
JP6427883B2 (ja) セメント組成体の仕上げ方法
RU16165U1 (ru) Декоративный отделочный строительный камень (вариант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