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7099B1 -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retiree life planning information design assistance method - Google Patents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retiree life planning information design assistance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7099B1
KR102227099B1 KR1020200109830A KR20200109830A KR102227099B1 KR 102227099 B1 KR102227099 B1 KR 102227099B1 KR 1020200109830 A KR1020200109830 A KR 1020200109830A KR 20200109830 A KR20200109830 A KR 20200109830A KR 102227099 B1 KR102227099 B1 KR 1022270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community
interest
artificial intellig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98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성은숙
Original Assignee
성은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은숙 filed Critical 성은숙
Priority to KR1020200109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709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7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709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designing a future life plan of a retiree and providing information necessary therefor by us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and, more specifically, to a method of preemptively suggesting the development of the most required ability for each user based on personal information uploaded by users and the field of interest of users collected from social network service (SNS) of users.

Description

인공지능 기반의 퇴직자 인생 계획 정보 설계 보조 방법{ARTIFICIAL INTELLIGENCE-BASED RETIREE LIFE PLANNING INFORMATION DESIGN ASSISTANCE METHOD}AI-based retiree life planning information design assistance method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RETIREE LIFE PLANNING INFORMATION DESIGN ASSISTANCE METHOD}

본 발명은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퇴직자의 향후 인생 계획과 이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 및 설계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업로드한 개인 정보 및 사용자의 SNS(Social Network Service) 등에서 수집한 사용자의 관심분야를 기반으로 각 사용자에게 가장 요구되는 능력 계발을 선제적으로 제안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providing and designing a retiree's future life plan and necessary information us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More specifically, personal information uploaded by a user and collected from a user's SNS (Social Network Service), etc. It is about a method of proactively suggesting the development of the skills most required of each user based on the user's interests.

인구의 고령화 시대에 접어들면서, 급증하는 퇴직자는 퇴직자 개인의 문제를 넘어서 사회 전체의 문제로까지 확대되고 있다.As the population enters the age of aging, the rapidly increasing number of retirees extends beyond the individual problem of the retiree to the problem of society as a whole.

퇴직자의 실황을 조사한 보고서에 따르면, 50세 이상 퇴직자들이 국민연금 수령 때까지 버텨야 하는 소득 공백 기간은 약 12.5년이고, 이 기간 퇴직자 3명 중 2명가량은 생활비를 29%가량 줄이거나, 재취업에 나서고 있으며, 응답자의 38.1%는 50∼54세에 퇴직했고, 45∼49세 은퇴자도 23.2%나 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According to a report examining the actual situation of retirees, the income gap that retirees 50 years of age or older must withstand until they receive the national pension is about 12.5 years. 38.1% of the respondents retired at the ages of 50 to 54, and 23.2% of the respondents retired at the ages of 45 to 49.

퇴직자들이 생각하는 이상적인 생활비는 월 400만∼500만 원이었지만, 실제 지출하는 평균 생활비는 약 251만7000원으로 이에 크게 못 미치고, 이 때문에 퇴직자 절반(55.1%)은 재취업이나 창업을 하였으며, 배우자도 절반 이상(58.6%)이 일을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The ideal cost of living that retirees think was 4 to 5 million won per month, but the average living cost actually expended is about 2,557,000 won, which is far below that, and because of this, half of the retirees (55.1%) re-employed or started a business, and their spouses also have a spouse. More than half (58.6%) were found to be working.

퇴직자 가구의 수입은 월평균 393만7000원 정도로, 퇴직자 36.4%는 일을 그만두면 늦어도 1년 안에 형편이 어려워질 것이라는 우려를 안고 산다.Retiree households earn an average monthly income of 3937,000 won, and 36.4% of retirees live with fear that if they quit work, their circumstances will become difficult within a year at the latest.

때문에, 퇴직자의 65%는 퇴직 후 심적 후유증을 경험하며, 특히 생계를 책임지는 가장으로서의 압박감(44.8%) 외에도 사회적 지위 상실(42.7%)로 인한 심적 후유증이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Therefore, 65% of retirees experience mental sequelae after retirement, and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in addition to the pressure as head of household responsible for livelihood (44.8%), mental sequelae due to loss of social status (42.7%) occurred.

특히, 갑작스러운 퇴직 후 이러한 심적 후유증에 의하여 무기력증 또는 상황 부정에 빠져, 새로운 출발을 하기까지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시간이 많고, 이러한 시간이 길어질수록 결국 자포자기와 같은 심리상태가 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In particular, after sudden retirement, there is a lot of time that is unnecessarily wasted until the start of a new start due to lethargy or situational denial due to such mental aftereffects, and the longer this time, the more often the mental state such as despair becomes. .

이와 같은 배경 하에서, 국가에서는 1,000명 대기업은 정년·희망퇴직 등 비자발적 사유로 이직하는 50세 이상 노동자들에게 재취업 지원 서비스를 의무적으로 제공해야 한다는 고령자고용법 시행령이 시행 중에 있으며, 단순한 재취업 및 재교육에 한정하지 않고 변화하는 환경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새로운 업을 스스로 찾을 수 있도록 하는 보조 프로그램의 필요가 절실한 상황이다.Against this background, the government has enforced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Elderly Employment Act, which requires that 1,000 large corporations must provide reemployment support services to workers over 50 who are retiring due to involuntary reasons such as retirement or desired retirement. There is a desperate need for a subsidiary program that allows them to find new businesses on their own so that they can actively cope with the changing environment without limitation.

한국등록특허 제10-1493736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493736

본 발명은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퇴직자의 향후 인생 계획과 이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 및 설계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providing and designing a retiree's future life plan and necessary information us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I will be able to.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인공지능에 기반하여 퇴직자의 향후 인생 계획과 이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 및 설계하는 방법에 있어서, 인공지능에 기반하여 퇴직자의 향후 인생 계획과 이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 및 설계하는 방법에 있어서,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providing and designing a retiree's future life plan and necessary information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 method of providing and designing the retiree's future life plan and necessary information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In,

(a) 사용자가 입력한 1차 입력 정보 및 외부 데이터 서버로부터 수집한 1차 외부 정보를 포함하는 1차 개인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수신하여 중앙 서버로 전송하고,(a) Receive primary personal information including primary input information entered by the user and primary external information collected from an external data server to the user terminal and transmit it to the central server,

(b) 중앙 서버로 취합된 1차 개인 정보 중 핵심요소를 추출 및 분석하고, (b) Extracting and analyzing key elements of the primary personal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central server,

(c) 기계학습(machine learning)을 통해 핵심 요소별 조합에 따른 가중치를 각각 계산하고,(c) Calculate each weight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key elements through machine learning,

(d) 1차 개인정보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분석된 2차 개인 정보를 토대로 인공지능에 의해 사용자의 관심분야를 예측하고, (d) Predict the user's interest field by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on the secondary personal information analyzed by applying a weight to the primary personal information,

(e) 관심분야를 공유하는 커뮤니티 및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e) propose communities and programs that share areas of interest,

(f) 사용자와 상기 커뮤니티 및 프로그램의 시너지 효과를 계산하고,(f) calculating synergies between users and the community and programs,

(g) 상기 계산된 시너지 효과를 반영하여 결정된 커뮤니티 또는 프로그램의 요구 수준과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필요한 능력 계발을 선제적으로 제안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g) preemptively suggesting the development of skills necessary for the user by comparing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with the requested level of the community or program determined by reflecting the calculated synergy effect,

상기 (a) 단계의 1차 외부 정보는 사용자의 개인 SNS 내용, 검색엔진 검색 기록, 쇼핑몰 검색 및 구매내역, 온라인 도서구매 내역, 오프라인 도서구매 내역 및 활동중인 온라인 커뮤니티 활동 내역으로 구성된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된 것이고,The primary external information in step (a) above is one or more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he user's personal SNS content, search engine search history, shopping mall search and purchase history, online book purchase history, offline book purchase history, and active online community activity history. Selected,

상기 (d) 단계는, The step (d),

(d-1) 1차 개인 정보에 기계학습에 의해 산출된 개별 가중치를 적용하여 분석하고, (d-1) Analysis by applying individual weights calculated by machine learning to primary personal information,

(d-2) 인공지능 기반 예측부에서 분석된 1차 개인 정보를 토대로 개인별 맞춤형 정보요청 내용을 생성하고,(d-2) Create personalized information request content based on the primary personal information analyzed by the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prediction unit,

(d-3) 사용자가 상기 정보요청 내용에 부합하는 필요 개인 정보를 2차로 입력하고, (d-3) The user secondly inputs necessary personal information that meets the above information request,

(d-4) 앞서 분석된 1차 개인 정보와 새롭게 입력된 2차 개인 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새롭게 제2차 가중치를 계산하고, (d-4) A new second weight is calculat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previously analyzed primary personal information and newly input secondary personal information,

(d-5) 새롭게 계산된 제2차 가중치를 적용하여 사용자의 관심분야를 최종적으로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d-5) including the step of finally calculating the user's interest field by applying the newly calculated second weight,

상기 (f) 단계의 시너지 효과는,The synergistic effect of step (f) is,

판단의 대상이 되는 프로그램 또는 커뮤니티의 핵심요소를 벡터화한 결과와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토대로 개별 가중치를 적용하여 산정한 명시적 관심분야 및 잠재적 관심분야와의 유사도를 비교하여, 가중치가 적용된 명시적 관심분야와 해당 프로그램 또는 커뮤니티의 벡터 유사도가 85% 이상, 잠재적 관심분야와의 벡터 유사도가 70% 이상일 때에는 시너지 효과가 좋은 것으로 판단하고, 명시적 관심분야와의 벡터 유사도가 50 내지 85%이고 잠재적 관심분야와의 벡터 유사도가 45 내지 70%일 때에는 별다른 시너지 효과를 내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하며, 명시적 관심분야와의 벡터 유사도가 50% 미만이거나 잠재적 관심분야와의 벡터 유사도가 45% 미만이면 역 시너지 효과로 판단하는 것인, 인공지능 기반의 퇴직자 인생 계획 정보 설계 보조 방법을 제공한다.Explicit interest to which weights are applied by comparing the similarity between explicit interests and potential interests calculated by applying individual weights based on the result of vectorizing the core elements of the program or community to be judged and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If the vector similarity between the field and the corresponding program or community is 85% or more, and the vector similarity with the potential interest is 70% or more, it is judged that the synergy effect is good, and the vector similarity with the explicit interest is 50 to 85% and potential interest. When the vector similarity to the field is 45 to 70%, it is judged that it does not produce a significant synergy effect, and if the vector similarity to the explicit field of interest is less than 50% or the vector similarity to the potential field of interest is less than 45%, an inverse synergy effect It provides a method of assisting retirees' life planning information design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구체적으로, 상기 (f) 사용자와 커뮤니티 및 프로그램의 시너지 효과를 계산하는 단계는,Specifically, the step of (f) calculating a synergy effect between a user, a community, and a program,

(f-1) 인공지능에 의해 도출된 관심분야를 공유하는 커뮤니티가 선정되고, (f-1) A community that shares the field of interest deriv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is selected,

(f-2) 커뮤니티 자체 정보로서 커뮤니티 자체의 관심분야 및 목적을 벡터화하고,(f-2) Vectorize the community's own interests and purposes as community information,

(f-3) 커뮤니티를 구성하는 구성원 각각의 세부 관심분야 및 역량 정보를 분석하여 벡터화하고, (f-3) Analyzing and vectorizing detailed information on the interests and capabilities of each member of the community,

(f-4) 상기 벡터화 된 정보 각각을 데이터베이스에 등재된 내용과 상호 호환 가능하도록 기계학습을 통해 재가공하고,(f-4) Reprocessing each of the vectorized information through machine learning to be compatible with the contents listed in the database,

(f-5) 재가공 된 정보와 기 등록된 데이터베이스의 내용을 토대로 상호간 매칭을 시도했을 때의 시너지 효과가 뛰어난 커뮤니티 또는 프로그램의 매칭을 제안하고,(f-5) Proposing matching of communities or programs with excellent synergy effects when attempting mutual matching based on the reprocessed information and the contents of the previously registered database,

(f-6) 커뮤니티를 구성하는 구성원 각각의 정보만을 이용해 인공지능이 제안한 결과 및 커뮤니티 자체 정보를 벡터화 하여 산출한 결과를 비교하고,(f-6) Using only the information of each member of the community, the results propos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results calculated by vectorizing the community's own information are compared,

(f-7) 비교 결과 개인 결과와 커뮤니티 결과 간 유사도가 높은 순서대로 재조정하여 최종적으로 사용자에게 커뮤니티 및 프로그램 매칭을 제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f-7) The comparison result may include the step of re-adjusting in the order of high similarity between individual results and community results, and finally suggesting community and program matching to users.

본 발명에서 상기 정보의 벡터화 방법과 관련하여는 해당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어떠한 기술이라도 사용 가능하며, 그 종류나 형식에 제한되지 않는다. With respect to the method for vectorizing the informa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ny technology used in the relevant technical field may be used, and the type or forma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에서 상기 “벡터화”란 컴퓨터로 하여금 어떤 단어 또는 문서에 대해 인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단어 또는 문서를 수치 데이터로 표현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방법의 일 예로서 TF-IDF(Term Frequency Inverse Document Frequency)를 이용한 방식을 적용할 수 있고, 상용되어 사용되는 워투벡(word2vec) 등의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vectorization" refers to expressing a word or document as numerical data in order to allow a computer to recognize a certain word or document. As an example of this method, TF-IDF (Term Frequency Inverse Document) Frequency) can be applied, and programs such as word2vec, which are commercially used, can be us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인공지능에 기반한 예측을 통해 사용자의 관심분야에 대한 커뮤니티 또는 프로그램이 생길 가능성을 미리 인지하고, 해당 커뮤니티 또는 프로그램이 사용자에게 적합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적합성 여부 판단은 후술할 가중치가 적용된 벡터 유사도를 이용한 시너지 효과를 계산하여 결정하고, 결정된 커뮤니티 또는 프로그램의 요구 수준과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필요한 능력 계발을 선제적으로 제안하는, 인공지능 기반의 맞춤형 상호 매칭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ognizes in advance the possibility that a community or program will occur in the user's interest field through prediction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determines whether the corresponding community or program is suitable for the user, and whether or not the corresponding community or program is suitable for the user. The decision is made by calculating the synergy effect using the vector similarity to which the weights are applied,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by comparing the determined community or program's request level with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proactively suggesting the development of the skills necessary for the user,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Provides a customized mutual matching service method.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전문가 상호 매칭 시스템에 있어서, 데이터베이스 및 사용자 단말기와 송수신하고, 상기 각종 데이터 및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맞춤형 전문가, 프로그램, 커뮤니티 등을 추천하기 위한 중앙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서버는, 사용자 단말기를 인식하는 사용자 단말 인식 관리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 받은 정보를 중앙 서버에 저장하는 사용자 정보 등록부; 상기 사용자 정보 등록부가 수신하여 저장한 등록 정보를 인식하고, 이러한 등록 정보에 포함된 복수 개의 키워드(keyword)를 포함한 핵심요소를 추출하는 사용자 정보 추출부; 상기 정보 추출부가 추출한 복수 개의 키워드 및 핵심요소를 분석하는 사용자 정보 분석부; 상기 핵심요소를 특정한 주제에 맞추어 조합하면서 각 조합별로 사용자 맞춤형 가중치(weight)를 계산하는 기계학습(machine learning)부; 각 사용자별로 개인정보 및 각 핵심요소의 조합에 대한 가중치, 인공지능 기반 예측 결과 등을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사용자 정보 관리부; 및 기계학습을 통해 계산된 사용자 맞춤형 가중치를 반영하여 재구성된 개인 정보를 토대로 인공지능에 의한 사용자의 관심분야를 예측하는 인공지능 기반 예측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인,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전문가 상호 매칭 시스템을 제공한다.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customized expert mutual matching system, including a central server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database and a user terminal, and recommending a customized expert, program, community, etc. based on the various data and information. And, the central server, the user terminal recognition management unit for recognizing the user terminal; A user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for stor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a user terminal in a central server; A user information extraction unit for recognizing registration information received and stored by the user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and extracting key elements including a plurality of keywords included in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A user information analysis unit that analyzes a plurality of keywords and key elements extracted by the information extraction unit; A machine learning unit that combines the core elements according to a specific subject and calculates a user-customized weight for each combination; A user information management unit that manages personal information for each user, weights for combinations of core elements, and prediction result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prediction unit that predicts the user's interest field by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on the personal information reconstructed by reflecting the user-customized weight calculated through machine learning. System.

본 발명 시스템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전문가(퇴직임원) 커뮤니티를 필요로 하는 각종 대상 집단, 프로그램, 강연 등을 미리 탐색함으로써, 역으로 사용자를 필요로 하는 프로그램 등을 선제적으로 제안하는 것도 가능하며, 더 나아가 이를 위해 요구되는 능력치와 객관적으로 평가된 현재 사용자의 역량 및 관심분야 등을 비교하여 보완, 준비해야 할 부분을 제공함과 동시에, 해당 분야의 전문가와 매칭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emptively propose programs that require users by searching in advance for various target groups, programs, lectures, etc. that require the expert (retired executive) community as described above, Furthermore, it provides the parts to be supplemented and prepared by comparing the capabilities required for this purpose with the objectively evaluated current user's capabilities and interests, while matching with experts in the relevant field.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입력하는 개인 정보, 사용자 개인 SNS(Social Network Service) 및 검색 기록 등을 통하여 수집한 사용자의 행동패턴을 기반으로, 기계학습 및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통해 본인도 인지하지 못하였던 내재된 관심분야를 탐색할 수 있어 개별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맞춤형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user's behavior patterns collected through personal information input by the user, the user's personal SNS (Social Network Service), and search records, It is possible to provide customized programs optimized for individual users by exploring the underlying areas of interest.

또한, 본 발명의 시스템은 각 분야의 전문가인 퇴직임원을 비슷한 관심분야 또는 희망분야 별로 매칭하여 커뮤니티를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형성된 커뮤니티의 내부 역량 및 목적에 부합하는 대상 프로그램을 선정하거나 새로운 프로그램의 생성을 제안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form a community by matching retired executives who are experts in each field according to similar interests or fields of interest, as well as selecting a target program that meets the internal capabilities and purpose of the formed community, or selecting a new program. Can offer the creation of.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that can be obta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전문가 상호 매칭을 위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에 기반한 맞춤형 전문가 상호 매칭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필요 정보 및 검색 이력 등을 취합하여 사용자의 관심분야를 도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커뮤니티와 대상 프로그램을 매칭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매칭을 위한 중앙 서버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블록도이다.
상기 도면들을 통해, 유사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혹은 유사한 엘리먼트들과, 특징들 및 구조들을 도시하기 위해 사용된다는 것에 유의해야만 한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for matching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customized exper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providing personalized expert mutual matching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eriving an area of interest of a user by collecting necessary information and a search history of a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of matching a target program with a community form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entral server for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match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roughout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bers are used to show the same or similar elements, features, and structures.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의 특징 및 이점을 보다 명확히 하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특정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In order to clarify the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However,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s of 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that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In addi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throughout the drawings.

이하의 설명 및 도면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drawings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being limited to their usu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erms for describing his or 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interpreted as a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re is.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뿐, 상기 구성요소들을 한정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In addition,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and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element from other elements, and to limit the elements. Not used.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elem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first element, and similarly, the first elem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element.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addition,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addition,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exist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 other features or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re not preliminarily excluded.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erms such as "unit", "group", and "module"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In addition, "a or an", "one", "the" and similar related words are different from the present specification in the context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especially in the context of the following claims). Unless indicated or clearly contradicted by context, it may be used in the sense of including both the singular and the plural.

상술한 용어들 이외에,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특정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above terms, specific term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provided to ai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use of these specific terms may be changed in other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울러, 본 발명의 범위 내의 실시 예들은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에 저장된 데이터 구조를 가지거나 전달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범용 또는 특수 목적의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이용 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예로서, 이러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RAM, ROM, EPROM, CD-ROM 또는 기타 광 디스크 저장장치, 자기 디스크 저장장치 또는 기타 자기 저장장치, 또는 컴퓨터 실행가능 명령어,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또는 데이터 구조의 형태로 된 소정의 프로그램 코드 수단을 저장하거나 전달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고, 범용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액세스 될 수 있는 임의의 기타 매체와 같은 물리적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addition,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computer-readable media having or transferring computer-executable instructions or data structures stored in the computer-readable media. Such computer-readable media may be any available media accessible by a general purpose or special purpose computer system. By way of example, such computer readable media may be in the form of RAM, ROM, EPROM, CD-ROM or other optical disk storage, magnetic disk storage or other magnetic storage, or computer executable instructions, computer readable instructions, or data structures. It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physical storage media such as any other media that can be used to store or deliver certain program code means of the computer and can be accessed by a general purpose or special purpose computer system. .

아울러, 본 발명은 퍼스널 컴퓨터, 랩탑 컴퓨터, 핸드헬드 장치, 멀티프로세서 시스템, 마이크로프로세서-기반 또는 프로그램 가능한 가전제품(programmable consumer electronics), 네트워크 PC, 미니컴퓨터, 메인프레임 컴퓨터, 모바일 전화, PDA, 페이저(pager)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유형의 컴퓨터 시스템 구성을 가지는 네트워크 컴퓨팅 환경에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네트워크를 통해 유선 데이터 링크, 무선 데이터 링크, 또는 유선 및 무선 데이터 링크의 조합으로 링크된 로컬 및 원격 컴퓨터 시스템 모두가 태스크를 수행하는 분산형 시스템 환경에서 실행될 수 있다. 분산형 시스템 환경에서, 프로그램 모듈은 로컬 및 원격 메모리 저장 장치에 위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ersonal computer, a laptop computer, a handheld device, a multiprocessor system, a microprocessor-based or programmable consumer electronics, a network PC, a minicomputer, a mainframe computer, a mobile phone, a PDA, a pager. It can be implemented in a network computing environment having various types of computer system configurations including (pager) and the like. The invention may also be practiced in a distributed system environment where both local and remote computer systems linked through a network with a wired data link, a wireless data link, or a combination of wired and wireless data links perform tasks. In a distributed system environment, program modules may be located in local and remote memory storage devices.

또한,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it will be appreciated that each block of the process flow diagrams and combinations of the flow chart diagrams may be executed by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Since thes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can be mounted on the processor of a general purpose computer, special purpos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the instructions executed by the processor of th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are described in the flowchart block(s). It creates a means to perform functions. Thes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can also be stored in computer-usable or computer-readable memory that can be directed to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to implement a function in a particular way, so that the computer-usable or computer-readable memory It is also possible for the instructions stored in the flow chart to produce an article of manufacture containing instruction means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the flowchart block(s). Sinc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can also be mounted on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a series of operating steps are performed on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to create a computer-executable process to create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It is also possible for instructions to perform processing equipment to provide steps for execut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the flowchart block(s).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each block may represent a module, segment, or part of code that contains one or more executable instructions for executing the specified logical function(s). In addition, it should be noted that in some alternative execution examples, the functions mentioned in the blocks may occur out of order. For example, two blocks shown in succession may in fact be execut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the blocks may sometimes be executed in the reverse order depending on the corresponding function.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에 있어서, 특정 시스템의 예를 주된 대상으로 할 것이지만, 본 명세서에서 청구하고자 하는 주요한 요지는 유사한 기술적 배경을 가지는 여타의 통신 시스템 및 서비스에도 본 명세서에 개시된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적용 가능하며, 이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의 판단으로 가능할 것이다.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detail, examples of specific systems will be mainly targeted, but the main subject matter to be claim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the scope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o other communication systems and services having a similar technical background. It can be applied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deviate greatly, and this will be possible at the judgment of a person skilled in the art.

이제, 본격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전문가 상호 매칭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Now, a method of providing a personalized expert mutual matching service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earnes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전문가 상호 매칭을 위한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for matching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customized exper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전문가 상호 매칭을 위한 시스템은, 통신망(100), 사용자 단말기(200), 중앙 서버(300), 데이터베이스(400), 사용자 정보 관련 외부 데이터 서버(500) 및 전문인력에 대한 니즈와 관련된 외부 데이터 서버(6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system for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customized expert mutual match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network 100, a user terminal 200, a central server 300, a database 400, and user information. It may include an external data server 500 and an external data server 600 related to needs for professional manpower.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200)는 중앙 서버(300) 및 사용자 정보 관련 외부 데이터 서버(500)와 통신망(100)을 통해 연동될 수 있다. 이 때, 통신망(100)은 무선 통신망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무선 통신망은 LTE (Long Term Evolution), 5G (5 Generation) 및 WiFi 등을 이용하는 무선 통신망일 수 있다.Here, the user terminal 200 may be interlocked with the central server 300 and the external data server 500 related to user inform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100. In this case, the communication network 100 may be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For example, th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may be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ing Long Term Evolution (LTE), 5 Generation (5G) and WiFi.

한편, 중앙 서버(300)와 데이터베이스(400)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동될 수 있으나, 유선 통신망을 통해 연동될 수도 있다. 또한, 유무선 통신망이 결합된 형태로 중앙 서버(300)와 데이터베이스(400) 간에 각종 데이터 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Meanwhile, the central server 300 and the database 400 may be linked through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but may be linked through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In addition, various types of data may be transmitted and received between the central server 300 and the database 400 in a form in which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s combined.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200), 중앙 서버(300), 데이터베이스(400), 사용자 정보 관련 외부 데이터 서버(500) 및 전문인력에 대한 니즈와 관련된 외부 데이터 서버(600) 간에 송수신하는 각종 데이터의 예시는 후술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를 수 있다.Here, examples of various data transmitted/received between the user terminal 200, the central server 300, the database 400, the external data server 500 related to user information, and the external data server 600 related to the needs of professionals are It may be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later.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기(20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통신망(100)을 경유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사용자의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기(200)는 통신망(100)을 통하여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중앙 서버(300)와 통신망(100)을 통해 정보를 송수신 할 수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기(200)는 중앙 서버(3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각종 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제어 모듈(210), 입력 모듈(220), 출력 모듈(230) 및 통신 모듈(2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모듈은 프로그램 및 프로토콜을 저장하는 메모리, 각종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 device of a user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various data via the communication network 100 according to the user's manipulation. The user terminal 200 may perform voice or data communic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100, and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through the central server 300 and the communication network 100. For this, the user terminal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various module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o and from the central server 300, and specifically, the control module 210, the input module 220, and the output module 230 And a communication module 240. The control module may include a memory for storing programs and protocols, and a microprocessor for calculating and controlling by executing various programs.

이러한 사용자 단말기(200)는 우선적으로 통신망(100)에 접속된 어플리케이션(이하, '앱') 제공 장치(미도시) 예컨대, 앱 스토어 등에 접속을 수행하고 해당 앱 스토어로부터 맞춤형 매칭 서비스를 위한 앱을 수신하여 설치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200 preferentially accesses an application (hereinafter,'app') providing device (not shown)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100, for example, an app store, and provides an app for a customized matching service from the corresponding app store. It can be received and installed.

또한, 이러한 사용자 단말기(20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사용자 단말기(200)는 스마트 폰(smart phone), 타블렛 PC(Tablet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Player 등의 이동 단말기는 물론, 스마트 TV(Smart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가 사용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200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the user terminal 200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a mobi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a tablet PC,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nd an MP3 player. Of course, a fixed terminal such as a smart TV or a desktop computer may be used.

또한, 본 발명의 사용자 단말기(200)는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휴대 기기의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상기 언급된 유닛들과 동등한 수준의 유닛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200)로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상호 매칭 서비스에 관련된 앱을 다운 및 설치할 수 있는 장치라면, 그 어떠한 장치도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200)로 이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terminal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able to enumerate all of the variations of portable devices according to the convergence trend of digital devices. However, a unit of the same level as the above-mentioned units i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a device that can be used as the user terminal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 download and install an app related to the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customized mutual matching ser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y device is the user terminal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중앙 서버(30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전문가 상호 매칭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각종 데이터 및 정보를 데이터베이스(400) 및 사용자 단말기(200)와 송수신하고, 상기 각종 데이터 및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맞춤형 전문가, 프로그램, 커뮤니티 등을 추천하기 위한 서버 장치이다.The central server 300 transmits and receives various data and information to and from the database 400 and the user terminal 200 for provid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customized expert mutual matching ser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ransmits and receives the various data and information. Based on this, it is a server device for recommending customized experts, programs, and communities.

데이터베이스(400)는 중앙 서버(300) 및 전문인력에 대한 니즈와 관련된 외부 데이터 서버(600)와 연동할 수 있는 통신 모듈(450)을 구비하고 있으며, 외부 전문가 DB(401), 여행 및 체험 관련 액티비티 DB(402), 퍼스널 케어 프로그램 DB(403) 및 외부의 니즈 관련 DB(4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니즈 관련 DB(410)는 전문인력에 대한 니즈와 관련된 외부 데이터 서버(600)와 주기적으로 통신함으로써 전문인력에 대한 니즈를 실시간으로 계속 갱신 및 저장할 수 있고, 다시 중앙서버와 통신함으로써 경향 및 패턴을 분석하고 인공지능을 이용해 선제적으로 수요를 예측하고 외부 니즈 관련 DB(410)에 자체적으로 업로드 할 수 있다. The database 400 is provided with a communication module 450 capable of interworking with the central server 300 and an external data server 600 related to the needs of professionals, and an external expert DB 401, related to travel and experience. It may include an activity DB 402, a personal care program DB 403, and an external needs-related DB 410. The external needs-related DB 410 communicates periodically with the external data server 600 related to the needs of the professional manpower, so that the needs for the professional manpower can be continuously updated and stored in real time, and by communicating with the central server again, the trend and It can analyze patterns, predict demand proactively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upload it to external needs-related DB 410 by itself.

사용자 정보 관련 외부 데이터 서버(500)는 사용자가 의식적, 무의식적으로 행하는 활동 내역을 획득 및 분석함으로써, 표출된 관심분야 뿐 아니라 잠재된 상태의 관심분야를 탐색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200)에 설치된 앱을 통해 필요한 권한 등을 위임함으로써 사용자의 개인 SNS 서버(500-1), 검색엔진 서버(500-2), 쇼핑몰 서버(500-3), 온/오프라인 도서구매 내역 관리 서버(500-4), 활동중인 온라인 커뮤니티의 서버(500-5) 등 개인의 관심사가 표출될 수 있는 모든 분야의 사용자 관련 정보를 획득하여 사용자 단말기(200) 및 중앙 서버(300)에 송수신 할 수 있다.The external data server 500 related to user information is for searching not only the expressed interests but also the latent interests by acquiring and analyzing the details of activities performed by the user consciously and unconsciously. User's personal SNS server (500-1), search engine server (500-2), shopping mall server (500-3), online/offline book purchase history management server (500-) by delegating necessary rights through the installed app. 4) It is possible to acquire user-related information in all fields in which personal interests may be expressed, such as the server 500-5 of an active online community, and transmit/receive to the user terminal 200 and the central server 300.

전문인력에 대한 니즈와 관련된 외부 데이터 서버(600)는 전문인력에 대한 수요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모든 관련 분야에 대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수요를 확인할 수 있다면 특별히 종류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상기 전문인력에 대한 수요는 온라인 공고, 공문서, 신문광고 및 SNS를 통하여 확인되는 것일 수 있고, 이러한 수요를 내용별로 분류하여 카테고리화 하는 경우엔 구직 관련 서버(600-1), 외부 강연 관련 서버(600-2), 도시재생관련 서버(600-3), 마케팅 관련 서버(600-4) 등으로 세분화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external data server 600 related to the needs of the professional manpower i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on all related fields in which demand for the professional manpower may occur, and the type is specifically limited if the above demand can be confirmed. no. For example, the demand for the professional manpower may be confirmed through online announcements, public documents, newspaper advertisements, and SNS, and when such demand is classified and categorized by content, a job search-related server (600-1), external lecture-related It may be subdivided into a server 600-2, a server related to urban regeneration 600-3, and a server related to marketing 600-4, but is not limited thereto.

상기한 전문 인력에 대한 관심 또는 수요가 확인되거나 예상되는 경우, 이러한 정보를 획득하여 데이터베이스(400) 및 중앙 서버(300)에 송수신할 수 있다.When interest or demand for the above-described professional manpower is confirmed or expected, such information may be obtained and transmitted and received to the database 400 and the central server 300.

이제, 도 2 내지 도 6을 통해 도 1에 개시된 장치들의 구체적인 동작 과정을 살펴보도록 한다.Now, a detailed operation process of the devices disclosed in FIG. 1 will be described through FIGS. 2 to 6.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공지능에 기반한 맞춤형 전문가 상호 매칭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200)에 1차 입력 정보를 입력하는데(S205), 상기 1차 입력 정보는 본인의 이력을 포함한 성향 및 관심분야를 벡터 데이터화 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면 성장배경, 투자 형태 및 규모, 자산 운용 방법, 종교, 관심사, 교육 정도, 욕망, 관심사, 좌우명, 신조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providing personalized expert mutual matching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a user inputs primary input information into the user terminal 200 (S205), and the primary input information is for converting a propensity including his/her own history and a field of interest into vector data. Background, investment type and scale, asset management method, religion, interest, education degree, desire, interest, motto, creed, etc. may be made.

상기 1차 입력 정보와 함께, 외부 데이터 서버(500)에서 획득한 사용자 정보인 1차 외부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해 중앙 서버(300)로 전송한다(S210). Together with the primary input information, primary external information, which is user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external data server 500, is transmitted to the central server 300 through the user terminal 200 (S210).

이는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기본 정보는 사용자 본인이 인지하고 있는 명시적 관심분야라는 전제 하에, 사용자가 의식적, 무의식적으로 행하는 활동 내역을 획득 및 분석함으로써 잠재적 관심 분야를 비롯한 더욱 품질 높은 결과를 산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200)에 설치된 앱을 통해 필요한 권한 등을 위임함으로써 사용자의 개인 SNS 내용, 검색엔진 검색 기록, 쇼핑몰 검색 및 구매내역, 온/오프라인 도서구매 내역, 활동중인 온라인 커뮤니티 활동 내역 등 개인의 관심사가 표출될 수 있는 모든 분야의 사용자 관련 정보를 외부 데이터 서버(500)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Under the premise that the basic information directly entered by the user is an area of explicit interest recognized by the user, it is intended to produce higher quality results including potential areas of interest by acquiring and analyzing the details of activities the user performs consciously and unconsciously. As a result, the user delegates the necessary authority through the app installed in the user terminal 200, so that the user's personal SNS content, search engine search history, shopping mall search and purchase history, online/offline book purchase history, active online community activity history User-related information in all fields in which personal interests may be expressed, such as, may be obtained from the external data server 500.

상기 1차 입력 정보 및 1차 외부 정보를 통칭하여 1차 개인 정보로 칭한다.The primary input information and primary external information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primary personal information.

중앙 서버(300)로 취합된 1차 개인 정보는 각 정보별 핵심요소별로 추출 및 분석되고, 기계학습(machine learning)을 통해 각 핵심요소별 조합에 따른 별도 가중치를 계산하는 단계(S215)를 거친다.The primary personal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central server 300 is extracted and analyzed for each key element for each information, and goes through a step (S215) of calculating a separate weight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each key element through machine learning. .

구체적으로, 상기 S215 단계는 사용자 단말기(200)를 인식하는 사용자 단말 인식 관리부(310)에 의하여 인가된 단말 여부를 확인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 받은 정보를 사용자 정보 등록부(320)에서 저장하게 된다. 이후 사용자 정보 추출부(330)는 사용자 정보 등록부(320)가 수신하여 저장한 등록 정보를 인식하고, 이러한 등록 정보에 포함된 복수 개의 키워드(keyword)를 포함한 핵심요소를 추출하게 된다. 이때, 등록 정보는 사용자 본인이 직접 입력한 내용뿐 아니라 외부 서버(500)를 통해 쿼리된 내용을 포함할 수 있으므로 그 형태가 단어이거나 문장 또는 음성 녹음 파일이어도 무방하다. 추출된 키워드는 명사, 형용사, 조사, 부사, 동사 등을 인식한 후, 주어와 목적어, 그리고 동사에 따른 정형화 및 패턴화 기능을 통해, 복잡한 문장에서 정형화 패턴화된 문장으로 재해석하게 된다. 이를 통해 반복적으로 구사되는 명사 위주로 키워드를 추출하게 된다.Specifically, in step S215, it is checked whether the terminal is authorized by the user terminal recognition management unit 310 that recognizes the user terminal 200, and the user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320 store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Thereafter, the user information extraction unit 330 recognizes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received and stored by the user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320 and extracts key elements including a plurality of keywords included in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At this time, since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may include not only the content directly input by the user, but also the content queried through the external server 500, the form may be a word, a sentence, or a voice recording file. After recognizing nouns, adjectives, investigations, adverbs, and verbs, the extracted keywords are reinterpreted from complex sentences into formalized patterned sentences through formalization and patterning functions according to subject, object, and verb. Through this, keywords are extracted mainly for nouns that are repeatedly spoken.

이후, 사용자 정보 분석부(340)는 사용자 정보 추출부(330)가 추출한 복수 개의 키워드 및 핵심요소를 분석하고, 기계학습(machine learning)부(350)에서는 상기 핵심요소를 특정한 주제에 맞추어 조합하면서 사용자 맞춤형 가중치(weight)를 계산하게 된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종교가 "기독교”인 경우 “등산”을 좋아하더라도 “템플스테이”에 대한 관심도는 낮을 것으로 예상되므로 해당 분야에 대하여 낮은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사용자가 “부동산 투자” 와 “자녀교육”에 관심이 있는 경우, “학군별 부동산 추이”에 대한 관심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되므로 해당 분야에 높은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Thereafter, the user information analysis unit 340 analyzes a plurality of keywords and core elements extracted by the user information extraction unit 330, and the machine learning unit 350 combines the core elements according to a specific subject. User-customized weights are calculated. For example, if the user's religion is “Christian”, even if he likes “climbing”, the interest in “Temple Stay” is expected to be low, so a low weight can be given to the field. If you are interested in “real estate investment” and “child education”, it is expected that the interest in “real estate trends by school district” will be high, so a high weight can be given to the field.

또한, 본인이 명시적으로 관심을 표하지 않았더라도 개인 검색기록, 독서 목록, 즐겨보는 뉴스의 논조, 활동 반경, 인간 관계, 자주 사용하는 어휘나 어투 등을 분석함으로써, 사용자의 잠재적 관심분야를 예측할 수 있고, 이에 해당하는 분야에 대해서는 별도의 가중치를 계산하여 부여할 수 있다. In addition, even if you do not express interest explicitly, you can predict potential interests of users by analyzing personal search history, reading list, tone of favorite news, activity radius, personal relationships, and frequently used vocabulary or vocabulary. In addition, a separate weight can be calculated and assigned to the field corresponding to this.

즉, 본 발명의 시스템은 사용자 개인에 대하여 획득 가능한 모든 분야의 데이터를 수집 및 분류하고, 각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핵심요소별로 가능한 모든 경우의 수를 조합함으로써, 무수히 많은 각 핵심요소별 조합 각각에 대하여 기계학습을 통해 가중치를 계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at is,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and classifies data in all fields that can be obtained for an individual user, and combines the number of all possible cases for each key element included in each data.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eight can be calculated through machine learning.

기계학습을 통해 계산된 사용자 맞춤형 가중치를 반영하여 재구성된 개인 정보를 토대로 중앙서버에 구비된 인공지능 기반 예측부(370)로부터 인공지능에 의한 사용자의 관심분야를 예측하고(S220), 관심분야를 공유하는 프로그램 또는 커뮤니티를 사용자에게 제안할 수 있으며, 나아가 인공지능을 통해 사용자와 해당 프로그램 또는 커뮤니티 간의 시너지 효과를 계산할 수 있다(S225). Based on the personal information reconstructed by reflecting the user-customized weight calculated through machine learning, the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prediction unit 370 provided in the central server predicts the user's area of interest by artificial intelligence (S220), and the area of interest is determined. A program or community to be shared may be suggested to the user, and a synergy effect between the user and the corresponding program or community may be calculated through artificial intelligence (S225).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상기 “시너지 효과”는 프로그램 및/또는 커뮤니티를 선정하는데 사용된 사용자의 벡터화 된 개인정보를 기준으로, 사용자의 명시적 관심분야 및 잠재적 관심분야에 대한 개별 가중치를 적용하여 벡터화 한 결과와 해당 커뮤니티 또는 프로그램의 핵심요소를 벡터화 한 결과를 비교하여 계산되는 것을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Specifical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ynergy effect” is vectorized by applying individual weights to the user's explicit interests and potential interests based on the vectorized personal information of the user used to select a program and/or community. It may be calculated by comparing one result with the vectorized result of the core element of the corresponding community or program.

본 발명에서 상기 “개별 가중치”는 두 단계의 기계학습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계산된 제2차 가중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dividual weight” refers to a second-order weight finally calculated through two-stage machine learning, and details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시너지 효과를 판단하는 구체적인 기준에 있어서는, 판단의 대상이 되는 프로그램 또는 커뮤니티의 핵심요소를 벡터화한 결과와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토대로 개별 가중치를 적용하여 산정한 관심분야의 유사도를 비교하였다. 구체적으로, 가중치가 적용된 명시적 관심분야와 해당 프로그램/커뮤니티의 벡터 유사도가 85% 이상, 잠재적 관심분야와 해당 프로그램/커뮤니티의 벡터 유사도가 70% 이상일 때 본 사용자와 해당 커뮤니티/프로그램과 시너지 효과가 좋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명시적 관심분야와의 벡터 유사도가 50 내지 85%이고 잠재적 관심분야와 벡터 유사도가 45 내지 70%일 때에는 별다른 시너지 효과를 내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명시적 관심분야와의 벡터 유사도가 50% 미만이거나 잠재적 관심분야와의 벡터 유사도가 45% 미만이 되면 오히려 싫은 것을 참고 하는 것과 유사하게 스트레스를 유발하므로 사용자에게 부정적 영향을 미치게 될 수 있어 역 시너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As for the specific criterion for determining the synergy effect, the similarity of the field of interest calculated by applying individual weights based on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result of vectorizing the core elements of the program or community to be judged was compared. Specifically, when the vector similarity between the weighted explicit interest field and the program/community is 85% or higher, and the vector similarity between the potential interest field and the program/community is 70% or higher, the synergy effect between the user and the corresponding community/program is It can be judged as good, and when the vector similarity with the explicit field of interest is 50 to 85%, and the vector similarity with the potential field of interest is 45 to 70%, it can be judged that no other synergistic effect is produced, and the explicit field of interest If the vector similarity to and less than 50% or the vector similarity to potential interests is less than 45%, it causes stress similar to referencing a disliked thing, so it may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user, resulting in an inverse synergy effect. .

즉, 본 발명은 사용자의 벡터화 된 개인정보를 기준으로, 사용자의 명시적 관심분야 및 잠재적 관심분야에 대한 개별 가중치를 적용하여 벡터화 한 결과와 해당 커뮤니티 또는 프로그램의 핵심요소를 벡터화 한 결과를 비교하는 시너지 효과 계산 과정을 추가로 거침으로써, 종래의 기계적인 매칭 방식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고, 사용자에게는 “왜인지 모르게 마음이 잘 맞는 사람들을 쉽게 만날 수 있고”, “나도 모르던 내 필요를 알아서 채워주는 듯한”, “나보다 나를 더 잘 아는 듯한” 만족감을 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ther words,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s the vectorization result by applying individual weights for the user's explicit interests and potential interests based on the user's vectorized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vectorization of the core elements of the corresponding community or program. By additionally going through the synergy calculation process, it is possible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conventional mechanical matching method, and to the user, “I can easily meet people who are well suited to me without knowing why”, and “I will take care of my needs that I did not know.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able to give a feeling of satisfaction, as if it seemed to know me better than me.

이제 도 3을 통해, 도 2의 S205~S220 단계에서 인공지능에 의한 사용자의 관심분야를 예측하는 예시를 살펴보도록 한다.Now, through FIG. 3, an example of predicting a user's interest field by artificial intelligence in steps S205 to S220 of FIG. 2 will be described.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200)에 본인과 관련된 기본 정보를 입력하고(S305), 외부 데이터 서버(500)로부터 사용자의 활동 정보를 수집한다(S310). 상기 S305에서 입력되는 정보를 1차 입력 정보, 상기 S310에서 수집되는 정보를 1차 외부 정보로 칭하며, 상기 1차 입력 정보 및 1차 외부 정보를 통칭하여 1차 개인 정보로 칭한다.Referring to FIG. 3, the user inputs basic information related to the user in the user terminal 200 (S305), and collects the user's activity information from the external data server 500 (S310). The information input in S305 is referred to as primary input information, and the information collected in S310 is referred to as primary external information, and the first input information and primary external information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primary personal information.

이렇게 수집된 1차 개인 정보는 중앙 서버(300)에서 개인 정보를 이루는 핵심요소별로 분리된 후에, 기계학습부(350)에 의하여 상기 핵심요소를 각 주제에 맞추어 조합하는 경우 각각에 대한 가중치를 계산하고, 이렇게 계산된 사용자 맞춤형 가중치를 반영하여 수집된 정보를 분석한다(S315).After the collected primary personal information is separated by the core elements constituting the personal information in the central server 300, the machine learning unit 350 calculates a weight for each when the core elements are combined according to each subject. Then, the collected information is analyzed by reflecting the calculated user-customized weight (S315).

사용자 맞춤형 가중치를 반영해 분석된 개인 정보를 토대로, 인공지능 기반 예측부(370)에서는 사용자 개인에게 맞춤형 정보요청 내용을 생성하고, 사용자가 상기 정보요청 내용에 부합하는 필요 개인 정보를 2차로 입력하는 단계를 거치게 된다(S320).Based on the personal information analyzed by reflecting the user-customized weight, the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prediction unit 370 generates customized information request contents to the user, and the user secondly inputs necessary person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request contents. It goes through a step (S320).

상기 2차 개인 정보의 습득을 위해 인공지능에서 생성되는 정보요청 내용은, 앞에서 든 예를 기준으로 '기독교인으로 등산을 좋아하는 사용자에게 템플스테이에 대한 선호도가 어떠한지'를 묻는 방식으로 요청하는 것일 수 있고, '사용자가 명시적으로 관심을 표하지 않았으나 활동내역을 분석하여 예측한 관심분야에 대한 사용자의 선호도 등을 재차 평가하는 설문 과정' 등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어떠한 형식이나 내용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한 예는 단순한 예시에 불과하고,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information request content generat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for acquiring the second personal information may be a request in a way that asks ``the user who likes mountain climbing as a Christian, what his preference for temple stay is'' based on the above example. Also, it may include'a survey process that reevaluates the user's preferences for the area of interest predicted by analyzing the activity details although the user did not express interest explicitly,' and is not limited to any form or content. The above-described examples are merely examples, and are not limited thereto.

이후에는, 상기 인공지능에 의해 정보요청 내용에 부합하는 2차 개인 정보가 입력된 후, S315 단계에서 분석된 1차 개인 정보와 2차로 입력된 개인 정보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새롭게 가중치를 보정 및 계산하여 제2차 가중치를 생성하고, 개별 사안(각 핵심 요소별 조합)별로 제2차 가중치를 적용함으로써 사용자의 관심분야를 최종적으로 산출하게 된다. 상기 가중치 계산 과정에서 기계학습을 이용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Thereafter, after the secondary person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nformation request content is inputted by the artificial intelligence, the weight is newly corrected and calculat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first personal information analyzed in step S315 with the second input personal information. By generating the second weight and applying the second weight for each individual issue (combination of each key element), the user's interest field is finally calculated. As described above, machine learning can be used in the weight calculation process.

즉, 본 발명 시스템을 통하면 사용자가 명시적, 의식적으로 인지하고 있던 관심분야 중에서도 가중치에 의한 세부 관심분야를 더욱 명확히 구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본인이 인지하지 못한 채 내재된 잠재적 관심분야를 탐색할 수 있어 개별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맞춤형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at is, through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ore clearly distinguish detailed areas of interest by weight among areas of interest that the user has explicitly and consciously recognized, as well as search for potential areas of interest that are inherent without the user being aware of them.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able to provide customized programs optimized for individual users.

도 4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관심분야를 공유하는 사용자간에 선정된 커뮤니티와 대상 프로그램을 매칭하는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In FIG. 4, a method of matching a selected community and a target program between users sharing an interest fiel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4를 참조하면, 인공지능에 의해 도출된 관심분야를 공유하는 커뮤니티가 선정되고(S405), 커뮤니티 자체의 공통의 관심분야 및 목적과 관련된 핵심 요소를 벡터화 하고, 커뮤니티의 구성원 각각에 대한 세부 관심분야 및 역량 정보를 분석하여 벡터화 한다(S410). Referring to FIG. 4, a community that shares an area of interest deriv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is selected (S405), vectorizes key elements related to the common interest field and purpose of the community itself, and detailed interest for each member of the community The field and competency information is analyzed and vectorized (S410).

이후, 개별 커뮤니티 별로 벡터화 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400)에 등재된 내용과 상호 호환 가능하도록 기계학습을 통해 재가공하는 단계를 거친다(S415).Thereafter, the vectorized information for each individual community goes through a step of reprocessing through machine learning so that the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database 400 is compatible with each other (S415).

본 발명에서는 커뮤니티를 구성하는 개별 사용자 각각의 개인 정보를 구성하는 핵심 요소 및 커뮤니티 자체의 정보를 구성하는 핵심요소 각각을 벡터화 하고, 이를 다시 기계학습을 통해 내부 및 외부 DB에 모두 적용이 가능한 형태로 재가공 함으로써, 종래의 1차적으로 벡터 유사도를 단순 비교하는 방식에서 발생할 수 있었던 정보 파편화 및 오차범위가 넓다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re elements constituting the personal information of each individual user constituting the community and the core elements constituting the information of the community itself are vectorized, and this is again applied to both internal and external DBs through machine learning. By reprocessing,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information fragmentation and a wide error range that may have occurred in the conventional method of primarily comparing vector similarities.

구체적으로, 재가공 된 커뮤니티의 정보와 기 등록된 데이터베이스의 내용을 토대로 상호간 매칭을 시도했을 때의 최적 값을 산출함으로써 시너지 효과가 뛰어난 커뮤니티 또는 프로그램의 매칭을 제안하고(S420), 최종적으로는 사용자 개인의 정보만을 기초로 인공지능이 예측한 결과와 커뮤니티 자체 정보를 벡터화 하여 산출한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비교 결과 개인일 때의 결과와 커뮤니티일 때의 결과 사이에 괴리가 적은 순서대로 재조정하여 최종적으로 사용자-프로그램 매칭을 제안(S425)할 수 있다. 시너지 효과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다.Specifically, by calculating the optimal value when mutual matching is attempted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reprocessed community and the contents of the previously registered database, we propose matching a community or program with excellent synergy effects (S420), and finally, the individual user By comparing the results predict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only on the information of the AI and the results calculated by vectorizing the community's own information, the result of the comparison is readjusted in the order of less disparity between the results for individuals and the results for the community. -It is possible to propose a program matching (S425). The synergy effect is as described abov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인공지능 기반 예측을 이용하여 선제적으로 전문인력의 필요성을 예측하고, 역으로 사용자에게 관심분야에 대한 커뮤니티 또는 프로그램이 생길 가능성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커뮤니티 또는 프로그램에 참가하기 위해 필요한 준비를 할 수 있게 돕거나 추가로 요구되는 능력 계발 등을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preemptively predicting the necessity of professional manpower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prediction, and conversely, by providing the user with the possibility of creating a community or program in an area of interest, the user It can help you prepare for the necessary preparations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or it can help you develop additional skills that are required.

이를 구체적인 예시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 예로, 토목회사의 임원으로 근무하던 사용자가 퇴직 후에도 계속해서 관련된 유사 분야에서 커리어를 이어가고 싶어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상기와 같은 관심분야가 수신된 중앙 서버(300)는 본 발명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400) 및 전문인력에 대한 니즈와 관련된 외부 데이터 서버(600)로부터 수집한 정보로부터 관련 내용이 존재하는지 탐색을 시작하였고, 그 결과 근시일내로 대형 인공 숲 조성사업이 시작될 가능성이 있다는 내용을 추출 및 분석하는데 성공하였다. 이 경우, 해당 내용이 사용자의 관심분야에 속하는지(토목과 조경이 사용자가 생각하는 유사 분야에 해당하는지), 역량이 되는지(조경 관련 자격증 유무 등) 등을 각 사안별 가중치를 적용하여 기계학습부(350) 및 인공지능 기반 예측부(370)에서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사용자에게 적합하다고 결정된 후에는 장차 있을 상기 사업에 참여하기 위해서 필요한 내용 위주로 사용자에게 프로그램을 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대규모 조경사업에 필요한 자격요건 습득과 관련된 외부 전문가를 매칭할 수 있고, 이에 필요한 교육 등의 프로그램과 연계 등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시스템에 등록된 다른 전문인력 중 상기 사업에 관련도가 높은 구성원들을 묶어 커뮤니티 편성을 추천하는 등의 방식이 가능할 수 있다.This will be described with a specific example as follows. For example, suppose a user who worked as an executive of a civil engineering company wants to continue his career in a related field even after retirement. The central server 300, which received the above-described field of interest, started to search for the existence of related content from the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 database 400 of the present invention system and the external data server 600 related to the needs for professional manpower. As a result, it succeeded in extracting and analyzing the contents that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 large-scale artificial forest creation project will start in the near future. In this case, machine learning by applying weights for each case, such as whether the relevant content belongs to the user's field of interest (whether civil engineering and landscaping correspond to similar fields that the user thinks) and competency (whether there is a license related to landscape, etc.) It can be determined by the unit 350 and the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prediction unit 370. After it is determined that it is suitable for the user as a result of the judgment, the program can be presented to the user based on the content necessary to participate in the project in the future. Specifically, it is possible to match external experts related to acquiring the qualification requirements necessary for large-scale landscaping projects, and it is possible to connect with programs such as education necessary for this. In addition, a method such as recommending community organization by grouping members with high relevance to the project among other professional personnel registered in the present system may be possible.

또 다른 실시 예로는, 처음부터 인공지능에 의해 선제적으로 제안되는 신규 프로그램 생성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기계학습을 통해 데이터베이스(400) 및 외부 데이터 서버(600)를 탐색 및 분석하는 과정에서 유튜브 등 온라인 동영상 송출 플랫폼의 상승세에 힘입어 전문 지식을 가진 개인방송인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를 더욱 차별화하기 위해 상품기획 단계 및 상품 디자인 전반을 아우를 수 있는 고위 퇴직임원을 필요로 한다는 니즈를 분석하는데 성공했다고 가정한다. 상기와 같은 상황에서 본 발명의 시스템은 상품 기획팀장을 역임한 퇴직임원 및 총괄 디자이너 급의 퇴직임원에게 이러한 분석 결과를 제공하고, 시장의 니즈 충족을 위한 프로젝트 팀 설립을 선제적으로 역으로 제안하면서, 이에 수반되는 외부 전문가(촬영 전문가, 편집 전문가, 칼럼니스트 등…)를 해당 DB(401)로부터 제공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한 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어떠한 형태로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Another embodiment relates to the creation of a new program proactively propos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from the beginning. Specifically, in the process of searching and analyzing the database 400 and the external data server 600 through machine learning, the number of personal broadcasters with expertise is increasing thanks to the rising trend of online video transmission platforms such as YouTube, which further differentiates them. In order to do this, it is assumed that it has succeeded in analyzing the need for senior retired executives who can encompass the product planning stage and overall product design. In the above situation,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to retired executives who served as product planning team leaders and retired executives at the general designer level, and proactively suggests establishing a project team to meet the needs of the market. , It may be possible to provide an external expert (photographing expert, editing expert, columnist, etc.) accompanying this from the DB 401. The above examples are intended to aid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ny form.

도 5 내지 도 6은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하기 위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블록도이다.5 to 6 are block diagram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for implementing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현하기 위한 사용자 단말기(2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user terminal 200 for implementing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200)는 제어 모듈(210), 입력 모듈(220), 출력 모듈(230), 통신 모듈(2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the user terminal 200 may include a control module 210, an input module 220, an output module 230, a communication module 240, and the like.

입력 모듈(220)은 숫자 및 문자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입력 받고, 각종 기능을 설정 및 사용자 단말기(20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제어 모듈(210)로 전달한다. 또한, 입력 모듈(220)은 사용자의 터치 또는 조작에 따른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키패드와 터치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입력 모듈(220)은 출력 모듈(230)과 함께 하나의 터치패널(또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의 형태로 구성되어 입력과 표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입력 모듈(220)은 키보드, 키패드, 마우스, 조이스틱 등과 같은 입력 장치 외에도 향후 개발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입력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입력 모듈(220)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정보를 감지하여 제어 모듈(210)로 전달한다. The input module 220 receives various information such as number and text information, and transmits a signal input in connection with setting various functions and controlling the functions of the user terminal 200 to the control module 210. In addition, the input module 22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keypad and a touch pad that generate an input signal according to a user's touch or manipulation. In this case, the input module 220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single touch panel (or touch screen) together with the output module 230 to simultaneously perform input and display functions. In addition, as the input module 220, in addition to input devices such as a keyboard, keypad, mouse, and joystick, all types of input means that may be developed in the future may be used. Particularly, the input module 2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input information input from a user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module 210.

출력 모듈(230)은 사용자 단말기(200)의 기능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련의 동작상태 및 동작결과 등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출력 모듈(230)은 사용자 단말기(200)의 메뉴 및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데이터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출력 모듈(230)은 액정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초박막 액정표시장치(TFT-LCD,Thin Film Transistor LCD),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LED), 능동형 유기발광다이오드(AMOLED, Active Matrix OLED), 레티나 디스플레이(Retina Display),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및 3차원(3 Dimension)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출력 모듈(230)이 터치스크린(Touch screen) 형태로 구성된 경우, 출력 모듈(230)은 입력 모듈(220)의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다The output module 230 displays information on a series of operation states and operation results that occur while performing a function of the user terminal 200. In addition, the output module 230 may display a menu of the user terminal 200 and user data input by the user. Here, the output module 230 i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n ultra-thin liquid crystal display (TFT-LCD, Thin Film Transistor LCD), a light emitting diode (LED),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OrganicLED), an activ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MOLED, Active Matrix OLED), a retina display, a flexible display, and a three-dimensional display. In this case, when the output module 230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touch screen, the output module 230 may perform some or all of the functions of the input module 220.

통신 모듈(240)은 통신망(100)을 통해 중앙 서버(300) 및 외부 서버(5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듈(240)은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 수단과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 수단, 특정 통신 방식에 따른 통신 프로토콜을 처리하기 위한 데이터 처리 수단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통신 모듈(240)은 무선통신 모듈(미도시) 및 유선통신 모듈(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통신 모듈은 무선 통신 방법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며, 사용자 단말기(200)가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경우, 무선망 통신 모듈, 무선랜 통신 모듈 및 무선팬 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중앙 서버(300)와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모듈(240)은 복수의 통신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통신 모듈이 통신 모듈(240)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하나의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Bluetooth)를 포함한 PAN(Personal Area Network) 방식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중앙 서버(300)와 통신하기 위한 제1통신 모듈(241) 및 외부 서버(500)와 통신하기 위한 제2통신 모듈(242)로 구성되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communication module 240 may transmit and receive data to and from the central server 300 and the external server 50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100. Further, the communication module 240 includes an RF transmission unit for up-converting and amplifying a frequency of a transmitted signal, an RF receiving unit for low-noise amplification and down-converting a received signal, and a communication protocol according to a specific communication method. And data processing means. The communication module 24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not shown) and a wired communication module (not shown).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s a configuration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according to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when the user terminal 200 uses wireless communication, any one of a wireless network communication module, a wireless LAN communication module, and a wireless fan communication module is used. Thus, data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the central server 300. Here, the communication module 240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modules. When a plurality of communication modules are included in the communication module 240, one communication module may perform personal area network (PAN) communication including Bluetooth.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241 for communicating with the central server 300 and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242 for communicating with the external server 500,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다른 하나의 통신 모듈은 통신망(100)을 통해 중앙 서버(300)와 통신한다. 여기서, 다른 하나의 통신 모듈은 WLAN(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other communication module communicates with the central server 30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100. Here, the other communication module may us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WLAN (Wireless LAN), Wi-Fi, Wibro, Wimax, and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제어 모듈(210)은 운영 체제(OS, Operation System) 및 각 구성을 구동시키는 프로세스 장치가 될 수 있다.The control module 210 may be an operating system (OS) and a process device that drives each component.

따라서, 사용자 단말기(200)의 제어 모듈(210)은 입력 모듈(220)을 통해 입력받은 신호를 통신 모듈(240)을 통해 중앙 서버(300)로 전송하도록 제어하고, 통신 모듈(240)을 통해 수신한 비콘, 와이파이, 기지국 신호 또는 중앙 서버(300)에서 전송한 정보들을 출력 모듈(230)을 통해 노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refore, the control module 210 of the user terminal 200 controls to transmit th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input module 220 to the central server 300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240, and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240 The received beacon, Wi-Fi, a base station signal, or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entral server 300 may be controlled to be exposed through the output module 230.

또한, 사용자 단말기(200)의 제어 모듈(2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200)의 동작 과정 전반을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1 내지 도 4를 기반으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200)의 동작 과정 전반이 제어 모듈(21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module 210 of the user terminal 200 may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process of the user terminal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words, the entire operation process of the user terminal 2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based on FIGS. 1 to 4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module 210.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기 위한 중앙 서버(300)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entral server 300 for implement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인식 관리부(310), 사용자 정보 등록부(320), 사용자 정보 추출부(330), 사용자 정보 분석부(340), 기계학습부(350), 사용자 정보 관리부(360), 인공지능 기반 예측부(370) 및/또는 데이터베이스 관리부(380)를 포함할 수 있다.6, a user terminal recognition management unit 310, user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320, user information extraction unit 330, user information analysis unit 340, machine learning unit 350, user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60 , It may include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prediction unit 370 and/or a database management unit 380.

사용자 단말 인식 관리부(310)는 사용자 단말기(200)를 인식하여 인가된 단말 여부를 인식하였음을 나타내거나 감지하였음을 나타내는 사용자 단말인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The user terminal recognition management unit 310 may recognize the user terminal 200 to indicate whether or not an authorized terminal has been recognized, or may receive user terminal recogni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at it has been detected.

사용자 정보 등록부(320)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 받은 정보를 저장하게 된다. 이후 사용자 정보 추출부(330)는 사용자 정보 등록부(320)가 수신하여 저장한 등록 정보를 인식하고, 이러한 등록 정보에 포함된 복수 개의 키워드(keyword)를 포함한 핵심요소를 추출하게 된다.The user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320 store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Thereafter, the user information extraction unit 330 recognizes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received and stored by the user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320 and extracts key elements including a plurality of keywords included in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정보 분석부(340)는 정보 추출부(330)가 추출한 복수 개의 키워드 및 핵심요소를 분석하고, 기계학습(machine learing)부(350)에서는 상기 핵심요소를 특정한 주제에 맞추어 조합하면서 가중치(weight)를 계산하게 된다.The information analysis unit 340 analyzes a plurality of keywords and key elements extracted by the information extraction unit 330, and the machine learning unit 350 combines the key elements according to a specific subject and weights them. Is calculated.

사용자 정보 관리부(360)에서는 각 사용자별로 개인정보 및 각 핵심요소의 조합에 대한 가중치, 인공지능 기반 예측 결과 등을 관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user information management unit 360 may play a role of managing personal information for each user, a weight for a combination of each key element, and a prediction result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또한, 기계학습부(350)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빅데이터(big data)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계 학습(machine learning)을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개인 정보로부터 핵심요소를 생성하거나 핵심요소의 조합을 새롭게 생성하거나 그 가중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기계학습부는 중앙 서버(30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빅데이터를 입력변수로 하여 인공지능 기반 예측부(370)를 학습시키는데, 구체적으로는 기계학습의 한 분야인 딥러닝(Deep Learning) 기법을 이용하여 정확한 상관 관계가 도출될 수 있도록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학습을 위하여 활용되는 인공지능망 모델로는 RNN(Recurrent Neural Network), DNN(Deep Neural Network) 및 DRNN(Dynamic Recurrent Neural Network) 등 다양한 모델들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machine learning unit 350 generates a key element from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user or a combination of the key elements by using machine learning on the big data stored in the database and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You can create new or determine its weight In addition, the machine learning unit learns the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prediction unit 370 using big data stored in the database of the central server 300 as an input variable. Specifically, a deep learning technique, which is a field of machine learning, is used. Using this, learning can be performed so that an accurate correlation can be derived. In addition, various models such as a recurrent neural network (RNN), a deep neural network (DNN), and a dynamic recurrent neural network (DRNN) may be used as an artificial intelligence network model used for such learning.

데이터베이스 관리부(380)는 별도의 제어 모듈(381) 및 통신 모듈(382)을 구비하고 있을 수 있으며, 통신 모듈(382)은 데이터베이스(400)와 통신하기 위한 것으로서, 통신 모듈(382)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망은 WLAN(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시스템 구현 방식에 따라 이더넷(Ethernet), xDSL(ADSL, VDSL), HFC(Hybrid Fiber Coaxial Cable), FTTC(Fiber to The Curb), FTTH(Fiber To The Home) 등의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다.The database management unit 380 may include a separate control module 381 and a communication module 382,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382 is for communicating with the database 400,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382 performs a function. The communication network to perform is preferably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such as WLAN (Wireless LAN), Wi-Fi, Wibro, Wimax, and 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DPA), but is limited thereto. Depending on the system implementation method, wired communication methods such as Ethernet, xDSL (ADSL, VDSL), HFC (Hybrid Fiber Coaxial Cable), FTTC (Fiber to The Curb), and FTTH (Fiber To The Home) are used. May be.

제어 모듈(381)은 운영 체제(OS, Operation System) 및 각 구성을 구동시키는 프로세스 장치가 될 수 있다.The control module 381 may be an operating system (OS) and a process device that drives each component.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As explained above, the specification includes details of a number of specific implementations, but these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o the scope of any invention or claimable, but rather, which may be peculiar to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articular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as a description of features. Certain features described herein in the context of separate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in combination in a single embodiment. Conversely, various features described in the context of a single embodiment can also be implemented in multiple embodiments individually or in any suitable sub-combination. Furthermore, although features operate in a particular combination and may be initially described as so claimed, one or more features from a claimed combination may in some cases be excluded from the combination, and the claimed combination may be a sub-combination. Or sub-combination variations.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Likewise, although operations are depicted in the drawings in a specific order, it should not be understood that such operations must be performed in that particular order or sequential order shown, or that all illustrated operations must be performed in order to obtain a desired result. In certain cases, multitasking and parallel processing can be advantageous. In addition, the separation of the various system component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should not be understood as requiring such separation in all embodiments, and the program components and systems described are generally integrated together into a single software product or packaged in multiple software produc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you can.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특정한 실시형태를 설명하였다. 기타의 실시형태들은 이하의 청구항의 범위 내에 속한다. 예컨대, 청구항에서 인용된 동작들은 상이한 순서로 수행되면서도 여전히 바람직한 결과를 성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첨부도면에 도시한 프로세스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반드시 그 특정한 도시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를 요구하지 않는다. 특정한 구현 예에서,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Specific embodiments of the subject matter described herein have been described. Other embodiment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For example, the operations recited in the claims may b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while still achieving desirable results. As an example, the process depic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does not necessarily require that particular depicted order or sequential order to obtain desirable results. In certain implementations, multitasking and parallel processing can be advantageous.

본 기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최상의 모드를 제시하고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그리고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을 제작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게 작성된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The present description presents the best mod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provides examples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make and use the present invention. The written specification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specific terms presented. Accordingly,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s,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make modifications, changes, and modifications to these exampl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determined by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laims.

100: 통신망 200: 사용자 단말 300: 중앙 서버
400: 데이터베이스
500: 사용자 정보 관련 외부 데이터 서버
600: 전문인력에 대한 니즈와 관련된 외부 데이터 서버
100: communication network 200: user terminal 300: central server
400: database
500: external data server related to user information
600: External data server related to the needs of professionals

Claims (3)

인공지능에 기반하여 퇴직자의 향후 인생 계획과 이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 및 설계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사용자가 입력한 1차 입력 정보 및 외부 데이터 서버로부터 수집한 1차 외부 정보를 포함하는 1차 개인 정보를 사용자 단말에 수신하여 중앙 서버로 전송하고,
(b) 중앙 서버로 취합된 1차 개인 정보 중 핵심요소를 추출 및 분석하고,
(c) 기계학습(machine learning)을 통해 핵심 요소별 조합에 따른 가중치를 각각 계산하고,
(d) 1차 개인정보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분석된 2차 개인 정보를 토대로 인공지능에 의해 사용자의 관심분야를 예측하고,
(e) 관심분야를 공유하는 커뮤니티 및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f) 사용자와 상기 커뮤니티 및 프로그램의 시너지 효과를 계산하고,
(g) 상기 계산된 시너지 효과를 반영하여 결정된 커뮤니티 또는 프로그램의 요구 수준과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필요한 능력 계발을 선제적으로 제안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a) 단계의 1차 외부 정보는 사용자의 개인 SNS 내용, 검색엔진 검색 기록, 쇼핑몰 검색 및 구매내역, 온라인 도서구매 내역, 오프라인 도서구매 내역 및 활동중인 온라인 커뮤니티 활동 내역으로 구성된 군에서 하나 이상 선택된 것이고,
상기 (d) 단계는,
(d-1) 1차 개인 정보에 기계학습에 의해 산출된 개별 가중치를 적용하여 분석하고,
(d-2) 인공지능 기반 예측부에서 분석된 1차 개인 정보를 토대로 개인별 맞춤형 정보요청 내용을 생성하고,
(d-3) 사용자가 상기 정보요청 내용에 부합하는 필요 개인 정보를 2차로 입력하고,
(d-4) 앞서 분석된 1차 개인 정보와 새롭게 입력된 2차 개인 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새롭게 제2차 가중치를 계산하고,
(d-5) 새롭게 계산된 제2차 가중치를 적용하여 사용자의 관심분야를 최종적으로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f) 단계의 시너지 효과는,
판단의 대상이 되는 프로그램 또는 커뮤니티의 핵심요소를 벡터화한 결과와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토대로 개별 가중치를 적용하여 산정한 명시적 관심분야 및 잠재적 관심분야와의 유사도를 비교하여,
가중치가 적용된 명시적 관심분야와 해당 프로그램 또는 커뮤니티의 벡터 유사도가 85% 이상, 잠재적 관심분야와의 벡터 유사도가 70% 이상일 때에는 시너지 효과가 좋은 것으로 판단하고,
명시적 관심분야와의 벡터 유사도가 50 내지 85%이고 잠재적 관심분야와의 벡터 유사도가 45 내지 70%일 때에는 별다른 시너지 효과를 내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하며,
명시적 관심분야와의 벡터 유사도가 50% 미만이거나 잠재적 관심분야와의 벡터 유사도가 45% 미만이면 역 시너지 효과로 판단하는 것인,
인공지능 기반의 퇴직자 인생 계획 정보 설계 보조 방법.
In the method of providing and designing the retiree's future life plan and necessary information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 Receive primary personal information including primary input information entered by the user and primary external information collected from an external data server to the user terminal and transmit it to the central server,
(b) Extracting and analyzing key elements of the primary personal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central server,
(c) Calculate each weight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key elements through machine learning,
(d) Predict the user's interest field by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on the secondary personal information analyzed by applying a weight to the primary personal information,
(e) propose communities and programs that share areas of interest,
(f) calculating synergies between users and the community and programs,
(g) preemptively suggesting the development of skills necessary for the user by comparing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with the requested level of the community or program determined by reflecting the calculated synergy effect,
The primary external information in step (a) above is one or more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he user's personal SNS content, search engine search history, shopping mall search and purchase history, online book purchase history, offline book purchase history, and active online community activity history. Selected,
The step (d),
(d-1) Analysis by applying individual weights calculated by machine learning to primary personal information,
(d-2) Create personalized information request content based on the primary personal information analyzed by the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prediction unit,
(d-3) The user secondly inputs necessary personal information that meets the information requested
(d-4) A new second weight is calculat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previously analyzed primary personal information and newly input secondary personal information,
(d-5) including the step of finally calculating the user's interest field by applying the newly calculated second weight,
The synergistic effect of step (f) is,
Comparing the similarity between the explicit interest field and potential interest field calculated by applying individual weights based on the result of vectorizing the program or community core elements to be judged and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When the vector similarity between the weighted explicit interest field and the program or community is 85% or higher, and the vector similarity with the potential interest field is 70% or higher, it is judged that the synergy effect is good,
When the vector similarity to the explicit field of interest is 50 to 85% and the vector similarity to the potential field of interest is 45 to 70%, it is judged that it does not produce a special synergy effect,
If the vector similarity with the explicit interest is less than 50% or the vector similarity with the potential interest is less than 45%, it is judged as an inverse synergy effect
AI-based retiree life planning information design assistance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f) 사용자와 커뮤니티 및 프로그램의 시너지 효과를 계산하는 단계는,
(f-1) 인공지능에 의해 도출된 관심분야를 공유하는 커뮤니티가 선정되고,
(f-2) 커뮤니티 자체 정보로서 커뮤니티 자체의 관심분야 및 목적을 벡터화하고,
(f-3) 커뮤니티를 구성하는 구성원 각각의 세부 관심분야 및 역량 정보를 분석하여 벡터화하고,
(f-4) 상기 벡터화 된 정보 각각을 데이터베이스에 등재된 내용과 상호 호환 가능하도록 기계학습을 통해 재가공하고,
(f-5) 재가공 된 정보와 기 등록된 데이터베이스의 내용을 토대로 상호간 매칭을 시도했을 때의 시너지 효과가 뛰어난 커뮤니티 또는 프로그램의 매칭을 제안하고,
(f-6) 커뮤니티를 구성하는 구성원 각각의 정보만을 이용해 인공지능이 제안한 결과 및 커뮤니티 자체 정보를 벡터화 하여 산출한 결과를 비교하고,
(f-7) 비교 결과 개인 결과와 커뮤니티 결과 간 유사도가 높은 순서대로 재조정하여 최종적으로 사용자에게 커뮤니티 및 프로그램 매칭을 제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공지능 기반의 퇴직자 인생 계획 정보 설계 보조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step (f) calculating the synergy effect of the user, the community, and the program,
(f-1) A community that shares the field of interest deriv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is selected,
(f-2) As community self-information, vectorize the community's own interests and purposes,
(f-3) Analyzing and vectorizing detailed information on the interests and capabilities of each member of the community,
(f-4) Reprocessing each of the vectorized information through machine learning to be compatible with the contents listed in the database,
(f-5) Proposing matching of communities or programs with excellent synergy effects when attempting mutual matching based on the reprocessed information and the contents of the previously registered database,
(f-6) Using only the information of each member of the community, the results propos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results calculated by vectorizing the community's own information are compared,
(f-7) Comprising the step of rearranging in the order of high similarity between individual results and community results as a result of comparison, and finally suggesting community and program matching to users,
AI-based retiree life planning information design assistance method.
인공지능 기반의 퇴직자 인생 계획 정보 설계 보조 시스템에 있어서, 데이터베이스 및 사용자 단말기와 송수신하고, 송수신 되는 데이터 및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맞춤형 전문가, 프로그램, 커뮤니티 등을 추천하기 위한 중앙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 서버는,
사용자 단말기를 인식하는 사용자 단말 인식 관리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 받은 정보를 중앙 서버에 저장하는 사용자 정보 등록부;
상기 사용자 정보 등록부가 수신하여 저장한 등록 정보를 인식하고, 이러한 등록 정보에 포함된 복수 개의 키워드(keyword)를 포함한 핵심요소를 추출하는 사용자 정보 추출부;
상기 정보 추출부가 추출한 복수 개의 키워드 및 핵심요소를 분석하는 사용자 정보 분석부;
상기 핵심요소를 특정한 주제에 맞추어 조합하면서 각 조합별로 사용자 맞춤형 가중치(weight)를 계산하는 기계학습(machine learning)부;
각 사용자별로 개인정보 및 각 핵심요소의 조합에 대한 가중치, 인공지능 기반 예측 결과 등을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사용자 정보 관리부; 및
인공지능 기반 예측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인공지능 기반 예측부는,
사용자 정보 관리부에 입력된 1차 개인 정보에 기계학습부에 의해 산출된 개별 가중치를 적용하여 개인별 맞춤형 정보요청 내용을 생성하고, 상기 정보요청 내용에 기반하여 입력된 2차 개인정보를 기반으로 새롭게 계산된 제2차 가중치를 적용하여 사용자의 관심분야를 예측하며,
예측된 관심분야를 공유하는 커뮤니티 및 프로그램과 사용자의 시너지 효과를 계산하고,
계산된 결과를 토대로 커뮤니티 또는 프로그램의 요구 수준과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필요한 능력 계발을 선제적으로 제안하며,
상기 시너지 효과는, 판단의 대상이 되는 프로그램 또는 커뮤니티의 핵심요소를 벡터화한 결과와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토대로 개별 가중치를 적용하여 산정한 명시적 관심분야 및 잠재적 관심분야와의 유사도를 비교하여,
가중치가 적용된 명시적 관심분야와 해당 프로그램 또는 커뮤니티의 벡터 유사도가 85% 이상, 잠재적 관심분야와의 벡터 유사도가 70% 이상일 때에는 시너지 효과가 좋은 것으로 판단하고,
명시적 관심분야와의 벡터 유사도가 50 내지 85%이고 잠재적 관심분야와의 벡터 유사도가 45 내지 70%일 때에는 별다른 시너지 효과를 내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하며,
명시적 관심분야와의 벡터 유사도가 50% 미만이거나 잠재적 관심분야와의 벡터 유사도가 45% 미만이면 역 시너지 효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인,
인공지능 기반의 퇴직자 인생 계획 정보 설계 보조 방법.
In the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retiree life planning information design assistance system, it includes a central server for recommending customized experts, programs, communities, etc., based on data and information transmitted and received with a database and a user terminal,
The central server,
A user terminal recognition management unit for recognizing a user terminal;
A user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for stor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a user terminal in a central server;
A user information extraction unit for recognizing registration information received and stored by the user information registration unit, and extracting key elements including a plurality of keywords included in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A user information analysis unit that analyzes a plurality of keywords and key elements extracted by the information extraction unit;
A machine learning unit that combines the core elements according to a specific subject and calculates a user-customized weight for each combination;
A user information management unit that manages personal information for each user, weights for combinations of core elements, and prediction result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Including;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prediction unit,
The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prediction unit,
By applying the individual weight calculated by the machine learning unit to the primary personal information entered in the user information management unit, a personalized information request content is generated, and newly calculated based on the secondary personal information input based on the information request content. Predict the user's interest field by applying the second-order weight,
Calculate the synergy effect of users and communities and programs that share the predicted interests,
Based on the calculated results, we preemptively propose the development of the skills necessary for the user by comparing the level of community or program demand with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The synergy effect is by comparing the similarity between the explicit interest field and the potential interest field calculated by applying individual weights based on the result of vectorizing the core elements of the program or community to be judged and the user's personal information,
When the vector similarity between the weighted explicit interest field and the program or community is 85% or higher, and the vector similarity with the potential interest field is 70% or higher, the synergy effect is judged to be good
When the vector similarity to the explicit field of interest is 50 to 85% and the vector similarity to the potential field of interest is 45 to 70%, it is judged that it does not produce a special synergy effec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as an inverse synergistic effect if the vector similarity with the explicit interest field is less than 50% or the vector similarity with the potential interest is less than 45%,
AI-based retiree life planning information design assistance method.
KR1020200109830A 2020-08-31 2020-08-31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retiree life planning information design assistance method KR10222709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9830A KR102227099B1 (en) 2020-08-31 2020-08-31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retiree life planning information design assistance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9830A KR102227099B1 (en) 2020-08-31 2020-08-31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retiree life planning information design assistance method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0843A Division KR102169382B1 (en) 2020-04-03 2020-04-03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Personalized Expert Cross Matching and Proposal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7099B1 true KR102227099B1 (en) 2021-03-11

Family

ID=75142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9830A KR102227099B1 (en) 2020-08-31 2020-08-31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retiree life planning information design assistance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7099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3488A (en) * 2011-08-31 2013-04-04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System for recommend the customized information, method thereof, and recordable medium storing the method
JP2014235656A (en) * 2013-06-04 2014-12-1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Program and information sharing support system
KR101493736B1 (en) 2013-06-12 2015-02-17 김영진 System for matching of expert service
KR20160125336A (en) * 2016-10-21 2016-10-3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tour attractiveness depending on weather and climate factor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3488A (en) * 2011-08-31 2013-04-04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System for recommend the customized information, method thereof, and recordable medium storing the method
JP2014235656A (en) * 2013-06-04 2014-12-1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Program and information sharing support system
KR101493736B1 (en) 2013-06-12 2015-02-17 김영진 System for matching of expert service
KR20160125336A (en) * 2016-10-21 2016-10-3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tour attractiveness depending on weather and climate factor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69382B1 (e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Personalized Expert Cross Matching and Proposal System
US20210232762A1 (en) Architectures for natural language processing
US11551107B2 (en) Travel-related cognitive profiles
US11409993B2 (en) Robustness score for an opaque model
Strohmeier et al.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iques in human resource management—a conceptual exploration
Mathrani et al. Perspectives on the challenges of generalizability, transparency and ethics in predictive learning analytics
US10552461B2 (en) System and method for scoring the geographic relevance of answers in a deep question answering system based on geographic context of a candidate answer
US10902342B2 (en) System and method for scoring the geographic relevance of answers in a deep question answering system based on geographic context of an input question
Chen et al. Analyzing social media for measuring public attitudes toward controversies and their driving factors: a case study of migration
Kinawy et al. Mismatches in stakeholder communication: The case of the Leslie and Ferrand transit stations, Toronto, Canada
KR20210107473A (en) System for providing story contents platfrom service with distribution of revenue between creator and various participants
KR102227099B1 (e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retiree life planning information design assistance method
Das et al. The Utilisation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for Women Empowerment: A Study in North 24 Pargana District
JP2020177367A (en) Computer system for edge-driven collaborative ai, and program and method therefor
Liu Classification of English Educational Resources Information Based on Mobile Learning Using Cognitive Web Service.
Yan et al. Has Sentiment Returned to the Pre-pandemic Level? A Sentiment Analysis Using US College Subreddit Data from 2019 to 2022
Zhao et al. S-KISS: semantic based knowledge and information sharing system for defense training and operations
Spada et al. Tracing topic evolution in higher education: a text mining study on Italian universities
Agrawal et al. Conversational virtual educator using Google’s dialogflow
Sooklall et al. Comparative Ranking of Ontologies with ELECTRE Family of Multi-criteria Decision-Making Algorithms
Benatallah et al. Web Information Systems Engineering--WISE 2014: 15th International Conference, Thessaloniki, Greece, October 12-14, 2014, Proceedings, Part II
QUESADA D2. 1 Text Mining Technical Specifications
Lei Mapping Webs of Information, Conversation, and Social Connections: Evaluating the Mechanics of Collaborative Adaptive Management in the Sierra Nevada Fores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