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6342B1 - 용접 시스템 - Google Patents

용접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6342B1
KR102226342B1 KR1020200092875A KR20200092875A KR102226342B1 KR 102226342 B1 KR102226342 B1 KR 102226342B1 KR 1020200092875 A KR1020200092875 A KR 1020200092875A KR 20200092875 A KR20200092875 A KR 20200092875A KR 102226342 B1 KR102226342 B1 KR 102226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gas
cylinder
stepped
upp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2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승호
Original Assignee
박승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승호 filed Critical 박승호
Priority to KR1020200092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63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6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63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61Welding 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82Carriages forming part of a welding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94Transport carriages or vehicles

Abstract

본 발명은 용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직사각의 수평한 패널인 상판부, 상판부의 하부면에 수직 방향으로 연결 설치되는 기둥부 및 지지부의 하단에 연결 설치되며, 직사각형의 수평한 패널인 하판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용접 시스템{WELDING SYSTEM}
본 발명은 용접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접을 위해 전원 및 봄베를 편리하게 이동시키고, 작업할 수 있도록 구현한 용접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용접(welding)은 금속, 유리, 플라스틱 등을 열과 압력으로 접합하는 기술이다. 이는 두 물질 사이의 원자간 결합을 이루어 접합하는 것으로, 재료를 절감할 수 있다.
아크 용접이란 전극과 모재의 표면사이에 발생하는 전기적 아크와 열에 의해 두 금속을 접합하는 것이다. 즉, 용접봉과 모재 사이이에 전압을 걸고 용접봉 끝부분을 모재에 살짝 접촉시킨는 순간 대전류가 흐르면서 아크를 발생시키고 이 발생된 아크와 열에 의해 용접봉을 녹여 두 금속을 접합하여 주는 것이다.
아크 용접을 하기 위해서는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받아야 하고, 용접의 종류에 따라 외부에서 가스를 공급받아야 하므로 봄베가 필요하며, 용접봉과 같은 소모품의 여분을 항상 준비해두어야 한다.
필요한 물품이 많기 때문에, 아크 용접은 일정한 공간에 장치를 두고, 모재를 가져와서 용접을 하는 경우가 많고, 모재가 큰 경우에는 물품을 따로 이동시키면서 작업을 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작업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67716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10-0491070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용접 장치, 봄베, 소모품 및 기타 필요한 물품을 거치하고 보관할 수 있도록 테이블을 구비하여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이동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용접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용접 작업 중에 테이블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여 작업 중에 테이블 스스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용접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용접 시스템은 직사각의 수평한 패널인 상판부, 상판부의 하부면에 수직 방향으로 연결 설치되는 기둥부 및 기둥부의 하단에 연결 설치되며, 직사각형의 수평한 패널인 하판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판부는, 가스를 저장하는 봄베를 위치시키기 위해 상판부의 뒤쪽 일부가 사각형으로 함몰된 곳에 연결 설치되는 봄베부, 봄베부에 배치되는 봄베에 저장된 가스를 이송시키는 가스부, 상판부의 하측면에 연결 설치되며, 장비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 상판부의 전면 하측에 설치되며, 가스부를 통해 이송된 가스의 이송 압력을 조정하는 조정부 및 상판부의 상부면에서 위쪽 방향으로 돌출되어 연결 설치되는 파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봄베부는, 일측은 상판부에 고정되고, 타측은 곡선 형태인 상측 거치부 및 상측 거치부의 좌측 및 우측에 연결되어 상측 거치부에 거치되는 봄베를 고정시키는 봄베 장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스부는, 상판부의 하부면에 배치되고, 봄베로부터 유입되는 가스를 전달받아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분배하여 유출하는 가스 이동부 및 상판부의 상부면에 배치되고, 가스 이동부로 유입되는 가스의 압력을 표시하는 압력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조정부는, 가스 이동부로부터 유입되는 가스를 전달하는 조정 이동부, 조정 이동부에서 유출되는 가스의 압력을 조정하는 다이얼부 및 조정 이동부에서 유출되는 가스의 압력을 표시하는 조정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판부는, 하판부의 상부면 일측에 설치되며, 봄베의 아래쪽을 지지하는 하측 거치부 및 하판부의 하부면에 설치되며, 용접 시스템을 이동시켜주는 바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둥부는, 하판부부터 상판부까지 이어지는 패널인 측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판부는, 측면에 용접 시스템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고정부는, 측판부의 중앙 부분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전부, 회전부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지지부, 지지부의 아래쪽 측면에 설치되며, 지면과 맞닿아서 마찰을 발생시키는 디딤부, 회전부 및 디딤부와 연결되고, 회전부에 걸리는 토크를 디딤부로 전달하는 전달부 및 전달부와 맞닿아서 전달부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면서 전달부의 방향을 조정하는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회전부는, 원통의 형태로 전달부를 감을 수 있는 권취부, 권취부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 연결 설치되며, 권취부보다 미리 정해진 길이만큼 긴 지름의 원통이며, 직각 삼각형의 기어가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기어부, 기어부에 수직 방향으로 타공된 천공부 및 기어부의 바깥쪽 측면에 고정 설치되며, 회전부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부는, 측판부의 일측에 수직 방향으로 연결 설치되고, 내측이 비어있는 지지 외장부, 지지 외장부의 내측에서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고, 하측에는 직각 삼각형이 형성되는 지지 이동부 및 지지 이동부에 아래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지지 탄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딤부는, 기둥부의 측면에 연결 설치되고, 내측에 원통형의 천공이 형성되는 디딤 외장부, 디딤 외장부의 내측에서 상하로 움직이는 디딤 내장부, 디딤 내장부의 아래 쪽에 연결 설치되고, 디딤 내장부가 아래로 이동하면 지면과 닿아서 마찰을 발생시키는 디딤 정지부, 디딤 외장부와 디딤 내장부 사이에 배치되고, 디딤 내장부가 위쪽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수직 탄성부 및 디딤 내장부와 디딤 정지부의 사이에 위치하고, 디딤 정지부가 지면과 닿아있는 상태에서 디딤 내장부를 위쪽 방향으로 밀어내는 디딤 탄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달부는, 천공부에 좌우로 설치 고정되는 제1 뭉치부, 디딤 정지부의 상부면에 설치 고정되는 제2 뭉치부 및 제1 뭉치부와 제2 뭉치부를 연결하는 와이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용접 장치, 봄베, 소모품 및 기타 필요한 물품을 거치하고 보관할 수 있도록 테이블을 구비하여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이동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용접 작업 중에 테이블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여 작업 중에 테이블 스스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접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접 시스템에 용접 관련 장치가 적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접 시스템에 용접 관련 장치가 바닥에서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접 시스템에 고정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접 시스템에 고정부의 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접 시스템에 고정부의 내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은 고정부를 확대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용접 시스템이 이동 상태일 때, 고정부의 외부 및 내부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용접 시스템이 정지 상태일 때, 고정부의 외부 및 내부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용접 시스템이 정지 상태일 때, 고정부의 디딤 탄성부가 충격을 흡수하는 모습을 타나내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시스템(10)은 상판부(100), 기둥부(300) 및 하판부(500)를 포함한다.
상판부(100)는 직사각의 수평한 패널의 형태를 구비한다.
상판부(100)는 용접에 사용되는 도구 및 기기 장치를 적재할 수 있도록 수평한 패널이며, 단단한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기둥부(300)는 상판부(100)의 하부면에 수직 방향으로 연결 설치될 수 있다.
기둥부(300)는 상판부(100)의 각 꼭지점에서 아래 방향으로 연결 설치되어 상판부(100)에 적재된 짐에 의해 발생하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하판부(500)는 기둥부(300)의 하단에 연결 설치되며, 직사각형의 수평한 패널의 형태를 구비한다.
하판부(500)는 상판부(100)와 마찬가지로 용접에 사용되는 도구 및 기기 장치를 적재할 수 있도록 수평한 패널이며, 단단한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접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판부(100)는 봄베부(110), 가스부(130), 수납부(150), 조정부(170) 및 파지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봄베부(110)는 가스를 저장하는 봄베를 위치시키기 위해 상판부(100)의 뒤쪽 일부가 사각형으로 함몰된 곳에 연결 설치될 수 있다.
봄베(B)는 용접에 사용되는 가스를 안정하게 저장할 수 있는 내압 용기로 원통형의 몸체에 상측에 가스를 배출관을 구비한다.
이 때, 봄베부(110)는 상측 거치부(111) 및 봄베 장착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측 거치부(111)는 상판부(100)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고, 타측은 곡선의 형태이다.
상측 거치부(111)는 상판부(100)의 일측에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평평한 면이고, 타측은 원통형의 봄베(B)를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도록 봄베(B)의 외부면과 비슷한 곡률을 가진 곡선면을 가진다.
봄베 장착부(113)는 상측 거치부(111)의 좌측 및 우측에 연결되어 상측 거치부(111)에 거치되는 봄베를 고정시킬 수 있다.
봄베 장착부(113)는 하판부(500)에 적재된 봄베(B)가 뚫린 부분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것으로 유연한 소재로 제작될 수 있고, 상측 거치부(111)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연결된다.
가스부(130)는 가스 이동부(131) 및 압력 표시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가스부(130)에 배치되는 봄베(B)에 저장된 가스를 이송시킬 수 있다.
가스 이동부(131)는 상판부(100)의 하부면에 배치되고, 봄베(B)로부터 유입되는 가스를 전달받아 적어도 하나 이상의 관으로 분배하여 유출할 수 있다.
가스 이동부(131)는 봄베(B)에 저장되어 있는 가스를 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 일측에는 봄베(B)에 연결된 관으로부터 가스가 유입되고, 타측에는 가스가 배출될 수 있는 관을 포함한다.
압력 표시부(133)는 상판부(100)의 상부면에 배치되고, 가스 이동부(131)로 유입되는 가스의 압력을 표시할 수 있다.
수납부(150)는 상판부(100)의 하측면에 연결 설치되며, 장비를 수납할 수 있다.
수납부(150)는 정면이 뚫려 있어서 작업자가 앞에서 필요한 도구를 편리하게 넣고, 꺼낼 수 있다.
조정부(170)는 상판부(100)의 전면 하측에 설치되며, 가스부(130)를 통해 이송된 가스의 이송 압력을 조정할 수 있다.
조정부(170)는 용접 장치(W)로 이송되는 가스의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조정부(170)는 조정 이동부(171), 다이얼부(173) 및 조정 표시부(175)를 포함할 수 있다.
조정 이동부(171)는 가스 이동부(131)로부터 유입되는 가스를 전달할 수 있다.
다이얼부(173)는 조정 이동부(171)에서 유출되는 가스의 압력을 조정할 수 있다.
다이얼부(173)는 조정 이동부(171)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다이얼부(173)는 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돌려서 가스의 압력을 조정할 수 있다.
조정 표시부(175)는 조정 이동부(171)에서 유출되는 가스의 압력을 표시할 수 있다.
조정 표시부(175)는 조정 이동부(171)의 전면에 배치되며, 다이얼부(173)에 의해 조정된 압력이 조정 표시부(175)에 표시되어 작업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파지부(190)는 상판부(100)의 상부면에서 위쪽 방향으로 돌출되어 연결 설치될 수 있다.
파지부(190)는 작업자가 용접 시스템(10)을 이동시킬 때, 잡을 수 있도록 상판부(100)의 상부면의 앞쪽, 옆쪽, 뒤쪽에 각각 배치되며, 상부로 돌출된 형태로 인해 상판부(100)에 적재된 용접용 장비들이 용접 시스템(10)의 이동에도 떨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하판부(500)는 하측 거치부(510) 및 바퀴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측 거치부(510)는 하판부(500)의 상부면 일측에 설치되며, 봄베(B)의 아래쪽을 지지할 수 있다.
봄베(B)는 상측 거치부(111) 및 봄베 장착부(113)에 의해 거치되지만, 하부에서도 봄베(B)를 받쳐주어 안정적으로 적재될 수 있도록 한다.
바퀴부(530)는 하판부(500)의 하부면에 설치되며, 용접 시스템(10)을 이동시켜줄 수 있다.
바퀴부(530)는 하판부(500)의 각 꼭지점의 하부면에 설치되며, 바퀴가 굴러서 용접 시스템(10)을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접 시스템에 용접 관련 장치가 적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접 시스템에 용접 관련 장치가 바닥에서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접 시스템(10)에 용접 관련 장치로 용접 장치(W), 봄베(B), 전원 연결선(P) 및 기타 공구들을 적재한 상태를 나타낸다.
상판부(100)의 상부에 용접 장치(W)를 적재하고, 봄베부(110)에 봄베(B)를 장착하고, 봄베(B)와 가스부(130), 가스부(130)와 조정부(170) 및 조정부(170)와 용접 장치(W)를 각각 연결하여 용접 장치(W)에 가스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전원 연결선(P)은 전선의 연장이 가능도록 하고, 연장이 가능한 측은 외부 전원과 연결하고, 타측은 용접 장치(W)와 연결하여 용접 장치(W)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전원 연결선(P)과 외부 전원이 연결될 수 있는 범위에서 이동하면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한번에 모든 장비를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모재가 큰 경우에 작업 장소를 자주 바꿀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접 시스템에 고정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접 시스템에 고정부의 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접 시스템에 고정부의 내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8은 고정부를 확대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기둥부(300)는 하판부(500)부터 상판부(100)까지 이어지는 패널인 측판부(3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측판부(310)는 상판부(100), 하판부( 500) 및 기둥부(300)에 이르는 패널로 일측 측면 전체를 덮을 수 있다. 이 때, 측면은 가스관의 결선 상태를 고려하여 봄베부(110) 반대쪽 측면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하판부(500)는 측면에 용접 시스템(10)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고정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퀴부(530)에 의해 편리한 이동이 가능하지만, 작업 중에 용접 시스템(10)이 외부의 충격에 의해 흔들리거나 지면의 기울기로 이동하게 될 경우 용접 장치(W)와 용접봉의 결선이 분리되거나 용접이 흔들려서 제품이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 중 이동이 적은 경우에는 용접 시스템(10)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고, 고정 상태를 빠르게 해제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 편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고정부(700)는 회전부(710), 지지부(730), 디딤부(750), 전달부(770) 및 걸림부(79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부(710)는 측판부(310)의 중앙 부분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회전부(710)는 권취부(711), 기어부(713), 천공부(715) 및 손잡이부(717)를 포함할 수 있다.
권취부(711)는 원통의 형태로 전달부(770)를 감을 수 있다.
권취부(711)는 실과 같은 구조물은 감아서 보관하기 위한 것으로 후술하는 전달부(770)의 와이어부(775)가 감기게 되고, 권취부(711)는 원통의 형태로 수평한 면이 측판부(310)와 수평한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기어부(713)는 권취부(711)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 연결 설치되며, 권취부(711)보다 미리 정해진 길이만큼 긴 지름의 원통이며, 직각 삼각형의 기어가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기어부(713)는 권취부(711)의 평평한 면에 설치되므로 각각 좌측면 및 우측면에 설치된다. 이 때, 권취부(711)가 적절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권취부(711)의 지름보다 미리 정해진 길이만큼 더 길게 형성되며, 미리 정해진 길이는 제조 과정에서 정해지는 스펙으로 반드시 특정된 값이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기어부(713)의 테두리에는 직각 삼각형 형태의 기어가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며, 기어부(713)와 후술하는 지지부(730)에 의해 한 방향으로만 회전하게 된다.
이 때, 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반대 방향의 회전 방향은 기어부(713)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직각 삼각형의 방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천공부(715)는 기어부(713)에 수직 방향으로 타공될 수 있다. 천공부(715)는 각각의 기어부(713)에 각각 뚫려있으며, 후술하는 제1 뭉치(771)가 삽입된다.
손잡이부(717)는 기어부(713)의 바깥쪽 측면에 고정 설치되며, 회전부(71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수직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손잡이부(717)는 아래에서 위로 올리면서 회전시킬 때, 후술하는 고정부(700)에 의해 용접 시스템(10)이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적절하다.
지지부(730)는 회전부(710)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730)는 기어부(713)에서 돌출되는 직각 삼각형의 기어와 맞물려서 회전부(710)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만 회절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지지부(730)에 외력을 가하면 회전부(71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지지부(730)는 지지 외장부(731), 지지 이동부(733) 및 지지 탄성부(775)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외장부(731)는 측판부(310)의 일측에 수직 방향으로 연결 설치되고, 내측이 비어있는 상태이다.
여기서 수직 방향을 측판부(310)를 기준으로 수직 방향이므로 지면과는 수평한 방향으로 돌출된다.
지지 이동부(733)는 지지 외장부(731)의 내측에서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고, 하측에는 직각 삼각형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수직 방향으로 지면을 기준으로 하며, 지지 이동부(733)의 아래는 기어부(713)가 위치하고, 지지 이동부(733)의 아래쪽의 직각 삼각형의 형태가 기어부(713)의 직각 삼각형의 형태의 기어부(713)와 맞닿게 된다.
지지 탄성부(775)는 지지 이동부(733)에 아래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지지 탄성부(775)는 지지 이동부(733)가 기어부(713)와 잘 맞물릴 수 있도록 아래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기 때문에 회전부(710)는 평소에는 회전하지 않으며, 작업자가 손잡이부(717)를 이용하여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및 작업자가 지지 이동부(733)를 위쪽으로 이동시켜서 고정 상태를 해제시키면 회전부(71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디딤부(750)는 지지부(730)의 아래쪽 측면에 설치되며, 지면과 맞닿아서 마찰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디딤부(750)와 관련하여서는 이하에서 도 9 내지 도 11과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전달부(770)는 회전부(710) 및 디딤부(750)와 연결되고, 회전부(710)에 걸리는 토크를 디딤부(750)로 전달할 수 있다.
전달부(770)는 회전부(710)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토크에 의해 전달부(770)를 끌어당기면 전달부(770)에 연결된 디딤부(750)에 전달하게 된다.
이를 위해, 전달부(770)는, 제1 뭉치부(771), 제2 뭉치부(773) 및 와이어부(77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뭉치부(771)는 천공부(715)에 좌우로 설치 고정될 수 있다.
제1 뭉치부(771)는 권취부(711)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 위치하는 기어부(713)에 타공되어 있는 천공부(715)에 끼워져서 설치되며, 제1 뭉치부(771)에는 와이어부(775)의 한 쪽 끝이 고정 결합된다.
제2 뭉치부(773)는 디딤 정지부(755)의 상부면에 설치 고정될 수 있다.
디딤 정지부(755)는 이하에서 도 9 내지 도 11과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제2 뭉치부(773)는 디딤 정지부(755)의 상부면에 설치되며, 와이어부(775)의 다른 일측에 고정 결합된다. 와이어부(775)에 인장력이 발생하면 디딤부(750)를 아래로 끌어내리게 된다.
와이어부(775)는 제1 뭉치부(771)와 제2 뭉치부(773)를 연결할 수 있다.
와이어부(775)는 유연하지만, 강한 인장력을 가진 금속성 소재의 선으로 제작되며,
걸림부(790)는 전달부(770)와 맞닿아서 전달부(770)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면서 전달부(770)의 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걸림부(790)는 전달부(770)의 와이어부(775)가 회전부(710)의 회전에 따라 움직이는 과정에서 안정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와이어부(775)의 위치를 잡아주는 역할을 수행하며, 내부에는 와이어부(775)와의 마찰을 줄이기 위해 도르래와 같은 바퀴가 설치될 수 있다.
도 9는 용접 시스템이 이동 상태일 때, 고정부의 외부 및 내부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용접 시스템이 정지 상태일 때, 고정부의 외부 및 내부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1은 용접 시스템이 정지 상태일 때, 고정부의 디딤 탄성부가 충격을 흡수하는 모습을 타나내는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디딤부(750)는 디딤 외장부(751), 디딤 내장부(753), 디딤 정지부(755) 수직 탄성부(757) 및 디딤 탄성부(759)를 포함할 수 있다.
디딤 외장부(751)는 기둥부(300)의 측면에 연결 설치되고, 내측에 원통형의 천공이 형성될 수 있다.
디딤 외장부(751)는 기둥부(300)의 측면에 연결 설치되어 고정되고, 내측은 지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원통형으로 뚫려 있게 된다.
디딤 내장부(753)는 디딤 외장부(751)의 내측에서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디딤 내장부(753)는 디딤 외장부(751)의 내측에 삽입되는 원통형의 구조물로 상부면에 제2 뭉치부(773)가 끼워서 고정되고, 와이어부(775)에 의해 인장력이 강해지면 디딤 내장부(753)는 아래로 이동하여 지면과 닿아서 용접 시스템(10)이 고정되고, 와이어부(775)에 의해 인장력이 약해지면 디딤 내장부(753)는 위로 이동하여 지면에서 이격되면서 용접 시스템(10)이 이동하기 쉬운 상태가 된다.
디딤 정지부(755)는 디딤 내장부(753)의 아래 쪽에 연결 설치되고, 디딤 내장부(753)가 아래로 이동하면 지면과 닿아서 마찰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디딤 정지부(755)는 지면과 맞닿는 지점으로 디딤 내장부(753)의 아래 쪽에 연결 설치되고, 디딤 정지부(755)의 하부면은 고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높은 마찰 계수가 높은 소재를 부착시킬 수 있다.
수직 탄성부(757)는 디딤 외장부(751)와 디딤 내장부(753) 사이에 배치되고, 디딤 내장부(753)가 위쪽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수직 탄성부(757)는 디딤 내장부(753)가 위쪽으로 이동하도록 하며, 와이어부(775)에 의한 인장력으로 디딤 내장부(753)가 아래로 이동하고, 인장력이 없어지면, 수직 탄성부(757)의 탄성력에 의해 디딤 내장부(753)는 위쪽으로 이동하여 원위치로 돌아가게 된다.
디딤 탄성부(759)는 디딤 내장부(753)와 디딤 정지부(755)의 사이에 위치하고, 디딤 정지부(755)가 지면과 닿아있는 상태에서 디딤 내장부(753)를 위쪽 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다.
디딤 탄성부(759)는 디딤 내장부(753)가 아래로 내려와서 용접 시스템(10)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이용되는 구성으로 용접 시스템(10)이 고정된 상태에서 외부에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디딤 내장부(753)가 아래로 내려올 때 바닥면이 평평하지 않으면 각각의 디딤 탄성부(759)가 각각 다르게 수축하여 상판부(100) 및 하판부(500)의 수평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용접 시스템(10)은 용접 장치, 봄베, 소모품 및 기타 필요한 물품을 거치하고 보관할 수 있도록 테이블을 구비하여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이동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용접 시스템(10)은 용접 작업 중에 테이블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여 작업 중에 테이블 스스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의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용접 시스템
100: 상판부
300: 기둥부
500: 하판부
700: 고정부

Claims (3)

  1. 직사각의 수평한 패널인 상판부, 상기 상판부의 하부면에 수직 방향으로 연결 설치되는 기둥부 및 상기 기둥부의 하단에 연결 설치되며, 직사각형의 수평한 패널인 하판부를 포함하는 용접 시스템에 있어,
    상기 용접 시스템은,
    상기 상판부는,
    가스를 저장하는 봄베를 위치시키기 위해 상기 상판부의 뒤쪽 일부가 사각형으로 함몰된 곳에 연결 설치되는 봄베부;
    상기 봄베부에 배치되는 봄베에 저장된 가스를 이송시키는 가스부;
    상기 상판부의 하측면에 연결 설치되며, 장비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
    상기 상판부의 전면 하측에 설치되며, 상기 가스부를 통해 이송된 가스의 이송 압력을 조정하는 조정부; 및
    상기 상판부의 상부면에서 위쪽 방향으로 돌출되어 연결 설치되는 파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봄베부는,
    일측은 상기 상판부에 고정되고, 타측은 곡선 형태인 상측 거치부; 및
    상기 상측 거치부의 좌측 및 우측에 연결되어 상기 상측 거치부에 거치되는 봄베를 고정시키는 봄베 장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스부는,
    상기 상판부의 하부면에 배치되고, 봄베로부터 유입되는 가스를 전달받아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분배하여 유출하는 가스 이동부; 및
    상기 상판부의 상부면에 배치되고, 상기 가스 이동부로 유입되는 가스의 압력을 표시하는 압력 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정부는,
    상기 가스 이동부로부터 유입되는 가스를 전달하는 조정 이동부;
    상기 조정 이동부에서 유출되는 가스의 압력을 조정하는 다이얼부; 및
    상기 조정 이동부에서 유출되는 가스의 압력을 표시하는 조정 표시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판부는,
    상기 하판부의 상부면 일측에 설치되며, 봄베의 아래쪽을 지지하는 하측 거치부; 및
    상기 하판부의 하부면에 설치되며, 상기 용접 시스템을 이동시켜주는 바퀴부;를 포함하며,
    상기 기둥부는,
    상기 하판부부터 상기 상판부까지 이어지는 패널인 측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판부는,
    측면에 상기 용접 시스템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측판부의 중앙 부분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기둥부의 아래쪽 측면에 설치되며, 지면과 맞닿아서 마찰을 발생시키는 디딤부;
    상기 회전부 및 상기 디딤부와 연결되고, 상기 회전부에 걸리는 토크를 상기 디딤부로 전달하는 전달부; 및
    상기 전달부와 맞닿아서 상기 전달부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전달부의 방향을 조정하는 걸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는,
    원통의 형태로 상기 전달부를 감을 수 있는 권취부;
    상기 권취부의 좌측면 및 우측면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권취부보다 미리 정해진 길이만큼 긴 지름의 원통이며, 직각 삼각형의 기어가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기어부;
    상기 기어부에 수직 방향으로 타공된 천공부; 및
    상기 기어부의 바깥쪽 측면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회전부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측판부의 일측에 수직 방향으로 연결 설치되고, 내측이 비어있는 지지 외장부;
    상기 지지 외장부의 내측에서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고, 하측에는 직각 삼각형이 형성되는 지지 이동부; 및
    상기 지지 이동부에 아래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지지 탄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디딤부는,
    상기 기둥부의 측면에 연결 설치되고, 내측에 원통형의 천공이 형성되는 디딤 외장부;
    상기 디딤 외장부의 내측에서 상하로 움직이는 디딤 내장부;
    상기 디딤 내장부의 아래 쪽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디딤 내장부가 아래로 이동하면 지면과 닿아서 마찰을 발생시키는 디딤 정지부;
    상기 디딤 외장부와 상기 디딤 내장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디딤 내장부가 위쪽으로 이동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수직 탄성부; 및
    상기 디딤 내장부와 상기 디딤 정지부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디딤 정지부가 지면과 닿아있는 상태에서 상기 디딤 내장부를 위쪽 방향으로 밀어내는 디딤 탄성부;를 포함하며,
    전달부는,
    상기 천공부에 좌우로 설치 고정되는 제1 뭉치부;
    상기 디딤 정지부의 상부면에 설치 고정되는 제2 뭉치부; 및
    상기 제1 뭉치부와 상기 제2 뭉치부를 연결하는 와이어부;를 포함하는 용접 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200092875A 2020-07-27 2020-07-27 용접 시스템 KR102226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2875A KR102226342B1 (ko) 2020-07-27 2020-07-27 용접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2875A KR102226342B1 (ko) 2020-07-27 2020-07-27 용접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6342B1 true KR102226342B1 (ko) 2021-03-10

Family

ID=75147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2875A KR102226342B1 (ko) 2020-07-27 2020-07-27 용접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63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307U (ko) * 2021-08-03 2023-02-10 주식회사 엘피텍 용접기 이송용 카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1070B1 (ko) 1999-06-16 2005-05-24 로디아 쉬미 세륨 및(또는) 란타늄 포스페이트 졸,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연마 현탁액, 항-부식제 및 항-uv제
KR200437068Y1 (ko) * 2006-12-28 2007-10-31 동문산업(주) 가스용접기용 케리어
KR101067716B1 (ko) 2008-09-02 2011-09-28 최현근 교육용 용접테이블
KR20110118878A (ko) * 2010-04-26 2011-11-0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이동식 플라즈마 용접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1070B1 (ko) 1999-06-16 2005-05-24 로디아 쉬미 세륨 및(또는) 란타늄 포스페이트 졸, 그의 제조 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연마 현탁액, 항-부식제 및 항-uv제
KR200437068Y1 (ko) * 2006-12-28 2007-10-31 동문산업(주) 가스용접기용 케리어
KR101067716B1 (ko) 2008-09-02 2011-09-28 최현근 교육용 용접테이블
KR20110118878A (ko) * 2010-04-26 2011-11-0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이동식 플라즈마 용접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0307U (ko) * 2021-08-03 2023-02-10 주식회사 엘피텍 용접기 이송용 카트
KR200497238Y1 (ko) * 2021-08-03 2023-09-07 주식회사 엘피텍 용접기 이송용 카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6342B1 (ko) 용접 시스템
JP5235984B2 (ja) 車両のスペアホイール昇降装置
EP1840445A2 (en) Display apparatus
US6523777B2 (en) Portable wire spool caddy
US5088014A (en) Tool caddy with adjustable light boom
CN102606858A (zh) 支撑架及带有支撑架的电子设备
US11518578B2 (en) Package structure
US9771091B1 (en) Ratchet binder rack
CN213512764U (zh) 一种电气化教学设备用可调节演示屏
US5280891A (en) Pipe welding support apparatus
CN210800549U (zh) 一种计算机显示器底座
CN208347166U (zh) 一种稳定伸缩遮雨篷
EP3424827A1 (en) Target packaging auxiliary device
KR200485301Y1 (ko) 다용도 손수레
CN209796654U (zh) 一种酞菁蓝化工原料的输送装置
US6454123B1 (en) Stabilizing caddy for pressurized gas container
US11103950B2 (en) Removable welding wire spool arrangement for welding applications
CN220930845U (zh) 防震型液化天然气储罐支架
US5438956A (en) Device for dispensing bird seed to an elevated location
CN210943264U (zh) 一种快速下料垃圾箱
CN211385498U (zh) 金属管喷涂挂件
CN209757853U (zh) 一种便于使用的外卖箱
CN219821096U (zh) 一种视觉传达设计纸收纳装置
JP2015226507A (ja) ラップマシンのフィルム保持装置
CN220054726U (zh) 包装内衬及收纳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