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6334B1 - 판재 문양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판재 문양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6334B1
KR102226334B1 KR1020200126193A KR20200126193A KR102226334B1 KR 102226334 B1 KR102226334 B1 KR 102226334B1 KR 1020200126193 A KR1020200126193 A KR 1020200126193A KR 20200126193 A KR20200126193 A KR 20200126193A KR 102226334 B1 KR102226334 B1 KR 1022263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material
plate
unit
pattern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6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남수
Original Assignee
한삼코라(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삼코라(주) filed Critical 한삼코라(주)
Priority to KR1020200126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63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6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63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2/00Shaping without cutting, by stamping, spinning, or deep-drawing
    • B21D22/02Stamping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 B21D22/04Stamping using rigid devices or tools for dimp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7/00Forming single grooves in sheet metal or tubular or hollow articles
    • B21D17/02Forming single grooves in sheet metal or tubular or hollow articles by pre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 B21D43/04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 B21D43/08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by rollers
    • B21D43/09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by rollers by one or more pairs of rollers for feeding sheet or strip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1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etween rams and anvils or abut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04C2/29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and sheet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 basic insulating layer and at least one covering lay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재 문양 형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 판재를 공급하는 판재 공급부; 상기 판재 공급부에 의해 공급되는 판재를 평탄화하는 평탄화부; 서보모터에 의해 상기 평탄화부를 통과한 판재를 일정 간격만큼 일방으로 이송시키는 판재 이송부; 상기 판재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판재를 압착하여 문양을 형성하는 프레스부 및 상기 프레스부 후단부에 배치되어 문양이 형성된 판재를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판재 문양 형성 장치{Plate pattern formation device}
본 발명은 판재 문양 형성 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패널과 샌드위치 패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판재에 양각 또는 음각 형태의 문양을 압착성형을 통해 연속적으로 형성하는 판재 문양 형성 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패널과 샌드위치 패널에 관한 것이다.
금속 재질 등의 판재는, 판재 그대로나 패널 형태 등으로 제작되어 다양한 건축 외장재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일례로써, 내식성과 강도가 좋은 철과 아연의 합금강인 징크패널이 있는데, 이러한 징크패널은 지붕과 건축물 외장재로 다양하게 쓰이고 있으며, 합금강인 스테인리스 역시 물탱크 이외에도 전시장, 공공건물 등의 외장재로만 사용되다가 최근에는 옥상 방수나 저수조의 라이닝에 폭넓게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의 스테인리스를 콘크리트 저수조나 옥상 방수 등에 사용할 경우 종래의 우레탄이나 에폭시로 도막 방수로 사용하던 것에 대비하여, 반영구적이면서도 환경호르몬 방출이 없어 스테인리스 판재 등의 사용이 점차 증가되고 있다.
이처럼 판재나 가공된 패널은 유용성은 많으나, 열전도율 때문에 온도에 의한 재질의 수축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어 길이 방향으로만 길게 생산되어 좁은 폭으로 시공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시공비가 높아지고 길이가 비교적 짧은 규격화된 판재나 패널은 서로 이어붙이는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그 예로, 스테인리스 물탱크나 콘크리트 수조의 라이닝에 이용되는 벽체 패널은 긴 패널을 사용하면 강성이 떨어지기에 비교적 짧게 규격화된 패널을 연접 시공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짧게 길이를 형성하여 이어붙이는 방식은 상술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긴 패널을 제작하는 것에 대비하여 시공비가 많이 비싸고, 시공 규모가 커질수록 시공비의 증가폭은 더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 때문에, 시공비의 증가를 줄이기 위해 일부에서는 건축물이나 벽체의 내외장재에 형성에 있어 긴 패널을 이용하여 시공하기도 하나, 긴 패널을 시공하게 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강성의 문제는 물론 판재가 평 단면을 이룸으로써 미려한 외양 대신 칙칙한 외관으로서 단조로울 뿐만 아니라 패널의 두께가 얇을 경우 연성에 의해 휨이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옥상 방수패널에 사용될 경우에는 판재가 평평하기 때문에 미끄러워 넘어질 수도 있고, 이 역시 온도에 따른 수축팽창으로 뒤틀림이나 휨이 발생함으로써 유지보수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판재나 패널의 폭은 넓고 길이를 길게 형성하여 시공비를 줄이면서도 강성을 높일 수 있도록 판재에 문양을 형성하는 방법이 제안되었으나, 판재나 패널을 길이 방향으로 길게 생산하고자 하면 연속롤러에 의한 사출성형방식으로 생산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판재나 패널에 문양을 생성하는 것은 사실상 어려워, 실질적으로 문양 없이 폭만 좁혀 길이만 길게 한 시공방법으로 시공비를 줄이거나, 강성을 고려하여 짧은 길이의 패널을 연접 시공하는 방식이 반복되고 있다.
이 때문에,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판재에 문양을 형성할 수 있는 장치와 이에 의해 제조된 패널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되는 것으로, 판재에 양각 또는 음각 형태의 문양을 압착성형을 통해 연속적으로 형성할 수 있는 판재 문양 형성 장치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패널과 샌드위치 패널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판재 문양 형성 장치는, 판재를 공급하는 판재 공급부; 상기 판재 공급부에 의해 공급되는 판재를 평탄화하는 평탄화부; 서보모터에 의해 상기 평탄화부를 통과한 판재를 일정 간격만큼 일방으로 이송시키는 판재 이송부; 상기 판재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판재를 압착하여 문양을 형성하는 프레스부 및 상기 프레스부 후단부에 배치되어 문양이 형성된 패널을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판재 이송부는, 상기 프레스부 전방에 고정 설치되며, 각각 판재의 이송라인 상측과 하측에 마련되는 적어도 한 쌍의 상부롤러와 하부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롤러와 하부롤러 중 어느 하나의 롤러의 회전에 의해 판재가 이송될 수 있다.
한편으론, 상기 판재 이송부는, 실린더 또는 볼스크류 타입의 판재 이송 장치에 의해 전/후진 왕복 운동하는 이송체; 상기 이송체 내부에 마련되어 판재가 안착되며, 상기 프레스부에 마련되는 상부 고정 금형에 상응하는 문양을 형성하는 하부 이송 금형 및 상기 이송체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하부 이송 금형에 안착된 판재를 고정시키는 판재 고정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프레스부에 의해 압착되어 형성되는 문양은, 문양태가 판재보다 상방으로 볼록하게 돌출되거나, 하방으로 오목하게 함몰되며, 상기 문양태의 테두리는 문양태의 반대 방향으로 판재보다 상방으로 볼록하게 돌출되거나, 하방으로 오목하게 함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재 문양 형성 장치는, 상기 프레스부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스부에 의해 문양이 형성된 패널을 스캐너부에서 입력된 형태로 가공하는 가공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공부는, 레이저 장치, 전사 장치, 접착 장치, 도포 장치 및 도장 장치 중 하나 또는 복합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재 문양 형성 장치는, 상기 평탄화부 후방에서 판재의 이송라인 상/하측에 한 쌍으로 마련되는 이중 문양 형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중 문양 형성부는, 각기 문양이 다른 복수개의 성형롤러가 연결판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연결판의 중심에는 모터와 연결되는 중심축이 마련되며, 상기 중심축에는 수직으로 왕복 운동하는 수직 실린더가 연결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문양을 형성하고자 하는 성형롤러를 모터로 회전시킨 후, 상기 수직 실린더로 압착하여 판재에 문양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레스부와 이중 문양 형성부 중 하나를 선택하여 판재에 문양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판재 문양 형성 장치는, 상기 판재 공급부와 평탄화부 사이에 마련되어 판재의 두께를 판별하는 두께판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두께판별부는, 판재의 인입이 용이하도록 판재가 인입되는 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며, 판재의 높이 상/하측에서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마련되는 제1 및 제2 측정부재; 상기 제1 및 제2 측정부재 중 하나의 측정부재의 평단부에 마련되며, 압력센서와 연결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측정부재 사이로 인입되는 판재의 두께에 따라 상기 압력센서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으로 측정되는 판재 두께에 맞추어 판재를 가압하는 판재 문양 형성 장치의 각 구성의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판재 문양 형성 장치는, 상기 배출부 후방 또는 판재 이송라인 측방에 마련되어 이송되는 판재 또는 배출되는 패널을 절곡하는 판재 절곡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판재 절곡부는, 다양한 형태의 암/수 제1 절곡편이 복수로 마련되되, 고정된 자리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1 절곡 형성부 및 상기 판재 또는 패널이 절곡될 공간을 중심으로 제1 절곡 형성부와 대향되는 위치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제1 절곡편에 상응하는 형태의 암/수 제2 절곡편이 복수로 마련되되, 고정된 자리에서 회전이 가능함과 동시에 제1 절곡 형성부에 대해 전진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2 절곡 형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재 문양 형성 장치에 의해 판재에 문양이 형성되어 건축물의 내외장재나 스테인리스 물탱크 외벽체 또는 콘크리트 수조의 라이닝 벽체패널 등에 사용될 수 있는 패널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널에 단열재, 흡음재, 흡수재 중 하나 이상의 보강재를 부착 또는 삽입하여 건축물의 내외장재나 금속 물탱크의 외벽체 또는 콘크리트 수조 내부 벽체패널에 사용되는 샌드위치 패널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판재 문양 형성 장치는, 사출 성형이 아닌 압착 성형을 이용하여 판재에 문양을 다양하게 형성할 수도 있으면서도, 문양이 연결되거나 일정 배열과 간격을 가지도록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길이가 긴 패널을 만들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조된 패널은 평단면 대비 강성이 보강되면서도, 균일한 하중 분산이 가능하여, 미적 기능과 뛰어난 강성을 지니므로 각종 내외장재로 사용 가능한 활용도를 높고, 글씨도 새겨 넣어 홍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만 한정되지 않고, 명세서 및 도면으로부터 예측 가능한 모든 효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판재 문양 형성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의 (a) 내지 (c)는 도 1과는 다른 판재 이송부의 형태를 갖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판재 문양 형성 장치의 작동 예시도이다.
도 3의 (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패널의 일례이며, (b)는 도 3의 (a)의 단면도이다.
도 4의 (a) 내지 (d)는 문양이 형성된 패널의 다양한 형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5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패널에 보강재를 이용하여 형성한 샌드위치 패널의 예시도이다.
도 6의 (a)는 가공부 및 스캐너부가 마련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판재 문양 형성 장치의 개략도이며, (b)는 가공부를 통해 패널에 글씨 가공을 한 예시도이다.
도 7은 이중 문양 형성부가 마련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판재 문양 형성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8a 내지 8c는 도 7의 이중 문양 형성부의 작동 예시도이다.
도 9는 두께판별부가 마련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판재 문양 형성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0의 (a) 및 (b)는 도 9의 두께판별부의 작동 예시도이다.
도 11은 판재 절곡부가 마련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판재 문양 형성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2의 (a) 내지 (d)는 도 11의 판재 절곡부의 작동 예시도이다.
도 13의 (a)는 도 11의 판재 절곡부가 배출부 후방에 마련된 것을 예시한 도면이며, 도 13의 (b)는 판재 절곡부가 판재의 이송라인 측방에 마련된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절단부가 마련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판재 문양 형성 장치의 개략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판재 문양 형성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판재 문양 형성 장치의 개략도이며, 도 2의 (a) 내지 (c)는 도 1과는 다른 판재 이송부의 형태를 갖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판재 문양 형성 장치의 작동 예시도이고, 도 3의 (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패널의 일례이며, (b)는 도 3의 (a)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4의 (a) 내지 (d)는 문양이 형성된 패널의 다양한 형태를 예시한 도면이며, 도 5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패널에 보강재를 이용하여 형성한 샌드위치 패널의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판재 문양 형성 장치는, 판재 공급부(10), 평탄화부(20), 판재 이송부(30), 프레스부(40), 배출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판재 공급부(10)는 문양이 형성되지 않은 판재(Plate, P)를 공급하는 곳으로, 판재(P)는 공정의 면적을 줄이기 위해 판재 공급부(10)에 롤링된 상태로 고정되고, 풀어지면서 일방으로 공급될 수 있다.
여기서, 판재(P)는 롤링된 상태를 이루어야 하므로 바람직하게는 연성이 있는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나,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판재는 그 공급면적을 넓히어 강성 재질을 직선 방향으로만 공급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평탄화부(20)는 판재 공급부(10)로부터 공급되는 판재(P)를 평탄화하기 위한 구성으로, 판재(P)가 롤링 상태에서 풀어지도록 공급될 시에 다시 롤링되지 않도록 판재에 대해 일정 압력을 가하면서 직선 방향으로 가이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평탄화부(20)는 판재(P)의 이송 라인 상/하측에서 지그재그로 교번하도록 마련되는 적어도 3개 이상의 복수의 롤러로 구성될 수 있고, 상측과 하측 중 일측에 마련된 롤러는 고정된 위치에서 회전하면서 판재(P)를 가이드하거나 이송시키는 이송롤러(21)일 수 있고, 타측에 마련된 롤러는 수직으로 왕복운동 하면서 판재(P)를 압착하는 압착롤러(22)일 수 있다.
여기서, 판재(P)는 이송롤러(21)와 압착롤러(22) 사이로 통과하도록 형성되며, 압착롤러(22)는 판재(P)가 평탄화되도록 이송롤러(21) 방향으로 수직 이동하여 판재(P)를 압착하고, 압착하는 그 자리에서 판재(P)의 이송에 따라 이송롤러(21)와 함께 회전하면서 판재(P)의 이송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송롤러(21)의 회전은 후술할 판재 이송부(30)에 의한 판재(P)의 이송에 따른 마찰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나, 모터 등의 동력장치에 의해 동력을 전달 받아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판재 이송부(30)는 평탄화부(20) 후방에 마련되어 평탄화부(20)를 통과한 판재(P)를 일방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이때, 판재 이송부(30)는 서보모터(미도시)와 연결되어 서보모터(미도시)에 의해 판재(P)를 정밀하게 일정 간격만큼 일방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서보모터는 판재 이송부(30)의 작동 시 속도나 토크에 대해 피드백을 받고 에러를 정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이송되는 판재(P)가 정확히 일정 간격만큼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서보모터는 엔코더(미도시)를 함께 마련하여 구성될 수도 있는데, 엔코더는 서보모터의 회전에 따른 회전 방향, 속도 등을 감지하고, 이를 후술하는 프레스부(40)로 전달하여 판재(P)가 일정 거리만큼 이동할 때에 맞추어 프레스부(40)가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문양이 연결되는 형태로 형성되거나 일정 배열과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서보모터 및 엔코더를 구비하는 판재 이송부(30)는, 일례로 한 쌍의 상부롤러(31)와 하부롤러(3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부롤러(31)는 판재(P)의 이송라인 상측에 마련되는 것이고, 하부롤러(32)는 판재의 이송라인 하측에 마련되는 것으로서, 이송되는 판재(P)를 중심에 두고 상부롤러(31)와 하부롤러(32)가 상/하측에서 한 쌍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부롤러(31)와 하부롤러(32) 중 어느 하나의 롤러에는 상술한 서보모터가 연결되어 회전 작동함으로써, 접하는 판재(P)가 이송될 수가 있다. 서보모터가 마련되지 아니한 다른 하나의 롤러는 상술한 압착롤러(22)와 같이 판재(P)를 압착하여 판재(P)가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부롤러(31)와 하부롤러(32) 중 서보모터가 마련되지 아니한 롤러는 수직 실린더(미도시)가 연결되며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써, 판재 이송부(30)는 이송체(36), 하부 이송 금형(37) 및 판재 고정 장치(3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이송체(36)는 실린더 또는 볼스크류 타입의 판재 이송 장치(36a)에 의해 전/후진으로 왕복 운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판재 이송 장치(36a)에는 서보모터가 연결될 수 있고, 서보모터의 동작에 의해 판재 이송 장치(36a)가 이송체(36)의 이송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가 있다.
이때, 이송체(36)는 하부에 바퀴부(미도시)가 마련되거나 레일(미도시)이 설치되어 이동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송체(36)가 왕복 운동할 수 있다면 어느 형태로 마련되던지 상관 없다.
하부 이송 금형(37)은 이송체(36) 내부에 마련되며 판재(P)가 안착할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또한, 판재 고정 장치(38)는 이송체(36) 내부에 마련되어 하부 이송 금형(37)에 안착된 판재(P)를 고정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하부 이송 금형(37)은 상단이 프레스부(40)에 마련되는 상부 고정 금형(47)에 상응하는 문양을 형성하거나, 문양의 성형판이 장착될 수 있다.
즉, 이송체(36)는 판재 고정 장치(38)에 의해 하부 이송 금형(37)에 고정된 판재를 판재 이송 장치(36a)의 작동에 의해 프레스부(40) 내부까지 인입시키며, 프레스부(40)에 마련된 상부 고정 금형(47)과 대응하는 위치에 도달하였을 경우, 상부 고정 금형(47)을 하부 이송 금형(37)으로 압착하여 사이에 있는 판재(P)에 문양이 형성될 수가 있다.
여기서, 판재 고정 장치(38)는 상부 고정 금형(47)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상부 고정 금형(47)이 문양을 찍는 판재(P)의 공간보다 더 넓은 폭으로 마련되어 판재(P)를 고정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프레스부(40) 내부에 상부 고정 금형(47)만 마련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판재 이송부(30)가 상술한 상부롤러(31)와 하부롤러(32)의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는 상부롤러(31) 또는 하부롤러(32)가 이송에 관여하므로, 프레스부(40) 내부에 상부 고정 금형과, 하부 이송 금형(37, 47)이 모두 마련될 수 있고, 하부 이송 금형(47)은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즉, 상술한 판재 이송부(30)의 형태는 예시적인 형태일 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프레스부(40) 또한 판재 이송부(30)의 판재 이송 형태에 따라 금형의 배치구조나 개수는 달리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해 판재 이송부(30)가 상부롤러(31) 및 하부롤러(32)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기초로 설명하기로 한다.
프레스부(40)는 판재 이송부(30)에 의해 이송되는 판재(P)를 압착하여 문양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보다 쉽게 이해를 돕기 위해 문양을 형성한 판재(P)를 '패널(PN)'로 지칭하기로 한다.
이때, 프레스부(40)는 상술하였듯이 서보모터와 함께 마련되는 엔코더 등에 의해 서보모터의 회전수나 회전속도 등을 전달 받고, 이를 기초로 이송된 판재(P)의 이송거리를 계산한 타이밍에 문양을 형성하므로써, 문양이 연결되는 형태로 형성되거나 일정 배열 또는 간격을 형성하도록 연속적으로 생성 할 수 있다.
이때, 형성된 문양의 형태는 한정되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문양태(PT)가 판재보다 상방으로 볼록하게 돌출되거나 하방으로 오목하게 함몰되며, 문양태의 테두리(PTL)는 문양태(PT)의 반대 방향으로 판재보다 상방으로 볼록하게 돌출되거나 하방으로 오목하게 함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양태(PT)가 판재(P) 상방으로 볼록하게 돌출될 경우, 문양태의 테두리(PTL)는 판재(P) 하방으로 오목하게 함몰되고, 반대로 문양태(PT)가 판재(P) 하방으로 오목하게 함몰될 경우, 문양태의 테두리(PTL)는 판재(P) 상방으로 볼록하게 돌출될 수 있다.
즉, 문양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다각형, 선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만 문양의 형태를 구성하는 문양태(PT)와 문양태의 테두리(PTL)만 상술한 바와 같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출되거나 함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양태(PT)와 문양태의 테두리(PTL) 구조는 문양태(PT) 또는 문양 테두리(PTL) 중 어느 한 곳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으로, 그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문양태(PT)와 문양태 테두리(PTL)의 연결선들은 모두 굴곡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문양태(PT)와 문양태의 테두리(PTL)은 도 4의 (d)와 같이 분리되어서도 형성될 수가 있다.
아울러, 배출부(50)는 프레스부(40) 후단부에 배치되어 문양이 형성된 패널(PN)을 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구조는 한 쌍의 배출롤러(51, 52)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사항은 아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판재 문양 형성 장치는, 사출 성형이 아닌 압착 성형을 이용하여 판재의 문양을 다양하게 형성할 수도 있으면서도, 길이가 긴 판재에도 문양이 연결되도록 형성되거나 일정 배열과 간격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판재(P)는 평단면 대비 강성이 보강되면서도, 균일한 하중 분산이 가능하여, 뛰어난 강성을 지닌 패널(PN)이 되어 보다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판재 문양 형성 장치를 통해 문양이 형성된 패널(PN)은, 자체적으로 외장재 또는 내장재 등으로 설치될 수도 있고, 보강재(S)를 부착 또는 삽입한 샌드위치 패널(SPN) 형태로 용도에 적합하게 이용될 수도 있다.
예컨대, 샌드위치 패널(SPN)은 도 5의 (a)와 같이 복수의 패널(PN) 사이에 보강재(S)가 삽입되도록 형성되거나, 도 5의 (b)와 같이 하나의 패널(PN)의 일면에 보강재(S)가 부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여기서 보강재(S)는 단열재, 흡음재, 흡수재 등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건축물의 지붕, 옥상, 외벽 등에는 단열재를 사용할 수 있고, 천장과 내벽에는 흡음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스테인리스 물탱크나 콘트리트 저수조의 벽체 등에는 흡수재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흡수재는 한번 물을 흡수하면 더 이상 물을 흡수하지 않고 배척하여 온도차로 인한 결로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벤토나이트 시트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는 바람직한 예시로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보강재(S)는 샌드위치 패널(SPN)의 사용 목적에 따라 각기 다른 보강재(S)가 부착 또는 삽입될 수 있으며, 위의 설명에서는 보강재(S)가 단일로 구성되는 것으로만 예시하였으나, 보강재(S)는 서로 혼용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단열재, 흡음재, 흡수재가 서로 혼용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판재 문양 형성 장치는, 판재에 대해 보다 정밀하게 문양을 형성하고, 패널(PN)을 보다 다양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는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가 있다.
이는, 도 6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의 (a)는 가공부 및 스캐너부가 마련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판재 문양 형성 장치의 개략도이며, (b)는 가공부를 통해 패널에 글씨 가공을 한 예시도이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판재 문양 형성 장치는, 프레스부(40) 후방에 설치되어 프레스부(40)에 의해 문양이 형성된 패널(PN)을 스캐너부(65)에 입력된 형태로 가공하는 가공부(6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가공부(60)는 레이저 장치, 전사 장치, 접착 장치, 도포 장치 및 도장 장치 중 하나 또는 복합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가공부(60)는 프레스부(40)에 의해 1차적으로 압착되어 문양이 형성된 패널(PN)을 레이저 가공하거나, 전사 하거나, 접착 하거나, 도포하거나, 색상을 도장하는 것을 선택 또는 조합하여 가공하는 것으로, 레이저, 전사 가공을 통해 도 6의 (b)와 같이 글씨, 무늬, 홈, 홀 등을 형성할 수 있고, 접착 또는 도포 가공 등을 통해 필름을 입히거나 표면에 코팅을 수행할 수가 있으며, 도장 장치를 통해 필요한 색상을 도장할 수가 있다.
여기서, 접착 장치는 열 공급부 및 냉각부와 함께 마련되어 접착성을 제어할 수 있으며, 전사, 접착 또는 도포 장치는 물 분사기를 마련하여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고, 온도조절기를 함께 마련하여 접착성을 제어할 수 있으며, 도장 장치는 열 처리부를 두어 패널(PN)을 건조할 수 있다.
이외에도 설명되지 아니한 가공장치는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패널(PN)을 보다 기능적이고 미려하게 만들 수가 있다.
한편, 스캐너부(65)는 가공부(60)를 통해 패널(PN)에 가공하고자 하는 형태를 스캐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스캐너부(65)는 가공부(60)와 연동되어, 원하는 가공 형태의 무늬 등이 형성된 부재(예컨대, 일정 무늬를 갖는 벽지 등)를 놓게 되면 그 무늬를 스캔하게 되고, 이를 가공부(60)로 전달하여 가공부(60)가 그 무늬의 형태에 맞추어 가공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스캐너부(65)는 스캐닝 없이도 네트워크 상에서 공개된 무늬 등을 불러올 수 있고, 가공부(60)에 직접 형태를 입력하여 가공을 수행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스캐너부(65)는 가공부(60)를 기능적으로 작동시키면서도 상술한 판재 공급부(10), 평탄화부(20), 판재 이송부(30), 프레스부(40), 배출부(50)나 후술할 이중 문양 형성부(70) 등 본 발명의 구성을 이루는 각 부와도 연동되어 각 부를 제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스캐너부(65)는 각 부에 신호를 보내 제어할 수 있는 컨트롤러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도 7은 이중 문양 형성부가 마련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판재 문양 형성 장치의 개략도이며, 도 8a 내지 8c는 도 7의 이중 문양 형성부의 작동 예시도이다.
도 7, 도 8a 내지 8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판재 문양 형성 장치는, 평탄화부(20) 후방에서 판재(P)의 이송라인 상/하측에 한 쌍으로 마련되는 이중 문양 형성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평탄화부(20)의 후방이란 바람직하게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탄화부(20)에 바로 인접한 후방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평탄화부(20)의 후방에 위치한 프레스부(40)의 후방 등일 수도 있다.
즉, 이중 문양 형성부(70)가 마련되는 위치는 평탄화부(20)의 후방에 위치하면 될 뿐 어느 특정한 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중 문양 형성부(70)는 프레스부(40)와 함께 문양을 형성하여 판재(P)에 이중 문양을 형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복수개의 성형롤러(71a, 71b, 71c)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개의 성형롤러는 이해를 돕기 위해 도면과 같이 3개로 한정되어 설명되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개수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하 또는 이상의 개수로 마련됨은 당연하다.
또한, 각 성형롤러(71a, 71b, 71c)는 표면에 각기 다른 문양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각기 문양이 달리 형성되는 성형롤러(71a, 71b, 71c)는 연결판(72)에 연결될 수 있고, 연결판(72)의 중심에는 모터(미도시)와 연결되는 중심축(73)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중심축(73)에는 수직으로 왕복 운동하는 수직 실린더(74)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는, 프레스부(40)와 함께 판재(P)에 이중 문양을 형성할 수 있는 구조로서, 상/하측에 각기 마련된 이중 문양 형성부(70)의 각 성형롤러(71a, 71b, 71c)를 표면에 형성하고자 하는 문양의 성형롤러(71a 내지 71c 중 하나)가 판재(P)와 마주하도록 모터(미도시)로 회전시키고, 수직 실린더(74)를 통해 연결판(72)을 상승 또는 하강시켜 판재(P)를 압착시킴으로써, 이송하는 판재가 단일 또는 연속적으로 문양을 형성하도록 한 후, 프레스부(40)에 의해 문양을 형성하면 이중 문양의 형성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복수의 성형롤러(71 내지 71c)를 이용한 이중 문양 형성부(70)는 판재(P)의 길이 방향으로의 삼각홈이나 라운드홈과 같은 홈을 연속적으로 형성하는데도 매우 유용할 수 있다.
한편으론, 이중 문양 형성부(70)가 프레스부(40)에 후방에 마련될 시에는 프레스부(40)가 1차로 문양을 형성한 후, 이중 문양 형성부(70)가 2차로 문양을 형성하여 이중 문양의 형성이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각 성형롤러(71a, 71b, 71c)마다 각기 다른 문양이 마련되므로, 판재(P)의 상/하측에서 문양을 보다 다양하게 선택하여 이중으로 형성할 수 있고, 이중 문양의 형성을 통해 미려함과 더불어 보다 강성을 높일 수가 있다.
아울러, 상기에서는 프레스부(40)와 이중 문양 형성부(70)를 모두 사용하여 효과를 높이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프레스부(40)와 이중 문양 형성부(70) 중 하나만을 선택하여 문양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스테인리스 물탱크나 콘크리트 저수조의 라이닝에 들어가는 유닛 패널, 벽체 패널 또는 도류벽 패널에 있어, 강성을 유지하기 위해 길이 방향으로의 홈을 연속적으로 형성하는 데 프레스부(40)를 이용하는 것 보다 이중 문양 형성부(70)를 이용하는 것이 길이 방향 생산에 더 월등할 수 있다.
도 9는 두께판별부가 마련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판재 문양 형성 장치의 개략도이며, 도 10의 (a) 및 (b)는 도 9의 두께판별부의 작동 예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판재 문양 형성 장치는, 판재 공급부(10)와 평탄화부(20) 사이에 판재의 두께를 판별하는 두께판별부(8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두께판별부(80)는 제1 및 제2 측정부재(81, 82)와 탄성부재(8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및 제2 측정부재(81, 82)는 판재(P)의 인입이 용이하도록 판재가 인입되는 면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가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측정부재(81, 82)는 판재의 높이 상/하측에서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측정부재(81, 82)는 경사면이 상/하측에서 마주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측정부재(81, 82) 중 하나의 측정부재는 고정되고, 다른 하나의 측정부재의 평단부에는 탄성부재(83)가 연결되어 유동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83)는 압력센서(84)와 연결될 수가 있다.
이를 통해, 판재의 통과 시 제1 및 제2 측정부재(81, 82) 중 하나가 판재의 두께에 따라 다른 높이로 유동되고, 이에 따라 압력센서(84)로 가해지는 압력도 달리 형성되므로, 압력센서(84)는 압력에 따라 판재의 두께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압력센서(84)는 상기와 같이 판재의 두께를 측정하여 판재(P)를 가압하는 판재 문양 형성 장치의 구성들이나 스캐너부(65)로 신호를 전송하여 가압력을 조절할 수가 있다.
예컨대, 평탄화부(20)의 압착롤러(22)나 판재 이송부(30)의 상부롤러(31), 프레스부(40)의 상부 고정 금형(47), 이중 문양 형성부(70) 등의 판재 압착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평탄화부(20)의 압착롤러(22)나 판재 이송부(30)의 상부롤러(31)는 판재(P)의 이송과 관계가 되는 것으로, 압착 정도의 조절을 통해 판재(P)의 두께에 따른 이송력을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프레스부(40)의 상부 고정 금형(47), 이중 문양 형성부(70) 등은 판재(P)의 문양 형성과 관계가 되는 것으로, 압착 정도의 조절을 통해 판재(P) 문양 깊이 등을 세밀하게 조절할 수가 있다.
도 11은 판재 절곡부가 마련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판재 문양 형성 장치의 개략도이며, 도 12의 (a) 내지 (d)는 도 11의 판재 절곡부의 작동 예시도이고, 도 13의 (a)는 도 11의 판재 절곡부가 배출부 후방에 마련된 것을 예시한 도면이며, 도 13의 (b)는 판재 절곡부가 판재의 이송라인 측방에 마련된 것을 예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14는 절단부가 마련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판재 문양 형성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판재 문양 형성 장치는, 배출부(50) 후방에 마련되어 배출되는 패널(PN)을 절곡하는 판재 절곡부(9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판재 절곡부(90)는 제1 절곡 형성부(91) 및 제2 절곡 형성부(9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절곡 형성부(91)는 다양한 형태의 암 또는 수의 제1 절곡편(91a)이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1 절곡편(91a)은 고정된 회전체(91b)와 연결되어 고정된 자리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절곡 형성부(92)는 판재가 절곡될 공간을 중심으로 제1 절곡 형성부(91)와 대향하는 위치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절곡 형성부(92)는 제1 절곡편(91a)에 상응하는 형태의 암 또는 수의 제2 절곡편(92a)이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즉, 제1 절곡편(91a)이 암 절곡편이 2개 마련되고 수 절곡편이 1개 마련되면, 제2 절곡편(92a)은 상기 제1 절곡편(91a)에 상응하도록 수 절곡편이 2개 마련되고, 암 절곡편이 1개 마련되는 것이다. 이때, 서로 상응하는 각 절곡편(91a, 92a)은 서로 합쳐지도록 치(齒)를 갖는다.
또한, 복수의 제2 절곡편(92a)은 회전체(92b)에 의해 연결되어 고정된 자리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2 절곡편(92a)은 각각 회전체(92b)와 실린더(92c)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절곡편(92a)은 제1 절곡편(91a)과 달리 회전체(92b)에 대해 전/후진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판재 절곡부(90)는 패널(PN)이 절곡될 공간을 중심으로 제1 절곡 형성부(91)와 제2 절곡 형성부(92)가 대향 배치되어 있고, 절곡하고자 하는 형태에 따라 제1 절곡 형성부(91)의 제1 절곡편(91a)과 그에 상응하는 제2 절곡 형성부(92)의 제2 절곡편(92a)을 회전시켜 대응되도록 형성한 후에, 제2 절곡 형성부(92)의 제2 절곡편(92a)을 패널(PN) 방향으로 가압하면 제1 절곡편(91a)과 제2 절곡편(92a)의 절곡 형태에 맞추어 패널(PN)이 절곡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절곡되어 형성된 패널(PN)의 절곡면은 패널(PN)의 설치 시 다른 패널과의 연결부로 쓰일 수도 있고, 샌드위치 패널(SPN)을 제조할 시의 다른 패널과의 연결부 등으로 쓰일 수도 있다.
즉, 판재 절곡부(90)를 통한 패널(PN)의 절곡면 형성은, 절곡면이 플랜지 역할을 하여 패널(PN)을 건축물의 내/외장재로 부착할 시 구조물에 고정하거나 패널(PN)끼리의 누수방지 접합에 유용하며, 이로 인해, 스테인리스 물탱크 조립이나 콘크리트 수조의 라이닝 시공 시에, 콘크리트에 고정하거나 패널(PN)간을 적층하는데 보다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한편, 판재 절곡부(90)는 도 1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PN)의 이송라인 후단에 단순히 마련될 수도 있으나, 도 1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재(P) 또는 패널(PN)의 이송라인 측방에도 마련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패널(PN)의 길이 방향 단부의 절곡 뿐만 아니라 판재(P) 또는 패널(PN)의 폭 방향 단부의 절곡도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술한 이중 문양 형성부(70)도 절곡부(90)와 같이 판재(P) 또는 패널(PN)의 이송라인 측방에도 마련될 수 있어, 보다 다채롭게 문양을 형성할 수도 있다.
아울러,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판재 문양 형성 장치는 패널(PN)을 절단할 절단부(1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절단부(100)는 도 14 와 같이 배출부(50) 후방에 마련되어 패널(PN) 설치 현장에 필요한 길이만큼 재단할 수 있으며, 절단 방식은 공지된 기술 사상을 따르므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0 : 판재 공급부
20 : 평탄화부
21 : 이송롤러
22 : 압착롤러
30 : 판재 이송부
31 : 상부롤러
32 : 하부롤러
36 : 이송체
36a : 판재 이송 장치
37 : 하부 이송 금형
38 : 판재 고정 장치
40 : 프레스부
47 : 상부 고정 금형
50 : 배출부
60 : 가공부
65 : 스캐너부
70 : 이중 문양 형성부
71a, 71b, 71c : 성형롤러
72 : 연결판
73 : 중심축
74 : 수직 실린더
80 : 두께판별부
81 : 제1 측정부재
82 : 제2 측정부재
83 : 탄성부재
84 : 압력센서
90 : 판재 절곡부
91 : 제1 절곡 형성부
91a : 제1 절곡편
91b : 회전체
92 : 제2 절곡 형성부
92a : 제2 절곡편
92b : 회전체
92c : 실린더
100 : 절단부
P : 판재
PN : 패널
SPN : 샌드위치 패널
S : 보강재
PT : 문양태
PTL : 문양태의 테두리

Claims (11)

  1. 판재를 공급하는 판재 공급부;
    상기 판재 공급부에 의해 공급되는 판재를 평탄화하는 평탄화부;
    서보모터에 의해 상기 평탄화부를 통과한 판재를 일정 간격만큼 일방으로 이송시키는 판재 이송부;
    상기 판재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판재를 압착하여 문양을 형성하는 프레스부 및
    상기 프레스부 후단부에 배치되어 문양이 형성된 패널을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판재 공급부와 평탄화부 사이에 마련되어 판재의 두께를 판별하는 두께판별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두께판별부는,
    판재의 인입이 용이하도록 판재가 인입되는 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며, 판재의 높이 상/하측에서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마련되는 제1 및 제2 측정부재;
    상기 제1 및 제2 측정부재 중 하나의 측정부재의 평단부에 마련되며, 압력센서와 연결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측정부재 사이로 인입되는 판재의 두께에 따라 상기 압력센서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으로 측정되는 판재 두께에 맞추어 판재를 가압하는 판재 문양 형성 장치의 각 구성의 가압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문양 형성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 이송부는,
    상기 프레스부 전방에 고정 설치되며, 각각 판재의 이송라인 상측과 하측에 마련되는 적어도 한 쌍의 상부롤러와 하부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롤러와 하부롤러 중 어느 하나의 롤러의 회전에 의해 판재가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문양 형성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 이송부는,
    실린더 또는 볼스크류 타입의 판재 이송 장치에 의해 전/후진 왕복 운동하는 이송체;
    상기 이송체 내부에 마련되어 판재가 안착되며, 상기 프레스부에 마련되는 상부 고정 금형에 상응하는 문양을 형성하는 하부 이송 금형 및
    상기 이송체 내부에 마련되어 상기 하부 이송 금형에 안착된 판재를 고정시키는 판재 고정 장치를 포함하는 판재 문양 형성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부에 의해 압착되어 형성되는 문양은,
    문양태가 판재보다 상방으로 볼록하게 돌출되거나, 하방으로 오목하게 함몰되며,
    상기 문양태의 테두리는 문양태의 반대 방향으로 판재보다 상방으로 볼록하게 돌출되거나, 하방으로 오목하게 함몰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문양 형성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부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스부에 의해 문양이 형성된 패널을 스캐너부에 입력된 형태로 가공하는 가공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가공부는,
    레이저 장치, 전사 장치, 접착 장치, 도포 장치 및 도장 장치 중 하나 또는 복합적으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문양 형성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화부 후방에서 판재의 이송라인 상/하측에 한 쌍으로 마련되는 이중 문양 형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이중 문양 형성부는,
    각기 문양이 다른 복수개의 성형롤러가 연결판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연결판의 중심에는 모터와 연결되는 중심축이 마련되며,
    상기 중심축에는 수직으로 왕복 운동하는 수직 실린더가 연결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문양을 형성하고자 하는 성형롤러를 모터로 회전시킨 후, 상기 수직 실린더로 압착하여 판재에 문양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문양 형성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부와 이중 문양 형성부 중 하나를 선택하여 판재에 문양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 문양 형성 장치.
  8. 삭제
  9. 판재를 공급하는 판재 공급부;
    상기 판재 공급부에 의해 공급되는 판재를 평탄화하는 평탄화부;
    서보모터에 의해 상기 평탄화부를 통과한 판재를 일정 간격만큼 일방으로 이송시키는 판재 이송부;
    상기 판재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판재를 압착하여 문양을 형성하는 프레스부 및
    상기 프레스부 후단부에 배치되어 문양이 형성된 패널을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부 후방 또는 판재 이송라인 측방에 마련되어 이송되는 판재 또는 배출되는 패널을 절곡하는 판재 절곡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판재 절곡부는,
    다양한 형태의 암/수 제1 절곡편이 복수로 마련되되, 고정된 자리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1 절곡 형성부 및
    상기 판재 또는 패널이 절곡될 공간을 중심으로 제1 절곡 형성부와 대향되는 위치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제1 절곡편에 상응하는 형태의 암/수 제2 절곡편이 복수로 마련되되, 고정된 자리에서 회전이 가능함과 동시에 제1 절곡 형성부에 대해 전진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2 절곡 형성부를 포함하는 판재 문양 형성 장치.
  10. 삭제
  11. 삭제
KR1020200126193A 2020-09-28 2020-09-28 판재 문양 형성 장치 KR1022263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6193A KR102226334B1 (ko) 2020-09-28 2020-09-28 판재 문양 형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6193A KR102226334B1 (ko) 2020-09-28 2020-09-28 판재 문양 형성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6334B1 true KR102226334B1 (ko) 2021-03-10

Family

ID=75147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6193A KR102226334B1 (ko) 2020-09-28 2020-09-28 판재 문양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633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82823A (zh) * 2021-11-26 2022-02-25 成都宏明双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在丝网上高精密成型多凸包的模具及其成型方法
CN114346033A (zh) * 2022-01-18 2022-04-15 苏州创辰控制技术有限公司 一种仪器仪表用钣金凹槽成型装置
WO2023028352A1 (en) * 2021-08-26 2023-03-02 Ariel Financing Ltd. Press brake with rotary tool assembly
KR102516115B1 (ko) * 2022-05-04 2023-03-30 한삼코라(주) 경사면 밴드로 문양을 형성하는 스테인리스 패널 및 이의 콘크리트 라이닝 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28999A (ja) * 1999-07-29 2003-09-30 ドナティ グループ エッセ・ピィ・アー 高強度壁およびカバーアセンブリ用建設サンドイッチパネルの製造方法
KR20100013042U (ko) * 2009-06-24 2010-12-31 (주) 일광메탈포밍 금속패널 및 그 제조장치
KR101137593B1 (ko) * 2011-07-22 2012-04-19 유복선 샌드위치 패널용 팔레트의 롤포밍장치 및 그 장치에 의해 제조된 샌드위치 패널용 팔레트
KR101709067B1 (ko) * 2016-02-02 2017-02-22 정동은 선반프레임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28999A (ja) * 1999-07-29 2003-09-30 ドナティ グループ エッセ・ピィ・アー 高強度壁およびカバーアセンブリ用建設サンドイッチパネルの製造方法
KR20100013042U (ko) * 2009-06-24 2010-12-31 (주) 일광메탈포밍 금속패널 및 그 제조장치
KR101137593B1 (ko) * 2011-07-22 2012-04-19 유복선 샌드위치 패널용 팔레트의 롤포밍장치 및 그 장치에 의해 제조된 샌드위치 패널용 팔레트
KR101709067B1 (ko) * 2016-02-02 2017-02-22 정동은 선반프레임 제조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28352A1 (en) * 2021-08-26 2023-03-02 Ariel Financing Ltd. Press brake with rotary tool assembly
CN114082823A (zh) * 2021-11-26 2022-02-25 成都宏明双新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在丝网上高精密成型多凸包的模具及其成型方法
CN114346033A (zh) * 2022-01-18 2022-04-15 苏州创辰控制技术有限公司 一种仪器仪表用钣金凹槽成型装置
KR102516115B1 (ko) * 2022-05-04 2023-03-30 한삼코라(주) 경사면 밴드로 문양을 형성하는 스테인리스 패널 및 이의 콘크리트 라이닝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6334B1 (ko) 판재 문양 형성 장치
CN100513722C (zh) 保温装饰板及其现场施工方法
CN210177866U (zh) 一种墙面龙骨
JP2010013867A (ja) 外装材
CN110424667A (zh) 一种用于建造建筑物的墙体饰面砖系统
CN201730242U (zh) 蜂窝墙板
FI110849B (fi) Metallilevyn muotoilumenetelmä
US20080216439A1 (en) Frame Member Extender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CN201180323Y (zh) 聚氨脂支模灌注保温墙体
CN201087491Y (zh) 楼板结构
CN212583131U (zh) 一种地暖用搭接式钢芯水泥纤维板
CN107201815B (zh) 一种挂件及外挂板的安装节点
CN112112364A (zh) 新型隔墙条板
JP3025144U (ja) 金属サイディング材
JP2010019008A (ja) 外装材
CN210177867U (zh) 一种土字型墙面龙骨
CN219931395U (zh) 一种建筑施工用墙板
CN203737833U (zh) 屋面板开口槽的成型模具
CN220469311U (zh) 一种墙板线条
CN215106303U (zh) 一种龙骨
CN207944704U (zh) 一种增强型竹木复合建筑模板
CN102352656B (zh) 超薄壁钢结构屋架底角连接件及其连接结构
CN210976408U (zh) 一种工业厂房钢结构横墙板连接结构
CN210086732U (zh) 混凝土装饰板
CN113858600A (zh) 一种轧辊印花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