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6136B1 -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6136B1
KR102226136B1 KR1020140173043A KR20140173043A KR102226136B1 KR 102226136 B1 KR102226136 B1 KR 102226136B1 KR 1020140173043 A KR1020140173043 A KR 1020140173043A KR 20140173043 A KR20140173043 A KR 20140173043A KR 102226136 B1 KR102226136 B1 KR 1022261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sd
color
pixel
gradation
graysca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3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7524A (ko
Inventor
박형진
안상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73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6136B1/ko
Publication of KR20160067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75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61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61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02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the resampling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73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with two-way working, e.g. subscriber sending a programme selection signal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1 오에스디(OSD)를 분석하는 단계, 제1 OSD를 제2 OSD로 업-스케일링(up-scaling)하는 단계, 제2 OSD로 업-스케일링되면서 새로 생성된 화소 중 적어도 일부를 제1 OSD의 분석 결과에 기초한 값으로 대체하여 보정한 제3 OSD를 생성하는 단계와 제3 OSD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오에스디(OSD)를 분석하고, OSD를 업-스케일링하면서 새로 생성된 화소 중 적어도 일부를 OSD의 분석 결과에 기초한 값으로 대체하여 보정하는 제어부와 보정된 OSD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오에스디(OSD)를 업-스케일링하면서도 열화 없이 표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본 발명은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오에스디(OSD)를 업-스케일링하면서도 열화 없이 표시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영상표시장치는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는 영상을 표시하는 기능을 갖춘 장치이다. 사용자는 영상표시장치를 통하여 방송을 시청할 수 있다. 영상표시장치는 방송국에서 송출되는 방송신호 중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현재 방송은 전세계적으로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방송으로 전환하고 있는 추세이다.
디지털 방송은 디지털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송출하는 방송을 의미한다.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에 비해, 외부 잡음에 강해 데이터 손실이 작으며, 에러 정정에 유리하며, 해상도가 높고, 선명한 화면을 제공한다. 또한, 디지털 방송은 아날로그 방송과 달리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하다.
도 1과 도 2는 종래의 업-스케일링(up-scaling)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종래의 영상표시장치는 OSD의 용도가 간단히 설정등의 메뉴만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었지만, 최근의 영상표시장치들은 스마트(smart)화 되면서 OSD를 통해 게임, 영상의 자막,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등 여러 기능을 제공하게 되었다.
또한, 최근의 영상표시장치는 기존 패널 해상도가 FHD, UHD, QUHD로 발전해 가고 있지만 OSD는 아직 FHD 수준으로 생성되어 디스플레이 패널 해상도에 맞도록 업-스케일(Up-Scale)을 하여 사용자에게 제공 된다.
도 1의 (a)와 (b)를 참조하면, 기존의 작은 이미지의 업-스케일 하게 되면, 기존의 이미지(10) 중 대응 영역(15)보다 블러(Blur)한 이미지(20)가 되고 사용자가 보기엔 선명하지 않은 OSD를 보게 된다.
도 2의 (a)와 (b)를 참조하면, 도 2의 (a)와 같은, FHD OSD를 디스플레이 패널 해상도에 맞도록, 도 2의 (b)와 같이 UHD OSD로 업-스케일(Up-Scale) 하면, 텍스트(Text)가 블러(Blur)해지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오에스디(OSD)를 업-스케일링하면서도 열화 없이 표시할 수 있는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1 오에스디(OSD)를 분석하는 단계, 제1 OSD를 제2 OSD로 업-스케일링(up-scaling)하는 단계, 제2 OSD로 업-스케일링되면서 새로 생성된 화소 중 적어도 일부를 제1 OSD의 분석 결과에 기초한 값으로 대체하여 보정한 제3 OSD를 생성하는 단계와 제3 OSD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는, 오에스디(OSD)를 분석하고, OSD를 업-스케일링하면서 새로 생성된 화소 중 적어도 일부를 OSD의 분석 결과에 기초한 값으로 대체하여 보정하는 제어부와 보정된 OSD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오에스디(OSD)를 업-스케일링하면서도 열화 없이 표시할 수 있다.
도 1과 도 2는 종래의 업-스케일링(up-scaling)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3의 OSD 생성부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내부 블록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위성 영상표시장치(100)는 방송 수신부(105), 저장부(140),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제어부(170), 및 디스플레이(18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 오디오 출력부(185)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105)는, 튜너부(110), 복조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튜너부(110)는 위성 안테나(210)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한다. 또한, 선택된 RF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선택된 RF 방송 신호가 디지털 방송 신호이면 디지털 IF 신호(DIF)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방송 신호이면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로 변환한다. 즉, 튜너부(110)는 디지털 방송 신호 또는 아날로그 방송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튜너부(11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CVBS/SIF)는 제어부(170)로 직접 입력될 수 있다.
또한, 튜너부(110)는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방식에 따른 단일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 또는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 방식에 따른 복수 캐리어의 RF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튜너부(110)는, 본 발명에서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방송 신호 중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저장된 모든 방송 채널의 RF 방송 신호를 순차적으로 선택하여 이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한편, 튜너부(110)는,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복수의 튜너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복수 채널의 방송 신호를 동시에 수신하는 단일 튜너도 가능하다.
복조부(120)는 튜너부(110)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동작을 수행한다.
복조부(120)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17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구비된 디스플레이 또는 외부에 연결된 TV로 영상, 및 음성을 출력할 수고, 오디오 출력부(185)로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접속된 외부 장치(190)와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A/V 입출력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컴퓨터(노트북), TV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외부 장치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A/V 입출력부는, 외부 장치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한편, 무선 통신부는, 다른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위성 영상표시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채널 맵 등의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위성 채널에 관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IR 신호로써 다른 전자기기들을 제어하기 위한 IR 포맷 키(key) 코드들을 저장할 수 있고, 복수의 전자기기의 IR 포맷 키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할 수 있다.
도 3은 저장부(140)가 제어부(170)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사용자 입력 신호를 송신/수신하거나,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튜너부(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180)를 구비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음향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도 3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 영상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그 외, 제어부(170)는, 영상표시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튜너부(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GPS 모듈로부터 수신된 GPS 좌표 정보 또는 기입력된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185)는, 제어부(17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장치(2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R) 통신,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근거리 자기장 통신(MFC)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수신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에 기초하여, 원격제어장치(200)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영상표시장치(100)는, 셋탑박스(set-top box)이거나 디스플레이(180)를 구비하는 영상표시장치일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영상표시장치(10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310), 영상 처리부(320), 프로세서(330), OSD 생성부(340), 믹서(345),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 및 포맷터(360)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음성 처리부(미도시),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역다중화부(310)는,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한다. 예를 들어, MPEG-2 TS가 입력되는 경우 이를 역다중화하여, 각각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역다중화부(310)에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는, 튜너(110) 또는 복조부(1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출력되는 스트림 신호일 수 있다.
영상 처리부(320)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 처리부(320)는, 영상 디코더(325), 및 스케일러(335)를 구비할 수 있다.
영상 디코더(325)는, 역다중화된 영상신호를 복호화하며, 스케일러(335)는, 복호화된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디스플레이에서 출력 가능하도록 스케일링(scaling)을 수행한다.
영상 디코더(325)는 다양한 규격의 디코더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330)는, 영상표시장치(100) 내 또는 제어부(17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30)는 튜너(110)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영상표시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와의 데이터 전송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제어부(170) 내의 역다중화부(310), 영상 처리부(320), OSD 생성부(340)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OSD 생성부(34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자체적으로 OSD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신호에 기초하여, 모터 제어부(180)의 화면에 각종 정보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로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되는 OSD 신호는, 위성 영상표시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다양한 메뉴 화면, 위젯, 아이콘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생성되는 OSD 신호는, 2D 오브젝트 또는 3D 오브젝트를 포함할 수 있다.
믹서(345)는, OSD 생성부(340)에서 생성된 OSD 신호와 영상 처리부(320)에서 영상 처리된 복호화된 영상 신호를 믹싱할 수 있다. 이때, OSD 신호와 복호화된 영상 신호는 각각 2D 신호 및 3D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믹싱된 영상 신호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에 제공된다.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ame Rate Conveter, FRC)(350)는,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할 수 있다. 한편,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는, 별도의 프레임 레이트 변환 없이, 그대로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포맷터(Formatter)(360)는, 믹서(345)에서 믹싱된 신호, 즉 OSD 신호와 복호화된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모터 제어부(180)에 적합하도록 신호의 포맷을 변경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R,G,B 데이터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이러한 R,G,B 데이터 신호는, 낮은 전압 차분 신호(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LVDS) 또는 mini-LVDS로 출력될 수 있다.
한편, 포맷터(Formatter)(360)는, 3D 영상 표시를 위해, 2D 영상 신호와 3D 영상 신호를 분리할 수 있다. 또한, 3D 영상 신호의 포맷을 변경하거나, 2D 영상 신호를 3D 영상 신호로 전환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70) 내의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의 음성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다양한 디코더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 내의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베이스(Base), 트레블(Treble), 음량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170) 내의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가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는, 각 채널에서 방영되는 방송 프로그램의 시작 시간, 종료 시간 등의 방송 정보를 포함하는 EPG(Electronic Program Guide) 정보일 수 있다.
한편, 도 4에서는 OSD 생성부(340)와 영상 처리부(320)로부터의 신호를 믹서(345)에서 믹싱한 후, 포맷터(360)에서 3D 처리 등을 하는 것으로 도시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믹서가 포맷터 뒤에 위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제어부(17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제어부(17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특히,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 및 포맷터(360)는 제어부(170) 내에 마련되지 않고, 각각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5는 도 3의 OSD 생성부의 내부 블록도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OSD 생성부(340)는, OSD를 기록하는 기록부(502)와 기록된 OSD를 읽어오는 리드(read)부(50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OSD 생성부(340)는 분석부(501)와 OSD를 보정하는 보정부(5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OSD 생성부(340)의 구체적인 동작은 이하의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제어부(170)는 제1 오에스디(OSD), 즉 원본 OSD(700)를 분석한다.(S610)
제어부(170), 특히 OSD 생성부(340)는, 해상도를 증가시키는 과정인 업-스케일링(Up-Scale)하기 전의 원본 OSD(700)를 영역별로 화소들의 분포도를 분석할 수 있다.
도 7의 경우, 제1 OSD(700)의 텍스트(Text)가 포함된 소정 영역(710)을 분석하면, 흰 바탕에 검은색 텍스트로 흰색 화소가 주를 이루고 검은색 화소가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분석 가능하다.
도 8은 분석 결과의 일부를 더 구체적으로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8의 (a)의 텍스트를 포함하는 OSD 중 원으로 표시된 영역의 분석 결과는 '0' 계조의 검은색과 '255' 계조의 흰색이 도 8의 (b)와 같이 분포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70), 특히 OSD 생성부(340)는 상기 제1 OSD(700)를 제2 OSD로 업-스케일링(up-scaling)할 수 있다.(S620)
제어부(170), 특히 OSD 생성부(340)는 상기 제1 OSD의 기존 화소 값들의 중간값을 가지도록 신규 화소를 생성할 수 있다.
도 9의 (a),(b)는 각각 도 8의 (a)의 텍스트를 포함하는 OSD를 업-스케일링한 제2 OSD와 제2 OSD 중 일부 영역의 화소별 분포도를 예시한 것이다.
도 8->도 9의 업-스케일링은 FHD 수준의 OSD를 8K(QUHD) 수준의 OSD로 업-스케일링한 것이다. 이 경우에, 업-스케링일 자체는 공지된 다양한 업-스케일링 알고리즘을 수정없이 그대로 이용할 수도 있다.
업-스케링일시 새로 생성되는 화소들은 여러 업-스케일링 알고리즘에 따라 다르지만 기존의 화소들의 값들을 참조하여 중간값으로 생성된다.
특히 색의 대비가 극명한 화소들로 대치되어있는 곳에서 이러한 현상은 두드러지게 되고 이러한 현상은 결국 흐릿한 OSD로 보이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 OSD로 업-스케일링되면서 새로 생성된 화소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1 OSD의 분석 결과에 기초한 값으로 대체하여 보정한 제3 OSD를 생성하고(S630), 상기 보정된 제3 OSD를 출력한다.(S640)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제1,2 OSD를 분석, 비교하여 차이가 있는 화소들을 대체하여 보정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 특히 OSD 생성부(340)는, 상기 제1 OSD와 비교하여, 상기 중간값을 가지는 신규 화소를, 상기 제1 OSD의 분석된 화소 값 중 가장 가까운 값으로 대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70), 특히 OSD 생성부(340)는, 상기 제1 OSD와 비교하여, 상기 제1 OSD의 분석된 화소 값과 다른 값을 가지는 신규 화소를, 상기 제1 OSD의 분석된 화소 값 중 가장 가까운 값으로 대체할 수 있다.
도 10의 (a),(b)는 각각 도 9의 (a)의 업-스케일링한 제2 OSD를 보정한 제3 OSD와 제3 OSD 중 일부 영역의 화소별 분포도를 예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170) 특히 OSD 생성부(340)는 업-스케일링되면서 새로 생성된 화소들을 분석하여 기존 원본 OSD(제1 OSD) 화소와 비교하여 중간값을 가진 경우 생성된 화소를 기존 OSD의 분석된 화소 값 중 기존의 값과 가까운 값으로 대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50,100은 255보다 0에 가까우므로 0으로 대치하고, 175와 210은 255에 가까우므로 255로 대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OSD는 텍스트(text)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OSD에 기초하는 제2,3 OSD도 텍스트(text)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흰색을 배경으로 검은색 텍스트를 표시하는 경우와 같이, OSD 내에서 사용되는 색상 및 계조가 차이가 큰 경우에 더 효과적으로 화질 열화 현상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4K(UHD), 8K(QUHD) 등 고화질 영상표시장치에서 종래의 OSD를 업-스케일링하여 표시할 때 화질 향상을 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영상표시장치(100)는, 초고해상도(Ultra High Definition;UHD)일 수 있다. 즉, 3840×2160의 해상도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즉, 1920×1080의 해상도인 고해상도(Full High Definition;FHD)의 4배되는 UD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기존의 OSD를 업-스케일링하게 되면 새로 생성되는 화소들은 주변의 기본 화소들을 이용하여 생성하게 된다.
만약 예를 들어 흰 바탕에 검은 글씨와 같이, 주변의 화소들이 대비가 심한 부분을 업-스케일링하게 되면 새로 생성되는 화소들은 중간값인 회색계열의 화소를 가질 수 있다. 시청자가 이를 멀리서 바라보게 되면 OSD의 텍스트(Text)가 흐릿하게 보일 수 있다.
즉, FHD 기준으로 생성된 OSD를 표시하는 경우에 업-스케일링시 새로 생성하는 화소들이 기존 원본 FHD OSD의 중간값으로 생성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OSD가 흐릿해지는 화질 열화가 나타날 수 있다.
업-스케일(Up-Scale) 비율이 크다는 것은 기존 원본을 얼마나 확대하느냐와 유사하고, 확대를 많이 한다는 것은 기존의 화소대비 새로 생성되는 화소가 많다 것이므로, 업-스케일(Up-Scale) 비율이 클수록 화질 열화 현상은 더 커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색상 및 계조의 대비가 확연한 화소들이 분포하고 있을 때 새로 생성되는 화소들을 중간값을 가지지 않고 기존의 화소와 같은 색상 및 계조를 가지도록 하여 종래의 OSD보다 선명한 OSD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은 FHD OSD를 QUHD(8k) OSD로 업-스케일(Up-Scale)한 경우를 비교하는 예시도면으로, 도 11의 (a)는 기존 FHD OSD를 종래 업-스케일 방식으로 업-스케일링하여 표시한 화면, 도 11의 (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업-스케일된 OSD 화면, 도 11의 (c)는 실제 8k OSD 화면을 예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오에스디(OSD)를 업-스케일링하면서도 열화 없이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은 영상표시장치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10: 튜너부 120: 복조부
130 :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 135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140 : 저장부 150 : 사용자입력 인터페이스부 170 : 제어부 180 : 디스플레이
200 : 원격제어장치

Claims (12)

  1. 제1 오에스디(OSD)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제1 OSD를 제2 OSD로 업-스케일링(up-scaling)하는 단계;
    상기 제2 OSD로 업-스케일링되면서 새로 생성된 화소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제1 OSD의 분석 결과에 기초한 값으로 대체하여 보정한 제3 OSD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OSD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OSD의 제1 화소가 제1 색상 및 제1 계조를 가지며, 상기 제1 OSD의 제2 화소가 제2 색상 및 제2 계조를 가지며,
    상기 제2 OSD에서 새로 생성된 제3 화소는, 제3 색상 및 제3 계조를 가지며, 상기 제2 OSD에서 새로 생성된 제4 화소는, 제4 색상 및 제4 계조를 가지며,
    상기 제3 OSD에서 보정된 제5 화소는, 상기 제3 화소에 대응하며, 상기 제3 색상 및 상기 제3 계조가 보정되어, 상기 제1 색상 및 상기 제1 계조를 가지며,
    상기 제3 OSD에서 보정된 제6 화소는, 상기 제4 화소에 대응하며, 상기 제4 색상 및 상기 제4 계조가 보정되어, 상기 제2 색상 및 상기 제2 계조를 가지 며,
    상기 제3 색상 및 상기 제3 계조는, 상기 제1 색상 및 상기 제1 계조 보다, 상기 제2 색상 및 상기 제2 계조에 더 근접하며,
    상기 제4 색상 및 상기 제4 계조는, 상기 제2 색상 및 상기 제2 계조 보다, 상기 제1 색상 및 상기 제1 계조에 더 근접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OSD의 분석 단계는, 영역별로 화소의 분포도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OSD는 텍스트(tex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업-스케일링 단계는,
    상기 제1 OSD의 기존 화소 값들의 중간값을 가지도록 신규 화소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OSD 생성 단계는,
    상기 제1 OSD와 비교하여, 상기 중간값을 가지는 신규 화소를, 상기 제1 OSD의 분석된 화소 값 중 가장 가까운 값으로 대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OSD 생성 단계는,
    상기 제1 OSD와 비교하여, 상기 제1 OSD의 분석된 화소 값과 다른 값을 가지는 신규 화소를, 상기 제1 OSD의 분석된 화소 값 중 가장 가까운 값으로 대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의 동작 방법.
  7. 오에스디(OSD)를 분석하고, 상기 OSD를 업-스케일링하면서 새로 생성된 화소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OSD의 분석 결과에 기초한 값으로 대체하여 보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보정된 OSD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며,
    제1 OSD의 제1 화소가 제1 색상 및 제1 계조를 가지며, 상기 제1 OSD의 제2 화소가 제2 색상 및 제2 계조를 가지며,
    제2 OSD에서 새로 생성된 제3 화소는, 제3 색상 및 제3 계조를 가지며, 상기 제2 OSD에서 새로 생성된 제4 화소는, 제4 색상 및 제4 계조를 가지며,
    제3 OSD에서 보정된 제5 화소는, 상기 제3 화소에 대응하며, 상기 제3 색상 및 상기 제3 계조가 보정되어, 상기 제1 색상 및 상기 제1 계조를 가지며,
    상기 제3 OSD에서 보정된 제6 화소는, 상기 제4 화소에 대응하며, 상기 제4 색상 및 상기 제4 계조가 보정되어, 상기 제2 색상 및 상기 제2 계조를 가지 며,
    상기 제3 색상 및 상기 제3 계조는, 상기 제1 색상 및 상기 제1 계조 보다, 상기 제2 색상 및 상기 제2 계조에 더 근접하며,
    상기 제4 색상 및 상기 제4 계조는, 상기 제2 색상 및 상기 제2 계조 보다, 상기 제1 색상 및 상기 제1 계조에 더 근접하는 영상표시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소정 OSD를 생성하고, 업-스케일링하며, 보정하는 OSD 생성부; 및,
    소정 영상과 상기 OSD 생성부에서 출력되는 OSD를 믹싱(mixing)하는 믹서;를 포함하는 영상표시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OSD 생성부는,
    상기 오에스디(OSD)를 분석하는 분석부와 상기 OSD를 보정하는 보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OSD의 영역별로 화소의 분포도를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업-스케일링하면서 새로 생성된 신규 화소 중, 중간값을 가지는 신규 화소를, 상기 OSD 분석에서 분석된 화소 값 중 가장 가까운 값으로 대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업-스케일링하면서 새로 생성된 신규 화소 중, 상기 OSD 분석에서 분석된 화소 값과 다른 값을 가지는 신규 화소를, 상기 OSD 분석에서 분석된 화소 값 중 가장 가까운 값으로 대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KR1020140173043A 2014-12-04 2014-12-04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22261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3043A KR102226136B1 (ko) 2014-12-04 2014-12-04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3043A KR102226136B1 (ko) 2014-12-04 2014-12-04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7524A KR20160067524A (ko) 2016-06-14
KR102226136B1 true KR102226136B1 (ko) 2021-03-09

Family

ID=56191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3043A KR102226136B1 (ko) 2014-12-04 2014-12-04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613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46247A (ja) 2005-03-04 2006-09-14 Toshiba Corp 映像信号処理装置及び映像信号処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1375A (ko) * 2007-01-30 2008-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저해상도 입력 화상의 고해상도 프린터 출력을 위한화상데이터 처리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46247A (ja) 2005-03-04 2006-09-14 Toshiba Corp 映像信号処理装置及び映像信号処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7524A (ko) 2016-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89145B1 (ko) 영상표시장치
JP2005020743A (ja) 同時画面をディスプレイする装置及び方法
CN111226272A (zh) 图像显示装置
KR102317035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WO2005057533A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101661973B1 (ko) 영상표시장치
WO2011105577A1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オンスクリーン表示方法
US10080014B2 (en)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 driving method thereof,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that allows a screen to be naturally changed in response to displaying an image by changing a two-dimensional image method to a three-dimensional image method
JP2007279220A (ja) 画像表示装置
US20140348485A1 (en) Imag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signal processing method
JP2009253858A (ja) 映像表示装置
KR102226136B1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2657462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165449B1 (ko) 멀티미디어 장치 및 그의 커서 제어 방법
US20090123084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0022582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US20150195617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CN112673643B (zh) 画质电路、图像处理装置及信号特征检测方法
KR100687935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608559B1 (ko)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20230217072A1 (en) Broadcast receiving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KR20090110439A (ko) 영상표시기기에서 잔상 제거 장치 및 방법
JP2006246246A (ja) 映像信号処理装置及び映像信号処理方法
KR20160073742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JP2023532112A (ja) 放送受信装置及びその動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