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6038B1 - 항공기용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항공기용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6038B1
KR102226038B1 KR1020190169762A KR20190169762A KR102226038B1 KR 102226038 B1 KR102226038 B1 KR 102226038B1 KR 1020190169762 A KR1020190169762 A KR 1020190169762A KR 20190169762 A KR20190169762 A KR 20190169762A KR 102226038 B1 KR102226038 B1 KR 1022260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craft
sealing module
locking device
door body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9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경필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69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60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6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60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1/00Fuselages; Constructional features common to fuselages, wings, stabilising surfaces or the like
    • B64C1/14Windows; Doors; Hatch covers or access panels; Surrounding frame structures; Canopie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e.g. pressure sensors, water deflectors, hinges, seals, handles, latches, windscreen wip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36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 E05B83/40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for sliding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22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elastic edgings, e.g. elastic rubber tubes; by means of resilient edgings, e.g. felt or plush strips, resilient metal str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딩 도어의 폐쇄 시에 게이트의 실링효율을 향상시키면서 도어 및 잠금 장치로 인가되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항공기용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하여, 항공기용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항공기에 슬라이딩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항공기의 게이트를 개폐하는 도어몸체 및 상기 게이트의 폐쇄에서 상기 항공기에 밀착 가능한 상기 도어몸체의 밀착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도어몸체가 상기 항공기에 결속되도록 하는 잠금장치 및 상기 잠금장치에 이웃하도록 상기 밀착부로부터 상기 도어몸체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실링모듈 및 상기 잠금장치가 관통되며 상기 제1 실링모듈에 이웃하도록 상기 밀착부로부터 돌출되는 제2 실링모듈을 포함한다. 이에, 도어의 폐쇄 시에 게이트를 완벽하게 실링하여 방수 및 방풍 효율을 향상시키고 도어의 폐쇄 과정에서 발생 가능한 충격 방지에 따라 도어와 잠금 장치의 잦은 고장을 방지할 수 있어 이로 인한 안전사고의 발생 가능성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항공기용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SLIDING DOOR SYSTEM FOR AIRCRAFT}
본 발명은 항공기용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항공기에 구비되어 게이트를 개폐 가능한 항공기용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항공기에는 탑승자와 화물의 출입을 위한 게이트가 형성된다. 그리고 도어 시스템을 적용하여 게이트를 개폐시키고 있으며, 방수 및 방풍 등의 목적으로 도어 시스템에는 실링모듈이 장착되고 있다.
이러한 항공기 게이트에 대한 종래 기술은 이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998-069641호(복합재 항공기의 도어 및 그 제작 방법, 1998.10.26.)에 의해 공개되어 있다. 상기 공개특허는 항공기의 동체에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는 도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도어 시스템은 게이트의 개폐 시에 항공기 몸체에 도어를 결속시키는 잠금 장치를 갖게 된다. 다만, 슬라이딩 방식으로 게이트를 개폐하는 종래의 도어 시스템에서는 게이트의 폐쇄를 위한 도어의 슬라이딩 시에 도어의 폐쇄영역에 마련된 잠금 장치로 충격이 인가된다. 이에, 종래의 도어 시스템은 잠금 장치의 잦은 고장으로 인해 안전사고의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998-069641호(복합재 항공기의 도어 및 그 제작 방법, 1998.10.26.)
본 발명의 목적은 슬라이딩 도어의 폐쇄 시에 게이트의 실링효율을 향상시키면서 도어 및 잠금 장치로 인가되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항공기용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용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은 항공기용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항공기에 슬라이딩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항공기의 게이트를 개폐하는 도어몸체 및 상기 게이트의 폐쇄에서 상기 항공기에 밀착 가능한 상기 도어몸체의 밀착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도어몸체가 상기 항공기에 결속되도록 하는 잠금장치 및 상기 잠금장치에 이웃하도록 상기 밀착부로부터 상기 도어몸체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실링모듈 및 상기 잠금장치가 관통되며 상기 제1 실링모듈에 이웃하도록 상기 밀착부로부터 돌출되는 제2 실링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잠금장치와 상기 제2 실링모듈은 돌출길이가 상기 제1 실링모듈의 돌출길이보다 짧게 구비되어 상기 도어몸체의 슬라이딩에서 상기 제1 실링모듈이 상기 항공기에 접촉할 때에 상기 항공기에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1 실링모듈은 상기 제2 실링모듈보다 연질의 재질로 마련되고, 상기 제2 실링모듈은 상기 제1 실링모듈보다 높은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실링모듈은 상기 도어몸체가 상기 게이트를 폐쇄할 때에 상기 잠금장치와 상기 제2 실링모듈이 상기 항공기에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잠금장치와 상기 제2 실링모듈로 충격이 인가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제2 실링모듈은 상기 제1 실링모듈에 밀착되어 상기 제1 실링모듈이 상기 항공기에 접촉될 때에 상기 제1 실링모듈의 변형이 최소화되도록 하여 상기 잠금장치와 상기 제2 실링모듈이 상기 항공기에 접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 실링모듈은 슬라이딩 방향으로의 단면이 상기 항공기를 향해 돌출된 곡률을 갖는 돔형으로 마련되며, 상기 제2 실링모듈은 슬라이딩 방향으로의 단면이 사각형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1 및 제2 실링모듈은 각각 높이 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용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은 도어의 폐쇄 시에 게이트를 완벽하게 실링하여 방수 및 방풍 효율을 향상시키고 도어의 폐쇄 과정에서 발생 가능한 충격 방지에 따라 도어와 잠금 장치의 잦은 고장을 방지할 수 있어 이로 인한 안전사고의 발생 가능성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용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이 장착된 항공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용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용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용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의 작동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하여 과장되게 표현된 부분이 있을 수 있으며, 도면 상에서 동일 부호로 표시된 요소는 동일 요소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용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이 장착된 항공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용 도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용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100, 이하, 도어 시스템이라 칭한다.)은 항공기(10)에 마련되어 항공기(10)의 출입경로, 즉 게이트(11)를 개폐할 수 있다. 여기서, 도어 시스템(100)은 슬라이딩 동작을 포함하는 방식으로 게이트(11)를 개폐할 수 있다. 여기서, 슬라이딩 동작은 단순히 미닫이 방식으로 게이트(11)를 개폐하는 방식 및 여닫이 방식과 미닫이 방식을 연계시켜 게이트(11)를 개폐하는 방식 등의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도어 시스템(100)은 도어몸체(110)를 포함한다.
도어몸체(110)는 항공기(10)에 연결되어 슬라이딩되며 게이트(11)를 개폐한다. 이러한 도어몸체(110)는 견고한 재질로 마련되며 굴곡진 플레이트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나, 도어몸체(110)의 재질 및 형태는 한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도어몸체(110)에는 잠금장치(120)가 마련된다. 잠금장치(120)는 도어몸체(110)가 게이트(11)를 폐쇄할 때에 항공기(10)에 결속되어 도어몸체(110)가 개방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잠금장치(120)는 걸쇠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항공기(10)에 밀착 가능한 도어몸체(110)의 밀착부로부터 슬라이딩 방향으로 돌출된다. 이에, 도어몸체(110)의 슬라이딩에 따라 도어몸체(110)의 밀착부가 항공기(10)에 밀착되며 잠금장치(120)는 항공기(10)에 결속되어 도어몸체(110)가 개방되는 것을 저지한다. 그리고 조작장치(130)는 항공기(10)에 결속된 잠금장치(120)의 동작을 제어하여 도어몸체(110)가 개방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도어몸체(110)의 슬라이딩 동작에서 도어몸체(110)의 밀착부가 항공기(10)에 접촉하게 될 때에 도어몸체(110)와 잠금장치(120)에는 충격이 인가된다. 이에, 도어몸체(110)와 잠금장치(120)에는 잦은 고장이 발생될 수 있고 이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도어몸체(110)에는 도어몸체(110)의 슬라이딩 동작에서 도어몸체(110)와 잠금장치(120)로 충격이 인가되는 것을 저지하는 제1 실링모듈(210) 및 제2 실링모듈(220)이 마련된다.
먼저, 제1 실링모듈(210)은 밀착부로부터 도어몸체(110)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제1 실링모듈(210)은 도어몸체(110)의 높이 방향으로 길게 마련되며, 밀착부의 전체 높이 방향에 부착되거나 선택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실링모듈(210)은 슬라이딩 방향으로의 단면이 항공기(10)를 향해 돌출된 곡률을 갖는 돔형으로 마련되며 높이 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 실링모듈(210)의 돌출 길이는 잠금장치(120)와 제2 실링모듈(220)의 돌출 길이보다 더 길게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도어몸체(110)가 슬라이딩되며 밀착부가 항공기(10) 방향으로 이송될 때에 돔형의 제1 실링모듈(210)이 항공기(10)에 1차적으로 접촉되어 잠금장치(120)와 제2 실링모듈(220)이 최초 항공기(10)에 접촉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도어몸체(110)의 슬라이딩 동작에서는 제1 실링모듈(210)에 의해 잠금장치(120)와 제2 실링모듈(220)에 충격이 인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실링모듈(210)은 제2 실링모듈(220)보다 연질의 러버(Rubber)로 마련되며, 게이트(11)의 폐쇄에서 1차적인 충격을 완화한다.
다만, 게이트(11)의 폐쇄에서 연질의 제1 실링모듈(210)의 변형이 크게 발생된다면 게이트(11) 폐쇄시의 충격이 고스란히 잠금장치(120)와 제2 실링모듈(220)로 인가된다.
이에, 제2 실링모듈(220)은 게이트(11) 폐쇄시의 제1 실링모듈(210)의 변형이 최소한으로 발생되도록 한다. 여기서, 제2 실링모듈(220)은 제1 실링모듈(210)보다 높은 탄성력을 가지는 러버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게이트(11) 폐쇄에서 잠금장치(120)와 제2 실링모듈(220)이 최초 항공기(10)에 일차적으로 직접 접촉되지 않아 충격 전달이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실링모듈(220)은 밀착부로부터 도어몸체(110)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2 실링모듈(220)은 일영역이 제1 실링모듈에 밀착되어 제1 실링모듈(210)을 보강한다. 다만, 제2 실링모듈(2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돌출길이가 제1 실링모듈(210)보다 짧게 마련된다.
이러한 제2 실링모듈(220)은 도어몸체(110)의 높이 방향으로 길게 마련되며, 밀착부의 전체 높이 방향에 부착되거나 선택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실링모듈(220)은 슬라이딩 방향으로의 단면이 사각형을 갖도록 마련되며 높이 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된다.
이에, 도어몸체(110)가 슬라이딩되며 제1 실링모듈(210)이 잠금장치(120)와 제2 실링모듈(220)로 인가되는 충격을 방지할 때에 제2 실링모듈(220)은 제1 실링모듈(210)의 변형을 최소화하여, 제1 실링모듈(210)의 변형에 따라 잠금장치(120)와 제2 실링모듈(220)이 항공기(10)에 접촉되어 충격이 인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후, 도어몸체(110)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며 잠금장치(120)와 제2 실링모듈(220)이 항공기(10)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한다. 이에, 잠금장치(120)가 항공기(10)에 결속되며 도어몸체(110)가 게이트(11)를 폐쇄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항공기용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의 작동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상술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항공기용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의 작동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 시스템(100)은 항공기(10)의 게이트(11)를 개폐할 수 있다.
도어 시스템(100)에 따른 항공기(10)의 게이트(11) 폐쇄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도어몸체(110)는 게이트(11)를 개방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후, 탑승자는 도어몸체(110)를 조작하여 도어몸체(110)의 밀착부가 항공기(10)의 결속장치()를 향해 이송되도록 한다.
이에, 게이트(11)의 폐쇄에서는 최초 제1 실링모듈(210)이 결속장치()의 일면에 접촉하게 된다. 이때, 잠금장치(120)와 제2 실링모듈(220)은 돌출길이가 제1 실링모듈(210)의 길이보다 짧게 마련되어, 결속장치()로부터 잠금장치(120)와 제2 실링모듈(220) 사이에 갭이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2 실링모듈(220)은 제1 실링모듈(210)이 결속장치(12)에 의해 압축 및 변형될 때에 제1 실링모듈(210)이 변형이 최소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제2 실링모듈(220)보다 상대적으로 연질로 마련되는 제1 실링모듈(210)에 밀착되어 제1 실링모듈(210)의 강도를 보강하며 제1 실링모듈(210)이 변형을 최소화시킨다.
이후, 탑승자는 게이트(11)를 완벽하게 폐쇄하기 위하여 도어몸체(110)를 결속장치()를 향해 이송시킨다. 이때, 제1 실링모듈(210)과 제2 실링모듈(220)은 함께 압축하게 되고 잠금장치(120)가 결속장치(12)에 삽입됨에 따라 도어몸체(110)가 게이트(11)를 폐쇄하게 된다.
이에, 도어몸체(110)는 게이트(11)의 폐쇄동작에서 도어몸체(110)와 잠금장치(120)로 충격이 인가되는 것을 방지하여 도어몸체(110)와 잠금장치(120)에 고장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어 시스템(100)은 항공기(10)와 도어몸체(110) 사이에 2중 구조의 실링부재()가 배치되어 항공기(10)와 도어몸체(110) 사이의 실링효율이 보다 향상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항공기용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은 도어의 폐쇄 시에 게이트를 완벽하게 실링하여 방수 및 방풍 효율을 향상시키고 도어의 폐쇄 과정에서 발생 가능한 충격 방지에 따라 도어와 잠금 장치의 잦은 고장을 방지할 수 있어 이로 인한 안전사고의 발생 가능성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 : 항공기 11 : 게이트
12 : 결속장치 100 :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
110 : 도어몸체 120 : 잠금장치
130 : 조작장치 210 : 제1 실링모듈
220 : 제2 실링모듈

Claims (5)

  1. 항공기용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항공기에 슬라이딩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항공기의 게이트를 개폐하는 도어몸체;
    상기 게이트의 폐쇄에서 상기 항공기에 밀착 가능한 상기 도어몸체의 밀착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도어몸체가 상기 항공기에 결속되도록 하는 잠금장치;
    상기 잠금장치에 이웃하도록 상기 밀착부로부터 상기 도어몸체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실링모듈; 및
    상기 잠금장치가 관통되며 상기 제1 실링모듈에 이웃하도록 상기 밀착부로부터 돌출되는 제2 실링모듈을 포함하는 항공기용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와 상기 제2 실링모듈은
    돌출길이가 상기 제1 실링모듈의 돌출길이보다 짧게 구비되어 상기 도어몸체의 슬라이딩에서 상기 제1 실링모듈이 상기 항공기에 접촉할 때에 상기 항공기에 접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용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링모듈은
    상기 제2 실링모듈보다 연질의 재질로 마련되고,
    상기 제2 실링모듈은
    상기 제1 실링모듈보다 높은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용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링모듈은
    상기 도어몸체가 상기 게이트를 폐쇄할 때에 상기 잠금장치와 상기 제2 실링모듈이 상기 항공기에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잠금장치와 상기 제2 실링모듈로 충격이 인가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제2 실링모듈은
    상기 제1 실링모듈에 밀착되어 상기 제1 실링모듈이 상기 항공기에 접촉될 때에 상기 제1 실링모듈의 변형이 최소화되도록 하여 상기 잠금장치와 상기 제2 실링모듈이 상기 항공기에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용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링모듈은
    슬라이딩 방향으로의 단면이 상기 항공기를 향해 돌출된 곡률을 갖는 돔형으로 마련되며,
    상기 제2 실링모듈은
    슬라이딩 방향으로의 단면이 사각형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1 및 제2 실링모듈은
    각각 높이 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기용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
KR1020190169762A 2019-12-18 2019-12-18 항공기용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 KR1022260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9762A KR102226038B1 (ko) 2019-12-18 2019-12-18 항공기용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9762A KR102226038B1 (ko) 2019-12-18 2019-12-18 항공기용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6038B1 true KR102226038B1 (ko) 2021-03-11

Family

ID=75142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9762A KR102226038B1 (ko) 2019-12-18 2019-12-18 항공기용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603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9641A (ko) 1997-02-28 1998-10-26 이대원 복합재 항공기의 도어 및 그 제작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9641A (ko) 1997-02-28 1998-10-26 이대원 복합재 항공기의 도어 및 그 제작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6038B1 (ko) 항공기용 슬라이딩 도어 시스템
CN109403484A (zh) 一种隔声罩消防顶板装置
US20050279027A1 (en) Weatherstrip
US20080309119A1 (en) Vehicle Door Seal Venting System and Method
JP2572618B2 (ja) 自動車用ドアのグラスラン構造
EP0157418A2 (en) Door glass weather strip in motor vehicle
US11673453B2 (en) Fixed window glass having resin frame bod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2654760B1 (ko) 차량 도어용 실링 실링 어셈블리
CN100439141C (zh) 遮阳板装置
RU2136994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плотнения между подвижными частями установки
US7887126B2 (en) Seal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US2138838A (en) Window arrangement
CN108438572B (zh) 一种集装箱门的强行打开防止结构
KR200300529Y1 (ko) 창호의 결로와 누수 방지 및 마감구조
DK150111B (da) Taetningsanordning ved vippe- og drejevinduer
KR20200103238A (ko) 선박용 도어 어셈블리
KR20230111980A (ko) 엘리베이터용 리미트 스위치의 결선단자보호 기능을 갖는 브라켓
KR200244663Y1 (ko) 투명역지변
KR20230111313A (ko) 벽체의 균열을 방지할 수 있는 선박용 도어
CN107448104A (zh) 一种带密封边沿的防护门窗
KR900007955Y1 (ko) 도어 밀폐용 가스켓트
AU2022291451A1 (en) Reclosable can lid
KR20240080901A (ko) 에너지저장시스템 저장고의 개폐문용 패킹
KR20240061378A (ko) 차량도어용 실링부재
ITMI990292A1 (it) Veicolo con elemnti di tenuta pressurizzabili in corrispondena di organi mobili come portiere finestrini o similar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