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5755B1 - 파우치 용기 - Google Patents

파우치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5755B1
KR102225755B1 KR1020200053982A KR20200053982A KR102225755B1 KR 102225755 B1 KR102225755 B1 KR 102225755B1 KR 1020200053982 A KR1020200053982 A KR 1020200053982A KR 20200053982 A KR20200053982 A KR 20200053982A KR 102225755 B1 KR102225755 B1 KR 1022257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uch
packaging sheet
layer
contents
spo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3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수
이제민
정정모
정혜진
김재욱
김희윤
임민선
Original Assignee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콜마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53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57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5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57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18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with special decorative arrangements or form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43Sealing or attachment arrangements between pump and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paper or card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4Printing or colouring
    • B32B38/145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0Applications of laminates for particular packag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6Applications of disintegrable, dissolvable or edible materials
    • B65D65/466Bio- or photodegradable packaging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008Standing pouches, i.e. "Standbeut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16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for tearing a corner or other small portion next to the edge, e.g. a U-shaped por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61Spouts
    • B65D75/5872Non-integral spouts
    • B65D75/5883Non-integral spouts connected to the package at the sealed junction of two package wall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7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with special decorative arrangements or form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12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with special decorative arrangements or for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W90/10Bio-packaging, e.g. packing containers made from renewable resources or bio-pla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ackages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파우치 용기가 제공된다. 상기 파우치 용기는, 포장 시트를 재질로 하고 내측으로 내용물을 수용하는 파우치; 상기 파우치와 결합하되, 상기 내용물이 유입되어 토출되는 내용물 이동 통로를 구비한 스파우트; 및 상기 스파우트에 결합하여 상기 스파우트를 개폐하는 마개를 포함하고, 상기 포장 시트는, 종이층; 필름층; 및 인쇄층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파우치 용기{POUCH-TYPED CONTAINER}
본 발명은 파우치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친환경 소재를 사용하여 제작되는 파우치 용기에 관한 것이다.
경제가 발달하고 소비자의 디자인 감각이 날로 높아짐에 따라 화장품은 소비자에게 피부의 보호와 미백을 제공함과 동시에 소비자의 미적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필수 소비품목으로 부각되고 있다.
소비자들에게 화장품 구매에 대해 중요한 요소로서 고려되는 것 중 하나가 화장품 용기 디자인이다. 현재 용액 상태의 화장품은 대부분 유리병 또는 플라스틱으로 성형된 용기에 수용되어 판매되고 있다. 이러한 유리병 또는 플라스틱으로 된 용기는 용기의 바닥에 잔존하는 화장품을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아울러, 이러한 화장품 용기는 재사용이 어려워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친환경 소재를 사용하여 제작되는 파우치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파우치 용기가 제공된다. 상기 파우치 용기는, 포장 시트를 재질로 하고 내측으로 내용물을 수용하는 파우치; 상기 파우치와 결합하되, 상기 내용물이 유입되어 토출되는 내용물 이동 통로를 구비한 스파우트; 및 상기 스파우트에 결합하여 상기 스파우트를 개폐하는 마개를 포함하고, 상기 포장 시트는, 종이층; 필름층; 및 인쇄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종이층은 압축 가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장 시트는, 상기 필름층과 상기 종이층을 결합하는 접착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접착층은 수성 접착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필름층은, 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Low Density Polyethylene film),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film), 무연신 필름(Casting Polypropylene film), 폴리락트산 필름(Polylact acid film) 및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 필름(Polybutylene succinate film) 중 적어도 하나를 재질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쇄층은, 상기 종이층의 상측에 수성 잉크가 도포되어 형성되는 제 1 인쇄층; 및 상기 종이층과 상기 제 1 인쇄층의 상측에 수성 코팅액을 덧인쇄하여 형성되는 제 2 인쇄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장 시트는, 상기 종이층에 수성 차단액을 도포하여 형성되는 수성 차단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성 차단액은, 염화비닐 중합체, 에틸렌비닐알콜 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계, 스티렌-아크릴계, 폴리비닐알콜 및 염화비닐리덴 중합체 중 적어도 하나를 재질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파우트는, 관통 형성되어 상기 내용물 이동 통로를 내측에 구비하는 토출부; 상기 토출부의 하측에서 위치하고 외측으로 연장하는 평판 형상의 받침부; 및 상기 받침부의 하측에서 소정의 볼륨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파우치와 결합하는 접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우치는 상기 포장 시트를 재질로 하는 정면 포장 시트 및 배면 포장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정면 포장 시트와 상기 배면 포장 시트가 서로 접합하는 실링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우치는, 상기 정면 포장 시트 및 상기 배면 포장 시트를 하측에서 연결하는 저면 포장 시트 및 상기 정면 포장 시트 및 상기 배면 포장 시트를 측 방향에서 연결하는 측면 포장 시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파우치는 상기 배면 포장 시트에 의해 지지되어 기립하며, 상기 실링부가 상기 기립을 위해 상기 정면 포장 시트 및 상기 배면 포장 시트의 하단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우치의 절개를 위해 상기 실링부의 일 영역이 내측으로 인입되어 형성되는 절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파우트에서 하측으로 연장하되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지지관; 상기 지지관의 상측에서 관통 형성되어 상기 내용물이 유입되는 유입부 및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관은 상기 파우치 내에 이격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관의 정면 및 배면에 상기 파우치의 밀착하더라도 상기 내용물이 유입되도록 상기 유입부는 상기 지지관의 측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스페이서는 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파우치와 밀착하여 상기 파우치가 상기 유입부에 밀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외력에 의한 내부의 압력 변화를 통해 내용물을 유입 및 토출하는 펌프 조립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펌프 조립체는 상기 스파우트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파우트에서 하측으로 연장하되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지지관; 상기 지지관의 상측에서 관통 형성되어 상기 내용물이 유입되는 유입부 및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관은 상기 파우치 내에 이격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관의 정면 및 배면에 상기 파우치의 밀착하더라도 상기 내용물이 유입되도록 상기 유입부는 상기 지지관의 측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스페이서는 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파우치와 밀착하여 상기 파우치가 상기 유입부에 밀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펌프 조립체의 하측에 연결되어 상기 내용물이 유입되는 튜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튜브는, 상기 지지부의 상기 지지관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포장 시트는 종이층을 기본 기재로 하되,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층을 사용하지 않고도, 우수한 차단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포장 시트에서 종이층과 필름층이 수분해를 통해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종이층에 생분해 가능한 필름층을 합지하여 포장재의 구성을 모두 친환경 소재로 대체함으로써, 인체에 무해하고, 재활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폐기 시에 자연 환경에서 생분해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파우치 용기가 친환경 소재로 제작되어 환경오염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파우치 형태로 제작되어 내용물의 취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 시트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용기를 도시한다.
도 3a 및 도 3b는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용기를 도시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용기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용기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파우치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파우치를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에서 기재되는 편의상 상하좌우의 방향은 도면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해당 방향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하나의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 시트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포장 시트(100)는, 종이층(110), 필름층(120), 접착층(130) 및 인쇄층(140)을 포함할 수 있다.
종이층(110)은, 종이를 재질로 기재로서, 예를 들어, 종이층(110)은, 광엽수 표백 크래프트펄프, 침엽수 표백 크래프트펄프, 아황산 펄프 등의 화학펄프, 스톤 그라인드 펄프, 열기계 펄프, 화학열기계펄프 등의 기계 펄프, 탈묵펄프(DIP), 케나프, 대나무, 삼 등에서 얻어진 비목재 섬유 등을 재질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이층(110)은, 한지, 노루지, 황노루지, 크라프트지, 백판지, 박엽지 등을 재질로 할 수 있다.
종이층(110)에는 압축 가공될 수 있다. 압축 가공은, 예를 들어, 종이층(110)을 두 롤러(roller) 사이에 통과시키면서 열과 압력을 가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종이층(110)의 표면 처리가 이루어짐과 동시에 종이층(110)이 압축될 수 있다. 압축 가공에 의해 종이층(110)의 밀도가 향상될 수 있으며, 또한 표면이 고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종이층(110)에 필름층(120), 인쇄층(140) 등이 균일하게 결합하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종이층(110) 자체에 의한 차단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축 가공에 의해, 종이층(110)은, 가공 전에 비하여 두께가 압축되며, 또한, 이에 따라 종이층(110)의 밀도가 증가하면서, 산소투과도 및 수분투과도가 감소하는 등 일반 종이에 비하여 높은 차단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종이층(110)은 표면 처리될 수 있다. 표면처리는 표면처리재를 종이층(110)의 표면에 코팅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때 표면처리재는, 전분, 전분 유도체, 폴리비닐알콜(PVA),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CMC), 라텍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필름층(120)은 종이층(110)의 하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내측의 내용물이 종이층(110)에 흡수되는 것을 방지하고 가스, 산소, 수분, 자외선 등을 내용물로부터 차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름층(120)은, 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Low Density Polyethylene film),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film), 무연신 필름(Casting Polypropylene film), 폴리락트산 필름(Polylact acid film),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 필름(Polybutylene succinate film)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필름층(120)은 생분해 가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필름층(120)은 생분해성 수지 및 산화생분해성 수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생분해성 수지는 바이오매스로부터 전처리, 당화과정을 거쳐 당을 제조하고, 발효과정을 통해 생산된 고분자 단량체(Monomer)를 중합하여 제조하는 천연물계 생분해성 수지, 석유화학 유래물질을 이용하여 제조하는 석유계 생분해성 수지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락트산(PLA) 및 이의 공중합체, 폴리카프로락톤(PCL), 폴리글리콜산(PGA), 폴리에테르썰폰(PES),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PBS),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아디페이트(PBSA), 셀룰로오스계 화합물, 폴리하이드록시알킬레이트(PHA), 폴리부틸렌아디페이트-테레프탈레이트(PBAT),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테레프탈레이트(PBST) 수지,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산화생분해성 수지는 기존 범용 플라스틱에 바이오매스, 산화생분해제, 상용화제, 생분해 촉진제, 자동산화제 등을 첨가하여 제조되는 것으로서, Oxo bio-PP(Polypropylene) 계열의 산화생분해성 수지, Oxo bio-PE(Polyethylene) 계열의 산화생분해성 수지 등 다양한 종류의 산화생분해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접착층(130)은, 종이층(110)과 필름층(120) 사이에는 접착층(130)이 개재될 수 있다. 접착층(130)은 종이층(110)에 필름층(120)을 접착시키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접착층(130)은 종이층(110) 또는 필름층(120)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종이층(110)과 필름층(120)을 압착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종이층(110)이 압축 가공에 의해 고밀도로 압축되어 높은 수분 차단 성능을 가지기 때문에, 접착제가 종이층(110)과 필름층(120) 사이에서 하나의 층을 형성할 수 있다. 접착제가 접착 영역 전반에 걸쳐서 균일하고 개선된 접착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접착제는 물에 접착제를 분산한 에멀젼 타입의 수성 접착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제는 수성 우레탄 접착제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천연계 수성 접착제(예를 들어, 전분(starch), 단백질(protein), 아교(animal glue), 카제인(casein), 천연고무, 라텍스 등), 합성계 수성 접착제(예를 들어, 수성 아크릴 접착제 등)가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접착제는 무용제형(non-solvent)일 수 있다. 따라서 접착제를 가열하여 점도를 조절한 후 종이층(110)이나 필름층(120)에 도포한 후 종이층(110)이나 필름층(120)과 압착하여 이들을 결합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접착제는 용제계 접착제일 수 있다. 따라서, 접착제를 유기 용제에 희석하여 종이층(110)이나 필름층(120)에 도포 및 건조 후 종이층(110)이나 필름층(120)과 압착하여 이들을 결합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접착층(130)은 종이층(110) 및 필름층(120)과 마찬가지로 생분해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층(130)은 생분해성 수지 또는 산화생분해성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포장 시트(100)에는 접착층(130)이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때, 필름층(120)은 종이층(110)에 바로 접합할 수 있다. 필름층(120)과 종이층(110)이 접합에는 내열 접합(초음파 접합, 고주파 접합 등), 외열 접합 등 다양한 접합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열판을 필름층(120) 외부에 압착하여 열을 전도하고, 이를 통해 용융된 필름층(120)이 종이층(110)에 접착하도록 할 수 있다.
인쇄층(140)은, 종이층(110) 상측에 인쇄 형성되는 것으로서, 제 1 인쇄층(141); 및 제 2 인쇄층(14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인쇄층(141)은, 이때, 종이층(110)의 상면에 수성 잉크가 도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 1 인쇄층(141)은 종이층(110)의 표면에 소정의 모양이나 문자, 그림, 색상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수성 잉크는, 물이 90%이상 함유된 친환경 잉크로서,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타입, 아크릴 타입 등이 있을 수 있다.
제 2 인쇄층(142)은, 제 1 인쇄층(141)이 형성된 상태에서 제 1 인쇄층(141) 및 종이층(110)의 상면에 수성 코팅액(예를 들어, 수성 아크릴계 코팅액 등)을 덧인쇄(over printing)하여 형성될 수 있다. 수성 코팅액은 종이층(110)의 전면에 걸쳐서 덧인쇄되며, 수성 코팅액에 의해 형성되는 제 2 인쇄층(142)은 하측의 제 1 인쇄층(141) 및 종이층(110)을 외부 손상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종이층(110)이 고밀도로 압축되어 높은 수분 차단 성능을 가지기 때문에, 수성 잉크 및 수성 코팅액은 종이층(110)에 흡수되지 않거나 극소량의 일부만이 종이층(110)에 흡수되며, 남은 수성 잉크 및 수성 코팅액이 각각 제 1 인쇄층(141) 및 제 2 인쇄층(142)을 형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포장 시트(100)는, 수성 차단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성 차단층은 종이층(110)의 적어도 일면에 수성 차단액을 도포하여 형성될 수 있다. 종이층(110)이 압축 가공에 의해 고밀도로 압축되어 높은 수분 차단 성능을 가지기 때문에, 수성 차단액을 종이층(110)에 도포하더라도, 수성 차단액이 종이층(110)에 흡수되지 않거나, 극소량의 일부만이 종이층(110)에 흡수되며, 남은 수성 차단액이, 종이층(110)의 표면 상에서 하나의 층을 형성할 수 있다. 수성 차단층은 종이층(110)과 인쇄층(140) 사이에 위치하고 및/또는 종이층(110)과 접착층(13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차단층이 종이층(110)이 흡수되지 않고 종이층(110)을 따라 하나의 층을 형성하게 함으로써, 차단층이 보다 균일하고 개선된 수분 및 가스 차단 성능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수성 차단액은, 친수성기를 포함하지 않는 고분자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염화비닐 중합체, 에틸렌비닐알콜 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계, 스티렌-아크릴계, 폴리비닐알콜, 염화비닐리덴 중합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포장 시트의 인쇄층, 수성 차단층 및 접착층이 모두 수분해가 가능할 수 있다. 이때 포장 시트에 의해 보관 밀폐되는 내용물(특히, 액상 내용물)에 의해 포장 시트의 수분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필름층이 내용물과 접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접착층이 수성 접착제에 의해 형성되므로, 종이층과 필름층이 쉽게 분리되며, 또한, 필름층은 생분해 가능하도록 하여, 친환경적인 포장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용기를 도시한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파우치 용기는, 파우치(200), 스파우트(300) 및 마개(400)를 포함할 수 있다.
파우치(200)는, 포장 시트(100)를 재질로 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정면 포장 시트(210)와 배면 시트가 접합하여 파우치(200)를 형성할 수 있다. 정면 포장 시트(210)와 배면 포장 시트(220)가 테두리를 따라 접합하면서 내측으로 내용물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내용물은, 액상, 겔상 또는 분말 상의 화장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용물은,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로션, 영양로션,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쳐크림, 미백 에센스, 톤업크림, 자외선 차단액, 선크림, 선밀크, 비비크림, 베이스, 파운데이션, CC크림, 컨실러, 블러셔, 쉐딩, 아이섀도우, 아이브로우, 아이크림, 프라이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제형이나 종류의 화장료, 의료용 내용물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내용물은 수용 공간에 직접 충전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정면 포장 시트(210) 및 배면 포장 시트(220)는 별개의 분리된 시트로서, 접합을 통해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정면 포장 시트(210) 및 배면 포장 시트(220)는 일체로 형성된 단일 시트로서, 예를 들어, 일 영역과 다른 일 영역이 중첩하도록 절첩된 후, 중첩 영역의 테두리를 따라 접합하여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합을 통해 접합 영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정면 포장 시트(210)와 배면 포장 시트(220) 간의 서로 접합되는 영역은 실링부(230)를 형성할 수 있다. 실링부(230)는 포장 시트의 다른 영역에 비하여 강화된 강도와 내구성, 밀폐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실링부(230)에 의해 내용물의 외부 유출이 방지될 수 있으며, 또한 파우치(200)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실링부(230)를 형성하기 위한 접합에는 접착제를 이용한 화학적 접합이나 내열 접합(초음파 접합, 고주파 접합 등), 외열 접합 등 다양한 접합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스파우트(300)는, 파우치(200)에 결합하고, 파우치(200)의 수용 공간과 연통하여, 내용물이 스파우트(300)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파우트(300)는, 토출부(310); 받침부(320); 및 접합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부(310)는, 관통 형성되는 내용물 이동 통로를 내측에 구비하고, 외측에는 마개(400)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 토출부(310)의 이동 통로는 하측으로 파우치(200)의 수용 공간과 연통하여 내용물이 유입될 수 있으며, 내용물은 내용물 이동 통로를 따라 이동하여 이동 통로의 상측으로 토출될 수 있다.
받침부(320)는, 결합부의 하측에서 외측으로 연장하되,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상의 평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마개(400)가 토출부(310)에 결합할 때, 받침부(320)는 마개(400)의 하단을 지지하여, 마개(400)가 보다 안정적으로 스파우트(300)에 결합하고, 스파우트(300)를 밀폐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파우치(200)의 상부가 받침부(320)의 저면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여, 예를 들어, 스파우트(300)가 파우치(200) 내로 이동하거나, 반대로 파우치(200)가 스파우트(300) 상측(예를 들어, 토출부(310) 등)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파우치(200)와 스파우트(300)의 결합 시, 파우치(200)의 상단을 받침부(320)의 저면에 접촉하도록 하여, 파우치(200)의 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다.
접합부(330)는, 받침부(320)의 하측에서 소정의 볼륨을 갖도록 형성되고, 파우치(200)와 결합하는 접합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볼륨은 정면 포장 시트(210)와 배면 포장 시트(220)를 향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볼륨에 의해 정면 포장 시트(210)와 배면 포장 시트(220)가 서로 밀착하지 않고, 이격하여 수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파우치(200)와의 결합을 위해 다양한 접합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합에는 접착제를 이용한 화학적 접합이나 내열 접합(초음파 접합, 고주파 접합 등), 외열 접합 등 다양한 접합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마개(400)는, 스파우트(300)의 일측에 마개(400)가 구비될 수 있다. 마개(400)는, 선택적으로 파우치(200)의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을 연통시킬 수 있다. 마개(400)가 파우치(200)의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경우, 파우치(200) 내부에 보관된 화장품은 외부로 취출되지 않으며, 마개(400)가 파우치(200) 내부 공간을 개방시키는 경우 파우치(200) 내부에 보관된 화장품은 외부로 취출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마개(400)는 스파우트(300)(예를 들어, 토출부(310) 등)에 결합하는 마개 본체(410)와 마개 본체(410)에 대해 회동하는 회동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마개 본체(410)에는 스파우트(300)의 내용물 이동 통로와 연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 회동부(420)의 회동에 따라 관통공을 개폐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마개(400)는 스파우트(3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여, 결합 및 분리에 따라 스파우트(300)의 내용물 이동 통로를 개폐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에서 도시되는 내용물 용기의 형상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용기를 도시한다.
도 3a를 참조하면, 파우치(200)는 정면 포장 시트(210) 및 배면 포장 시트(220)에 부가하여, 측면 포장 시트(240) 및 저면 포장 시트(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측면 포장 시트(240) 및 저면 포장 시트(250)는 포장 시트(100)를 재질로 할 수 있다.
정면 포장 시트(210) 및 배면 포장 시트(220)가 하측에서 저면 포장 시트(250)에 의해 연결 및 지지되고, 이들을 측 방향에서 측면 포장 시트(240)가 연결함으로써, 파우치(200)가 직립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포장 시트 간의 접합 및 형태 유지를 위해 파우치(200)에는 접합에 의한 실링부(230)가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실링부(230)는 파우치(200)의 기립을 위해 정면 포장 시트(210) 및 배면 포장 시트(220)의 하단에 위치하고, 또한 파우치(200)의 형태 유지를 위해 정면 포장 시트(210) 및 배면 포장 시트(220)의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전자의 경우, 정면 포장 시트(210) 및 배면 포장 시트(220)는 저면 포장 시트(250)와 접합하면서 실링부(230)를 형성하고, 후자의 경우, 정면 포장 시트(210) 및 배면 포장 시트(220)가 측면 포장 시트(240)와 접합하면서 실링부(230)를 형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정면 포장 시트(210), 배면 포장 시트(220), 측면 포장 시트(240) 및 저면 포장 시트(250) 중 적어도 하나는 별개의 시트로서, 접합을 통해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정면 포장 시트(210), 배면 포장 시트(220), 측면 포장 시트(240) 및 저면 포장 시트(250)는 일체로 형성된 단일 시트로서, 예를 들어, 일 영역과 다른 일 영역이 중첩하도록 절첩된 후, 중첩 영역의 테두리를 따라 접합하여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합을 통해 접합 영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파우치 용기는, 지지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부(500)는 지지관(510), 유입부(520) 및 스페이서(53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관(510)은 스파우트(300)의 하단(예를 들어, 접합부(330)의 하단)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지지관(510)에 의해 정면 포장 시트(210)와 배면 포장 시트(220)가 서로 밀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내용물이 파우치(200) 내의 수용 공간에서 보다 자유롭게 이동하도록 할 수 있으며, 특히 정면 포장 시트(210) 및 배면 포장 시트(220)의 밀착에 의해 내용물이 내용물 이동 통로로 유입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관(510)은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스파우트(300)의 내용물 이동 통로와 연통할 수 있다. 따라서 지지관(510)에 의해 정면 포장 시트(210)와 배면 포장 시트(220)의 밀착이 방지된 상태에서 내용물이 지지관(510)의 중공을 따라 이동하면서(예를 들어, 지지관(510)의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스파우트(300)의 내용물 이동 통로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지지관(510)에는 적어도 하나의 유입부(520)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유입부(520)를 통해 내용물이 유입되어 내용물 이동 통로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유입부(520)는 스파우트(300)의 내용물 이동 통로와 인접하도록 지지관(510)의 상단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내용물은 지지관(510)의 하측으로부터 유입되는 경로 이외에 지지관(510) 상측의 유입부(520)를 통해 지지관(510) 내로 이동한 후 내용물 이동 통로로 유입될 수 있다.
유입부(520)는 파우치(200)의 측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정면 및 배면에 형성될 경우, 지지관(510)에 정면 포장 시트(210) 및 배면 포장 시트(220)가 밀착하여 유입부(520)가 밀폐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측 방향은 정면 포장 시트(210) 및 배면 포장 시트(220)에 의해 유입부(520)가 밀폐되지 않도록 정면 및 배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벗어난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지지관(510)의 외주면에는 스페이서(530)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스페이서(530)는, 유입부(520)에 인접하여 위치하며, 상하 방향으로 유입부(520)에 대응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스페이서(530)에 정면 포장 시트(210) 및 배면 포장 시트(220)가 밀착하도록 하여, 유입부(520)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면 포장 시트(210) 및 배면 포장 시트(220)는 지지관(510)의 정면 및 배면에 밀착하고, 동시에 스페이서(530)에 밀착함으로써, 유입부(520)가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스페이서(530)는 서로 인접한 유입부(520) 사이에 위치하거나, 측 방향을 향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에서 도시되는 내용물 용기의 형상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b에서 도시되는 지지부(500)는 도 2a 및 도 2b의 내용물 용기에도 구비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용기를 도시한다.
도 4a 및 4b를 참조하면, 파우치(200)에는 절취부(600)가 형성될 수 있다. 절취부(600, 600')는, 파우치(200)의 절단, 절개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파우치(200)의 일 영역이 내측으로 인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절취부(600, 600')를 통한 파우치(200)의 절개를 통해 파우치(200) 내의 내용물을 보다 직접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당 정도의 내용물을 모두 사용하여 스파우트(300)를 통해 내용물이 토출되기 어려운 경우라도, 사용자는 파우치(200)를 절개하여, 파우치(200) 내에 남은 내용물을 취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절취부(600, 600')를 통해 스파우트(300)로부터 파우치(200)를 분리하거나, 스파우트(300) 및 이에 부착된 일부 파우치(200)로부터 잔여 파우치(200)를 분리함으로써, 분리된 파우치(200)의 재활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절취부(600, 600')는 파우치(200)의 테두리 중 실링부(230)에 형성될 수 있다. 실링부(230) 중 일 영역에 형성되므로, 절취부(600, 600')에 의해 파우치(200)의 형상이 무너지거나, 파우치(200)의 밀폐 성능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절취부(600, 600')는 파우치(200) 중에서 스파우트(300)의 하측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즉, 절취부(600, 600')를 통한 파우치(200)의 절단에 의해 스파우트(300)가 파우치(200)로부터 분리되도록 하여, 파우치(200) 내의 내용물을 사용하는데 스파우트(300)가 장애가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절취부(600, 600')는, 내측으로 갈수록 간격이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절취부(600, 600')의 최내측은 각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절취부(600, 600')를 이용한 절개를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도 4a 및 도 4b에서 도시되는 내용물 용기의 형상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 및 도 4b는 도 2 및 도 3a의 내용물 용기에 절취부(600, 600')가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도 5 내지 도 7의 내용물 용기에도 절취부(600, 60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우치 용기를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파우치 용기는 펌프 조립체(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펌프 조립체(700)는 외부로부터 외력을 인가받아 내부의 압력 변화를 통해 내용물을 유입 및 토출할 수 있다. 펌프 조립체(700)는 스파우트(300)(특히, 스파우트(300)의 토출부(310))와 결합하되, 스파우트(300)의 내용물 이동 통로와 연통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펌프 조립체(700)는, 내용물이 토출되는 토출홀을 구비하고 외부로부터 외력을 인가받는 노즐부, 하단부에 파우치(200)의 수용 공간과 연통하는 유입홀이 구비되고, 밸브(예를 들어, 역류방지 밸브)에 의해 유입홀을 개폐하는 실린더, 실린더의 내벽에 구비되는 실캡, 실린더의 상단 둘레에 결합되어 실캡의 상승을 억제하는 제한부, 일단에 실캡에 의해 개폐되는 입구가 형성되고 노즐부의 출구와 연결되는 피스톤 로드, 피스톤 로드와 일체로 승강하도록 결합되고 노즐부 내측에 끼워지는 스템, 제한부에서 노즐부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 및 내부에 상기 구성들(예를 들어, 실린더, 실캡, 제한부, 피스톤 로드, 스템, 탄성부)을 수용하고, 스파우트(300)와 결합하는 펌프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노즐부의 가압에 따라 실린더 내부에서 피스톤 로드 및 실캡이 승강되어 실린더의 내부 압력을 변화시킴으로써, 내용물의 흡입 및 토출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펌프 하우징이 스파우트(300)의 토출부(310) 외측에 형성된 결합부에 결합할 수 있어, 비-펌프 타입의 파우치 용기를 펌프 타입의 파우치 용기로 쉽게 전환 제조할 수 있다.
한편, 파우치(200)는 기립 가능하도록 구현되어, 펌프 조립체(700)를 이용한 내용물 토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기립된 파우치(200)의 상측을 파지한 상태에서 노즐부를 가압하여 펌프 조립체(700)를 동작시킬 수 있다.
도 5에서 도시되는 내용물 용기의 형상, 특히 펌프 조립체(700)의 세부 구성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는 도 3a의 내용물 용기에 펌프 조립체(700)가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도 2a 내지 도 4b 등의 내용물 용기에도 펌프 조립체(70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파우치를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펌프 조립체(700)가 결합하는 스파우트(300)에는 하측으로 지지부(500)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500)는 정면 포장 시트(210) 및 배면 포장 시트(220)가 서로 밀착하거나, 정면 포장 시트(210) 및 배면 포장 시트(220) 중 적어도 하나가 펌프 조립체(700)의 실린더 유입홀을 밀폐하는 것을 방지하여, 펌프 조립체(700)의 동작 시에, 파우치(200) 내의 내용물이 펌프 조립체(700)로 원활히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펌프 조립체(700)의 펌핑 동작 시에, 지지부(500)의 하단을 통해 내용물이 유입되어 중공을 따라 이동하면서 펌프 조립체(700)로 이동할 수 있다. 및/또는 펌프 조립체(700)가 펌핑 동작 시에, 지지부(500)의 상단에 형성된 유입부를 통해 내용물이 유입되어 펌프 조립체(700)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500)는 스파우트(300)로부터 파우치(200)의 저면을 향하여 연장 형성되어, 파우치(200)의 기립을 보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펌프 조립체(700)의 동작을 위해 노즐부를 가압하여, 펌프 조립체(700)가 하측으로 이동하더라도, 지지부(500)가 파우치(200)의 저면에 닿으면서 지지되어, 펌프 조립체(700)의 하측 이동이 멈추면서, 펌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에서, 지지부(500)의 하단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되,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상의 평판으로 형성되거나, 측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브랜치(branch)가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펌핑 시 지지부(500)에 의한 펌프 조립체(700)의 지지 및 파우치(200)의 기립을 보조할 수 있다.
도 6에서 도시되는 내용물 용기의 형상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은 도 5의 내용물 용기에 지지부(500)가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나, 도 2a 내지 도 4b 등의 내용물 용기에도 펌프 조립체(700) 및/또는 지지부(50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장용 파우치를 도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포장용 파우치는 튜브(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튜브(800)는 지지부(50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내부에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튜브(800)는 실린더의 유입홀와 연통하도록 펌프 조립체(700)에 연결되어, 파우치(200) 내의 내용물이 튜브(800)를 통해 펌프 조립체(700)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튜브(800)는 지지부(500), 특히 지지관(51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연질의 튜브(800)기 경질의 지지부(500)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하여 튜브(800)가 접히거나 꼬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에서 도시되는 내용물 용기의 형상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은 도 6의 내용물 용기에 튜브(800)가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나, 도 2a 내지 도 6 등의 내용물 용기에도 펌프 조립체(700), 지지부(500) 및/또는 튜브(80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각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는 필요에 따라 서로 조합되어 운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포장 시트 110: 종이층
120: 필름층 130: 접착층
140: 인쇄층 141: 제 1 인쇄층
142: 제 2 인쇄층 200: 파우치
210: 정면 포장 시트 220: 배면 포장 시트
230: 실링부 240: 측면 포장 시트
250: 저면 포장 시트 300: 스파우트
310: 토출부 320: 받침부
330: 접합부 400: 마개
410: 마개 본체 420: 회동부
500: 지지부 510: 지지관
520: 유입부 530: 스페이서
600, 600': 절취부 700: 펌프 조립체
800: 튜브

Claims (14)

  1. 파우치 용기로서,
    포장 시트를 재질로 하고 내측으로 내용물을 수용하는 파우치;
    상기 파우치와 결합하되, 상기 내용물이 유입되어 토출되는 내용물 이동 통로를 구비한 스파우트; 및
    상기 스파우트에 결합하여 상기 스파우트를 개폐하는 마개를 포함하고,
    상기 포장 시트는, 종이층; 상기 종이층의 상측에 위치하는 필름층; 상기 종이층의 하측에 위치하는 인쇄층 및 상기 필름층과 상기 종이층을 사이의 접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층은 수분해 가능한 접착제로 형성되며, 상기 접착층의 수분해에 의해 상기 필름층과 상기 종이층이 분리 가능하고,
    상기 인쇄층은, 상기 종이층의 상측에 수성 잉크가 도포되어 형성되는 제 1 인쇄층; 및 상기 종이층과 상기 제 1 인쇄층의 상측에 수성 코팅액을 덧인쇄하여 형성되는 제 2 인쇄층을 포함하고, 상기 인쇄층은 수분해에 의해 상기 종이층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파우치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층은 압축 가공되는, 파우치 용기.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층은, 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Low Density Polyethylene film),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필름(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film), 무연신 필름(Casting Polypropylene film), 폴리락트산 필름(Polylact acid film) 및 폴리부틸렌숙시네이트 필름(Polybutylene succinate film) 중 적어도 하나를 재질로 하는, 파우치 용기.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 시트는, 상기 종이층에 수성 차단액을 도포하여 형성되는 수성 차단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성 차단액은, 염화비닐 중합체, 에틸렌비닐알콜 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계, 스티렌-아크릴계, 폴리비닐알콜 및 염화비닐리덴 중합체 중 적어도 하나를 재질로 하는, 파우치 용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우트는, 관통 형성되어 상기 내용물 이동 통로를 내측에 구비하는 토출부; 상기 토출부의 하측에서 위치하고 외측으로 연장하는 평판 형상의 받침부; 및 상기 받침부의 하측에서 소정의 볼륨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파우치와 결합하는 접합부를 포함하는, 파우치 용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는 상기 포장 시트를 재질로 하는 정면 포장 시트 및 배면 포장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정면 포장 시트와 상기 배면 포장 시트가 서로 접합하는 실링부가 형성되는, 파우치 용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는, 상기 정면 포장 시트 및 상기 배면 포장 시트를 하측에서 연결하는 저면 포장 시트 및 상기 정면 포장 시트 및 상기 배면 포장 시트를 측 방향에서 연결하는 측면 포장 시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파우치는 상기 배면 포장 시트에 의해 지지되어 기립하며, 상기 실링부가 상기 기립을 위해 상기 정면 포장 시트 및 상기 배면 포장 시트의 하단에 위치하는, 파우치 용기.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파우치의 절개를 위해 상기 실링부의 일 영역이 내측으로 인입되어 형성되는 절취부를 더 포함하는, 파우치 용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우트에서 하측으로 연장하되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지지관; 상기 지지관의 상측에서 관통 형성되어 상기 내용물이 유입되는 유입부 및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관은 상기 파우치 내에 이격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관의 정면 및 배면에 상기 파우치의 밀착하더라도 상기 내용물이 유입되도록 상기 유입부는 상기 지지관의 측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스페이서는 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파우치와 밀착하여 상기 파우치가 상기 유입부에 밀착하는 것을 방지하는, 파우치 용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외력에 의한 내부의 압력 변화를 통해 내용물을 유입 및 토출하는 펌프 조립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펌프 조립체는 상기 스파우트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하는, 파우치 용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우트에서 하측으로 연장하되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지지관; 상기 지지관의 상측에서 관통 형성되어 상기 내용물이 유입되는 유입부 및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관은 상기 파우치 내에 이격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관의 정면 및 배면에 상기 파우치의 밀착하더라도 상기 내용물이 유입되도록 상기 유입부는 상기 지지관의 측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스페이서는 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파우치와 밀착하여 상기 파우치가 상기 유입부에 밀착하는 것을 방지하는, 파우치 용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 조립체의 하측에 연결되어 상기 내용물이 유입되는 튜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튜브는, 상기 지지부의 상기 지지관 내에 위치하는, 파우치 용기.
KR1020200053982A 2020-05-06 2020-05-06 파우치 용기 KR1022257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3982A KR102225755B1 (ko) 2020-05-06 2020-05-06 파우치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3982A KR102225755B1 (ko) 2020-05-06 2020-05-06 파우치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5755B1 true KR102225755B1 (ko) 2021-03-11

Family

ID=75142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3982A KR102225755B1 (ko) 2020-05-06 2020-05-06 파우치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575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8547Y1 (ko) * 2001-07-14 2001-10-17 김종기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스파우트
KR20020023860A (ko) * 2001-12-13 2002-03-29 이정민 가압방식의 액체배출용 펌프를 수용하도록 된 자립형 파우치
KR101062526B1 (ko) * 2009-06-30 2011-09-06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필름 이면 인쇄에 의한 포장지
KR101680871B1 (ko) * 2016-04-29 2016-11-29 (주)엔코스 종이질감을 갖는 방수성 적층시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8547Y1 (ko) * 2001-07-14 2001-10-17 김종기 파우치형 액체저장용기용 스파우트
KR20020023860A (ko) * 2001-12-13 2002-03-29 이정민 가압방식의 액체배출용 펌프를 수용하도록 된 자립형 파우치
KR101062526B1 (ko) * 2009-06-30 2011-09-06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필름 이면 인쇄에 의한 포장지
KR101680871B1 (ko) * 2016-04-29 2016-11-29 (주)엔코스 종이질감을 갖는 방수성 적층시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27437B2 (en) Container
CN109641686B (zh) 排出容器
US11975885B2 (en) Delamination container
CN206417392U (zh) 包装盒
KR102225755B1 (ko) 파우치 용기
EP4302638A1 (en) Container for contents
JP7198198B2 (ja) 詰め替え用液状内容物収容用紙製内容器
KR101014671B1 (ko) 동시 개봉구조를 갖는 이중 용기 포장체
JP4493875B2 (ja) 複合材料製容器
KR102252976B1 (ko) 이종 내용물 혼합 블리스터
CN105283080A (zh) 奶酪分装制品及相关生产方法
JP2022133067A (ja) 包装容器
KR200451554Y1 (ko) 파우치
KR20190044806A (ko) 보관 및 재사용 가능한 캡 형 파우치
KR20190047149A (ko) 미용용액 수용 용기
JP2018002241A (ja) 二重容器
CN106347852A (zh) 一种pet‑pvdc‑pe液体药用复合包装膜的制备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