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5442B1 - 코너선반 - Google Patents

코너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5442B1
KR102225442B1 KR1020190076495A KR20190076495A KR102225442B1 KR 102225442 B1 KR102225442 B1 KR 102225442B1 KR 1020190076495 A KR1020190076495 A KR 1020190076495A KR 20190076495 A KR20190076495 A KR 20190076495A KR 102225442 B1 KR102225442 B1 KR 1022254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wall
fixing
corner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6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1051A (ko
Inventor
천길순
이주현
Original Assignee
천길순
이주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천길순, 이주현 filed Critical 천길순
Priority to KR1020190076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5442B1/ko
Publication of KR20210001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0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54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54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47B96/022Single-corner shelves; Bracke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6Brackets or similar supporting means for cabinets, racks or shelves
    • A47B96/066Supporting means received within an edge of the shel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F16B2012/103Sleeves or dowels for connection fit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44Leg joints; Corner joints
    • F16B2012/443Leg joints; Corner joints with two-dimensional corner element, the legs thereof being inserted in hollow frame members

Landscapes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 Cabinets, Racks, Or The Like Of Rigid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체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볼트의 가압력으로 고정판을 벽체에 가압하여 고정하며, 코너선반을 다른 위치에 설치할 경우에는 볼트를 조립의 역방향으로 돌려서 간단하게 분리하고, 볼트의 가압구조를 간단하게 개선하여 비용을 절감함과 동시에 가압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코너선반에 관한 것으로, 벽체(10)의 코너에 대응하도록 직각을 이루는 양 측면부(110)와 호형을 이루는 전면부(120) 및 하부 전,후방에 각각 형성된 상부고정부(130)와 상부고정부(130)의 양측에 형성된 조절공(140)을 구비하는 상부선반(100); 상부선반(100)의 하부에 나사(S)체결로 조립되어 벽체(10)의 코너에 대응하도록 직각을 이루는 양 측면부(210)와 호형을 이루는 전면부(220) 및 상부고정부(130)에 대응하는 하부고정부(230)를 구비하는 하부선반(200); 상,하부선반(100)(200)의 양 측면부(110)(210) 사이 전,후방에 각각 배치되어 벽체(10)에 밀착되는 고정판(300); 상,하부선반(100)(200)의 상,하부고정부(130)(230)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양측 고정판(300)을 벽체(10)에 가압하여 고정하는 가압부재(4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코너선반{Corner shelf}
본 발명은 욕실, 거실, 주방, 방, 사무실 등의 벽체 코너에 설치되는 코너선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못이나 흡착판을 사용하지 않고 볼트의 가압력을 이용하여 벽체에 간단하고도 견고하게 밀착시켜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코너선반의 설치시 벽체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볼트의 가압력으로 고정판을 벽체에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하며, 코너선반을 다른 위치에 설치할 경우에는 볼트를 조립의 역방향으로 돌려서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고, 볼트의 가압구조를 간단하게 개선하여 비용을 절감함과 동시에 가압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코너선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구의 증가와 더불어서 각종 산업의 발달로 주거환경 혹은 사무환경이 급속도로 변하기에 이르렀으며, 이로써 좀 더 밀집된 환경에서 그리고 보다 쾌적한 환경하에서도 쉽게 사용할 수 있는 각종 욕실 및 주방용품 혹은 사무용품 등의 사용이 급증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좁은 공간 내에서도 효율적으로 각종 용품을 수납하되, 한정된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각종 용품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한 코너선반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러한 코너선반은 욕실, 거실, 주방, 방, 사무실 등의 벽체 코너에 설치되는 것으로, 코너선반은 각종 물품들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가벼운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에는 주로 못이나 흡착판 등을 사용하여 코너선반을 벽체에 고정하였기 때문에, 못을 박아 코너선반을 벽체에 고정할 경우에는 벽체가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있고, 흡착판을 이용하여 코너선반을 벽체에 고정할 경우에는 흡착판이 쉽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선행기술로 하기 특허문헌인 국내 등록특허 제10-1253587호에는 코너 벽면에 선반판 본체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 지지하는 고정 기구를 포함하고, 고정 기구는 벽면을 향해 진퇴 가능하고, 또 벽면에 대해서 각각 직교하는 방향의 압박력을 부여하는 2개의 장착 부재와, 2개의 장착 부재에 제 2 가상선을 따르는 진퇴 작동을 전달하는 전달 부재(8)로 구성되고, 전달 부재는 선반판 본체의 2개의 접촉 변으로 둘러싸인 각부를 이등분하는 제 1 가상선을 따라 정역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회전 작동부와, 회전 작동부의 정역회전 작동에 의해 제 1 가상선 상을 진퇴 이동하고, 제 2 가상선을 따라 2개의 장착 부재를 각각 진퇴 이동시키는 이동작용부로 구성된 코너선반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의 코너선반은 코너의 벽면에 대해서 직각 방향으로 압박력을 가함으로써 강대한 장착 지지력을 부여하는 효과가 있으나, 그 구성이 매우 복잡하여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과, 복잡한 구조로 인하여 가압 및 해제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가압기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특히 고정 돌기가 강하게 벽면에 꽂히기 때문에 벽면을 손상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 등록특허 제10-1253587호(등록일자 : 2013.04.05)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 욕실, 거실, 주방, 방, 사무실 등의 벽체 코너에 설치되는 코너선반을 못이나 흡착판을 사용하지 않고 볼트의 가압력을 이용하여 벽체에 간단하고도 견고하게 밀착시켜 고정할 수 있도록 한 코너선반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코너선반의 설치시 벽체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볼트의 가압력으로 고정판을 벽체에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욕실 타일의 고른 벽면뿐만 아니라 방의 벽지부분에도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한 코너선반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벽체의 코너에 고정된 코너선반을 분리하여 다른 위치에 설치할 경우에는 볼트를 조립의 역방향으로 돌려서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한 코너선반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볼트의 가압구조를 간단하게 개선하여 비용을 절감함과 동시에 가압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코너선반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벽체의 코너에 대응하도록 직각을 이루는 양 측면부와 호형을 이루는 전면부 및 하부 전,후방에 각각 형성된 상부고정부와 상부고정부의 양측에 형성된 조절공을 구비하는 상부선반; 상기 상부선반의 하부에 나사체결로 조립되어 벽체의 코너에 대응하도록 직각을 이루는 양 측면부와 호형을 이루는 전면부 및 상부선반의 상부고정부에 대응하는 하부고정부를 구비하는 하부선반; 상기 상,하부선반의 양 측면부 사이 전,후방에 각각 배치되어 벽체에 밀착되는 고정판; 상기 상,하부선반의 상,하부고정부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양측 고정판을 벽체에 가압하여 고정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상부선반의 양 측면부는 벽체에 밀착되도록 형성하고, 상기 하부선반의 양 측면부는 벽체와 이격되도록 형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상부선반에는 나사가 끼워지는 다수의 나사공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선반의 상부에는 나사공에 대응하는 나사체결홈이 구비된 보스를 형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전면부에는 상부선반의 상부와 하부로 돌출되는 상부턱과 하부턱을 형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고정판의 외면에는 벽체에 탄력적으로 밀착되는 쿠션패드을 형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가압부재는 상,하부고정부의 양측으로 형성된 너트홈에 각각 끼워지는 고정너트와, 상기 고정너트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체결되어 상부선반의 조절공과 마주하는 조절너트를 구비하는 볼트와, 상기 볼트의 일단에 형성되어 볼을 구비하는 연결봉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판의 내측에는 연결봉의 볼에 연결되는 볼홈이 구비된 회전부를 형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하부고정부의 너트홈에는 고정너트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장착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고정판은 평면에서 볼 때 중앙부가 내측으로 요입되는 곡면으로 형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코너선반에 따르면, 나사체결로 조립된 상,하부선반의 양 측면부 사이에는 벽체에 밀착되는 고정판이 배치되고, 상,하부선반의 상,하부고정부 양측에는 볼트의 가압력으로 고정판을 벽체에 가압하여 고정하는 가압부재가 설치되기 때문에, 못이나 흡착판을 사용하지 않고 상,하부선반을 볼트의 가압력을 이용하여 벽체에 간단하고도 견고하게 밀착시켜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판의 쿠션패드가 볼트의 가압력에 의해 벽체에 탄력적으로 밀착되면서 견고하게 고정되기 때문에, 설치시 벽체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코너선반을 고정할 수 있고, 욕실 타일의 고른 벽면뿐만 아니라 방의 벽지부분에도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벽체의 코너에 고정된 코너선반을 분리하여 다른 위치에 설치할 경우에는 볼트를 조립의 역방향으로 돌려서 코너선반을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압부재가 고정너트, 볼트, 연결봉을 포함하는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가압부재의 비용을 절감함과 동시에 가압부재의 가압 및 해제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므로 가압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간단하게 볼트를 돌려서 코너선반을 벽체의 코너에 고정 및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코너선반의 고정 및 분리작업이 용이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선반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6은 도 5의 A - A선 단면도.
도 7a,7b는 본 발명에 따른 가압부재와 고정판의 작동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8a,8b,8c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판의 작용을 보인 확대도.
도 9a,9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선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코너선반(C)은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벽체(10)의 코너에 대응하도록 직각을 이루는 양 측면부(110)와 호형을 이루는 전면부(120) 및 하부 전,후방에 각각 형성된 상부고정부(130)와 상부고정부(130)의 양측에 형성된 조절공(140)을 구비하는 상부선반(100); 상기 상부선반(100)의 하부에 나사(S)체결로 조립되어 벽체(10)의 코너에 대응하도록 직각을 이루는 양 측면부(210)와 호형을 이루는 전면부(220) 및 상부고정부(130)에 대응하는 하부고정부(230)를 구비하는 하부선반(200); 상기 상,하부선반(100)(200)의 양 측면부(110)(210) 사이 전,후방에 각각 배치되어 벽체(10)에 밀착되는 고정판(300); 상기 상,하부선반(100)(200)의 상,하부고정부(130)(230)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양측 고정판(300)을 벽체(10)에 가압하여 고정하는 가압부재(4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코너선반(C)은 욕실, 거실, 주방, 방, 사무실 등의 벽체(10) 코너에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의 코너선반(C)은 상부선반(100), 하부선반(200), 고정판(300) 및 가압부재(40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코너선반(C)은 벽체(10)의 코너에 1개가 1단으로 설치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코너선반(C)은 도 1에서와 같이 벽체(10)의 코너에 2개가 2단으로 설치될 수도 있으며, 또한 상기 코너선반(C)은 벽체(10)의 코너에 다수 개가 2단 이상의 다단으로 설치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상부선반(100)은 코너선반(C)의 상부몸체를 구성하는 것으로, 이러한 상부선반(100)의 양측에는 벽체(10)의 코너에 대응하도록 직각을 이루는 측면부(110)가 구비되고, 상부선반(100)의 전방에는 양 측면부(110)의 선단에서 호형을 이루는 전면부(120)가 구비되며, 상부선반(100)의 하부 전,후방에는 상부고정부(130)가 각각 형성되고, 상부선반(100)의 상부고정부(130) 양측에는 조절공(140)이 각각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전면부(120)에는 상부선반(100)의 상부와 하부로 돌출되는 상부턱(121)과 하부턱(12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전면부(120)의 상부턱(121)은 상부선반(100)에 올려놓은 물품이 앞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상기 전면부(120)의 하부턱(122)은 상부선반(100)과 하부선반(200) 사이 틈새를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조절공(140)은 상부고정부(13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조절공(140)은 후술하는 가압부재(400)의 조절너트(421)를 조절할 때 스패너 등의 공구를 끼울 수 있도록 형성한 것이다. 이때, 상기 조절공(140)에는 도 2에서와 같이 덮개(141)가 분리가능하게 끼워진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조절공(140)에 덮개(141)를 끼워 조절공(140)이 불필요하게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고, 가압부재(400)의 조절너트(421)를 조절할 때는 조절공(140)에 끼워진 덮개(141)를 분리한 후 조절공(140)에 공구를 끼워 조절너트(421)를 조절한다. 한편, 상기 덮개(141)는 조절공(140)에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덮개(141)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조절공(140)은 배수구 및 공기순환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하부선반(200)은 상부선반(100)의 하부에 나사(S)체결로 조립되어 코너선반(C)의 하부몸체를 구성하는 것으로, 이러한 하부선반(200)의 양측에는 벽체(10)의 코너에 대응하도록 직각을 이루는 측면부(210)가 구비되고, 하부선반(200)의 전방에는 양 측면부(210)의 선단에서 호형을 이루는 전면부(220)가 구비되며, 하부선반(200)의 상부에는 상부선반(100)의 상부고정부(130)에 대응하는 하부고정부(23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상,하부고정부(130)(230)의 양측에는 사각형의 너트홈(131)(231)과 반원형의 볼트공(132)(232)이 서로 통하도록 각각 형성되고, 상기 너트홈(131)(231)의 양측에는 고정너트(410)의 양측을 지지하는 지지대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상,하부선반(100)(200)의 전방에 구비되는 상,하부고정부(130)(230)는 후방에 구비되는 상,하부고정부(130)(230)보다 최대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상,하부선반(100)(200)의 전방에 구비되는 상,하부고정부(130)(230)의 양측 너트홈(131)(231) 사이에는 다수의 보강홈(133)(233)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보강홈(133)(233)에는 보강리브(134)(234)가 각각 경사지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상부선반(100)의 양 측면부(110)는 벽체(10)에 밀착되고, 상기 하부선반(200)의 양 측면부(210)는 벽체(10)와 이격된다. 이때, 도 5에서와 같이 코너선반(C)을 벽체(10)에 고정한 상태에서 양측 고정판(300)이 상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즉 벽체(10)와 상부선반(100)의 양 측면부(110)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지 않도록, 상부선반(100)의 양 측면부(110)는 벽체(10)에 밀착된다. 그러나, 상기 하부선반(200)은 상부선반(100)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었기 때문에, 도 7a,7b에서와 같이 하부선반(200)의 양 측면부(210)는 벽체(10)와 이격되고, 하부선반(200)의 양 측면부(210)와 벽체(10)의 이격된 거리만큼 고정판(300)을 벽체(10)로 이동시켜, 즉 하부선반(200)의 양 측면부(210)와 벽체(10) 사이에서 고정판(300)을 가압부재(400)로 벽체(10)에 가압하여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상부선반(100)에는 나사(S)가 끼워지는 다수의 나사공(150)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선반(200)의 상부에는 나사공(150)에 대응하는 나사체결홈(241)이 형성된 보스(240)가 돌출된다. 이때, 상기 나사공(150)에 나사(S)를 끼워 나사체결홈(241)에 체결하면 상부선반(100)과 하부선반(200)을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다.
상기 고정판(300)은 상,하부선반(100)(200)의 양 측면부(110)(210) 사이 전,후방에 각각 배치되어 벽체(10)에 밀착되는 것으로, 이러한 고정판(300)은 상,하부선반(100)(200)을 벽체(10)에 견고하게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고정판(300)은 장방형의 사각판체로 이루어지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고정판(300)은 상,하부선반(100)(200)의 양 측면부(110)(210) 사이 양측 전,후방에 4개가 각각 배치되며, 상기 4개의 고정판(300)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고정판(300)의 외면에는 벽체(10)에 탄력적으로 밀착되는 쿠션패드(31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고정판(300)의 외면에는 실리콘 등과 같이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져 벽체(10)에 탄력적으로 밀착되는 쿠션패드(310)가 구비되기 때문에, 쿠션패드(310)를 이용하여 고정판(300)을 벽체(10)에 한층 더 견고하게 탄력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쿠션패드(310)는 고정판(300)의 외면에 실리콘을 도포하거나 또는 실리콘을 접착하여 형성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도 6에서와 같이 쿠션패드(310)가 고정판(300)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판(300)을 감싸는 구조로 쿠션패드(310)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압부재(400)는 상,하부선반(100)(200)의 상,하부고정부(130)(230)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가압부재(400)는 양측 4개의 고정판(300)을 벽체(10)에 각각 가압하여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가압부재(400)는 4개의 고정판(300)을 각각 가압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가압부재(400)는 상,하부선반(100)(200)의 상,하부고정부(130)(230) 양측에 4개가 각각 설치되며, 상기 4개의 가압부재(400)는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가압부재(400)는 상,하부고정부(130)(230)의 양측으로 형성된 너트홈(131)(231)에 각각 끼워지는 고정너트(410)와, 상기 고정너트(410)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체결되어 상부선반(100)의 조절공(140)과 마주하는 조절너트(421)를 구비하는 볼트(420)와, 상기 볼트(420)의 일단에 형성되어 볼(431)을 구비하는 연결봉(43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판(300)의 내측에는 연결봉(430)의 볼(431)에 연결되는 볼홈(321)이 형성된 회전부(320)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너트(410)는 상,하부선반(100)(200)의 상,하부고정부(130)(230) 양측으로 형성된 너트홈(131)(231)에 각각 끼워져 회전하지 못하도록 고정되는 것으로, 이러한 고정너트(410)는 볼트(420)를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고정너트(410)는 주지된 바와 같이 볼트(420)와 나사결합으로 체결되는 것으로, 이러한 고정너트(410)는 사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볼트(420)는 고정너트(410)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각각 체결되는 것으로, 이러한 볼트(420)에는 상부선반(100)의 조절공(140)과 마주하는 조절너트(421)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볼트(420)는 고정너트(410)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하부선반(100)(200)의 상,하부고정부(130)(230) 양측으로 형성된 볼트공(132)(232)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선반(100)의 조절공(140)에 스패너 등의 공구를 끼워 공구로 조절너트(421)를 볼트(420)가 고정너트(410)에서 풀리는 방향으로 돌리면 볼트(420)는 회전하면서 고정판(300)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반대로 상기 공구로 조절너트(421)를 볼트(420)가 조여지는 방향으로 돌리면 볼트(420)는 고정판(300)의 반대측으로 회전하면서 이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공구를 사용하여 조절너트(421)를 돌려서 볼트(420)를 좌우로 이동시킬 때, 고정너트(410)는 상,하부고정부(130)(230)의 너트홈(131)(231)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되었기 때문에, 이러한 고정너트(410)는 좌우로 이동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연결봉(430)은 볼트(420)의 일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이러한 연결봉(430)의 단부에는 구형상으로 형성된 볼(431)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판(300)의 내측에는 연결봉(430)의 볼(431)에 연결되는 볼홈(321)이 형성된 회전부(32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회전부(320)의 볼홈(321)에는 연결봉(430)의 볼(431)이 끼워져 조립되기 때문에, 이에 의해 상기 고정판(300)은 가압부재(40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가압부재(400)로 고정판(300)을 벽체(10)에 가압하면 가압력이 고정판(300)의 어느 한 부위로 집중되지 않고, 고정판(300)은 회전부(320)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가압력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분산시키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가압부재(400)로 고정판(300)을 벽체(10)에 가압하여 밀착시키면 회전부(320)에 의해 고정판(300)의 쿠션패드(310)는 벽체(10)에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밀착되어 편심이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 8a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판(300)은 평면에서 볼 때 중앙부가 내측으로 요입되는 곡면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판(3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가압부재(40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또한 고정판(300)은 만곡형의 곡면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도 8a에서와 같이 고정판(300)은 벽체(10)에 밀착되기 전에는 곡면을 유지하게 되고, 도 8b에서와 같이 고정판(300)이 가압부재(400)의 가압력으로 벽체(10)에 밀착되는 초기 상태에서는 고정판(300)의 선단과 후단이 벽체(10)에 밀착된다. 그러나 도 8c에서와 같이 가압부재(400)의 가압력으로 고정판(300)이 벽체(10)에 완전하게 밀착된 상태에서는, 고정판(300)의 외면이 곡면에서 평면으로 펴지면서 벽체(10)에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밀착되고, 또한 이와 동시에 도 8c의 화살표와 같이 고정판(300)의 앞부분이 벽체(10)의 코너 모서리 측으로 밀리면서 쐐기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고정판(300)은 벽체(10)에 한층 더 견고하게 밀착되어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처지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9a,9b에서와 같이 상기 하부고정부(230)의 너트홈(231)에는 고정너트(41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500)가 장착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500)는 접시형 와셔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러한 탄성부재(500)는 고정너트(410)에 반력을 부여하여 고정판(300)의 유격을 방지함과 동시에 고정너트(410)를 탄력적으로 견고하게 지지하여 안정감을 부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탄성부재(500)는 사용시 고정판(300)이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증력수단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도 9a는 고정판(300)이 벽체(10)에 밀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9b는 가압부재(400)의 가압력으로 고정판(300)이 벽체(10)에 밀착된 상태로서 화살표와 같이 너트(410)에 작용하는 압력을 탄성부재(500)가 탄력적으로 지지하기 때문에, 고정판(300)의 유격을 방지함과 동시에 고정너트(410)를 탄력적으로 견고하게 지지하여 안정감을 부여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선반(20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선반(200)은 상부선반(100)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 10에서와 같이 하부선반(200)의 전방과 후방은 직선으로 각각 형성되고, 보스(240)는 하부선반(200)의 상부 양측에 형성되며, 이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부선반(100)에도 나사공(150)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체적인 작동관계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회전부(320)의 볼홈(321)에 연결봉(430)의 볼(431)을 끼우면 고정판(300)과 가압부재(400)를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고, 이와 같이 조립된 4개의 가압부재(400)의 고정너트(410)를 하부선반(200)의 4개의 너트홈(321)에 각각 끼워서 조립하면 도 2,3에서와 같이 4개의 고정판(300)과 가압부재(400)를 하부선반(200)에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다.
4개의 고정판(300)과 가압부재(400)를 하부선반(200)에 조립한 상태에서, 도 2,3에서와 같이 고정판(300)이 하부선반(200)의 양 측면부(210)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가압부재(400)의 조절너트(421)를 조절한 후, 하부선반(200)에 상부선반(100)을 조립하면 고정너트(410)는 상,하부고정부(130)(230)의 너트홈(131)(231)에 각각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볼트(420)는 볼트공(132)(232)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 상태에서 상부선반(100)의 나사공(150)에 나사(S)를 각각 끼워 나사체결홈(241)에 체결하면 상,하부선반(100)(200)을 나사(S)체결로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조립된 상,하부선반(100)(200)을 도 5에서와 같이 벽체(10)의 코너 원하는 위치에 끼우면, 상부선반(100)의 양 측면부(110)는 도 5에서와 같이 벽체(10)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지만, 하부선반(200)의 양 측면부(210)는 도 7a,7b에서와 같이 벽체(10)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또한 도 7a에서와 같이 고정판(300)도 벽체(10)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부선반(100)의 4개의 조절공(140)에 순차적으로 스패너 등의 공구를 끼워 공구로 조절너트(421)를 볼트(420)가 풀리는 방향으로 돌리면 볼트(420)는 벽체(10)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연결봉(430)의 볼(431)이 회전부(320)를 밀어 고정판(300)의 쿠션패드(310)가 벽체(10)에 밀착되도록 가압하기 때문에, 4개의 고정판(300)의 쿠션패드(310)는 가압부재(400)의 가압력에 의해 도 7b에서와 같이 벽체(10)에 탄력적으로 밀착된 상태로 순차적으로 견고하게 각각 고정되고, 이에 의해 코너선반(C)은 벽체(10)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가압부재(400)로 고정판(300)을 벽체(10)에 가압하여 밀착시키면 회전부(320)에 의해 고정판(300)의 쿠션패드(310)는 벽체(10)에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밀착된다.
상기와 같이 벽체(10)의 코너에 코너선반(C)을 고정한 상태에서 상부선반(100)에 각종 물품을 올려놓고 사용하다가, 필요에 따라 코너선반(C)을 분리하여 다른 위치에 설치할 경우에는, 상기 조립의 역으로 4개의 조절공(140)에 순차적으로 공구를 끼워 조절너트(421)를 볼트(420)가 조여지는 방향으로 돌리면 볼트(420)와 고정판(300)은 벽체(10)의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의해 쿠션패드(310)가 벽체(10)로부터 이격되기 때문에, 코너선반(C)을 벽체(10)에서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은 나사(S)체결로 조립된 상,하부선반(100)(200)의 양 측면부(110)(210) 사이에는 벽체(10)에 밀착되는 고정판(300)이 배치되고, 상,하부선반(100)(200)의 상,하부고정부(130)(230) 양측에는 볼트(420)의 가압력으로 고정판(300)을 벽체에 가압하여 고정하는 가압부재(400)가 설치되기 때문에, 못이나 흡착판을 사용하지 않고 상,하부선반(100)(200)을 볼트(420)의 가압력을 이용하여 벽체(10)에 간단하고도 견고하게 밀착시켜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은 고정판(300)의 쿠션패드(310)가 볼트(420)의 가압력에 의해 벽체(10)에 탄력적으로 밀착되면서 견고하게 고정되기 때문에, 설치시 벽체(10)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코너선반(C)을 고정할 수 있고, 욕실 타일의 고른 벽면뿐만 아니라 방의 벽지부분에도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은 벽체(10)의 코너에 고정된 코너선반(C)을 분리하여 다른 위치에 설치할 경우에는 볼트(420)를 조립의 역방향으로 돌려서 코너선반(C)을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본 발명은 가압부재(400)가 고정너트(410), 볼트(420), 연결봉(430)을 포함하는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가압부재(400)의 비용을 절감함과 동시에 가압부재(400)의 가압 및 해제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므로 가압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이러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간단하게 볼트(420)를 돌려서 코너선반(C)을 벽체(10)의 코너에 간단하게 고정 및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코너선반(C)의 고정 및 분리작업이 용이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 벽체 100 : 상부선반
110 : 측면부 120 : 전면부
121 : 상부턱 122 : 하부턱
130 : 상부고정부 131 : 너트홈
140 : 조절공 150 : 나사공
200 : 하부선반 210 : 측면부
220 : 전면부 230 : 하부고정부
231 : 너트홈 240 : 보스
241 : 나사체결홈 300 : 고정판
310 : 쿠션패드 320 : 회전부
321 : 볼홈 400 : 가압부재
410 : 고정너트 420 : 볼트
421 : 조절너트 430 : 연결봉
431 : 볼 500 : 탄성부재
S : 나사 C : 코너선반

Claims (8)

  1. 벽체(10)의 코너에 대응하도록 직각을 이루는 양 측면부(110)와 호형을 이루는 전면부(120) 및 하부 전,후방에 각각 형성된 상부고정부(130)와 상부고정부(130)의 양측에 형성된 조절공(140)을 구비하는 상부선반(100);
    상기 상부선반(100)의 하부에 나사(S)체결로 조립되어 벽체(10)의 코너에 대응하도록 직각을 이루는 양 측면부(210)와 호형을 이루는 전면부(220) 및 상부고정부(130)에 대응하는 하부고정부(230)를 구비하는 하부선반(200);
    상기 상,하부선반(100)(200)의 양 측면부(110)(210) 사이 전,후방에 각각 배치되어 벽체(10)에 밀착되는 고정판(300);
    상기 상,하부선반(100)(200)의 상,하부고정부(130)(230)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양측 고정판(300)을 벽체(10)에 가압하여 고정하는 가압부재(400)를 포함하는 코너선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선반(100)의 양 측면부(110)는 벽체(10)에 밀착되고, 상기 하부선반(200)의 양 측면부(210)는 벽체(10)와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선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선반(100)에는 나사(S)가 끼워지는 다수의 나사공(150)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선반(200)의 상부에는 나사공(150)에 대응하는 나사체결홈(241)이 형성된 보스(240)가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선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120)에는 상부선반(100)의 상부와 하부로 돌출되는 상부턱(121)과 하부턱(12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선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300)의 외면에는 벽체(10)에 탄력적으로 밀착되는 쿠션패드(31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선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400)는 상,하부고정부(130)(230)의 양측으로 형성된 너트홈(131)(231)에 각각 끼워지는 고정너트(410)와, 상기 고정너트(410)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체결되어 상부선반(100)의 조절공(140)과 마주하는 조절너트(421)를 구비하는 볼트(420)와, 상기 볼트(420)의 일단에 형성되어 볼(431)을 구비하는 연결봉(430)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판(300)의 내측에는 연결봉(430)의 볼(431)에 연결되는 볼홈(321)이 형성된 회전부(32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선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고정부(230)의 너트홈(231)에는 고정너트(410)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500)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선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300)은 평면에서 볼 때 중앙부가 내측으로 요입되는 곡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너선반.
KR1020190076495A 2019-06-26 2019-06-26 코너선반 KR1022254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6495A KR102225442B1 (ko) 2019-06-26 2019-06-26 코너선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6495A KR102225442B1 (ko) 2019-06-26 2019-06-26 코너선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051A KR20210001051A (ko) 2021-01-06
KR102225442B1 true KR102225442B1 (ko) 2021-03-09

Family

ID=74128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6495A KR102225442B1 (ko) 2019-06-26 2019-06-26 코너선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544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7241Y1 (ko) 1999-08-02 2000-02-15 최웅규 코너 선반
JP3030989B2 (ja) 1991-11-08 2000-04-1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光記憶装置及びこれに用いる対物レンズの角度調整方法
JP2003299540A (ja) 2002-04-09 2003-10-21 Vainqueur:Kk 取付機構付き棚
KR200481329Y1 (ko) 2016-03-15 2016-09-12 이현영 욕실용 선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0989U (ja) * 1996-05-08 1996-11-12 祥 椎名 コーナー用棚構造
JP2855428B2 (ja) * 1997-06-09 1999-02-10 祥 椎名 コーナー用棚構造
TWM253137U (en) * 2003-11-28 2004-12-11 Rung-Sheng Jeng Dual layer connection type electricity generator
JP4905816B2 (ja) 2010-01-22 2012-03-28 祥 椎名 コーナー棚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0989B2 (ja) 1991-11-08 2000-04-1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光記憶装置及びこれに用いる対物レンズの角度調整方法
KR200167241Y1 (ko) 1999-08-02 2000-02-15 최웅규 코너 선반
JP2003299540A (ja) 2002-04-09 2003-10-21 Vainqueur:Kk 取付機構付き棚
KR200481329Y1 (ko) 2016-03-15 2016-09-12 이현영 욕실용 선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051A (ko) 2021-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99488B1 (en) Vertical regulation device for the wall assembly of lining panels
CN114008287B (zh) 家具配件和家具
KR910001195A (ko) 빌딩 인클로우즈 방법 및 시스템
US20080127577A1 (en) Connecting device and method for connecting two wall elements of an elevator cage
KR102225442B1 (ko) 코너선반
JP4712399B2 (ja) 壁裏補強方法
JP2007002536A (ja) 間仕切り壁パネルの固定構造
JP3196974U (ja) 取付具
KR20190114665A (ko) 코너선반
JP4680749B2 (ja) ブラケット支持構造
KR20230060951A (ko) 코너선반
KR200459619Y1 (ko) 조립식 의자
JP4484319B2 (ja) 脚端具取付構造
JP2007229005A (ja) 固定具及びそれを用いた組立式什器
JPH0336259Y2 (ko)
JP4821729B2 (ja) 収納家具の固定構造
KR101924991B1 (ko) 소변기용 칸막이 고정 장치
KR102163946B1 (ko) 바이스 핸들부용 연결기
CN215888734U (zh) 一种用于装配式墙板的安装装置
JP3178339U (ja) 家具転倒防止具
JP2017046964A (ja) キッチン用仕切板の挟持装置
KR200254098Y1 (ko) 장착용 빨판
KR200246812Y1 (ko) 델타판넬 시스템
KR200432238Y1 (ko) 와셔 일체형 지지구
KR200285512Y1 (ko) 코너 수납장 설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