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4611B1 - 통신 시스템에서의 업링크 참조 신호의 트리거링 방법, 송신 방법, 장치 및 저장 매체 - Google Patents

통신 시스템에서의 업링크 참조 신호의 트리거링 방법, 송신 방법, 장치 및 저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4611B1
KR102224611B1 KR1020197007241A KR20197007241A KR102224611B1 KR 102224611 B1 KR102224611 B1 KR 102224611B1 KR 1020197007241 A KR1020197007241 A KR 1020197007241A KR 20197007241 A KR20197007241 A KR 20197007241A KR 102224611 B1 KR102224611 B1 KR 1022246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side
preset
signal
frequency domain
uplink refer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7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9428A (ko
Inventor
라케시 탐라카르
룬화 첸
치우빈 가오
후이 리
치우핑 후앙
양 송
추안준 리
멩준 왕
신 수
유 양
Original Assignee
차이나 아카데미 오브 텔레커뮤니케이션즈 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이나 아카데미 오브 텔레커뮤니케이션즈 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차이나 아카데미 오브 텔레커뮤니케이션즈 테크놀로지
Publication of KR20190039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94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4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46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2Hopping in multicarrier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1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dedicated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a single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통신 시스템에서의 업링크 참조 신호의 트리거링 방법, 송신 방법, 장치 및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상기 통신 시스템은, 적어도 두 가지 상이한 신호 파라미터를 포함한다. 네트워크측에 응용되는 트리거링 방법은, 네트워크측은 단말기가 일회 또는 다수회 네트워크측으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도록 트리거링하기 위한 트리거 시그널링을 생성하는 단계; 및 네트워크측은 상기 단말기로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통신 시스템에서의 업링크 참조 신호의 트리거링 방법, 송신 방법, 장치 및 저장 매체
관련 출원에 대한 참조
본 출원은 2016년 8월 12일 중국지식산권국에 제출한 특허 출원 제 201610666157.7호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전체 내용을 참조로서 본 출원에 원용한다.
기술분야
본 개시는 통신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통신 시스템에서의 업링크 참조 신호의 트리거링 방법, 송신 방법, 장치 및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LTE(롱 텀 에볼루션) 시스템에 있어서, 부반송파 간격은 15KHz이며,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14개의 심볼(특수 서브프레임 제외)이 포함된다. 도 1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업링크 서브프레임내의 마지막 하나의 심볼은 업링크 사운딩 참조 신호(Sounding Reference Symbol - SRS)를 송신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특수 서브프레임의 업링크 파일럿 UpPTS(Uplink Pilot Time Slot)에서의 하나의 또는 복수 개의 심볼은 SRS를 송신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기가 비주기적으로 SRS를 송신하도록 트리거링하는바, 즉, 단말기는 고계층 설정 파라미터에 따라 SRS를 송신한다.
하지만, 미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동일 시스템 대역폭 하에 다양한 기본 시스템 파라미터(예컨대 부반송파 간격)가 있을 수 있다. 아울러, 하나의 시스템 대역폭내의 상이한 주파수 대역의 기본 파라미터가 상이하기 때문에, 업링크 SRS 송신 메커니즘이 서로 다르고, 네트워크측이 단말기가 SRS를 송신하도록 트리거링하는 방법 또한 상이하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계속하여 LTE 시스템에서의 방법을 적용하여 비주기적 SRS 송신을 트리거링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다.
본 개시의 목적은, 통신 시스템에서의 업링크 참조 신호의 트리거링 방법, 송신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여, 관련 기술에서의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방식이 여러가지 상이한 신호 파라미터의 신호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텀에 적용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는, 통신 시스템에서의 업링크 참조 신호의 트리거링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트리거링 방법은 네트워크측에 응용되며, 상기 트리거링 방법은,
네트워크측은, 단말기가 일회 또는 다수회 네트워크측으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도록 트리거링하기 위한 트리거 시그널링을 생성하는 단계; 및
네트워크측은 상기 단말기로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 시스템은 적어도 두 가지 상이한 신호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측이, 단말기가 일회 또는 다수회 네트워크측으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도록 트리거링하기 위한 트리거 시그널링을 생성하는 단계는,
네트워크측은, 단말기가 사전 설정된 신호 파라미터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에서 일회 또는 다수회 네트워크측으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도록 트리거링하기 위한 제1 트리거 시그널링을 생성하는 단계; 또는,
네트워크측은, 단말기가 사전 설정된 주파수 영역 위치 상에서 일회 또는 다수회 네트워크측으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도록 트리거링하기 위한 제2 트리거 시그널링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트리거 시그널링은 상기 사전 설정된 신호 파라미터를 캐리하고; 또는,
상기 제2 트리거 시그널링은 상기 사전 설정된 주파수 영역 위치를 캐리한다.
네트워크측이, 단말기가 일회 또는 다수회 네트워크측으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도록 트리거링하기 위한 트리거 시그널링을 생성하기 전에, 상기 방법은,
네트워크측은, 단말기로 제1 고계층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1 고계층 시그널링은 상기 사전 설정된 신호 파라미터 또는 사전 설정된 주파수 영역 위치를 캐리함-; 를 더 포함한다.
제1 트리거 시그널링이, 단말기가 사전 설정된 신호 파라미터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내에서 다수회 네트워크측으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도록 트리거링하기 위한 것일 경우, 상기 트리거링 방법은,
네트워크측은 단말기로 제2 고계층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2 고계층 시그널링은 상기 사전 설정된 신호 파라미터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내에서 다수회 네트워크측으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주파수 호핑 규칙을 캐리함-; 를 더 포함한다.
상기 사전 설정된 신호 파라미터는 하나의 신호 파라미터 또는 복수 개의 신호 파라미터이고;
사전 설정된 신호 파라미터가 복수 개의 신호 파라미터일 경우, 상기 복수 개의 신호 파라미터는 복수 개의 동일한 신호 파라미터 또는 복수 개의 상이한 신호 파라미터이다.
상기 사전 설정된 주파수 영역 위치는 하나의 주파수 영역 위치 또는 복수 개의 주파수 영역 위치이고;
사전 설정된 주파수 영역 위치가 복수 개의 주파수 영역 위치일 경우, 상기 복수 개의 주파수 영역 위치는 복수 개의 동일한 주파수 영역 위치 또는 복수 개의 상이한 주파수 영역 위치이다.
상기 신호 파라미터는 부반송파 간격이다.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는 업링크 사운딩 참조 신호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통신 시스템에서의 업링크 참조 신호의 송신 방법을 더 제공한다. 상기 송신 방법은 단말기측에 응용되며, 상기 송신 방법은,
단말기는 네트워크측이 송신한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는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에 따라 일회 또는 다수회 네트워크측으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 시스템은 적어도 두 가지 상이한 신호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가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에 따라 일회 또는 다수회 네트워크측으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는 네트워크측이 송신한 제1 트리거 시그널링에 따라 사전 설정된 신호 파라미터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내에서 일회 또는 다수회 네트워크측으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또는,
상기 단말기는 네트워크측이 송신한 제2 트리거 시그널링에 따라 사전 설정된 주파수 영역 위치 상에서 일회 또는 다수회 네트워크측으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트리거 시그널링은 상기 사전 설정된 신호 파라미터를 캐리하고; 또는,
상기 제2 트리거 시그널링은 상기 사전 설정된 주파수 영역 위치를 캐리한다.
단말기가 네트워크측이 송신한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하기 전에, 상기 방법은,
네트워크측이 송신한 제1 고계층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고계층 시그널링은 상기 사전 설정된 신호 파라미터 또는 사전 설정된 주파수 영역 위치를 캐리함-; 를 더 포함한다.
제1 트리거 시그널링이, 단말기가 사전 설정된 신호 파라미터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내에서 다수회 네트워크측으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도록 트리거링하기 위한 것일 경우, 상기 트리거링 방법은,
네트워크측이 송신한 제2 고계층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고계층 시그널링은 상기 사전 설정된 신호 파라미터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내에서 다수회 네트워크측으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주파수 호핑 규칙을 캐리함-; 를 더 포함한다.
상기 사전 설정된 신호 파라미터는 하나의 신호 파라미터 또는 복수 개의 신호 파라미터이고;
사전 설정된 신호 파라미터가 복수 개의 신호 파라미터일 경우, 상기 복수 개의 신호 파라미터는 복수 개의 동일한 신호 파라미터 또는 복수 개의 상이한 신호 파라미터이다.
상기 사전 설정된 주파수 영역 위치는 하나의 주파수 영역 위치 또는 복수 개의 주파수 영역 위치이고;
사전 설정된 주파수 영역 위치가 복수 개의 주파수 영역 위치일 경우, 상기 복수 개의 주파수 영역 위치는 복수 개의 동일한 주파수 영역 위치 또는 복수 개의 상이한 주파수 영역 위치이다.
상기 신호 파라미터는 부반송파 간격이다.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는 업링크 사운딩 참조 신호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통신 시스템에서의 업링크 참조 신호 트리거링 장치를 더 제공한다. 상기 트리거링 장치는 네트워크측에 응용되며, 상기 트리거링 장치는,
단말기가 일회 또는 다수회 네트워크측으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도록 트리거링하기 위한 트리거 시그널링을 생성하기 위한 시그널링 생성 모듈; 및
상기 단말기로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하기 위한 시그널링 송신 모듈; 을 포함한다.
상기 통신 시스템은 적어도 두 가지 상이한 신호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시그널링 생성 모듈은,
단말기가 사전 설정된 신호 파라미터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에서 일회 또는 다수회 네트워크측으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도록 트리거링하기 위한 제1 트리거 시그널링을 생성하기 위한 제1 시그널링 생성 서브 모듈; 및/또는,
단말기가 사전 설정된 주파수 영역 위치 상에서 일회 또는 다수회 네트워크측으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도록 트리거링하기 위한 제2 트리거 시그널링을 생성하기 위한 제2 시그널링 생성 서브 모듈; 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트리거 시그널링은 상기 사전 설정된 신호 파라미터를 캐리하고; 또는,
상기 제2 트리거 시그널링은 상기 사전 설정된 주파수 영역 위치를 캐리한다.
상기 트리거링 장치는,
단말기로 제1 고계층 시그널링을 송신하기 위한 제1 고계층 시그널링 송신 모듈- 상기 제1 고계층 시그널링은 상기 사전 설정된 신호 파라미터 또는 사전 설정된 주파수 영역 위치를 캐리함-; 을 더 포함한다.
상기 트리거링 장치는,
제1 트리거 시그널링이, 단말기가 사전 설정된 신호 파라미터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내에서 다수회 네트워크측으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도록 트리거링하기 위한 것일 경우, 단말기로 제2 고계층 시그널링을 송신하기 위한 제2 고계층 시그널링 송신 모듈- 상기 제2 고계층 시그널링은 상기 사전 설정된 신호 파라미터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내에서 다수회 네트워크측으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주파수 호핑 규칙을 캐리함-; 을 더 포함한다.
상기 사전 설정된 신호 파라미터는 하나의 신호 파라미터 또는 복수 개의 신호 파라미터이고;
사전 설정된 신호 파라미터가 복수 개의 신호 파라미터일 경우, 상기 복수 개의 신호 파라미터는 복수 개의 동일한 신호 파라미터 또는 복수 개의 상이한 신호 파라미터이다.
상기 사전 설정된 주파수 영역 위치는 하나의 주파수 영역 위치 또는 복수 개의 주파수 영역 위치이고;
사전 설정된 주파수 영역 위치가 복수 개의 주파수 영역 위치일 경우, 상기 복수 개의 주파수 영역 위치는 복수 개의 동일한 주파수 영역 위치 또는 복수 개의 상이한 주파수 영역 위치이다.
상기 신호 파라미터는 부반송파 간격이다.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는 업링크 사운딩 참조 신호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통신 시스템에서의 업링크 참조 신호의 송신 장치를 더 제공한다. 상기 송신 장치는 단말기측에 응용되며, 상기 송신 장치는,
네트워크측이 송신한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하기 위한 시그널링 수신 모듈; 및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에 따라 일회 또는 다수회 네트워크측으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신호 송신 모듈; 을 포함한다.
상기 통신 시스템은 적어도 두 가지 상이한 신호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송신 모듈은,
네트워크측이 송신한 제1 트리거 시그널링에 따라 사전 설정된 신호 파라미터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내에서 일회 또는 다수회 네트워크측으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제1 신호 송신 서브 모듈; 및/또는,
네트워크측이 송신한 제2 트리거 시그널링에 따라 사전 설정된 주파수 영역 위치 상에서 일회 또는 다수회 네트워크측으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제2 신호 송신 서브 모듈; 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트리거 시그널링은 상기 사전 설정된 신호 파라미터를 캐리하고; 또는,
상기 제2 트리거 시그널링은 상기 사전 설정된 주파수 영역 위치를 캐리한다.
상기 송신 장치는,
네트워크측이 송신한 제1 고계층 시그널링을 수신하기 위한 제1 고계층 시그널링 수신 모듈- 상기 제1 고계층 시그널링은 상기 사전 설정된 신호 파라미터 또는 사전 설정된 주파수 영역 위치를 캐리함-; 을 더 포함한다.
상기 송신 장치는,
제1 트리거 시그널링이, 단말기가 사전 설정된 신호 파라미터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내에서 다수회 네트워크측으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도록 트리거링하기 위한 것일 경우, 네트워크측이 송신한 제2 고계층 시그널링을 수신하기 위한 제2 고계층 시그널링 수신 모듈- 상기 제2 고계층 시그널링은 상기 사전 설정된 신호 파라미터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내에서 다수회 네트워크측으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주파수 호핑 규칙을 캐리함-; 을 더 포함한다.
상기 사전 설정된 신호 파라미터는 하나의 신호 파라미터 또는 복수 개의 신호 파라미터이고;
사전 설정된 신호 파라미터가 복수 개의 신호 파라미터일 경우, 상기 복수 개의 신호 파라미터는 복수 개의 동일한 신호 파라미터 또는 복수 개의 상이한 신호 파라미터이다.
상기 사전 설정된 주파수 영역 위치는 하나의 주파수 영역 위치 또는 복수 개의 주파수 영역 위치이고;
사전 설정된 주파수 영역 위치가 복수 개의 주파수 영역 위치일 경우, 상기 복수 개의 주파수 영역 위치는 복수 개의 동일한 주파수 영역 위치 또는 복수 개의 상이한 주파수 영역 위치이다.
상기 신호 파라미터는 부반송파 간격이다.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는 업링크 사운딩 참조 신호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통신 시스템에서의 업링크 참조 신호의 트리거링 장치를 더 제공한다. 상기 트리거링 장치는 네트워크측에 응용되며, 상기 트리거링 장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하에 데이터를 수신 및 송신하기 위한 송수신기;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단말기가 일회 또는 다수회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도록 트리거링하기 위한 트리거 시그널링을 생성하고;
상기 단말기로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통신 시스템에서의 업링크 참조 신호의 송신 장치를 더 제공한다. 상기 송신 장치는 단말기측에 응용되며, 상기 송신 장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하에 데이터를 수신 및 송신하기 위한 송수신기;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네트워크측이 송신한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에 따라 일회 또는 다수회 네트워크측으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 비휘발성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가능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는,
단말기가 일회 또는 다수회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도록 트리거링하기 위한 트리거 시그널링을 생성하고;
상기 단말기로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는, 비휘발성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더 제공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가능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는,
네트워크측이 송신한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하고;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에 따라 일회 또는 다수회 네트워크측으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한다.
본 개시의 상기한 기술 방안은 적어도 하기와 같은 유익한 효과를 갖는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의 업링크 참조 신호의 트리거링 방법, 송신 방법 및 장치에 있어서, 네트워크측은 통신 시스템의 수요 및/또는 단말기의 수요에 따라 트리거 시그널링을 생성하고, 단말기로 송신한다. 단말기는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한 후, 트리거 시그널링의 지시에 따라 비주기적으로 일회 또는 다수회 네트워크측으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여, 네트워크측이 업링크 참조 신호에 따라 업링크 채널 품질 측정 및 업링크 채널 추정을 진행가능하도록 한다. 본 개시에 따른 트리거링 방법은, 여러 가지 기본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내에서 유연하게 단말기가 비주기적으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도록 트리거링할 수 있다.
도 1은 관련 기술에서의 업링크 서브프레임에서 업링크 사운딩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관련 기술에서의 특수 서브프레임애서 업링크 사운딩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의 업링크 참조 신호의 트리거링 방법의 기본 단계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의 업링크 참조 신호의 송신 방법의 기본 단계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의 업링크 참조 신호의 트리거링 방법 및 통신 시스템에서의 업링크 참조 신호의 송신 방법이 응용된 통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원리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의 업링크 참조 신호의 트리거링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의 업링크 참조 신호의 트리거링 장치 및 통신 시스템에서의 업링크 참조 신호의 송신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의 업링크 참조 신호의 송신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개시가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문제, 기술 방안 및 이점을 더욱 뚜렷하도록 하기 위하여, 아래에서는, 첨부 도면과 구체적인 실시예를 결부시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는, 네트워크측에 응용되는 통신 시스템에서의 업링크 참조 신호의 트리거링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트리거링 방법은, 하기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31: 네트워크측은, 단말기가 일회 또는 다수회 네트워크측으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도록 트리거링하기 위한 트리거 시그널링을 생성한다.
단계 32: 네트워크측은 상기 단말기로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한다.
상응하게, 본 개시의 실시예는, 단말기측에 응용되는 통신 시스템에서의 업링크 참조 신호의 송신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통신 시스템은 적어도 두 가지 상이한 신호 파라미터를 갖는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 방법은, 하기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41: 단말기는 네트워크측이 송신한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한다.
단계 42: 상기 단말기는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에 따라 일회 또는 다수회 네트워크측으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한다.
본 개시의 상기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 포함된 상이한 신호 파라미터는 도 5가 나타내는 바와 같은바, 일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일부는 부반송파 간격이 N Hz인 신호로 이루어 지고, 다른 일부는 부반송파 간격이 M Hz인 신호로 이루어 진다. 당해 통신 시스템의 시스템 대역폭 하에, 다양한 부반송파 간격 기반의 신호를 멀티플렉싱하며; 부반송파 간격이 상이하기 때문에, 심볼 길이도 상이하다.
구체적으로는, 관련 기술과 유사하게, 단말기는 업링크 자원상에서 하나의 또는 복수 개의 심볼이 마련되어,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데 사용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5가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에가 적용된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업링크 참조 신호는 상이한 주파수 영역 위치 상에서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부반송파 간격을 가지며, 당해 통신 시스템에 부반송파 간격이 동일한 하나의 또는 복수 개의 연속적인 부반송파를 포함한다(도 5에서의 당해 통신 시스템은, 부반송파 간격이 동일한 두개의 연속적인 부반송파를 포함).
구체적으로는, 본 개시의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신 시스템은 적어도 두 가지 상이한 신호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파라미터는 부반송파 간격이고;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는 업링크 사운딩 참조 신호이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개시의 상기한 실시예에서, 네트워크측이 송신한 트리거 시그널링은, 단말기가 일회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도록 트리거링할 수도 있고, 단말기가 다수회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도록 트리거링할 수도 있다. 본 출원에 따른 방법을 더욱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아래에서는, 단말기가 일회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도록 트리거링하는 방법 및 단말기가 다수회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도록 트리거링하는 방법의 경우로 각각 본 출원의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첫 번째 경우: 네트워크측이 송신한 트리거 시그널링은, 단말기가 일회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도록 트리거링하기 위한 것이다. 설명해야 할 것은, 첫 번째 경우에 있어서, 네트워크측의 트리거링 방법은 각각 하기와 같은 2가지 트리거링 방식으로 나뉜다.
첫 번째 트리거링 방식: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트리거링 방법에서의 단계 31은,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311: 네트워크측은 단말기가 사전 설정된 신호 파라미터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에서 일회 네트워크측으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도록 트리거링하기 위한 제1 트리거 시그널링을 생성한다.
상응하게,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송신 방법에서의 단계 42는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421: 상기 단말기는 네트워크측이 송신한 제1 트리거 시그널링에 따라 사전 설정된 신호 파라미터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내에서 다수회 네트워크측으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한다.
당해 트리거링 방식에 있어서, 사전 설정된 신호 파라미터는 하나의 신호 파라미터이다.
사전 설정된 신호 파라미터는, 디폴트 신호 파라미터일 수 있는바, 즉, 네트워크측과 단말기측은 모두 사전에 사전 설정된 신호 파라미터가 어느 신호 파라미터인지를 의식하고 있다. 네트워크측이 단말기에 통지할 필요가 없이, 단말기는 어느 신호 파라미터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해야 하는지를 의식한다.
또는, 사전 설정된 신호 파라미터는 네트워크측이 사전에 고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그 사전 설정된 신호 파라미터를 통지하는 것으로, 즉,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트리거링 방법은, 하기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단계 33: 네트워크측은 단말기로 제1 고계층 시그널링을 송신하며, 상기 제1 고계층 시그널링은 상기 사전 설정된 신호 파라미터를 캐리한다.
상응하게,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송신 방법은, 하기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단계 43: 네트워크측이 송신한 제1 고계층 시그널링을 수신하며, 상기 제1 고계층 시그널링은 상기 사전 설정된 신호 파라미터를 캐리한다.
당해 방식은 트리거 시그널링의 길이를 줄일 수 있으며, 매번 트리거 시그널링에서 단말기에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신호 파라미터 또는 주파수 영역 위치를 통지할 필요가 없어, 자원 낭비를 피하고, 대역폭을 절약한다. 아울러, 당해 트리거링 방식에 있어서, 네트워크측은 상이한 신호 파라미터를 갖는 업링크 참조 신호를 동적으로 트리거링할 수 없는바, 즉, 매번 모두 네트워크측이 사전 설정한 신호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업링크 참조 신호의 송신을 진행한다.
또는, 사전 설정된 신호 파라미터는 네트워크측이 트리거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기에 알리는 것으로, 즉, 제1 트리거 시그널링은 상기 사전 설정된 신호 파라미터를 캐리한다.
당해 트리거링 방식에 있어서, 네트워크측이 매번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할 때, 모두 트리거 시그널링에 신호 파라미터를 캐리해야 하며, 단말기는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한 후, 트리거 시그널링이 캐리하는 신호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당해 트리거링 방식에 있어서, 네트워크측이 매번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할 때, 모두 트리거 시그널링에 신호 파라미터를 캐리해야 하기 때문에, 상이한 트리거 시그널링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신호 파라미터를 캐리할 수 있으며, 당해 트리거링 방식에 있어서, 네트워크측은 상이한 신호 파라미터를 갖는 업링크 참조 신호를 동적으로 트리거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직전의 TTI(또는 서브 프레임)로 일 신호 파라미터(예컨대: 부반송파 간격) 기반의 업링크 사운딩 신호를 트리거링한 후, 하나의 또는 복수 개의 TTI(또는 서브 프레임)로 다른 일 신호 파라미터 기반의 업링크 사운딩 신호를 트리거링한다. 당해 트리거링 방식은 보다 유연성 및 리얼타임성을 가지며, 네트워크측은 통신 시스템의 실시간 수요 및/또는 단말기의 실시간 수요에 따라 실시간으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신호 파라미터 또는 주파수 영역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두 번째 트리거링 방식: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트리거링 방법에서의 단계 31은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312: 네트워크측은, 단말기가 사전 설정된 주파수 영역 위치 상에서 일회 네트워크측으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도록 트리거링하기 위한 제2 트리거 시그널링을 생성한다.
상응하게,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송신 방법에서의 단계 42는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422: 상기 단말기는 네트워크측이 송신한 제2 트리거 시그널링에 따라 사전 설정된 주파수 영역 위치 상에서 일회 네트워크측으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한다.
당해 트리거링 방식에 있어서, 사전 설정된 주파수 영역 위치는 단일 주파수 영역 위치이다.
사전 설정된 주파수 영역 위치는, 디폴트 주파수 영역 위치일 수 있는바, 즉, 네트워크측과 단말기측은 모두 사전에 사전 설정된 주파수 영역 위치가 어느 주파수 영역 위치인지를 의식하고 있다. 네트워크측이 단말기에 통지할 필요가 없이, 단말기는 어느 주파수 영역 위치 상에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해야 하는지를 의식한다.
또는, 사전 설정된 주파수 영역 위치는 네트워크측이 사전에 고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그 사전 설정된 주파수 영역 위치를 통지하는 것으로, 즉,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트리거링 방법은, 하기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단계 33: 네트워크측은 단말기로 제1 고계층 시그널링을 송신하고, 상기 제1 고계층 시그널링은 상기 사전 설정된 주파수 영역 위치를 캐리한다.
상응하게,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송신 방법은, 하기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단계 43: 네트워크측이 송신한 제1 고계층 시그널링을 수신하며, 상기 제1 고계층 시그널링은 상기 사전 설정된 주파수 영역 위치를 캐리한다.
당해 방식은 트리거 시그널링의 길이를 줄일 수 있으며, 매번 트리거 시그널링에서 단말기에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주파수 영역 위치를 통지할 필요가 없어, 자원 낭비를 피하고, 대역폭을 절약한다. 아울러, 당해 트리거링 방식에 있어서, 네트워크측은 상이한 주파수 영역 위치를 갖는 업링크 참조 신호를 동적으로 트리거링할 수 없는바, 즉, 매번 모두 네트워크측이 사전 설정한 주파수 영역 위치에 기초하여 업링크 참조 신호의 송신을 진행한다.
또는, 사전 설정된 주파수 영역 위치는 네트워크측이 트리거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기에 알리는 것으로, 즉 제2 트리거 시그널링은 상기 사전 설정된 주파수 영역 위치를 캐리한다.
당해 트리거링 방식에 있어서, 네트워크측이 매번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할 때, 모두 트리거 시그널링에 주파수 영역 위치를 캐리해야 하는바, 단말기는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한 후, 트리거 시그널링이 캐리하는 주파수 영역 위치에 기초하여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당해 트리거링 방식에 있어서, 네트워크측이 매번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할 때, 모두 트리거 시그널링에 주파수 영역 위치를 캐리해야 하기 때문에, 상이한 트리거 시그널링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주파수 영역 위치를 캐리할 수 있으며, 당해 트리거링 방식에 있어서, 네트워크측은 상이한 주파수 영역 위치를 갖는 업링크 참조 신호를 동적으로 트리거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직전의 TTI(또는 서브 프레임)로 일 주파수 영역 위치(예컨대: 부반송파 간격) 기반의 업링크 사운딩 신호를 트리거링한 후, 하나의 또는 복수 개의 TTI(또는 서브 프레임)로 다른 일 주파수 영역 위치 기반의 업링크 사운딩 신호를 트리거링한다. 당해 트리거링 방식은 보다 유연성 및 리얼타임성을 가지며, 네트워크측은 통신 시스템의 실시간 수요 및/또는 단말기의 실시간 수요에 따라 실시간으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주파수 영역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두 번째 경우: 네트워크측이 송신한 트리거 시그널링은, 단말기가 다수회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도록 트리거링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두번째 경우에 있어서, 네트워크측의 트리거링 방법은 마찬가지로 각각 하기와 같은 2 가지 트리거링 방식으로 나뉜다.
세 번째 트리거링 방식: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트리거링 방법에서의 단계 31은 하기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 313: 네트워크측은, 단말기가 사전 설정된 신호 파라미터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에서 다수회 네트워크측으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도록 트리거링하기 위한 제1 트리거 시그널링을 생성한다.
상응하게,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송신 방법에서의 단계 42는,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423: 상기 단말기는 네트워크측이 송신한 제1 트리거 시그널링에 따라 사전 설정된 신호 파라미터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내에서 다수회 네트워크측으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한다.
당해 트리거링 방식에 있어서, 사전 설정된 신호 파라미터는 하나의 신호 파라미터 또는 복수 개의 신호 파라미터이다. 사전 설정된 신호 파라미터가 복수 개의 신호 파라미터일 경우, 상기 복수 개의 신호 파라미터는 복수 개의 동일한 신호 파라미터 또는 복수 개의 상이한 신호 파라미터이다. 설명해야 할 것은, 동일한 신호 파라미터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내에서 다수회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할 때, 상이한 부대역 상에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해야 한다. 다만, 복수 개의 업링크 참조 신호는 동시에 송신될 수도 있고, 동시에 송신되지 않을 수도 있는바, 여기서 구체적으로 한정되지 않기로 한다.
사전 설정된 신호 파라미터는, 디폴트 신호 파라미터일 수 있는바, 즉, 네트워크측과 단말기측은 모두 사전에 사전 설정된 신호 파라미터가 어느 신호 파라미터인지를 의식하고 있다. 네트워크측이 단말기에 통지할 필요가 없이, 단말기는 어느 신호 파라미터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해야 하는지를 의식한다. 네트워크측은 단말기로 제1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하고; 단말기는 제1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한 후, 하나의 신호 파라미터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의 상이한 부대역상에서 다수회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거나, 또는 복수 개의 신호 파라미터에 각각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내에서 다수회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한다. 구체적으로는,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상이한 부대역은, 단말기가 사전 설정된 신호 파라미터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내에서 랜덤으로 부대역을 찾을 수도 있고, 사전에 어느 부대역상에서 송신하는가를 규정할 수도 있는바, 여기서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기로 한다.
또는, 사전 설정된 신호 파라미터는, 네트워크측이 사전에 고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그 사전 설정된 신호 파라미터를 통지하는 것으로, 즉,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트리거링 방법은, 하기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단계 33: 네트워크측은 단말기로 제1 고계층 시그널링을 송신하며, 상기 제1 고계층 시그널링은 상기 사전 설정된 신호 파라미터를 캐리한다.
제1 트리거 시그널링은, 단말기가 사전 설정된 신호 파라미터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내에서 다수회 네트워크측으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도록 트리거링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트리거링 방법은, 하기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단계 34: 네트워크측은 단말기로 제2 고계층 시그널링을 송신하며, 상기 제2 고계층 시그널링은, 상기 사전 설정된 신호 파라미터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내에서 다수회 네트워크측으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주파수 호핑 규칙을 캐리한다.
상응하게,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송신 방법은, 하기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단계 44: 네트워측이 송신한 제2 고계층 시그널링을 수신하며, 상기 제2 고계층 시그널링은 상기 사전 설정된 신호 파라미터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내에서 다수회 네트워크측으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주파수 호핑 규칙을 캐리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당해 트리거링 방식에 있어서, 단말기가 다수회 네트워크측으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기 때문에, 네트워크측은 고계층 시그널링에 의해 신호 파라미터 또는 주파수 영역 위치를 통지하는 외에, 고계층 시그널링에 의해 단말기에 다수회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주파수 호핑 규칙을 통지해야 한다. 예를 들어, 단말기가 다수회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할 때, 오직 동일한 신호 파라미터의 주파수 대역내에서 다수회 업링크 사운딩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허용하거나; 또는, 단말기가 다수회 업링크 사운딩 신호를 송신할 때, 여러 가지 신호 파라미터의 주파수 대역내에서 다수회 업링크 사운딩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허용하는 바, 여기서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기로 한다.
당해 방식은 트리거 시그널링의 길이를 줄일 수 있으며, 매번 트리거 시그널링에서 단말기에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신호 파라미터 또는 주파수 영역 위치를 통지할 필요가 없어, 자원 낭비를 피하고, 대역폭을 절약한다. 아울러, 당해 트리거링 방식에 있어서, 네트워크측은 상이한 신호 파라미터를 갖는 업링크 참조 신호를 동적으로 트리거링할 수 없는바, 즉, 매번 모두 네트워크측이 사전 설정한 신호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업링크 참조 신호의 송신을 진행한다.
또는, 사전 설정된 신호 파라미터는 네트워크측이 트리거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기에 알리는 것으로, 즉, 제1 트리거 시그널링은 상기 사전 설정된 신호 파라미터를 캐리한다.
당해 트리거링 방식에 있어서, 네트워크측이 매번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할 때, 모두 트리거 시그널링에 신호 파라미터를 캐리해야 하며, 단말기는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한 후, 트리거 시그널링이 캐리하는 신호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당해 트리거링 방식에 있어서, 네트워크측이 매번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할 때, 모두 트리거 시그널링에 신호 파라미터를 캐리해야 하기 때문에, 상이한 트리거 시그널링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신호 파라미터를 캐리할 수 있으며, 당해 트리거링 방식에 있어서, 네트워크측은 상이한 신호 파라미터를 갖는 업링크 참조 신호를 동적으로 트리거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직전의 TTI(또는 서브 프레임)로 일 신호 파라미터(예컨대: 부반송파 간격) 기반의 업링크 사운딩 신호를 트리거링한 후, 하나의 또는 복수 개의 TTI(또는 서브 프레임)로 다른 일 신호 파라미터 기반의 업링크 사운딩 신호를 트리거링한다. 당해 트리거링 방식은 보다 유연성 및 리얼타임성을 가지며, 네트워크측은 통신 시스템의 실시간 수요 및/또는 단말기의 실시간 수요에 따라 실시간으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신호 파라미터 또는 주파수 영역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네 번째 트리거링 방식: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트리거링 방법에서의 단계 31은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314: 네트워크측에서 단말기가 사전 설정된 주파수 영역 위치 상에서 다수회 네트워크측으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도록 트리거링하기 위한 제2 트리거 시그널링을 생성한다.
상응하게,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송신 방법에서의 단계 42는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 424: 상기 단말기는 네트워크측이 송신한 제2 트리거 시그널링에 따라 사전 설정된 주파수 영역 위치 상에서 다수회 네트워크측으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한다.
당해 트리거링 방식에 있어서, 사전 설정된 주파수 영역 위치는 복수 개의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주파수 영역 위치이다. 다수의 업링크 참조 신호는, 동시에 송신될 수도 있고, 동시에 송신되지 않을 수도 있는바, 여기서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기로 한다.
사전 설정된 주파수 영역 위치는, 디폴트 주파수 영역 위치일 수 있는바, 즉, 네트워크측과 단말기측은 모두 사전에 사전 설정된 주파수 영역 위치가 어느 주파수 영역 위치인지를 의식하고 있다. 네트워크측이 단말기에 통지할 필요가 없이, 단말기는 어느 주파수 영역 위치 상에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해야 하는지를 의식한다.
또는, 사전 설정된 주파수 영역 위치는 네트워크측이 사전에 고계층 시그널링을 통해 그 사전 설정된 주파수 영역 위치를 통지하는 것으로, 즉,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트리거링 방법은, 하기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단계 33: 네트워크측은 단말기로 제1 고계층 시그널링을 송신하며, 상기 제1 고계층 시그널링은 상기 사전 설정된 주파수 영역 위치를 캐리한다.
상응하게,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송신 방법은 하기 단계를 더 포함한다.
단계 43: 네트워크측이 송신한 제1 고계층 시그널링을 수신하며, 상기 제1 고계층 시그널링은 상기 사전 설정된 주파수 영역 위치를 캐리한다.
당해 방식은 트리거 시그널링의 길이를 줄일 수 있으며, 매번 트리거 시그널링에서 단말기에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주파수 영역 위치를 통지할 필요가 없어, 자원 낭비를 피하고, 대역폭을 절약한다. 아울러, 당해 트리거링 방식에 있어서, 네트워크측은 상이한 주파수 영역 위치를 갖는 업링크 참조 신호를 동적으로 트리거링할 수 없는바, 즉, 매번 모두 네트워크측이 사전 설정한 주파수 영역 위치에 기초하여 업링크 참조 신호의 송신을 진행한다.
또는, 사전 설정된 주파수 영역 위치는 네트워크측이 트리거 시그널링을 통해 단말기에 알리는 것으로, 즉, 제2 트리거 시그널링은 상기 사전 설정된 주파수 영역 위치를 캐리한다.
당해 트리거링 방식에 있어서, 네트워크측이 매번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할 때, 모두 트리거 시그널링에 주파수 영역 위치를 캐리해야 하는바, 단말기는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한 후, 트리거 시그널링이 캐리하는 주파수 영역 위치에 기초하여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당해 트리거링 방식에 있어서, 네트워크측이 매번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할 때, 모두 트리거 시그널링에 주파수 영역 위치를 캐리해야 하기 때문에, 상이한 트리거 시그널링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주파수 영역 위치를 캐리할 수 있으며, 당해 트리거링 방식에 있어서, 네트워크측은 상이한 주파수 영역 위치를 갖는 업링크 참조 신호를 동적으로 트리거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직전의 TTI(또는 서브 프레임)로 일 주파수 영역 위치(예컨대: 부반송파 간격) 기반의 업링크 사운딩 신호를 트리거링한 후, 하나의 또는 복수 개의 TTI(또는 서브 프레임)로 다른 일 주파수 영역 위치 기반의 업링크 사운딩 신호를 트리거링한다. 당해 트리거링 방식은 보다 유연성 및 리얼타임성을 가지며, 네트워크측은 통신 시스템의 실시간 수요 및/또는 단말기의 실시간 수요에 따라 실시간으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주파수 영역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한 바를 요약하자면, 본 개시의 상기한 실시예가 제공하는 방법에 따르면, 미래 시스템이 여러 가지 기본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경우에 있어서, 네트워크측은 유연하게 단말기가 비주기적으로 업링크 사운딩 신호를 송신하도록 트리거링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측은 통신 시스템의 수요 및/또는 단말기의 수요에 따라 트리거 시그널링을 생성하고, 단말기로 송신한다. 단말기는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한 후, 트리거 시그널링의 지시에 따라 비주기적으로 일회 또는 다수회 네트워크측으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여, 네트워크측이 업링크 참조 신호에 따라 업링크 채널 품질 측정 및 업링크 채널 추정을 진행가능하도록 한다. 본 개시에 따른 트리거링 방법은, 여러 가지 기본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내에서 유연하게 단말기가 비주기적으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도록 트리거링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더 바람직하게 달성하기 위하여, 도 6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는, 통신 시스템에서의 업링크 참조 신호의 트리거링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트리거링 장치는 네트워크측에 응용되며, 상기 트리거링 장치는,
단말기가 일회 또는 다수회 네트워크측으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도록 트리거링하기 위한 트리거 시그널링을 생성하기 위한 시그널링 생성 모듈(61); 및
상기 단말기로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하기 위한 시그널링 송신 모듈(62); 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신 시스템은 적어도 두 가지 상이한 신호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시그널링 생성 모듈은,
단말기가 사전 설정된 신호 파라미터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에서 일회 또는 다수회 네트워크측으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도록 트리거링하기 위한 제1 트리거 시그널링을 생성하기 위한 제1 시그널링 생성 서브 모듈; 및/또는,
단말기가 사전 설정된 주파수 영역 위치 상에서 일회 또는 다수회 네트워크측으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도록 트리거링하기 위한 제2 트리거 시그널링을 생성하기 위한 제2 시그널링 생성 서브 모듈; 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리거 시그널링은 상기 사전 설정된 신호 파라미터를 캐리하고; 또는,
상기 제2 트리거 시그널링은 상기 사전 설정된 주파수 영역 위치를 캐리한다.
구체적으로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링 장치는,
단말기로 제1 고계층 시그널링을 송신하기 위한 제1 고계층 시그널링 송신 모듈- 상기 제1 고계층 시그널링은 상기 사전 설정된 신호 파라미터 또는 사전 설정된 주파수 영역 위치를 캐리함-; 를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링 장치는,
제1 트리거 시그널링이, 단말기가 사전 설정된 신호 파라미터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내에서 다수회 네트워크측으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도록 트리거링하기 위한 것일 경우, 단말기로 제2 고계층 시그널링을 송신하기 위한 제2 고계층 시그널링 송신 모듈- 상기 제2 고계층 시그널링은 상기 사전 설정된 신호 파라미터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내에서 다수회 네트워크측으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주파수 호핑 규칙을 캐리함-; 을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전 설정된 신호 파라미터는 하나의 신호 파라미터 또는 복수 개의 신호 파라미터이고;
사전 설정된 신호 파라미터가 복수 개의 신호 파라미터일 경우, 상기 복수 개의 신호 파라미터는 복수 개의 동일한 신호 파라미터 또는 복수 개의 상이한 신호 파라미터이다.
구체적으로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전 설정된 주파수 영역 위치는 하나의 주파수 영역 위치 또는 복수 개의 주파수 영역 위치이고;
사전 설정된 주파수 영역 위치가 복수 개의 주파수 영역 위치일 경우, 상기 복수 개의 주파수 영역 위치는 복수 개의 동일한 주파수 영역 위치 또는 복수 개의 상이한 주파수 영역 위치이다.
구체적으로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신호 파라미터는 부반송파 간격이다.
구체적으로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는 업링크 사운딩 참조 신호이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의 업링크 참조 신호의 트리거링 장치는, 상기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의 업링크 참조 신호의 트리거링 방법을 응용하는 트리거링 장치인 것으로, 상기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의 업링크 참조 신호의 트리거링 방법의 모든 실시예는 모두 당해 트리거링 장치에 적용되며, 또한 모두 동일하거나 유사한 유익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보다 바람직하게 구현하기 위하여, 도 7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는, 통신 시스템에서의 업링크 참조 신호의 트리거링 장치를 더 제공한다. 당해 트리거링 장치는, 프로세서(100); 버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프로세서(100)와 연결되는 메모리(120); 및 버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프로세서(100)와 연결되는 송수신기(110); 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가 오퍼레이션을 수행할 때 사용되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고, 송수신기(110)를 통해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하고; 프로세서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호출 및 수행할 때, 하기와 같은 기능 모듈을 구현한다:
단말기가 일회 또는 다수회 네트워크측으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도록 트리거링하기 위한 트리거 시그널링을 생성하기 위한 시그널링 생성 모듈; 및
상기 단말기로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하기 위한 시그널링 송신 모듈.
도 7에서, 버스 아키텍처는 임의의 수량의 서로 연결된 버스와 브릿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프로세서(100)에 의해 대표되는 하나의 또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와 메모리(120)에 의해 대표되는 메모리의 각종 회로를 연결시킨다. 버스 아키텍처는 또한, 주변 장치, 전압 안정기 및 파워 관리 회로 등과 같은 각종 기타 회로들을 연결시킬 수 있는바, 이들은 모두 해당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것이므로, 본 명세서는 이에 대해 진일보하여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송수신기(110)는 복수 개의 소자일 수 있는바, 즉, 송신기와 수신기를 포함하여, 전송 매체상에서 각종 기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100)는 버스 아키텍처와 통상의 처리를 관리하고, 메모리(120)는 프로세서(100)가 오퍼레이션을 수행할 때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00)는 버스 아키텍처와 통상의 처리를 관리하고, 메모리(120)는 프로세서(100)가 오퍼레이션을 수행할 때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의 업링크 참조 신호의 트리거링 장치는, 상기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의 업링크 참조 신호의 트리거링 장치에 대응되는 실체 장치인 것으로, 상기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의 업링크 참조 신호의 트리거링 방법의 모든 실시예는 모두 당해 트리거링 장치에 적용되며, 또한 모두 동일하거나 유사한 유익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8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는, 통신 시스템에서의 업링크 참조 신호의 송신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통신 시스템은 적어도 두 가지 상이한 신호 파라미터를 갖는 신호를 포함하고, 상기 송신 장치는,
네트워크측이 송신한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하기 위한 시그널링 수신 모듈(81); 및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에 따라 일회 또는 다수회 네트워크측으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신호 송신 모듈(82); 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신 시스템은 적어도 두 가지 상이한 신호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송신 모듈은,
네트워크측이 송신한 제1 트리거 시그널링에 따라 사전 설정된 신호 파라미터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내에서 일회 또는 다수회 네트워크측으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제1 신호 송신 서브 모듈; 및/또는,
네트워크측이 송신한 제2 트리거 시그널링에 따라 사전 설정된 주파수 영역 위치 상에서 일회 또는 다수회 네트워크측으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제2 신호 송신 서브 모듈; 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리거 시그널링은 상기 사전 설정된 신호 파라미터를 캐리하고; 또는,
상기 제2 트리거 시그널링은 상기 사전 설정된 주파수 영역 위치를 캐리한다.
구체적으로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송신 장치는,
네트워크측이 송신한 제1 고계층 시그널링을 수신하기 위한 제1 고계층 시그널링 수신 모듈- 상기 제1 고계층 시그널링은 상기 사전 설정된 신호 파라미터 또는 사전 설정된 주파수 영역 위치를 캐리함-; 을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송신 장치는,
제1 트리거 시그널링이, 단말기가 사전 설정된 신호 파라미터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내에서 다수회 네트워크측으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도록 트리거링하기 위한 것일 경우, 네트워크측이 송신한 제2 고계층 시그널링을 수신하기 위한 제2 고계층 시그널링 수신 모듈- 상기 제2 고계층 시그널링은 상기 사전 설정된 신호 파라미터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내에서 다수회 네트워크측으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주파수 호핑 규칙을 캐리함-; 을 더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전 설정된 신호 파라미터는 하나의 신호 파라미터 또는 복수 개의 신호 파라미터이고;
사전 설정된 신호 파라미터가 복수 개의 신호 파라미터일 경우, 상기 복수 개의 신호 파라미터는 복수 개의 동일한 신호 파라미터 또는 복수 개의 상이한 신호 파라미터이다.
구체적으로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사전 설정된 주파수 영역 위치는 하나의 주파수 영역 위치 또는 복수 개의 주파수 영역 위치이고;
사전 설정된 주파수 영역 위치가 복수 개의 주파수 영역 위치일 경우, 상기 복수 개의 주파수 영역 위치는 복수 개의 동일한 주파수 영역 위치 또는 복수 개의 상이한 주파수 영역 위치이다.
구체적으로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신호 파라미터는 부반송파 간격이다.
구체적으로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는 업링크 사운딩 참조 신호이다.
구체적으로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참조 신호는 업링크 사운딩 참조 신호이다.
상기한 바를 요약하자면, 본 개시의 실시예가 제공하는 장치에 따르면, 미래 시스템이 여러 가지 기본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경우에 있어서, 네트워크측은 유연하게 단말기가 비주기적으로 업링크 사운딩 신호를 송신하도록 트리거링할 수 있다. 즉, 네트워크측은 통신 시스템의 수요 및/또는 단말기의 수요에 따라 트리거 시그널링을 생성하고, 단말기로 송신한다. 단말기는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한 후, 트리거 시그널링의 지시에 따라 비주기적으로 일회 또는 다수회 네트워크측으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여, 네트워크측이 업링크 참조 신호에 따라 업링크 채널 품질 측정 및 업링크 채널 추정을 진행가능하도록 한다. 본 개시에 따른 트리거링 방법은, 여러 가지 기본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내에서 유연하게 단말기가 비주기적으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도록 트리거링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의 업링크 참조 신호의 송신 장치는, 상기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의 업링크 참조 신호의 송신 방법을 응용하는 송신 장치인 것으로, 상기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의 업링크 참조 신호의 송신 방법의 모든 실시예는 모두 당해 송신 장치에 적용되며, 또한 모두 동일하거나 유사한 유익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보다 바람직하게 구현하기 위하여, 도 7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는, 통신 시스템에서의 업링크 참조 신호의 송신 장치를 더 제공한다. 당해 송신 장치는, 프로세서(100); 버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프로세서(100)와 연결되는 메모리(120); 및 버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프로세서(100)와 연결되는 송수신기(110); 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가 오퍼레이션을 수행할 때 사용되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고, 송수신기(110)를 통해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하고; 프로세서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호출 및 수행할 때, 하기와 같은 기능 모듈을 구현한다:
네트워크측이 송신한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하기 위한 시그널링 수신 모듈; 및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에 따라 일회 또는 다수회 네트워크측으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신호 송신 모듈.
도 7에서, 버스 아키텍처는 임의의 수량의 서로 연결된 버스와 브릿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프로세서(100)에 의해 대표되는 하나의 또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와 메모리(120)에 의해 대표되는 메모리의 각종 회로를 연결시킨다. 버스 아키텍처는 또한, 주변 장치, 전압 안정기 및 파워 관리 회로 등과 같은 각종 기타 회로들을 연결시킬 수 있는바, 이들은 모두 해당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것이므로, 본 명세서는 이에 대해 진일보하여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버스 인터페이스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송수신기(110)는 복수 개의 소자일 수 있는바, 즉, 송신기와 수신기를 포함하여, 전송 매체상에서 각종 기타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100)는 버스 아키텍처와 통상의 처리를 관리하고, 메모리(120)는 프로세서(100)가 오퍼레이션을 수행할 때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00)는 버스 아키텍처와 통상의 처리를 관리하고, 메모리(120)는 프로세서(100)가 오퍼레이션을 수행할 때 사용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의 업링크 참조 신호의 송신 장치는 상기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의 업링크 참조 신호의 송신 장치에 대응되는 실체 장치인 것으로, 상기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서의 업링크 참조 신호의 송신 방법의 모든 실시예는 모두 당해 송신 장치에 적용되며, 또한 모두 동일하거나 유사한 유익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한 바는 본 개시의 선택가능한 실시형태로서, 지적해야 할 것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본 개시에 따른 원리를 일탈하지 않는 전제하에서, 일부 개량과 윤색을 더 실시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개량과 윤색도 본 개시의 보호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한다.

Claims (40)

  1. 통신 시스템에서의 업링크 참조 신호의 트리거링 방법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링 방법은 네트워크측에 응용되며,
    상기 트리거링 방법은,
    네트워크측은, 단말기가 일회 또는 다수회 네트워크측으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도록 트리거링하기 위한 트리거 시그널링을 생성하는 단계; 및
    네트워크측은 상기 단말기로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그 중, 상기 통신 시스템에는 적어도 두가지 상이한 신호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네트워크측이, 단말기가 일회 또는 다수회 네트워크측으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도록 트리거링하기 위한 트리거 시그널링을 생성하는 단계는,
    네트워크측은, 단말기가 사전 설정된 신호 파라미터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에서 일회 또는 다수회 네트워크측으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도록 트리거링하기 위한 제1 트리거 시그널링을 생성하는 단계; 및/또는,
    네트워크측은, 단말기가 사전 설정된 주파수 영역 위치 상에서 일회 또는 다수회 네트워크측으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도록 트리거링하기 위한 제2 트리거 시그널링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파라미터는 부반송파 간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링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리거 시그널링은 상기 사전 설정된 신호 파라미터를 캐리하고; 또는,
    상기 제2 트리거 시그널링은 상기 사전 설정된 주파수 영역 위치를 캐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링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네트워크측이, 단말기가 일회 또는 다수회 네트워크측으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도록 트리거링하기 위한 트리거 시그널링을 생성하기 전에, 상기 방법은,
    네트워크측은, 단말기로 제1 고계층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1 고계층 시그널링은 상기 사전 설정된 신호 파라미터 또는 사전 설정된 주파수 영역 위치를 캐리함-;
    를 더 포함하고;
    제1 트리거 시그널링이, 단말기가 사전 설정된 신호 파라미터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내에서 다수회 네트워크측으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도록 트리거링하기 위한 것일 경우, 상기 트리거링 방법은,
    네트워크측은 단말기로 제2 고계층 시그널링을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2 고계층 시그널링은 상기 사전 설정된 신호 파라미터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내에서 다수회 네트워크측으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주파수 호핑 규칙을 캐리함-;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트리거 시그널링은 상기 사전 설정된 신호 파라미터를 캐리하고; 또는,
    상기 제2 트리거 시그널링은 상기 사전 설정된 주파수 영역 위치를 캐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링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설정된 신호 파라미터는 하나의 신호 파라미터 또는 복수 개의 신호 파라미터이고;
    사전 설정된 신호 파라미터가 복수 개의 신호 파라미터일 경우, 상기 복수 개의 신호 파라미터는 복수 개의 동일한 신호 파라미터 또는 복수 개의 상이한 신호 파라미터이고; 및/또는
    상기 사전 설정된 주파수 영역 위치는 하나의 주파수 영역 위치 또는 복수 개의 주파수 영역 위치이고;
    사전 설정된 주파수 영역 위치가 복수 개의 주파수 영역 위치일 경우, 상기 복수 개의 주파수 영역 위치는 복수 개의 동일한 주파수 영역 위치 또는 복수 개의 상이한 주파수 영역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링 방법.
  5. 삭제
  6. 통신 시스템에서의 업링크 참조 신호의 송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송신 방법은 단말기측에 응용되며,
    상기 송신 방법은,
    단말기는 네트워크측이 송신한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는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에 따라 일회 또는 다수회 네트워크측으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시스템은 적어도 두 가지 상이한 신호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가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에 따라 일회 또는 다수회 네트워크측으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는 네트워크측이 송신한 제1 트리거 시그널링에 따라 사전 설정된 신호 파라미터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내에서 일회 또는 다수회 네트워크측으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및/또는,
    상기 단말기는 네트워크측이 송신한 제2 트리거 시그널링에 따라 사전 설정된 주파수 영역 위치 상에서 일회 또는 다수회 네트워크측으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신호 파라미터는 부반송파 간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리거 시그널링은 상기 사전 설정된 신호 파라미터를 캐리하고; 또는,
    상기 제2 트리거 시그널링은 상기 사전 설정된 주파수 영역 위치를 캐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단말기가 네트워크측이 송신한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하기 전에, 상기 방법은,
    네트워크측이 송신한 제1 고계층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고계층 시그널링은 상기 사전 설정된 신호 파라미터 또는 사전 설정된 주파수 영역 위치를 캐리함-;
    를 더 포함하고; 및/또는
    제1 트리거 시그널링이, 단말기가 사전 설정된 신호 파라미터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내에서 다수회 네트워크측으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도록 트리거링하기 위한 것일 경우,
    상기 송신 방법은,
    네트워크측이 송신한 제2 고계층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고계층 시그널링은 상기 사전 설정된 신호 파라미터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내에서 다수회 네트워크측으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주파수 호핑 규칙을 캐리함-;
    를 더 포함하고; 및/또는
    상기 제1 트리거 시그널링은 상기 사전 설정된 신호 파라미터를 캐리하고; 또는,
    상기 제2 트리거 시그널링은 상기 사전 설정된 주파수 영역 위치를 캐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설정된 신호 파라미터는 하나의 신호 파라미터 또는 복수 개의 신호 파라미터이고;
    사전 설정된 신호 파라미터가 복수 개의 신호 파라미터일 경우, 상기 복수 개의 신호 파라미터는 복수 개의 동일한 신호 파라미터 또는 복수 개의 상이한 신호 파라미터이고; 또는
    상기 사전 설정된 주파수 영역 위치는 하나의 주파수 영역 위치 또는 복수 개의 주파수 영역 위치이고;
    사전 설정된 주파수 영역 위치가 복수 개의 주파수 영역 위치일 경우, 상기 복수 개의 주파수 영역 위치는 복수 개의 동일한 주파수 영역 위치 또는 복수 개의 상이한 주파수 영역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방법.
  10. 통신 시스템에서의 업링크 참조 신호의 트리거링 장치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링 장치는 네트워크측에 응용되며,
    상기 트리거링 장치는,
    단말기가 일회 또는 다수회 네트워크측으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도록 트리거링하기 위한 트리거 시그널링을 생성하기 위한 시그널링 생성 모듈; 및
    상기 단말기로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을 송신하기 위한 시그널링 송신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 시스템은 적어도 두 가지 상이한 신호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시그널링 생성 모듈은,
    단말기가 사전 설정된 신호 파라미터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에서 일회 또는 다수회 네트워크측으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도록 트리거링하기 위한 제1 트리거 시그널링을 생성하기 위한 제1 시그널링 생성 서브 모듈; 및/또는,
    단말기가 사전 설정된 주파수 영역 위치 상에서 일회 또는 다수회 네트워크측으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도록 트리거링하기 위한 제2 트리거 시그널링을 생성하기 위한 제2 시그널링 생성 서브 모듈;
    을 포함하며,
    그 중, 상기 신호 파라미터는 부반송파 간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링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리거 시그널링은 상기 사전 설정된 신호 파라미터를 캐리하고; 또는,
    상기 제2 트리거 시그널링은 상기 사전 설정된 주파수 영역 위치를 캐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링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링 장치는,
    단말기로 제1 고계층 시그널링을 송신하기 위한 제1 고계층 시그널링 송신 모듈- 상기 제1 고계층 시그널링은 상기 사전 설정된 신호 파라미터 또는 사전 설정된 주파수 영역 위치를 캐리함-; 및/또는
    제1 트리거 시그널링이, 단말기가 사전 설정된 신호 파라미터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내에서 다수회 네트워크측으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도록 트리거링하기 위한 것일 경우, 단말기로 제2 고계층 시그널링을 송신하기 위한 제2 고계층 시그널링 송신 모듈- 상기 제2 고계층 시그널링은 상기 사전 설정된 신호 파라미터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내에서 다수회 네트워크측으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주파수 호핑 규칙을 캐리함-;
    을 더 포함하고; 및/또는
    상기 제1 트리거 시그널링은 상기 사전 설정된 신호 파라미터를 캐리하고; 또는, 상기 제2 트리거 시그널링은 상기 사전 설정된 주파수 영역 위치를 캐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리거링 장치.
  13. 통신 시스템에서의 업링크 참조 신호의 송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신 장치는 단말기에 적용되며,
    상기 송신 장치는,
    네트워크측이 송신한 트리거 시그널링을 수신하기 위한 시그널링 수신 모듈; 및
    상기 트리거 시그널링에 따라 일회 또는 다수회 네트워크측으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신호 송신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 시스템은 적어도 두 가지 상이한 신호 파라미터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송신 모듈은,
    네트워크측이 송신한 제1 트리거 시그널링에 따라 사전 설정된 신호 파라미터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내에서 일회 또는 다수회 네트워크측으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제1 신호 송신 서브 모듈; 및/또는,
    네트워크측이 송신한 제2 트리거 시그널링에 따라 사전 설정된 주파수 영역 위치 상에서 일회 또는 다수회 네트워크측으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제2 신호 송신 서브 모듈;
    을 포함하며,
    그 중, 상기 신호 파라미터는 부반송파 간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리거 시그널링은 상기 사전 설정된 신호 파라미터를 캐리하고; 또는,
    상기 제2 트리거 시그널링은 상기 사전 설정된 주파수 영역 위치를 캐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장치는,
    네트워크측이 송신한 제1 고계층 시그널링을 수신하기 위한 제1 고계층 시그널링 수신 모듈- 상기 제1 고계층 시그널링은 상기 사전 설정된 신호 파라미터 또는 사전 설정된 주파수 영역 위치를 캐리함-; 및/또는
    제1 트리거 시그널링이, 단말기가 사전 설정된 신호 파라미터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내에서 다수회 네트워크측으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도록 트리거링하기 위한 것일 경우, 네트워크측이 송신한 제2 고계층 시그널링을 수신하기 위한 제2 고계층 시그널링 수신 모듈- 상기 제2 고계층 시그널링은 상기 사전 설정된 신호 파라미터에 대응되는 주파수 대역내에서 다수회 네트워크측으로 업링크 참조 신호를 송신하는 주파수 호핑 규칙을 캐리함-;
    을 더 포함하고; 및/또는
    상기 제1 트리거 시그널링은 상기 사전 설정된 신호 파라미터를 캐리하고; 또는, 상기 제2 트리거 시그널링은 상기 사전 설정된 주파수 영역 위치를 캐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장치.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KR1020197007241A 2016-08-12 2017-07-18 통신 시스템에서의 업링크 참조 신호의 트리거링 방법, 송신 방법, 장치 및 저장 매체 KR1022246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610666157.7 2016-08-12
CN201610666157.7A CN107733606A (zh) 2016-08-12 2016-08-12 通信系统中上行参考信号的触发方法、发送方法及装置
PCT/CN2017/093407 WO2018028396A1 (zh) 2016-08-12 2017-07-18 通信系统中上行参考信号的触发方法、发送方法、装置及存储媒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9428A KR20190039428A (ko) 2019-04-11
KR102224611B1 true KR102224611B1 (ko) 2021-03-05

Family

ID=61162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7241A KR102224611B1 (ko) 2016-08-12 2017-07-18 통신 시스템에서의 업링크 참조 신호의 트리거링 방법, 송신 방법, 장치 및 저장 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323219B2 (ko)
EP (1) EP3484085B1 (ko)
JP (1) JP6848049B2 (ko)
KR (1) KR102224611B1 (ko)
CN (1) CN107733606A (ko)
WO (1) WO20180283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70526B (zh) * 2018-12-29 2023-01-1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通信方法及相关设备
US20220210803A1 (en) * 2019-05-13 2022-06-30 Lenovo (Beijing)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srs configuration and transmiss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58306A1 (en) * 2010-05-14 2013-03-07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periodic sounding reference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13529040A (ja) * 2010-06-18 2013-07-11 聯發科技股▲ふん▼有限公司 キャリアアグリゲーション下のサウンディングメカニズム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08409B (zh) * 2010-04-01 2015-03-2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lte-a系统中测量参考信号的配置方法和系统
CN102469607B (zh) 2010-11-09 2014-01-22 上海贝尔股份有限公司 上行探测参考信号的触发和传输方法及其设备
KR101647868B1 (ko) * 2012-06-11 2016-08-11 주식회사 케이티 상향링크 채널과, 상향링크 채널에 연계된 상향링크 사운딩 참조신호 전송방법 및 그 단말
EP2903374A4 (en) * 2012-09-27 2016-06-08 Sharp Kk END DEVICE, COMMUNICATION PROCESS AND INTEGRATED CIRCUIT
EP2944134B1 (en) * 2013-01-14 2019-12-0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Handling uplink transmit power reporting
US9270435B2 (en) 2013-05-09 2016-02-23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Sounding reference signal (SRS) usage
CN105099632B (zh) 2014-04-23 2019-12-13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上行探测参考信号传输的方法和设备
CN105490791B (zh) * 2015-11-19 2020-02-04 武汉虹信通信技术有限责任公司 Srs信号发送及触发方法、装置、用户设备和基站
KR102219059B1 (ko) 2017-05-05 2021-02-23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업링크 송신에 대한 전력 제어의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58306A1 (en) * 2010-05-14 2013-03-07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periodic sounding reference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2013529040A (ja) * 2010-06-18 2013-07-11 聯發科技股▲ふん▼有限公司 キャリアアグリゲーション下のサウンディングメカニズ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848049B2 (ja) 2021-03-24
EP3484085B1 (en) 2020-10-28
EP3484085A4 (en) 2019-07-17
US11323219B2 (en) 2022-05-03
US20210336734A1 (en) 2021-10-28
WO2018028396A1 (zh) 2018-02-15
KR20190039428A (ko) 2019-04-11
EP3484085A1 (en) 2019-05-15
CN107733606A (zh) 2018-02-23
JP2019532542A (ja) 2019-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21028B1 (ko) 뉴머롤로지 관련 리소스의 개별적인 구성
US2022007799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cheduling plurality of resources in nr v2x
CN108882274B (zh) 一种通信方法和装置
KR20200088432A (ko) 정보 송신 및 수신 방법들 및 장치들
CN102083219B (zh) 非周期srs的传输方法和设备
CN102404074B (zh) Tdd系统中的非周期srs的传输方法和设备
US2017003472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nel State Information Measurement
JP2019531621A5 (ko)
CN104244420A (zh) 资源分配和数据传输方法、设备及系统
US20190150131A1 (en) Base station, user equipment and communication method use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220173858A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ounding reference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9716839A (zh) 传输srs的方法、网络设备和终端设备
WO2022042689A1 (zh) 传输方法、装置、通信设备及终端
KR102224611B1 (ko) 통신 시스템에서의 업링크 참조 신호의 트리거링 방법, 송신 방법, 장치 및 저장 매체
KR102207118B1 (ko) 크로스 캐리어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KR20220038087A (ko) 사물 인터넷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IL266544A (en) Method for setting a schedule, network device and terminal device
KR20220038088A (ko) 사물 인터넷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7370586B (zh) 一种信道传输方法及装置
US11917610B2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SL channel in NR V2X
US11979758B2 (en) Method for measur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in unlicensed band, and apparatus therefor
CN113973261B (zh) 一种定位处理方法、装置及设备
KR20200003117A (ko) 메시지 디코딩 방법, 송신단 기기 및 수신단 기기
CN114915530B (zh) 数据发送处理方法、接收处理方法、装置及设备
EP4213560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