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4602B1 - 아스팔트 도막 방수재 - Google Patents

아스팔트 도막 방수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4602B1
KR102224602B1 KR1020200029987A KR20200029987A KR102224602B1 KR 102224602 B1 KR102224602 B1 KR 102224602B1 KR 1020200029987 A KR1020200029987 A KR 1020200029987A KR 20200029987 A KR20200029987 A KR 20200029987A KR 102224602 B1 KR102224602 B1 KR 102224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phalt
weight
calcium carbonate
asphalt coating
waterproof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9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종한
이덕우
서지호
Original Assignee
성문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문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성문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29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46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4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46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9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bituminous materials, e.g. asphalt, tar, pitch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0Copolymers of styrene with conjugated di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1/00Compositions of oils, fats or wax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C08L91/06Wax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6Antifouling paints; Underwater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5Additives macromolecula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스팔트 도막 방수재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아스팔트 60 내지 85중량%; 고무계 고분자 개질제 13 내지 20중량%; 및 점착부여제 1 내지 20중량%를 포함하는 아스팔트 도막 방수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아스팔트 도막 방수재 조성물은 도로, 교량, 교면, 아스팔트 콘크리트 구조물 등의 미세균열 및 모세관 공극 등에의 침투성능이 우수하여 내투수 저항성이 탁월하고, 외부하중이나 충격 등으로 손상받기 쉬운 아스팔트 콘크리트 교면과 방수재 계면의 결합을 공고히 함으로써 콘크리트 교면의 내구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아스팔트 도막 방수재 {Asphalt coating composition for water proofing}
본 발명은 아스팔트 도막 방수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막식 방수공법으로 교량 교면 방수에 적용할 수 있는 아스팔트 도막 방수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교량 또는 구조물의 교면은 공용 연수가 증가할수록 빗물이나 제설재의 침투량이 많아지고 교면에 가해지는 하중이 누적되므로 재료 간 결합력이 저하되고 온도변화에 따른 물의 체적변화 등으로 균열이 발생하기 쉽다.
콘크리트 구조물 등의 균열은 시간이 경과할수록 확대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 및 수명 저하를 초래한다. 우수 등이 아스팔트 공극 균열부분과 중앙분리대 및 조인트 부위의 틈새를 통해 침투 시, 콘크리트 내부의 철근이 부식되어 구조물의 수명단축 및 붕괴를 초래한다.
따라서 빗물이나 제설재 등이 침투되어 콘크리트 구조물의 강도 및 수명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교량 또는 구조물의 교면에 방수재를 도포하고 있다. 콘크리트 구조물의 교면에 방수재를 도포함으로써, 포장층으로부터 침투되는 물과 염화물에 의한 바닥판 콘크리트의 열화 및 철근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콘크리트 교면 방수재는 건축 및 기타분야에 적용되는 방수재와 달리 달리 주행차량에 의한 반복하중, 진동, 충격, 전단 등의 역학적 작용과 온도변화에 의한 수축·팽창 등이 복잡하게 작용하는 교면에 사용되므로 교면 방수재층은 손상되기 쉽다. 손상된 교면 방수재층을 보수하거나 보강하는 데는 많은 비용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공사 중 차로를 부분 통제함으로써 교통지체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콘크리트 교면에 적용되는 방수공법으로는, 침투식 방수공법, 시트식 방수공법 및 도막식 방수공법이 있다. 침투식 방수공법은 적용하기에 매우 간편하고 경제적인 이유로 폭넓게 사용되어 왔으나 고강도 콘크리트 교면에는 방수재가 충분히 침투되지 않아 방수성능을 기대할 수 없는 단점이 있으며, 시트식 방수공법은 저온특성이 떨어져 우리나라와 같이 사계절이 있는 나라의 경우 콘크리트 교면의 방수성능 향상에 큰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막식 방수공법은 통상 우레탄 고무계, 아크릴 고무계, 아크릴 수지계 및 고무화 아스팔트계로 액상 형태의 재료를 롤러로 도포하여 시공되는데, 아스콘과 콘크리트 계면에서의 분리(접착성), 교면에서의 유동(탄성), 계절적 온도차에 의한 수축 균열로 인한 물 또는 수분 침투(방수성)이 취약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도막식 방수 공법에 사용되는 방수재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일례로, 한국특허 공고번호 제10-0272949호에는 내균열 추종성과 접착성 및 내열성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열가소성 고무화 아스팔트 도막방수재 및 그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문헌에 개시된 도막방수재 조성물에는 열가소성수지(SBS, SIS)와 합성수지(쿠마론인덴수지,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의 함량이 지나치게 많아 기계적 강도 등과 같은 물성은 향상되지만, 조성물의 융점이 상대적으로 높아 현장에서의 작업성이 나쁘고 환경오염을 야기하는 등의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도로, 교량, 교면, 아스팔트 콘크리트 구조물 등의 미세균열 및 모세관 공극 등에의 침투성능이 우수하여 내투수 저항성이 탁월하고, 외부하중이나 충격 등으로 손상받기 쉬운 아스팔트 콘크리트 교면과 방수재 계면의 결합을 공고히 함으로써 콘크리트 교면의 내구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아스팔트 도막 방수재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아스팔트 도막 방수재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아스팔트 60 내지 85중량%; 고무계 고분자 개질제 13 내지 20중량%; 및 점착부여제 1 내지 20중량%를 포함하는 아스팔트 도막 방수재가 제공된다.
상기 아스팔트 도막 방수재는 추가로 폴리에틸렌 왁스 1 내지 4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무계 고분자 개질제는 중량평균분자량이 70,000 내지 90,000이고, 스티렌 단량체가 29중량% 이하로 포함되는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SEBS)일 수 있다.
상기 점착부여제는 로진수지, 로진에스터수지, 터펜수지 및 석유수지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아스팔트 도막 방수재는 산화방지제, 열안정제 및 무기 필러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부틸화 하이드록시톨루엔(BHT), 부틸화 하이드록시아니솔(BHA), 니코틴아마이드(Niacinamide), 아스코빌 팔미테이트(Ascorbyl palmitate), 토코페릴아세테이트(tocopheryl acetate), 아스코르브산, N-아세틸-시스테인 및 나트륨 메타비설파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열안정제는 스테아린산 알루미늄(Aluminium Stearate) 및 스텐아린산 바륨(Barium Stearate)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무기 필러는 소석회, 중질탄산칼슘 및 경질탄산칼슘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무기 필러는 중질탄산칼슘 및 경질탄산칼슘의 혼합물이며, 상기 중질탄산칼슘과 경질탄산칼슘의 중량비가 1:0~1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아스팔트 도막 방수재 조성물은 도로, 교량, 교면, 아스팔트 콘크리트 구조물 등의 미세균열 및 모세관 공극 등에의 침투성능이 우수하여 내투수 저항성이 탁월하고, 외부하중이나 충격 등으로 손상받기 쉬운 아스팔트 콘크리트 교면과 방수재 계면의 결합을 공고히 함으로써 콘크리트 교면의 내구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저점도 및 고인장 성능이 우수한 아스팔트 도막 방수재 조성물이 제공된다.
이하, 다양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아스팔트 도막 방수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아스팔트 도막 방수재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아스팔트 60 내지 85중량%; 고무계 고분자 개질제 13 내지 20중량%; 및 점착부여제 1 내지 20중량%를 포함하는 아스팔트 도막 방수재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아스팔트는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종류가 특별한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아스팔트는 통상적으로 상온에서는 고체 또는 반고체 상태로 존재하나, 가열시 용융 액상화되는 성질을 갖고 있다. 석유계 아스팔트의 경우, 정유공정의 다양한 종류의 직류(straight-run) 아스팔트가 그대로 사용되거나, 또는 상기 직류 아스팔트를 파라핀 증류액, 방향족, 나프텐계 유분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희석시킨 희석 아스팔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스팔트는 널리 단단한 정도를 기준으로 하여 여러 등급으로 구분되며, 이와 관련하여 침입도(penetration), 점도 및 공용성 등급이 있다.
아스팔트 침입도 등급은 ASTM D 946 (KS M 2208)에 규정되어 있는데, 이는 아스팔트의 침입도 시험결과를 이용해서 아스팔트를 분류하는 방법이다. 즉, 표준 침을 기준 온도에서 규정된 하중 및 시간 동안 아스팔트에 관입시켜, 그 관입량을 아스팔트의 침입도로 규정하는 시험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25
Figure 112020025645288-pat00001
에서 아스팔트의 경도를 나타내는 지수로서, 아스팔트에 규정된 침의 바늘로 100g의 힘으로 5초 동안 눌렀을 때의 침의 관입 깊이를 0.1㎜ 단위로 나타낸 값으로 이 값이 작을수록 단단한 아스팔트를 의미한다. 상기 침입도에 의한 등급에는 40-50, 60-70, 85-100, 120-150, 200-300 등의 5가지 표준 침입도 등급범위가 있다. 따라서, 침입도 40-50의 아스팔트는 침입도 200-300의 아스팔트보다 단단한 아스팔트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침입도 85-100(AP-3) 또는 침입도 60-70(AP-5)에 해당하는 아스팔트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스팔트는 아스팔트 도막 방수재 총 중량을 기준으로 60 내지 85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60중량% 미만이면, 다른 원료의 비율이 증가하게 되어 점도가 높아지고 되며, 용융점이 높아져, 아스팔트 도막 방수재를 이용한 가공 및 시공이 어려워질 뿐만 아니라, 제품의 가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반면, 85중량% 초과인 경우, 방수재의 연화점이 낮아져, 내열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인장강도 및 인열저항 등의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아스팔트 도막 방수재는 고무계 고분자 개질제로서,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SEBS)를 포함하며, 이 때, 상기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는 중량평균분자량(Mw)이 70,000 내지 90,000이고, 스티렌 단량체가 29중량%이하(단, 0은 제외한다.)로 포함되는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인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TSRC사의 TAIPOL 6152 grade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물성을 만족하지 않는 고무계 고분자 개질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낮은 점도를 가지면서도 높은 인장강도 및 인열저항을 갖는 아스팔트 도막 방수재를 구현할 수 없다.
상기와 같은 물성을 갖는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만이 높은 인장강도 및 점도가 낮은 성능의 발현이 가능하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와 같은 스티렌 단량체의 함량 및 중량평균분자량을 만족하는 SEBS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인장강도 및 가공점도 모두를 만족하는 아스팔트 도막 방수재의 구현이 불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 한정하는 상기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는 아스팔트 도막 방수재 총 중량을 기준으로, 13 내지 20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3중량% 미만인 경우, 표준번호 KS F 4932에서 요구하는 인장강도 및 인열강도를 구현하기 어려운 반면, 20중량% 초과인 경우, 가공시 점도가 지나치게 상승하여 가공 및 시공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제품의 가격 또한 상승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아스팔트 도막 방수재의 부착력,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점착부여제로는 로진수지, 로진에스터수지, 터펜수지 및 석유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로진수지로서, 로진에스테르에 페놀을 합성하여 제조된 강남화성의 KC-4001을 사용할 수 있다. 점착부여제는 아스팔트 도막 방수재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20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중량% 미만인 경우, 시공면과 도막의 접착력이 떨어지고 20중량% 초과하는 경우, 도막의 경도가 상승하여 저온굴곡 저항 성능이 저하된다.
본 발명의 아스팔트 도막 방수재는 필요에 따라, 폴리에틸렌 왁스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폴리에틸렌 왁스는 녹는점 이상의 온도에서는 점도가 급격히 감소하는 특성이 있어 가공성, 용융성 및 혼합성, 인장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 왁스의 함량은 특별하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아스팔트 도막 방수재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4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아스팔트 도막 방수재는 산화방지제, 열안정제 및 무기 필러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산화방지제는 아스팔트 도막 방수재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효과를 발현할 수 있는 물질이라면 특별하게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부틸화 하이드록시톨루엔(BHT), 부틸화 하이드록시아니솔(BHA), 니코틴아마이드(Niacinamide), 아스코빌 팔미테이트(Ascorbyl palmitate), 토코페릴아세테이트(tocopheryl acetate), 아스코르브산, N-아세틸-시스테인 및 나트륨 메타비설파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부틸화 하이드록시톨루엔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아스팔트 도막 방수재 총 중량을 기준으로 0.3 내지 1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0.3중량% 미만이면 산화방지성능을 구현하기 어렵고, 1중량%를 초과하여 첨가하여도 향상되는 성능이 미비하고 원료가 고가이므로 단가상승을 유발한다.
아스팔트 도막 방수재의 가공 및 사용 동안 물리적, 화학적 성능 유지에 기여하는 열안정제는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스테아린산 알루미늄(Aluminium Stearate) 및 스텐아린산 바륨(Barium Stearate)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열안정제는 아스팔트 도막 방수재 총 중량을 기준으로 0.3 내지 1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0.3중량% 미만이면 산화방지성능을 구현하기 어렵고, 1중량%를 초과하여 첨가하여도 향상되는 성능이 미비하고 원료가 고가이므로 단가상승을 유발한다.
한편, 아스팔트 도막 방수재 내에 발생하는 공극을 충전하고, 용적을 증대시키기 위해, 무기필러가 포함될 수 있다. 무기필러의 함량이 너무 많아 무게가 증가하는 경우, 현장에서 용융아스팔트 도막 조성물을 용융가마를 사용하여 용융시 교반이 어려워, 분체가 침전 및 침적되어 용융설비의 고장을 유발하고 도막의 성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어려워지므로, 상기 무기필러는 아스팔트 도막 방수재 총 중량을 기준으로 10 내지 15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무기 필러는 소석회, 중질탄산칼슘 및 경질탄산칼슘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고, 나아가, 상기 무기 필러는 중질탄산칼슘 및 경질탄산칼슘의 혼합물이며, 상기 중질탄산칼슘과 경질탄산칼슘의 중량비가 1:0~1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 중질탄산칼슘이 지나치게 많은 경우 현장에서 시공을 위해 아스팔트 도막 방수재 조성물을 재용융시 탄산칼슘의 침전으로 용융설비의 고장을 야기하고 부하가 생길 수 있다. 또한, 경질탄산칼슘의 양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제품의 무게대비 원재료 가격이 상승하고 도막에서 가장 중요한 능력 중 하나인 인장능력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물성 개선 및 침전방지를 위해 바람직하게는 1:1의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하기 표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아스팔트, 고무계 고분자 개질제, 점착부여제, 폴리에틸렌 왁스(PE WAX), 열안정제, 산화방지제 및 무기필러(중질탄산칼슘 및 경질탄산칼슘)의 함량을 제어하여, 아스팔트 도막 방수재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아스팔트를 계량하여 비이커에 넣고, 175℃로 예열된 히팅맨틀에 배치한 후, 비이커에 고무계 고분자 개질제를 투입하고 호머믹서로 분쇄하며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다음으로, 점착부여제를 투입한 후. 30분 동안 추가로 교반하여 아스팔트 방수 도막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한편,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제조된 아스팔트 방수 도막재 조성물을 고속교반기에서 30분간 고속 교반한 후, PE WAX를 투입하여 다시 30분간 교반하였다. 다음으로, 중질탄산칼슘 및 경질탄산칼슘을 투입하고 교반하여 아스팔트 방수 도막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내지 6에서는 고무계 고분자 개질제로, TSRC사의 TAIPOL 6152 grade 제품(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SEBS))을 사용하였고, 비교예 1 내지 4는 금호사의 KTR 101 제품(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공종합체(SBS))을 사용하였다. 한편, 점착부여제로는 실시예 2 및 3의 조성물을 제외하고는 강남화성의 KC-4001이 사용되었으며, 실시예 2 및 3은 점착부여제로 YL-140(C9석유수지)이 사용되었다. 또한, PE WAX로는 라이온 캠택사에서 제조된 PE WAX가 사용되었다. 한편, 하기 표 1에서 각 성분의 함량은 중량%이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아스팔트 79 79 80 80 69 69 79 69 69 69
고무계 고분자 개질제 16 16 16 16 16 19 16 16 16 16
점착부여제 4 4 4 4 4 4 4 4 4 4
PE WAX - 1 - - 1 1 1 1 - -
열안정제 - - - - - - - - - -
산화방지제 - - - - - - - - - -
중질
탄산칼슘
- - - - 5 10 - 5 10 -
경질
탄산칼슘
- - - - 5 - - 5 - 10
상기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 1 내지 4의 도막 방수재 조성물에 대하여, 연화점, 인장강도, 신장율, 저온굴곡 및 부착강도를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인장강도 및 신장율 측정은 KSF 4932에 따르며, 저온굴곡특성은 KSF 4917, 그리고 부착강도는 KSF 3211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연화점(℃) 108 115 110 105 118 115 110 113 110 108
120℃점도(cps) 10100 9440 15150 13200 25750 28250 19780 30340 31000 25800
4932 인장강도(kgf/cm2) 1.8 / 2.0 1.8 / 2.0 1.6 / 1.8 1.5 / 1.7 1.6 / 1.8 1.5 / 1.4 0.86 / 0.11 1.11 / 1.09 1.2 / 1.3 0.8 / 1.0
4932 신장율(%) 680 / 650 680 / 650 550.68 / 95.75 80.35 / 81.12 620.7 / 630.83 580.77 / 610.9 450.05 / 408.55 540.65 / 580.23 71.2 / 99.12 96.55 / 72.75
저온굴곡 4917 (-20℃, 한계치까지) -25℃ -24℃ -21℃ -20℃ -21℃ -21℃ -22℃ -20℃ -25℃ -20℃
3211 부착강도 (N/㎜) 0.026 0.037 0.022 0.029 0.034 0.035 0.030 0.032 0.026 0.028
상기 표 1 및 2를 참조하면, 고무계 고분자 개질제로, SBS를 사용한 비교예 1 내지 4에 비하여 SEBS가 사용된 실시예 1 내지 6은 120℃ 점도가 현저하게 낮고, 인장강도 특성 또한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점착부여제로, 로진수지로서 로진에스테르에 페놀을 합성하여 제조된 강남화성의 KC-4001을 사용한 실시예 1 및 2는 점착부여제로 석유수지인 YL-140이 사용된 실시예 3 및 4보다 점도 및 인장강도 특성이 보다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Claims (9)

  1. 아스팔트 도막 방수재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아스팔트 60 내지 85중량%;
    중량평균분자량이 70,000 내지 90,000이고, 스티렌 단량체가 29중량%이하로 포함되는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SEBS) 13 내지 20중량%;
    점착부여제 1 내지 20중량%;
    폴리에틸렌 왁스 1 내지 4중량%; 및
    산화방지제, 열안정제 및 무기 필러를 포함하고,
    상기 산화방지제는 부틸화 하이드록시톨루엔(BHT), 부틸화 하이드록시아니솔(BHA), 니코틴아마이드(Niacinamide), 아스코빌 팔미테이트(Ascorbyl palmitate), 토코페릴아세테이트(tocopheryl acetate), 아스코르브산, N-아세틸-시스테인 및 나트륨 메타비설파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고,
    상기 열안정제는 스테아린산 알루미늄(Aluminium Stearate) 및 스텐아린산 바륨(Barium Stearate)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이며,
    상기 무기 필러는 소석회, 중질탄산칼슘 및 경질탄산칼슘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도막 방수재.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부여제는 로진수지, 로진에스터수지, 터펜수지 및 석유수지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도막 방수재.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필러는 중질탄산칼슘 및 경질탄산칼슘의 혼합물이며, 상기 중질탄산칼슘과 경질탄산칼슘의 중량비가 1:0 초과 1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팔트 도막 방수재.
KR1020200029987A 2020-03-11 2020-03-11 아스팔트 도막 방수재 KR1022246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987A KR102224602B1 (ko) 2020-03-11 2020-03-11 아스팔트 도막 방수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9987A KR102224602B1 (ko) 2020-03-11 2020-03-11 아스팔트 도막 방수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4602B1 true KR102224602B1 (ko) 2021-03-09

Family

ID=75179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9987A KR102224602B1 (ko) 2020-03-11 2020-03-11 아스팔트 도막 방수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46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6143B1 (ko) 2022-05-27 2023-01-09 주식회사 정석케미칼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를 포함하는 아스팔트 방수 시트 조성물, 아스팔트 방수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건축용 복합 방수 시트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8688A (ko) * 2001-04-07 2002-10-19 유한회사 로드씰 저온 접착성이 우수한 아스팔트 실란트 조성물
KR101718082B1 (ko) * 2016-06-15 2017-03-17 주식회사 알. 브이 양면샌드 방수시트 및 저융점 개질아스팔트 도막방수재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KR101731284B1 (ko) * 2016-10-05 2017-05-11 태정산업개발(주) 복합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KR101805764B1 (ko) * 2017-06-08 2018-01-10 (주)에이알앤씨 도로 균열부의 보수 및 방수 시공용 자착식 테이프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831673B1 (ko) * 2017-07-05 2018-02-23 성문산업 주식회사 자착식형 고무화 아스팔트 방수시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8688A (ko) * 2001-04-07 2002-10-19 유한회사 로드씰 저온 접착성이 우수한 아스팔트 실란트 조성물
KR101718082B1 (ko) * 2016-06-15 2017-03-17 주식회사 알. 브이 양면샌드 방수시트 및 저융점 개질아스팔트 도막방수재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KR101731284B1 (ko) * 2016-10-05 2017-05-11 태정산업개발(주) 복합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KR101805764B1 (ko) * 2017-06-08 2018-01-10 (주)에이알앤씨 도로 균열부의 보수 및 방수 시공용 자착식 테이프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831673B1 (ko) * 2017-07-05 2018-02-23 성문산업 주식회사 자착식형 고무화 아스팔트 방수시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6143B1 (ko) 2022-05-27 2023-01-09 주식회사 정석케미칼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를 포함하는 아스팔트 방수 시트 조성물, 아스팔트 방수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건축용 복합 방수 시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1920B1 (ko) 숙성된 고무 분말을 포함하여 우수한 방수성을 갖는 고밀도 고등급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EP1737914B1 (en) A polymer modified bitumen composition to be used in asphalt binders or roofing compositions
KR102011916B1 (ko) 숙성된 고무 분말을 포함하여 우수한 균열저항성을 갖는 고등급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154568B1 (ko) 고온 및 저온 성능이 우수한 아스팔트 바인더를 이용한 불투수 차단층용 고등급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이를 이용한 불투수 차단층용 고등급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시공방법, 이를 이용하여 시공된 불투수 차단층을 포함하는 배수성 아스팔트 콘크리트의 포장공법 및 이를 이용하여 시공된 불투수 차단층을 포함하는 쇄석 매스틱 아스팔트(sma) 콘크리트의 포장공법
KR102119728B1 (ko) 라텍스 수지를 포함하는 방수아스팔트(lma)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416763B1 (ko) 안정한 아스팔트 에멀젼, 이의 형성 방법, 및 이로부터 형성된 복합 구조체
KR101906757B1 (ko) 고분자 개질 아스팔트를 포함한 기계적 물성과 내노화 성능이 개선된 아스콘 조성물
KR101956562B1 (ko) 아스팔트 콘크리트용 개질 첨가제, 이를 포함하는 개질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저소음 배수성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KR102345461B1 (ko) 향상된 균열저항성 및 고온 소성변형저항성을 갖는 폴리머계 구스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폴리머계 구스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공법
KR102054820B1 (ko) 수소가 첨가된 석유수지, sis 및 sbs를 이용한 교면포장용 방수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수일체형 교면 균열부 보수공법
KR102036879B1 (ko) 친환경 교면방수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2478619B1 (ko) 고등급 아스팔트 바인더를 포함하는 박층 포장용 샌드 매스틱 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박층 불투수 복합포장의 시공방법
KR102052402B1 (ko) 수소가 첨가된 석유수지 및 sis를 이용한 아스팔트 콘크리트용 바인더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411289B1 (ko) 자가치유 고무아스팔트와 유리섬유 부직포를 구비한 방수부재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AU705369B2 (en) Process for preparing bitument compositions
GB2164344A (en) Bituminous compositions and preparation thereof
KR102224602B1 (ko) 아스팔트 도막 방수재
KR102306933B1 (ko) 도막식 교면 방수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140060038A (ko) 아스팔트 표면 보수제, 이의 제조방법 및 아스팔트 균열 보수방법
KR102188825B1 (ko) 수소가 첨가된 석유수지, sis 및 개선된 골재 입도의 미분말 골재를 포함하는 교면포장용 방수아스팔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996637B1 (ko) 우수한 점탄성 특성 및 빠른 용해속도를 갖는 신축 이음재 조성물,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하여 시공된 신축 이음 구조 및 그 시공방법
EP1578869B1 (en) Block copolymer modified bituminous felts and their use
KR100267575B1 (ko) 안정화된 고분자 개질 아스팔트 조성물과 그의 제조방법 및 그사용방법
KR101731882B1 (ko) 인도네시아 천연아스팔트를 활용한 저비용 및 고성능 도막식 교면 방수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651526B1 (ko) 철도 노반용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를 함유한 아스팔트 개질제 및 상기 아스팔트 개질제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