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4587B1 - 여행 계획 생성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여행 계획 생성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여행 계획 생성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여행 계획 생성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4587B1
KR102224587B1 KR1020200028687A KR20200028687A KR102224587B1 KR 102224587 B1 KR102224587 B1 KR 102224587B1 KR 1020200028687 A KR1020200028687 A KR 1020200028687A KR 20200028687 A KR20200028687 A KR 20200028687A KR 102224587 B1 KR102224587 B1 KR 1022245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int
transit
stopover
group
tra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8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원영
Original Assignee
윤원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원영 filed Critical 윤원영
Priority to KR1020200028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4587B1/ko
Priority to KR1020210003985A priority patent/KR20210113026A/ko
Priority to US17/909,700 priority patent/US20230121610A1/en
Priority to PCT/KR2021/001857 priority patent/WO2021177625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4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45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06Q10/1093Calendar-based scheduling for persons or grou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C21/3423Multimodal routing, i.e. combining two or more modes of transportation, where the modes can be any of, e.g. driving, walking, cycling, public transpor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407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C21/343Calculating itineraries, i.e. routes leading from a starting point to a series of categorical destinations using a global route restraint, round trips, touristic tri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06Q10/025Coordination of plural reservations, e.g. plural trip segments, transportation combined with accommod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06Q10/047Optimisation of routes or paths, e.g. travelling salesman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2Hotels or restaura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4Travel agenc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행 계획 생성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 단말에 제1 지점정보, 제2 지점정보 및 경유지점용 버튼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경유지점용 버튼 입력시 경유지점들을 포함하는 경유지점후보 목록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경유지점후보 목록은, 상기 제1 지점과 상기 경유지점을 연결하는 교통편이 존재하는 제1 조건을 충족하는 제1 경유지점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경유지점그룹 중에서 상기 경유지점과 상기 제2 지점을 연결하는 교통편이 존재하는 제2 조건을 충족하는 제2 경유지점그룹을 별도로 표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여행 계획 생성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여행 계획 생성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METHOD FOR PROVIDING SERVICE OF GENERATION AND MANAGEMENT TRIP PLAN AND SYSTEM FOR PROVIDING SERVICE OF GENERATION AND MANAGEMENT TRIP PLAN}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여행 계획 생성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여행 계획 생성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여행상품들은 대부분의 여행일정이 미리 정해진 상태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소비자 개개인의 취향이나 사정을 반영한 여행상품을 찾아보기가 어려웠다.
최근 들어, 인터넷의 보급이 확대되고 사용자가 증가됨에 따라, 여행명소, 숙박정보, 교통정보 등 여행에 필요한 정보들을 소비자 개개인이 쉽게 접할 수 있게 되었고, 본인이 선호하는 지역을 포함하는 자신만의 여행 계획을 수립하려는 시도가 증가되고 있다. 그러나, 소비자가 개인적으로 인터넷 검색을 통해서 여행 계획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여행사가 오랜 시간 동안 수 많은 여행 상품들을 판매하고 여행객들을 안내해 오면서 축적해온 세부적인 관광 일정, 이동 루트 및 유용한 정보 등이 반영되기가 어렵고, 숙박, 항공권 등 여행에 필요한 모든 상품들을 소비자가 개별적으로 접촉해서 예약 및 결제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사용자 맞춤형 여행 계획을 효율적으로 생성하고 관리할 수 있는 여행 계획 생성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사용자 맞춤형 여행 계획을 효율적으로 생성하고 관리할 수 있는 여행 계획 생성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 계획 생성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 단말에 제1 지점정보, 제2 지점정보 및 경유지점용 버튼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경유지점용 버튼 입력시 경유지점들을 포함하는 경유지점후보 목록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경유지점후보 목록은, 상기 제1 지점과 상기 경유지점을 연결하는 교통편이 존재하는 제1 조건을 충족하는 제1 경유지점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경유지점그룹 중에서 상기 경유지점과 상기 제2 지점을 연결하는 교통편이 존재하는 제2 조건을 충족하는 제2 경유지점그룹을 별도로 표시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경유지점그룹은, 상기 제1 지점에서 상기 경유지점으로의 이동에 소요되는 제1 예상시간, 상기 경유지점에서의 관광에 소요되는 제2 예상시간 및 상기 경유지점에서 상기 제2 지점으로의 이동에 소요되는 제3 예상시간의 합이 상기 제1 지점에서의 일정 종료시점부터 상기 제2 지점에서의 일정 개시시점 사이의 기간 범위 내에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유지점후보 목록은, 상기 제2 경유지점그룹 중에서 예약 가능한 숙박시설이 존재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3 조건을 더 충족하는 제3 경유지점그룹을 별도로 표시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경유지점그룹 중에서 상기 제2 경유지점그룹에 포함되지 않는 경유지점들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제1 지점, 상기 경유지점, 상기 제1 지점 및 상기 제2 지점을 순차적으로 경유하는 여행일정이 수립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되는 GUI에 포함되는 지도상에 상기 제1 지점정보, 상기 제2 지점정보 및 상기 경유지점후보 목록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여행 계획 생성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서 사용자 단말과 연결되는 서버를 포함하여 여행 계획을 생성하고 관리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되, 상기 서버는, 사용자정보, 지점정보 및 교통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부; 사용자 단말에 제공되는 GUI를 제어하는 GUI 제어모듈; 및 경유지점을 추출해서 상기 GUI 제어모듈에 제공하는 경유지점 추출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GUI 제어모듈은 제1 지점정보, 제2 지점정보 및 경유지점용 버튼이 포함된 일정정보화면을 제공하며, 상기 경유지점용 버튼이 입력되면 경유지점들을 포함하는 경유지점후보 목록을 상기 일정정보화면에 제공하고, 상기 경유지점 추출모듈은 상기 경유지점후보에 포함되는 경유지점들을 추출하되, 상기 경유지점들은, 상기 제1 지점과 상기 경유지점을 연결하는 교통편이 존재하는 제1 조건을 충족하는 제1 경유지점그룹과, 상기 제1 경유지점그룹 중에서 상기 경유지점과 상기 제2 지점을 연결하는 교통편이 존재하는 제2 조건을 충족하는 제2 경유지점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희망하는 여행 일정을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수립하거나 변경할 수 있고, 여행 중 일정 및 이동루트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는 유용한 효과가 제공된다.
특히, 미리 결정된 여행지들 사이에서 새로운 여행지를 추가하고자 할 경우에도, 기존 여행지를 고려해서 추가 가능한 여행지를 추천함으로써 잘 짜여진 여행 계획을 손쉽고 간편하게 수립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 계획 생성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 계획 생성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표시되는 소정의 GUI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 계획 생성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서 표시되는 소정의 GUI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 계획 생성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순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 계획 생성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 계획 생성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 계획 생성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들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단계는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 계획 생성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0)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블록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 계획 생성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0)에서 표시되는 소정의 GUI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 계획 생성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순서도이고,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 계획 생성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 계획 생성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0)의 서버(300)는 데이터베이스부(320) 및 제어부(310)를 포함한다. 여기서 서버(300)는 유무선 통신망(200)을 통해서 사용자 단말(100)과 연결될 수 있고, 사용자 단말(100)은 스마트폰, 태블릿PC, 컴퓨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버(300)는 본 발명이 적용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에서 직접 구축하고 관리하는 로컬서버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서버(300)는 글로벌 대형 기업체 등이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버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베이스부(320)에는 사용자정보, 지점정보, 교통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데이터베이스부(320)는 사용자정보DB(321), 지점정보DB(323), 교통정보DB(325)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정보DB(321)에는, 사용자의 성별, 나이, 성격, 기호, 동행자의 종류(가족, 연인, 친구 등)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정보DB(321)에는 사용자에 의하여 생성되는 여행 계획이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지점정보 및 교통정보 들이 조합되어 소정의 여행 계획이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점정보DB(323)에는 사용자가 방문할 도시, 유명 식당이나 유명 관광지 등을 포함하는 주요 관광 정보, 숙박시설, 사용자의견, 평점 등의 지점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지점정보 중에서 예약이 필요한 지점의 정보는 별도의 예약모듈(318)과 연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교통정보DB(325)에는 항공, 열차, 버스, 선박 등의 교통편 일정 등의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이때, 항공편의 경우 항공 스케줄 조회 시스템 API와 연동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여 교통정보DB(325)에 저장될 수 있고, 열차편은 각 철도청이나 운영사와 API를 연동하여 교통정보DB(325)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버스나 페리 등도 가능하면 운영사의 API와 연동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각 운영사의 홈페이지에 게시된 운행정보나 오프라인 정보 등이 수집되어 교통정보DB(325)에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310)는 GUI 제어모듈(311) 및 경유지점 추출모듈(315)을 포함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예약모듈(31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GUI 제어모듈(311)은 사용자 단말(100)에 제공되는 GUI를 생성, 변경,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경유지점 추출모듈(315)은 제1 지점과 제2 지점 사이의 경유지점을 추출해서 GUI 제어모듈(311)에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 계획 생성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0)의 GUI 제어모듈(311)이 사용자 단말(100)에 표시하는 GUI의 일 예가 도 2 및 도 3에 예시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서, GUI에는 제1 지점정보(1110), 제2 지점정보(1120) 및 경유지점용 버튼(1140)이 포함된 일정정보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마우스 클릭, 터치, 키보드 입력 등의 방식으로 경유지점용 버튼(1140)이 입력되면 경유지점들을 포함하는 경유지점후보 목록(1150)이 GUI에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경유지점후보 목록 중 사용자가 선호하는 경유지점을 선택해서 입력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지점, 선택된 경유지점, 제2 지점을 포함하는 여행 계획이 생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경유지점을 선택하는 과정에서 경유지점과 관련된 교통편도 함께 선택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지점과 경유지점을 연결하는 교통편에 항공편과 기차편이 모두 존재하는 경우, 경유지점(항공), 경유지점(기차) 와 같은 방식으로 경유지점후보 목록이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정의 경유지점을 선택하면 제1 지점에서 해당 경유지점으로 이동하는 교통편 후보 목록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교통편 후보 목록에서 소정의 교통편을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선택된 교통편을 예약하거나 결제할 수 있는 기능이 예약모듈(318)을 통해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지점정보(1110), 제2 지점정보(1120) 및 경유지점용 버튼(1140)은 제1 영역(1100)에 표시될 수 있으며, 이 제1 영역(1100)에는 지점정보들이 텍스트 기반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GUI에는 지도를 표시하는 제2 영역(120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제2 영역(1200)의 지도 상에 제1 지점 아이콘(1210), 제2 지점 아이콘(1220), 경유지점후보 아이콘(1240) 등이 지도상의 각각의 위치에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제1 영역(1100), 제2 영역(1200)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가 사용자 단말(100)에 표시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100)에 제1 영역(1100)만 표시되거나, 제2 영역(1200)만 표시되거나, 제1 영역(1100)과 제2 영역(1200)이 함께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경유지점 추출모듈(315)은 지점정보DB(323)에서 경유지점후보에 포함되는 경유지점들을 추출할 수 있다. 이때, 경유지점후보에 포함되는 경유지점들은 제1 조건을 충족하는 제1 경유지점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조건은 제1 지점을 출발해서 경유지점에 도달하는 교통편이 존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조건을 만족하는 경유지점들을 제1 경유지점그룹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한편, 좁은 의미에서 제1 지점을 출발해서 경유지점에 도달하는 교통편 및 경유지점을 출발해서 제1 지점에 도착하는 교통편이 모두 존재하는 경유지점들을 제1 경유지점그룹으로 정의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경유지점후보에 포함되는 경유지점들은 제2 조건을 충족하는 제2 경유지점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조건은 경유지점을 출발해서 제2 지점에 도달하는 교통편이 존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조건을 만족하는 경유지점들을 제2 경유지점그룹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한편, 좁은의미에서 제2 경유지점그룹은 제1 경유지점그룹에 포함되는 경유지점들만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1 지점과 경유지점 사이의 교통편이 존재하면서 경유지점을 출발해서 제2 지점에 도착하는 교통편이 존재하는 경유지점만으로 제2 경유지점그룹이 정의되도록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경유지점후보 목록이 표시될 때, 제1 경유지점그룹과 제2 경유지점그룹이 구분되도록 표시될 수 있다. 즉, 색상을 달리 한다거나 말머리를 달리 한다거나 하는 방식으로 두 그룹이 구분되도록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경유지점그룹후보 목록(1150) 전체가 제1 경유지점그룹(1151)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경유지점그룹(1151) 중에서 일부가 제2 경유지점그룹(1152)으로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경유지점그룹(1151) 중 제2 경유지점그룹(1152)에 해당하지 않는 경유지점들이 존재할 수 있고, 일 실시예에서, 이 경유지점들에 “왕복” 이라는 머릿말이 표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경유지점그룹(1151) 중 제2 경유지점그룹(1152)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1 지점, 경유지점, 제1 지점 및 상기 제2 지점을 순차적으로 경유하는 여행 일정이 수립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경유지점그룹 중에서 제3 조건을 더 충족하는 제3 경유지점그룹이 별도로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조건은 예약 가능한 숙박시설이 존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3 경유지점그룹이 선택될 경우 경유지점에서의 숙박을 예약할 수 있는 GUI가 출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경유지점 추출모듈(315)은 전술한 제1 조건이나 제2 조건을 충족시키는 교통편을 추출하기 위해서 교통편 매칭모듈(315a)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경유지점 추출모듈(315)은 제3 조건을 충족시키는 숙박시설을 추출하기 위해서 숙박시설 매칭모듈(315b)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각 지점 사이의 교통편의 존부는 지점정보DB(323)와 교통정보DB(325)를 연동해서 도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교통편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이동시간, 교통비용, 접근성, 기존 판매 데이터를 고려해서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접근성을 판단할 때, 공항은 멀고, 기차나 버스는 가까운 경우 기차나 버스에 가산점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처리될 수 있다. 그리고, 우선순위가 높은 교통편이 존재하는 경유지점이 우선 노출되도록 순서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특정 경유지점이 선택되면 해당 경유지점으로 이동하기 위한 교통편을 표시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우선순위에 따라 교통편들을 열거하여 사용자가 취사선택할 수 있게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교통편 중에서도 이동시간이 소정의 범위 내에 있는 경우에만 제1 경유지점그룹에 포함되도록 할 수도 있다. 여기서, 소정의 시간 범위는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소정의 시간 범위를 경유지점 추출모듈(315)이 자동으로 산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경유지점 추출모듈(315)은 제1 지점에서 경유지점으로의 이동에 소요되는 제1 예상시간을 도출할 수 있다. 또한, 경유지점 추출모듈(315)은 경유지점에서의 관광에 소요되는 제2 예상시간을 도출할 수 있다. 또한, 경유지점 추출모듈(315)은 경유지점에서 제2 지점으로의 이동에 소요되는 제3 예상시간을 도출할 수 있다. 그리고, 경유지점 추출모듈(315)은 제1 예상시간, 제2 예상시간 및 제3 예상시간의 합이, 제1 지점에서의 일정 종료시점부터 제2 지점에서의 일정 개시시점 사이의 기간 범위 내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해서 경유지점후보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예상시간 및 제3 예상시간을 도출함에 있어서, 교통편의 평균 이동시간만 고려할 것이 아니라, 해당 교통편 이용이 가능한 정거장까지 이동하는 시간, 해당 정거장에서 대기하는 시간 등도 반영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서, 예약모듈(318)은 지점들 중에서 예약이 필요한 지점, 예컨대, 숙박시설, 입장권이 필요한 관광지의 예약현황을 조회하고 예약, 결제 등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예약모듈(318)은 이동에 필요한 교통수단의 일정 등을 조회하고 예약, 결제 등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 계획 생성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여행일정정보를 GUI에 표시하는 단계(S110), 경유지점후보 목록을 표시하는 단계(S120) 및 업데이트된 여행일정정보 GUI를 표시하는 단계(S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여행일정정보는 제1 지점정보, 제2 지점정보 및 경유지점용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경유지점후보 목록을 표시하는 단계(S120)는 경유지점용 버튼이 입력됨에 따라 경유지점후보 목록을 표시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때, 경유지점후보는 전술한 바와 같이 경유지점 추출모듈(315)에 의하여 도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지점과 제2 지점이 사용자에 의하여 미리 선택된 경우 경유지점 추출모듈(315)은 데이터베이스부(320)에 저장된 데이터 등을 활용해서 전술한 제1 경유지점그룹 내지 제3 경유지점그룹 등을 도출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제1 지점 및 제2 지점이 결정된 상태에서, 소정의 경유지점에 대하여 제1 지점을 출발해서 해당 경유지점에 도착 가능한 교통편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S210), 교통편이 존재하면 해당 경유지점을 제1 경유지점그룹으로 분류한다. 이때, 해당 경유지점을 출발해서 제1 지점에 도착 가능한 교통편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S220), 교통편이 존재하면 이 경유지점을 제1 경유지점그룹으로 분류(S230)할 수도 있다. 경유지점들에 대하여 위 과정을 반복 수행함으로써 제1 경유지점그룹을 도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경유지점그룹에 포함되는 소정의 경유지점에 대하여 제2 지점에 도착 가능한 교통편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S240), 교통편이 존재하면 해당 경유지점을 제2 경유지점그룹으로 분류한다(S250). 제1 경유지점그룹에 포함되는 경유지점들에 대하여 위 과정을 반복 수행함으로써 제2 경유지점그룹을 도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경유지점그룹에 포함되는 소정의 경유지점에 대하여 예약 가능한 숙박시설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고(S260), 예약 가능한 숙박시설이 존재하면 제3 경유지점그룹으로 분류(270)한다. 제2 경유지점그룹에 포함되는 경유지점들에 대하여 위 과정을 반복 수행함으로써 제3 경유지점그룹을 도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경유지점후보 목록 중에서 사용자가 소정의 경유지점을 선택하면, 선택된 경유지점이 추가되도록 여행일정정보를 업데이트해서 GUI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S130). 이때, 필요에 따라 경유지점과 관련된 교통편이나 숙박장소 예약을 위한 GUI가 표시되어 예약이나 결제가 진행될 수도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제1 지점 및 제2 지점이 결정되면(S310), 제1 지점과 연결되는 교통편이 존재하는 경유지점을 추출해서 제1 경유지점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S320). 다음으로, 제1 경유지점그룹에 속하면서 제2 지점과 연결되는 교통편이 존재하는 경유지점을 추출하여 제2 경유지점으로 분류할 수 있다(S330). 다음으로, 제2 경유지점그룹에 속하면서 예약 가능한 숙박시설이 존재하는 경유지점을 추출하여 제3 경유지점으로 분류할 수 있다(S340). 일 실시예에서, S320 단계를 수행하기 전에, 제1 지점 및 제2 지점으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소정의 범위 내에 있는 경유지점들을 추출하는 과정이 선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경유지점을 추가하더라도 여행 경로상의 이동거리나 이동시간이 불필요하게 급증하는 문제를 완화시킬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전술한 S310 단계 및 S340 단계 사이에 S320 및 S330 단계 대신에 다음의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1 지점과 연결되는 교통편이 존재하는 경유지점 및 제2 지점과 연결되는 교통편이 존재하는 경유지점을 각각 추출해서 제1 경유지점그룹 및 예비 경유지점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S320-1). 다음으로, 제1 경유지점그룹과 예비 경유지점그룹의 교집합을 제2 경유지점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다(S330-1).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310)는 사용자정보DB(321)에 저장된 사용자의 정보를 이용해서 추천 패키지를 추출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310)는 사용자의 성별, 나이, 성격, 기호, 동행자의 종류를 분석하고, 분석된 결과와 유사한 다른 선행 사례의 통계를 분석하여, 추천 패키지를 생성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31세 여성이고 친구와 동행하며 운동 등을 선호하는 경우, 나이와 성별이 비슷하며 친구와 동행하고 운동이 많이 포함된 다른 사용자의 여행코스 및 만족도 등을 고려해서 제1 지점 및 제2 지점이 묶인 패키지를 추천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추천 패키지를 확인한 사용자는 제시된 추천사항을 참고해서 제1 지점 및 제2 지점을 선택해서 개략적인 여행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지점과 제2 지점 사이의 경유지점에 대한 계획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교통편의 존부, 숙박시설의 존부 등이 미리 반영된 결과를 활용할 수 있으므로 최소한의 노력으로 손쉽게 여행 계획을 수립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추천 패키지를 생성하는 과정에서는 사용자별, 여행테마별, 여행시기별, 여행지역별 선호도나 소요시간 등이 종합적으로 반영될 수 있다.
1000 : 여행 계획 생성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1100 : 제1 영역
1110 : 제1 지점정보
1120 : 제2 지점정보
1140 : 경유지점용 버튼
1150 : 경유지점후보 목록
1151 : 제1 경유지점그룹
1152 : 제2 경유지점그룹
1200 : 제2 영역
1210 : 제1 지점 아이콘
1220 : 제2 지점 아이콘
1240 : 경유지점후보 아이콘
100 : 사용자 단말
200 : 유무선 통신망
300 : 서버
310 : 제어부
311 : GUI 제어모듈
315 : 경유지점 추출모듈
315a : 교통편 매칭모듈
315b : 숙박시설 매칭모듈
318 : 예약모듈
320 : 데이터베이스부
321 : 사용자정보DB
323 : 지점정보DB
325 : 교통정보DB

Claims (6)

  1. 서버가 사용자 단말에 제1 지점정보, 제2 지점정보 및 경유지점용 버튼을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서 상기 경유지점용 버튼이 입력되면 경유지점들을 포함하는 경유지점후보 목록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경유지점후보 목록은,
    상기 제1 지점과 상기 경유지점을 연결하는 교통편이 존재하는 제1 조건을 충족하는 제1 경유지점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제1 경유지점그룹 중에서 상기 경유지점과 상기 제2 지점을 연결하는 교통편이 존재하는 제2 조건을 충족하는 제2 경유지점그룹을 상기 제1 경유지점그룹과 시각적으로 구분되게 표시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서 상기 제2 경유지점그룹에 속하지 않는 경유지점이 선택되면, 상기 서버는 상기 제1 지점, 선택된 경유지점, 상기 제1 지점 및 상기 제2 지점을 순차적으로 경유하는 여행 일정을 수립하고,
    상기 제2 경유지점그룹은,
    상기 제1 지점에서 상기 경유지점으로의 이동에 소요되는 제1 예상시간,
    상기 경유지점에서의 관광에 소요되는 제2 예상시간 및
    상기 경유지점에서 상기 제2 지점으로의 이동에 소요되는 제3 예상시간의 합이 상기 제1 지점에서의 일정 종료시점부터 상기 제2 지점에서의 일정 개시시점 사이의 기간 범위 내에 있되,
    상기 서버는 상기 제1 지점과 상기 경유지점을 연결하는 제1 교통편의 이용이 가능한 제1 정거장과 상기 제1 지점 사이의 이동시간, 상기 제1 정거장에서 대기하는 시간 및 상기 제1 교통편의 평균 이동시간을 합산하여 상기 제1 예상시간을 도출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경유지점과 상기 제2 지점을 연결하는 제2 교통편의 이용이 가능한 제2 정거장과 상기 제2 지점 사이의 이동시간, 상기 제2 정거장에서 대기하는 시간 및 상기 제2 교통편의 평균 이동시간을 합산하여 상기 제3 예상시간을 도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 계획 생성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00028687A 2020-03-06 2020-03-06 여행 계획 생성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여행 계획 생성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2245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8687A KR102224587B1 (ko) 2020-03-06 2020-03-06 여행 계획 생성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여행 계획 생성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210003985A KR20210113026A (ko) 2020-03-06 2021-01-12 여행 계획 생성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여행 계획 생성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17/909,700 US20230121610A1 (en) 2020-03-06 2021-02-15 Method of providing travel plan creation management service and system for same
PCT/KR2021/001857 WO2021177625A1 (ko) 2020-03-06 2021-02-15 여행 계획 생성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여행 계획 생성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8687A KR102224587B1 (ko) 2020-03-06 2020-03-06 여행 계획 생성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여행 계획 생성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3985A Division KR20210113026A (ko) 2020-03-06 2021-01-12 여행 계획 생성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여행 계획 생성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4587B1 true KR102224587B1 (ko) 2021-03-08

Family

ID=7518475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8687A KR102224587B1 (ko) 2020-03-06 2020-03-06 여행 계획 생성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여행 계획 생성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210003985A KR20210113026A (ko) 2020-03-06 2021-01-12 여행 계획 생성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여행 계획 생성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3985A KR20210113026A (ko) 2020-03-06 2021-01-12 여행 계획 생성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여행 계획 생성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121610A1 (ko)
KR (2) KR102224587B1 (ko)
WO (1) WO2021177625A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16653A (ja) * 2008-03-12 2009-09-24 Fujitsu Ten Ltd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16076147A (ja) * 2014-10-08 2016-05-12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経路検索システム、及びその経路検索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画像形成装置
WO2017164096A1 (ja) * 2016-03-24 2017-09-28 日本電気株式会社 観光支援装置、観光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KR101886966B1 (ko) * 2017-04-18 2018-08-08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맞춤형 여행계획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JP2018155519A (ja) * 2017-03-15 2018-10-04 富士通株式会社 表示制御プログラム、旅行プラン編集プログラム、表示制御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KR102007270B1 (ko) * 2018-08-22 2019-08-06 (주)무브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반의 여행 스케줄링 서비스 방법 및 통신단말
KR102008478B1 (ko) * 2018-01-29 2019-08-07 (주)저니앤조이트래블 여행경로 및 여행상품을 포함하는 여행 원스탑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16653A (ja) * 2008-03-12 2009-09-24 Fujitsu Ten Ltd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16076147A (ja) * 2014-10-08 2016-05-12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経路検索システム、及びその経路検索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画像形成装置
WO2017164096A1 (ja) * 2016-03-24 2017-09-28 日本電気株式会社 観光支援装置、観光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2018155519A (ja) * 2017-03-15 2018-10-04 富士通株式会社 表示制御プログラム、旅行プラン編集プログラム、表示制御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KR101886966B1 (ko) * 2017-04-18 2018-08-08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맞춤형 여행계획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KR102008478B1 (ko) * 2018-01-29 2019-08-07 (주)저니앤조이트래블 여행경로 및 여행상품을 포함하는 여행 원스탑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102007270B1 (ko) * 2018-08-22 2019-08-06 (주)무브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반의 여행 스케줄링 서비스 방법 및 통신단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77625A1 (ko) 2021-09-10
US20230121610A1 (en) 2023-04-20
KR20210113026A (ko) 2021-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61374B2 (en) Optimized route planning and personalized real-time location-based travel management
Chriqui et al. Common bus lines
US11493347B2 (en) Using historical location data to improve estimates of location
US20140351037A1 (en) Travel planning
KR101886966B1 (ko) 맞춤형 여행계획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US20160117618A1 (en) Determining alternative travel itineraries using current location
KR20150043188A (ko) 휴리스틱 항공조회 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US20150286960A1 (en) Media input reservation system
WO2006061885A1 (ja) 空席経路探索システム、空席経路探索装置および端末装置
KR20080080810A (ko) 3자 물류 수송망 설계 시스템 및 방법
US10402755B2 (en) Transportation service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and transportation service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KR101987889B1 (ko) 빅 데이터 분석을 통한 배송 의뢰 정보 제공 방법
KR102224587B1 (ko) 여행 계획 생성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여행 계획 생성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Canca et al. A methodology for schedule‐based paths recommendation in multimodal public transportation networks
KR102118172B1 (ko) 대중교통을 이용한 스마트 관광 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90000747A (ko) 맞춤형 여행 스케줄링 방법 및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KR20150116385A (ko) 여행 예약 시스템
KR20150117209A (ko) 여행 계획 시스템
JP2006171959A (ja) 空席経路探索システム、空席経路探索装置および端末装置
JP2006163670A (ja) 巡訪ルート探索システム、プログラム
JP7449192B2 (ja) ダイヤ情報管理システム、ダイヤ情報管理方法および運行案内システム
JP6329876B2 (ja) 旅行パッケージプラン提供システム及び旅行パッケージプラン提供方法
US20230140057A1 (en) Conversational user experience for multimodal travel system
Schosser et al. Theoretical foundation
JP2023032919A (ja) 旅行プラン作成支援システム及び旅行プラン作成支援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