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7270B1 -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반의 여행 스케줄링 서비스 방법 및 통신단말 - Google Patents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반의 여행 스케줄링 서비스 방법 및 통신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7270B1
KR102007270B1 KR1020180098035A KR20180098035A KR102007270B1 KR 102007270 B1 KR102007270 B1 KR 102007270B1 KR 1020180098035 A KR1020180098035 A KR 1020180098035A KR 20180098035 A KR20180098035 A KR 20180098035A KR 102007270 B1 KR102007270 B1 KR 1020072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sired visit
travel
visit place
place
pla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80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민석
정종태
Original Assignee
(주)무브
최민석
정종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무브, 최민석, 정종태 filed Critical (주)무브
Priority to KR10201800980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72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7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72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4Travel agenc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G06Q10/1093Calendar-based scheduling for persons or grou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반의 여행 스케줄링 서비스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복수 개의 여행지역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복수 개의 여행지역 중에서 사용자가 여행하기를 희망하는 어느 하나의 지역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고, 선택된 지역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장소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복수 개의 장소 중에서 사용자가 방문하기를 희망하는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고, 그리고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 각각에서의 평균 체류시간과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 사이를 이동하는 데에 소요되는 이동시간에 기초하여 여행 스케줄을 표시함으로써,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여행 스케줄을 빠르게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반의 여행 스케줄링 서비스 방법 및 통신단말{Method and mobile terminal for providing travel scheduling with intuitive user interface}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반의 여행 스케줄링 서비스 방법 및 그 방법을 구현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국내여행뿐만 아니라 해외여행을 가는 여행객이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다수의 여행관련 프로그램들이 TV 및 인터넷을 통하여 방송되면서 여행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과거에 대다수의 여행객들은 여행사에서 제공하는 패키지여행을 많이 이용하였다. 패키지 여행의 경우, 여행사에서 제공하는 스케줄에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여행 전에 여행객이 자체적으로 여행 계획을 세울 필요가 없어 이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는 반면에, 개인적으로 가고 싶은 관광명소를 갈수 없는 단점이 있다. 과거에는 이러한 패키지 여행이 성행하였으나, 최근에는 개인의 취향에 따라 가고 싶은 관광명소를 찾아가기 위하여 개인 스스로 여행 스케줄을 짜고 여행을 하는 자유여행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자유여행의 경우 스스로 여행 스케줄을 계획해야 한다. 개인 스스로 여행 스케줄을 계획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고 시간이 많이 걸리는 단점이 있다. 특히, 해외 여행의 경우에는, 해외에서의 이동수단, 이동시간, 또는 교통비 등의 현지 사정을 명확하게 알기 어렵기 때문에, 개개인이 구체적인 여행 스케줄을 계획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676847호 “여행경로 추천에 의한 여행일정 제작 방법 및 그 시스템”은 사용자가 원하는 여행지역에 대해서 여행일정에 추가할 수 있는 여행대상을 추천 및 추천된 여행대상에 대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여행대상의 목록으로 부터 여행경로를 추천하여 여행일정표를 제작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여행일정표 제작 방법은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지 않아 사용자가 여행 스케줄을 빠르고 간편하게 작성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작성한 여행 스케줄에서, 방문할 장소에서 소요되는 경비, 다음 장소로 이동할 때 소요되는 이동경비 등과 같이 여행에서 사용될 것으로 예상되는 경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지 않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구체적인 여행 스케줄을 계획하기 힘든 문제가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이미 작성된 여행 스케줄을 변경할 경우, 변경된 여행 스케줄에 따른 타임 테이블과 예상되는 경비를 다시 산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있지 않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변경된 여행 스케줄에 따라 변경된 타임 테이블과 경비를 알 수 없어 변경 전후의 여행 스케줄을 비교하여, 어떤 여행 스케줄이 자신에게 더 적합한 여행 스케줄인지 알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여행 스케줄을 빠르게 작성하기 위하여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반의 여행 스케줄링 서비스 방법 및 그 방법이 적용된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반의 여행 스케줄링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복수 개의 여행지역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상기 복수 개의 여행지역 중에서 상기 사용자가 여행하기를 희망하는 어느 하나의 지역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선택된 지역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장소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복수 개의 장소 중에서 상기 사용자가 방문하기를 희망하는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 각각에서의 평균 체류시간과 상기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 사이를 이동하는 데에 소요되는 이동시간에 기초하여 여행 스케줄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여행 스케줄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 중 제 1 희망방문장소의 명칭과 함께 상기 제 1 희망방문장소의 체류 시작 시점을 표시하고, 상기 제 1 희망방문장소에서의 평균 체류시간과 상기 제 1 희망방문장소의 체류 종료 시점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화면 내의 제 1 섹션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 중 제 2 희망방문장소의 명칭과 함께 상기 제 2 희망방문장소의 체류 시작 시점을 표시하고, 상기 제 2 희망방문장소에서의 평균 체류시간과 상기 제 2 희망방문장소의 체류 종료 시점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화면 내의 제 2 섹션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반의 여행 스케줄링 서비스 방법은 상기 제 1 희망방문장소의 체류 시작 시점에 상기 제 1 희망방문장소에서의 평균 체류시간을 합산함으로써 상기 제 1 희망방문장소의 체류 종료 시점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섹션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섹션에 상기 제 1 희망방문장소의 명칭과 함께 상기 제 1 희망방문장소의 체류 시작 시점을 표시하고, 상기 산출된 제 1 희망방문장소의 체류 종료 시점을 표시한다.
상기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희망방문장소의 체류 종료 시점에 상기 제 1 희망방문장소로부터 상기 제 2 희망방문장소로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이동시간을 합산함으로써 상기 제 2 희망방문장소의 체류 시작 시점을 산출하고, 상기 제 2 희망방문장소의 체류 시작 시점에 상기 제 2 희망방문장소에서의 평균 체류시간을 합산함으로써 상기 제 2 희망방문장소의 체류 종료 시점을 산출하고, 상기 제 2 섹션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섹션에 상기 제 2 희망방문장소의 명칭과 함께 상기 산출된 제 2 희망방문장소의 체류 시작 시점을 표시하고, 상기 산출된 제 2 희망방문장소의 체류 종료 시점을 표시한다.
상기 여행 스케줄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섹션과 상기 제 2 섹션 사이에 상기 제 1 희망방문장소로부터 상기 제 2 희망방문장소로 이동하기 위한 복수 개의 이동 수단과 상기 복수 개의 이동 수단 중 어느 하나의 이동 수단의 이동시간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 1 섹션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희망방문장소에서의 소요 경비를 더 표시하고, 상기 제 2 섹션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희망방문장소에서의 소요 경비를 더 표시하고, 상기 제 1 섹션과 상기 제 2 섹션 사이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각 이동 수단의 이동 경비를 더 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반의 여행 스케줄링 서비스 방법은 상기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에서의 소요 경비와 상기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 사이를 이동하는 데에 소요되는 이동 경비를 합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여행 스케줄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합산된 경비를 더 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반의 여행 스케줄링 서비스 방법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 1 희망방문장소의 선택 취소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여행 스케줄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희망방문장소의 선택 취소가 입력되면, 상기 제 1 섹션으로부터 상기 제 1 희망방문장소에 대한 표시를 삭제함과 동시에 상기 제 2 섹션으로부터 상기 제 2 희망방문장소에 대한 표시를 삭제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섹션에 상기 제 2 희망방문장소의 명칭과 함께 상기 제 2 희망방문장소의 체류 시작 시점을 표시하고, 상기 제 2 희망방문장소에서의 평균 체류시간과 상기 제 2 희망방문장소의 체류 종료 시점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는 상기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에 대한 선택과 함께 상기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의 순위를 입력받고, 상기 제 1 희망방문장소의 순위가 상기 제 2 희망방문장소의 순위보다 앞서는 경우, 상기 제 1 희망방문장소의 체류 시작 시점에 상기 제 1 희망방문장소에서의 평균 체류시간을 합산함으로써 상기 제 1 희망방문장소의 체류 종료 시점을 산출하고, 상기 제 1 희망방문장소의 체류 종료 시점에 상기 제 1 희망방문장소로부터 상기 제 2 희망방문장소로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이동시간을 합산함으로써 상기 제 2 희망방문장소의 체류 시작 시점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여행 스케줄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섹션과 상기 제 2 섹션을 시간 흐름에 따라 나열하여 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반의 여행 스케줄링 서비스 방법은 상기 제 1 섹션과 상기 제 2 섹션이 표시된 화면을 상기 제 1 희망방문장소의 위치에 해당하는 지점에 상기 제 1 희망방문장소의 순위가 표시되고, 상기 제 2 희망방문장소의 위치에 해당하는 지점에 상기 제 2 희망방문장소의 순위가 표시된 지도의 화면으로 전환하는 단계; 및 사용자로부터 상기 지도의 화면에 표시된 제 1 희망방문장소의 순위와 제 2 희망방문장소의 순위를 뒤바꾸는 요청을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희망방문장소의 체류 시작 시점에 상기 제 2 희망방문장소에서의 평균 체류시간을 합산함으로써 상기 제 2 희망방문장소의 체류 종료 시점을 산출하고, 상기 제 2 희망방문장소의 체류 종료 시점에 상기 제 2 희망방문장소로부터 상기 제 1 희망방문장소로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이동시간을 합산함으로써 상기 제 1 희망방문장소의 체류 시작 시점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반의 여행 스케줄링 서비스 방법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선택된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 외에 제 3 희망방문장소의 선택 추가와 상기 제 3 희망방문장소의 순위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여행 스케줄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 3 희망방문장소의 선택 추가가 입력되면, 상기 제 3 희망방문장소의 순위에 따라 상기 제 1 섹션, 상기 제 2 섹션,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화면 내의 제 3 섹션 중 어느 하나에 명칭과 함께 상기 제 3 희망방문장소의 체류 시작 시점을 표시하고, 상기 제 3 희망방문장소에서의 평균 체류시간과 상기 제 3 희망방문장소의 체류 종료 시점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반의 여행 스케줄링 서비스 방법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 1 희망방문장소의 선택 취소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합산된 경비에 상기 제 1 희망방문장소에서의 소요 경비와 상기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 중 어느 하나의 희망방문장소와 상기 제 1 희망방문장소 사이를 이동하는 데에 소요되는 이동 경비를 감산함으로써 상기 합산된 경비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반의 여행 스케줄링 서비스 방법은 상기 사용자로부터 제 3 희망방문장소의 선택 추가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경비를 합산하는 단계는 상기 합산된 경비에 상기 제 3 희망방문장소에서의 소요 경비와 상기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 중 어느 하나의 희망방문장소와 상기 제 3 희망방문장소 사이를 이동하는 데에 소요되는 경비를 가산함으로써 상기 합산된 경비를 갱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통신 단말은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반의 여행 스케줄링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복수 개의 지역과 각 지역에 위치하는 관광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여행하기를 희망하는 지역과 장소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고, 입력된 지역과 장소에 기초하여 여행 스케줄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단순한 조작만으로 빠르고 간단하게 여행 스케줄을 작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여행을 출발하기 전에 여행 스케줄을 작성하는 데에 걸리는 많은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화면에 여행 스케줄을 GUI(graphical user interface)로 각종 그래픽 아이콘과 함께 표시하여, 별도의 매뉴얼 없이도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여행 스케줄링 서비스 방법을 실행할 수 있게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여행 스케줄링 서비스 방법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자신의 여행 스케줄을 작성할 수 있다.
또한, 여행 스케줄링 서비스 방법에 의해 작성된 여행 스케줄에 각 방문 장소에서의 평균 체류시간, 체류 시작 시점 및 체류 종료 시점을 표시하고, 각 장소에서의 소요되는 소요 경비와 이동경비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여행 스케줄을 파악할 수 있으며, 여행에 필요한 총 경비를 예상할 수 있다.
또한, 이미 작성된 여행 스케줄에서 일부 장소를 취소하거나 추가하거나 또는 방문 순서를 뒤바꾸는 것과 같은 여행 스케줄의 변경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한다. 여행 스케줄이 변경되는 경우, 변경된 여행 스케줄에 따라 여행 스케줄의 타임 테이블과 여행 경비를 바로 갱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간단하게 여행 스케줄을 변경할 수 있으며, 변경된 여행 스케줄을 사용자에게 빠르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 스케줄링 서비스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통신 단말과 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반의 여행 스케줄링 서비스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되는 복수 개의 여행지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복수 개의 장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복수 개의 장소 중에서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를 선택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 각각에 대한 체류 종료 시점 및 체류 시작 시점을 산출하는 단계의 상세 흐름도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 각각에서 소요되는 소요경비와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 사이를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이동 경비를 합산하는 단계의 상세 흐름도이다.
도 9는 도 3에 도시된 여행스케줄을 표시하는 단계의 상세 흐름도이다.
도 1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여행 스케줄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여행 스케줄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제 3 희망방문장소를 추가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여행 스케줄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지도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화면에서 순위가 뒤바뀐 지도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화면에서 순위가 뒤바뀐 여행 스케줄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자유여행을 위해 최적화된 여행일정을 제공하는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에서 설명될 “여행지역”은 여행객이 여행갈 지역 또는 도시를 의미하고, “명소”는 여행객들이 방문하는 관광지로서, 역사유적지, 박물관, 공원, 유원지, 음식점 등을 포함하는 것임을 이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일 실시예에 따른 여행 스케줄링 서비스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여행 스케줄링 서비스 시스템은 통신단말(1)과 서버(2)로 구성된다. 통신단말(1)은 여행 스케줄링 서비스 방법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실행하고,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에게 여행 희망 지역에서의 여행 스케줄을 제공한다. 서버(2)는 통신단말(1)로 여행 스케줄링 서비스 방법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한다. 통신단말(1)과 서버(2)는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로 통신할 수 있다. 통신단말(1)은 통신 기능을 가진 장치로서, 그 예로는 이동통신 단말기, 개인 정보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PC, 노트북 등을 들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통신 단말과 서버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통신단말(1)은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11), 프로세서(12), 통신부(13) 및 스토리지(14)로 구성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1)는 통신단말(1)의 사용자로부터 명령 및 정보를 입력받고,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한다.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1)의 예로는 터치스크린 등을 들 수 있다. 프로세서(12)는 스토리지(14)에 저장되어 있는 여행 스케줄링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통신부(13)는 인터넷 등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서버(2)로부터 여행 스케줄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요구되는 명령, 정보 및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서버(2)로 여행 스케줄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요구되는 명령, 정보 및 데이터를 무선으로 송신한다.
통신단말(1)의 스토리지(14)에는 여행 스케줄링 서비스 애플리케이션과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사용되는 데이터가 저장된다. 예를 들어, 스토리지(14)는 여행 지역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이동 수단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여행 지역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는 여행지역의 명칭, 각 여행지역을 나타내는 사진, 각 여행지역에 위치한 관광 명소, 각 관광 명소에서 소요되는 소요 경비, 각 관광 명소에서의 평균 체류시간 등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한다. 이동 수단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는 이동 수단의 명칭, 이동 수단의 평균 속도, 이동 수단의 경비 등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한다.
서버(2)는 프로세서(21), 통신부(22) 및 스토리지(23)로 구성된다. 프로세서(21)는 통신단말(1)로부터 송신된 명령 및 정보를 처리한다. 통신부(22)는 인터넷 등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통신단말(1)로부터 명령 및 정보를 수신하거나, 통신단말(1)로 명령 및 정보를 송신한다. 스토리지(23)에는 여행 스케줄링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가 저장된다. 예를 들어, 스토리지(23)는 여행 지역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이동 수단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서, 통신단말(1)에 여행 스케줄링 서비스 방법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고,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이 수행된다고 가정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반의 여행 스케줄링 서비스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반의 여행 스케줄링 서비스 방법은 다음의 단계들로 구성된다. 도 3의 흐름도에 도시된 각 단계들은 통신단말(1) 또는 서버(2)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301 단계에서, 통신단말(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1)는 복수 개의 여행지역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복수 개의 여행지역에 대한 정보는 각 여행지역의 명칭, 각 여행지역을 대표하는 명소의 사진, 및 각 여행지역의 특징을 표현하는 문구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단말(1)은 사용자 인터페이스(11)를 통해 복수 개의 여행지역 각각의 명칭과 함께 해당 지역의 대표명소를 나타내는 사진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통신단말(1)은 복수 개의 여행지역을 국가별, 대륙별, 지역별(예를 들어,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 아메리카, 오세아니) 등 다양한 카테고리로 분류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4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되는 복수 개의 여행지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통신단말은 통신단말의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복수 개의 여행지역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호치민, 하노이 및 다낭 등 베트남의 도시들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302 단계에서, 통신단말(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1)는 사용자로부터 복수 개의 여행지역 중 사용자가 여행하기를 희망하는 어느 하나의 지역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는다. 통신단말(1)의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11)에 표시된 복수 개의 여행지역 중 어느 하나의 지역을 여행하기로 결정한 경우, 통신단말(1)의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1)를 통해 하나의 희망 여행 지역에 대한 선택을 입력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사용자가 ‘호치민’을 여행하기를 희망하는 경우, 사용자는 스마트 폰의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호치민’을 터치하여 자신의 희망 여행 지역의 선택을 입력할 수 있다.
302 단계에서 통신단말(1)에 입력된 사용자가 여행하기를 희망하는 지역에 대한 선택에 응답하여, 통신단말(1)은 선택된 지역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장소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통신단말(1)의 스토리지(14)에 저장된 여행 지역에 대한 데이터베이스에서 선택된 지역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장소에 대한 정보를 검색한다. 또는, 통신단말(1)은 선택된 지역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장소에 대한 정보를 서버(2)에 요청하고, 서버(2)로부터 선택된 지역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장소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303 단계에서, 통신단말(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1)는 302 단계에서 선택된 지역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장소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통신단말(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1)는 302 단계에서 입력된 사용자가 여행하기를 희망하는 지역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장소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통신단말(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1)는 통신단말(1)의 스토리지(14)에 저장되거나 서버(2)로부터 송신된 선택된 지역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장소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복수 개의 장소는 해당 지역에 위치하는 관광명소로서, 역사유적지, 박물관, 공원, 자연경관지, 음식점 등을 포함한다. 장소에 대한 정보는 해당 장소의 명칭, 해당 장소를 나타내는 사진, 해당 장소에 대한 간략한 설명 등을 포함한다. 통신단말(1)은 사용자가 선택한 여행지역에 위치하는 다양한 관광명소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방문하기를 희망하는 장소를 선택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5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복수 개의 장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복수 개의 장소 중에서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를 선택하는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폰의 사용자가 방문하기를 희망하는 지역으로 ‘다낭’을 선택한 경우, 다낭에 위치하는 다양한 명소들을 스마트폰의 터치스크린을 통하여 다낭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장소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다낭에 위치하는 관광 명소인 ‘용 다리’, ‘꼰 시장’,‘다낭 참 조각 박물관’, ‘미케비치(다낭해변)’ 등에 대한 간략한 설명과 사진을 포함하는 정보를 터치스크린에 표시하여, 스마트폰의 사용자에게 각 장소에 대한 설명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스마트폰의 터치스크린은 ‘다낭’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장소에 대한 명칭 및 사진만을 포함하는 간략한 정보를 표시한다. 스마트폰의 터치스크린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장소의 명칭, 사진 및 상세한 설명을 표시하는 방식으로 복수 개의 장소에 대한 정보를 상세하게 표시할 수 있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장소의 명칭 및 사진만을 표시하는 방식으로 복수 개의 장소에 대한 정보를 간략하게 표시할 수도 있다.
304 단계에서, 통신단말(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1)는 사용자로부터 복수 개의 장소 중에서 사용자가 방문하기를 희망하는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는다. 303 단계에서 제공받은 복수 개의 장소 중에서 사용자는 방문하기를 희망하는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를 선택하고,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에 대한 선택을 통신단말(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1)를 통하여 입력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6을 참조하면, 303 단계에서, 사용자는 스마트 폰의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다낭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장소 중에서 ‘미케 비치(다낭 해변)’, ‘오행산’, ‘선짜산(원숭이산)’ 및 ‘다낭 뮤지엄 오브 참 스컬프쳐’를 여행기간 동안 방문하기를 희망하는 희망방문장소들로 선택하고, 이러한 선택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스마트폰의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복수 개의 장소 중에서 방문하기를 희망하는 장소를 손가락으로 터치하는 방식으로 희망방문장소의 선택을 스마트폰에 입력할 수 있다.
또한, 304 단계에서, 통신단말(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1)는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에 대한 선택과 함께 사용자로부터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 각각에 대한 순위를 함께 입력받을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1)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 각각에 대하여 사용자가 방문하고 싶은 순서대로 각 희망방문장소의 순위를 입력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가장 먼저 방문하기를 희망하는 장소를 가장 먼저 터치하고, 그 다음으로 방문하기를 희망하는 장소를 그 다음으로 터치하여, 방문하기를 원하는 순서대로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를 선택할 수 있다. 통신단말(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1)는 입력받은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에 대한 선택 및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의 순위를 통신단말(1)의 프로세서(12)로 입력한다. 통신 단말(1) 프로세서(12)는 사용자의 입력 순서에 따라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의 순위를 결정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가장 먼저 선택한 ‘미케 비치(다낭 해변)’에 ① 순위가 표시되고, 두 번째로 선택한 ‘오행산(다낭)’에 ② 순위가 표시되고, 세 번째로 선택한 ‘선짜산(원숭이산)’에 ③ 순위 표시되고, 마지막으로 선택한 ‘다낭 뮤지엄 오브 참 스컬프쳐’에 ④ 순위가 표시된다.
305 단계에서, 통신단말(1)의 프로세서(12)는 304 단계에서 입력된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에 대한 선택 및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의 순위에 기초하여 방문순서를 작성한다. 304 단계에서 통신단말(1)에 입력된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에 대한 선택 및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의 순위에 기초하여, 통신단말(1)의 프로세서(12)는 304 단계에서 입력된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의 방문순서를 작성한다. 또는, 통신단말(1)은 304 단계에서 입력된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에 대한 선택 및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의 순위를 서버(2)로 송신하고, 서버(2)의 프로세서(21)는 송신된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에 대한 선택 및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의 순위에 기초하여 304 단계에서 입력된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의 방문순서를 작성한다.
프로세서(12)는 입력된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의 개수에 따라, 하루 또는 복수 개의 날 동안의 여행스케줄을 작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입력한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를 하루 동안에 방문할 수 있는 경우, 프로세서(12)는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에 기초하여 하루 동안의 방문순서를 작성한다. 이와 반대로, 사용자가 입력한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를 하루 동안에 방문할 수 없는 경우, 적어도 이틀로 나누어진 방문순서를 작성한다.
프로세서(12)는 여행스케줄을 며칠로 나누어 작성할지 여부를 희망방문장소의 체류 시작 시점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 중 어느 하나의 장소의 체류 시작 시점이 오후 8시 이후인 경우, 프로세서(12)는 이러한 희망방문장소의 순위보다 낮은 순위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희망방문장소를 다음 날의 첫 번째 희망방문장소로 구성되는 다음 날의 여행스케줄을 작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4 순위를 갖는 희망방문지역의 체류 시작 시점이 8시 20분인 경우, 프로세서(12)는 5 순위를 갖는 희망방문지역을 다음 날의 첫 번째 희망방문장소로 하여 다음 날의 여행스케줄을 작성한다. 체류 시작 시점을 산출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하여는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방문순서는 304 단계에서 입력된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의 순위에 따라 작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단말(1)의 프로세서(12)는 1 순위의 희망방문장소를 첫 번째로 방문하고, 2 순위의 희망방문장소를 두 번째로 방문하는 것과 같이, 순위가 높은 순서대로 희망방문장소를 방문하는 방문순서를 작성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가장 먼저 선택한 ‘미케 비치(다낭 해변)’에 ① 순위가 표시되고, 두 번째로 선택한 ‘오행산(다낭)’에 ② 순위가 표시되고, 세 번째로 선택한 ‘선짜산(원숭이산)’에 ③ 순위이 표시되고, 마지막으로 선택한 ‘다낭 뮤지엄 오브 참 스컬프쳐’에 ④ 순위가 표시된다.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스마트폰의 사용자가 입력한 희망방문장소의 순위는 ‘미케 비치(다낭 해변)’가 1순위, ‘오행산(다낭)’이 2순위, ‘선짜산(원숭이산)’이 3순위 그리고 ‘다낭 뮤지엄 오브 참 스컬프쳐’이 4순위를 가진다. 이에 따라, 통신단말(1)의 프로세서(12)는 미케비치(다낭 해변), 오행산(다낭), 선짜산(원숭이산) 및 다낭 뮤지엄 오브 참 스컬프쳐를 순서대로 방문하는 방문순서를 작성한다.
306 단계에서, 통신단말(1)의 프로세서(12)는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 각각에서의 평균 체류시간과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 사이를 이동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에 기초하여, 각 희망방문장소의 체류 종료 시점 및 체류 시작 시점을 산출한다. 각 희망방문장소의 체류 종료 시점 및 체류 시작 시점을 산출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하여는 도 7과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 각각에 대한 체류 종료 시점 및 체류 시작 시점을 산출하는 단계의 상세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3에 도시된 306 단계는 다음과 같은 단계들로 구성될 수 있다. 3061 단계에서, 통신단말(1)의 프로세서(12)는 각 희망방문장소의 체류 시작 시점에 해당 희망방문장소의 평균 체류시간을 합산함으로써 해당 희망방문장소에 대한 체류 종료 시점을 산출한다. 가장 먼저 방문하는 첫 번째 희망방문장소의 체류 시작 시점은 통신단말(1)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거나, 또는 사용자가 입력하지 않은 경우 미리 설정된 시간으로 설정된다. 예를 들어, 여행 스케줄링 서비스 방법의 설계자는 첫 번째 희망방문장소의 체류 시작 시점을 오전 8시로 미리 설정할 수 있다. 통신단말(1)의 프로세서(12)는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 각각에서의 평균 체류시간을 통신단말(1)의 스토리지(14)에서 검색한다. 통신단말(1)의 스토리지(14)는 각 장소에서 여행객들이 평균적으로 머무르는 시간인 평균 체류시간을 저장한다.
3062 단계에서, 통신단말(1)의 프로세서(12)는 각 희망방문장소로부터 다음 희망방문장소로 이동하는 데에 소요되는 이동시간을 산출한다. 이동 수단은 택시, 버스, 렌터카, 자전거, 도보 등을 포함한다. 프로세서(12)는 어느 하나의 이동수단에 의해 희망방문장소 사이에서 이동하는 데에 소요되는 이동 시간을 산출한다. 사용자에 의해 이동수단이 특정되지 않는 한, 택시에 의해 소요되는 이동 시간을 산출한다. 사용자는 이동 시간 산출의 기준이 되는 이동 수단을 변경할 수 있다.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통신단말(1)의 프로세서(12)는 어느 하나의 희망방문장소로부터 그 다음 희망방문장소로의 이동거리와 이동수단에 기초하여 희망방문장소 사이의 이동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는 희망방문장소 사이의 이동거리를 이동수단의 평균 속력으로 나눈 시간을 이동시간으로 산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12)는 복수 개의 이동 수단 각각에 대한 이동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본원발명의 논점이 흐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동시간을 산출하는 방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A 희망방문장소, B 희망방문장소, 및 C 희망방문장소의 방문순서를 가지는 경우, 통신단말(1)의 프로세서(12)는 A 희망방문장소, B 희망방문장소, 및 C 희망방문장소 각각의 평균 체류시간을 스토리지(14)에 저장된 여행 지역에 대한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한다. 그리고 프로세서(12)는 A 희망방문장소로부터 B 희망방문장소로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이동시간, 및 B 희망방문장소로부터 C 희망방문장소로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이동시간을 산출한다.
3063 단계에서, 통신단말(1)의 프로세서(12)는 3061 단계에서 산출된 체류 종료 시점 및 3062 단계에서 산출된 이동시간에 기초하여, 다음 희망방문장소의 체류 시작 시점을 산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는 어느 하나의 희망방문장소의 체류 종료 시점에 해당 희망방문장소로부터 다음 희망방문장소로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이동시간을 합산함으로써 다음 희망방문장소의 체류 시작 시점을 산출한다. 또한, 통신단말(1)의 프로세서(12)는 3063 단계에서 산출된 다음 희망방문장소의 체류 시작 시점에 다음 희망방문장소의 평균 체류시간을 합산함으로써 다음 희망방문장소의 체류 종료 시점을 산출한다. 통신단말(1)의 프로세서(12)는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에 대하여 상술한 3061 단계 내지 3063 단계를 반복하여 모든 희망방문장소에 대한 체류 시작 시점 및 체류 종료 시점을 산출한다.
307 단계에서, 통신단말(1)의 프로세서(12)는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 각각에서 소요되는 소요경비와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 사이를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이동 경비를 합산한다.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 각각에서의 소요되는 소요경비와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 사이를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이동 경비를 합산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하여는 도 8과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 각각에서 소요되는 소요경비와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 사이를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이동 경비를 합산하는 단계의 상세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3에 도시된 307 단계는 다음과 같은 단계들로 구성될 수 있다. 3071 단계에서, 통신단말(1)의 프로세서(12)는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 각각에서 소요되는 소요경비를 통신단말(1)의 스토리지(14)에 저장된 여행 지역에 대한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통신단말(1)의 스토리지(14)는 각 관광 명소에서 소요되는 소요 경비를 포함하는 여행 지역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저장하고 있다. 소요 경비는 입장료, 수수료, 음식값, 각종 장비 대여료 등을 포함한다.
3072 단계에서, 통신단말(1)의 프로세서(12)는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 사이를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이동 경비를 산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통신단말(1)의 프로세서(12)는 어느 하나의 희망방문장소로부터 그 다음 희망방문장소로의 이동거리와 이동수단에 기초하여 2개의 희망방문장소 사이를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이동경비를 산출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2)는 이동수단이 택시인 경우 해당 지역의 택시 요금과 2개의 희망방문장소 사이의 거리를 이용하여 이동경비를 산출하거나, 또는 이동수단이 버스인 경우 버스 요금을 이동경비로 산출할 수 있다. 본원발명의 논점이 흐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동경비를 산출하는 방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통신단말(1)의 프로세서(12)는 작성된 여행스케줄에서 각 희망방문장소로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각 이동수단에 대한 이동경비를 산출한다.
예를 들어, A 희망방문장소, B 희망방문장소, 및 C 희망방문장소의 방문순서를 가지는 경우, 통신단말(1)의 프로세서(12)는 A 희망방문장소로부터 B 희망방문장소로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이동경비, 및 B 희망방문장소로부터 C 희망방문장소로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이동경비를 각 이동수단 별로 산출한다.
3073 단계에서, 통신단말(1)의 프로세서(12)는 3071 단계에 검색된 각 희망방문장소에서의 소요경비와 3072 단계에서 산출된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 사이를 이동하는 데에 소요되는 이동경비를 합산한다. 상술한 예시에 따르면, A 희망방문장소, B 희망방문장소, 및 C 희망방문장소에서 소요되는 소요경비, A 희망방문장소로부터 B 희망방문장소로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이동경비, 및 B 희망방문장소로부터 C 희망방문장소로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이동경비를 모두 합산한다.
308 단계에서, 통신단말(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1)는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 각각에서의 평균 체류시간과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 사이를 이동하는 데에 소요되는 이동시간에 기초하여 여행스케줄을 표시한다. 먼저, 통신단말(1)의 프로세서(12)는 상술한 305 단계에서 작성된 방문순서와 306 단계에서 산출된 각 희망방문장소의 체류 종류 시점과 체류 시작 시점, 및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 사이의 이동시간에 기초하여, 여행스케줄을 작성하고, 작성된 여행스케줄을 사용자 인터페이스(11)로 입력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1)는 작성된 여행스케줄을 사용자 인터페이스(11)의 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1)는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를 각각 표시하는 섹션을 시간의 흐름에 따라 나열하여 표시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1)의 화면 내에서 A 희망방문장소를 표시하는 A 섹션을 나열하여 표시하고, A 희망방문장소 다음 순위의 B 희망방문장소를 표시하는 B 섹션을 A 섹션 다음에 나열하여 표시한다. 여행스케줄을 표시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하여는 도 9와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도 3에 도시된 여행스케줄을 표시하는 단계의 상세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도 3에 도시된 308 단계는 다음과 같은 단계들로 구성될 수 있다. 3081 단계에서, 통신단말(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1)는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 중 제 1 희망방문장소의 명칭, 체류 시작 시점을 표시하고, 제 1 희망방문장소에서의 평균 체류시간 및 체류 종료 시점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 인터페이스(11)의 화면 내의 복수 개의 섹션 중 제 1 섹션에 표시한다.
3082 단계에서, 통신단말(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1)는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 중 제 2 희망방문장소의 명칭, 체류 시작 시점을 표시하고, 제 2 희망방문장소에서의 평균 체류시간 및 체류 종료 시점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 인터페이스(11)의 화면 내의 복수 개의 섹션 중 제 2 섹션에 표시한다.
상술한 방식으로, 통신단말(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1)는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 각각에 대한 명칭, 체류 시작 시점, 평균 체류시간, 체류 종료 시점을 사용자 인터페이스(11)의 화면 내의 복수 개의 섹션 각각에 표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11)의 화면은 각 희망방문장소를 방문순서대로 사용자 인터페이스(11)의 화면 내의 각 섹션에 표시하고, 각 희망방문장소를 표시하는 섹션에 각 희망방문장소의 명칭, 체류 시작 시점, 평균 체류시간, 및 체류 종료 시점 중 적어도 하나를 함께 표시한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1)의 화면은 어느 하나의 희망방문장소를 표시하는 섹션과 그 다음 방문순서인 희망방문장소를 표시하는 섹션 사이에 이러한 2개의 희망방문장소 사이를 이동하기 위한 복수 개의 이동수단과 복수 개의 이동수단 중 어느 하나의 이동수단에 의해 소요되는 이동시간을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통신단말(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1)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1)의 화면에 표시되는 여행스케줄에 각 희망방문장소의 소요경비와 희망방문장소 사이의 이동경비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통신단말(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1)는 3071 단계에서 검색된 각 희망방문장소의 소요경비, 3072 단계에서 산출된 희망방문장소 사이의 이동경비, 및 3073 단계에서 합산된 총 경비를 여행스케줄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통신단말(1)의 사용자 프로세서(11)는 각 희망방문장소가 표시되는 섹션에 각 희망방문장소에서의 소요경비를 표시하고, 섹션과 섹션 사이에 각 이동수단의 이동 경비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의 화면 내의 제 1 섹션에는 제 1 희망방문장소에서의 소요경비를 표시하고, 스마트폰의 화면 내의 제 2 섹션에는 제 2 희망방문장소에서의 소요경비를 표시하고, 제 1 섹션과 제 2 섹션 사이에는 제 1 섹션과 제 2 섹션 사이에서 이동하는 데에 소요되는 이동 경비를 표시한다.
또한, 통신단말(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1)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1)의 화면에 표시되는 여행스케줄에 3073 단계에서 합산된 총 경비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통신단말(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1)는 총 경비를 현지 화폐로 표시할 수 있으며, 또는 원화로 환전된 경비로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10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여행 스케줄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예시에 따르면, 스마트폰의 화면에 여행스케줄이 표시된다. 희망방문장소의 방문순서인 미케비치(다낭해변), 오행산, 선짜산(원숭이산) 및 다낭 뮤지엄 오브 참스컬프쳐 순서로 스마트폰의 화면에 순서대로 각 섹션에 표시된다. 스마트폰의 화면의 첫 번째 섹션에 첫 번째 방문순서인 미케비치(다낭해변)가 표시되고, 첫 번째 섹션에 미케 비치(다낭해변)에서의 체류 시작시간(8시), 평균 체류시간(30분)이 함께 표시된다. 희망방문장소에서 소요되는 소요 경비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예를 들어, 입장료가 없는 공원 등)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1)는 소요 경비를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두 번째 섹션에 두 번째 방문순서인 오행산이 표시되고, 두 번째 섹션에 오행산에서의 체류 시작시간(8시 40분), 평균 체류시간(1시간) 및 예상금액(입장료 및 예약수수료)이 함께 표시된다. 첫 번째 섹션과 두 번째 섹션 사이에 미케 비치(다낭해변)로부터 오행산으로 이동하기 위한 3 개의 이동수단(택시, 렌트카, 도보)과 3 개의 이동수단 중 하나인 택시에 의해 이동하는 데에 걸리는 이동시간(10분) 및 이동경비(30,000 VDN)을 표시한다.
세 번째 섹션에 세 번째 방문순서인 선짜산(원숭이산)이 표시되고, 세 번째 섹션에 선짜산(원숭이산)의 체류 시작시간(10시 20분), 및 평균 체류시간(1시간)이 함께 표시된다. 두 번째 섹션과 세 번째 섹션 사이에 오행산으로부터 선짜산(원숭이산)으로 이동하기 위한 3 개의 이동수단(택시, 렌트카, 도보)과 3 개의 이동수단 중 하나인 택시에 의해 이동하는 데에 걸리는 이동시간(44분) 및 이동경비(150,000 VDN)을 표시한다. 네 번째 섹션에 네 번째 방문순서인 다낭 뮤지엄 오브 참스컬프쳐를 첫 번째, 두 번째 및 세 번째 섹션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시된다. 도 8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각 희망방문장소의 체류 종료 시점 및 합산된 총 경비도 여행스케줄과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상술한 방식으로, 통신단말(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1)는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 각각에서의 체류 시작 시점, 평균 체류시간, 체류 종료 시점 및 소요 경비를 표시하고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 사이의 이동수단, 이동시간 및 이동경비를 여행스케줄과 함께 표시한다.
309 단계에서, 통신단말(1)의 프로세서(12)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1)를 통하여 이동수단에 대한 변경을 입력받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11)의 화면에 표시된 여행스케줄에 함께 표시되는 이동 수단을 다른 이동 수단으로 변경하는 경우, 통신단말(1)의 프로세서(12)는 사용자로부터 이동 수단의 변경을 입력받는다. 도 10을 참조하면, 스마트폰의 화면의 희망장소를 표시하는 섹션 사이에 표시된 ‘택시’, ‘렌트카’ 및 ‘도보’ 아이콘을 사용자가 터치함으로써 사용자 인터페이스(11)는 이동 수단의 변경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동 수단의 변경이 입력된 경우, 306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310 단계로 진행한다.
309 단계에서 이동 수단의 변경이 입력된 경우,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의 각각에 대한 체류 종료 시점 및 체류 시작 시점을 산출하는 306 단계로 돌아간다. 306 단계에서, 통신단말(1)의 프로세서(12)는 309 단계에서 입력된 이동 수단의 변경에 기초하여, 각 희망방문장소에 대한 체류 종료 시점 및 체류 시작 시점을 다시 산출한다. 3062 단계에서, 프로세서(12)는 변경된 이동 수단에 의해 어느 하나의 희망방문장소로부터 그 다음 희망방문장소로 이동하는 데에 소요되는 이동 시간을 다시 산출한다. 3063 단계에서, 프로세서(12)는 다시 산출된 이동 시간을 어느 하나의 희망방문장소의 체류 종료 시점과 합산함으로써 다음 희망방문장소의 체류 시작 시점을 다시 산출한다. 프로세서(12)는 상술한 방식으로 각 희망방문장소에 대한 체류 시작 시점 및 체류 종료 시점을 다시 산출한다. 구체적인 산출 방법은 상술한 305 단계와 관련된 설명으로 갈음하기로 한다.
307 단계에서, 통신단말(1)의 프로세서(12)는 309 단계에서 입력된 이동 수단의 변경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 각각에서 소요되는 소요경비와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 사이를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이동경비를 다시 합산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는 변경된 이동 수단에 의해 소요되는 이동경비를 산출한다.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 이동경비를 합산하는 단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상술한 307 단계와 관련된 설명으로 갈음하기로 한다.
308 단계에서, 통신단말(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1)는 306 단게에서 다시 산출된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 각각에서의 평균 체류시간과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 사이를 이동하는 데에 소요되는 이동시간, 및 307 단계에서 다시 산출된 소요 경비와 이동경비에 기초하여 여행스케줄을 다시 표시한다. 여행스케줄을 표시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하여는 상술한 308 단계와 관련된 설명으로 갈음하기로 한다.
309 단계에서 이동 수단의 변경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 310 단계로 진행한다. 310 단계에서, 통신단말(1)의 프로세서(12)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1)를 통하여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 중에서 어느 하나의 장소에 대한 선택 취소를 입력받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11)의 화면에 표시된 여행스케줄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 중 어느 하나의 장소를 여행스케줄에서 제외하는 경우, 통신단말(1)의 프로세서(12)는 사용자로부터 해당 희망방문장소의 선택 취소를 입력받는다. 도 10을 참조하면, 스마트폰의 화면의 각 희망방문장소를 표시하는 섹션에 포함되는 ‘삭제’ 아이콘(icon)을 사용자가 터치함으로써, 사용자 인터페이스(11)는 해당 희망방문장소의 선택 취소를 입력받을 수 있다. 어느 하나의 희망방문장소에 대한 선택 취소가 입력된 경우, 305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311 단계로 진행한다.
310 단계에서 어느 하나의 희망방문장소에 대한 선택 취소가 입력된 경우,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의 방문 순서를 작성하는 305 단계로 돌아간다. 305 단계에서, 통신단말(1)의 프로세서(12)는 선택 취소된 희망방문장소를 제외한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에 대한 선택 및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의 순위에 기초하여 방문순서를 다시 작성한다. 306 단계에서, 통신단말(1)의 프로세서(12)는 305 단계에서 다시 작성된 방문순서에 따라, 각 희망방문장소에 대한 체류 종료 시점 및 체류 시작 시점을 다시 산출한다. 구체적인 산출 방법은 상술한 305 단계와 관련된 설명으로 갈음하기로 한다.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307 단계에서, 통신단말(1)의 프로세서(12)는 3072 단계에서 합산된 총 경비에서 선택 취소된 희망방문장소에서의 소요경비와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 중 어느 하나의 희망방문장소와 선택 취소된 희망방문장소 사이를 이동하는 데에 소요되는 이동경비를 감산함으로써, 총 경비를 갱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는 어느 하나의 희망방문장소에 대한 선택 취소를 입력하기 전에,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에 대하여 합산된 총 경비에서 선택 취소된 희망방문장소에서의 소요경비, 직전 희망방문장소로부터 선택 취소된 희망방문장소로의 이동경비, 및 선택 취소된 희망방문장소로부터 다음 희망방문장소로의 이동경비를 감산함으로써, 선택 취소된 희망방문장소와 관련되는 경비를 제외하도록 총 경비를 갱신할 수 있다.
본원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307 단계에서, 통신단말(1)의 프로세서(12)는 305 단계에서 다시 작성된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의 방문순서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 각각에서 소요되는 소요경비와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 사이를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이동경비를 합산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는 선택 취소된 희망방문장소를 제외한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 각각에서의 소요되는 소요경비를 스토리지(14)에 저장된 여행 지역에 대한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 선택 취소된 희망방문장소를 제외한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 사이를 이동하는 데에 소요되는 이동경비를 산출한다.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 각각에서의 소요경비와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 이동경비를 합산하는 단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상술한 307 단계와 관련된 설명으로 갈음하기로 한다.
308 단계에서, 통신단말(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1)는 306 단계에서 선택 취소된 희망방문장소를 제외하고 다시 산출된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 각각에서의 평균 체류시간과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 사이를 이동하는 데에 소요되는 이동시간에 기초하여 여행스케줄을 표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A 희망방문장소의 선택 취소가 입력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11)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1)의 화면 내의 A 희망방문장소가 표시되는 A 섹션에서 A 희망방문장소에 대한 표시를 삭제하고, A 희망방문장소 다음의 방문장소인 B 희망방문장소가 표시되는 B 섹션에서 B 희망방문장소에 대한 표시를 삭제한다.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11)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1)의 화면 내의 A 섹션에 B 희망방문장소의 명칭, 체류 시작 시점을 표시하고, 평균 체류시간 및 체류 종료 시점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한다. 여행스케줄을 표시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하여는 상술한 308 단계와 관련된 설명으로 갈음하기로 한다.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 중 어느 하나의 장소에 대한 선택 취소와 관련하여, 도 11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여행 스케줄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및 11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도 10에 표시된 오행산을 표시하는 섹션에 포함된 ‘삭제’아이콘을 터치한 경우, 오행산이 여행 스케줄에서 제외된다. 또한, 스마트폰의 화면에 표시되는 여행 스케줄은 다시 산출된 체류 시작 시점, 체류 종료 시점 및 갱신된 총 경비를 표시한다.
310 단계에서 어느 하나의 희망방문장소에 대한 선택 취소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311 단계로 진행한다. 311 단계에서, 통신단말(1)의 프로세서(12)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1)를 통하여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 이외의 제 3 희망방문장소의 선택 추가를 입력받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11)의 화면에 표시된 여행스케줄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 이외의 어느 하나의 장소를 여행스케줄에 추가하는 경우, 통신단말(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1)는 사용자로부터 해당 희망방문장소의 선택 추가를 입력받는다. 도 10을 참조하면, 스마트폰의 화면의 각 희망방문장소를 표시하는 섹션들 사이에 표시되는 ‘추가’ 아이콘을 사용자가 터치함으로써, 프로세서(12)는 제 3 희망방문장소의 선택 추가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311 단계에서, 통신단말(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1)는 선택 추가된 제 3 희망방문장소의 순위로 함께 입력받을 수 있다. 사용자는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 중 사용자 인터페이스(11)의 화면에서 인접하여 표시된 2개의 희망방문장소 사이에 제 3 희망방문장소를 선택 추가함으로써, 제 3 희망방문장소는 인접한 2개의 순위 사이의 순위를 가지게 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스마트폰의 화면의 각 희망방문장소를 표시하는 섹션들 사이에 ‘추가’ 아이콘이 각각 표시된다. 사용자는 복수 개의 섹션 사이에 각 위치하는 ‘추가’ 아이콘을 터치함으로써 원하는 방문순위에 제 3 희망방문장소를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미케비치(다낭해변)과 오행산 사이에 제 3 희망방문장소를 추가하고 싶은 경우, 미케비치를 표시하는 섹션과 오행산을 표시하는 섹션 사이에 표시되는 ‘추가’아이콘을를 터치하여 미케비치와 오행산 사이의 순위를 갖는 제 3 희망방문장소의 선택 추가를 입력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선짜산(원숭이산)과 다낭 뮤지엄 오브 참스컬프쳐 사이에 제 3 희망방문장소를 추가하고 싶은 경우, 선짜산(원숭이산)을 표시하는 섹션과 다낭 뮤지엄 오브 참스컬프쳐를 표시하는 섹션 사이에 표시되는 ‘추가’아이콘을 터치하여 선짜산(원숭이산)과 다낭 뮤지엄 오브 참스컬프쳐 사이의 순위를 갖는 제 3 희망방문장소의 선택 추가를 입력할 수 있다. 상술한 방식으로 제 3 희망방문장소에 대한 선택 추가가 입력된 경우, 305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312 단계로 진행한다.
311 단계에서 제 3 희망방문장소에 대한 선택 추가가 입력된 경우,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의 방문 순서를 작성하는 305 단계로 돌아간다. 305 단계에서, 통신단말(1)의 프로세서(12)는 선택 추가된 희망방문장소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에 대한 선택 및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의 순위에 기초하여 방문순서를 다시 작성한다. 306 단계에서, 통신단말(1)의 프로세서(12)는 305 단계에서 다시 작성된 방문순서에 따라, 각 희망방문장소에 대한 체류 종료 시점 및 체류 시작 시점을 다시 산출한다. 구체적인 산출 방법은 상술한 305 단계와 관련된 설명으로 갈음하기로 한다.
본원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307 단계에서, 통신단말(1)의 프로세서(12)는 3072 단계에서 합산된 총 경비에서 선택 추가된 희망방문장소에서의 소요경비와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 중 어느 하나의 희망방문장소와 선택 추가된 희망방문장소 사이를 이동하는 데에 소요되는 이동경비를 합산함으로써, 총 경비를 갱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는 어느 하나의 희망방문장소에 대한 선택 추가를 입력하기 전에,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에 대하여 합산된 총 경비에서 선택 추가된 희망방문장소에서의 소요경비, 선택 추가된 희망방문장소와 직전 희망방문장소로부터 사이의 이동경비, 및 선택 추가된 희망방문장소로부터 다음 희망방문장소로의 이동경비를 합산함으로써, 선택 추가된 희망방문장소와 관련되는 경비를 포함하도록 총 경비를 갱신할 수 있다.
본원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307 단계에서, 통신단말(1)의 프로세서(12)는 305 단계에서 다시 작성된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의 방문순서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 각각에서 소요되는 소요경비와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 사이를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이동경비를 합산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는 선택 추가된 희망방문장소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 각각에서의 소요되는 소요경비를 스토리지(14)에서 검색하고, 선택 추가된 희망방문장소를 포함한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 사이를 이동하는 데에 소요되는 이동경비를 산출한다.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 각각에서의 소요경비와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 이동경비를 합산하는 단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상술한 307 단계와 관련된 설명으로 갈음하기로 한다.
308 단계에서, 통신단말(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1)는 306 단계에서 선택 추가된 희망방문장소를 포함하여 다시 산출된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 각각에서의 평균 체류시간과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 사이를 이동하는 데에 소요되는 이동시간에 기초하여 여행스케줄을 표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11)는 X 희망방문장소가 선택 추가가 입력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11)의 화면 내의 복수 개의 섹션 중 어느 하나에 X 희망방문장소의 명칭과 함께, X 희망방문장소의 체류 시작 시점을 표시하고, X 희망방문장소에서의 평균 체류시간과 체류 종료 시점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한다. 여기서, X 희망방문장소가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1)의 화면 내의 섹션은 X 희망방문장소의 순위에 따른다. 여행스케줄을 표시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하여는 상술한 308 단계와 관련된 설명으로 갈음하기로 한다.
제 3 희망방문장소에 대한 선택 추가와 관련하여, 도 12는 사용자 인터페이? 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제 3 희망방문장소를 추가하는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3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여행 스케줄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12 및 1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도 10에 표시된 선짜산(원숭이산)을 표시하는 섹션과 다낭 뮤지엄 오브 참스컬프쳐를 표시하는 섹션 사이에 표시된 ‘추가’아이콘을 터치한 경우, 선짜산(원숭이산)과 다낭 뮤지엄 오브 참스컬프쳐 사이에 제 3 희망방문장소(Babylon Steak garden)가 여행 스케줄에서 추가된다. 또한, 스마트폰의 화면에 표시되는 여행 스케줄은 다시 산출된 체류 시작 시점, 체류 종료 시점 및 갱신된 총 경비를 표시한다.
311 단계에서 제 3 희망방문장소에 대한 선택 추가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312 단계로 진행한다. 312 단계에서, 통신단말(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1)는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에 대한 각 섹션이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1)의 화면을 각 희망방문장소의 위치에 해당하는 지점에 각 희망방문장소의 순위가 표시되는 지도의 화면으로 전환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14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화면을 통해 표시되는 지도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스마트폰의 화면에 다낭 지역의 저도를 나타내는 화면이 표시되고, 스마트폰의 화면에 표시된 지도 상에 희망방문장소인 미케비치(다낭해변), 오행산, 선짜산(원숭이산) 및 다낭 뮤지엄 오브 참 스컬프쳐의 위치에 해당하는 지점에 미케비치(다낭해변), 오행산, 선짜산(원숭이산) 및 다낭 뮤지엄 오브 참 스컬프쳐의 순위가 표시된다. 도 10 및 14를 참조하면, 스마트폰의 화면에 표시되는 지도에서 1순위를 가진 미케 비치(다낭 해변)의 위치에 해당하는 지점에 ‘1’이 표시되고, 2순위를 가진 오행산의 위치에 해당하는 지점에 ‘2’가 표시되고, 3순위를 가진 선짜산(원숭이산)의 위치에 해당하는 지점에 ‘3’이 표시되고, 그리고 4순위를 가진 다낭 뮤지엄 오브 참 스컬프쳐의 위치에 해당하는 지점에 ‘4’가 표시된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1)의 화면에 표시되는 지도의 화면에 각 희망방문장소 사이에서 이동하는 경로가 지도 상에 함께 표시된다. 도 14를 참조하면, 1순위인 미케비치(다낭해변)로부터 2순위인 오행산으로 이동하는 경로, 2순위인 오행산으로부터 3순위인 선짜산(원숭이산)으로 이동하는 경로, 3순위인 선짜선(원숭이산)으로부터 4순위인 다낭 뮤지엄 오므 참 스컬프쳐로 이동하는 경로가 지도의 화면에 각 장소의 위치와 함께 표시된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1)의 화면은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의 방문순서를 지도를 표시하는 섹션과 상이한 섹션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지도를 표시하는 화면의 하단에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의 방문순서를 표시한다.
313 단계에서, 통신단말(1)의 프로세서(12)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1)를 통하여 지도의 화면에 표시된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의 순위를 뒤바꾸는 요청을 입력받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11)의 화면에 표시된 지도에 표시된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의 방문순서를 변경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의 순위를 변경하는 경우, 통신단말(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1)는 사용자로부터 희망방문장소의 순위를 뒤바꾸는 요청을 입력받는다.
이와 관련하여, 도 14을 참조하면, 스마트폰의 화면의 하단에 표시되는 방문순서에 표시되는 ‘
Figure 112018083268123-pat00001
’아이콘을 사용자가 터치함으로써, 사용자 인터페이스(11)는 희망방문장소의 순위를 뒤바꾸는 요청을 입력받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스마트폰의 화면에 표시되는 방문순서에서 순위의 변경을 원하는 2개의 희망방문장소의 ‘
Figure 112018083268123-pat00002
’아이콘을 터치하여 순위를 뒤바꿀 수 있다. 상술한 방식으로 희망방문장소의 순위를 뒤바꾸는 요청이 입력된 경우, 305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작성된 여행 스케줄을 통신단말(1)의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313 단계에서 희망방문장소의 순위를 뒤바꾸는 요청이 입력된 경우,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의 방문 순서를 작성하는 305 단계로 돌아간다. 305 단계에서, 통신단말(1)의 프로세서(12)는 뒤바뀐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의 순위에 기초하여 방문순서를 다시 작성한다. 306 단계에서, 통신단말(1)의 프로세서(12)는 305 단계에서 다시 작성된 방문순서에 따라, 각 희망방문장소에 대한 체류 종료 시점 및 체류 시작 시점을 다시 산출한다. A 희망방문장소와 A 희망방문장소의 다음 순위인 B 희망방문장소의 순위를 뒤바꾸는 요청이 사용자 인터페이스(11)에 입력된 경우, 프로세서(12)는 B 희망방문장소의 체류 시작 시점에 B 희망방문장소의 평균 체류시간을 합산하여 B 희망방문장소의 체류 종료 시점을 산출하고, B 희망방문장소의 체류 종료 시점에 B 희망방문장소로부터 A 희망방문장소로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이동시간을 합산하여 A 희망방문장소의 체류 시작 시점을 산출한다. 구체적인 체류 종료 시점 및 체류 시작 시점을 산출하는 방법은 상술한 305 단계와 관련된 설명으로 갈음하기로 한다.
307 단계에서, 통신단말(1)의 프로세서(12)는 305 단계에서 다시 작성된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의 방문순서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 각각에서 소요되는 소요경비와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 사이를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이동경비를 합산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2)는 재작성된 방문순서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 사이를 이동하는 데에 소요되는 이동경비를 산출한다.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 각각에서의 소요경비와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 이동경비를 합산하는 단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상술한 307 단계와 관련된 설명으로 갈음하기로 한다.
308 단계에서, 통신단말(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11)는 306 단계에서 다시 산출된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 각각에서의 평균 체류시간과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 사이를 이동하는 데에 소요되는 이동시간에 기초하여 여행스케줄을 표시한다. 여행스케줄을 표시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하여는 상술한 308 단계와 관련된 설명으로 갈음하기로 한다.
희망방문장소의 순위를 뒤바꾸는 요청과 관련하여, 도 15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화면에서 순위가 뒤바뀐 지도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6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화면에서 순위가 뒤바뀐 여행 스케줄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미케비치(다낭해변), 오행산, 선짜산(원숭이산) 및 다낭 뮤지엄 오브 참 스컬프쳐가 각각 1, 2, 3 및 4 순위를 가지는 여행 스케줄이 스마트폰의 화면에 표시되고, 사용자가 미케비치(다낭해변)와 오행산의 순위를 변경하기 위하여 미케비치(다낭해변)와 오행산의 ‘
Figure 112018083268123-pat00003
’아이콘을 터치한 경우, 미케비치(다낭해변)와 오행산의 순위가 뒤바뀐다. 도 15 및 16을 참조하면, 오행산, 미케비치(다낭해변), 선짜산(원숭이산) 및 다낭 뮤지엄 오브 참 스컬프쳐가 각각 1, 2, 3 및 4 순위를 가지는 여행 스케줄이 스마트폰의 화면에 표시된다. 또한, 스마트폰의 화면에 표시되는 방문순서와 지도 상의 이동경로가 뒤바뀐 순위에 따라 다시 표시된다. 스마트폰의 화면에 표시되는 여행 스케줄은 다시 산출된 체류 시작 시점, 체류 종료 시점 및 갱신된 총 경비를 표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통신단말(1)의 프로세서(12)에서 수행되는 단계들은 서버(2)의 프로세서(21)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서버(2)의 프로세서(21)에서 수행되는 경우, 통신단말(1)은 사용자 인터페이스(11)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가 여행하기를 희망하는 지역에 대한 선택,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에 대한 선택, 체류 시작 시점 등과 같은 정보를 서버(2)로 송신한다. 서버(2)는 통신단말(1)로부터 송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단계들을 수행하고 수행결과를 통신단말(1)로 송신하고, 통신단말(1)은 사용자 인터페이스(11)를 통하여 수행결과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사용자가 자신의 여행하기를 희망하는 지역에서 방문하고자 하는 장소들로 구성되는 여행 스케줄을 간편하고 빠르게 작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여행가기 전에 여행 스케줄을 작성하는 데에 걸리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여행 스케줄링 서비스 방법은 작성된 여행 스케줄을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이용하여 아이콘을 함께 표시하여, 별도의 매뉴얼이 없이도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여행 스케줄링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자신만의 여행 스케줄을 작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여행 스케줄링 서비스 방법에 의해 작성된 여행 스케줄에 각 방문 장소에서의 평균 체류시간, 체류 시작 시점 및 체류 종료 시점을 표시하고, 각 장소에서의 소요되는 소요 경비와 이동경비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여행 스케줄을 파악할 수 있으며, 여행에 필요한 총 경비를 예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표시되는 화면 상에서 간편한 조작으로 여행 스케줄을 변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하나의 지역에서 다양한 여행 스케줄을 작성해 볼 수 있으며, 작성된 다양한 여행 스케줄을 비교함으로써, 자신에게 더 적합한 여행 스케줄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화면에 표시되는 여행 스케줄에서 일부 장소를 취소하거나 추가하거나 또는 방문 순서를 뒤바꾸는 것과 같이 여행 스케줄을 변경하는 경우, 변경된 여행 스케줄에 따라 여행 스케줄의 타임 테이블과 여행 경비를 바로 갱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간단하게 여행 스케줄을 변경할 수 있으며, 변경된 여행 스케줄을 사용자에게 빠르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통신단말
11: 사용자 인터페이스 12: 프로세서
13: 통신부 14: 스토리지
2: 서버
21: 프로세서 22: 통신부
23: 스토리지

Claims (13)

  1.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반의 여행 스케줄링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통신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복수 개의 여행지역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통신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복수 개의 여행지역 중에서 상기 사용자가 여행하기를 희망하는 어느 하나의 지역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통신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선택된 지역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장소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통신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복수 개의 장소 중에서 상기 사용자가 방문하기를 희망하는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에 대한 선택 및 상기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의 순위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통신단말의 프로세서에서, 상기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 사이를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이동경비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통신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 각각에서의 평균 체류시간과 상기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 사이를 이동하는 데에 소요되는 이동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 각각이 표시된 복수 개의 섹션으로 표시되는 여행 스케줄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통신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복수 개의 개의 희망방문장소 각각에 대한 복수 개의 섹션이 표시된 화면을 상기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 각각의 위치에 해당하는 지점에 각 희망방문장소의 순위와 상기 각 희망방문장소 사이에서 이동하는 경로가 표시되는 지도의 화면으로 전환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 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지도의 화면에 표시된 상기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의 순위를 뒤바꾸는 요청을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여행 스케줄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 중 제 1 희망방문장소의 명칭과 함께 상기 제 1 희망방문장소의 체류 시작 시점을 표시하고, 상기 제 1 희망방문장소에서의 평균 체류시간과 상기 제 1 희망방문장소의 체류 종료 시점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화면 내의 제 1 섹션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 중 제 2 희망방문장소의 명칭과 함께 상기 제 2 희망방문장소의 체류 시작 시점을 표시하고, 상기 제 2 희망방문장소에서의 평균 체류시간과 상기 제 2 희망방문장소의 체류 종료 시점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화면 내의 제 2 섹션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섹션과 상기 제 2 섹션 사이에 상기 제 1 희망방문장소로부터 상기 제 2 희망방문장소로 이동하기 위한 복수 개의 이동수단, 상기 복수 개의 이동수단 중 어느 하나의 이동수단에 의해 소요되는 이동시간 및 이동경비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여행 스케줄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섹션과 상기 제 2 섹션을 시간 흐름에 따라 나열하여 표시하고,
    상기 여행 스케줄링 서비스 방법은
    상기 통신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 1 희망방문장소로부터 상기 제 2 희망방문장소로 이동하기 위한 이동수단에 대한 변경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통신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상기 제 1 희망방문장소의 선택 취소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통신단말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선택된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 이외의 제 3 희망방문장소의 선택 추가와 상기 제 3 희망방문장소의 순위를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의 순위를 뒤바꾸는 요청이 입력된 경우, 상기 지도의 화면이 변경된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의 순위와 상기 변경된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 사이에서 이동하는 경로를 표시하고,
    상기 이동경비를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수단에 대한 변경이 입력되면 이동수단의 변경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 사이를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이동경비를 다시 산출하고, 상기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의 순위를 뒤바꾸는 요청이 입력되면 상기 변경된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 사이를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이동경비를 다시 산출하고, 상기 제 1 희망방문장소의 선택 취소가 입력되면 상기 선택 취소된 제 1 희망방문장소를 제외한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 사이를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이동경비를 다시 산출하고, 상기 제 3 희망방문장소의 선택 추가가 입력되면 상기 선택 추가된 제 3 희망방문장소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 사이를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이동경비를 다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 스케줄링 서비스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단말의 프로세서에서, 상기 제 1 희망방문장소의 체류 시작 시점에 상기 제 1 희망방문장소에서의 평균 체류시간을 합산함으로써 상기 제 1 희망방문장소의 체류 종료 시점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섹션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섹션에 상기 제 1 희망방문장소의 명칭과 함께 상기 제 1 희망방문장소의 체류 시작 시점을 표시하고, 상기 산출된 제 1 희망방문장소의 체류 종료 시점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 스케줄링 서비스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희망방문장소의 체류 종료 시점에 상기 제 1 희망방문장소로부터 상기 제 2 희망방문장소로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이동시간을 합산함으로써 상기 제 2 희망방문장소의 체류 시작 시점을 산출하고, 상기 제 2 희망방문장소의 체류 시작 시점에 상기 제 2 희망방문장소에서의 평균 체류시간을 합산함으로써 상기 제 2 희망방문장소의 체류 종료 시점을 산출하고,
    상기 제 2 섹션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섹션에 상기 제 2 희망방문장소의 명칭과 함께 상기 산출된 제 2 희망방문장소의 체류 시작 시점을 표시하고, 상기 산출된 제 2 희망방문장소의 체류 종료 시점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 스케줄링 서비스 방법.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섹션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희망방문장소에서의 소요 경비를 더 표시하고,
    상기 제 2 섹션에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희망방문장소에서의 소요 경비를 더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 스케줄링 서비스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단말의 프로세서에서, 상기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에서의 소요 경비와 상기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 사이를 이동하는 데에 소요되는 이동 경비를 합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여행 스케줄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합산된 경비를 더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 스케줄링 서비스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여행 스케줄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희망방문장소의 선택 취소가 입력되면, 상기 제 1 섹션으로부터 상기 제 1 희망방문장소에 대한 표시를 삭제함과 동시에 상기 제 2 섹션으로부터 상기 제 2 희망방문장소에 대한 표시를 삭제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섹션에 상기 제 2 희망방문장소의 명칭과 함께 상기 제 2 희망방문장소의 체류 시작 시점을 표시하고, 상기 제 2 희망방문장소에서의 평균 체류시간과 상기 제 2 희망방문장소의 체류 종료 시점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 스케줄링 서비스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단말의 프로세서에서, 상기 제 1 희망방문장소의 순위가 상기 제 2 희망방문장소의 순위보다 앞서는 경우, 상기 제 1 희망방문장소의 체류 시작 시점에 상기 제 1 희망방문장소에서의 평균 체류시간을 합산함으로써 상기 제 1 희망방문장소의 체류 종료 시점을 산출하고, 상기 제 1 희망방문장소의 체류 종료 시점에 상기 제 1 희망방문장소로부터 상기 제 2 희망방문장소로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이동시간을 합산함으로써 상기 제 2 희망방문장소의 체류 시작 시점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 스케줄링 서비스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산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희망방문장소의 체류 시작 시점에 상기 제 2 희망방문장소에서의 평균 체류시간을 합산함으로써 상기 제 2 희망방문장소의 체류 종료 시점을 산출하고, 상기 제 2 희망방문장소의 체류 종료 시점에 상기 제 2 희망방문장소로부터 상기 제 1 희망방문장소로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이동시간을 합산함으로써 상기 제 1 희망방문장소의 체류 시작 시점을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 스케줄링 서비스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여행 스케줄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 3 희망방문장소의 선택 추가가 입력되면, 상기 제 3 희망방문장소의 순위에 따라 상기 제 1 섹션, 상기 제 2 섹션,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화면 내의 제 3 섹션 중 어느 하나에 명칭과 함께 상기 제 3 희망방문장소의 체류 시작 시점을 표시하고, 상기 제 3 희망방문장소에서의 평균 체류시간과 상기 제 3 희망방문장소의 체류 종료 시점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행 스케줄링 서비스 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제 1 항의 방법에 따른 여행 스케줄링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
KR1020180098035A 2018-08-22 2018-08-22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반의 여행 스케줄링 서비스 방법 및 통신단말 KR1020072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8035A KR102007270B1 (ko) 2018-08-22 2018-08-22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반의 여행 스케줄링 서비스 방법 및 통신단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8035A KR102007270B1 (ko) 2018-08-22 2018-08-22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반의 여행 스케줄링 서비스 방법 및 통신단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7270B1 true KR102007270B1 (ko) 2019-08-06

Family

ID=67612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8035A KR102007270B1 (ko) 2018-08-22 2018-08-22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반의 여행 스케줄링 서비스 방법 및 통신단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727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4587B1 (ko) * 2020-03-06 2021-03-08 윤원영 여행 계획 생성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여행 계획 생성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210096503A (ko) 2020-01-28 2021-08-05 유한회사 트립본 디지털 콘텐츠 이용에 따른 여행 설계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6036A (ko) * 2011-07-08 2013-01-16 김정민 스마트 여행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140113808A (ko) * 2013-03-14 2014-09-2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여행 일정 생성 방법 및 시스템
KR20170112085A (ko) * 2016-03-30 2017-10-12 송우석 여행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886966B1 (ko) * 2017-04-18 2018-08-08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맞춤형 여행계획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6036A (ko) * 2011-07-08 2013-01-16 김정민 스마트 여행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140113808A (ko) * 2013-03-14 2014-09-2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여행 일정 생성 방법 및 시스템
KR20170112085A (ko) * 2016-03-30 2017-10-12 송우석 여행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886966B1 (ko) * 2017-04-18 2018-08-08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맞춤형 여행계획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96503A (ko) 2020-01-28 2021-08-05 유한회사 트립본 디지털 콘텐츠 이용에 따른 여행 설계 장치
KR102224587B1 (ko) * 2020-03-06 2021-03-08 윤원영 여행 계획 생성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여행 계획 생성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avalas et al. Scenic route planning for tourists
US9983021B1 (en) Time-inclusive route and trip planning
CN105051494B (zh) 具有若干个用户界面的地图绘制应用程序
CN107407572B (zh) 沿路线搜索
JP3987877B2 (ja) 地図情報更新装置および地図情報更新方法
US20180172458A1 (en) Travel planning system, travel planning method, and program
JP4045303B2 (ja) 地図情報更新装置および地図情報更新方法
CN103620640A (zh) 定制旅行路线系统
US20130325553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nd converting sales opportunities
JP2009217397A (ja) スケジュール管理装置、スケジュール管理方法、スケジュール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20090078658A (ko) 여행정보 관리 장치 및 그 방법
JP2003517164A (ja) ユーザー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と方法
WO2015068955A1 (ko) 여행 일정 제작 및 관리 방법, 서버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EP4019903A1 (en) Dynamic tourist travel planner service
JP4737645B2 (ja) 情報配信システム、情報配信方法および情報配信サーバならびに端末装置
JP2019046256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KR102007270B1 (ko)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반의 여행 스케줄링 서비스 방법 및 통신단말
CN113704379B (zh) 基于全行程的旅游行程生成方法、系统及存储介质
CN105631781A (zh) 自动化导游方法
US20130253963A1 (en) Interactive mapping system and related methods
KR102362369B1 (ko) 여행스케줄링 기반의 쇼퍼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JP4271107B2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KR100826906B1 (ko) 인터넷을 이용한 여행지도 시스템
KR102069304B1 (ko) 여행스케줄링 기반의 쇼퍼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JP4045304B2 (ja) 地図情報更新装置および地図情報更新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