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6503A - 디지털 콘텐츠 이용에 따른 여행 설계 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콘텐츠 이용에 따른 여행 설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6503A
KR20210096503A KR1020200010042A KR20200010042A KR20210096503A KR 20210096503 A KR20210096503 A KR 20210096503A KR 1020200010042 A KR1020200010042 A KR 1020200010042A KR 20200010042 A KR20200010042 A KR 20200010042A KR 20210096503 A KR20210096503 A KR 202100965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vel
digital
visitor
information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0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5941B1 (ko
Inventor
신동원
김도형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트립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트립본 filed Critical 유한회사 트립본
Priority to KR1020200010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5941B1/ko
Publication of KR20210096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6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5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59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4Travel agenc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콘텐츠 이용에 따른 여행 설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콘텐츠 이용에 따른 여행 설계 장치(1)에 있어서,
접속자가 관리자에 의해 사전 분석된 여행 관련 디지털 콘텐츠를 조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여행콘텐츠조회수단(100);과, 상기 디지털여행콘텐츠조회수단(100)으로부터 제공되는 여행 관련 디지털 콘텐츠 중, 접속자에 의해 조회, 이용된 여행 관련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이용 정보를 기록, 분석하여 여행을 설계하는 여행설계수단(200); 및 상기 여행설계수단(200)을 통해 분석된 접속자에 맞는 여행 정보를 결과로 제공하는 여행정보제공수단(300);으로 구성되어,
접속자가 단순히 디지털여행콘텐츠조회수단(100)을 통해 여행과 관련된 디지털 콘텐츠를 소비하는 것만으로도 여행이 설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여행설계수단(200)은,
접속자에 의해 디지털여행콘텐츠조회수단(100)으로부터 조회, 검색, 이용되는 여행 관련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정보 및 여행 관련 디지털 콘텐츠를 이용하는 접속자의 패턴(양상)을 실시간 기록하는 디지털여행콘텐츠이용패턴수집부(210);와, 상기 디지털여행콘텐츠이용패턴수집부(210)에 실시간 기록되는 여행 관련 디지털 콘텐츠 및 이를 이용하는 접속자의 패턴(양상)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는 여행관련정보분석부(220); 및 상기 여행관련정보분석부(220)로부터 분석된 여행과 관련된 정보를 바탕으로 접속자의 여행 정보를 설계하는 여행설계부(230);로 구성되되,
여행관련정보분석부(220)에는,
접속자가 디지털여행콘텐츠조회수단(100)을 통해 조회, 검색, 이용하는 여행 관련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사전 분석하는 디지털여행콘텐츠사전분석모듈(221);과, 상기 디지털여행콘텐츠사전분석모듈(221)로부터 분석된 디지털 콘텐츠 이외에 접속자에 의해 조회, 검색, 이용되는 여행 관련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동적 분석하는 디지털여행콘텐츠동적분석모듈(222);과, 접속자에 의한 여행 관련 디지털 콘텐츠 소비에 따라 지속적으로 접속자의 여행 성향을 분석할 수 있도록 여행 관련 디지털 콘텐츠를 추천하는 디지털여행콘텐츠추천모듈(223); 및 접속자가 자신의 여행 성향을 직접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여행콘텐츠설정모듈(224);로 구성되어,
접속자의 여행 정보가 설계되도록 하고,
이에 더하여, 디지털 콘텐츠 이용에 따른 여행 설계 장치(1)에는,
접속자에 의해 소셜 네트워크에 기록, 저장된 정보를 바탕으로, 접속자의 정보를 분석, 접속자에게 적합한 최적의 여행이 설계되도록 하는 접속자성향분석수단(400);이 더 포함, 구성되어,
접속자성향분석수단(400)을 통해 분석된 접속자에 대한 정보를 활용, 보다 접속자에 맞는 최적의 여행이 설계되도록 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접속자가 여행을 계획하기 위해 단순히 여행과 관련된 디지털 콘텐츠를 조회, 검색, 이용하는 것만으로 접속자의 성향에 맞는 최적의 여행이 설계되도록 함으로서, 여행 계획을 위해 소요되는 접속자의 준비 시간 낭비의 방지는 물론, 여행을 준비하는 과정 및 설계된 여행에서의 최적의 여행 스케줄 및 이에 대응하여 제공되는 여행 관련 정보(숙소, 경비, 여행 일정, 여행 지역, 장소, 먹거리, 체험, 기념품 등)로 인해 여행 계획의 용이성, 여행의 효율성 및 효용성이 제고(提高)되도록 한다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콘텐츠 이용에 따른 여행 설계 장치{Apparatus for forming individual-customized travel schedule}
본 발명은 디지털 콘텐츠 이용에 따른 여행 설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접속자가 여행을 계획하기 위해 여행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조회, 검색, 이용하는 것만으로 접속자의 성향에 맞는 여행을 설계하고, 이를 접속자에게 제공함으로서, 여행 준비의 용이성이 제고(提高)되도록 하는 디지털 콘텐츠 이용에 따른 여행 설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행이란, 일이나 관광의 목적으로 다른 지역이나 외국에 나가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여행을 계획하는 자(者)는 현지 상황에 대해 잘 모르는 상태이며, 이를 보완하기 위해 관광 가이드북과 같이 해당 지역의 정보가 담긴 책이나 콘텐츠를 이용한다.
특히, 최근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로 다수의 디지털 매체를 통해 전달되는 여행 콘텐츠를 이용하는 것이 여행 준비 단계의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여행을 계획하는 자(者)가 가장 많이 시간을 할애하는 부분이기도 하다.
뿐만 아니라, 여행을 계획하는 자(者)는 이러한 정보 이외에도 숙박이나 교통에 대한 정보도 필요하며, 자신의 일정에 맞게 관광 스케줄을 계획해야 한다.
이러한, 여행 스케줄링과 설계는 해당 지역의 정보를 본인이 스스로 검색하여 하나하나 직접 예약하고, 경로를 설정함으로서 완성할 수 있다.
즉, 아무리 여행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접하여도, 단순히 여행 콘텐츠를 이용하는 것만으로는 스스로 여행을 진행하는 데 필요한 구체적인 여행 계획을 위한 여행지 선정, 숙박지 선정 등을 하기에는 어렵고, 이전에 이용한 콘텐츠의 내용을 바탕으로 여행을 계획하기에는, 콘텐츠의 내용을 확인하면서 일일이 별도의 기록과 분석, 정리가 반드시 필요하다.
또한, 디지털 여행 콘텐츠 시장이 확대됨에 따라 여행을 계획하는 자(者)가 양질의 정확하며 현시적인 정보를 선별하기에 어려움이 있으며, 단순히 디지털 콘텐츠를 이용하는 것만으로 합리적인 비용으로 여행을 설계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즉,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행 설계 방법은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며, 좀 더 양질의 정보를 놓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여행 설계의 다른 방법으로는 여행사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지만, 여행사는 여행을 주체하고, 서비스하는 업체로서, 현지 상황에 대해 잘 모르는 여행을 계획하는 자(者)에 비해 양질의 정보를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여행사를 이용할 경우, 더욱 편리하게 여행 일정을 계획할 수는 있으나, 자신에 맞는 여행 일정 보다는 자신이 따라야 하는 여행 일정이 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여행 계획을 위해 여행사를 이용하거나, 미리 정해진 패키지 여행을 이용할 수 있지만, 여행의 세부적인 계획과 합리적인 여행 소비를 위해서는, 여행을 계획하는 자(者)가 정보를 모으기 위한 별도의 시간이 필요하며, 시간을 할애하는 과정 중, 상기와 같은 많은 시간을 소비하여 수집한 정보를 확인하면서 메모하고, 일정과 동선을 계획하거나, 미리 대중적으로 짜여진 일정에 자신을 맞춰야 하는 등, 여행을 계획하는 데 있어 발생되는 동일한 문제점들이 반복된다.
그러므로, 여행을 계획하는 자(者)의 디지털 콘텐츠 이용과, 여행 설계 사이에는 별도의 공수가 필요하며, 이러한 괴리의 해결이 필요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정보 통신 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모두 여행을 계획하는 자(者)의 별도의 디지털 콘텐츠 이용과 기록, 분석을 요구하며, 여행 설계 자체에 도움을 주지만, 정보 콘텐츠 이용과 그를 이용한 여행 설계로의 연결에는 큰 도움을 주지 못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행을 계획하는 자(者)가 인터넷을 통해 단순히 여행과 관련된 콘텐츠를 소비하는 것만으로, 별도의 기록이나 정보 수집 없이, 여행을 계획하는 자(者)에 맞는 여행이 무엇인지 설계해주는 여행 설계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디지털 콘텐츠 소비를 이용한 여행 설계 장치에 관한 선행기술로서,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90745호의 "여행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방법"(이하, '선행기술 1'이라 함.)은,
여행지 선택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입력된 여행지 선택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여행지 선택 데이터의 위치를 출력하는 단계, 출력된 위치가 복수인 경우, 복수의 위치를 연결하는 경로를 입력받는 단계 및 입력된 경로에 포함된 복수의 위치 간 이동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통해, 패키지 여행에서 벗어나 자신만의 개별 여행을 만들고자 하는 소비자의 니즈를 충족시키고, 본인만의 요구를 해소시키면서도 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직관적인 지도에 표시된 경로로 사용자에게 여행지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직관적인 데이터를 기반으로 스케줄을 자동으로 생성함으로서, 사용자가 생성된 스케줄을 재검증하는 시간을 할애하지 않아도 되는, 여행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선행기술로는,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07270호의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반의 여행 스케줄링 서비스 방법 및 통신단말"(이하, '선행기술 2'라 함.)은,
복수 개의 여행지역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복수 개의 여행지역 중에서 사용자가 여행하기를 희망하는 어느 하나의 지역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고, 선택된 지역에 위치하는 복수 개의 장소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복수 개의 장소 중에서 사용자가 방문하기를 희망하는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고, 그리고,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 각각에서의 평균 체류시간과 복수 개의 희망방문장소 사이를 이동하는 데에 소요되는 이동시간에 기초하여 여행 스케줄을 표시함으로서,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여행 스케줄을 빠르게 제공하는,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반의 여행 스케줄링 서비스 방법 및 통신단말에 관한 것이다.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 선행기술 1 내지 선행기술 2는,
본 발명과 동일한 기술분야로서, 본 발명과 대비하여 포괄적인 관점에서의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에 있어 일부 유사, 동일한 기술적 개념이 존재하지만,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해결수단에 있어 차이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선행기술 1 내지 선행기술 2를 포함한 종래의 여행 스케줄링과 관련된 기술과는 다른, 본 발명만의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발명의 목적), 이를 해결하기 위한 해결수단(구성요소) 및 이를 해결함으로서 발휘되는 더 나은 효과를 기반으로, 그 기술적 특징을 꾀하고자 한다.
(문헌 0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90745호 (2017.10.20. 등록) (문헌 0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07270호 (2019.07.30. 등록)
본 발명은 상기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여행을 계획하는 접속자가 통신망을 통해 조회, 검색, 이용한 여행과 관련된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정보와 이용 정보를 기록, 분석, 분석된 정보를 바탕으로, 여행을 자동으로 설계하는 여행 설계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체적인 여행 설계뿐만 아니라, 설계된 여행에 맞는 구체적인 정보(예를 들어, 숙소, 여행 상품, 여행 코스, 여행 준비 과정 등)를 추천하는 여행 설계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디지털 콘텐츠 이용에 따른 여행 설계 장치에 있어서,
접속자가 관리자에 의해 사전 분석된 여행 관련 디지털 콘텐츠를 조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여행콘텐츠조회수단;
상기 디지털여행콘텐츠조회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여행 관련 디지털 콘텐츠 중, 접속자에 의해 조회, 이용된 여행 관련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이용 정보를 기록, 분석하여 여행을 설계하는 여행설계수단;
상기 여행설계수단을 통해 분석된 접속자에 맞는 여행 정보를 결과로 제공하는 여행정보제공수단;으로 구성되어,
접속자가 단순히 디지털여행콘텐츠조회수단을 통해 여행과 관련된 디지털 콘텐츠를 소비하는 것만으로도 여행이 설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여행설계수단은,
접속자에 의해 디지털여행콘텐츠조회수단으로부터 조회, 검색, 이용되는 여행 관련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정보 및 여행 관련 디지털 콘텐츠를 이용하는 접속자의 패턴(양상)을 실시간 기록하는 디지털여행콘텐츠이용패턴수집부;
상기 디지털여행콘텐츠이용패턴수집부에 실시간 기록되는 여행 관련 디지털 콘텐츠 및 이를 이용하는 접속자의 패턴(양상)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는 여행관련정보분석부;
상기 여행관련정보분석부로부터 분석된 여행과 관련된 정보를 바탕으로 접속자의 여행 정보를 설계하는 여행설계부;로 구성되되,
여행관련정보분석부에는,
접속자가 디지털여행콘텐츠조회수단을 통해 조회, 검색, 이용하는 여행 관련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사전 분석하는 디지털여행콘텐츠사전분석모듈;
상기 디지털여행콘텐츠사전분석모듈로부터 분석된 디지털 콘텐츠 이외에 접속자에 의해 조회, 검색, 이용되는 여행 관련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동적 분석하는 디지털여행콘텐츠동적분석모듈;
접속자에 의한 여행 관련 디지털 콘텐츠 소비에 따라 지속적으로 접속자의 여행 성향을 분석할 수 있도록 여행 관련 디지털 콘텐츠를 추천하는 디지털여행콘텐츠추천모듈;
접속자가 자신의 여행 성향을 직접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여행콘텐츠설정모듈;로 구성되어,
접속자의 여행 정보가 설계되도록 하고,
이에 더하여, 디지털 콘텐츠 이용에 따른 여행 설계 장치에,
접속자에 의해 소셜 네트워크에 기록, 저장된 정보를 바탕으로, 접속자의 정보를 분석, 접속자에게 적합한 최적의 여행이 설계되도록 하는 접속자성향분석수단;이 더 포함, 구성되어,
접속자성향분석수단을 통해 분석된 접속자에 대한 정보를 활용, 보다 접속자에 맞는 최적의 여행이 설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는 특허등록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1. 여행을 계획하는 접속자가 단순히, 여행과 관련된 디지털 콘텐츠를 조회, 검색, 이용하는 것만으로 접속자의 여행이 설계되도록 한다.
즉, 접속자가 통신망을 통해 조회, 검색, 이용하는 여행과 관련된 다양한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정보와 이용 정보를 기록, 분석하고, 분석된 정보를 바탕으로, 접속자에게 맞는 여행이 자동으로 설계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접속자가 여행과 관련된 미디어 콘텐츠를 조회, 검색할 때, 어떤 문자(나라, 지역, 테마, 명소 등)를 선택하거나, 특정 기준 없이 단순 노출되어 있는 여행 관련 디지털 콘텐츠를 바로 이용하고, 그 어떤 단어의 검색 또는 접속자가 이용한 여행 관련 디지털 콘텐츠로부터 제공되는 다양한 정보 중, 어떤 여행 관련 디지털 콘텐츠(글, 영상, 동영상 등)를 이용하며, 이용하는 특정 디지털 콘텐츠의 어느 부분을 집중해서 살펴보는 지 등, 여행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검색, 이용하는 접속자의 행위를 분석하여, 여행 스케줄이 계획되도록 한다.
2. 일일이 별도로 여행을 위해 어떠한 정보를 기록, 저장할 필요가 없다.
3. 여행이 점(點)이 아닌 영역(area) 단위 또는 그 영역(area)과 연계된 단위로 여행이 되도록 설계된다.
즉, 목적지와 목적지가 단순히 점(點)으로 형성되어, 이를 길게 연결하는 여행이 아닌, 영역(area) 단위 또는 그 영역(area)과 연계된 단위로 형성된 여행을 설계함으로서, 보다 실제 여행자들의 여행 행동에 맞춰 여행이 설계되도록 하며, 여행자가 점(點)으로 형성된 여행을 설계할 때, 놓칠 수 있는 부분이 보완되도록 한다.
4. 여행을 설계함에 있어, 인터넷상에서 추적하여 확인할 수 있는 접속자의 기록 정보(예를 들어, 블로그, 트위터, 페이스북 등)를 분석하여, 보다 접속자의 성향에 맞는 최적의 여행이 설계되도록 한다.
즉, 개인의 성향(성격, 라이프 스타일, 종교 등)을 함께 분석하여, 예를 들어, 타이트(tight)한 여행을 제공한다거나, 루즈(loose)한 여행을 제공한다거나, 도전적인 여행 또는 보수적인 형태의 여행이 설계되도록 한다.
5. 또한, 전체적인 여행 설계뿐만 아니라, 그 여행에 자연스럽게 연결되는 세부적인 스케줄 및 여행 관련 정보(숙소, 경로, 경비, 여행 일정, 여행 지역, 장소, 먹거리, 체험 상품, 여행 서비스 등)를 제공하여, 접속자가 만족도 높은 여행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접속자는 여행을 계획하기 위해 단순히 여행과 관련된 디지털 콘텐츠를 소비하는 것만으로, 접속자에게 맞는 여행 및 이에 따른 세부적인 여행 관련 정보가 제공되도록 함으로서, 여행을 준비하는 과정의 용이성, 여행 시간 활용의 효율성 및 효용성, 접속자의 여행 만족도가 극대화되도록 하는 매우 효과적인 발명이라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인 디지털 콘텐츠 이용에 따른 여행 설계 장치에 대한 개념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디지털 콘텐츠 이용에 따른 여행 설계 장치에 대한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디지털 콘텐츠 이용에 따른 여행 설계 장치로부터 접속자에게 출력되는 화면의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디지털 콘텐츠 이용에 따른 여행 설계 장치의 전체 블록도를 간략하게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디지털 콘텐츠 이용에 따른 여행 설계 장치에 대한 선행기술의 대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디지털 콘텐츠 이용에 따른 여행 설계 장치(1)에 대한 기능,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디지털 콘텐츠 이용에 따른 여행 설계 장치에 대한 개념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2는 본 발명인 디지털 콘텐츠 이용에 따른 여행 설계 장치에 대한 구성도를, 도 3은 본 발명인 디지털 콘텐츠 이용에 따른 여행 설계 장치로부터 접속자에게 출력되는 화면의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디지털 콘텐츠 이용에 따른 여행 설계 장치(1)에 있어서,
접속자가 관리자에 의해 사전 분석된 여행 관련 디지털 콘텐츠를 조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여행콘텐츠조회수단(100);
상기 디지털여행콘텐츠조회수단(100)으로부터 제공되는 여행 관련 디지털 콘텐츠 중, 접속자에 의해 조회, 이용된 여행 관련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이용 정보를 기록, 분석하여 여행을 설계하는 여행설계수단(200);
상기 여행설계수단(200)을 통해 분석된 접속자에 맞는 여행 정보를 결과로 제공하는 여행정보제공수단(300);으로 구성되어,
접속자가 단순히 디지털여행콘텐츠조회수단(100)을 통해 여행과 관련된 디지털 콘텐츠를 소비하는 것만으로도 여행이 설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통신망을 통해 접속자가 디지털여행콘텐츠조회수단(100)으로부터 제공되는, 다양한 여행 관련 디지털 콘텐츠를 조회, 검색, 이용하면, 접속자에 의해 반복되어지는 여행 관련 디지털 콘텐츠의 조회, 검색, 이용 정보 및 여행 관련 디지털 콘텐츠를 대하는 접속자의 패턴(양상)을 분석하여, 접속자의 여행이 자동으로 설계되도록 하는 여행 설계 장치에 대한 기술이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디지털여행콘텐츠조회수단(100)은,
접속자가 쉽게 여행과 관련된 디지털 콘텐츠를 조회,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여행콘텐츠리스트업부(110);
상기 디지털여행콘텐츠리스트업부(110)로부터 조회, 검색된 여행 관련 디지털 콘텐츠를 웹뷰(webview) 및 브라우저(browser)를 통해 접속자가 상세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여행콘텐츠상세이용부(120);로 구성되어,
접속자가 용이하게 여행과 관련된 디지털 콘텐츠를 조회, 검색,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여행설계수단(200)은,
접속자에 의해 디지털여행콘텐츠조회수단(100)으로부터 조회, 검색, 이용되는 여행 관련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정보 및 여행 관련 디지털 콘텐츠를 이용하는 접속자의 패턴(양상)을 실시간 기록하는 디지털여행콘텐츠이용패턴수집부(210);
상기 디지털여행콘텐츠이용패턴수집부(210)에 실시간 기록되는 여행 관련 디지털 콘텐츠 및 이를 이용하는 접속자의 패턴(양상)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는 여행관련정보분석부(220);
상기 여행관련정보분석부(220)로부터 분석된 여행과 관련된 정보를 바탕으로 접속자의 여행 정보를 설계하는 여행설계부(230);로 구성되되,
여행관련정보분석부(220)에는,
접속자가 디지털여행콘텐츠조회수단(100)을 통해 조회, 검색, 이용하는 여행 관련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사전 분석하는 디지털여행콘텐츠사전분석모듈(221);
상기 디지털여행콘텐츠사전분석모듈(221)로부터 분석된 디지털 콘텐츠 이외에 접속자에 의해 조회, 검색, 이용되는 여행 관련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동적 분석하는 디지털여행콘텐츠동적분석모듈(222);
접속자에 의한 여행 관련 디지털 콘텐츠 소비에 따라 지속적으로 접속자의 여행 성향을 분석할 수 있도록 여행 관련 디지털 콘텐츠를 추천하는 디지털여행콘텐츠추천모듈(223);
접속자가 자신의 여행 성향을 직접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여행콘텐츠설정모듈(224);로 구성되어,
접속자의 여행 정보가 설계되도록 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디지털여행콘텐츠이용패턴수집부(210)는,
여행 관련 디지털 콘텐츠를 조회, 검색, 이용하는 접속자의 패턴(양상)에 대한 가중치를 판단하는 디지털여행콘텐츠이용가중치판단모듈(211);
상기 디지털여행콘텐츠이용가중치판단모듈(211)로부터 판단된 가중치가 낮은 여행 관련 디지털 콘텐츠의 조회, 검색, 이용 정보를 수집하는 여행설계부분참조콘텐츠이용수집모듈(212);
상기 디지털여행콘텐츠이용가중치판단모듈(211)로부터 판단된 가중치가 높은 여행 관련 디지털 콘텐츠의 조회, 검색, 이용 정보를 수집하는 여행설계적극참조콘텐츠이용수집모듈(213);로 구성되어,
접속자의 패턴(양상)에 따른 여행 관련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이용 정보가 기록, 수집되도록 한다.
이때, 디지털여행콘텐츠이용가중치판단모듈(211)에서의 가중치 판단은,
접속자가 여행 관련 디지털 콘텐츠를 대하는 패턴(양상) 및 대중의 패턴(양상) 형태에 따라, 그리고, 여행 관련 디지털 콘텐츠로부터 노출되는 정보의 이용 빈도에 따라 가중치가 판단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접속자의 반복되는 여행 관련 디지털 콘텐츠의 조회, 검색, 이용 빈도 및 조회, 검색 이후 제공되는 특정 여행 관련 디지털 콘텐츠를 이용하는 시간, 스크롤의 위치, 클릭, 드래그 등, 여행 관련 디지털 콘텐츠의 상세 이용에 대한 접속자의 관심의 집중도의 패턴(양상)을 바탕으로 가중치가 판단되도록 한다.
이는, 룰 베이스(rule base) 형식 또는 블랙박스 형식(예를 들어, 머신 러닝 또는 딥 러닝 기법)을 활용하여 판단할 수 있다.
그러므로, 디지털여행콘텐츠이용패턴수집부(210)는,
디지털여행콘텐츠조회수단(100)을 통한 접속자의 여행 관련 디지털 콘텐츠의 조회, 검색, 이용이 시작됨과 동시에 활성화되어, 여행 관련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접속자의 패턴(양상)을 판단, 분석한다.
또한, 디지털여행콘텐츠추천모듈(223)은,
디지털여행콘텐츠이용가중치판단모듈(211)로부터 접속자에 의한 가중치가 높다고 판단, 분석된 여행 관련 디지털 콘텐츠와 유사한 또 다른 디지털 콘텐츠 및 여행 관련 디지털 콘텐츠와 연결될 수 있는 다양한 여행 정보를 지속적으로 추천하는 접속자관심용여행콘텐츠출력요소(223a);
상기 접속자관심용여행콘텐츠출력요소(223a)로부터 제공되는 여행 관련 디지털 콘텐츠 이외에, 접속자의 성향을 더욱 객관적이고 정밀하게 판단하기 위한 여행 관련 디지털 콘텐츠 및 다양한 여행 정보를 추천하는 접속자성향판단용여행콘텐츠출력요소(223b);로 구성되어,
여행관련정보분석부(220)에서 접속자의 여행 관련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관심과 성향을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여행설계부(230)는,
접속자의 선호 여행지를 분석, 설계하는 선호여행지설계부(231);
접속자의 여행 명소를 분석, 설계하는 여행명소설계부(232);
접속자가 여행 시 해야할 것을 분석, 설계하는 활동타깃설계부(233);
여행 관련 접속자의 선호를 분석, 설계하는 선호여행정보설계부(234);로 구성되어,
접속자에게 자신에 맞는 최적의 여행이 설계되도록 한다.
이때, 선호여행지설계부(231), 여행명소설계부(232), 활동타깃설계부(233), 선호여행정보설계부(234)로부터 분석, 설계된 정보를 바탕으로, 숙소, 여행 상품, 여행 코스 등을 설계하는 여행관련세부정보설계부(235);가 더 포함,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선호여행지설계부(231), 여행명소설계부(232), 활동타깃설계부(233), 선호여행정보설계부(234), 여행관련세부정보설계부(235)로부터 분석, 설계된 정보를 가공하여, 구체적인 여행 스케줄 및 경비를 설계하는 여행스케줄설계부(236);가 더 포함,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여행정보제공수단(300)은,
상기 여행설계부(230)로부터 분석, 설계된 여행 관련 정보를 접속자에게 제공하는 것으로,
접속자의 선호 여행지를 제공하는 선호여행지제공부(310);
접속자의 여행 명소를 제공하는 여행명소제공부(320);
접속자가 여행 시 해야할 것을 제공하는 활동타깃제공부(330);
여행 관련 접속자의 선호를 제공하는 선호여행정보제공부(340);로 구성되어,
접속자에게 자신에 맞는 설계된 여행의 결과가 제공되도록 한다.
이때, 접속자의 선택에 의해 선호여행지제공부(310), 여행명소제공부(320), 활동타깃제공부(330), 선호여행정보제공부(340)로부터 도출된 정보를 바탕으로, 숙소, 여행 상품, 여행 코스 등을 제공하는 여행관련세부정보제공부(350);가 더 포함,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선호여행지제공부(310), 여행명소제공부(320), 활동타깃제공부(330), 선호여행정보제공부(340), 여행관련세부정보제공부(350)로부터 도출된 정보를 가공하여, 구체적인 여행 스케줄 및 경비를 제공하는 여행스케줄제공부(360);가 더 포함,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디지털 콘텐츠 이용에 따른 여행 설계 장치(1)에는,
접속자에 의해 소셜 네트워크에 기록, 저장된 정보를 바탕으로, 접속자의 정보를 분석, 접속자에게 적합한 최적의 여행이 설계되도록 하는 접속자성향분석수단(400);이 더 포함, 구성되어,
접속자성향분석수단(400)을 통해 분석된 접속자에 대한 정보를 활용, 보다 접속자에 맞는 최적의 여행이 설계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여행설계수단(200)을 통해 설계되는 여행 정보가, 접속자에 의해 디지털여행콘텐츠조회수단(100)으로부터 소비된 여행 관련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조회, 검색, 이용 정보뿐만 아니라, 접속자성향분석수단(400)을 통해 분석된 접속자에 대한 정보가 함께 적용, 활용되어, 보다 접속자의 성향에 맞는 최적의 여행이 설계되도록 한다.(접속자의 성향에 따라 여행 스케줄의 완급을 조절하는 데에 활용된다.)
또한, 이에 더하여, 디지털 콘텐츠 이용에 따른 여행 설계 장치(1)에,
접속자에 의한 여행 관련 디지털 콘텐츠의 조회, 검색, 이용 패턴(양상)에 따라 여행 관련 디지털 콘텐츠를 평가할 수 있는 디지털콘텐츠평가수단(500);이 더 포함, 구성되어,
디지털여행콘텐츠조회수단(100)으로부터 제공되는 여행 관련 디지털 콘텐츠의 선호도를 평가, 추후에 다른 접속자에게 양질(선호도 평가가 좋은)의 여행 관련 디지털 콘텐츠가 우선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참고하여,
본 발명에 기재된 '디지털 콘텐츠'라 함은,
통신망을 통해 조회, 검색, 이용할 수 있는 여행과 관련된 글, 이미지(영상), 비디오(동영상) 등을 포함한, 여행 계획에 참조할 수 있을 만한 여행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말한다.
이때, 디지털 콘텐츠는 크게,
관리자가 미리 작성해 놓은 내부 디지털 콘텐츠와,
외부로부터 여행과 관련된 글, 영상, 동영상 등을 가져다 놓은 외부 디지털 콘텐츠로 구분된다.(내부 디지털 콘텐츠와 외부 디지털 콘텐츠는 디지털여행콘텐츠사전분석모듈(221)을 통해 사전 분석된다.)
또한, '여행 설계'라 함은,
여행을 계획하는 접속자의 니즈(욕구)를 충족하기 위한 여행 시 방문해야 하는 장소, 명소, 할 것 등, 여행에 필요한 요소를 정리, 기획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접속자성향분석수단(400)에 의해 분석되는 접속자의 정보란,
접속자의 성향, 종교, 라이프 스타일 등, 접속자를 파악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를 말한다.
물론, 디지털여행콘텐츠조회수단(100) 및 여행설계수단(200)에서도 접속자의 정보(성향, 종교, 라이프 스타일 등)를 유추, 분석할 수 있으나,
접속자성향분석수단(400)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접속자의 정보가 분석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인 디지털 콘텐츠 이용에 따른 여행 설계 장치로부터 접속자에게 출력되는 화면의 실시 예로서, (a)는 시작 화면의 실시 예를, (b)는 설계된 여행의 결과물의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디지털 콘텐츠 이용에 따른 여행 설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여행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플랫폼 기반의 시스템을 제작하고, 구축하여, 안정화시키는 소프트웨어 관련 산업, 특히, 여행 계획자에게 구체적인 여행지와 스케줄 및 이에 대한 경로, 경비, 숙소 등에 대한 세부적인 여행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여행 산업 분야 증진에 기여하는 데에 적용할 수 있다.
1: 디지털 콘텐츠 이용에 따른 여행 설계 장치
100: 디지털여행콘텐츠조회수단 110: 디지털여행콘텐츠리스트업부
120: 디지털여행콘텐츠상세이용부
200: 여행설계수단 210: 디지털여행콘텐츠이용패턴수집부
211: 디지털여행콘텐츠이용가중치판단모듈
212: 여행설계부분참조콘텐츠이용수집모듈
213: 여행설계적극참조콘텐츠이용수집모듈
220: 여행관련정보분석부 221: 디지털여행콘텐츠사전분석모듈
222: 디지털여행콘텐츠동적분석모듈 223: 디지털여행콘텐츠추천모듈
223a: 접속자관심용여행콘텐츠출력요소
223b: 접속자성향판단용여행콘텐츠출력요소
224: 디지털여행콘텐츠설정모듈 230: 여행설계부
231: 선호여행지설계부 232: 여행명소설계부
233: 활동타깃설계부 234: 선호여행정보설계부
235: 여행관련세부정보설계부 236: 여행스케줄설계부
300: 여행정보제공수단 310: 선호여행지제공부
320: 여행명소제공부 330: 활동타깃제공부
340: 선호여행정보제공부 350: 여행관련세부정보제공부
360: 여행스케줄제공부
400: 접속자성향분석수단 500: 디지털콘텐츠평가수단

Claims (3)

  1. 디지털 콘텐츠 이용에 따른 여행 설계 장치(1)에 있어서,
    접속자가 관리자에 의해 사전 분석된 여행 관련 디지털 콘텐츠를 조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여행콘텐츠조회수단(100);
    상기 디지털여행콘텐츠조회수단(100)으로부터 제공되는 여행 관련 디지털 콘텐츠 중, 접속자에 의해 조회, 이용된 여행 관련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이용 정보를 기록, 분석하여 여행을 설계하는 여행설계수단(200);
    상기 여행설계수단(200)을 통해 분석된 접속자에 맞는 여행 정보를 결과로 제공하는 여행정보제공수단(300);으로 구성되어,
    접속자가 단순히 디지털여행콘텐츠조회수단(100)을 통해 여행과 관련된 디지털 콘텐츠를 소비하는 것만으로도 여행이 설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츠 이용에 따른 여행 설계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여행설계수단(200)은,
    접속자에 의해 디지털여행콘텐츠조회수단(100)으로부터 조회, 검색, 이용되는 여행 관련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정보 및 여행 관련 디지털 콘텐츠를 이용하는 접속자의 패턴(양상)을 실시간 기록하는 디지털여행콘텐츠이용패턴수집부(210);
    상기 디지털여행콘텐츠이용패턴수집부(210)에 실시간 기록되는 여행 관련 디지털 콘텐츠 및 이를 이용하는 접속자의 패턴(양상)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는 여행관련정보분석부(220);
    상기 여행관련정보분석부(220)로부터 분석된 여행과 관련된 정보를 바탕으로 접속자의 여행 정보를 설계하는 여행설계부(230);로 구성되되,
    여행관련정보분석부(220)에는,
    접속자가 디지털여행콘텐츠조회수단(100)을 통해 조회, 검색, 이용하는 여행 관련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사전 분석하는 디지털여행콘텐츠사전분석모듈(221);
    상기 디지털여행콘텐츠사전분석모듈(221)로부터 분석된 디지털 콘텐츠 이외에 접속자에 의해 조회, 검색, 이용되는 여행 관련 디지털 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동적 분석하는 디지털여행콘텐츠동적분석모듈(222);
    접속자에 의한 여행 관련 디지털 콘텐츠 소비에 따라 지속적으로 접속자의 여행 성향을 분석할 수 있도록 여행 관련 디지털 콘텐츠를 추천하는 디지털여행콘텐츠추천모듈(223);
    접속자가 자신의 여행 성향을 직접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여행콘텐츠설정모듈(224);로 구성되어,
    접속자의 여행 정보가 설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콘텐츠 이용에 따른 여행 설계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디지털 콘텐츠 이용에 따른 여행 설계 장치(1)에는,
    접속자에 의해 소셜 네트워크에 기록, 저장된 정보를 바탕으로, 접속자의 정보를 분석, 접속자에게 적합한 최적의 여행이 설계되도록 하는 접속자성향분석수단(400);이 더 포함, 구성되어,
    접속자성향분석수단(400)을 통해 분석된 접속자에 대한 정보를 활용, 보다 접속자에 맞는 최적의 여행이 설계되도록 하는,
    디지털 콘텐츠 이용에 따른 여행 설계 장치.
KR1020200010042A 2020-01-28 2020-01-28 디지털 콘텐츠 이용에 따른 여행 설계 장치 KR1023659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0042A KR102365941B1 (ko) 2020-01-28 2020-01-28 디지털 콘텐츠 이용에 따른 여행 설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0042A KR102365941B1 (ko) 2020-01-28 2020-01-28 디지털 콘텐츠 이용에 따른 여행 설계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6503A true KR20210096503A (ko) 2021-08-05
KR102365941B1 KR102365941B1 (ko) 2022-02-23

Family

ID=77316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0042A KR102365941B1 (ko) 2020-01-28 2020-01-28 디지털 콘텐츠 이용에 따른 여행 설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594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3703A (ko) * 2012-01-13 2013-07-23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 단말기의 위치 로그 기반의 개인화된 여행지 컨텐츠 검색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여행지 컨텐츠 검색 시스템
KR20150083673A (ko) * 2014-01-10 2015-07-20 주식회사 다비오 여행 플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70014464A (ko) * 2015-07-30 2017-02-08 주식회사 케이티 사용자 성향을 고려한 여행 일정 추천 방법,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170030379A (ko) * 2015-09-09 2017-03-17 네이버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사용자 선호에 맞춘 여행 큐레이션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1790745B1 (ko) 2016-03-30 2017-10-26 송우석 여행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07270B1 (ko) 2018-08-22 2019-08-06 (주)무브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반의 여행 스케줄링 서비스 방법 및 통신단말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3703A (ko) * 2012-01-13 2013-07-23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 단말기의 위치 로그 기반의 개인화된 여행지 컨텐츠 검색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여행지 컨텐츠 검색 시스템
KR20150083673A (ko) * 2014-01-10 2015-07-20 주식회사 다비오 여행 플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70014464A (ko) * 2015-07-30 2017-02-08 주식회사 케이티 사용자 성향을 고려한 여행 일정 추천 방법,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170030379A (ko) * 2015-09-09 2017-03-17 네이버비즈니스플랫폼 주식회사 사용자 선호에 맞춘 여행 큐레이션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KR101790745B1 (ko) 2016-03-30 2017-10-26 송우석 여행 스케줄링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07270B1 (ko) 2018-08-22 2019-08-06 (주)무브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반의 여행 스케줄링 서비스 방법 및 통신단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5941B1 (ko) 2022-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ahmadian et al.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n the use of big data for sustainable tourism
Buonincontri et al. The experience co-creation in smart tourism destinations: a multiple case analysis of European destinations
Gajdošík Big data analytics in smart tourism destinations. A new tool for destination management organizations?
KR20150143971A (ko) 위치 기반의 여행용 빅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모바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및 그의 처리 방법
US20170045365A1 (en) Travel planner platform for providing quality tourism information
CN109740049B (zh) 文章的生成方法和装置
KR101094484B1 (ko) 전문가 추천 기법을 이용한 관광정보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Menk et al. Recommendation systems for tourism based on social networks: A survey
Li et al. Classification and Improvement Strategy for Design Features of Mobile Tourist Guide Application: A Kano‐IPA Approach
KR20190015643A (ko) 빅데이터 기반 사용자 맞춤형 관광 정보 제공 시스템
Pinheiro et al. The impact of artificial intelligence on the tourism industry: a systematic review
KR102365941B1 (ko) 디지털 콘텐츠 이용에 따른 여행 설계 장치
Hossain et al. An innovative tour recommendation system using graph algorithms
Sanson Location and labor: critical crossroads in global film and television
Sigala Geoportals and Geocollaborative Portals: Functionality and Impacts on Travellers' Trip Panning and Decision Making Processes
KR20220048108A (ko) 사용자 중심의 자유여행 정보 제공 및 플랜 수립 공유 플랫폼
Kremer et al. Less is more: empirical design criteria for a tourist place recommendation service which decelerates the visiting experience
Yoliando et al. A Comparative Study of Artificial Intelligence-Driven Applications in Enhancing Tourist Experience and Compatibility to Indonesia’s Tourism Sector
Rigby et al. Usability of an opportunistic interface concept for ad hoc ride-sharing
KR102670597B1 (ko) 개인 프로필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arayazi et al. Leveraging newly available big data for urban architectural heritage: Designing a recommendation system for heritage sites through the lens of social media
Noinan et al. Route recommendation for local tourism: The empirical system of Chiang Rai province
Ćurlin et al. Analytics of Social Media: Perspective of Country Tourism Office
Hirano et al. Food Tourism Planning Support System within Urban Sightseeing Areas in Japan
Förster Mapping public transport stops in smartphone apps: Dynamic information visualization in the context of hik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