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4339B1 - 현수된 패널형 부분을 포함하는 작업 플랫폼 시스템 및 그 구현 방법 - Google Patents

현수된 패널형 부분을 포함하는 작업 플랫폼 시스템 및 그 구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4339B1
KR102224339B1 KR1020137025348A KR20137025348A KR102224339B1 KR 102224339 B1 KR102224339 B1 KR 102224339B1 KR 1020137025348 A KR1020137025348 A KR 1020137025348A KR 20137025348 A KR20137025348 A KR 20137025348A KR 102224339 B1 KR102224339 B1 KR 1022243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pair
flexible elements
platform system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5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1714A (ko
Inventor
마티유 그룬베그
로이 스카포드
프레데릭 더블유. 미드
Original Assignee
사프웨이 서비시즈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프웨이 서비시즈 엘엘씨 filed Critical 사프웨이 서비시즈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60011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17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4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43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2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supported by roofs or ceil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3/08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with apertured web, e.g. with a web consisting of bar-like components; Honeycomb girders
    • E04C3/09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with apertured web, e.g. with a web consisting of bar-like components; Honeycomb girders at least partly of bent or otherwise deformed strip- or sheet-lik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5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essentially comprising special means for supporting or forming platforms; Platforms
    • E04G1/152Platforms made of metal or with metal-supporting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5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essentially comprising special means for supporting or forming platforms; Platforms
    • E04G1/154Non-detachably fixed and secured connections between platform and scaffol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4Railings
    • E04G5/145Toe board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26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for use with specially-shaped scaffold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28Clips or connections for securing boar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6Movable inspection or maintenance platforms, e.g. travelling scaffolding or vehicles specially designed to provide access to the undersides of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2003/0486Truss like structures composed of separate truss elements
    • E04C2003/0491Truss like structures composed of separate truss elements the truss elements being located in one single surface or in several parallel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구조물과 관련한 구현을 위한 작업 플랫폼 시스템뿐만 아니라, 그 하위시스템들 및 구성부들, 그리고 그와 관련한 이용 및 구현 방법들이 본원에서 개시된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서, 작업 플랫폼 시스템은 가요성 요소들의 제 1 쌍 및 가요성 요소들의 제 2 쌍을 포함하고, 상기 가요성 요소들의 각각의 개별적인 제 1 단부가 제 1 지지 구성부에 대해서 적어도 간접적으로 커플링되고 그리고 상기 가요성 요소들의 각각의 개별적인 제 2 단부가 제 2 지지 구성부에 대해서 적어도 간접적으로 커플링된다. 작업 플랫폼 시스템은 상기 가요성 요소들 상에서 지지되는 복수의 패널 구조물, 현수 구성부, 및 상기 가요성 요소들의 제 1 쌍 및 상기 가요성 요소들의 제 2 쌍 중 적어도 하나에 커플링된 클램프 구조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작업 플랫폼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지지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현수된 패널형 부분을 포함하는 작업 플랫폼 시스템 및 그 구현 방법{WORK PLATFORM SYSTEM INCLUDING SUSPENDED PANELED PORTION AND METHOD OF IMPLEMENTING SAME}
본원 발명은, 전반적으로, 여러 구조물들의 여러 파트들(parts)에 대한 접근을 돕기 위해서 건설된(erected) 작업 플랫폼 시스템들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보다 특히, 본원 발명은 단부 영역들 사이에서 상당한 거리들에 걸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건설될 수 있는 작업 플랫폼 시스템들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작업 플랫폼 시스템들은 구조물들의 적어도 일부 부분들 아래에서 추가적으로 연장하며, 상기 구조물들의 적어도 일부 부분들에 대한 작업 플랫폼 시스템들의 접근이 촉진된다.
예를 들어, 건설 및 유지보수 프로젝트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환경들, 상황들, 및 프로젝트들에서 이용하기 위한 많은 타입들의 작업 플랫폼 시스템들이 시장에서 이용가능하다. 프로젝트가 공공 작업 프로젝트(예를 들어, 저가 입찰(low bid))이든지 또는 사적인(private) 프로젝트이든지 간에, 합리적인 레벨들로 비용들 및 유지보수 비용들을 감소시키는 것은 관련 당사자들(예를 들어, 계약자들 및/또는 소유자)의 중요한 고려사항들이다. 작업 플랫폼 시스템들이 이용되는 하나의 환경은, 교각들과 같이, 상당한 거리들을 따라서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구조물들을 따르는 것이 되고 그리고 특히 그러한 구조물들 아래가 된다. 그러한 작업 플랫폼 시스템들은, 예를 들어, 작업자들로 하여금 구조물에 대해서, 특히 교각들의 하부측들을 따르는 것과 같이 구조물들의 하부 영역들을 따르는 또는 그에 인접한 영역들과 관련하여, 다양한 유지보수 과정들(예를 들어, 검사, 세정, 도색, 수리, 또는 개장(refurbishing)) 또는 건설 과정들을 실시할 수 있게 허용하기 위한 것을 포함하는, 다양한 이유들로 채용될 수 있다. 또한, 그러한 작업 플랫폼 시스템들은, 그러한 유지보수 또는 건설 과정들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파편들 등이 작업 플랫폼 시스템들 아래의 영역들로 낙하될 수 있는 범위를 제한하는 것과 관련된 차폐 기능을 실시하기 위한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러한 환경들에서 구현될 수 있는 여러 가지 통상적인 작업 플랫폼 시스템들이 존재하고, 그리고 이러한 여러 가지 작업 플랫폼 시스템들은 다양한 속성들(attributes)로 분류된다. 적어도 일부의 그러한 통상적인 작업 플랫폼 시스템들은 캐티너리(catenary)-기반의 시스템들이고, 그러한 시스템들에서 전체 작업 플랫폼 시스템들의 단부 영역들 사이에서 연장하는 와이어들 상에 데크 부분들이 장착되고, 상기 와이어들은 부가적인 지지부들에 의해서 상기 와이어들의 길이들을 따라서 여러 간격들로 추가적으로 현수된다.
비록 일부의 그러한 캐티너리-기반의 시스템들을 비교적 저비용으로 구현할 수 있기는 하지만, 그러한 시스템들의 적어도 일부는 특정 항목들(respects)에서 단점을 가질 수 있다. 특히, 하나 이상의 통상적인 캐티너리-기반의 시스템들은 건설하기가 상대적으로 어렵거나, 또는 획득하거나 보장하기가 어려운 적절한 구현을 위한 조건들(예를 들어, 레인 폐쇄(lane closure))이나 전문적 기술을 필요로 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통상적인 캐티너리-기반의 시스템들은, 수명 또는 재사용성과 관련하여 제한되는 구성부들로 제조되고, 및/또는 충분한 내구성 또는 안전성이 부족한 또는 다른 이유들로 인체공학적으로 바람직하지 못한 구성부들을 채용한다. 또한, 적어도 일부의 그러한 통상적인 시스템들은, 희망하는 편평도 레벨을 가지지 못하는 도보(walking) 표면들을 제공한다(예를 들어, 도보 표면들이 굴곡되거나 과다한 주름들을 가진다).
그에 따라, 적어도 이러한 이유들로, 전술한 관심사항들 및/또는 다른 관심사항들 중 하나 이상을 해결하는, 새로운 또는 개선된 작업 플랫폼 시스템들 및/또는 (예를 들어, 작업 플랫폼 시스템의 설치와 관련된) 이용 방법이 개발될 수 있다면 바람직할 것이다.
적어도 일부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본원 발명은 구조물과 관련하여 구현하기 위한 작업 플랫폼 시스템들에 관한 것이다. 작업 플랫폼 시스템은 제 1 가요성 요소 및 제 2 가요성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가요성 요소들의 각각의 개별적인 제 1 단부가 제 1 지지 구성부로 적어도 간접적으로 커플링되고, 그리고 상기 가요성 요소들의 각각의 개별적인 제 2 단부가 제 2 지지 구성부로 적어도 간접적으로 커플링된다. 또한, 작업 플랫폼 시스템은, 상기 가요성 요소들 상에서 지지되고 그리고 상기 제 1 가요성 요소와 상기 제 2 가요성 요소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패널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패널 구조물들은 서로 연속적으로 위치되며, 그에 따라 상기 가요성 요소들을 따라서 연장하는 패널 구조물들의 행(row)을 형성한다. 상기 패널 구조물들의 각각은 상기 가요성 요소들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각각 연장하는 대향 엣지들의 제 1 쌍, 및 상기 대향하는 엣지들의 제 1 쌍 사이에서 각각 연장하는 대향 엣지들의 제 2 쌍을 포함한다. 패널 구조물들 중 제 1 패널 구조물은, 상기 제 1 패널 구조물의 대향하는 엣지들의 개별적인 제 2 쌍 중 제 1의 엣지로부터 멀리 외측으로 연장하는 제 1 지지 연장부를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제 1 패널 구조물의 제 1 지지 연장부가 제 1 포메이션(formation)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포메이션 내로 패널 구조물들 중의 제 2 패널 구조물의 대향하는 엣지들의 개별적인 제 2 쌍 중의 제 2 엣지가 위치되며, 상기 제 1 포메이션은 상기 제 1 패널 구조물에 대한 상기 제 2 패널 구조물의 운동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한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제 1 지지 연장부는, 상기 제 1 패널 구조물의 패널 구조물 표면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을 따라서 상기 대향 엣지들의 개별적인 제 2 쌍 중의 제 1 엣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는 외측-연장 세그먼트, 상기 외측-연장 세그먼트로부터 상기 패널 구조물 표면의 평면을 향해서 위쪽으로 연장하는 상향-연장 세그먼트, 상기 대향 엣지들의 제 1 쌍 중의 제 1 엣지의 추가적인 평면을 향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길이방향-연장 세그먼트, 상기 패널 구조물 표면의 평면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하는 하향-연장 세그먼트, 및 상기 대향 엣지들의 개별적인 제 2 쌍 중의 제 1 엣지로 내측으로 연장하는 내측-연장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U-형상의 구조물이고, 그리고 상기 제 1 포메이션이 적어도 상향-연장 세그먼트, 길이방향-연장 세그먼트, 및 하향-연장 세그먼트를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적어도 일부 실시예들에서, 본원 발명은 구조물과 관련하여 구현하기 위한 작업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작업 플랫폼 시스템은 가요성 요소들의 제 1 쌍 및 가요성 요소들의 제 2 쌍을 포함하고, 상기 가요성 요소들의 각각의 개별적인 제 1 단부가 제 1 지지 구성부에 적어도 간접적으로 커플링되고 그리고 상기 가요성 요소들의 각각의 개별적인 제 2 단부가 제 2 지지 구성부에 적어도 간접적으로 커플링된다. 또한, 작업 플랫폼 시스템은, 상기 가요성 요소들 상에서 지지되고 그리고 상기 가요성 요소들의 제 1 쌍과 상기 가요성 요소들의 제 2 쌍 사이에 실질적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패널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패널 구조물들은 서로 연속적으로 위치되며, 그에 따라 상기 가요성 요소들을 따라서 연장하는 패널 구조물들의 행을 형성한다. 상기 패널 구조물들의 각각은 상기 가요성 요소들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각각 연장하는 대향 엣지들의 제 1 쌍, 및 상기 대향하는 엣지들의 제 1 쌍 사이에서 각각 연장하는 대향 엣지들의 제 2 쌍을 포함한다. 패널 구조물들 중 제 1 패널 구조물은, 상기 제 1 패널 구조물의 대향하는 엣지들의 개별적인 제 2 쌍 중 제 1의 엣지로부터 멀리 외측으로 연장하는 제 1 지지 연장부를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제 1 패널 구조물의 제 1 지지 연장부가 제 1 포메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포메이션 내로 패널 구조물들 중의 제 2 패널 구조물의 대향하는 엣지들의 개별적인 제 2 쌍 중의 제 2 엣지가 위치되며, 상기 제 1 포메이션은 상기 제 1 패널 구조물에 대한 상기 제 2 패널 구조물의 운동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추가적으로, 적어도 일부 실시예들에서, 본원 발명은 구조물과 관련하여 구현하기 위한 작업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작업 플랫폼 시스템은 가요성 요소들의 제 1 쌍 및 가요성 요소들의 제 2 쌍을 포함하고, 상기 가요성 요소들의 각각의 개별적인 제 1 단부가 제 1 지지 구성부에 적어도 간접적으로 커플링되고 그리고 상기 가요성 요소들의 각각의 개별적인 제 2 단부가 제 2 지지 구성부에 적어도 간접적으로 커플링된다. 작업 플랫폼 시스템은, 상기 가요성 요소들 상에서 지지되는 복수의 패널, 현수 구성부, 그리고 와이어 연장부들의 제 1 쌍 및 와이어 연장부들의 제 2 쌍 중 적어도 하나가 현수 구성부에 의해서 지지되도록 상기 가요성 요소들의 제 1 쌍과 와이어 연장부들의 제 2 쌍 중 적어도 하나에 커플링되는 클램프 구조물을 더 포함한다. 상기 클램프 구조물은 적어도 일차적인(primary) 표면 포메이션 및 상기 일차적인 표면 포메이션에 대해서 회전가능하게 부착되나 상기 일차적인 표면 포메이션에 대해서 제위치에서(in place) 록킹되는 걸쇠(clasp) 구성부를 포함한다.
또한, 적어도 일부 실시예들에서, 본원 발명은 구조물과 관련하여 작업 플랫폼 시스템을 구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방법은 가요성 요소들의 제 1 쌍 및 가요성 요소들의 제 2 쌍을 제 1 지지부 및 제 2 지지부에 각각 적어도 간접적으로 부착하는 단계, 및 제 1 패널 섹션을 상기 가요성 요소들의 제 1 및 제 2 쌍들 상으로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또한 가요성 요소들의 제 1 및 제 2 쌍 상으로 제 2 패널 섹션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패널 섹션을 설치하는 단계가 상기 제 1 패널 섹션의 제 1 측부(side) 엣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 2 패널이 와이어 연장부들의 제 1 및 제 2 쌍 상에서 지지될 때까지 상기 제 2 패널 섹션을 회전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구성부 내로 상기 제 2 패널 섹션의 제 2 측부 엣지를 배치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러한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현수 구성부가 가요성 요소들의 제 1 및 제 2 쌍들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하여 설치되어야 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설치되어야 하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에, 적어도 하나의 클램프 구조물을 상기 가요성 요소들의 제 1 및 제 2 쌍들 중 적어도 하나 상으로 설치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현수 와이어를 적어도 하나의 클램프 구조물에 커플링시키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도 1은, 예시적인 작업 플랫폼 시스템이 부분적으로 구현된, 예시적인 교각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의 일부를 확대한 상세도로서, 도 1에 도시된 예시적인 교각의 일부에 더하여, 도 1의 부분적으로 구현된 작업 플랫폼 시스템의 부분적으로 구현된 현수형 하위시스템(subsystem)의 일부를, 부분적으로 구현된 작업 플랫폼 시스템의 지지 하위시스템의 일부와 함께 도시한, 상세도이다.
도 3은, 도 2의 선 3-3을 따라서 취한, 도 2에 상세도에서 도시된 도 1의 측면도의 부분의 평면도적인, 부분 단면도로서, 여기에서, 하부의 지지 하위시스템의 구조적 지지 구성부들을 보다 명료하게 보여주기 위해서, 도 3에서 지지 하위시스템 내에 실제로 존재하는 바닥(floor) 패널들이 존재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 않은, 부분 단면도이다.
도 3a는, 부분적으로 구현된 지지 하위시스템에 포함된 와이어 철근들(tendons)의 제 1 쌍을 도시한, 도 3의 단면도의 일부의 상세도이다.
도 4는 도 1-3에서 부분적으로 구현되는 것으로 도시된 지지 하위시스템의 형성에서 채용되는 예시적인 허브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3에서 부분적으로 구현되는 것으로 도시된 지지 하위시스템의 형성에서 채용되는 예시적인 들보(joist)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6a 및 6b는 도 4 및 5의 허브 및 들보 사이의 예시적인 상호연결을 분해상태로 상부에서 사시도 방향으로 도시한 절개도 및 상부에서 사시도 방향으로 도시한 절개도이다.
도 7은 도 12의 선 7-7을 따라서 취한, 상부 평면도 방향에서 도시한 부분적인 단면도이다.
도 7a는 도 7의 단면도의 일부의 상세도이다.
도 7b는 도 7a에서 도시된 부분적으로-완성된 작업 플랫폼 시스템의 일부의 추가적인 상세도로서, 작업 플랫폼 시스템의 일부를 그 작업 플랫폼 시스템의 (위로부터 대신에) 아래로부터 보여지는대로 도시한 상세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분적으로 완성된 작업 플랫폼 시스템에 포함되는 예시적인 패널 섹션의 상부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패널 섹션의 전방 측부 입면도이다.
도 9a는 도 9의 패널 섹션과 같은 패널 섹션에서 채용될 수 있는 와이어 들보 지지 연장부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절개도이다.
도 10은 도 8의 패널 섹션의 우측 단부 측부 입면도이다.
도 11a, 11b, 및 11c는 각각, 주어진 패널 섹션들의 행의 패널 섹션들이 서로와 관련하여 어떻게 구현되는지를 설명하기 위해서, 각각 3개의 상이한 배열들 의 동일한 타입의 부가적인 패널 섹션과 함께, 도 8-10의 예시적인 패널 섹션의 제 1, 제 2, 및 제 3 부분 절개 개략도들이다.
도 11d, 11e, 11f, 및 11j는 도 8-10의 패널 섹션과 상이한 특징부들(features)을 가지는 대안적인 패널 섹션들의 사시도들을 도시한다.
도 11g 및 11h 각각은 도 8-10의 패널 섹션과 상이한 2개의 대안적인 패널 섹션들의 2개의 쌍들의 단면적, 부분 절개도 및 측부 입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도 11h, 11k, 11l, 및 11m은 도 8-10의 패널 섹션과 상이한 특징부들을 가지는 대안적인 패널 섹션들의 평면도들을 도시한다.
도 12는 도 2에 도시된 도 1의 예시적인 교각의 동일한 부분을 도시하고 그리고 부분적으로 완성된 작업 플랫폼 시스템의 일부를 도시한 부가적인 확대 상세도로서, 상기 작업 플랫폼 시스템은, 작업 플랫폼 시스템의 현수된 하위시스템이 상이한, 보다 진행된, 부분적인 구현 상태라는 것을 제외하고, 도 2의 작업 플랫폼 시스템과 동일한, 상세도이다.
도 13은 도 12, 7, 7a, 및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분적으로 완성된 작업 플랫폼 시스템에 포함된 예시적인 현수기 클램프의 분해 사시도적인 측면도이다.
도 14는 점선으로 도시된 현수기 클램프의 특정 부분들과 함께, 도 13에 도시된 현수기 클램프들의 상부 평면도이다.
도 15는 작업 플랫폼 시스템이 교각과 관련하여 완전하게 구현된 후의 도 1의 작업 플랫폼 시스템과 함께, 도 1의 예시적인 교각을 도시한 측부 입면도이다.
도 16은 도 1 및 15의 교각과 관련한 작업 플랫폼 시스템의 구현 프로세스의 예시적인 단계들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7a, 17b, 17c, 및 17d 각각은 예시적인 데크 리테이너(retainer) 클램프의 측부 사시도, 평면도, 측부 입면도, 및 단부 입면도이다.
도 18은 예시적인 부가적 커버 구조물(또는 데크 리테이너)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예시적인 리테이너 브래킷(bracket)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7a-17d의 데크 리테이너 클램프, 도 18의 부가적인 커버 구조물, 도 19의 리테이너 브래킷, 볼트, 및 와이어 들보의 서로에 대한 분해된, 사시도적인, 부분적인 절개도이다.
도 21은 비선형 방식으로 구현된 예시적인 현수형 하위시스템의 일부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현수 교각과 관련하여 작업자가 하나 이상의 동작들을 실시할 수 있게 허용하기 위한 현수 교각과 관련하여 구현되는, 부분적으로 완성된(또는 부분적으로 설치된) 작업 플랫폼 시스템(110)과 함께 현수 교각(100)의 측부 입면도가 제공된다. 상기 현수 교각(100)은, 부분적으로 구현된 작업 플랫폼 시스템(110)(또는 이하에서 추가적으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다른 구현 상태에 있을 때의 작업 플랫폼 시스템)과 같은 작업 플랫폼 시스템이 구현되고 이용될 수 있는 구조물의 단지 하나의 예라는 것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다시 말해서, 본원 개시 내용은 단지 현수 교각들뿐만 아니라 다양한 구조물들 중 임의의 구조물과 관련된 작업 플랫폼 시스템들 및 작업 플랫폼 시스템들의 구현예들을 포함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비록 도 1이 현수 교각(100)을 도시하고 있지만, 본원 개시 내용이, 예를 들어, 아치형 교각들, 건물들, 타워들, 리그들(rigs)(예를 들어, 오일 리그들), 피어들(piers), 컨베이어들, 및 기타 구조물들과 같은 다른 타입의 교각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다른 구조물들과 관련된 작업 플랫폼 시스템들 및 작업 플랫폼 시스템들의 구현예들을 포함하기 위한 것임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본원에서 개시된 작업 플랫폼 시스템들의 적어도 일부가 특히 현수 교각(100)과 같은 구조물들과 관련하여 이용하기에 특히 적합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고, 여기에서 작업 플랫폼 시스템이 구조물을 따라서(또는 종종 그 하부에서) 상당한 거리들로 연장되는 것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서, 본원 개시 내용은 특히, 지지 하위시스템의 부분들 사이에서 연장하는(그리고 잠재적으로 상당한 거리들로 연장하는) 개별적인 현수된 하위시스템 및 개별적인 지지 하위시스템 모두를 포함하는 작업 플랫폼 시스템들을 포함한다. 이와 관련하여, 여전히 도 1을 참조하면, 부분적으로 구현된 작업 플랫폼 시스템(110)이, 심지어 도시된 바와 같이 부분적으로 구현된 상태에 있을 때에도, 지지 하위시스템(130)뿐만 아니라 부분적으로 구현된 현수형 하위시스템(120) 모두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하위시스템(130)은, 각각 부분적으로 구현된 현수된 하위시스템(120)의 대향 단부들에 위치하는 그리고 각각 현수 교각(100)의 각각의 타워들(140) 상에서 지지되는 제 1 부분(132) 및 제 2 부분(134)을 포함하고, 상기 부분적으로 현수된 하위시스템(120)이 상기 지지 하위시스템(130)의 부분들(132 및 134) 사이에서 연장한다.
비록 도 1이 부분적으로 구현된 상태의 작업 플랫폼 시스템(110)을 도시하는 것으로 시작하지만, 도 15에 최종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히 구현된 작업 플랫폼 시스템을 형성하기 위해서, 부가적인 구성부들을 포함하도록 그리고 부가적인 특징부들을 달리 취하도록 이러한 작업 플랫폼 시스템(및 특히 그것의 현수된 하위시스템)을 어떻게 추가적으로 수정하는지에 대해서 이하에서 추가적으로 설명된다는 것을 명확하게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즉, 비록 도 1(뿐만 아니라 도 2 및 3)이 현수 교각(100)과 관련한 작업 플랫폼 시스템의 구현(설치) 프로세스의 초기 스테이지로서, 그 도중에 작업 플랫폼 시스템이 부분적으로 구현된 작업 플랫폼 시스템(110)을 형성하는, 스테이지를 도시하지만, 이하에서 제공되는 추가적인 설명은 부분적으로 구현된 작업 플랫폼 시스템(110)이 도 15에서 최종적으로 도시된 완전히 구현된 작업 플랫폼 시스템으로 어떻게 진행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제공한다.
도 2를 추가적으로 참조하면, 도 1의 측부 입면도의 영역 또는 부분(150)의 확대된 상세도를 제공하여, 지지 하위시스템(130)의 제 1 부분(132)과 부분적으로 구현된 작업 플랫폼 시스템(110)의 부분적으로 구현된 현수된 하위시스템(120)의 부가적인 부분의 조립체(200)와 함께 현수 교각(100)의 일부를 보여준다. 보다 특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분적으로 구현된 작업 플랫폼 시스템(110)이 현수 교각(100)과 관련하여 구현되는 이러한 예에서, 지지 하위시스템(130)의 제 1 부분(132)이 교각의 타워들(또는 피어들)(140) 중의 개별적인 하나에 부착되고 그리고 그에 의해서 지지되도록 구현되며, 상기 부분적으로 구현된 현수된 하위시스템(120)은 다시 일반적으로 접합부(junction)(225)에서 지지 하위시스템의 부분(132)에 의해서 지지된다. 따라서, 도 2에서 제공된 상세도에서, 지지 하위시스템(130)의 제 1 부분(132)이 교각(100)의 타워들(140) 중의 제 1 타워 상에 장착되고 그에 의해서 지지되나,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하위시스템의 다른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분(제 2 부분(134))이 타워들(140) 중 다른 타워 상에(예를 들어, 접합부(225)에 상응하는 다른 접합부에서) 장착되고/그에 의해서 지지된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도 3과 관련하여 추가적으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지지 하위시스템(130)의 제 1 및 제 2 부분들(132 및 134)이 타워들(140)과 관련하여 (예를 들어,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은 앵커들(anchors)에 의해서) 직접적으로 지지된다. 그러나, 그러한 지지 방식에 더하여, 도 2에서(그리고 도 1의 면밀한 검사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지지 하위시스템(130)의 제 1 및 제 2 부분들(132 및 134)이 지지 체인들(220)에 의해서 추가적으로 지지된다는 것을 또한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하위시스템(130)의 부가적인 파트들을 구성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는 지지 체인들(220)이 현수 교각(100)의 데크(222)에 연결되고 그 데크를 따른 위치들로부터 지지 하위시스템(130)의 메인 본체를 따른 위치들까지(특히, 이하에서 추가적으로 설명하는 바와 같이, 그 특정 구조적 지지 구성부들까지) 하향 연장된다. 지지 체인들(220)은 현수 교각(100)의 데크(222)와 관련한 지지 하위시스템(130)(특히 해당 지지 하위시스템의 메인 본체)의 현수를 허용할 뿐만 아니라, 현수 교각에 대한 지지 하위시스템(130)의 구현을 허용한다. 특히, 이러한 실시예에서, 지지 체인들(220)을 이용하여 지지 하위시스템(130)의 달리-완전히-조립된 부분들(132 및 134)을 위쪽으로 그리고 타워들(140)을 따른 적절한 수직 레벨들의 위치로 호이스트(hoist)하고, 여기에서 부분들(132 및 134)이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은 앵커들에 의해서 타워들과 관련된 위치로 앵커링된다.
도 3을 추가적으로 참조하면, 도 2의 선 3-3을 따라서 취한 상부 평면도적인, 부분적 단면도가 제공되며, 이는 도 2의 조립체(200)와 관련한 현수 교각(100)의 부분을 추가적으로 도시한다. 도 3은 특히, 조립체(200) 내에 포함된 부분적으로 구현된 작업 플랫폼 시스템(110)의 부분들의 특징들을 도시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3은 부분적으로 구현된 지지 하위시스템(130)의 제 1 부분(132)을, 현수 교각(100)의 타워들(140) 중 제 1 타워 주위로 완전히 연장하는 것으로서 도시한다. 비록 도 3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유사하게, 현수 교각의 타워들(140) 중 다른 타워 상에 제공되는 지지 하위시스템(130)의 제 2 부분(132)이 본 실시예에서 해당 타워 주위로 완전히 연장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비록 본 실시예에서, 제 1 부분(132) 및 제 2 부분(132) 각각이 타워들(140) 각각의 주위로 완전히 연장되고 상기 타워들에 대해서 그 부분들이 각각 위치되고 및/또는 지지되지만, 다른 실시예들에서, 제 1 부분 및/또는 제 2 부분(또는 일부 다른 플랫폼 또는 플랫폼 부분)이 각각의 타워(또는 피어 또는 다른 구조물)을 둘러쌀 필요가 없고 그 대신에 각각의 타워(또는 피어 또는 다른 구조물)의 단일 측부 또는 단일 영역 또는 부분과 관련하여 그것을 따라서 단순하게 위치될 수 있고 및/또는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부분적으로 구현된 현수된 하위시스템(120)이 와이어 철근들(230)의 복수의 쌍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보다 특히, 본 실시예의 와이어 철근들(230)의 쌍들이 제 1, 제 2, 제 3, 제 4, 제 5, 제 6, 제 7, 제 8, 및 제 9 와이어 철근들의 쌍들(301, 302, 303, 304, 305, 306, 307, 308, and 309) 각각을 포함한다. 와이어 철근들의 제 1 쌍(301)의 일부가 도 3a에서와 같이 제공된 부가적인 상세도에 도시되어, 비록 와이어 철근들의 쌍들이 도 3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와이어 철근들(230)의 쌍들의 각각이 그럼에도 불구하고 2개의 구분된 와이어 철근들을 포함한다는 것을 특히 도시하며, 상기 2개의 구분된 와이어 철근들은 서로를 따라서 나란히 연장된다(즉, 지면 또는 일부 유사한 수직 또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기준에 대해서 측정할 때, 그들의 각각의 길이들을 따른 상응하는 위치들에서 2개의 와이어 철근들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수직 레벨들에 위치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와이어 철근들의 각각의 쌍의 와이어 철근들의 각각이 7/16 인치 지름의 와이어 철근이나, 다른 실시예들에서 다른 크기들의 와이어 철근들(예를 들어, 5/8 인치 지름 와이어 철근들)이 이용될 수 있고, 다른 크기들의 와이어 철근들이 특히 희망 로드(load) 용량을 제공하도록 선택된다.
본 실시예에서, 다른 구조물들(예를 들어, 특히, 이하에서 설명되는 패널 섹션들(750) 중 하나와 같은 패널 섹션의 측부 엣지)을 지지하는 것과 관련하여, 쌍의 각각의 주어진 철근에 의해서 제공되는 지지 역할이 또한 쌍들의 다른 와이어 철근에 의해서 동일하게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실시된다는 의미에서, 와이어 철근들의 쌍들이 "쌍을 이루는(paired)" 것으로 간주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다른 와이어 철근이 쌍의 주어진 와이어 철근에 대한 실질적으로 여분의 또는 보조적인 지지 역할을 한다는 것(또는 그 반대의 것)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여분의 와이어 철근들의 쌍들의 이용을 통해서, 심지어 와이어 철근들 중 하나가 그 의도된 지지 역할을 제공하는 것을 중단한 상황들에서도, 현수된 하위시스템(130)에 대해서도 여전히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와이어 철근들의 쌍을 형성하는 것에 대해서, 주어진 현수된 하위시스템에서의 지지 역할들에서 2개의 와이어 철근들의 단순한 존재는, 각각의 개별적인 와이어 철근에 의해서 제공된 지지 역할들이 공유되는 것이 실패되는 경우에 또는 상당한 정도로 중첩되는 경우에 또는 2개의 와이어 철근들에 의해서 제공되는 지지 역할이 임의의 실질적인 정성적(qualitative) 유사도를 결여하는 경우에, 그러한 2개의 와이어 철근들을 반드시 "쌍으로 형성"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주지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동일한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의 구성부를 와이어 철근들 모두가 지지하는 경우에(예를 들어, 2개의 와이어 철근들의 각각이 이하에서 설명되는 패널 섹션들(750) 중 하나와 같은 패널 섹션의 동일한 엣지를 지지하는 경우에), 2개의 와이어 철근들의 쌍을 이루는 것을 고려하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이는, 2개의 와이어 철근들이 동일한 양의 지지를 제공하지 않는 경우(예를 들어, 철근들 중 하나가 부담하중(burden)의 60%를 지탱하고 그리고 다른 하나가 부담하중의 40%를 지지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그 대신에, 또한 예를 들어, 와이어 철근들 중 해당되는 하나가 패널 섹션의 제 1 측부 엣지를 지지하나 다른 와이어 철근이 해당 패널 섹션의 제 2의 대향 측부 엣지를 지지하는, 그리고 와이어 철근들이 임의의 다른 지지 역할을 공유(예를 들어, 일부 다른 구성부와 관련하여 일부 다른 지지 역할을 공유)하지 않거나 실질적으로 공유하지 않는 상황들에서, 2개의 와이어 철근들을 쌍으로 형성하는 것을 고려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을 것이다.
전술한 설명에도 불구하고, 본원 개시 내용은 또한 와이어 철근들의 많은 다른 배열들을 채용하는 많은 다른 실시예들을 포함하도록 의도된 것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일부 다른 실시예들에서, 주어진 쌍의 와이어 철근들은 나란히 배열될 필요가 없고(그들이 길이들을 따라서 공통 수직 레벨들을 공유할 필요가 없고), 그 대신에 서로 상하로 또는 일부 다른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일부 다른 실시예들에서, 와이어 철근들의 쌍들을 채용하는 대신에, 단일 와이어 철근들을 독립적으로 채용할 수 있고(즉, 임의의 다른 여분의 와이어 철근 또는 철근들에 의해서 공유되지 않는 또는 실질적으로 공유되지 않는 지지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 채용할 수 있고), 또는 서로 쌍을 이루는(즉, 공유된 또는 실질적으로 공유된 지지 역할과 관련하여, 전술한 의미로 쌍을 이루는) 둘 초과의 와이어 철근들의 그룹들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도 3의 부분적으로 구현된 현수된 하위시스템(120)의 경우와 같이, 쌍을 이루는(또는 독립적인) 와이어 철근들의 주어진 배열을 일정한 방식으로 현수된 하위시스템을 통해서 반복적으로 채용할 수 있고, 또는 대안적으로, 쌍을 이루는(또는 독립적인) 와이어 철근들의 상이한 숫자들을 주어진 현수된 하위시스템의 여러 위치들에서 가변적인 방식으로 채용할 수 있다.
지지 하위시스템(130)의 제 1 부분(132)에 대해서, 도 3은 특히, 해당 제 1 부분의 "골격(skeleton)"을 함께 형성하는 해당 제 1 부분(132)의 몇몇 구조적 지지 구성부들을 보다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해서 바닥 패널들 및 현수 체인들을 제거한 상태로, 지지 하위시스템(130)의 해당 제 1 부분을 도시한다. 그러한 바닥 패널들(그 상부에서 작업자 및/또는 공구들 또는 기계류 또는 다른 아이템들이 지지될 수 있고 이동하고 또는 이동될 수 있다) 및 현수 체인들(현수 교각(100)에 대해서 제 1 부분(132)을 지지하는 것을 보조한다)이 도 2, 7, 및 12의 다른 곳에서 도시되어 있으며, 도 7은 특히 바닥 패널들을 도시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지지 하위시스템(130)의 제 1 부분(132)의 구조적 지지 구성부들(즉, "골격")은 특히 복수의 앵커들(300), 복수의 허브들(310), 및 복수의 들보들(330)을 포함하고, 상기 허브들(310)은 상기 들보들(330)에 의해서 서로 연결된다. 도 3으로부터, 앵커들(300)은 특히 타워(140)와 관련하여 지지 하위시스템(130)의 나머지를 앵커링 또는 지지하기 위한 것이고, 타워(140)와 각각의 개별적인 허브(310)의 각각의 사이에 각각의 앵커가 배치된다. 앵커들(300)은, 예를 들어, 팽창(expansion) 앵커들(타워(140)에 대한 볼트체결이 발생되는 경우) 또는 화학적 앵커들(예를 들어, 글루(glue)를 포함)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들을 취할 수 있다.
도 4 및 5를 참조하면, 들보들(330) 중 하나의 예와 관련된 허브들(310) 중 하나뿐만 아니라, 허브들(310) 중 하나의 예를 상세하게 도시한다. 들보들(330)과 같은 들보는, 바아 들보, 트러스, 또는 성형된-스틸(즉, I-비임, C-비임, 등), 등과 같이, 로드를 지탱 또는 지지하도록 구성된 임의의 세장형 구조적 부재로 간주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허브(310)와 같은 허브는, 노드, 힌지, 피봇, 포스트, 컬럼, 중심, 샤프트, 또는 스핀들, 등과 같은 상호연결 구조물이다. 본 예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들보들(330) 중 하나에 부착될 때, 허브(310)가 들보들(330)에 대해서 관절운동될 수 있도록(또는 그 반대가 되도록), 도 4의 허브(310)(및, 사실상 도 3의 허브들(310)의 각각)가 구성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관절운동은 피봇점 또는 축을 중심으로 하는 스윙, 및/또는 회전 능력으로서 규정된다. 특히 이러한 관절운동 특성은 희망하는 최종 위치에서 또는 그에 근접하여 시스템의 구성부들을 용이하게 조립 및 분해하는데 필요한 노동력을 감소시킬 수 있게 한다.
도 4 및 5에 추가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허브(310)는 중간 섹션(315)의 원위 단부들에서 이격된 상단부 요소(311) 및 하단부 요소(312)를 포함한다. 상단부 요소(311) 및 하단부 요소(312)는 실질적으로 평면형의 구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서로에 대해서 평행하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단부 요소(311) 및 하단부 요소(312)는 (평면도에서 볼 때) 8각형 형상의 실질적으로 평면형인 표면들이다. 중간 섹션(315)은 원통형 섹션이 될 수 있고, 그러한 원통형 섹션에서 중간 섹션(315)의 길이방향 축이 상단부 요소(311) 및 하단부 요소(312)의 평면들에 대해서 수직이 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중간 섹션(315)은 우측 원형 실린더이다. 도 4에서, 중간 섹션(315)이 중공형이라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서, 명료함을 위해 (위치(323)에서) 중간 섹션(315)의 하부 부분을 제거하였다. 도 4에 추가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상단부 요소(311) 및 하단부 요소(312) 모두를 통해서 연장하는 복수의 개구부들(313, 314)이 존재한다. 복수의 개구부(313)들(예를 들어, 313A, 313B, 313C, 313D, 313E, 313F, 313G, 313H)이 상단부 요소(311) 상에서 점재되고(interspersed), 그에 따라 들보들(330)의 하나 이상에의 연결을 위한 여러 위치들을 제공한다(도 5 참조). 복수의 개구부(314)들(예를 들어, 314A, 314B, 314C, 314D, 314E, 314F, 314G, 314H)은 하단부 요소(312) 상에서 유사하게 배치되고, 그에 따라 개구부들(313, 314)(예를 들어, 313A 및 314B)의 개별적인 쌍들이 동축적이 된다.
본 실시예에서, 부분적으로 구현된 현수된 하위시스템(120)의 와이어 철근들(230)을 허브들(310) 중 적절한 하나들의 개구부들(313)(또는 314)의 개별적인 하나들에 커플링시킴으로써, 그 와이어 철근들이 지지 하위시스템(130)에 또한 커플링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에서, 이러한 연결 위치들은 일반적으로 도 2와 관련하여 전술한 접합부(225)를 구성한다. 커플링을 제공하는 실제 메커니즘이 실시예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들에서, 와이어 철근들(230)이 루프형 단부들을 가질 수 있고, 그리고 부가적인 루프 구조물들, C-브래킷 구조물들, 걸쇠(clasping) 구조물들, 또는 후크-타입 구성부들이 제공되어 와이어 철근들(230)의 개별적인 하나들의 개별적인 루프형 단부들 및 허브들(310)의 개구부들(313)(또는 314)의 상응하는 하나들 모두를 통해서 연장함으로써 부착을 달성한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임의의 다양한 다른 연결성, 걸쇠, 록킹, 또는 체결 메커니즘들 또는 브래킷들을 채용하여 접합부(225)에서 지지 하위시스템(130)에 대한 와이어 철근들(230)(및 최종적으로 완전하게 완성된 현수된 하위시스템)의 부착을 달성할 수 있고, 그러한 구조물들은 지지 하위시스템의 바닥 패널들과 현수된 하위시스템의 상응하는 바닥 패널들 사이의 깨끗한 전이(clean transition)를 돕는 부가적인 구조물들에 의해서 보충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 요소(311)의 중심에는 중심 개구부(316)가 존재하고, 그러한 중심 개구부는 링키지 또는 현수 커넥터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커넥터에 의해서 상기 허브(310)가 현수 교각(100)의 데크(222)(도 2 참조)로부터와 같이 다른 구조물로부터 현수될 수 있다. 중심 개구부(316)는 일반적으로, 중심 개구부 구역(139) 및 그로부터 연장하는 4개의 슬롯들(317)(예를 들어, 317A, 317B, 317C, 317D)을 가지는 십자가 형태가 될 수 있다. 또한 일련의 교차 슬롯들(318A, 318B, 318C, 318D)이 4개의 슬롯들(317A, 317B, 317C, 317D)의 각각을 가로지르고, 그 슬롯들에 상호연결된다. 부가되는 강도를 위해서, 보강 플레이트(320)가 상단부 요소(311)의 하부에 부가되고, 상기 보강 플레이트(320) 상의 개구부들은 중심 개구부(316) 구성 및 그에 대한 모든 보조 개구부들(예를 들어, 슬롯들 및 구역(317, 318, 319)에 상응한다(그리고 일반적으로 같은 넓이가 된다(coextensive)). 핸들(322)이 중간 섹션(315)의 측부에 선택적으로 부가된다. 비록 도 4 및 5에서 확인할 수는 없지만, 동일한(중심) 개구부가 하단부 요소(312) 상에 형성되고, 그리고 하단부 요소는 그 상단부 측부를 따라서 유사하게 동일한 개구부를 가지는 보강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지만, 허브(310)에 대한 부가적인 지지를 제공하는 복수의 거싯들(gussets)이 하단부 요소(312) 및 중간 섹션(315)의 내부 면을 따라서 보강 플레이트에 부착될 수 있다.
허브들(310) 중 단일한 하나와 들보들(330) 중 단일한 하나 사이의 상호연결의 상부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 5에 더하여, 추가적인 도 6a 및 6b가 허브(310)와 들보(330) 사이의 전형적인 연결의 분해된 상부 사시도적 절개도, 및 정상적인(분해되지 않은) 상부 사시도적 절개도를 각각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들보(330)는 상부 요소(332) 및 하단부 요소(333)를 포함한다. 복수의 대각선 방향의 지지 부재들(338)이 요소들(332, 333) 사이에 점재된다. 요소들(332, 333)의 각각이 각도 아이언(angle iron)(339A, 339B)의 2개의 L-형상의 피스들로 제조된다. 요소들(332, 333)은, 상부 요소(332)가 그 중간범위(midspan)에서 커넥터 홀들(354A, 354B)을 포함한다는 것을 제외하고, 전형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들보(330)는 제 1 단부(331A) 및 제 2 단부(331B)를 포함한다. 상부 요소(332) 및 하단부 요소(333) 모두의 단부들(331A, 331B)의 각각에서, 상부 연결 플랜지(335) 및 하부 연결 플랜지(336)가 연장한다. 추가적으로, 상부 및 하부 연결 플랜지들(335, 336)의 각각을 통해서, 연결 홀들(337)이 위치된다.
그에 따라, 주어진 상기 설명에서, 4개의 상부 연결 플랜지들(335A, 335B, 335C, 335D) 및 4개의 하부 연결 플랜지들(336A, 336B, 336C, 336D)뿐만 아니라, 4개의 연결 홀들(337A, 337B, 337C, 및 337D이 들보(330) 상에 존재한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제 1 단부(331A)에서, 연결 홀(337A)이 관통하는(도 5 및 6a 참조), 상부 연결 플랜지(335A) 및 하부 연결 플랜지(336A)가 상부 요소(332)로부터 연장한다. 유사하게, 상부 요소(332)의 제 2 단부(331B)에서, 연결 홀(337B)이 관통하는, 상부 연결 플랜지(335B) 및 하부 연결 플랜지(336B)가 연장한다. 또한, 하부 요소(333)의 제1 단부(331A)에서, 상부 연결 플랜지(335D) 및 하부 연결 플랜지(336D)가 연장한다. 연결 홀(337D)이 이러한 연결 플랜지들(335D, 336D)을 통과한다. 추가적으로, 연결 홀(337C)이 관통하는 상부 연결 플랜지(335C) 및 하부 연결 플랜지(336C)가 하부 요소(333)로부터 연장하는 들보(330)의 제 2 단부(331B)에 위치된다. 개별적인 연결 홀들(337A, 337B, 337C, 337D)에 더하여, 연결 플랜지들(335A, 335B, 335C, 및 335D)의 각각은, 개별적인 연결 홀들의 내측에(즉, 연결 홀들에 대해서 들보(330)의 중심을 향해서 축방향으로) 모두 위치되는, 개별적인 부가적 록킹 홀(360A, 360B, 360C, 360D) 각각을 부가적으로 포함한다.
도 6a 및 6b에 추가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핀들(340A)이 들보(330)의 제 1 단부(331A) 및 제 2 단부(331B)의 각각에서 연결 플랜지들(335, 336)의 연결 홀들(337)을 통해서 그리고 추가적으로 허브(310)의 개구부들(313, 314) 중의 임의의 2개의 상응하는 개구부들을 통해서 배치될 수 있다. 도 6a 및 6b는 특히, 제 1 단부(331A)에서 채용된 핀들(340A) 중 하나를 도시하고, 동일한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배열이 단부(331B)에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방식에서, 들보(330)가 실질적으로 무제한적으로 많은 방식들로, 그리고 각도들로 허브(310)에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특히 도 6a 및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들(340A) 중 하나가 연결 플랜지(335A)를 통해서, 개구부(313A)를 통해서, 연결 플랜지(336A)(모두 상부 요소(332)의 제 1 단부(331A)에 있다)를 통해서, 연결 플랜지(335D)를 통해서, 개구부(314A)를 통해서, 그리고 연결 플랜지(336D)를 통해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시나리오에서, 핀(340A)이 연결 홀들(337A 및 337D)을 통해서 관통된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특히 도 6a 및 6b 참조), 핀들(340A)의 각각이 그 상부 단부에서 2개의 롤 핀들(342)을 부가적으로 포함한다. 2개의 롤 핀들(342) 중 하부의 것이 정지부로서 작용하고, 그에 따라 핀(340A)이 들보(330) 및 허브(310)를 통해서 슬립되는 것을 완전히 방지한다. 상부 롤 핀(342)은, 핀(340A)의 용이한 획득(purchase) 및 들보(330) 및 허브(310)로부터의 제거를 허용하기 위한 핑거 홀드(finger hold)로서 작용한다. 이러한 여러 가지 파트들의 디자인에 의해서, 심지어 들보(330) 및 허브(310)가 함께 연결되어 있는 동안에도, 양 들보(330) 및 허브(310)가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다. 도 5 및 6b의 회전 화살표들(R1)은 허브(310)에 대한 들보(330)의 회전을 나타내는 한편, 회전 화살표들(R2)은 도 5 및 6b의 들보(330)에 대한 허브(310)의 회전을 나타낸다. 이러한 들보(330) 및 허브(310)의 서로에 대한 회전 능력들은, 부분적으로, 본 디자인의 관절운동 능력을 제공한다.
비록 서로에 대한 들보(330) 및 허브(310)의 관절운동이 일부 실시예들에서 또는 동작 상황들에서 발생될 수 있지만, 다른 실시예들 또는 상황들에서, 그러한 관절운동이 방지된다. 특히, 작업 플랫폼 시스템이 완전히 구현된 때, 또는 심지어 부분적으로 구현된 지지 하위시스템(130)의 구조적 지지 구성부들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된 때, 관절운동이 전형적으로 방지된다. 그러한 관절운동을 방지하기 위해서, 도 6a 및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적인 록킹 핀들(340B)(그 중 하나가 도시됨)이 인터페이싱 허브들(310) 및 들보들(330)과 관련하여 설치된다. 보다 특히 도시된 바와 같이, 도 6a 및 6b의 허브(310) 및 들보(330)의 록킹은, 상대적인 관절운동을 방지하기 위해서, 들보(330)의 단부(331A)에 근접하여 록킹 홀들(360A 및 360D)을 통해서 록킹 핀(340B)을 부가함으로써 달성된다. 록킹 핀(340B)은 특히, 허브(310)의 상부 요소(311) 및 하부 요소(312)의 둘레들을 따라서 형성된 몇몇 홈들(또는 슬롯들/딤플들)(324) 중 2개를 따라서 허브(310)와 접촉하는 것으로 인한, 그러한 관절운동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방지하도록 동작한다. 록킹 핀(340B)이 홈들(324) 중 2개를 통해서 연장하기 때문에, 록킹 핀이 상부 및 하부 요소들(311, 312) 주위로 이동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되고, 그에 상응하여 허브(310)에 대한 들보(330)의 그러한 운동이 방지된다. 핀(340A)에서와 같이, 록킹 핀(340B)이 도시된 바와 같은 부가적인 2개의 롤 핀들(342)을 포함할 수 있고, 그러한 롤 핀들은 핀(340A)상에 제공된 롤 핀들에 대해서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들을 위한 역할을 한다. 비록 도 6a 및 6b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들보(330)의 단부(331B)(도 5 참조)가 핀들(340A) 중 다른 핀에 의해서 허브들(310) 중 다른 하나에 연결될 때 들보(330)의 단부(331B)에 인접한 록킹 홀들(360B 및 360C)을 통해서 록킹 핀들(340B) 중 다른 핀이 유사하게 부가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 하위시스템(130)이 본 특허 출원의 양수인인, Waukesha, Wisconsin에 소재하는 Safway Services, LLC로부터 입수가 가능한 QuikDeckTM 현수형 접근 시스템에 따른 구성부들 및 특징부들을 채용한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그리고 이하에서 추가적으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지지 하위시스템(130)의 이러한 구성부들은, 특히, 앵커들(300), 허브들(310), 및 들보들(330), 그리고 전술한 관련 하위 구성부들뿐만 아니라 추가적으로 후술하는 바닥 패널들(732) 및 지지 체인들(220)을 포함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다른 지지 하위시스템들 및 지지 하위시스템 구성부들이, 실시예 또는 상황에 따라서, 또한 이용될 수 있고 또는 대신 이용될 수 있으며, 그러한 다른 지지 하위시스템들 및 연관된 구성부들이 또한 본원에서 포함되도록 의도된다는 것을 또한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특히, 본원 개시 내용은 특히 또한 U.S. 특허 7,779,599로서 명칭이 " Articulating Work Platform Support System, Work Platform System, and Methods of Use Thereof"이고 2010년 8월 24일자로 허여되고, 본원에서 참조로서 포함되는 특허에 개시된 것들 중 임의의 것과 같은 다른 구성부들을 채용하는 지지 하위시스템들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상기 허여된 특허는 본 특허출원의 공통 양수인에게 양도되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4, 5, 6a 및 6b에 도시된 허브들(310), 들보들(330), 및 연관된 구성부들에 관한 전술한 설명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구성부들이 지지 하위시스템(130)의 하부의/일체의 구조적 지지 구성부들(또는 "골격")을 형성하는 구성부들 중에서 채용될 수 있는 단지 예시적인 구성부들이고, 그리고 다른 구조적 지지 구성부들이 다른 실시예들에서 채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추가적인 예로서, 실시예에 따라서, 지지 하위시스템(130)이 이미 설명된 앵커들, 허브들, 들보들, 바닥 패널들, 및 지지 체인들에 더하여 및/또는 그에 대신하여 여러 가지 다른 구성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인 예로서, 실시예에 따라서, 다양한 상이한-형상의 구성부들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들보(330)와 같은 들보들이 바아 들보들일 수 있으나, 들보들이 또한 개방-웨브(open-web) 들보들 및/또는 구조적 튜빙일 수 있다. 추가적인 예로서, 하나 이상의 들보들(330)이 구조적 튜빙 형상들의 복수의 피스로 제조될 수 있고, 또는 들보들(330)이 하나의 단일 구조적 튜빙 형상이 될 수 있다. 유사하게 들보들(330)이 성형된 스틸(예를 들어, 넓은 플랜지 요소들, 좁은 플랜지 요소들, 등), 또는 다른 적합한 형상들 및 재료들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선형(직선형) 대신에 곡선형인 추가적인 다른 타입들의 들보들이 채용될 수 있고, 다른 타입들의 패널 부분들 및 그러한 패널 부분들에 대한 지지부들이 채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현수된 하위시스템(예를 들어, 부분적으로 구현된 하위시스템(120))의 임의 부분들이 구현되기 앞서서, 지지 하위시스템(130)의 제 1 및 제 2 부분들(132 및 134)(그것의 모든 허브들, 들보들, 앵커들, 바닥 패널들, 및 지지 체인을 포함)이 타워들(140)에 대해 완전히 조립되고 설치될 수 있지만,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지지 하위시스템(130)의 해당 부분들이 현수된 하위시스템의 구현과 동시에, 또는 그에 후속하여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이제 도 7을 참조하면, 도 1의 영역(150)에 상응하는 추가적으로 구리-아연 합금 작업 플랫폼 시스템(710)의 부분들(즉, 내부에 배치될 수 있는 시스템의 부분들)의 조립체(700)의 평면도적인, 부분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에 의해서 제공된 특별한 도면은, 도 12의 선 7-7을 따라서 취한 것이고, 도 12는, 이하에서 추가적으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도 1의 영역(150)에 상응하는 현수 교각(100)의 부분들과 함께 조립체(700)의 측부 입면도의 추가적인 확대 상세도를 도시한다. 추가적으로 구현된 작업 플랫폼(710)은, 특히, 부가적인 구성부들을 포함하도록 추가적으로 수정된, 도 1-3의 부분적으로 구현된 작업 플랫폼 시스템(110)이 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특히, 도 7에 도시된 추가적으로 구현된 작업 플랫폼 시스템(710)의 부분들이 전술한 지지 하위시스템(130)뿐만 아니라 추가적으로 구현된 현수된 하위시스템(720)의 부분들 모두를 포함하고, 상기 현수된 하위시스템(720)은 부가적인 구성부들을 포함하도록 수정된 후의 부분적으로 구현된 현수된 하위시스템(120)이다.
도 3과 비교하면 도 7의 지지 하위시스템(130)이 약간 달라보이나, 이는 단지, 도 3과 관련하여 도시되고 설명된 지지 구조물의 허브들(310) 및 들보들(330)("골격") 상에서 지지되는 패널 섹션들(732)을 도 7이 도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패널 섹션들(732)은 바닥을 효과적으로 제공하고, 상기 바닥 상에서 작업자가 걸어 다닐 수 있고 그리고 바닥 상부에서 장비 및 구성부들이 이송되고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외관상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도 7의 지지 하위시스템(130)이 도 3의 지지 하위시스템뿐만 아니라 도 2 및 12에 도시된 지지 하위시스템과 동일하고, 그에 따라 특히 도 3에 도시된 모든 허브들(310), 들보들(330), 및 앵커들(300)뿐만 아니라 도 2 및 도 12와 관련하여 도시되고 설명된 패널 섹션들(732) 및 지지 체인들(220)도 포함한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비록 지지 하위시스템(130)이 완전히 구현된 또는 설치된 본 실시예의 지지 구조물로 간주되나, 다른 실시예들에서, 레일링들(railings)과 같이, 도 7(또는 도 2, 3, 또는 12)에 도시되지 않은 부가적인 구성부들이 지지 하위시스템(130)에 여전히 부가될 수 있다는 것, 그리고 그러한 부가적인 구성부들이 구현된 후에만 지지 하위시스템이 완성될 수 있다는 것을 추가적으로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적으로 구현된 현수된 하위시스템(720)과 관련하여, 특히 하위시스템(720)이 와이어 철근들(230)의 여러 쌍들 상에서 지지되도록 설치된 복수의 패널 섹션들(750)을 포함하는 범위에 있어서, 이러한 현수된 하위시스템이 도 3의 부분적으로 구현된 현수된 하위시스템(120)과 상이하다. 보다 특히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철근들(230)의 9개의 쌍들(즉, 와이어 철근들의 쌍들(301, 302, 303, 304, 305, 306, 307, 308, 및 309))이 존재한다면, 패널 섹션들(750)의 8개의 부분적으로 완성된 행들 즉, 제 1, 제 2, 제 3, 제 4, 제 5, 제 6, 제 7, 및 제 8 행들(751, 752, 753, 754, 755, 756, 757, 및 758)이 존재하는 것으로 보여지고, 상기 행들의 각각의 개별적인 하나의 행(예를 들어, 751, 752, 등)이 와이어 철근들(230)(예를 들어, 쌍들(301 및 302), 쌍들(302 및 303), 등)의 쌍들 중의 연속되는 와이어 철근들의 상응하는 쌍 상에서 지지된다. 패널 섹션들(750)의 행들의 실제 수뿐만 아니라 와이어 철근들(230)의 쌍들의 실제 수가 실시예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들에서, 와이어 철근들(230)의 2개의 쌍들 사이에 또는 그 상부에 위치되는 패널 섹션들(750)의 하나의 행만이 존재하는 한편, 다른 실시예들에서, 패널 섹션들의 8개의 행들 초과 또는 그 미만 그리고 와이어 철근들의 9개의 쌍들 초과 또는 그 미만이 존재할 수 있다.
이제 도 8, 9, 및 10을 참조하면, 도 1의 패널 섹션들(750) 중 예시적인 하나의 상부 평면도, 측면 입면도, 및 우측 단부 입면도가 각각 도시된다. 예를 들어, 도 8, 9 및 10이, 패널 섹션들의 제 6 행(756)의 가장 우측의 패널 섹션이고,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다른 패널 섹션들(750)의 각각과 동일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는, 도 3에 도시된 패널 섹션(765)을 도시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 섹션(765)은 일반적으로 세장형의 직사각형 형상이고,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92 인치(또는 약 8 피트)의 폭 치수(759) 및 24 인치(2 피트)의 길이 치수(761)를 가진다. 여기에서의 설명 목적들을 위해서, 폭 치수(759)는, 패널 섹션(765)이 사이에서 연장하는 와이어 철근들의 쌍들 중 이웃하는 하나들 사이의 거리에 실질적으로 상응하고, 그리고 대조적으로 길이 치수(761)는 와이어 철근들을 따른 패널 섹션(765)의 길이에 상응한다(다른 실시예들에서 길이 및 폭 치수들이 달리 규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주어진 현수된 하위시스템에서 채용된 패널 섹션들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의 이러한 치수들이 패널 섹션(765)에 대해서 도시된 것들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실시예에서, 패널 섹션이 약 8 피트 길이 및 1 피트 폭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사실상, 패널 섹션은 세정형의 직사각형일 필요가 없고, 또한 정사각형 형상과 같은 다른 형상이 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 7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일부 실시예들에서, 다른 크기들을(및/또는 형상들) 가지는 다른 패널 섹션들이 동일한 작업 플랫폼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 있다. 예로서, 패널 섹션들 중 특정 패널 섹션이 전술한 2 x 8 피트의 치수들을 가지고, 그리고 동일한 작업 플랫폼 시스템 내의 다른 패널 섹션들이 1 x 8 피트 치수들을 가질 수 있다. 다양한 크기들(예를 들어, 다른 길이 및/또는 폭 치수들)의 패널 섹션들의 이용을 통해서, 작업 플랫폼 시스템의 구현과 연관된 다양한 실제적인 문제들을 편리하게 해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약 하나 이상의 장애물들(예를 들어, 데크(22) 아래의 파이프 돌출(jutting))이 패널 섹션들의 행들 중 하나를 따른 패널 섹션들(750) 중 하나의 구현을 방해한다면, 그 대신에 다른 크기의 패널 섹션이 구현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예로서, 패널 섹션(765)은 특히, 전체 패널 섹션(765)의 전술한 폭 및 길이 치수들(759 및 761)과 동일한 치수들을 가지고 그리고 작업자들이 상부에서 걸어다닐 수 있는 표면이 되는 상단부 패널 표면(763)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단부 패널 표면(763)이 목재(예를 들어, 합판)로 제조된다. 상단부 패널 표면(763)으로서 목재를 이용하는 것은, (예를 들어, 강우 중에) 표면 상에 수분이 존재하는 조건들에서도, 시트 금속과 같은 다른 재료들이 이용되는 경우 보다, 우수한 트랙션(traction)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특히 유리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단부 패널 표면(763)을 형성하기 위해서 채용되는 특별한 재료가 실시예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패널 섹션(765)과 관련하여, 상단부 패널 표면(763)이 스틸 튜브들 또는 스트럿들(760) 상에 장착되고, 이는 도 8, 9 및 10에 도시되어 있고(스트럿들이 특히 도 8에서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고), 그리고 이는 패널 표면(763) 아래의 지지 구조물 또는 "골격"이 된다. 추가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럿(760)이 특히 측부 스트럿들(762)의 쌍, 단부 스트럿들(764)의 쌍, 및 중간 스트럿(766)을 포함한다. 측부 스트럿들(762) 및 단부 스트럿들(764)은 패널 표면(763)의 둘레를 따르는 루프를 효과적으로 형성하고, 측부 스트럿들(762)은 폭 치수(759)의 전체 길이로 연장되고 그리고 단부 스트럿들(764)은 길이 치수(761)의 전체 폭으로 연장된다. 중간 스트럿(766)은, 단부 스트럿들(764) 사이의 중간에서, 2개의 측부 스트럿들(762) 사이에서 연장하도록, 패널 표면(763) 아래에 배치된다.
상단부 패널 표면(763) 및 스트럿들(760)에 더하여, 패널 섹션(765)은, (예를 들어, 패널 섹션들의 행들을 형성하기 위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트럿들(760)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고 와이어 철근들(230)과 관련한 그리고 또한 패널 구조물들(750) 중 다른 하나들과 관련한 패널 섹션(765)의 장착을 허용하는 몇 개의 지지 구성부들을 포함한다. 보다 특히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지지 구성부들은 4개의 와이어 철근 지지 연장부들(770)뿐만 아니라 4개의 핸들 지지 연장부들(780)을 포함하고, 이들 모두는 전술한 폭 치수(759) 및 길이 치수(761) 중 어느 하나의 한계들을 지나서 외측으로 연장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철근 지지 연장부들(770)은 특히 단부 스트럿들(764)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고, 즉, 폭 치수(759)에 대해서 평행한 또는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들을 따라서 외측으로 연장한다. 와이어 철근 지지 연장부들(770) 중 2개가 일반적으로 측부 스트럿들(762) 중 하나의 대향 단부들에서 외측으로 연장하고, 그리고 와이어 철근 지지 연장부들(770) 중 다른 2개가 일반적으로 측부 스트럿들(762) 중의 다른 하나의 대향 단부들에서 외측으로 연장된다. 대조적으로, 핸들 지지 연장부들(780)이 길이 치수(761)에 평행한 또는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들을 따라서 측부 스트럿들(762)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고, 그리고 단부 스트럿들(764)의 상당히 내측의 위치들에 모두 배치된다.
도 8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와이어 철근 지지 연장부들(770)은 작은 벤드들(774)을 포함하고, 그에 따라 연장부들(770)의 외측 부분들(776)이 내측 부분들(778)에 대해서 약간 천이되고(shifted), 그러한 천이에 의해서 연장부들(770)이 단부 스트럿들(764)에 부착된다. 보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단부 스트럿들(764) 중 제 1 단부 스트럿(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우측 단부 스트럿)로부터 연장하는 와이어 철근 지지 연장부들(770)의 각각은, 길이 치수(761)를 따라서 제 1 방향으로 오프셋된 또는 천이된 개별적인 외측 부분(776)을 구비하고, 그리고 단부 스트럿들(764) 중 다른 하나(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좌측 단부 스트럿)으로부터 연장하는 와이어 철근 지지 연장부들(770)의 각각은, 제 1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오프셋된 또는 천이된 개별적인 외측 부분(776)을 가진다. 패널 섹션(765)의 대향 단부들에 위치되는 외측 부분들(776)의 그러한 대향-지향된 오프셋들(또는 "조글들(joggles; 맞물림))이 상보적이 되고, 그에 따라 행들 중 이웃하는 행들(예를 들어, 도 7의 행들(756 및 757)에서, 개별적으로 나란히 위치된 2개의 패널 섹션들)에서 패널 섹션들(750) 중 2개가 와이어 철근들(230)의 공유된 쌍들 상에서(예를 들어, 와이어 철근들(307)의 쌍들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게 하고 그리고 또한 정렬되어 패널 섹션들의 각각의 상응하는 측부 스트럿들(762)이 서로 정확하게 정렬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도 7에서, 패널 섹션들(750)의 행들(751, 752, 753, 754, 755, 756, 757, 및 758)이 서로 완전하게 정렬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특히 도 9에서 추가적으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와이어 철근 지지 연장부들(770), 특히 그 외측 부분들(776)의 각각은, 그러한 부분들의 하단부 릿지(ridge)로부터 상향 연장하는 요홈부들(indentations)(772)의 쌍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요홈부들(772)에 의해서, 와이어 철근 지지 연장부들(770)의 외측 부분들(776)이, 패널(750)이 사이에 배치되는, 와이어 철근들(230)의 2개의 쌍들 상에서 그리고 그 위에서 슬립될 수 있다. 따라서, 예로서, 도 8, 9, 및 10의 패널 섹션(750)이 패널 섹션들의 제 6 행(756)의 패널 섹션들 중 가장 우측의 패널 섹션인 도 7의 패널 섹션(765)인 것으로 계속 가정한다면, 도 9에 도시된 외측 부분들(776) 중 좌측의 외측 부분의 요홈부들(772)이 와이어 철근들(307)의 쌍을 수용하는(슬립 오버) 요홈부들이 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고,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외측 부분들(776) 중 우측의 외측 부분의 요홈부들(772)은 와이어 철근들(306)의 쌍을 수용(슬립 오버)하는 요홈부들이 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전술한 특징들에 더하여, 도 9로부터, 본 실시예에서, 와이어 철근 지지 연장부들(770)의 각각이 또한, 개별적인 와이어 철근 지지 연장부의 요홈부들(772) 사이에 일반적으로 배치되는, 오리피스 또는 노치(781)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관찰할 수 있을 것이다. 와이어 철근 지지 연장부들의 오리피스들(781)의 존재로 인해서, 일부 실시예들에서, 가드 레일 포스트들 또는 와이어들 또는 다른 구조물들(미도시)와 같은 부가적인 구조물들이 와이어 철근 지지 연장부들에 부착될 수 있고 그에 따라 현수된 하위시스템의 나머지에 부착될 수 있다.
와이어 철근 지지 연장부들(770)과 관련한 전술한 설명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연장부들(또는 패널 섹션들(750)이 와이어 철근들(230)과 같은 가요성 지지 요소들 상에서 지지될 수 있게 허용하기 위해서 채용된 유사한 구조물들)이 다른 실시예들에서 다른 형태들을 취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예로서, 일부 다른 실시예들에서, 와이어 철근 지지 연장부는 어떠한 오프셋들(또는 "조글들")도 가지지 않는다. 즉, 그러한 실시예들에서, 와이어 철근 지지 연장부들이 직선형이며, 그에 따라 내측 및 외측 단부들(즉, 전술한 내측 및 외측 부분들(778 및 776)에 상응하는 와이어 철근 지지 연장부의 부분들)이 정렬된다. 오프셋들(또는 "조글들")이 모든 실시예들에서 채용될 필요는 없는데, 이는 와이어 철근 지지 연장부들의 두께가 작을 수 있기 때문이고, 그리고 패널 섹션들이 완전히 정렬된(다시 말해서, 그에 따라 상이한 행들 내의 패널 섹션들의 측부 스트럿들(762)이 정렬된다) 와이어 철근들의 주어진 쌍의 대향 측부들 상의 행들 내에 제공되어야 하는 임의의 특별한 필요성이 항상 존재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추가적으로 일부 다른 실시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와이어 철근 지지 연장부들의 하나 이상의 하위 특징부들이 도 8, 9, 및 10에 대해서 전술한 것들과 다른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예로서, 하나의 다른 실시예에서, 패널 섹션의 와이어 철근 지지 연장부들 중 하나 이상은, 비교를 위해서 도 9의 와이어 철근 지지 연장부들(770) 중 하나의 일부에 상응하도록 도시된, 도 9a에 도시된 와이어 철근 지지 연장부(770A)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형상이 동일한 2개의 요홈부들(772)을 가지는 대신에, 와이어 철근 지지 연장부(770A)가 다소 상이한 형상의 제 1 요홈부(772A) 및 제 2 요홈부(772B)를 가지고, 상기 제 2 요홈부(772B)는 도 9의 요홈부들(772)과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하나, 제 1 요홈부(772A)는 도 9의 요홈부들(772)의 크기 및 형상을 넘어서 요홈부를 확장하는 부가적인 컷아웃 영역(783A)을 가진다. 부가적인 컷아웃 영역(783A)으로 확장된 제 1 요홈부(772A)의 크기는, 적어도 일부 실시예들에서, 와이어 철근들(230)과 같은 와이어 철근들의 쌍들 상에 와이어 철근 지지 연장부(770A)의 장착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도 9a의 다른 실시예에서, 와이어 철근 지지 연장부(770A)는, 제 1 요홈부(772A)의 부가적인 컷아웃 영역(783A)의 존재를 수용하기 위해서 (적어도 2개의 요홈부들의 최상부 선단부들에 대해서 비교될 때) 제 1 요홈부(772A)에 대해서 보다 제 2 요홈부(772B)에 대해서 보다 근접하고 낮게 오리피스(781A)가 배치된다는 것을 제외하고, 도 9의 와이어 철근 지지 연장부들(770) 중 하나의 오리피스(781)에 상응하는 오리피스(781A)를 포함한다는 것을 주지할 수 있을 것이다. 도 9 및 9a와 관련한 전술한 설명에도 불구하고, 와이어 철근 지지 연장부들이 다른 방식들로 또한 수정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예로서, 일부 부가적인 실시예들에서, (예를 들어, 오리피스(781) 또는 오리피스(781A)에 부가적인) 부가적인 홀들을 부가하여, 다른 크기들의 비계(scaffold) 배열들 상에서 이용 및 고정을 도울 수 있을 것이다.
여전히 도 8, 9, 및 10을 참조하면, 연장부들(780)의 각각이 측부 스트럿들(762) 중 하나로부터 외측으로 멀리(상단부 패널 표면(763)으로부터 외측으로 멀리) 연장되고, 이어서 측부 스트럿들에 대해서 전체적으로 평행하게 측방향으로 연장하여 개별적인 중간 핸들 부분(779)을 형성하고, 이어서 루프 백(loop back)되어 (해당 측부 스트럿을 따른 다른 위치에서) 원래 연장이 시작되었던 개별적인 측부 스트럿과 다시 연결되는 한도에서(insofar), 핸들 지지 연장부(780)가 와이어 철근 지지 연장부들(770)과 상이한 구조적 형태를 취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핸들 지지 연장부들(780)의 각각이 U-형상의 연장부가 된다. 도 10으로부터 추가적으로 명백한 바와 같이, 패널 섹션(765)을 우측 단부 측부(또는 좌측 단부 측부)로부터 볼 때, 핸들 지지 연장부들(780)의 각각이 U-형상뿐만 아니라 L-형상의 특성을 가진다는 것이 명확해질 것이다. 보다 특히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 지지 연장부들(780)의 각각은, 일반적으로 수평 방식으로(즉, 상단부 패널 표면(763)에 평행하게), 그것이 장착된 개별적인 측부 스트럿(762)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나, 이어서 추가적으로 연장하여 후크-유사 포메이션(785)를 포함하고, 상기 포메이션에서 개별적인 핸들 지지 연장부가 첫 번째로 약간 강하되고(dip down)(즉, 상단부 패널 표면으로부터 멀리) 그리고 이어서 연장부의 중간 핸들 부분(779)가 형성되는 위치에서 위쪽으로(즉, 상단부 패널 표면의 평면을 향해서) 다시 곡선형이 된다. 본 실시예에서, 개별적인 핸들 지지 연장부들(780)의 개별적인 중간 핸들 부분들(779)은, 개별적인 핸들 지지 연장부(780)가 첫 번째로 수평을 따라 외측으로 연장되는 개별적인 위치들 보다 실질적으로 더 높은 개별적인 위치들에 있게 된다.
패널 섹션(765)과 같은 패널 섹션들(750)의 각각의 핸들 지지 연장부들(780)의 특별한 후크-형상의 구성은 몇 가지 목적들을 위한 역할을 한다. 시작시에, 핸들 지지 연장부들(780)의 형상은, 그러한 연장부들이 핸들로서 역할할 수 있게 하고, 그러한 핸들에 의해서 작업자(또는 다른 설치 장비)가 작업 플랫폼 시스템의 구현 중에 패널 섹션들(750)을 파지 및 지지(그에 따라 상승 및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추가적으로, (이하에서 추가적으로 설명하는 바와 같이) 핸들 지지 연장부들(780)의 형상 및 배치에 의해서, 패널 섹션들의 임의의 주어진 행들 내의 패널 섹션들(750) 중의 인접한 패널 섹션들이 서로에 대해서 용이하게 배치될 수 있게 되고 그리고 최종적으로 서로에 대해서 록킹될 수 있게 된다. 사실상, 패널 섹션들 자체의 하중과 조합된, 핸들 지지 연장부들(780)에 의해서 허여된 주어진 행의 패널 섹션들 중의 패널 섹션의 이러한 상호록킹으로 인해서, 본 실시예의 패널 섹션들(750)은 일반적으로, 와이어 철근들로부터의 패널 섹션들의 상승을 방해하는 경향이 있을 수 있는 임의의 부가적인 고정 메커니즘들이 없이도, (와이어 철근들의 쌍들을 수용하는 요홈부들(772)로) 와이어 철근들(230)의 쌍들 상에서 지지 및 장착될 수 있다. 즉, 패널 섹션들(750)이 일단 배치되면, 그 패널 섹션들은 와이어 철근들에 대해서 형상결합되지 않고, 그들의 철근들에 대한 제위치에서 단순히 유지하는데, 이는 그들의 하중 및 그들의 이웃하는 패널 섹션들과의 상호 연결부들 때문이다. 다시 말해서, 다른 실시예들에서, 해당 패널 섹션들을 지지하는 와이어 철근들의 쌍들에 대해서 패널 섹션들을 형상결합식으로 록킹하거나 고정하는 다른 특징부들을 패널 섹션들(750)이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또한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추가적으로, 패널 섹션(765)과 같은 패널 섹션들(750)의 설치 및 상호록킹과 관련하여, 도 11a, 11b, 및 11c 각각은, 부가적인 패널 섹션(791)이 유사하게 해당 와이어 철근들 상에 배치되고 그리고 그에 의해서 지지되도록, 와이어 철근들(230) 상으로(예를 들어, 와이어 철근들의 제 6 및 제 7 쌍들(306 및 307) 상으로) 이미 배치된 패널 섹션(765)과 관련하여 설치된 부가적인 패널 섹션(791)(이는 패널 섹션들(750)의 각각과 동일한 타입이다)의 제 1, 제 2, 및 제 3 부분적 절개도들을 제공한다. 보다 특히, 도 11a, 11b, 및 11c의 각각은, 패널 섹션(765)에 대해서 도 8에서 도시된 선 11-11에 상응하는 선을 따라서, 패널 섹션들(765 및 791) 모두를 통해서 취한 단면도이고, 여기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 11-11은 부가적인 패널 구조물(791)이 인접하여 배치되는 해당 패널 섹션의 측부 스트럿들(762) 중 해당되는 측부 스트럿을 따르는 패널 섹션(765)의 핸들 지지 연장부들(780) 중 하나를 통과한다. 추가적으로, 이와 관련하여, 비록 도 8이 부가적인 패널 섹션(791)을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도 11a, 11b, 및 11c에서 제공된 단면도는, 2개의 패널 섹션들의 단부 스트럿들(764)이 서로 정렬되는, 패널 섹션(765)과 관련된 부가적인 패널 섹션(791)의 전형적인 설치 프로세스에 적절할 수 있는 것임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보다 특히, 도 11a는, 부가적인 패널 섹션(791)이 패널 섹션(765)과 관련하여 처음 설치될 때, 부가적인 패널 섹션(791)의 상단부 패널 표면(763)이 패널 섹션(765)의 2개의 함께-정렬된 핸들 지지 섹션들(780) 내로 수용되고 그로부터 실질적으로 수직 상방으로 연장하도록, (예를 들어, 작업자가 핸들 지지 연장부들(780)을 이용하여 패널 섹션(791)을 위치로 상승시키는 것에 의해서) 부가적인 패널 섹션(791)을 어떻게 처음 배치하는지를 도시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배치될 때, 부가적인 패널 섹션(791)의 측부 스트럿들(762) 중 제 1 측부 스트럿은, 부가적인 패널 섹션(791)을 내부에 수용한 제 1 패널 섹션(765)의 핸들 지지 연장부들(780)의 후크 포메이션들(785) 내로 배치된다. 또한, 이러한 초기 위치에서, 상단부 패널 표면(763)이 패널 섹션(765)의 핸들 지지 연장부들(780)로 (또는 거의 그러한 핸들 지지 연장부들로) 하향 연장되고 그리고 패널 섹션들(765 및 791)의 이웃하는 측부 스트럿들(762) 사이에서 연장한다.
도 11b 및 11c 각각을 다시 참조하면, 부가적인 패널 섹션(791)이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 섹션(765)에 대한 위치 내로 배치되면, 부가적인 패널 섹션(791)이 완전히 제 위치에 있게 되어 해당 패널 섹션의 상단부 패널 표면(763)이 패널 섹션(765)의 상단부 패널 표면(763)에 대해서 수평 및 평행이 될 때까지, 도 11b의 화살표(792)로 전반적으로 표시된 방향을 따라서 해당 패널 섹션(791)을 회전시킴으로써, 즉, 패널 섹션(765)으로부터 전반적으로 아래쪽으로 그리고 외측으로 멀리 회전시킴으로써, 부가적인 패널 섹션(791)의 추가적인 설치가 이루어진다. 그러한 회전 운동이 완전히 완성될 때, (도 8 및 9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해당 패널들의 각각에 형성된 와이어 철근 지지 연장부들(770)에 의해서, 양 패널 섹션들(765 및 791)이 이어서 와이어 철근들(306 및 307) 상에서 지지되며, 상기 와이어 철근들 사이에서 상기 패널들 모두가 연장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완전한 설치시에, 패널 섹션들(765 및 791)의 이웃하는 측부 스트럿들(762)이 일반적으로 서로 인접한다. 패널 섹션(765)에 대한 부가적인 패널 섹션(791)의 적절한 회전을 허용하기 위해서, 부가적인 패널 섹션(791)의 측부 스트럿들(762)의 단면 폭을 다소 초과하는 거리를 두고 해당 핸들 지지 연장부들이 장착되는 제 1 패널 섹션(765)의 측부 스트럿(762)으로부터 멀리 외측으로 핸들 지지 연장부들(780)이 연장될 필요가 있으며, 상기 초과 거리는 도 11c에서 거리(794)로서 도시되어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비록 도 11a 및 11b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도 11c에 추가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 섹션(765)과 같이, 부가적인 패널 섹션(791)이 핸들 지지 연장부들(780)을 포함한다. 패널 섹션들(765, 791)의 각각에서의 핸들 지지 연장부들(780)의 간격이 도 8(패널 섹션들(765 및 791)을 포함하는 패널 섹션들(750)의 각각의 특징부들을 나타낸다)에 도시된 것과 같다면, 패널 섹션들(750)의 각각의 측부 스트럿들(762) 중 하나 상의 핸들 지지 연장부들(780)이, 개별적인 패널 섹션의 중간 스트럿(766)에 대해서, 제 1 방향으로 오프셋되나, 개별적인 패널 섹션(750)의 측부 스트럿들(762) 중 대향하는 하나 상의 핸들 지지 연장부들(780)이 반대 방향을 따라서 중간 스트럿(766)으로부터 오프셋된다는 것을 인식하여야 할 것이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측부 스트럿들(762) 중 상단부 측부 스트럿을 따른 핸들 지지 연장부들(780)이 우측으로 오프셋되는 한편, 측부 스트럿들(762) 중 하단부 측부 스트럿을 따른 핸들 섹션들은 좌측으로 오프셋된다. 보다 특히,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패널 섹션(765)의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측부 스트럿들(762) 중 상부의 측부 스트럿으로부터 연장하는 좌측 핸들 지지 연장부(780)의 가장 좌측 부분이, 또한 단부 스트럿들(764)의 좌측의 하나의 좌측 측부 엣지가 되는, 해당 패널 섹션의 좌측 측부 엣지로부터 32 인치 오프셋되고, 그리고 해당 측부 스트럿으로부터 연장하는 우측 핸들 지지 연장부(780)의 가장 좌측 부분이 해당 좌측 핸들 지지 연장부의 가장 좌측 부분으로부터 다른 28 인치에 걸쳐서 오프셋된다. 대조적으로, 측부 스트럿들(762) 중 하부의 측부 스트럿으로부터 연장하는 우측 핸들 지지 연장부(780)의 가장 우측 부분이, 또한 단부 스트럿들(764)의 우측의 하나의 우측 측부 엣지가 되는, 해당 패널 섹션의 우측 측부 엣지로부터 32 인치 오프셋되고, 그리고 해당 측부 스트럿으로부터 연장하는 좌측 핸들 지지 연장부의 가장 우측 부분이 해당 우측 핸들 지지 연장부의 가장 우측 부분으로부터 다른 28 인치에 걸쳐서 오프셋된다.
각각의 패널 섹션들(750) 상의 핸들 지지 연장부들(780)의 이러한 배열이 주어진다면, 패널 섹션들(750)의 각각이 핸들 지지 연장부들(780)이 실질적으로 상보적이라는 것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즉, 패널 섹션들(750)의 각각의 대향 측부들 상의 핸들 지지 연장부들(780)의 대향-천이된 배열들로 인해서, 이웃하는 패널 섹션들의 핸들 지지 연장부들(780)이 서로 만나고 그리고 장애물이 되는 대신에, 이웃하는 패널 구조물들의 각각의 핸들 지지 연장부들(780)이 이웃하는 패널 구조물들의 다른 핸들 지지 연장부들과 결합되거나 맞물리는(mesh) 방식으로, 이웃하는 패널 섹션들이 서로의 다음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가적인 패널 섹션(791)과 같은 패널 섹션들(750) 중 하나가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 섹션(765)과 같은 패널 섹션들 중 다른 패널 섹션과 관련하여 구현될 때, 부가적인 패널 섹션(791)과 대면하는 패널 섹션(765)의 측부 상의 핸들 지지 연장부들(780)이 부가적인 패널 섹션(791)의 인접하는 측부 스트럿(762) 아래에서 그리고 위로 그리고 주변으로 연장하고, 유사하게, 패널 섹션(765)(도 11c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다)과 대면하는 패널 섹션(791)의 측부 상의 핸들 지지 연장부들(780)이 패널 섹션(765)의 인접하는 측부 스트럿(762) 아래에서 그리고 위로 그리고 주변으로 연장한다.
비록 도 8, 9 및 10에 도시되고 다시 도 11a, 11b, 및 11c에 도시된 패널 섹션(765)이, 전술한 바와 같이, 추가적으로 구현된 현수된 하위시스템(720)과 같은 현수된 하위시스템에서 채용될 수 있는 패널 섹션의 하나의 예시적인 타입이나, 실시예 또는 상황에 따라서, 많은 상이한 특징부들의 타입들을 가지는 수많은 타입들의 패널 섹션들이 채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특별한 현수된 하위시스템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고 심지어는 주어진 현수된 하위시스템의 전후관계(context)에서 달라질 수 있는, 채용되는 패널 섹션들의 전체적인 크기들, 치수들, 또는 형상들의 변화들에 더하여, 핸들 지지 연장부들과 같은 패널 섹션들의 특징부들이 또한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1d, 11e, 11f, 11g, 11h, 11i, 11j, 11k, 11l 및 11m은 패널 섹션(765)의 특징부들과 상이한 특정 특징부들을 가지는 대안적인 패널 섹션들(850, 856, 860, 870, 880, 885, 888, 및 890)의 몇 가지 예들을 도시한다. 보다 특히,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대안적인 패널 섹션들의 각각은, 패널 섹션(756)의 와이어 철근 지지 연장부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와이어 철근 지지 연장부들(770)을 포함하나, 그 대신에 핸들 지지 연장부들과 인터페이싱하기 위한 상보적인 구성부들 및/또는 핸들 지지 연장부들의 다른 타입들 또는 배열들을 가진다.
이와 관련하여 보다 특히, 도 11d를 참조하면, 비록 대안적인 패널 섹션(850)이 대안적인 패널 섹션의 제 1 측부(852)로부터 연장하는 핸들 지지 연장부들의 쌍들을 포함하지만, 다른 핸들 지지 연장부들이 대안적인 패널 섹션의 대향 측부(854) 상에 제공되지 않는다는 것을 제외하고, 패널 섹션(765)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대안적인 패널 섹션(850)의 사시도가 제공된다. 추가적으로, 패널 섹션(756) 내에 존재하는 핸들 지지 연장부들(780)의 후크형 타입을 채용하는 대신에, 대안적인 패널 섹션(850)은, 이하에서 추가적으로 설명되는, 도 11g에 특히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 지지 연장부들이 측부(852)로부터 단지 외측으로 수평으로 연장하고 그리고 상향 90도 벤드를 가진다는 점에서, 핸들 지지 연장부들과 상이한 핸들 지지 연장부들(851)을 채용한다.
또한, 도 11e를 참조하면, 비록 대안적인 패널 섹션(856)이 핸들 지지 연장부들(851)의 쌍들을 포함하지만, 그러한 핸들 지지 연장부들 중 하나(2 가 아니다)가 대안적인 패널 섹션의 제 1 측부(858) 상에 제공되고 그리고 그러한 핸들 지지 연장부들 중 다른 하가가 대안적인 패널 섹션의 대향 측부(859) 상에 제공된다는 것을 제외하고, 대안적인 패널 섹션(85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대안적인 패널 섹션(856)의 사시도가 제공된다. 추가적으로, 도 11f를 참조하면, 대안적인 패널 섹션(860)이 제 1 측부(861)를 따라서(일반적으로 해당 측부의 중간에 위치됨) 핸들 지지 연장부들(851) 중의 하나의 핸들 지지 연장부만을 포함하나, 핸들 지지 연장부가 대향 측부(864)를 따르지 않는다는 것을 제외하고, 대안적인 패널 섹션(856)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대안적인 패널 섹션(860)의 사시도가 제공된다.
대안적인 패널 섹션들(850, 856, 및 860)의 각각의 핸들 지지 연장부(들)(851)의 타입, 갯수, 및 배치가 패널 섹션(756)과 상이하지만, 이러한 대안적인 패널 섹션들의 각각의 핸들 지지 연장부(들)이 여전히 실시되어, 적어도 일부 범위에서, 도 11a, 11b, 및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패널 섹션(756)(및 패널 섹션(790)) 내의 핸들 지지 연장부들(780)에 의해서 실시되는 기능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핸들 지지 연장부(들)(851)이 대안적인 패널 섹션들(850, 856, 및 860)의 이송 및 이동을 위해서 여전히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핸들 지지 연장부(들)(851)가 (적어도 일부 범위에서) 인접한 패널 섹션들을 배향, 캡쳐, 지지하도록 추가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d의 대안적인 패널 섹션들(850) 중 2개를 (패널 섹션들의 행에서와 같이) 나란히 서로에 대해서 인접하여 배치된 조립 상태로 단면적으로, 부분 절개하여 도시하는, 도 11g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러한 실시예들에서 여전히, 그러한 대안적인 패널 섹션들 중 하나의 대향 측부(852)로부터 연장하는 핸들 지지 연장부들(851)이 그러한 대안적인 패널 섹션들(860)의 이웃하는 측부 스트럿들(862)의 아래에서, 위로, 그리고 주위로 연장할 것이고, 그에 따라 해당되는 다른 패널 섹션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위치에서 유지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도 11h와 관련하여, 도 11d의 대안적인 패널 섹션(850)과 대비되는 대안적인 패널 섹션(870)은, 핸들 지지 연장부들(851)과 대조적으로, 벤드들을 전혀 가지지 않고 단지 제 1 측부(874)로부터 순전히 수평으로 연장하는 U-형상의 구조물들인, 제 1 측부(874)로부터 연장하는 핸들 지지 연장부들(872)의 쌍을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대안적인 패널 섹션(850)의 대향 측부(878) 상에서, 임의 타입의 임의의 핸들 지지 연장부들을 가지는 대신에, 해당 대안적인 패널 섹션은 상보적인 상호록킹 장치들 또는 돌출부들(876)의 쌍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개별적인 상호록킹 장치들(876)의 각각이, 대향 측부(878)를 따라서, 제 1 측부(874) 상에 배치된 핸들 지지 연장부(872) 중의 개별적인 하나와 정렬되고, 그리고 2개의 그러한 대안적인 패널 섹션들이 조립될 때, 상기 상호록킹 장치들의 돌출 부분들이 각각 대안적인 패널 섹션들(870) 중 다른 하나의 핸들 지지 연장부(872)의 상보적인 내부 오리피스 영역들 내에 각각 피팅되도록, 상기 상호록킹 장치들(876)의 크기가 결정되고 구성된다.
그러한 배열이 도 11i에 도시되어 있고, 그 도면은 (패널 섹션들의 행 내에 있는 것과 같이) 서로 나란히 인접하여 배치된 도 11i의 대안적인 패널 섹션들(870) 중 2개의 측부 입면도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대안적인 패널 섹션들(870) 중 하나의 대향 측부(878)를 따른 상호록킹 장치들(876)이 대안적인 패널 섹션들 중 다른 하나의 제 1 측부(874) 상에 배치된 핸들 지지 연장부들(872) 중의 개별적인 하나들 내에 수용되고, 그리고 통과하여 아래에서 연장된다. 상호록킹 장치들(876)이 핸들 지지 연장부들(872) 내에 그렇게 배치되면, 2개의 대안적인 패널 섹션들(870)이 서로 상호연결된다. 또한, 핸들 지지 연장부들(780 및 851)에서와 같이, 핸들 지지 연장부들(872)은 다시 대안적인 패널 섹션들(870)의 이송 및 이동을 돕기 위한 핸들로서의 역할을 하나, 또한 인접한 대안적인 패널 섹션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도 11i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록킹 장치들(876)을 수용하는 핸들 지지 연장부들(872)은 또한 그러한 상호록킹 장치들과 연관된 대안적인 패널 섹션의 이웃하는 측부 스트럿(879)의 아래에서 연장한다.
비록 도 11h 및 11i에 도시된 대안적인 패널 섹션(870)이, 편평한 핸들 지지 연장부들(872)을 채용하는 대안적인 패널 섹션의 하나의 예이지만, 각각의 도 11j, 11k, 11l, 및 11m에 각각 도시된 대안적인 패널 섹션들(880, 885, 888 및 892)이 이와 관련한 부가적인 예들이 된다. 그러나, 대안적인 패널 섹션(870)과 대조적으로, 대안적인 패널 섹션들(880, 885, 888 및 892) 중 어느 것도 어떠한 상호록킹 장치들(876)도 포함하지 않는다. 보다 특히, 도 11h는 대안적인 패널 섹션(880)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그리고 해당 패널 섹션이 제 1 측부(882)로부터 (일반적으로, 해당 측부를 따른 중간 위치로부터) 연장하는 핸들 지지 연장부들(872) 중 단지 하나만을 가지는 것으로 그러나 대향 측부(883)로부터 연장하는 다른 핸들 지지 연장부(872)를 가지지 않는 것으로 도시한다. 대조적으로, 도 11k는 제 1 측부(885)로부터 연장하는 핸들 지지 연장부들(872) 중 하나 및 대향 측부(886)로부터 연장하는 핸들 지지 연장부들(872) 중 다른 하나를 가지는 것으로 대안적인 패널 섹션(885)을 도시하고, 도 11l은 제 1 측부(887)로부터 연장하는 핸들 지지 연장부들(872) 중 2개를 가지나 대향 측부(889)로부터 연장하는 핸들 지지 연장부들은 가지지 않는 것으로 대안적인 패널 섹션(888)을 도시하고, 그리고 도 11m은 제 1 측부(892)로부터 연장하는 핸들 지지 연장부들(872) 중 2개를 가지고 대향 측부(894)로부터 연장하는 핸들 지지 연장부들(872) 중 다른 2개를 가지는 것으로 대안적인 패널 섹션(894)을 도시한다.
패널 섹션(756)의 핸들 지지 연장부들(780)과 같이, 도 11m의 대안적인 패널 섹션(890)의 제 1 및 대향 측부들(892 및 894)로부터 연장하는 핸들 지지 연장부들(872)의 쌍들이 그들의 각각의 측부들의 길이를 따라서 서로로부터 오프셋되며, 그에 따라 상보적으로 배치되어 대안적인 패널 섹션들(890) 중의 복수의 하나들의 나란한 배치를 돕는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유사하게, 도 11e의 대안적인 패널 섹션(856)의 핸들 지지 연장부들(851)과 같이, 도 11k의 대안적인 패널 섹션(885)의 핸들 지지 연장부들(872)이 측부들(884 및 886)의 길이들을 따라서 서로로부터 오프셋되고, 그에 따라 대향 측부들 상의 핸들 지지 연장부들이 상보적으로 배치된다. 추가적으로, 전술한 대안적인 패널 섹션들이 단지 예들이라는 것과 수많은 다른 패널 섹션들의 변형예들이 본원 개시 내용에 포함되는 실시예들에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7을 다시 참조하고 그리고 추가적으로 도 7a 및 7b 를 참조하면, 현수된 하위시스템의 완전한 구현은 패널 섹션들(750)을 와이어 철근들(230) 상에서 구현하는 것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부가적인 구성부들의 구현을 또한 포함한다. 이러한 부가적인 구성부들을 설명하기 위해서, 도 7a는 도 7의 영역(961)의 상세도를 제공하고, 특히 패널 섹션들의 2개의 이웃하는 행들(751 및 752)의 각각의 패널 섹션들(750) 중 몇몇이 와이어 철근들(230)의 중간 상에서, 즉 와이어 철근들(302) 상에서 지지되는 위치에 초점을 맞춰 도시한다. 추가적으로,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영역(영역(961))을 또한 제공하는데, 이때 해당 영역은 아래로부터 보여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즉, 도 7a는 영역(961)의 상부의 평면도인 한편, 도 7b는 해당 영역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영역의 하부 평면도이다).
도 7a 및 7b로부터, 패널 섹션들(750) 및 와이어 철근 지지 연장부들(770)의 구성으로 인해서, 패널 섹션들의 상단부 패널 표면들(763)이 지지 와이어 철근들(302)에 걸쳐서 커버하지 않고, 그 대신에 행들(751 및 752)과 같은 패널 섹션들의 이웃하는 행들의 패널 섹션들(750)의 상단부 패널 표면들 사이에 공간 또는 갭이 존재한다는 것을 특히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행들(751 및 752)의 패널 섹션들과 같은 패널 섹션들(750)의 이웃하는 행들의 상단부 패널 표면들(763) 사이에 갭들이 존재한다면, 본 실시예에서, 부가적인 커버 구조물(또는 데크 리테이너들)(767)이 와이어 철근들(230) 상으로의 패널 섹션들의 구현에 후속하여 제공되며, 부가적인 커버 구조물들(767) 중 하나가 특히 도 7a 및 7b에 도시되어 있다. 부가적인 커버 섹션들(767)은 패널 섹션들의 (다시, 행들(751 및 752)과 같은) 이웃하는 행들의 패널 섹션들(750)의 상단부 패널 표면들(763) 사이의 갭들을 충진하는, 그리고 지지 체인들이 후술되는 현수기 클램프들에 의해서 와이어 철근들에 커플링되는 위치들을 제외하고, 일반적으로 그러한 와이어 철근들의 전체 길이를 따라서 와이어 철근들(230)의 쌍들(예를 들어, 와이어 철근들(302)의 쌍)을 그 사이에서 커버하는 역할을 한다.
패널 섹션들의 행들 사이의 갭들을 가교연결(bridging)하는 이러한 기능에 더하여, 본 실시예에서, 부가적인 커버 섹션들(767)은 또한 패널 섹션들(750)을 와이어 철근들(230)의 쌍들에 대해서 제위치에서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7a 및 7b에 부분적으로 특히 도시된 바와 같이, 부가적인 커버 섹션들이 패널 섹션들의 행들 사이의 갭들 보다 더 큰 폭들을 가지고, 그에 따라 부가적인 커버 섹션들의 외측 엣지들(899)이 패널 섹션들의 엣지 부분들을 위에서(도 7b가 외측 엣지들(899)을 점선으로 도시한다) 실제로 연장되기 때문에 가능하다. 추가적으로 도 7a 및 7b뿐만 아니라 이하에서 추가적으로 설명되는 도 17a, 17b, 17c, 17d, 18, 19 및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부가적인 커버 섹션들(767)은 부가적인 구성부들에 의해서 와이어 철근들(230)에 타이트하게 자체적으로 커플링된다.
보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부가적인 커버 섹션들(767)은 볼트 홀들(950)의 쌍을 포함하고, 그러한 볼트 홀들의 쌍에 의해서 부가적인 커버 섹션들(767)이 데크 리테이너 클램프들(또는 회전 케이블 클램프들)(769)의 쌍에 볼트체결될 수 있다. 도 18은 부가적인 커버 섹션들(767) 중 하나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특히 볼트 홀들(950)을 도시한다. 도 17a, 17b, 17c, 및 17d 각각은 데크 리테이너 클램프들(769) 중 예시적인 하나의 사시도적인 측면도, 평면도, 측부 입면도, 및 단부 입면도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데크 리테이너 클램프(769)는 지붕(954)과, 상기 지부의 2개의 측부들의 각각으로부터 각각 하향 연장하는 제 1 및 제 2 측부 벽들(956 및 957) 각각을 가지는 메인 외측 쉘(952)을 포함한다. 또한, 데크 리테이너 클램프(769)는, 2개의 측부 벽들(956, 957)의 각각의 하단부 엣지들 부근에 형성된 2개의 상보적인 슬롯들(962) 내로 각각 피팅되는 2개의 이어(ear) 연장부들(960)을 포함하는 편평한 내부 압축(compression) 구조물(958)을 포함한다. 비록 일반적으로 상보적이나, 상보적인 슬롯들(962)이, 특히 수직 방향으로, 이어 연장부들(960) 보다 약간 더 크다. 결과적으로, 이어 연장부들(960)이 상보적인 슬롯들(962) 내에서 연장하도록 편평한 내부 압축 구조물(958)이 메인 외측 쉘(952)의 측부 벽들(956 및 957) 사이에서 내부 채널(964) 내에 위치될 때, 편평한 내부 압축 구조물(958)은 메인 외측 쉘(952)에 대해서 수직으로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전술한 특징부들에 더하여, 메인 외측 쉘(952)의 제 1 측부 벽(956)이 제 1 및 제 2 와이어 수용 요홈부들(966 및 967) 각각을 가지고, 그리고 제 2 측부 벽(957)은 제 3 및 제 4 와이어 수용 요홈부들(968 및 969) 각각을 가진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와이어 수용 요홈부들(966, 967, 968 및 969)은 일반적으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그리나 상보적인 슬롯들 보다 약간 더 높은 수직 레벨에 위치된다. 또한, 제 1 및 제 2 와이어 수용 요홈부들(966 및 967)은 제 1 측부 벽(956)의 전반적으로 대향하는 단부들에 각각 위치되고, 그리고 제 3 및 제 4 와이어 수용 요홈부들(968 및 969)이 제 2 측부 벽(957)의 전반적으로 대향하는 단부들에 각각 위치된다. 이하에서 추가적으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제 1 및 제 3 요홈부들(966 및 968) 각각은 세장형의 요홈형(indented) 부분(970)을 포함하는 제 1 형상을 공통적으로 공유하고, 그리고 각각의 제 1 측부 벽(956) 및 제 2 측부 벽(957)의, 각각의 대향 단부들에 각각 위치된다. 비교하면, 제 2 및 제 4 요홈부들(967 및 969) 각각은 세장형 요홈형 부분을 가지지 않는 제 2 형상을 공통적으로 공유하고, 그리고 각각의 제 1 측부 벽(956) 및 제 2 측부 벽(957)의, 각각의 대향 단부들에 위치된다. 추가적으로, 메인 외측 쉘(952)의 지붕(954)이 오리피스(971)를 포함하고, 그리고 편평한 내부 압축 구조물(958)이 또한, 이어 연장부들(960)이 상보적인 슬롯들(962) 내에 있을 때, 상기 오리피스(971)와 전반적으로 정렬되는 나사산형(threaded) 내부 오리피스(972)를 가지는 스냅-인 케이지 너트를 포함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도 18의 부가적인 커버 섹션(767)의 각각과 관련된 데크 리테이너 클램프들(769), 부가적인 리테이너 브래킷(980), 리테이닝 볼트(982), 및 와이어 철근들(302)의 쌍의 분해 사시도적인 부분 절개도가 제공된다. 도 20은 특히, 데크 리테이너 클램프들(769)이 어떻게 와이어 철근들(302)의 쌍 상으로 위치되는지를, 그리고, 그렇게 일단 위치되면, 단순히 볼트(982)에 의해서, 어떻게 그러한 와이어 철근들에 대해서 그리고 부가적으로 도 18의 부가적인 커버 섹션(767)에 대해서 그리고 추가적으로, 또한 도 19에 사시도로서 도시된, 추가적인 리테이너 브래킷(980)에 대해서, 클램핑될 수 있는지를 나타낸다. 보다 특히, 먼저 데크 리테이너 클램프를 일반적으로 와이어 철근들 사이에 배치하여 채널(964)이 와이어 철근들의 길이들과 전반적으로 정렬되게 하고, 이어서 데크 리테이너 클램프를 화살표(984)로 표시된 방향을 따라 회전시켜 와이어 철근들이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와이어 수용 요홈부들(966, 967, 968, 및 969) 내로 피팅되게 함으로써, 데크 리테이너 클램프(769)가 먼저 와이어 철근들(980) 상에 배치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데크 리테이너 클램프(769)를 위치로 회전시키는 이러한 프로세스가, 제 1 및 제 3 와이어 수용 요홈부들(966 및 968)의 세장형의 요홈형 부분들(970)에 의해서 도움을 받는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추가적으로, 데크 리테이너 클램프(769)가 와이어 철근들(302) 상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볼트 홀들(950) 중 하나가 오리피스(971) 위에 있도록 그리고 특히 나사산형 내부 오리피스(972)와 정렬되도록, 부가적인 커버 섹션(767)이 배치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브래킷의 수평 벽 부분(986) 및 수직 벽 부분(988)의 각각에 각각 위치되는 2개의 오리피스들(985)을 가지는 L-형상의 브래킷인 리테이너 브래킷(980)이, 수평 벽 부분(986) 상의 오리피스(985)가 또한 나사산형 내부 오리피스(972)와 정렬되도록, 정렬된다. 부가적인 커버 섹션들(767)이 지붕(954)의 위에 있도록 그리고 수평 벽 부분(986)이 부가적인 커버 섹션의 위에 있도록 이러한 모든 구성부들이 그렇게 정렬되고 배치된 상태에서, 볼트(982)가 오리피스(985), 볼트 홀(950), 오리피스(971)를 통해서 그리고 나사산형 내부 오리피스(972)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이어서, 볼트(982)를 회전식으로 조이면, 나사산형 내부 오리피스(972)가 내부에 형성된 케이지 너트가 회전되어, 편평한 내부 압축 구조물(958)이 쉘(952)에 대해서 상향 이동되게 하며, 그에 따라 와이어 철근들(302)을 편평한 내부 압축 구조물과 요홈부들(966, 967, 968, 및 969)의 상부 표면들 사이에서 압축한다. 이러한 것이 발생됨에 따라, 부가적인 커버 섹션(767)이 사이에 샌드위치된 상태로 리테이너 브래킷(980)이 데크 리테이너 클램프(769)에 대해서 압축되고, 그에 따라 최종적으로, 리테이너 브래킷, 부가적인 커버 섹션, 및 데크 리테이너 클램프 모두가 견고한(robust) 방식으로 와이어 철근들(302)에 고정적으로 커플링된다.
특히 리테이너 브래킷(980)에 대해서, 그러한 리테이너 브래킷들이 데크 리테이너 클램프(769) 및 부가적인 커버 섹션들(767) 중 임의의 주어진 하나의 구현에 대해서 단지 선택적이라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리테이너 브래킷들(980)은 특히, 와이어 철근들(230)(또는 그 일부로서) 및/또는 패널 구조물들(750)과 관련된 다른 구조물들을 장착 가드 레일들로 고정적으로 장착하기를 원하는 구역들에서 제공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도 7a 및 7b로부터, 그 도면들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리테이너 브래킷들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보다 적절하게,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가적인 커버 섹션(767)만이 특히 도 7b에 도시된 데크 리테이너 클램프(769)에 고정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데크 리테이너 클램프(769)에 대한 부가적인 커버 섹션(767)의 고정된 커플링 및 볼트(982)에 의한 와이어 철근들(302)에 대한 그러한 양 구조물들의 고정된 커플링 덕분에, 부가적인 커버 섹션(767)이, 그 엣지들(899)이 패널 섹션들과 중첩하는 것으로 인해서, 패널 섹션들의 이웃하는 행들 사이의 갭을 충진하는 역할뿐만 아니라, 와이어 철근들(302)과 관련하여 패널 섹션들(750)을 고정하는 추가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을, 도 7a 및 7b로부터 특히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7, 7a 및 7b를 여전히 참조하면, 그리고 또한 이제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추가적으로 구현된 현수된 하위시스템(720)이 또한, 와이어 철근들(230)의 쌍들 및 그 위에서 지지되는 패널 구조물들(750)(더하기, 패널 섹션들의 행들 사이에 위치된 커버 섹션(767)과 같은 커버 섹션들)에 더하여, 와이어 철근들의 길이들을 따른 여러 위치들에서 현수 교각(100)의 데크(222)의 하부와 와이어 철근들(230)의 쌍들 사이에 커플링된 현수 체인들(790)을 포함한다. 현수 체인들(790)은 와이어 철근들(230)의 쌍들의 각각의 길이들을 따라서 주기적으로 간격을 가질 수 있고, 그리고 그러한 현수 체인들의 수는 상황들 또는 실시예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도 12는 와이어 철근들(304)의 적어도 제 4 쌍을 따라서 위치된 2개의 현수 체인들을 특히 도시하고, 상기 와이어 철근들의 제 4 쌍 상에는, 패널 섹션들의 제 3 및 제 4 행들(753 및 754)의 각각이 와이어 철근들(304)의 제 4 쌍의 전체 길이를 따라서 구현된 패널 섹션들(750)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완전히 완성된 패널 섹션들의 제 3 및 제 4 행들(753 및 754)이 지지된다.
도 12에 명확하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현수 체인들(790) 중 하나 이상이 와이어 철근들(230)의 쌍들의 각각과 관련하여(예를 들어, 도 7의 예에서, 와이어 철근 쌍들(301, 302, 303, 304, 305, 306, 307, 308, 및 309)과 관련하여) 제공된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패널 섹션들(750)의 충분한 수가 그들의 와이어 철근들의 해당 쌍에 설치되어 각각의 현수 체인이 부착되는 각각의 위치까지 작업자가 걸어갈 수 있을 때에만, 와이어 철근들(230)의 특별한 쌍을 따른 현수 체인들(790)의 각각이 전형적으로 설치된다. 비록 본 실시예에서 와이어 철근들(230)의 쌍들의 각각을 따른 현수 체인들(790)의 수가 동일할 수 있고 그리고 와이어 철근들의 쌍들의 각각을 따른 현수 체인들(790)의 상대적인 간격이 동일하지만, 모든 실시예들에서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다른 대안적 실시예에서, 현수 체인들(790)이 와이어 철근들의 하나의 쌍의 길이를 따라서 제 1 간격 빈도수로 제공될 수 있고 그리고 와이어 철근들의 다른 쌍의 길이를 따라서 다른 간격 빈도수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현수 체인들(790)을 와이어 철근들(230)의 쌍들에 커플링시키기 위해서, 본 실시예에서, 현수기 클램프들(800)이 채용되고, 그러한 현수기 클램프들(800) 중 하나가 도 7a 및 7b의 각각에 도시되어 있고 그리고 그들 중 다른 것이 도 12에 도시되어 있다. 추가적으로 도 13 및 14를 참조하면, 현수기 클램프들(800) 중 하나의 분해 사시도적인 측면도 및 현수기 클램프들(800)의 상부 평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현수기 클램프들(800)의 특별한 특징부들을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현수기 클램프(800)는 측부 엣지들(804) 사이에서 연장하는 상단부 평면형(또는 실질적 평면형) 표면(802)을 포함하고 그리고 추가적으로 현수기 클램프(800)의 제 1 및 제 2 단부들(808)의 각각에 위치되는 하향 연장 브래킷 연장부들(806)을 포함한다. 패널 섹션들(750)의 와이어 철근 지지 연장부들(770)과 유사하게, 브래킷 연장부들(806) 각각은 주어진 와이어 철근들(230)의 쌍의 와이어 철근들을 위에서 커버하고 수용하도록 의도된 요홈부들(810)의 각각의 쌍을 포함하며, 그에 따라 클램프(800)가, 예를 들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철근들의 쌍에 대한 위치로 배치된다. 추가적으로, 상단부 평면형 표면(802)은, 전술한 바와 같이, 패널 섹션들의 행들의 이웃하는 패널 섹션들(750) 사이에서 연장하도록 제공될 수 있는 부가적인 커버 구조물들(767)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측부 엣지들(804) 사이의 폭을 가진다. 따라서, 현수기 클램프(800)의 상단부 평면형 표면(802)은, 특히, 현수기 클램프들이 위치되는 와이어 철근들(230)의 쌍들을 따른 위치들에서, 패널 섹션들의 이웃하는 행들의 이웃하는 패널 섹션들 사이의 갭들을 충진하는 유사한 목적을 위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현수기 클램프(800)는, 상단부 평면형 표면(802)의 상당 부분을 따라서 상단부 평면형 표면(802)과 중첩하는 평면형 부분(814)을 포함하고 그리고 추가적으로 상기 평면형 부분(814)으로부터 위쪽으로 상향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하는 즉, 상단부 평면형 표면(802)으로부터 위쪽으로 멀리 그리고 현수기 클램프(800)의 각각의 측부 엣지들(804)을 향해서 외측으로 연장하는 2개의 상향 연장 핸들 부분들(816)을 포함하는, 상단부 핸들 부분들(812)을 가지는 메인 본체(801)를 포함한다. 상기 핸들 부분들(816)의 각각이 개별적인 슬롯(818)을 포함하고, 그러한 슬롯에 의해서 현수기 클램프(800)를 구현하는 작업자가 현수기 클램프를 파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형 부분(814)뿐만 아니라 상단부 평면형 표면(802)이 3개의 부가적인 홀들 또는 오리피스들, 즉 원형인 제 1 및 제 2 단부 오리피스들(820) 및 기다란 중간 오리피스(822)를 포함한다. 단부 오리피스들(820)은, 중간 오리피스(822)의 그러한 각각의 대향 단부들과 평면형 부분(814)의 외측 단부 선단부들(824) 사이에서, 중간 오리피스(822)의 대향 단부들에 근접하여 각각 배치된다. 또한, 오리피스들(820)보다 작은 직경이며 또한 원형인 추가 오피피스들(826)은 상단부 평면형 표면(802)의 브라켓 연장부들(806) 가까이 위치된다. 부가적인 오리피스들(826)의 각각이 평면형 부분(814)의 외측 단부 선단부들(824) 중 각각의 하나의 측부에 대해서 일반적으로 배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 오리피스(822)는, 중간 오리피스가 부착 특징부로서의 역할을 하여 현수 체인들(790) 중 하나(또는 잠재적으로 하나 초과)가 현수기 클램프(800)에 부착될 수 있게 허용하는, 중앙 영역(821), 단부 슬롯 영역들(823), 및 중간 횡방향 슬롯 영역들(825)을 포함한다. 비록 도 13 및 14에서 상세하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현수 체인의 자유 단부를 중간 오리피스(822)의 중앙 영역(821)을 통해서 삽입하고 이어서 현수 체인을 단부 슬롯 영역들(823) 중 하나 위로 그리고 그 내부로 슬라이딩시킴으로써, 현수 체인들(790) 중 하나가 부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현수 체인(790)이 단부 슬롯 영역들(823) 중 하나 내에 일단 배치되면, 현수 체인(790)이 해당 단부 슬롯 영역 내에서 유지되도록, 해당 단부 슬롯 영역에 인접한 횡방향 슬롯 영역들(825) 중 해당하는 하나 내에 현수 체인 리테이너 핀(미도시)이 배치된다. 리테이너 핀이 적절한 횡방향 슬롯 영역 내에 배치될 때, 현수 체인이 현수기 클램프(800)의 메인 본체(801)에 대해서 효과적으로 록킹되도록 그리고 단부 슬롯 영역(823) 내의 위치로부터 수직 또는 수평으로 슬립될 수 없도록, 현수 체인(790) 및 중간 오리피스(822)(및 특히 단부 슬롯 영역들(823))의 크기가 결정되고 그리고 구성된다. 이러한 록킹 시스템은 현수기 클램프(800)를 현수 체인(790)에 대해서 효과적으로 고정한다. 추가적으로, 일부 실시예들에서, 부가적인 "집 타이(zip tie) 또는 다른 태그(tag) 타입 구조물이 리테이너 핀 내의 홀과 현수 체인(790)의 인접한 부분 사이에 배치되어, 리테이너 핀이 설치되었다는 것을 설치자에게 확인시키기 위한 시각적인 도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중간 오리피스(822)와 대조적으로, 현수 체인(790)에 의해서 제공되는 장력이 와이어 철근들로 인가될 수 있도록 그리고 그러한 와이어 철근들을 데크(222)에 대한 제위치에서 유지할 수 있도록, 현수 클램프가 와이어 철근들(230)의 쌍 중의 와이어 철근들을 파지할 수 있게 허용하고 그리고 현수기 클램프를 그러한 와이어 철근들과 관련하여 록킹할 수 있게 허용하는 방식으로, 현수기 클램프(800)의 메인 본체(801)에 대해서 제 1 및 제 2 파지 부분들(또는 걸쇠 부분들)(830)을 조립하는 것을 오리피스들(820 및 826)이 허용한다. 보다 특히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 부분들(830)의 각각은, 해당 중앙 위치로부터 반대 방향들을 따라서 외측으로 연장하는 수평 연장 부분(834)을 따라 중앙 위치(836)로부터 위쪽으로 연장하는 중앙 포스트(832)를 포함한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 부분들(830)의 각각은 또한, 상기 중앙 위치(836) 및 중앙 포스트(832)로부터 방사상으로 오프셋되고 그리고 중앙 포스트 보다 작은 지름을 가지는 부가적인 포스트(838)를 포함한다. 보다 특히 도시된 바와 같이, 부가적인 포스트(838)의 위치가, 수평 연장 부분(834)의 근접한 단부들(840)이 중앙 포스트(832)에 대해서 어떻게 위치되는지에 대비하여, 중앙 포스트(832)에 여전히 상대적으로 근접하나, 또한, 단부들(840) 사이에서 연장하는 중앙 축(842)으로부터 오프셋된다(즉, 해당 중앙 축(842)의 측부로 천이된다).
와이어 철근들(230)의 쌍에 대한 현수기 클램프(800)의 구현은, 2개의 개별적인 파지 부분들(830)의 개별적인 중앙 포스트들(832)을 메인 본체의 하부로부터 메인 본체(801)의 개별적인 단부 오리피스들(820) 내로 먼저 삽입하는 단계에 의해서 진행되고, 이때 양 파지 부분들이 회전되어 중앙 축(842)과 축방향으로 정렬되며, 그에 따라 파지 부분들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작 배향들(843)을 가진다. 중앙 포스트들(832)이 단부 오리피스들(820)을 통해서 일단 삽입되면, 파지 부분들(830)을 메인 본체(801)와 관련하여 유지하기 위해서 너트들(844)에 의해서 중앙 포스트들(832)이 메인 본체(801)에 커플링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파지 부분들(830)이 배향된 상태에서, 현수기 클램프(800)(전술한 바와 같이, 그러한 현수기 클램프(800)에 대해서 현수 와이어(790)가 미리 커플링될 수 있다)를 와이어 철근들(230)의 쌍으로 설치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와이어 철근들(230)이 요홈부들(810) 내로 진행될 수 있다. 중앙 축(842)과 정렬된 시작 배향들(843)에서의 양 파지 부분들(830)의 정렬은, 파지 부분들이 와이어 철근들의 주어진 쌍의 와이어 철근들 사이에서 초기에 슬립될 수 있게 허용한다.
현수기 클램프(800)가 전술한 바와 같이 와이어 철근들(230)의 쌍에 대한 위치에 일단 있게 되면, 부가적인 포스트들(838)(및 특히 그 선단부들/헤드들)이 부가적인 오리피스들(826)과 정렬되기 시작할 때까지, 본 예에서 화살표들(846)로 표시된 바와 같은 시계 방향 방식으로, 파지 부분들(830)이 추가적으로 90도(90°) 회전된다. 이러한 회전은 토크 볼트들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것이 일단 발생되면, 너트들(844)을 추가적으로 조여서, 파지 부분들(830)을 메인 본체(801)를 향해 상향 이동시킬 수 있고 그리고 파지 부분들과 메인 본체 사이에서 연장하는 와이어 철근들(230)의 쌍을 고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다. 파지 부분들(830)의 각각의 수평 연장 섹션(840)의 상부 측부 엣지들을 따라서 형성된 요홈부들(848)로 인해서, 와이어 철근들을 이러한 방식으로 추가적으로 파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현수 체인들(790)은, 현수기 클램프(800)에 의해서, 추가적으로 구현된 현수된 하위시스템(720)의 단부들 및 그 와이어 철근들(230)이 커플링되는 지지 하위시스템(130)의 부분들(132 및 134)(예를 들어, 2개의 타워들(140)에 각각 위치되는 2개의 부분들) 사이의 위치들에서 추가적으로 구현된 현수된 하위시스템(720)에 대한 여분의 지지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한 여분의 지지는 지지 하위시스템(130)이 그 길이를 따라서 편평하게(또는 실질적으로 편평하게) 유지되는 것을 돕고, 그리고 그 길이를 따라서 발생되는 주름을 배제 또는 감소시키는 것을 돕는다. 추가적으로, 특히 도 7b를 참조하여, 파지 부분들(830)(및 그 수평 연장 부분들(834))을 가지는 현수기 클램프(800)가 또한, 패널 섹션들(750)을 제위치에서 유지하는 것을 돕는 것과 관련하여, 부가적인 커버 구조물들(767)의 목적과 유사한 목적을 위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7b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현수기 클램프들(800) 중 하나와 관련하여 구현될 때, 패널 섹션들(750)이 현수기 클램프의 평면형 표면들(802)의 측부 엣지들(804) 아래에서 연장한다. 또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수기 클램프(800)의 측부 엣지들(804) 아래에서 연장하는 패널 섹션들(750)에 더하여, 현수기 클램프(800)의 파지 부분들(830)(및 그 수평 연장 부분들(834))은, 위치로 회전될 때, 패널 섹션들(750)(및 특히 그 단부 스트럿들(764))이 수평 연장 부분(834)의 단부들(840)과 측부 엣지들(804) 사이에 위치되도록, 배치된다. 그에 따라, 수평 연장 부분들(834)은 패널 섹션들(750)을 제위치에서 유지하는 것을 보조하는 역할을 또한 한다.
비록 도 1, 3, 7, 등에 도시된 작업 플랫폼 시스템의 실시예가, 현수된 하위시스템이 지지 하위시스템(130)의 부분들(132, 134) 사이에서 일반적으로 수평으로만 연장하지 않는 그러나 또한 현수 교각(100) 자체가 선형 구조물이라는 사실로 인해서 일반적으로 선형적으로 의도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지만, 비선형적인 방식, 예를 들어, 도 21에 도시된 현수된 하위시스템(995)에 의해서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곡선형 방식으로 작업 플랫폼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고 또는 구현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타입의 비선형 구현예들은 특별한 구현 관심사항들을 유발할 수 있는데, 이는, 예를 들어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록 상이한 행들로부터의 패널 섹션들이, 예를 들어, 위치(99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위치들에서 정렬될 수 있고 또는 "인 페이즈(in phase)"일 수 있지만, 위치(999)와 같은 다른 위치들에서 그 패널 섹션들이 더 이상 정렬되지 않거나 "인 페이즈"가 아닐 수 있기 때문이다. 비록 이러한 것 자체가 항상 어려움을 제시하는 것은 아니지만, 특히 페이즈를 벗어난(out of phase) 패널 섹션들에 의해서, 희망 현수 체인(790)이 설치될 수 있도록, 원하는 현수기 클램프(800)에 피팅되기 어렵게 만들 때, 어려운 문제들이 발생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어려움들은, 상이한 행들의 패널 섹션들 사이의 정렬의 재설정을 허용하는 상이한 크기들의 패널 섹션들의 이용을 통해서 완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곳에서 이용되는 표준-크기의 행 패널의 길이의 절반인 행 패널을 행들 중 하나에 도입함으로써, 도 21의 위치(997)에서의 패널 섹션들의 행들 사이의 재정렬이 달성될 수 있다.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도 1 및 3의 현수된 하위시스템(120)에 대한 것과 같이, 도 7 및 12의 추가적으로 구현된 현수된 하위시스템(720)이 부분적으로 완성된 형태라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즉, 비록 패널 섹션들(750), 현수 체인들(790), 현수기 클램프들(800), 및 커버 섹션들(767)의 일부가 도 7 및 12와 관련하여 구현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술한 패널 섹션들 및 다른 구성부들이 아직 설치되지 않은 와이어 철근들(230)의 쌍들을 따른 영역들이 남아 있다. 보다 특히, 패널 섹션들의 행들(753 및 754)이,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 섹션들의 그러한 행들 사이에서 와이어 철근들(304)의 쌍의 전체 길이로 연장하는 패널 섹션들(750)의 행들을 완전히 완성할 수 있다는 것을 도 7이 제시하고 있지만, 패널들의 다른 행들(751, 752, 755, 756, 757, 및 758)은 여전히 부가적인 패널 섹션들(750)의 설치를 필요로 한다.
전술한 설명에도 불구하고, 도 7 및 12로부터, 와이어 철근들(230)의 쌍들 모두의 전체 길이를 따라 패널 섹션들(750), 커버 섹션들(767), 현수 체인들(790), 및 현수기 클램프들(800) 중의 추가적인 것들의 부가시에, 최종적으로 완전히 구현된 상태를 획득하도록 추가적으로 구현된 현수된 하위시스템(720)이 수정될 것임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보다 특히,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프로세스의 완성은 도시된 바와 같이 현수 교각(100)에 제공된 완전히 구현된 작업 플랫폼 시스템(860)을 초래할 것이고, 여기에서 완전히 구현된 작업 플랫폼 시스템은 (도 7과 관련하여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현수 교각의 2개의 타워들(140) 상에 장착된 지지 하위시스템(130)의 두 부분들(132 및 134)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해당 지지 하위시스템의 그러한 두 부분들 사이에서 연장하는 완전히 구현된 현수된 하위시스템(880)을 포함하며, 여기에서 완전히 구현된 현수된 하위시스템(880)은 현수 교각의 데크(222)에 커플링된 그 길이를 따라서 현수 체인(790)들 중의 복수의 현수 체인들을 포함한다.
보다 특히 이와 관련하여, 도 7, 7a, 7b, 및 12와 관련하여 제공된 설명으로부터, (a) 행들(751, 752, , 753, 754, 755, 756, 757, 및 758)의 각각이 2개의 타워들(140)에 장착된 지지 하위시스템(130)의 두 부분들(132 및 134) 사이의 전체의 또는 실질적으로 전체의 거리를 연장하는 패널 섹션들의 전체 세트를 포함하도록, 와이어 철근들(230)의 쌍들의 전체 길이를 따라서 패널 섹션들(750) 중의 부가적인 패널 섹션들을 배치시킴으로써, (b) 패널 섹션들(750)을 와이어 철근들(230)에 대해서 제위치에서 유지하는 역할을 또한 하는, 현수기 클램프들(800) 중 연관된 현수기 클램프들에 의해서 와이어 철근들(230) 및 현수 교각(100)의 데크(222) 사이에서 충분한 또는 적절한 수의 현수기 체인들(790)을 커플링시킴으로써, 그리고 (c) 현수기 클램프들(800)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존재하는 행들 사이에 존재하는 임의 갭들을 제거하도록, 그리고 패널 섹션들(750)을 와이어 철근들(230)에 대해서 제위치에서 유지하는 역할을 하도록, 패널 섹션들의 행들(751, 752, , 753, 754, 755, 756, 757, 및 758) 사이에 부가적인 커버 구조물들(767)을 제공함으로써, 추가적으로 구현된 현수된 하위시스템(720)을 수정하여 완전히 구현된 현수된 하위시스템(880)을 획득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5의 완전히 구현된 작업 플랫폼 시스템(860)의 구현/설치/건설의 단계들을 추가적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흐름도(900)를 도 16에서 추가적으로 제공하고, 그러한 흐름도는 본원 개시 내용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그러한 단계들을 설명한다. 흐름도(900)의 단계들이 도 1-15와 관련하여 이미 앞서서 제공한 설명에 전반적으로 상응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시작 단계(902)에서 프로세스가 시작하면, 프로세스는 먼저 지지 하위시스템(130)과 같은 지지 하위시스템을 조립/설치하는 단계(904)를 포함한다. 단계(904)는, 구조물의 일 단부에서 지지 하위시스템의 제 1 부분(예를 들어, 제 1 부분(132))을 조립하고 고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 1 하위단계(substep)(906), 및 구조물의 다른 단부에서 지지 하위시스템의 제 2 부분(예를 들어, 제 2 부분(134))을 조립하고 고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다른 하위단계(substep)(908)를 포함한다. 하위단계들(906 및 908)에서, 지지 하위시스템의 각각의 부분들의 설치 및 고정은, 필요에 따라, 구조물들을 임의의 적절한 현수, 앵커링, 및/또는 브래이싱(bracing)하는 구현예를 포함한다는 것, 그러한 설치 및 고정이 희망하는 고도 또는 높이(예를 들어, 지면 레벨 위의 희망 거리)에서 이루어진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적어도 일부 실시예들에 따라서, 어댑터 브래킷들(미도시)과 같은 구조물들을 제공하고 그리고 지지 하위시스템 부분들(예를 들어, 지지 하위시스템 부분들의 선단 엣지들)의 각각에 설치하는 것을 포함하는 하위단계(910)가 또한 실시되며, 이러한 하위단계는 개별적인 지지 하위시스템 부분들이 전술한 와이어 철근들(230)의 쌍들과 같은 가요성 요소들에 연결될 수 있게 준비시키는 또는 구성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에, 단계(912)에서, 가요성 요소들(다시, 예를 들어, 와이어 철근들(230)의 쌍들)이, 예를 들어 전술한 어댑터 브래킷들에 의해서, 지지 하위시스템의 개별적인 부분들에 고정된다. 전형적으로, 이러한 가요성 요소들의 부착은 또한 가요성 요소들 사이의(예를 들어, 와이어 철근들의 상이한 쌍들 사이의) 복수의 행들을 구축할 것이다. 가요성 요소들의 부착은 전술한 바와 같은 현수된 하위시스템의 설치를 시작하고, 이는 최종적으로 완전히 구현된 현수된 하위시스템(880)과 같은 완전히 구현된 현수된 하위시스템의 구현을 초래하고, 그에 따라, 지지 하위시스템(130)과 조합하여 볼 때, 전술한 완전히 구현된 작업 플랫폼 시스템(860)과 같은 완전히 구현된 작업 플랫폼 시스템(860)의 구현을 초래한다.
가요성 요소들이 부착되면, 프로세스가 단계(914)로 진행되고, 그러한 단계는 패널 섹션들(750)과 같은 패널 섹션들을 설치하는 것을 포함한다. 단계(914)는 도시된 바와 같이 몇 개의 하위단계들(916, 918, 920, 922, 및 924)을 포함한다. 하위단계(916)는, 구조물의 일 단부에서, 예를 들어, 전술한 제 1 부분(132)에서 패널 섹션들을 설치하기 시작함에 따라서, 초기에 실시된다. 이러한 하위단계는 복수의 패널 섹션을 복수의 가요성 요소 상에 배치하는 것 그리고 패널 섹션들을 지지 하위시스템(130)의 부분(다시, 예를 들어, 제 1 부분(132))에 고정하는 것을 포함하고, 그리고 지지 하위시스템으로부터 현수된 하위시스템으로 진행할 때, 매끄러운 전이부(예를 들어, 매끄러운 바닥 표면)가 유지될 수 있게 허용하는 특별한 패널 구조물들 또는 다른 구조물들의 구현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에, 하위단계(918)에서, 프로세스는 패널 섹션들(750) 중의 후속하는 또는 부가적인 패널 섹션들을 복수의 가요성 요소 상에 배치하는 것 그리고 전술한 핸들 지지 연장부들(780)과 같은 핸들 지지 연장부들을 이용하여 그러한 후속하는 또는 부가적인 패널 섹션들을 개별적인 이전 패널 섹션들에 대해서 고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전형적으로, 이러한 단계는, 다른 가요성 요소들에 의해서 구축될 때, 현수된 하위시스템의 행들의 각각에 대해서 실시된다. 또한, 적어도 일부 실시예들에서 이러한 패널 섹션들(750)의 배치 및 고정 단계가 특별한 방식으로 패널 섹션들을 배치하고 하강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널 섹션의 배치 및 하강은, 전체적으로, 작업자에 의한 수작업으로, 또는 기계에 의해서 실시될 수 있고, 및/또는 랜야드(lanyard)와 같은 연장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랜야드 또는 유사한 로프형 커넥터가 이용되는 경우에, 그러한 커넥터는 패널 섹션의 설치 중에 작업자로부터 멀리 회전하고자 가는 경향을 가지는 핸들 지지 연장부들(예를 들어, 도 11a에 도시된 것이라면, 부가적인 패널 섹션(790)의 상단부에 위치될 수 있는 핸들 지지 연장부들)에 부착될 수 있을 것이고, 그리고 랜야드의 미부착 단부를 유지하는 것(holding)에 의해서, 작업자는 패널 섹션을 제어된 방식으로 하강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하위단계(920)에서, 데크 리테이너 클램프들(769)과 같은 데크 리테이너 클램프들이, 전형적으로 가요성 요소들을 따라서 희망하는 미리 결정된 및/또는 특정된 위치들에서, 가요성 요소들과 관련하여 설치된다. 비록 하위단계(918) 후에 후속하여 발생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일반적으로 패널 섹션들(750)이 하위단계(918)에 따라서 복수의 가요성 요소 상에 배치될 때, 하위단계(920)가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추가적으로, 단계(922)에서, 데크 리테이너 구조물들(예를 들어, 부가적인 커버 구조물들(767))이 설치되고 그리고, 리테이닝 또는 연결 구조물들(예를 들어, 볼트(982)와 같은 볼트들)을 이용하여, 데크 리테이너 클램프 구조물들에 고정된다. 이러한 하위단계(922)는 일반적으로, 패널 섹션들(750)이 복수의 가요성 요소 상에 배치될 때, 또한 실시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하위단계(924)에 의해서 표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들에서, 가드 레일링 시스템이 또한 패널 섹션들(750)에 대해서 설치되고 그리고, 이러한 하위단계가 또한 일반적으로, 패널 섹션들(750)이 복수의 가요성 요소 상에 배치될 때,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가드 레일링 시스템은, 예를 들어, 브래킷들(980)과 같은 리테이너 브래킷들 또는 패널 섹션들과 연관된 오리피스들(781)과 같은 특징부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다른 구조물들에 그러한 가드 레일링 구조물들을 부착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다음에, 단계(926)에 의해서 표시된 바와 같이, 플랫폼 현수 구조물들의 설치가 실시되고, 그리고 이는 도시된 바와 같은 하위단계들(928, 930, 및 932)을 포함한다. 비록 도 16의 흐름도(900)에서 단계 및 하위단계들(914, 916, 918, 920, 922, 및 924)에 따른 패널 섹션들의 설치에 후속하여 실시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다른 실시예들에서, 단계(926) 및 연관 하위단계들(928, 930, 및 932)이 단계 및 하위단계들(914, 916, 918, 920, 922, 및 924)과 실질적으로 동시에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표시된 바와 같이, 단계(928)는 현수기 클램프들(800)과 같은 현수기 브래킷 구조물들을 희망하는 미리 결정된 및/또는 특정된 위치들에서 가요성 요소들(다시 예를 들어, 와이어 철근들(230))에 대해서 설치 및 고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음에, 하위단계(930)가 실시되고, 그러한 하위단계는 상기 구조물의 비임 클램프들 또는 다른 부분들/부재들에 대해서 현수 구조물들(예를 들어, 현수 체인들(790))을 설치하고 고정하는 것을 포함하며, 그러한 비임 클램프들 또는 다른 부분들/부재들과 관련하여 작업 플랫폼 시스템이 구조물을 따라서 희망하는 미리 결정된 및/또는 특정된 위치들(예들 들어, 현수 교각(100)의 데크(222)를 따르는 위치들)에서 구현된다.
이어서, 추가적인 하위단계(932)에서, (가요성 요소들에 연결된) 패널 섹션들(750)의 고도를 조정(예를 들어, 상승 또는 하강)하는 것, 그리고 (예를 들어, 전술한 체인 리테이닝 구조물을 이용하여) 현수기 브래킷 구조물들에 대해서 현수 구조물들을 부가적으로 고정하는 것이 실시된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현수 와이어들(790)이 그 중간 오리피스(들)(822)에 의해서 현수기 클램프(들)(800)에 부착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장력이 클램프(들)로 인가되고 따라서 가요성 요소들로 인가된다. 현수기 조정 공구와 같은 공구들을 이용하여 고도를 조정하거나 고도 조정을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추가적으로, 하위단계(928)에서 현수기 클램프들(800)과 같은 현수기 브래킷 구조물들을 설치하는 프로세스가 특히 현수기 클램프들을 가요성 요소들 상으로 배치하는 것 및 이어서 클램프(들)을 가요성 요소들에 고정하기 위해서 (그리고 또한 파지 부분들(830)과 현수기 클램프들의 상단부 평면형 표면들(802) 사이의 제위치에서 패널 섹션들(750)의 단부들이 록킹되도록) 파지 부분들(830)을 회전시키고 및 조이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또한 주목하여야 한다. 실시예에 따라서, 파지 부분(들)(830)이 가요성 요소들에 대해서 회전되고 록킹되기에 앞서서, 현수 와이어(들)이 클램프(들)(800)에 대안적으로 커플링될 수 있을 것이다.
만약 단계(936)에서 패널 섹션들의 행들 중 임의의 하나 이상에 대해서 패널 섹션들(750)의 설치가 완료되 않았다는 것이 결정된다면, 단계(914)로 복귀하는 것에 의해서, 패널 섹션들(750) 및 플랫폼 현수 구조물들의 설치와 연관된 단계들 및 하위단계들이 계속적으로 반복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특히 단계(914)와 연관된 하위단계들을 반복할 때, 전형적으로 하위단계(916)가 더 이상 적용될 수 없을 것이고 그리고 건너뛸 수 있을 것이다(이는, 패널 섹션들의 구현이 전형적으로 지지 하위시스템 및 가요성 요소들 사이의 접합부에서 제대로(right) 이루어지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구조물의 다른 단부(예를 들어, 제 2 부분(134)에 도달할 때까지, 단계들 및 하위단계들(914-936)이 일반적으로 반복된다. 다시 말해서, 단계(936)에서 패널 섹션들(750)의 설치가 모든 행들에 대해서 완료되었다는 것이 결정될 때, 패널 섹션들은, 단계(938)에서, (예를 들어, 어댑터 브래킷 구조물을 이용하여) 지지 하위시스템의 제 2 부분(예를 들어, 부분(134))에서 최종적으로 고정되고, 이어서 프로세스가 단계(940)에서 종료된다. 비록 현수된 하위시스템의 먼 단부에(예를 들어, 부분(134)에) 도달할 때 설치가 완료된다는 것을 흐름도(900)가 가정하지만, 다른 실시예들에서, 일부 다른 위치에 도달하는 것 또는 일부 다른 구현 레벨을 획득하는 것에 의해서 완료에 도달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전술한 작업 플랫폼 조립체, 하위조립체들, 및 그 구성부들, 그리고 그와 관련된 구현/설치 및 이용 방법들이 실시예에 따라서 하나 이상의 측면들에서 유리하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서로 맞물리는 핸들 지지 연장부들(830)은 패널 섹션들(750)의 지지를 허용할 뿐만 아니라 인접 패널 섹션들이 서로 링크될 수 있게 그리고 서로에 대한 자체적-브레이스(self-brace)를 위한 지지를 제공할 수 있게 허용한다(예를 들어, 인접한 패널 섹션의 측부 스트럿 아래에서 연장하는 하나의 패널 섹션의 핸들 지지 연장부들(830)이 해당 인접 패널 섹션에 대한 추가적인 지지를 제공하는 것을 돕는다). 사실상, 핸들 지지 연장부들(830)은, 패널 섹션들 중의 인접한 패널 섹션들의 상단부 패널 표면들이, 서로에 대한 이웃하는 패널 섹션들의 상단부 패널 표면들의 고도의 변화가 최소인 상태로 실질적으로 정렬되어 유지되도록 돕는다. 패널 섹션들(750)은 또한 적층 및 선적이 용이하다.
또한, 현수 와이어들(790) 중의 적절하게 위치된 현수 와이어들의 이용을 통해서, 작업 플랫폼 시스템에 의해서 제공된 전체 작업 표면(예를 들어, 작업자가 걸어다니는 표면)이 실질적으로 편평하다. 또한, 단일 철근들 대신에, 지지 하위시스템(플랫폼)과 지지 패널 섹션들 사이에서 연장하는 철근들의 쌍들의 이용을 통해서, 상당한 여유분(redundancy)이 작업 플랫폼 시스템 내로 구축된다. 추가적으로, 작업 플랫폼 시스템의 수많은 구성부들이 모듈형이고 및/또는 상호교환가능하고, 및/또는 부가적인 구조물들과 관련된 새로운 작업 플랫폼 시스템들의 구현과 관련하여 계속적으로 재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작업 플랫폼 조립체, 하위시스템들, 및 그 구성부들, 그리고 그와 관련된 구현/설치 및 이용 방법들이 단지 예들로서 의도된 것이고, 그리고 본 개시내용이 전술한 개념들의 수많은 변형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 것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따라서 상이한 크기들 및 형상들의 다양한 패널 섹션들이 채용될 수 있고 그리고, 사실상,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이한 크기들 및 형상들의 패널 섹션들이 단일 작업 플랫폼 시스템과 함께 구현된다. 상이한 폭들 및/또는 길이들의 패널 섹션들을 이용하는 것이 또한 상황에 따라서 적절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들 또는 상황들에서, 와이어 철근들의 상이한 쌍들 사이에서 연장하는 전술한 폭 치수(예를 들어, 도 8의 폭 치수(759))와 관련하여 상이한 크기들을 가지는 패널 섹션들이, 그러한 와이어 철근들의 다른 쌍들의 와이어 철근들의 가변적인 공간을 수용하기 위해서, 다른 행들에서 적절할 수 있다. 이는, 추가적으로, 예를 들어, 와이어 철근들의 단부들이 부착되는 지지 시스템의 허브들(310) 중의 상이한 허브들 사이의 가변적인 간격을 수용하기 위해서, 적절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 또는 상황들에서, 전술한 길이 치수(예를 들어, 도 8의 길이 치수(761))와 관련하여 상이한 크기들을 가지는 패널 섹션들이 제공될 수 있다. 상이한 길이들을 가지는 패널 섹션들의 이용은, 환경 및 기타 상황들의 관점에서의 필요성에 따라서 전체 작업 플랫폼 시스템이 유리하게 구현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상이한 길이들의 패널 섹션들의 이용은, 패널 섹션들로 하여금 장애물들(예를 들어, 교각 구조물로부터의 파이프 부착(sticking))에 보다 밀접하게 피팅될 수 있게 하거나, 윤곽형 구조물들에 대해서 맞춰 플랫폼을 곡선화시킬 수 있게 하거나, 또는 현수기 클램프들(800)(또한 현수기 클램프들로서 지칭될 수 있다)의 설치를 돕는 방식으로 와이어 철근 지지 연장부들(또한 철근 후크들로서 지칭될 수 있다)(770)을 이격시킬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핸들 지지 연장부(또는 단순히 상호록킹 핸들들)의 여러 가지 상이한 수들 및 타입들 중 임의의 것을 채용하여, 패널 섹션들 중 임의의 둘 이상을 상호록킹 또는 링킹시킬 수 있을 것이고, 그리고 핸들 지지 연장부들은 도 8에 도시된 핸들 지지 연장부들(780)과 수, 크기, 또는 형상이 반드시 동일할 필요가 없다.
핸들 지지 연장부들의 이용은, 예를 들어, 이하를 포함하는 수많은 기능들을 제공할 수 있다: (A) 패널 섹션들이 서로로부터 슬라이딩되지 않도록 조립중에 패널 섹션들을 함께 고정하는 것; (b) 핸들 지지 연장부들이 조립 및 분해 중에 패널 섹션들에 대한 유도(guidance) 및 지지를 제공하는 한도에서, 플랫폼 조립의 용이성 개선; (c) 하나의 패널 섹션으로부터 다른 패널 섹션으로의 로드들의 전달을 허용하는 것에 의한 패널 섹션 경직성(stiffness)의 증가; (d) 이웃하는 패널 섹션들이 정렬되지 않은 표면들을 가지는 정도의 최소화(예를 들어, 이웃하는 패널들 사이의 단계들을 제거하는 것 그리고 여러 가지 이웃하는 패널 섹션들이 실질적으로 편평한 전체 표면을 형성하는 정도를 개선하는 것); (e) 패널 섹션들이 와이어 철근들/케이블들에 고정될 수 있기 전에 패널 섹션들이 슬라이딩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작업 플랫폼 시스템이 아래쪽으로 연장하는 적용예들에서 패널 섹션들의 조립을 돕는 것; 및/또는 (f) 패널 섹션들을 작업 장소로 전달하기에 앞서서, 패널 섹션들을 핸들링, 포장, 및 고정하는 것을 돕는 것.
전술한 바와 같이, 주어진 패널 섹션과 연관된 핸들 지지 연장부들의 특별한 수, 크기, 형상, 및 배열이 실시예 또는 상황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비록 일부 작업 플랫폼 시스템들에서 모든 패널 섹션들이 동일한 핸들 지지 연장부들을 가질 것이나, 다른 실시예들에서, 하나 이상의 패널 섹션들이 하나 이상의 핸들 지지 연장부들의 제 1 배열을 가질 수 있는 한편 하나 이상의 다른 패널 섹션들이 하나 이상의 핸들 지지 연장부들의 다른 배열을 가질 수 있다. 핸들 지지 연장부들의 여러 가지 가능한 배열들 중에서 가능한 것은, 예를 들어, 이하와 같다: (a) 패널 섹션의 일 측부 상에 단지 하나의 핸들 지지 연장부 만이 존재하는 제 1 배열; (b) 패널 섹션의 일 측부 상에서만 둘 이상의 핸들들이 존재하는(그러나, 패널 섹션의 다른 측부에는 핸들 지지 연장부들이 존재하지 않는다) 제 2 배열; (c) 패널 섹션의 각 측부 상에 하나의 핸들 지지 연장부(그러나 하나 초과의 그러한 연장부는 아니다)이 존재하는 제 3 배열; 및 (d) 패널 섹션의 양 측부들 상에 하나 초과의 핸들 지지 연장부가 존재하는 제 4 배열.
본 개시 내용이, 여러 가지 상이한 형상들 중 임의의 형상을 가지는 핸들 지지 연장부들, 그리고 하나 이상의 핸들 지지 연장부들뿐만 핸들 지지 연장부들의 하나 이상의 목적들을 위한 역할을 또한 하는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부들도 포함하는 패널 섹션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되었다는 것을 추가적으로 인지하여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들에서, 패널 섹션이, 인접한 패널 섹션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편평한 U 형상의 핸들 지지 연장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그러한 핸들 지지 연장부는 이웃하는 패널 섹션의 측부 스트럿 하부에서 연장하도록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 그 대신에,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들에서, 패널 섹션이, 인접한 패널 섹션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고 그리고 또한 인접한 패널 섹션으로부터의 상호록킹 장치를 수용 또는 받아들이는 역할을 하는 편평한 U 형상의 핸들 지지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들에서, 패널 섹션이, 인접한 패널 섹션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편평한 U 형상의 핸들 지지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고, 그리고 패널 섹션이 인접한 패널 섹션과 상호록킹되도록 구성된(또는 인접한 패널 섹션의 상호록킹 특징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부가적인 특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8을 참조하여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인접 패널 섹션들을 함께 고정하기 위해서 일 측부에서만 90도 벤드를 가지는 U 형상의 핸들을 패널 섹션이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핸들 지지 연장부들의 수많은 다른 가능한 배열들이 또한 본원에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부 다른 실시예들에서, 본원에서 핸들 지지 연장부들로서 지칭되는 지지 연장부들 모두가, 지지 연장부들이 상부에 형성된 패널 섹션들을 작업자(또는 기계류)가 파지 또는 상승 또는 이동시킬 수 있게 하는 핸들로서의 역할을 하도록 의도될 필요가 없다는 것(또는 주로 그렇게 의도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즉, 적어도 일부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비록 지지 연장부들이 핸들로서 구성되지 않고 또는 채용되지 않지만(또는 주로 그렇게 구성되지 않거나 또는 주로 그렇게 채용되지 않지만), 주어진 패널 섹션이 패널 섹션들의 주어진 행 내의(또는 이웃 패널 섹션들의 다른 배열 내의) 인접 패널 섹션에 대한 지지를 제공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및/또는 그러한 인접 패널 섹션과 관련하여 배치될 수 있게(또는 부착될 수 있게) 허용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지지 연장부들을 패널 섹션들이 포함할 수 있다.
비록 전술한 실시예들이 와이어 철근들의 쌍들(301, 302, 303, 304, 305, 306, 307, 308, 및 309)과 같은 와이어 철근들의 쌍들(또는 다른 가요성 링키지들 또는 요소들)을 채용하고 그리고, 연장부들이 패널 섹션들을 와이어 철근들의 쌍들 상에서 위치 및 지지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는 듀얼 요홈부들(또는 노치들)(772)을 가지는 한도에서, 와이어 철근들의 그러한 쌍들에 적합한 연장부들(770)과 같은 와이어 철근 지지 연장부들(또는 철근 후크들)을 채용하고 있지만, 단지 하나의 철근들이 패널 섹션들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실시예들(예를 들어, 패널 섹션들의 행들이 단일 와이어 철근들 사이에 위치되는 실시예들)에서 또한 그러한 와이어 철근 지지 연장부들이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사실상, 와이어 철근들의 쌍들의 이용이, 여분의 그리고 보다 큰 시스템 강도 및 견고성을 제공할 수 있고 그리고 와이어 철근들에 대한 다른 구조물들의 균형잡힌 클램핑(예를 들어, 현수기 클램프들(800) 또는 데크 리테이너 클램프들에 의한 철근들의 균형잡힌 클램핑)을 도울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완전히 구현된 작업 플랫폼 시스템(예를 들어, 현수기 클램프들(800)을 포함한다)의 모든 또는 실질적으로 모든 구성부들이 또한, 패널 섹션들의 인접한 행들 사이에서 연장하는(또는 패널 섹션들의 행에 인접하여 연장하는) 단일 철근들만을 채용하는 작업 플랫폼 시스템에서 채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추가적으로, 완전히 구현된 작업 플랫폼 시스템(860)의 수많은 하위 구성부들이, 다양한 성능들 및 장점들을 제공하는 특별한 특징부들을 가진다. 예를 들어, 현수기 클램프들(800)과 관련하여, 핸들 부분들(816)은 현수기 클램프의 용이한 핸들링/파지를 돕는 한편, 현수기 클램프의 강도 및 경직성을 위해서 요구되는 필수적인 섹션을 또한 제공하며, 그에 따라 클램프가 현수기 하중들을 지탱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예로서, 데크 리테이너 클램프들(또는 회전 케이블 클램프들)(769)는 단일 또는 듀얼 철근 배열들에 대한 데크 리테이너 클램프(또는 브래킷)의 신속하고 단순한 설치 및 고정을 돕는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현수기 클램프들 및 데크 리테이너 클램프들 중 하나 이상은, 현수기 클램프 또는 데크 리테이너 클램프의 적절한 조립 또는 구현(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철근들 상으로의 적절한 클램핑)이 달성되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가시적인 표시부를 제공하는 표시 핀을 포함한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현수 클램프와 연관된 가시적인 표시부가 현수기 클램프에 대한 현수 체인의 신속하고, 단순하며, 가시적으로 확인될 수 있는 고정을 도울 수 있다.
또한, 예로서, 현수기 클램프들(800)의 중간 오리피스들(822)의 각각이, 단부 슬롯 영역들(823) 및 중간 횡방향 슬롯 영역들(825)의 존재로 인해서, 듀얼 체인 슬롯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그러한 슬롯에 의해서 현수기 클램프(800)가 하나 뿐만 아니라 하나 초과(예를 들어, 2)의 현수 체인들(790) 또는 다른 링키지들 또는 연장부들 또는 커넥터들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중간 오리피스들(822)의 각각은 현수기 클램프(800) 설치를 위한 현수기 조정기의 이용을 돕는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 또는 상황들에서, 중간 오리피스들(822)을 채용하여, 현수기 클램프들(800)과 관련한 윈드(wind) 브레이싱 체인들의 설치를 허용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데크 리테이너 클램프들(769)과 관련하여, 이러한 클램프들이 연결 구조물들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데크 리테이너 클램프들이 또한 연결 구조물들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전자의 클램프들이 제공하는 연결 구조물들에 의해서 부가적인 커버 구조물들(또는 데크 리테이너들)(767)이 상기 와이어 철근들에 부착될 수 있고, 여기에서 부가적인 커버 구조물들이 와이어 철근들로부터 멀리 패널 구조물들(750)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예를 들어, 패널 구조물들의 상승을 방지하는) 역할을 추가적으로 하며, 상기 데크 리테이너 클램프들이 제공하는 연결 구조물들에 의해서 브래킷이 와이어 철근들과 관련하여 고정될 수 있고, 여기에서 격납(containment) 브래킷들이 (부가적인 커버 구조물들 위의 위치에서) 데크 리테이너 클램프들에 고정되고 그리고 수직 및 수평 격납 와이어 로프들을 추가적으로 수용하고 지지할 수 있다.
비록, 적어도 일부 실시예들에서, 본원에 포함되는 작업 플랫폼 시스템들이 현수된 하위시스템 및 지지 하위시스템 모두를 포함하지만, 이는 모든 실시예들의 경우에서 필수적인 것이 아니고, 여기에서 상기 지지 하위시스템은 전술한 QuikDeckTM 현수된 접근 시스템에 상응하는 구성부들(예를 들어, 허브들(310) 및 들보들(330))을 포함한다는 것을 추가적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QuikDeckTM 현수된 접근 시스템에 상응하는 구성부들을 포함하는 지지 하위시스템의 이용은, 예를 들어, QuikDeckTM 현수된 접근 시스템에 따른 플랫폼들의 구현이 현수된 하위시스템의 와이어 철근들(예를 들어, 와이어 철근들(230)의 쌍들)을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위치에서 견고한 앵커리지들을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을 포함하는, 수많은 이유들 중 임의의 이유로 바람직할 수 있다. 사실상, 그러한 플랫폼들은, 와이어 철근들의 설치를 돕는 견고하고 안정적인 표면을 제공한다.
그러나, QuikDeckTM 현수된 접근 시스템에 따른 지지 하위시스템들(플랫폼들)과 관련한 현수된 하위시스템을 구현하는 것의 이러한 장점들에도 불구하고, 본 개시 내용은 또한 다른 타입들의 지지 하위시스템들을 이용하는 실시예들을 포함하도록 의도되고, 그리고 본원의 어떠한 것도, QuikDeckTM 현수된 접근 시스템 또는 본원에서 개시된 임의의 특별한 지지 하위시스템 구성부들 또는 변형들이 채용되어야 한다는 임의의 요건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사실상, 본 개시 내용은, 하나 이상의 현수된 하위시스템 구성부들만을 포함하거나 또는 현수된 하위시스템으로 간주되는 것만을 포함하는 작업 플랫폼 시스템들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며, 상기 현수된 하위시스템은, 어떠한 여하한 지지 하위시스템도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현수 지지 교각(100)과 같은 관심 구조물에 직접적으로 커플링된다.
추가적으로, 사용되는 특별한 현수된 하위시스템 또는 지지 하위시스템 구성부들과 관계없이, 수많은 다른 변형들이 또한 본원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예를 들어, 비록 완전히 구현된 작업 플랫폼 조립체(860)가 단일 플랫폼 레벨만을 포함하였지만, 다른 실시예들에서, 플랫폼 구조물들의 복수 레벨들이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들에서, 다른 타입들의 구성부들이 또한 작업 플랫폼 시스템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들에서, 레일링 시스템이 작업 플랫폼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부분들(예를 들어, 작업 플랫폼 시스템의 지지 및/또는 현수된 하위시스템들의 하나 이상의 부분들)에 부착될 수 있다. 그러한 시스템들의 레일링들은, 특히 체인, 케이블(예를 들어, 아연도금된 항공기 케이블), 및 라인, 등과 같은 다양한 재료들로부터 제조될 수 있고, 그리고 또 다른 부가적인 실시예들에서, 레일링 표준들(standards)을 또한 이용하여 작업 폐쇄(enclosure)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러 가지 목적들을 위해서, 타프들(tarps), 또는 시팅(sheeting), 등을 레일링 표준들에 부착하여 작업 구역(들)을 폐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작업 플랫폼 시스템(860) 또는 다른 작업 플랫폼 시스템들을 제조하기 위한 재료들이 실시예에 따라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로서, 그러한 작업 플랫폼 시스템들의 구성부들에 적합한 재료들이 금속(예를 들어, 스틸, 알루미늄, 등), 목재, 플라스틱, 복합체, 또는 다른 적합한 재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그러한 구성부들은 중실형(solid), 주름형, 그레이트형(grated), 매끄러운 아이템들로, 또는 다른 적합한 구성들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러한 작업 플랫폼 조립체들의 패널 부분들이, 특히, 목재 시팅, 합판, 지붕 데킹(decking) 재료, 프레임 상의 금속, 그레이팅, 스틸 시팅,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예로서, 현수된 하위시스템의 현수 체인들(예를 들어, 현수 체인들(790))의 각각 및 지지 하위시스템의 지지 체인들(예를 들어, 지지 체인들(220))이, 실시예에 따라서, 톱니형 체인들, 현수 와이어들 또는 와이어 철근들, 벨트들, 또는 다른 지지 구성부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타입들의 체인들 중 임의 체인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또한, 현수된 하위시스템의 와이어 철근들(예를 들어, 와이어 철근들(230)의 쌍들의 와이어 철근들)이 와이어들, 케이블들, 및 유사한 가요성 연장 구조물들의 다양한 형태들 중 임의 형태를 부가적으로 취할 수 있다. 사실상, 실시예 또는 상황에 따라서, 벤딩가능한 또는 가요성의 링키지들 또는 연장부들 또는 가요성 기계 요소들(또는 단순히 가요성 요소들)의 다양한 타입들 중 임의 타입이, 와이어, 와이어 로프, 체인(또는 톱니형 체인), 벨트, 또는 유사한 타입들의 연장부들 또는 링키지들 또는 커넥터들과 같은, 현수 체인들(790), 지지 체인들(220), 및 와이어 철근들(230)의 각각의 그리고 모든 각각의(every one) 역할을 위해서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관련하여, 전형적으로, 연장부들 또는 링키지들 또는 커넥터들이, 가요성을 가지고 그리고 구조물들의 폭들 및 깊이들 보다 실질적으로 더 큰 선형 치수들을 따르는 길이들을 가지는 구조물이 될 것이고, 여기에서 그러한 폭들 및 깊이들은 길이들 및 폭들에 비해서 모두 작은 폭들 및 깊이들이고, 그리고 깊이들은 크기가 유사한 깊이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연장부들 또는 링키지들 또는 커넥터들이, 예를 들어, 폭들 보다 실질적으로 큰 길이들뿐만 아니라, 깊이들 보다 실질적으로 큰 폭들을 가지는 구조물들(예를 들어, 리본 형태를 취하는 구조물들)을 포함하는, 다른 특성들을 가지는 구조물들일 수 있다. 또한, 일부 경우들에서, 현수 체인들(790), 지지 체인들(220), 및/또는 와이어 철근들(230)로서 (또는 그 대신에) 이용된 하나 이상의 연장부들 또는 링키지들 또는 커넥터들이 가요성을 가지는 대신에 견고할 수 있다.
적어도 일부 실시예들에서, 본원에서 설명된 작업 플랫폼 시스템의 부분들이 통상적인 작업 플랫폼 시스템들의 부분들과 인터페이싱할 수 있고, 연결될 수 있고, 또는 연동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일부 실시예들에서, 단지 수공구들만을 이용하여 작업자가 작업 플랫폼 시스템의 구성부들을 연장, 재배치, 또는 제거할 수 있고, 그리고 작업 플랫폼 시스템의 기존 구성부들에 대해서 부가하거나, 그 구성부들로부터 제거(subtract)하는데 있어서 기계적인 공구들, 호이스트들, 크레인들, 또는 다른 장비들이 필요치 않다. 적어도 일부 실시예들에서, 작업 플랫폼 시스템의 설치가, 본질적으로, "공중에서(in the air)"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복수의 피스들의 상승, 또는 호이스팅 장비의 이용을 통해서, 작업 플랫폼 시스템이 "공중에서", 피스-바이-피스(piece-by-piece) 순서로 함께 건설되고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대안적인 실시예들에서, 또한, 하위시스템들, 부분들, 또는 구성부들 중 하나 이상이 지면에서, 또는 원격 위치에서 미리 조립될 수 있고, 이어서 미리-조립된 모듈로서 희망 위치로 이동되고 호이스트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원에서 설명된 구현/설치의 프로세스들 및 이용에 더하여, 본원 개시 내용이 또한 분해 프로세스들과 같은 다른 프로세스들을 포함하도록 의도되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패널 섹션들(750)을 설치하기 위한 프로세스가 앞서서 설명되고, 그리고 랜야드 또는 유사한 로프형 구조물에 의해서 패널들 중 하나를 작업자가 하강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는 범위까지, 유사하게, 분해는 이전에-설치된 패널을 상승시키기 위해서 랜야드를 잡아 당기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상황들에서, 랜야드를 잡아 당기는 작업자의 위치에 대해서 반대로 해당 패널 섹션의 측부 스트럿으로부터 연장하는, 제거되는 패널 섹션의 핸들 지지 연장부(들)에 랜야드가 부착될 수 있을 것이다.
그에 따라, 본원 개시 내용의 특정 실시예들을 도시하고 위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도, 수많은 변경들 및 수정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특히, 본원 개시 내용의 범위가,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 구성부들의 수, 그 재료들, 그 형상들, 그 상대적인 배열로 제한되지 않고,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개시 내용들이 단순히 예시적인 실시예들로 제공된 것임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원 발명이 본원에 포함된 실시예들 및 설명들로 제한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바와 같은 다른 실시예들의 구성요소들의 조합들 및 실시예들의 부분들을 포함하는 그러한 실시예들의 수정된 형태들을 포함한다는 것이 특히 의도되었다.

Claims (54)

  1. 구조물과 관련한 구현을 위한 작업 플랫폼 시스템(110)이며,
    제 1 가요성 요소(230) 및 제 2 가요성 요소(230)로서, 상기 가요성 요소들(230)의 각각의 개별적인 제 1 단부(225)가 제 1 지지 구성부(132)에 적어도 간접적으로 커플링되고 그리고 상기 가요성 요소들(230)의 각각의 개별적인 제 2 단부(225)가 제 2 지지 구성부(134)에 적어도 간접적으로 커플링되는, 제 1 가요성 요소(230) 및 제 2 가요성 요소(230); 및
    상기 가요성 요소들(230) 상에서 지지되고 상기 제 1 가요성 요소(230)와 제 2 가요성 요소(230)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패널 구조물(750)로서, 상기 패널 구조물(750)이 서로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가요성 요소들(230)을 따라서 연장하는 패널 구조물들(750)의 행을 형성하는, 복수의 패널 구조물(750)을 포함하고;
    상기 패널 구조물들(750)의 각각이 상기 가요성 요소(230)들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각각 연장하는 대향 엣지들(762, 764)의 제 1 쌍(764) 및 상기 대향 엣지들(762, 764)의 제 1 쌍(764) 사이에서 각각 연장하는 대향 엣지들(762, 764)의 제 2 쌍(762)을 포함하고,
    상기 패널 구조물들(750) 중 제 1 패널 구조물(765)이 상기 제 1 패널 구조물(765)의 대향 엣지들(762, 764)의 개별적인 제 2 쌍(762) 중의 제 1 엣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는 제 1 지지 연장부(780)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패널 구조물(765)의 제 1 지지 연장부(780)가 제 1 포메이션(785)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포메이션(785) 내로 상기 패널 구조물들(750) 중 제 2 패널 구조물(791)의 대향 엣지들(762, 764)의 개별적인 제 2 쌍(762) 중 제 2 엣지가 배치되고, 상기 제 1 포메이션(785)이 상기 제 1 패널 구조물(765)에 대한 상기 제 2 패널 구조물(791)의 운동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한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제 1 지지 연장부(780)는, 상기 제 1 패널 구조물(765)의 패널 구조물 표면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을 따라서 상기 대향 엣지들(762, 764)의 개별적인 제 2 쌍(762) 중의 제 1 엣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는 외측-연장 세그먼트, 상기 외측-연장 세그먼트로부터 상기 패널 구조물 표면의 평면을 향해서 위쪽으로 연장하는 상향-연장 세그먼트, 상기 대향 엣지들(762, 764)의 제 1 쌍(764) 중의 제 1 엣지의 추가적인 평면을 향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길이방향-연장 세그먼트, 상기 패널 구조물 표면의 평면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하는 하향-연장 세그먼트, 및 상기 대향 엣지들(762, 764)의 개별적인 제 2 쌍(762) 중의 제 1 엣지로 내측으로 연장하는 내측-연장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U-형상의 구조물이고, 그리고
    상기 제 1 포메이션(785)이 적어도 상향-연장 세그먼트, 길이방향-연장 세그먼트, 및 하향-연장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구조물과 관련한 구현을 위한 작업 플랫폼 시스템(11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 연장부(780)가 핸들 구조물로서 구성되는, 구조물과 관련한 구현을 위한 작업 플랫폼 시스템(110).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패널 구조물(791)은 대향 엣지들(762, 764)의 개별적인 제 2 쌍(762) 중 제 2 엣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는 제 2 지지 연장부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 2 지지 연장부가 제 2 포메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포메이션 내로 상기 제 1 패널 구조물(765)의 대향하는 엣지들의 개별적인 제 2 쌍 중의 제 1 엣지가 배치되고, 상기 제 2 포메이션이 상기 제 1 패널 구조물(765)에 대한 상기 제 2 패널 구조물(791)의 운동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한하는 역할을 하는, 구조물과 관련한 구현을 위한 작업 플랫폼 시스템(110).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널 구조물(765)이 상기 제 1 패널 구조물(765)의 대향 엣지들(762, 764)의 개별적인 제 2 쌍(762) 중의 제 1 엣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는 제 3 지지 연장부를 부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제 1 지지 연장부(780)는, 상기 제 3 지지 연장부가 위치되는 제 2 위치 보다 상기 제 1 패널 구조물(765)의 대향 엣지들(762, 764)의 개별적인 제 1 쌍(764) 중의 제 1 엣지에 더 근접하는 제 1 위치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패널 구조물(791)이 상기 제 2 패널 구조물(791)의 대향 엣지들(762, 764)의 개별적인 제 2 쌍(762) 중의 제 2 엣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는 제 4 지지 연장부를 부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제 2 지지 연장부는, 상기 제 4 지지 연장부가 위치되는 제 4 위치 보다 상기 제 2 패널 구조물(791)의 대향 엣지들(762, 764)의 개별적인 제 1 쌍(764) 중의 제 2 엣지에 더 근접하는 제 3 위치에 위치되고, 그리고
    상기 제 1, 제 4, 제 2 및 제 3 위치들이 상기 제 1 가요성 요소(230)와 상기 제 2 가요성 요소(230)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발생되는, 구조물과 관련한 구현을 위한 작업 플랫폼 시스템(110).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구조물들(750)의 각각이 상기 개별적인 패널 구조물(750)의 대향 엣지들(762, 764)의 개별적인 제 2 쌍(762)의 각각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패널 구조물(765)의 적어도 하나의 지지 연장부가 제 1 지지 연장부(780)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각각의 개별적인 패널 구조물(750)의 대향 엣지들(762, 764)의 개별적인 제 2 쌍(762) 중의 제 1 엣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연장부가, 상기 개별적인 패널 구조물(750)의 대향 엣지들(762, 764)의 개별적인 제 2 쌍(762) 중의 제 2 엣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연장부에 대해서 상보적으로 천이된 방식으로 배치되는, 구조물과 관련한 구현을 위한 작업 플랫폼 시스템(110).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연장 세그먼트 및 내측-연장 세그먼트가 상기 제 1 포메이션(785)에 포함되는 후크-형상의 외측 부분들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 1 패널 구조물(765)의 제 1 및 제 2 쌍들의 대향 엣지들(762, 764)의 각각이 상기 패널 구조물(750) 표면 아래에서 연장하는 개별적인 튜브형 지지 스트럿에 의해서 형성되는, 구조물과 관련한 구현을 위한 작업 플랫폼 시스템(110).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 연장부(780)가 상기 제 1 및 제 2 가요성 요소들(230)에 대해서 상기 제 2 패널 구조물(791)을 지지하는 것을 보조하는 역할을 하는, 구조물과 관련한 구현을 위한 작업 플랫폼 시스템(110).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구조물들(750)의 각각이 상기 대향 엣지들(762, 764)의 제 1 쌍(764)의 각각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2개의 지지 연장부들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지지 연장부들의 각각은, 상기 패널 구조물(750)이 상기 가요성 요소들(230) 상에서 지지될 때, 상기 제 1 가요성 요소(230) 또는 상기 제 2 가요성 요소(230)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개별적인 적어도 하나의 요홈부를 포함하는, 구조물과 관련한 구현을 위한 작업 플랫폼 시스템(110).
  10. 제 1 항에 있어서,
    제 3 가요성 요소(230)로서, 상기 제 3 가요성 요소(230)의 개별적인 제 1 단부(225)가 또한 상기 제 1 지지 구성부(132)에 대해서 적어도 간접적으로 커플링되고 그리고 상기 제 3 가요성 요소(230)의 개별적인 제 2 단부(225)가 상기 제 2 지지 구성부(134)에 대해서 적어도 간접적으로 커플링되는, 제 3 가요성 요소(230); 및
    상기 제 2 가요성 요소(230) 및 상기 제 3 가요성 요소(230) 상에서 지지되는 부가적인 복수의 패널 구조물(750)로서, 상기 부가적인 복수의 패널 구조물들(750)의 패널 구조물들(750)이 서로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 3 가요성 요소(230)를 따라서 연장하는 패널 구조물들(750)의 부가적인 행을 형성하는, 부가적인 복수의 패널 구조물(750)을 더 포함하는, 구조물과 관련한 구현을 위한 작업 플랫폼 시스템(110).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요성 요소(230)의 일부 위를 커버하기 위해서, 제 1 복수의 패널 구조물(750)의 적어도 하나와 부가적인 복수의 패널 구조물(750) 중 적어도 하나 사이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커버 섹션을 더 포함하는, 구조물과 관련한 구현을 위한 작업 플랫폼 시스템(110).
  12. 제 1 항에 있어서,
    현수 구성부 및 상기 현수 구성부가 부착되는 클램프 구조물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개별적인 가요성 요소(230)가 상기 현수 구성부에 의해서 지지되도록 상기 클램프 구조물이 상기 제 1 가요성 요소(230) 또는 제 2 가요성 요소(230)에 커플링되는, 구조물과 관련한 구현을 위한 작업 플랫폼 시스템(110).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구조물이 적어도 일차적인 표면 포메이션 및 걸쇠 구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쇠 구성부는 상기 일차적인 표면 포메이션에 대해서 회전식으로 부착되나 상기 일차적인 표면 포메이션에 대해서 제위치에서 록킹되는, 구조물과 관련한 구현을 위한 작업 플랫폼 시스템(110).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걸쇠 구성부가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회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1 위치에서 상기 걸쇠 구성부가 언록킹되고 그리고 상기 제 2 위치에서 상기 걸쇠 구성부가 상기 일차적인 표면 포메이션의 오리피스 내로 피팅되는 걸쇠 구성부의 포스트에 의해서 상기 일차적인 표면 포메이션에 대해서 제위치에서 록킹되는, 구조물과 관련한 구현을 위한 작업 플랫폼 시스템(110).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구조물이 부가적인 걸쇠 구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부가적인 걸쇠 구성부는 또한 상기 일차적인 표면 포메이션에 대해서 회전식으로 부착되나 상기 일차적인 표면 포메이션에 대해서 제위치에서 록킹되는, 구조물과 관련한 구현을 위한 작업 플랫폼 시스템(110).
  16. 제 13 항에 있어서,
    현수 구성부의 고정 및 조정 중 적어도 하나를 허용하도록 상기 클램프 구조물이 구조화되는, 구조물과 관련한 구현을 위한 작업 플랫폼 시스템(110).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현수 구성부가 체인이고, 상기 체인이 상기 클램프 구조물 내의 체인 슬롯에 의해서 고정되거나 조정되도록 구성되는, 구조물과 관련한 구현을 위한 작업 플랫폼 시스템(110).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의 제 1 및 제 2 부분들 상에 각각 장착되는 제 1 및 제 2 지지 구성부들(132, 134)을 더 포함하는, 구조물과 관련한 구현을 위한 작업 플랫폼 시스템(110).
  19. 구조물과 관련한 구현을 위한 작업 플랫폼 시스템(110)이며,
    가요성 요소들(230)의 제 1 쌍 및 가요성 요소들(230)의 제 2 쌍으로서, 상기 가요성 요소들(230)의 각각의 개별적인 제 1 단부(225)가 제 1 지지 구성부(132)에 대해서 적어도 간접적으로 커플링되고 그리고 상기 가요성 요소들(230)의 각각의 개별적인 제 2 단부(225)가 제 2 지지 구성부(134)에 대해서 적어도 간접적으로 커플링되는, 가요성 요소들(230)의 제 1 쌍 및 가요성 요소들(230)의 제 2 쌍;
    상기 가요성 요소들(230) 상에서 지지되는 복수의 패널 구조물(750);
    현수 구성부; 및
    상기 가요성 요소들(230)의 제 1 쌍 및 상기 가요성 요소들(230)의 제 2 쌍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현수 구성부에 의해서 지지되도록 상기 가요성 요소들(230)의 제 1 쌍 및 가요성 요소들(230)의 제 2 쌍 중 적어도 하나에 커플링되는 클램프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 구조물이 적어도 일차적인 표면 포메이션 및 걸쇠 구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쇠 구성부는 상기 일차적인 표면 포메이션에 회전식으로 부착되나 상기 일차적인 표면 포메이션에 대해서 제위치에서 록킹되는, 구조물과 관련한 구현을 위한 작업 플랫폼 시스템(110).
  20. 제 19 항에 있어서,
    제 1 위치로 회전될 때, 상기 걸쇠 구성부가 상기 제 1 쌍 및 상기 제 2 쌍 중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요소들(230) 사이에 피팅되도록 그리고, 제 2 위치로 회전될 때, 상기 걸쇠 구성부가 상기 일차적인 표면 포메이션의 오리피스 내로 피팅된 상기 걸쇠 구성부의 포스트에 의해서 상기 일차적인 표면 포메이션에 대해서 제위치에서 록킹되도록, 상기 걸쇠 구성부가 구성되는, 구조물과 관련한 구현을 위한 작업 플랫폼 시스템(110).
  21.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구조물의 걸쇠 구성부가 상기 패널 구조물들(750) 중의 적어도 개별적인 하나의 패널 구조물(750)의 단부 또는 단부 부분을 추가적으로 지지하는, 구조물과 관련한 구현을 위한 작업 플랫폼 시스템(110).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구조물들(750)의 각각이 상기 가요성 요소들(230)에 의해서 지지되는 제 1 연장부들 및 상기 패널 구조물들(750) 중의 인접한 패널 구조물(750)이 상기 개별적인 패널 구조물(750)과 관련하여 구현되고 고정될 수 있게 허용하는 역할을 하는 제 2 연장부를 포함하는, 구조물과 관련한 구현을 위한 작업 플랫폼 시스템(110).
  23.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의 제 1 및 제 2 부분들 상에 각각 장착되는, 제 1 및 제 2 지지 구성부들(132, 134)을 더 포함하는, 구조물과 관련한 구현을 위한 작업 플랫폼 시스템(110).
  24.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패널 구조물(750)의 각각이 상기 가요성 요소들(230)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각각 연장하는 대향 엣지들(762, 764)의 제 1 쌍(764) 및 상기 대향 엣지들(762, 764)의 제 1 쌍(764) 사이에서 각각 연장하는 대향 엣지들(762, 764)의 제 2 쌍(762)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패널 구조물(750) 중의 제 1 패널 구조물(765)이 상기 제 1 패널 구조물(765)의 대향 엣지들(762, 764)의 개별적인 제 2 쌍(762) 중의 제 1 엣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는 제 1 지지 연장부(780)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패널 구조물(765)의 제 1 지지 연장부(780)가 제 1 포메이션(785)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포메이션(785) 내로 상기 패널 구조물들(750) 중의 제 2 패널 구조물(791)의 대향 엣지들(762, 764)의 개별적인 제 2 쌍(762) 중 제 2 엣지가 배치되고, 상기 제 1 포메이션(785)이 상기 제 1 패널 구조물(765)에 대한 상기 제 2 패널 구조물(791)의 운동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한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제 2 패널 구조물(791)은 대향 엣지들(762, 764)의 개별적인 제 2 쌍(762) 중 제 2 엣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는 제 2 지지 연장부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 2 지지 연장부가 제 2 포메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포메이션 내로 상기 제 1 패널 구조물(765)의 대향하는 엣지들의 개별적인 제 2 쌍 중의 제 1 엣지가 배치되고, 상기 제 2 포메이션이 상기 제 1 패널 구조물(765)에 대한 상기 제 2 패널 구조물(791)의 운동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한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제 1 패널 구조물(765)이 상기 제 1 패널 구조물(765)의 대향 엣지들(762, 764)의 개별적인 제 2 쌍(762) 중의 제 1 엣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는 제 3 지지 연장부를 부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제 1 지지 연장부(780)는, 상기 제 3 지지 연장부가 위치되는 제 2 위치 보다 상기 제 1 패널 구조물(765)의 대향 엣지들(762, 764)의 개별적인 제 1 쌍(764) 중의 제 1 엣지에 더 근접하는 제 1 위치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패널 구조물(791)이 상기 제 2 패널 구조물(791)의 대향 엣지들(762, 764)의 개별적인 제 2 쌍(762) 중의 제 2 엣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는 제 4 지지 연장부를 부가적으로 포함하고, 상기 제 2 지지 연장부는, 상기 제 4 지지 연장부가 위치되는 제 4 위치 보다 상기 제 2 패널 구조물(791)의 대향 엣지들(762, 764)의 개별적인 제 1 쌍(764) 중의 제 2 엣지에 더 근접하는 제 3 위치에 위치되고, 그리고
    상기 제 1 지지 연장부(780), 제 2 지지 연장부, 제 3 지지 연장부, 및 제 4 지지 연장부의 각각이 핸들 구조물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되는, 구조물과 관련한 구현을 위한 작업 플랫폼 시스템(110).
  25. 구조물과 관련한 구현을 위한 작업 플랫폼 시스템(110)이며,
    가요성 요소들(230)의 제 1 쌍 및 가요성 요소들(230)의 제 2 쌍으로서, 상기 가요성 요소들(230)의 각각의 개별적인 제 1 단부(225)가 제 1 지지 구성부(132)에 대해서 적어도 간접적으로 커플링되고 그리고 상기 가요성 요소들(230)의 각각의 개별적인 제 2 단부(225)가 제 2 지지 구성부(134)에 대해서 적어도 간접적으로 커플링되는, 가요성 요소들(230)의 제 1 쌍 및 가요성 요소들(230)의 제 2 쌍;
    상기 가요성 요소들(230) 상에서 지지되고 상기 제 1 가요성 요소들(230)의 제 1 쌍과 상기 가요성 요소들(230)의 제 2 쌍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패널 구조물(750)로서, 상기 패널 구조물(750)이 서로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가요성 요소들(230)을 따라서 연장하는 패널 구조물들(750)의 행을 형성하고, 그리고 상기 패널 구조물들(750)의 각각이 상기 가요성 요소들(230)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각각 연장하는 대향 엣지들(762, 764)의 제 1 쌍(764) 및 상기 대향 엣지들(762, 764)의 제 1 쌍(764) 사이에서 각각 연장하는 대향 엣지들(762, 764)의 제 2 쌍(762)을 포함하는, 복수의 패널 구조물(750); 및
    상기 제 1 패널 구조물들(765)의 대향 엣지들(762, 764)의 개별적인 제 2 쌍(762) 중의 제 1 엣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는 제 1 지지 연장부(780)로서, 상기 제 1 패널 구조물(765)의 제 1 지지 연장부(780)가 제 1 포메이션(785)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포메이션(785) 내로 상기 패널 구조물들(750) 중 제 2 패널 구조물(791)의 대향 엣지들(762, 764)의 개별적인 제 2 쌍(762) 중 제 2 엣지가 배치되고, 상기 제 1 포메이션(785)이 상기 제 1 패널 구조물(765)에 대한 상기 제 2 패널 구조물(791)의 운동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한하는 역할을 하는, 구조물과 관련한 구현을 위한 작업 플랫폼 시스템(110).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 연장부(780)가 핸들 구조물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된, 구조물과 관련한 구현을 위한 작업 플랫폼 시스템(110).
  27. 제 25 항에 있어서,
    현수 구성부에 커플링되도록 구성된 클램프 구조물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요성 요소들(230)의 제 1 쌍 및 상기 가요성 요소들(230)의 제 2 쌍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현수 구성부에 의해서 지지되도록 상기 클램프 구조물이 상기 가요성 요소들(230)의 제 1 쌍 및 상기 가요성 요소들(230)의 제 2 쌍 중 적어도 하나에 커플링되는, 구조물과 관련한 구현을 위한 작업 플랫폼 시스템(110).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구조물이 적어도 일차적인 표면 포메이션 및 걸쇠 구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쇠 구성부는 상기 일차적인 표면 포메이션에 회전식으로 부착되나 상기 일차적인 표면 포메이션에 대해서 제위치에서 록킹되며;
    제 1 위치로 회전될 때, 상기 걸쇠 구성부가 상기 제 1 쌍 및 상기 제 2 쌍 중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요소들(230) 사이에 피팅되도록 그리고, 제 2 위치로 회전될 때, 상기 걸쇠 구성부가 상기 일차적인 표면 포메이션의 오리피스 내로 피팅된 상기 걸쇠 구성부의 포스트에 의해서 상기 일차적인 표면 포메이션에 대해서 제위치에서 록킹되도록, 상기 걸쇠 구성부가 구성되는, 구조물과 관련한 구현을 위한 작업 플랫폼 시스템(110).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구조물은, 체인 슬롯과 같은 개구부에 의해서, 체인과 같은 현수 구성부의 고정 및 조정을 허용하도록 구조화되는, 구조물과 관련한 구현을 위한 작업 플랫폼 시스템(110).
  30.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구조물들(750)의 각각이 상기 가요성 요소들(230)에 의해서 지지되는 제 1 연장부들 및 제 2 지지 연장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지지 연장부들이 지지부들로서의 역할을 하고 그리고 상기 패널 구조물들(750) 중의 인접한 패널 구조물이 개별적인 패널 구조물(750)과 관련하여 구현될 수 있게 허용하기 위한 부가적인 역할을 하는, 구조물과 관련한 구현을 위한 작업 플랫폼 시스템(110).
  31.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의 제 1 및 제 2 부분들 상에 각각 장착되는 제 1 및 제 2 지지 구성부들(132, 134)을 더 포함하는, 구조물과 관련한 구현을 위한 작업 플랫폼 시스템(110).
  32. 제 25 항에 있어서,
    제 2 패널 구조물(791)의 대향 엣지들(762, 764)의 개별적인 제 2 쌍(762) 중 제 2 엣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는 제 2 지지 연장부를 더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 2 지지 연장부가 제 2 포메이션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포메이션 내로 상기 제 1 패널 구조물(765)의 대향하는 엣지(762, 764)들의 개별적인 제 2 쌍(762) 중의 제 1 엣지가 배치되고, 상기 제 2 포메이션이 상기 제 1 패널 구조물(765)에 대한 상기 제 2 패널 구조물(791)의 운동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한하는 역할을 하는, 구조물과 관련한 구현을 위한 작업 플랫폼 시스템(110).
  33. 제 32 항에 있어서,
    (i) 제 3 지지 연장부 및 (ii) 제 4 지지 연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3 지지 연장부는 상기 제 1 패널 구조물(765)의 대향 엣지들(762, 764)의 개별적인 제 2 쌍(762) 중의 제 1 엣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 1 지지 연장부(780)는, 상기 제 3 지지 연장부가 위치되는 제 2 위치 보다 상기 제 1 패널 구조물(765)의 대향 엣지들(762, 764)의 개별적인 제 1 쌍(764) 중의 제 1 엣지에 더 근접하는 제 1 위치에 위치되고, 상기 제 4 지지 연장부는 상기 제 2 패널 구조물(791)의 대향 엣지들(762, 764)의 개별적인 제 2 쌍(762) 중의 제 2 엣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고, 상기 제 2 지지 연장부는, 상기 제 4 지지 연장부가 위치되는 제 4 위치 보다 상기 제 2 패널 구조물(791)의 대향 엣지들(762, 764)의 개별적인 제 1 쌍(764) 중의 제 2 엣지에 더 근접하는 제 3 위치에 위치되고, 그리고 상기 제 1, 제 4, 제 2 및 제 3 위치들이 상기 제 1 가요성 요소들(230)과 상기 제 2 가요성 요소들(230)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발생되는, 구조물과 관련한 구현을 위한 작업 플랫폼 시스템(110).
  34.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구조물들(750)의 각각이 상기 개별적인 패널 구조물(750)의 대향 엣지들(762, 764)의 개별적인 제 2 쌍(762)의 각각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패널 구조물(765)의 적어도 하나의 지지 연장부가 제 1 지지 연장부(780)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각각의 개별적인 패널 구조물(750)의 대향 엣지들(762, 764)의 개별적인 제 2 쌍(762) 중의 제 1 엣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연장부가, 상기 개별적인 패널 구조물(750)의 대향 엣지들(762, 764)의 개별적인 제 2 쌍(762) 중의 제 2 엣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연장부에 대해서 상보적으로 천이된 방식으로 배치되는, 구조물과 관련한 구현을 위한 작업 플랫폼 시스템(110).
  35.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 연장부(780)는, 상기 제 1 패널 구조물(765)의 패널 구조물 표면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을 따라서 상기 대향 엣지들(762, 764)의 개별적인 제 2 쌍(762) 중의 제 1 엣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는 외측-연장 세그먼트, 상기 외측-연장 세그먼트로부터 상기 패널 구조물 표면의 평면을 향해서 위쪽으로 연장하는 상향-연장 세그먼트, 상기 대향 엣지들(762, 764)의 제 1 쌍(764) 중의 제 1 엣지의 추가적인 평면을 향해서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길이방향-연장 세그먼트, 상기 패널 구조물 표면의 평면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하는 하향-연장 세그먼트, 및 상기 대향 엣지들(762, 764)의 개별적인 제 2 쌍(762) 중의 제 1 엣지로 내측으로 연장하는 내측-연장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U-형상의 구조물이고, 그리고
    상기 제 1 포메이션(785)이 적어도 상향-연장 세그먼트, 길이방향-연장 세그먼트, 및 하향-연장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구조물과 관련한 구현을 위한 작업 플랫폼 시스템(110).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연장 세그먼트 및 내측-연장 세그먼트가 상기 제 1 포메이션(785)에 포함되는 후크-형상의 외측 부분들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 1 패널 구조물(765)의 제 1 및 제 2 쌍들의 대향 엣지들(762, 764)의 각각이 상기 패널 구조물 표면 아래에서 연장하는 개별적인 지지 스트럿에 의해서 형성되는, 구조물과 관련한 구현을 위한 작업 플랫폼 시스템(110).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지지 연장부(780)가 상기 가요성 요소들(230)의 제 1 및 제 2 쌍들에 대해서 상기 제 2 패널 구조물(791)을 지지하는 것을 보조하는 역할을 하는, 구조물과 관련한 구현을 위한 작업 플랫폼 시스템(110).
  38.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구조물들(750)의 각각이 상기 대향 엣지들(762, 764)의 제 1 쌍(764)의 각각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2개의 지지 연장부들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지지 연장부들의 각각은, 상기 패널 구조물(750)이 상기 가요성 요소들(230) 상에서 지지될 때, 상기 가요성 요소들(230)의 제 1 쌍 또는 상기 가요성 요소들(230)의 제 2 쌍 수용하도록 구성된 요홈부들의 개별적인 쌍을 포함하는, 구조물과 관련한 구현을 위한 작업 플랫폼 시스템(110).
  39. 제 25 항에 있어서,
    가요성 요소들(230)의 제 3 쌍으로서, 상기 제 3 쌍의 가요성 요소들(230)의 각각의 개별적인 제 1 단부(225)가 또한 상기 제 1 지지 구성부(132)에 대해서 적어도 간접적으로 커플링되고 그리고 상기 제 3 쌍의 가요성 요소들(230)의 각각의 개별적인 제 2 단부(225)가 상기 제 2 지지 구성부(134)에 대해서 적어도 간접적으로 커플링되는, 가요성 요소들(230)의 제 3 쌍; 및
    상기 가요성 요소들(230)의 제 2 쌍 및 상기 가요성 요소들(230)의 제 3 쌍 상에서 지지되는 부가적인 복수의 패널 구조물(750)로서, 상기 부가적인 복수의 패널 구조물(750)의 패널 구조물들(750)이 서로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상기 가요성 요소들(230)의 제 3 쌍을 따라서 연장하는 패널 구조물들(750)의 부가적인 행을 형성하는, 부가적인 복수의 패널 구조물(750)을 더 포함하는, 구조물과 관련한 구현을 위한 작업 플랫폼 시스템(110).
  40.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요소들(230)의 제 2 쌍의 부분들 위를 커버하기 위해서, 제 1 복수의 패널 구조물(750) 중 적어도 하나와 부가적인 복수의 패널 구조물(750) 중 적어도 하나 사이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커버 섹션을 더 포함하는, 구조물과 관련한 구현을 위한 작업 플랫폼 시스템(110).
  41. 제 39 항에 있어서,
    현수 구성부 및 상기 현수 구성부가 부착되는 클램프 구조물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요성 요소들(230)의 제 1 쌍 및 상기 가요성 요소들(230)의 제 2 쌍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현수 구성부에 의해서 지지되도록 상기 클램프 구조물이 상기 가요성 요소들(230)의 제 1 쌍 및 상기 가요성 요소들(230)의 제 2 쌍 중 적어도 하나에 커플링되는, 구조물과 관련한 구현을 위한 작업 플랫폼 시스템(110).
  42.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구조물이 적어도 일차적인 표면 포메이션 및 걸쇠 구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걸쇠 구성부는 상기 일차적인 표면 포메이션에 대해서 회전식으로 부착되나 상기 일차적인 표면 포메이션에 대해서 제위치에서 록킹되는, 구조물과 관련한 구현을 위한 작업 플랫폼 시스템(110).
  43. 제 42 항에 있어서,
    제 1 위치로 회전될 때, 상기 걸쇠 구성부가 상기 제 1 쌍 및 상기 제 2 쌍 중 적어도 하나의 가요성 요소들(230) 사이에 피팅되도록 그리고, 제 2 위치로 회전될 때, 상기 걸쇠 구성부가 상기 일차적인 표면 포메이션의 오리피스 내로 피팅된 상기 걸쇠 구성부의 포스트에 의해서 상기 일차적인 표면 포메이션에 대해서 제위치에서 록킹되도록, 상기 걸쇠 구성부가 구성되는, 구조물과 관련한 구현을 위한 작업 플랫폼 시스템(110).
  44.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걸쇠 구성부가, 상기 일차적인 표면 포메이션에 회전식으로 부착되나 상기 일차적인 표면 포메이션에 대해서 제위치에서 록킹되는 부가적인 걸쇠 구성부를 포함하는, 구조물과 관련한 구현을 위한 작업 플랫폼 시스템(110).
  45.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구조물의 걸쇠 구성부가 상기 패널 구조물들(750) 중의 적어도 개별적인 하나의 패널 구조물(750)의 단부 또는 단부 부분을 추가적으로 지지하는, 구조물과 관련한 구현을 위한 작업 플랫폼 시스템(110).
  46. 삭제
  47. 제 25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커버 섹션을 더 포함하고, 패널 섹션들 중 적어도 하나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커버 섹션에 의해서 적어도 실질적으로 제위치에서 유지되는, 구조물과 관련한 구현을 위한 작업 플랫폼 시스템(110).
  48. 제 47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섹션이 데크 리테이너 클램프에 고정적으로 부착된 데크 리테이너를 포함하는, 구조물과 관련한 구현을 위한 작업 플랫폼 시스템(110).
  49. 제 48 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 리테이너 클램프가:
    지붕 그리고 제 1 및 제 2 측부 벽들을 가지는 메인 외측 쉘로서, 상기 제 1 및 제 2 측부 벽들이, 각각, 상기 지붕의 2 측부들의 각각으로부터 각각 하향 연장하는, 메인 외측 쉘; 및
    상기 2개의 측부 벽들의 각각의 하단부 엣지들에 인접하여 형성된 2개의 상보적인 슬롯들 내로 각각 피팅되는 2개의 이어 연장부들을 포함하는 편평한 내부 압축 구조물을 포함하는, 구조물과 관련한 구현을 위한 작업 플랫폼 시스템(110).
  50.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 리테이너 클램프가 상기 가요성 요소들(230)의 제 1 및 제 2 쌍들 중 적어도 하나를 각각 수용하기 위한 요홈부들을 포함하는, 구조물과 관련한 구현을 위한 작업 플랫폼 시스템(110).
  51.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 리테이너 클램프에, 적어도 간접적으로, 고정되는 격납 브래킷을 더 포함하는, 구조물과 관련한 구현을 위한 작업 플랫폼 시스템(110).
  52. 구조물과 관련하여 작업 플랫폼 시스템(110)을 구현하는 방법이며,
    가요성 요소들(230)의 제 1 쌍 및 가요성 요소들(230)의 제 2 쌍을 제 1 지지부(132) 및 제 2 지지부(134) 각각에 적어도 간접적으로 부착하는 단계;
    상기 가요성 요소들(230)의 제 1 및 제 2 쌍들 상으로 제 1 패널 섹션(765)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가요성 요소들(230)의 제 1 및 제 2 쌍들 상으로 제 2 패널 섹션(791)을 설치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 2 패널 섹션(791)의 설치 단계가, 상기 제 2 패널 섹션(791)의 제 2 측부 엣지(762)를 상기 제 1 패널 섹션(765)의 제 1 측부 엣지(764)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구성부(780) 내로 배치하고 그리고, 제 2 패널(791)이 상기 가요성 요소들(230)의 제 1 및 제 2 쌍들 상에서 지지될 때까지, 상기 제 2 패널 섹션(791)을 회전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제 2 패널 섹션(791)의 설치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현수 구성부가 상기 가요성 요소들(230)의 제 1 및 제 2 쌍들 중 적어도 하나와 관련하여 설치되어야 하는 지의 여부를 결정하고, 그리고 설치되어야 하는 경우에, 적어도 하나의 클램프 구조물을 상기 가요성 요소들(230)의 제 1 및 제 2 쌍들 중 적어도 하나 상으로 설치하고,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현수 구성부를 적어도 하나의 클램프 구조물로 커플링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조물과 관련하여 작업 플랫폼 시스템(110)을 구현하는 방법.
  53. 제 52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 구성부(780)가 핸들 구조물로서 구성되고, 상기 방법이, 상기 핸들 구조물에 의해서, 상기 제 1 패널 섹션(765)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구조물과 관련하여 작업 플랫폼 시스템(110)을 구현하는 방법.
  54. 제 5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지지부(132, 134)들 중 적어도 하나가, 각각, 세장형 구조물 부재, 및 상기 세장형 구조물 부재에 대한 상호연결 구조물의 관절운동을 허용하는 방식으로 상기 세장형 구조물 부재에 연결된 상호연결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부착 단계가 상기 가요성 요소들(230)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상호연결 구조물에 적어도 간접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포함하는, 구조물과 관련하여 작업 플랫폼 시스템(110)을 구현하는 방법.
KR1020137025348A 2013-05-21 2013-05-21 현수된 패널형 부분을 포함하는 작업 플랫폼 시스템 및 그 구현 방법 KR1022243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13/042084 WO2014189498A1 (en) 2013-05-21 2013-05-21 Work platform system including suspended paneled portion and method of implementing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1714A KR20160011714A (ko) 2016-02-02
KR102224339B1 true KR102224339B1 (ko) 2021-03-09

Family

ID=48539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5348A KR102224339B1 (ko) 2013-05-21 2013-05-21 현수된 패널형 부분을 포함하는 작업 플랫폼 시스템 및 그 구현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224339B1 (ko)
WO (1) WO2014189498A1 (ko)
ZA (1) ZA20130587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88589B2 (en) 2013-05-21 2016-07-12 Safway Services, Llc Work platform system including suspended paneled portion and method of implementing same
US9410333B2 (en) 2013-05-21 2016-08-09 Safway Services, Llc Work platform system including suspended paneled portion and method of implementing same
US9976264B2 (en) 2013-05-21 2018-05-22 Safway Services, Llc Work platform system including suspended paneled portion and method of implementing same
CN105648927A (zh) * 2015-12-29 2016-06-08 武汉二航路桥特种工程有限责任公司 通用型拱桥吊杆维修系统及施工方法
CN109242068B (zh) * 2018-09-20 2024-01-30 保利长大工程有限公司 可自动上报位置信息的悬索桥索股牵引系统及监控平台
KR102485687B1 (ko) 2021-01-18 2023-01-05 김수희 건축 플랫폼 지지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11679A1 (en) * 2008-07-16 2010-01-21 Monaco Gary J Multi-purpose tray for inclined or level surfaces
US20110010913A1 (en) * 2004-03-31 2011-01-20 Safway Services, Llc Articulating Work Platform Support System, Work Platform System, and Methods of Use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84761B3 (fr) * 1985-07-11 1987-08-07 Utema Travhydro Sa Passerelle metallique, notamment pour echafaudage
US5911288A (en) * 1996-11-04 1999-06-15 Z.A.F. Contractors, Inc. Bridge painting platform
JP3027130B2 (ja) * 1997-06-30 2000-03-27 ショーボンド建設株式会社 吊り足場の組立構造
JP2008215031A (ja) * 2007-03-07 2008-09-18 Daichi Maintenance Kk 足場の施工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10913A1 (en) * 2004-03-31 2011-01-20 Safway Services, Llc Articulating Work Platform Support System, Work Platform System, and Methods of Use Thereof
US20100011679A1 (en) * 2008-07-16 2010-01-21 Monaco Gary J Multi-purpose tray for inclined or level surfa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89498A1 (en) 2014-11-27
KR20160011714A (ko) 2016-02-02
ZA201305872B (en) 2015-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13546B2 (ja) 吊り下げられたパネル部を含むワークプラットフォームシステム及びワークプラットフォームシステムの実装方法
KR102224339B1 (ko) 현수된 패널형 부분을 포함하는 작업 플랫폼 시스템 및 그 구현 방법
US10883233B2 (en) Work platform system including suspended paneled portion and method of implementing same
US10329781B2 (en) Safety barrier netting system
US10465396B2 (en) Platform with a track for attaching decking
EP2649257B1 (en) Pivoting horizontal and vertical scaffold members and a method of erecting an offset scaffold platform
US9528285B2 (en) Safety barrier netting system with rigid panel net supports and stopper mechanisms
US20130043095A1 (en) Masonry scaffold system with truss level rosettes
CN108350701B (zh) 用于设备塔架的爬梯的安装方法及设备塔架
WO2016141435A1 (en) Beam system and method of erecting a supporting arch
EP2354375A1 (en) A scaffolding system
RU2618814C1 (ru) Решетчатая ферма для защитной от непогоды крыши, а также защитная от непогоды крыша с несколькими решетчатыми фермами
JP6592553B1 (ja) 橋梁構造物における橋梁内部への移動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横移動用梯子
US20080264725A1 (en) Hook-On Scaffold
US20170028232A1 (en) Lifeline device for temporary scaffold and lifeline support device
US20020185335A1 (en) Safety device
WO2014189539A1 (en) Work platform system including suspended paneled portion and method of implementing same
JP6590512B2 (ja) 階段仮設足場
US9410333B2 (en) Work platform system including suspended paneled portion and method of implementing same
KR101162471B1 (ko) 조립식 워킹 타워
US20230323681A1 (en) Support element, support structure and related aspects
RU2307064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онтажа груза с помощью летательного аппарата
AU2014101668A4 (en) Cantilever bracket
AU2007254713A1 (en) Scaffolding System
JP2018035593A (ja) 跳ねだしブラケ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