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3929B1 - 영유아용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영유아용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3929B1
KR102223929B1 KR1020190111423A KR20190111423A KR102223929B1 KR 102223929 B1 KR102223929 B1 KR 102223929B1 KR 1020190111423 A KR1020190111423 A KR 1020190111423A KR 20190111423 A KR20190111423 A KR 20190111423A KR 102223929 B1 KR102223929 B1 KR 1022239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ants
toddlers
user
terminal
stat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1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성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단감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단감소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단감소프트
Priority to KR10201901114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39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3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39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5Evaluating the state of mind, e.g. depression, anxie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sychiatr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syc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유아용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가정 내에서 또는 어린이집, 유치원 등의 기관에서 영유아가 접근하기 쉬운 허브 단말기를 두어 이 허브 단말기로 하여금 영유아의 심리를 분석하기 위한 자료들을 수집하게 하고, 수집된 자료를 기초로 분석된 해당 영유아의 심리 분석 결과에 따라 후속적인 단계들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한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영유아용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fant service}
본 발명은 영유아용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가정 내에서 또는 어린이집, 유치원 등의 기관에서 영유아가 접근하기 쉬운 허브 단말기를 두어 이 허브 단말기로 하여금 영유아의 심리를 분석하기 위한 자료들을 수집하게 하고, 수집된 자료를 기초로 분석된 해당 영유아의 심리 분석 결과에 따라 후속적인 단계들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한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영유아들은 자신의 현재 상태를 타인에게 구체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능력이 아직은 부족하기 때문에 매우 단순화 된 표현 방식으로 자신의 현재 상태를 전달하고자 한다. 이러한 단순화 된 표현 방식은 보호자, 예를 들어 부모나 선생님들로 하여금 영유아가 어떤 상태에 있고 무엇을 요구하는지 빠르게 알 수 있게 하는 데에 있어서는 효과적이지만, 그에 반하여 위 영유아가 현재 어떤 상태인지, 그리고 어떤 니즈를 필요로 하는지를 정확하고 면밀하게 알 수 있게 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만일 영유아의 현재 상태, 특히 심리 상태를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면 보호자들로서는 영유아를 교육시키는 데에 혹은 전반적인 보육에 있어 큰 도움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비즈니스의 측면에서는 영유아의 상태가 구체적으로 분석된 상태에서 해당 영유아에게 현재 필요한 상품 또는 서비스를 곧바로 제공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할 수 있게 될 것이므로 사용자(보호자) 및 사업주 모두의 입장에서 얻을 수 있는 경제적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도출된 것으로, 이상에서 살핀 기술적 문제점을 해소시킬 수 있음은 물론,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발명할 수 없는 추가적인 기술요소들을 제공하기 위해 발명되었다.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10-1765805호 (2017.08.07. 공고)
본 발명은 가정이나 영유아 교육기관 등에 쉽게 설치가 가능한 허브 단말기를 활용하여 영유아를 상대로 심리검사 컨텐츠를 실행하고, 심리검사 컨텐츠에 응답한 영유아의 입력값들을 기초로 심리상태정보를 획득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영유아의 심리상태정보를 기초로 다양한 니즈, 예를 들어 도서추천이나 그 외 심리상담 서비스가 곧바로 연결될 수 있도록 상품 또는 서비스 제공 환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영유아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a) 허브 단말기에서의 심리검사 컨텐츠 실행에 따른 제1사용자의 심리검사 입력값들을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심리검사 입력값들을 기초로 상기 제1사용자에 대한 심리상태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c) 생성된 심리상태정보를 상기 제1사용자에 대응되는 제2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유아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b)단계 이후,생성된 심리상태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사용자용 추천도서를 선별하고 추천도서목록을 생성하는 (b-1)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c)단계는, 상기 (b-1)단계에서 생성된 추천도서목록을 상기 제2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더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영유아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c)단계 이후,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도서선택입력을 수신하는 (d)단계;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유아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b)단계 이후, 생성된 심리상태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사용자용 추천도서를 선별하고 추천도서목록을 생성하는 (b-2)단계; 상기 생성된 추천도서목록을 상기 허브 단말기 상에서 출력하는 (b-3)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b-3)단계 이후, 상기 허브 단말기를 통해 제1사용자로부터 도서선택입력을 수신하는 (b-4)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c)단계는, 상기 (b-4)단계에서 수신한 도서선택입력을 상기 제2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더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영유아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상기 제2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상기 심리상태정보에 대응되는 육아가이드정보를 더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영유아들이 쉽게 접근이 가능한 허브 단말기를 활용함으로써 영유아들의 현재 상태, 더 구체적으로는 심리 상태를 파악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자신의 현재 상태를 정확하게 전달하기 어려운 영유아들의 상태를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심리 상태가 파악된 영유아에 대한 다양한 상품 또는 서비스를 곧바로 제공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영유아의 보호자에게도 현재 상태를 알릴 수 있게 되므로 보호자들이 이를 교육, 보육에 참조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 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유아용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전체 시스템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것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서비스 제공 방법, 그리고 이의 변형된 형태의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서비스 제공 방법, 그리고 이의 변형된 형태의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6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서비스 제공 방법, 그리고 이의 변형된 형태의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9 및 도 10은 영유아가 독서를 마친 후, 위 영유아가 독서를 어떻게 하였는지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기초로 해당 영유아의 독서습관을 분석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거나 이용되지 않아야 할 것이다.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포함한 설명은 다양한 응용을 갖는다는 것이 당연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임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보다 잘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도면에 표시되고 아래에 설명되는 기능 블록들은 가능한 구현의 예들일 뿐이다. 다른 구현들에서는 상세한 설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기능 블록들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기능 블록이 개별 블록들로 표시되지만, 본 발명의 기능 블록들 중 하나 이상은 동일 기능을 실행하는 다양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들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할 뿐이며,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나아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각 실시예들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유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개요를 도시한 것이다. 이에 따를 때에 전체 시스템은 서비스 서버, 허브 단말기, 그리고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서비스 서버는 장치의 측면에서 볼 때 중앙처리유닛(CPU)과 메모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전제로 한다. 중앙처리유닛은 컨트롤러(controller),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마이크로 컴퓨터(microcomputer) 등으로도 불릴 수 있다. 또한 중앙처리유닛은 하드웨어(hardware) 또는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데,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구현하는 경우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또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 DSPD(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 PLD(programmable logic device),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으로, 펌웨어나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구현하는 경우에는 위와 같은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을 포함하도록 펌웨어나 소프트웨어가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플래쉬(flash) 메모리, SRAM(Static RAM),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rive)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는 중앙처리유닛 및 메모리 외에도 외부 단말기 또는 외부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 하기 위한 통신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허브 단말기 역시 상기 서비스 서버와 마찬가지로 중앙처리유닛(CPU) 및 메모리, 그리고 통신장치를 구비하는 하나의 장치로 이해될 수 있으며, 다만 상기 서비스 서버에 비해서는 더 작은 크기의 것으로 가정 내 또는 어린이집, 유치원 등의 교육기관 내에 쉽게 구비될 수 있는 장치로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허브 단말기는 설치 공간 내에 존재하는 다른 장치들과도 무선통신을 통해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으며, 이러한 네트워크 연결을 통하여 다른 장치들로부터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거나 또는 반대로 다른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허브 단말기는 다양한 출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소리 및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 시각적 컨텐츠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허브 단말기는 또한 외부로부터의 음성을 인식한 뒤 이를 컴퓨터가 인식 가능한 명령어로 변환하는 음성 인식 기능을 구비할 수 있으며, 또한 터치 입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허브 단말기는 서비스 서버와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의 모바일 단말기, 바람직하게는 보호자의 모바일 단말기와도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허브 단말기가 외부의 단말기와 연결되는 네트워크의 종류에는 셀룰러 전화 네트워크, 무선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LAN) 및/또는 대도시 통신망(metropolitan area network; MAN)이 이용될 수 있으며,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HSDPA(high-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speed uplink packet access), EVDO(Evolution, Data-Only), HSPA, HSPA+, DC-HSPDA(Dual-Cell HSPA), LTE(long term evoluti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블루투스(Bluetooth), Wi-Fi(Wireless Fidelity)(예컨대, IEEE 802.11a, IEEE 802.11b, IEEE 802.11g 및/또는 IEEE 802.11n),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Wi-MAX, 이메일용 프로토콜(예컨대, IMAP(Internet message access protocol) 및/또는 POP(post office protocol)), 인스턴트 메시징(예컨대, XMPP(extensible messaging and presence protocol), SIMPLE(Session Initiation Protocol for Instant Messaging and Presence Leveraging Extensions), IMPS(Instant Messaging and Presence Service)), 및/또는 SMS(Short Message Service), 또는 본 문헌의 출원일 현재 아직 개발되지 않은 통신 프로토콜을 포함한 임의의 다른 적합한 통신 프로토콜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 복수의 통신 표준, 프로토콜 및 기술 중 임의의 것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모바일 단말기는 임의의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또는 소유하고 있는 단말기들을 통칭하는 것으로 이해되며, 여기에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PC, 랩탑 컴퓨터 등과 같이 연산을 위한 중앙처리유닛(CPU)와 메모리를 구비하고 있는 장치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외부의 다른 구성들, 즉 서비스 서버 또는 허브 단말기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네트워크 연결 기능도 갖출 수 있음을 이해한다. 더불어, 본 실시예에서 언급되는 단말기는 기본적으로 휴대가 가능한 단말기들을 가리키는 것이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님을 이해한다.
한편, 서비스 서버를 기능적인 측면에서 볼 때, 상기 서비스 서버는 영유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명령어들을 컴퓨터-판독 가능한 매체에 저장하거나 또는 이러한 명령어들을 사용자들의 허브 단말기로 전송시키는 기능을 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서비스 서버의 운영 주체는 바람직하게는 영유아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주가 될 것이다. 상기 서비스 서버의 운영 방식은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전체 시스템을 어떻게 구현하는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시스템 모델에는 서비스 서버가 허브 단말기로부터 일련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분석한 후 분석 결과를 허브 단말기로 되돌려 주는 방식의 시스템 모델, 또는 서비스 서버는 허브 단말기로 영유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제공(업데이트 포함)하고, 허브 단말기로 하여금 직접 제공된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데이터 분석을 수행토록 하는 시스템 모델 등이 존재할 수 있다.
또한, 허브 단말기를 기능적인 측면에서 볼 때, 허브 단말기는 접근해 온 영유아를 대상으로 심리검사 컨텐츠를 실행할 수 있으며, 상기 영유아의 입력을 서비스 서버로 전달하거나 또는 허브 단말기가 자체적으로 심리상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기는 바람직하게는 보호자의 단말기 일 수 있으며,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위 서비스 서버로부터, 또는 위 허브 단말기로부터 영유아의 심리상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서비스 서버, 허브 단말기,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 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영유아 서비스 제공 방법이 어떤 순서대로 실행되는지에 대해서는 이어지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이 제안하고자 하는 영유아 서비스 제공 방법의 기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도 2로부터 변형이 된 형태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2부터 살펴볼 때, 영유아 서비스 제공 방법은 가장 먼저 허브 단말기에서 영유아용 심리검사 컨텐츠를 실행시키기 위한 트리거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데, 본 상세한 설명에서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서를 추천해 달라는 요청을 수신하는 것(S101)으로 예슬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상기 허브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는 "재미있는 책을 추천해 주세요"와 같은 문구가 기재된, 또는 책 그림이 포함된 아이콘이 표시될 수 있으며, 영유아들로 하여금 호기심에 이를 클릭할 수 있도록 또 다른 애니메이션 효과가 가미될 수 있다. 영유아가 상기 아이콘을 클릭하는 경우, 허브 단말기는 이를 심리검사 컨텐츠를 실행시키기 위한 입력으로 받아들일 수 있으며, 클릭과 동시에 영유아용 심리검사 컨텐츠가 실행될 수 있다. (S102) 심리검사란, 한 개인의 지능이나 성격 등을 측정하여 그 개인에 대해 보다 심층적이고 분석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수검자에게 수행되는 일련의 심리학적 측정 절차를 일컬으며, 심리검사 컨텐츠란 위와 같은 심리검사를 수행하기 위해 마련된 소프트웨어로 이해될 수 있다. 심리검사 컨텐츠 내에는 복수 개의 문항들이 텍스트, 동영상, 스틸 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허브 단말기의 스피커, 디스플레이 등을 통해 제공될 수 있으며, 허브 단말기에 접근해 있는 영유아는 위 문항들을 이해한 후 대답을 음성으로 함으로써, 또는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 여러 답안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을 함으로써 각 문항에 대한 입력을 할 수 있다. 즉, 허브 단말기는 심리검사 컨텐츠를 실행한 후 영유아로부터 각 문항에 대한 입력값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이 때, 상기 심리검사 컨텐츠는 영유아들이 이해하기에 다소 어려운 문항들이 포함될 수도 있기 때문에, 주변의 보호자가 상기 문항들을 영유아에게 설명해 준 후 영유아로 하여금 입력을 하게 하거나 또는 보호자가 영유아를 대신하여 각 문항에 대한 입력값을 입력할 수도 있다.
S102단계 이후, 상기 허브 단말기는 앞서 영유아로부터 수신한 입력값들을 서비스 서버측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S103), 서비스 서버는 위 입력값들을 기초로 해당 영유아의 심리상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심리상태정보란, 상기 입력값들을 기초로 일련의 심리검사방법론에 따라 상기 영유아가 어떤 심리상태인지 분석한 결과가 포함된 데이터로 이해될 수 있다. 심리검사방법론은 다양한 것들이 이미 공지되어 활용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심리상태정보가 생성되는 과정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는 미리 정의되어 있는 알고리즘에 의해 상기 심리상태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또는 전문가에게 위 입력값들에 대한 의견을 입력받아 상기 전문가의 의견을 기초로 심리상태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렇게 생성된 심리상태정보는 모바일 단말기, 즉 앞서의 허브 단말기와는 구별되는 별도의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S105)될 수 있는데, 이 때 모바일 단말기는 바람직하게는 보호자의 단말기, 즉 해당 영유아의 부모가 소지하고 있는 단말기 이거나 또는 교육기관의 선생님이 소지하고 있는 단말기일 수 있다. 심리상태정보는 굳이 영유아에게 직접 표시가 될 필요가 없으며 오히려 피검사자인 영유아가 직접 심리상태정보를 수신 및 확인하는 것보다는 이를 곧바로 보호자 단말기로 전달함으로써 보호자가 직접 대응을 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서비스 서버는 심리상태정보를 전송할 때에 육아가이드정보를 함께 더 전송(S106)할 수도 있다. 즉, 영유아에 대한 심리상태가 파악이 되었다면, 이러한 심리상태를 가진 영유아에게 어떤 식의 보육 방법이 효율적인지, 또는 어떤 상품이나 서비스가 영유아에게 필요한지 등을 안내할 필요가 있는데, 서비스 서버 내에는 각각의 심리상태정보에 매칭되어 저장된 육아가이드정보를 탐색해 내어 이를 상기 심리상태정보 전송 시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와 유사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데, 다만 도 3의 실시예에서는 서비스 서버에서 수행되던 단계들이 허브 단말기에서 대부분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도 3을 참조할 때, 허브 단말기는 도서추천요청을 수신(S101-1) 및 심리검사 컨텐츠 실행(S102-1) 후, 입력값들을 서비스 서버 측으로 전송하지 않고, 자체적으로 해당 입력값들을 기준으로 심리상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S104-1) 허브 단말기에는 이미 사전에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다운로드)한 명령어 및 알고리즘, 다시 말해 심리상태정보를 생성하는 데에 필요한 소프트웨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굳이 입력값들을 서비스 서버에 전달하지 않고도 자체적으로 심리상태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곧바로 보호자 단말기, 즉 모바일 단말기로 전달(S105-1)할 수 있다. 이 때 육아가이드정보도 함께 전송될 수 있는데, 육아가이드정보 역시 사전에 허브 단말기가 서비스 서버로부터 수신(다운로드)한 것일 수 있다. 한편, 도 3의 실시예에서 서비스 서버는 상기 허브 단말기에서 설치 가능한 소프트웨어를 전송하고, 또한 주기적으로 또는 필요한 시점에 상기 소프트웨어(명령어, 알고리즘)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데이터를 전송(S107)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 및 도 5는 앞서의 실시예를 조금 더 구체화 한 제2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앞서의 실시예 설명에서와 마찬가지로, 도 4는 서비스 서버가 심리상태정보를 직접 생성하고 이를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형태, 도 5는 허브 단말기가 자체적으로 심리상태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형태의 것이다.
먼저 도 4를 참조할 때, S201단계 내지 S204단계까지는 모두 도 2의 것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며, S205단계에서부터 살펴본다. S205단계는 서비스 서버가 앞서 생성한 심리상태정보를 기반으로 어떤 상품이나 서비스를 추천 또는 제공하는 단계에 해당하며, 본 발명에서는 특히 심리상태정보를 기반으로 도서를 추천하는 서비스를 예시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S205단계는 심리상태정보를 기초로 추천도서목록을 생성하는 단계이며, 해당 단계는 서비스 서버 내에 사전에 저장되어 있는 또 다른 알고리즘, 즉 심리상태정보에 따라 어떤 책을 추천할지에 대한 알고리즘에 따라 목록이 생성되는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서비스 서버는 사전에 도서목록들을 저장해 둘 수 있으며, 주기적으로 갱신을 할 수 있다. 또는, 서비스 서버는 타 주체에 의해 관리되는 도서목록을 참조하여 위 S205단계를 수행할 수 있으며, 도서목록의 갱신 역시 타 주체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S205단계에서 추천도서목록이 생성된 이후, 서비스 서버는 앞서 생성된 심리상태정보를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으며(S206), 또한 추천도서목록도 함께 전송(S207) 함으로써 보호자로 하여금 영유아의 심리상태를 알 수 있게 할 수 있으며, 나아가 현재 영유아에게 필요한 도서가 무엇인지를 알릴 수도 있다.
한편, 추천도서목록을 수신한 보호자는 목록 중 임의의 도서를 선택할 수 있으며, 그 선택 입력은 서비스 서버 측으로 전송된다. (S208) 임의의 도서가 선택된 경우, 서비스 서버는 선택된 도서에 대하여 결제요청을 모바일 단말기 측으로 할 수 있으며(S209), 모바일 단말기에서는 서비스 서버를 통하여 결제를 하고(S210), 결제 후 서비스 서버는 선택된 도서를 허브 단말기 쪽으로 전송(S211)함으로써 영유아가 바로 독서를 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 때, S211단계는 서비스 서버가 허브 단말기로 선택된 도서를 전송하는 단계인데, 전송되는 도서는 e-북 형태의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S211단계 대신 서비스 서버는 결제가 완료된 도서에 대하여 배송주문을 자동으로 생성할 수도 있으며, 오프라인 상에서 위 도서가 배송되게 구현할 수도 있다.
도 5는 허브 단말기가 심리상태정보를 직접 생성하고, 심리상태정보를 서비스 서버, 그리고 모바일 단말기 쪽으로 전송하는 점에서 앞선 도 4의 실시예와 일부 차이가 있다. 즉, 도 5의 실시예는 도서추천요청 수신(S201-1), 심리검사 컨텐츠 실행(S202-1), 심리상태정보 생성(S204-1), 및 심리상태정보 전송(S204-2, S204-3)단계까지를 모두 허브 단말기가 실시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한편, 심리상태정보가 전송된 이후에 추천도서목록을 생성하거나, 모바일 단말기로 추천도서목록을 전송하고, 도서선택 입력을 받아 결제 후 해당 도서를 전송하는 것은 앞선 도 4에서의 단계들과 동일하게 서비스 서버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이 단계들에 대해서는 전술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4 및 도 5는 기본적으로 보호자에게 추천도서목록을 제공하고, 보호자가 직접 어떤 도서가 영유아에게 적합할지를 선택하는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도서의 선택 주체가 보호자인 경우를 상정한 것이다. 이에 반하여, 도 6 및 도 7은 추천도서목록을 허브 단말기로 제공함으로써 영유아로 하여금 직접 읽고자 하는 도서를 선택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을 참조할 때, 허브 단말기는 도서추천요청을 수신하는 단계(S301), 심리검사 컨텐츠를 실행하는 단계(S302), 심리검사 입력값을 전송하는 단계(S303)을 수행하며, 이후 서비스 서버는 심리상태정보를 생성(S304)하고 추천도서목록을 생성(S305)한다. 한편, 생성된 추천도서목록을 보호자, 즉 모바일 단말기가 아니라 영유아가 접근해 있는 허브 단말기로 전송되며, 이를 통하여 심리검사를 막 마친 영유아로서는 곧바로 추천도서목록을 확인한 뒤 자신이 읽고자 하는 도서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S307, S308) 한편, 영유아에 의해 도서가 선택된 후, 서비스 서버는 앞서 생성한 심리상태정보를 보호자의 단말기인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S309)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선택된 도서에 대한 결제요청도 함께 전송(S310)할 수 있다. 이 후 모바일 단말기가 서비스 서버를 통하여 결제(S311)를 하면, 서비스 서버는 선택된 도서를 허브 단말기에 전송(S312)함으로써 위 영유아가 도서를 곧바로 읽을 수 있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7은 허브 단말기가 도서추천요청 수신(S301-1), 심리검사 컨텐츠 실행(S302-1), 심리상태정보 생성(S304-1), 심리상태정보 전송(S304-2, S304-3)과정을 직접 수행하는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도 6의 실시예와 비교할 때, 허브 단말기는 자체적으로 생성한 심리상태정보를 직접 모바일 단말기 측으로 전송하는 점, 서비스 서버는 추천도서목록만 생성한 뒤 이를 모바일 단말기에 전송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영유아 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실시예는 가정 내 또는 교육기관 내 구비된 허브 단말기가 주변 영유아의 상태를 직접 감지한 후 어떤 이상, 즉 이벤트가 감지되면 이를 서비스 서버 및 모바일 단말기 측으로 알리는 서비스에 관한 것이다.
살펴볼 때, 허브 단말기는 최초에 관찰모드로 실행될 수 있다. (S401) 관찰모드란, 주변의 상황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상태에 놓여 있는 것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허브 단말기에 구비된 마이크, 카메라, 그 외 각종 센서 등을 이용하여 허브 단말기 주변에 존재하는 영유아들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허브 단말기 주변에서 어린이의 울음소리가 1분 이상 지속되는 경우, 허브 단말기 주변에서 화염상황(복수의 상황에 대한 이미지 또는 영상은 기 저장되어 있어서 레퍼런스로 활용될 수 있음)에 대응되는 이미지 또는 영상이 촬영된 경우 등은 하나의 이벤트로 감지(S402)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이벤트 감지 후 허브 단말기는 감지된 정보를 서비스 서버 및 모바일 단말기 측으로 전송할 수 있다. (S403)
한편, 감지정보를 수신한 서비스 서버는 기 정의되어 있는 대응 프로토콜을 실행(S404)할 수 있는데, 여기에는 예를 들어 유관기관(경찰서, 소방서 등)에 감지정보를 전달함으로써 위험상황을 알리는 것, 기 등록되어 있는 전화번호로 감지정보가 포함된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감지정보를 수신한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허브 단말기 측으로 제어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S405) 예를 들어, 부모가 가정 내 구비된 허브 단말기로부터 아이의 울음소리가 포함된 감지정보를 수신하였다면, 부모는 모바일 단말기를 조작하여 허브 단말기에서 미리 저장된 영상, 부모의 목소리, 또는 실시간 영상 및 음성이 재생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9는 영유아가 제공된 도서에 대한 독서를 마친 후, 위 영유아가 독서를 어떻게 하였는지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기초로 해당 영유아의 독서습관을 분석하는 과정, 그리고 분석된 독서습관 정보를 보호자에게 전송하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9에 따른 실시예는 가장 먼저 허브 단말기가 영유아가 독서를 한 후 그 독서 행위와 관련된 모니터링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07)로부터 시작될 수 있다. 모니터링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에는 다양한 것들이 존재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터치 입력을 통해 획득하는 방법, 관찰카메라의 촬영을 통해 획득하는 방법, 또는 독서퀴즈 응답을 통해 획득하는 방법을 예로 들 수 있다.
터치 입력을 통해 획득하는 방법은, 앞서 영유아 또는 보호자에 의해 선택된 도서가 특히 상기 허브 단말기에 연결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되었을 때 가능할 수 있는 것으로, 이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정보에는 예를 들어 영유아가 도서의 모든 페이지를 읽음(이 때 페이지 넘김 버튼을 눌러가면서 도서를 읽는 것을 전제로 함)으로써 완독을 하였는지, 몇 페이지까지 넘김 버튼을 누르면서 읽고 중단을 하였는지, 몇 페이지까지 읽고 종료 버튼을 눌렀는지, 한 페이지를 읽는데 평균적으로 몇 초의 시간이 소요되었는지 등 영유아가 독서를 하면서 하게 되는 터치 입력을 기초로 획득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들이 포함될 수 있다.
관찰카메라의 촬영을 통해 획득하는 방법은, 허브 단말기에 연결된 관찰카메라, 예를 들어 허브 단말기의 전면에 구비된 화상카메라, 또는 가정 내에 설치된 영유아용 CCTV 등을 통하여 해당 영유아가 독서하는 모습을 그대로 촬영하는 방법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독서퀴즈 응답을 통해 획득하는 방법은, 허브 단말기가 상기 영유아의 독서가 종료되었음을 인지하였을 때 스피커를 통해, 또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도서에 대한 간단한 퀴즈를 출력하고 이에 대한 영유아의 응답을 수신함으로써 획득하는 방법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독서퀴즈의 예로는, 주인공이 누구인지를 묻는 질문, 주인공이 어떤 행동을 하였는지를 묻는 질문, 내용의 배경을 묻는 질문 등과 같이 독서를 한 영유아라면 쉽게 답할 수 있는 수준의 질문들이 포함될 수 있으며, 나아가 위의 질문들에서 더 나아가 작가가 주인공의 행위를 통하여 독자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 현재까지 읽은 내용으로부터 다음에 이어질 내용의 추론 등과 같이 고차원의 질문들도 제공될 수 있다.
한편, 허브 단말기가 영유아의 독서 후 모니터링 정보를 획득한 후에는 이 모니터링 정보를 서비스 서버 측으로 전송함으로써 서비스 서버로 하여금 해당 영유아의 독서이력을 저장하게 함(S109)과 동시에 해당 영유아의 독서습관을 분석(S110)할 수 있게 한다. 독서습관 분석(S100)단계와 관련하여, 서비스 서버는 상기 모니터링 정보를 기 정해진 전문가 개인 또는 전문가 집단에 공유함으로써 해당 영유아에 대한 독서습관 정보를 회신 받을 수 있으며, 또는 서비스 서버 내에 자체적으로 저장되어 있는 알고리즘, 즉 독서습관 분석을 위한 알고리즘을 통하여서도 이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영유아에 대한 독서습관이 분석된 이후에는 서비스 서버가 보호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독서습관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111)
도 10은 앞서 설명한 도 9와 상당부분 유사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며, 다만 도 10에서는 허브 단말기가 서비스 서버를 대신하여 직접 독서습관을 분석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독서습관 정보도 직접 보호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0을 참조할 때, 허브 단말기는 모니터링 정보를 획득(S107-1)한 이후, 획득한 모니터링 정보를 기초로 직접 독서습관을 분석(S108-1)하게 되며, 이 때 S108-1단계는 사전에 서비스 서버로부터 제공받아 저장해 두고 있던 알고리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허브 단말기는 모니터링 정보를 서비스 서버 측에 제공하여 해당 영유아의 독서이력을 저장하게 할 수 있으며 (S110-1), 또한 허브 단말기는 앞서의 분석 결과, 다시 말해 독서습관 정보를 직접 보호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S111-1) 한편, 서비스 서버는 정해진 주기에 따라 또는 필요한 시점에 명령어 업데이트용 데이터를 허브 단말기에 제공(다운로드)함으로써 상기 허브 단말기에서의 독서습관 분석용 알고리즘을 업데이트시킬 수 있다. (S112-1)
이상 영유아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에 대해 살펴보았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구별되어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서비스 서버
200 허브 단말기
300 모바일 단말기

Claims (6)

  1. 영유아용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a2) 허브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제1사용자인 영유아의 심리검사 컨텐츠를 실행시키기 위한 트리거 입력 수단으로서 애니메이션을 포함하는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
    (-a1) 상기 허브 단말기에서 상기 제1사용자인 영유아에 의해 상기 아이콘이 선택되면 상기 심리검사 컨텐츠를 실행시키는 단계;
    (a) 상기 허브 단말기에서의 상기 심리검사 컨텐츠 실행에 따른 제1사용자인 영유아의 심리검사 입력값들을 수신하는 단계;
    (b) 서비스 서버가 상기 심리검사 입력값들을 기초로 상기 제1사용자인 영유아에 대한 심리상태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c)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생성된 상기 심리상태정보를 상기 제1사용자인 영유아의 보호자로 지정되어 있는 제2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a)단계의 심리검사 컨텐츠 실행에 따른 영유아의 심리검사 입력은,
    상기 허브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여러 답안들 중 하나를 영유아가 직접 선택하는 것에 의하고,
    상기 (c)단계에서 제2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에 대한 전송은,
    상기 심리상태정보와 함께 심리상태정보에 대응되는 육아가이드정보를 더 포함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용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 이후,
    생성된 심리상태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사용자용 추천도서를 선별하고 추천도서목록을 생성하는 (b-1)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c)단계는, 상기 (b-1)단계에서 생성된 추천도서목록을 상기 제2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더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용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 이후,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도서선택입력을 수신하는 (d)단계;
    를 더 포함하는,
    영유아용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 이후,
    생성된 심리상태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사용자용 추천도서를 선별하고 추천도서목록을 생성하는 (b-2)단계;
    상기 생성된 추천도서목록을 상기 허브 단말기 상에서 출력하는 (b-3)단계;
    를 더 포함하는,
    영유아용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b-3)단계 이후,
    상기 허브 단말기를 통해 제1사용자로부터 도서선택입력을 수신하는 (b-4)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c)단계는, 상기 (b-4)단계에서 수신한 도서선택입력을 상기 제2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로 더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유아용 서비스 제공 방법.
  6. 삭제
KR1020190111423A 2019-09-09 2019-09-09 영유아용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2239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1423A KR102223929B1 (ko) 2019-09-09 2019-09-09 영유아용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1423A KR102223929B1 (ko) 2019-09-09 2019-09-09 영유아용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3929B1 true KR102223929B1 (ko) 2021-03-08

Family

ID=751847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1423A KR102223929B1 (ko) 2019-09-09 2019-09-09 영유아용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392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5647A (ko) * 2001-01-13 2001-04-06 황경수 심리검사를 활용한 고객 맞춤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40004024A (ko) * 2012-07-02 2014-01-10 주식회사 아이북랜드 사용자 맞춤형 도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32645A (ko) * 2015-05-11 2016-11-21 정영진 심리치료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KR20170056249A (ko) * 2015-11-13 2017-05-23 일산이엔지 주식회사 심리 치료 제공을 위한 컴퓨터 장치 및 프로그램
KR20170075324A (ko) * 2015-12-23 2017-07-03 정병규 개인 생활 패턴 정보 기반의 심리 진단을 통한 심리 치유 콘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1765805B1 (ko) 2015-11-09 2017-08-07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아 감정상태 분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심리상태 분석 시스템과 스마트폰 연동 앱 개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5647A (ko) * 2001-01-13 2001-04-06 황경수 심리검사를 활용한 고객 맞춤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20140004024A (ko) * 2012-07-02 2014-01-10 주식회사 아이북랜드 사용자 맞춤형 도서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32645A (ko) * 2015-05-11 2016-11-21 정영진 심리치료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KR101765805B1 (ko) 2015-11-09 2017-08-07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아 감정상태 분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심리상태 분석 시스템과 스마트폰 연동 앱 개발
KR20170056249A (ko) * 2015-11-13 2017-05-23 일산이엔지 주식회사 심리 치료 제공을 위한 컴퓨터 장치 및 프로그램
KR20170075324A (ko) * 2015-12-23 2017-07-03 정병규 개인 생활 패턴 정보 기반의 심리 진단을 통한 심리 치유 콘텐츠 서비스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ook et al. Virtual home visit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Social workers’ perspectives
KR102039848B1 (ko) 기억과 의사 결정력 향상을 위한, 개인 감정-기반의 인지 보조 시스템, 개인 감정-기반의 인지 보조 제공 방법 및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CN102598084B (zh) 远程通信系统和方法
CN110781408B (zh) 信息显示方法和装置
US10996831B2 (en) Augmented reality cursors
KR20190022567A (ko) 이미지 출력 방법 및 장치
KR20140053426A (ko) 3차원 심리검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서버
US20170208022A1 (en) Chat system
CN108881979B (zh) 信息处理方法、装置、移动终端及存储介质
CN109804407B (zh) 关心维持系统以及服务器
KR102223929B1 (ko) 영유아용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 방법
CN111309937A (zh) 一种用于发布会话消息的方法与设备
Hiniker et al. Anchored audio sampling: A seamless method for exploring children's thoughts during deployment studies
KR20210075023A (ko) 교육정보 공유 및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와 시스템
JP6614457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Realinho et al. Testing the usability of a platform for rapid development of mobile context-aware applications
KR101912554B1 (ko) 동화 창작 및 공유 시스템
US20170365013A1 (en)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social network service with click
Park et al. " Nobody's Happy": Design Insights from {Privacy-Conscious} Smart Home Power Users on Enhancing Data Transparency, Visibility, and Control
KR20170143429A (ko) 한번의 클릭으로 sns를 제공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및 방법
KR101557727B1 (ko) 단말 장치 및 그의 배경화면 변경 시스템
JP6081894B2 (ja) 通信端末、管理サーバ、メッセージ交換システム、メッセージ交換方法及びメッセージ交換プログラム
KR20150106565A (ko)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 프레즌스 정보를 이용한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장치
CN111066310A (zh) 自动出站即时消息
EP3865980B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