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6565A -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 프레즌스 정보를 이용한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 프레즌스 정보를 이용한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6565A
KR20150106565A KR1020140028778A KR20140028778A KR20150106565A KR 20150106565 A KR20150106565 A KR 20150106565A KR 1020140028778 A KR1020140028778 A KR 1020140028778A KR 20140028778 A KR20140028778 A KR 20140028778A KR 20150106565 A KR20150106565 A KR 201501065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ence information
user
conversation
information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8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하
오길훈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8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06565A/ko
Publication of KR20150106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65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 시스템에서 프레즌스 정보를 이용한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단말 장치에서 메신저 서비스를 실행하고, 메신저를 통해 대화를 수행하기 위해 선택된 대화 상대의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프레즌스 정보 리스트를 출력하고, 생성된 프레즌스 정보 리스트를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대화 내용에 프레즌스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확인한 후 프레즌스 정보가 입력되면, 프레즌스 정보에 따른 UI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대화 상대에 대한 프레즌스 정보 들을 알림에 따라 상대와 대화를 할 수 없는 상대를 메신저를 통해 파악할 수 있으므로 상대방의 업무 또는 취미 시간을 저해하는 것을 방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 프레즌스 정보를 이용한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장치{MESSENGER SERVICE SYSTEM, FROM THE SYSTEM VIA AN INSTENT MESSAGE PRESENCE SERVICE METHOD AND APPARATUS}
본 발명은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 프레즌스 정보를 이용한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폰의 다양한 앱과 연계하여 앱을 통해 재생하는 음악, 영화, 동영상 등을 이용하는 현재의 상태를 상대방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 프레즌스 정보를 이용한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최근 정보통신 기술과 반도체 기술 등의 눈부신 발전에 힘입어 휴대 단말기의 보급과 이용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특히, 최근의 휴대 단말기는 성능 향상을 통해서, 각자의 전통적인 고유 영역에 머무르지 않고 다른 단말기들의 영역까지 아우르는 모바일 융/복합(mobile convergence) 단계에 이르고 있다.
대표적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는 음성통화나 메시지 송수신과 같은 일반적인 통신 기능 이외에도 TV 시청 기능(예컨대,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나 DVB(Digital Video Broadcasting)와 같은 이동 방송), 음악 재생 기능(예컨대, MP3(MPEG Audio Layer-3), 사진 촬영 기능, 인터넷 접속 기능 등 다양한 기능들이 부가되고 있다.
더하여, 최근의 이동 통신 단말기는 개방형 OS를 기반으로 다양한 사용자 기능을 사용자가 임의로 설치할 수 있는 스마트폰의 형태로 발전하면서 다양한 편리성과 오락성을 제공하고 있으며, 오픈 마켓의 활성화로 고객이 원하는 다양한 기능의 어플리케이션을 쉽게 얻을 수 있도록 지원하고, 고성능화로 PC에서 처리하는 많은 기능을 처리할 수 있다.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보편적으로 이용하는 서비스로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MS), 인스턴트 메신저 혹은 모바일 메신저 등의 메신저 서비스와 같이 다른 사용자가 메시지를 교환할 수 있는 메시지 서비스가 있다. 이러한 메시지 서비스는, 통화 서비스에 비하여 비용이 저렴하고 직접 통화보다 간단하게 자신의 의도나 메시지를 상대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이용도가 매우 높으며, 최근에는 별개로 서비스되던, 다양한 방식의 메시지 서비스를 하나로 통합하며, 파일 전송, 콘텐트 공유 등과 같은 다양한 부가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통합 메시지 서비스 형태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메신저 서비스는 인터넷 상에서 특정 사용자와 서로 대화(채팅)을 할 수 있는 서비스로서, 문자 및 각종 파일을 실시간으로 송수신할 수 있으며, 그룹 대화도 가능하다. 이러한 메신저 서비스는 웹 스토어 등에서 간단하게 메신저 프로그램을 다운받아 설치하고, 메신저 프로그램을 설치한 사용자끼리 인터넷이 가능하면 언제 어디서든지 실시간 대화가 가능함에 따라 최근 급속도로 보급 및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메신저 서비스는 인터넷을 통해 대화를 수행하므로 다양한 연령층, 친분이 없는 사용자 및 국내뿐만 아니라 국외에 있는 사용자들과도 직접 대면하지 않고도 간단한 방법으로 대화를 수행할 수 있다. 때문에 사용자는 이러한 메신저 서비스를 통해 대화의 수행 시 상대방 상태가 어떠한 한 상태, 즉 웹 서핑, 음악 청취, 영화/동영상 시청, 게임 등에 의해 메신저의 사용 여/부를 미리 파악할 수 없어 상대방의 업무 또는 취미를 방해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1-0081134호, 2001년 8월 29일 공개(명칭: 인터넷 상에서 경주 게임 생성 및 실행방법)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단말 장치에서 메신저를 통해 대화를 수행하되, 대화 상대의 프레즌스 정보를 취득하고, 이를 기반으로 메신저의 친구 목록 리스트에 프레즌스 정보를 출력하여 이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 프레즌스 정보를 이용한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단말장치에서 메신저를 통해 대화를 수행하되, 서비스장치로부터 대화 상대의 프레즌스 정보를 취득하고, 이를 기반으로 메신저의 친구 목록 리스트에 프레즌스 정보를 출력하여 이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 프레즌스 정보를 이용한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더하여, 본 발명은 종래의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서비스 장치에서 메신저 친구 목록에 있는 대화 상대의 프레즌스 정보를 취득하고, 이를 기반으로 메신저의 친구 목록 리스트에 프레즌스 정보를 출력하여 이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 프레즌스 정보를 이용한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는, 통신망을 통해 서비스 장치와 연동하여 메신저 서비스를 위한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통신부와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메신저 서비스를 실행하고, 메신저를 통해 대화를 수행하기 위한 대화 상대를 선택하고, 선택된 대화 상대의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프레즌스 정보 리스트를 출력하고, 프레즌스 정보 리스트를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대화 내용에 UI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프레즌스 정보 리스트 및 확인 결과에 따라 프레즌스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부터 입력된 대화 내용, 프레즌스 정보 데이터베이스, 프레즌스 정보 리스트, 사용자 정보 및 상기 대화 상대의 단말 장치와 송수신한 대화 메시지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프레즌스 정보 리스트를 대화를 수행할 화면의 일 영역에 표시 또는 상기 프레즌스 정보 리스트에 포함된 UI들을 우선 순위에 따라 음성으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선택된 대화 상대의 사용자 정보를 대응하는 기 저장된 프레즌스 정보 들을 독출하고, 독출된 프레즌스 정보 들을 포함한 프레즌스 정보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선택된 대화 상대의 사용자 정보에 포함된 CPU 점유율, 시스템 정보, 오디오 장치 사용 여부, 이어폰 사용 여부, 멀티미디어 앱 재생 여부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대화 상대의 프레즌스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 정보에 상응하는 기 저장된 UI을 독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독출 된 프레즌스 정보들 중 여러 항목에서 중복되는 프레즌스 정보에 가중치를 부여하고, 가중치가 부여된 프레즌스 정보를 프레즌스 정보 리스트에 우선적으로 포함시키고, 프레즌스 정보 리스트를 출력 시 가중치가 부여된 프레즌스 정보를 우선적으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선택된 대화 상대의 사용자 정보를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고, 서비스 장치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프레즌스 정보 리스트를 수신하여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일정 주기 또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추가 프레즌스 정보 및 대화 상대로부터 등록된 프레즌스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서비스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대화 상대 목록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대화 상대에 대한 프레즌스 정보를 입력 받고, 입력된 프레즌스 정보를 해당 항목에 매핑하여 프레즌스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대화를 수행할 화면의 일 영역에 프레즌스 정보 리스트에 따른 UI 표시 영역을 구성하고, 구성된 상기 UI 표시 영역에서 특정 입력 신호가 감지되면, UI 상세 보기 화면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는, 통신망을 통해 둘 이상의 단말 장치와 연동하여 메신저 서비스를 위한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통신부와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특정 단말 장치로부터 프레즌스 정보 리스트를 요청 받으면, 특정 단말 장치에서 선택된 대화 상대의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대화 상대의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프레즌스 정보 리스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프레즌스 정보 리스트를 특정 단말 장치로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메신저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신저 서비스 제공부는, 대화 상대의 사용자 정보에 포함된 CPU 점유율, 시스템 정보, 오디오 장치 사용 여부, 이어폰 사용 여부, 멀티미디어 앱 재생 여부를 포함하는 프로파일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정보들에 상응하는 프레즌스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프레즌스 정보 들을 사용자 정보의 항목에 따라 분류 및 필터링하여 유효한 프레즌스 정보 들을 생성한 후, 생성된 프레즌스 정보들을 포함하여 프레즌스 정보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신저 서비스 제공부는, 추가 프레즌스 정보 및 대화 상대로부터 등록된 프레즌스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주기적 또는 요청에 따라 단말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은, 메신저 서비스를 실행하고, 메신저를 통해 대화를 수행하기 위한 대화 상대를 선택하고, 선택된 대화 상대의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프레즌스 정보 리스트를 출력하고, 프레즌스 정보 리스트를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대화 내용에 프레즌스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따라 프레즌스 정보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말 장치; 및 단말 장치와 통신망을 통해 연동하여, 단말 장치로부터 메신저를 통해 대화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대화 메시지를 대화 상대의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서비스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에서의 프레즌스 정보를 이용한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 방법은, 메신저 서비스를 실행하여 메신저를 통해 대화할 대화 상대를 선택하는 단계; 선택된 대화 상대의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확인된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프레즌스 정보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프레즌스 정보 리스트를 출력하는 단계; 프레즌스 정보 리스트를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대화 내용에 프레즌스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입력된 대화 내용에 프레즌스 정보가 포함된 경우, 프레즌스 정보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에서의 프레즌스 정보를 이용한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 방법은, 메신저 서비스를 실행하여 메신저를 통해 대화할 대화 상대를 선택하는 단계; 선택된 대화 상대의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확인된 사용자 정보를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프레즌스 정보 리스트를 서비스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프레즌스 정보 리스트를 출력하는 단계; 프레즌스 정보 리스트를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대화 내용에 프레즌스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입력된 대화 내용에 프레즌스 정보가 포함된 경우, 프레즌스 정보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에서의 프레즌스 정보를 이용한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 방법은, 단말 장치로부터 프레즌스 정보 리스트를 요청 받는 단계; 단말 장치에서 선택된 대화 상대의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확인된 대화 상대의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프레즌스 정보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프레즌스 정보 리스트를 단말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레즌스 정보 안내를 위한 메신저 서비스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다.
본 발명은 메신저를 통해 대화를 수행하되, 대화 상대의 프레즌스 정보를 기반으로 대화 상대가 현재 어떠한 상태인지, 즉 웹 서핑, 음악 청취, 영화/동영상 시청, 게임 등을 하고 있는 지를 친구 목록 리스에 프레즌스 정보를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대화 상대의 현재 상태를 미리 알려줌으로 상대가 대화를 응할 수 있는지 없는지를 미리 파악하므로 상대방을 방해하지 않고 대화를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생성된 프레즌스 정보를 이용하여 대화 상대 목록 리스트에 프레즌스 정보가 표시되므로 대화를 할 수 있는 상대와 대화를 할 수 없는 상대를 메신저를 통해 파악할 수 있으므로 상대방의 업무 또는 취미 시간을 저해하는 것을 방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들에 따른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들에 따른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에서 단말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에서의 프레즌스 정보를 안내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에서의 프레즌스 정보를 안내를 위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에서의 프레즌스 정보 안내를 위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라 프레즌스 정보가 대화 상대에 표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라 프레즌스 정보를 포함한 메시지를 전송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 및 서비스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단말 장치는 사용자의 키 조작에 따라 통신망을 경유하여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기를 말하는 것이며, 태블릿PC(Tablet PC), 랩톱(Laptop),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스마트폰(Smart Phone), 개인휴대용 정보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 TV 및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등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100)는 통신망(10)을 이용하여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기이며, 통신망을 경유하여 서비스 장치(200)와 통신하기 위한 브라우저, 프로그램 및 프로토콜을 저장하는 메모리, 각종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하고 있는 단말기를 의미한다. 즉, 단말 장치(100)는 서비스 장치(200)와 서버-클라이언트 통신이 가능하고, 메신저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다면 그 어떠한 단말기도 가능하며, 노트북 컴퓨터, 이동통신 단말기, PDA 등의 통신 컴퓨팅 장치를 모두 포함하는 넓은 개념이다.
한편, 단말 장치(100)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형태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100)는 메신저 서비스를 실행하고, 메신저 실행 화면에 표시된 대화 상대 목록(81)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상대의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여 확인된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프레즌스 정보를 취득하고, 취득한 프레즌스 정보를 토대로 화면(대화 상대 목록, 대화 화면 등)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100)는 대화를 수행 시 입력되는 프레즌스 정보, 즉 CPU점유율, 시스템 정보 이용, 오디오장치 사용 여부, 이어폰 사용여부, 멀티미디어앱 재생여부 등을 포함하여 분석하고, 현재 어떠한 앱을 사용하고 있는지를 파악한 후 현재 사용하는 앱을 UI(User Interface)(85) 형태로 대화 상대 목록(81)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100)는 메신저 서비스를 실행하고, 메신저 실행 화면에 표시된 대상 상대 목록(81)에서 대화를 수행할 하나 이상의 상대를 선택하고, 선택된 대상 상대의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여 확인된 사용자 정보를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장치(100)는 서비스 장치로부터 프레즌스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프레즌스 정보를 대화 화면(83)에 표시하고, 수신된 프레즌스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대화 내용에 프레즌스 정보가 포함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 장치(100)는 프레즌스 정보를 포함한 경우 프레즌스 정보를 사용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서비스 장치(200)는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100)들과 통신망(10)을 통해 연동하여 메신저 서비스에 관련된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으며, 단말 장치들에서 메신저 서비스가 실행되어 송수신되는 대화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200)는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프레즌스 정보에 포함된 상대의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프레즌스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프레즌스 정보를 단말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 장치(100) 및 서비스 장치(200)는 통신망을 통해 연동되며, 이러한 통신망은 인터넷 망, 인트라넷 망, 이동통신망, 위성통신망 등 다양한 유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인터넷 프로토콜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는 망을 말한다. 또한 통신망은 서비스 장치와 결합되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등의 컴퓨팅 자원을 저장한다. 이러한 통신망은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등의 폐쇄형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과 같은 개방형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LTE(Long Term Evolution), EPC(Evolved Packet Core) 등의 네트워크와 향후 구현될 차세대 네트워크 및 컴퓨팅 네트워크를 통칭하는 개념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단말 장치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에서 단말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말 장치(100)는 제어부(110), 입력부(120), 통신부(130), 저장부(140) 및 출력부(15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제어부(110)는 단말 장치(10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며, 특히 메신저 서비스 및 메신저 서비스에서의 프레즌스 정보 안내를 위해 관련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10)는 메신저 서비스를 위한 메신저 서비스 실행 모듈(11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들에 따른 메신저 서비스 실행 모듈(111)은 통신부(120)와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메신저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한 후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메신저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메신저 서비스 실행 모듈(111)은 메신저 실행 화면에 표시된 대화 상대 목록(81)에서 대화를 수행할 하나 이상의 대화 상대를 선택하고, 선택된 대화 상대에 대한 정보를 메신저 서비스에서 대화를 위한 메인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 들에 따른 메신저 서비스 실행 모듈(111)은 메인 화면에서 대화하기 또는 음성 통화 모드에 대한 선택 신호를 감지하면, 대화 화면(83) 또는 통화 화면으로 전환하여 메신저를 통해 대화하기 또는 음성 통화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대화하기를 요청한 경우, 메신저 서비스 실행 모듈(111)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텍스트 정보를 포함한 인스턴트 메시지 또는 텍스트 정보 및 멀티미디어 정보(이미지, 동영상, 스티커, 이모티콘 등)을 포함한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상대방 단말 장치(100)와 송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음성 통화를 요청하는 경우, 입력된 음성 정보를 포함한 음성 통화 메시지를 상대방 단말 장치(100)와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제1 실시예에 따른 메신저 서비스 실행 모듈(111)은 선택된 대화 상대의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여 확인된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프레즌스 정보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2 및 제3 실시예에 따른 메신저 서비스 실행 모듈(111)은 확인된 사용자 정보를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고, 서비스장치에서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프레즌스 정보 리스트를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이때 메신저 서비스 실행 모듈(111)은 사용자 정보에 포함된 CPU점유율, 시스템 정보 이용, 오디오 장치 사용여부, 이어폰 사용여부, 멀티미디어 앱 재생여부 등을 확인하여 프레즌스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된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대화 상대가 어떠한 상태인지를 파악한다. 더하여 메신저 서비스 실행 모듈(111)은 메신저 서비스 시 현재 대화 상대가 어떠한 상태인지, 즉 게임, 음악, 영화, 동영상, 인터넷, 전화 등을 사용하고 있는지를 파악하여 프레즌스 정보에 따른 UI(85)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메신저 서비스 실행 모듈(111)은 CPU점유율, 시스템 정보에 대하여 우선적으로 포함될 수 있도록 프레즌스 정보 리스트 출력 시 우선적으로 출력될 수 있도록 제어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화 상대의 사용자 정보의 분석 결과, 대화 상대가 현재 영화 감상을 하고 있는 경우, 메신저 서비스 실행 모듈(111)은 CPU점유율, 시스템 정보, 오디오 장치 사용 여부, 이어폰 사용여부 등을 포함한 사용자 정보 분석을 통해 생성된 프레즌스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렇게 생성된 프레즌스 정보를 대화 상대의 프레즌스 정보 리스트에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레즌스 정보 생성을 위한 정보는 저장부에 프레즌스 정보 DB(도시되지 않음)에 미리 저장될 수 있으며,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주기적으로 프레즌스 정보를 적용할 수 있도록 정보를 다운로드 하여 갱신하거나, 대화 상대 별로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프레즌스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프레즌스 정보 DB에 저장된 프레즌스 정보는 사용자 정보의 항목별로 매핑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 들에 따른 메신저 서비스 실행 모듈(111)은 사용자가 대화하기 모드를 선택한 경우 프레즌스 정보를 대화 화면(83)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음성 통화 모드를 선택한 경우 프레즌스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거나 통화 화면에 프레즌스 정보에 의한 UI(85)를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메신저 서비스 실행 모듈은 첨부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화 화면(83)에 프레즌스 정보를 표시할 영역을 구성하여 UI(85)가 표시된 프레즌스 정보를 표시하거나, 프레즌스 정보에 포함된 UI(85)들을 우선순위에 따라 음성으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메신저 서비스 실행 모듈(111)은 대화를 수행 시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대화 내용과 프레즌스 정보(CPU 점유율, 시스템 정보, 이어폰 사용여부, 오디오 장치 사용여부, 멀티미디어 앱 재생여부 등)을 분석하여 프레즌스 정보가 포함되었는지를 확인한 후 프레즌스 정보가 포함된 경우 이를 프레즌스 정보가 입력되었음을 안내할 수 있다. 이때 메신저 서비스 실행 모듈(111)은 대화하기 모드인 경우 입력창에 대화 내용이 입력되면, 대화 내용에 프레즌스 정보 리스트에 포함된 프레즌스가 입력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메신저 서비스 실행 모듈(111)은 음성 통화 모드인 경우 프레즌스 정보를 UI(85)를 화면에 표시하고, 표시되는 UI(85)를 분석하여 프레즌스 정보가 포함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메신저 서비스 실행 모듈(111)은 프레즌스 정보가 입력된 경우, 프레즌스 정보를 UI(85) 형태로 현재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메신저 서비스 실행 모듈(111)은 입력된 프레즌스 정보를 주기적으로 입력 받아 이를 갱신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메신저 서비스 실행 모듈(111)은 입력되는 대화 내용을 포함한 대화 메시지를 별도의 처리 없이 그대로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한 경우, 서비스 장치(200)에 의해 대화 내용에 프레즌스 정보가 포함되었는지가 확인되어 이에 따른 결과 메시지를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신저 서비스 실행 모듈(111)은 대화 내용에 프레즌스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대화 메시지를 수신하고, 이를 현재 화면(대화 화면(83) 또는 통화 화면)에 팝업 창(미도시) 등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통신부(120)는 통신망(10)을 통해 서비스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하여 프레즌스 정보를 안내하기 위한 메신저 서비스에 관련된 메시지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120)는 유선 방식 및 무선 방식뿐만 아니라 다양한 통신 방식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더하여, 통신부(120)는 하나 이상의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통신부(120)는 각각 서로 다른 통신 방식에 따라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복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들에 따른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서 사용자의 요청이나 정보에 해당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발생할 수 있으며, 현재 상용화되어 있거나 향후 상용화가 가능한 다양한 입력 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키보드, 마우스, 조이스틱,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 등과 같은 일반적인 입력 장치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모션을 감지하여 특정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제스처 입력 수단,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 인식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30)는 사용자 즉, 발신자로부터 입력된 대화 내용에 대한 입력 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110)로 전달하고, 메신저 서비스 실행에 따라 실행 화면(메인 화면, 통화 화면, 대화 화면(83) 등)에서 메신저 서비스를 위해 입력되는 신호를 제어부(110)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들에 따른 저장부(140)는 단말 장치(100)의 동작에 필요한 정보들을 저장하며, 특히,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메신저 서비스에 대한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 및 프레즌스 정보를 위한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 등을 저장하고, 메신저 서비스 실행에 따라 입력된 정보 및 생성된 메시지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대화 상대 목록(81), 사용자 정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정보 및 생성된 프레즌스 정보 리스트를 저장할 수 있으며, 상대방 단말 장치(100)와 송수신한 인스턴트 메시지, 멀티미디어 메시지 및 음성 통화 메시지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140)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한다.
아울러, 저장부(140)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표시부에 출력될 화면 이미지 등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140)는 표시부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터치스크린 운용을 위한 키 맵이나 메뉴 맵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키 맵, 메뉴 맵은 각각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다. 즉, 키맵은 키보드 맵이나, 3*4 키 맵, 쿼티 키 맵 등이 될 수 있고,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응용 프로그램의 운용 제어를 위한 제어키 맵이 될 수 도 있다. 또한, 메뉴 맵은 현재 활성화되고 있는 응용 프로그램 운용 제어를 위한 메뉴 맵이 될 수 도 있다. 이러한 저장부(140)는 단말 장치(100)의 부팅 및 상술한 각 구성의 운용을 위한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다양한 사용자 기능 예를 들면, 단말 장치(100)의 통화기능 지원을 위한 사용자 기능, 기타 음원을 재생하기 위한 MP3 사용자 기능, 사진 등의 이미지를 재생하기 위한 이미지 출력 기능, 동영상 재생 기능 등을 각각 지원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들에 따른 출력부(150)는 단말 장치(100)의 동작 결과나 상태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예를 들면, 화면을 통해 시각적으로 출력하는 표시부나, 가청음을 출력하는 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단말 장치(100)에서 구동되는 메신저 서비스 실행 및 메신저 서비스 실행 화면 즉, 메신저 서비스의 메인 화면, 통화 화면, 대화 화면(83) 등을 출력할 수 있으며, 대화 화면(83)에 송수신된 대화 메시지(인스턴트 메시지, 멀티미디어 메시지), 프레즌스 정보에 따른 UI(85)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150)는 프레즌스 정보 리스트를 대화 화면(83) 또는 통화 화면에 구성된 영역에 UI(85)를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 들에 따른 서비스 장치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에서의 서비스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비스 장치(200)는 통신부(210), 메신저 서비스 제공부(220) 및 저장부(23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통신망(10)을 통해 하나 이상의 단말 장치(100)와 메신저 서비스 및 프레즌스 정보 안내를 위해 관련된 메시지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210)는 유선 방식 및 무선 방식뿐만 아니라 다양한 통신 방식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더하여, 통신부(210)는 하나 이상의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통신부(210)는 각각 서로 다른 통신 방식에 따라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복수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 들에 따른 메신저 서비스 제공부(220)는 통신망(10)을 통해 둘 이상의 단말 장치(100)와 연동하여 메신저 서비스를 위한 동작을 제어하고, 통신부(210)와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단말 장치들(100) 간에 메신저를 통한 대화 내용을 포함한 대화 메시지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메신저 서비스 제공부(220)는 단말 장치(100)로부터 대화 메시지를 수신하면, 대화 메시지에 포함된 대화 상대의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프레즌스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수신된 대화 메시지에 사용자 정보가 포함되지 않고, 상대 사용자의 식별 정보와 대화 내용만이 포함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메신저 서비스 제공부(220)는 상대 사용자의 식별 정보를 확인하여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독출하여 사용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신저 서비스 제공부(220)는 사용자 정보에 포함된 대화 상대의 프로파일, 즉 게임, 음악, 영화, 동영상, 등에서 어떠한 앱을 사용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CPU점유율, 시스템 정보, 오디오 장치 사용여부, 이어폰 사용여부, 멀티미디어 앱 재생 여부를 확인하여 상대방의 프레즌스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된 정보를 이용하여 프레즌스 정보에 따른 UI(85)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메신저 서비스 제공부(220)는 생성된 프레즌스 정보 리스트를 포함한 프레즌스 정보를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아울러, 메신저 서비스 제공부(220)는 주기적으로 또는 요청에 따라 갱신된 프레즌스 정보들을 단말 장치(1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메신저 서비스 제공부(220)는 단말 장치(100)로부터 대화 메시지를 수신하면, 프레즌스 정보 리스트에 상응하는 수신된 대화 메시지에 프레즌스 정보, 즉 UI(85)가 포함되어 있는 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대화 메시지에 프레즌스 정보에 의한 UI(85)가 포함된 것으로 확인되면, 메신저 서비스 제공부(220)는 대화 메시지를 대화 상대의 단말 장치(100)로 전송하고, 대화 메시지에 대한 전송 메시지를 발신측 단말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저장부(230)는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관련된 정보를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저장부(230)는 단말 장치들(100) 간에 송수신되는 인스턴트 메시지, 멀티미디어 메시지, 음성 통화 메시지 등을 저장할 수 있으며,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정보, 서비스에 등록된 사용자들에 대한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30)는 프레즌스 정보 DB(도시되지 않음)에 생성된 프레즌스 정보 리스트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230)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한다.
그러면,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 들에 따른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에서 프레즌스 정보를 안내하기 위한 메신저 서비스 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프레즌스 정보를 안내하기 위한 메신저 서비스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에서의 프레즌스 정보를 안내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S110단계에서 단말 장치(100)는 메신저 서비스를 실행하여 메신저 서비스 실행 화면에 대화 상대 목록(81)을 출력한다.
이에 따라 S120단계에서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대화 상대를 선택 받고, 선택 대화 상대에 대한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확인한다. 그런 다음 S130단계에서 단말 장치(100)는 확인된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프레즌스 정보 DB에 저장된 프레즌스 정보들을 독출하고, 독출된 프레즌스 정보들을 포함하는 프레즌스 정보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정보에 포함된 프로파일(게임, 음악, 영화, 동영상, 인터넷 등)에 상대 사용자의 게임을 하는 경우, 단말 장치(100)는 프레즌스 정보 DB에서 대 분류에서 CPU점유율, 시스템 정보를 우선 검색하고, 소분류에서 오디오 장치 사용여부, 이어폰 사용 여부를 검색하여 게임, 음악, 영화, 동영상 인터넷 등의 사용에 따른 UI(85)를 독출 한다.
그런 다음 단말 장치(100)는 독출 된 프레즌스 정보들을 포함하여 프레즌스 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단말 장치(100)는 기 저장된 프레즌스 정보에 갱신되는 프레즌스 정보가 있는 경우 또는 대화 상대 또는 사용자가 직접 설정한 프레즌스 정보가 있는 경우 해당 프레즌스 정보를 프레즌스 정보에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단말 장치(100)는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갱신된 프레즌스 정보가 존재하면, 갱신된 프레즌스 정보를 대화 상대 목록(81) 또는 대화 화면에 UI(85)로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S140단계에서 단말 장치(100)는 첨부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UI(85) 표시 영역에 생성된 프레즌스 정보(게임, 음악, 영화, 동영상 등)를 표시한다. 여기서, UI(85) 표시된 영역에 표시된 특정 메뉴 또는 UI(85) 표시된 영역에서 특정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단말 장치(100)는 프레즌스 정보에 따른 UI(85) 상세 보기 화면(미도시)을 출력하여 화면에 표시되지 않은 프레즌스 정보들, 프레즌스 정보들에 대한 상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후, S150단계에서 단말 장치(100)는 선택된 상대 사용자와 메신저를 통해 대화를 수행 시 사용자로부터 입력창(82)을 통해 대화 내용을 입력 받는다. 이때, 단말 장치(100)는 입력된 대화 내용에서 프레즌스 정보 내의 프레즌스 정보들에 상응하는 UI(85)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대화 내용에 프레즌스 정보에 따른 UI(85)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단말 장치(100)는 대화 내용을 포함한 대화 메시지를 대화 상대의 단말 장치(100)로 전송한다.
반면, 대화 내용에 프레즌스 정보에 따른 UI(85)가 포함된 경우, 단말 장치(100)는 UI(85)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입력창(82)에 메시지를 입력하면, 프레즌스 정보 리스트에 UI(85)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프레즌스 정보 메시지(예를 들어, "대화 상대는 게임 중 입니다.")를 팝업 창(미도시) 등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그런 다음 S160단계에서 단말 장치(100)는 대화가 종료되었는지를 확인하여 종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계속해서 S130단계를 수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메신저를 통한 대화를 종료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프레즌스 정보를 안내하기 위한 메신저 서비스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말 장치에서의 프레즌스 정보 안내를 위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에서의 프레즌스 정보 안내를 위한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2101)단계에서 단말 장치(100)는 메신저 서비스를 실행하여 메신저 서비스 실행 화면에 대화 상대 목록(81)을 출력한다.
이에 따라 S210단계에서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로부터 대화 상대를 선택 받고, S220단계에서 선택 대화 상대에 대한 기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확인한다. 그런 다음 S230단계에서 단말 장치(100)는 확인된 사용자 정보와 함께 프레즌스 정보를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한다.
이후, S240단계에서 단말 장치(100)는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프레즌스 정보를 수신한다. 단말 장치(100)는 첨부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UI(85) 표시된 영역에 서비스 장치(200)에서 생성된 프레즌스 정보 리스트(게임, 음악, 영화, 동영상 등)를 표시한다. 여기서, UI(85) 표시된 영역에 표시된 특정 메뉴 또는 UI(85) 표시된 영역에서 특정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단말 장치(100)는 UI(85) 상세 보기 화면(미도시)을 출력하여 화면에 표시되지 않은 UI(85)들, UI(85)들에 대한 상세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그런 다음 S250단계 내지 S270단계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메신저 서비스 방법에서의 S140단계 내지 S160단계와 동일하므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S310단계에서 서비스 장치(200)는 단말 장치(100)로부터 프레즌스 정보 메시지를 수신하면, S320단계에서 서비스 장치(200)는 프레즌스 정보 메시지에 포함된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프레즌스 정보 들을 수집하고, 수집된 프레즌스 정보 들을 사용자 정보의 항목에 따라 분류 및 필터링하여 유효한 프레즌스 정보 들을 생성한 후, 생성된 프레즌스 정보 들을 포함한 프레즌스 정보 리스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서비스 장치(200)는 대화 상대의 사용자 정보의 프로파일 정보에서 게임을 하고 있다고 가정하는 경우 프레즌스 정보는 CPU 사용율, 시스템 정보, 오디오 장치 사용 여부 등을 통해 대화 상대가 현재 게임을 하고 있는 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서비스 장치(100)는 수집한 프레즌스 정보들 중 CPU 점유율, 시스템 정보 이용율, 오디오 장치 사용 여부, 이어폰 사용 여부, 멀티미디어 앱 재생 여부 들 중에서 우선 순위를 두어 프레즌스 정보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여러 항목에 중복되는 프레즌스 정보 들에 우선 순위를 두어 프레즌스 정보 리스트에 포함시킬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장치(200)는 중복되는 프레즌스 정보의 경우, 가중치를 부여하여 단말 장치(100)에서 표시될 시 우선적으로 표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서비스 장치(100)는 프레즌스 정보에 포함될 수 있는 UI(85)들의 개수를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이는 프레즌스 정보에 너무 많은 프레즌스 정보들이 포함되어 원활한 대화를 할 수 없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함이며, 단말 장치(100)에서 프레즌스 정보를 생성 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가 프레즌스 정보 개수를 직접 설정할 수도 있다. 그리고 프레즌스 정보에 포함되지 않은 나머지 생성된 프레즌스 정보 들은 UI(85) 상세 보기 화면에서 확인될 수 있으며, 입력 시 프레즌스 정보 임을 안내 받을 수 있으나, 삭제 처리되지 않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서비스 장치(200)는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저장부(230)의 프레즌스 정보 DB에 저장된 프레즌스 정보 들을 독출 하고, 독출 된 프레즌스 정보 들을 포함하는 프레즌스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정보에 포함된 프로파일, 즉 게임, 음악, 영화, 동영상 등을 상대 사용자가 어떠한 앱을 사용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서 서비스 장치(200)는 저장부(230)의 프레즌스 정보 DB에서 대 분류에서 CPU 사용율, 시스템 정보를 검색하고, 소분류에서 오디오 장치 사용 여부, 이어폰 사용 여부, 멀티미디어 앱 재생 여부를 검색하여 프레즌스 정보에 포함된 UI(85)(게임, 음악, 영화, 동영상 등)를 독출 한다. 그런 다음 단말 장치(100)는 독출 된 프레즌스 정보 들을 포함하여 프레즌스 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단말 장치(100)는 갱신되는 프레즌스 정보가 있는 경우 또는 대화 상대 또는 사용자가 직접 설정한 프레즌스 정보가 있는 경우 해당 프레즌스 정보 들을 프레즌스 정보 리스트에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단말 장치(100)는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추가 프레즌스 정보가 존재하면, 추가 프레즌스 정보를 표시하거나 상세 정보 화면을 통해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런 다음 S330단계에서 서비스 장치(200)는 생성된 프레즌스 정보를 단말 장치(100)로 전송한다. 이후, S340단계에서 서비스 장치(200)는 단말 장치(100)로부터 대화 메시지 대화 상대 즉, 상대방 단말 장치(100)로 전송한다.
한편,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탑재되고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혹은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 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혹은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혹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혹은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혹은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혹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 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 프레즌스 정보를 이용한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메신저를 통해 대화를 수행하되, 대화 상대의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상대가 현재 어떠한 앱을 사용하고 있는 지를 프레즌스 정보에 따른 프레즌스 정보 리스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프레즌스 정보 리스트를 대화 화면(83)(또는 통화 화면)에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프레즌스 정보를 UI 형태로 알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사용자가 출력된 프레즌스 정보 리스트를 확인하여 대화 상대가 현재 어떠한 앱을 사용하고 있는 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생성된 프레즌스 정보 리스트를 이용하여 입력된 대화 내용과 프레즌스 정보를 확인하여 현재 대화 상대가 어떠한 상태인지를 확인하므로 대화 내용을 길게 또는 짧게 행하거나, 메신저 메시지에 의해 대화 상대에게 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요인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10: 통신망 100: 단말 장치
110: 제어부 111: 메신저 서비스 실행 모듈
120: 통신부 130: 입력부
140: 저장부 150: 출력부
200: 서비스 장치 210: 통신부
220: 메신저 서비스 제공부 230: 저장부

Claims (18)

  1. 통신망을 통해 서비스 장치와 연동하여 메신저 서비스를 위한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통신부와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메신저 서비스를 실행하고, 메신저를 통해 대화를 수행하기 위한 대화 상대를 선택하고, 선택된 대화 상대의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프레즌스 정보 리스트를 출력하고, 프레즌스 정보 리스트를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대화 내용에 UI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제어부; 및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프레즌스 정보 리스트 및 확인 결과에 따라 프레즌스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부터 입력된 대화 내용, 프레즌스 정보 데이터베이스, 프레즌스 정보 리스트, 사용자 정보 및 상기 대화 상대의 단말 장치와 송수신한 대화 메시지를 저장하는 저장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프레즌스 정보 리스트를 대화를 수행할 화면의 일 영역에 표시 또는 상기 프레즌스 정보 리스트에 포함된 UI들을 우선 순위에 따라 음성으로 출력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선택된 대화 상대의 사용자 정보를 대응하는 기 저장된 프레즌스 정보 들을 독출 하고, 독출 된 프레즌스 정보 들을 포함한 프레즌스 정보 리스트를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선택된 대화 상대의 사용자 정보에 포함된 CPU 점유율, 시스템 정보, 오디오 장치 사용 여부, 이어폰 사용 여부, 멀티미디어 앱 재생 여부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대화 상대의 프레즌스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 정보에 상응하는 기 저장된 UI을 독출 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독출 된 프레즌스 정보들 중 여러 항목에서 중복되는 프레즌스 정보에 가중치를 부여하고, 가중치가 부여된 프레즌스 정보를 프레즌스 정보 리스트에 우선적으로 포함시키고, 프레즌스 정보 리스트를 출력 시 가중치가 부여된 프레즌스 정보를 우선적으로 출력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선택된 대화 상대의 사용자 정보를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고, 서비스 장치로부터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프레즌스 정보 리스트를 수신하여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단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일정 주기 또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추가 프레즌스 정보 및 대화 상대로부터 등록된 프레즌스 정보 중 하나 이상을 서비스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로부터 대화 상대 목록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대화 상대에 대한 프레즌스 정보를 입력 받고, 입력된 프레즌스 정보를 해당 항목에 매핑하여 프레즌스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대화를 수행할 화면의 일 영역에 프레즌스 정보 리스트에 따른 UI 표시 영역을 구성하고, 구성된 상기 UI 표시 영역에서 특정 입력 신호가 감지되면, UI 상세 보기 화면을 출력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11. 통신망을 통해 둘 이상의 단말 장치와 연동하여 메신저 서비스를 위한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통신부와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특정 단말 장치로부터 프레즌스 정보 리스트를 요청 받으면, 특정 단말 장치에서 선택된 대화 상대의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대화 상대의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프레즌스 정보 리스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프레즌스 정보 리스트를 특정 단말 장치로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메신저 서비스 제공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즌스 정보를 이용한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신저 서비스 제공부는,
    대화 상대의 사용자 정보에 포함된 CPU 점유율, 시스템 정보, 오디오 장치 사용 여부, 이어폰 사용 여부, 멀티미디어 앱 재생 여부를 포함하는 프로파일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정보들에 상응하는 프레즌스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프레즌스 정보 들을 사용자 정보의 항목에 따라 분류 및 필터링하여 유효한 프레즌스 정보 들을 생성한 후, 생성된 프레즌스 정보들을 포함하여 프레즌스 정보 리스트를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즌스 정보를 이용한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신저 서비스 제공부는,
    추가 프레즌스 정보 및 대화 상대로부터 등록된 프레즌스 정보 중 하나 이상의 정보를 주기적 또는 요청에 따라 단말 장치로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즌스 정보를 이용한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장치.
  14. 메신저 서비스를 실행하고, 메신저를 통해 대화를 수행하기 위한 대화 상대를 선택하고, 선택된 대화 상대의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프레즌스 정보 리스트를 출력하고, 프레즌스 정보 리스트를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대화 내용에 프레즌스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고, 확인 결과에 따라 프레즌스 정보 안내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말 장치; 및
    단말 장치와 통신망을 통해 연동하여, 단말 장치로부터 메신저를 통해 대화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대화 메시지를 대화 상대의 단말 장치로 전송하는 서비스 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
  15. 메신저 서비스를 실행하여 메신저를 통해 대화할 대화 상대를 선택하는 단계;
    선택된 대화 상대의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확인된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프레즌스 정보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생성된 프레즌스 정보 리스트를 출력하는 단계;
    프레즌스 정보 리스트를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대화 내용에 프레즌스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입력된 대화 내용에 프레즌스 정보가 포함된 경우, 프레즌스 정보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에서의 프레즌스 정보를 이용한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 방법.
  16. 메신저 서비스를 실행하여 메신저를 통해 대화할 대화 상대를 선택하는 단계;
    선택된 대화 상대의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확인된 사용자 정보를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프레즌스 정보 리스트를 서비스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프레즌스 정보 리스트를 출력하는 단계;
    프레즌스 정보 리스트를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대화 내용에 프레즌스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입력된 대화 내용에 프레즌스 정보가 포함된 경우, 프레즌스 정보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에서의 프레즌스 정보를 이용한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 방법.
  17. 단말 장치로부터 프레즌스 정보 리스트를 요청 받는 단계;
    단말 장치에서 선택된 대화 상대의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확인된 대화 상대의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프레즌스 정보 리스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프레즌스 정보 리스트를 단말 장치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장치에서의 프레즌스 정보를 이용한 인스턴트 메시지 메신저 서비스 방법.
  18. 제1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프레즌스 정보 안내를 위한 메신저 서비스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40028778A 2014-03-12 2014-03-12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 프레즌스 정보를 이용한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201501065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8778A KR20150106565A (ko) 2014-03-12 2014-03-12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 프레즌스 정보를 이용한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8778A KR20150106565A (ko) 2014-03-12 2014-03-12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 프레즌스 정보를 이용한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6565A true KR20150106565A (ko) 2015-09-22

Family

ID=54245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8778A KR20150106565A (ko) 2014-03-12 2014-03-12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 프레즌스 정보를 이용한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0656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30557A1 (ko) * 2016-08-10 2018-02-15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출력 효과를 제공하는 메신저 서비스 방법, 시스템 및 기록 매체
JP2019041381A (ja) * 2017-08-22 2019-03-14 Line株式会社 インターネット電話サービスの通話自動連結方法およびシステ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30557A1 (ko) * 2016-08-10 2018-02-15 라인 가부시키가이샤 출력 효과를 제공하는 메신저 서비스 방법, 시스템 및 기록 매체
US10798032B2 (en) 2016-08-10 2020-10-06 Line Corporation Method, system and recording medium for messenger service providing output effect
JP2019041381A (ja) * 2017-08-22 2019-03-14 Line株式会社 インターネット電話サービスの通話自動連結方法およびシステ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47134B2 (en) Message push method and apparatus, device, and storage medium
KR102081233B1 (ko) 메신저 제어 방법을 위한 장치
US10147426B1 (en) Method and device to select an audio output circuit based on priority attributes
KR102211396B1 (ko) 컨텐츠 공유 서비스 시스템, 그의 컨텐츠 공유를 위한 장치 및 컨텐츠 공유 서비스 제공 방법
US20150350145A1 (en) Sharing of activity metadata via messaging systems
KR20170101416A (ko) 크라우드 펀딩 시스템을 통해 엔터테인먼트 관련 펀딩 정보 및 컨설팅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EP3403412A1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presenting a notification of playback availability
KR101310274B1 (ko) 메신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서버
KR101584887B1 (ko) 통신 단말기에서 음성 인식 서비스의 멀티태스킹을 지원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10997963B1 (en) Voice based interaction based on context-based directives
KR102390939B1 (ko) 전자 채팅 인터페이스들과의 인터렉션 개선
KR20150106565A (ko)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 프레즌스 정보를 이용한 인스턴트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20150108470A (ko)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상대방의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메신저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102127909B1 (ko) 채팅 서비스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50105023A (ko)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금기어 안내를 위한 메신저 서비스 방법 및 장치
CN114666643A (zh) 一种信息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8604238A (zh) 用于媒体引导的方法、系统和介质
KR102220253B1 (ko)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상용구를 이용한 메신저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102292086B1 (ko)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음성 통화 대기 중 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
CN108694207B (zh) 一种文件图标的显示方法及系统
KR102175785B1 (ko)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프레즌스 정보를 반영한 채팅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메신저 서비스 방법 및 장치
WO2015043529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plying to social application information
KR101625531B1 (ko) 양방향 광고 동영상 매칭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20150105024A (ko)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유해 메시지를 관리하기 위한 메신저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20150105559A (ko) 메신저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음성 통화를 위한 메신저 서비스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