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3688B1 - 근접센서와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 및 디스플레이 패널의 근접센서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근접센서와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 및 디스플레이 패널의 근접센서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3688B1
KR102223688B1 KR1020190104400A KR20190104400A KR102223688B1 KR 102223688 B1 KR102223688 B1 KR 102223688B1 KR 1020190104400 A KR1020190104400 A KR 1020190104400A KR 20190104400 A KR20190104400 A KR 20190104400A KR 102223688 B1 KR102223688 B1 KR 1022236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light irradiation
light
proximity sensor
irradi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4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우
윤정희
전현빈
홍상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크레파스테크놀러지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크레파스테크놀러지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크레파스테크놀러지스
Priority to KR1020190104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3688B1/ko
Priority to PCT/KR2020/010595 priority patent/WO2021040270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3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36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92Details of a display terminals using a flat pane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근접센서와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근접센서와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측으로 근접하는 물체를 감지하기 위한 근접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근접센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부에 설치되며 광을 조사시키는 광조사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발광모듈로부터 조사된 광을 감지하는 수광부; 상기 광조사부를 제어하는 광제어부;을 포함하며, 상기 광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주사율에 따라 상기 광조사부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조사 주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근접센서에 의한 화이트 블링킹 현상으로 인한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는 근접센서와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 및 디스플레이 패널의 근접센서 제어방법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근접센서와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 및 디스플레이 패널의 근접센서 제어방법{ELECTRONIC APPARATUS FOR HAVING PROXIMITY SENSOR AND DISPLAY PANEL AND METHOD FOR CONTROLLING PROXIMITY SENSOR OF DISPLAY PANEL}
본 발명은 근접센서와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 및 디스플레이 패널의 근접센서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풀디스플레이(full display)를 가능하도록 하는 근접센서와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 및 디스플레이 패널의 근접센서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전자장치의 경우, 화면을 표시하는 영역 외에 카메라 렌즈, 근접센서 등을 장착하기 위한 별도의 영역이 필요하고, 이러한 영역은 화면을 표시하지 못하는 영역이기 때문에, 화면 표시의 측면에서는 장치의 면적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술한 카메라, 근접센서 등을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부에 장착하여, 전자장치의 전면(全面)을 통하여 화면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한 풀디스플레이(full display) 전자장치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종래의 풀 디스플레이 전자장치의 경우에, 일정한 주기를 가지고 광을 조사하는 근접센서로 인하여, 디스플레이 상에서는 흰색으로 반짝거리는 형태의 점이 형성되고, 이러한 흰색의 반짝거리는 '화이트 블링킹' 현상으로 인하여,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컨텐츠에 집중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우수한 품질의 풀디스플레이를 구현하는데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근접센서에 의한 화이트 블링킹 현상으로 인한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는 근접센서와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 및 디스플레이 패널의 근접센서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측으로 근접하는 물체를 감지하기 위한 근접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근접센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부에 설치되며 광을 조사시키는 광조사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발광모듈로부터 조사된 광을 감지하는 수광부; 상기 광조사부를 제어하는 광제어부;을 포함하며, 상기 광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주사율에 따라 상기 광조사부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조사 주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센서와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광제어부는 상기 광조사부의 광조사 주기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주사 주기와 동기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는 구동 시에 상시적으로 소정 형태의 아이콘이 표시되는 상시표시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광조사부는 상기 상시표시영역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제어부는 상기 광조사부가 위치한 영역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원 인가 타이밍과 상기 광조사부의 전원인가 타이밍 간의 전원인가 시간차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주기 동안 상기 전원인가 시간차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의 주사율을 감지하는 감지단계; 상기 감지된 주사율에 따라 광조사부의 광조사 주기를 제어하는 광조사 주기 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근접센서 제어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광조사부가 위치한 디스플레이 패널 픽셀의 전원 인가 타이밍과 광조사부의 전원인가 타이밍 간의 전원인가 시간차를 제어하는 시간차 제어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간차 제어단계는, 각각이 서로 다른 값의 전원인가 시간차를 갖는 복수 개의 주기를 갖도록 광조사부의 전원인가 타이밍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주사율과 근접센서의 광조사 주기를 동기화함으로써, 화이트 블링킹 현상이 제거될 수 있는 근접센서와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 및 디스플레이 패널의 근접센서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디스플레이 상에서 상시적으로 표시되는 상시표시영역에 광조사부를 설치하여, 상시표시영역과 광조사스팟을 일치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상에 광조사부에 의하여 별도의 점(spot)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는 이질감 없이 풀디스플레이 화면을 감상할 수 있다.
또한, 픽셀 구동 타이밍과 광조사 구동 타이밍 간의 시간차, 즉, 전원인가 시간차를 제어하여, 광조사스팟의 색깔을 비교적 자유롭게 제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원인가 시간차를 복수 개로 설정하여 정해진 주기에 따라 교대로 제어하여 광조사스팟이 서로 상쇄되는 색깔로 번갈아 표현되도록 함으로써, 광조사스팟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픽셀이 열화되는 현상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근접센서와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근접센서와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의 근접센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도 1의 근접센서와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화면을 표시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도 4는 근접센서와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패널의 근접센서 제어방법에서 광조사부의 광조사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도 5는 도 4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근접센서 제어방법에서 전원인가 시간차에 따른 광조사 스팟의 밝기 변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도 6은 도 4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근접센서 제어방법에서 전원인가 시간차를 제어하여 광조사 스팟의 열화를 방지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도 7은 도 1의 근접센서와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의 근접센서를 상시표시영역에 설치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이외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근접센서와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근접센서와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근접센서와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의 근접센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도 1의 근접센서와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화면을 표시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근접센서와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100)는 화상을 표현하는 디스플레이 및 근접센서를 구비하는 전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근접센서(1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의 전자장치라고 함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구비하는 장치를 포괄하는 것으로, 사용자에게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면을 제공하는 장치, 예를 들면, 스마트폰, 태블릿PC, 이동전화기, 영상전화기, 전자책 리더기, 데스크탑 PC, 랩탑 PC, 넷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서버,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의료 기기, 카메라, 또는 웨어러블 장치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사용자에게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표시할 수 있으며, 신체의 일부를 이용한 사용자의 접촉 또는 비접촉 동작을 감지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된다.
즉, 디스플레이 패널(110)이라고 함은,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LCD), 발광 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 (OLED) 디스플레이, 또는 마이크로 전자 기계 시스템 (MEMS) 디스플레이, 또는 전자 종이(electronic paper) 디 스플레이 중 어느 하나일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각 픽셀은 디스플레이 구동 드라이버(DDI:Display Driver IC, 111)에 의하여 제어된다. 즉, 디스플레이 구동 드라이버(111)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각 픽셀에 연결된 스위치를 조절하여 전원을 인가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의하여 표시되는 컨텐츠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각 픽셀은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주기를 가지고 반복적으로 on/off 되며, 단위 시간 당 특정 픽셀에 인가되는 전원의 횟수를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재생빈도 또는 주사율(f)이라 정의한다. 즉, 주사율(f)은 디스플레이 패널(110) 화면 하나의 데이터를 표시하는 속도와 동일한 의미이며, 디스플레이 구동 드라이버(111)가 이를 제어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인가되는 전원의 타이밍은 픽셀의 위치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최상단의 픽셀에서부터 하측 방향을 따라서 순차적으로 전원이 인가 및 해제됨으로써, 화면에 영상을 표시하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근접센서(12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근접하는 물체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로서, 광조사부(121)과 수광부(122)과 광제어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광조사부(123)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하부에 설치되어 광을 조사하는 것으로서, 후술하는 광제어부(130)에 의하여 광조사 타이밍이 제어된다. 한편, 광조사부(122)의 광원은 LED, 레이저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술한 내용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전자장치의 사용목적, 가격, 디스플레이 패널의 면적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수광부(123)는 광조사부(122)로부터 조사된 후 근접하는 물체에 반사된 광을 수광하기 위한 센서이다.
조사된 광을 수광하기 용이하도록 상술한 광조사부(122)와 수광부(123)는 소정의 기판 상에 나란히 실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광조사부(122)와 수광부(123)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하부에 설치된다. 따라서, 광조사부(122)로부터 조사되는 광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통과하여 근접한 물체에 반사되고, 근접한 물체로부터 반사된 광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다시 통과한 후 수광부(123)에 재진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광제어부(130)는 상술한 광조사부(122)의 광조사 타이밍을 제어하는 것이다. 광조사부(122)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주사율(f), 픽셀 별 전원인가 타이밍을 기반으로 광제어부(130)의 광조사 타이밍을 제어한다. 이러한 광제어부(130)의 제어방법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근접센서와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패널의 근접센서 제어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의 근접센서 제어방법은 감지단계와 광조사 주기 제어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감지단계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구동 정보를 감지하는 단계이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행과 열의 가상의 라인을 따라서 배열되는 다수의 픽셀로 구성되고, 스위치에 인가되는 전원을 통하여 각 픽셀을 구동시킴으로써 화면을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최상단 행(row)에 배치되는 픽셀 들에 최초로 전원이 인가되고, 순차적으로 다음 행(row)의 픽셀들에 전원이 인가된다. 특정 픽셀이 구동되는 시점과 다음 번 구동되는 시점의 시간 차이를 구동 주기라 하고, 각 픽셀이 정해진 주기에 따라 반복적으로 구동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110) 상에 의도한 화면이 표시된다.
한편, 상술한 과정에서 시간당 특정 픽셀이 구동되는 횟수, 즉, 디스플레이 구동 드라이버(111)에 의하여 시간당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각 행(row)에 전원이 인가되는 횟수를 주사율(f)이라 정의한다.
본 단계에서는 광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 구동 드라이버(111)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제어정보, 구체적으로는, 광조사부(122)가 위치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픽셀로의 전원 인가 타이밍 및 주사율 정보를 획득한다.
상기 광조사 주기 제어단계는 광조사부(122)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주기를 제어하는 단계이다.
본 단계에서는 광제어부(130)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주사율(f) 정보를 기반으로 광조사부(130)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주기(이하에서는 이를 '광조사 주기(PL)'라 정의하여 설명한다.)를 제어한다.
종래의 풀디스플레이를 채용하고 있는 전자장치의 경우에,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부에 설치된 근접센서로부터 지속적으로 조사되는 광에 의하여, 광이 조사되는 스팟(이하, '광조사 스팟'이라 함)만 반복적으로 반짝거리는 화이트 블링킹 현상이 있었다.
도 4는 근접센서와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패널의 근접센서 제어방법에서 광조사부의 광조사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본 단계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제어부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주사율 정보를 기반으로 광조사부(122)의 광조사 주기(PL)를 제어한다.
광제어부(13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구동하는 디스플레이 구동 드라이버로(111)부터 주사율을 포함한 구동정보를 제공받고, 광조사 주기(PL)와 디스플레이 패널(111)의 주사 주기(PF)가 일치되도록 광조사부를 제어한다.
사용자가 설정을 변경하거나,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등의 환경 등의 이유로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주사 정보에 변화가 있는 경우에도 광제어부(130)는 이를 감지하여 광조사 주기(PL)를 적절하게 변경한다.
상술한 방법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주사율 및 주사 주기(PF)과 광조사부(122)의 광조사 주기(PL)가 일치하게 됨으로써, 광조사부(122)가 위치한 광조사 스팟(S)은 반짝거리지 않고, 사용자에게는 무채색의 색상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으로 보이게 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근접센서(120)를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하부에 설치하여 풀디스플레이 구조를 적용한 전자 장치의 경우에도, 별도의 구조을 추가하거나 설계 변경 없이 근접센서(120)의 반짝거림으로 인한 불편함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근접센서와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패널의 근접센서 제어방법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방법에서 시간차 제어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간차 제어단계는 광제어부(130)가 광조사부(122)가 위치하는 광조사 스팟(S)의 픽셀에 전원이 인가되는 타이밍(이하, '픽셀 구동 타이밍(DP)'이라 함)과, 광조사부(122)에 전원이 인가되는 타이밍(이하, '광조사 구동 타이밍(DL)'이라 함)간의 시간차(이하, '전원인가 시간차(Δt)'라 함)를 제어한다.
광제어부(130)가 광조사 구동 타이밍(DL)을 제어하여 전원인가 시간차(Δt)를 조절하는 경우에는 광조사 스팟(S)의 발색이 제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광조사 스팟(S)의 픽셀 구동 타이밍(DP)으로부터 광조사 구동 타이밍(DL)을 지연할수록 사용자에게는 광조사 스팟(S)의 색상이 보다 어두운 색으로 보여지게 된다. 아래의 수식과 같이 즉, 전원인가 시간차(Δt)와 광조사 스팟의 색상의 밝기는 대략 반비례하는 관계를 갖는 것이다.
[수식]
Figure 112019087441705-pat00001
본 단계에서는 광제어부(130)가 전원인가 시간차(Δt)를 제어하여, 광조사 스팟(S)의 색상을 원하는대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원인가 시간차(Δt)를 복수개로 설정하고, 이를 반복하는 방식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근접센서 제어방법에서 전원인가 시간차에 따른 광조사 스팟의 밝기 변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제어부(130)가 전원인가 시간차(Δt)가 두개의 값, 즉, 제1 시간차(Δt1)와 제2 시간차(Δt2)으로 설정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이때, 제2 시간차(Δt2)는 제1 시간차(Δt1)와 비교하여 픽셀 구동 타이밍(DP)으로부터 광조사 구동 타이밍(DL)을 더 지연시킨 값이다.
광제어부(130)는 미리 설정된 구동시간 동안은 전원인가 시간차(Δt)를 제1 시간차(Δt1)로 설정하여 광조사부(122)로부터 광이 조사되도록 한다. 미리 정해진 구동시간이 경과하면, 광제어부(130)는 전원인가 시간차(Δt)를 제2 시간차(Δt2)로 변경하여 광조사부(122)로부터 광이 조사되도록 한다. 제2 시간차(Δt2)로 설정한 후 설정된 구동시간이 경과하면, 전원인가 시간차(Δt)를 다시 제1 시간차(Δt1)로 재설정하여 광을 조사하고, 상기와 같이 전원인가 시간차(Δt)의 설정 값을 변경하는 방식의 구동을 반복한다.
이러한 제어에 의하여, 제1 시간차(Δt1)를 유지하는 경우에 광조사 스팟(S)은 상대적으로 밝은 색상의 값으로 표현되고, 제2 시간차(Δt2)를 유지하는 경우에 광조사 스팟(S)은 상대적으로 어두운 색상의 값으로 표현된다. 즉, 광조사 스팟(S)이 일정주기로 밝은 색과 어두운 색으로 표현됨으로써, 서로의 밝기를 상쇄시키는 효과를 가져온다.
다시 설명하면, 광조사 스팟(S)은 정해진 시간 동안 상대적으로 밝은 색상의 스팟으로 표시되고, 보다 길어진 전원인가 시간차(Δt) 값이 설정된 상태에서 동일한 시간 동안 상대적으로 어두운 색상의 스팟으로 표시되며, 이러한 형태가 반복되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내용에 의하면, 전원인가 시간차(Δt)는 제1 시간차(Δt1), 제2 시간차(Δt2)의 두 개의 값을 갖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광조사 스팟(S)의 밝기가 서로 상쇄될 수 있는 것이라면 전원인가 시간차는 제한되지 않고, 짝수 개의 값, 즉, 2n 개(단, n은 자연수)의 값을 가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서로 대응되는 전원인가 시간차(Δt) 들(제1 시간차와 제2 시간차) 간의 지속 시간이 서로 동일하게 유지된다면, 지속시간의 절대적인 값도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시간차(제1주기), 제2 시간차(제1주기), 제1 시간차(제2주기), 제2 시간차(제2주기) 각각의 지속시간은 순서대로 1분, 1분, 1분, 1분이 될 수도 있고, 또는, 순서대로 1분, 1분, 30초, 30초의 형태가 될 수 있는 것이다.
도 6은 도 4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근접센서 제어방법에서 전원인가 시간차를 제어하여 광조사 스팟의 열화를 방지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조사 스팟(S)에 노출된 픽셀들이 서로 상쇄되는 밝기를 교대로 표시함으로써, 해당 픽셀 들이 특정 밝기를 표현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열화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다시 설명하면, 광조사부(130)의 광조사 타이밍을 정해진 주기적으로 조절함으로써, 광조사 스팟(S)의 순간적인 화이트 블링킹 현상을 없앨 뿐만 아니라, 특정 밝기의 색을 표현함으로써 발생하여 픽셀이 열화되는 현상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도 7은 도 1의 근접센서와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의 근접센서를 상시표시영역에 설치하는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광조사부(122)의 위치, 즉, 광조사 스팟(S)의 위치를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컨텐츠를 표시하는 경우, 즉, 구동시에는 상시적으로 표시되는 아이콘의 위치에 설치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10) 구동시에는 전자장치의 현재 상태를 나타내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상태 아이콘(status bar icon)을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정해진 위치 상에 상시 표시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패널(110) 구동시에 상시 표시되는 영역을 '상시표시영역(112)' 이라 정의 한다.
한편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상시표시영역(112) 상의 상태 아이콘은 무선통신상태(와이파이/LTE), 무선신호, 통신사 정보, 배터리 상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광조사부(122)는 상태 아이콘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돌 수 있다.
상술한 방법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주사 주기와 동기화된 주기로 광조사부(130)로부터 광을 조사하는 경우에도, 화이트 블링킹 현상은 배제할 수 있으나, 광조사 스팟(S)이 특정한 밝기로 표시되는 것 자체는 차단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광조사부(122)의 배치를 통하여, 광조사 스팟(S)을 상태 아이콘과 겹치게 배치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광조사부(122)의 동작으로 인한 이질감을 느끼지 않고, 광조사부(122)가 없는 것과 동일하게 표시되는 화면을 감상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10 : 디스플레이 패널 120 : 근접센서
121 : 센서부 122 : 광조사부
123 : 수광부 130 : 광제어부

Claims (8)

  1.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측으로 근접하는 물체를 감지하기 위한 근접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근접센서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부에 설치되며 광을 조사시키는 광조사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광조사부로부터 조사된 광을 감지하는 수광부; 및
    상기 광조사부를 제어하는 광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광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주사율에 따라 상기 광조사부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조사 주기를 제어하고,
    상기 광제어부는 상기 광조사부의 광조사 주기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주사 주기와 동기화하여, 상기 광조사부가 위치한 광조사 스팟이 반짝거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센서와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는 구동 시에 상시적으로 소정 형태의 아이콘이 표시되는 상시표시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광조사부는 상기 상시표시영역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센서와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제어부는 상기 광조사부가 위치한 영역의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원 인가 타이밍과 상기 광조사부의 전원인가 타이밍 간의 전원인가 시간차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센서와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광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주기 동안 상기 전원인가 시간차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접센서와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
  6. 청구항1에 의한 근접센서와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의 근접센서 제어방법으로써,
    광제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의 디스플레이 구동 드라이버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주사율을 포함하는 제어정보를 획득하는 감지단계; 및
    상기 광제어부를 통해 상기 제어정보를 기반으로 광조사부의 광조사 주기를 제어하는 광조사 주기 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근접센서 제어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광조사부가 위치한 디스플레이 패널 픽셀의 전원 인가 타이밍과 광조사부의 전원인가 타이밍 간의 전원인가 시간차를 제어하는 시간차 제어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근접센서 제어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시간차 제어단계는,
    각각이 서로 다른 값의 전원인가 시간차를 갖는 복수 개의 주기를 갖도록 광조사부의 전원인가 타이밍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근접센서 제어방법.
KR1020190104400A 2019-08-26 2019-08-26 근접센서와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 및 디스플레이 패널의 근접센서 제어방법 KR1022236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4400A KR102223688B1 (ko) 2019-08-26 2019-08-26 근접센서와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 및 디스플레이 패널의 근접센서 제어방법
PCT/KR2020/010595 WO2021040270A1 (ko) 2019-08-26 2020-08-11 근접센서와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 및 디스플레이 패널의 근접센서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4400A KR102223688B1 (ko) 2019-08-26 2019-08-26 근접센서와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 및 디스플레이 패널의 근접센서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3688B1 true KR102223688B1 (ko) 2021-03-05

Family

ID=74685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4400A KR102223688B1 (ko) 2019-08-26 2019-08-26 근접센서와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 및 디스플레이 패널의 근접센서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23688B1 (ko)
WO (1) WO2021040270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06190A1 (en) * 2009-07-10 2011-01-13 Motorola, Inc. Devices and Methods for Adjusting Proximity Detectors
KR101579388B1 (ko) * 2011-08-31 2015-12-21 애플 인크. 근접 센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86386B1 (en) * 2007-09-21 2009-02-03 Silison Laboratories Inc. Optical reflectance proximity sensor
US8275412B2 (en) * 2008-12-31 2012-09-25 Motorola Mobility Llc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directional proximity sensors based on device orientation
KR20100081052A (ko) * 2009-01-05 2010-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근접 센서를 이용한 감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20170060353A (ko) * 2015-11-24 2017-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거리 측정 센서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06190A1 (en) * 2009-07-10 2011-01-13 Motorola, Inc. Devices and Methods for Adjusting Proximity Detectors
KR101579388B1 (ko) * 2011-08-31 2015-12-21 애플 인크. 근접 센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40270A1 (ko) 2021-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94986B2 (en) Fingerprint detection apparatus and terminal device having fingerprint identification function
KR10264906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9348502B2 (en) Dimming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JP4139189B2 (ja) 液晶表示装置
US10380961B2 (en)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display device
US10262569B2 (en) Control device, display device configured to adjust the grayscale of a displayed image in which flicker is easily recognizab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device
KR20180059017A (ko) 전계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EP3522146B1 (en) Method for sensing light
TW200617840A (en)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JP2001142409A (ja) 映像表示装置および映像表示装置における照明制御方法
JP2009505130A (ja) スキャンバックライトを有する液晶ディスプレイ
TWI680446B (zh) 液晶顯示裝置及其驅動方法
JP5247139B2 (ja) 表示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電子機器
CN108780627B (zh) 一种液晶显示屏的背光功率控制方法及液晶显示屏
JP2014116944A (ja) バックライト駆動方法、バックライト駆動装置及びディスプレイ装置
KR20160084937A (ko) 액정 표시 장치
KR102223688B1 (ko) 근접센서와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는 전자 장치 및 디스플레이 패널의 근접센서 제어방법
CN104756041B (zh) 显示内容的方法和装置
TW200731188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20160035314A1 (en) Display with field sequential color (fsc) for optical communication
JP2014006456A (ja) 表示装置
US20170025073A1 (en) Displaying method and displaying apparatus
US8952941B2 (en) Energy-efficient display apparatus with object-sensing capability
JP2007140065A (ja) 液晶表示装置
KR20150004138A (ko) 위치 감지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