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2333B1 - 삼방밸브 - Google Patents

삼방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2333B1
KR102222333B1 KR1020190083887A KR20190083887A KR102222333B1 KR 102222333 B1 KR102222333 B1 KR 102222333B1 KR 1020190083887 A KR1020190083887 A KR 1020190083887A KR 20190083887 A KR20190083887 A KR 20190083887A KR 102222333 B1 KR102222333 B1 KR 1022223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flow path
plunger
passage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3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8224A (ko
Inventor
장사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 에너지 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 에너지 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 에너지 시스템
Priority to KR1020190083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2333B1/ko
Publication of KR202100082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82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2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23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1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two or more closure members not moving as a unit
    • F16K11/105Three-way check or safety valves with two or more closur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36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5/00Details relating to contact between valve members and seats
    • F16K25/02Arrangements using fluid issuing from valve members or sea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t Valv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삼방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하로 구동 가능한 플런저를 포함하는 밸브부제를 통해 유체가 흐르는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가능하고, 그 구조가 견고하며 용이하게 분해 및 정비가 가능한 삼방밸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삼방밸브{Three-way Valve}
본 발명은 삼방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하로 구동 가능한 플런저를 포함하는 밸브부제를 통해 유체가 흐르는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가능하고, 그 구조가 견고하며 용이하게 분해 및 정비가 가능한 삼방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삼방밸브는 밸브몸체에 하나의 유체공급유로와 두 개의 유체배출유로로 구성된 3방향의 유체유로가 형성되면서 유체공급유로를 통해 밸브몸체 내로 유입된 유체가 밸브 포펫의 이동에 의해 두 개의 유체배출유로가 절환 되면서 선택적으로 배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삼방밸브를 보일러시스템에 적용할 경우, 유체공급유로는 보일러의 주 열 교환기에 연결될 수 있고, 제1유체배출유로는 난방공급 관에 연결되면서 제2유체배출구는 급탕 열 교환기 측으로 연결된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삼방밸브는 하기의 특허문헌 1과 같이 샤프트의 단부에 구비된 패킹이 밸브몸체로부터 해체될 수 없는 구조이거나, 하기의 특허문헌 3과 같이 샤프트의 플런저가 밸브몸체로부터 해체될 수 없도록 구성되어 사용 중 유지보수 또는 교체 등의 정비가 불가능하고, 이로 인해 수명이 단축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공개특허공보 10-2009-0055322호(보일러용 삼방밸브) 공개특허공보 10-2013-0058595호(전동삼방밸브) 등록특허공보 10-1303125호(삼방밸브)
본 발명은 상하로 구동 가능한 플런저를 포함하는 밸브부제를 통해 유체가 흐르는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가능하고, 그 구조가 견고하며 용이하게 분해 및 정비가 가능한 삼방밸브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삼방밸브로서, 제1유로, 제2유로, 제3유로 및 접속포트를 포함하는 밸브바디; 및 상기 접속포트에 삽입되어 상기 제1유로 및 상기 제2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밸브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부재는, 상기 밸브부재의 상하로 구동 가능하여 상기 제1유로 및 상기 제2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플런저; 를 포함하는, 삼방밸브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플런저는, 상기 제1유로 및 상기 제2유로에 각각 구비된 제1밸브시트 및 제2밸브시트에 접촉하여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패드; 및 상기 플런저의 구동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상기 밸브패드를 상하로 구동시키는 밸브샤프트; 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패드는 상기 밸브샤프트에 관통 고정되어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플런저는, 상기 밸브패드의 상단에 위치한 치형유로편 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플런저의 상하 구동에 따라 상기 제1밸브시트에서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실린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플런저는, 상기 밸브패드의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플런저의 상하 구동에 따라 상기 제2밸브시트를 개폐하는 유량편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유량편은, 상기 플런저의 상하 구동에 따라 상기 제2밸브시트를 통해 유동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유로홈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밸브부재는, 상기 밸브샤프트에 복원력을 가하는 스프링부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부재는, 상기 밸브샤프트에 상기 접속포트 외측 방향으로 힘을 가하고 이에 따라 상기 밸브샤프트의 상단은 상기 밸브부재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밸브부재는, 상기 제1밸브시트에 접촉 고정되어 상기 제1유로와 연결된 유로를 형성하는 치형유로편 부재로 이루어지는 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실린더는, 상기 제1밸브시트와 접촉되고, 상기 밸브패드와 접촉하여 상기 제1유로의 유체 유동을 제어하는 제3밸브시트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밸브샤프트의 직선 상하운동에 따라 제1유로 및 제2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유체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밸브바디에 구비된 접속포트에 밸브부재가 회전결합하고, 밸브부재의 각 부품은 멈춤링 등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밸브부재의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여 삼방밸브의 보수 및 부품교환 등 정비가 용이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플런저에 치형유로편으로 구성되는 밸브실린더를 포함하여 상하로 구동하는 플런저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플런저의 밸브실린더가 제1밸브시트에 삽입되어 상하운동 함으로써 플런저가 이탈하지 않도록 하여 동작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량편 및 밸브실린더의 형상에 의해 플런저의 구동에 따른 유로의 개폐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수격현상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삼방밸브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삼방밸브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런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삼방밸브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삼방밸브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삼방밸브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피스톤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용 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삼방밸브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런저 및 실린더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삼방밸브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삼방밸브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삼방밸브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삼방밸브는 제1유로(110), 제2유로(120), 제3유로(130) 및 접속포트(140)를 포함하는 밸브바디(100); 및 상기 접속포트(140)에 삽입되어 상기 제1유로(110) 및 상기 제2유로(120)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밸브부재(200); 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밸브바디(100)에는 세 개의 유로(110)(120)(130)와 하나의 접속포트(140)가 십자형으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접속포트(140)에 밸브부재(200)가 삽입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밸브부재(200)가 상기 제1유로(110) 및 상기 제2유로(120)를 선택적으로 개폐함으로써 상기 제3유로(130)와 연결되는 유로를 선택하여 연결된 유로간의 유체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밸브부재(200)는, 상기 밸브부재(200)의 상하로 구동 가능하여 상기 제1유로(110) 및 상기 제2유로(120)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플런저(210);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런저(210)는 상기 접속포트(140)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밸브부재(200)에서 상하로 구동 가능하여, 상기 밸브바디(100)내에 구비된 제1유로(110), 제2유로(120) 및 제3유로(130)를 연결하는 연결유로에서 이동함으로써 유로를 형성 또는 폐쇄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제1유로(110) 및 상기 제2유로(120)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밸브부재(200)는 상기 접속포트(140)에 구비된 나사산을 통해 회전결합 할 수 있고, 상기 플런저(210)는 상기 밸브부재(200)에서 상하로 구동하여 상기 밸브바디(100)내에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밸브부재(200)가 상기 접속포트(140)에 회전결합 함으로써 용이하게 분리 결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용이하게 상기 삼방밸브의 유지 보수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삼방밸브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밸브부재(200)는 상기 접속포트(140)에 고정되는 밸브바디(220); 및 상기 밸브부재(200)의 상하로 구동 가능하여 상기 제1유로(110) 및 상기 제2유로(120)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플런저(210); 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밸브바디(220)는 상기 접속포트(140)에 구비된 나사산과 결합하기 위하여 나사산(221)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플런저(210)는, 상기 제1유로(110) 및 상기 제2유로(120)에 각각 구비된 제1밸브시트(111) 및 제2밸브시트(121)에 접촉하여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패드(211); 상기 플런저(210)의 구동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상기 밸브패드(211)를 상하로 구동시키는 밸브샤프트(212); 상기 밸브패드(211)의 상단에 위치한 치형유로편 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플런저(210)의 상하 구동에 따라 상기 제1밸브시트(111)에서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실린더(213); 및 상기 밸브패드(211)의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플런저(210)의 상하 구동에 따라 상기 제2밸브시트(121)를 개폐하는 유량편(214); 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밸브실린더(213), 상기 밸브패드(211) 및 상기 유량편(214)은 상기 밸브샤프트(212)에 관통 고정되어 분리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밸브실린더(213), 상기 밸브패드(211) 및 상기 유량편(214)은 멈춤링(215)에 의해 상기 밸브샤프트(212)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밸브실린더(213), 상기 밸브패드(211) 및 상기 유량편(214) 외에도 상기 밸브샤프트(212)에 고정되는 부품들 또한 멈춤링(215)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용이하게 상기 밸브샤프트(212)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접속포트(140)에 삽입되는 밸브부재(200)가 용이하게 분리 결합이 가능하여 보수 및 부품교환 등 정비가 용이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밸브부재(200)는, 상기 밸브샤프트(212)에 복원력을 가하는 스프링부재(230);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프링부재(230)의 일단은 상기 밸브샤프트(212)에 고정된 멈춤링(215)에 접촉되고, 타단은 상기 밸브바디(220)에 접촉됨으로써 상기 밸브샤프트(212)가 상기 밸브바디(220)에 대해 복원력을 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프링부재(230)는, 상기 밸브샤프트(212)에 상기 접속포트(140) 외측 방향으로 힘을 가하고 이에 따라 상기 밸브샤프트(212)의 상단은 상기 밸브부재(200)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도 2에는 이와 같이 돌출된 상기 밸브샤프트(212)의 상단이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돌출된 상기 밸브샤프트(212)의 상단에 누르는 힘을 가하여 상기 플런저(210)를 하강시킬 수 있고, 상기 밸브샤프트(212)의 상단에 누르는 힘을 제거함으로써 상기 스프링부재(230)에 의해 상기 플런저(210) 상승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플런저(212)의 하강 및 상승에 의해 삼방밸브는 연결된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런저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에는 상기 도 3에 도시된 플런저(120)의 구성품 중 밸브패드(211), 밸브실린더(213), 유량편(214) 및 멈춤링(215)을 상세히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밸브실린더(213)는 치형유로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밸브실린더(213)는 복수의 유로격벽(213.1)과 상기 유로격벽(213.1)과 이웃한 유로격벽(213.1) 사이를 연결하는 격벽이음부(21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로격벽(213.1)과 이웃한 유로격벽(213.1) 사이의 공간을 통해 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격벽이음부(213.2)는 아래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는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격벽이음부(213.2)는 기설정된 곡선 형태를 취하여 상기 밸브실린더(213)를 통해 형성되는 유로의 면적을 조절하여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유량편(214)은, 상기 플런저(210)의 상하 구동에 따라 상기 제2밸브시트(121)를 통해 유동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유로홈(214.1)이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유로홈(214.1)은 하부로 갈수록 점점 그 폭이 넓어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유량편(214)가 상승함에 따라 상기 제2밸브시트(121)를 통해 유동하는 유량이 커지도록 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량편(214)은 하부로 갈수록 점점 그 폭이 넓어지고, 폭의 증가율 또한 증가하는 곡선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곡선 형태를 취함으로써 상기 제2밸브시트(121)를 통해 유동하는 유량을 정밀하게 제어 가능하고, 상기 플런저(210)의 상하 구동에 따라 유로가 개방 혹은 폐쇄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수격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삼방밸브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삼방밸브에서 상기 플런저(210)가 하강하여 저점에서 상기 플런저(210)의 밸브패드(211)가 상기 제2유로(120) 상단에 마련된 제2밸브시트(121)에 접촉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2유로(120)가 차단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제1유로(110)와 상기 제3유로(130) 사이에 위치한 제1밸브시트(111) 사이에는 밸브실린더(213)가 위치하지만, 상기 밸브실린더(213)는 치형유로편 부재로 구성되어 구비된 치형유로를 통해 상기 제3유로(130)로 유체가 유동할 수 있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삼방밸브에서 상기 플런저(210)가 저점과 고점의 중간에 위치하여 상기 플런저(210)의 밸브패드(211)가 상기 제2유로(120) 상단에 마련된 제2밸브시트(121)와 이격 되어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제2유로(120)가 개방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제1밸브시트(111) 사이에는 도 5와 마찬가지로 밸브실린더(213)가 위치하지만, 치형유로를 통해 유체가 유동할 수 있다. 즉, 도 6의 사용상태에서는 상기 제1유로(110) 및 상기 제2유로(120)가 모두 개방되어 양 측의 유로에서 동시에 상기 제3유로(130)로 유체가 유동할 수 있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삼방밸브에서 상기 플런저(210)가 고점에서 상기 플런저(210)의 밸브패드(211)가 상기 제1유로(110)와 상기 제3유로 사이에 위치한 제1밸브시트(111)에 접촉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1유로(110)가 차단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제2유로 상단에 마련된 제2밸브시트(121) 사이에는 유량편(214)이 위치하지만, 상기 유량편에는 유로홈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유로홈을 통해 상기 제3유로(130)로 유체가 유동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런저(210)의 경우 상기 밸브실린더(213)가 상기 제1밸브시트(111)에 삽입되어 상하로 구동함으로써 상기 플런저(210)가 좌우로 이탈되지 않고, 상하로 구동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브실린더(213)가 치형유로편으로 구성되어 상기 플런저(210)가 도 5에서와 같이 하강한 경우 밸브실린더(213)의 유로격벽(213.1) 사이에 마련된 유로를 통해 상기 제1유로(110)와 상기 제3유로(130)사이의 유체의 유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유로격벽(213.1)을 연결하는 격벽이음부(213.2)의 형태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밸브실린더(213)의 상하 구동에 따라 상기 제1유로(110)와 상기 제3유로(130)사이에 형성되는 유로의 면적을 조절하고, 이에 따라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피스톤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용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피스톤(213)이 상기 제1밸브시트(111)에서 상하로 구동함에 따라 형성되는 유로의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밸브피스톤(213)의 격벽이음부(213.2)는 2차 곡선의 형태를 가진다. 이를 통해 상기 유로격벽(213.1) 및 격벽이음부(213.2)에 의해 형성되는 유로 또한 2차곡선의 형태를 갖게 된다.
도 8의 (a)는 상기 밸브피스톤(213)이 고점에서 하강하여 상기 제1밸브시트(111)에서 유로가 형성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밸브피스톤(213)은 상기 격벽이음부(213.2)와 상기 제1밸브시트(111)에 의해 상기 제1유로(110)와 상기 제3유로(130)를 연결하는 유로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유로가 상기 도 8에서 어둡게 표시되어 있다. 이 때, 상기 격벽이음부(213.2)에 의하여 형성된 유로의 높이가 h1이라 하면, 상기 유로의 단면적은 하기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19071202219-pat00001
이 때 n은 상기 유로격벽(213.1) 및 상기 격벽이음부(213.2)에 의하여 형성되는 유로의 수 이고, a는 상수이다.
또한, 도 8의 (b)는 상기 밸브피스톤(213)이 더욱 하강하여 상기 제1밸브시트(111)에서 유로가 형성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이 때, 상기 격벽이음부(213.2)에 의하여 형성된 유로의 높이가 h2라 하면, 상기 유로의 단면적은 하기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19071202219-pat00002
또한, 도 8의 (c)는 상기 밸브피스톤(213)이 더욱 하강하여 상기 제1밸브시트(111)에서 유로가 형성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이 때, 상기 격벽이음부(213.2)에 의하여 형성된 유로의 높이가 h3이라 하면, 상기 유로의 단면적은 하기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19071202219-pat00003
이와 같이 상기 플런저(210)의 상하 구동에 따라 상기 밸브피스톤(213)이 상하로 구동하여 형성되는 상기 제1유로 및 상기 제3유로 사이의 유로의 면적은 상기 격벽이음부(213.2)에 의하여 형성된 유로의 높이의 3/2제곱에 비례하게 된다. 즉, 상기 플런저(210)의 상하 구동량에 따라 상기 제1유로 및 상기 제3유로 사이의 유로의 면적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밸브피스톤(213)의 유로격벽(213.1)과 격벽이음부(213.2)의 형상에 따라 상기 플런저(210)의 상하구동에 따른 상기 제1유로 및 상기 제3유로 사이의 유로의 면적의 관계를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플런저(210)의 구동에 따른 유로 면적의 변화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플런저(210)의 상하구동에 따라 상기 제1밸브시트의 유로가 개폐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수격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2에는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것과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삼방밸브가 도시되어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삼방밸브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삼방밸브는, 제1유로(110), 제2유로(120), 제3유로(130) 및 접속포트(140)를 포함하는 밸브바디(100); 및 상기 접속포트(140)에 삽입되어 상기 제1유로(110) 및 상기 제2유로(120)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밸브부재(200); 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밸브바디(100)에는 세 개의 유로(110)(120)(130)와 하나의 접속포트(140)가 십자형으로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접속포트(140)에 밸브부재(200)가 삽입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밸브부재(200)가 상기 제1유로(110) 및 상기 제2유로(120)를 선택적으로 개폐함으로써 상기 제3유로(130)와 연결되는 유로를 선택하여 연결된 유로간의 유체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밸브부재(200)는, 상기 밸브부재(200)의 상하로 구동 가능하여 상기 제1유로(110) 및 상기 제2유로(120)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플런저(210);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런저(210)는 상기 접속포트(140)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밸브부재(200)에서 상하로 구동 가능하여, 상기 밸브바디(100)내에 구비된 제1유로(110), 제2유로(120) 및 제3유로(130)를 연결하는 연결유로에서 이동함으로써 유로를 형성 또는 폐쇄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제1유로(110) 및 상기 제2유로(120)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밸브부재(200)는, 상기 제1밸브시트(111)에 접촉 고정되어 상기 제1유로(110)와 연결된 유로를 형성하는 치형유로편 부재로 이루어지는 실린더(2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240)는 상기 밸브부재(200)의 밸브바디(200)와 고정되고, 상기 밸브바디(200)가 상기 접속포트(140)에 삽입되어 고정됨에 따라 상기 실린더(240)의 하단부가 상기 제1밸브시트(111)에 접촉 고정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런저 및 실린더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10에는 상기 실린더(240)와 상기 플런저(120)의 구성품이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실린더(240)는, 상기 제1밸브시트(111)와 접촉되고, 상기 밸브패드(214)와 접촉하여 상기 제1유로(110)의 유체 유동을 제어하는 제3밸브시트(112)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실린더(240)의 하단은 상기 제1밸브시트(111)와 접촉되어 상기 제1유로(110)를 폐쇄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실린더(240)의 하단에 제3밸브시트(241)를 구비하여 상기 제1유로(110)와 상기 제3유로(130) 사이에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밸브패드(211)는 상기 플런저(210)의 상하 구동에 따라 상기 제3밸브시트(241)와 접촉하여 상기 제3밸브시트(241)를 폐쇄함으로써 상기 제1유로(110)의 유체 유동을 제어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실린더(240)는 O링(245)을 포함하여 상기 제1밸브시트(111)와 접촉하여 상기 제1밸브시트(111)와 상기 실린더(240) 사이의 유체 유동을 폐쇄하여 상기 제3밸브시트(214)만으로 유체가 유동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유량편(214)은, 상기 플런저(210)의 상하 구동에 따라 상기 제2밸브시트(121)를 통해 유동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유로홈(214.1)이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유로홈(214.1)은 하부로 갈수록 점점 그 폭이 넓어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유량편(214)가 상승함에 따라 상기 제2밸브시트(121)를 통해 유동하는 유량이 커지도록 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량편(214)은 하부로 갈수록 점점 그 폭이 넓어지고, 폭의 증가율 또한 증가하는 곡선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곡선 형태를 취함으로써 상기 제2밸브시트(121)를 통해 유동하는 유량을 정밀하게 제어 가능하고, 상기 플런저(210)의 상하 구동에 따라 유로가 개방 혹은 폐쇄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수격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삼방밸브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은 상기 도 9 내지 도 12과 같이 상기 플런저(210)의 상하구동에 따라 상기 제1유로(110) 및 상기 제2유로(120)가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모습을 도시한다.
도 1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삼방밸브에서 상기 플런저(210)가 하강하여 저점에서 상기 플런저(210)의 밸브패드(211)가 상기 제2유로(120) 상단에 마련된 제2밸브시트(121)에 접촉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2유로(120)가 차단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제1유로(110)와 상기 제3유로(130) 사이에 위치한 제1밸브시트(111)에는 실린더(240)가 위치하고, 상기 실린더(240)의 제3밸브시트(241)를 통해 상기 제3유로(130)로 유체가 유동할 수 있다.
도 1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삼방밸브에서 상기 플런저(210)가 고점에서 상기 플런저(210)의 밸브패드(211)가 상기 실린더(240)의 제3밸브시트(241)에 접촉되고, 이에 따라 상기 제1유로(110)가 차단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제2유로 상단에 마련된 제2밸브시트(121) 사이에는 유량편(214)이 위치하지만, 상기 유량편에는 유로홈이 구비되어 있어 상기 유로홈을 통해 상기 제3유로(130)로 유체가 유동할 수 있다.
도면을 통해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플런저(210)가 저점과 고점의 중간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플런저(210)의 밸브패드(211)가 상기 제2밸브시트(121) 및 상기 제3밸브시트(241)와 모두 이격 되어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제2유로(120)와 상기 제1유로(110) 모두가 개방되어 양 측의 유로에서 동시에 상기 제3유로(130)로 유체가 유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밸브샤프트의 직선 상하운동에 따라 제1유로 및 제2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유체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밸브바디에 구비된 접속포트에 밸브부재가 회전결합하고, 밸브부재의 각 부품은 멈춤링 등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밸브부재의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여 삼방밸브의 보수 및 부품교환 등 정비가 용이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플런저에 치형유로편으로 구성되는 밸브실린더를 포함하여 상하로 구동하는 플런저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플런저의 밸브실린더가 제1밸브시트에 삽입되어 상하운동 함으로써 플런저가 이탈하지 않도록 하여 동작안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량편 및 밸브실린더의 형상에 의해 플런저의 구동에 따른 유로의 개폐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수격현상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 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밸브바디
110: 제1유로 111: 제1밸브시트
120: 제2유로 121: 제2밸브시트
130: 제3유로 140: 접속포트
200: 밸브부재
210: 플런저 211: 밸브패드
212: 밸브샤프트 213: 밸브실린더
213.1: 유로격벽 213.2: 격벽이음부
214: 유량편 214.1: 유로홈
215: 멈춤링
220: 밸브바디 221: 나사산
230: 스프링부재 240: 실린더
241: 제3밸브시트 245: O링

Claims (7)

  1. 삼방밸브로서,
    제1유로, 제2유로, 제3유로 및 접속포트를 포함하는 밸브바디; 및
    상기 접속포트에 삽입되어 상기 제1유로 및 상기 제2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밸브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부재는,
    상기 밸브부재의 상하로 구동 가능하여 상기 제1유로 및 상기 제2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플런저; 를 포함하고,
    상기 플런저는,
    상기 제1유로 및 상기 제2유로에 각각 구비된 제1밸브시트 및 제2밸브시트에 접촉하여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패드; 및
    상기 플런저의 구동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상기 밸브패드를 상하로 구동시키는 밸브샤프트; 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패드는 상기 밸브샤프트에 관통 고정되어 분리될 수 있고,
    상기 플런저는,
    상기 밸브패드의 상단에 위치한 치형유로편 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플런저의 상하 구동에 따라 상기 제1밸브시트에서 유로를 개폐하는 밸브실린더;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밸브실린더는 복수의 유로격벽 및 상기 유로격벽과 이웃한 유로격벽 사이를 연결하는 격벽이음부를 포함하여 상기 유로격벽과 이웃한 유로격벽 사이의 공간을 통해 유체가 유동할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격벽이음부는 아래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는 형태를 취하는, 삼방밸브.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는,
    상기 밸브패드의 하단에 위치하여 상기 플런저의 상하 구동에 따라 상기 제2밸브시트를 개폐하는 유량편; 을 더 포함하는, 삼방밸브.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유량편은,
    상기 플런저의 상하 구동에 따라 상기 제2밸브시트를 통해 유동되는 유체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유로홈이 구비된, 삼방밸브.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재는,
    상기 밸브샤프트에 복원력을 가하는 스프링부재;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부재는,
    상기 밸브샤프트에 상기 접속포트 외측 방향으로 힘을 가하고 이에 따라 상기 밸브샤프트의 상단은 상기 밸브부재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는, 삼방밸브.
  6. 삭제
  7. 삭제
KR1020190083887A 2019-07-11 2019-07-11 삼방밸브 KR1022223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3887A KR102222333B1 (ko) 2019-07-11 2019-07-11 삼방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3887A KR102222333B1 (ko) 2019-07-11 2019-07-11 삼방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8224A KR20210008224A (ko) 2021-01-21
KR102222333B1 true KR102222333B1 (ko) 2021-03-04

Family

ID=74237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3887A KR102222333B1 (ko) 2019-07-11 2019-07-11 삼방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233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11680A (ja) * 2002-06-04 2004-01-15 Tgk Co Ltd 三方切換弁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5322A (ko) 2007-11-28 2009-06-02 이동호 보일러용 삼방밸브
KR101303125B1 (ko) 2011-08-26 2013-09-09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삼방밸브
JP5606511B2 (ja) 2011-11-25 2014-10-15 浙江三花股▲分▼有限公司 電動切換弁
KR20170044788A (ko) * 2015-10-15 2017-04-26 주식회사 한 에너지 시스템 삼방밸브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11680A (ja) * 2002-06-04 2004-01-15 Tgk Co Ltd 三方切換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8224A (ko) 2021-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05215C2 (ru) Управляющий приводной клапан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в скважине, соленоид, примененный в данном клапане,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главным клапаном в скважине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данного клапана и способ изменения скоростей потоков жидкостей в скажине
RU2011113764A (ru) Клапанный узел
RU2011130534A (ru) Клапанный узел
CN108253157B (zh) 膨胀开关阀
KR102222333B1 (ko) 삼방밸브
CN102606770A (zh) 三通电磁阀
KR101303125B1 (ko) 삼방밸브
JP5993000B2 (ja) 弁、特に圧力調整弁又は圧力制限弁
US20140345731A1 (en) Bistable fluid valve
US10071236B2 (en) Total isolation diverter valve
EP3088779B1 (en) Soft throttling valve
KR20220128533A (ko) 가변식 정유량밸브
CN104541067B (zh) 脉冲控制型线性致动器
JP5454028B2 (ja) 方向制御弁装置
KR20170044788A (ko) 삼방밸브
CN112145704A (zh) 流量控制阀
EP3699464B1 (en) Three-way valve drivable by a pump
JP7480273B2 (ja) 形状記憶合金制御素子を具備する平衡圧力2ゾーン流体弁
RU2276752C2 (ru) Регулирующий клапан
JP5707055B2 (ja) 三方切換弁
EP2894353B1 (en) Electrohydraulic control valve
KR101595982B1 (ko) 유압식 체크 밸브를 포함하는 마이크로 펌프
KR100578152B1 (ko) 콘트롤 체크 밸브
WO2003040600A1 (en) Level regulating valve controlled by fluid pressure difference
JP2017504772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