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2260B1 - 작업복 세탁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작업복 세탁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2260B1
KR102222260B1 KR1020190139186A KR20190139186A KR102222260B1 KR 102222260 B1 KR102222260 B1 KR 102222260B1 KR 1020190139186 A KR1020190139186 A KR 1020190139186A KR 20190139186 A KR20190139186 A KR 20190139186A KR 102222260 B1 KR102222260 B1 KR 1022222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ork
worker
laundry
work cloth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9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명선
Original Assignee
에스엠피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엠피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엠피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39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22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2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22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18Condition of the laundry, e.g. nature or weigh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93/00Counting, sorting, or mark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aundry purposes
    • D06F93/005Mark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작업복 세탁 관리 시스템은, 다수의 작업공간으로 구성된 작업장 내에 다수개 마련되어 작업자가 입은 작업복 일측에 설치된 RFID 태그의 IC칩 내 저장된 식별코드를 읽어 작업자별 작업내역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RFID 리더 유닛; 상기 RFID 리더 유닛을 통해 생성된 작업자별 작업 내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 관리하며, 세탁업체 서버로부터 수신된 작업복 세탁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 관리하며, 상기 RFID 리더 유닛 및 세탁업체 서버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기반으로 작업자별 작업복의 세탁 필요 여부에 대해 판단한 판단정보를 생성하는 관리 서버; 세탁이 불필요한 작업복이 보관영역으로 이송되게 마련된 제1이송라인 및 세탁이 필요한 작업복이 상기 세탁업체를 통해 수거될 수 있도록 수거영역으로 이송되게 마련된 제2이송라인을 포함하는 이송 유닛; 및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생성된 판단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판단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작업장에서 퇴실한 작업자가 회수영역에 벗어 놓은 작업복에 설치된 상기 RFID 태그의 IC칩을 읽어 상기 이송 유닛 내 이송라인별로 작업복이 분류되어 이송되도록 하는 세탁물 분류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작업복 세탁 관리 시스템 {SYSTEM FOR WORKING CLOTHES LAUNDRY MANAGEMENT}
본 발명은 작업복 세탁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많은 산업분야에서는 제품의 식별을 통한 종합 관리를 위해 다양한 기술들이 적용되고 있는데 특히 의류 관리를 위한 시스템에는 RFID 기술을 의류 자체에 적용하여 신속하고 정확한 통합 관리 기능의 개선은 물론이고 다양한 기능들의 부가를 시도하고 있다.
이러한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는 주파수를 이용해 ID를 식별하는 방식의 기술로, 고유식별코드와 같은 정보를 기록할 수 있는 IC칩과 전파를 송,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로 구성된 RFID 태그(Tag) 및 RFID 태그와 통신하여 정보의 송, 수신을 수행하고 태그로부터 수집된 정보를 별도의 관리 서버로 전송할 수 있도록 안테나, 제어모듈, RF장치, 통신모듈 등으로 구성되는 RFID 리더기(Reader)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RFID 태그와 RFID 리더기 간의 정보 송, 수신형태는 리더기가 태그로 전파를 송신하면 태그는 수신된 전파로부터 에너지를 얻어 활성화되고, 이에 따라 활성화된 태그는 IC칩에 저장된 정보를 전파에 실어 리더기로 송신하는 방식이 일반적이다.
구체적으로, RFID 기술을 의류 관리 분야에 이용하는 방식은 의류의 재고 관리 및 의류 배송 관리에서부터 의류 세탁 관리에 이르기 까지 다양한 형태로 파생되고 있으며, 특히 다수의 작업자들이 동일한 형태의 작업복을 이용하는 산업현장에서 해당 작업복의 세탁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자동화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관련하여 RFID 기술을 적용해 의류의 세탁을 관리하기 위해 마련된 종래기술에 대한 선행문헌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58203호의 "의류 클리닝 시스템 및 방법"(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함)이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을 비롯한 RFID 기술을 이용한 작업복 세탁 관리 시스템의 경우, 기존에 설정된 주기에 맞춰 의류를 세탁 관리하는 시스템을 갖추는데 그쳐 작업복을 이용하는 작업자에 따라 해당 의류의 세탁이 필요한 시점이 제각기 달라지는 부분을 반영하지 못하고, 일괄적으로 시기에 맞춰 세탁을 관리하다보니 세탁이 필요한 작업복이 세탁되지 못하거나 세탁이 불필요한 작업복이 세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특정 작업장 내에서 일하는 작업복의 세탁 과정을 관리함에 있어 작업자 별로 달라지는 작업복의 세탁 시기를 정확하게 개별적으로 파악하여 정말 세탁이 필요한 시점에 작업복이 세탁 할 수 있도록 하는 관리 시스템에 관한 기술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작업복 세탁 관리 시스템은, 다수의 작업공간으로 구성된 작업장 내에 다수개 마련되어 작업자가 입은 작업복 일측에 설치된 RFID 태그의 IC칩 내 저장된 식별코드를 읽어 작업자별 작업내역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RFID 리더 유닛; 상기 RFID 리더 유닛을 통해 생성된 작업자별 작업 내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 관리하며, 세탁업체 서버로부터 수신된 작업복 세탁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 관리하며, 상기 RFID 리더 유닛 및 세탁업체 서버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기반으로 작업자별 작업복의 세탁 필요 여부에 대해 판단한 판단정보를 생성하는 관리 서버; 세탁이 불필요한 작업복이 보관영역으로 이송되게 마련된 제1이송라인 및 세탁이 필요한 작업복이 상기 세탁업체를 통해 수거될 수 있도록 제1수거영역으로 이송되게 마련된 제2이송라인을 포함하는 이송 유닛; 및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생성된 판단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판단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작업장에서 퇴실한 작업자가 회수영역에 벗어 놓은 작업복에 설치된 상기 RFID 태그의 IC칩을 읽어 상기 이송 유닛 내 이송라인별로 작업복이 분류되어 이송되도록 하는 세탁물 분류 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RFID 리더 유닛은, 상기 작업장 출입구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작업장으로 입실하거나 상기 작업장으로부터 퇴실하는 작업자의 작업복에 설치된 상기 RFID 태그의 IC칩을 읽어 식별코드별 작업장 입실 시간 및 퇴실 시간에 대한 제1작업내역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제1RFID 리더부; 및 상기 작업장 내 구획되어 마련된 상기 다수의 작업공간 각각의 출입구 일측에 마련되어 각각의 작업공간으로 입실하거나 각각의 작업공간으로부터 퇴실하는 작업자의 작업복에 설치된 상기 RFID 태그의 IC칩을 읽어 식별코드별 각각의 작업공간 입실 시간 및 퇴실 시간에 대한 제2작업내역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제2RFID 리더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RFID 리더 유닛, 세탁업체 서버 및 세탁물 분류 유닛과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각종 정보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서버 통신부; 상기 세탁업체 서버로부터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세탁내역 정보를 기반으로 식별코드별 작업자의 작업복이 마지막 세탁일로부터 며칠이 경과되었는지에 대한 제1판단정보를 생성하는 제1판단부; 상기 제1RFID 리더부로부터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제1작업내역 정보를 기반으로 식별코드별 작업자의 상기 작업장 출입횟수에 대한 제2판단정보를 생성하는 제2판단부; 상기 제1RFID 리더부로부터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제1작업내역 정보를 기반으로 식별코드별 작업자의 상기 작업장 내 총 작업시간에 대한 제3판단정보를 생성하는 제3판단부; 상기 작업장 내 구획되어 마련된 상기 다수의 작업공간 각각의 작업시간 대비 작업 강도의 수준에 관해 기 설정된 기준 정보 및 상기 제2RFID 리더부로부터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제2작업내역 정보를 기반으로 식별코드별 작업자의 상기 다수의 작업공간 내에서의 총 작업 강도에 대한 제4판단정보를 생성하는 제4판단부;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각종 정보와 상기 제1판단부 내지 상기 제4판단부를 통해 생성되는 제1판단정보 내지 제4판단정보의 저장 관리를 위해 마련된 서버 저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RFID 리더 유닛은, 상기 제1RFID 리더부를 중앙에 두고 작업자의 상기 작업장 출입구 출입방향 기준 일측과 타측에 설치되어, 일측에서 움직임이 선 감지된 후 타측에서 움직임이 후 감지된 경우 작업자의 이동을 작업장 입실로 판단하고, 타측에서 움직임이 선 감지된 후 일측에서 움직임이 후 감지된 경우 작업자의 이동을 작업장 퇴실로 판단하는 한 쌍의 제1적외선 감지부; 및 상기 제2RFID 리더부를 중앙에 두고 작업자의 상기 다수의 작업공간 각각의 출입구 출입방향 기준 일측과 타측에 설치되어, 일측에서 움직임이 선 감지된 후 타측에서 움직임이 후 감지된 경우 작업자의 이동을 작업공간 입실로 판단하고, 타측에서 움직임이 선 감지된 후 일측에서 움직임이 후 감지된 경우 작업자의 이동을 작업공간 퇴실로 판단하는 한 쌍의 제2적외선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RFID 리더부는 상기 한 쌍의 제1적외선 감지부를 통해 작업자의 이동이 작업장 입실로 판단될 경우 상기 한 쌍의 제1적외선 감지부를 통한 움직임 감지 중간에 읽어낸 상기 RFID 태그의 IC칩 내 저장된 식별코드에 대한 작업장 입실 시간을 기록하고, 상기 한 쌍의 제1적외선 감지부를 통해 작업자의 이동이 작업장 퇴실로 판단될 경우 상기 한 쌍의 제1적외선 감지부를 통한 움직임 감지 중간에 읽어낸 상기 RFID 태그의 IC칩 내 저장된 식별코드에 대한 작업장 퇴실 시간을 기록하여 상기 제1작업내역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제2RFID 리더부는 상기 한 쌍의 제2적외선 감지부를 통해 작업자의 이동이 작업공간 입실로 판단될 경우 상기 한 쌍의 제2적외선 감지부를 통한 움직임 감지 중간에 읽어낸 상기 RFID 태그의 IC칩 내 저장된 식별코드에 대한 작업공간 입실 시간을 기록하고, 상기 한 쌍의 제2적외선 감지부를 통해 작업자의 이동이 작업공간 퇴실로 판단될 경우 상기 한 쌍의 제2적외선 감지부를 통한 움직임 감지 중간에 읽어낸 상기 RFID 태그의 IC칩 내 저장된 식별코드에 대한 작업공간 퇴실 시간을 기록하여 상기 제2작업내역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탁물 분류 유닛은, 상기 회수영역 내 설치되며, 상기 작업장에서 퇴실한 작업자가 입고 있던 작업복을 벗어 놓을 수 있는 작업복 안착수단이 상기 이송 유닛 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이송 유닛과 연결되는 형태로 마련된 이동라인; 상기 이동라인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라인을 통해 순차적으로 상기 이송 유닛 측을 향해 이동되는 상기 작업복 안착수단에 놓인 작업복에 설치된 상기 RFID 태그의 IC칩을 읽어내는 제1RFID 리더기; 특정 식별코드에 대한 판단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상기 관리 서버에 전송하고,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전송된 해당 식별코드에 대한 판단정보를 기반으로 세탁물 분류용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신호 생성기; 상기 이동라인의 이동방향 기준 선단 측 상기 이송 유닛과의 연결부위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신호 생성기로부터 생성된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제어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이동라인을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하는 상기 작업복 안착수단을 상기 제1이송라인 또는 제2이송라인으로 분류시키는 제1세탁물 분류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신호 생성기는, 상기 제1RFID 리더기를 통해 읽어진 식별코드에 대해 상기 관리 서버에 요청하여 제공받은 제1판단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식별코드에 대응되는 작업자의 작업복이 마지막 세탁일로부터 기 설정된 세탁 주기정보에 따른 기간을 경과하지 않을 경우 제1제어신호를 생성하고, 해당 식별코드에 대응되는 작업자의 작업복이 마지막 세탁일로부터 기 설정된 세탁 주기정보에 따른 기간을 경과했을 경우 제2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1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세탁물 분류기는 상기 제1제어부로부터 제1제어신호가 수신될 경우 상기 이동라인을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하는 상기 작업복 안착수단을 제1이송라인으로 분류하고, 상기 제1제어부로부터 제2제어신호가 수신될 경우 상기 이동라인을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하는 상기 작업복 안착수단을 제2이송라인으로 분류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이송 유닛은, 상기 제1이송라인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제1이송라인 일측으로부터 상기 제2이송라인 일측으로 상기 작업복 안착수단이 이송되게 마련된 제1분기라인; 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세탁물 분류 유닛은, 상기 제1이송라인 중 상기 제1분기라인이 분기되는 위치 전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이송라인을 통해 순차적으로 이송되는 상기 작업복 안착수단에 놓인 작업복에 설치된 상기 RFID 태그의 IC칩을 읽어내는 제2RFID 리더기; 및 상기 제1이송라인으로부터 상기 제1분기라인이 분기되는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신호 생성기로부터 생성된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제어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제1이송라인을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하는 상기 작업복 안착수단을 상기 제1이송라인을 따라 지속 이송시키거나 또는 상기 제1분기라인을 통해 상기 제2이송라인에 합류시킬 수 있는 제2세탁물 분류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신호 생성기는, 상기 제2RFID 리더기를 통해 읽어진 식별코드에 대해 상기 관리 서버에 요청하여 제공받은 제2판단정보 내지 제4판단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식별코드에 대응되는 작업복을 입은 작업자가 상기 작업장을 기 설정된 제1출입 기준횟수를 초과하여 출입한 조건, 상기 작업장 내에서의 총 작업 시간이 기 설정된 제1작업 기준시간을 초과하는 조건, 상기 다수의 작업공간 내에서의 총 작업 강도가 기 설정된 제1작업 기준강도를 초과하는 조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만족할 경우 제3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2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세탁물 분류기는 상기 제2제어부로부터 제3제어신호가 수신될 경우 상기 제1이송라인을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하는 상기 작업복 안착수단을 상기 제1분기라인을 통해 상기 제2이송라인에 합류시킬 수 있도록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 유닛은, 상기 제2이송라인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제2이송라인 일측으로부터 상기 제1이송라인 일측으로 상기 작업복 안착수단이 이송되게 마련된 제2분기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세탁물 분류 유닛은, 상기 제2이송라인 중 상기 제2분기라인이 분기되는 위치 전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이송라인을 통해 순차적으로 이송되는 상기 작업복 안착수단에 놓인 작업복에 설치된 상기 RFID 태그의 IC칩을 읽어내는 제3RFID 리더기; 및 상기 제2이송라인으로부터 상기 제2분기라인이 분기되는 부위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신호 생성기로부터 생성된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제어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제2이송라인을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하는 상기 작업복 안착수단을 상기 제2이송라인을 따라 지속 이송시키거나 또는 상기 제2분기라인을 통해 상기 제1이송라인에 합류시킬 수 있는 제3세탁물 분류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신호 생성기는, 상기 제3RFID 리더기를 통해 읽어진 식별코드에 대해 상기 관리 서버에 요청하여 제공받은 제2판단정보 내지 제4판단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식별코드에 대응되는 작업복을 입은 작업자가 상기 작업장을 기 설정된 제2출입 기준횟수 미만으로 출입한 조건, 상기 작업장 내에서의 총 작업 시간이 기 설정된 제2작업 기준시간 미만인 조건, 상기 다수의 작업공간 내에서의 총 작업 강도가 기 설정된 제2작업 기준강도 미만인 조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만족할 경우 제4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3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3세탁물 분류기는 상기 제3제어부로부터 제4제어신호가 수신될 경우 상기 제2이송라인을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하는 상기 작업복 안착수단을 상기 제2분기라인을 통해 상기 제1이송라인에 합류시킬 수 있도록 분류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세탁업체 서버로부터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세탁내역 정보를 기반으로 식별코드별 작업자의 작업복 누적 세탁 횟수에 대한 제5판단정보를 생성하는 제5판단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서버 저장부는 상기 제5판단부를 통해 생성되는 제5판단정보를 저장 관리하며, 상기 이송 유닛은, 파기가 필요한 작업복이 파기업체를 통해 수거될 수 있도록 제2수거영역으로 이송되게 마련된 제3이송라인;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제1RFID 리더기를 통해 읽어진 식별코드에 대해 상기 관리 서버에 요청하여 제공받은 제5판단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식별코드에 대응되는 작업복 누적 세탁 횟수가 기 설정된 세탁 기준횟수를 초과했을 경우 제1제어신호 또는 제2제어신호의 생성 대신에 제5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세탁물 분류기는 상기 제1제어부로부터 제5제어신호가 수신될 경우 상기 이동라인을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하는 상기 작업복 안착수단을 제3이송라인으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복 세탁 관리 시스템은, 작업자의 신호 입력에 따라 작업자가 입고 있는 작업복에 설치된 상기 RFID 태그의 IC칩을 읽어 해당 식별코드에 대응되는 작업복의 세탁 요청을 위한 제1요청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신호 발생부; 및 상기 제1신호 발생부를 통해 발생된 제1요청신호를 상기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신호 송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수영역 내 설치되는 요청신호 입력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서버 저장부는 상기 신호 송신부로부터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제1요청신호를 저장 관리하며,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제1RFID 리더기를 통해 읽어진 식별코드에 대한 제1판단정보를 상기 제1제어부가 요청할 경우, 상기 서버 저장부 내에 해당 식별코드에 대응되는 제1요청신호가 존재하면 제1판단정보 대신에 제1요청신호를 상기 제1제어부에 제공하며,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제1요청신호를 제공받을 경우 제2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요청신호 입력기는, 작업자의 신호 입력에 따라 작업자가 입고 있는 작업복에 설치된 상기 RFID 태그의 IC칩을 읽어 해당 식별코드에 대응되는 작업복의 파기 요청을 위한 제2요청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신호 발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신호 송신부는 상기 제2신호 발생부를 통해 발생된 제2요청신호를 상기 관리 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서버 저장부는 상기 신호 송신부로부터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제2요청신호를 저장 관리하며,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제1RFID 리더기를 통해 읽어진 식별코드에 대한 제1판단정보를 상기 제1제어부가 요청할 경우, 상기 서버 저장부 내에 해당 식별코드에 대응되는 제2요청신호가 존재하면 제1판단정보 대신에 제2요청신호를 상기 제1제어부에 제공하며,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제2요청신호를 제공받을 경우 제5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작업자가 입은 작업복을 세탁의 필요여부에 따라 자동으로 분류하여 다시 작업자가 작업복을 입을 수 있도록 마련된 보관영역 또는 세탁업체가 세탁을 위해 옷을 수거해갈 수 있도록 마련된 제1수거영역에 자동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둘째, 작업자의 작업복 세탁 필요 시기를 단순히 일정 주기별로 구분하는 것이 아니라, 더 나아가 실질적인 작업자의 작업 수행 형태 또는 작업복의 사용 형태를 고려하여 정말 세탁이 필요한 시기를 정확히 판단하여 작업복의 세탁 필요여부에 따른 자동 분류를 수행할 수 있다.
셋째, 단순히 RFID 기술만을 이용해 작업장 및 작업장 내 다수의 작업공간 내 출입을 감지하는 것이 아니라, 더 나아가 한 쌍의 적외선 센서를 추가로 이용해 더욱 정확한 작업자의 출입과 관련한 작업내역의 파악이 가능하다.
넷째, 세탁 뿐 만 아니라 작업자가 입은 작업복의 파기가 필요한 시점까지 판단하여 자동으로 분류함으로써, 파기업체가 파기를 위해 옷을 수거해갈 수 있도록 마련된 제2수거영역에 작업복을 자동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다섯째, RFID 리더 유닛 및 관리 서버를 통한 작업자의 작업복 세탁 시기를 판단하는 것과 별개로 요청신호 입력기를 회수 영역 내에 설치하여 작업자 본인이 세탁 또는 파기를 원하는 시점에 해당 작업복에 대한 세탁 또는 파기의 요청이 반영되어 해당 과정이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복 세탁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복 세탁 관리 시스템 내 작업자의 작업장 내 출입을 제1RFID 리더부 및 제1적외선 감지부를 통해 감지하고 이에 대한 식별코드별 작업장 입실 시간 및 퇴실 시간에 대한 제1작업내역 정보을 생성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복 세탁 관리 시스템 내 작업자의 작업구역 각각에 출입을 제2RFID 리더부 및 제2적외선 감지부를 통해 감지하고 이에 대한 식별코드별 작업공간 입실 시간 및 퇴실 시간에 대한 제2작업내역 정보을 생성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복 세탁 관리 시스템 내 이송 유닛 및 세탁물 분류 유닛의 세부 구성 및 구성 간 연결 형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복 세탁 관리 시스템 내 관리 서버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복 세탁 관리 시스템 내 세탁물 분류 유닛의 제어신호 생성기에 대한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복 세탁 관리 시스템 내 요청신호 입력기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작업복 세탁 관리 시스템의 구성요소에 관한 설명>
먼저, 본 발명의 작업복 세탁 관리 시스템(100)에 대해 이하에서 도1 및 도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작업복 세탁 관리 시스템(100)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RFID 리더 유닛(110); 관리 서버(120); 이송 유닛(130); 세탁물 분류 유닛(140); 및 요청신호 입력기(150);를 포함한다.
이러한, 작업복 세탁 관리 시스템(100)은 특정 작업장(WF)에 마련된 다수의 작업공간(WT)에 출입하여 일정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W)들이 입는 작업복(D)의 세탁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작업장(WF)을 구성하는 다수의 작업공간(WT)은 클린룸과 같이 특정 작업복을 입고 작업을 수행해야하는 공간에 해당하고, 이 경우 작업자(W)들이 입는 작업복(D)은 방진복과 같은 특수복에 해당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수의 작업공간(WT)으로 구획되어 마련되는 전체 작업장(WF)에는 RFID 리더 유닛(110)이 설치되어 작업자(W)의 작업 과정을 추적하고 기록함으로써 작업 내역대한 정보들을 추출하고, 이와 같이 추출 생성된 정보들은 관리 서버(120)에 전송되어 저장 관리된다.
그리고 작업장(WF)과 별개로 작업장(WF)에서 퇴실한 작업자(W)가 작업복(D)을 벗어 놓을 수 있도록 마련된 회수영역(140T)에는 세탁물 분류 유닛(140) 및 요청신호 입력기(150)가 설치되어, 작업자들(W)이 벗어 놓은 작업복(D)을 재보관/세탁/파기의 유형에 따라 자동 분류하고, 세탁물 분류 유닛(140)과 연결된 이송 유닛(130)을 통해 자동 분류된 작업복(D)은 분류 유형에 따라 보관영역(131T), 제1수거영역(132T), 제2수거영역(133T)으로 이송된다.
최종적으로, 보관영역(131T)으로 이송된 작업자(W)의 작업복(D)은 다시 작업자(W)가 작업장(WF)에 입실 전에 입을 수 있게 위치하며, 제1수거영역(132T)으로 이송된 작업자(W)의 작업복(D)은 세탁업체를 통해 수거되어 세탁을 위해 출고된 뒤 세탁이 완료되면 보관영역(131T)으로 다시 입고된다.
또한, 제2수거영역(133T)으로 이송된 작업자(W)의 작업복(D)은 파기업체를 통해 수거되어 파기 처리된다.
(1) RFID 리더 유닛의 구성요소
우선, RFID 리더 유닛(110)은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작업공간(WT)으로 구성된 작업장(WF) 내에 다수개 마련되어 작업자(W)가 입은 작업복 일측에 설치된 RFID 태그(R)의 IC칩(C) 내 저장된 식별코드를 읽어 작업자별 작업내역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구성로, 제1RFID 리더부(111), 제1적외선 감지부(113), 제2RFID 리더부(112) 및 제1적외선 감지부(114)를 세부 구성으로 포함한다.
제1RFID 리더부(111)는 도1 및 도2와 같이 작업장(WF) 출입구 일측에 설치되어 작업장(WF)으로 입실하거나 작업장(WF)으로부터 퇴실하는 작업자(W)의 작업복(D)에 설치된 RFID 태그(R)의 IC칩(C)을 읽어 식별코드별 작업장 입실 시간 및 퇴실 시간에 대한 제1작업내역 정보를 생성하여 관리 서버(120)에 전송한다.
이를 위해, 제1RFID 리더부(111)는 작업자(W)의 작업복(D)에 설치된 RFID 태그(R)에 전파를 공급하여 RFID 태그(R)를 활성화시키고, 활성화된 RFID 태그(R)의 IC칩(C)으로부터 내부에 저장된 고유 식별코드를 전송받는 제1안테나(111a)와 제1안테나(111a)를 통해 수신된 식별코드를 통해 정보를 생성하여 관리 서버(120)에 전송하는 제1리더기(111b)를 포함한다.
제1적외선 감지부(113)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RFID 리더부(111)를 중앙에 두고 작업자(W)의 작업장(WF) 출입구 출입방향 기준 일측과 타측에 설치되어 한 쌍을 이루고, 일측의 제1적외선 감지부(113a)에서 움직임이 선 감지된 후 타측의 제1적외선 감지부(113b)에서 움직임이 후 감지된 경우 작업자(W)의 이동을 작업장(WF) 입실로 판단하고, 타측의 제1적외선 감지부(113b)에서 움직임이 선 감지된 후 일측의 제1적외선 감지부(113a)에서 움직임이 후 감지된 경우 작업자(W)의 이동을 작업장(WF) 퇴실로 판단한다.
이에 따라, 제1RFID 리더부(111)는 한 쌍의 제1적외선 감지부(113)를 통해 작업자(W)의 이동이 작업장(WF) 입실로 판단될 경우 한 쌍의 제1적외선 감지부(113)를 통한 움직임 감지 중간에 읽어낸 RFID 태그(R)의 IC칩(C) 내 저장된 식별코드에 대한 작업장(WF) 입실 시간을 기록하고, 한 쌍의 제1적외선 감지부(113)를 통해 작업자(W)의 이동이 작업장(WF) 퇴실로 판단될 경우 한 쌍의 제1적외선 감지부(113)를 통한 움직임 감지 중간에 읽어낸 RFID 태그(R)의 IC칩(C) 내 저장된 식별코드에 대한 작업장(WF) 퇴실 시간을 기록하여 제1작업내역 정보를 생성한다.
다시 말해, 제1RFID 리더부(111)는 제1적외선 감지부(113) 한 쌍과 연계되어 더욱 정확하게 작업자(W)의 작업장(WF) 입실 및 퇴실 여부와 시간을 감지하여 이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게 되고, 그 결과 생성되는 제1작업내역 정보는 작업자(W)의 작업장(WF) 출입 횟수 및 총 작업 시간에 대한 판단정보를 생성함에 근거자료가 된다.
제2RFID 리더부(112)는 도1 및 도3과 같이 다수의 작업공간(WT) 출입구 일측에 설치되어 각각의 작업공간(WT)으로 입실하거나 각각의 작업공간(WT)으로부터 퇴실하는 작업자(W)의 작업복(D)에 설치된 RFID 태그(R)의 IC칩(C)을 읽어 식별코드별 작업장 입실 시간 및 퇴실 시간에 대한 제1작업내역 정보를 생성하여 관리 서버(120)에 전송한다.
이를 위해, 제2RFID 리더부(112)는 작업자(W)의 작업복(D)에 설치된 RFID 태그(R)에 전파를 공급하여 RFID 태그(R)를 활성화시키고, 활성화된 RFID 태그(R)의 IC칩(C)으로부터 내부에 저장된 고유 식별코드를 전송받는 제2안테나(112a)와 제2안테나(112a)를 통해 수신된 식별코드를 통해 정보를 생성하여 관리 서버(120)에 전송하는 제2리더기(112b)를 포함한다.
제2적외선 감지부(114)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RFID 리더부(112)를 중앙에 두고 작업자(W)의 작업공간(WT) 출입구 출입방향 기준 일측과 타측에 설치되어 한 쌍을 이루고, 일측의 제2적외선 감지부(114a)에서 움직임이 선 감지된 후 타측의 제2적외선 감지부(114b)에서 움직임이 후 감지된 경우 작업자(W)의 이동을 작업공간(WT) 입실로 판단하고, 타측의 제2적외선 감지부(114b)에서 움직임이 선 감지된 후 일측의 제2적외선 감지부(114a)에서 움직임이 후 감지된 경우 작업자(W)의 이동을 작업공간(WT) 퇴실로 판단한다.
이에 따라, 제2RFID 리더부(112)는 한 쌍의 제2적외선 감지부(114)를 통해 작업자(W)의 이동이 작업공간(WT) 입실로 판단될 경우 한 쌍의 제1적외선 감지부(114)를 통한 움직임 감지 중간에 읽어낸 RFID 태그(R)의 IC칩(C) 내 저장된 식별코드에 대한 작업공간(WT) 입실 시간을 기록하고, 한 쌍의 제2적외선 감지부(114)를 통해 작업자(W)의 이동이 작업공간(WT) 퇴실로 판단될 경우 한 쌍의 제1적외선 감지부(113)를 통한 움직임 감지 중간에 읽어낸 RFID 태그(R)의 IC칩(C) 내 저장된 식별코드에 대한 작업공간(WT) 퇴실 시간을 기록하여 제2작업내역 정보를 생성한다.
다시 말해, 제2RFID 리더부(112)는 제2적외선 감지부(114) 한 쌍과 연계되어 더욱 정확하게 작업자(W)의 작업공간(WT) 각각에 대한 입실 및 퇴실 여부와 시간을 감지하여 이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게 되고, 그 결과 생성되는 제2작업내역 정보는 작업자(W)의 작업공간(WT) 출입 횟수, 작업공간(WT)별 작업 시간, 총 작업 강도에 대한 판단정보를 생성함에 근거자료가 된다.
(2) 관리 서버의 구성요소
다음으로, 관리 서버(120)는 RFID 리더 유닛(110)을 통해 생성된 작업자별 작업 내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 관리하며, 세탁업체 서버(CS)로부터 수신된 작업복 세탁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 관리하며, RFID 리더 유닛(110) 및 세탁업체 서버(CS)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기반으로 작업자(W)별 작업복(D)의 세탁 필요 여부에 대해 판단한 판단정보를 생성하는 구성으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버 통신부(121), 제1판단부(122), 제2판단부(123), 제3판단부(124), 제4판단부(125), 제5판단부(126), 서버 저장부(127), 세탁업체 호출부(미도시) 및 파기업체 호출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서버 통신부(121)는 RFID 리더 유닛, 세탁업체 서버(120), 세탁물 분류 유닛(140) 및 요청신호 입력기(150)와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각종 정보 및 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통신 기능 구성에 해당한다.
제1판단부(122)는 세탁업체 서버(CS)로부터 서버 통신부(121)를 통해 수신되는 세탁내역 정보를 기반으로 식별코드별 작업자(W)의 작업복(D)이 마지막 세탁일로부터 며칠이 경과되었는지에 대한 제1판단정보를 생성한다.
따라서 제1판단정보는 식별코드가 대응되는 작업자(W)의 작업복(D)이 세탁업체를 통해 수거되어 세탁이 진행된 날로부터 며칠이 경과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우선적인 세탁여부에 따른 분류의 판단 기준이 된다.
제2판단부(123)는 제1RFID 리더부(111)로부터 서버 통신부(121)를 통해 수신되는 제1작업내역 정보를 기반으로 식별코드별 작업자(W)의 작업장(WT) 출입횟수에 대한 제2판단정보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제1작업내역 정보는 대응되는 식별코드의 작업복(D)을 입은 작업자(W)가 어느 시간에 작업장(WT)에 입실했는지 및 퇴실했는지에 대한 정보가 담겨있기 때문에, 이를 기반으로 한 제2판단정보는 실시간 식별코드별 작업자(W)의 작업장(WT) 출입횟수를 카운트하여 정보화하고 있다.
제3판단부(124)는 제1RFID 리더부(111)로부터 서버 통신부(121)를 통해 수신되는 제1작업내역 정보를 기반으로 식별코드별 작업자(W)의 작업장(WF) 내 총 작업시간에 대한 제3판단정보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제1작업내역 정보는 대응되는 식별코드의 작업복(D)을 입은 작업자(W)가 어느 시간에 작업장(WT)에 입실했는지 및 퇴실했는지에 대한 정보가 담겨있기 때문에, 이를 기반으로 한 제3판단정보는 실시간 식별코드별 작업복(D)을 입은 작업자(W)의 작업장(WT) 입실로부터 퇴실까지의 전체 작업 시간을 정보화하고 있다.
제4판단부(125)는 작업장(WF) 내 구획되어 마련된 다수의 작업공간(WT) 각각의 작업시간 대비 작업 강도의 수준에 관해 기 설정된 기준 정보 및 제2RFID 리더부(112)로부터 서버 통신부(121)를 통해 수신되는 제2작업내역 정보를 기반으로 식별코드별 작업자의 다수의 작업공간(WT) 내에서의 총 작업 강도에 대한 제4판단정보를 생성한다.
실시에 따라, 제4판단부(125)는 다수의 작업공간(WT) 각각의 작업시간 대비 작업 강도의 수준에 관해 기 설정된 기준 정보를 내장하거나, 아래 설명될 서버 저장부(127)에 저장된 상태에서 이를 읽어 이용하는 형태 등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다수의 작업공간(WT) 각각의 작업시간 대비 작업 강도의 수준에 관해 기 설정된 기준 정보라 함은, 작업장(WF) 내 구획되어 마련된 다수의 작업공간(WT)에 따라 작업을 수행하는 기기 및 작업 대상이 되는 물질 등의 내용이 전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각각의 작업공간(WT) 내에서의 작업 강도는 상호 상이하기 때문에 작업 강도 또는 난이도에 따라 작업복(D)의 소모 정도가 달라지는 점을 반영한 기준 정보이다.
예를 들어, 다수의 작업공간(WT) 중 작업강도가 1인 작업공간(WT)에서 2시간 일하는 것은 작업강도가 2인 작업공간(WT)에서 1시간 일하는 것과 같은 작업복(D)의 소모(세탁이 필요해지는 정도)가 이루어졌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제4판단부(125)는 다수의 작업공간(WT) 각각에서 작업자(W)가 작업을 수행한 시간을 제2작업내역 정보를 기반으로 산출하고, 이에 대해 수의 작업공간(WT) 각각의 작업시간 대비 작업 강도의 수준에 관해 기 설정된 기준 정보를 이용해 전체 총 작업 강도에 대한 제4판단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이러한 제2판단정보, 제3판단정보 및 제4판단정보의 가산 시점은 세탁업체 서버(CS)로부터 서버 통신부(121)를 통해 수신되는 세탁내역 정보를 기반 마지막으로 세탁이 이루어진 날로부터 다시 갱신되어 재가산됨이 바람직하다.
제5판단부(126)는 세탁업체 서버(CS)로부터 서버 통신부(121)를 통해 수신되는 세탁내역 정보를 기반으로 식별코드별 작업자의 작업복 누적 세탁 횟수에 대한 제5판단정보를 생성한다.
서버 저장부(127)는 서버 통신부(121)를 통해 수신되는 각종 정보 및 신호와 이들의 이력, 그리고 제1판단부(122) 내지 제5판단부(126)를 통해 생성되는 제1판단정보 내지 제5판단정보 자체 및 이들의 이력을 저장 관리하기 위해 마련된 데이터 베이스 공간이다.
세탁업체 호출부(미도시)는 세탁업체 호출신호를 생성하여 기 설정된 일정 주기에 따라 세탁업체 서버(CS)에 서버 통신부(121)를 통해 해당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세탁업체가 세탁물의 수거가 필요함을 인지하여 이송 유닛(130) 및 세탁물 분류 유닛(140)에 의해 자동으로 분류되어 제1수거영역(132T)에 이송된 세탁이 필요한 작업복(D)을 수거해 갈수 있도록 한다.
실시에 따라서는 세탁업체 호출부(미도시)가 아래 설명될 세탁물 분류 유닛(140)의 제어신호 생성기(143)를 통해 제2제신호 또는 제3제어신호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생성될 경우 제어신호 생성기(143)에서 생성된 세탁업체 호출 요청신호를 서버 통신부(121)를 통해 수신함으로써 세탁업체 호출신호를 생성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파기업체 호출부(미도시)는 파기업체 호출신호를 생성하여 기 설정된 일정 주기에 따라 파기업체 서버(DS)에 서버 통신부(121)를 통해 해당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파기업체가 작업복 파기를 위한 수거가 필요함을 인지하여 이송 유닛(130) 및 세탁물 분류 유닛(140)에 의해 자동으로 분류되어 제2수거영역(133T)에 이송된 파기가 필요한 작업복(D)을 수거해 갈수 있도록 한다.
실시에 따라서는 파기업체 호출부(미도시)가 아래 설명될 세탁물 분류 유닛(140)의 제어신호 생성기(143)를 통해 제5제어신호가 생성될 경우 제어신호 생성기(143)에서 생성된 파기업체 호출 요청신호를 서버 통신부(121)를 통해 수신함으로써 파기업체 호출신호를 생성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3) 이송 유닛의 구성요소
다음으로, 이송 유닛(130)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 설명될 세탁물 분류 유닛(140)을 통해 보관, 세탁 또는 파기 유형 중 하나의 유형으로 자동 분류된 작업복(D)이 각각의 유형에 대응되는 영역으로 자동 이송될 수 있도록 마련된 구성으로, 제1이송라인(131), 제2이송라인(132), 제3이송라인(133) 제1분기라인(134) 및 제2분기라인(135)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제1이송라인(131), 제2이송라인(132), 제3이송라인(133) 제1분기라인(134) 및 제2분기라인(135)상에는 작업장(WF)에서 퇴실한 작업자(W)가 벗어 놓은 작업복(D) 자체가 각 라인을 따라 이동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안정적인 이송을 위해 별도의 거치대 혹은 박스, 상자, 옷걸이 등의 작업복 안착수단(140C)에 작업복(D)이 놓인 상태로 각 라인을 따라 작업복 안착수단(140C)이 이동하도록 실시된다.
다시 말해, 제1이송라인(131), 제2이송라인(132), 제3이송라인(133) 제1분기라인(134) 및 제2분기라인(135)은 각자의 구동장치의 가동에 의해 특정 이송 방향으로 작업복(D)이 놓인 작업복 안착수단(140C)을 이동시킨다.
제1이송라인(131)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이 불필요한 작업복(D)이 보관영역(131T)으로 이송되게 마련된 이송라인으로, 세탁물 분류 유닛(140)을 통해 보관 유형으로 자동 분류된 작업복(D)이 보관영역(131T)으로 일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이송될 수 있도록 별도의 구동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이송라인(131)을 따라 보관영역(131T)으로 이송된 작업복(D)은 아직 세탁이 불필요한 의류로, 사용자가 아직 까지는 재착용해도 문제가 없는 상태이다.
제2이송라인(132)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이 필요한 작업복(D)이 세탁업체를 통해 수거될 수 있도록 제1수거영역(132T)으로 이송되게 마련된 이송라인으로, 세탁물 분류 유닛(140)을 통해 세탁 유형으로 자동 분류된 작업복(D)이 제1수거영역(132T)으로 일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이송될 수 있도록 별도의 구동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2이송라인(132)을 따라 제1수거영역(132T)으로 이송된 작업복(D)은 세탁이 필요한 의류로, 세탁업체 서버(CS)에 전송한 세탁업체 호출신호에 따라 세탁물의 수거를 수행하기 위해 출동한 세탁업체는 제1수거영역(132T)으로 이동해 해당 영역에 모인 작업복(D)들을 수거하여 돌아가 세탁을 수행한 뒤, 다시 세탁이 완료되면 보관영역(131T)에 되돌려 놓게 된다.
제3이송라인(133)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기가 필요한 작업복(D)이 파기업체를 통해 수거될 수 있도록 제2수거영역(133T)으로 이송되게 마련된 이송라인으로, 세탁물 분류 유닛(140)을 통해 파기 유형으로 자동 분류된 작업복(D)이 제2수거영역(133T)으로 일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이송될 수 있도록 별도의 구동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3이송라인(133)을 따라 제2수거영역(133T)으로 이송된 작업복(D)은 더 이상의 세탁 없이 파기가 필요한 의류로, 파기업체 서버(DS)에 전송한 파기업체 호출신호에 따라 파기될 작업복(D)의 수거를 수행하기 위해 출동한 파기업체는 제2수거영역(133T)으로 이동해 해당 영역에 모인 작업복(D)들을 수거하여 돌아가 파기를 수행하게 된다.
제1분기라인(134)은 제1이송라인(131)으로부터 분기되어, 제1이송라인(131) 일측으로부터 제2이송라인(132) 일측으로 작업복 안착수단(140C)이 이송되게 마련된 이송라인이다.
구체적으로, 제1분기라인(134)은 아래 설명될 세탁물 분류 유닛(140)의 제1세탁물 분류기(144)를 통해 1차 분류되어 제1이송라인(131)으로 이동된 작업복 안착수단(140C)이 제2세탁물 분류기(146)에 의해 2차 분류되는 과정에서 기존의 제1이송라인(131)으로부터 분리되어 제2이송라인(132)에 합류될 수 있도록 마련된 라인으로, 이와 같은 제1이송라인(131)으로부터 제2이송라인(132)으로의 이송을 위해 별도의 구동장치를 포함한다.
제2분기라인(135)은 제2이송라인(132)으로부터 분기되어, 제2이송라인(132) 일측으로부터 제1이송라인(131) 일측으로 작업복 안착수단(140C)이 이송되게 마련된 이송라인이다.
구체적으로, 제2분기라인(135)은 아래 설명될 세탁물 분류 유닛(140)의 제1세탁물 분류기(144)를 통해 1차 분류되어 제1이송라인(131)으로 이동된 작업복 안착수단(140C)이 제2세탁물 분류기(146)에 의해 2차 분류되는 과정에서 기존의 제1이송라인(131)으로부터 분리되어 제2이송라인(132)에 합류될 수 있도록 마련된 라인으로, 이와 같은 제1이송라인(131)으로부터 제2이송라인(132)으로의 이송을 위해 별도의 구동장치를 포함한다.
(4) 세탁물 분류 유닛의 구성요소
다음으로, 세탁물 분류 유닛(140)은 관리 서버(120)로부터 생성된 판단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판단정보를 기반으로 작업장(WF)에서 퇴실한 작업자(W)가 회수영역(140T)에 벗어 놓은 작업복(D)에 설치된 RFID 태그(R)의 IC칩(C)을 읽어 이송 유닛(130) 내 이송라인별로 작업복(D)이 분류되어 이송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동라인(141), 제1RFID 리더기(142), 제어신호 생성기(143), 제1세탁물 분류기(144), 제2RFID 리더기(145), 제2세탁물 분류기(146), 제3RFID 리더기(147), 제3세탁물 분류기(148)를 포함한다.
이동라인(141)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수영역(140T) 내 설치되며, 작업장(WF)에서 퇴실한 작업자(W)가 입고 있던 작업복(D)을 벗어 놓을 수 있는 작업복 안착수단(140C)이 이송 유닛(130) 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이송 유닛(130)과 연결되는 형태로 마련된 이송라인이다.
다시 말해, 작업장(WF)에서 퇴실한 작업자(W)는 입고 있던 작업복(D)을 회수영역(140T) 내 이동라인(141) 상에 올려진 작업복 안착수단(140C) 내에 넣으면, 이동라인(141)의 가동에 의해 해당 작업복 안착수단(140C)이 자동 분류를 거쳐 이송 유닛(130)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1RFID 리더기(142)는 이동라인(141) 일측에 설치되어 이동라인(141)을 통해 순차적으로 이송 유닛(130) 측을 향해 이동되는 작업복 안착수단(140C)에 놓인 작업복(D)에 설치된 RFID 태그(R)의 IC칩(C)을 읽어내는 구성으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파의 송신 및 IC칩(C) 내 저장된 식별코드의 수신을 위한 안테나와 각종 정보 또는 신호의 생성 및 전송을 위한 리더기를 포함하는 형태로 마련된다.
제2RFID 리더기(145)는 제1이송라인(131) 중 제1분기라인(134)이 분기되는 위치 전 일측에 설치되어 제1이송라인(131)을 통해 순차적으로 이송되는 작업복 안착수단(140C)에 놓인 작업복(D)에 설치된 RFID 태그(R)의 IC칩(C)을 읽어내는 구성으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파의 송신 및 IC칩(C) 내 저장된 식별코드의 수신을 위한 안테나와 각종 정보 또는 신호의 생성 및 전송을 위한 리더기를 포함하는 형태로 마련된다.
제3RFID 리더기(147)는 제2이송라인(132) 중 제2분기라인(135)이 분기되는 위치 전 일측에 설치되어 제2이송라인(132)을 통해 순차적으로 이송되는 작업복 안착수단(140C)에 놓인 작업복(D)에 설치된 RFID 태그(R)의 IC칩(C)을 읽어내는 구성으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파의 송신 및 IC칩(C) 내 저장된 식별코드의 수신을 위한 안테나와 각종 정보 또는 신호의 생성 및 전송을 위한 리더기를 포함하는 형태로 마련된다.
제어신호 생성기(143)는 특정 식별코드에 대한 판단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관리 서버(120)에 전송하고, 요청 신호에 따라 관리 서버(120)로부터 전송된 해당 식별코드에 대한 판단정보를 기반으로 세탁물 분류용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구성으로, 이를 위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제어부(143a), 제2제어부(143b) 및 제3제어부(143c)를 포함한다.
우선, 제어신호 생성기(143)는 제1RFID 리더기(142) 내지 제3RFID 리더기(147)를 통해 읽어낸 식별코드에 대응되는 판단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별도의 통신부(미도시)를 통해 관리 서버(120)의 서버 통신부(121)에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고, 이와 같은 요청 신호를 서버 통신부(121)를 통해 수신한 관리 서버(120)는 해당 식별코드에 대응되는 판단정보를 서버 저장부(127)에 기록 저장된 정보들 중에서 찾아내어 다시 서버 통신부(121)를 통해 제어신호 생성기(143)의 통신부(미도시)에 전송해준다.
이와 같이 관리 서버(120)로부터 요청 신호를 보낸 식별코드에 대응되는 판단정보를 제공받은 제어신호 생성기(143)는 해당 판단정보들을 기반으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추후 설명될 제1세탁물 분류기(144), 제2세탁물 분류기(146), 제3세탁물 분류기(148)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제1제어부(143a)는 제1RFID 리더기(142)를 통해 읽어진 식별코드에 대해 관리 서버(120)에 요청하여 제공받은 제1판단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식별코드에 대응되는 작업자의 작업복(D)이 마지막 세탁일로부터 기 설정된 세탁 주기정보에 따른 기간을 경과하지 않을 경우 제1제어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제1제어부(143a)는 제1RFID 리더기(142)를 통해 읽어진 식별코드에 대해 관리 서버(120)에 요청하여 제공받은 제1판단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식별코드에 대응되는 작업자의 작업복(D)이 마지막 세탁일로부터 기 설정된 세탁 주기정보에 따른 기간을 경과했을 경우 제2제어신호를 생성한다.
더불어, 제1제어부(143a)는 제1RFID 리더기(142)를 통해 읽어진 식별코드에 대해 관리 서버(120)에 요청하여 제공받은 제5판단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식별코드에 대응되는 작업복(D) 누적 세탁 횟수가 기 설정된 세탁 기준횟수를 초과했을 경우 제1제어신호 또는 제2제어신호의 생성 대신에 제5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표1과 같이 제1판단부(122), 제2판단부(123), 제3판단부(124), 제4판단부(125) 및 제5판단부(126)를 통해 생성되는 제1판단정보, 제2판단정보, 제3판단정보, 제4판단정보 및 제5판단정보가 생성되어 관리 서버(120) 내에 저장 관리될 수 있으며, 제어신호 생성기(143)의 제1제어부(143a)에 기 설정된 세탁 주기정보에 따른 기간이 3일로 설정되고 관리 서버(120)에 제1판단정보 및 제5판단정보를 요청하여 제공받은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세탁내역
정보
18.01.02 18.01.04 18.01.07 18.01.11 제1판단정보 2일
제5판단정보 4회
제1작업내역
정보
18.01.12 18.01.13
입 08:35 입 12:50 입 09:05 입 12:30 제2판단정보 4회
퇴 11:35 퇴 16:50 퇴 11:05 퇴 17:30 제3판단정보 14h
제2작업내역
정보
18.01.12 18.01.13
작업공간 1(강도-1/1h) 작업공간 1(강도-1/1h) 제4판단정보 5.4+3.0+13.3=21.7
입 08:40 입 13:00 - -
퇴 10:40 퇴 16:40 - -
작업공간 2(강도-4/1h) 작업공간 2(강도-4/1h)
입 10:50 - - -
퇴 11:35 - - -
작업공간 3(강도-2/1h) 작업공간 3(강도-2/1h)
- - 입 09:10 입 12:35
- - 퇴 11:00 퇴 17:25
식별코드 21024651 현재 2018.01.13. 18:30
표1에 따르면 제1제어부(143a)는 식별코드 21024651의 작업복(D)에 대해 제1판단정보를 제공받아 작업자의 작업복(D)이 마지막 세탁일로부터 세탁을 하지 않은지 기준이 되는 3일을 초과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경우, 제1판단정보가 2일로서 아직 3일을 초과하지 않았기 때문에 제1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추후 설명될 제1세탁물 분류기(144)에 전송하게 된다.
만약 제1제어부(143a)에 기 설정된 세탁 기준횟수가 4회로 설정되었을 경우, 제1제어부(143a)는 제1판단정보를 이용해 마지막 세탁일로부터 기 설정된 세탁 주기정보에 따른 기간의 경과 여부를 판단하지 않고 즉각 제5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추후 설명될 제1세탁물 분류기(144)에 전송하게 된다.
더 나아가, 제1제어부(143a)는 실시에 따라 앞 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제어신호를 생성할 경우 즉각 세탁업체 호출 요청신호를 생성하여 관리 서버(120)에 전송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제5제어신호를 생성할 경우 즉각 파기업체 호출 요청신호를 생헝하여 관리 서버(120)에 전송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제어부(143b)는 제2RFID 리더기(145)를 통해 읽어진 식별코드에 대해 관리 서버(120)에 요청하여 제공받은 제2판단정보 내지 제4판단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식별코드에 대응되는 작업복을 입은 작업자(W)가 작업장(WF)을 기 설정된 제1출입 기준횟수를 초과하여 출입한 조건, 작업장(WF) 내에서의 총 작업 시간이 기 설정된 제1작업 기준시간을 초과하는 조건, 다수의 작업공간(WT) 내에서의 총 작업 강도가 기 설정된 제1작업 기준강도를 초과하는 조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만족할 경우 제3제어신호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표1의 예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제2제어부(143b)에 기 설정된 제1출입 기준횟수가 8회이고, 기 설정된 제1작업 기준시간이 30시간이고, 기 설정된 제1작업 기준강도가 21일 경우, 제2제어부(143b)는 제2판단정보와 제3판단정보가 제1출입 기준횟수와 제1작업 기준시간을 초과하지는 않았지만 제4판단정보가 제1작업 기준강도를 초과하였기 때문에 제3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추후 설명될 제2세탁물 분류기(146)에 전송하게 된다.
제3제어부(143c)는 제3RFID 리더기(147)를 통해 읽어진 식별코드에 대해 관리 서버(120)에 요청하여 제공받은 제2판단정보 내지 제4판단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식별코드에 대응되는 작업복(D)을 입은 작업자(W)가 작업장(WF)을 기 설정된 제2출입 기준횟수 미만으로 출입한 조건, 작업장(WF) 내에서의 총 작업 시간이 기 설정된 제2작업 기준시간 미만인 조건, 다수의 작업공간(WT) 내에서의 총 작업 강도가 기 설정된 제2작업 기준강도 미만인 조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만족할 경우 제4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제3제어부(143c)가 제1제어부(143a)를 통해 제2제어신호가 생성되어 제2이송라인(132)으로 이동된 작업복(D)의 식별코드에 대한 제2판단정보 내지 제4판단정보를 관리 서버(120)로부터 제공받아 확인해본 결과, 제3제어부(143c)에 기 설정된 제2출입 기준횟수가 3회이고, 기 설정된 제2작업 기준시간이 10시간이고, 기 설정된 제2작업 기준강도가 10일인데 반해 제2판단정보 내지 제4판단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이를 만족하는 않는 경우 제4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추후 설명될 제3세탁물 분류기(148)에 전송하게 된다.
제1세탁물 분류기(144)는 도4와 같이 이동라인(141)의 이동방향 기준 선단 측 이송 유닛(130)과의 연결부위에 설치되며, 제어신호 생성기(143)로부터 생성된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제어신호를 기반으로 이동라인(141)을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하는 작업복 안착수단(140C)을 제1이송라인(131) 또는 제2이송라인(132)으로 분류시키는 1차 분류장치이다.
이러한, 제1세탁물 분류기(144)는 제1제어부(143a)로부터 제1제어신호가 수신될 경우 이동라인(141)을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하는 작업복 안착수단(140C)을 제1이송라인(131)으로 분류하고, 제1제어부(143a)로부터 제2제어신호가 수신될 경우 이동라인(141)을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하는 작업복 안착수단(140C)을 제2이송라인(132)으로 분류하게 된다.
또한, 제1세탁물 분류기(144)는 제1제어부(143a)로부터 제5제어신호가 수신될 경우 이동라인(141)을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하는 작업복 안착수단(140C)을 제3이송라인(133)으로 분류하게 된다.
제2세탁물 분류기(146)는 제1이송라인(131)으로부터 제1분기라인(134)이 분기되는 위치에 설치되며, 제어신호 생성기(143)로부터 생성된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제어신호를 기반으로 제1이송라인(131)을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하는 작업복 안착수단(140C)을 제1이송라인(131)을 따라 지속 이송시키거나 또는 제1분기라인(134)을 통해 제2이송라인(132)에 합류시킬 수 있는 2차 분류장치이다.
구체적으로, 제2세탁물 분류기(146)는 제2제어부(143b)로부터 제3제어신호가 수신될 경우 제1이송라인(131)을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하는 작업복 안착수단(140C)을 제1분기라인(134)을 통해 제2이송라인(132)에 합류시킬 수 있도록 분류하며, 그 외의 경우 작업복 안착수단(140C)을 제1이송라인(131)을 따라 지속 이송시킨다.
제3세탁물 분류기(148)는 제2이송라인(132)으로부터 제2분기라인(135)이 분기되는 부위에 설치되며, 제어신호 생성기(143)로부터 생성된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제어신호를 기반으로 제2이송라인(132)을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하는 작업복 안착수단(140C)을 제2이송라인(132)을 따라 지속 이송시키거나 또는 제2분기라인(135)을 통해 제1이송라인(131)에 합류시킬 수 있는 또 다른 2차 분류장치이다.
구체적으로, 제3세탁물 분류기(148)는 제3제어부(143c)로부터 제4제어신호가 수신될 경우 제2이송라인(132)을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하는 작업복 안착수단(140C)을 제2분기라인(135)을 통해 제1이송라인(131)에 합류시킬 수 있도록 분류하며, 그 외의 경우 작업복 안착수단(140C)을 제2이송라인(132)을 따라 지속 이송시킨다.
(5) 요청신호 입력기의 구성요소
마지막으로, 요청신호 입력기(150)는 회수영역 내 설치되는 별도의 신호 입력 장치로서, 작업장(WF)에서 퇴실한 작업자(W)가 개인적 의사에 의해 작업복(D)을 세탁 맡기거나 파기시키고 싶을 때 이를 반영하여 자동 분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마련된 구성이다.
이를 위해, 요청신호 입력기(150)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신호 발생부(151), 제2신호 발생부(152), 신호 송신부(153) 및 신호 입력수단(150I)을 포함한다.
여기서, 신호 입력수단(150I)은 요청신호 입력기(150) 본체 일측에 노출되도록 마련되는 터치 스크린 혹은 별도의 가압 버튼과 같은 형태의 신호 입력 수단으로, 작업자(W)가 자신의 의사를 반영해 작업복(D)을 세탁 맡기거나 파기시키기 위한 신호 입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제1신호 발생부(151)는 작업자(W)의 신호 입력수단(150I)을 이용한 신호 입력에 따라 작업자(W)가 입고 있는 작업복(D)에 설치된 RFID 태그(R)의 IC칩(C)을 읽어 해당 식별코드에 대응되는 작업복의 세탁 요청을 위한 제1요청신호를 발생시킨다.
또한, 제2신호 발생부(152)는 작업자(W)의 신호 입력수단(150I)을 이용한 신호 입력에 따라 작업자(W)가 입고 있는 작업복(D)에 설치된 RFID 태그(R)의 IC칩(C)을 읽어 해당 식별코드에 대응되는 작업복의 파기 요청을 위한 제2요청신호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신호 송신부(153)는 제1신호 발생부(151)를 통해 발생된 제1요청신호 및 제2신호 발생부(152)를 통해 발생된 제2요청신호를 관리 서버(120)에 전송하게 되고, 관리 서버(120)는 서버 통신부(121)를 통해 제1요청신호 및 제2요청신호를 수신하여 서버 저장부(127)에 해당 신호들을 저장 관리하게 된다.
이에 따라, 관리 서버(120)는 제1RFID 리더기(142)를 통해 읽어진 식별코드에 대한 제1판단정보 또는 제5판단정보를 제1제어부(143a)가 요청할 경우, 서버 저장부(127) 내에 해당 식별코드에 대응되는 제1요청신호가 존재하면 제1판단정보 또는 제5판단정보 대신에 제1요청신호를 제1제어부(127)에 제공하며, 서버 저장부(127) 내에 해당 식별코드에 대응되는 제2요청신호가 존재하면 제1판단정보 또는 제5판단정보 대신에 제2요청신호를 제1제어부(127)에 제공한다.
아울러, 제1제어부(143a)는 관리 서버(120)로부터 제1RFID 리더기(142)를 통해 읽어진 식별코드에 대응되는 판단정보의 요청에 대한 회신으로 판단정보 대신 제1요청신호를 제공받을 경우 제2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제1세탁물 분류기(144)에 전송하게 된다.
또한, 제1제어부(143a)는 관리 서버(120)로부터 제1RFID 리더기(142)를 통해 읽어진 식별코드에 대응되는 판단정보의 요청에 대한 회신으로 판단정보 대신 제2요청신호를 제공받을 경우 제5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제1세탁물 분류기(144)에 전송하게 된다.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호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작업복 세탁 관리 시스템
110 : RFID 리더 유닛
111 : 제1RFID 리더부 112 : 제2RFID 리더부
113 : 제1적외선 감지부 114 : 제2적외선 감지부
120 : 관리 서버
121 : 서버 통신부 122 : 제1판단부
123 : 제2판단부 124 : 제3판단부
125 : 제4판단부 126 : 제5판단부
127 : 서버 저장부
130 : 이송 유닛
131 : 제1이송라인 132 : 제2이송라인
133 : 제3이송라인 134 : 제1분기라인
135 : 제2분기라인 131T : 보관영역
132T : 제1수거영역 133T : 제2수거영역
140 : 세탁물 분류 유닛
141 : 이동라인 142 : 제1RFID 리더기
143 : 제어신호 생성기
143a : 제1제어부 143b : 제2제어부
143c : 제3제어부
144 : 제1세탁물 분류기 145 : 제2RFID 리더기
146 : 제2세탁물 분류기 147 : 제3RFID 리더기
148 : 제3세탁물 분류기 140T : 회수영역
140C : 작업복 안착수단
150 : 요청신호 입력기
151 : 제1신호 발생부 152 : 제2신호 발생부
153 : 신호 송신부 150I : 신호 입력수단
CS : 세탁업체 서버
DS : 파기업체 서버
WF : 작업장
WT : 작업공간
W : 작업자
D : 작업복
R : RFID 태그
C : IC칩

Claims (10)

  1. 다수의 작업공간으로 구성된 작업장 내에 다수개 마련되어 작업자가 입은 작업복 일측에 설치된 RFID 태그의 IC칩 내 저장된 식별코드를 읽어 작업자별 작업내역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RFID 리더 유닛;
    상기 RFID 리더 유닛을 통해 생성된 작업자별 작업 내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 관리하며, 세탁업체 서버로부터 수신된 작업복 세탁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 관리하며, 상기 RFID 리더 유닛 및 세탁업체 서버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기반으로 작업자별 작업복의 세탁 필요 여부에 대해 판단한 판단정보를 생성하는 관리 서버;
    세탁이 불필요한 작업복이 보관영역으로 이송되게 마련된 제1이송라인 및 세탁이 필요한 작업복이 상기 세탁업체를 통해 수거될 수 있도록 제1수거영역으로 이송되게 마련된 제2이송라인을 포함하는 이송 유닛;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생성된 판단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판단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작업장에서 퇴실한 작업자가 회수영역에 벗어 놓은 작업복에 설치된 상기 RFID 태그의 IC칩을 읽어 상기 이송 유닛 내 이송라인별로 작업복이 분류되어 이송되도록 하는 세탁물 분류 유닛; 및
    작업자의 신호 입력에 따라 작업자가 입고 있는 작업복에 설치된 상기 RFID 태그의 IC칩을 읽어 해당 식별코드에 대응되는 작업복의 세탁 요청을 위한 제1요청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신호 발생부; 작업자의 신호 입력에 따라 작업자가 입고 있는 작업복에 설치된 상기 RFID 태그의 IC칩을 읽어 해당 식별코드에 대응되는 작업복의 파기 요청을 위한 제2요청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신호 발생부; 및 상기 제1신호 발생부를 통해 발생된 제1요청신호 및 상기 제2신호 발생부를 통해 발생된 제2요청신호를 상기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신호 송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수영역 내 설치되는 요청신호 입력기;를 포함하며,
    상기 RFID 리더 유닛은,
    상기 작업장 출입구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작업장으로 입실하거나 상기 작업장으로부터 퇴실하는 작업자의 작업복에 설치된 상기 RFID 태그의 IC칩을 읽어 식별코드별 작업장 입실 시간 및 퇴실 시간에 대한 제1작업내역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제1RFID 리더부; 및
    상기 작업장 내 구획되어 마련된 상기 다수의 작업공간 각각의 출입구 일측에 마련되어 각각의 작업공간으로 입실하거나 각각의 작업공간으로부터 퇴실하는 작업자의 작업복에 설치된 상기 RFID 태그의 IC칩을 읽어 식별코드별 각각의 작업공간 입실 시간 및 퇴실 시간에 대한 제2작업내역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제2RFID 리더부;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RFID 리더 유닛, 세탁업체 서버 및 세탁물 분류 유닛과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각종 정보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서버 통신부;
    상기 세탁업체 서버로부터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세탁내역 정보를 기반으로 식별코드별 작업자의 작업복이 마지막 세탁일로부터 며칠이 경과되었는지에 대한 제1판단정보를 생성하는 제1판단부;
    상기 제1RFID 리더부로부터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제1작업내역 정보를 기반으로 식별코드별 작업자의 상기 작업장 출입횟수에 대한 제2판단정보를 생성하는 제2판단부;
    상기 제1RFID 리더부로부터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제1작업내역 정보를 기반으로 식별코드별 작업자의 상기 작업장 내 총 작업시간에 대한 제3판단정보를 생성하는 제3판단부;
    상기 작업장 내 구획되어 마련된 상기 다수의 작업공간 각각의 작업시간 대비 작업 강도의 수준에 관해 기 설정된 기준 정보 및 상기 제2RFID 리더부로부터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제2작업내역 정보를 기반으로 식별코드별 작업자의 상기 다수의 작업공간 내에서의 총 작업 강도에 대한 제4판단정보를 생성하는 제4판단부;
    상기 세탁업체 서버로부터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세탁내역 정보를 기반으로 식별코드별 작업자의 작업복 누적 세탁 횟수에 대한 제5판단정보를 생성하는 제5판단부; 및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각종 정보와 상기 제1판단부 내지 상기 제5판단부를 통해 생성되는 제1판단정보 내지 제5판단정보의 저장 관리를 위해 마련된 서버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 유닛은,
    상기 제1이송라인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제1이송라인 일측으로부터 상기 제2이송라인 일측으로 상기 작업복 안착수단이 이송되게 마련된 제1분기라인;
    상기 제2이송라인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제2이송라인 일측으로부터 상기 제1이송라인 일측으로 상기 작업복 안착수단이 이송되게 마련된 제2분기라인; 및
    파기가 필요한 작업복이 파기업체를 통해 수거될 수 있도록 제2수거영역으로 이송되게 마련된 제3이송라인;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세탁물 분류 유닛은,
    상기 회수영역 내 설치되며, 상기 작업장에서 퇴실한 작업자가 입고 있던 작업복을 벗어 놓을 수 있는 작업복 안착수단이 상기 이송 유닛 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이송 유닛과 연결되는 형태로 마련된 이동라인;
    상기 이동라인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라인을 통해 순차적으로 상기 이송 유닛 측을 향해 이동되는 상기 작업복 안착수단에 놓인 작업복에 설치된 상기 RFID 태그의 IC칩을 읽어내는 제1RFID 리더기;
    특정 식별코드에 대한 판단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상기 관리 서버에 전송하고,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전송된 해당 식별코드에 대한 판단정보를 기반으로 세탁물 분류용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신호 생성기;
    상기 이동라인의 이동방향 기준 선단 측 상기 이송 유닛과의 연결부위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신호 생성기로부터 생성된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제어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이동라인을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하는 상기 작업복 안착수단을 상기 제1이송라인 또는 제2이송라인으로 분류시키는 제1세탁물 분류기;
    상기 제1이송라인 중 상기 제1분기라인이 분기되는 위치 전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이송라인을 통해 순차적으로 이송되는 상기 작업복 안착수단에 놓인 작업복에 설치된 상기 RFID 태그의 IC칩을 읽어내는 제2RFID 리더기;
    상기 제1이송라인으로부터 상기 제1분기라인이 분기되는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신호 생성기로부터 생성된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제어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제1이송라인을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하는 상기 작업복 안착수단을 상기 제1이송라인을 따라 지속 이송시키거나 또는 상기 제1분기라인을 통해 상기 제2이송라인에 합류시킬 수 있는 제2세탁물 분류기;
    상기 제2이송라인 중 상기 제2분기라인이 분기되는 위치 전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이송라인을 통해 순차적으로 이송되는 상기 작업복 안착수단에 놓인 작업복에 설치된 상기 RFID 태그의 IC칩을 읽어내는 제3RFID 리더기; 및
    상기 제2이송라인으로부터 상기 제2분기라인이 분기되는 부위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신호 생성기로부터 생성된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제어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제2이송라인을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하는 상기 작업복 안착수단을 상기 제2이송라인을 따라 지속 이송시키거나 또는 상기 제2분기라인을 통해 상기 제1이송라인에 합류시킬 수 있는 제3세탁물 분류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신호 생성기는,
    상기 제1RFID 리더기를 통해 읽어진 식별코드에 대해 상기 관리 서버에 요청하여 제공받은 제1판단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식별코드에 대응되는 작업자의 작업복이 마지막 세탁일로부터 기 설정된 세탁 주기정보에 따른 기간을 경과하지 않을 경우 제1제어신호를 생성하고, 해당 식별코드에 대응되는 작업자의 작업복이 마지막 세탁일로부터 기 설정된 세탁 주기정보에 따른 기간을 경과했을 경우 제2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1제어부;
    상기 제2RFID 리더기를 통해 읽어진 식별코드에 대해 상기 관리 서버에 요청하여 제공받은 제2판단정보 내지 제4판단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식별코드에 대응되는 작업복을 입은 작업자가 상기 작업장을 기 설정된 제1출입 기준횟수를 초과하여 출입한 조건, 상기 작업장 내에서의 총 작업 시간이 기 설정된 제1작업 기준시간을 초과하는 조건, 상기 다수의 작업공간 내에서의 총 작업 강도가 기 설정된 제1작업 기준강도를 초과하는 조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만족할 경우 제3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2제어부; 및
    상기 제3RFID 리더기를 통해 읽어진 식별코드에 대해 상기 관리 서버에 요청하여 제공받은 제2판단정보 내지 제4판단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식별코드에 대응되는 작업복을 입은 작업자가 상기 작업장을 기 설정된 제2출입 기준횟수 미만으로 출입한 조건, 상기 작업장 내에서의 총 작업 시간이 기 설정된 제2작업 기준시간 미만인 조건, 상기 다수의 작업공간 내에서의 총 작업 강도가 기 설정된 제2작업 기준강도 미만인 조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만족할 경우 제4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3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세탁물 분류기는 상기 제1제어부로부터 제1제어신호가 수신될 경우 상기 이동라인을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하는 상기 작업복 안착수단을 제1이송라인으로 분류하고, 상기 제1제어부로부터 제2제어신호가 수신될 경우 상기 이동라인을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하는 상기 작업복 안착수단을 제2이송라인으로 분류하며,
    상기 제2세탁물 분류기는 상기 제2제어부로부터 제3제어신호가 수신될 경우 상기 제1이송라인을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하는 상기 작업복 안착수단을 상기 제1분기라인을 통해 상기 제2이송라인에 합류시킬 수 있도록 분류하며,
    상기 제3세탁물 분류기는 상기 제3제어부로부터 제4제어신호가 수신될 경우 상기 제2이송라인을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하는 상기 작업복 안착수단을 상기 제2분기라인을 통해 상기 제1이송라인에 합류시킬 수 있도록 분류하며,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제1RFID 리더기를 통해 읽어진 식별코드에 대해 상기 관리 서버에 요청하여 제공받은 제5판단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식별코드에 대응되는 작업복 누적 세탁 횟수가 기 설정된 세탁 기준횟수를 초과했을 경우 제1제어신호 또는 제2제어신호의 생성 대신에 제5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1세탁물 분류기는 상기 제1제어부로부터 제5제어신호가 수신될 경우 상기 이동라인을 따라 순차적으로 이동하는 상기 작업복 안착수단을 제3이송라인으로 분류하며,
    상기 서버 저장부는 상기 신호 송신부로부터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제1요청신호 및 제2요청신호를 저장 관리하며,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제1RFID 리더기를 통해 읽어진 식별코드에 대한 제1판단정보를 상기 제1제어부가 요청할 경우, 상기 서버 저장부 내에 해당 식별코드에 대응되는 제1요청신호가 존재하면 제1판단정보 대신에 제1요청신호를 상기 제1제어부에 제공하며,
    상기 관리 서버는 상기 제1RFID 리더기를 통해 읽어진 식별코드에 대한 제1판단정보를 상기 제1제어부가 요청할 경우, 상기 서버 저장부 내에 해당 식별코드에 대응되는 제2요청신호가 존재하면 제1판단정보 대신에 제2요청신호를 상기 제1제어부에 제공하며,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제1요청신호를 제공받을 경우 제2제어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관리 서버로부터 제2요청신호를 제공받을 경우 제5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복 세탁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FID 리더 유닛은,
    상기 제1RFID 리더부를 중앙에 두고 작업자의 상기 작업장 출입구 출입방향 기준 일측과 타측에 설치되어, 일측에서 움직임이 선 감지된 후 타측에서 움직임이 후 감지된 경우 작업자의 이동을 작업장 입실로 판단하고, 타측에서 움직임이 선 감지된 후 일측에서 움직임이 후 감지된 경우 작업자의 이동을 작업장 퇴실로 판단하는 한 쌍의 제1적외선 감지부; 및
    상기 제2RFID 리더부를 중앙에 두고 작업자의 상기 다수의 작업공간 각각의 출입구 출입방향 기준 일측과 타측에 설치되어, 일측에서 움직임이 선 감지된 후 타측에서 움직임이 후 감지된 경우 작업자의 이동을 작업공간 입실로 판단하고, 타측에서 움직임이 선 감지된 후 일측에서 움직임이 후 감지된 경우 작업자의 이동을 작업공간 퇴실로 판단하는 한 쌍의 제2적외선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RFID 리더부는 상기 한 쌍의 제1적외선 감지부를 통해 작업자의 이동이 작업장 입실로 판단될 경우 상기 한 쌍의 제1적외선 감지부를 통한 움직임 감지 중간에 읽어낸 상기 RFID 태그의 IC칩 내 저장된 식별코드에 대한 작업장 입실 시간을 기록하고, 상기 한 쌍의 제1적외선 감지부를 통해 작업자의 이동이 작업장 퇴실로 판단될 경우 상기 한 쌍의 제1적외선 감지부를 통한 움직임 감지 중간에 읽어낸 상기 RFID 태그의 IC칩 내 저장된 식별코드에 대한 작업장 퇴실 시간을 기록하여 상기 제1작업내역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제2RFID 리더부는 상기 한 쌍의 제2적외선 감지부를 통해 작업자의 이동이 작업공간 입실로 판단될 경우 상기 한 쌍의 제2적외선 감지부를 통한 움직임 감지 중간에 읽어낸 상기 RFID 태그의 IC칩 내 저장된 식별코드에 대한 작업공간 입실 시간을 기록하고, 상기 한 쌍의 제2적외선 감지부를 통해 작업자의 이동이 작업공간 퇴실로 판단될 경우 상기 한 쌍의 제2적외선 감지부를 통한 움직임 감지 중간에 읽어낸 상기 RFID 태그의 IC칩 내 저장된 식별코드에 대한 작업공간 퇴실 시간을 기록하여 상기 제2작업내역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복 세탁 관리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90139186A 2019-11-04 2019-11-04 작업복 세탁 관리 시스템 KR1022222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9186A KR102222260B1 (ko) 2019-11-04 2019-11-04 작업복 세탁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9186A KR102222260B1 (ko) 2019-11-04 2019-11-04 작업복 세탁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2260B1 true KR102222260B1 (ko) 2021-03-04

Family

ID=75174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9186A KR102222260B1 (ko) 2019-11-04 2019-11-04 작업복 세탁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226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1865A (ko) * 2013-08-21 2015-03-03 옥은호 적외선 인체 감지 rfid 출입 관리 시스템
KR20150047656A (ko) * 2013-10-23 2015-05-06 오성우 Rfid를 이용한 건설산업현장의 무선 안전관리 시스템 및 방법
WO2018135115A1 (ja) * 2017-01-17 2018-07-2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クリーニングシステム及びクリーニング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1865A (ko) * 2013-08-21 2015-03-03 옥은호 적외선 인체 감지 rfid 출입 관리 시스템
KR20150047656A (ko) * 2013-10-23 2015-05-06 오성우 Rfid를 이용한 건설산업현장의 무선 안전관리 시스템 및 방법
WO2018135115A1 (ja) * 2017-01-17 2018-07-2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クリーニングシステム及びクリーニング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74965B2 (ja) 金属処理産業における内部個人位置特定に基づく製造制御
CN106934692B (zh) 物品信息处理系统、方法及装置
CN107527081B (zh) 基于行李rfid追踪系统、方法及服务终端
JP2020532793A (ja) 屋内位置特定システムの移動可能ユニットへの加工片の割り当て支援方法
US20090115609A1 (en) Transaction originating proximate position unattended tracking of asset movements with or without wireless communications coverage
KR102278724B1 (ko) 배달음식용 포장물품의 재활용 시스템 및 방법
KR100984843B1 (ko) Rfid 및 mes를 이용한 공정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5915731B2 (ja) 動線データ解析装置、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方法
SK18642000A3 (sk) Monitorovac systm
CN201835671U (zh) 一种指纹智能管理柜
US10438033B1 (en) Object tracking system having first and second RFID readers with display
US2007014307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tracting information from an array of hazardous material sensors
CN110788015B (zh) 智能化自动分拣回收方法及系统
EP1615148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ownership and possession of a wireless tagged article
CN106548103A (zh) 基于rfid的生产线系统
KR102222260B1 (ko) 작업복 세탁 관리 시스템
US9836936B1 (en) Object tracking system
US20120249307A1 (en) Method and System of Tracking Hotel Linen Products
CN109409465A (zh) 用于织物或纺织品清洗过程追踪的系统和方法
US20150206095A1 (en) Garment dispenser assembly
EP3867660A1 (en) Personnel monitoring and labor productivity analysing system
KR102359137B1 (ko) 위치 기반의 적재물 관리 시스템 및 방법
EP1563425B1 (en) Automated structuring of data
CA2959641A1 (en) Shopping facility discarded item sorting systems, devices, and methods
Manik et al. Analysis of RFID application through an automotive suppliers production proces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