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0836B1 - 혈액 역류 방지를 위한 정맥주사 기구 - Google Patents

혈액 역류 방지를 위한 정맥주사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0836B1
KR102220836B1 KR1020190024176A KR20190024176A KR102220836B1 KR 102220836 B1 KR102220836 B1 KR 102220836B1 KR 1020190024176 A KR1020190024176 A KR 1020190024176A KR 20190024176 A KR20190024176 A KR 20190024176A KR 102220836 B1 KR102220836 B1 KR 1022208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let
blood
module
sap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4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5254A (ko
Inventor
홍영기
이경태
박규태
조영진
강민정
김승현
남지현
유지혜
홍성돈
Original Assignee
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24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0836B1/ko
Publication of KR20200105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52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0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08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6Body-piercing guide needles or the like
    • A61M25/0606"Over-the-needle" catheter assemblies, e.g. I.V.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2005/1401Functional features
    • A61M2005/1406Minimizing backflow along the delivery catheter tr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58Needles for infusion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inserting infusion needles, or for holding them on the body
    • A61M2005/1587Needles for infusion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inserting infusion needles, or for holding them on the body suitable for being connected to an infusion line after insertion into a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58Needles for infusion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inserting infusion needles, or for holding them on the body
    • A61M2005/1588Needles for infusion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inserting infusion needles, or for holding them on the body having means for monitoring, controlling or visual inspection, e.g. for patency check, avoiding extravasation

Abstract

본 발명은 혈액 역류 방지를 위한 정맥주사 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링거줄과 카테터 사이를 연결하며, 유출구(17)로 혈액이 역류할 시 모듈(10) 내부의 서포터(20)에 의해 유입구(11)가 차단되어, 혈액 역류를 방지하는 정맥주사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한쪽에는 링거줄에 연결되어 수액이 유입되는 유입구(11)와, 다른 쪽에는 카테터에 연결되어 수액을 배출하는 유출구(17)를 구비하되, 중앙부가 확장된 형태의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과 유입구(11)는 중앙의 삽입부(14) 및 상기 삽입부(14) 외측에 형성된 공급구(12)를 통해 연통되는 모듈(10);
상기 유입구(11)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공간 내부에 위치하되 다른 쪽면이 함몰된 형태의 혈액접촉부(25)가 형성되고 한쪽에는 직경이 좁아지는 모듈접촉부(24)를 구비한 머리부(21)와, 상기 모듈접촉부(24)에 연장되되 상기 삽입부(14)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는 몸체부(22)와, 상기 몸체부(22)의 한쪽에 연장형성되되 상기 유입구(11) 측으로 점차 직경이 확장되는 형태의 바닥부(23)로 이루어지는 서포터(20);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혈액 역류 방지를 위한 정맥주사 기구{PREVENTION MODULE ON BLOOD BACKFLOW FOR INJECTION OF RINGER'S SOLUTION}
본 발명은 혈액 역류 방지를 위한 정맥주사 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링거줄과 카테터 사이를 연결하며, 혈액이 역류할 시 모듈 내부에 수용된 서포터에 의해 유입구가 차단되어, 혈액이 링거줄에 역류되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혈액이 환자의 시각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환자의 불안감을 해소하고 혈액 역류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혈압상승, 폐부종 등의 심각한 상태를 사전에 미리 방지할 수 있는 정맥주사 기구에 관한 것이다.
보통 약물을 주입하는 방법으로 사용되는 주사기는 많은 주의가 요구된다. 특히 주사 바늘은 혈관을 찔러 인체 내에서 약물을 주입하기 때문에 한번 사용한 주사기의 바늘은 감염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재사용을 금지하며, 폐기처분을 해야만 한다.
또한, 주사기의 바늘은 날카롭기 때문에 취급 시 주의가 필요하다. 방심으로 인해 사용된 주가 바늘에 의해 2차 감염 사고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수액세트(IV Set)는 정맥에 바늘 또는 카테터를 삽입하여 용기에 있는 약액을 주입하는 기구로서 주로 금식해야 하는 환자, 체액 손실이 급격히 발생했거나 수술을 해야 하는 때에 투여하며, 영양분을 빠르게 공급해 회복에 도움되어 많이 사용되는 의료 기구이다.
이때 카테터(catheter)는 비경구 투여 영양제와 같은 유동체를 투여하거나, 채혈을 하는데 사용된다. 카테터는 환자에 대해 젤코가 일체로 구비된 허브를 남겨두기 위한 것으로, 젤코에 의해 정맥의 통로가 확보되기 때문에 약물 주입 시 새로 피부를 바늘로 관통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카테터는 환자의 체내에 삽입하기 위해, 스타일렛과 함께 정맥을 찔러 삽입한후, 스타일렛만 제거를 한다.
그러나 카테터는 스타일렛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혈액이 역류할 염려가 있고 이를 통해 감염 등의 의료사고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현재 수액세트의 문제점으로는 수액의 투여가 종료됨과 동시에 바늘을 제거 하지 않으면 혈액이 역류하고 종료되는 시점을 지속적으로 관찰하기 힘들다는 점이 있다.
수액 및 약물 누출로 인해 환자에게 정량이 투여되지 않아, 시술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환자의 무리한 움직임이나, 시술 과정에서 과도한 힘이 발생하면 수액세트가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항암제, 약물 등의 누출로 환자 피부에 약물이 노출되면, 피부 이상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혈액이 역류하는 원인은 수액을 담은 팩의 위치가 수액세트의 바늘이 꽂힌 부위보다 아래에 있게 되면 중력으로 인한 액체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르는 원리인 사이펀 현상으로 역류하여 몸의 피가 바늘 쪽으로 흐르게 된다.
또한, 순간적으로 손에 힘이 들어가게 되면 강한 압력으로 인해 혈액이 역류하게 된다.
이와 같이 혈액이 역류하게 되면 노인은 갑작스러운 혈액량 증가로 인해 혈압 상승, 폐부종 등 심각한 상태에 이를 수 있으며, 어린아이도 고열, 무호흡 등 심각한 문제가 야기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16813호 (2018.11.0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환자의 움직임 또는 수액이 모두 투여되어 발생하는 압력 또는 링거줄이 수액 주머니보다 높아 중력에 의해 몸속의 혈액이 몸 밖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혈액 역류를 방지하는 정맥주사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환자의 시각에서 혈액이 보이지 않도록 하여, 환자의 불안감을 해소하는 혈액 역류 방지를 위한 정맥주사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정맥주사 시 카테터와 링거줄을 연결해주는 기구에 있어서, 한쪽에는 링거줄에 연결되어 수액이 유입되는 유입구와, 다른 쪽에는 카테터에 연결되어 수액을 배출하는 유출구를 구비하되, 중앙부가 확장된 형태의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과 유입구는 중앙의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 외측에 형성된 공급구를 통해 연통되는 모듈; 상기 삽입부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공간 내부에 위치하되 다른 쪽면이 함몰된 형태의 혈액접촉부가 형성되고 한쪽에는 직경이 좁아지는 제1접촉부를 구비한 머리부와, 상기 제1접촉부에 연장되되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한쪽에 연장형성되되 상기 유입구 측으로 점차 직경이 확장되는 형태의 바닥부로 이루어지는 서포터; 를 포함하되, 수액의 압력이 상기 바닥부에 인가됨에 따라 공급구를 개방하며 유출구 측으로 수액이 공급되고 혈액의 압력이 상기 혈액접촉부에 인가됨에 따라 공급구를 폐쇄하여 역류가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유입구는, 상기 바닥부와 동일한 각도의 경사를 갖는 경사부와, 내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삽입부를 지지하는 다수개의 직관부와, 모듈접촉부와 선접촉하여 유로를 차단 가능하도록 상기 모듈접촉부와 대응되는 경사를 갖는 확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구 및 상기 다수개의 직관부는 상기 확장부의 한쪽 끝단과 떨어져 배치되어 공간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혈액 역류 방지를 위한 정맥주사 기구에 의하면, 링거줄과 카테터 사이를 연결되며, 중력이나 압력으로 인하여 혈액이 역류할 시 모듈의 확장부와 서포터의 모듈접촉부가 접촉되며 유로를 차단하여, 혈액이 유입구로 나오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환자의 움직임 또는 수액이 모두 투여되어 발생하는 압력에 의해 몸속의 혈액이 몸 밖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역류된 혈액이 유입구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체외로 역류하는 혈액이 눈에 보이지 않게 해주어 환자의 불안감을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혈액 역류를 방지하여 혈액 역류 시 발생할 수 있는 혈압상승, 폐부종 등의 심각한 상태를 사전에 미리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혈액 역류 방지를 위한 정맥주사 기구의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혈액 역류 방지를 위한 정맥주사 기구의 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서포터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서포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혈액 역류 방지를 위한 정맥주사 기구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듈의 하측을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서포터의 이동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혈액 역류 방지를 위한 정맥주사 기구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과 더불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혈액 역류 방지를 위한 정맥주사 기구의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혈액 역류 방지를 위한 정맥주사 기구의 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서포터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서포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혈액 역류 방지를 위한 정맥주사 기구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듈의 하측을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서포터의 이동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1 내지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링거줄과 카테터 사이에 연결하여, 링거줄이 수액 주머니보다 높아 중력이 가해지거나 환자의 움직임 또는 수액이 모두 투여되어 발생하는 압력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혈액 역류를 방지하는 정맥주사 기구(100)를 제시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혈액 역류 방지를 위한 정맥주사 기구(100)는 기본적으로 모듈(10)과 서포터(20)를 포함한다.
상기 모듈(10)은 링거줄과 카테터 사이에 연결되며, 한쪽에는 링거줄에 연결되어 수액이 유입되는 유입구(11)와, 다른 쪽에는 카테터에 연결되어 수액을 배출하는 유출구(17)를 구비하되, 중앙부가 확장된 형태의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공간과 유입구(11)는 중앙의 삽입부(14) 및 상기 삽입부(14) 외측에 형성된 공급구(12)를 통해 연통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서포터(20)는 머리부(21)와, 몸체부(22)와, 바닥부(23)를 포함하는데, 상기 머리부(21)는 상기 삽입부(14)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공간 내부에 위치하되 다른 쪽면이 함몰된 형태의 혈액접촉부(25)가 형성되고 한쪽에는 직경이 좁아지는 모듈접촉부(24)를 구비한다.
상기 몸체부(22)는 상기 모듈접촉부(24)에 연장되되 상기 삽입부(14)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바닥부(23)는 상기 몸체부(22)의 한쪽에 연장형성되되 상기 유입구(11) 측으로 점차 직경이 확장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수액의 압력이 상기 바닥부(23)에 인가됨에 따라 공급구(12)를 개방하며 유출구(17) 측으로 수액이 공급되고, 중력이나 압력으로 인해 혈액이 역류할 시 몸속의 혈액이 유출구(17)로 들어와 혈액의 압력이 상기 혈액접촉부(25)에 인가됨에 따라 공급구(12)를 폐쇄하여 역류가 방지된다.
또한, 상기 유입구(11)는, 상기 바닥부(23)와 동일한 각도의 경사를 갖는 경사부(13)와, 내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삽입부(14)를 지지하는 다수개의 직관부(15)와, 모듈접촉부(24)와 선접촉하여 유로를 차단 가능한 확장부(16)를 포함한다.
상기 삽입부(14)는 상기 바닥부(23)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되어 상기 바닥부(23)가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직관부(15)는 상기 몸체부(22)가 삽입된 상기 삽입부(14)를 지지하여 상기 서포터(20)가 흔들리는 현상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몸체부(22)는 상기 직관부(15)보다 길게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22)가 상기 직관부(15)에서 한쪽 또는 다른쪽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모듈접촉부(24)와 상기 바닥부(23)는 상기 삽입부(14)보다 큰 직경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상기 서포터(20)는 상기 모듈(10) 내부 공간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머리부(21)와 상기 바닥부(23)가 상기 삽입부(14)에 걸림으로써, 상하 이동 가능한 거리가 제한되므로 상기 서포터(20)가 상기 모듈(10)의 내부공간 또는 외부로 빠져나오지 않게된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혈액 역류 방지를 위한 정맥주사 기구(100)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모듈(10)의 내부공간에 수용된 서포터(20)의 슬라이드 이동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8 (a)는 수액이 상기 유입구(11)로 공급된 상태에서의 서포터의 이동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상기 유입구(11)에 링거줄이 연결되며 수액이 공급되면, 상기 공급구(12)로 수액이 이동되고, 상기 바닥부(23)는 수액의 압력에 의해 상기 유출구(17)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되 상기 바닥부(23)와 상기 경사부(13)가 접촉되면 이동이 정지된다.
이러한 상기 서포터(20)의 이동에 의해 상기 모듈접촉부(24)와 확장부(16) 사이에 틈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유로가 개방되어 상기 공급구(12)의 수액이 상기 유출구(17)로 배출되게 된다.
도 8 (b)는 수액을 투여하는 중에 환자의 혈액이 역류되어 상기 유출구(11)로 유입되었을 경우의 서포터의 이동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상기 유출구(11)로 역류된 혈액은 상기 혈액접촉부(25)에 접촉하며 상기 혈액접촉부(25)에 압력을 가하게 된다.
이때, 혈액의 압력이 상기 유입구(11) 측으로 발생하므로 상기 서포터(20)가 상기 삽입부(14)에 지지되며 상기 유입구(11)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된다.
이를 통해, 상기 모듈(10)의 확장부(16)와 상기 서포터(20)의 모듈접촉부(24)가 접촉하게 되면서 개방되었던 유로가 폐쇄되어, 혈액이 상기 공급구(12)에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서포터(20)의 이동은 상기 삽입부(14)보다 넓은 직경으로 이루어진 상기 머리부(21) 및 바닥부(23)로 인하여 상기 삽입부(14) 길이 내에서만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제한되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맥주사 기구(100)는 수액 공급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되, 중력 또는 압력에 의해 혈액이 역류할 경우에는 모듈(10)의 내부공간에 위치한 서포트의 이동에 의해 유로가 차단되므로 혈액이 역류 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링거줄에 혈액이 보이지 않도록 하여 환자의 불안함을 해소하고, 혈액 역류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혈압상승, 폐부종 등의 심각한 상황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 모듈 11 : 유입구
12 : 공급구 13 : 경사부
14 : 삽입부 15 : 직관부
16 : 확장부 17 : 유출구
20 : 서포터 21 : 머리부
22 : 몸체부 23 : 바닥부
24 : 모듈접촉부 25 : 혈액접촉부
100 : 정맥 주사 기구

Claims (2)

  1. 정맥주사 시 카테터와 링거줄을 연결해주는 기구에 있어서,
    한쪽에는 링거줄에 연결되어 수액이 유입되는 유입구(11)와, 다른 쪽에는 카테터에 연결되어 수액을 배출하는 유출구(17)를 구비하되, 중앙부가 확장된 형태의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과 유입구(11)는 중앙의 삽입부(14) 및 상기 삽입부(14) 외측에 형성된 공급구(12)를 통해 연통되는 모듈(10);
    상기 삽입부(14)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공간 내부에 위치하되 다른 쪽면이 함몰된 형태의 혈액접촉부(25)가 형성되고 한쪽에는 직경이 좁아지는 모듈접촉부(24)를 구비한 머리부(21)와, 상기 모듈접촉부(24)에 연장되되 상기 삽입부(14)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는 몸체부(22)와, 상기 몸체부(22)의 한쪽에 연장형성되되 상기 유입구(11) 측으로 점차 직경이 확장되는 형태의 바닥부(23)로 이루어지는 서포터(20); 를 포함하되,
    수액의 압력이 상기 바닥부(23)에 인가됨에 따라 공급구(12)를 개방하며 유출구(17) 측으로 수액이 공급되고 혈액의 압력이 상기 혈액접촉부(25)에 인가됨에 따라 공급구(12)를 폐쇄하여 역류가 방지되고,
    상기 유입구(11)는,
    상기 바닥부(23)와 동일한 각도의 경사를 갖는 경사부(13)와, 내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삽입부(14)를 지지하는 다수개의 직관부(15)와, 모듈접촉부(24)와 선접촉하여 유로를 차단 가능하도록 상기 모듈접촉부(24)와 대응되는 경사를 갖는 확장부(16)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구(12) 및 상기 다수개의 직관부(15)는 상기 확장부(16)의 한쪽 끝단과 떨어져 배치되어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액 역류 방지를 위한 정맥주사 기구.
  2. 삭제
KR1020190024176A 2019-02-28 2019-02-28 혈액 역류 방지를 위한 정맥주사 기구 KR1022208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4176A KR102220836B1 (ko) 2019-02-28 2019-02-28 혈액 역류 방지를 위한 정맥주사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4176A KR102220836B1 (ko) 2019-02-28 2019-02-28 혈액 역류 방지를 위한 정맥주사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5254A KR20200105254A (ko) 2020-09-07
KR102220836B1 true KR102220836B1 (ko) 2021-02-25

Family

ID=72472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4176A KR102220836B1 (ko) 2019-02-28 2019-02-28 혈액 역류 방지를 위한 정맥주사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083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47006B (zh) * 2022-01-20 2024-02-20 上海协贮智能科技服务有限公司 一种自动止液及防回血的输液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368Y1 (ko) * 2010-01-19 2010-07-06 에이스메디칼 주식회사 역류방지기능을 갖는 약액 주입튜브
JP2016002393A (ja) * 2014-06-19 2016-01-12 ホクユーメディックス株式会社 点滴筒および点滴器具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2937B1 (ko) * 2001-02-09 2004-12-23 장양수 안전 수액세트
KR100421524B1 (ko) * 2001-11-16 2004-03-18 연우인더스트리(주) 주사 수액 역류방지 장치
KR101916813B1 (ko) 2018-08-03 2018-11-08 이화용 안전 정맥주사 카테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368Y1 (ko) * 2010-01-19 2010-07-06 에이스메디칼 주식회사 역류방지기능을 갖는 약액 주입튜브
JP2016002393A (ja) * 2014-06-19 2016-01-12 ホクユーメディックス株式会社 点滴筒および点滴器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5254A (ko) 2020-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12717B2 (en) Catheter with an asymmetric tip
US10881834B2 (en) Safety catheter system and method
KR101659640B1 (ko) 개선된 역압 밀봉을 갖는 의료용 밸브
US6050978A (en) Needleless valve connector
US3888249A (en) Arterial infusion catheter
JP2023091042A (ja) 流れ転向特徴を有する末梢静脈内カテーテル
JP6194311B2 (ja) 圧力作動式の分割可能フィーチャを有するカテーテル
US3332418A (en) Injection site for venoclysis apparatus
JP2000503096A (ja) ルアーまたは圧力作動バルブを有する医療用の静脈注射用の投与ラインコネクタ
US20090312718A1 (en) Catheter with valve
JPH05123404A (ja) 医療用カテーテル集成体
BRPI0911669B1 (pt) Cateter periférico
JP2001505087A (ja) ニードルレスインジェクションサイト
WO2006046961A2 (en) Medical connector
TWM484436U (zh) 無針正壓接頭
BRPI0715526A2 (pt) deslocamento de volume em dispositivos de acesso vascular
JP2022186913A (ja) 医薬物を注入するための皮下注入装置
KR102220836B1 (ko) 혈액 역류 방지를 위한 정맥주사 기구
JP2024015424A (ja) 静脈内プライミング・キャップ
JP2003102831A (ja) 皮下埋め込み式血液処理用装置
RU2806631C2 (ru) Предохранительный механизм для иглы губера в сборе
KR102623165B1 (ko) 의료용 니들리스 커넥터
KR200242660Y1 (ko) 혈액 역류 방지용 체크밸브가 구비된 주사바늘
KR20230086676A (ko) 양 방향 포트 개구부를 갖는 카테터 조립체
JP2023548744A (ja) 浮遊式バルブ部材を一体化された収束-発散ドリップチャン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