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0695B1 - 각도조절 가능한 다용도 자동 절단기 - Google Patents

각도조절 가능한 다용도 자동 절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0695B1
KR102220695B1 KR1020190080966A KR20190080966A KR102220695B1 KR 102220695 B1 KR102220695 B1 KR 102220695B1 KR 1020190080966 A KR1020190080966 A KR 1020190080966A KR 20190080966 A KR20190080966 A KR 20190080966A KR 102220695 B1 KR102220695 B1 KR 1022206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ed
cutting edge
cutting
screw rod
cutt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0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4482A (ko
Inventor
정순창
전문자
Original Assignee
정순창
전문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순창, 전문자 filed Critical 정순창
Priority to KR1020190080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0695B1/ko
Publication of KR202100044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44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0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06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1/00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 B28D1/22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brick, concrete or glass, not provided for elsewhere; Machines, devices, tools therefor by cutting, e.g. incising
    • B28D1/228Hand-held or hand-operated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7/00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 B28D7/04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for supporting or holding work or conveying or discharging work
    • B28D7/043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for supporting or holding work or conveying or discharging work the supporting or holding device being angularly 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 Sa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도조절 가능한 다용도 자동 절단기에 관한 것으로, 절삭날 이동수단이 체결된 좌, 우측 회전 조절부재를 구비함으로서, 석재 등 절단 대상물을 자동으로 원하는 각도로 모따기를 할 수 있고, 작업대에 절단 대상물 고정수단 및 각도길이 조절수단을 구비함으로써, 가공 대상이 어떤 것이든 어떤 크기를 가지든 다양한 각도로 절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각도조절 가능한 다용도 자동 절단기{VERSATILE AUTOMATIC CUTTING MACHINE WITH ADJUSTABLE ANGLE}
본 발명은 절단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타일, 석재 등을 모서리를 포함하여 다양한 각도로 수동은 물론 자동으로 절단 가능한 다용도 자동 절단기에 관한 것이다.
현재 타일, 화강암, 대리석, 콘크리트 판넬과 같은 인공석, 기타 석재 등의 모따기는 각도조절용 스톤 모따기 보조 시트에 다이아몬드 연삭휠을 장착하여 모서리 연마하는 방식으로 주로 이루지고 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05-0031172호에는 취슬(chisel, 끌)을 선단에 구비하여 취슬구동부로 왕복 운동하며 석재 모따기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위의 연삭휠에 의한 석재 모따기는 부드러운 가공면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소정의 깊이로 모따기를 할 경우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고, 후자의 취슬에 의한 경우에는 가공할 석재의 길이가 클 때 석재 파손 위함은 물론 균일한 모따기를 얻기 어려운 문제점 등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가공 대상이 어떤 것이든 어떤 크기를 가지든 다양한 각도로 수동은 물론 자동으로 모따기를 할 수 있는 각도조절 가능한 다용도 자동 절단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절단기는 절삭날 삽입홈이 형성된 작업대; 상기 작업대의 양측에 구비된 좌, 우측 회전 조절부재; 상기 좌, 우측 회전 조절부재에 체결된 절삭날 이동수단; 및 상기 절삭날 이동수단에 체결되어 자동으로 수평이동하며 상기 작업대에 놓인 절단 대상물을 절단하는 절삭날을 구비한 절삭날 뭉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삭날 이동수단은 상기 좌, 우측 회전 조절부재에 체결된 복수개의 레일봉과 제 1 스크류 로드; 상기 레일봉에 끼워져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절삭날 뭉치를 수평이동시키는 운반 부재; 상기 운반 부재에 체결되어 상기 제 1 스크류 로드와 치합 가능하게 구비된 동력전달부재; 및 상기 제 1 스크류 로드의 일단에 체결된 로드 구동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운반 부재는 상기 레일봉에 끼워진 전, 후방 슬라이딩 부재; 상기 전, 후방 슬라이딩 부재의 사이에서 상기 레일봉에 끼워진 중간연결관; 및 상기 전, 후방 슬라이딩 부재의 양측면에 수직하게 체결된 좌, 우측 브래킷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절삭날 뭉치와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상기 좌, 우측 브래킷에 체결되고,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상기 좌, 우측 브래킷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체결된 'U'형 소켓, 상기 'U'형 소켓에 구비된 제 1 힌지축 및 상기 제 1 힌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제 1 스크류 로드와의 치합과 불치합 중 하나를 선택하는 동력차단키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동력차단키는 상기 제 1 스크류 로드에 치합하는 치합부, 상기 치합부와 소정의 각도로 돌출된 작동부 및 상기 치합부와 상기 작동부 사이의 치합해제부로 구성되고, 상기 좌, 우측 브래킷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는 상기 제 1 힌지축과 일정거리 떨어진 위치에 상기 동력차단키의 치합과 불치합 중 하나를 선택하게 하는 치합선택수단이 더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동력차단키는 자석에 붙는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치합선택수단은 상기 상기 제 1 힌지축에 평행하게 체결되어 상기 작동부의 회전을 제한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상기 작동부를 향하여 부착된 자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 후방 슬라이딩 부재는 각각 상기 레일봉이 관통하며 슬라이딩되도록 2개 이상의 관통공과 상기 2개 이상의 관통공 각각의 가운데와 연통하도록 윤활유 주입구가 형성된 슬라이딩 몸체; 상기 2개 이상의 관통공 각각의 가운데에 소정의 공간을 두고 각각의 전, 후방에 삽입된 상기 관통공 길이의 1/2배보다 작은 길이를 갖는 전, 후방 원통관; 상기 전, 후방 원통관 각각과 상기 레일봉의 사이에 삽입된 윤활유 누설방지링; 및 상기 윤할유 주입구를 통해 상기 전, 후방 원통관과 상기 레일봉 사이의 공간에 채워진 윤활유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좌, 우측 회전 조절부재는 상기 작업대의 양측에 구비된 좌, 우측 힌지축과 상기 좌, 우측 힌지축에 각각 체결된 좌, 우측 작동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절삭날 이동수단은 상기 좌, 우측 작동판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작업대의 양측에는 상부로 돌출된 좌, 우측 연장판이 더 부착되고, 상기 좌, 우측 작동판은 각각 'ㄱ'형으로 일측에 호형 장홈을 갖고, 상기 좌, 우측 연장판에 대칭되게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좌, 우측 힌지축은 각각 상기 호형 장홈을 관통하여 상기 좌, 우측 연장판에 체결된 좌, 우측 축봉, 상기 좌, 우측 축봉을 회전시키는 좌, 우측 조작 핸들 및 상기 좌, 우측 조작 핸들의 회전으로 상기 좌, 우측 작동판과 상기 좌, 우측 연장판을 조이고 풀어주는 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좌, 우측 연장판 중 하나에는 상기 좌, 우측 작동판과 이격되어 상기 절단 대상물을 밀어 상기 작업대 상에서 고정시키는 절단 대상물 고정수단이 더 부착되고, 상기 작업대는 상기 절단 대상물 고정수단의 반대편에 상기 절단 대상물의 반대편에서 절단 각도 및 절단 길이를 조절하는 각도길이 조절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절단 대상물 고정수단은 상기 좌, 우측 연장판 중 하나에 체결된 스크류 치합 선택키가 장착된 소켓, 상기 소켓을 지나는 제 2 스크류 로드, 상기 제 2 스크류 로드의 일측에 구비된 제 1 손잡이와 타측의 힌지에 체결된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각도길이 조절수단은 상기 작업대에 부착된 바닥판, 상기 바닥판 상에 제 2 힌지축으로 체결된 각도 및 길이 조절 부재, 상기 각도 및 길이 조절 부재에 상기 제 2 힌지축에서 이격되어 형성된 하나 이상의 가이드 호형 장홈과 일측에 부착된 제 2 손잡이, 상기 가이드 호형 장홈에 삽입되어 상기 바닥판에 체결된 조임용 핸들바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절삭날 이동수단이 체결된 좌, 우측 회전 조절부재를 구비함으로서, 석재 등 절단 대상물을 자동으로 원하는 각도로 모따기를 할 수 있고, 작업대에 절단 대상물 고정수단 및 각도길이 조절수단을 구비함으로써, 가공 대상이 어떤 것이든 어떤 크기를 가지든 다양한 각도로 절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 절단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반대방향에서 도시한 사시도 및 요부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동력전달부재의 작동원리를 설명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절삭날 뭉치와 이를 이동시키는 슬라이딩 부재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4의 슬라이딩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절단 대상물 고정수단 및 각도길이 조절수단에 의하여 절단 대상물을 고정하는 예를 보여주는 부분 평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의 절단 대상물 고정수단의 구성과 작동예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 절단기의 일 측면도 및 사용상태 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 절단기에서 절삭날 이동수단과 절삭날 뭉치를 소정의 각도로 기울인 일 측면도 및 사용상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 절단기는, 도 1과 같이, 절삭날 삽입홈(101)이 형성된 작업대(100); 상기 작업대의 양측에 구비된 좌, 우측 회전 조절부재(210, 220); 상기 좌, 우측 회전 조절부재에 체결된 절삭날 이동수단(300); 및 상기 절삭날 이동수단에 체결되어 자동으로 수평이동하며 상기 작업대에 놓인 절단 대상물을 절단하는 절삭날(410)을 구비한 절삭날 뭉치(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좌, 우측 회전 조절부재(210, 220)는 절삭날 뭉치(400)를 작업대(100)에서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형태로 상기 작업대(100)의 양측에 구비될 수 있으나, 도 1 및 도 2와 같이, 좌, 우측 힌지축(211, 221)과 상기 좌, 우측 힌지축에 각각 체결된 좌, 우측 작동판(212, 222)을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절삭날 이동수단(300)은 상기 좌, 우측 작동판에 소정의 연결수단, 예컨대 도 1과 같이, 볼트(313) 등으로 체결되어, 도 11과 같이, 좌, 우측 작동판(212, 222)과 일체로 좌, 우측 힌지축(211, 221)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절삭날 이동수단(300)의 구체적 실시예 또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나,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상기 좌, 우측 회전 조절부재(210, 220)에 체결된 복수개의 레일봉(311, 312)과 제 1 스크류 로드(321); 상기 레일봉(311, 312)에 끼워져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절삭날 뭉치(400)를 수평이동시키는 운반 부재(310); 상기 운반 부재에 체결되어 상기 제 1 스크류 로드(321)와 치합 가능하게 구비된 동력전달부재(350); 및 상기 제 1 스크류 로드(321)의 일단에 체결된 로드 구동 모터(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좌, 우측 회전 조절부재(210, 220)를 상술한 바와 같이, 좌, 우측 작동판(212, 222)을 포함하여 구성할 경우, 상기 레일봉은 2개(311, 312) 이상으로 나란하게 상기 좌, 우측 작동판(212, 222)에 볼트(313)로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스크류 로드(321)는 레일봉(311, 312)과 나란하게 구비되어, 일단은 좌, 우측 작동판(212, 222) 중 하나에 체결된 로드 구동 모터(320)와 연결되고, 타단은 좌, 우측 작동판(212, 222) 중 다른 하나에 부싱(322)으로 회전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스크류 로드(321)는 실시예에 따라 전체 길이가 나사산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도 2와 같이, 동력전달부재(350)가 체결되는 부위에만 나사산이 형성된 동력전달로드(321a)와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동력차단로드(321b)로 나누어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후자와 같이 구성될 경우, 로드 구동 모터(320)의 전원이 차단되지 않더라도 동력전달부재(350)가 동력차단로드(321b)를 만나는 곳에서 절삭날 뭉치(400)는 더 이상 이동하지 않게 되어 안전한 자동 절삭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운반 부재(310)는, 도 2 및 도 4와 같이, 복수개의 레일봉(311, 312)에 끼워진 전, 후방 슬라이딩 부재(332, 334); 상기 전, 후방 슬라이딩 부재의 사이에서 각 레일봉에 끼워진 중간연결관(311', 312'); 및 상기 전, 후방 슬라이딩 부재(332, 334)의 양측면에 수직하게 체결된 좌, 우측 브래킷(314a, 314b)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좌, 우측 브래킷(314a, 314b)은, 도 4와 같이, 전, 후방 슬라이딩 부재(332, 334)에 이웃하여 복수개의 봉상 체결구(315)와 볼트(316)로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절삭날 뭉치(400)와 상기 동력전달부재(350)는, 도 2와 같이, 상기 좌, 우측 브래킷(314a, 314b) 또는 그 중 일측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재(350)는 구체적으로, 도 2 및 도 3과 같이, 상기 좌, 우측 브래킷 중 어느 하나의 일측(314b)에 체결된 'U'형 소켓(340), 상기 'U'형 소켓에 구비된 제 1 힌지축(341) 및 상기 제 1 힌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제 1 스크류 로드(321a)와의 치합과 불치합 중 하나를 선택하는 동력차단키(34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동력차단키(342)는, 도 3과 같이, 상기 제 1 스크류 로드(321a)에 치합하는 치합부(342a), 상기 치합부와 소정의 각도로 돌출된 작동부(342b) 및 상기 치합부와 상기 작동부 사이의 치합해제부(342c)로 구성되어, 작동부(342b)로 제 1 힌지축(341)에서 회전시킨 정도에 따라, 치합부(342a)가 스크류 로드(321a)와 치합과 불치합 중 하나의 상태에 있게 함으로써, 동력을 전달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도 3(a)는 치합부(342a)가 나사산이 형성된 동력전달로드(321a)와 치합되어 로드 구동 모터(320)의 동력이 절달되는 예를 보여주고, 도 3(b)는 작동부(342b)를 회전시켜 동력전달로드(321a)가 치합부(342a)에서 이탈하고 치합해제부(342c)와 마주하게 하여 로드 구동 모터(320)의 동력이 차단되는 예를 보여준다. 전자의 예를 통해 로드 구동 모터(320)의 동력으로 절삭날 뭉치(400)를 자동으로 이동시키며 절삭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후자의 예와 같이, 동력차단키(342)의 조작으로 로드 구동 모터(320)의 동력을 쉽게 차단하여 수동으로도 절삭날 뭉치(400)를 이동시키며 절삭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좌, 우측 브래킷(314a, 314b)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는, 도 3과 같이, 상기 제 1 힌지축(341)과 일정거리 떨어진 위치에 상기 동력차단키(342)의 치합과 불치합 중 하나를 선택하게 하는 치합선택수단(360)이 더 체결되어, 자동과 수동이 보다 명확하게 선택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인 실시예로, 도 3과 같이, 상기 동력차단키(342)는 자석에 붙는 재질(예컨대, 철재)로 형성되고, 상기 치합선택수단(360)은 상기 제 1 힌지축(341)에 평행하도록 상기 브래킷에 체결되어 상기 작동부(342b)의 회전을 제한하는 지지대(361)와 상기 지지대에 상기 작동부를 향하여 부착된 자석(362)으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다른 실시예로 첨부 도면에는 미도시되었으나, 지지대(361)를 자석이 붙는 재질(예컨대, 철재)로 형성하고, 지지대(361)를 향하는 작동부(342b)에 자석을 부착하거나, 지지대(361)와 작동부(342b)에 서로 다른 극이 마주하도록 각각 자석을 부착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자석을 이용함으로써, 도 3(b)와 같이, 동력차단키(342)를 회전시켜 수동 절삭작업을 선택한 경우에는 동력차단키(342)가 지지대(361)에 보다 안정하게 부착되어 유지되도록 하고, 자동으로 전환시에는 반대방향으로 일정 힘을 가하여 용이하게 이탈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상기 전, 후방 슬라이딩 부재(332, 334)는 구체적으로, 도 4 및 도 5와 같이, 각각 상기 레일봉(311, 312)이 관통하며 슬라이딩되도록 2개 이상의 관통공(331a, 331b)과 상기 2개 이상의 관통공 각각의 가운데와 연통하도록 윤활유 주입구(336a, 336b)가 형성된 슬라이딩 몸체(332'); 상기 2개 이상의 관통공 각각의 가운데에 소정의 공간을 두고 각각의 전, 후방에 삽입된 상기 관통공 길이의 1/2배보다 작은 길이를 갖는 전, 후방 원통관(333a, 333b; 333c, 333d); 상기 전, 후방 원통관 각각과 상기 레일봉의 사이에 삽입된 윤활유 누설방지링(337a, 337b; 337c, 337d); 및 상기 윤할유 주입구(336a, 336b)를 통해 상기 전, 후방 원통관(333a, 333b; 333c, 333d)과 상기 레일봉(311, 312) 사이의 공간(335)에 채워진 윤활유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 후방 원통관(333a, 333b; 333c, 333d)은 볼 베어링 대신 사용되는 것으로 상기 관통공 길이의 1/4~1/3배가 바람직하고, 오일레스 베어링(Oilless Bearing)일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전, 후방 슬라이딩 부재(332, 334)의 관통공(331a, 331b)에는 오일레스 베어링만 개재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나, 절삭날 뭉치(400)는 물의 공급을 받아 석재 등을 절삭하게 되므로, 레일봉(311, 312)의 물에 의한 부식방지를 위해, 전, 후방 원통관(333a, 333b; 333c, 333d)과 레일봉(311, 312)의 사이에 소정의 공간(335)이 확보되도록 하고 상기 공간(335)에 윤할유 주입구(336a, 336b)를 통하여 윤활유(Grease 등)가 채워지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각 실시예에서, 상기 좌, 우측 회전 조절부재(210, 220)의 구체적 실시예에 대하여 좀 더 설명한다.
상기 좌, 우측 회전 조절부재(210, 220)를 위해, 도 1과 같이, 상기 작업대(100, 110)의 양측에는 상부로 돌출된 좌, 우측 연장판(111, 112)이 더 부착되고, 도 2 및 도 11과 같이, 상기 좌, 우측 작동판(212, 222)은 각각 'ㄱ'형으로 일측에 호형 장홈(213, 223)을 갖고, 상기 좌, 우측 연장판(111, 112)에 대칭되게 회전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좌, 우측 힌지축(211, 221)은 각각 상기 호형 장홈(213, 223)을 관통하여 상기 좌, 우측 연장판(111, 112)에 체결된 좌, 우측 축봉(215, 225), 상기 좌, 우측 축봉을 회전시키는 좌, 우측 조작 핸들(214, 224) 및 상기 좌, 우측 조작 핸들의 회전으로 상기 좌, 우측 작동판(212, 222)과 상기 좌, 우측 연장판(111, 112)을 조이고 풀어주는 수단(너트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호형 장홈(213, 223)에는, 도 9 및 도 11과 같이, 각도 눈금을 표시하여, 좌, 우측 축봉(215, 225)이 위치하는 각도로 절삭날 뭉치(400)의 회전 각도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도 있다.
상기 좌, 우측 연장판(111, 112) 중 하나에는, 도 6 내지 도 8과 같이, 상기 좌, 우측 작동판(212, 222)과 이격되어 절단 대상물(10)을 밀어 작업대(110) 상에서 고정시키는 절단 대상물 고정수단(510)이 더 부착되고, 상기 작업대(110)는 상기 절단 대상물 고정수단(510)의 반대편에 상기 절단 대상물(10)의 반대편에서 절단 각도 및 절단 길이를 조절하는 각도길이 조절수단(52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절단 대상물 고정수단(510)은, 도 7 및 도 8과 같이, 상기 좌, 우측 연장판(111, 112) 중 하나에 체결된 스크류 치합 선택키(514)가 장착된 소켓(515), 상기 소켓을 지나는 제 2 스크류 로드(511), 상기 제 2 스크류 로드의 일측에 구비된 제 1 손잡이(513)와 타측의 힌지(516)에 체결된 가이드 부재(5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스크류 치합 선택키(514)는 상술한 동력차단키(342)와 동일한 구성과 동작으로 상기 제 2 스크류 로드(511)와 치합과 불치합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도 7은 스크류 치합 선택키(514)를 제 2 스크류 로드(511)와 치합되도록 하여, 제 1 손잡이(513)로 제 2 스크류 로드(511)를 회전시켜, 가이드 부재(512)를 전, 후진시키는 예를 보여주고, 도 8은 스크류 치합 선택키(514)를 제 2 스크류 로드(511)와 불치합되도록 하여, 제 1 손잡이(513)로 밀거나 당겨 제 2 스크류 로드(511)와 가이드 부재(512)를 전, 후진시키는 예를 보여준다.
한편, 상기 각도길이 조절수단(520)은, 도 6과 같이, 상기 작업대(110)에 부착된 바닥판(526), 상기 바닥판 상에 제 2 힌지축(521)으로 체결된 각도 및 길이 조절 부재(522), 상기 각도 및 길이 조절 부재에 상기 제 2 힌지축(521)에서 이격되어 형성된 하나 이상의 가이드 호형 장홈(523)과 일측에 부착된 제 2 손잡이(525), 상기 가이드 호형 장홈(523)에 삽입되어 상기 바닥판(526)에 체결된 조임용 핸들바(524a, 524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도, 상기 가이드 호형 장홈(523)에는 각도 눈금을 표시하여, 조임용 핸들바(524a, 524b)의 회전축이 위치하는 각도로 각도 및 길이 조절 부재(522)의 회전 각도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도 있다.
상기 각도 및 길이 조절 부재(522)의 일 측면에는, 도 6과 같이, 길이 눈금이 있는 돌출된 단턱(522a)과 전방에 작업대(100)의 절삭날 삽입홈(101)과 대응되는 위치에 요홈(522b)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 절단기의 일 측면도 및 사용상태 사시도이다. 절삭날 뭉치(4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동력전달부재(350)가 동력차단로드(321b)를 만날 때까지 로드 구동 모터(320)에 의하여 자동으로 이동하며 절단 대상물(10)을 수직하게 절단하게 된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자동 절단기에서 절삭날 이동수단(300)과 절삭날 뭉치(400)를 소정의 각도로 기울인 일 측면도 및 사용상태 사시도이다. 이에 의하면, 절삭날 뭉치(400)는 소정의 각도(θ)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절삭날 이동수단(300)으로 수평으로 이동하며 절단 대상물(10)을 상기 각도(θ)로 비스듬히 절단하게 되어, 절단 대상물(10)의 일 측면(12)에서도 원하는 각도로 모따기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1에서 도면부호 217은 좌측 연장판(111)에 부착된 좌측 작동판(212)의 초과 회전 방지부재로, 우측 연장판(112)에도 우측 작동판(222)의 초과 회전 방지부재가 대칭되게 부착될 수 있다.
미설명된 절삭날 뭉치(400)는 일반적인 구성을 가지나, 도 1 및 도 2와 같이, 절삭날 이동수단(300)에 소정의 힌지로 회전 가능하게 체결된 몸체, 상기 몸체에 구비된 절삭날(410), 절삭날 상부커버(412), 측면 분진 토출구(414), 스위치가 달린 손잡이(420), 절삭날 구동 모터(430) 등으로 구성되고, 상기 절삭날 상부커버(412)는 작업대(100)에 부착된 폴대(402)를 통해 물공급 호스(401)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작업대(100)는 일 측면에 로드 구동 모터(320)의 속도 등을 제어하는 제어함(600)이 더 부착되고, 높이 조절 가능한 다리(120)와 이동용 바퀴(122)를 구비하여 이동 가능한 접이식 및/또는 조립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기타 미설명된 부분은 일반적인 절삭기를 참조할 수 있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등가적 구성으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이는 위의 설명으로 충분하다 할 것이어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100, 110: 작업대
210, 220: 좌, 우측 회전 조절부재
300: 절삭날 이동수단
400: 절삭날 뭉치
510: 절단 대상물 고정수단
520: 각도길이 조절수단
600: 제어함

Claims (10)

  1. 절삭날 삽입홈이 형성된 작업대;
    상기 작업대의 양측에 구비된 좌, 우측 회전 조절부재;
    상기 좌, 우측 회전 조절부재에 체결된 절삭날 이동수단; 및
    상기 절삭날 이동수단에 체결되어 자동으로 수평이동하며 상기 작업대에 놓인 절단 대상물을 절단하는 절삭날을 구비한 절삭날 뭉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좌, 우측 회전 조절부재는 상기 작업대의 양측에 구비된 좌, 우측 힌지축과 상기 좌, 우측 힌지축에 각각 체결된 좌, 우측 작동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절삭날 이동수단은 상기 좌, 우측 작동판에 체결되고,
    상기 작업대의 양측에는 상부로 돌출된 좌, 우측 연장판이 더 부착되고,
    상기 좌, 우측 작동판은 각각 'ㄱ'형으로 일측에 호형 장홈을 갖고, 상기 좌, 우측 연장판에 대칭되게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좌, 우측 힌지축은 각각 상기 호형 장홈을 관통하여 상기 좌, 우측 연장판에 체결된 좌, 우측 축봉, 상기 좌, 우측 축봉을 회전시키는 좌, 우측 조작 핸들 및 상기 좌, 우측 조작 핸들의 회전으로 상기 좌, 우측 작동판과 상기 좌, 우측 연장판을 조이고 풀어주는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절단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날 이동수단은 상기 좌, 우측 회전 조절부재에 체결된 복수개의 레일봉과 제 1 스크류 로드;
    상기 레일봉에 끼워져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절삭날 뭉치를 수평이동시키는 운반 부재;
    상기 운반 부재에 체결되어 상기 제 1 스크류 로드와 치합 가능하게 구비된 동력전달부재; 및
    상기 제 1 스크류 로드의 일단에 체결된 로드 구동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절단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 부재는 상기 레일봉에 끼워진 전, 후방 슬라이딩 부재;
    상기 전, 후방 슬라이딩 부재의 사이에서 상기 레일봉에 끼워진 중간연결관; 및
    상기 전, 후방 슬라이딩 부재의 양측면에 수직하게 체결된 좌, 우측 브래킷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절삭날 뭉치와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상기 좌, 우측 브래킷에 체결되고,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상기 좌, 우측 브래킷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체결된 'U'형 소켓, 상기 'U'형 소켓에 구비된 제 1 힌지축 및 상기 제 1 힌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제 1 스크류 로드와의 치합과 불치합 중 하나를 선택하는 동력차단키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절단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차단키는 상기 제 1 스크류 로드에 치합하는 치합부, 상기 치합부와 소정의 각도로 돌출된 작동부 및 상기 치합부와 상기 작동부 사이의 치합해제부로 구성되고,
    상기 좌, 우측 브래킷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는 상기 제 1 힌지축과 일정거리 떨어진 위치에 상기 동력차단키의 치합과 불치합 중 하나를 선택하게 하는 치합선택수단이 더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절단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차단키는 자석에 붙는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치합선택수단은 상기 상기 제 1 힌지축에 평행하게 체결되어 상기 작동부의 회전을 제한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상기 작동부를 향하여 부착된 자석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절단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 후방 슬라이딩 부재는 각각 상기 레일봉이 관통하며 슬라이딩되도록 2개 이상의 관통공과 상기 2개 이상의 관통공 각각의 가운데와 연통하도록 윤활유 주입구가 형성된 슬라이딩 몸체;
    상기 2개 이상의 관통공 각각의 가운데에 소정의 공간을 두고 각각의 전, 후방에 삽입된 상기 관통공 길이의 1/2배보다 작은 길이를 갖는 전, 후방 원통관;
    상기 전, 후방 원통관 각각과 상기 레일봉의 사이에 삽입된 윤활유 누설방지링; 및
    상기 윤할유 주입구를 통해 상기 전, 후방 원통관과 상기 레일봉 사이의 공간에 채워진 윤활유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절단기.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좌, 우측 연장판 중 하나에는 상기 좌, 우측 작동판과 이격되어 상기 절단 대상물을 밀어 상기 작업대 상에서 고정시키는 절단 대상물 고정수단이 더 부착되고,
    상기 작업대는 상기 절단 대상물 고정수단의 반대편에 상기 절단 대상물의 반대편에서 절단 각도 및 절단 길이를 조절하는 각도길이 조절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절단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 대상물 고정수단은 상기 좌, 우측 연장판 중 하나에 체결된 스크류 치합 선택키가 장착된 소켓, 상기 소켓을 지나는 제 2 스크류 로드, 상기 제 2 스크류 로드의 일측에 구비된 제 1 손잡이와 타측의 힌지에 체결된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각도길이 조절수단은 상기 작업대에 부착된 바닥판, 상기 바닥판 상에 제 2 힌지축으로 체결된 각도 및 길이 조절 부재, 상기 각도 및 길이 조절 부재에 상기 제 2 힌지축에서 이격되어 형성된 하나 이상의 가이드 호형 장홈과 일측에 부착된 제 2 손잡이, 상기 가이드 호형 장홈에 삽입되어 상기 바닥판에 체결된 조임용 핸들바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절단기.

KR1020190080966A 2019-07-04 2019-07-04 각도조절 가능한 다용도 자동 절단기 KR1022206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0966A KR102220695B1 (ko) 2019-07-04 2019-07-04 각도조절 가능한 다용도 자동 절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0966A KR102220695B1 (ko) 2019-07-04 2019-07-04 각도조절 가능한 다용도 자동 절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4482A KR20210004482A (ko) 2021-01-13
KR102220695B1 true KR102220695B1 (ko) 2021-02-25

Family

ID=74142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0966A KR102220695B1 (ko) 2019-07-04 2019-07-04 각도조절 가능한 다용도 자동 절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069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9828A (ja) * 1999-09-17 2001-03-27 Yoshitaka Sakamoto タイル切断機
KR100676753B1 (ko) * 2005-10-07 2007-02-01 백정현 석재 절단장치
KR101571008B1 (ko) * 2014-09-15 2015-11-23 정순창 Alc 블록 절단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79828A (ja) * 1999-09-17 2001-03-27 Yoshitaka Sakamoto タイル切断機
KR100676753B1 (ko) * 2005-10-07 2007-02-01 백정현 석재 절단장치
KR101571008B1 (ko) * 2014-09-15 2015-11-23 정순창 Alc 블록 절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4482A (ko) 2021-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430718B (zh) 木工工作台及多功能木工装置
US4566169A (en) Set of parts for building small machine tools
DE60200802T2 (de) Schneide- oder Sägemaschine und Methode zum Bearbeiten eines Objekts
CN210712497U (zh) 一种市政管理道路桥梁施工用切缝装置
JP6675007B2 (ja) 凹凸構造加工用ジグ及びこれを用いた凹凸構造加工方法
KR101843687B1 (ko) 수평 드릴 머신
KR102220695B1 (ko) 각도조절 가능한 다용도 자동 절단기
CN112372375A (zh) 一种机械配件打磨与钻孔一体化设备
CA2136644A1 (en) Improvements in portable machines for performing cuts in stone, marble, granite and the like
GB2053088A (en) Clamping arrangement for a sawing machine
CN209851104U (zh) 一种自动单片纵锯机
TWI440517B (zh) Reciprocating automatic shovel device
CN207972109U (zh) 蒸压加气混凝土砌块切割工具
US6719504B2 (en) Motorized grout-removing device
CN214770300U (zh) 一种高精度机件加工装置
CN215906525U (zh) 一种用于路沿石对接安装的辅助装置
US5848863A (en) Working machine having different working angle
CN206241358U (zh) 一种钢结构用切割机
KR20150004552A (ko) 이동형 석판 절단 장치
CN205600887U (zh) 加工机的工作高度调整装置
CN111890572A (zh) 一种建筑材料切割装置
CN219324829U (zh) 一种轻质隔墙板开槽切割用定位装置
CA2744986C (en) Router table with mechanical drive
CN219925968U (zh) 一种机械加工平台
CN219427160U (zh) 蒸压加气混凝土板材的废料清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