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0497B1 - 고객카드를 이용한 전자쿠폰 제공 시스템, 서비스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고객카드를 이용한 전자쿠폰 제공 시스템, 서비스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0497B1
KR102220497B1 KR1020130134831A KR20130134831A KR102220497B1 KR 102220497 B1 KR102220497 B1 KR 102220497B1 KR 1020130134831 A KR1020130134831 A KR 1020130134831A KR 20130134831 A KR20130134831 A KR 20130134831A KR 102220497 B1 KR102220497 B1 KR 1022204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on
customer card
card information
page
purch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4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3300A (ko
Inventor
조영훈
송제훈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34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0497B1/ko
Publication of KR20150053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33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0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04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24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based on user hist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06Q20/346Cards serving only as information carrier of ser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39Online discounts or incentiv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객카드를 이용한 전자쿠폰 제공 시스템, 서비스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장치는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쿠폰, 고객카드정보 또는 구매내역을 저장하되, 상기 고객카드정보와 상기 구매내역을 매칭시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고객카드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고객카드정보페이지 또는 쿠폰을 선택할 수 있는 쿠폰페이지를 생성하는 페이지 생성부; 및 사용자 장치가 접속하면 고객카드정보페이지를 제공하고, 상기 고객카드정보페이지를 통해 고객카드정보가 등록되면, 상기 고객카드정보를 통해 유통점을 식별하고, 상기 유통점에서 제공하는 쿠폰을 선택할 수 있는 쿠폰페이지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고객카드를 이용한 전자쿠폰 제공 시스템, 서비스 장치 및 방법{System, Service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Electronic Coupon using Customer Card}
본 발명은 고객카드를 이용한 전자쿠폰 제공 시스템, 서비스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비스 장치가 고객카드정보페이지를 통해 고객카드정보를 등록받고, POS단말로부터 수신된 구매내역을 상기 고객카드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하며, 서비스 장치가 구매내역을 분석하여 선호상품에 관한 쿠폰을 선택할 수 있는 쿠폰페이지를 제공하고, 사용자 장치로부터 쿠폰이 선택되면 고객카드정보와 선택된 쿠폰을 연계시켜 저장하며, 사용자가 유통점에서 상품 구매 시 고객카드를 제시하면, 유통점에 구비된 POS단말이 고객카드정보를 추출하여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여 서비스 장치로부터 해당 고객카드정보에 연계되어 있는 쿠폰을 수신받아 결제에 적용할 수 있는 고객카드를 이용한 전자쿠폰 제공 시스템, 서비스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기의 성능 발전과 통신 네트워크 보급의 확산에 따라 네트워크를 통한 다양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기기의 성능발전과 네트워크 보급의 확산에 따라 사용자는 사용자 장치(컴퓨터, 스마트폰, PDA 등)를 통해 시간, 장소에 제한되지 않고 언제든지 인터넷에 손쉽게 접속할 수 있게 되었고, 이로 인해 인터넷을 이용해 전자쿠폰을 제공하고, 전자쿠폰을 적용하여 특정 물품에 대한 가격을 할인해주거나 이벤트를 하는 등 마케팅이 상용화 되고 있다.
기존의 경우, 쿠폰 서비스를 위해 매장에서는 스탬프나 스티커 적립을 위한 종이 쿠폰 카드, 혹은 종이쿠폰을 인쇄하여 발급하거나, 혹은 마그네틱이 형성된 플라스틱 카드 형태의 마일리지 카드를 발급한다. 이에, 쿠폰 발급자 측에서는 쿠폰을 인쇄하거나, 마일리지 카드를 발행하고 이를 처리하기 위한 단말기를 구비하는 등의 비용 부담이 있었다.
이에, 인터넷 서버를 통해 전자쿠폰을 발행하는 기술이 개발된바 있다. 전자쿠폰 서비스는 인터넷 서버에서 고유번호를 갖는 전자쿠폰을 생성하여 각 사용자의 이메일이나 사용자 장치에 발급하고, 전자쿠폰 사용 시 해당 전자쿠폰의 고유번호를 확인하여 회수하는 방식으로 제공된다. 전자쿠폰 서비스는 분실이나 훼손의 위험이 적고 사용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여전히 사용자는 매번 결제를 수행할 때마다 사용자 장치에 저장된 전자쿠폰을 찾아 디스플레이한 후 결제가 수행되기 전에 점원에게 보여줘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한편, 종래의 대형 할인마트 등에서는 각 유통점별로 고객카드를 발급하고, 사용자가 상품 구매시 상품 가격의 일부분을 포인트로 적립하고, 포인트를 이용해 각종 혜택을 주는 서비스가 활성화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사용자가 물품을 구매할 때 고객카드를 제시하면, 일정 포인트를 적립할 수 있을 뿐, 고객카드와 연동되어 있는 별도의 전자쿠폰을 발급받지 못하였다. 이에, 사용자는 상품 구매시 더 큰 혜택을 받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문헌(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2-0137561호)을 참조하면, 선행문헌은 전자쿠폰 유통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매장에서 발급할 전자쿠폰의 생성 및 등록을 네트워크를 통해 요청하는 발급자 단말; 상기 매장에서 상기 전자쿠폰을 발급받아 상기 전자쿠폰에 대한 전자쿠폰정보를 송신하는 사용자 단말 및 상기 발급자 단말에 따라, 상기 매장을 식별하기 위한 매장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전자쿠폰을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수신된 전자쿠폰정보에서 상기 매장식별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쿠폰보유내역에 적립 처리하는 전자쿠폰 유통 관리서버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문헌은 단지 전자쿠폰을 생성하고,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며, 사용자들의 전자쿠폰 보유정보를 중계하여 사용자 간에 필요한 전자쿠폰을 상호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을 뿐이므로, 여전히 전자쿠폰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상품 결제시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전자쿠폰을 일일이 찾아 디스플레이하고, 결제 전에 점원에서 보여줘야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한다.
또한, 선행문헌은 고객카드정보와 쿠폰을 연계하여 저장한 후, 사용자가 물품 구매시 고객카드만을 제시하면 자동으로 고객카드정보와 연계되어 있는 쿠폰이 적용된다는 구성은 전혀 개시되어 있지 않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2-0137561호 : 전자쿠폰 유통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해당 고객카드정보와 매칭되어 있는 구매내역을 분석하여 제1선호상품군을 추출하거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구매내역을 모두 고려하여 제2선호상품군을 추출하고, 제1선호상품군의 쿠폰페이지 또는 제2선호상품군의 쿠폰페이지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보다 객관적으로 유용한 쿠폰을 사전에 선택할 수 있는 고객카드를 이용한 전자쿠폰 제공 시스템, 서비스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비스 장치에 고객카드정보와 전자쿠폰(이하, '쿠폰'이라 함)을 사전에 연계시켜 저장하고, 사용자가 유통점에서 상품 구매시, 고객카드 제시만으로 쿠폰을 적용받을 수 있는 고객카드를 이용한 전자쿠폰 제공 시스템, 서비스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쿠폰페이지 또는 쿠폰을 제공하는 서비스 장치는,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쿠폰, 고객카드정보 또는 구매내역을 저장하되, 상기 고객카드정보와 상기 구매내역을 매칭시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고객카드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고객카드정보페이지 또는 쿠폰을 선택할 수 있는 쿠폰페이지를 생성하는 페이지 생성부; 및 사용자 장치가 접속하면 고객카드정보페이지를 제공하고, 상기 고객카드정보페이지를 통해 고객카드정보가 등록되면, 상기 고객카드정보를 통해 유통점을 식별하고, 상기 유통점에서 제공하는 쿠폰을 선택할 수 있는 쿠폰페이지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페이지 생성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객카드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고객카드정보페이지를 생성하는 고객카드정보페이지 생성모듈;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구매내역을 분석하여 선호상품을 추출하는 선호상품 추출모듈; 및 상기 선호상품 추출모듈에 의해 추출된 선호상품에 관한 쿠폰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쿠폰페이지를 생성하는 쿠폰페이지 생성모듈; 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호상품 추출모듈은, 상기 고객카드정보와 매칭되어 있는 구매내역에 포함된 구매상품, 구매가격, 구매수량 및 구매시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제1선호상품군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호상품 추출모듈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구매내역을 모두 고려하여, 구매내역에 포함된 구매상품의 빈도수를 종합하고, 상기 구매상품의 빈도수가 높은 순서대로 제2선호상품군을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쿠폰페이지 생성모듈은, 상기 선호상품 추출모듈에서 추출된 상기 제1선호상품군 또는 제2선호상품군에 관한 쿠폰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제1선호상품군의 쿠폰페이지 또는 제2선호상품군의 쿠폰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쿠폰페이지 생성모듈에서 생성된 제1선호상품군의 쿠폰페이지 또는 제2선호상품군의 쿠폰페이지에서 상기 사용자 장치에 의해 쿠폰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쿠폰과 상기 고객카드정보페이지를 통해 입력된 고객카드정보를 연계시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POS단말로부터 고객카드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수신된 고객카드정보와 일치하는 고객카드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고객카드정보와 연계되어 있는 쿠폰을 상기 POS단말로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POS단말로부터 결제된 구매내역 및 고객카드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고객카드정보와 일치하는 고객카드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고객카드정보에 매칭되어 저장된 구매내역을 업데이트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따른 고객카드를 이용한 전자쿠폰 제공 시스템은, 서비스 장치에서 제공하는 고객카드정보페이지에 접속하여 고객카드정보를 입력하고, 서비스 장치에서 제공하는 쿠폰페이지에 접속하여 쿠폰을 선택하는 사용자 장치; 고객카드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고객카드정보페이지를 생성하고, 상기 고객카드정보가 등록되면, 상기 고객카드정보를 통해 유통점을 식별하고, 상기 유통점에서 제공하는 쿠폰을 선택할 수 있는 쿠폰페이지를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쿠폰이 선택되면, 상기 등록된 고객카드정보와 상기 선택된 쿠폰을 연계시켜 저장하고, POS단말로부터 고객카드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고객카드정보와 연계되어 있는 쿠폰을 추출하여 상기 POS단말로 제공하는 서비스 장치; 및 고객카드로부터 고객카드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고객카드정보를 상기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 장치로부터 쿠폰을 수신받아 쿠폰을 적용하여 결제를 수행하는 POS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OS단말은, 결제가 완료되면 결제된 구매내역과 상기 추출된 고객카드정보를 상기 서비스 장치로 전송할 수 있고, 상기 서비스 장치는, 상기 POS단말로부터 결제된 구매내역 및 고객카드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고객카드정보와 일치하는 고객카드정보에 매칭되어 저장된 구매내역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가 쿠폰페이지 또는 쿠폰을 제공하는 방법은, (a) 고객카드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고객카드정보페이지를 생성하는 단계; (b) 사용자 장치가 서비스 장치에 접속하면, 서비스 장치는 상기 고객카드정보페이지를 제공하고, 상기 고객카드정보페이지를 통해 고객카드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고객카드정보를 등록하는 단계; (c) 상기 고객카드정보를 통해 유통점을 식별하고, 상기 유통점에서 제공하는 쿠폰을 선택할 수 있는 쿠폰페이지를 생성 및 제공하는 단계; 및 (d)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쿠폰이 선택되면, 상기 등록된 고객카드정보와 상기 선택된 쿠폰을 연계시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 단계 이전에, POS단말로부터 구매내역 및 고객카드정보를 수신받으면, 상기 구매내역을 상기 등록된 고객카드정보에 매칭시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 단계는, 상기 고객카드정보와 매칭되어 있는 구매내역에 포함된 구매상품, 구매가격, 구매수량 및 구매시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제1선호상품군을 추출하고, 제1선호상품군의 쿠폰페이지를 생성하거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구매내역을 모두 고려하여, 구매내역에 포함된 구매상품의 빈도수를 종합하고, 상기 구매상품의 빈도수가 높은 순서대로 제2선호상품군을 추출하여, 제2선호상품군의 쿠폰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e) POS단말로부터 고객카드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수신된 고객카드정보와 일치하는 고객카드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고객카드정보와 연계되어 있는 쿠폰을 상기 POS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및 (f) 상기 POS단말로부터 결제된 구매내역 및 고객카드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고객카드정보와 일치하는 고객카드정보에 매칭되어 저장된 구매내역을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이 고객카드를 이용해 전자쿠폰을 제공하는 방법은, (a) 서비스 장치가 고객카드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고객카드정보페이지를 생성하고, 사용자 장치로부터 접속이 있는 경우, 상기 고객카드정보페이지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고객카드정보를 입력받아 등록하는 단계; (b) POS단말로부터 고객카드정보 및 구매내역이 수신되면, 서비스 장치가 상기 고객카드정보와 구매내역을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 (c) 서비스 장치가 상기 등록된 고객카드정보로부터 유통점을 식별하는 단계; (d) 서비스 장치가 상기 고객카드정보와 매칭되어 있는 구매내역에 포함된 구매상품, 구매가격, 구매수량 및 구매시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제1선호상품군을 추출하고, 상기 식별된 유통점에서 제공하는 쿠폰들을 선택할 수 있는 제1선호상품군의 쿠폰페이지를 생성하고 제공하는 단계; (e) 서비스 장치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구매내역을 모두 고려하여, 구매내역에 포함된 구매상품의 빈도수를 종합하고, 상기 구매상품의 빈도수가 높은 순서대로 제2선호상품군을 추출하며, 상기 식별된 유통점에서 제공하는 쿠폰들을 선택할 수 있는 제2선호상품군의 쿠폰페이지를 생성하고 제공하는 단계; (f)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쿠폰이 선택되면, 서비스 장치가 상기 등록된 고객카드정보와 상기 선택된 쿠폰을 연계시켜 저장하는 단계; (g) POS단말로부터 고객카드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수신된 고객카드정보와 일치하는 고객카드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고객카드정보와 연계되어 있는 쿠폰을 상기 POS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및 (h) POS단말이 상기 서비스 장치로부터 쿠폰을 수신받아 쿠폰을 적용하여 결제를 수행하고, POS단말이 결제된 구매내역과 추출된 고객카드정보를 상기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가 쿠폰페이지 또는 쿠폰을 제공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서비스 장치가 POS단말로부터 전송되는 과거 구매내역을 분석하여 선호상품을 추출하고, 선호상품에 관한 쿠폰목록을 생성하여 사용자 장치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의 선호상품에 관한 쿠폰페이지를 우선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해당 고객카드정보와 매칭되어 있는 구매내역을 분석하여 제1선호상품군을 추출하거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구매내역을 모두 고려하여 제2선호상품군을 추출하고, 제1선호상품군의 쿠폰페이지 또는 제2선호상품군의 쿠폰페이지를 제공함으로써, 제1선호상품군의 쿠폰페이지를 통해 사용자 개인의 선호상품에 관한 쿠폰을 손쉽게 선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2선호상품군의 쿠폰페이지를 통해 해당 유통점의 객관적인 소비경향을 파악할 수 있고, 다수의 사람들이 선호하는 상품을 파악할 수 있어 사용자의 상품구매를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사전에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에 대한 쿠폰을 고객카드정보와 연계하여 저장하므로, 유통점에서 상품 구매시 고객카드 제시만으로 쿠폰적용의 혜택을 누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고객카드정보와 쿠폰이 연계되어 있고, 고객카드 제시만으로 쿠폰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오프라인 쿠폰을 소지하거나, 전자쿠폰을 사용자 장치에서 찾아 디스플레이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진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유통점은 사전에 쿠폰목록을 사용자에게 제시하여 쿠폰선택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구매의욕을 고취시킬 수 있어 판매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가 쿠폰페이지 또는 쿠폰을 제공하는 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장치, 시스템 및 각 구성요소의 구동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된 도면에 표현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쉽게 설명하기 위해 도식화된 도면으로 실제로 구현되는 형태와 상이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표현되는 각 구성부는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예일 뿐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구현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구성부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부는 순전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구성만으로 구현될 수도 있지만, 동일 기능을 수행하는 다양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할 뿐이며,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그리고,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을 살펴본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은 사용자 장치(100), 서비스 장치(200), POS단말(300) 및 통신망(4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100)는 통신망(400)을 통해 서비스 장치(200)에서 제공하는 고객카드정보페이지 또는 쿠폰페이지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수단과 고객카드정보를 입력하거나 쿠폰을 선택할 수 있는 입력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장치(100)는 서비스 장치(200)에 접속하기 위한 웹 브라우저(Web browser) 또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등의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유통점으로 상품을 구매하러 가기 전, 사전에 사용자 장치(100)를 이용하여 서비스 장치(200)에 접속하고, 서비스 장치(200)에서 제공하는 고객카드정보페이지 및 쿠폰페이지를 통해 고객카드정보 등록 및 쿠폰 선택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장치(100)는 통신 기능 및 근거리 통신 기능을 탑재한 사용자 장치라면 어느 것이라도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PC, 노트북, 무선통신 단말, 스마트폰(Smart phone), PMP(Portable 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타블렛 PC(Tablet PC), 셋탑박스(Set-top box), 스마트 TV 등 다양한 장치가 될 수 있다.
서비스 장치(200)는 통신망(400)을 통해 사용자 장치(100), POS단말(300) 및 유통점 서버(미도시) 등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다수의 유통점 서버(미도시)로부터 쿠폰을 수신받아 유통점별로 분류하여 쿠폰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장치(200)는 고객카드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고객카드정보페이지를 생성하고, 사용자 장치(100)로부터 고객카드정보를 입력받아 등록하며, 상기 고객카드정보를 통해 유통점을 식별하고, 상기 유통점에서 제공하는 쿠폰을 선택할 수 있는 쿠폰페이지를 생성 및 제공하며, 사용자 장치(100)로부터 쿠폰이 선택되면, 상기 등록된 고객카드정보와 상기 선택된 쿠폰을 연계시켜 저장하고, POS단말(300)로부터 고객카드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고객카드정보와 연계되어 있는 쿠폰을 추출하여 POS단말(3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장치(200)는 POS단말(300)로부터 결제된 구매내역 및 고객카드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고객카드정보와 일치하는 고객카드정보에 매칭(matching)되어 저장된 구매내역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여기서, 고객카드는 각 유통점별로 발행하는 마일리지 카드, 포인트 카드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신규로 카드를 새로 발행하는 것이 아닌, 기존에 사용자가 가지고 있던 신용카드, 체크카드 등을 해당 유통점과 연동하여 고객카드로 등록할 수 있다면, 이러한 신용카드, 체크카드 등도 고객카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즉, 고객카드는 위에서 열거한 카드들로 한정되지 아니하며, 유통점 서버와 연동하여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카드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고객카드정보는 카드를 식별할 수 있는 모든 식별정보를 포함한다. 즉, 카드번호, 마그네틱 정보, QR코드,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 정보 등 고객카드를 식별할 수 있는 모든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고객카드정보는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주민등록번호, 사용자 장치(100)의 전화번호, 사용자 장치(100)의 고유번호 또는 유통점을 식별할 수 있는 유통점 고유식별번호 등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 장치(200)는 웹 서버(Web Server) 또는 왑 서버(WAB Serv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하드웨어적으로는 통상적인 웹 서버(Web Server) 또는 왑 서버(WAP Sever)와 동일한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적으로는 C, C++, Java, Visual Basic, Visual C 등 여하한 언어를 통하여 구현되어 여러 가지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 모듈(Module)을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장치(2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하기로 한다.
유통점 서버(미도시)는 각 유통점에 구비된 서버로서, 다수의 유통점 서버를 포함한다.
유통점 서버(미도시)는 고객별로 고객카드를 발행하고, 해당 유통점에서 상품별로 적용 가능한 쿠폰을 생성하여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유통점 서버(미도시)는 고객카드가 발행되면 바로 서비스 장치(200)로 상기 고객카드에 관한 고객카드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러한 유통점 서버(미도시)는 웹 서버(Web Server) 또는 왑 서버(WAB Serv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하드웨어적으로는 통상적인 웹 서버(Web Server) 또는 왑 서버(WAP Sever)와 동일한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적으로는 C, C++, Java, Visual Basic, Visual C 등 여하한 언어를 통하여 구현되어 여러 가지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 모듈(Module)을 포함할 수 있다.
POS(Point Of Sale)단말(300)은 유통점별로 구비된 결제를 수행하는 단말로서, 유통점 서버와 실시간 연동하여 결제를 수행하는 단말기를 말한다.
POS단말(300)은 사용자가 물품 구매시 고객카드를 제시하면, 고객카드로부터 고객카드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고객카드정보를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하며, 서비스 장치(200)로부터 쿠폰을 수신받아 쿠폰을 적용하여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POS단말(400)은 결제가 수행되면, 결제된 구매내역과 추출된 고객카드정보를 서비스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서비스 장치(200) 뿐만 아니라 유통점 서버(미도시)로 전송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거나, 사용자 장치(100)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결제내역을 확인하게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유통점 서버(미도시)와 POS단말(300)을 분리하여 설명하였지만, POS단말(300)은 각 유통점에 구비되어 결제를 수행하고, 유통점 서버(미도시)와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상품의 재고, 정산, 고객관리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유통점 서버(미도시)와 POS단말(300)은 하나의 형태로 이해될 수도 있다.
통신망(500)은 사용자 장치(100), 서비스 장치(200), POS단말(300) 또는 유통점 서버(미도시)를 연결하는 망(Network)으로서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모든 통신망을 말한다.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등의 폐쇄형 네트워크일 수 있으며, 인터넷(Internet)과 같은 개방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인터넷은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NFS(Network File Service), NIS(Network Information Service)를 제공하는 전세계적인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한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에 대해 살펴본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200)는, 통신부(210), 데이터베이스(220), 페이지 생성부(230) 및 제어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통신망(500)을 통해 사용자 장치(100), POS단말(300) 또는 유통점 서버(미도시)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상호 연결시키는 통신 수단으로서, 이동통신, 위성통신 등의 무선 통신모듈, 인터넷 등의 유선 통신모듈, 와이파이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220)는 쿠폰, 고객카드정보 또는 구매내역을 저장하되, 고객카드정보와 구매내역을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즉, 유통점 서버로부터 수신받은 쿠폰을 유통점별로 구분하여 저장하고, 사용자 장치(100)로부터 입력된 고객카드정보를 등록 및 저장할 수 있으며, POS단말(300)로부터 결제된 구매내역 및 고객카드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고객카드정보와 일치하는 고객카드정보에 구매내역을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POS단말(300)로부터 새로운 구매내역이 수신되면, 구매내역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러한 구매내역은 후술하는 선호상품 추출모듈(234)에서 선호상품, 제1선호상품군 및 제2선호상품군을 추출하는 기초데이터가 될 수 있다.
페이지 생성부(230)는 고객카드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고객카드정보페이지 또는 쿠폰을 선택할 수 있는 쿠폰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페이지 생성부(230)는 고객카드정보페이지 생성모듈(232), 선호상품 추출모듈(234) 및 쿠폰페이지 생성모듈(236)을 포함할 수 있다.
고객카드정보페이지 생성모듈(232)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객카드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고객카드정보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다. 즉, 고객카드정보페이지는 사용자가 사용자 장치(100)를 통해 서비스 장치(200)에 접속하면, 고객카드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란을 포함할 수 있다.
고객카드정보페이지 생성모듈(232)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객카드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복수의 입력란이 구비된 고객카드정보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여러 유통점의 고객카드를 서비스 장치에 등록하기 위해 여러 번의 접속을 해야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100)가 복수의 입력란에 고객카드정보를 입력하고 등록버튼을 누르면, 제어부(240)는 각 고객카드정보를 유통점별로 구분하여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선호상품 추출모듈(234)은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된 구매내역을 분석하여 선호상품을 추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선호상품 추출모듈(234)은 상기 고객카드정보와 매칭되어 있는 구매내역에 포함된 구매상품, 구매가격, 구매수량 및 구매시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제1선호상품군을 추출할 수 있다.
제1선호상품군은 사용자가 등록한 고객카드정보와 매칭되어 있는 구매내역을 기초로 하기 때문에, 고객카드를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에게 특화된 선호상품의 집합을 의미한다.
여기서, 구매내역은 구매상품, 구매가격, 구매수량 또는 구매시기 등 사용자가 과거에 상품을 구매한 모든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선호상품 추출모듈(234)은 상기 구매내역에 포함된 구매상품, 구매가격, 구매수량 또는 구매시기 등을 고려하여 선호상품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매상품의 구매 빈도수 또는 구매수량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주로 구매하는 상품을 추출할 수 있고, 구매가격을 고려하여 동일/유사 상품 중 사용자가 자주 구매하는 상품을 추출할 수도 있으며, 구매시기를 고려하여 사용자가 특정 시기에 많이 구매하는 상품 또는 특정 상품의 구매주기를 파악하여 선호상품을 추출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매상품의 구매 빈도수, 구매수량, 구매가격 또는 구매시기는 각각의 항목별로 소정의 기준에 따라 기 설정된 선호도 값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선호상품 추출모듈(234)은 해당 선호도 값을 모두 합산하여 가장 선호도 값이 높은 상품을 선호상품으로 추출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이므로, 이에 한정되지 아니함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 선호상품 추출모듈(234)은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된 구매내역을 모두 고려하여, 구매내역에 포함된 구매상품의 빈도수를 종합하고, 상기 구매상품의 빈도수가 높은 순서대로 제2선호상품군을 추출할 수 있다.
제2선호상품군은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된 구매내역을 모두 고려하기 때문에, 해당 유통점을 이용하는 사람들의 객관적이고 보편화된 선호상품의 집합을 의미한다.
선호상품 추출모듈(234)은 구매내역에 포함된 구매상품 및 구매수량을 고려하여, 구매상품별 구매수량을 모두 취합하고, 구매상품별로 취합된 구매수량의 합을 구매상품의 빈도수로 하여, 구매상품의 빈도수가 높은 순서대로 제2선호상품군을 추출할 수 있다.
쿠폰페이지 생성모듈(236)은 선호상품 추출모듈(234)에서 추출된 상기 제1선호상품군 또는 제2선호상품군에 관한 쿠폰을 데이터베이스(220)에서 추출하여 제1선호상품군의 쿠폰페이지 또는 제2선호상품군의 쿠폰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제1선호상품군 또는 제2선호상품군에 관한 쿠폰을 데이터베이스(220)에서 추출할 때, 고객카드정보에 포함된 유통점이 발행한 쿠폰 중에서 제1선호상품군 또는 제2선호상품군에 관한 쿠폰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쿠폰페이지 생성모듈(236)은 제1선호상품군 또는 제2선호상품군에 포함된 상품들의 선호도 값 및 구매상품의 빈도수가 높은 순서대로 쿠폰이 우선적으로 표시되도록 제1선호상품군의 쿠폰페이지 또는 제2선호상품군의 쿠폰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고객카드정보가 신규로 등록된 경우, 매칭된 구매내역이 없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선호상품 추출모듈(234)은 선호상품을 추출할 수 없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쿠폰페이지 생성모듈(236)은 제1선호상품군에 관한 쿠폰페이지를 생성하지 않고, 제2선호상품군에 관한 쿠폰페이지만을 생성하거나,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된 유통점별 쿠폰을 나열하여 쿠폰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사용자 장치가 접속하면 고객카드정보페이지를 제공하고, 상기 고객카드정보페이지를 통해 고객카드정보가 등록되면, 상기 고객카드정보를 통해 유통점을 식별하고, 상기 유통점에서 제공하는 쿠폰을 선택할 수 있는 쿠폰페이지를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240)는 쿠폰페이지 생성모듈(236)이 제1선호상품군의 쿠폰페이지 또는 제2선호상품군의 쿠폰페이지를 생성할 때, 고객카드정보에서 추출된 유통점에서 제공하는 쿠폰만으로 구성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240)는 쿠폰페이지 생성모듈(236)에서 생성된 제1선호상품군의 쿠폰페이지 또는 제2선호상품군의 쿠폰페이지에서 사용자 장치(100)에 의해 쿠폰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쿠폰과 상기 고객카드정보페이지를 통해 입력된 고객카드정보를 연계시켜 데이터베이스(220)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통신부(210)를 통해 POS단말(300)로부터 고객카드정보가 수신되면, 데이터베이스(220)에서 상기 수신된 고객카드정보와 일치하는 고객카드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고객카드정보와 연계되어 있는 쿠폰을 POS단말(300)로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40)는 통신부(210)를 통해 POS단말(300)로부터 결제된 구매내역 및 고객카드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고객카드정보와 일치하는 고객카드정보를 데이터베이스(220)에서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고객카드정보에 매칭되어 저장된 구매내역을 업데이트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흐름을 살펴본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비스 장치가 고객카드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고객카드정보페이지를 생성하고, 사용자 장치로부터 접속이 있는 경우, 상기 고객카드정보페이지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고객카드정보를 입력받아 등록한다(S102, S104).
이후, POS단말로부터 고객카드정보 및 구매내역이 수신되면, 서비스 장치가 상기 고객카드정보와 구매내역을 매칭하여 저장한다(S106, S108).
이후, 서비스 장치가 상기 등록된 고객카드정보로부터 유통점을 식별한다.
이후, 서비스 장치가 상기 고객카드정보와 매칭되어 있는 구매내역에 포함된 구매상품, 구매가격, 구매수량 및 구매시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제1선호상품군을 추출하고, 상기 식별된 유통점에서 제공하는 쿠폰들을 선택할 수 있는 제1선호상품군의 쿠폰페이지를 생성하고 제공한다(S110).
또한, 서비스 장치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구매내역을 모두 고려하여, 구매내역에 포함된 구매상품의 빈도수를 종합하고, 상기 구매상품의 빈도수가 높은 순서대로 제2선호상품군을 추출하며, 상기 식별된 유통점에서 제공하는 쿠폰들을 선택할 수 있는 제2선호상품군의 쿠폰페이지를 생성하고 제공한다(S112).
이후,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쿠폰이 선택되면, 서비스 장치가 상기 등록된 고객카드정보와 상기 선택된 쿠폰을 연계시켜 저장한다(S114, S116). 이후, POS단말로부터 고객카드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수신된 고객카드정보와 일치하는 고객카드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고객카드정보와 연계되어 있는 쿠폰을 상기 POS단말로 제공한다(S118, S120, S122).
이후, POS단말이 상기 서비스 장치로부터 쿠폰을 수신받아 쿠폰을 적용하여 결제를 수행하고, POS단말이 결제된 구매내역과 추출된 고객카드정보를 상기 서비스 장치로 전송한다(S124, S126).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가 쿠폰목록 또는 쿠폰을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가 쿠폰목록 또는 쿠폰을 제공하는 방법은, 서비스 장치가 고객카드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고객카드정보페이지를 생성하는 단계(S210), 사용자 장치가 서비스 장치에 접속하면, 서비스 장치는 상기 고객카드정보페이지를 제공하고, 상기 고객카드정보페이지를 통해 고객카드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고객카드정보를 등록하는 단계(S220), 서비스 장치가 상기 고객카드정보를 통해 유통점을 식별하고, 상기 유통점에서 제공하는 쿠폰을 선택할 수 있는 쿠폰페이지를 생성 및 제공하는 단계(S230) 및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쿠폰이 선택되면, 서비스 장치가 상기 등록된 고객카드정보와 상기 선택된 쿠폰을 연계시켜 저장하는 단계(S2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230 단계 이전에, 서비스 장치가 POS단말로부터 구매내역 및 고객카드정보를 수신받으면, 상기 구매내역을 상기 등록된 고객카드정보에 매칭시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S230 단계는, 상기 고객카드정보와 매칭되어 있는 구매내역에 포함된 구매상품, 구매가격, 구매수량 및 구매시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제1선호상품군을 추출하고, 제1선호상품군의 쿠폰페이지를 생성하거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구매내역을 모두 고려하여, 구매내역에 포함된 구매상품의 빈도수를 종합하고, 상기 구매상품의 빈도수가 높은 순서대로 제2선호상품군을 추출하여, 제2선호상품군의 쿠폰페이지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POS단말로부터 고객카드정보가 수신되면, 서비스 장치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상기 수신된 고객카드정보와 일치하는 고객카드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고객카드정보와 연계되어 있는 쿠폰을 상기 POS단말로 제공하는 단계(S250) 및 상기 POS단말로부터 결제된 구매내역 및 고객카드정보가 수신되면, 서비스 장치가 상기 수신된 고객카드정보와 일치하는 고객카드정보에 매칭되어 저장된 구매내역을 업데이트하는 단계(S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가 쿠폰페이지 또는 쿠폰을 제공하는 방법이 프로그램으로 기록되고 전자 장치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 장치가 쿠폰페이지 또는 쿠폰을 제공하는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장치가 쿠폰페이지 또는 쿠폰을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프로그램은 전자장치가 읽을 수 있는 정보저장매체(Readable Media)에 저장되고, 전자장치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가 쿠폰페이지 또는 쿠폰을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이 고객카드를 이용해 전자쿠폰을 제공하는 방법은, 카테고리는 상이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장치 및 시스템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비스 장치 및 시스템과 관련하여 상술한 특징들은 서비스 장치가 쿠폰페이지 또는 쿠폰을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이 고객카드를 이용해 전자쿠폰을 제공하는 방법 발명에도 당연히 유추되어서 적용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이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대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을 가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수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서비스 장치가 고객카드정보페이지를 통해 고객카드정보를 등록받고, POS단말로부터 수신된 구매내역을 상기 고객카드정보와 매칭하여 저장하며, 서비스 장치가 구매내역을 분석하여 선호상품에 관한 쿠폰을 선택할 수 있는 쿠폰페이지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쿠폰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쿠폰을 선택하면 서비스 장치는 고객카드정보와 쿠폰을 연계하여 저장하여, 사용자가 유통점에서 상품 구매 시 고객카드만을 제시하여도 서비스 장치에 기 저장된 쿠폰을 적용받을 수 있는 고객카드를 이용한 고객카드를 이용한 전자쿠폰 제공 시스템, 서비스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이용할 수 있다.
100 : 사용자 장치 200 : 서비스 장치
210 : 통신부 220 : 데이터베이스
230 : 페이지 생성부 232 : 고객카드정보페이지 생성모듈
234 : 선호상품 추출모듈 236 : 쿠폰페이지 생성모듈
240 : 제어부 300 : POS단말

Claims (15)

  1. 쿠폰페이지 또는 쿠폰을 제공하는 서비스 장치로서,
    통신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쿠폰, 고객카드정보 또는 구매내역을 저장하되, 상기 고객카드정보와 상기 구매내역을 매칭시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고객카드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고객카드정보페이지 또는 쿠폰을 선택할 수 있는 쿠폰페이지를 생성하는 페이지 생성부; 및
    사용자 장치가 접속하면 고객카드정보페이지를 제공하고, 상기 고객카드정보페이지를 통해 고객카드정보가 등록되면, 상기 고객카드정보를 통해 유통점을 식별하고, 상기 유통점에서 제공하는 쿠폰을 선택할 수 있는 쿠폰페이지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쿠폰페이지를 통해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쿠폰이 선택되면, 상기 등록된 고객카드정보와 상기 선택된 쿠폰을 연계시켜 저장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POS단말로부터 고객카드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고객카드정보와 연계되어 있는 쿠폰을 추출하여 상기 POS단말로 제공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POS 단말로부터 고객카드정보 및 결제된 구매내역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고객카드정보에 매칭되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구매내역을 업데이트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페이지 생성부에서 상기 구매내역을 분석하여 상기 유통점이 발행한 쿠폰 중 선호상품군에 관한 쿠폰을 선택할 수 있도록 생성한 쿠폰페이지를 상기 사용자 장치에 제공하고,
    상기 페이지 생성부는, 상기 고객카드정보와 매칭되어 있는 구매내역에 포함된 구매상품, 구매가격, 구매수량 및 구매시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제1선호상품군을 추출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서로 다른 사용자별 구매내역을 모두 고려하여, 상기 사용자별 구매내역에 포함된 구매상품의 빈도수를 종합한 후 상기 구매상품의 빈도수가 높은 순서대로 제2선호상품군을 추출하고, 상기 제1선호상품군 및 제2선호상품군 각각에 관한 쿠폰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서 추출하여 상기 제1선호상품군의 쿠폰페이지 및 제2선호상품군의 쿠폰페이지를 생성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페이지 생성부를 제어하여 상기 고객카드정보에서 추출된 유통점에서 제공하는 쿠폰만으로 구성되도록 상기 제1선호상품군의 쿠폰페이지 및 제2선호상품군의 쿠폰페이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1선호상품군의 쿠폰페이지 및 제2선호상품군의 쿠폰페이지에서 상기 사용자 장치에 의해 쿠폰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쿠폰과 상기 고객카드정보를 연계시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비스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고객카드를 이용한 전자쿠폰 제공 시스템으로서,
    서비스 장치에서 제공하는 고객카드정보페이지에 접속하여 고객카드정보를 입력하고, 서비스 장치에서 제공하는 쿠폰페이지에 접속하여 쿠폰을 선택하는 사용자 장치;
    고객카드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고객카드정보페이지를 생성하고, 상기 고객카드정보가 등록되면, 상기 고객카드정보를 통해 유통점을 식별하고, 상기 유통점에서 제공하는 쿠폰을 선택할 수 있는 쿠폰페이지를 제공하며, 상기 사용자 장치로부터 쿠폰이 선택되면, 상기 등록된 고객카드정보와 상기 선택된 쿠폰을 연계시켜 저장하고, POS단말로부터 고객카드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고객카드정보와 연계되어 있는 쿠폰을 추출하여 상기 POS단말로 제공하는 서비스 장치; 및
    고객카드로부터 고객카드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고객카드정보를 상기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서비스 장치로부터 쿠폰을 수신받아 쿠폰을 적용하여 결제를 수행하는 POS단말;
    을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장치는, 상기 POS 단말로부터 상기 고객카드정보 및 결제된 구매내역이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고객카드정보에 매칭되어 저장된 구매내역을 업데이트하며, 상기 구매내역을 분석하여 상기 유통점이 발행한 쿠폰 중 선호상품군에 관한 쿠폰을 선택할 수 있도록 생성한 쿠폰페이지를 상기 사용자 장치에 제공하고,
    상기 서비스 장치는, 상기 고객카드정보와 매칭되어 있는 구매내역에 포함된 구매상품, 구매가격, 구매수량 및 구매시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제1선호상품군을 추출하며, 미리 저장된 서로 다른 사용자별 구매내역을 모두 고려하여, 상기 사용자별 구매내역에 포함된 구매상품의 빈도수를 종합한 후 상기 구매상품의 빈도수가 높은 순서대로 제2선호상품군을 추출하고, 상기 제1선호상품군 및 제2선호상품군 각각에 관한 쿠폰을 추출하여 제1선호상품군의 쿠폰페이지 및 제2선호상품군의 쿠폰페이지를 생성하되, 상기 고객카드정보에서 추출된 유통점에서 제공하는 쿠폰만으로 구성되도록 상기 제1선호상품군의 쿠폰페이지 및 제2선호상품군의 쿠폰페이지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제1선호상품군의 쿠폰페이지 및 제2선호상품군의 쿠폰페이지에서 상기 사용자 장치에 의해 쿠폰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쿠폰과 상기 고객카드정보를 연계시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30134831A 2013-11-07 2013-11-07 고객카드를 이용한 전자쿠폰 제공 시스템,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1022204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4831A KR102220497B1 (ko) 2013-11-07 2013-11-07 고객카드를 이용한 전자쿠폰 제공 시스템, 서비스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4831A KR102220497B1 (ko) 2013-11-07 2013-11-07 고객카드를 이용한 전자쿠폰 제공 시스템, 서비스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3300A KR20150053300A (ko) 2015-05-18
KR102220497B1 true KR102220497B1 (ko) 2021-02-25

Family

ID=53389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4831A KR102220497B1 (ko) 2013-11-07 2013-11-07 고객카드를 이용한 전자쿠폰 제공 시스템, 서비스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0497B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2101A (ko) * 2007-11-08 2007-11-22 주식회사 비즈모델라인 고객 거래내역 정보를 이용한 쿠폰 제공 시스템
KR20120087215A (ko) * 2010-11-24 2012-08-07 (주)맥스카드시스템즈 신용카드 쿠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137561A (ko) 2011-04-26 2012-12-24 문연주 전자쿠폰 유통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20129574A (ko) * 2011-05-20 2012-11-28 주식회사 한국사이버결제 오프라인 가맹점에서의 할인쿠폰을 이용한 모바일 결제방법
KR20130012221A (ko) * 2011-07-11 2013-02-01 (주)타운스퀘어 고객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3300A (ko) 2015-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1265B1 (ko) 고객카드를 이용한 전자쿠폰 제공 시스템, 서비스 장치 및 방법
JP5738918B2 (ja) 販売データ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22028440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program
KR101238224B1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쿠폰 통합 관리방법 및 그 시스템
CN104346743B (zh) 电子票据系统及管理服务器、处理装置及控制方法
JP2014206790A (ja) 商品販売データ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4164353A (ja) 電子レシートシステム、電子レシート管理サーバ、商品販売データ処理装置、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N109478281A (zh) 用于捕获和管理销售点交易相关数据的系统、设备和方法
JP5745562B2 (ja) 商品販売データ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4002682A (ja) 電子クーポンの使用方法およびクーポン配布サーバ、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3061903A (ja) クーポン提供システム、サー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WO2022137293A1 (ja) 管理システム、サーバ装置、プログラム及び方法
JP2018005939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102213206B1 (ko) 고객카드를 이용한 전자쿠폰 제공 시스템,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102220497B1 (ko) 고객카드를 이용한 전자쿠폰 제공 시스템, 서비스 장치 및 방법
JP6947890B2 (ja) 電子レシート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KR102235738B1 (ko) 고객카드를 이용한 전자쿠폰 제공 시스템, 서비스 장치 및 방법
JP5814432B1 (ja) サーバ、販売データ処理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電子レシート送信方法
JP5814429B1 (ja) サーバ、販売データ処理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電子レシート送信方法
CN103914718B (zh) 通过近场通讯技术让可读媒体选择性显示的方法
KR102220507B1 (ko) 고객카드를 이용한 전자쿠폰 제공 시스템, 서비스 장치 및 방법
EP3392821A1 (en) Server device and service method
JP4900415B2 (ja) 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端末装置、サーバ、シナリオサーバ、サービスの提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50079359A (ko) 통합쿠폰 제공 방법, 서버 및 시스템
JP6010656B2 (ja) 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