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9869B1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9869B1
KR102219869B1 KR1020190029801A KR20190029801A KR102219869B1 KR 102219869 B1 KR102219869 B1 KR 102219869B1 KR 1020190029801 A KR1020190029801 A KR 1020190029801A KR 20190029801 A KR20190029801 A KR 20190029801A KR 102219869 B1 KR102219869 B1 KR 1022198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ting
supply
water tank
disposed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9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6426A (ko
Inventor
배준석
최성규
김강영
문성국
김용남
배세환
소일섭
이규남
이상윤
이혜선
장호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00106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6426A/ko
Priority to KR10202100216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69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9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98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8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humidification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Abstract

본 발명은 틸팅어셈블리를 통해 물탱크를 사용자가 위치한 전방으로 기울일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실내기에서 물탱크를 간편하게 분리 또는 장착할 수 있는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실내기{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캐비닛어셈블리에 배치된 물탱크를 자동으로 틸팅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분리형 공기조화기는 실내에 실내기가 배치되고, 실외에 실외기가 배치되며, 실내기 및 실외기를 순환하는 냉매를 통해 실내공기를 냉방, 난방 또는 제습할 수 있다.
상기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설치 형태에 따라 실내 바닥에 직립으로 설치하는 스탠드형 실내기, 실내 벽에 걸어서 설치하는 벽걸이형 실내기 및 실내 천장에 설치되는 천장형 실내기 등이 있다.
종래 스탠드형 실내기는 냉방 시, 실내공기를 제습할 수 있지만, 난방 시 실내공기를 가습할 수는 없었다. 한국 공개특허번호 10-2013-0109738(선행기술 1이라 한다)에는 가습을 제공할 수 있는 가습장치가 구비된 스탠드형 실내기가 공지되어 있다.
선행기술1의 스탠드형 실내기는 실내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내부에 가습장치가 구비된다. 그리고 선행기술1의 가습장치는 드레인팬의 물을 물탱크에 저장하고, 저장된 물을 통해 흡수부재를 적시며, 상기 흡수부재가 흡수된 물을 자연증발시키는 구조이다.
선행기술1의 가습장치는 깨끗한 물을 사용하지 않고, 열교환기에서 흘러내린 응축수를 사용한다. 물탱크에 저장된 물에는 열교환기 표면에서 분리된 이물질이 다량포함될 수 있고, 이물질에서 곰팡이 또는 세균이 번식할 개연성이 매우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기술1의 가습장치는 본체 내부에 물탱크가 배치되기 때문에, 물탱크를 하기 위해서는 본체를 분리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번호 10-2013-0109738
본 발명은 가습을 제공할 수 있는 실내기에서 물탱크를 간편하게 분리 또는 장착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도어어셈블리의 개방 시, 물탱크를 사용자 측으로 틸팅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물탱크의 틸팅 시 물탱크 및 물공급어셈블리를 자동으로 분리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물탱크의 틸팅 시, 물공급어셈블리에 물이 공급되는 것을 자동으로 차단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물탱크의 틸팅 시, 물탱크의 핸들이 사용자를 향해 자동으로 전개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물탱크의 틸팅 시, 물탱크가 전방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물탱크의 거치 시, 자동으로 물탱크가 원위치로 복귀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틸팅어셈블리를 통해 물탱크를 사용자가 위치한 전방으로 기울일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실내기에서 물탱크를 간편하게 분리 또는 장착할 수 있는다.
본 발명은 도어어셈블리의 개방 시, 자동으로 틸팅어셈블리가 작동되어 물탱크를 사용자 측으로 틸팅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틸팅어셈블리가 물탱크를 전방으로 틸팅시키고, 상기 물탱크의 물공급밸브가 물공급어셈블리의 밸브서포터에서 이격되기 때문에, 틸팅 시 물탱크에서 배출되는 물이 차단된다.
본 발명은 물탱크의 틸팅 시, 물탱크의 무게중심이 로어커버보다 후방 측에 위치되기 때문에 물탱크가 전방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지면에 배치된 베이스를 포함하는 캐비닛어셈블리; 상기 베이스 상측에 배치된 물탱크; 상기 베이스 및 물탱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물탱크를 지지하고, 상기 물탱크가 틸팅될 때, 상기 물탱크의 틸팅축을 제공하는 틸팅저널; 상기 물탱크가 분리가능하게 거치되고, 상기 물탱크의 하측을 지지하고, 상기 틸팅저널에 지지되는 서플라이틸팅커버;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를 지지하고,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의 후방측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틸팅무빙기어; 상기 틸팅무빙기어와 치합되고, 상기 틸팅무빙기어에 구동력을 제공하며, 상기 틸팅무빙기어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틸팅구동기어 어셈블리; 상기 틸팅구동기어 어셈블리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틸팅모터;를 포함한다. 상기 틸팅구동기어 어셈블리의 작동을 통해 상기 틸팅무빙기어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틸팅무빙기어의 상하 이동에 의해 상기 물탱크가 상기 틸팅저널을 중심으로 전후 방향으로 틸팅될 수 있다.
상기 물탱크의 틸팅 시, 물탱크의 상부에 형성된 어퍼바디 개구부를 통해 물을 상부급수 할 수 있다. 물탱크의 틸팅 시, 물탱크의 핸들이 핸들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사용자를 향해 자동으로 전개된다.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배치되는 서플라이서포트바디;을 더 포함하고, 상기 틸팅저널은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에 배치되고,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는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의 상측에 배치된다.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는 상기 틸팅저널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틸팅저널을 중심으로 전후 방향으로 틸팅가능하다.
측방향에서 볼 때, 상기 물탱크의 무게중심 하측에 상기 틸팅저널이 배치되기 때문에, 물탱크의 틸팅 시에도 편심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의 하측면에서 하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틸팅저널에 지지되는 틸팅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틸팅저널은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의 상측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틸팅부는 상기 틸팅저널이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틸팅부 및 틸팅저널의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틸팅저널의 상측면은 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틸팅부는 상기 틸팅저널이 삽입되는 호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틸팅부 및 틸팅저널의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틸팅저널은,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의 좌측에 배치되고,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의 좌측 하단을 지지하는 제 1 틸팅저널; 및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의 우측에 배치되고,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의 우측 하단을 지지하는 제 2 틸팅저널;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틸팅저널 및 제 2 틸팅저널을 연결하는 연장선상에 상기 물탱크의 틸팅축이 형성되기 때문에, 물탱크의 틸팅 시에 발생되는 편심 또는 모멘트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제 1 틸팅저널 및 제 2 틸팅저널의 배치방향은 상기 물탱크의 틸팅방향에 대해 직교된다.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와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엑스트라서포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엑스트라서포터는, 상기 제 1 틸팅저널과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제 1 엑스트라서포터; 및 상기 제 2 틸팅저널과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제 2 엑스트라서포터;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엑스트라서포터 및 제 2 엑스트라서포터를 통해 틸팅저널에 가해지는 물탱크의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틸팅저널의 내측에 제 1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틸팅저널의 내측에 제 2 중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중공 및 제 2 중공은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 1 엑스트라서포터는 상기 제 1 중공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제 2 엑스트라서포터는 상기 제 2 중공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기 때문에, 상기 제 1 엑스트라서포터 및 제 2 엑스트라서포터의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고, 상기 제 1 엑스트라서포터 및 제 2 엑스트라서포터에 가해지는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상기 틸팅무빙기어는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와 일체로 제작되고, 상기 틸팅무빙기어는 상기 물탱크의 배면보다 후방으로 더 돌출되고, 상기 틸팅무빙기어의 후방에 상기 틸팅구동기어 어셈블리가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물탱크의 후단을 밀어올리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최소화할 수 있고, 상기 틸팅무빙기어의 작동에 필요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틸팅무빙기어는 호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틸팅무빙기어의 곡률중심은 상기 틸팅저널을 향하게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틸팅무빙기어가 이동될 때에도 상기 틸팅무빙기어 및 틸팅구동기어 어셈블리의 간격을 균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틸팅무빙기어의 하단은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 보다 하측으로 더 돌출되고, 상기 틸팅무빙기어 및 틸팅구동기어 어셈블리의 치합부분은 상기 틸팅저널과 같은 높이거나 상기 틸팅저널보다 낮게 배치되기 때문에, 틸팅 시 물탱크의 하중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정면에서 볼 때, 상기 제 1 틸팅저널 및 제 2 틸팅저널의 사이에 상기 틸팅무빙기어가 배치되기 때문에, 물탱크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편심 또는 모멘트가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측 구조물에 배치되고, 상기 틸팅무빙기어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틸팅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틸팅가이드는 틸팅가이드홈에 삽입되며, 상기 물탱크의 틸팅 시 상기 틸팅가이드홈은 상기 틸팅가이드를 따라 이동되기 때문에, 상기 틸팅무빙기어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틸팅무빙기어 및 틸팅구동기어 어셈블리의 치합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틸팅가이드홈 및 틸팅가이드는 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틸팅가이드홈 및 틸팅가이드의 곡률중심은 상기 틸팅저널을 향하게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틸팅무빙기어의 이동 시 상기 틸팅무빙기어 및 틸팅구동기어 어셈블리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측 구조물에 배치되고, 상기 틸팅무빙기어의 하단을 지지하는 틸팅무빙기어 서포터를 더 포함하기 때문에, 상기 틸팅무빙기어가 하측으로 과도하게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틸팅무빙기어 및 틸팅구동기어 어셈블리의 치합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를 지지하는 서플라이챔버하우징; 상기 서플라이챔버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고, 물이 저장되는 서플라이챔버; 상기 서플라이챔버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물탱크에서 토출된 물이 통과되는 밸브삽입홀; 상기 밸브삽입홀 및 서플라이챔버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밸브삽입홀을 통해 공급된 물을 상기 서플라이챔버로 유동시키는 미들홀;을 포함하고, 상기 물탱크에서 배출된 물은 상기 밸브삽입홀, 미들홀을 거쳐 상기 서플라이챔버에 저장된다. 상기 물탱크의 틸팅을 위해 구성된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 및 서플라이틸팅커버는 스팀제너레이터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어셈블리의 구성으로도 사용된다.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 및 서플라이서포트바디 사이에 배치되고, 상측단이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에 고정되고, 하측단이 서플라이서포트바디에 고정되는 워터벨로우즈;를 더 포함하고, 상기 워터벨로우즈의 상측에 상기 밸브삽입홀이 배치되고, 상기 워터벨로우즈의 하측에 상기 미들홀이 배치되며, 상기 워터벨로우즈는 탄성재질로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밸브삽입홀을 통해 공급된 물을 상기 미들홀로 안내하는 서플라이유로가 형성된다.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의 틸팅 시, 상기 워터벨로우즈가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 및 서플라이서포트바디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서플라이유로에서 물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본 발명은 틸팅어셈블리를 통해 물탱크를 사용자가 위치한 전방으로 기울일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실내기에서 물탱크를 간편하게 분리 또는 장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어어셈블리의 개방 시, 자동으로 틸팅어셈블리가 작동되어 물탱크를 사용자 측으로 틸팅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틸팅어셈블리가 물탱크를 전방으로 틸팅시키고, 상기 물탱크의 물공급밸브가 물공급어셈블리의 밸브서포터에서 이격되기 때문에, 틸팅 시 물탱크에서 배출되는 물이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물탱크의 틸팅 시, 물탱크의 무게중심이 로어커버보다 후방 측에 위치되기 때문에 물탱크가 전방으로 전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틸팅구동기어 어셈블리의 작동을 통해 상기 틸팅무빙기어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틸팅무빙기어의 상하 이동에 의해 상기 물탱크가 상기 틸팅저널을 중심으로 전후 방향으로 틸팅되기 때문에, 물탱크를 분리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고, 물탱크의 틸팅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물탱크의 틸팅 시, 물탱크의 상부에 형성된 어퍼바디 개구부를 통해 물을 상부급수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물탱크의 틸팅 시, 물탱크의 핸들이 핸들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사용자를 향해 자동으로 전개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는 상기 틸팅저널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틸팅저널을 중심으로 전후 방향으로 틸팅가능한 장점이 있다.
측방향에서 볼 때, 상기 물탱크의 무게중심 하측에 상기 틸팅저널이 배치되기 때문에, 물탱크의 틸팅 시에도 편심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틸팅저널은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의 상측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틸팅부는 상기 틸팅저널이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틸팅부 및 틸팅저널의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틸팅저널의 상측면은 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틸팅부는 상기 틸팅저널이 삽입되는 호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틸팅부 및 틸팅저널의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제 1 틸팅저널 및 제 2 틸팅저널을 연결하는 연장선상에 상기 물탱크의 틸팅축이 형성되기 때문에, 물탱크의 틸팅 시에 발생되는 편심 또는 모멘트를 최소화할 수 있다. 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제 1 엑스트라서포터 및 제 2 엑스트라서포터를 통해 틸팅저널에 가해지는 물탱크의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제 1 엑스트라서포터는 상기 제 1 중공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제 2 엑스트라서포터는 상기 제 2 중공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기 때문에, 상기 제 1 엑스트라서포터 및 제 2 엑스트라서포터의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고, 상기 제 1 엑스트라서포터 및 제 2 엑스트라서포터에 가해지는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틸팅무빙기어의 후방에 상기 틸팅구동기어 어셈블리가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물탱크의 후단을 밀어올리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최소화할 수 있고, 상기 틸팅무빙기어의 작동에 필요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틸팅무빙기어는 호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틸팅무빙기어의 곡률중심은 상기 틸팅저널을 향하게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틸팅무빙기어가 이동될 때에도 상기 틸팅무빙기어 및 틸팅구동기어 어셈블리의 간격을 균일하게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틸팅무빙기어의 하단은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 보다 하측으로 더 돌출되고, 상기 틸팅무빙기어 및 틸팅구동기어 어셈블리의 치합부분은 상기 틸팅저널과 같은 높이거나 상기 틸팅저널보다 낮게 배치되기 때문에, 틸팅 시 물탱크의 하중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정면에서 볼 때, 상기 제 1 틸팅저널 및 제 2 틸팅저널의 사이에 상기 틸팅무빙기어가 배치되기 때문에, 물탱크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편심 또는 모멘트가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틸팅가이드는 틸팅가이드홈에 삽입되며, 상기 물탱크의 틸팅 시 상기 틸팅가이드홈은 상기 틸팅가이드를 따라 이동되기 때문에, 상기 틸팅무빙기어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틸팅무빙기어 및 틸팅구동기어 어셈블리의 치합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틸팅가이드홈 및 틸팅가이드는 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틸팅가이드홈 및 틸팅가이드의 곡률중심은 상기 틸팅저널을 향하게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틸팅무빙기어의 이동 시 상기 틸팅무빙기어 및 틸팅구동기어 어셈블리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틸팅무빙기어의 하단을 지지하는 틸팅무빙기어 서포터를 더 포함하기 때문에, 상기 틸팅무빙기어가 하측으로 과도하게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틸팅무빙기어 및 틸팅구동기어 어셈블리의 치합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물탱크의 틸팅을 위해 구성된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 및 서플라이틸팅커버는 스팀제너레이터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어셈블리의 구성으로도 사용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의 틸팅 시, 상기 워터벨로우즈가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 및 서플라이서포트바디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서플라이유로에서 물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도어어셈블리가 슬라이드 이동된 작동 예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물탱크가 틸팅된 작동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물탱크가 분리된 작동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서 도어어셈블리가 제거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가습어셈블리 및 물탱크가 로어캐비닛에 조립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어셈블리의 후방 측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탱크 및 물공급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하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의 좌측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9의 정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탱크, 물공급어셈블리 및 틸팅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후방 측에서 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15는 물탱크가 틸팅된 상태의 물탱크, 물공급어셈블리 및 틸팅어셈블리가 도시된 우측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9에 도시된 물탱크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물탱크 상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0에 도시된 서플라이틸팅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8의 저면도이다.
도 21은 도 9에 도시된 서플라이서포트바디의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평면도이다.
도 23은 도 9의 서플라이챔버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5는 도 23의 평면도이다.
도 26은 도 23의 배면도이다.
도 27은 도 23의 정면도이다.
도 28은 도 23의 좌측면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 물공급어셈블리 및 틸팅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30은 도 29의 확대도이다.
도 31은 도 5에 도시된 로어캐비닛 내부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32는 도 31에 도시된 가습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33은 도 32의 사시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를 위한 틸팅어셈블리의 배면 측 사시도이다.
도 35는 도 34에서 로어커버가 제거된 물탱크, 물공급어셈블리 및 틸팅어셈블리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6은 도 35의 틸틸어셈블리 내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7은 도 35에 도시된 틸팅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3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 및 틸팅어셈블리가 도시된 우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도어어셈블리가 슬라이드 이동된 작동 예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물탱크가 틸팅된 작동 예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물탱크가 분리된 작동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서 도어어셈블리가 제거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실내기와 냉매배관을 통해 상기 실내기와 연결되 냉매를 순환시키는 실외기(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실외기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미도시)와, 상기 압축기로부터 냉매를 공급받아 응축시키는 실외열교환기(미도시)와, 상기 실외열교환기에 공기를 공급하는 실외팬(미도시)과, 상기 실내기에서 토출된 냉매를 공급받은 후 기체 냉매만을 상기 압축기에 제공하는 어큐뮬레이터(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실외기는 실내기를 냉방모드 또는 난방모드로 작동시키기 위해 사방밸브(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냉방모드로 작동될 때, 상기 실내기(101)에서는 냉매가 증발되어 실내 공기를 냉각시킨다. 난방모드로 작동될 때, 상기 실내기에서는 냉매가 응축되어 실내 공기를 가열시킨다.
<<실내기의 구성>>
상기 실내기는 전면이 개구되고, 후면에 흡입구(101)가 형성된 캐비닛어셈블리(100)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조립되고,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전면을 커버하고,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어셈블리(200)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내부공간(S)에 배치되고, 상기 내부공간(S)의 공기를 실내로 토출시키는 팬어셈블리(300)(400)와, 상기 팬어셈블리(300)(400) 및 캐비닛어셈블리(100) 사이에 배치되고, 흡입된 실내공기와 냉매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어셈블리(500)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배치되고, 실내에 수분을 제공하는 가습어셈블리(2000)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배면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101)로 유동되는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어셈블리(600)와, 상기 필터어셈블리(600)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필터어셈블리(600)의 이물질을 분리하여 포집하는 무빙클리너(700)를 포함한다.
상기 실내기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대해 배면에 배치된 흡입구(101)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대해 측면에 배치된 측면토출구(301)(302)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대해 정면에 배치된 정면토출구(201)를 포함한다.
상기 흡입구(101)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배면에 배치된다.
상기 측면토출구(301)(302)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대해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캐빗어셈블리(100)의 정면에서 볼 때, 좌측에 배치된 측면토출구를 제 1 측면토출구(301)로 정의하고, 우측에 배치된 측면토출구를 제 2 측면토출구(302)로 정의한다.
상기 정면토출구(201)는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는 정면토출구(201) 자동으로 개폐시키는 도어커버어셈블리(12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는 상기 정면토출구(201)를 개방시킨 후,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를 따라 하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는 도어어셈블리(200)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가 하측으로 이동된 후, 원거리 팬어셈블리(400)가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를 관통하여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팬어셈블리(300)(400)는 근거리 팬어셈블리(300) 및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로 구성된다.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 및 원거리 팬어셈블리(400)의 후방에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가 배치된다.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는 캐비닛어셈블리(100)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흡입구(101)의 안쪽에 위치되며,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는 상기 흡입구(101)를 커버하고, 수직하게 배치된다.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 전방에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 및 원거리 팬어셈블리(400)가 배치된다. 상기 흡입구(101)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를 통과한 후,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 및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로 유동된다.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는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 및 원거리 팬어셈블리(400)의 높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제작된다.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 및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상하방향으로 적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 상측에 원거리 팬어셈블리(400)가 배치된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를 상측에 위치시켜 토출공기를 실내의 먼 곳까지 유동시킬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대해 측방향으로 공기를 토출시킨다.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는 사용자에게 간접풍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는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좌측 및 우측으로 동시에 공기를 토출한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근거리 팬어셈블리(300)의 상측에 위치되고,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내부 상측에 배치된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대해 전방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시킨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300)는 사용자에게 직접풍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원거리팬어셈블리(300)는 실내 공간의 먼 곳으로 공기를 토출시켜 실내공기의 순환을 향상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작동시에만 사용자에게 노출된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가 작동될 때,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도어어셈블리(200)를 관통하여 사용자에게 노출된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가 작동되지 않을 때,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캐비닛어셈블리(100) 내부에 은닉된다.
특히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공기의 토출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정면을 기준으로 상측, 하측, 좌측, 우측 또는 대각선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전방에 위치되고, 사익 캐비닛어셈블리(100)와 조립된다.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는 캐비닛어셈블리(200)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고, 상기 캐비닛어셈블리(200)의 전면 중 일부를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다.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는 좌측 또는 우측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되어 내부공간(S)을 개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는 좌측 또는 우측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내부공간(S) 중 일부만을 개방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의 개폐는 2단계로 구성된다.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의 1단 개폐는 일부만 열리는 것으로서,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의 물공급을 위한 것이고,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의 물탱크(2100)가 노출될 정도의 면적만을 노출시킨다.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의 2단 개폐는 최대로 열리는 것으로서, 설치 및 수리를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는 상기 2단 개폐를 제한하는 도어스토퍼구조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600)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후면에 배치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600)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후면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측부로 회동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측부로 이동된 필터어셈블리(600)에서 필터만을 분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필터어셈블리(600)는 2개의 부분으로 구성되고, 각각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동될 수 있다.
상기 무빙클리너(700)는 상기 필터어셈블리(600)를 청소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무빙클리너(700)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필터어셈블리(600)를 청소할 수 있다. 상기 무빙클리너(700)는 이동하면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필터어셈블리(600)에 붙은 이물질을 분리할 수 있고, 분리된 이물질은 내부에 저장된다.
상기 무빙클리너(700)는 상기 필터어셈블리(600)의 회동 시 간접되지 않는 구조로 설치된다.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내부공간(S)으로 수분을 제공하고, 제공된 수분은 상기 근거리팬어셈블리를 통해 실내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는 분리가능한 물탱크(21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내부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가 배치된 공간과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가 배치된 공간은 구획된다.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는 필터어셈블리(600)를 통해 여과된 공기 및 살균된 스팀을 사용해서 가습을 실시하고, 이를 통해 세균 또는 곰팡이와 같은 유해물질이 물탱크와 접촉되는 것을 차단한다.
<<캐비닛어셈블리의 구성>>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는 지면에 안착되는 베이스(130)와, 상기 베이스(130) 상측에 배치되고, 전면(121), 상측면(125) 및 하측면(126)이 개구되고, 좌측면(123) 우측면(124) 및 배면(122)이 폐쇄된 로어캐비닛(120)과, 상기 로어캐비닛(120) 상측에 배치되고, 흡입구(101)가 형성된 배면(116), 전면(111) 및 하측면(116)이 개구되고, 좌측면(113), 우측면(114) 및 상측면(115)이 폐쇄된 어퍼캐비닛(110)을 포함한다.
상기 어퍼캐비닛(110)의 내부를 제 1 내부공간(S1)으로 정의하고, 상기 로어캐비닛(120)의 내부를 제 2 내부공간(S2)으로 정의한다. 상기 제 1 내부공간(S1) 및 제 2 내부공간(S2)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내부공간(S)을 구성한다.
상기 어퍼캐비닛(110) 내측에 근거리팬 어셈블리(300), 원거리팬 어셈블리(400) 및 열교환어셈블리(500)가 배치된다.
상기 로어캐비닛(120) 내측에 가습어셈블리(2000)가 배치된다.
상기 어퍼캐비닛(110) 및 로어캐비닛(120) 사이에 열교환어셈블리(500)를 지지하는 드레인팬(140)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드레인팬(140)은 상기 어퍼캐비닛(110)의 하측면(116) 중 일부를 폐쇄한다.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조립 시, 상기 어퍼캐비닛(110)의 저면(116)은 가습어셈블리(2000) 및 드레인팬(140)에 의해 차폐되고, 상기 어퍼캐비닛(110) 내부의 공기는 로어캐비닛(120) 측으로 유동이 차단된다.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전방에 도어어셈블리(200)가 배치되고,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대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의 이동 시,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좌측 또는 우측 중 일부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어퍼캐비닛(110)의 전방 측 가장자리에 토출그릴(150)이 배치된다. 상기 토출그릴(340)은 도어어셈블리(200)의 후방 측에 위치된다.
상기 토출그릴(150)은 상기 어퍼캐비닛(110)과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토출그릴(150)은 사출성형을 통해 별도로 제작된 후, 어퍼캐비닛(110)에 조립된다.
상기 좌측면(113) 전방에 배치된 토출그릴을 좌측 토출그릴(151)로 정의하고, 우측면(114) 전방에 배치된 토출그릴을 우측 토출그릴(152)로 정의한다.
상기 좌측 토출그릴(151) 및 우측 토출그릴(152)에 각각 측면토출구(301)(302)가 형성된다. 상기 측면토출구(301)(302)는 상기 좌측 토출그릴(151) 및 우측 토출그릴(152)을 각각 관통하여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어퍼캐비닛(110) 및 로어캐비닛(120)의 전방에 커버(160)가 배치되고, 상기 캐비닛(100) 내부의 공기가 도어어셈블리(200)와 직접 접촉되는 것을 차단한다.
도어어셈블리(200)에 차가운 공기가 직접 접촉되는 경우, 이슬맺힘이 발생될 수 있고, 도어어셈블리(200)를 구성하는 전기회로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상기 어퍼캐비닛(110) 및 로어캐비닛(120)의 전방에 커버(160)를 배치하고 커버(160)를 통해 캐비닛(100) 내부의 공기는 정면토출구(201) 또는 측면토출구(301)(302)로만 유동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커버(160)는, 상기 어퍼캐비닛(110)의 전면을 커버하는 어퍼커버(162)와, 상기 로어캐비닛(120)의 전면을 커버하는 로어커버(164)와, 상기 원거리팬어셈블리(400)의 전면을 커버하는 원거리팬커버(166)를 포함한다.
상기 원거리팬커버(166)는 상기 어퍼커버(162)와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원거리팬커버(166) 및 어퍼커버(162)를 별도로 제작된 후 조립된다.
상기 원거리팬커버(166)는 원거리팬어셈블리(400) 전방에 위치되고, 상기 어퍼커버(162) 상측에 위치된다. 상기 원거리팬커버(166) 및 어퍼커버(162)의 전면은 연속된 평면을 형성한다.
상기 원거리팬커버(166)은 전후 방향으로 개구된 팬커버토출구(161)가 형성된다. 상기 팬커버토출구(161)는 정면토출구(201)와 연통되고, 상기 정면토출구(201)의 후방에 위치된다. 상기 원거리팬어셈블리(400)의 토출그릴(450)은 상기 팬커버토출구(161) 및 정면토출구(201)를 관통하여 도어어셈블리(200)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팬커버토출구(161) 전방에 도어어셈블리(200)가 배치되고, 후술하는 패널토출구(1101)의 후방에 상기 팬커버토출구(161)가 위치된다. 상기 원거리팬어셈블리(400)의 전방 이동 시, 상기 토출그릴(450)은 팬커버토출구(161), 패널토출구(1101) 및 정면토출구(201)를 순서대로 통과한다.
즉, 상기 정면토출구(201) 후방에 상기 패널토출구(1101)가 위치되고, 상기 패널토출구(1101) 후방에 상기 팬커버토출구(161)가 위치된다.
상기 원거리팬커버(166)는 어퍼캐비닛(110)의 전방 상측에 결합되고, 상기 어퍼커버(162)는 상기 어퍼캐비닛(110)의 전방 하측에 결합된다.
상기 로어커버(164)는 어퍼커버(162)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로어캐비닛(120) 또는 가습어셈블리(2000)에 조립될 수 있다. 조립 후, 상기 로어커버(164) 및 어퍼커버(162)의 전면은 연속된 면을 형성한다.
상기 로어커버(164)는 전후 방향으로 개구된 물탱크개구부(167)가 형성된다. 상기 물탱크개구부(167)를 통해 상기 물탱크(2100)가 분리 또는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로어커버(164)는 드레인팬(140)의 전방 하측에 위치된다. 상기 로어캐비닛(120) 전면 전체를 커버하지 않아도 어퍼캐비닛(110) 내부 공기의 누설이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로어캐비닛(120) 전면 전체를 커버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상기 로어커버(164)에 상기 물탱크(2100)가 수납되는 물탱크수납공간(165)가 형성된다. 상기 물탱크수납공간(165)의 전면에 상기 물탱크개구부(167)가 형성된다. 상기 물탱크수납공간(165)은 커버프론트월(164a)에서 후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공간이다.
상기 로어커버(164)는, 상기 물탱크개구부(167)가 형성된 커버프론트월(164a), 상기 물탱크수납공간(165)의 좌측을 형성하고, 상기 커버프론트월(164a)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커버레프트월(164c)와, 상기 물탱크수납공간(165)의 우측을 형성하고, 상기 커버프론트월(164a)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커버라이트월(164d)과, 상기 물탱크수납공간(165)의 상측을 형성하고, 상기 커버프론트월(164a)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커버탑월(164e)과, 상기 물탱크수납공간(165)의 배측을 형성하고, 상기 커버레프트월(164c), 커버라이트월(164d) 및 커버탑월(164e)을 연결하는 커버리어월(164b)을 포함한다.
상기 물탱크수납공간(165)의 전방 측 및 하측이 개구된다. 상기 물탱크수납공간(165)의 전면에 형성된 물탱크개구부(167)를 통해 물탱크(2100)가 삽입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물탱크수납공간(165)의 하면을 통해 물공급어셈블리(2200)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커버탑월(164e)의 상부에 물탱크(2100)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UV램프(2900)가 배치된다. 상기 커버탑월(164e)를 상하 관통하는 조사구(2901)가 형성되고, 상기 조사구(2901)를 통해 UV램프(2900)의 자외선이 상기 어퍼바디 개구부(2131)로 조사될 수 있다. 상기 물탱크(2100)의 장착 시, 상기 어퍼바디 개구부(2131)는 상기 조사구(2901)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물탱크(2100)의 틸팅 상기 UV램프(2900)의 전원이 차단된다.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의 수리, 서비스 및 교체를 위해 상기 로어캐비닛(120)의 전면 일부는 개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로어캐비닛(120)의 전면 중 일부는 상기 로어커버(164)에 의해 차폐되지 않은 개방면(169)이 형성된다.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의 1단 개방 시, 물통개구부(167)가 형성된 상기 로어커버(164)만 사용자에게 노출되고, 2단 개방 시, 상기 개방면(169)도 사용자에게 노출된다.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는 도어슬라이드모듈(미도시)의 작동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도어어셈블리(200)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물탱크개구부(167) 전체를 노출시킨 상태를 1단 개방으로 정의하고, 상기 개방면(169)를 노출시킨 상태를 2단 개방으로 정의한다.
상기 1단 개방 시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노출되는 전면을 제 1 개방면(OP1)으로 정의하고, 상기 2단 개방 시 캐비닛어셈블리의 노출되는 전면을 제 2 개방면(OP2)로 정의한다.
<<근거리 팬어셈블리의 구성>>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대해 측방향으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는 사용자에게 간접풍을 제공한다.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는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의 전방에 배치된다.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는 복수개의 팬(310)이 상하방향으로 적층되어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팬(310) 3개가 구비되고, 상하 방향으로 적층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팬(310)은 사류형 원심팬이 사용된다. 상기 팬(310)은 축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고, 원주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한다.
상기 팬(310)은 후방에서 공기를 흡입한 후, 원주방향 및 전방으로 공기를 토출한다. 상기 팬(310)은 원주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되, 전방을 향해 지향성을 갖는 기류를 토출한다.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는 전방 및 후방이 개구되어 형성되고,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결합되는 팬케이싱(320)과, 상기 팬케이싱(320)에 결합되고, 상기 팬케이싱(320) 내부에 배치된 복수개의 팬(310)과, 상기 팬케이싱(320)에 결합되고 상기 팬(310)에 토출된 공기를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대해 측방향으로 안내하는 팬가이드(330)를 포함한다.
상기 팬케이싱(320)은 정면 및 후면이 개방된 박스형태로 제작된다. 상기 팬케이싱(320)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결합된다.
상기 팬케이싱(320)의 정면은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와 마주보게 배치된다. 상기 팬케이싱(320)의 후면은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와 마주보게 배치된다.
상기 팬케이싱(320)의 정면은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에 밀착되어 폐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팬케이싱(320)의 측면 일부는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외부로 노출된 상기 팬케이싱(320)에 측면토출구(301)(302)가 형성된다. 상기 측면토출구(302)에는 공기의 토출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토출베인이 배치된다. 상기 측면토출구(301)(302)는 상기 팬케이싱(32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배치된다.
상기 팬(310)은 상기 팬케이싱(320) 내부에 배치된다. 복수개의 상기 팬(310)은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에 대하여 일렬로 적층된다.
상기 팬(310)은 원심팬이 사용되기 때문에, 상기 팬케이싱(320)의 후면에서 공기를 흡입한 후 원주방향으로 공기를 토출시킨다.
상기 팬가이드(330)는 상기 팬(310)에서 토출된 공기를 상기 측면토출구(301)(302)로 안내한다. 상기 팬(310)은 원심팬이 사용되기 때문에, 상측 및 하측으로 토출되는 공기는 상기 팬가이드(330)에 의해 상기 측면토출구(301)(302)로 안내된다.
<<원거리 팬어셈블리의 구성>>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대해 전방으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사용자에게 직접풍을 제공한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상기 열교환어셈블리(500)의 전방에 배치된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상기 근거리 팬어셈블리(300)의 상측에 적층된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상기 도어어셈블리(200)에 형성된 정면토출구(201)로 공기를 토출시킨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상, 하, 좌, 우 또는 대각선 방향으로 회전가능한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실내공간의 먼 쪽으로 공기를 토출하여 실내공기의 순환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원거리 팬어셈블리(400)는, 상기 토출그릴(450)을 상기 팬하우징어셈블리에 대해 상측, 하측, 좌측, 우측 및 대각선 등 모든 방향으로 자유롭게 상대회전시키는 틸팅어셈블리를 더 포함한다.
<<<도어어셈블리의 구성>>>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는, 정면토출구(201)가 형성된 프론트패널(210)과, 상기 프론트패널(210)의 배면에 결합되고, 상기 정면토출구(201)와 연통되는 패널토출구(1101)가 형성된 패널모듈(1100)과, 상기 패널모듈(1100)에 배치되고 상기 패널토출구(1101) 및 정면토출구(201)를 개폐시키는 도어커버어셈블리(1200)와, 상기 패널모듈(1100)에 배치되고, 상기 패널모듈(1100)을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대해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도어슬라이드모듈(미도시)과, 상기 패널모듈(1100) 상측에 배치되고, 실내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모듈(1900)과, 상단이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와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되고, 하단이 상기 패널모듈 어셈블리(1100)와 상대회전 가능하게 조립되며, 상기 도어커버어셈블리(1200)에 연결되는 케이블이 수납되는 케이블가이드(1800)를 포함한다.
상기 정면토출구(201)는 프론트패널(210)에 배치되고, 전후 방향으로 개구된다. 상기 패널토출구(1101)는 패널모듈(1100)에 배치되고, 전후 방향으로 개구된다.
정면토출구(201) 및 패널토출구(1101)의 면적 및 형상은 동일하다. 정면토출구(201)가 패널토출구(1101) 보다 전방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는 상기 패널모듈(1100)에 설치되고, 상기 프론트패널(210)에 실내기의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모듈(1500)을 더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00)은 상기 프론트패널(1100)의 배면에 배치되고, 상기 프론트패널(1100)을 투과하여 시각적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디스플레이모듈(1500)은 상기 프론트패널(1100)을 관통하여 일부가 노출되고, 노출된 디스플레이를 통해 시각적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프론트패널(210)에 형성된 디스플레이 개구부(202)를 통해 디스플레이모듈(1500)의 정보가 사용자에게 전달된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가습어셈블리 및 물탱크가 로어캐비닛에 조립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습어셈블리의 후방 측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탱크 및 물공급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하측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의 좌측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9의 정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탱크, 물공급어셈블리 및 틸팅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후방 측에서 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15는 물탱크가 틸팅된 상태의 물탱크, 물공급어셈블리 및 틸팅어셈블리가 도시된 우측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9에 도시된 물탱크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물탱크 상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0에 도시된 서플라이틸팅커버의 사시도이다.도 19는 도 18의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8의 저면도이다. 도 21은 도 9에 도시된 서플라이서포트바디의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평면도이다. 도 23은 도 9의 서플라이챔버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5는 도 23의 평면도이다. 도 26은 도 23의 배면도이다. 도 27은 도 23의 정면도이다. 도 28은 도 23의 좌측면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 물공급어셈블리 및 틸팅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30은 도 29의 확대도이다. 도 31은 도 5에 도시된 로어캐비닛 내부가 도시된 정면도이다. 도 32는 도 31에 도시된 가습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33은 도 32의 사시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를 위한 틸팅어셈블리의 배면 측 사시도이다. 도 35는 도 34에서 로어커버가 제거된 물탱크, 물공급어셈블리 및 틸팅어셈블리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6은 도 35의 틸틸어셈블리 내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37은 도 35에 도시된 틸팅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가습어셈블리의 구성>>>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는 상기 팬어셈블리(300)(400)의 토출유로 상에 수분을 제공하고, 제공된 수분은 실내로 토출될 수 있다. 제어부의 조작신호에 의해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는 선택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에서 공급된 수분은 측면토출구(301)(302)에 직접 공급될 수 있다.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에서 공급되는 수분을 무화된 상태이거나 스팀상태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가습어셈블리(2000)는 물탱크(2100)의 물을 스팀으로 변환시켜 토출유로에 공급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내부 하측에 배치되고, 구체적으로 로어캐비닛(120) 내부에 위치된다.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는 베이스(110)에 설치되고, 상기 로어캐비닛(120)을 통해 감싸진다.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 상측에 드레인팬(140)이 위치되고,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에서 생성된 스팀은 스팀가이드(2400)를 통해 측면토출구(301)(302)로 직접 유동된다. 즉,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가 설치된 공간과 어퍼캐비닛(110) 내부의 공간은 구획된다.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배치되고, 물이 저장되는 물탱크(2100)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배치되고, 상기 물탱크(2100)에 저장된 물을 공급받고, 내부에 저장된 물을 스팀으로 변환시켜 가습공기를 생성하는 스팀제너레이터(2300)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배치되고,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와 결합되고, 상기 필터어셈블리(600)를 통과한 여과공기를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에 공급하는 가습팬(2500)과,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배치되고,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에서 생성된 가습공기를 독립된 유로를 통해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측면토출구(301)(302)로 안내하는 스팀가이드(2400)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배치되고, 상기 물탱크(2100)가 분리가능하게 거치되고, 상기 물탱크(2100)의 물을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에 제공하는 물공급어셈블리(2200)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 또는 물공급어셈블리(2200)에 배치되고,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물탱크(2100)를 전방으로 틸팅시키고, 전방으로 틸팅되어 있던 물탱크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틸팅어셈블리(2600)와, 상기 물공급어셈블리(2200) 및 스팀제너레이터(2300)에 연결되고, 상기 물공급어셈블리(2200) 및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물을 외부로 배수하는 드레인어셈블리(2700)를 포함한다.
<<물탱크의 구성>>
상기 물탱크(2100)는, 도어어셈블리(200)의 1단 개방 시, 외부로 노출되고, 도어어셈블리(200)가 개방되지 않을 때에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상기 도어어셈블리(200)는 도어슬라이드모듈(미도시)의 작동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도어어셈블리(200)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해, 물탱크개구부(167) 전체를 노출시킨 상태를 1단 개방으로 정의하고, 상기 개방면(169)를 노출시킨 상태를 2단 개방으로 정의한다.
상기 1단 개방 시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노출되는 전면을 제 1 개방면(OP1)으로 정의하고, 상기 2단 개방 시 캐비닛어셈블리의 노출되는 전면을 제 2 개방면(OP2)로 정의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물탱크(2100)의 전면 중 적어도 일부는 내부의 물을 볼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물탱크(2100)는 상기 제 1 개방면(OP1)에 위치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물탱크개구부(167)에 위치된다. 상기 물탱크(2100)는 상기 물탱크개구부(167)를 통해 상기 로어캐비닛(120)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물탱크(2100)는, 물공급어셈블리(2200)에 거치되는 탱크로어바디(2110)와, 상측 및 하측이 개구되고, 상기 탱크로어바디(2110) 상측에 결합되고, 상기 캥트로어바디(2110)에 의해 하측면이 폐쇄되고, 내부에 물이 저장되는 탱크미들바디(2120)와, 상측 및 하측이 개구되어 물탱크개구부(2101)가 형성되고, 상기 탱크미들바디(2120)의 상측에 결합되는 탱크어퍼바디(2130)와, 상기 탱크어퍼바디(2130)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물탱크핸들(2140)과, 상기 탱크로어바디(2110)에 조립되고, 내부에 저장된 물을 상기 물공급어셈블리(2200)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물탱크밸브(2150)을 포함한다.
상기 탱크로어바디(2110)는 물탱크(2100)의 바닥을 제공한다. 상기 탱크로어바디(2110)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밸브홀(2111)이 형성되고, 상기 밸브홀(2111)에 상기 물탱크밸브(2150)가 조립된다. 상기 밸브홀(2111)은 상기 물탱크(2100)의 측면에서 볼 때 후방측에 위치된다.
상기 밸브홀(2111)의 중심에서 물탱크의 전면(본 실시예에서 후술하는 탱크프론트월)까지의 거리를 T1이라 정의하고, 상기 밸브홀(2111)의 중심에서 물탱크의 배면(본 실시예에서 후술하는 제 1 리어월)까지의 거리를 T2라 정의한다. 여기서 상기 T1이 상기 T2보다 길게 형성된다. 상기 밸브홀(2111)을 물탱크(2100)의 후방측에 위치시킴으로서, 틸팅어셈블리(2600)의 작동 시, 물탱크밸브(2150)의 누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틸팅어셈블리(2600)의 작동 시 물탱크(2100)가 물공급어셈블리(2200)와 신속히 이격되어야만 물탱크밸브(2150)가 신속하게 폐쇄된다. 상기 물탱크(2100)는 전방측을 하단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틸팅되기 때문에, 물탱크밸브(2150)가 후방 측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탱크로어바디(2110)는 탑뷰로 볼 때 직사각형 형상이다. 탱크로어바디(2110)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측이 개구된다.
상기 탱크로어바디(2110)는, 내부에 로어바디공간(2112)이 형성되고, 상기 로어바디공간(2112)는 하측을 향해 개구된다. 상기 로어바디공간(2112)에 상기 물공급어셈블리(2200)의 일부 구성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탱크로어바디(2110)는 상기 물공급어셈블리(2200)에 분리가능하게 거치된다. 탱크로어바디(2110)는, 전면, 좌측면, 우측면, 상측면이 폐쇄된다. 상기 탱크로어바디(2110)의 후면은 틸팅어셈블리(2600)와의 조립을 위해 일부가 개방될 수 있다. 상기 틸팅어셈블리(2600) 및 물탱크(2100)의 조립구조는 후술하겠다.
상기 탱크미들바디(2120)는, 상측이 개구된 미들바디 어퍼개구부(2121)와, 하측이 개구된 미들바디 로어개구부(2122)를 포함한다.
상기 탱크미들바디(2120)는, 전면, 좌측면, 우측면 및 배면이 폐쇄되고, 상측면 및 하측면만 개구된다. 상기 탱크미들바디(2120)는, 탱크프론트월(2123), 탱크레프트월(2124), 탱크라이트월(2125) 및 탱크리어월(2126)를 포함한다.
탱크프론트월(2123), 탱크레프트월(2124) 및 탱크라이트월(2125)은 상하 방향으로 수직하게 배치된다. 상기 탱크리어월(2126)은 수직하게 배치되되, 전후 방향으로 굴곡이 형성된다.
탱크리어월(2126)은 탱크로어바디(2110)에 결합되고, 탱크로어바디(2110)의 배면과 연속된 면을 형성하는 제 1 리어월(2126a)과, 상기 탱크어퍼바디(2130)와 결합되고, 상기 탱크어퍼바디(2130)과 연속된 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리어월(2126a)보다 전방 측에 위치되는 제 2 리어월(2126b)과, 상기 제 1 리어월(2126a) 및 제 2 리어월(2126b)를 연결하는 커넥트월(2126c)을 포함한다.
상기 커넥트월(2126c)은 상하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커넥트월(2126c)은 전방측이 높고 후방 측이 낮게 배치된다.
상기 제 1 리어월(2126a)은 상기 커넥트월(2126c)에 대해 후방 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리어월(2126b)은 상기 커넥트월(2126c)에 대해 전방 측에 위치된다. 전후 방향에 대해 상기 제 1 리어월(2126a)와 제 2 리어월(2126b)은 T3 만큼의 거리차를 형성한다.
그래서 상기 제 1 리어월(2126a)을 포함하는 상기 탱크미들바디(2120)의 평단면적이 상기 제 2 리어월(2126b)을 포함하는 상기 탱크미들바디(2120)의 평단면적 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물탱크(2100)에 물이 저장되었을 경우, 상기 물탱크(2100)의 무게중심을 보다 후방 측에 형성시킬 수 있다.
이는 틸팅어셈블리(2600)에 의해 물탱크(2100)가 전방으로 기울어졌을 때, 상기 물탱크(2100)가 전방으로 쏠려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탱크어퍼바디(2130)는, 탱크미들바디(2120)의 상측단에 결합된다. 상기 탱크어퍼바디(2130)는 탑뷰로 볼 때 어퍼바디 개구부(2131)가 형성된 "ㅁ"자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어퍼바디 개구부(2131)는 탱크어퍼바디(2130)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한다. 상기 어퍼바디 개구부(2131)는 미들바디 어퍼개구부(2121)와 연통된다. 상기 어퍼바디 개구부(2131) 하측에 상기 미들바디 개구부(2121)가 배치된다.
사용자는 상기 어퍼바디 개구부(2131)를 통해 상기 물탱크(210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물탱크(2100)를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물탱크(2100)의 어퍼바디 개구부(2131)를 통해 물을 상부급수할 수 있다.
이는 상기 물탱크(2100)의 틸팅 시, 상기 물탱크(2100)가 전방으로 기울어지고, 상기 어퍼바디 개구부(2131)가 사용자에게 노출되기 때문에 가능하다. 상기 물탱크(2100)의 틸팅 시 상기 어퍼바디 개구부(2131)는 로어커버(164)보다 전방에 위치된다.
상기 탱크어퍼바디(2130)에 상기 물탱크핸들(2140)이 회전가능하게 조립된다. 상기 탱크어퍼바디(2130)의 외측면은 전면(2130a), 배면(2130b), 좌측면(2130c), 우측면(2130d), 상면(2130e), 하면(2130f)을 포함한다.
상기 탱크어퍼바디(2130)의 내측면은 이너프론트월(2133a), 이너사이드월(2133c)(2133d), 이너리어월(2133b)를 포함한다. 상기 어퍼바디 개구부(2131)는 이너프론트월(2133a), 이너사이드월(2133c)(2133d), 이너리어월(2133b)에 둘러싸여 형성된다.
상기 이너프론트월(2133a)은 상하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이너프론트월(2133a)은 상측단 보다 하측단이 더 후방 측에 위치된다. 그래서 상기 이너프론트월(2133a)의 하단은 후방 하측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된다.
상기 물탱크(2100)의 틸팅 시, 상기 이너프론트월(2133a)는 더 완만한 경사를 형성하고, 상부급수되는 물을 상기 물탱크(2100) 내부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이너리어월(2133b)은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기 물탱크(2100)의 틸팅 시 틸팅각(A) 만큼 경사지게 배치된다.
상기 물탱크(2100)의 틸팅 시, 상기 이너리어월(2133b)의 상단(2135)은 로어커버(164)의 수직선상 하측에 배치되거나 상기 로어커버(164)보다 후방에 위치된다. 상기 물탱크(2100)의 틸팅 시, 상기 이너프론트월(2133a)은 로어커버(164) 보다 전방에 위치된다. 상기 물탱크(2100)의 틸팅 시, 로어바디사이드월(2114)의 전면 측 하단(2114a)은 상기 로어커버(164) 보다 후방에 배치된다.
틸팅 시, 상기 물탱크(2100)의 각 위치는 물탱크(2100)의 무게중심을 로어커버(164) 후방에 위치시키고, 이를 통해 상기 물탱크(2100)가 전방으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물탱크핸들(2140)은 상기 탱크어퍼바디(2130)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탱크어퍼바디(2130)에는 상기 물탱크핸들(2140)이 설치되는 핸들설치홈(2132)이 형성된다.
상기 핸들설치홈(2132)은 탱크어퍼바디(2130)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다. 특히 상기 핸들설치홈(2132)은 상기 탱크어퍼바디(2130)의 전방 측에 형성된다.
탑뷰로 볼 때, 상기 핸들설치홈(2132)은 탱크어퍼바디(2130)의 바깥쪽에 배치되고, 탱크어퍼바디(2130)의 상측면에서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핸들설치홈(2132)은 "ㄷ"자 형태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핸들설치홈(2132)은 탱크어퍼바디(2130)의 전면(2130a), 좌측면(2130c), 우측면(2130d)에서 상기 어퍼바디 개구부(2131)를 향해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물탱크핸들(2140)의 외측면과 상기 탱크어퍼바디(2130)의 외측면을 연속된 평면을 제공한다. 특히 상기 물탱크핸들(2140)의 상면은 탱크어퍼바디(2130)의 상면(2130e)과 연속된 평면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상기 핸들설치홈(2132)이 탱크어퍼바디(2130)의 내측에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물탱크핸들(2140)은 "ㄷ"자로 형성된 핸들바디(2142)와, 상기 핸들바디(2142) 및 탱크어퍼바디(2130)를 회전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핸들축(2144)과, 상기 핸들바디(2142) 또는 핸들축 (2144)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고, 상기 탱크어퍼바디(2130)에 지지되는 핸들탄성부재(2146)를 포함한다.
상기 핸들탄성부재(2146)는 상기 핸들바디(2142)의 전방 측 단을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핸들탄성부재(2146)는 토션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물탱크(2100)가 전방으로 틸팅되면, 상기 핸들탄성부재(2146)에 의해 물탱크핸들(2140)이 핸들설치홈(2132) 밖으로 회전된다.
상기 물탱크(2100)가 물탱크개구부(167) 안으로 삽입되면, 상기 물탱크핸들(2140)이 로어커버(164)와의 간섭에 의해 상기 핸들설치홈(2132)으로 수납된다.
탑뷰로 볼 때, 상기 핸들바디(2142)는 "ㄷ"자로 형성된다.
상기 물탱크핸들(2140)은, 전면(2140a), 좌측면(2140c), 우측면(2140d), 상면(2140e), 하면(2140f)을 포함한다.
상기 핸들바디(2142)의 높이는 상기 핸들설치홈(2132)의 깊이와 같다. 상기 핸들바디(2142)의 폭은 상기 핸들설치홈(2132)의 폭과 같다. 상기 핸들바디(2142)의 전후 방향 길이는 상기 핸들설치홈(2132)의 전후 방향 길이와 같다. 즉, 상기 핸들바디(2142) 및 핸들설치홈(2132)의 형태는 서로 대응된다.
상기 핸들축(2144)은 핸들바디(2142)의 내측면에서 탱크어퍼바디(2130)를 향해 돌출된다. 상기 핸들축(2144)은 좌우 방향으로 2개가 배치되고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상기 탱크어퍼바디(2130)는 상기 핸들축(2144)이 삽입되는 핸들축홀(2134)이 형성된다. 핸들축홀(2134)은 핸들설치홈(2132)에 형성된다.
상기 핸들탄성부재(2146)는 일단이 핸들축홀(2134)에 삽입되어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핸들축(2144)을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핸들탄성부재(2146)은 토션스프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핸들축(2144)이 토션스프링을 관통하게 삽입된다.
상기 탱크로어바디(2110)는 상기 미들바디 로어개구부(2122)에 밀착되고 상기 미들바디 로어개구부(2122)를 밀폐시키는 로어바디탑월(2113)과, 상기 로어바디탑월(2113)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물공급어셈블리(2200)에 안착되는 로어바디사이드월(2114)과, 상기 로어바디탑월(2113)에서 하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로어바디탑월(2113)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밸브홀(2111)을 형성시키는 밸브설치부(2115)를 포함한다.
상기 로어바디탑월(2113)은 탱크로어바디(2110)의 상측면을 형성하고, 상기 미들바디 로어개구부(2122)를 차폐한다. 본 실시예에서 로어바디탑월(2113) 및 미들바디(2120)는 물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초음파 용접되고, 상기 미들바디(2120)의 저면을 밀폐시킨다.
상기 밸브설치부(2115)는 상기 로어바디탑월(2113)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밸브홀(2111)을 형성시킨다. 상기 밸브설치부(2115)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물탱크밸브(2150)는 상기 밸브설치부(2115)에 조립된다. 물탱크밸브(2150)는 상기 밸브설치부(2115)에 조립된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소정거리 이동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밸브홀(2111)을 개방시킬 수 있다.
상기 물탱크밸브(2150)는 기능적으로 체크밸브의 기능을 갖고, 구조적으로는 본 실시예의 구조에 최적화된다.
상기 밸브설치부(2115)는 상하 로어바디탑월(2113)에서 하측으로 길게 연장된 원통형의 연장설치부(2116)와, 상기 연장설치부(2116)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물탱크밸브(2150)가 조립되는 조립설치부(2117)를 포함한다.
상기 연장설치부(2116)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측 및 하측이 개구된다. 상기 조립설치부(2117)는 상기 연장설치부(2116)의 내부를 가로질러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조립설치부(2117)는 수평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조립설치부(2117)는 상기 밸브홀(2111)을 상측 및 하측으로 구획한다.
상기 조립설치부(2117)의 상측을 어퍼밸브홀(2111a)로 정의하고, 조립설치부(2117)의 하측을 로어밸브홀(2111b)로 정의한다.
상기 탱크로어바디(2110)는, 상기 조립설치부(2117)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물탱크밸브(2150)가 조립되는 조립홀(2117a)과, 상기 조립설치부(2117)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어퍼밸브홀(2111a) 및 로어밸브홀(2111b)를 연통시키는 설치부홀(2118)을 더 포함한다.
상기 탱크로어바디(2110)는, 상기 조립설치부(2117)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물탱크밸브(2150)가 조립되는 조립홀(2117a)과, 상기 조립설치부(2117)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어퍼밸브홀(2111a) 및 로어밸브홀(2111b)를 연통시키는 설치부홀(2118)을 더 포함한다.
상기 조립홀(2117a) 및 설치부홀(2118)은 모두 밸브설치부(2115) 내부에 위치된다.
상기 조립홀(2117a)은 밸브설치부(2115)의 중심에 배치되고, 상기 설치부홀(2118)은 상기 조립홀(2117a) 보다 외측에 배치된다. 상기 설치부홀(2118)은 상기 연장설치부(2116) 및 조립홀(2117a)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조립홀(2117a)은 물탱크밸브(2150)가 조립되기 때문에 물의 원활한 유동을 기대할 수 없다. 상기 물탱크(2100)의 물은 상기 설치부홀(2118)을 통해 물공급어셈블리(2200)로 유동된다.
<물탱크밸브의 구성>
상기 물탱크밸브(2150)는, 탱크로어바디(2110)의 밸브설치부(2115)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밸브코어(2152)와, 탄성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밸브코어(2152)와 조립되고, 상기 밸크코어(2152)의 상하 이동 시 상기 밸브홀(2111)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다이어프램(2154)을 포함한다.
탑뷰로 볼 때, 상기 다이어프램(2154)은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밸브홀(2111)의 직경보다 크다. 다이어프램(2154)의 상단은 밸브홀(2111)의 상측에 위치되고, 하단은 상기 밸브홀(2111) 내부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다이어프램(2154)은 하측으로 오목한 보울(bowl) 형상이다. 상기 밸브코어(2152)는 다이어프램(2154)의 중심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한다.
상기 다이어프램(2154)은 중심측에서 바깥쪽으로 복원되려는 탄성력을 제공한다.
상기 물탱크(2100)에 설치된 물탱크밸브(2150)가 물공급어셈블리(2200)에 거치될 때, 상기 밸브코어(2152)의 하단이 후술하는 밸브서포터(2250)와 접촉된다.
상기 밸브코어(2152)가 상기 밸브서포터(2250)에 접촉되어 지지되면, 상기 다이어프램(2154)을 포함한 물탱크밸브(2150)가 상기 밸브서포터(2250)에 위치되고, 상기 물탱크밸브(2150)를 제외한 물탱크(2100)의 나머지 구성은 하측으로 이동된다.
그래서 상기 물탱크밸브(2150)가 밸브서포터(2250)에 지지되면, 다이어프램(2154)이 상기 밸브홀(2111)을 개방시킨다. 반면에 물탱크(2100)가 물공급어셈블리(2200)에서 분리되면, 물의 압력에 의해 상기 다이어프램(2154)이 밸브홀(2111)을 폐쇄시킨다.
<<물공급어셈블리의 구성>>
상기 물공급어셈블리(2200)는 물탱크(2100)의 물을 스팀제너레이터(2300)에 공급한다. 상기 물공급어셈블리(2200)는 물탱크(2100)가 거치될 때에만 물탱크(2100)의 물탱크밸브(2150)를 개방시켜 스팀제너레이터(2300)에 물을 공급한다.
물공급어셈블리(2200)는 물탱크(2100)를 지지하고, 상기 물탱크(2100)에서 스팀제너레이터(2300)로 유동되는 유로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물공급어셈블리(2200)는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에 저장된 물의 수위에 따라 상기 물탱크밸브(2150)를 개폐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물탱크밸브(2150)의 개폐는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대신 기구적인 배치를 통해 구현한다. 물탱크밸브(2150)의 개폐를 전동식으로 구현할 경우, 이에 따른 전기배선이 습기 또는 물에 노출될 수 있고, 이로 인한 오작동 및 안전성이 문제가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물탱크밸브(2150)의 개폐를 기구적인 결합관계를 통해 구현하기 때문에, 물과 접촉되는 부위의 전기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오작동 및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상기 물공급어셈블리(2200)는, 캐비닛어셈블리(100,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물탱크(2100)에서 공급된 물을 서플라이챔버(2211)에 일시 저장하고,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에 저장된 물을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에 공급하는 서플라이챔버하우징(2210)과, 상기 서플라이챔버하우징(2210)의 서플라이챔버(2211)에 배치되고,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에 저장된 물의 수위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서플라이플로터(2220)와, 상기 서플라이챔버하우징(2210)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의 상측을 커버하고, 상기 물탱크(2100)에서 공급된 물을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로 안내하는 서플라이유로(2231) 중 일부가 형성되고, 상기 물탱크(2100)의 틸팅 시 상기 물탱크(2100)를 지지하여 틸팅각(A)을 제공하는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와,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에 배치되고, 상기 물탱크(2100)의 거치 시 상기 물탱크(2100)의 물탱크밸브(2150)와 접촉되어 상기 물탱크밸브(2150)를 개방시키고, 상기 물탱크밸브(2150)에서 토출된 물을 상기 서플라이챔버(2111)로 안내하는 상기 서플라이유로(2231) 중 일부를 제공하는 밸브서포터(2250)와, 상기 물탱크(2100)가 분리가능하게 거치되고, 상기 물탱크(2100) 및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물탱크의 틸팅 시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와 상대회전 가능하고, 상기 물탱크의 물공급밸브가 관통되게 배치되어 상기 물탱크의 물을 상기 서플라이챔버(2111)에 제공하는 서플라이틸팅커버(2260)과,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 및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 및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를 연결하고, 상기 밸브서포터(2250)가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에서 공급된 물을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의 서플라이유로(2231)를 통해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로 안내하는 워터벨로우즈(2240)를 포함한다.
상기 물탱크(2100)의 하측에 상기 물탱크밸브(2150)가 배치되고, 상기 물탱크밸브(2150)의 하측에 밸브서포터(2250) 및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가 배치되고, 상기 밸브서포터(2250) 하측에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가 배치되고,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의 높이 내에서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물탱크(2100)의 물은 상기 물탱크밸브(2150), 워터벨로우즈(2240) 및 서플라이유로(2231)를 거쳐 서플라이챔버(2211)로 유동된다.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는 공급된 물을 일시 저장하고, 물은 자중에 의한 위치에너지에 의해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로 유동시킨다.
<서플라이챔버하우징의 구성>
상기 서플라이챔버하우징(2210)은,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베이스(130) 상측면에 설치된다. 서플라이챔버하우징(2210)은 물탱크에서 공급된 물을 일시 저장하고, 저장된 물을 스팀제너레이터(2300)에 제공한다. 상기 서플라이챔버하우징(2210)은 서플라이플로터(2220)의 설치공간을 제공하고, 서플라이플로터(2220)는 상기 서플라이챔버하우징(2210)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서플라이챔버하우징(2210)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베이스(130) 상측에 설치되는 챔버하우징바디(2212)와, 상기 챔버하우징바디(2212) 내측에 배치되고, 상측 방향으로 개구되고,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물을 일시 저장하는 서플라이챔버(2211)와, 상기 챔버하우징바디(2212) 또는 서플라이플로터(22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배치되고,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의 저면(2220a)을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의 저면(2211a)에서 이격시키는 리브(2219)와, 상기 챔버하우징바디(2212)에 배치되고,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와 연통되고, 상기 챔버하우징(2212)에 저장된 물을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에 물을 제공하는 챔버하우징파이프(2214)를 포함한다.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는 상측으로 개구된다. 서플라이챔버(2211)의 개방된 상측면을 챔버개구면(2213)으로 정의한다.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 내부에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는 서플라이챔버(2211)의 형상에 대응하여 평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의 평단면 형상은 서플라이플로터(2220)의 평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것이 서플라이플로터(2220)의 이동에 바람직하다.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의 평단면 형상은 자유롭게 형성될 수 있으나, 상기 각진 형태로 형성될 경우 서플라이플로터(2220)의 상하 이동 시 걸림을 발생시킬 수 있고, 설치부피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의 저면(2211a)은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저면(2211a)은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2214)를 향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브(2219)는 본 실시예에서 챔버하우징바디(2212)에 형성된다. 상기 리브(2219)는 서플라이챔버(2211)의 저면(2211a)에서 상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리브(2219)는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의 저면(2220a)과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의 저면(2211a)을 이격시킨다.
상기 리브(2219)가 없을 경우,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에 물이 채워지더라도 물의 표면장력에 의해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의 저면(2220a) 및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의 저면(2211a)이 밀착될 수 있다. 상기 밀착에 의해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가 수위에 따라 상하로 이동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리브(2219)는 상기 밀착에 의한 서플라이플로터(2220)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의 측면(2220b)이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의 내벽(2211b)에 고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의 측면(2220b) 및 서플라이챔버(2211)의 내벽(2211b)은 1mm 이상의 유격이 확보되어야 한다.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2214)는 서플라이챔버(2211)의 내부와 연통된다.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2214)의 내측단(2214a)은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와 연통되고, 외측단(2214b)은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 밖으로 돌출된다.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의 저면(2211a)은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2214)의 내측단(2214a)과 같거나 높게 형성되고, 이를 통해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의 물이 잔류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2214)의 외측단(2214b)은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 저면보다 하측에 배치되고, 서플라이챔버(2211)에 저장된 물은 자중에 의해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2214)로 유동된다.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2214)의 외측단(2214b)은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의 저면(2211a) 보다 낮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챔버하우징파이프(2214)의 내측단(2214a) 높이 내에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 저면(2211a)이 위치된다.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2214)의 내측단(2214a)이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 저면 보다 높은 경우, 서플라이챔버(2211) 내부에 잔류되는 물이 발생될 수 있고, 이로 인한 세균 또는 곰팡이의 번식을 유발할 수 있다.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2214)의 내측단(2214a)은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 저면과 같거나 낮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를 사용하지 않을 때(예를 들어 습도가 높은 여름철이나 물탱크에 저장기간이 길어길 때), 물탱크(2100)를 비롯한 상기 가습어셈블리(2000)에 모든 물은 내부에 잔류되지 않고, 외부로 배수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물탱크(2100)에서 공급된 물이 유동되는 과정에서 잔류되지 않고, 자중에 의해 이동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챔버하우징파이프(2214)의 외측단(2214b)은 스팀제너레이터(2300)와 연결되고, 스팀제너레이터(2300)에 물을 공급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물탱크(2100)의 물은 위치에너지에 의해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로 유동된다.
<밸브서포터의 구성>
상기 밸브서포터(2250)는 물탱크밸브(2150)의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밸브서포터(2250)는 상기 물탱크(2100)가 물공급어셈블리(2200)에 거치될 때 상기 물탱크밸브(2150)와 간섭되고, 상기 물탱크밸브(2150)를 개방시킨다.
상기 밸브서포터(2250)는 상측이 뾰족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물탱크밸브(2150)의 밸브코어(2152)를 지지한다.
상기 물탱크(2100)가 물공급어셈블리(2200)에 거치되면, 상기 밸브서포터(2250)가 상기 밸브코어(2152)와 간섭되어 상기 물탱크밸브(2150)를 상측으로 밀어올리고,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밸브홀(2111)이 개방된다.
상기 밸브홀(2111)이 개방되면 상기 물탱크(2100)의 물이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로 유동된다.
상기 밸브서포터(2250)는 별도로 제작되어도 무방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사출성형을 통해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와 일체로 제작된다. 상기 물탱크밸브(2150)과의 접촉을 위해 상기 밸브서포터(2250)는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에서 상측으로 노출되어야 한다.
상기 밸브서포터(225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밸브서포터(2250)는 제 1 밸브서포터(2252) 및 제 2 밸브서포터(2254)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밸브서포터(2252) 및 제 2 밸브서포터(2254)는 서로 이격되어 밸브서포터갭(2256)을 형성한다. 상기 밸브서포터갭(2256) 사이로 물이 유동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밸브서포터(2252) 및 제 2 밸브서포터(2254)는 수직하게 배치되고, 상기 밸브서포터갭(2256) 역시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밸브서포터갭(2256)의 상측에 밸브코어(2152)가 배치된다.
상기 제 1 밸브서포터(2252) 및 제 2 밸브서포터(2254)이 이격되어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제 1 밸브서포터(2252) 및 제 2 밸브서포터(2254)가 밸브코어(2152)의 하단을 지지하여도 상기 물탱캐(2100)에 배출된 물이 상기 밸브서포터갭(2256)으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밸브서포터갭(2256)의 하단은 개구된다. 밸브서포터갭(2256)의 상측은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의 상측을 향해 개구되고, 상기 밸브서포터갭(2256)의 하측은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의 하측을 향해 개구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밸브서포터(2250)가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와 일체로 제작되기 때문에, 상기 밸브서포터갭(2256)의 하측은 서플라이챔버(2211)와 연통된 미들홀(2258)이 형성된다. 미들홀(2258)는 서플라이유로(2231)의 일부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미들홀(2258)이 밸브서포터갭(2256)의 하측에 형성되지만,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미들홀(2258)은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미들홀(2258)은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게 형성된다.
상기 미들홀(2258)은 워터벨로우즈(2240)의 내부 공간 및 서플라이챔버(2211)를 연통시킨다.
상기 밸브서포터(2250)는 워터벨로우즈(2240) 내부에 위치된다. 그래서 상기 밸브홀(2111)을 통해 배출된 물은 상기 워터벨로우즈(2240)에 저장되고, 상기 미들홀(2258)을 통해 서플라이챔버(2111)로 유동된다.
상기 미들홀(2258)은 상기 워터벨로우즈(2240) 내측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들홀(2258)이 상기 워터벨로우즈(2240) 밖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물탱크(2100)에서 배출된 물을 미들홀(2258)로 안내하는 별도의 구성이 배치되거나, 배출된 물이 다른 곳으로 유동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구성이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에 배치되어야 한다.
상기 물탱크밸브(2150) 및 밸브서포터(2250)의 접촉부분(밸브코어의 하단 및 밸브서포터의 상단)은 상기 워터벨로우즈(2240) 내부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워터벨로우즈(2240)는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처럼 물탱크(2100)에서 배출된 물을 일시 저장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에 관한 구성은 워터벨로우즈(2240)의 구성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서플라이서포트바디의 구성>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는 상기 서플라이챔버하우징(2210)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의 상측을 커버한다. 특히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이 상측면을 밀폐하고,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 내부의 물이 상기 서플라이챔버하우징(2210) 밖으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는 물공급어셈블리(2200)의 작동에도 이용되고, 틸팅어셈블리(2700)의 작동에도 이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에는 물공급어셈블리(2200) 및 틸팅어셈블리(2700)를 위한 구성이 함께 배치된다.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의 구성 중 틸팅어셈블리(2700)에 관한 구성은 틸팅어셈블리(2700)의 구성을 설명할 때 따로 기술하겠다.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는 상기 물탱크(2100)에서 공급된 물을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로 안내하는 서플라이유로(2231) 중 일부가 형성되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밸브서포터(2250)의 미들홀(2258)이 이를 대신한다.
그리고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는 상기 물탱크(2100)를 지지하고, 상기 물탱크(2100)의 틸팅 시 회전된 물탱크(2100)를 지지한다.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는, 상기 서플라이챔버하우징(2210)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의 상측을 커버하는 서플라이바디플레이트(2232)와, 상기 서플라이바디플레이트(2232)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물탱크(2100)에서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를 연결하는 서플라이유로(2231) 중 일부를 형성하는 미들홀(2258)과, 상기 서플라이바디플레이트(2232)의 하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미들홀(2258)과 연통되고,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의 상측 일부가 삽입되고,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플로터가이드(2234)와, 상기 서플라이바디플레이트(2232)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물탱크(2100)의 저면과 소정의 틸팅각(A)을 형성하고, 상기 물탱크(2100)의 틸팅 시 상기 물탱크(2100)를 지지하는 틸팅서포터(2280)를 포함한다.
상기 서플라이바디플레이트(2232)는 상기 서플라이챔버하우징(2210)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의 상측면을 형성하는 챔버개구면(2213)을 커버하며,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의 챔버개구면(2213)을 밀폐시킨다.
상기 서플라이바디플레이트(2232)가 서플라이챔버(2211)를 효과적으로 밀폐시키기 위하여, 상기 서플라이바디플레이트(2232)에서 하측으로 돌출된 실링리브(2231)가 더 형성된다.
상기 실링리브(2231)은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의 챔버개구면(2213)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실링리브(2231) 및 서플라이챔버하우징(2210) 사이에 실링을 위한 서플라이챔버 개스킷(2233)이 더 배치된다.
탑뷰로 볼 때, 상기 서플라이챔버 개스킷(2233)은 상기 챔버개구면(2213)의 가장자리 형상에 대응된다. 서플라이챔버 개스킷(2233)은 탄성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서플라이챔버하우징(2210) 및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미들홀(2258)은 서플라이바디플레이트(2232)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물탱크(2100)에서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를 연결한다. 상기 미들홀(2258)은 서플라이유로(2231) 중 일부를 형성하고, 상기 물탱크(2100)에서 배출된 물을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 하측으로 유동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미들홀(2258)은 밸브서포터(2250)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서플라이바디플레이트(2232)를 관통하는 별개의 미들홀을 배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미들홀(2258)은 상기 워터벨로우즈(2240) 내부에 위치된다. 즉,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워터벨로우즈(2240) 내부에 밸브서포터(250)의 미들홀(2258)과 별개의 미들홀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플로터가이드(2234)는 상기 서플라이바디플레이트(2232)의 저면에서 하측으로 돌출된다. 플로터가이드(2234)는 상기 미들홀(2258)과 연통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플로터가이드(2234)는 상기 미들홀(2258)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미들홀(2258)을 통과한 물을 상기 플로터가이드(2234) 내부로 안내된다.
상기 플로터가이드(2234)는 하측이 개구된 형태이고, 개구된 하측면을 통해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의 상측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플로터가이드(2234)는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의 이동방향을 안내한다.
상기 플로터가이드(2234)는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가 삽입되는 플로터가이드 내부공간(2234S)가 형성된다. 상기 플로터가이드 내부공간(2234S) 상측에 상기 미들홀(2258)이 배치되고, 상기 미들홀(2258) 상측에 밸브서포터갭(2256)이 배치된다.
상기 밸브서포터갭(2256), 미들홀(2258) 및 플로터가이드 내부공간(2234S)를 일렬로 배치하여 물의 이동거리를 최단거리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미들홀(2258)은 후술하는 서플라이플로터(2220)의 승강 시 폐쇄되고, 하강 시 개방된다.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를 통해 미들홀(2258)의 개폐는, 상기 물탱크밸브(2150)의 개폐와 별개로 이루어진다.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에 상기 워터벨로우즈(2240)의 하단이 고정된다. 상기 워터벨로우즈(2240)의 하단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의 상측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벨로우즈리브(2235)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벨로우즈리브(2235)는 이너리브(2235a) 및 아우터리브(2235b)를 포함한다. 상기 이너리브(2235a)의 직경이 아우터리브(2235b)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이너리브(2235a)가 상기 아우터리브(2235b) 보다 상측으로 더 돌출된다. 상기 워터벨로우즈(2240)의 하단은 상기 이너리브(2235a)를 감싸게 배치된다. 상기 워터벨로우즈(2240)의 하단은 상기 이너리브(2235a) 및 아우터리브(2235b)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스냅링과 같은 고정부재를 통해 상기 워터벨로우즈(2240)의 하단을 상기 이너리브(2235a)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워터벨로우즈(2240)의 하단이 벨로우즈리브(2235)에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워터벨로우즈(2240) 내부의 물이 워터벨로우즈바 밖으로 누설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워터벨로우즈(2240)의 내부를 서플라이 유로를 제공한다.
<서플라이틸팅커버의 구성>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는 물탱크(2100)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물탱크(2100)가 분리가능하게 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는 상기 물탱크(2100) 및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물탱크의 틸팅 시,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는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와 상대 회전된다.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는 상기 물탱크의 물공급밸브가 관통되게 배치되고, 상기 물탱크밸브(2150)는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를 관통하여 밸브서포트(2250)과 접촉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는 물탱크(2100)의 하부를 구성하는 탱크로어바디(2110)에 분리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는 하측이 개구되고, 상면 및 측면을 폐쇄된다.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는, 물탱크(2100)의 하부가 분리가능하게 거치되고,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에 틸팅가능하게 거치되고, 상기 틸팅어셈블리의 작동에 의해 틸팅되는 틸팅커버바디(2262)와, 상기 틸팅커버바디(2262)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물탱크(2100)의 밸브홀(2111)과 연통되는 밸브삽입홀(2261)과, 상기 틸팅커버바디(2262)에서 하측으로 연장된 틸팅커버사이드월(2264)와, 상기 밸브삽입홀(2261)을 통해 상기 틸팅커버바디(2262) 상측으로 돌출된 워터벨로우즈(2240)의 상측을 상기 틸팅커버바디(2262)에 고정시키는 벨로우즈고정커버(2265)를 포함한다.
상기 틸팅커버바디(2262)는 대체적으로 수평하게 배치된다. 상기 틸팅커버바디(2262)에 상기 밸브삽입홀(2261)이 형성된다. 상기 밸브삽입홀(2261)은 상기 틸팅커버바디(2262)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밸브홀(2111)의 물을 제공받는다. 상기 밸브홀(2111)의 하측에 상기 밸브삽입홀(2261)이 배치된다.
상기 틸팅커버바디(2262)의 하측면은 후술하는 틸팅서포터(2280)에 지지된다.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는 상기 틸팅서포터(2280)에 지지된 상태에서 전방으로 틸팅될 수 있다.
상기 물탱크(2100)가 물공급어셈블리(2200)에 거치될 때, 상기 물탱크(2100)의 밸브설치부(2115)가 상기 밸브삽입홀(2261)을 관통하고, 상기 틸팅커버바디(2262)를 관통하여 하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밸브설치부(2115)에서 물탱브밸브(2150) 및 밸브서포터(2250)이 상호 간섭될 수 있다.
상기 틸팅커버바디(2262)에 설치부(2266)가 형성된다. 상기 설치부(2266)는 상기 벨로우즈고정커버(2265)를 설치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설치부(2266)는 상기 틸팅커버바디(2262)의 상측면에 형성되고, 하측으로 오목하게 단을 형성한다.
상기 설치부(2266)의 가운데에 상기 밸브삽입홀(2261)이 형성된다.
상기 워터벨로우즈(2240)의 상단은 상기 밸브삽입홀(2261)을 통해 상기 설치부(2266)에 배치된다. 상기 벨로우즈고정커버(2265)가 상기 워터벨로우즈(2240)의 상단을 상기 설치부(2266)에 고정시킨다.
상기 벨로우즈고정커버(2265)는 상기 밸브삽입홀(2261)과 연통되는 고정커버홀(2265c)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커버홀(2265c)의 하측에 상기 밸브삽입홀(2261)이 배치된다.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가 틸팅될 때, 상기 벨로우즈고정커버(2265)도 함께 틸팅되고, 상기 틸팅에 대응하여 상기 워터벨로우즈(2240)가 늘어난다.
상기 워터벨로우즈(2240)의 상단 및 하단이 각각 고정되기 때문에, 상기 틸팅 시, 물이 워터벨로우즈(2240) 밖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벨로우즈고정커버(2265)는 상기 틸팅커버바디(2262)에 배치되는 탑플레이트(2267)와, 상기 탑플레이트(2267)에서 하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틸팅커버사이드월(2264)에 배치되는 리어플레이트(2268)를 포함한다.
상기 탑플레이트(2267)는 상기 틸팅커버바디(2262)와 연속된 면을 제공한다. 상기 리어플레이트(2268)는 상기 틸팅커버사이드(2264)와 연속된 면을 제공한다.
상기 탑플레이트(2267)에는 걸림부(2267a)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2267a)는 틸팅커버바디(2262)에 형성된 걸림홈(2262a)에 삽입된다.
상기 리어플레이트(2268)에는 체결홀(미도시)이 형성되고, 체결부재(미도시)는 상기 리어플레이트(2268)에는 체결홀 및 틸팅커버사이드(2264)에 형성된 체결홀(2264a)을 관통하고, 상기 벨로우즈고정커버(2265) 및 서플라이틸팅커버(2260)를 고정시킨다.
상기 벨로우즈고정커버(2265)는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의 상부에 걸림된 상태로 후방에서 체결고정되기 때문에,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상기 워터벨로우즈(2240)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워터벨로우즈의 구성>
상기 워터벨로우즈(2240)는 탄성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워터벨로우즈(2240)는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 및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에 고정되고, 상기 물탱크에서 배출된 물을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에 제공한다.
상기 워터벨로우즈(2240)는 물탱크(2100)에서 배출된 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물탱크(2100)의 틸팅 시 상기 워터벨로우즈(2240)가 탄성변형되어 늘어난다. 상기 워터벨로우즈(2240)는 물탱크의 틸팅 시에도,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 및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 사이를 연결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워터벨로우즈(2240)는 주름관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워터벨로우즈(2240)의 상단은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에 고정되고, 하단은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워터벨로우즈(2240)의 상단을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에 고정하기 위한 벨로우즈캡(2242)이 더 배치된다.
상기 워터벨로우즈(2240)의 상단은 상기 밸브삽입홀(2261)을 통해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 상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벨로우즈캡(2242)은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워터벨로우즈(2240)의 상단을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의 상측면에 가압한다. 상기 벨로우즈캡(2242)은 체결 또는 억지끼움을 통해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에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벨로우즈캡(2242)은 체결을 통해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에 고정된다. 이는 워터벨로우즈(2240)의 손상 또는 파손 시 교체를 용이하게 한다.
<서플라이플로터의 구성>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는 서플라이챔버(2211)에 배치되고,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의 수위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는 물탱크의 물이 모두 스팀제너레이터(2300)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는 수위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로 유동되는 물의 양을 조절한다.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의 부력은 상기 물탱크(2100)에서 가해지는 압력보다 3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서플라이챔버(2211)의 수위가 기준치 이상으로 상승되었을 때,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는 밸브홀(2258)을 폐쇄한다. 상기 밸브홀(2258)이 폐쇄되면,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로 물이 공급되지 않고,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 내의 물은 챔버하우징파이프(2214)를 통해 스팀제너레이터(2300)로 이동된다.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에서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로 물이 이동된 만큼 서플라이챔버(2211) 내의 수위가 낮아지고,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의 높이가 낮아져 상기 밸브홀(2258)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는, 물보다 비중이 낮은 재질로 형성된 플로터바디(2222)와, 상기 플로터바디(2222)에 형성되고, 상측에서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의 플로터가이드(2234)가 삽입되는 가이드삽입홈(2225)과, 상기 플로터바디(2222)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삽입홈(2225)을 형성시키는 서포트바디 삽입부(2224)와, 상기 플로터바디(2222)에 배치되고, 상기 서플라이유로(2231)의 일부를 형성하는 상기 밸브홀(2258)을 개폐시키는 플로터밸브(2270)를 포함한다.
상기 서포트바디 삽입부(2224)는 상측에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플로터가이드(2234)가 삽입된다. 서플라이챔버(2211)의 수위에 따른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의 상승 또는 하강 시, 상기 서포트바디 삽입부(2224)는 플로터가이드(2234)를 따라 상승 또는 하강된다.
상기 서포트바디 삽입부(2224) 및 플로터가이드(2234)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플로터가이드(2234)가 원통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서포트바디 삽입부(2224) 역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서포트바디 삽입부(2224) 및 플로터가이드(2234)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고, 측방향으로는 상호 걸림을 형성한다.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가 최하측으로 이동되더라도 상기 서포트바디 삽입부(2224) 및 플로터가이드(2234)는 측방향에 대해 상호 걸림을 제공한다.
상기 서포트바디 삽입부(2224) 및 플로터가이드(2234) 중 적어도 일부는 동일한 높이 내에 위치된다. 서포트바디 삽입부(2224) 및 플로터가이드(2234)는 수평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오버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서포트바디 삽입부(2224)의 직경이 상기 플로터가이드(2234)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서포트바디 삽입부(2224)는 플로터가이드(2234)의 내부에 위치된다. 이는 플로터밸브(2270)의 설치구조를 위한 것이다.
상기 플로터밸브(2270)는 상기 플로터바디(2222)에 배치된 플로터밸브코어(2272)와, 상기 플로터밸브코어(2272)의 상측에 결합되고, 상기 미들홀(2258)을 개폐시키는 플로터밸브스토퍼(2278)을 포함한다.
상기 플로터밸브코어(2272)는 상기 플로터바디(2222)에 조립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플로터밸브코어(2272)는 상기 플로터바디(2222)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게 배치되고, 상기 플로터바디(2222)는 상기 플로터밸브코어(2272)가 관통되는 코어홀(2223)이 형성된다.
상기 코어홀(2223)은 상기 서포트바디 삽입부(2224) 내측에 배치된다.
상기 서포트바디 삽입부(2224)를 기준으로 내측에 코어홀(2223)이 형성되고, 바깥쪽에 가이드삽입홈(2225)이 형성된다. 상기 코어홀(2223) 및 가이드삽입홈(2225)은 모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서포트바디 삽입부(2224)는 상기 플로터바디(2222)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플로터바디(2222)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내측에 상기 코어홀(2223)을 형성시키고 외측에 상기 가이드삽입홈(2225)을 형성시키는 서포트바디 이너월(2224a)과, 상기 서포트바디 이너월(2224a) 및 플로터바디(2222)를 연결하고, 상측에 상기 가이드삽입홈(2225)을 형성시키는 서포트바디 바텀월(2224b)을 포함한다.
상기 서포트바디 이너월(2224a)는 상하 방향으로 긴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서포트바디 바텀월(2224b)은 탑뷰로 볼 때 링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서포트바디 바텀월(2224b)의 안쪽단은 플로터바디(2222)와 연결되고 상기 서포트바디 바텀월(2224b)의 바깥쪽단은 서포트바디 이너월(2224a)과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플로터바디(2222) 및 서포트바디 삽입부(2224)은 사출성형을 통해 일체로 제작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서포트바디 삽입부(2224)를 별도로 제작한 후 플로터바디(2222) 내부에 조립할 수도 있다.
상기 플로터밸브코어(2272)는 상기 코어홀(2223)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게 배치된다. 상기 플로터밸브코어(2272)의 상단은 서포트바디 이너월(2224a)의 상단보다 상측으로 돌출되고, 플로터밸브코어(2272)의 하단은 서포트바디 이너월(2224a)의 하단 보다 하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플로터밸브코어(2272)의 하단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서포트바디 바텀월(2224b)의 하단에 지지되는 코어지지단(2273)이 형성된다. 상기 코어지지단(2273)은 서포트바디 바텀월(2224b) 보다 낮게 위치된다.
상기 플로터바디(2222)의 저면에서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플로터바디홈(2226)이 형성된다. 상기 플로터바디홈(2226)은 코어홀(2223)과 연통되고, 코어홀(2223)의 하측에 형성된다. 상기 플로터바디홈(2226)은 서포트바디 바텀월(2224b) 보다 낮게 위치된다.
상기 코어지지단(2273)은 상기 플로터바디홈(2226)에 삽입되고, 코어지지단(2273)은 상기 플로터바디(2222)의 저면 하측으로 돌출되지 않고, 상기 플로터바디홈(2226)에 은닉된다.
상기 플로터밸브코어(2272)의 상단에 플로터밸브스토퍼(2278)이 조립된다. 상기 플로터밸브스토퍼(2278)는 플로터밸브코어(2272)에 조립된 상태에서 서포트바디 이너월(2224a)의 상단에 지지된다.
상기 플로터밸브스토퍼(2278)는 상측이 뾰족한 삼각뿔 형상이고, 뾰족한 첨단(2279)이 상기 밸브홀(2258)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첨담(2279)은 상기 플로터바디(2222)의 상측단 보다 더 상측으로 돌출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물탱크(2100)에서 서플라이챔버(2111)로 유동되는 물은 2번의 단속과정을 거친다.
먼저, 상기 물탱크밸브(2150)가 밸브홀(2111)을 개폐하여 물의 유동을 단속한다. 다음으로, 플로터밸브(2270)가 미들홀(2258)을 개폐하여 물의 유동을 단속한다.
상기 물탱크(2100)에서 배출된 물이 2번의 개폐과정을 거쳐 서플라이챔버(2111)로 유동되기 때문에, 물의 과공급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서플라이플로터(2220)가 추가적으로 물의 공급을 제어하기 때문에, 스팀제너레이터(2300)로 물이 과공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서플라이챔버(2211) 내부에 물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를 배치하고, 챔버하우징파이프(2214)에 개폐밸브를 배치하여 스팀제너레이터(2300)에 제공되는 물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는 수위센서 및 개폐밸브를 추가적으로 필요로하기 때문에 제작비용이 상승하고, 전기신호를 통해 제어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케이블의 결선구조를 필요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에 제공되는 물의 공급량을 서플라이챔버(2211)의 수위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되는 서플라이플로터(2220)를 통해 제어하기 때문에, 스팀제너레이터(2300) 내부의 수위조절 및 물 공급량을 기구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를 위한 틸팅어셈블리의 설치예시도이다. 도 27은 도 26에서 로어커버가 제거된 물탱크, 물공급어셈블리 및 틸팅어셈블리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8은 도 27의 틸틸어셈블리 내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틸팅어셈블리의 구성>>
상기 틸팅어셈블리(2600)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 또는 물공급어셈블리(2200)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틸팅어셈블리(2600)는 물공급어셈블리(2200)에 배치되고,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선택적으로 상기 물탱크(2100)를 전방으로 틸팅시킬 수 있다. 상기 틸팅어셈블리(2600)는 전기적인 신호에 따라 전방으로 틸팅되어있던 물탱크를 원위치로 복귀시킬 수도 있다.
상기 틸팅어셈블리(2600)는 상기 물공급어셈블리(2200)에 거치된 물탱크(2100)를 틸팅시켜, 상기 물탱크(2100) 및 물공급어셈블리(2200)를 이격시킨다. 상기 물탱크(2100) 및 물공급어셈블리(2200)를 이격 시 상기 물탱크밸브(2150)가 밸브홀(2111)을 폐쇄시키고, 상기 물탱크(2100)에서 물이 배출되지 않는다.
상기 물탱크(2100)에 물이 없거나 기준치 이하일 때, 상기 틸팅어셈블리(2600)가 자동으로 작동될 수 있다. 사용자가 물탱크(2100)를 분리하거나 장착할 때, 상기 전기적인 신호를 통해 상기 틸팅어셈블리(2600)가 작동될 수 있다.
상기 물탱크(2100)는 사용자가 위치한 전방으로 틸팅되고, 물탱크(2100)의 틸팅 시 물탱크핸들(2140)이 상측으로 전개되며, 사용자는 상측으로 전개된 물탱크핸들(2140)을 용이하게 잡을 수 있다.
상기 틸팅어셈블리(2600)는, 상기 물탱크(2100)의 하측을 지지하고, 상기 물탱크(2100)가 분리가능하게 거치되고, 상기 물탱크(2100)를 전방으로 틸팅시키는 서플라이틸팅커버(2260)와,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를 지지하고,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의 후방측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틸팅무빙기어(2620)와, 상기 물공급어셈블리(2300) 또는 캐비닛어셈블리(100)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틸팅기어하우징(2660)과, 상기 틸팅기어하우징(2660)에 배치되고, 상기 틸팅무빙기어(2620)와 치합되고, 상기 틸팅무빙기어(2620)에 구동력을 제공하며, 상기 틸팅무빙기어(2620)를 이동시키는 틸팅구동기어 어셈블리(2800)와, 상기 틸팅기어하우징(2660)에 배치되고, 상기 틸팅구동기어 어셈블리(280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틸팅모터(2650)와, 상기 틸팅무빙기어(2620)의 틸팅 또는 정위치를 감지하는 틸팅센서(2621)을 포함한다.
상기 틸팅어셈블리(2600)는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과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엑스트라서포터(229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엑스트라서포터(2290)의 회전중심은 상기 물탱크(2100)의 틸팅방향과 동일하고, 본 실시예에서 좌우 방향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는 하측에 배치된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틸팅무빙기어(2620)의 작동 시 틸팅축(T)을 중심으로 전후 방향으로 틸팅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 및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를 통해 상기 물탱크(2100)의 틸팅축(T)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물탱크(2100)는 서플라이틸팅커버(2260)와 분리가능한 구조이기 때문에,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 및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는 물탱크(2100)의 하중을 견고하게 지지하면서 틸팅을 위한 회전구조를 제공한다.
<틸팅어셈블리를 위한 서플라이서포트바디의 구성>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를 지지하는 틸팅서포터(2280)는 상기 벨로우즈리브(2235)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각 틸팅서포터(2280)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각 틸팅서포터(2280)를 구분할 필요가 있을 때, 좌측에 배치된 틸팅서포터(2280)를 제 1 틸팅서포터(2280-1)라 하고, 우측에 배치된 틸팅서포터(2280)를 제 2 틸팅서포터(2280-2)라 한다.
상기 틸팅서포터(2280)는 서플라이바디플레이트(2232)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구조물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틸팅서포터(2280)는 사출성형을 통해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와 일체로 제작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틸팅서포터(2280)는 별도로 제작된 후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에 조립될 수 있다.
상기 틸팅서포터(2280)는 상기 물탱크(2100)를 지지하기 위한 구조물이기 때문에 상기 물탱크(2100)의 하부에 배치된다.
상기 틸팅서포터(2280)는,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에서 상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틸팅서포터바디(2281)와, 상기 틸팅서포터바디(2281)에 배치되고, 상기 물탱크(2100)의 틸팅 시 회전축을 제공하는 틸팅저널(2282, tilting journal)과, 상기 틸팅서포터바디(2281)에 형성되고, 상기 물탱크(2100)가 틸팅되었을 때, 상기 물탱크(2100)의 하부를 지지하는 서포터부(2283)를 포함한다.
상기 물탱크(2100)는 서플라이틸팅커버(2260)에 거치되고,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의 하중은 상기 틸팅서포터바디(2281)에 전달된다.
상기 틸팅서포터바디(2281)에 상기 틸팅저널(2282)이 형성된다. 상기 틸팅저널(2282)은 제 1 틸팅서포터(2280-1) 및 제 2 틸팅서포터(2280-2)에 각각 배치된다. 상기 제 1 틸팅서포터(2280-1)에 형성된 틸팅저널(2282)을 제 1 틸팅저널(2282-1)이라 정의하고, 상기 제 2 틸팅서포터(2280-2)에 형성된 틸팅저널(2282)을 제 2 틸팅저널(2282-2)이라 정의한다.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는 상기 제 1 틸팅저널(2282-1) 및 제 2 틸팅저널(2282-2)에 지지된 상태에서 전후 방향으로 틸팅된다. 상기 상기 제 1 틸팅저널(2282-1) 및 제 2 틸팅저널(2282-2)은 상기 물탱크(2100)의 틸팅축을 제공한다.
상기 틸팅저널(2282)은 틸팅서포터바디(2281)에서 수평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틸팅저널(2282)은 하단(2282a)이 서플라이바디플레이트(2232)에 지지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틸팅저널(2282)은 서플라이바디플레이트(2232)와 일체로 제작된다.
상기 틸팅저널(2282)은 물탱크(2100)의 하중이 전달되고, 상기 틸팅저널(2282)에 전달된 하중은 틸팅서포터바디(2281) 및 서플라이바디플레이트(2232)로 분산된다. 물탱크(2100)의 하중을 효과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 상기 틸팅저널(2282)은 틸팅서포터바디(2281)의 좌측 및 우측으로 각각 돌출된다.
상기 물탱크(2100)가 상기 틸팅저널(2282)을 중심으로 회전되기 때문에, 상기 틸팅저널(2282)의 상측에 상기 물탱크(2100)의 무게중심이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탱크(2100)의 무게중심을 하측으로 연장한 가상의 연장선과 상기 물탱크(2100)의 저면을 구성하는 로어바디탑월(2113)이 만나는 점을 X라 할 때, 상기 틸팅저널(2282)의 상부에 X가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X를 기준으로 상기 로어바디탑월(2113)의 전방측 거리(Z1)과 상기 로어바디탑월(2113)의 후방 측 거리(Z2)의 길이는 같을 수 있다. 틸팅 시, 상기 물탱크(2100)가 전방으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Z2 > Z1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틸팅저널(2282)은 상기 틸팅서포터바디(2281)에서 내측(본 실시예에서 반대편 틸팅서포터바디(2281))를 향해 돌출된 이너틸팅저널(2283)과, 상기 틸팅서포터바디(2281)에서 외측을 향해 돌출된 틸팅저널(2282)를 아우터틸팅저널(2284)을 포함한다.
상기 각 이너틸팅저널(2283)들은 제 1 틸팅서포터바디(2281-1) 및 제 2 틸팅서포터바디(2281-2)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각 아우터틸팅저널(2284)들은 제 1 틸팅서포터바디(2281-1) 및 제 2 틸팅서포터바디(2281-2) 바깥쪽에 배치된다.
상기 틸팅저널(2282)의 상측면(2282b)은 곡면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틸팅저널(2282)의 상측면(2282b)은 동심원을 형성한다. 상기 틸팅저널(2282)의 상측면(2282b)은 물탱크(2100)의 측면에서 볼 때 원형 또는 원형 중 일부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틸팅저널(2282)의 내측에는 중공(2282c)이 형성된다. 상기 중공(2282c)은 이너틸팅저널(2283), 틸팅서포터바디(2281) 및 아우터틸팅저널(2284)을 관통한다. 상기 제 1 틸팅저널(2282-1)의 중공(2282c)을 제 1 중공이라 하고, 상기 제 2 틸팅저널(2282-2)의 중공(2282c)을 제 2 중공이라 한다.
상기 제 1 틸팅저널(2282-1)의 제 1 중공 및 상기 제 2 틸팅저널(2282-2)의 제 2 중공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상기 제 1 중공 및 제 2 중공은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 1 중공 및 제 2 중공의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의 중심선(T)은 물탱크(2100)의 틸팅방향과 직교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중심선(T)이 상기 물탱크(2100)의 틸팅축을 제공한다.
상기 물탱크(2100)의 틸팅 시, 상기 물탱크(2100)의 저면을 지지하는 서포터부(2283)가 배치된다. 상기 서포터부(2283)는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의 하측에 배치된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서포터부(2283)는 틸팅서포터바디(2281)와 일체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서플라이바디플레이트(2232)에 별도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서포터부(2283)는 상기 서플라이바디플레이트(2232) 보다 상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서포터부(2283)는 상기 틸팅저널(2282) 보다 전방에 배치된다. 상기 서포터부(2283)는 상기 중심선(T) 보다 전방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서포터부(2283)는 상기 틸팅서포터바디(2281)에서 전방으로 연장되고, 전방 하측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된 경사면(2286)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틸팅서포터(2280-1)에 배치된 서포터부(2283)를 제 1 서포터(2283-1)로 정의하고, 상기 제 2 틸팅서포터(2280-2)에 배치된 서포터부(2283)를 제 2 서포터(2283-2)로 정의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 1 서포터(2283-1)에 형성된 경사면(2286)을 제 1 경사면(2286-1)으로 정의하고, 상기 제 2 서포터(2283-2)에 형성된 경사면(2286)을 제 2 경사면(2286-2)으로 정의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서포터(2283-1) 및 제 2 서포터(2283-2)가 경사면(2286)을 통해 서플라이틸팅커버(2260)의 하측면을 지지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서플라이바디플레이트(2232)의 상측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된 서포터부가 형성되어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를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물탱크(2100)는 전방으로 틸팅되기 때문에,
상기 서포터부(2283)의 경사면(2286)은 후방이 높고 전방이 낮다. 상기 경사면(2286)은 상기 서포터부(2283)의 상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2286)은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 수록 높이가 낮아지고, 전방 하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2286)은 수평면과 소정의 틸팅각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틸팅각은 상기 경사면(2286)에 의해 결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경사면(2286)은 10도 이상 45도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물탱크(2100)가 상기 경사면(2286)에 지지될 때, 상기 물탱크(2100)는 전방으로 넘어지지 않아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물탱크(2100)의 틸팅 시, 상기 물탱크(2100)의 무게중심은 틸팅되기 전 상기 물탱크(2100)의 탱크프론트월(2123) 보다 후방에 위치되어야 한다. 틸팅되지 않는 구조물을 기준으로 본 실시예의 상기 물탱크(2100)의 무게중심은 상기 로어커버(164) 보다 후방 측에 위치되어야 한다.
상기 물탱크(2100)의 바닥면적, 전후 방향 길이에 따라 상기 무게중심위치를 달라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틸팅각(A)은 17도로 형성된다. 상기 경사면(2286)은 수평방향을 기준으로 전방 하측을 향해 17도 경사지게 형성된다.
<틸팅어셈블리를 위한 서플라이틸팅커버의 구성>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에 물탱크(2100)가 분리가능하게 거치된다.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는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와 회전가능한 구조로 조립된다.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의 하측에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가 배치된다.
상기 틸팅어셈블리(2600)는 상기 틸팅저널(2282)의 중공(2282c)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의 하측면(2260b)을 지지하는 엑스트라서포터(229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는, 물탱크(2100)의 하부가 분리가능하게 거치되는 틸팅커버바디(2262)와, 상기 틸팅커버바디(2262)의 저면에서 하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에 거치되고,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와 틸팅가능하게 조립되는 틸팅부(2263)와, 상기 엑스트라서포터(2290)가 삽입되는 엑스트라챔버(2269)를 포함한다.
상기 틸팅부(2263)는 틸팅저널(2282)의 상부에 배치된다. 상기 틸팅부(2263)는 상기 틸팅저널(2282)에 거치된 상태에서 전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틸팅부(2263) 및 틸팅저널(2282)은 미끄럼마찰을 형성한다.
상기 틸팅부(2263)는 상기 제 1 틸팅저널(2282-1)에 거치되는 제 1 틸팅부(2263-1)와, 상기 제 2 틸팅저널(2282-2)에 거치되는 제 2 틸팅부(2263)을 포함한다.
상기 틸팅부(2263)는 틸팅저널(2282)의 상측면(2282b)에 대응되는 곡면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틸팅저널(2282)의 상측면(2282b)이 원형의 곡면을 형성하기 때문에, 상기 틸팅부(2263)는 상기 틸팅저널(2282)이 삽입되는 원형 또는 호형상의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틸팅부(2263)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오목한 원형의 홈이다. 상기 틸팅부(2263)의 직경이 상기 틸팅저널(2282)의 직경보다 크고, 상기 틸팅부(2263)의 곡률중심은 상기 틸팅저널(2282)의 곡률중심과 일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틸팅부(2263-1) 및 제 2 틸팅부(2263-2)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상기 제 1 틸팅부(2263-1) 및 제 2 틸팅부(2263-2)는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 1 틸팅부(2263-1) 및 제 2 틸팅부(2263-2)의 곡률중심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은 상기 물탱크(2100)의 틸팅방향과 직교된다.
상기 엑스트라서포터(2290)는 틸팅저널(2282)과 함께 서플라이틸팅커버(2260)를 지지하고, 서플라이틸팅커버(2260)의 틸팅을 안내한다.
상기 제 1 틸팅저널(2282-1)과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엑스트라서포터(2290)를 제 1 엑스트라서포터(2290-1)로 정의하고, 상기 제 2 틸팅저널(2282-2)과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엑스트라서포터(2290)를 제 2 엑스트라서포터(2290-2)로 정의한다.
상기 엑스트라서포터(2290)는,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의 저면을 지지하는 엑스트라바디(2292)와, 상기 엑스트라바디(2292)에 배치되고, 상기 틸팅저널(2282)의 중공(2282c)에 삽입되고, 상기 틸팅저널(2282)의 중공(2282c)에서 회전되는 엑스트라샤프트(2291)를 포함한다.
상기 각 엑스트라샤프트(2291)들은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틸팅축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 엑스트라바디(2292)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측면이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의 저면(2260b)를 지지한다.
상기 엑스트라샤프트(2291)의 축방향과 상기 엑스트라바디(2292)의 방향은 직교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의 하부에는 상기 엑스트라바디(2292)가 삽입되는 엑스트라챔버(2269)가 형성된다. 상기 엑스트라챔버(2269)는 하측이 개구된다.
상기 엑스트라서포터(2290)와의 조립이 용이하도록, 상기 엑스트라챔버(2269)는 틸팅부(2263)의 외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틸팅부(2263-1)의 외측에 제 1 엑스트라챔버(2269-1)가 배치되고, 상기 제 2 틸팅부(2263-2)의 외측에 상기 제 2 엑스트라챔버(2269-2)가 배치된다.
상기 엑스트라샤프트(2291)는 틸팅저널(2282)의 중공(2282c)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고, 상기 액스트라바디(2292)는 상기 엑스트라챔버(2269)에 삽입된다.
상기 엑스트라바디(2292)가 엑스트라챔버(2269)에 삽입되기 때문에, 상기 엑스트라서포터(2290)가 서플라이틸팅커버(2260) 밖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엑스트라서포터(2290) 및 틸팅서포터(2280)는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에 가해진 물탱크(2100)의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틸팅부(2263) 및 엑스트라챔버(2269)는 일체로 제작된다.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는, 상기 틸팅커버사이드월(2264) 및 틸팅부(2263)을 연결하는 제 1 챔버월(2269a) 및 상기 틸팅커버사이드월(2264) 및 틸팅부(2263)을 연결하는 제 2 챔버월(2269b)를 더 포함한다.
상기 틸팅부(2263) 및 상기 틸팅커버사이드월(2264)은 대향되게 배치되고, 상기 틸팅커버사이드월(2264)의 내측에 배치된다.
상기 엑스트라챔버(2269)는 상기 틸팅부(2263), 상기 틸팅커버사이드월(2264), 제 1 챔버월(2269a) 및 제 2 챔버월(2269b)에 둘러싸여 형성된다.
상기 틸팅무빙기어(2620)는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에 틸팅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고,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틸팅무빙기어(2620)는 상기 틸팅구동기어 어셈블리(280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고, 상기 틸팅구동기어 어셈블리(2800)의 작동 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틸팅구동기어 어셈블리(2800)의 작동 시,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 및 틸팅무빙기어(2620)는 함께 상하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틸팅무빙기어(2620)의 상하 방향 이동 시, 상기 물탱크(2100)는 틸팅저널(22882)을 중심으로 전후 방향으로 틸팅될 수 있다.
상기 틸팅무빙기어(2620)는, 서플라이틸팅커버(2260)를 지지하는 무빙기어지지바디(2622)와, 상기 틸팅구동기어 어셈블리(2800)와 치합되는 무빙기어치합바디(2624)와, 상기 무빙기어치합바디(2624)에 배치되고, 틸팅방향을 안내하는 틸팅가이드홈(2625)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 무빙기어지지바디(2622) 및 무빙기어치합바디(2624)는 일체로 제작된다. 무빙기어지지바디(2622)는 서플라이틸팅커버(2260)를 지지하고, 서플라이틸팅커버(2260)를 상측으로 리프트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무빙기어지지바디(2622)는 서플라이틸팅커버(2260)의 후방에 배치된다. 상기 무빙기어지지바디(2622)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무빙기어치합바디(2624)는 상기 무빙기어지지바디(2622)의 하측으로 연장된다. 상기 무빙기어치합바디(2624)는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의 후방에 배치되고, 하측으로 길게 돌출된다.
상기 틸팅센서(2621)는 상기 틸팅무빙기어(2620)을 감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틸팅센서(2621)는 상기 틸팅무빙기어(2620)의 정위치를 감지한다. 상기 틸팅무빙기어(2620)의 하단(2620a)을 감지한다. 상기 틸팅무빙기어(2620)의 하단(2620a)이 틸팅무빙기어 서포터(2216)에 접촉될 때, 상기 틸팅센서(2621)가 상기 하단(2620a)을 감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틸팅센서(2621)는 리미트스위치가 사용된다. 본 실시예와 달리 포토센서 또는 택트스위치 등을 통해 상기 틸팅무빙기어(2620)의 하단(2620a)이 상기 틸팅무빙기어 서포터(2216)에 접촉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틸팅모터(2650)의 입력펄스를 제어하여 상기 틸팅무빙기어(2620)의 틸팅각을 제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틸팅센서(2621)에 영구자석이 설치되고, 상기 틸팅무빙기어 서포터(2216)에 홀센서가 배치되어 상기 틸팅무빙기어(2620)의 위치를 감지할 수도 있다.
상기 틸팅센서가 추가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틸팅무빙기어(2620)의 틸팅각을 감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틸팅무빙기어(2620)의 상단(2620b)에 영구자석(2623a)이 배치되고, 로어커버(164)의 커버리어월(164b)에 홀센서(2623b)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상기 틸팅무빙기어(2620)가 전방으로 틸팅될 경우, 상기 홀센서(2623b)가 영구자석(2623a)을 감지하고, 상기 틸팅모터(2650)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영구자석(2623a)이 틸팅무빙기어(2620)에 배치되지만,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물탱크(2100)에 영구자석이(2623a)이 배치되고, 물탱크수납공간(165)을 형성하는 상기 로어커버(164)에 홀센서(2623b)가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무빙기어치합바디(2624)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무빙기어치합바디(2624)는 무빙기어지지바디(2622)에서 하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무빙기어치합바디(2624)는 무빙기어지지바디(2622)에서 후방측에 위치된다.
상기 무빙기어치합바디(2624)는 상기 틸팅구동기어 어셈블리(2800)와의 치합을 위한 것이다.
상기 무빙기어치합바디(2624)가 후방 측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물탱크(2100, 본 실시예에서 탱크로어바디(2110)의 배면) 및 서플라이챔버하우징(2210)의 배면 중 적어도 일부는 개구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탱크로어바디(2110)의 배면에 상기 무빙기어치합바디(2624)가 관통되는 홈(2119)이 형성된다. 상기 벨로우즈고정커버(2265)의 배면에 상기 무빙기어치합바디(2624)가 관통되는 홈(2119)이 형성된다.
상기 무빙기어치합바디(2624)의 배면을 따라 복수개의 치형(2624a)이 형성되고, 상기 치형(2624a)들은 상하 방향으로 배열된다. 상기 치형(2624a)은 피니언 기어 타입이다.
상기 무빙기어치합바디(2624)는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고, 전방에 곡률중심이 배치되는 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무빙기어치합바디(2624)의 곡률중심은 상기 틸팅저널(2262)의 틸팅축(T)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무빙기어치합바디(2624)는 상기 틸팅축(T)을 중심으로 왕복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틸팅가이드홈(2625) 역시 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틸팅가이드홈(2625)은 물탱크(2100)의 회전반경을 고려하여 배치된다. 상기 틸팅가이드홈(2625)은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고, 전방에 곡률중심이 배치된 호형상이다.
상기 틸팅가이드홈(2625)의 곡률중심은 상기 틸팅저널(2262)의 틸팅축(T)에 배치될 수 있다.
<틸팅어셈블리를 위한 서플라이챔버하우징의 구성>
한편, 상기 서플라이챔버하우징(2210)에는 상기 틸팅어셈블리(2600)를 위한 구성이 배치된다.
상기 서플라이챔버하우징(2210)에 상기 틸팅가이드홈(2625)에 삽입되는 틸팅가이드(2215)와, 상기 틸팅무빙기어(2620)을 지지하는 틸팅무빙기어 서포터(2216)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틸팅가이드(2215)는 상기 틸팅무빙기어(2620)의 틸팅방향을 안내한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틸팅가이드(2215)는 서플라이챔버하우징(2210)이 아닌 베이스(130) 또는 로어캐비닛(120)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틸팅가이드(2215)는 틸팅무빙기어(2620)에 형성된 틸팅가이드홈(2625)에 삽입된다. 상기 틸팅가이드홈(2625)은 틸팅무빙기어(2620)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틸팅가이드(2215)도 이에 대응하여 좌측 및 우측에 2개가 배치된다. 2개의 틸팅가이드(2215)는 좌우 방향으로 이격된다.
상기 틸팅가이드(2215)는 상기 틸팅가이드홈(2625)에 대응되는 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틸팅가이드(2215)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고, 전방에 곡률중심이 배치된 호형상이다. 상기 틸팅가이드(2215)의 곡률중심은 상기 틸팅저널(2262)의 틸팅축(T)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틸팅가이드(2215)는 서플라이챔버(2211) 후방에 위치된다.
상기 틸팅가이드(2215)의 후면에는 상기 무빙기어지지바디(2622)의 측면을 지지하는 얼라인가이드(2215a)가 더 배치된다. 상기 얼라인가이드(2215a)는 상기 틸팅가이드(2215)의 후면에 배치되고, 틸팅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얼라인가이드(2215a)는 좌측 틸팅가이드 및 우측 틸팅가이드에 각각 배치된다. 좌측 얼라인가이드 및 우측 얼라인가이드 사이에 상기 틸팅무빙기어(2620)가 배치된다.
상기 틸팅무빙기어 서포터(2216)는 틸팅무빙기어(2620)의 하단(2620a)을 지지한다. 상기 틸팅무빙기어 서포터(2216)는 틸팅무빙기어(2620)가 하측으로 과도하게 이동되는 것을 제한한다.
상기 틸팅무빙기어(2620)의 하단(2620a)이 틸팅무빙기어 서포터(2216)에 지지될 때에도 틸팅구동기어 어셈블리(2800) 및 틸팅무빙기어(2620)의 치합이 유지된다. 상기 틸팅무빙기어 서포터(2216)는 틸팅구동기어 어셈블리(2800) 및 틸팅무빙기어(2620)의 치합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틸팅무빙기어 서포터(2216)는 후방 하측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된다. 틸팅무빙기어(2620)의 하단(2620a)도 틸팅무빙기어 서포터(2216)의 경사에 대응하게 경사면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틸팅무빙기어 서포터(2216)는 서플라이챔버하우징(2210)과 일체로 제작된다.
상기 틸팅구동기어 어셈블리(2800)의 구동력이 공급되지 않아도, 상기 틸팅무빙기어(2620)의 하단(2620a)이 틸팅무빙기어 서포터(2216)에 지지되기 때문에, 틸팅구동기어 어셈블리(2800) 및 틸팅무빙기어(2620)의 치합이 유지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틸팅무빙기어 서포터(2216)는 틸팅가이드(2615)의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틸팅무빙기어 서포터(2216)는 틸팅가이드(2615)의 연장선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틸팅가이드(2615)를 통해 안내된 틸팅무빙기어(2620)는 틸팅무빙기어 서포터(2216)에 지지되고, 회전이 정지된다.
상기 서플라이챔버하우징(2210)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의 베이스(130) 상측에 설치되는 챔버하우징바디(2212)와, 상기 챔버하우징바디(2212) 내측에 배치되고, 상측 방향으로 개구되고,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물을 일시 저장하는 서플라이챔버(2211)와, 상기 챔버하우징바디(2212)에 배치되고, 상기 서플라이챔버(2211)와 연통되고, 상기 챔버하우징(2212)에 저장된 물을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에 물을 제공하는 챔버하우징파이프(2214)와, 상기 챔버하우징바디(2212)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물탱크(2100)의 탱크리어월(2126) 후방에 위치되는 챔버하우징리어월(2217)과, 상기 챔버하우징리어월(2217)에 형성되고, 상기 챔버하우징리어월(2217)을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틸팅무빙기어(2620)가 배치되고, 상기 틸팅무빙기어(2620)가 이동되는 틸팅무빙기어 관통부(2218)와, 상기 틸팅가이드홈(2625)에 삽입되는 틸팅가이드(2215)와, 상기 틸팅무빙기어(2620)을 지지하는 틸팅무빙기어 서포터(2216)를 포함한다.
상기 챔버하우징리어월(2217)은 물탱크(2100)의 후방에 배치된다. 챔버하우징리어월(2217)을 관통하여 상기 틸팅무빙기어(2620)이 배치된다.
상기 챔버하우징리어월(2217) 및 물탱크(2100) 사이에 로어커버(164)의 커버리어월(164b)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로어커버(164)는 물탱크개구부(167)를 포함하고, 상기 물탱크(2100)는 상기 물탱크개구부(167)를 통해 상기 로어커버(164)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틸팅무빙기어(2620)는 상기 커버리어월(164b)를 관통하고, 커버리어월(164b)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챔버하우징리어월(2217)에 틸팅무빙기어 서포터(2216)가 배치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틸팅무빙기어 관통부(2218)의 하측에 상기 틸팅무빙기어 서포터(2216)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틸팅무빙기어 관통부(2218)는 챔버하우징리어월(2217)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고, 상측에서 하측으로 오목한 홈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틸팅무빙기어(2620)는 틸팅무빙기어 관통부(2218)에 배치되고, 관통부(2218)에서 상하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무빙기어치합바디(2624)는 상기 틸팅무빙기어 관통부(2218)에 배치되고, 상기 무빙기어지지바디(2622)는 챔버하우징리어월(2217) 전방으로 돌출된다.
상기 틸팅기어하우징(2660)은 챔버하우징리어월(2217)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챔버하우징리어월(2217)에 체결된다.
상기 챔버하우징리어월(2217)의 전방에 상기 로어커버(164)의 커버리어월(164b)이 배치된다. 상기 챔버하우징리어월(2217)은 물탱크(2100)의 후면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챔버하우징리어월(2217)은 물탱크(2100)가 후방 측으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틸팅기어하우징 및 틸팅구동기어 어셈블리의 구성>
상기 틸팅기어하우징(2660) 내부에 틸팅구동기어 어셈블리(2800)가 설치되고, 상기 틸팅기어하우징(2660) 외부에 상기 틸팅모터(2650)가 설치된다. 상기 틸팅기어하우징(2660)은 틸팅구동기어 어셈블리(2800) 및 틸팅모터(2650)의 설치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틸팅기어하우징(2660)는 제 1 틸팅기어하우징(2662) 및 제 2 틸팅기어하우징(2664)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정면을 기준으로 제 1 틸팅기어하우징(2662)은 좌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틸팅기어하우징(2664)은 우측에 배치된다.
제 1 틸팅기어하우징(2662) 및 제 2 틸팅기어하우징(2664)의 전면 중 일부는 개구된다. 상기 제 1 틸팅기어하우징(2662) 및 제 2 틸팅기어하우징(2664)의 전면 중 개구된 면을 기어하우징 개구면(2661)으로 정의한다.
상기 기어하우징 개구면(2661)을 통해 틸팅무빙기어(2620) 및 틸팅구동기어 어셈블리(2800)가 치합된다. 상기 기어하우징 개구면(2661)은 틸팅무빙기어(2620)를 향하게 배치된다. 상기 기어하우징 개구면(2661)의 전방에 틸팅무빙기어 관통부(2218)가 배치된다. 상기 기어하우징 개구면(2661) 및 틸팅무빙기어 관통부(2218)은 일렬로 배치된다.
상기 틸팅모터(2650)는 제 1 틸팅기어하우징(2662) 또는 제 2 틸팅기어하우징(2664) 중 어느 하나에 조립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틸팅모터(2650)는 제 1 틸팅기어하우징(2662)에 조립된다.
상기 틸팅모터(2650)의 모터축은 제 1 틸팅기어하우징(2662)를 관통하고, 틸팅구동기어 어셈블리(2800)와 결합된다. 상기 틸팅모터(2650)의 모터축은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틸팅모터(2650)는 스텝모터가 사용된다.
상기 틸팅구동기어 어셈블리(2800)는 틸팅모터(2650)의 구동력을 틸팅무빙기어(2620)에 전달하기 위한 기어들의 조합이다.
상기 틸팅구동기어 어셈블리(2800)는 상기 틸팅기어하우징(2660)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틸팅모터(2650)과 결합되고, 상기 틸팅모터(2650)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제 1 틸팅구동기어(2810)와, 상기 틸팅기어하우징(2660)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제 1 틸팅구동기어(2810) 및 틸팅무빙기어(2620)와 각각 치합되고, 상기 제 1 틸팅구동기어(2810)의 구동력을 상기 틸팅무빙기어(2620)에 전달하는 제 2 틸팅구동기어(282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틸팅구동기어(2810)는 제 2 틸팅구동기어(2820)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틸팅구동기어(2810)는 제 2 틸팅구동기어(2820)의 중심축은 평행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틸팅구동기어(2810) 및 제 2 틸팅구동기어(2820)은 좌우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 1 틸팅구동기어(2810)는 제 2 틸팅구동기어(2820)는 상하 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제 1 틸팅구동기어(2810)는 제 2 틸팅구동기어(2820)의 각 치형은 피니언기어 타입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틸팅구동기어(2810)의 직경이 제 2 틸팅구동기어(2820) 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제 2 틸팅구동기어(2820)는 제 1 틸팅구동기어(2810)의 회전속도를 감속한다.
상기 제 1 틸팅구동기어(2810)의 회전축 및 제 2 틸팅구동기어(2820)의 회전축은 수직방향으로 배열된다. 즉, 상기 제 2 틸팅구동기어(2820)의 회전축 하측에 상기 제 1 틸팅구동기어(2810)의 회전축이 배치된다.
상기 제 1 틸팅구동기어(2810)는 일반적인 피니언기어 형태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제 2 틸팅구동기어(2820)는 상기 제 1 틸팅구동기어(2810)과 치합되는 제 1 구동기어부(2830)와, 상기 틸팅무빙기어(2620)와 치합되는 제 2 구동기어부(2840)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구동기어부(2830) 및 제 2 구동기어부(2840)는 일체로 제작된다.
상기 제 1 구동기어부(2830)의 직경이 제 2 구동기어부(2840) 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제 2 구동기어부(2840)의 직경은 상기 제 1 틸팅구동기어(2810)보다 크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구동기어부(2830)는 제 1 틸팅기어하우징(2662)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구동기어부(2840)는 상기 제 2 틸팅기어하우징(2664) 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 2 틸팅구동기어(2820)의 회전축은 상기 제 1 구동기어부(2830)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틸팅구동기어(2820)의 회전축은 상기 제 1 틸팅기어하우징(2662)에 일체로 제작된다.
그래서 상기 제 1 구동기어부(2830)는 상기 제 1 틸팅기어하우징(2662)에 배치된 회전축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된다.
상기 제 1 구동기어부(2830) 및 제 2 구동기어부(2840)는 각각 직경이 다른 피니언기어 타입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구동기어부(2830)의 직경보다 제 2 구동기어부(2840)의 직경이 더 작게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제 2 구동기어부(2840)과 치합되는 상기 틸팅무빙기어(2620)는 상기 제 1 구동기어부(2830)의 측부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틸팅무빙기어(2620)는 제 2 구동기어부(2840)의 우측에 배치되고, 측면에서 볼 때 상기 틸팅무빙기어(2620)의 일부와 상기 제 1 구동기어부(2830)의 전방 측 일부가 오버랩될 수 있다.
상기 제 2 구동기어부(2840)는 상기 틸팅무빙기어 관통부(2218) 후방 측에 배치된다. 상기 제 2 구동기어부(2840)는 기어하우징 개구면(2661)의 후방에 배치된다. 상기 틸팅무빙기어(2620)는 상기 제 2 구동기어부(2840)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구동기어부(2840)는 틸팅무빙기어(2620)와 치합된다.
상기 제 2 틸팅구동기어(2820)는 제자리에서 회전되고, 상기 틸팅무빙기어(2620)는 상기 제 2 구동기어부(2840)와 치합된 상태로 상하 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제 2 구동기어부(2840)는 틸팅무빙기어 서포터(2216) 보다 상측에 위치된다. 상기 제 2 구동기어부(2840)가 상기 틸팅무빙기어(2620)를 지지하기 때문에, 상기 제 2 구동기어부(2840)는 물탱크(2100) 하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2 구동기어부(2840)의 축중심은 상기 물탱크(2100, 본 실시예에서 로어바디탑월(2113))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틸팅구동모터(2650)가 제 1 방향으로 작동 시, 상기 제 1 틸팅구동모터(2650)와 치합된 상기 제 1 틸팅구동기어(2810)가 회전되고, 상기 제 1 틸팅구동기어(2810)와 치합된 상기 제 2 틸팅구동기어(2820)가 회전된다. 상기 제 2 틸팅구동기어(2820)는 상기 제 1 틸팅구동기어(2810)의 회전속도를 낮추고 토크를 증가시킨다.
더불어 상기 제 2 틸팅구동기어(2820)의 제 2 구동기어부(2840)과 치합된 상기 틸팅무빙기어(2620)는 상측으로 회전되고, 상기 틸팅무빙기어(2620)의 상측 회전으로 인해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는 물탱크(2100)가 배치된 상측으로 밀어올려진다.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가 상기 물탱크(2100)의 저면에 밀착되고, 상기 틸팅무빙기어(2620)가 물탱크(2100)의 탱크로어바디(2110)를 밀어올려 상기 물탱크(2100)를 전방으로 틸팅시킨다.
상기 물탱크(2100)가 전방으로 틸팅되면, 물탱크밸브(2150) 및 밸브서포터(2250)가 분리되기 때문에, 물탱크밸브(2150)는 밸브홀(2111)을 폐쇄시킨다. 사용자는 전방으로 틸팅된 물탱크(2100)를 들어올려 상기 물공급어셈블리(2200, 본 실시예에서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에서 물탱크를 분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물탱크(2100)를 상기 물공급어셈블리(2200, 본 실시예에서 서플라이서포트바디(2230))에 거치하면, 상기 틸팅모터(2650)는 제 2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틸팅무빙기어(2620)가 하측으로 회전되면서 물탱크(2100)가 원위치로 복귀된다.
<<스팀가이드의 구성>>
상기 스팀가이드(2400)는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스팀을 토출유로에 공급한다. 상기 토출유로는 원거리팬 어셈블리(400)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유로 및 근거리 팬어셈블리(300)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유로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토출유로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배치되고, 상기 필터어셈블리(600)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 밖으로 토출되기 전까지로 정의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팀가이드(2400)는 스팀제너레이터(2300)에서 생성된 스팀을 상기 측면토출구(301)(302)로 안내한다. 상기 스팀가이드(2400)는 상기 캐비닛어셈블리(100) 내부의 공기와 분리된 별도의 유로를 제공한다. 상기 스팀가이드(2400)는 관 또는 덕트의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스팀가이드(2400)는 스팀제너레이터(2300)에 결합되고, 상기 스팀제너레이터(2300)의 가습공기를 제공받는 메인스팀가이드(2450)와, 상기 메인스팀가이드(2450)에 결합되고, 상기 메인스팀가이드(2450)를 통해 공급된 가습공기 중 일부를 제 1 측면토출구(301)로 안내하는 제 1 분지가이드(2410)와, 상기 메인스팀가이드(2450)에 결합되고, 상기 메인스팀가이드(2450)를 통해 공급된 가습공기 중 나머지를 제 2 측면토출구(302)로 안내하는 제 2 분지가이드(2420)와, 상기 제 1 분지가이드(2410)와 조립되고, 상기 제 1 측면토출구(301)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분지가이드(2410)를 통해 공급된 가습공기를 상기 제 1 측면토출구(301)에 토출시키는 제 1 디퓨저(2430)와, 상기 제 2 분지가이드(2420)와 조립되고, 상기 제 2 측면토출구(302)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분지가이드(2420)를 통해 공급된 가습공기를 상기 제 2 측면토출구(302)에 토출시키는 제 2 디퓨저(2440)를 포함한다.
도 3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물탱크 및 틸팅어셈블리가 도시된 우측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틸팅어셈블리(2602)는 틸팅모터 대신 탄성부재(2670) 및 댐퍼(2680)이 배치된다.
상기 틸팅어셈블리(2602)는, 상기 베이스(130) 및 틸팅무빙기어(2620)에 결합되고, 상기 틸팅무빙기어(2620)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2670)와, 상기 틸팅무빙기어(2620)의 무빙기어치합바디(2624)와 치합되는 댐퍼기어(2684)와, 상기 댐퍼기어(2684)와 결합되고, 상기 댐퍼기어(2684)의 회전 시 댐핑력을 제공하는 댐퍼(2680)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부재(2670)는 상측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고, 상기 틸팅무빙기어(2620)를 틸팅저널(2282)를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댐퍼기어(2684)는 무빙기어치합바디(2624)와 치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댐퍼(2680)는 상기 탄성부재(2670)에 의해 틸팅무빙기어(2620)가 회전될 때, 상기 틸팅무빙기어(2620)의 회전속도를 감속한다. 상기 댐퍼(2680)는 베이스(130) 또는 캐비닛어셈블리(100)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로어커버(164) 및 물탱크(2100)에 상기 물탱크(2100)를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락(269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락(2690)은 걸림부(2692) 및 락커(2691)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걸림부(2692)는 탱크어퍼바디(2130)에 배치되고, 후방 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락커(2691)는 커버리어월(164b)에 배치된다.
상기 락커(2691)는 제어신호를 통해 작동되고, 상기 걸림부(2692)과 선택적으로 상호 걸림을 형성시킬 수 있다.
그래서 사용자가 감지되거나 사용자가 신호를 입력할 경우, 상기 걸림부(2692)는 락커(2691)와의 상호 걸림이 해제된다.
상기 락(2690)의 해제 시, 상기 탄성부재(267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는 틸팅저널(2282)를 중심으로 회전된다.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2260)의 회전 시 상기 댐퍼(2680)가 상기 댐퍼기어(2684)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고, 이를 통해 상기 물탱크(2100)의 틸팅속도를 감속시키며, 상기 물탱크(2100)는 천천히 전방으로 틸팅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댐퍼(2680)를 삭제하고 상기 탄성부재(2670)가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와 달리 상기 엑스트라서포터(2290)에 댐퍼(2680)를 설치하고, 상기 엑스트라샤프트(2291)의 회전속도를 감속시켜도 무방하다.
이하 나머지 구성은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캐비닛어셈블리 200 : 도어어셈블리
300 : 근거리팬 어셈블리 400 : 원거리팬 어셈블리
500 : 열교환어셈블리 600 : 필터어셈블리
700 : 무빙클리너 1100 : 패널모듈
1200 : 도어커버어셈블리 1500 : 디스플레이모듈
2000 : 가습어셈블리 2100 : 물탱크
2200 : 물공급어셈블리 2300 : 스팀제너레이터
2400 : 스팀가이드 2500 : 가습팬
2600 : 틸팅어셈블리 2700 : 드레인어셈블리
2800 : 틸팅구동기어 어셈블리

Claims (20)

  1. 지면에 배치된 베이스를 포함하는 캐비닛어셈블리;
    상기 베이스 상측에 배치된 물탱크;
    상기 베이스 및 물탱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물탱크를 지지하고, 상기 물탱크가 틸팅될 때, 상기 물탱크의 틸팅축을 제공하는 틸팅저널;
    상기 물탱크가 분리가능하게 거치되고, 상기 물탱크의 하측을 지지하고, 상기 틸팅저널에 지지되는 서플라이틸팅커버;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를 지지하고,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의 후방측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틸팅무빙기어;
    상기 틸팅무빙기어와 치합되고, 상기 틸팅무빙기어에 구동력을 제공하며, 상기 틸팅무빙기어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틸팅구동기어 어셈블리;
    상기 틸팅구동기어 어셈블리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틸팅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틸팅구동기어 어셈블리의 작동을 통해 상기 틸팅무빙기어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틸팅무빙기어의 상하 이동에 의해 상기 물탱크가 상기 틸팅저널을 중심으로 전후 방향으로 틸팅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상측에 배치되는 서플라이서포트바디;을 더 포함하고,
    상기 틸팅저널은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에 배치되고,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는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는 상기 틸팅저널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틸팅저널을 중심으로 전후 방향으로 틸팅가능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측방향에서 볼 때, 상기 물탱크의 무게중심 하측에 상기 틸팅저널이 배치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의 하측면에서 하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틸팅저널에 지지되는 틸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틸팅저널은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의 상측면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틸팅부는 상기 틸팅저널이 삽입되는 홈이 형성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틸팅저널의 상측면은 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틸팅부는 상기 틸팅저널이 삽입되는 호 형상으로 형성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틸팅저널은,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의 좌측에 배치되고,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의 좌측 하단을 지지하는 제 1 틸팅저널; 및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의 우측에 배치되고,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의 우측 하단을 지지하는 제 2 틸팅저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틸팅저널 및 제 2 틸팅저널을 연결하는 연장선상에 상기 물탱크의 틸팅축이 형성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 1 틸팅저널 및 제 2 틸팅저널의 배치방향은 상기 물탱크의 틸팅방향에 대해 직교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와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엑스트라서포터;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엑스트라서포터는, 상기 제 1 틸팅저널과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제 1 엑스트라서포터; 및 상기 제 2 틸팅저널과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의 하측면을 지지하는 제 2 엑스트라서포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 1 틸팅저널의 내측에 제 1 중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틸팅저널의 내측에 제 2 중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중공 및 제 2 중공은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 1 엑스트라서포터는 상기 제 1 중공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제 2 엑스트라서포터는 상기 제 2 중공에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1.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틸팅무빙기어는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와 일체로 제작되고, 상기 틸팅무빙기어는 상기 물탱크의 배면보다 후방으로 더 돌출되고, 상기 틸팅무빙기어의 후방에 상기 틸팅구동기어 어셈블리가 배치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2.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틸팅무빙기어는 호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틸팅무빙기어의 곡률중심은 상기 틸팅저널을 향하게 배치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3.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틸팅무빙기어의 하단은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 보다 하측으로 더 돌출되고, 상기 틸팅무빙기어 및 틸팅구동기어 어셈블리의 치합부분은 상기 틸팅저널과 같은 높이거나 상기 틸팅저널보다 낮게 배치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4. 청구항 6에 있어서,
    정면에서 볼 때, 상기 제 1 틸팅저널 및 제 2 틸팅저널의 사이에 상기 틸팅무빙기어가 배치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5.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측 구조물에 배치되고, 상기 틸팅무빙기어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틸팅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틸팅무빙기어의 길이방향을 따라 틸팅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틸팅가이드는 상기 틸팅가이드홈에 삽입되며, 상기 물탱크의 틸팅 시 상기 틸팅가이드홈은 상기 틸팅가이드를 따라 이동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틸팅가이드홈 및 틸팅가이드는 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틸팅가이드홈 및 틸팅가이드의 곡률중심은 상기 틸팅저널을 향하게 배치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측 구조물에 배치되고, 상기 틸팅무빙기어의 하단을 지지하는 틸팅무빙기어 서포터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를 지지하는 서플라이챔버하우징;
    상기 서플라이챔버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고, 물이 저장되는 서플라이챔버;
    상기 서플라이챔버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물탱크에서 토출된 물이 통과되는 밸브삽입홀;
    상기 밸브삽입홀 및 서플라이챔버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서플라이서포트바디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밸브삽입홀을 통해 공급된 물을 상기 서플라이챔버로 유동시키는 미들홀;을 포함하고,
    상기 물탱크에서 배출된 물은 상기 밸브삽입홀, 미들홀을 거쳐 상기 서플라이챔버에 저장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 및 서플라이서포트바디 사이에 배치되고, 상측단이 상기 서플라이틸팅커버에 고정되고, 하측단이 서플라이서포트바디에 고정되는 워터벨로우즈;를 더 포함하고,
    상기 워터벨로우즈의 상측에 상기 밸브삽입홀이 배치되고, 상기 워터벨로우즈의 하측에 상기 미들홀이 배치되며,
    상기 워터벨로우즈는 탄성재질로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밸브삽입홀을 통해 공급된 물을 상기 미들홀로 안내하는 서플라이유로가 형성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0190029801A 2019-03-04 2019-03-15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2198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1690A KR102506902B1 (ko) 2019-03-04 2021-02-18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24963 2019-03-04
KR1020190024963 2019-03-04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1690A Division KR102506902B1 (ko) 2019-03-04 2021-02-18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6426A KR20200106426A (ko) 2020-09-14
KR102219869B1 true KR102219869B1 (ko) 2021-02-24

Family

ID=7247147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9801A KR102219869B1 (ko) 2019-03-04 2019-03-15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0210021690A KR102506902B1 (ko) 2019-03-04 2021-02-18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1690A KR102506902B1 (ko) 2019-03-04 2021-02-18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1986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07509A (ja) 2011-06-23 2013-01-10 Daikin Industries Ltd 加湿機用給水タンク及び加湿機
JP2013096585A (ja) 2011-10-28 2013-05-20 Daikin Industries Ltd 加湿機
JP2017161104A (ja) 2016-03-07 2017-09-14 シャープ株式会社 加湿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2131B1 (ko) * 2008-11-28 2015-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습기
KR101304113B1 (ko) * 2011-08-16 2013-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습기 및 그의 탱크
KR101339079B1 (ko) 2012-03-28 2013-12-09 오텍캐리어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가습장치
KR101581114B1 (ko) * 2014-04-01 2015-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습기 및 제습기의 워터탱크 인출 방법
KR20150146185A (ko) * 2014-06-23 2015-12-31 주식회사 위닉스 에어 워셔
KR101588126B1 (ko) * 2014-07-09 2016-0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습기
KR20180026984A (ko) * 2016-09-05 2018-03-14 코웨이 주식회사 가습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07509A (ja) 2011-06-23 2013-01-10 Daikin Industries Ltd 加湿機用給水タンク及び加湿機
JP2013096585A (ja) 2011-10-28 2013-05-20 Daikin Industries Ltd 加湿機
JP2017161104A (ja) 2016-03-07 2017-09-14 シャープ株式会社 加湿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1511A (ko) 2021-02-26
KR102506902B1 (ko) 2023-03-07
KR20200106426A (ko) 2020-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868452B (zh) 空调设备的室内机
JP7174082B2 (ja) スチームジェネレータ
KR20230042448A (ko) 공기조화기에 포함되는 가습어셈블리
CN111868454B (zh) 空调设备的室内机
KR102643576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230156000A (ko) 공기조화기
KR20190032942A (ko)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제어방법
KR102219869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200106417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638178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111868451B (zh) 空调设备的室内机
KR20210029559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210079901A (ko) 공기조화기
US11971070B2 (en) Indoor unit for an air conditioner
US20210088075A1 (en) Indoor unit for an air conditioner
KR102639778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628642B1 (ko) 공기조화기
JP2024059902A (ja) スチームジェネレータ
KR102392959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US20220404042A1 (en) Indoor unit for an air conditioner
KR20210048478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