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9659B1 - 가상현실 기반의 눈 건강 측정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상현실 기반의 눈 건강 측정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9659B1
KR102219659B1 KR1020200129232A KR20200129232A KR102219659B1 KR 102219659 B1 KR102219659 B1 KR 102219659B1 KR 1020200129232 A KR1020200129232 A KR 1020200129232A KR 20200129232 A KR20200129232 A KR 20200129232A KR 102219659 B1 KR102219659 B1 KR 1022196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ye health
measurement
eye
subject
targ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92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투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투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투에스
Priority to KR10202001292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96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9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9659B1/ko
Priority to PCT/KR2021/008271 priority patent/WO2022075554A1/ko
Priority to EP21877809.0A priority patent/EP4226841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2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 A61B3/08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for testing binocular or stereoscopic vision, e.g. strabism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016Operational features thereof
    • A61B3/0025Operational features thereof characterised by electronic signal processing, e.g. eye mod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016Operational features thereof
    • A61B3/0033Operational features thereof characterised by user input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016Operational features thereof
    • A61B3/0041Operational features thereof characterised by display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2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 A61B3/028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for testing visual acuity; for determination of refraction, e.g. phoropters
    • A61B3/0285Phorop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36Diagnosis combined with treatment in closed-loop systems or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75Determining trends in physiological measurement data; Predicting development of a medical condition based on physiological measurements, e.g. determining a risk fac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5/00Exercisers for the eyes
    • A61H5/005Exercisers for training the stereoscopic view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07Control means thereof computer controlled
    • A61H2201/501Control means thereof computer controlled connected to external computer devices or networks
    • A61H2201/5012Control means thereof computer controlled connected to external computer devices or networks using the intern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a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ology (AREA)
  • Psychiat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의 눈 건강 측정방법은, 눈 건강 측정기의 프로세서가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와 연동하여 가상현실 기반의 눈 건강 측정을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눈 건강상태 서베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공된 서베이 인터페이스에 기반하여 눈 건강 측정방법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눈 건강 측정방법에 기초한 눈 건강상태 측정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실행된 눈 건강상태 측정에 따른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눈 건강상태 측정에 따른 결과에 기반하여 처방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처방 콘텐츠는, 측정 대상자의 눈 운동을 보조하는 눈 힐링영상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상현실 기반의 눈 건강 측정방법 및 그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VIRTUAL REALITY-BASED EYE HEALTH MEASUREMENT}
본 발명은 가상현실(VR) 기반의 눈 건강 측정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가상현실에 기초하여 눈 건강상태를 측정하고, 그 결과에 따른 처방 콘텐츠를 제공하는 가상현실 기반의 눈 건강 측정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체의 눈 건강상태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눈 건강과 관련된 다양한 파라미터(예컨대, 입체시, 사시, 양안시, 복시, 외안근, 동공 및/또는 시야 등)에 대한 측정이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눈 건강과 관련된 안구질환이 의심되면, 의사나 안경사가 눈 건강상태와 관련된 위와 같은 파라미터에 대한 측정을 진행하고, 안구질환으로 판단되는 경우 이에 대응되는 치료를 진행한다.
그러나 종래 안구질환 측정방법은, 공통적으로 측정 수행자(의사 또는 안경사)가 고가의 측정장비를 이용하여 측정 대상자의 눈 상태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수작업 진행된다.
따라서, 측정 수행자에 따라서 측정 대상자에 대한 측정결과가 객관적이지 못하며, 시간소요가 오래 걸리고 측정 수행자의 인건비로 인해 과다한 측정비용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안구질환 중 입체시 측정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편광안경이나 편광필터 등의 전문 장비가 필요하고, 입체시를 측정하는데 최적화된 특수시표가 더 필요한 등, 입체시 측정 환경을 마련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나 비용이 상당한 실정이다.
또한, 안구질환 중 시력측정을 하는 측정장비는, 종래의 시력 도표를 이용한 방식에서 개선된 것이 사실이지만, 측정장비를 통해 획득한 측정 대상자의 측정정보를 다시 측정 수행자가 분석하여 안구질환의 종류를 결정하기 때문에, 측정 대상자의 측정정보를 토대로 안구질환 신속하게 결정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측정장비로 측정 대상자의 안구질환을 측정하는 경우에는, 측정 대상자가 측정장비에 마련된 고정 위치에서 측정이 완료될 때까지 움직이지 말아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즉, 측정 대상자의 안구질환 측정 위치가 측정장비에 의존하기 때문에 경직된 상태에서 안구질환을 측정해야 하는 등 측정 대상자의 측정 환경이 좋지 못한 문제가 있다.
한편, 최근 정보통신기술(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이 발전함에 따라서, 원거리 데이터 통신망을 매개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적어도 하나의 호스트 서버를 통하여 다수의 사용자 측으로 실시간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 기술이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각종 영상처리기술(Image prcessing technology) 등과 같은 신기술의 도래에 힘입어,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이나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과 같은 3차원의 영상 기술에 대한 관심이 급상승하고 있으며, 이에 기반한 가상현실 경험을 제공하는 서비스 및 기기 시장이 나날이 발전하고 있다.
이와 같은 추세에 힘입어 최근의 각종 산업 분야에서는, 머리에 착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인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MD: Head Mounted Display)에 기반하여 해당하는 산업 분야와 관련된 각종 증강현실(AR) 또는 가상현실(MR) 데이터들을 생성하여 관리하고 있으며, 필요 시 유/무선 네트워크(network)에 기반하여 생성된 데이터를 교환하는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하고 있다.
KR 10-1704442 B1
본 발명은, 가상현실에 기초하여 눈 건강상태를 측정하고, 그 결과에 따른 처방 콘텐츠를 제공하는 가상현실 기반의 눈 건강 측정방법 및 그 시스템을 구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눈 건강과 관련된 서베이(survey)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측정 대상자(즉, 피측정자) 맞춤형 눈 건강 측정방법을 결정하고, 결정된 눈 건강 측정방법을 기초로 상기 측정 대상자에 대한 눈 건강상태 측정 서비스를 수행하는 가상현실 기반의 눈 건강 측정방법 및 그 시스템을 구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눈 건강상태 측정 결과를 그래픽 이미지로 구현하여 제공하는 가상현실 기반의 눈 건강 측정방법 및 그 시스템을 구현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만, 본 발명 및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의 눈 건강 측정방법은, 눈 건강 측정기의 프로세서가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와 연동하여 가상현실 기반의 눈 건강 측정을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눈 건강상태 서베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공된 서베이 인터페이스에 기반하여 눈 건강 측정방법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눈 건강 측정방법에 기초한 눈 건강상태 측정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실행된 눈 건강상태 측정에 따른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눈 건강상태 측정에 따른 결과에 기반하여 처방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처방 콘텐츠는, 측정 대상자의 눈 운동을 보조하는 눈 힐링영상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눈 건강 측정방법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서베이 인터페이스에 대한 상기 측정 대상자의 입력을 기초로, 복수의 눈 건강 측정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상기 눈 건강 측정방법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눈 건강 측정 콘텐츠는, 소정의 파라미터에 따른 상기 측정 대상자에 대한 눈 건강상태 측정 프로세스를 제공하는 콘텐츠이다.
또한, 상기 눈 건강 측정방법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서베이 인터페이스에 대한 상기 측정 대상자의 입력을 기초로 상기 눈 건강 측정 콘텐츠 별 눈 건강점수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산출된 눈 건강점수에 기반하여 의심질환을 예측하는 단계와, 상기 예측된 의심질환에 기초하여 상기 눈 건강 측정방법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눈 건강 측정방법을 결정하는 단계는, 입체시 측정 콘텐츠를 상기 눈 건강 측정방법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눈 건강상태 측정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입체시 측정 콘텐츠를 기반으로 적어도 셋 이상의 시표를 가상현실 영상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적어도 셋 이상의 시표 중 어느 하나를 타 시표들과는 다른 심도를 가지는 변위시표로 결정하고 각각의 시표들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변위시표를 선택하는 입체시 측정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제공된 입체시 측정 인터페이스에 대한 상기 측정 대상자의 입력을 기초로 입체시 측정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변위시표로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셋 이상의 시표 중 하나를 변위시표인 제 1 시표로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 대상자의 좌안영역에 대응되는 제 1 표시영역에 상기 제 1 시표를 나타내는 제 1-1시표와, 상기 측정 대상자의 우안영역에 대응되는 제 2 표시영역에 상기 제 1 시표를 나타내는 제 1-2시표의 출력 위치를 상기 심도에 기초한 입체시각도를 산출하여 산출된 입체시각도에 따라서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출력 위치에 상기 제 1-1 시표와 상기 제 1-2 시표를 각각 상기 제 1 표시영역 및 제 2 표시영역에 표시하여 상기 변위시표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눈 건강 측정방법을 결정하는 단계는, 시력측정 콘텐츠를 상기 눈 건강 측정방법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눈 건강상태 측정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시력측정 콘텐츠를 기반으로 소정의 시력 측정표를 가상현실 영상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표시된 시력 측정표 내 복수의 기호 중 타겟 기호를 선택하는 시력측정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제공된 시력측정 인터페이스에 대한 상기 측정 대상자의 입력을 기초로 시력측정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처방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는, 외안근 또는 내안근 운동을 보조하는 제 1 눈 힐링영상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눈 힐링영상을 제공하는 단계는, 적어도 둘 이상의 서로 다른 심도로 구현되는 객체를 가상현실 영상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표시된 객체 중 어느 하나를 제 1 객체로 선정하는 단계와, 상기 선정된 제 1 객체에 이외의 나머지 객체에 블러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선정된 제 1 객체의 위치 및 심도를 기설정된 기준에 기초하여 변경하며 출력하는 단계와, 소정의 기준에 따라서 상기 제 1 객체를 상기 나머지 객체 중 어느 하나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의 눈 건강 측정방법 및 그 시스템은, 가상현실에 기초하여 눈 건강상태를 측정하고, 그 결과에 따른 처방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생활 속에서 손 쉽게 눈 건강상태를 추적 및 관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의 눈 건강 측정방법 및 그 시스템은, 가상현실에 기반하여 눈 건강상태 측정 서비스를 구현함으로써, 아날로그 측정기기 및 고부가가치 장비(시야측정기 등)를 효과적으로 대체하여, 눈 건강 측정에 소요되는 비용이나 노력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의 눈 건강 측정방법 및 그 시스템은, 눈 건강과 관련된 서베이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측정 대상자에게 최적화된 눈 건강 측정방법을 결정하고, 결정된 눈 건강 측정방법을 기초로 상기 측정 대상자에 대한 눈 건강상태 측정 서비스를 수행함으로써, 대상자의 눈 건강상태를 분석할 수 있는 일관적이고 신뢰성 있는 기반 데이터를 체계적인 계측 방법을 통하여 획득할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신뢰도 높은 분석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의 눈 건강 측정방법 및 그 시스템은, 눈 건강상태 서베이 분석 결과를 기초로 측정 대상자의 현재 눈 건강상태를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해당 측정 대상자에게 필요한 눈 건강 측정방법을 선정해 제공함으로써, 대상자 개개인 별로 최적화된 맞춤형의 눈 건강 측정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눈 건강상태 측정에 소요되는 비용이나 노력을 절감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눈 건강상태 측정 서비스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의 눈 건강 측정방법 및 그 시스템은, 가상현실 영상에 기반한 눈 건강 측정을 수행하여, 눈 건강상태 측정 과정에 대한 흥미를 증진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눈 건강 측정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의 눈 건강 측정방법 및 그 시스템은, 입체시 측정을 수행할 시 가상현실 영상으로 표시되는 시표에 대한 위치 및/또는 크기를 조정하여 해당 시표의 심도를 변화시킴으로써, 편광안경과 같은 아날로그 측정기기에 기반한 입체시 측정의 원리를 디지털화하여 손 쉽게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의 눈 건강 측정방법 및 그 시스템은, 가상현실 영상으로 시력 측정표를 출력하고, 출력된 시력 측정표의 심도를 조정해가며 단계적으로 시력측정을 진행함으로써, 물리적인 시력 측정표를 이용하는 경우 감수해야 하는 제약조건(예를 들면, 시력 측정표 장비 구비, 대상자와 시력 측정표 간의 거리의 가변 가능성, 시력 측정표 내 제한적인 기호 개수, 크기 및/또는 위치 등)을 극복할 수 있고, 보다 편리하게 측정 대상자의 시력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의 눈 건강 측정방법 및 그 시스템은, 눈 건강상태 측정 결과를 그래픽 이미지로 구현하여 제공함으로써, 눈 건강상태 측정 결과를 보다 직관적으로 인식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의 눈 건강 측정방법 및 그 시스템은, 눈 건강상태 측정 결과에 최적화된 힐링영상을 제공함으로써, 일상생활에서의 안구 활동만으로는 수행되기 어려운 안구 케어를 수행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의 눈 건강 측정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눈 건강 측정장치를 도시한 모습의 일례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눈 건강 측정기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의 내부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눈 건강 플랫폼 관리서버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의 눈 건강 측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눈 건강상태 서베이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모습의 일례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눈 건강상태 조사정보를 표시하는 모습의 일례들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시 측정 콘텐츠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일례들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위시표를 구현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일례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력측정 콘텐츠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일례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눈 건강상태 측정 결과를 표시하는 모습의 일례들이다.
도 15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눈 힐링영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일례들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의 눈 건강 측정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의 눈 건강 측정 시스템은, 눈 건강 측정장치(눈 건강 측정기(100) 및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 및 눈 건강 플랫폼 관리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눈 건강 측정기(100),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 및 눈 건강 플랫폼 관리서버(300)는, 상호 연동하여 눈 건강과 관련된 서베이(survey)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측정 대상자에게 최적화된 눈 건강 측정방법을 결정하고, 결정된 눈 건강 측정방법을 기초로 가상현실에 기반한 눈 건강상태 측정을 수행하며, 수행된 눈 건강상태 측정 결과에 따른 처방 콘텐츠를 제공하는 눈 건강상태 측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1의 눈 건강 측정기(100),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 및 눈 건강 플랫폼 관리서버(300)는,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눈 건강 측정기(100),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 및 눈 건강 플랫폼 관리서버(300) 등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 눈 건강 측정장치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눈 건강 측정장치를 도시한 모습의 일례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눈 건강 측정장치는, 눈 건강 측정기(100) 및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눈 건강 측정기(100) 및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를 포함하는 눈 건강 측정장치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로부터 출력되는 가상현실 영상을 기반으로, 측정 대상자(이하, 대상자)의 눈 건강상태를 파악하는 눈 건강상태 측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된 바와 같은 눈 건강 측정장치가 포함하는 눈 건강 측정기(100) 및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눈 건강 측정기(100: Eye-health measuring instrumen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눈 건강 측정기(100)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와 연동하여 가상현실 영상을 기반으로 대상자의 눈 건강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장치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눈 건강 측정기(100)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눈 건강 측정기(100)는, 바디(110), 소독부(120), 충전부(130), 센서부(140), 디스플레이부(150) 및 입력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눈 건강 측정기(100)에 필수적인 것이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 보다 적은 구성요소들로 눈 건강 측정기(100)가 구현될 수 있다. 이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실시예에서, 눈 건강 측정기(100)의 바디(110: Body)는, 눈 건강 측정기(100)의 몸체로서 외관을 형성하며, 내외부에 눈 건강 측정기(100)의 구동에 필요한 각종 유닛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바디(110)에는, 소정의 그래픽 이미지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150)가 배치되는 메인바디부(111)가 상부측에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메인바디부(111)는, 디스플레이부(150)를 수용 가능한 크기의 사각박스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바디(110)에는, 위와 같은 메인바디부(111)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는 베이스부(112)가 하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메인바디부(111)는, 베이스부(112)와 메인바디부(111) 사이의 소정의 공동영역을 형성하도록, 상기 베이스부(112)와 메인바디부(111)를 이격시킴과 동시에 상기 베이스부(112)로부터 상기 메인바디부(111)를 연결하며 지지하는 지지부(113)를 통하여 지면으로부터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113)는, 메인바디부(111)와 베이스부(112)의 일측(예컨대, 좌측 끝단)을 연결하며 지지하는 제 1 지지부(113-1)와, 상기 메인바디부(111)와 베이스부(112)의 타측(예컨대, 우측 끝단)을 연결하며 지지하는 제 2 지지부(113-2)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위와 같은 베이스부(112)는 메인바디부(111)의 하부면에 대하여 동일하거나 큰 크기를 가지는 장방형 판상의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 1 지지부(113-1)는 메인바디부(111) 하부면의 일측 모서리(예컨대, 좌측 모서리)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는 막대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고, 제 2 지지부(113-2)는 메인바디부(111) 하부면의 타측 모서리(예컨대, 우측 모서리)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는 막대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바디(110)에는, 위와 같은 메인바디부(111)의 하부면과, 지지부(113)의 내측면 그리고 베이스부(112)의 상부면으로 둘러쌓여 형성되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 수용부(114: 이하, 수용부)가 배치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수용부(114)는, 일측이 개방된 공동형(관통형) 형상으로 구현되어, 눈 건강 측정장치의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가 유입 또는 유출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수용부(114)는, 수용부(114)로 유입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를 보관함과 동시에, 상기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에 대한 살균 소독 및/또는 충전 기능 동작이 구현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서 눈 건강 측정기(100)는, 수용부(114)로 유입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에 대한 살균 소독 기능을 수행하는 소독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소독부(120)는, 수용부(114)로 유입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 내 하우징(260)의 안면접촉보호부(261)를 살균 소독하는 기능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소독부(120)는, 살균 소독의 대상이 되는 물체(실시예에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에 대한 살균 소독을 수행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외선 램프(UV LAMP) 및/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엘이디 램프(LED LAMP)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독부(120)는, 눈 건강 측정기(100)의 제어에 따라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램프들을 포함하는 램프 그룹을, 수용부(114)에 유입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의 안면접촉보호부(261)를 향하도록 틸팅(tilting)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소독부(120)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의 안면접촉보호부(261)를 향하도록 틸팅된 램프들에 기반한 조사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그리하여 소독부(120)는, 눈 건강 측정기(100)의 수용부(114)에 보관되고 있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의 안면접촉보호부(261)에 대한 살균 소독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이와 같은 소독부(120)는, 눈 건강 측정기(100)의 수용부(114)의 상측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실시예에서 소독부(120)는, 수용부(114)를 형성하는 제 1 지지부(113-1)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 1 소독부(121)와, 제 2 지지부(113-2)의 내측에 배치되는 제 2 소독부(122) 및/또는 메인바디부(111)의 하부면 상에 배치되는 제 3 소독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소독부(120)는, 수용부(114)의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의 안면접촉보호부(261)를 향해 조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소독부(121), 제 2 소독부(122) 및/또는 제 3 소독부(123)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램프의 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눈 건강 측정기(100)는, 수용부(114)로 유입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에 대한 충전 기능을 제공하는 충전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충전부(130)는, 수용부(114)에 안착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의 배터리(291)에 소정의 전원을 인가하여, 해당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에 대한 충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눈 건강 측정기(100)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에 대한 무선 충전 및/또는 유선 충전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눈 건강 측정기(100)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가 수용부(114)에 안착됨을 감지하면, 충전부(130)를 제어하여 상기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에 대한 무선 충전 기능을 자동으로 실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위와 같은 충전부(130)는, 수용부(114)에 배치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에 대한 충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위치라면 어디에도 배치될 수 있으나, 충전하고자 하는 대상(실시예에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과 밀접하게 접촉할수록 그 성능이 향상되는 무선 충전에 유리한 베이스부(112) 상부면 상에 형성됨이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일 것이다.
또한, 실시예에서 눈 건강 측정기(100)는, 각종 센싱 유닛에 기반하여 눈 건강 측정장치의 기능 동작에 필요한 센싱 정보를 감지하는 센서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센서부(140)는, 사용자(예컨대, 대상자 또는 측정 수행자(이하, 측정자))의 접근을 감지하는 사용자 센싱유닛(141)과, 수용부(114)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가 유입됨을 감지하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 센싱유닛(142: 이하, 헤드 센싱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사용자 센싱유닛(141)은, 눈 건강 측정기(100)에 사용자가 소정의 거리 이하로 가까이 접근하는지를 판단하여 사용자 근접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서 눈 건강 측정기(100)는, 위와 같이 사용자 센싱유닛(141)을 기초로 획득된 사용자 근접정보에 기반하여, 사용자가 소정의 거리 이하로 눈 건강 측정기(100)에 근접한 위치에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눈 건강상태 측정 서비스가 자동으로 실행되게 할 수 있다.
실시예로, 눈 건강 측정기(100)는, 사용자가 소정의 거리 이하로 눈 건강 측정기(100)에 근접한 경우, 눈 건강상태 측정 서비스와 관련된 그래픽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눈 건강 측정기(100)는, 사용자가 소정의 거리 이하로 눈 건강 측정기(100)에 근접하면, 눈 건강 측정기(100)를 이용한 눈 건강상태 측정 서비스의 사용을 유도하는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서, 위와 같은 사용자 센싱유닛(141)은, 특정 오브젝트의 접근을 감지하는 근접센서, 거릿센서 및/또는 이미지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헤드 센싱유닛(142)은,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가 눈 건강 측정기(100)에 수용되었는지를 판단하여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 수용정보(이하, 헤드 수용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이러한 헤드 센싱유닛(142)은, 근접센서, 거리센서 및/또는 이미지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헤드 센싱유닛(142)은, 눈 건강 측정기(100) 수용부(114) 상에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가 유입된 상태인지, 또는 유출된 상태인지를 센싱을 통해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눈 건강 측정기(100)는, 헤드 센싱유닛(142)을 통해 획득된 상기 헤드 수용정보를 기초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가 수용부(114)에 유입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의 안면접촉보호부(261)의 위치를 센싱 및 추적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서 눈 건강 측정기(100)는, 상기 센싱된 안면접촉보호부(261)의 위치 정보에 기반하여, 상술된 소독부(120)에 기반한 틸팅 동작이 수행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눈 건강 측정기(100)는, 상기 안면접촉보호부(261) 측을 향하도록 틸팅된 소독부(120)를 제어하여 유브이 램프 및/또는 엘이디 램프에 기초한 조사가 수행되게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안면접촉보호부(261)에 대한 살균 소독 기능이 구현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눈 건강 측정기(100)는, 헤드 센싱유닛(142)을 통해 획득된 상기 헤드 수용정보를 기초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가 수용부(114)에 유입되었다고 판단되면, 상술된 충전부(130)를 제어하여 상기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에 대한 자동 충전 기능이 수행되게 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이러한 센서부(140)는, 눈 건강 측정기(100)에 유입 또는 유출되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를 센싱하기 용이한 위치라면 어디에도 배치될 수 있으나,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가 직접적으로 안착되는 영역인 수용부(114) 상에 배치됨이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일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서 눈 건강 측정기(100)는, 눈 건강상태 측정 서비스와 관련된 각종 그래픽 이미지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부(150)는, 눈 건강상태 측정 서비스와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 눈 건강상태 측정 결과 및/또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 컨트롤을 위한 관련 그래픽 이미지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로, 눈 건강 측정기(100)는, 디스플레이부(150)를 제어하여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의 안면접촉보호부(261)에 대한 살균 소독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살균 소독정보란, 소독부(120)에 의하여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의 안면접촉보호부(261)가 살균된 정도를 소정의 기준에 따라서 산정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눈 건강 측정기(100)는, 소독부(120)의 램프 방사 시간에 기준하여, 소정의 타임 슬라이스가 경과될 때마다 살균 소독 진행률을 증가시키는 살균 소독정보를 기반으로, 그래픽 이미지를 생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50)는, 음향출력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출력되는 그래픽 이미지와 관련된 오디오 데이터를 함께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15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눈 건강 측정기(100)는, 눈 건강상태 측정 서비스와 관련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입력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입력부(160)는, 눈 건강상태 측정 서비스 실행버튼, 측정 카테고리 선택버튼 및/또는 대상자 정보 입력 인터페이스 등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상술된 디스플레이부(150)와 입력부(160)가 결합되어 터치 스크린(161)으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눈 건강 측정기(100)의 디스플레이부(150)는, 그래픽 이미지를 출력하는 표시패널 상에 터치 입력센서를 더 배치하여,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3를 더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눈 건강 측정기(100)는, 인터페이스부(171), 통신부(172), 데이터베이스부(173), 전원부(174) 및 프로세서(175)와 같은 내장유닛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인터페이스부(171)는, 눈 건강 측정기(100)와 외부의 장치(실시예에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 등) 간의 데이터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데이터 통로일 수 있다.
실시예로, 인터페이스부(171)는, 각종 포트 및/또는 케이블을 통해 외부 장치와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블루투스나 와이파이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외부장치와 데이터 통신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71)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및/또는 이어폰 포트(port) 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통신부(172)는, 눈 건강상태 측정 서비스와 관련된 각종 데이터를 외부 장치(실시예에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 등)와 송수신할 수 있다.
이때, 통신부(172)는, 무선 네트워크에 기반하여 위와 같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172)는,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임의의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72)는,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등의 무선 통신방식으로도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72)는, 근거리 무선 통신방식으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72)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데이터베이스부(173)는, 눈 건강상태 측정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각종 응용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명령어 및/또는 데이터 등을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부(173)는,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 영역은, 눈 건강 측정기(100)를 부팅하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및 기능요소들 사이에 연계될 수 있으며, 데이터 영역은, 눈 건강 측정기(100)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데이터베이스부(173)는,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일 수 있고,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데이터베이스부(173)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일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전원부(174)는, 프로세서(175)의 컨트롤에 의하여 외부의 전원 및/또는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에게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부(174)는, 전원저장부, 연결포트, 전원공급 제어부 및 충전 모니터링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5)는, 전술한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구동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75)는, 눈 건강상태 측정 서비스를 위한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컨트롤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75)가 인터페이스부(171)를 통해 연결되어, 눈 건강 측정기(100)에 대한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데이터베이스부(173)에 저장된 다양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 및/또는 명령어들의 세트들을 구동하거나 실행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서(175)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스(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 HMD, Head Mounted Display)>
다음으로,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는, 대상자가 헬멧이나 안경을 착용하듯 착용한 후,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 내에 배치된 광학유닛과 디스플레이유닛을 이용하여 해당하는 대상자의 눈 건강상태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장치이다.
자세히,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는, 눈 건강 측정기(100)로부터 눈 건강상태 측정과 관련된 가상현실 영상(VR: Virtual Reality)을 획득하여 출력하고, 출력되는 가상현실 영상에 반응한 대상자의 눈의 반응 또는/및 대상자의 입력을 측정 데이터로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는, 생성한 측정 데이터를 직접 또는 눈 건강 측정기(100)로 송신하여 처리할 수 있고, 송신된 측정 데이터는 눈 건강상태 측정 결과를 도출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즉, 눈 건강상태 측정 결과는, 측정 데이터를 기초로 획득될 수 있다.
이러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는, 눈 건강상태를 측정할 시 대상자의 눈 건강상태 측정을 위한 소정의 장비(실시예에서, 눈 건강 측정기(100))에 고정되어 측정을 받지 않고, 자유롭게 움직이거나 편안한 위치에서 측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는, 대상자의 눈 건강상태 측정을 가상현실(VR) 기기 형태로 구현함으로써, 별도의 아날로그 측정기기나 고가의 장비(예컨대, 시야측정기 등)가 없어도 가상현실 영상에 기초하여 대상자의 눈 건강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는, 대상자의 눈 건강상태를 정규화된 자동 측정 형태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객관적인 측정 자료를 추출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정확한 눈 건강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서의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는, 웨어러블 컴퓨터로 구현되거나 또는 웨어러블 컴퓨터(또한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wearable computing device)로 지칭되는)의 형태를 취한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웨어러블 컴퓨터는 헤드 마운터블 디스플레이(head-mountable display, HMD)의 형태를 취하거나 또는 HMD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는, 머리에 착용될 수 있고 착용자의 한쪽 또는 양쪽 눈들의 앞에 디스플레이를 둘 수 있는 임의의 디바이스일 수 있다. HMD는 헬멧 또는 안경(eyeglasses)과 같은 다양한 형태들을 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는, 메인바디(210)와, 메인바디(210)의 후면에 순차적으로 수납되는 디스플레이유닛(220), 검안유닛(230), 광학유닛(240), 광학홀더(250), 하우징(260), 광간섭 방지유닛(270) 및 고정밴드(28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4에 도시된 구성들은,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의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여서, 실시예에 따라서 생략되는 구성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메인바디(210) 후면은 개구부가 형성되며 대상자의 얼굴이 접촉되는 방향을 가리키고, 메인바디(210)의 전면은 대상자의 시선방향을 의미한다.
먼저, 메인바디(210)는, 플라스틱 및/또는 금속의 단단한 구조(solid structure)로 형성되거나, 또는 배선 및 컴포넌트가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를 통해 내부적으로 라우팅되기 위해 상호 연결되도록 유사한 물질의 속이 빈 구조(hollow structure)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 도시한 215는 입력유닛(215)이다. 입력유닛(215)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를 (on)/오프(off)하거나, 눈 건강상태 측정 관련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자세히, 입력유닛(215)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와 외부시스템 사이의 통신을 진행하도록 하는 사용자(대상자 또는 측정자)의 입력이나, 사용자가 눈 건강상태를 측정할 때 측정 종류의 변경 및 선택하는 입력 등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측정이 진행되고 있는 상태 또는 측정이 완료된 상태를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알람 형태의 LED 조명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별도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는, 유/무선으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와 연결되는 외부 입력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외부 입력유닛은 눈 건강상태 측정 진행에 따라 측정자의 의사를 도출하는 입력을 감지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외부 입력유닛은, 측정자가 입력한 시점과 입력한 값을 기록하여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나 눈 건강 측정기(100) 등으로 기록된 입력값을 송신하며, 송신된 입력값은 측정 데이터에 포함될 수 있다.
다음으로, 고정밴드(280)는, 두 개의 고정밴드부로 도시하였지만, 이것은 고정된 것이 아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고정밴드(280)는, 메인바디(210)를 대상자의 얼굴에 고정할 수 있도록 헬멧 형태, 또는 대상자의 머리를 감싸면서 고정할 수 있도록 3개 이상의 밴드들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디스플레이유닛(22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유닛(220)는, 눈 건강상태 측정을 수행하기 위해, 최종적으로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로 그래픽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유닛(220)는,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 가상현실 이미지(VR image)를 디스플레이하여, 이를 눈 건강상태 측정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유닛(220)의 패널이 단일 표시패널로 제공될 경우, 대상자의 좌안과 우안에 각각 대응되는 분리 영상들을 구현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적어도 2개 이상으로 분리된 표시패널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검안유닛(230)은, 대상자의 다양한 눈 건강상태를 측정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센서, 복수개의 카메라,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의 제어부 및 외부 시스템과의 통신을 할 수 있는 회로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검안유닛(230)은, 시력측정을 받는 대상자의 눈을 추적하는 시선추적(eye tracking)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검안유닛(230) 내에는 대상자의 동공 움직임을 추적할 수 있는 카메라들이 실장될 수 있다.
또한, 검안유닛(230)은, VR 이미지에 따라 변화하는 대상자의 시선을 추적하여 시야측정, 사시각측정, 외안근측정, 입체시측정 또는 링카스터측정 등의 눈 건강상태 측정을 수행에 기초가 되는 측정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자세히, 검안유닛(230)이 촬영한 대상자의 안구 영상은, 측정 데이터에 포함되어 눈 건강 측정기(100)로 송신될 수 있으며, 송신된 측정 데이터는 측정 결과의 기초가 될 수 있다.
즉, 눈 건강상태를 측정하기 위해 시행하는 시야측정, 사시각측정, 외안근측정, 입체시측정 또는 링카스터측정 등에 필요한 광조사 수단, 촬영 수단 등을 센서 모듈이나 카메라 모듈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검안유닛(230)은, 눈 건강상태 측정을 위해 대상자의 좌안과 우안에 광을 조사하고 이를 수광하여 대상자의 눈에 대한 굴절률 측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센서들 등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광학유닛(240)은, 검안유닛(230)과 하우징(260) 사이에 위치하여 대상자의 눈 건강상태 측정 종류에 대응되는 가장 적합한 광학유닛(240)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유닛(240)은, 대상자의 눈 건강상태 측정이 시력측정인 경우 수정체의 굴절률 측정을 위한 광학렌즈를 선택적으로 교환 체결할 수 있다.
또한, 예시에서 광학유닛(240)은, 대상자의 안과 측정이 외안근측정 등 동공의 움직임 측정일 경우, 카메라에 의해 동공 움직임을 정밀하게 볼 수 있는 광학렌즈일 수 있다.
또한, 예시적으로 광학유닛(240)은, 편광 특성이 있는 다수의 렌즈들이 적층된 구조의 광학렌즈일 수 있다.
이러한 광학유닛(240)은, 광학홀더(250)에 고정되는데, 눈 건강상태 측정 종류에 따라 필요한 광학유닛(240)들은 광학홀더(250)에 탈부착되는 방식으로 교체될 수 있다.
다음으로, 하우징(260)은, 메인바디(210)의 개구부 방향으로 삽입되어, 디스플레이유닛(220), 검안유닛(230), 광학유닛(240), 광학홀더(250) 또는/및 메인바디(210) 등을 광학적 얼라인을 유지시키면서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대상자가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를 착용할 경우, 눈 건강상태 측정을 진행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와 대상자의 양안 사이의 공간을 제공한다.
따라서, 하우징(260) 내측은, 광간섭 방지유닛(270)에 의해 독립적으로 분리된 좌안 영역과 우안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260)의 내부면은, 눈 건강상태 측정을 위해 광반사가 낮고 광흡수율이 높은 재료가 코팅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하우징(260)은, 하우징(260)의 개구부측에 안면접촉보호부(261)를 배치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안면접촉보호부(261)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와 대상자의 얼굴 피부가 접촉하는 부분(즉, 하우징(260)의 개구부측 영역)에 형성되어,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와 대상자의 안면 간의 고정 및 완충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이러한 안면접촉보호부(261)는, 눈 건강 측정기(100)의 소독부(120)에 배치된 자외선 램프(UV LAMP) 및/또는 엘이디 램프(LED LAMP)로부터 방사되는 파장(빛)을 수용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살균 소독 처리가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안면접촉보호부(261)는, 대상자의 얼굴 피부와 접촉되는 부분이므로, 완충력이 높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소정의 오염으로부터 청결하게 보호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광간섭 방지유닛(270)은, 대상자의 눈 건강상태 측정을 위하여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를 좌안 영역과 우안 영역을 분리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비슷한 위치와 형태의 양안(두 개의 눈)을 가지고 있으나, 각각의 눈은 독립적으로 기능하기 때문에 눈 건강상태 역시 비슷하지만 일정 정도 다른 증상을 보인다. 따라서, 각각의 좌안과 우안에 대해 독립적인 눈 건강상태 측정이 수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측정들이 있다.
그런데 이때 좌안에 대한 눈 건강상태 측정을 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광이 인접한 우안에 영향을 주거나 그 반대가 되는 경우, 정확하고 정밀한 눈 건강상태 측정을 진행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우안을 가리고 좌안만 측정하는 경우와, 반대의 경우 일 영역에서 출력되는 광이 타 영역으로 간섭한다면, 측정 결과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는, 광간섭 방지유닛(270)을 포함하여, 좌안 영역과 우안 영역 각각에서 발생되는 광을 서로의 영역으로 침범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다.
이러한 광간섭 방지유닛(270)은,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를 좌안 영역과 우안 영역으로 분리하고, 각 영역에서 인접한 영역으로 진행하는 광을 차단시키는 광차단부(271)를 포함할 수 있다.
좀 더 광차단율을 높이기 위해 광간섭 방지유닛(270)은, 대상자가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를 착용했을 때, 광차단부(271)와 대상자의 좌안과 우안 사이의 영역(미간 영역)에서 발생하는 광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접촉 광차단부(272)를 포함할 수 있고, 광간섭 방지유닛(270)이 대상자의 미간 영역과 콧등 영역에 지지/고정되도록 하는 제1고정부(273)와 제2고정부(27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광차단부(271)는 단순히 착용자의 코에 지지되는 형태가 아닌, 사용자의 미간영역부터 인중까지의 형태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져,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를 착용하였을 때 좌안영역과 우안영역을 물리적으로 분리함으로써, 양 사이의 광이 유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광차단부(271)와 접촉 광차단부(272)는, 광반사가 적고 광흡수율이 높은 물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접촉 광차단부(272)는, 대상자의 얼굴 피부와 접촉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완충력이 높은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는, 눈 건강상태를 측정하는 영역에서 좌안 영역과 우안 영역을 광학적으로 분리함으로써, 측정 진행 시 발생될 수 있는 광간섭에 의한 측정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의 내부블록도이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기능적인 측면에서 보았을 때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는, 배터리(291), 통신유닛(292), 센싱부(293), 저장부(294), 카메라모듈(295), 입력유닛(215), 디스플레이유닛(220) 및 제어부(296)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5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또한 필수적인 것이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 보다 적은 구성요소들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가 구현될 수 있다. 이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먼저, 제어부(296: controller)는, 통상적으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통신유닛(292)를 제어하여 각종 신호를 송수신하거나 입력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유닛(220) 내에 배치될 수 있는 영상출력부 및/또는 음향출력부를 제어하여 대상자 또는 측정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는, 대상자의 눈을 측정한 측정 데이터를 추출하고, 저장부(294)에 저장된 눈 건강상태 자료를 기반으로 비교 및 직접 연산 작업을 수행한 후, 대상자의 눈 건강상태를 판단할 수도 있다.
또한, 배터리(291)는, 제어부(296)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예를 들어, 배터리(291)는, 배터리, 연결포트, 전원공급 제어부 및 충전 모니터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모듈(295)은,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촬영된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이미지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이미지 프레임은 저장부(294)에 저장되거나 통신유닛(292)를 통하여 외부 시스템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모듈(295)은, 대상자의 눈 건강상태 측정 종류 또는 측정 환경에 따라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자의 시력측정을 하는 경우, 동공을 모니터링 하는 용도로 카메라가 사용될 수 있고, 대상자의 안구 운동을 추적하는 경우에는 안구 움직임 궤적을 따라 촬영을 수행할 수 있는 카메라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통신유닛(292)는, 외부 시스템인 눈 건강 측정기(100)와의 유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외부 시스템은 다른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이러한 통신유닛(292)는,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위치정보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싱부(293)는, 주변환경을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 가속 센서 및/또는 근접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에서는 눈 건강상태 측정을 위해 대상자의 눈에 조사하는 광을 발생하고, 수광하는 광학센서들을 적어도 2개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94)는, 제어부(296)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 눈 건강 플랫폼 관리서버(300: Eye health platform management serv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눈 건강 플랫폼 관리서버(300)는, 눈 건강상태 측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일련의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눈 건강 플랫폼 관리서버(300)는, 눈 건강 측정기(100) 및/또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 등과 같은 외부의 장치에서 눈 건강상태 측정 프로세스가 구동되게 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상기 외부의 장치와 교환함으로써 눈 건강상태 측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실시예에서 눈 건강 플랫폼 관리서버(300)는, 외부의 장치(예컨대, 눈 건강 측정기(100),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 및/또는 모바일 타입의 컴퓨팅 디바이스 등)에서 눈 건강상태 측정 프로세스가 동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눈 건강 플랫폼 관리서버(300)는, 대상자의 눈 건강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소정의 질의응답을 수행하는 눈 건강상태 서베이(survey) 프로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눈 건강 플랫폼 관리서버(300)는, 눈 건강상태 서베이 프로세스에 기반하여 해당하는 대상자에게 최적화된 눈 건강 측정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눈 건강 플랫폼 관리서버(300)는, 결정된 눈 건강 측정방법에 기초한 가상현실 기반의 눈 건강상태 측정 프로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눈 건강 플랫폼 관리서버(300)는, 눈 건강상태 측정에 따른 결과 정보를 다양한 루트에 기반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눈 건강 플랫폼 관리서버(300)는, 눈 건강상태 측정 서비스와 관련된 각종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눈 건강 플랫폼 관리서버(300)의 내부 블록도이다.
보다 상세히, 도 6을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눈 건강 플랫폼 관리서버(300)는, 서비스 제공서버(310), 서베이 관리서버(320), 눈 건강 측정서버(330), 처방 콘텐츠 제공서버(340) 및 데이터베이스 서버(3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각 구성요소는, 눈 건강 플랫폼 관리서버(300)와는 별도의 장치로서 구현될 수도 있고, 눈 건강 플랫폼 관리서버(300)에 포함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각 구성요소가 눈 건강 플랫폼 관리서버(300)에 포함되어 구현되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서비스 제공서버(310)는, 외부의 장치(예컨대, 눈 건강 측정기(100),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 및/또는 모바일 타입의 컴퓨팅 디바이스 등)에서 눈 건강상태 측정 프로세스가 동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서비스 제공서버(310)는, 눈 건강상태 측정 서비스를 제공하는 눈 건강상태 측정 프로세스가, 외부의 장치에서 실행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비스 제공서버(310)는, 눈 건강상태 측정 프로세스를 구현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 데이터 및/또는 명령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서베이 관리서버(320)는, 대상자의 눈 건강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소정의 질의응답을 수행하는 눈 건강상태 서베이(survey) 프로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서베이 관리서버(320)는, 눈 건강상태 서베이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는 눈 건강상태 서베이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베이 관리서버(320)는, 제공된 서베이 인터페이스에 기반하여 눈 건강상태와 관련된 소정의 질의항목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서베이 관리서버(320)는, 제공된 질의항목에 대한 사용자(실시예에서, 대상자 또는 측정자)의 응답을, 서베이 인터페이스에 기반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눈 건강 측정서버(3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눈 건강상태 측정 프로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눈 건강 측정서버(330)는, 시력측정, 시야측정, 난시측정, 황반변성 측정, 색맹측정, 입체시 측정, 복시측정, 대비감도 측정, 외안근 측정 및/또는 동체시력 측정 등을 구현하는 눈 건강상태 측정 프로세스를 관리 및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처방 콘텐츠 제공서버(340)는, 눈 건강상태 측정 결과에 따른 처방 콘텐츠(실시예에서, 눈 힐링영상 및/또는 추천 영양제 정보 등)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처방 콘텐츠란, 눈 건강상태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대상자의 눈 건강상태 호전을 목적으로 제공되는 콘텐츠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데이터베이스 서버(350)는, 눈 건강상태 측정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각종 응용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명령어 및/또는 데이터 등을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실시예로, 데이터베이스 서버(350)는, 눈 건강상태 질의문 정보, 상기 질의문 내 질의항목 별 부여점수 정보, 눈 건강상태 조사정보, 눈 건강 측정방법 정보(실시예에서, 입체시 측정 콘텐츠 정보 및/또는 시야측정 콘텐츠 정보 등), 눈 건강 상태정보 및/또는 처방 콘텐츠 정보 등을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한편, 위와 같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눈 건강 플랫폼 관리서버(3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비스 제공서버(310), 서베이 관리서버(320), 눈 건강 측정서버(330), 처방 콘텐츠 제공서버(340) 및/또는 데이터베이스 서버(350)로 구성될 수 있으며, 데이터 처리를 위한 프로세서들과, 눈 건강상태 측정 서비스 제공을 위한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서는, 눈 건강 플랫폼 관리서버(300)가 외부의 장치에서 눈 건강상태 측정 프로세스가 동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눈 건강상태 서베이 프로세스를 제공하며, 제공된 눈 건강상태 서베이 프로세스를 기초로 해당 대상자에게 최적화된 눈 건강 측정방법을 결정하고, 결정된 눈 건강 측정방법에 기초한 가상현실 기반의 눈 건강상태 측정 프로세스를 제공하며, 눈 건강상태 측정에 따른 결과 정보를 제공하고, 눈 건강상태 측정 서비스와 관련된 각종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고 설명하였으나, 실시예에 따라서 눈 건강 플랫폼 관리서버(300)가 수행하는 기능 동작의 적어도 일부를 외부의 장치(예컨대, 눈 건강 측정기(100) 및/또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 등)에서 수행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실시예 또한 가능할 수 있다.
- 가상현실 기반의 눈 건강 측정방법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가상현실 기반의 눈 건강 측정 시스템은, 상술된 눈 건강 측정기(100),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 및 눈 건강 플랫폼 관리서버(300) 중 적어도 일부에 기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예서 눈 건강 측정 시스템은, 눈 건강 측정장치 즉, 눈 건강 측정기(100) 및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에 기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제 1 시스템 모드)
자세히, 실시예에서 눈 건강 측정 시스템은, 눈 건강상태 측정 서비스를 구현하는 눈 건강 측정기(100)와, 눈 건강상태 측정 서비스와 관련된 가상현실 환경을 구현하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에 기반하여, 눈 건강상태 측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눈 건강 측정 시스템은,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 및 눈 건강 플랫폼 관리서버(300)에 기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제 2 시스템 모드)
자세히, 다른 실시예에서 눈 건강 측정 시스템은, 눈 건강 플랫폼 관리서버(300)를 기초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에서 눈 건강상태 측정 서비스가 동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이러한 동작 환경을 제공받은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에 기반하여 눈 건강상태 측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눈 건강 측정 시스템은, 눈 건강 측정기(100) 및 웹 서버(Web server)에 기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제 3 시스템 모드)
자세히, 또 다른 실시예에서 눈 건강 측정 시스템은, 눈 건강 측정기(100)와 외부의 웹 서버를 상호 연동하여, 온라인(online) 상에서 눈 건강상태 측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의 눈 건강 측정 시스템은, 상술된 3가지의 시스템 모드 중 어느 모드로도 구현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효과적인 설명을 위하여 눈 건강 측정기(100) 및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즉, 눈 건강 측정장치)에 기반하여 구현되는 제 1 시스템 모드에 기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눈 건강 측정기(100)의 프로세서(175)가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와 연동하여, 가상현실을 기반으로 눈 건강상태 측정을 수행하는 방법을 도 7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의 눈 건강 측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눈 건강 측정기(100)의 프로세서(175)는, 눈 건강상태 서베이(survey)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S101)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눈 건강상태 서베이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모습의 일례들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눈 건강상태 서베이 인터페이스(이하, 서베이 인터페이스)란, 대상자의 눈 건강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소정의 질의응답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5)는, 도 8의 (a)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0)에 기반하여 서베이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75)는,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해 제공되는 서베이 인터페이스에 기초하여, 대상자의 눈 건강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질의응답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5)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와 연동하여, 도 8의 (b)와 같이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의 디스플레이유닛(220)을 기초로 서베이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75)는, 디스플레이유닛(220)을 통해 제공되는 서베이 인터페이스에 기반하여 대상자의 눈 건강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질의응답 프로세스를 실행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5)는, 서베이 인터페이스를 기초로 소정의 질의문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5)는, 출력된 질의문에 기반한 사용자(즉, 대상자)의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75)는, 눈 건강과 관련된 객관식 질의문을 서베이 인터페이스에 기반하여 출력해 대상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75)는, 제공된 객관식 질의문에 대한 응답(예컨대, 소정의 번호)을 선택하는 대상자의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 따라서 프로세서(175)는, 위와 같은 사용자 입력을 디스플레이부(150)에 대한 터치 입력 또는 디스플레이유닛(220)에 기반한 제스처 입력 등의 방식으로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5)는, 제공되는 질의문을 소정의 섹션(section)으로 구분하여 구현할 수 있다.
실시예로, 프로세서(175)는, 질의문을 성별, 나이, 생활패턴, 최근 자각증상, 지병 및/또는 눈 관리습관 섹션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5)는, 위와 같이 구분된 각 섹션 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질의항목을 포함하여 질의문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75)는, 질의문의 성별 섹션에 성별 선택 질의항목을 포함할 수 있고, 나이 섹션에 나이 입력 질의항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생활패턴 섹션에 장기운전, 스트레스, 잦고 많은 전자기기 사용, 야근 및/또는 야외활동 여부 등의 질의항목을 포함할 수 있고, 최근 자각증상 섹션에 난독(Dyslexia), 충혈, 눈의 건조함, 이물감, 자극감, 작열감, 침침함, 통증, 난시, 두통, 휘어져 보임, 사물이 잘 안보임, 시야가 좁아짐, 사물이 둘로 보임, 부유하는 검은 점이 보임 및/또는 눈 떨림 여부 등의 질의항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지병 섹션에 당뇨, 고혈압 및/또는 안과질환(약시, 사시, 녹내장, 망막 이상, 시신경 이상, 황반변성, 색맹, 난시, 백내장, 안구건조증 및/또는 노안 등) 여부 등의 질의항목을 포함할 수 있고, 눈 관리습관 섹션에 눈에 좋은 약 복용, 논에 좋은 음식 섭취, 최근 1년 안과 방문 및/또는 안경 착용 여부 등의 질의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로세서(175)는, 서베이 인터페이스를 기반으로 대상자의 눈 건강상태에 대한 사전 조사를 수행함으로써, 대상자의 눈 건강상태를 분석하기 위한 일관적이고 신뢰성 있는 기반 데이터를 체계적인 계측 방법을 통하여 획득할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신뢰도 높은 분석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5)는, 위와 같이 제공된 서베이 인터페이스에 기반하여 눈 건강 측정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S103)
자세히,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5)는, 서베이 인터페이스에 기반한 대상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해당 대상자 맞춤형의 눈 건강 측정 콘텐츠의 종류(이하, 눈 건강 측정방법)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눈 건강 측정 콘텐츠란, 소정의 파라미터(예컨대, 입체시, 시력, 황반변성 또는 외안근 등)에 따른 눈 건강상태를 측정하는 프로세스를 제공하는 콘텐츠로서, 실시예에서는 다양한 관점(파라미터)에서 눈 건강상태를 측정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눈 건강 측정 콘텐츠가 눈 건강상태 측정 서비스 상에 기구축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이러한 눈 건강 측정 콘텐츠는, 가상현실에 기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로, 눈 건강 측정 콘텐츠는, 가상현실에 기초한 시력측정, 시야측정, 난시측정, 황반변성 측정, 색맹측정, 입체시 측정, 복시측정, 대비감도 측정, 외안근 측정 또는 동체시력 측정 콘텐츠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5)는, 상술된 서베이 인터페이스에 기반한 대상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위와 같이 다양한 종류의 눈 건강 측정 콘텐츠 중, 해당 대상자에게 최적화된 눈 건강 측정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5)는, 서베이 인터페이스에 기반한 대상자의 입력을 기초로 대상자의 눈 건강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75)는, 상기 대상자의 입력에 기반하여 해당 대상자에 대한 눈 건강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5)는, 대상자에 대한 눈 건강점수를 눈 건강 측정 콘텐츠 별로 구분하여 산출할 수 있다.
실시예로, 프로세서(175)는, 서베이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된 질의문의 질의항목 별 대상자 입력에 의한 응답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75)는, 획득된 응답에 기초하여, 눈 건강 측정 콘텐츠 별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75)는, 최근 자각증상 섹션의 질의항목의 경우, 대상자의 응답 정보가 '난독 있음'을 포함하면, 눈 건강 측정방법 중 시력측정 콘텐츠에 '+30'의 점수를 부여하고, 난시 및 외안근 측정 콘텐츠에 '+20'의 점수를 부여하며, 시야측정 콘텐츠에 '+10'의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 프로세서(175)는, 최근 자각증상 섹션의 질의항목에서 대상자의 응답 정보가 '충혈 있음'을 포함하면, 눈 건강 측정방법 중 시력측정 콘텐츠에 '+30'의 점수를 부여하고, 동공측정 콘텐츠에 '+30'의 점수를 부여하며, 대비감도 측정 콘텐츠에 '+10'의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에서, 프로세서(175)는, 최근 자각증상 섹션의 질의항목에서 대상자의 응답 정보가 '휘어져 보임 있음'을 포함하면, 눈 건강 측정방법 중 시력측정 콘텐츠와 황반변성 측정 콘텐츠에 '+30'의 점수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5)는, 대상자의 서베이 응답에 기반하여 위와 같이 부여되는 눈 건강 측정 콘텐츠 별 점수를 기반으로, 해당 대상자에 대한 눈 건강 측정 콘텐츠 별 눈 건강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75)는, 제 1 눈 건강 측정 콘텐츠에 대한 점수를 구성하는 부여점수를 기반으로 패턴 분석을 수행하여, 제 1 눈 건강 측정 콘텐츠에 대한 눈 건강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75)는, 제 1 눈 건강 측정 콘텐츠 점수를 구성하는 부여점수 중, '+10점 이상'인 부여점수가 하나도 없을 경우, 기설정된 '좋음' 범위 이내의 눈 건강점수로 제 1 눈 건강 측정 콘텐츠에 대한 눈 건강점수를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 프로세서(175)는, 제 1 눈 건강 측정 콘텐츠 점수를 구성하는 부여점수 중, '+10점 이상 및 +25점 미만'의 부여점수가 존재하고, '+25점 이상'의 부여점수가 하나도 없을 경우, 기설정된 '보통' 범위 이내의 눈 건강점수로 제 1 눈 건강 측정 콘텐츠에 대한 눈 건강점수를 설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에서, 프로세서(175)는, 제 1 눈 건강 측정 콘텐츠 점수를 구성하는 부여점수 중, '+25점 이상'인 부여점수가 1개 이상 존재하는 경우, 기설정된 '나쁨' 범위 이내의 눈 건강점수로 제 1 눈 건강 측정 콘텐츠에 대한 눈 건강점수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5)는, 위와 같이 산출된 눈 건강 측정 콘텐츠 별 눈 건강점수를 기반으로, 대상자에 대한 의심질환을 예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75)는, 시력측정, 시야측정 및 황반변성 측정 콘텐츠에 대한 눈 건강점수가 나쁨 범위 내에 있는 경우, 해당 대상자에 대한 의심질환으로 시력저하, 녹내장, 백내장 및/또는 황반변성을 예측할 수 있다.
그리고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5)는, 예측된 의심질환에 기초하여 해당 대상자에게 수행할 눈 건강 측정방법을 결정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5)는, 예측된 의심질환에 따라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눈 건강 측정 콘텐츠를 해당 대상자에게 적용할 눈 건강 측정방법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75)는, 의심질환이 시력저하를 포함하는 경우, 시력측정 콘텐츠를 대상자에게 적용할 눈 건강 측정방법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프로세서(175)는, 의심질환이 황반변성을 포함하는 경우, 황반변성 측정 콘텐츠를 대상자에게 적용할 눈 건강 측정방법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에서, 프로세서(175)는, 의심질환이 녹내장을 포함하는 경우, 시야측정, 난시측정 및 동공측정 콘텐츠를 대상자에게 적용할 눈 건강 측정방법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눈 건강상태 조사정보를 표시하는 모습의 일례들이다.
이때, 도 9를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5)는, 서베이 인터페이스에 대한 대상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위와 같이 획득된 정보들을 기반으로 눈 건강상태 조사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75)는, 생성된 눈 건강상태 조사정보를 디스플레이 출력하여 사용자(실시예에서, 대상자 및/또는 측정자 등)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눈 건강상태 조사정보는, 서베이 인터페이스에 대한 대상자의 입력을 기초로 해당 대상자의 눈 건강상태를 사전 조사한 정보로서, 실시예에서 해당 대상자와 관련된 눈 건강 측정 콘텐츠 별 눈 건강점수에 따른 패턴 분석 결과정보(예컨대, 좋음, 보통 또는 나쁨 등), 의심증상 정보 및/또는 결정된 눈 건강 측정방법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5)는, 도 9의 (a)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0)를 이용하여 대상자에 대한 눈 건강상태 조사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5)는, 도 9의 (b)와 같이,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와 연동하여, 디스플레이유닛(220)에 기초해 대상자에 대한 눈 건강상태 조사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로세서(175)는, 서베이 분석 결과를 기초로 대상자의 현재 눈 건강상태를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해당 대상자에게 필요한 눈 건강 측정방법을 선정해 제공함으로써, 대상자 개개인 별로 최적화된 맞춤형의 눈 건강 측정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눈 건강상태 측정에 소요되는 비용이나 노력을 절감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눈 건강상태 측정 서비스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5)는, 위와 같이 결정된 눈 건강 측정방법에 기반한 눈 건강상태 측정을 실행할 수 있다. (S105)
자세히,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5)는, 복수의 눈 건강 측정방법 중, 대상자에 대하여 수행할 적어도 하나 이상의 눈 건강 측정방법을 결정할 수 있고, 결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눈 건강 측정방법에 기반한 눈 건강상태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효과적인 설명을 위하여 복수의 눈 건강 측정방법 중 제 1 눈 건강 측정방법으로 입체시 측정 콘텐츠를 설정하고, 제 2 눈 건강 측정방법으로 시력측정 콘텐츠를 설정하여 눈 건강 측정을 실행하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는 일 실시예일 뿐, 실시예에 따라서 다양한 눈 건강 측정 콘텐츠(예컨대, 시야측정, 난시측정, 황반변성 측정, 색맹측정, 복시측정, 대비감도 측정, 외안근 측정 및/또는 동체시력 측정 등)에 기반한 적어도 일 회 이상의 눈 건강상태 측정이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로, 프로세서(175)는, 결정된 제 1 눈 건강 측정방법에 기반하여 대상자에 대한 눈 건강상태 측정을 실행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5)는, 제 1 눈 건강 측정방법으로 입체시 측정 콘텐츠를 설정할 수 있고, 이를 기초로 대상자에 대한 눈 건강상태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입체시 측정 콘텐츠는, 양안의 시차를 이용하여 정확한 심도(깊이)를 인식할 수 있는지를 측정하는 콘텐츠일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5)는, 입체시 측정 콘텐츠에 기반한 눈 건강 측정을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75)는, 실행된 입체시 측정 콘텐츠를 기초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와 연동하여, 가상현실 영상에 기반한 적어도 셋 이상의 시표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75)는, 가상현실 영상 상에 일렬로 나열된 4개의 시표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5)는, 표시된 복수의 시표 중, 심도(깊이)가 타 시표들과 다른 시표인 변위시표를 선택할 수 있는 입체시 측정 인터페이스(제 1 눈 건강상태 측정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자세히, 프로세서(175)는, 하나의 변위시표를 포함하는 복수의 시표를 가상현실 영상 상에 표시할 수 있고, 표시된 복수의 시표 중 변위시표를 선택하는 입체시 측정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5)는, 타 시표들과 다른 심도를 가지는 변위시표를 가상현실 영상 상에서 구현하기 위하여, 변위시표로 표시하고자 하는 제 1 시표의 위치 및/또는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시 측정 콘텐츠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일례들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5)는, 일반적으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와 연동하여 가상현실 영상을 출력하는 경우, 해당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를 착용한 대상자의 좌안영역에 대응되는 제 1 표시영역(10)과, 해당 대상자의 우안영역에 대응되는 제 2 표시영역(20)에 기반하여, 상기 가상현실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5)는, 상기 가상현실 영상 내 복수의 시표 중, 변위시표로 설정된 제 1 시표(1)에 대한 심도(깊이)를 나머지 타 시표들과 다르게 구현하려는 경우, 상기 제 1 표시영역(10)을 통해 출력되는 제 1 시표(1-1: 이하, 제 1-1 시표)와, 상기 제 2 표시영역(20)을 통해 출력되는 제 1 시표(1-2: 이하, 제 1-2 시표) 간의 위치를 서로 다르게 설정하여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표시영역(10) 상에 표시되는 제 1-1 시표(1-1)와, 제 2 표시영역(20) 상에 표시되는 제 1-2 시표(1-2) 간의 위치가 서로 다르다는 것은, 동일한 3차원 좌표 값(즉, 제 1 시표(1)의 3차원 좌표 값)을 공유하는 제 1-1시표(1-1)와 제 1-2 시표(1-2)에 대하여, 제 1 표시영역(10)에서의 제 1-1 시표(1-1)에 대한 표시좌표 값과, 제 2 표시영역(20)에서의 제 1-2 시표(1-2)에 대한 표시좌표 값이 서로 다르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5)는, 상기 제 1-1 시표(1-1)와 제 1-2 시표(1-2) 각각의 표시 위치를,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를 착용한 대상자의 안구와 상기 제 1 시표(1) 간에 구현하려는 소정의 거리(즉, 심도)에 따라서 설정할 수 있다.
이는, 사람의 안구(즉, 좌안 및 우안)와, 소정의 이격된 거리에 위치하는 오브젝트(실시예에서, 시표) 사이의 거리에 따라서, 해당 사람의 좌안에서 인지되는 상기 오브젝트의 위치와, 해당 사람의 우안에서 인지되는 상기 오브젝트의 위치가 서로 다르게 인식(즉, 시차가 발생)됨으로써, 상기 사람이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심도(즉, 원근감)를 인지할 수 있다는 원리에 기반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프로세서(175)는, 대상자에 따라서 좌안과 우안의 위치가 가변적임을 감안하여, 이를 표준화하기 위해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의 광학유닛(240)이 포함할 수 있는 제 1 렌즈와 제 2 렌즈로 대상자의 좌안 및 우안을 대체할 수도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대상자의 좌안과 우안을 각각 제 1 렌즈 및 제 2 렌즈로 대체한 실시예에 기준하여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자세히,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75)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의 제 1 렌즈 및 제 2 렌즈 간의 거리(이하, 양안거리)와, 상기 제 1 렌즈 및 제 2 렌즈와 대상자가 주시하는 제 1 시표(1) 간의 거리에 따라서, 대상자가 제 1 시표(1)를 인식하는 시야각 즉, 입체시각도를 결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프로세서(175)는, 제 1 렌즈에서부터, 타 시표들과는 상이한 거리인 제 1 거리에 있는 제 1 시표(1)를 인식하는 제 1 입체시각도, 제 2 렌즈에서부터 제 1 거리에 있는 제 1 시표(1)를 인식하는 제 2 입체시각도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거리에 따른 입체시각도는 기 설정되어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175)는, 상기 메모리에 기 저장된 입체시각도 별 거리변화에 따라서 입체시각도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5)는, 결정된 입체시각도에 기반하여, 제 1-1 시표(1-1) 및 제 1-2 시표(1-2)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75)는, 제 2 표시영역(20) 상에서, 위와 같이 결정된 제 1 입체시각도를 구현할 수 있는 제 1 위치를 도출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75)는, 도출된 제 1 위치를, 제 2 표시영역(20) 상에 표시되는 제 1 시표(1)인 제 1-2 시표(1-2)의 위치로 설정할 수 있다.
동일한 방식으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5)는, 제 1 표시영역(10) 상에서, 위와 같이 결정된 제 2 입체시각도를 구현할 수 있는 제 2 위치를 도출할 수 있고, 도출된 제 2 위치를 제 1 표시영역(10) 상에 표시되는 제 1 시표(1)인 제 1-1 시표(1-1)의 위치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5)는, 좌안이 인식하는 영역(제 2 표시영역(20)) 상에서 좌안에 대응되는 제 1 입체시각도를 구현하도록 제 1-2 시표(1-2)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고, 우안이 인식하는 영역(제 1 표시영역(10)) 상에서 우안에 대응되는 제 2 입체시각도를 구현하도록 제 1-1 시표(1-1)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5)는, 위와 같이 설정된 제 1-1 시표(1-1) 및 제 1-2 시표(1-2)의 위치에 기반하여, 제 1 표시영역(10) 및 제 2 표시영역(20) 상에 제 1 시표(1)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하여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5)는, 제 1-1 시표(1-1) 및 제 1-2 시표(1-2)가 결합됨으로써 표시되는 제 1 시표(1)를, 해당 제 1-1 시표(1-1) 및 제 1-2 시표(1-2)의 위치 차이에 기반한 시차 효과에 기반하여, 타 시표들과는 다른 거리인 제 1 거리(심도) 상에 존재하는 변위시표로 표시할 수 있다.
즉,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5)는, 타 시표들과 다른 심도를 가지는 변위시표(즉, 제 1 시표(1))를 가상현실 영상 상에서 구현하기 위하여, 제 1 표시영역(10)을 통해 출력되는 가상현실 영상의 제 1-1 시표(1-1)와, 제 2 표시영역(20)을 통해 출력되는 가상현실 영상의 제 1-2 시표(1-2)의 위치를 서로 다르게 설정하여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설명하면, 프로세서(175)는, 입체시 측정을 위해 가상현실 영상이 표시되는 3차원 가상공간 상에서 표시될 시표들의 3차원 좌표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75)는, 입체시를 확인할 수 있도록 복수의 시표들 중 하나를 변위시표로 랜덤하게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75)는, 좌측부터 제 1 내지 제 4 시표를 일렬로 나열하여 표시할 때, 제 1 시표 내지 제 4 시표 중 하나를 변위시표로 랜덤하게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75)는, 3차원 가상공간에서 변위시표의 y축 좌표를 나머지 시표들의 y축 좌표와 다르게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y축은 깊이를 의미하며 대상자가 3차원 가상공간을 바라보는 방향을 의미하므로, y축 좌표가 달리 설정되었다는 것은 전술한 거리가 달라졌다는 의미로 이해할 수 있다.
즉, 나머지 시표들은 y축 좌표를 일치시켜 가상공간 상에서 동일한 깊이로 표시하고, 변위시표만 y축 좌표를 달리하여 다른 깊이로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시표들의 x축 좌표 또는/및 z축 좌표를 서로 다르게 하여 동일한 깊이에서 서로 다른 위치로 표시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5)는, 시표들의 x축 좌표만 달리하고 z축 좌표는 일치시켜 일렬로 시표들이 나열되도록 표시할 수 있다.
프로세서(175)는, 입체시 측정을 위하여 가상공간 상에서 시표들의 3차원 좌표들을 모두 결정한 후 3차원 좌표에 따라서 시표들이 표시되도록 제 1 표시영역(10)과 제 2 표시영역(20)에서의 각 시표들의 표시좌표를 결정할 수 있다.
제 1 표시영역(10)과 제 2 표시영역(20)은, 2차원 평면이므로, x축과 z축 좌표만 변경할 수 있으므로, 깊이를 달리하여 시표를 표시하기 위해서는 좌안과 우안의 시차를 이용해야 한다.
자세히, 프로세서(175)는, 변위시표의 3차원 좌표를 x1, y1, z1이라 할 때, 상기 3차원 좌표에 표시하기 위한 좌안과 우안의 입체시각도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입체시각도는, 도 12를 참조하면 알수 있듯이, 좌안에 대응하는 제 1 렌즈와 우안에 대응하는 제 2 렌즈 사이의 거리, 표시영역과 렌즈 사이의 거리 그리고 변위시표의 3차원 좌표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75)는, 산출된 입체시각도에 기초하여 3차원 좌표에 변위시표를 표시하기 위한 제 1 표시영역(10)의 2차원 표시좌표(예컨대, x축 좌표 및 z축 좌표)를 결정할 수 있고, 제 2 표시영역(20)의 2차원 표시좌표(예컨대, x축 좌표 및 z축 좌표)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제 1 표시영역(10)에서의 x축, z축 좌표와 제 2 표시영역(20)에서의 x축, z축 좌표를 서로 다르게 함으로써, 좌안과 우안의 시차가 발생하게 되어, 변위시표의 깊이(y축 좌표)가 결정될 수 있다.
프로세서(175)는, 동일한 방식으로 나머지 시표들을 3차원 좌표에 표시할 수 있도록 제 1 표시영역(10)과, 제 2 표시영역(20)의 x축, z축 좌표를 구할 수 있으며, 이때, 나머지 시표들의 깊이는 모두 동일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프로세서(175)는, 제 1 렌즈 및 제 2 렌즈 각각으로부터 제 1 위치에 표시된 제 1-2시표와 제 2 위치에 표시된 제 1-1시표를 주시할 시, 소정의 시차를 발생시킬 수 있고, 발생된 시차에 대응하는 소정의 심도(거리)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5)는, 제 1-1 시표(1-1) 및 제 1-2 시표(1-2) 각각에 대하여 설정되는 위치 값을, 구현하고자 하는 단계적인 심도(거리)에 따라서 조정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위시표를 구현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일례이다.
예를 들어, 도 12를 참조하면, 프로세서(175)는, 4m 거리에서 3000초각 만큼 가까이 있는 변위시표(제 1 시표(1))를 구현하기 위한 시차를 구현하기 위하여, 제 1 표시영역(10)의 제 1-1 시표(1-1)를, 타 시표들의 기준점으로부터 오른쪽으로 29mm 위치 이동시키고, 제 2 표시영역(20)의 제 1-2 시표(1-2)를 왼쪽으로 29mm 위치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5)는, 변위시표로 표시하고자 하는 제 1 시표(1)에 대한 심도가 변화함에 따라서, 제 1 시표(1)의 크기도 조정할 수 있다.
실시예로, 프로세서(175)는, 제 1 시표(1)의 심도(깊이)에 반비례하여 제 1 시표(1)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다.
다시 돌아와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5)는, 위와 같이 구현되는 변위시표를 포함하는 복수의 시표를 가상현실 영상으로 출력할 수 있고, 출력된 복수의 시표 중 상기 변위시표를 선택하게 하는 입체시 측정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75)는, 대상자의 선택입력에 따라서 변위시표와 나머지 시표 사이의 깊이차이를 순차적으로 감소시키며 단계별로 입체시 측정를 수행할 수 있다.
자세히, 프로세서(175)는, 대상자가 1차 변위시표를 선택하여 맞추면, 1차 변위시표와 나머지 시표 사이의 제 1 깊이차 보다 작은 제 2 깊이차와 시표들 중 하나의 시표를 제 2 차 변위시표로 결정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대로, 제 2 차 변위시표는 랜덤하게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75)는, 다른 시표들과 제 2 깊이차를 갖도록 제 2 차 변위시표의 3차원 가상좌표 및 다른 시표들의 3차원 가상좌표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75)는, 결정된 3차원 가상좌표로 표시하기 위하여, 상기 시표들의 3차원 가상좌표, 제 1 렌즈와 제 2 렌즈 사이의 거리 및 표시영역과 렌즈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각 시표별 입체시각도를 산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프로세서(175)는, 산출된 입체시각도에 따라서 제 1 표시영역(10)과 제 2 표시영역(20)에서의 시표를 표시하기 위한 2차원 표시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75)는, 제 1 표시영역(10)과 제 2 표시영역(20) 각각에 산출된 2차원 표시좌표에 시표를 각각 표시하여, 기 결정된 3차원 가상좌표 상에 시표들을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프로세서(175)는, 대상자의 입력에 따라 변위시표를 선택하게 하고, 변위시표를 맞추면 깊이차를 더 감소시킨 후 다음 입체시 측정을 반복하여, 대상자가 인식할 수 있는 깊이 즉 입체시를 정밀하게 검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5)는, 제공된 입체시 측정 인터페이스에 대한 대상자의 입력을 기초로, 입체시 측정 결과점수를 획득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5)는, 입체시 측정 인터페이스에 대한 대상자의 입력에 기반하여, 변위시표를 정확하게 선택하는 정답률을 산출할 수 있고, 산출된 정답률에 비례하여 입체시 측정 결과점수를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로세서(175)는, 가상현실 영상으로 표시되는 시표에 대한 위치 및/또는 크기를 조정하여 해당 시표의 심도에 변화를 주고, 이를 기초로 입체시 측정 프로세스를 수행함으로써, 편광안경과 같은 아날로그 기기에 기반한 입체시 측정의 원리를 디지털화하여 손 쉽게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5)는, 서베이 인터페이스를 기초로 결정된 제 2 눈 건강 측정방법에 기반하여 대상자에 대한 눈 건강상태 측정을 실행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5)는, 제 2 눈 건강 측정방법으로 시력측정 콘텐츠를 설정할 수 있고, 이를 기초로 대상자에 대한 눈 건강상태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시력측정 콘텐츠는, 시력 및 초점 능력을 측정하는 콘텐츠일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5)는, 시력측정 콘텐츠에 기반한 눈 건강 측정을 실행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력측정 콘텐츠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일례이다.
또한, 도 13을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5)는, 실행된 시력측정 콘텐츠를 기초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와 연동하여, 가상현실 영상에 기반한 시력 측정표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시력 측정표란, 시력을 측정하는 데에 사용되는 표로서, 정해진 기준에 따라 확대 또는 축소한 여러 가지 문자나 그림(부호) 따위가 인쇄되어 있는 표일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5)는, 가상현실 영상에 기초하여 소정의 심도(깊이) 상에 위치하는 시력 측정표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5)는, 표시된 시력 측정표에 기반하여, 대상자가 해당 시력 측정표 내 복수의 기호들 중 선택하도록 요구되는 소정의 기호인 타겟(target) 기호를 선택할 수 있는 시력측정 인터페이스(제 2 눈 건강상태 측정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5)는, 표시된 시력 측정표가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호 중, 측정자 또는 프로세서(175)에 의하여 자동으로 무작위 선택되는 타겟 기호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5)는, 결정된 타겟 기호를 대상자에게 알림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눈 건강상태 측정을 진행하는 측정자는, 가상현실 영상에 표시되는 시력 측정표 내 기호들 중, 무작위로 선정되는 어느 하나를 타겟 기호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75)는, 위와 같이 측정자에 의하여 무작위로 결정된 타겟 기호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5)는, 입력부(160)에 기반하여 측정자에 의해 선정된 타겟 기호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5)는, 위와 같이 획득된 타겟 기호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타겟 기호에 대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해 대상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75)는, 타겟 기호로 ‘3’이 결정된 경우, ‘삼’이라는 음성 데이터를 제공하는 해당 타겟 기호에 대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여 대상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5)는, 자체적으로 시력 측정표 내 기호들 중 타겟 기호를 무작위로 자동 선택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5)는, 위와 같이 자동 선택된 타겟 기호에 대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여 대상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75)는, 자체적인 프로세스에 의하여 타겟 기호가 ‘3’으로 결정된 경우, ‘삼’이라는 음성 데이터를 제공하는 해당 타겟 기호에 대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여 대상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5)는, 자동 선택된 타겟 기호에 대한 그래픽 이미지를, 해당하는 대상자가 인지 가능한 심도(예컨대, 해당 대상자의 이전 시력측정에 따른 나안시력 수치 기반 등) 상에 표시함으로써, 해당 타겟 기호를 대상자에게 알릴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75)는, 자체적인 프로세스에 의하여 타겟 기호가 ‘3’으로 결정된 경우, 해당 타겟 기호를 나타내는 그래픽 이미지(여기서, 숫자 3을 나타내는 그래픽 이미지)를, 가상현실 영상 내의 소정의 심도(실시예에서, 해당하는 대상자가 인지 가능한 심도) 상에 표시하여 해당 대상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계속해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5)는, 상술된 바와 같이 제공된 시력측정 인터페이스에 대한 대상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시력측정 결과점수를 획득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5)는, 시력측정 인터페이스에 기반하여, 위와 같이 결정된 타겟 기호에 대한 대상자의 응답을 획득할 수 있다.
실시예로, 프로세서(175)는, 오디오 데이터가 제공된 타겟 기호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기호를, 가상현실 영상의 소정의 심도 상에 표시된 시력 측정표 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호(예컨대, 문자 또는 부호) 중에서 선택하는 대상자의 입력을, 시력측정 인터페이스에 기반하여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75)는, 획득된 대상자의 입력을 기초로 해당하는 타겟 기호에 대한 응답을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5)는, 가상현실 영상 내 소정의 제 1 심도(실시예에서, 해당 대상자가 명확하게 인지 가능한 심도) 상에 표시된 타겟 기호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기호를, 해당 가상현실 영상의 소정의 제 2 심도(실시예에서, 시력측정을 테스트하기 위하여 설정된 소정의 심도) 상에 표시된 시력 측정표 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호 중에서 선택하는 대상자의 입력을, 시력측정 인터페이스에 기반하여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75)는, 위와 같이 획득된 대상자의 입력을 기초로 해당하는 타겟 기호에 대한 응답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5)는, 상술된 바와 같이 무작위로 타겟 기호를 결정하고, 결정된 타겟 기호에 대한 대상자의 응답을 획득하는 일련의 과정을 반복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5)는, 사용자(실시예에서, 측정자) 설정 및/또는 자동화된 프로세스에 기반하여, 가상현실 영상으로 출력되는 시력 측정표가 시력측정이 진행됨에 따라서 단계적으로 심도(깊이)가 변화하며 표시되게 할 수 있다.
실시예로, 프로세서(175)는, 시력측정 콘텐츠 실행 시, 제 1 단계 측정에서 제 1 심도 상에 표시되는 시력 측정표를 기초로 타겟 기호에 대한 응답을 획득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175)는, 제 1 단계 측정에서 대상자가 타겟 기호에 대응되는 기호를 올바르게 선택한 경우, 제 2 단계 측정에서 제 1 심도보다 더 원경에 위치하는 제 2 심도 상에 시력 측정표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75)는, 제 2 심도 상에 표시된 시력 측정표를 기초로 타겟 기호에 대한 응답을 획득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5)는, 위와 같은 과정을 소정의 제 n(n=1, 2, 3, … ) 단계까지 반복 수행할 수 있다.
반면,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5)는, 제 1 단계 측정에서 대상자가 타겟 기호에 대응되는 기호를 미선택한 경우, 제 2 단계 측정에서도 제 1 심도 상에 시력 측정표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75)는, 위와 같이 제 1 심도 상에 다시 표시된 시력 측정표를 기초로, 제 1 단계에서의 타겟 기호와는 다른 제 2 단계에서의 제 2 기호에 대한 응답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5)는, 위와 같은 과정을 소정의 제 n(n=1, 2, 3, … ) 단계까지 반복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로세서(175)는, 가상현실 영상으로 시력 측정표를 출력하고, 출력된 시력 측정표의 심도를 조정해가며 단계적인 시력측정을 진행함으로써, 물리적인 시력 측정표를 이용하는 경우 감수해야 하는 제약조건(예를 들면, 시력 측정표 장비 구비, 대상자와 시력 측정표 간의 거리의 가변 가능성, 시력 측정표 내 제한적인 기호 개수, 크기 및/또는 위치 등)을 극복할 수 있고, 보다 편리하게 대상자의 시력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5)는, 위와 같이 복수 회 수행되어 획득된 응답들에 기초하여, 시력측정 결과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5)는, 시력측정 인터페이스에 기반한 대상자의 입력을 기반으로, 타겟 기호가 정확하게 선택되는 정답률에 비례하여 해당 대상자의 시력측정 결과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다만, 일반적으로 영상을 통해 시력 측정표를 표시하여 대상자에게 제공하는 방식에서는, 해당 시력 측정표를 표시하는 기기(실시예에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의 해상도가 낮을 경우, 시력 측정표가 선명하게 표시되지 못함으로 인하여 대상자의 시력과는 무관한 요인의 영향을 받아 시력측정 결과가 결정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5)는, 가상현실 영상을 출력하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의 해상도에 따라서, 표시되는 시력 측정표의 최소 크기를 설정할 수 있다.
실시예로, 프로세서(175)는, 연동되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의 해상도에 반비례하여, 출력되는 시력 측정표의 최소 크기를 설정할 수 있다.
즉,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5)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의 해상도가 높을수록, 해당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에 기반하여 출력되는 시력 측정표의 최소 크기를 작게 설정할 수 있고, 그 역도 성립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5)는, 설정된 최소 크기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해당 가상현실 영상 내 시력 측정표의 심도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75)는,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시력 측정표를 제 1 심도에서 표시한 이후, 제 1 심도보다 큰 깊이를 가지는(즉, 더 먼 거리에 위치하는) 제 2 심도에 상기 시력 측정표를 표시하는 경우, 상기 시력 측정표가 해당 시력 측정표에 대해 설정된 최소 크기보다 작아지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 2 심도의 깊이를 결정할 수 있다.
더하여,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5)는, 최소 크기로 표시되는 시력 측정표인 경우, 해당 시력 측정표 내 기호들의 형태(예컨대, 문자 및/또는 그림(부호) 등)를 그림(부호) 형식으로 변환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75)는, 최소 크기로 표시된 시력 측정표 내 문자 기호를, 소정의 그림(부호) 기호로 변경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로세서(175)는, 문자에 비하여 해상도의 영향을 적게 받는 그림(부호) 형태만으로 시력 측정표 내 기호들을 표시하여, 최소 크기의 시력 측정표를 표시하는 상황에서 해당 가상현실 영상을 출력하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의 해상도에 의한 영향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눈 건강상태 측정 결과를 표시하는 모습의 일례들이다.
또한, 도 14를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5)는, 위와 같이 실행된 눈 건강상태 측정(실시예에서, 입체시 측정 및/또는 시력측정)에 따른 결과를 표시할 수 있다. (S107)
즉,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5)는, 실행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눈 건강상태 측정에 기반하여, 대상자에 대한 눈 건강 상태정보를 결과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눈 건강 상태정보란, 눈 건강상태 측정 서비스를 기반으로 추정되는 대상자의 눈 건강상태에 대한 분석결과를 제공하는 정보로서, 실시예에서 대상자에 대하여 실행된 눈 건강상태 측정 별 결과점수(실시예로, 입체시 측정 결과점수 및/또는 시력측정 결과점수 등), 상기 결과점수와 서베이 인터페이스에 기반하여 획득된 눈 건강점수를 종합하여 산출되는 통합점수(예컨대, 대상자의 나이 및/또는 눈 관리습관 등에 대한 눈 건강점수를 반영하여 보정된 결과점수 등) 및/또는 서베이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기초로 도출된 예측 의심질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5)는, 눈 건강상태 측정 과정에서 제공되는 눈 건강상태 측정 인터페이스(실시예에서, 입체시 측정 인터페이스 및/또는 시력측정 인터페이스 등) 및 서베이 인터페이스에 대한 대상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해당 대상자에 대한 눈 건강 상태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75)는, 대상자에 따라서 복수 회의 눈 건강상태 측정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복수의 눈 건강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보다 정밀하게 분석된 결과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75)는, 복수 회 진행된 눈 건강상태 측정에 의하여 획득된 복수의 눈 건강 상태정보에 기반한 분석을 수행하여, 눈 건강상태에 대한 일회성의 측정만으로는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려운 녹내장과 같은 질환(즉, 장기간에 걸쳐서 상태를 파악해야하는 질환 등)을 보다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프로세서(175)는, 눈 건강상태 측정 서비스의 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5)는, 위와 같이 획득된 눈 건강 상태정보를, 도 14의 (a)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0)에 기반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5)는, 대상자에 대한 눈 건강 상태정보를, 도 14의 (b)와 같이,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와 연동하여 디스플레이유닛(220)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5)는, 획득된 눈 건강 상태정보를 대상자 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프로세서(175)는, 눈 건강상태 측정의 결과 데이터들을 디지털화하여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5)는, 눈 건강상태 측정 결과에 따른 처방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S109)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처방 콘텐츠란, 눈 건강상태 측정 결과(즉, 눈 건강 상태정보)에 기초하여, 대상자의 눈 건강상태 호전을 목적으로 제공되는 콘텐츠 데이터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처방 콘텐츠는, 눈 힐링영상 및/또는 추천 영양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5)는, 대상자의 눈 건강 상태정보에 따른 눈 힐리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공되는 눈 힐링영상은, 눈의 피로를 최소화하고 힐링 효과의 극대화를 위하여, 초고화질의 영상(예컨대, 4K 영상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예로, 프로세서(175)는, 대상자의 눈 건강 상태정보를 기초로, 해당 대상자에게 내안근 및/또는 외안근 운동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 내안근 및/또는 외안근 운동을 보조할 수 있는 제 1 눈 힐링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실시예에서 제 1 눈 힐링영상이란, 가상현실에 기반하여 내안근 및/또는 외안근 운동을 보조할 수 있는 영상일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눈 힐링영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일례들이다.
자세히, 도 15 내지 18을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5)는, 제 1 눈 힐링영상에 기반하여 적어도 둘 이상의 서로 다른 심도로 구현되는 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5)는, 표시된 적어도 둘 이상의 객체에 대한 심도와 위치를 소정의 기준(예컨대, 기설정된 패턴 등)에 따라서 변화시키며 표시할 수 있다. 즉,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5)는, 객체를 3차원 공간상에서 자유롭게 움직이도록 하여, 대상자가 움직이는 객체를 보도록 따라서 안구운동을 하게하여, 대상자의 내안근 및 외안근 운동을 유도할 수 있다.
더하여,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5)는, 소정의 기준(예컨대, 기설정된 주기 등)에 따라서, 각 객체 별 블러 처리를 적용 또는 해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75)는, 각 객체가 주기적으로 블러 처리가 적용되어 흐릿해지거나 또는 블러 처리가 해제되어 선명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일반적으로 내안근 및/또는 외안근 운동을 위해서는 심도가 변화하는 소정의 물체를 추적하며 응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5)는, 소정의 패턴에 따라서, 제 1 눈 힐링영상에 표시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객체 중 어느 하나의 제 1 객체에 블러 처리를 해제하여 선명하게 표시되도록 설정하고, 상기 블러 해제된 제 1 객체에 대한 심도와 위치가 변화하도록 출력하여, 제 1 눈 힐링영상을 시청하는 대상자가 제 1 객체를 추적하며 응시하게 유도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5)는, 제 1 눈 힐링영상 내 복수의 객체 중 임의로 결정된 제 1 객체에 블러 처리를 해제하여 선명하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5)는, 선명하게 표시되는 제 1 객체가 소정의 패턴에 따라서 심도가 변화하며 표시되게 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프로세서(175)는, 선명하게 표시되는 제 1 객체가, 심도가 근경으로 표시되는 제 1 객체(3-1)-중경으로 표시되는 제 1 객체(3-2)-원경으로 표시되는 제 1 객체(3-3)로 소정에 패턴에 따라 변화하며 출력되게 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5)는, 제 1 객체에 대한 심도 변화와 함께, 제 1 객체가 표시되는 위치 또한 소정의 설정(예컨대, 기설정된 위치 패턴 등)에 따라서 변화시키며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5)는, 소정의 기준에 따라서, 상술된 제 1 객체를 상기 제 1 객체를 제외한 나머지 객체 중 어느 하나로 변환할 수 있다.
실시예로, 프로세서(175)는, 적어도 둘 이상의 서로 다른 심도로 구현되는 객체를 표시하는 제 1 눈 힐링영상 내 복수의 객체 중 어느 하나를 제 1 객체로 선정하여 동작한 이후, 소정의 타임 슬라이스(예컨대, 1분 등)마다 주기적으로 상기 제 1 객체를 제외한 나머지 객체 중 어느 하나를 제 1 객체로 재선정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75)는, 제 1 눈 힐링영상 내 제 1 오브젝트, 제 2 오브젝트 및 제 3 오브젝트 중, 제 1 오브젝트를 제 1 객체로 선정하여 상술된 제 1 눈 힐링영상 프로세스를 동작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75)는, 소정의 타임 슬라이스가 경과하면, 제 2 오브젝트 및 제 3 오브젝트 중 어느 하나를 제 1 객체로 선정하여 제 1 눈 힐링영상 프로세스를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75)는, 상기 제 1 객체를 제외한 나머지 객체들에는 블러 처리를 적용하여 흐릿하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5)는, 상기 나머지 객체들의 심도나 위치에는 변화가 발생하기 않게 할 수 있다.
즉,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5)는, 소정의 기준에 따라서 블러 처리가 해제되며 선명하게 표시되는 제 1 객체는 심도와 위치에 변화를 주며 출력하고, 제 1 객체를 제외한 나머지 객체에는 블러 처리를 적용하여 흐릿하게 표시함과 동시에 심도와 위치에 변화를 주지 않음으로써, 제 1 객체에 대한 집중도를 보다 증진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대상자에 대한 내안근 및/또는 외안근 운동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8을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5)는, 눈 힐링영상 내 복수의 객체에 더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경 오브젝트를 더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배경 오브젝트란, 눈 힐링영상 내에서 상술된 기능 동작을 수행하는 복수의 객체 이외에 상기 눈 힐링영상을 통해 표시되는 나머지 객체를 의미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5)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경 오브젝트를 눈 힐링영상 내 임의의 위치와 심도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75)는, 가상현실에 기반한 눈 힐링영상 내 근경에 표시되는 제 1 배경 오브젝트(4-1), 중경에 표시되는 제 2 배경 오브젝트(4-2) 그리고 원경에 표시되는 제 3 배경 오브젝트(4-3)를 적어도 둘 이상의 객체와 함께 출력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5)는, 위와 같이 표시되는 배경 오브젝트를 해당하는 배경 오브젝트에 대응되는 객체에 적용된 블러 처리 유무에 따라서 동일하게 블러 처리를 적용 또는 해제할 수 있다.
상세히,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5)는, 눈 힐링영상 내 임의의 객체와 동일한 심도(깊이)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경 오브젝트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75)는, 검출된 배경 오브젝트에 대하여, 상기 임의의 객체에 적용된 블러 처리를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5)는, 임의의 객체에 블러 처리가 적용된 경우, 해당 객체와 동일한 심도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경 오브젝트에도 동일하게 블러 처리를 적용할 수 있다.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프로세서(175)는, 임의의 객체에 블러 처리가 해제된 경우, 해당 객체와 동일한 심도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경 오브젝트에도 동일하게 블러 처리를 해제할 수 있다.
즉,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5)는, 눈 힐링영상 내 복수의 객체 중에서 선명하게 표시되는 제 1 객체의 주변에 있는 배경 오브젝트는, 제 1 객체와 같이 선명하게 표시되도록 하고, 나머지 흐릿하게 표시되는 객체의 주변에 있는 배경 오브젝트는, 나머지 객체와 같이 흐릿하게 표시되게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프로세서(175)는, 대상자가 눈 힐링영상을 통한 안구 운동을 수행할 시, 선명하게 표시되는 제 1 객체를 보다 원활하게 추적하게 할 수 있고, 해당 눈 힐링영상이 제공하는 가상현실 공간 상에서 구현되는 심도를 보다 쉽게 인식하도록 보조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5)는, 가상현실 영상(제 1 눈 힐링영상)을 기반으로 대상자의 내안근 및/또는 외안근 운동을 쉽고 편리하게 수행하도록 하여, 일상생활에서의 안구 활동만으로는 수행되기 어려운 안구 케어가 효과적으로 구현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5)는, 대상자의 눈 건강 상태정보에 따른 추천 영양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5)는, 대상자의 눈 건강 상태정보에 따라서 해당 대상자에게 섭취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맞춤형 추천 영양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로, 프로세서(175)는, 대상자의 눈 건강 상태정보에 기반하여 해당 대상자에게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영양소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75)는, 대상자의 눈 건강 상태정보에 기반하여 해당 대상자에게 루테인 및/또는 지아잔틴 영양소가 필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5)는, 외부의 서버(예컨대, 웹 서버 등)와 연동하여, 해당 대상자에게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영양소를 포함하는 영양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75)는, 웹 서버와 연동하여 해당 대상자에게 필요하다고 판단된 루테인 및/또는 지아잔틴 영양소를 포함하는 영양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5)는, 외부의 서버(예컨대, 웹 서버 등)와 연동하여, 해당하는 영양제를 판매하는 판매처 정보(예컨대, 판매 사이트 정보 등)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175)는, 획득된 영양소 정보, 영양제 정보 및/또는 판매처 정보에 기반하여, 대상자에게 최적화된 추천 영양제 정보를 생성 및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로세서(175)는, 대상자의 눈 건강 상태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대상자 맞춤형 추천 영양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눈 건강상태 측정 결과에 기반한 합리적인 방식의 지속적인 눈 건강 관리가 수행되게 효과적으로 보조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의 눈 건강 측정방법 및 그 시스템은, 가상현실에 기초하여 눈 건강상태를 측정하고, 그 결과에 따른 처방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생활 속에서 손 쉽게 눈 건강상태를 추적 및 관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의 눈 건강 측정방법 및 그 시스템은, 가상현실에 기반하여 눈 건강상태 측정 서비스를 구현함으로써, 아날로그 측정기기 및 고부가가치 장비(시야측정기 등)를 효과적으로 대체하여, 눈 건강 측정에 소요되는 비용이나 노력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의 눈 건강 측정방법 및 그 시스템은, 눈 건강과 관련된 서베이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측정 대상자에게 최적화된 눈 건강 측정방법을 결정하고, 결정된 눈 건강 측정방법을 기초로 상기 측정 대상자에 대한 눈 건강상태 측정 서비스를 수행함으로써, 대상자의 눈 건강상태를 분석할 수 있는 일관적이고 신뢰성 있는 기반 데이터를 체계적인 계측 방법을 통하여 획득할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신뢰도 높은 분석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의 눈 건강 측정방법 및 그 시스템은, 눈 건강상태 서베이 분석 결과를 기초로 측정 대상자의 현재 눈 건강상태를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해당 측정 대상자에게 필요한 눈 건강 측정방법을 선정해 제공함으로써, 대상자 개개인 별로 최적화된 맞춤형의 눈 건강 측정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눈 건강상태 측정에 소요되는 비용이나 노력을 절감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눈 건강상태 측정 서비스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의 눈 건강 측정방법 및 그 시스템은, 가상현실 영상에 기반한 눈 건강 측정을 수행하여, 눈 건강상태 측정 과정에 대한 흥미를 증진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눈 건강 측정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의 눈 건강 측정방법 및 그 시스템은, 입체시 측정을 수행할 시 가상현실 영상으로 표시되는 시표에 대한 위치 및/또는 크기를 조정하여 해당 시표의 심도를 변화시킴으로써, 편광안경과 같은 아날로그 측정기기에 기반한 입체시 측정의 원리를 디지털화하여 손 쉽게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의 눈 건강 측정방법 및 그 시스템은, 가상현실 영상으로 시력 측정표를 출력하고, 출력된 시력 측정표의 심도를 조정해가며 단계적으로 시력측정을 진행함으로써, 물리적인 시력 측정표를 이용하는 경우 감수해야 하는 제약조건(예를 들면, 시력 측정표 장비 구비, 대상자와 시력 측정표 간의 거리의 가변 가능성, 시력 측정표 내 제한적인 기호 개수, 크기 및/또는 위치 등)을 극복할 수 있고, 보다 편리하게 측정 대상자의 시력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의 눈 건강 측정방법 및 그 시스템은, 눈 건강상태 측정 결과를 그래픽 이미지로 구현하여 제공함으로써, 눈 건강상태 측정 결과를 보다 직관적으로 인식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기반의 눈 건강 측정방법 및 그 시스템은, 눈 건강상태 측정 결과에 최적화된 힐링영상을 제공함으로써, 일상생활에서의 안구 활동만으로는 수행되기 어려운 안구 케어를 수행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또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7)

  1. 눈 건강 측정기의 프로세서가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와 연동하여 가상현실 기반의 눈 건강 측정을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눈 건강상태 서베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공된 서베이 인터페이스에 기반하여 눈 건강 측정방법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눈 건강 측정방법에 기초한 눈 건강상태 측정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실행된 눈 건강상태 측정에 따른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눈 건강상태 측정에 따른 결과에 기반하여 처방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처방 콘텐츠는, 측정 대상자의 눈 운동을 보조하는 눈 힐링영상을 포함하고,
    상기 눈 건강 측정방법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서베이 인터페이스에 대한 상기 측정 대상자의 입력을 기초로, 복수의 눈 건강 측정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상기 눈 건강 측정방법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눈 건강 측정 콘텐츠는, 소정의 파라미터에 따른 상기 측정 대상자에 대한 눈 건강상태 측정 프로세스를 제공하는 콘텐츠인
    가상현실 기반의 눈 건강 측정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눈 건강 측정방법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서베이 인터페이스에 대한 상기 측정 대상자의 입력을 기초로 상기 눈 건강 측정 콘텐츠 별 눈 건강점수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산출된 눈 건강점수에 기반하여 의심질환을 예측하는 단계와,
    상기 예측된 의심질환에 기초하여 상기 눈 건강 측정방법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상현실 기반의 눈 건강 측정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눈 건강 측정방법을 결정하는 단계는,
    입체시 측정 콘텐츠를 상기 눈 건강 측정방법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눈 건강상태 측정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입체시 측정 콘텐츠를 기반으로 적어도 셋 이상의 시표를 가상현실 영상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적어도 셋 이상의 시표 중 어느 하나를 타 시표들과는 다른 심도를 가지는 변위시표로 결정하고 각각의 시표들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변위시표를 선택하는 입체시 측정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제공된 입체시 측정 인터페이스에 대한 상기 측정 대상자의 입력을 기초로 입체시 측정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상현실 기반의 눈 건강 측정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시표로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셋 이상의 시표 중 하나를 변위시표인 제 1 시표로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측정 대상자의 좌안영역에 대응되는 제 1 표시영역에 상기 제 1 시표를 나타내는 제 1-1시표와, 상기 측정 대상자의 우안영역에 대응되는 제 2 표시영역에 상기 제 1 시표를 나타내는 제 1-2시표의 출력 위치를 상기 심도에 기초한 입체시각도를 산출하여 산출된 입체시각도에 따라서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출력 위치에 상기 제 1-1 시표와 상기 제 1-2 시표를 각각 상기 제 1 표시영역 및 제 2 표시영역에 표시하여 상기 변위시표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상현실 기반의 눈 건강 측정방법.
  6. 눈 건강 측정기의 프로세서가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와 연동하여 가상현실 기반의 눈 건강 측정을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눈 건강상태 서베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공된 서베이 인터페이스에 기반하여 눈 건강 측정방법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눈 건강 측정방법에 기초한 눈 건강상태 측정을 실행하는 단계;
    상기 실행된 눈 건강상태 측정에 따른 결과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눈 건강상태 측정에 따른 결과에 기반하여 처방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처방 콘텐츠는, 측정 대상자의 눈 운동을 보조하는 눈 힐링영상을 포함하고,
    상기 눈 건강 측정방법을 결정하는 단계는,
    시력측정 콘텐츠를 상기 눈 건강 측정방법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눈 건강상태 측정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시력측정 콘텐츠를 기반으로 소정의 시력 측정표를 가상현실 영상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표시된 시력 측정표 내 복수의 기호 중 타겟 기호를 선택하는 시력측정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제공된 시력측정 인터페이스에 대한 상기 측정 대상자의 입력을 기초로 시력측정 결과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상현실 기반의 눈 건강 측정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처방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는,
    외안근 또는 내안근 운동을 보조하는 제 1 눈 힐링영상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눈 힐링영상을 제공하는 단계는,
    적어도 둘 이상의 서로 다른 심도로 구현되는 객체를 가상현실 영상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표시된 객체 중 어느 하나를 제 1 객체로 선정하는 단계와, 상기 선정된 제 1 객체에 이외의 나머지 객체에 블러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선정된 제 1 객체의 위치 및 심도를 기설정된 기준에 기초하여 변경하며 출력하는 단계와, 소정의 기준에 따라서 상기 제 1 객체를 상기 나머지 객체 중 어느 하나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상현실 기반의 눈 건강 측정방법.
KR1020200129232A 2020-10-07 2020-10-07 가상현실 기반의 눈 건강 측정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2196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9232A KR102219659B1 (ko) 2020-10-07 2020-10-07 가상현실 기반의 눈 건강 측정방법 및 그 시스템
PCT/KR2021/008271 WO2022075554A1 (ko) 2020-10-07 2021-06-30 가상현실 기반의 눈 건강 측정 장치, 방법 및 그 시스템
EP21877809.0A EP4226841A1 (en) 2020-10-07 2021-06-30 Device and method for virtual-reality-based eye health measurement, and system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9232A KR102219659B1 (ko) 2020-10-07 2020-10-07 가상현실 기반의 눈 건강 측정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9659B1 true KR102219659B1 (ko) 2021-02-25

Family

ID=74731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9232A KR102219659B1 (ko) 2020-10-07 2020-10-07 가상현실 기반의 눈 건강 측정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965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75554A1 (ko) * 2020-10-07 2022-04-14 주식회사 엠투에스 가상현실 기반의 눈 건강 측정 장치,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487775B1 (ko) * 2022-07-25 2023-01-12 이세정 반려동물을 위한 안구 건강 측정 장치 및 방법
KR20230046564A (ko) * 2021-09-30 2023-04-06 주식회사 엠투에스 Vr 콘텐츠 기반 무자각 안과검사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4442B1 (ko) 2016-11-04 2017-02-09 한국프라임제약주식회사 Vr 기기를 이용한 시력측정시스템
KR20170137726A (ko) * 2015-03-16 2017-12-13 매직 립, 인코포레이티드 건강 질환 진단과 치료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1984995B1 (ko) * 2018-07-20 2019-05-31 주식회사 아이피아 인공지능 시야분석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7726A (ko) * 2015-03-16 2017-12-13 매직 립, 인코포레이티드 건강 질환 진단과 치료를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101704442B1 (ko) 2016-11-04 2017-02-09 한국프라임제약주식회사 Vr 기기를 이용한 시력측정시스템
KR101984995B1 (ko) * 2018-07-20 2019-05-31 주식회사 아이피아 인공지능 시야분석 방법 및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75554A1 (ko) * 2020-10-07 2022-04-14 주식회사 엠투에스 가상현실 기반의 눈 건강 측정 장치,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230046564A (ko) * 2021-09-30 2023-04-06 주식회사 엠투에스 Vr 콘텐츠 기반 무자각 안과검사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665504B1 (ko) * 2021-09-30 2024-05-14 주식회사 테네터스 Vr 콘텐츠 기반 무자각 안과검사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487775B1 (ko) * 2022-07-25 2023-01-12 이세정 반려동물을 위한 안구 건강 측정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ognolato et al. Head-mounted eye gaze tracking devices: An overview of modern devices and recent advances
US12117675B2 (en) Light field processor system
US1023161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virtual reality, augmented reality, and/or a synthetic 3-dimensional information for the measurement of human ocular performance
Turnbull et al. Ocular effects of virtual reality headset wear in young adults
Koulieris et al. Accommodation and comfort in head-mounted displays
KR101988110B1 (ko) 생체신호연동 가상현실 교육 시스템 및 방법
KR102219659B1 (ko) 가상현실 기반의 눈 건강 측정방법 및 그 시스템
Kinateder et al. Using an augmented reality device as a distance-based vision aid—promise and limitations
CN104603673B (zh) 头戴式系统以及使用头戴式系统计算和渲染数字图像流的方法
US2019023562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dictive visual rendering
CN102387740B (zh) 诊断和治疗已定义的病症的系统
CN105992965A (zh) 响应于焦点移位的立体显示
BR102013018967A2 (pt) método e aparelho para engajar e dar opções de correção de visão a pacientes a partir de um local remoto
EP4226841A1 (en) Device and method for virtual-reality-based eye health measurement, and system therefor
KR102458553B1 (ko) 눈 건강 측정 디바이스 및 방법
Kasprowski et al. Vision Diagnostics and Treatment System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KR102412649B1 (ko) 가상현실 기반의 눈 건강 측정장치
EP4364642A1 (en) Computer-implemented methods and devices for determining refractive errors
US20230359273A1 (en) Retinal reflection tracking for gaze alignment
Lu 3D Eye Tracking for AR Glasses
Lazar et al. DEVELOPMENT OF EYE TRACKING PROCEDURES USED FOR THE ANALYSIS OF VISUAL BEHAVIOR-STATE OF ART
Hussain Towards Achieving Natural Visual Experience in Immersive Virtual Environments: Addressing Cybersickness and Depth Percep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