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5504B1 - Vr 콘텐츠 기반 무자각 안과검사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Vr 콘텐츠 기반 무자각 안과검사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5504B1
KR102665504B1 KR1020210129681A KR20210129681A KR102665504B1 KR 102665504 B1 KR102665504 B1 KR 102665504B1 KR 1020210129681 A KR1020210129681 A KR 1020210129681A KR 20210129681 A KR20210129681 A KR 20210129681A KR 102665504 B1 KR102665504 B1 KR 102665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examination
conscious
ophthalmological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9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46564A (ko
Inventor
이태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테네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테네터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테네터스
Priority to KR1020210129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5504B1/ko
Publication of KR20230046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65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5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55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4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ye photography
    • A61B3/145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ye photography by video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016Operational features thereof
    • A61B3/0041Operational features thereof characterised by display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03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determining refraction, e.g. refractometers, skia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13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for determining or recording eye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0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hysiological signal transmitted
    • A61B5/0013Medical image da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45Display arrangements, e.g. multiple display uni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phys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ath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hysi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R 콘텐츠 기반 무자각 안과검사 제공 방법은, VR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는 무자각 안과검사 애플리케이션이 VR 콘텐츠 기반 무자각 안과검사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소정의 VR 콘텐츠에 포함된 적어도 일부의 구성에 기초하여 무자각 안과검사를 구현하는 VR 무자각 안과검사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VR 무자각 안과검사 콘텐츠를 기초로 상기 무자각 안과검사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무자각 안과검사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VR 무자각 안과검사 콘텐츠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출력된 VR 무자각 안과검사 콘텐츠를 기초로 상기 무자각 안과검사를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실행된 무자각 안과검사에 따른 사용자 반응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된 사용자 반응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무자각 안과검사를 통해 검측하고자 하는 시각능력에 대한 측정값인 사용자 시각능력 수치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VR 콘텐츠 기반 무자각 안과검사 제공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UBCONSCIOUS OPHTHALMOLOGIC EXAMINATION BASED ON VIRTUAL REALITY CONTENTS}
본 발명은 VR 콘텐츠 기반 무자각 안과검사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기 구현되어 있는 VR 콘텐츠에 최적화된 형태로 무자각 안과검사를 수행하는 VR 콘텐츠 기반 무자각 안과검사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대의 사람들은 개인적, 환경적 및 습관에 따라서 눈 건강상태와 관련된 이상신호를 나타내게 된다.
예를 들면, 눈 건강상태가 악화됨에 따른 시야 지각능력, 외안근 사용능력, 시각적 민감도, 자극 추적능력, 시각적 지구력 및/또는 시각적 감지력 등의 시각능력 저하 현상이 초래될 수 있으며, 근시(Nearsightedness), 원시(Farsightedness) 및/또는 난시(Astigmatism) 등의 이상시력 증상을 보이는 경우가 있다. 눈 건강상태와 관련된 이상신호는, 시력이상 신호뿐만 아니라 동공이상, 안구 움직임 이상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눈 건강상태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파라미터(예컨대, 시야, 외안근, 복시, 대비감도, 입체시, 사시, 양안시 및/또는 동공 등)에 대한 측정이 요구되며, 최근 들어서는 각종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MD: Head Mounted Display) 장치를 이용해 눈 건강상태를 측정하는 기술의 도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자세히, 최근에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에 기반한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 영상과 같은 VR 콘텐츠에 기초하여, 측정 대상자의 눈 건강상태를 파악하는 방식이 점차 확산되는 추세이다.
그러나 종래의 본 기술 분야에서는, 수많은 종류의 안과검사 각각을 수행하기 위하여 각 안과검사 별로 특화된 VR 콘텐츠를 일일이 제작하거나 구축해야 한다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종래의 본 기술 분야에서는, 안과검사를 받는 사용자(즉, 피검자)에게 시각능력의 검측 대상이 되어 검사를 진행하고 있다는 심리적 압박감이나 불안감을 주어, 안과검사에 대한 사용자의 지속적이고 적극적인 참여를 저해함과 동시에 일상적인 안정적 상태에서의 진정한 사용자의 시각능력을 정확히 측정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이로 인해 안과검사 결과의 정확성과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KR 10-2019-0026651 A
본 발명은, 상술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기 구현되어 있는 VR 콘텐츠를 활용하여 무자각 안과검사를 수행하는 VR 콘텐츠 기반 무자각 안과검사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자세히, 본 발명은, 상기 VR 콘텐츠의 고유한 특성(예컨대, 영상 구성요소, 동작 프로세스 및/또는 영상 세팅값 등)을 활용하여 이에 최적화된 형태의 안과검사 프로세스를 설계하고 이를 수행하는 VR 콘텐츠 기반 무자각 안과검사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만, 본 발명 및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R 콘텐츠 기반 무자각 안과검사 제공 방법은, VR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는 무자각 안과검사 애플리케이션이 VR 콘텐츠 기반 무자각 안과검사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소정의 VR 콘텐츠에 포함된 적어도 일부의 구성에 기초하여 무자각 안과검사를 구현하는 VR 무자각 안과검사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VR 무자각 안과검사 콘텐츠를 기초로 상기 무자각 안과검사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무자각 안과검사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VR 무자각 안과검사 콘텐츠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출력된 VR 무자각 안과검사 콘텐츠를 기초로 상기 무자각 안과검사를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실행된 무자각 안과검사에 따른 사용자 반응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된 사용자 반응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무자각 안과검사를 통해 검측하고자 하는 시각능력에 대한 측정값인 사용자 시각능력 수치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무자각 안과검사는, 사용자가 상기 VR 무자각 안과검사 콘텐츠를 이용하면 상기 사용자가 인지하지 않고도 상기 사용자에 대한 소정의 안과검사를 진행하는 안과검사이다.
또한, 상기 무자각 안과검사를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VR 무자각 안과검사 콘텐츠가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frame)을 기초로 안과검사 유도객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안과검사 유도객체는, 상기 VR 콘텐츠의구성이 포함하는 소정의 객체와, 상기 소정의 안과검사 별로 기 생성되어 있는 소정의 추가 유도객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반응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 대한 아이트래킹 정보, 사용자 입력정보 및 신체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 시각능력 수치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반응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에 대한 시야 지각능력, 외안근 사용능력, 시각적 민감도, 자극 추적능력, 시각적 지구력 및 시각적 감지력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측정값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VR 무자각 안과검사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VR 콘텐츠를 프레임(frame) 단위로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분리된 프레임을 기초로 상기 VR 콘텐츠의 구성에 따른 맞춤형 안과검사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맞춤형 안과검사를 상기 VR 콘텐츠에 기초하여 구현하는 무자각 안과검사 모듈을 설계하는 단계와, 상기 설계된 무자각 안과검사 모듈과 상기 VR 콘텐츠를 융합하여 상기 VR 무자각 안과검사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무자각 안과검사 모듈을 설계하는 단계는, 상기 VR 콘텐츠의 구성이 포함하는 소정의 객체 및 상기 소정의 안과검사 별로 기 생성되어 있는 소정의 추가 유도객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안과검사 유도객체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맞춤형 안과검사를 통해 획득하고자 하는 상기 사용자 반응 데이터의 카테고리를 결정하는 사용자 반응 수집항목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맞춤형 안과검사를 통해 획득하고자 하는 상기 사용자 시각능력 수치의 카테고리를 결정하는 목표 시각능력 항목을 설정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R 콘텐츠 기반 무자각 안과검사 제공 방법은, 상기 획득된 사용자 시각능력 수치를 기초로 시각능력 이상상황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시각능력 이상상황이 감지됨에 따른 피드백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시각능력 이상상황이 감지됨에 따른 피드백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VR 무자각 안과검사 콘텐츠의 출력을 중단하고 상기 소정의 안과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소정의 VR용 안과검사 콘텐츠를 출력하는 안과검사 삽입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시각능력 이상상황이 발생함에 따른 소정의 알림을 출력하는 알림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R 콘텐츠 기반 무자각 안과검사 제공 시스템은, VR 무자각 안과검사 콘텐츠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VR 콘텐츠 기반 무자각 안과검사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은, 소정의 VR 콘텐츠에 포함된 적어도 일부의 구성에 기초한 무자각 안과검사를 구현하는 상기 VR 무자각 안과검사 콘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VR 무자각 안과검사 콘텐츠를 기초로 상기 무자각 안과검사를 제공하며, 상기 VR 무자각 안과검사 콘텐츠를 출력하고, 상기 출력된 VR 무자각 안과검사 콘텐츠를 기초로 상기 무자각 안과검사를 실행하고, 상기 실행된 무자각 안과검사에 따른 사용자 반응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사용자 반응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무자각 안과검사를 통해 검측하고자 하는 시각능력에 대한 측정값인 사용자 시각능력 수치를 획득한다.
이때,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VR 콘텐츠를 프레임(frame) 단위로 분리하고, 상기 분리된 프레임을 기초로 상기 VR 콘텐츠의 구성에 따른 맞춤형 안과검사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맞춤형 안과검사를 상기 VR 콘텐츠에 기초하여 구현하는 무자각 안과검사 모듈을 설계하고, 상기 설계된 무자각 안과검사 모듈과 상기 VR 콘텐츠를 융합하여 상기 VR 무자각 안과검사 콘텐츠를 생성한다.
다른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R 콘텐츠 기반 무자각 안과검사 제공 방법은, VR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는 무자각 안과검사 애플리케이션이 VR 콘텐츠 기반 무자각 안과검사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적어도 일부 구간에 무자각 안과검사 모듈이 적용된 VR 콘텐츠를 실행하는 단계; 상기 VR 콘텐츠를 디스플레이를 제어하여 출력하는 단계; 상기 VR 콘텐츠의 적어도 일부 구간이 출력 도중 상기 무자각 안과검사 모듈이 실행되도록 제어하여 무자각 안과검사를 실행하는 단계; 상기 실행된 무자각 안과검사에 따른 사용자 반응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사용자 반응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무자각 안과검사를 통해 검측하고자 하는 시각능력에 대한 측정값인 사용자 시각능력 수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시각능력 수치에 따라서 상기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실행된 무자각 안과검사에 따른 사용자 반응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VR 콘텐츠에 포함된 VR 객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기 무자각 안과검사를 위한 VR 시표로 설정되고, 상기 설정된 VR 시표에 대한 사용자 반응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VR 콘텐츠의 적어도 일부 구간이 출력 도중 상기 무자각 안과검사 모듈이 실행되도록 제어하여 무자각 안과검사를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VR 콘텐츠 제공을 중단하고, 별도의 VR용 안과검사 콘텐츠를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R 콘텐츠 기반 무자각 안과검사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은, 기 구현되어 있는 VR 콘텐츠를 활용하여 무자각 안과검사를 수행함으로써, 수많은 종류의 안과검사 각각을 수행하기 위하여 각 안과검사 별로 특화된 VR 콘텐츠를 일일이 제작하거나 구축하지 않고도 기존의 VR 콘텐츠를 활용하여 편리하고 효율적인 무자각 안과검사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R 콘텐츠 기반 무자각 안과검사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은, 기존의 VR 콘텐츠를 활용하여 무자각 안과검사를 수행함으로써, 무자각 안과검사에 필요한 시간, 비용이나 노력 등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R 콘텐츠 기반 무자각 안과검사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은, 상기 VR 콘텐츠의 고유한 특성(예컨대, 영상 구성요소, 동작 프로세스 및/또는 영상 세팅값 등)을 활용하여 이에 최적화된 형태의 안과검사 프로세스를 설계하고 이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즉, 피검자)가 해당 VR 콘텐츠를 이용하는 것만으로도 해당 사용자에 대한 소정의 안과검사를 은연 중에 진행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안과검사를 수행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흥미도와 심리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R 콘텐츠 기반 무자각 안과검사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은, 사용자(즉, 피검자)가 VR 콘텐츠를 이용하는 것만으로도 소정의 안과검사를 은연 중에 진행함으로써, 안정적 상태에서의 진정한 사용자 시각능력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안과검사 결과의 정확성 및 신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R 콘텐츠 기반 무자각 안과검사 제공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R 단말의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R 단말의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자각 안과검사 모듈을 VR 콘텐츠에 추가하여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자각 안과검사 모듈이 추가된 VR 콘텐츠에 기초하여 무자각 안과검사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R 콘텐츠에 기초하여 무자각 안과검사를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일례들이다.
도 10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능력 이상상황 감지에 따른 피드백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일례들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R 콘텐츠 기반 무자각 안과검사 제공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R 콘텐츠 기반 무자각 안과검사 제공 시스템(10: 이하, 무자각 안과검사 제공 시스템)은, 기 구현되어 있는 VR 콘텐츠를 활용하여 무자각 안과검사를 수행하는 VR 콘텐츠 기반 무자각 안과검사 서비스(이하, 무자각 안과검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무자각 안과검사란, 사용자(즉, 실시예에서 피검자)가 상기 VR 콘텐츠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소정의 안과검사(예컨대, 시야검사, 외안근 검사, 복시검사 및/또는 대비감도 검사 등)를 은연 중에 수행하는 방식의 안과검사를 의미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이러한 무자각 안과검사를 제공하는 무자각 안과검사 제공 시스템(10)은, VR 단말(100), 무자각 안과검사 제공서버(400), VR 콘텐츠 제공서버(500) 및 네트워크(600: Network)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VR 단말(100), 무자각 안과검사 제공서버(400) 및 VR 콘텐츠 제공서버(500)는, 상기 네트워크(600)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네트워크(600)는, VR 단말(100), 무자각 안과검사 제공서버(400) 및/또는 VR 콘텐츠 제공서버(500) 등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600)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무자각 안과검사 제공 시스템(10)을 구현하는 VR 단말(100), 무자각 안과검사 제공서버(400) 및 VR 콘텐츠 제공서버(5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 VR 단말(100: VR Terminal)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R 단말(100)은, 무자각 안과검사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자각 안과검사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소정의 컴퓨팅 디바이스일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VR 단말(100)은,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 Head Mounted Display, HMD) 및/또는 VR 컨트롤러(300: VR controller)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상기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는, 사용자가 헬멧이나 안경을 착용하듯 착용한 후,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 내에 배치된 광학유닛과 디스플레이 모듈을 이용하여 해당하는 사용자의 눈 건강상태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일례로서의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는, 웨어러블 컴퓨터로 구현되거나 또는 웨어러블 컴퓨터(또한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wearable computing device)로 지칭되는)의 형태를 취한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상기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는, 무자각 안과검사와 관련된 소정의 가상현실 영상(VR: Virtual Reality)을 포함하는 VR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는, 위와 같이 출력되는 VR 콘텐츠에 반응한 사용자의 눈의 반응 또는/및 사용자의 입력 등을 사용자 반응 데이터로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는, 상기 생성된 사용자 반응 데이터를 직접 또는 외부의 장치(실시예에서, 무자각 안과검사 제공서버(400) 및/또는 VR 콘텐츠 제공서버(500) 등)로 송신하여 처리할 수 있고, 무자각 안과검사 결과를 도출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는, 사용자의 눈 건강상태를 측정하기 위하여 해당 사용자가 자유롭게 움직이거나 편안한 위치에서 무자각 안과검사를 수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는, 사용자의 무자각 안과검사를 가상현실(VR) 기기 형태로 구현함으로써, 별도의 아날로그 측정기기나 고가의 장비(예컨대, 시야측정기 등)가 없어도 VR 콘텐츠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눈 건강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는, 사용자의 눈 건강상태를 정규화된 자동 측정 형태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객관적인 측정 자료를 추출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정확한 눈 건강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R 단말(100)의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는, 메인바디(210)와, 메인바디(210)의 후면에 순차적으로 수납되는 디스플레이 모듈(220), 검안유닛(230), 광학유닛(240), 광학홀더(250), 하우징(260), 광간섭 방지유닛(270) 및 고정밴드(28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2에 도시된 구성들은,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의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여서, 실시예에 따라서 생략되는 구성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메인바디(210) 후면은 개구부가 형성되며 사용자의 얼굴이 접촉되는 방향을 가리키고, 메인바디(210)의 전면은 사용자의 시선방향을 의미한다.
먼저, 메인바디(210)는, 플라스틱 및/또는 금속의 단단한 구조(solid structure)로 형성되거나, 또는 배선 및 컴포넌트가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를 통해 내부적으로 라우팅되기 위해 상호 연결되도록 유사한 물질의 속이 빈 구조(hollow structure)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 도시한 215는 입력 모듈(215)이다. 입력 모듈(215)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를 (on)/오프(off)하거나, 무자각 안과검사와 관련된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자세히, 입력 모듈(215)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와 외부 시스템 사이의 통신을 진행하도록 하는 사용자 또는 측정자(실시예에서, 검사자)의 입력이나, 사용자가 눈 건강상태를 측정할 때 측정 종류의 변경 및 선택하는 사용자 또는 측정자의 입력 등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측정이 진행되고 있는 상태 또는 측정이 완료된 상태를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알람 형태의 LED 조명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고정밴드(280)는, 두 개의 고정밴드부로 도시하였지만, 이것은 고정된 것이 아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고정밴드(280)는, 메인바디(210)를 사용자의 얼굴에 고정할 수 있도록 헬멧 형태, 또는 사용자의 머리를 감싸면서 고정할 수 있도록 3개 이상의 밴드들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디스플레이 모듈(22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모듈(220)는, 무자각 안과검사를 수행하기 위해, 최종적으로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로 그래픽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듈(220)는,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 가상현실 영상에 기반한 VR 콘텐츠를 디스플레이하여, 이를 무자각 안과검사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220)의 패널이 단일 표시패널로 제공될 경우, 사용자의 좌안과 우안에 각각 대응되는 분리 영상들을 구현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적어도 2개 이상으로 분리된 표시패널로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검안유닛(230)은, 사용자의 다양한 눈 건강상태를 측정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센서, 복수개의 카메라,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의 프로세서 및 외부 시스템과의 통신을 할 수 있는 회로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검안유닛(230)은, 시각능력 측정을 받는 사용자의 눈을 추적하는 시선추적(eye tracking)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검안유닛(230) 내에는 사용자의 동공 움직임을 추적할 수 있는 카메라들이 실장될 수 있다.
또한, 검안유닛(230)은, VR 이미지에 따라 변화하는 사용자의 시선을 추적하여 시야측정, 외안근 능력 측정, 복시측정, 대비감도 능력 측정, 시력측정, 사시각측정, 외안근측정, 입체시측정 또는 링카스터측정 등의 무자각 안과검사를 수행에 기초가 되는 사용자 반응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자세히, 검안유닛(230)이 촬영한 사용자의 안구 영상은, 사용자 반응 데이터에 포함되어 외부의 장치로 송신될 수 있으며, 송신된 사용자 반응 데이터는 측정 결과의 기초가 될 수 있다.
즉, 눈 건강상태를 측정하기 위해 시행하는 추적하여 시야측정, 외안근 능력 측정, 복시측정, 대비감도 능력 측정, 시력측정, 사시각측정, 외안근측정, 입체시측정 또는 링카스터측정 등에 필요한 광조사 수단, 촬영 수단 등을 센서 모듈이나 카메라 모듈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검안유닛(230)은, 무자각 안과검사를 위해 사용자의 좌안과 우안에 광을 조사하고 이를 수광하여 사용자의 눈에 대한 굴절률 측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센서들 등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광학유닛(240)은, 검안유닛(230)과 하우징(260) 사이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무자각 안과검사 종류에 대응되는 가장 적합한 광학유닛(240)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유닛(240)은, 사용자의 무자각 안과검사가 시력측정인 경우 수정체의 굴절률 측정을 위한 광학렌즈를 선택적으로 교환 체결할 수 있다.
또한, 예시에서 광학유닛(240)은, 사용자의 안과 측정이 외안근측정 등 동공의 움직임 측정일 경우, 카메라에 의해 동공 움직임을 정밀하게 볼 수 있는 광학렌즈일 수 있다.
또한, 예시적으로 광학유닛(240)은, 편광 특성이 있는 다수의 렌즈들이 적층된 구조의 광학렌즈일 수 있다.
이러한 광학유닛(240)은, 광학홀더(250)에 고정되는데, 무자각 안과검사 종류에 따라 필요한 광학유닛(240)들은 광학홀더(250)에 탈부착되는 방식으로 교체될 수 있다.
다음으로, 하우징(260)은, 메인바디(210)의 개구부 방향으로 삽입되어, 디스플레이 모듈(220), 검안유닛(230), 광학유닛(240), 광학홀더(250) 또는/및 메인바디(210) 등을 광학적 얼라인을 유지시키면서 고정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사용자가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를 착용할 경우, 무자각 안과검사를 진행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와 사용자의 양안 사이의 공간을 제공한다.
따라서, 하우징(260) 내측은, 광간섭 방지유닛(270)에 의해 독립적으로 분리된 좌안 영역과 우안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260)의 내부면은, 무자각 안과검사를 위해 광반사가 낮고 광흡수율이 높은 재료가 코팅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하우징(260)은, 하우징(260)의 개구부측에 안면접촉보호부(261)를 배치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안면접촉보호부(261)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와 사용자의 얼굴 피부가 접촉하는 부분(즉, 하우징(260)의 개구부측 영역)에 형성되어,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와 사용자의 안면 간의 고정 및 완충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이러한 안면접촉보호부(261)는, 외부의 장치의 소독부(120)에 배치된 자외선 램프(UV LAMP) 및/또는 엘이디 램프(LED LAMP)로부터 방사되는 파장(빛)을 수용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살균 소독 처리가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안면접촉보호부(261)는, 사용자의 얼굴 피부와 접촉되는 부분이므로, 완충력이 높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소정의 오염으로부터 청결하게 보호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광간섭 방지유닛(270)은, 사용자의 무자각 안과검사를 위하여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를 좌안 영역과 우안 영역을 분리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비슷한 위치와 형태의 양안(두 개의 눈)을 가지고 있으나, 각각의 눈은 독립적으로 기능하기 때문에 눈 건강상태 역시 비슷하지만 일정 정도 다른 증상을 보인다. 따라서, 각각의 좌안과 우안에 대해 독립적인 무자각 안과검사가 수행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측정들이 있다.
그런데 이때 좌안에 대한 무자각 안과검사를 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광이 인접한 우안에 영향을 주거나 그 반대가 되는 경우, 정확하고 정밀한 무자각 안과검사를 진행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우안을 가리고 좌안만 측정하는 경우와, 반대의 경우 일 영역에서 출력되는 광이 타 영역으로 간섭한다면, 측정 결과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는, 광간섭 방지유닛(270)을 포함하여, 좌안 영역과 우안 영역 각각에서 발생되는 광을 서로의 영역으로 침범하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다.
이러한 광간섭 방지유닛(270)은,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를 좌안 영역과 우안 영역으로 분리하고, 각 영역에서 인접한 영역으로 진행하는 광을 차단시키는 광차단부(271)를 포함할 수 있다.
좀 더 광차단율을 높이기 위해 광간섭 방지유닛(270)은, 사용자가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를 착용했을 때, 광차단부(271)와 사용자의 좌안과 우안 사이의 영역(미간 영역)에서 발생하는 광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접촉 광차단부(272)를 포함할 수 있고, 광간섭 방지유닛(270)이 사용자의 미간 영역과 콧등 영역에 지지/고정되도록 하는 제1고정부(273)와 제2고정부(27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광차단부(271)는 단순히 착용자의 코에 지지되는 형태가 아닌, 사용자의 미간영역부터 인중까지의 형태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져,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를 착용하였을 때 좌안영역과 우안영역을 물리적으로 분리함으로써, 양 사이의 광이 유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광차단부(271)와 접촉 광차단부(272)는, 광반사가 적고 광흡수율이 높은 물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접촉 광차단부(272)는, 사용자의 얼굴 피부와 접촉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완충력이 높은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는, 눈 건강상태를 측정하는 영역에서 좌안 영역과 우안 영역을 광학적으로 분리함으로써, 측정 진행 시 발생될 수 있는 광간섭에 의한 측정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R 단말(100)의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의 내부 블록도이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기능적인 측면에서 보았을 때 실시예에 따른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는, 배터리 모듈(291), 통신 모듈(292), 센싱 모듈(293), 저장 모듈(294), 카메라 모듈(295), 입력 모듈(215), 디스플레이 모듈(220) 및 프로세서(296)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또한 필수적인 것이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 보다 적은 구성요소들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가 구현될 수 있다. 이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먼저, 프로세서(296: controller)는, 통상적으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292)를 제어하여 각종 신호를 송수신하거나 입력된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모듈(220) 내에 배치될 수 있는 영상출력 유닛 및/또는 음향출력 유닛을 제어하여 사용자 또는 측정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는, 사용자의 눈을 측정한 사용자 반응 데이터를 추출하고, 저장 모듈(294)에 저장된 눈 건강상태 자료를 기반으로 비교 및 직접 연산 작업을 수행한 후, 사용자의 눈 건강상태를 판단할 수도 있다.
또한, 배터리 모듈(291)는, 프로세서(296)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예를 들어, 배터리 모듈(291)는, 배터리 모듈, 연결포트, 전원공급 프로세서 및 충전 모니터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295)은,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촬영된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이미지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이미지 프레임은 저장 모듈(294)에 저장되거나 통신 모듈(292)를 통하여 외부 시스템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295)은, 사용자의 무자각 안과검사 종류 또는 측정 환경에 따라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시력측정을 하는 경우, 동공을 모니터링 하는 용도로 카메라가 사용될 수 있고, 사용자의 안구 운동을 추적하는 경우에는 안구 움직임 궤적을 따라 촬영을 수행할 수 있는 카메라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듈(292)는, 외부 시스템인 외부의 장치와의 유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외부 시스템은 다른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이러한 통신 모듈(292)는,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위치정보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센싱 모듈(293)는, 주변환경을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 가속 센서 및/또는 근접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에서는 무자각 안과검사를 위해 사용자의 눈에 조사하는 광을 발생하고, 수광하는 광학센서들을 적어도 2개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 모듈(294)은, 무자각 안과검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운영체제(OS), 각종 응용 프로그램, 데이터 및 명령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저장할 수 있다.
즉, 저장 모듈(294)은, 프로세서(296)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및/또는 명령어 등을 저장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저장 모듈(294)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에 기반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서 위와 같은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를 포함하는 VR 단말(100)은, 유/무선으로 상기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와 연결되는 외부 입력 모듈인 VR 컨트롤러(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상기 VR 컨트롤러(300)는, 무자각 안과검사 진행에 따라서 사용자의 의사를 도출하는 입력을 감지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VR 컨트롤러(30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시점과 입력한 값을 기록하여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나 외부의 장치(실시예에서, 무자각 안과검사 제공서버(400) 및/또는 VR 콘텐츠 제공서버(500) 등)로 기록된 입력값을 송신하며, 송신된 입력값은 사용자 반응 데이터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VR 단말(100)은, 후술되는 무자각 안과검사 제공서버(400) 및/또는 VR 콘텐츠 제공서버(500)에서 수행하는 기능 동작의 적어도 일부를 더 수행할 수도 있다.
- 무자각 안과검사 제공서버(400: Subconscious ophthalmologic examination providing serv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자각 안과검사 제공서버(400)는, 무자각 안과검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일련의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무자각 안과검사 제공서버(400)는, 상술된 VR 단말(100) 등과 같은 외부의 장치에서 무자각 안과검사 프로세스를 제공하는 일련의 과정이 구동되게 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상기 외부의 장치와 교환함으로써 상기 무자각 안과검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실시예에서 무자각 안과검사 제공서버(400)는, 외부의 장치(실시예에서, VR 단말(100) 및/또는 VR 콘텐츠 제공서버(500) 등)에서 무자각 안과검사 애플리케이션이 동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무자각 안과검사 제공서버(400)는, 무자각 안과검사 애플리케이션이 동작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 데이터 및/또는 명령어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이에 기초한 데이터를 상기 외부의 장치와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무자각 안과검사 제공서버(400)는, 소정의 VR 콘텐츠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자각 안과검사 모듈을 추가하여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무자각 안과검사 모듈이란, 소정의 VR 콘텐츠에 최적화된 맞춤형 무자각 안과검사 서비스를 구현하는 모듈을 의미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무자각 안과검사 제공서버(400)는, VR 무자각 안과검사 콘텐츠 생성서버(41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실시예에 따른 상기 VR 무자각 안과검사 콘텐츠 생성서버(410)는, 소정의 VR 콘텐츠를 프레임(frame) 단위로 분리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VR 무자각 안과검사 콘텐츠 생성서버(410)는, VR 콘텐츠 제공서버(500)와 연동하여 소정의 VR 콘텐츠를 획득할 수 있고, 상기 획득된 VR 콘텐츠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레임으로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상기 VR 무자각 안과검사 콘텐츠 생성서버(410)는, 상기 분리된 프레임을 기초로 맞춤형 안과검사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맞춤형 안과검사란, 소정의 VR 콘텐츠의 특성(예컨대, 영상 구성요소, 동작 프로세스 및/또는 영상의 밝기, 화소 및/또는 명암 등을 설정한 영상 세팅값 등과 같은 기 구성)을 활용하여 수행하기에 적합한 안과검사(예컨대, 시야검사, 외안근 검사, 복시검사 및/또는 대비감도 검사 등)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상기 VR 무자각 안과검사 콘텐츠 생성서버(410)는, 상기 결정된 맞춤형 안과검사에 따른 무자각 안과검사 모듈을 설계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상기 VR 무자각 안과검사 콘텐츠 생성서버(410)는, 상기 설계된 무자각 안과검사 모듈에 기초하여 VR 무자각 안과검사 콘텐츠를 생성 및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상기 VR 무자각 안과검사 콘텐츠란, 소정의 VR 콘텐츠와 상기 VR 콘텐츠에 대하여 설계된 무자각 안과검사 모듈을 융합하여 생성되는 VR 콘텐츠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실시예에서 무자각 안과검사 제공서버(400)는, 위와 같은 VR 무자각 안과검사 콘텐츠 생성서버(410)와 연동하여 소정의 VR 콘텐츠에 상기 무자각 안과검사 모듈을 추가해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서 무자각 안과검사 제공서버(400)는, 상술된 바와 같이 무자각 안과검사 모듈이 추가된 VR 콘텐츠에 기초한 무자각 안과검사를 제공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무자각 안과검사 제공서버(400)는, 무자각 VR 안과검사 수행서버(420)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실시예에 따른 상기 무자각 VR 안과검사 수행서버(420)는, 상술된 VR 무자각 안과검사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상기 무자각 VR 안과검사 수행서버(420)는, 상기 출력된 VR 무자각 안과검사 콘텐츠에 기초한 무자각 안과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상기 무자각 VR 안과검사 수행서버(420)는, 상기 수행된 무자각 VR 안과검사에 기초한 사용자 반응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사용자 반응 데이터란, 상술된 바와 같은 무자각 VR 안과검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획득되는 사용자의 반응을 수집한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상기 무자각 VR 안과검사 수행서버(420)는, 상기 획득된 사용자 반응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 시각능력 수치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사용자 시각능력 수치란, 상기 사용자 반응 데이터에 기초하여 검측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시각능력(예컨대, 사용자에 대한 시야 지각능력, 외안근 사용능력, 시각적 민감도, 자극 추적능력, 시각적 지구력 및/또는 시각적 감지력 등) 정도를 정량적으로 산출한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상기 무자각 VR 안과검사 수행서버(420)는, 위와 같이 획득된 사용자 시각능력 수치를 기초로 시각능력 이상상황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상기 무자각 VR 안과검사 수행서버(420)는, 상기 시각능력 이상상황이 감지됨에 따른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상기 무자각 VR 안과검사 수행서버(420)는, 상기 시각능력 이상상황이 감지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과검사 삽입 콘텐츠 및/또는 알림 콘텐츠 등을 포함하는 소정의 피드백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실시예에서 무자각 안과검사 제공서버(400)는, 위와 같은 무자각 VR 안과검사 수행서버(420)와 연동하여 상기 무자각 안과검사 모듈이 추가된 VR 콘텐츠에 기초한 무자각 안과검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무자각 안과검사 제공서버(400)는, 무자각 안과검사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각종 응용 프로그램, 명령어 및/또는 데이터 등을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실시예로, 무자각 안과검사 제공서버(4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VR 콘텐츠, 맞춤형 안과검사, 특성-안과검사 매칭 데이터, 무자각 안과검사 모듈, 안과검사 유도객체, 추가 유도객체, 사용자 반응 수집항목, 목표 시각능력 항목, VR용 안과검사 콘텐츠, 안과검사 삽입 콘텐츠, VR 무자각 안과검사 콘텐츠, 사용자 반응 데이터, 사용자 시각능력 수치 및/또는 피드백 콘텐츠 등을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안과검사 유도객체는, VR 안과검사시 사용자가 주시하거나 인지해야하는 VR 시표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서 위와 같은 무자각 안과검사 제공서버(400)는, 데이터 처리를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프로세서 모듈(Processor Module)과, 외부의 장치와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커뮤니케이션 모듈(Communication Module)과, 무자각 안과검사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각종 응용 프로그램, 데이터 및/또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메모리 모듈(Memory Module)을 포함하는 소정의 컴퓨팅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자각 안과검사 제공서버(400)가 상술된 바와 같은 기능 동작을 수행한다고 설명하였으나, 실시예에 따라서 무자각 안과검사 제공서버(400)에서 수행하는 기능 동작의 적어도 일부를 외부의 장치(예컨대, VR 단말(100) 및/또는 VR 콘텐츠 제공서버(500) 등)에서 수행할 수도 있고, 상기 외부의 장치에서 수행하는 기능 동작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무자각 안과검사 제공서버(400)에서 더 수행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할 수 있다.
- VR 콘텐츠 제공서버(500: VR contents providing serv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R 콘텐츠 제공서버(500)는, 무자각 안과검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소정의 VR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VR 콘텐츠 제공서버(500)는, 무자각 안과검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소정의 VR 콘텐츠를 외부의 장치(실시예로, VR 단말(100) 및/또는 무자각 안과검사 제공서버(400) 등)로 송신하여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상기 VR 콘텐츠(Virtual Reality Contents)란, 가상현실에 기반하여 제공되는 디지털 방식의 문자, 부호, 음성, 음향, 이미지 및/또는 영상 등의 정보 또는 그 모든 내용물을 의미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도 1을 더 참조하면, 이러한 무자각 안과검사 제공서버(400)는, 데이터 처리를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프로세서 모듈(510: Processor Module)과, 외부의 장치와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커뮤니케이션 모듈(520: Communication Module)과, 소정의 VR 콘텐츠의 제공을 위한 각종 응용 프로그램, 데이터 및/또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메모리 모듈(530: Memory Module)을 포함하는 소정의 컴퓨팅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메모리 모듈(530)은, 무자각 안과검사 서비스에 활용되는 소정의 VR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운영체제(OS), 각종 응용 프로그램, 데이터 및 명령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메모리 모듈(530)은,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 영역은, VR 단말(100)을 부팅하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및 기능요소들 사이에 연계될 수 있으며, 데이터 영역은, VR 단말(100)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이러한 제2 메모리 모듈(530)은, ROM,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하드 드라이브 등과 같은 다양한 저장기기일 수 있고,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제2 메모리 모듈(53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일 수도 있다.
또한, 제2 메모리 모듈(530)은, VR 콘텐츠 제공서버(500) 상에 탈착 가능한 형태의 기록매체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프로세서 모듈(510)은, 무자각 안과검사 서비스에 활용되는 VR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하여 전술한 각 유닛(unit)의 전반적인 동작을 컨트롤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프로세서 모듈(510)은, 중앙처리장치(CPU) 및/또는 그래픽처리장치(GPU) 등이 포함된 VR 단말(100)에 적합한 시스템 온 칩(SOC)일 수 있으며, 제2 메모리 모듈(530)에 저장된 운영체제(OS) 및/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실행할 수 있고, VR 콘텐츠 제공서버(500) 상에 탑재된 각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2 프로세서 모듈(510)은, 각 구성요소와 내부적으로 시스템 버스(System Bus)에 의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로컬 버스(Local Bus)를 비롯한 소정의 버스 구조들을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프로세서 모듈(510)은,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스(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R 콘텐츠 제공서버(500)가 상술된 바와 같은 기능 동작을 수행한다고 설명하였으나, 실시예에 따라서 VR 콘텐츠 제공서버(500)에서 수행하는 기능 동작의 적어도 일부를 외부의 장치(예컨대, VR 단말(100) 및/또는 무자각 안과검사 제공서버(400) 등)에서 수행할 수도 있고, 상기 외부의 장치에서 수행하는 기능 동작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VR 콘텐츠 제공서버(500)에서 더 수행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할 수 있다.
- 무자각 안과검사 모듈을 VR 콘텐츠에 추가하여 제공하는 방법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R 단말(100)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는 무자각 안과검사 애플리케이션(이하, 애플리케이션)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자각 안과검사 모듈을 소정의 VR 콘텐츠에 추가하여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무자각 안과검사 모듈이란, 소정의 VR 콘텐츠에 최적화된 맞춤형 무자각 안과검사 서비스를 구현하는 모듈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VR 콘텐츠(Virtual Reality Contents)란, 가상현실에 기반하여 제공되는 디지털 방식의 문자, 부호, 음성, 음향, 이미지 및/또는 동영상 등의 정보 또는 그 모든 내용물을 의미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이러한 VR 콘텐츠는, 소정의 VR 게임 콘텐츠 및/또는 VR 비디오 콘텐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돌아와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VR 단말(100)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저장 모듈(294)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거나 백그라운드 상태로 동작하게 할 수 있다.
이하,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명령어를 실행하기 위해 동작하여 상술된 무자각 안과검사 모듈을 소정의 VR 콘텐츠에 추가해 제공하는 방법을 수행하는 것을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수행하는 것으로 단축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자각 안과검사 모듈을 VR 콘텐츠에 추가하여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상기 VR 단말(100)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거나 백그라운드 상태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은, VR 콘텐츠를 프레임(frame) 단위로 분리할 수 있다. (S101)
자세히,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은, VR 콘텐츠 제공서버(500)와 연동하여 소정의 VR 콘텐츠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획득된 VR 콘텐츠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레임으로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상기 프레임이란, VR 콘텐츠가 포함하는 영상에서의 한 순간의 완전한 화상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분리된 프레임을 기초로 맞춤형 안과검사를 결정할 수 있다. (S103)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맞춤형 안과검사란, 소정의 VR 콘텐츠의 특성(예컨대, 영상 구성요소, 동작 프로세스 및/또는 영상의 밝기, 화소 및/또는 명암 등을 설정한 영상 세팅값 등과 같은 기 구성)을 활용하여 수행하기에 적합한 안과검사(예컨대, 시야검사, 외안근 검사, 복시검사 및/또는 대비감도 검사 등)를 의미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VR 콘텐츠를 프레임 단위로 분리하여 획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각 프레임을 기초로 상기 VR 콘텐츠에 대한 맞춤형 안과검사를 결정할 수 있다.
실시예로,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VR 콘텐츠의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에 기초하여 상기 VR 콘텐츠의 특성(이하, VR 콘텐츠 특성)을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VR 콘텐츠의 제1 프레임 내지 제10 프레임을 분석하여 상기 VR 콘텐츠에 대한 영상 구성요소, 동작 프로세스 및/또는 영상 세팅값 등을 포함하는 VR 콘텐츠 특성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은, 위와 같이 검출된 VR 콘텐츠 특성에 따른 맞춤형 안과검사를 결정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은, 복수의 VR 콘텐츠 특성 별로 매칭되는 맞춤형 안과검사를 기 설정한 정보인 복수의 특성-안과검사 매칭 데이터를 기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애플리케이션은, 소정의 제1 VR 콘텐츠 특성이 상기 제1 VR 콘텐츠가 '지속적으로 주시해야하는 감시객체가 존재하고 순간적으로 생성되어 반응해야하는 반응객체가 적어도 하나 존재하는 영상'임을 나타내는 경우, 상기 제1 VR 콘텐츠 특성에 매칭되는 맞춤형 안과검사를 '시야검사'로 기 설정한 특성-안과검사 매칭 데이터를 기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은, 위와 같이 기 생성되어 있는 복수의 특성-안과검사 매칭 데이터와 상술된 바와 같이 검출된 VR 콘텐츠 특성을 비교할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비교를 통하여 상기 VR 콘텐츠 특성에 대응되는 VR 콘텐츠 특성을 가지는 특성-안과검사 매칭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추출된 특성-안과검사 매칭 데이터가 포함하는 맞춤형 안과검사를 해당하는 VR 콘텐츠에 대한 맞춤형 안과검사로 설정함으로써, 상기 VR 콘텐츠에 대한 맞춤형 안과검사를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애플리케이션은, 특정 VR 콘텐츠의 고유한 특성(예컨대, 영상 구성요소, 동작 프로세스 및/또는 영상 세팅값 등)을 고려하여 해당 VR 콘텐츠가 포함하는 기존의 구성들을 활용해 진행하기에 적합한 안과검사를 결정함으로써, 추후 기 구현되어 있는 VR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재구성 및/또는 활용한 VR 기반의 무자각 안과검사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은, 위와 같이 결정된 맞춤형 안과검사에 따른 무자각 안과검사 모듈을 설계할 수 있다. (S105)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무자각 안과검사 모듈이란, 상술된 바와 같이 결정된 맞춤형 안과검사를 해당하는 VR 콘텐츠에 기초하여 수행하기 위한 각종 파라미터 및/또는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모듈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실시예에서 상기 무자각 안과검사 모듈은, 상기 결정된 맞춤형 안과검사를 상기 VR 콘텐츠를 기초로 수행하기 위한 각종 파라미터 및/또는 프로세스를 제공하여 상기 VR 콘텐츠에 최적화된 맞춤형 무자각 안과검사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는 모듈일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VR 콘텐츠를 활용하여 상기 맞춤형 안과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각종 파라미터 및/또는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무자각 안과검사 모듈을 설계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애플리케이션은, 1) 적어도 하나의 안과검사 유도객체를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안과검사 유도객체란, 상기 VR 콘텐츠에 기초한 상기 맞춤형 안과검사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소정의 객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안과검사 유도객체는, VR 안과검사시 사용자가 주시하거나 인지해야하는 VR 시표를 의미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이러한 안과검사 유도객체는, 상기 맞춤형 안과검사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적어도 하나의 특성을 보유하고 있는 소정의 객체일 수 있으며, 상기 VR 콘텐츠가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레임에 매칭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안과검사 유도객체는, 상기 맞춤형 안과검사가 '시야검사'인 경우, 상기 VR 콘텐츠의 영상에서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주시해야하는 감시객체로서의 역할을 하는 제1 객체와, 순간적으로 생성되어 반응해야하는 반응객체로서의 역할을 하는 제2 객체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VR 콘텐츠 내 소정의 영상 구성요소(예컨대, 소정의 객체 등)가 상기 맞춤형 안과검사의 진행에 필요한 특성을 포함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맞춤형 안과검사가 '시야검사'인 경우, 상기 VR 콘텐츠 내 제1 영상 구성요소가 해당 영상의 중심에서 소정의 크기로 지속적으로 표시되는 특성을 가지고, 상기 VR 콘텐츠 내 제2 영상 구성요소가 상기 제1 영상 구성요소의 소정의 주변영역 상에서 소정의 크기로 우발적으로 생성 및 표시되는 특성을 가지면, 상기 제1 영상 구성요소와 상기 제2 영상 구성요소를 상기 맞춤형 안과검사의 진행에 적합한 특성을 포함하는 영상 구성요소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맞춤형 안과검사 진행에 적합한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판단된 적어도 하나의 영상 구성요소를 상기 안과검사 유도객체로 설정할 수 있다.
예시에서,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영상 구성요소와 상기 제2 영상 구성요소를 상기 안과검사 유도객체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애플리케이션은, 해당 맞춤형 안과검사를 위한 별도의 구성(예컨대, 소정의 객체 및/또는 해당 객체에 대한 동작 프로세스 등)을 따로 생성하거나 구축하기 않고도 기존 VR 콘텐츠가 포함하는 구성을 활용하여 효율적이고 편리하게 안과검사를 위한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실시예에 따라서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맞춤형 안과검사 진행에 적합한 특성을 가지는 것으로 판단된 적어도 하나의 영상 구성요소에 소정의 변형을 수행하여 상기 안과검사 유도객체로 설정할 수도 있다.
실시예로,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영상 구성요소 각각의 색상, 크기 및/또는 형태 등에 소정의 변형을 가한 후, 상기 안과검사 유도객체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애플리케이션은, 기존 VR 콘텐츠의 구성 중 적어도 일부를 해당 맞춤형 안과검사에 보다 적합한 형태로 변환하여 사용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해당 맞춤형 안과검사 진행을 위해 필요한 별도의 설계 비용을 절감함과 동시에 그 품질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은, 위와 같이 설정된 안과검사 유도객체가 소정의 기준(예컨대, 소정의 개수 이하 등)를 충족하면, 추가 유도객체를 상기 안과검사 유도객체에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추가 유도객체란, 소정의 안과검사(예컨대, 시야검사, 외안근 검사, 복시검사 및/또는 대비감도 검사 등) 별로 매칭되어 상술된 안과검사 유도객체로서 기능할 수 있도록 기 생성되어 있는 소정의 객체를 의미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은, 소정의 안과검사 별 추가 유도객체를 기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소정의 안과검사가 '시야검사'인 경우, 특정 VR 콘텐츠의 영상의 중심에서 소정의 크기로 지속적으로 표시되는 특성을 가지는 제1 추가 유도객체를 생성하고, 상기 제1 추가 유도객체의 소정의 주변영역 상에서 소정의 크기로 우발적으로 생성 및 표시되는 특성을 가지는 제2 추가 유도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예시에서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생성된 제1 추가 유도객체 및 제2 추가 유도객체를 상기 '시야검사'에 매칭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해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은, 위와 같이 설정된 안과검사 유도객체가 소정의 기준(예컨대, 소정의 개수 이하 등)를 충족하는 경우, 상술된 바와 같이 기 생성 및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추가 유도객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안과검사 유도객체에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애플리케이션은, 상술된 바와 같이 결정된 맞춤형 안과검사(예컨대, 시야검사, 외안근 검사, 복시검사 및/또는 대비감도 검사 등)에 대응되는 안과검사 카테고리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추가 유도객체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맞춤형 안과검사가 '시야검사'인 경우, 상기 시야검사에 매칭되어 기 생성 및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추가 유도객체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검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추가 유도객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안과검사 유도객체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로,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맞춤형 안과검사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적어도 하나의 특성 중에서 상기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안과검사 유도객체에 미포함된 특성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검출된 특성에 대응되는 특성을 가지는 추가 유도객체를 상기 검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추가 유도객체 중에서 색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맞춤형 안과검사가 '시야검사'이고 상기 VR 콘텐츠의 영상에서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주시해야하는 감시객체로서의 역할을 하는 소정의 객체가 상기 안과검사 유도객체에 미포함된 경우, 상기 '시야검사'에 매칭되어 기 생성 및 저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추가 유도객체 중에서 상기 감시객체로서의 특성을 가지는 추가 유도객체를 색출할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색출된 추가 유도객체를 상기 안과검사 유도객체에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애플리케이션은, 기존 VR 콘텐츠에 구축되어 있는 구성만으로는 해당 맞춤형 안과검사를 구현하기 어려운 경우, 상기 맞춤형 안과검사 진행을 보조할 수 있는 추가 유도객체를 상술된 안과검사 유도객체에 더 포함시키고 이를 추후 상기 기존 VR 콘텐츠에 적용함으로써, 해당하는 기존 VR 콘텐츠를 상기 맞춤형 안과검사의 진행을 위한 보다 최적화된 형태로 구현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은, 2) 사용자 반응 수집항목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사용자 반응 수집항목이란, 상술된 바와 같이 설정된 안과검사 유도객체 등을 기초로 상기 맞춤형 안과검사를 수행하여 수집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반응을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이러한 사용자 반응 수집항목은, 사용자의 시선 추적 데이터, 동공 크기 데이터 및/또는 블링크(blink) 데이터 등을 포함하는 아이트래킹 정보, 소정의 입력 장치(예컨대, VR 컨트롤러(300) 등)에 기반한 사용자 입력정보 및/또는 사용자의 혈압, 체온 및/또는 심박수 등을 포함하는 신체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VR 콘텐츠에 기초한 상기 맞춤형 안과검사를 통해 수집하고자 하는 상기 사용자 반응 수집항목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맞춤형 안과검사가 '시야검사'인 경우, 상기 아이트래킹 정보 및 상기 사용자 입력정보를 상기 사용자 반응 수집항목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VR 콘텐츠를 이용하여 수행하고자 하는 안과검사가 무엇인지에 따라서 필요시되는 사용자 반응이 무엇인지를 설정하고 추후 설정된 사용자 반응을 해당 VR 콘텐츠를 이용한 안과검사의 진행 과정에서 수집하여, 효율적/체계적으로 동작하는 VR 콘텐츠 기반 안과검사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은, 3) 목표 시각능력 항목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상기 목표 시각능력 항목이란, 해당하는 맞춤형 안과검사의 유형(예컨대, 시야검사, 외안근 검사, 복시검사 및/또는 대비감도 검사 등) 별로 검측할 필요성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시각능력을 설정한 정보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이러한 목표 시각능력 항목은, 상술된 바와 같이 설정된 사용자 반응 수집항목 별로 수집된 데이터 값(이하, 사용자 반응 데이터)을 토대로 검측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시각능력을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다.
실시예로, 상기 목표 시각능력 항목은, 사용자에 대한 시야 지각능력, 외안근 사용능력, 시각적 민감도, 자극 추적능력, 시각적 지구력 및/또는 시각적 감지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은, 위와 같은 복수의 시각능력 중에서 상기 맞춤형 안과검사에 필요한 시각능력을 선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맞춤형 안과검사가 '시야검사'인 경우, 상기 복수의 시각능력 중에서 상기 '시야검사'에 필요한 적어도 하나의 시각능력(예컨대, 시야 지각능력, 시각적 민감도 및/또는 시각적 감지력 등)을 선별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은, 위와 같이 선별된 적어도 하나의 시각능력을 상기 사용자 반응 데이터를 분석하여 검측하고자 하는 상기 목표 시각능력 항목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하여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은, 추후 상기 VR 콘텐츠에 기반한 상기 맞춤형 안과검사를 수행해 획득된 사용자 반응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맞춤형 안과검사의 유형(예컨대, 시야검사, 외안근 검사, 복시검사 및/또는 대비감도 검사 등)에 따라서 검측할 필요가 있는 데이터 값 즉, 목표 시각능력 항목 별 데이터 값(이하, 사용자 시각능력 수치)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은, 4) 적어도 하나의 안과검사 삽입 콘텐츠를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안과검사 삽입 콘텐츠란, 소정의 안과검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해당하는 VR 콘텐츠의 제공을 중단하고 실행되는 VR용 안과검사 콘텐츠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안과검사 삽입 콘텐츠는, VR용 시야검사 콘텐츠, VR용 외안근 검사 콘텐츠, VR용 복시검사 콘텐츠 및/또는 VR용 대비감도 검사 콘텐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은, 복수의 VR용 안과검사 콘텐츠(예컨대, VR용 시야검사 콘텐츠, VR용 외안근 검사 콘텐츠, VR용 복시검사 콘텐츠 및/또는 VR용 대비감도 검사 콘텐츠 등)를 메모리(110)에 기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메모리(110)에 기 저장되어 있는 복수의 VR용 안과검사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VR 콘텐츠에 대한 안과검사 삽입 콘텐츠로 설정할 수 있다.
실시예로,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VR 콘텐츠에 대한 맞춤형 안과검사에 대응되는 VR용 안과검사 콘텐츠를 상기 안과검사 삽입 콘텐츠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VR 콘텐츠에 대한 맞춤형 안과검사가 '시야검사'인 경우, 상기 '시야검사'에 대응되는 VR용 안과검사 콘텐츠인 'VR용 시야검사 콘텐츠'를 상기 안과검사 삽입 콘텐츠로 설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은, 추후 상기 VR 콘텐츠에 기초한 무자각 안과검사를 수행하는 도중에 해당 사용자(실시예에서, 피검자)의 시각능력에 소정의 이상이 감지되면, 이에 대하여 보다 정밀한 안과검사를 진행하게 할 수 있는 상기 VR용 안과검사 콘텐츠를 상기 안과검사 삽입 콘텐츠로서 제공할 수 있다.
정리하면, 즉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은,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VR 콘텐츠를 기초로 상기 맞춤형 안과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각종 파라미터 및/또는 프로세스를 설정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VR 콘텐츠에 대하여 결정된 맞춤형 안과검사에 따른 무자각 안과검사 모듈을 설계할 수 있다.
따라서, 애플리케이션은, 다양한 형태의 기존 VR 콘텐츠 별 특성에 따라서 적응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맞춤형 무자각 안과검사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은, 위와 같이 설계된 무자각 안과검사 모듈을 기초로 VR 무자각 안과검사 콘텐츠를 생성 및 제공할 수 있다. (S107)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상기 VR 무자각 안과검사 콘텐츠란, 소정의 VR 콘텐츠와 상기 VR 콘텐츠에 대하여 설계된 무자각 안과검사 모듈을 융합하여 생성되는 VR 콘텐츠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실시예에서 상기 VR 무자각 안과검사 콘텐츠는, 해당하는 VR 콘텐츠를 제공함과 동시에 해당 VR 콘텐츠를 활용하여 수행하기 적합한 맞춤형 안과검사 기능을 제공하는 VR 콘텐츠일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VR 콘텐츠와 상기 VR 콘텐츠에 대하여 설계된 무자각 안과검사 모듈을 융합하여 상기 VR 콘텐츠에 기반한 상기 VR 무자각 안과검사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로,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VR 콘텐츠에 상기 무자각 안과검사 모듈을 일 구성요소로서 포함시켜 상기 VR 무자각 안과검사 콘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자각 안과검사 제공서버(400)가 상기 VR 콘텐츠에 대한 무자각 안과검사 모듈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무자각 안과검사 모듈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R 콘텐츠 제공서버(500)로 송신하고, 상기 무자각 안과검사 모듈을 수신한 VR 콘텐츠 제공서버(500)가 상기 수신된 무자각 안과검사 모듈을 상기 VR 콘텐츠와 융합하여 상기 VR 무자각 안과검사 콘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VR 무자각 안과검사 콘텐츠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R 단말(100)로 제공하여 상술된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VR 무자각 안과검사 콘텐츠를 동작할 수 있는 등 다양한 실시예 또한 가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애플리케이션은, 기 구축되어 있는 VR 콘텐츠 상에 해당 VR 콘텐츠를 활용하여 수행하기 적합한 안과검사를 적용할 수 있는 무자각 안과검사 모듈을 융합한 VR 무자각 안과검사 콘텐츠를 생성함으로써, 무자각 안과검사를 위한 별도의 VR 콘텐츠를 따로 제작하거나 구축하지 않고도 기존의 VR 콘텐츠를 활용한 무자각 안과검사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무자각 안과검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시간, 비용이나 노력 등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은, 위와 같이 생성된 VR 무자각 안과검사 콘텐츠를 소정의 방식(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출력 등)으로 제공할 수 있다.
- 무자각 안과검사 모듈이 추가된 VR 콘텐츠를 기초로 무자각 안과검사를 제공하는 방법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R 단말(100)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자각 안과검사 모듈이 추가된 VR 콘텐츠(즉, 실시예에서 VR 무자각 안과검사 콘텐츠)를 기초로 무자각 안과검사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자각 안과검사 모듈이 추가된 VR 콘텐츠에 기초하여 무자각 안과검사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상기 VR 단말(100)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거나 백그라운드 상태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은, VR 무자각 안과검사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S201)
자세히,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은, 상술된 바와 같이 생성된 VR 무자각 안과검사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로, 애플리케이션은,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200)의 디스플레이 모듈(220)과 연동하여 상기 VR 무자각 안과검사 콘텐츠를 디스플레이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출력되는 VR 무자각 안과검사 콘텐츠는, 해당 VR 무자각 안과검사 콘텐츠의 특성(예컨대, 영상 구성요소, 동작 프로세스(예컨대, 소정의 게임 플레이 프로세스 등) 및/또는 영상의 밝기, 화소 및/또는 명암 등을 설정한 영상 세팅값 등)에 따라서 실행되며 디스플레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출력된 VR 무자각 안과검사 콘텐츠에 기초한 무자각 안과검사(이하, 무자각 VR 안과검사)를 실행할 수 있다. (S203)
다시 말하자면, 실시예에 따른 상기 무자각 안과검사란, 사용자(즉, 실시예에서 피검자)가 상기 VR 콘텐츠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소정의 안과검사(예컨대, 시야검사, 외안근 검사, 복시검사 및/또는 대비감도 검사 등)를 은연 중에 수행하는 방식의 안과검사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실시예에서 상기 무자각 안과검사는, 상기 VR 무자각 안과검사 콘텐츠를 구성하는 상기 VR 콘텐츠의 기 구성을 활용하여 소정의 안과검사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사용자가 상기 VR 무자각 안과검사 콘텐츠를 이용하면 상기 사용자가 인지하지 않고도 상기 사용자에 대한 상기 소정의 안과검사를 수행할 수 있는 안과검사 방식일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VR 무자각 안과검사 콘텐츠를 출력하는 과정에서, 상기 VR 무자각 안과검사 콘텐츠가 포함하는 VR 안과검사 모듈에 기초하여 상기 VR 무자각 안과검사 콘텐츠 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에 기반한 무자각 VR 안과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실시예로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VR 무자각 안과검사 콘텐츠가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레임 중에서 상술된 맞춤형 안과검사 결정에 관여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추출된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에 기초하여 상술된 바와 같이 결정된 안과검사 유도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애플리케이션은, 소정의 제1 VR 무자각 안과검사 콘텐츠 내 복수의 프레임 중에서 상기 제1 VR 무자각 안과검사 콘텐츠에 대한 맞춤형 안과검사를 결정할 시 관여된 제1 내지 제10 프레임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본 예시에서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추출된 제1 내지 제10 프레임을 기초로 상기 제1 VR 무자각 안과검사 콘텐츠에 대하여 설정된 적어도 하나의 안과검사 유도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맞춤형 안과검사가 '시야검사'인 경우, 상기 제1 내지 제10 프레임 상에 상기 제1 VR 무자각 안과검사 콘텐츠의 영상에서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주시해야하는 감시객체로서의 역할을 하는 제1 객체와, 순간적으로 생성되어 반응해야하는 반응객체로서의 역할을 하는 제2 객체를 포함하는 안과검사 유도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은, 위와 같이 표시된 안과검사 유도객체에 기반하여 상기 맞춤형 안과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R 콘텐츠에 기초하여 무자각 안과검사를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일례들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실시예로,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맞춤형 안과검사가 '시야검사'인 경우, 상기 VR 무자각 안과검사 콘텐츠 내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이하, 활성화 프레임)을 기초로, 해당 활성화 프레임의 영상(50)의 중심에서 소정의 크기로 지속적으로 표시되어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주시해야하는 제1 객체(1)와, 상기 제1 객체(1)의 소정의 주변영역 상에서 소정의 크기로 우발적으로 생성 및 표시되어 사용자가 소정의 반응을 수행해야하는 제2 객체(2)를 포함하는 안과검사 유도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제2 객체(2)가 불규칙적으로 생성되어 상기 활성화 프레임 상에 표시될 시 해당 VR 무자각 안과검사 콘텐츠에 대하여 설정된 사용자 반응 수집항목(예컨대, VR 컨트롤러(300)에 기초한 소정의 사용자 입력 등)을 획득함으로써, 상기 VR 무자각 안과검사 콘텐츠에 기초한 '시야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로,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맞춤형 안과검사가 '외안근 검사'인 경우, 상기 활성화 프레임을 기초로, 해당 활성화 프레임의 영상(50) 내 모든 영역에 걸쳐 순회 이동을 수행하여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추적해야하는 제3 객체(3)를 포함하는 안과검사 유도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제3 객체(3)가 순회 이동함에 따라서 상기 사용자 반응 수집항목(예컨대, 상기 제3 객체(3)를 추적하는 사용자의 시선(3-1) 등)을 획득함으로써 상기 VR 무자각 안과검사 콘텐츠에 기초한 '외안근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3 실시예로,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맞춤형 안과검사가 '복시검사'인 경우, 상기 활성화 프레임에 기초하여, 해당 활성화 프레임에 대한 좌안 영상 상에 표시되는 제4 객체(4)(예컨대, 창틀 객체 등)와 해당 활성화 프레임에 대한 우안 영상 상에 표시되는 제5 객체(5)(예컨대, 커튼 객체 등)를 포함하는 안과검사 유도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표시된 제4 객체(4)와 상기 제5 객체(5)에 기초한 상기 사용자 반응 수집항목(예컨대, VR 컨트롤러(300)를 이용하여 상기 제4 객체(4)와 상기 제5 객체(5)를 기 설정된 위치로 정합하는 사용자 입력 등)을 획득함으로써, 상기 VR 무자각 안과검사 콘텐츠에 기초한 '복시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4 실시예로,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맞춤형 안과검사가 '대비감도 검사'인 경우, 상기 활성화 프레임을 기초로, 해당 활성화 프레임의 영상(50) 내 소정의 위치에 소정의 밝기 및/또는 명암 등을 기초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배경 영상(즉, 상기 프레임의 영상)과의 구분을 수행해야하는 제6 객체(6)(예컨대, 얼룩 형상 객체 등)를 포함하는 안과검사 유도객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제6 객체(6)가 상기 활성화 프레임 상에 표시됨에 따른 상기 사용자 반응 수집항목(예컨대, VR 컨트롤러(300)를 기초로 상기 제6 객체(6)에 대하여 수행되는 소정의 사용자 입력 등)을 획득함으로써, 상기 VR 무자각 안과검사 콘텐츠에 기초한 '대비감도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효과적인 설명을 위하여 상기 맞춤형 안과검사를 시야검사, 외안근 검사, 복시검사 및 대비감도 검사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례일 뿐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시각능력을 검사하기 위한 안과검사라면 어떠한 안과검사라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효과적인 설명을 위하여 애플리케이션이 소정의 안과검사 유도객체를 기초로 소정의 맞춤형 안과검사를 수행하는 실시예들을 상술된 바와 같이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례일 뿐, 상기 안과검사 유도객체에 기초하여 소정의 맞춤형 안과검사를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이라면 어떠한 방법이라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서 구현될 수 있다.
다시 돌아와서, 즉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VR 무자각 안과검사 콘텐츠를 출력하는 과정에서, 상기 VR 무자각 안과검사 콘텐츠 내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을 기초로 상기 VR 무자각 안과검사 콘텐츠에 대하여 결정된 안과검사 유도객체를 표시하고, 이를 기초로 상기 무자각 VR 안과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실시예에서, 피검자)가 상기 VR 무자각 안과검사 콘텐츠를 이용하는 것만으로도 해당 사용자에 대한 소정의 안과검사를 은연 중에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수행된 무자각 VR 안과검사를 기초로 사용자 반응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S205)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사용자 반응 데이터란, 상술된 바와 같은 무자각 VR 안과검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획득되는 사용자의 반응을 수집한 데이터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이러한 사용자 반응 데이터는, 상기 무자각 VR 안과검사에 사용된 VR 무자각 안과검사 콘텐츠에 대하여 설정되어 있는 상기 사용자 반응 수집항목 별 데이터 값을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이때 실시예에서 상기 사용자 반응 수집항목은, 상기 VR 무자각 안과검사 콘텐츠를 통해 수행되는 맞춤형 안과검사를 통하여 수집하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반응을 포함하는 정보일 수 있으며, 실시예로 사용자의 시선 추적 데이터, 동공 크기 데이터 및/또는 블링크(blink) 데이터 등을 포함하는 아이트래킹 정보, 소정의 입력 장치(예컨대, VR 컨트롤러(300) 등)에 기반한 사용자 입력정보 및/또는 사용자의 혈압, 체온 및/또는 심박수 등을 포함하는 신체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VR 무자각 안과검사 콘텐츠에 대한 사용자 반응 수집항목을 설정하는 방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상술된 S105 단계에서의 설명을 따른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은, 상술된 바와 같은 사용자 반응 데이터를 상기 무자각 VR 안과검사가 수행됨에 따른 소정의 사용자 반응을 기초로 획득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무자각 VR 안과검사에 사용된 VR 무자각 안과검사 콘텐츠에 대하여 설정되어 있는 사용자 반응 수집항목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추출된 사용자 반응 수집항목에 대응되는 사용자 반응을 상기 무자각 VR 안과검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수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용자 반응 수집항목이 아이트래킹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무자각 VR 안과검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시선 추적 데이터, 동공 크기 데이터 및/또는 블링크(blink) 데이터 등을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용자 반응 수집항목이 사용자 입력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무자각 VR 안과검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소정의 입력 장치(예컨대, VR 컨트롤러(300) 등)를 이용한 사용자 입력을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용자 반응 수집항목이 신체 정보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무자각 VR 안과검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혈압, 체온 및/또는 심박수 등을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맞춤형 안과검사가 '시야검사'인 경우, 사용자가 상기 제1 객체(1)를 주시하다가 상기 제2 객체(2)가 등장하면 소정의 입력 장치(예컨대, VR 컨트롤러(300) 등)를 이용하여 수행하는 소정의 입력(예컨대, 상기 제2 객체(2)를 클릭하는 입력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맞춤형 안과검사가 '외안근 검사'인 경우, 상기 제3 객체(3)를 시선으로 추적하는 사용자의 아이트래킹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로,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맞춤형 안과검사가 '복시 검사'인 경우, 소정의 입력 장치(예컨대, VR 컨트롤러(300) 등)를 이용하여 상기 제4 객체(4)와 상기 제5 객체(5)를 기 설정된 위치로 정합하는 사용자 입력을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시로,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맞춤형 안과검사가 '대비감도 검사'인 경우, 소정의 입력 장치(예컨대, VR 컨트롤러(300) 등)를 기초로 상기 제6 객체(6)에 대해 수행되는 소정의 사용자 입력(예컨대, 상기 제6 객체(6) 영역을 드래그하여 상기 제6 객체(6)를 제거하는 사용자 입력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 입력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애플리케이션은, 상술된 바와 같은 무자각 VR 안과검사를 수행하여 해당하는 VR 무자각 안과검사 콘텐츠에 기초한 무자각 안과검사를 수행하고 이에 따른 사용자 반응 데이터를 획득함으로써, 안과검사를 진행하고 있다는 심리적 불안요소가 최소화된 상태에서의 사용자(실시예에서, 피검자)에 대한 사용자 반응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획득된 사용자 반응 데이터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획득된 사용자 반응 데이터를 기초로 사용자 시각능력 수치를 획득할 수 있다. (S207)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사용자 시각능력 수치란, 상술된 사용자 반응 데이터에 기초하여 검측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시각능력(실시예에서, 목표 시각능력 항목) 정도를 정량적으로 산출한 데이터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이러한 상기 사용자 시각능력 수치는, 상기 무자각 VR 안과검사에 사용된 VR 무자각 안과검사 콘텐츠에 대하여 설정되어 있는 상기 목표 시각능력 항목 별 데이터 값을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이때 실시예에서 상기 목표 시각능력 항목은, 사용자에 대한 시야 지각능력, 외안근 사용능력, 시각적 민감도, 자극 추적능력, 시각적 지구력 및/또는 시각적 감지력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VR 무자각 안과검사 콘텐츠에 대한 목표 시각능력 항목을 설정하는 방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상술된 S105 단계에서의 설명을 따른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은, 상술된 바와 같이 획득된 사용자 반응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 시각능력 수치를 획득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무자각 VR 안과검사에 사용된 VR 무자각 안과검사 콘텐츠에 대하여 설정되어 있는 목표 시각능력 항목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추출된 목표 시각능력 항목 별 데이터 값을 상기 사용자 반응 데이터에 기초하여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시선 추적 데이터, 동공 크기 데이터 및/또는 블링크(blink) 데이터 등을 포함하는 아이트래킹 정보, 소정의 입력 장치(예컨대, VR 컨트롤러(300) 등)에 기반한 사용자 입력정보 및/또는 사용자의 혈압, 체온 및/또는 심박수 등을 포함하는 신체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데이터 값을 포함하는 사용자 반응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시야 지각능력, 외안근 사용능력, 시각적 민감도, 자극 추적능력, 시각적 지구력 및/또는 시각적 감지력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데이터 값을 소정의 방식(예컨대, 기 설정된 사용자 반응 데이터 정량화 알고리즘 등)에 따라서 산출할 수 있다.
그리하여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용자 반응 데이터에 기반한 상기 사용자 시각능력 수치를 획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VR 무자각 안과검사 콘텐츠에 해당하는 맞춤형 안과검사의 유형(예컨대, 시야검사, 외안근 검사, 복시검사 및/또는 대비감도 검사 등)에 따라서 검측할 필요성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시각능력을 명확하고 객관적인 근거 데이터를 기반으로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획득된 사용자 시각능력 수치를 기초로 시각능력 이상상황을 감지할 수 있다. (S209)
자세히,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은, 위와 같이 실시간으로 획득 가능한 사용자 시각능력 수치와 소정의 기준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시각능력에 소정의 문제가 발생하였음을 나타내는 시각능력 이상상황을 감지할 수 있다.
즉, 실시예에서 상기 시각능력 이상상황은, 해당하는 VR 무자각 안과검사 콘텐츠를 통해 수행되는 맞춤형 안과검사(예컨대, 시야검사, 외안근 검사, 복시검사 및/또는 대비감도 검사 등) 유형에 관련된 사용자의 시각능력(예컨대, 시야 지각능력, 외안근 사용능력, 시각적 민감도, 자극 추적능력, 시각적 지구력 및/또는 시각적 감지력 등)에 소정의 문제가 발생하였음을 나타낼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은, 1) 상기 사용자 시각능력 수치와 소정의 제1 기준에 기반하여 상기 시각능력 이상상황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기준은, 기 설정된 기준치 이내 또는 이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용자 시각능력 수치가 상기 제1 기준을 충족하면, 상기 시각능력 이상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용자 시각능력 수치가 해당 사용자의 시야 지각능력, 시각적 민감도 및 시각적 감지력 각각에 대하여 산출된 데이터 값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시야 지각능력에 대한 데이터 값(이하, 제1 시각능력 값), 상기 시각적 민감도에 대한 데이터 값(이하, 제2 시각능력 값) 및 상기 시각적 감지력에 대한 데이터 값(이하, 제3 시각능력 값) 각각을 해당 데이터 값 별로 기 설정된 제1 기준과 비교할 수 있다.
또한, 본 예시에서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비교를 통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시각능력 값이 상기 제1 기준을 충족하면, 상기 시각능력 이상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제1 시각능력 값이 '1'이고 상기 제1 시각능력 값에 대해 기 설정된 제1 기준이 '3 이하의 수치'이며, 상기 제2 시각능력 값이 '2'이고 상기 제1 시각능력 값에 대해 기 설정된 제1 기준이 '5 이하의 수치'이며, 상기 제3 시각능력 값이 '3'이고 상기 제3 시각능력 값에 대해 기 설정된 제1 기준이 '7 이하의 수치'인 경우를 상기 시각능력 이상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은, 2) 상기 사용자 시각능력 수치와 소정의 제2 기준에 기반하여 상기 시각능력 이상상황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기준은, 기 설정된 변화율 및/또는 변화량 이내 또는 이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애플리케이션은, 상술된 무자각 VR 안과검사를 진행한 소정의 기간(예컨대, 기 설정된 소정의 시간 및/또는 해당하는 맞춤형 안과검사를 수행한 소요 시간 등) 동안의 상기 사용자 시각능력 수치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소정의 기간 동안에 획득된 사용자 시각능력 수치가 상기 제2 기준을 충족하면, 상기 시각능력 이상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
실시예로,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소정의 기간 동안에 획득된 사용자 시각능력 수치의 변화율 및/또는 변화량이 상기 제2 기준을 충족하면, 상기 시각능력 이상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소정의 기간 동안에 상기 제1 시각능력 값, 상기 제2 시각능력 값 및 상기 제3 시각능력 값 각각의 변화율 및/또는 변화량을 해당 데이터 값 별로 기 설정된 제2 기준과 비교할 수 있다.
또한, 본 예시에서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비교를 통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시각능력 값이 상기 제2 기준을 충족하면, 상기 시각능력 이상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소정의 기간 동안의 상기 제1 시각능력 값 변화량이 '10'이고 상기 제1 시각능력 값 변화량에 대해 기 설정된 제2 기준이 '5 이상의 변화량'이며, 상기 제2 시각능력 값 변화량이 '20'이고 상기 제1 시각능력 값 변화량에 대해 기 설정된 제2 기준이 '10 이상의 변화량'이며, 상기 제3 시각능력 값 변화량 '30'이고 상기 제3 시각능력 값 변화량에 대해 기 설정된 제2 기준이 '20 이상의 변화량'인 경우를 상기 시각능력 이상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VR 무자각 안과검사 콘텐츠를 이용하고 있는 사용자(실시예에서, 피검자)의 사용자 시각능력 수치를 소정의 기준(실시예에서, 상술된 제1 기준 및/또는 제2 기준 등)과 실시간으로 비교하며 상기 시각능력 이상상황의 발생 여부를 감지함으로써, 해당 사용자의 시각능력에 대한 문제상황 발생 여부를 실시간 모니터링할 수 있고, 문제상황 발생 시 이에 대한 신속한 대처 프로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시각능력 이상상황이 감지됨에 따른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 (S211)
자세히,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은, 위와 같은 방식으로 시각능력 이상상황이 감지되면 그에 따른 피드백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능력 이상상황 감지에 따른 피드백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의 일례들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은, 1) 안과검사 삽입 콘텐츠(70)를 제공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은, 해당 VR 무자각 안과검사 콘텐츠(30)에 대하여 설정되어 있는 안과검사 삽입 콘텐츠(70)를 상기 시각능력 이상상황이 감지될 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VR 무자각 안과검사 콘텐츠(30)에 대한 안과검사 삽입 콘텐츠(70)를 설정하는 방법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상술된 S105 단계에서의 설명을 따른다.
다시 말하자면, 실시예에서 상기 안과검사 삽입 콘텐츠(70)는, 소정의 안과검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해당하는 VR 콘텐츠의 제공을 중단하고 실행되는 VR용 안과검사 콘텐츠를 의미할 수 있으며, 예시적으로 VR용 시야검사 콘텐츠, VR용 외안근 검사 콘텐츠, VR용 복시검사 콘텐츠 및/또는 VR용 대비감도 검사 콘텐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시각능력 이상상황이 감지되면, 상기 VR 무자각 안과검사 콘텐츠(30)에 대한 출력을 중단하고, 상기 VR 무자각 안과검사 콘텐츠(30)에 대하여 설정되어 있는 안과검사 삽입 콘텐츠(70)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해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애플리케이션은, 해당하는 VR 무자각 안과검사 콘텐츠(30)를 통해 수행되는 맞춤형 안과검사가 '시야검사'이고 상기 시각능력 이상상황이 감지된 경우, 상기 VR 무자각 안과검사 콘텐츠(30)에 대하여 설정되어 있는 VR용 시야검사 콘텐츠를 상기 안과검사 삽입 콘텐츠(70)로서 출력해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은, 위와 같이 제공된 안과검사 삽입 콘텐츠(70)에 기초한 안과검사를 수행할 수 있고, 그 결과에 따라서 상기 VR 무자각 안과검사 콘텐츠(30)를 재실행할 수 있다.
자세히,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안과검사 삽입 콘텐츠(70)에 기초한 안과검사 수행 결과(실시예에서, 정밀 안과검사 결과)가 소정의 기준(예컨대, 기 설정된 정상수치, 정상범위, 정상 변화량 및/또는 정상 변화율 이내 등)을 충족하면, 중단되었던 상기 VR 무자각 안과검사 콘텐츠(30)를 재실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시각능력 이상상황 발생 시 상기 VR 무자각 안과검사 콘텐츠(30)의 제공을 중단하고 소정의 안과검사를 보다 면밀하게 수행할 수 있는 VR용 안과검사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해당 사용자(실시예에서, 피검자)에게 문제가 있다고 판단되는 특정 시각능력에 보다 특화된 안과검사를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고, 이를 통해 VR 콘텐츠에 기반한 안과검사 서비스의 퀄리티와 신뢰성 및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1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은, 2) 시각능력 이상상황 알림 콘텐츠(80: 이하, 알림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알림 콘텐츠(80)란, 상기 시각능력 이상상황 발생 시 해당하는 VR 무자각 안과검사 콘텐츠(30) 상에 소정의 방식(예컨대, 팝업창 형식 및/또는 오디오 알람 형식 등)으로 표시되어 제공되는 콘텐츠를 의미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이러한 알림 콘텐츠(80)는, 해당 VR 무자각 안과검사 콘텐츠(30)의 중단을 유도하는 실행중단 알림 콘텐츠(80) 및/또는 특정 VR용 안과검사 콘텐츠를 이용한 안과검사를 유도하는 정밀검사 알림 콘텐츠(8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시각능력 이상상황이 감지되면 상기 알림 콘텐츠(80)를 해당 VR 무자각 안과검사 콘텐츠(30) 상에 출력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시각능력 이상상황이 감지되면, 해당하는 VR 무자각 안과검사 콘텐츠(30)를 통해 수행되는 맞춤형 안과검사(예컨대, 시야검사, 외안근 검사, 복시검사 및/또는 대비감도 검사 등) 유형에 대응되는 VR용 안과검사 콘텐츠(예컨대, VR용 시야검사 콘텐츠, VR용 외안근 검사 콘텐츠, VR용 복시검사 콘텐츠 및/또는 VR용 대비감도 검사 콘텐츠 등)를 이용한 안과검사를 유도하는 정밀검사 알림 콘텐츠(80)를 해당 VR 무자각 안과검사 콘텐츠(30) 상에 출력하여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애플리케이션은, 소정의 문제가 유발된 사용자의 시각능력이 더 이상 악화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 적절한 대처를 수행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효과적인 설명을 위하여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시각능력 이상상황이 감지됨에 따른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법을 상술된 바와 같이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례일 뿐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에 따라서 상술된 실시예들 중 적어도 일부가 상호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실시예 또한 가능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R 콘텐츠 기반 무자각 안과검사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은, 기 구현되어 있는 VR 콘텐츠를 활용하여 무자각 안과검사를 수행함으로써, 수많은 종류의 안과검사 각각을 수행하기 위하여 각 안과검사 별로 특화된 VR 콘텐츠를 일일이 제작하거나 구축하지 않고도 기존의 VR 콘텐츠를 활용하여 편리하고 효율적인 무자각 안과검사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R 콘텐츠 기반 무자각 안과검사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은, 기존의 VR 콘텐츠를 활용하여 무자각 안과검사를 수행함으로써, 무자각 안과검사에 필요한 시간, 비용이나 노력 등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R 콘텐츠 기반 무자각 안과검사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은, 상기 VR 콘텐츠의 고유한 특성(예컨대, 영상 구성요소, 동작 프로세스 및/또는 영상 세팅값 등)을 활용하여 이에 최적화된 형태의 안과검사 프로세스를 설계하고 이를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즉, 피검자)가 해당 VR 콘텐츠를 이용하는 것만으로도 해당 사용자에 대한 소정의 안과검사를 은연 중에 진행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안과검사를 수행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흥미도와 심리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R 콘텐츠 기반 무자각 안과검사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은, 사용자(즉, 피검자)가 VR 콘텐츠를 이용하는 것만으로도 소정의 안과검사를 은연 중에 진행함으로써, 안정적 상태에서의 진정한 사용자 시각능력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안과검사 결과의 정확성 및 신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또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15)

  1. VR 단말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되는 무자각 안과검사 애플리케이션이 VR 콘텐츠 기반 무자각 안과검사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소정의 VR 콘텐츠에 포함된 적어도 일부의 구성에 기초하여 무자각 안과검사를 구현하는 VR 무자각 안과검사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VR 무자각 안과검사 콘텐츠를 기초로 상기 무자각 안과검사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무자각 안과검사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VR 무자각 안과검사 콘텐츠를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출력된 VR 무자각 안과검사 콘텐츠를 기초로 상기 무자각 안과검사를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실행된 무자각 안과검사에 따른 사용자 반응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획득된 사용자 반응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무자각 안과검사를 통해 검측하고자 하는 시각능력에 대한 측정값인 사용자 시각능력 수치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VR 무자각 안과검사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VR 콘텐츠를 프레임(frame) 단위로 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분리된 프레임을 기초로 상기 VR 콘텐츠의 구성에 따른 맞춤형 안과검사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결정된 맞춤형 안과검사를 상기 VR 콘텐츠에 기초하여 구현하는 무자각 안과검사 모듈을 설계하는 단계와,
    상기 설계된 무자각 안과검사 모듈과 상기 VR 콘텐츠를 융합하여 상기 VR 무자각 안과검사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VR 콘텐츠 기반 무자각 안과검사 제공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자각 안과검사는,
    사용자가 상기 VR 무자각 안과검사 콘텐츠를 이용하면 상기 사용자가 인지하지 않고도 상기 사용자에 대한 소정의 안과검사를 진행하는 안과검사인
    VR 콘텐츠 기반 무자각 안과검사 제공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무자각 안과검사를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VR 무자각 안과검사 콘텐츠가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레임(frame)을 기초로 안과검사 유도객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VR 콘텐츠 기반 무자각 안과검사 제공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안과검사 유도객체는,
    상기 소정의 VR 콘텐츠에 포함된 적어도 일부의 구성이 포함하는 소정의 객체와, 상기 소정의 안과검사 별로 기 생성되어 있는 소정의 추가 유도객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VR 콘텐츠 기반 무자각 안과검사 제공 방법.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반응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 대한 아이트래킹 정보, 사용자 입력정보 및 신체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VR 콘텐츠 기반 무자각 안과검사 제공 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시각능력 수치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반응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에 대한 시야 지각능력, 외안근 사용능력, 시각적 민감도, 자극 추적능력, 시각적 지구력 및 시각적 감지력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측정값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VR 콘텐츠 기반 무자각 안과검사 제공 방법.
  7. 삭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자각 안과검사 모듈을 설계하는 단계는,
    상기 VR 콘텐츠의 구성이 포함하는 소정의 객체 및 상기 소정의 안과검사 별로 기 생성되어 있는 소정의 추가 유도객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안과검사 유도객체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맞춤형 안과검사를 통해 획득하고자 하는 상기 사용자 반응 데이터의 카테고리를 결정하는 사용자 반응 수집항목을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맞춤형 안과검사를 통해 획득하고자 하는 상기 사용자 시각능력 수치의 카테고리를 결정하는 목표 시각능력 항목을 설정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포함하는
    VR 콘텐츠 기반 무자각 안과검사 제공 방법.
  9.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된 사용자 시각능력 수치를 기초로 시각능력 이상상황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시각능력 이상상황이 감지됨에 따른 피드백을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VR 콘텐츠 기반 무자각 안과검사 제공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각능력 이상상황이 감지됨에 따른 피드백을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VR 무자각 안과검사 콘텐츠의 출력을 중단하고 상기 소정의 안과검사를 수행하기 위한 소정의 VR용 안과검사 콘텐츠를 출력하는 안과검사 삽입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시각능력 이상상황이 발생함에 따른 소정의 알림을 출력하는 알림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포함하는
    VR 콘텐츠 기반 무자각 안과검사 제공 방법.
  11. VR 무자각 안과검사 콘텐츠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고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VR 콘텐츠 기반 무자각 안과검사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으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은,
    소정의 VR 콘텐츠에 포함된 적어도 일부의 구성에 기초한 무자각 안과검사를 구현하는 상기 VR 무자각 안과검사 콘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VR 무자각 안과검사 콘텐츠를 기초로 상기 무자각 안과검사를 제공하며,
    상기 VR 무자각 안과검사 콘텐츠를 출력하고,
    상기 출력된 VR 무자각 안과검사 콘텐츠를 기초로 상기 무자각 안과검사를 실행하고,
    상기 실행된 무자각 안과검사에 따른 사용자 반응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사용자 반응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무자각 안과검사를 통해 검측하고자 하는 시각능력에 대한 측정값인 사용자 시각능력 수치를 획득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VR 콘텐츠를 프레임(frame) 단위로 분리하고,
    상기 분리된 프레임을 기초로 상기 VR 콘텐츠의 구성에 따른 맞춤형 안과검사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맞춤형 안과검사를 상기 VR 콘텐츠에 기초하여 구현하는 무자각 안과검사 모듈을 설계하고,
    상기 설계된 무자각 안과검사 모듈과 상기 VR 콘텐츠를 융합하여 상기 VR 무자각 안과검사 콘텐츠를 생성하는
    VR 콘텐츠 기반 무자각 안과검사 제공 시스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210129681A 2021-09-30 2021-09-30 Vr 콘텐츠 기반 무자각 안과검사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6655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9681A KR102665504B1 (ko) 2021-09-30 2021-09-30 Vr 콘텐츠 기반 무자각 안과검사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9681A KR102665504B1 (ko) 2021-09-30 2021-09-30 Vr 콘텐츠 기반 무자각 안과검사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6564A KR20230046564A (ko) 2023-04-06
KR102665504B1 true KR102665504B1 (ko) 2024-05-14

Family

ID=85918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9681A KR102665504B1 (ko) 2021-09-30 2021-09-30 Vr 콘텐츠 기반 무자각 안과검사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6550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9659B1 (ko) * 2020-10-07 2021-02-25 주식회사 엠투에스 가상현실 기반의 눈 건강 측정방법 및 그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90384A (zh) 2016-04-08 2019-04-26 维扎瑞尔股份公司 用于基于视觉性能数据获得、分析和生成视觉性能数据和修改媒体的方法和系统
KR20200015169A (ko) * 2018-08-03 2020-02-12 주식회사 그루크리에이티브랩 Vr컨텐츠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시각 기능 확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9659B1 (ko) * 2020-10-07 2021-02-25 주식회사 엠투에스 가상현실 기반의 눈 건강 측정방법 및 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6564A (ko) 2023-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09861B1 (en) Systems for visual field analysis
CN109219386B (zh) 显示系统和方法
JP6774136B2 (ja) 自動視力診断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7106569B2 (ja) ユーザーの健康状態を評価するシステム
US20070066916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human emotion by analyzing eye properties
JPWO2009001558A1 (ja) ヒト状態推定装置およびその方法
Stuart et al. The measurement of visual sampling during real-world activity in Parkinson's disease and healthy controls: A structured literature review
KR102344493B1 (ko) 인공 지능 기반의 스마트 안진 검사 시스템, 방법 및 프로그램
JP7166473B2 (ja) 眼検査
KR102219659B1 (ko) 가상현실 기반의 눈 건강 측정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304369B1 (ko) Vr을 이용한 안과검사방법 및 시스템
Le et al. Towards online detection of driver distraction: Eye-movement simulation based on a combination of vestibulo–ocular reflex and optokinetic reflex models
KR102295587B1 (ko) 가상현실 기반의 시야검사 방법 및 시스템
US20210315453A1 (en) Visual field examination method and system based on virtual reality
KR102665504B1 (ko) Vr 콘텐츠 기반 무자각 안과검사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asprowski Eye tracking hardware: past to present, and beyond
Brooks et al.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high-speed video system for measuring saccadic eye movement
Shekar et al. VREye: Exploring human visual acuity test using virtual reality
JP2023541173A (ja) 視作業を実行する対象者の疲労状態の変化の自動予測を提供する方法及びデバイス
Thomson Eye tracking and its clinical application in optometry
CN115103624A (zh) 检测和矫正人的当前屈光不正和当前调节幅度的变化
KR102458553B1 (ko) 눈 건강 측정 디바이스 및 방법
TWI840224B (zh) 眼睛健康監測與媒合系統
US11839429B2 (en) System and process for the quantification of ocular dominance
US2023040438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relative afferent pupillary defe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