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9358B1 - 피아 식별 패드 - Google Patents

피아 식별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9358B1
KR102219358B1 KR1020200043305A KR20200043305A KR102219358B1 KR 102219358 B1 KR102219358 B1 KR 102219358B1 KR 1020200043305 A KR1020200043305 A KR 1020200043305A KR 20200043305 A KR20200043305 A KR 20200043305A KR 102219358 B1 KR102219358 B1 KR 1022193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entification
detachable
belt
pia
mar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3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통두
Original Assignee
강통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통두 filed Critical 강통두
Priority to KR1020200043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93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9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9358B1/ko
Priority to US17/905,643 priority patent/US20230130663A1/en
Priority to PCT/KR2021/004121 priority patent/WO202120637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05Identification bracelets, e.g. secured to the arm of a person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13/00Means of attack or defenc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1/00Mobile visual advertising
    • G09F21/02Mobile visual advertising by a carrier person or animal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8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 G09F3/20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for adjustable, removable, or interchangeable lab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8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 G09F3/20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for adjustable, removable, or interchangeable labels
    • G09F3/207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for adjustable, removable, or interchangeable labels in the form of a badge to be worn by a pers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군대 등에서 용이하게 아군과 적군을 식별할 수 있도록 신체에 착용할 수 있는 피아 식별 벨트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피아 식별 벨트는, 신체의 일부에 폐곡선을 형성하도록 감겨 탈부착되는 벨트부; 및 상기 벨트부가 신체에 착용되면 외부에서 식별할 수 있도록 표식부가 외부로 노출되고, 피아를 식별할 수 있도록 상기 표식부에 복수개의 탈부착 부재가 미리 정해진 형태로 부착된 식별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피아 식별 패드 {Pad for identification of friend or foe}
본 발명은 군대 등에서 용이하게 아군과 적군을 식별할 수 있도록 신체에 착용할 수 있는 피아 식별 패드에 관한 것이다.
현재 군에서 사용하고 있는 피아식별띠는 노란색과 하얀색 바탕의 띠에 글씨를 넣어서 보여지는 색깔과 글씨로 피아를 식별하는 방식이다.
적이 현재 사용하고 있는 형태의 띠를 보유하고 있었을 시 원거리에서 아군이 착용하고 있는 색깔과 글씨를 확인하고 동일하게 모방이 가능하여 접근 시 피아식별이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피아식별띠의 색상이 눈에 잘 띄는 노란색과 하얀색으로 디지털 군복의 효과를 감소시키고 야간에는 식별이 제한된다.
또한 군에서 사용하는 피아식별띠는 몇 십년간 동일 형태를 유지하고 있고 시중에서 유통된다는 점에서 특수부대 침투 작전을 구사하는 북한 및 국내 고정간첩들의 보유가능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비용 측면에서 현실적인 이러한 종래기술은 실제로 적용상 문제점이 많기 때문에 외국에서는 헬멧 등에 구비된 자외선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이를 탐지함으로써 피아를 식별하게 되는 기술도 있으나 이는 매우 고가의 장비로 현재 군대에서 적용하기에는 많은 무리가 따르게 된다.
등록특허 제10-1042665호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군에서 사용하고 있는 피아식별띠는 색깔과 글씨에 의한 암호화로 상시 노출되어 있어 적이 확인하고 모방 가능하여 이를 방지하고자 한다. 이것은 필요 시 암호내용을 식별할 수 있도록 벨크로 형태로 덮도록 하고 덮힌 내부에 복수개의 탈부착이 가능하며 다양한 판상형 형태로 된 부재를 사용하여 암호화함으로써 해결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색깔이 신형 디지털 군복과 다르고 밝은 색으로 노출이 되어 은폐가 제한되어 색깔 변경이 필요한 것을 해결하고자 한다. 이것은 띠 색은 착용하는 복장의 색으로 변경함으로써 해결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야간에 피아식별이 제한되어 야간에 식별이 가능하도록 변경하고자 한다. 이것은 내부의 판상형 형태로 된 부재를 야광색으로 변경함으로써 해결 가능하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외부에서 식별할 수 있도록 표식부가 외부로 노출되고, 피아를 식별할 수 있도록 상기 표식부에 복수개의 탈부착 부재가 배열된 형태로 부착된 식별부; 및 상기 식별부를 신체의 일부에 착탈시키는 착탈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착탈수단은 신체의 일부에 폐곡선을 형성하도록 감겨 탈부착되는 벨트일 수 있다.
이때, 일단은 상기 식별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자유단으로 형성되어 상기 표식부를 덮어 은폐시키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표식부에는 상기 복수개의 탈부착 부재가 탈부착수단에 의해 탈부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탈부착수단은 상기 표식부 외면과 상기 탈부착 부재 내면에 구비된 벨크로 파스너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탈부착 부재는 평면상 직사각형의 판상형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탈부착 부재는 외부로 노출되는 면에 야광 재질이 코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식별부는 상기 벨트부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식별부와 상기 벨트부에는 연결부위에 각각 고리가 설치되고, 상기 고리는 탄성력을 가지는 밴드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본 발명은 적이 피아식별띠를 같은 형태로 구매는 가능하나 암호화의 방식은 확인할 수 없어 구매 포기 및 피아식별을 무력화할 수 없게 된다.
(2) 본 발명은 띠 색깔을 착용하는 복장색으로 하여 은폐가 되며 내부의 판상형 형태의 부재를 야광으로 하여 야간에도 식별이 가능하다.
(3) 본 발명은 비용 측면에서도 적외선 자외선 센서나 특수도료를 사용한 고가의 피아식별도구 보다도 효과 및 가격대비 저렴한 단가로 정확한 암호 체계를 전달 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피아 식별 패드의 펼쳐진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피아 식별 패드가 감겨진 상태의 사시도로서, 도 2를 표식부가 노출된 상태이고, 도 3은 표식부가 은폐된 상태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피아 식별 패드가 팔에 착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피아 식별 패드가 헬멧에 착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피아 식별 패드의 일부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피아 식별 패드의 일부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피아 식별 패드의 일부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아 식별 패드(1)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피아 식별 패드(1)는 신체의 다양한 부위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패드로서, 다양한 위치와 다양한 암호를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에서는 벨트 형태로 이루어져 신체에 탈부착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피아 식별 패드(1)는,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벨트부(10), 식별부(20), 그리고 커버부재(30)를 포함한다.
상기 벨트부(10)는,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신체의 일부에 폐곡선을 형성하도록 감겨 탈부착될 수 있다.
상기 벨트부(10)는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2)에 감겨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벨트부(10)는 신체 사이즈의 편차에 대응하여 다양한 길이 변화에 대응하여 탈부착 가능하도록 제작되어야 한다. 단 한 번 감싸는 것보다는 두 번 이상 감싸도록 되어 있어야 편차에 대응하기 쉽다. 또한 상기 벨트부(10)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헬멧(3)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착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벨트부(10)는 탈부착을 위하여 다양한 파스너들을 사용할 수 있는 바, 가장 바람직하게는 파스너로 널리 쓰이는 소위 벨크로 테이프를 사용하는 것이 편리할 수 있다. 벨크로 테이프를 벨트부의 다양한 위치에 부착하고, 상대물을 벨트부 끝단에 부착함으로써 원하는 위치와 원하는 지름을 갖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외에도 버클 형태를 적용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벨트부(10)는 신체에 감겨 착용된 상태에서 훈련 등 다양한 활동을 소화할 수 있는 재질이어야 한다. 즉 외부의 텐션에 대응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특히 사람에게 착용된 상태에서 발생될 수 있는 강한 텐션에서도 끊어지지 않는 강성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벨트부(10)의 재질로는 군대에서 피아 식별 띠를 사용하는 경우 나염원단과 같은 군복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재질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식별부(20)는, 상기 벨트부(10)가 신체에 착용되면 외부에서 식별할 수 있도록 표식부(21)가 외부로 노출되고, 피아를 식별할 수 있도록 상기 표식부(21)에 복수개의 탈부착 부재(22)가 미리 정해진 형태로 부착된다.
이때, 상기 표식부(21)에는 상기 복수개의 탈부착 부재(22)가 탈부착수단에 의해 탈부착될 수 있고, 상기 탈부착수단은 상기 표식부(20) 외면과 상기 탈부착 부재(22) 내면에 구비된 벨크로 파스너를 적용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탈부착 부재(22)는 평면상 직사각형의 판상형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직사각형의 얇은 패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따라서 여러 개를 수직 또는 수평으로 배열할 수 있게 되고, 이를 바탕으로 피아 식별을 할 수 있도록 된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탈부착 부재는 상술한 형상뿐만 아니라 별 모양이나 하트 등 다양한 형태의 평면 형태를 채용하여 다양한 암호 표식을 만들어낼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복수개의 탈부착 부재(22)는 외부로 노출되는 면에 야광 재질이 코팅될 수 있다. 상기 탈부착 부재(22) 중에는 야광 코팅되어 원거리와 밤에도 잘 볼 수 있도록 제작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커버부재(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은 상기 벨트부(10)에 고정되고 타단은 자유단으로 형성되어 상기 식별부(21)를 덮어 은폐시키게 된다. 이러한 커버부재(30)에 의해 필요할 때에만 표식부(21)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고, 평상 시에는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의한 피아 식별 패드(10)가 펼쳐진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벨트부(10)는 띠 형상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고, 신체에 감길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여러 부분에 벨크로 테이프가 부착되어 있기 신체의 다양한 부분의 직경에 대응하여 탈부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식별부(21)에도 벨크로 테이프가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판상형의 긴 직육면체 형태의 탈부착 부재가 역시 벨크로 테이프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탈부착 부재의 부착된 순서와 위치를 정하여 정해진 암호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커버부재(30)에 의해 탈부착 부재의 은폐 또는 노출을 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커버부재(30)는 단순히 덮도록 하거나 역시 벨크로 테이프에 착탈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2와 도 3을 참고하면, 신체의 일부에 착용한 상태에서 식별부(20)의 노출 또는 은폐를 커버부재(30)에 의해 결정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커버부재(30)를 위로 올려 표식부(21)가 노출된 것을 보여주고, 도 3은 커버부재(30)가 아래로 내려져 표식부(21)가 은폐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통상 착용되는 팔(2)에 피아 식별 패드(1)를 착용한 상태를 보여준다. 팔에 착용하는 경우 성별에 따라 또한 개개인 간의 팔의 두께가 다르기 때문에 벨트를 잘 감아 밀착되도록 한 상태에서 벨크로 테이프를 이용하여 고정하게 되기 때문에 모든 경우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된다.
도 5를 참고하면, 피아 식별 패드(10)를 헬멧(3)에 착용한 것을 보여주는 바, 표식부가 헬멧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착용한 상태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여러 위치에 벨크로 테이프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팔과는 완전히 다른 직경을 갖는 헬멧의 경우도 원활하게 탈부착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6을 참고하면,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탈부착 부재(121)가 표식부(111)에 직접 탈부착되는 것이 아니라, 베이스 부재(120)를 매개로 표식부(111)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이다. 즉 베이스 부재(120)는 표식부(111)에 벨크로 테이프에 의해 탈부착이 가능하게 되고, 암호를 형성하기 위한 탈부착 부재(121)는 암호 패턴을 베이스 부재(120)에 형성하게 된다. 이때 베이스 부재(120)와 탈부착 부재(121)는 벨크로 테이프를 적용할 수도 있고, 다른 수단 예를 들면 자력을 이용하여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 외 벨트부(110)와 커버부재(130)는 전번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신체에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암호를 구성하고 이를 착탈할 수 있기 때문에 편의를 제공하게 된다.
한편, 도 7을 참고하면,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식별부(220)에 투명창(221)을 형성하고, 베이스 부재(240)에 탈부착 부재(241)가 암호를 형성한 상태에서 투명창(221) 내부로 출입하도록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외부에서 암호를 작성하고 이를 투명창(221)에 삽입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편의성이 증대된다. 물론 베이스 부재(240)와 탈부착 부재(241)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동일하거나 다른 방식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역시 벨트부(210)와 커버부재(230)는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도 8을 참고하면,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식별부(320)가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을 보여준다. 식별부(320)에는 탈부착 부재(322)가 암호를 형성하도록 탈부착 가능한 것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른 식별부(320)가 벨트부(310)에 대하여 회전 기능하게 설치되어 커버부재가 필요 없게 된다. 여기서 식별부(321)와 벨트부(310)는 두 개의 고리(311, 323)와 상기 두 개의 고리(311, 323)를 연결하는 탄성력을 가지는 밴드(324)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벤드(324)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표식부(321)를 약간 당기면 회전할 수 있게 되고, 이를 이용하여 식별부(320)를 노출하거나 은폐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 피아 식별 패드
2 : 팔 3 : 헬멧
10 : 벨트부 20 : 식별부
21 : 표식부 22 : 탈부착 부재
30 : 커버부재

Claims (9)

  1. 외부에서 식별할 수 있도록 표식부가 외부로 노출되고, 피아를 식별할 수 있도록 상기 표식부에 복수개의 탈부착 부재가 배열된 형태로 부착된 식별부;
    상기 식별부를 신체의 일부에 착탈시키는 착탈수단;
    일단은 상기 식별부에 고정되고 타단은 자유단으로 형성되어 상기 표식부를 덮어 은폐시키는 커버부재;
    을 포함하고,
    상기 착탈수단은 신체의 일부에 폐곡선을 형성하도록 감겨 탈부착되는 벨트이며,
    상기 표식부에는 암호 패턴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개의 탈부착 부재가 벨크로 테이프에 의해 탈부착되며,
    상기 복수개의 탈부착 부재는 판상형의 긴 직육면체 형태로 벨크로 테이프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개의 탈부착 부재의 부착된 순서와 위치를 정하여 정해진 암호를 형성할 수 있게 되며, 상기 복수개의 탈부착 부재는 외부로 노출되는 면에 야광 재질이 코팅되며,
    상기 커버부재도 상기 탈부착 부재와 동일하게 벨크로 테이프에 의해 상기 식별부에 탈부착되는, 피아 식별 패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부는 상기 벨트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피아 식별 패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부와 상기 벨트에는 연결부위에 각각 고리가 설치되고, 상기 고리는 탄성력을 가지는 밴드에 의해 서로 연결된, 피아 식별 패드.
KR1020200043305A 2020-04-09 2020-04-09 피아 식별 패드 KR1022193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3305A KR102219358B1 (ko) 2020-04-09 2020-04-09 피아 식별 패드
US17/905,643 US20230130663A1 (en) 2020-04-09 2021-04-02 Friend/foe identification pad
PCT/KR2021/004121 WO2021206376A1 (ko) 2020-04-09 2021-04-02 피아 식별 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3305A KR102219358B1 (ko) 2020-04-09 2020-04-09 피아 식별 패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9358B1 true KR102219358B1 (ko) 2021-02-22

Family

ID=74687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3305A KR102219358B1 (ko) 2020-04-09 2020-04-09 피아 식별 패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130663A1 (ko)
KR (1) KR102219358B1 (ko)
WO (1) WO202120637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06376A1 (ko) * 2020-04-09 2021-10-14 강통두 피아 식별 패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85181B2 (en) 2019-01-03 2023-06-27 Tier 1 Transnational Llc Multilayer identification patche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7710A (ja) * 1997-02-18 1998-09-08 Kubo Seisakusho:Kk 水作業用オーバーズボン
KR20000019671U (ko) * 1999-04-17 2000-11-25 김규섭 야간 식별용 밴드
KR101042665B1 (ko) 2010-12-31 2011-06-21 대한민국 전투복
KR101369122B1 (ko) * 2013-07-12 2014-03-06 천자경 병원 환자용 환자정보 인식용 표식밴드
KR20140056732A (ko) * 2012-10-31 2014-05-12 대한민국(국방부 공군제83정보통신정비창장) 탄력 탄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2688U (ko) * 2011-10-26 2013-05-06 홍영규 다양한 크기의 화분에 장착이 가능한 장착 밴드와 다용도 메모판
KR102219358B1 (ko) * 2020-04-09 2021-02-22 강통두 피아 식별 패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7710A (ja) * 1997-02-18 1998-09-08 Kubo Seisakusho:Kk 水作業用オーバーズボン
KR20000019671U (ko) * 1999-04-17 2000-11-25 김규섭 야간 식별용 밴드
KR101042665B1 (ko) 2010-12-31 2011-06-21 대한민국 전투복
KR20140056732A (ko) * 2012-10-31 2014-05-12 대한민국(국방부 공군제83정보통신정비창장) 탄력 탄띠
KR101369122B1 (ko) * 2013-07-12 2014-03-06 천자경 병원 환자용 환자정보 인식용 표식밴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06376A1 (ko) * 2020-04-09 2021-10-14 강통두 피아 식별 패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06376A1 (ko) 2021-10-14
US20230130663A1 (en) 2023-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9358B1 (ko) 피아 식별 패드
US633986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removable nametag or insignia
US6675512B1 (en) Display assembly for placement on clothing apparel
US20070294806A1 (en) Garment Decoration
US6481017B2 (en) Method of using removable arm band for safety purpose in hunting
US9259062B2 (en) Tactical finger band
US3280488A (en) Identification coat flaps
US3500507A (en) Button assembly
US6226905B1 (en) Identification badge holder
US20140366249A1 (en) Cover sleeve to transform emergency personal help button into clothing accessory
US20160178324A1 (en) Camouflage Covering With Embedded Indicia
US20040163155A1 (en) Combination jacket and sports jersey
US20070277289A1 (en) Neck warmer
JP3227826U (ja) 装飾付きマスク
US20040079011A1 (en) Assembly and methods for exhibiting a rigid display on clothing apparel
US20150305412A1 (en) Camouflage Apparatus
US20170251768A1 (en) Magnetic coupling device
KR101361974B1 (ko) 의복용 칼라
US20050081560A1 (en) Scapular
US2345556A (en) Detachable ornament or insigne
JP3021234U (ja) 数珠状装身具
KR20210090358A (ko) V 존 캡
KR200265015Y1 (ko) 신분증 패용구
AU2006100551A4 (en) Coded pendant
Bilton Badges of the Regular Infantry, 1914–1918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