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9011B1 - 제품 콘텐츠를 제작 및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을 운용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제품 콘텐츠를 제작 및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을 운용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9011B1
KR102219011B1 KR1020190021937A KR20190021937A KR102219011B1 KR 102219011 B1 KR102219011 B1 KR 102219011B1 KR 1020190021937 A KR1020190021937 A KR 1020190021937A KR 20190021937 A KR20190021937 A KR 20190021937A KR 102219011 B1 KR102219011 B1 KR 1022190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content
terminal
person
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1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3435A (ko
Inventor
김민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브리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브리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브리즘
Priority to KR1020190021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9011B1/ko
Publication of KR202001034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34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9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90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03Catalogue ord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achieving an enlarged field of view, e.g. panoramic image capture
    • H04N5/23238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품 콘텐츠를 제작 및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을 운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제품에 대하여 다각도로 촬영하는 촬영 장치로부터 촬영된 제품의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제품 관리 담당자의 단말로부터 해당 제품에 대한 기본 정보, 제작하고자 하는 콘텐츠의 종류 정보 및 제품의 이미지 데이터에 대하여 커스터마이징(Customizing) 요청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에 커스터마이징 요청 정보가 반영된 제품 콘텐츠를 생성하는 커스터마이징 툴(Tool)을 제공하고,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로부터 커스터마이징 툴을 통해 생성된 커스터마이징 요청 정보가 반영된 제품 콘텐츠를 입력받는 단계 및 입력된 커스터마이징 요청 정보가 반영된 제품 콘텐츠를 제품 관리 담당자의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제품 콘텐츠를 제작 및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을 운용하는 방법{METHOD FOR OPERATING A SERVICE PLATFORM FOR PRODUCING AND PROVIDING PRODUCT CONTENT}
본 발명은 제품 콘텐츠를 제작 및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을 운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제품에 대하여 다각도로 촬영하는 촬영 장치로부터 촬영된 제품의 이미지 데이터에 제품 관리 담당자의 단말로부터 입력된 해당 제품에 대한 기본 정보, 제작하고자 하는 콘텐츠의 종류 (2D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제품의 스틸 이미지 콘텐츠, 360도 회전하는 이미지 및 영상 콘텐츠와 3D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인터랙티브(Interactive) 3D 제품 콘텐츠, 가상현실(VR:Virtual Reality) 콘텐츠 및 증강현실(AR:Augmented Reality) 콘텐츠) 정보 및 제품의 이미지 데이터에 대하여 커스터마이징(Customizing) 요청 정보가 반영된 제품 콘텐츠를 제작하여 제품 관리 담당자의 단말에 제공하는 제품 콘텐츠를 제작 및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을 운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블로그, 쇼핑몰, 홈페이지 등의 활성화에 따라서, 개인 또는 소규모 기업들 사이에서 물품 등을 촬영하고, 촬영된 물품 이미지를 블로그, 쇼핑몰, 홈페이지에 등록하고 있다.
특히, 최근 하드웨어, 영상처리 기술 및 네트워크 기술의 발달에 따라서, 촬영대상을 다각도에서 촬영한 뒤 이를 결합하여 촬영 대상에 대한 3차원 이미지를 생성하여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사용자들과 공유하거나, 이를 물품 이미지로서 등록하여 사용자들이 물품을 더욱 현실감 있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카메라를 통하여 직접 촬영 대상을 촬영하는 경우, 물품에 대한 배경색 및 빛 조절이 되지 않은 상태로 촬영이 이루어져, 배경에 그림자가 발생하고 촬영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특히 3차원 이미지의 경우, 사용자가 일일이 다각도의 물품의 이미지를 촬영해야 하기 때문에, 거의 그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서, 사용자들이 물품의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하여, 특히 촬영 대상의 3차원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전문적인 스튜디오에서 촬영을 하거나, 3차원 이미지 촬영용 전문 제품을 사용해야 했다. 이에 따라서, 물품의 촬영에 많은 시간 및 비용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사용자가 직접 촬영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 제2014-0101026호는 "회전장치를 사용한 맞춤형 상품 360도 회전용 이미지 생성 및 저장방법"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제품 관리 담당자가 위치한 공간에 구비되는 촬영 장치와 연동되는 제품 관리 담당자의 단말로부터 생성된 촬영 요청 신호에 따라 촬영 장치가 제품에 대하여 다각도 촬영을 완료한 후, 촬영 장치로부터 촬영 종료 신호가 입력되면 촬영된 제품의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받는 제품 콘텐츠를 제작 및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을 운용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작하고자 하는 콘텐츠의 종류가 2D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제품의 스틸 이미지 콘텐츠, 360도 회전하는 이미지 및 영상 콘텐츠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경우,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로부터 커스터마이징 요청 정보가 반영되어 제작된 2D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2D 제품 콘텐츠를 수신받는 제품 콘텐츠를 제작 및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을 운용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작하고자 하는 콘텐츠의 종류가 3D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인터랙티브(Interactive) 3D 제품 콘텐츠, 가상현실(VR:Virtual Reality) 콘텐츠 및 증강현실(AR:Augmented Reality) 콘텐츠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경우,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로부터 커스터마이징 요청 정보가 반영되어 제작된 3D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3D 제품 콘텐츠를 수신받는 제품 콘텐츠를 제작 및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을 운용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스터마이징 요청 정보가 반영되어 제작된 2D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2D 제품 콘텐츠 또는 3D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3D 제품 콘텐츠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및 임베드 코드(Embed Cod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품 콘텐츠를 제품 관리 담당자의 단말에 제공하는 제품 콘텐츠를 제작 및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을 운용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제품 콘텐츠를 제작 및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을 운용하는 방법은 제품 관리 담당자가 위치한 공간에 구비되어 제품에 대하여 다각도로 촬영하는 촬영 장치로부터 촬영된 제품의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제품 관리 담당자의 단말로부터 해당 제품에 대한 기본 정보, 제작하고자 하는 콘텐츠의 종류 정보 및 제품의 이미지 데이터에 대하여 커스터마이징(Customizing) 요청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에 커스터마이징 요청 정보가 반영된 제품 콘텐츠를 생성하는 커스터마이징 툴(Tool)을 제공하고,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로부터 커스터마이징 툴을 통해 생성된 커스터마이징 요청 정보가 반영된 제품 콘텐츠를 입력받는 단계; 및 입력된 커스터마이징 요청 정보가 반영된 제품 콘텐츠를 제품 관리 담당자의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제품 관리 담당자가 위치한 공간에 구비되어 제품에 대하여 다각도로 촬영하는 촬영 장치로부터 촬영된 제품의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는, 촬영 장치와 연동되는 제품 관리 담당자의 단말로부터 생성된 촬영 요청 신호에 따라 촬영 장치가 제품에 대하여 다각도 촬영을 완료한 후, 촬영 장치로부터 촬영 종료 신호가 입력되면 촬영된 제품의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품 관리 담당자의 단말로부터 해당 제품에 대한 기본 정보, 제작하고자 하는 콘텐츠의 종류 정보 및 제품의 이미지 데이터에 대하여 커스터마이징(Customizing) 요청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는, 제품 관리 담당자의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해당 제품에 대한 모델명, 제품명, 사이즈, 형상 및 재질에 따른 제품의 특징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제품의 기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제품 관리 담당자의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해당 제품의 이미지 데이터에 대하여 제작하고자 하는 콘텐츠의 종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제품 관리 담당자의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토대로 제작되는 제품 콘텐츠의 배경, 배경색, 배경과 제품의 배치, 잡티 제거 및 색 온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제품의 커스터마이징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품 관리 담당자의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해당 제품의 이미지 데이터에 대하여 제작하고자 하는 콘텐츠의 종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제작하고자 하는 콘텐츠의 종류에 있어서, 해당 제품의 이미지 데이터에 대하여 제작하고자 하는 콘텐츠의 종류에 있어 2D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제품의 스틸 이미지 콘텐츠, 360도 회전하는 이미지 및 영상 콘텐츠와 3D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인터랙티브(Interactive) 3D 제품 콘텐츠, 가상현실(VR:Virtual Reality) 콘텐츠 및 증강현실(AR:Augmented Reality) 콘텐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에 커스터마이징 요청 정보가 반영된 제품 콘텐츠를 생성하는 커스터마이징 툴(Tool)을 제공하고,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로부터 커스터마이징 툴을 통해 생성된 커스터마이징 요청 정보가 반영된 제품 콘텐츠를 입력받는 단계는, 입력된 제품의 기본 정보, 콘텐츠의 종류 정보 및 제품의 커스터마이징 요청 정보를 파악하는 단계; 파악 결과, 콘텐츠의 종류 정보에서 제작하고자 하는 콘텐츠의 종류가 2D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제품의 스틸 이미지 콘텐츠, 360도 회전하는 이미지 및 영상 콘텐츠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경우,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로부터 커스터마이징 요청 정보가 반영되어 제작된 2D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2D 제품 콘텐츠를 수신받는 단계; 및 파악 결과, 콘텐츠의 종류 정보에서 제작하고자 하는 콘텐츠의 종류가 3D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인터랙티브(Interactive) 3D 제품 콘텐츠, 가상현실(VR:Virtual Reality) 콘텐츠 및 증강현실(AR:Augmented Reality) 콘텐츠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경우,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로부터 커스터마이징 요청 정보가 반영되어 제작된 3D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3D 제품 콘텐츠를 수신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로부터 커스터마이징 요청 정보가 반영되어 제작된 2D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2D 제품 콘텐츠를 수신받는 단계는,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에 커스터마이징 요청 정보가 반영된 2D 제품 콘텐츠를 생성하는 제1 커스터마이징 툴을 제공하는 단계; 및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로부터 커스터마이징 툴을 통해 생성된 커스터마이징 요청 정보가 반영되어 제작된 2D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2D 제품 콘텐츠를 수신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로부터 커스터마이징 툴을 통해 생성된 커스터마이징 요청 정보가 반영되어 제작된 2D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2D 제품 콘텐츠를 수신받는 단계는,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로부터 생성된 커스터마이징 요청 정보가 반영되어 제작된 2D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2D 제품 콘텐츠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및 임베드 코드(Embed Cod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신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로부터 커스터마이징 요청 정보가 반영되어 제작된 3D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3D 제품 콘텐츠를 수신받는 단계는,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로부터 제작 난이도에 따라 산정된 견적 가격 정보를 수신하여 제품 관리 담당자의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및 제품 관리 담당자의 단말로부터 해당 견적 가격 정보에 대하여 승인 여부 결정에 따른 승인 또는 거절 정보를 수신하여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로부터 커스터마이징 요청 정보가 반영되어 제작된 3D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3D 제품 콘텐츠를 수신받는 단계는,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에 해당 견적 가격 정보에 대하여 승인 정보가 수신되면,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로부터 3D 제품 콘텐츠 외주 요청 정보를 입력받아 상호 연동된 3D 제품 콘텐츠 외주 중개 서버에 전달하는 단계; 및 3D 제품 콘텐츠 외주 중개 서버로부터 3D 제품 콘텐츠 외주 요청 정보에 입찰한 외주 작업자의 정보 리스트를 수신하여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에 제공하고,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로부터 외주 작업자의 정보 리스트 중 외주 작업자를 선정한 외주 작업자 선정 정보를 3D 제품 콘텐츠 외주 중개 서버에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에 해당 견적 가격 정보에 대하여 승인 정보가 수신되면,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로부터 3D 제품 콘텐츠 외주 요청 정보를 입력받아 상호 연동된 3D 제품 콘텐츠 외주 중개 서버에 전달하는 단계는, 3D 제품 콘텐츠 종류, 제작 기한 및 외주 비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3D 제품 콘텐츠 외주 요청 정보를 3D 제품 콘텐츠 외주 중개 서버에 전달하고, 외주 작업자의 경력 기술서, 포트폴리오 및 이전에 해당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로부터 외주 작업자로 선정된 횟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외주 작업자의 정보 리스트를 3D 제품 콘텐츠 외주 중개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로부터 커스터마이징 요청 정보가 반영되어 제작된 3D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3D 제품 콘텐츠를 수신받는 단계는,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에서 선정한 외주 작업자의 단말에 3D 제품 콘텐츠를 생성하는 3D 에디터(Editor) 툴 및 제품의 이미지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 및 외주 작업자의 단말로부터 3D 에디터 툴을 통해 생성된 3D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3D 제품 콘텐츠를 수신받아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로부터 커스터마이징 요청 정보가 반영되어 제작된 3D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3D 제품 콘텐츠를 수신받는 단계는,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에 외주 작업자의 단말로부터 생성된 3D 제품 콘텐츠에 커스터마이징 요청 정보를 반영하기 위한 제2 커스터마이징 툴을 제공하는 단계; 및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로부터 커스터마이징 툴을 통해 생성된 커스터마이징 요청 정보가 반영되어 제작된 3D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최종 3D 제품 콘텐츠를 수신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로부터 커스터마이징 툴을 통해 생성된 커스터마이징 요청 정보가 반영되어 제작된 3D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최종 3D 제품 콘텐츠를 수신받는 단계는,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로부터 생성된 커스터마이징 요청 정보가 반영되어 제작된 3D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최종 3D 제품 콘텐츠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및 임베드 코드(Embed Cod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신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제품 콘텐츠를 제작 및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을 운용하는 방법은 제품 관리 담당자가 위치한 공간에 구비되는 촬영 장치와 연동되는 제품 관리 담당자의 단말로부터 생성된 촬영 요청 신호에 따라 촬영 장치가 제품에 대하여 다각도 촬영을 완료한 후, 촬영 장치로부터 촬영 종료 신호가 입력되면 촬영된 제품의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받음으로써, 제품을 촬영하기 위해 스튜디오를 방문하지 않고도 빠른 시간 내에 저렴한 비용으로 다양한 각도의 제품 사진을 촬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작하고자 하는 콘텐츠의 종류가 2D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제품의 스틸 이미지 콘텐츠, 360도 회전하는 이미지 및 영상 콘텐츠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경우,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로부터 커스터마이징 요청 정보가 반영되어 제작된 2D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2D 제품 콘텐츠를 수신받고, 제작하고자 하는 콘텐츠의 종류가 3D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인터랙티브(Interactive) 3D 제품 콘텐츠, 가상현실(VR:Virtual Reality) 콘텐츠 및 증강현실(AR:Augmented Reality) 콘텐츠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경우,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로부터 커스터마이징 요청 정보가 반영되어 제작된 3D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3D 제품 콘텐츠를 수신받음으로써, 최소한의 시간 및 비용으로 극 사실적으로 표현해 몰입감을 높이는 대량의 콘텐츠 생산이 가능하고, 다양한 고급 3D 콘텐츠로의 활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작하고자 하는 콘텐츠의 종류가 3D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인터랙티브(Interactive) 3D 제품 콘텐츠, 가상현실(VR:Virtual Reality) 콘텐츠 및 증강현실(AR:Augmented Reality) 콘텐츠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경우에 3D 제품 콘텐츠 외주 요청 정보를 상호 연동된 3D 제품 콘텐츠 외주 중개 서버에 전달하여 선정된 외주 작업자의 단말에 3D 에디터 툴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생성된 3D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3D 제품 콘텐츠를 수신받음으로써, 전문적인 역량을 갖춘 전문가에게 3D 콘텐츠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스터마이징 요청 정보가 반영되어 제작된 2D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2D 제품 콘텐츠 또는 3D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3D 제품 콘텐츠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및 임베드 코드(Embed Cod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품 콘텐츠를 제품 관리 담당자의 단말에 제공함으로써, 제품 관리 담당자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및 임베드 코드(Embed Code) 복사하여 원하는 곳에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품 콘텐츠를 제작 및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을 운용하는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품 콘텐츠를 제작 및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을 운용하는 장치에 채용되는 제품 기본-요청 정보 입력부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품 콘텐츠를 제작 및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을 운용하는 장치를 통해 제작될 수 있는 콘텐츠의 종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품 콘텐츠를 제작 및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을 운용하는 장치에 채용되는 제품 콘텐츠 입력부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제품 콘텐츠 입력부에 채용되는 2D 제품 콘텐츠 제작부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제품 콘텐츠 입력부에 채용되는 3D 제품 콘텐츠 제작부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품 콘텐츠를 제작 및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을 운용하는 방법의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품 콘텐츠를 제작 및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을 운용하는 방법에서 커스터마이징 요청 정보가 반영되어 제작된 2D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2D 제품 콘텐츠를 수신받는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도 8의 과정에 대해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품 콘텐츠를 제작 및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을 운용하는 방법에서 커스터마이징 요청 정보가 반영되어 제작된 3D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3D 제품 콘텐츠를 수신받는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과정에 대해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품 콘텐츠를 제작 및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을 운용하는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품 콘텐츠를 제작 및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을 운용하는 장치는 크게 제품 이미지 데이터 입력부(110), 제품 기본-요청 정보 입력부(120), 제품 콘텐츠 입력부(130) 및 제품 콘텐츠 제공부(170)를 포함한다.
제품 이미지 데이터 입력부(110)는 제품 관리 담당자가 위치한 공간에 구비되어 제품에 대하여 다각도로 촬영하는 촬영 장치(10)로부터 촬영된 제품의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여기서, 촬영 장치(10)는 제품 촬영 스튜디오 형태의 장치(대략 2mX2mX2m 크기)로, 내부에 제품 위치시키면 제품의 Raw Data(여러 각도에서 찍은 150-200장 이상의 고화질 2D 이미지) 촬영을 수행한다. 그리고 촬영 장치(10)는 제품 콘텐츠를 제작 및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을 운용하는 회사에서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제품 관리 담당자는 제품을 판매하고 관리하는 해당 제품의 브랜드 담당자이다.
제품 이미지 데이터 입력부(110)는 촬영 장치(10)와 연동되는 제품 관리 담당자의 단말(20)로부터 생성된 촬영 요청 신호(예를 들어, 촬영 시작 버튼 터치)에 따라 촬영 장치가 제품에 대하여 다각도 촬영을 완료한 후, 촬영 장치(10)로부터 촬영 종료 신호가 입력되면 촬영된 제품의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
제품 기본-요청 정보 입력부(120)는 제품 관리 담당자의 단말(20)로부터 해당 제품에 대한 기본 정보, 제작하고자 하는 콘텐츠의 종류 정보 및 제품의 이미지 데이터에 대하여 커스터마이징(Customizing) 요청 정보를 입력받는다.
제품 콘텐츠 입력부(130)는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30)에 커스터마이징 요청 정보가 반영된 제품 콘텐츠를 생성하는 커스터마이징 툴(Tool)을 제공하고,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30)로부터 커스터마이징 툴을 통해 생성된 커스터마이징 요청 정보가 반영된 제품 콘텐츠를 입력받는다. 여기서, 플랫폼 운용 담당자는 제품 콘텐츠를 제작 및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을 운용하는 회사에서 제품 콘텐츠를 관리하는 콘텐츠 담당자이다.
제품 콘텐츠 입력부(130)는 제작하고자 하는 콘텐츠의 종류가 2D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제품의 스틸 이미지 콘텐츠, 360도 회전하는 이미지 및 영상 콘텐츠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경우,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30)로부터 커스터마이징 요청 정보가 반영되어 제작된 2D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2D 제품 콘텐츠를 수신받을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후 도 5에서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제품 콘텐츠 입력부(130)는 제작하고자 하는 콘텐츠의 종류가 3D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인터랙티브(Interactive) 3D 제품 콘텐츠, 가상현실(VR:Virtual Reality) 콘텐츠 및 증강현실(AR:Augmented Reality) 콘텐츠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경우,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30)로부터 커스터마이징 요청 정보가 반영되어 제작된 3D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3D 제품 콘텐츠를 수신받을 수 있다. 또한, 3D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3D 제품 콘텐츠의 경우 상호 연동된 3D 제품 콘텐츠 외주 중개 서버(40)에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30)로부터 입력된 3D 제품 콘텐츠 외주 요청 정보를 제공하여 외주 작업자의 단말(50)로부터 외주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후 도 6에서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품 콘텐츠 제공부(140)는 입력된 커스터마이징 요청 정보가 반영된 제품 콘텐츠를 제품 관리 담당자의 단말(20)에 제공한다.
제품 콘텐츠 제공부(140)는 커스터마이징 요청 정보가 반영되어 제작된 2D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2D 제품 콘텐츠 또는 3D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3D 제품 콘텐츠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및 임베드 코드(Embed Cod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품 콘텐츠를 제품 관리 담당자의 단말(20)에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제품 관리 담당자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및 임베드 코드(Embed Code) 복사하여 해당 제품의 브랜드 웹 사이트에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품 콘텐츠를 제작 및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을 운용하는 장치에 채용되는 제품 기본-요청 정보 입력부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품 콘텐츠를 제작 및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을 운용하는 장치를 통해 제작될 수 있는 콘텐츠의 종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품 기본-요청 정보 입력부(120)는 제품 관리 담당자의 단말로부터 해당 제품에 대한 기본 정보, 제작하고자 하는 콘텐츠의 종류 정보 및 제품의 이미지 데이터에 대하여 커스터마이징 요청 정보를 입력받는다.
이를 위해, 제품 기본-요청 정보 입력부는 기본 정보 수신부(121), 콘텐츠 종류 정보 수신부(122) 및 커스터마이징 요청 정보 수신부(123)를 포함한다.
기본 정보 수신부(121)는 제품 관리 담당자의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해당 제품에 대한 모델명, 제품명, 사이즈, 제품의 컨셉, 원하는 콘텐츠의 개요, 형상 및 재질에 따른 제품의 특징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제품의 기본 정보를 수신한다.
콘텐츠 종류 정보 수신부(122)는 제품 관리 담당자의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해당 제품의 이미지 데이터에 대하여 제작하고자 하는 콘텐츠의 종류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콘텐츠 종류 정보 수신부(122)는 제작하고자 하는 콘텐츠의 종류에 있어서, 해당 제품의 이미지 데이터에 대하여 제작하고자 하는 콘텐츠의 종류에 있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D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제품의 스틸 이미지 콘텐츠, 360도 회전하는 이미지 및 영상 콘텐츠와 3D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인터랙티브(Interactive) 3D 제품 콘텐츠, 가상현실(VR:Virtual Reality) 콘텐츠 및 증강현실(AR:Augmented Reality) 콘텐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한 정보를 수신한다.
커스터마이징 요청 정보 수신부(123)는 제품 관리 담당자의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토대로 제작되는 제품 콘텐츠의 배경, 배경색, 배경과 제품의 배치, 잡티 제거 및 색 온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제품의 커스터마이징 요청 정보를 수신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품 콘텐츠를 제작 및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을 운용하는 장치에 채용되는 제품 콘텐츠 입력부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제품 콘텐츠 입력부에 채용되는 2D 제품 콘텐츠 제작부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4의 제품 콘텐츠 입력부에 채용되는 3D 제품 콘텐츠 제작부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품 콘텐츠 입력부(130)는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에 커스터마이징 요청 정보가 반영된 제품 콘텐츠를 생성하는 커스터마이징 툴(Tool)을 제공하고,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로부터 커스터마이징 툴을 통해 생성된 커스터마이징 요청 정보가 반영된 제품 콘텐츠를 입력받는다.
이를 위해, 제품 콘텐츠 입력부(130)는 제품 기본-요청 정보 파악부(140), 2D 제품 콘텐츠 제작부(150) 및 3D 제품 콘텐츠 제작부(160)를 포함한다.
제품 기본-요청 정보 파악부(140)는 입력된 제품의 기본 정보, 콘텐츠의 종류 정보 및 제품의 커스터마이징 요청 정보를 파악한다.
여기서, 2D 제품 콘텐츠 제작부(150)는 파악 결과, 콘텐츠의 종류 정보에서 제작하고자 하는 콘텐츠의 종류가 2D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제품의 스틸 이미지 콘텐츠, 360도 회전하는 이미지 및 영상 콘텐츠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경우,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로부터 커스터마이징 요청 정보가 반영되어 제작된 2D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2D 제품 콘텐츠를 수신받는다.
이를 위해, 2D 제품 콘텐츠 제작부(1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커스터마이징 툴 제공부(151) 및 2D 제품 콘텐츠 수신부(152)를 포함한다.
제1 커스터마이징 툴 제공부(151)는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에 커스터마이징 요청 정보가 반영된 2D 제품 콘텐츠를 생성하는 제1 커스터마이징 툴을 제공한다. 이때, 제1 커스터마이징 툴은 제품 콘텐츠의 배경, 배경색, 배경과 제품의 배치, 잡티 제거 및 색 온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제품의 커스터마이징 요청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도구 프로그램이다.
2D 제품 콘텐츠 수신부(152)는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로부터 커스터마이징 툴을 통해 생성된 커스터마이징 요청 정보가 반영되어 제작된 2D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2D 제품 콘텐츠를 수신받는다. 즉, 2D 제품 콘텐츠 수신부(152)는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로부터 제품 관리 담당자의 요구에 따라 완성된 2D 제품 콘텐츠를 수신받는다.
그리고 2D 제품 콘텐츠 수신부(152)는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로부터 생성된 커스터마이징 요청 정보가 반영되어 제작된 2D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2D 제품 콘텐츠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및 임베드 코드(Embed Cod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신받는다.
또한, 3D 제품 콘텐츠 제작부(160)는 파악 결과, 콘텐츠의 종류 정보에서 제작하고자 하는 콘텐츠의 종류가 3D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인터랙티브(Interactive) 3D 제품 콘텐츠, 가상현실(VR:Virtual Reality) 콘텐츠 및 증강현실(AR:Augmented Reality) 콘텐츠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경우,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로부터 커스터마이징 요청 정보가 반영되어 제작된 3D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3D 제품 콘텐츠를 수신받는다.
이를 위해, 3D 제품 콘텐츠 제작부(15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견적 가격 정보 수신부(161), 견적 결정 정보 수신부(162), 3D 제품 콘텐츠 외주 요청부(163), 3D 제품 콘텐츠 외주 작업자 선정부(164), 3D 에디터 툴 제공부(165), 3D 제품 콘텐츠 수신부(166), 제2 커스터마이징 툴 제공부(167) 및 최종 3D 제품 콘텐츠 수신부(168)를 포함한다.
견적 가격 정보 수신부(161)는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로부터 제작 난이도에 따라 산정된 견적 가격 정보를 수신하여 제품 관리 담당자의 단말에 제공한다.
견적 결정 정보 수신부(162)는 제품 관리 담당자의 단말로부터 해당 견적 가격 정보에 대하여 승인 여부 결정에 따른 승인 또는 거절 정보를 수신하여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에 제공한다.
3D 제품 콘텐츠 외주 요청부(163)는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에 해당 견적 가격 정보에 대하여 승인 정보가 수신되면,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로부터 3D 제품 콘텐츠 외주 요청 정보를 입력받아 상호 연동된 3D 제품 콘텐츠 외주 중개 서버에 전달한다.
3D 제품 콘텐츠 외주 요청부(163)는 3D 제품 콘텐츠 종류, 제작 기한 및 외주 비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3D 제품 콘텐츠 외주 요청 정보를 3D 제품 콘텐츠 외주 중개 서버에 전달한다.
3D 제품 콘텐츠 외주 작업자 선정부(164)는 3D 제품 콘텐츠 외주 중개 서버로부터 3D 제품 콘텐츠 외주 요청 정보에 입찰한 외주 작업자의 정보 리스트를 수신하여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에 제공하고,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로부터 외주 작업자의 정보 리스트 중 외주 작업자를 선정한 외주 작업자 선정 정보를 3D 제품 콘텐츠 외주 중개 서버에 전달한다.
3D 제품 콘텐츠 외주 작업자 선정부(164)는 외주 작업자의 경력 기술서, 포트폴리오 및 이전에 해당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로부터 외주 작업자로 선정된 횟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외주 작업자의 정보 리스트를 3D 제품 콘텐츠 외주 중개 서버로부터 수신한다.
3D 에디터 툴 제공부(165)는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에서 선정한 외주 작업자의 단말에 3D 제품 콘텐츠를 생성하는 3D 에디터(Editor) 툴 및 제품의 이미지 데이터를 제공한다. 이때, 3D 에디터 툴은 3D 모델, 3D 부품 라이브러리를 포함하는 전용 웹 3D 도구 프로그램이다.
3D 제품 콘텐츠 수신부(166)는 외주 작업자의 단말로부터 3D 에디터 툴을 통해 생성된 3D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3D 제품 콘텐츠를 수신받아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에 제공한다.
제2 커스터마이징 툴 제공부(167)는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에 외주 작업자의 단말로부터 생성된 3D 제품 콘텐츠에 커스터마이징 요청 정보를 반영하기 위한 제2 커스터마이징 툴을 제공한다. 이때, 제2 커스터마이징 툴은 제품 콘텐츠의 배경, 배경색, 배경과 제품의 배치, 잡티 제거 및 색 온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제품의 커스터마이징 요청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도구 프로그램이다.
최종 3D 제품 콘텐츠 수신부(168)는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로부터 커스터마이징 툴을 통해 생성된 커스터마이징 요청 정보가 반영되어 제작된 3D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최종 3D 제품 콘텐츠를 수신받는다. 즉, 최종 3D 제품 콘텐츠 수신부(168)는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로부터 제품 관리 담당자의 요구에 따라 완성된 최종 3D 제품 콘텐츠를 수신받는다.
그리고 3D 제품 콘텐츠 수신부(152)는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로부터 생성된 커스터마이징 요청 정보가 반영되어 제작된 3D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최종 3D 제품 콘텐츠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및 임베드 코드(Embed Cod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신받는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품 콘텐츠를 제작 및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을 운용하는 방법의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품 콘텐츠를 제작 및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을 운용하는 방법은 앞서 설명한 제품 콘텐츠를 제작 및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을 운용하는 장치를 이용하는 것으로, 이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품 콘텐츠를 제작 및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을 운용하는 방법은 제품 관리 담당자가 위치한 공간에 구비되어 제품에 대하여 다각도로 촬영하는 촬영 장치로부터 촬영된 제품의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받는다(S100).
S100 단계는 촬영 장치와 연동되는 제품 관리 담당자의 단말(20)로부터 생성된 촬영 요청 신호(예를 들어, 촬영 시작 버튼 터치)에 따라 촬영 장치가 제품에 대하여 다각도 촬영을 완료한 후, 촬영 장치로부터 촬영 종료 신호가 입력되면 촬영된 제품의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
다음, 제품 관리 담당자의 단말로부터 해당 제품에 대한 기본 정보, 제작하고자 하는 콘텐츠의 종류 정보 및 제품의 이미지 데이터에 대하여 커스터마이징(Customizing) 요청 정보를 입력받는다(S110).
S110 단계는 제품 관리 담당자의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해당 제품에 대한 모델명, 제품명, 사이즈, 형상 및 재질에 따른 제품의 특징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제품의 기본 정보를 수신하고, 제품 관리 담당자의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해당 제품의 이미지 데이터에 대하여 제작하고자 하는 콘텐츠의 종류 정보를 수신하고, 제품 관리 담당자의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토대로 제작되는 제품 콘텐츠의 배경, 배경색, 배경과 제품의 배치, 잡티 제거 및 색 온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제품의 커스터마이징 요청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음,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에 커스터마이징 요청 정보가 반영된 제품 콘텐츠를 생성하는 커스터마이징 툴(Tool)을 제공하고,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로부터 커스터마이징 툴을 통해 생성된 커스터마이징 요청 정보가 반영된 제품 콘텐츠를 입력받는다(S120).
S120 단계는 입력된 제품의 기본 정보, 콘텐츠의 종류 정보 및 제품의 커스터마이징 요청 정보를 파악한 결과, 콘텐츠의 종류 정보에서 제작하고자 하는 콘텐츠의 종류가 2D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제품의 스틸 이미지 콘텐츠, 360도 회전하는 이미지 및 영상 콘텐츠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경우,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로부터 커스터마이징 요청 정보가 반영되어 제작된 2D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2D 제품 콘텐츠를 수신받을 수 있다. 이는 이후 설명되는 도 8 및 도 9에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S120 단계는 입력된 제품의 기본 정보, 콘텐츠의 종류 정보 및 제품의 커스터마이징 요청 정보를 파악한 결과, 콘텐츠의 종류 정보에서 제작하고자 하는 콘텐츠의 종류가 3D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인터랙티브(Interactive) 3D 제품 콘텐츠, 가상현실(VR:Virtual Reality) 콘텐츠 및 증강현실(AR:Augmented Reality) 콘텐츠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경우,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로부터 커스터마이징 요청 정보가 반영되어 제작된 3D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3D 제품 콘텐츠를 수신받을 수 있다. 이는 이후 설명되는 도 10 및 도 11에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다음, 입력된 커스터마이징 요청 정보가 반영된 제품 콘텐츠를 제품 관리 담당자의 단말에 제공한다(S130).
S130 단계는 품 콘텐츠 제공부(140)는 커스터마이징 요청 정보가 반영되어 제작된 2D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2D 제품 콘텐츠 또는 3D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3D 제품 콘텐츠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및 임베드 코드(Embed Cod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품 콘텐츠를 제품 관리 담당자의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품 콘텐츠를 제작 및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을 운용하는 방법에서 커스터마이징 요청 정보가 반영되어 제작된 2D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2D 제품 콘텐츠를 수신받는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이고, 도 9는 도 8의 과정에 대해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커스터마이징 요청 정보가 반영되어 제작된 2D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2D 제품 콘텐츠를 수신받는 순서는 먼저, 입력된 제품의 기본 정보, 콘텐츠의 종류 정보 및 제품의 커스터마이징 요청 정보를 파악한다(S200).
다음, 파악 결과, 콘텐츠의 종류 정보에서 제작하고자 하는 콘텐츠의 종류가 2D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제품의 스틸 이미지 콘텐츠, 360도 회전하는 이미지 및 영상 콘텐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입력된다(S210)
다음,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에 커스터마이징 요청 정보가 반영된 2D 제품 콘텐츠를 생성하는 제1 커스터마이징 툴을 제공한다(S220). S220 단계에서, 제1 커스터마이징 툴은 제품 콘텐츠의 배경, 배경색, 배경과 제품의 배치, 잡티 제거 및 색 온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제품의 커스터마이징 요청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도구 프로그램이다.
다음,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로부터 커스터마이징 툴을 통해 생성된 커스터마이징 요청 정보가 반영되어 제작된 2D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2D 제품 콘텐츠를 수신받는다(S230).
S230 단계는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로부터 생성된 커스터마이징 요청 정보가 반영되어 제작된 2D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2D 제품 콘텐츠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및 임베드 코드(Embed Cod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신받는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품 콘텐츠를 제작 및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을 운용하는 방법에서 커스터마이징 요청 정보가 반영되어 제작된 3D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3D 제품 콘텐츠를 수신받는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이고, 도 11은 도 10의 과정에 대해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커스터마이징 요청 정보가 반영되어 제작된 3D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2D 제품 콘텐츠를 수신받는 순서는 먼저, 입력된 제품의 기본 정보, 콘텐츠의 종류 정보 및 제품의 커스터마이징 요청 정보를 파악한다(S300).
다음, 파악 결과, 콘텐츠의 종류 정보에서 제작하고자 하는 콘텐츠의 종류가 3D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인터랙티브(Interactive) 3D 제품 콘텐츠, 가상현실(VR:Virtual Reality) 콘텐츠 및 증강현실(AR:Augmented Reality) 콘텐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입력받는다(S310).
다음,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로부터 제작 난이도에 따라 산정된 견적 가격 정보를 수신하여 제품 관리 담당자의 단말에 제공한다(S320).
다음, 제품 관리 담당자의 단말로부터 해당 견적 가격 정보에 대하여 승인 여부 결정에 따른 승인 또는 거절 정보를 수신하여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에 제공한다(S330).
다음,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에 해당 견적 가격 정보에 대하여 승인 정보가 수신되면,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로부터 3D 제품 콘텐츠 외주 요청 정보를 입력받아 상호 연동된 3D 제품 콘텐츠 외주 중개 서버에 전달한다(S340).
S340 단계는 3D 제품 콘텐츠 종류, 제작 기한 및 외주 비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3D 제품 콘텐츠 외주 요청 정보를 3D 제품 콘텐츠 외주 중개 서버에 전달한다.
다음, 3D 제품 콘텐츠 외주 중개 서버로부터 3D 제품 콘텐츠 외주 요청 정보에 입찰한 외주 작업자의 정보 리스트를 수신하여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에 제공하고,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로부터 외주 작업자의 정보 리스트 중 외주 작업자를 선정한 외주 작업자 선정 정보를 3D 제품 콘텐츠 외주 중개 서버에 전달한다(S350).
S350 단계에서 외주 작업자의 경력 기술서, 포트폴리오 및 이전에 해당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로부터 외주 작업자로 선정된 횟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외주 작업자의 정보 리스트를 3D 제품 콘텐츠 외주 중개 서버로부터 수신한다.
다음,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에서 선정한 외주 작업자의 단말에 3D 제품 콘텐츠를 생성하는 3D 에디터(Editor) 툴 및 제품의 이미지 데이터를 제공한다(S360). S360 단계의 3D 에디터 툴은 3D 모델, 3D 부품 라이브러리를 포함하는 전용 웹 3D 도구 프로그램이다.
다음, 외주 작업자의 단말로부터 3D 에디터 툴을 통해 생성된 3D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3D 제품 콘텐츠를 수신받아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에 제공한다(S370).
다음,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에 외주 작업자의 단말로부터 생성된 3D 제품 콘텐츠에 커스터마이징 요청 정보를 반영하기 위한 제2 커스터마이징 툴을 제공한다(S380). S380 단계의 제2 커스터마이징 툴은 제품 콘텐츠의 배경, 배경색, 배경과 제품의 배치, 잡티 제거 및 색 온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제품의 커스터마이징 요청 정보를 처리할 수 있는 도구 프로그램이다.
다음,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로부터 커스터마이징 툴을 통해 생성된 커스터마이징 요청 정보가 반영되어 제작된 3D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최종 3D 제품 콘텐츠를 수신받는다(S390).
S390 단계는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로부터 생성된 커스터마이징 요청 정보가 반영되어 제작된 3D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최종 3D 제품 콘텐츠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및 임베드 코드(Embed Cod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신받는다.
이상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기능적 동작과 본 주제에 관한 실시형태들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한 구조들 및 그들의 구조적인 등가물을 포함하여 디지털 전자 회로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하드웨어에서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이 조합에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주제의 실시형태는 하나 이상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데이터 처리 장치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또는 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매체상에 인코딩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이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유형의 프로그램 매체는 전파형 신호이거나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일 수 있다. 전파형 신호는 컴퓨터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적절한 수신기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정보를 인코딩하기 위하여 생성되는 예컨대 기계가 생성한 전기적, 광학적 또는 전자기 신호와 같은 인공적으로 생성된 신호이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합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이 조합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또는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또는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또는 컴퓨터 환경에서 이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장치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또는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이 모듈, 하위 프로그램 또는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또는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이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본 특허문헌에서 기술하는 논리 흐름과 구조적인 블록도는 개시된 구조적인 수단의 지원을 받는 대응하는 기능과 단계의 지원을 받는 대응하는 행위 및/또는 특정한 방법을 기술하는 것으로, 대응하는 소프트웨어 구조와 알고리즘과 그 등가물을 설정하는 데에도 사용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프로세스와 논리 흐름은 수신 데이터 상에서 동작하고 출력을 생성함으로써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이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이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에 의하여 수행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실행에 적합한 프로세서는, 예컨대 범용 및 특수 목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양자 및 어떤 형태의 디지털 컴퓨터의 어떠한 하나 이상이 프로세서라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프로세서는 읽기 전용 메모리나 랜덤 액세스 메모리 또는 양자로부터 명령어와 데이터를 수신할 것이다.
컴퓨터의 핵심적인 요소는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이 메모리 장치 및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서이다. 또한, 컴퓨터는 일반적으로 예컨대 자기, 자기 광학 디스크나 광학 디스크와 같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이 대량 저장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그것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또는 그러한 동작 둘 다를 수행하기 위하여 동작가능 하도록 결합되거나 이를 포함할 것이다. 그러나, 컴퓨터는 그러한 장치를 가질 필요가 없다.
본 기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최상의 모드를 제시하고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그리고 당업자가 본 발명을 제작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게 작성된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이 의도하는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도면에 도시된 모든 기능 블록을 별도로 포함하거나 도면에 도시된 모든 순서를 도시된 순서 그대로 따라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그렇지 않더라도 얼마든지 청구항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할 수 있음에 주의한다.
100 : 제품 콘텐츠를 제작 및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을 운용하는 장치
110 : 제품 이미지 데이터 입력부
120 : 제품 기본-요청 정보 입력부
130 : 제품 콘텐츠 입력부
140 : 제품 기본-요청 정보 파악부
150 : 2D 제품 콘텐츠 제작부
160 : 3D 제품 콘텐츠 제작부
170 : 제품 콘텐츠 제공부

Claims (13)

  1. 제품 콘텐츠를 제작 및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을 운용하는 장치에 의해, 제품 콘텐츠를 제작 및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을 운용하는 회사에서 제공되어 제품 관리 담당자가 위치한 공간에 구비되는 촬영 장치로부터 제품에 대하여 다각도로 촬영된 제품의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제품 콘텐츠를 제작 및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을 운용하는 장치에 의해, 제품 관리 담당자의 단말로부터 해당 제품에 대한 기본 정보, 제작하고자 하는 콘텐츠의 종류 정보 및 제품의 이미지 데이터에 대하여 커스터마이징(Customizing) 요청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
    제품 콘텐츠를 제작 및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을 운용하는 장치에 의해,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에 커스터마이징 요청 정보가 반영된 제품 콘텐츠를 생성하는 커스터마이징 툴(Tool)을 제공하고,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로부터 커스터마이징 툴을 통해 생성된 커스터마이징 요청 정보가 반영된 제품 콘텐츠를 입력받는 단계; 및
    제품 콘텐츠를 제작 및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을 운용하는 장치에 의해, 입력된 커스터마이징 요청 정보가 반영된 제품 콘텐츠를 제품 관리 담당자의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에 커스터마이징 요청 정보가 반영된 제품 콘텐츠를 생성하는 커스터마이징 툴(Tool)을 제공하고,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로부터 커스터마이징 툴을 통해 생성된 커스터마이징 요청 정보가 반영된 제품 콘텐츠를 입력받는 단계는,
    입력된 제품의 기본 정보, 콘텐츠의 종류 정보 및 제품의 커스터마이징 요청 정보를 파악하는 단계;
    파악 결과, 콘텐츠의 종류 정보에서 제작하고자 하는 콘텐츠의 종류가 2D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제품의 스틸 이미지 콘텐츠, 360도 회전하는 이미지 및 영상 콘텐츠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경우,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로부터 커스터마이징 요청 정보가 반영되어 제작된 2D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2D 제품 콘텐츠를 수신받는 단계;
    파악 결과, 콘텐츠의 종류 정보에서 제작하고자 하는 콘텐츠의 종류가 3D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인터랙티브(Interactive) 3D 제품 콘텐츠, 가상현실(VR:Virtual Reality) 콘텐츠 및 증강현실(AR:Augmented Reality) 콘텐츠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경우,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로부터 커스터마이징 요청 정보가 반영되어 제작된 3D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3D 제품 콘텐츠를 수신받는 단계;를 포함하되,
    콘텐츠의 종류가 2D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경우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에 커스터마이징 요청 정보가 반영된 2D 제품 콘텐츠를 생성하는 제1 커스터마이징 툴을 제공하고, 콘텐츠의 종류가 3D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경우 상호 연동된 3D 제품 콘텐츠 외주 중개 서버에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로부터 입력된 3D 제품 콘텐츠 외주 요청 정보를 제공하여 외주 작업자의 단말로부터 외주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에서 선정한 외주 작업자의 단말에 3D 제품 콘텐츠를 생성하는 3D 에디터(Editor) 툴 및 제품의 이미지 데이터를 제공하고,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에 외주 작업자의 단말로부터 생성된 3D 제품 콘텐츠에 커스터마이징 요청 정보를 반영하기 위한 제2 커스터마이징 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콘텐츠를 제작 및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을 운용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품 관리 담당자가 위치한 공간에 구비되어 제품에 대하여 다각도로 촬영하는 촬영 장치로부터 촬영된 제품의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는,
    촬영 장치와 연동되는 제품 관리 담당자의 단말로부터 생성된 촬영 요청 신호에 따라 촬영 장치가 제품에 대하여 다각도 촬영을 완료한 후, 촬영 장치로부터 촬영 종료 신호가 입력되면 촬영된 제품의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콘텐츠를 제작 및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을 운용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제품 관리 담당자의 단말로부터 해당 제품에 대한 기본 정보, 제작하고자 하는 콘텐츠의 종류 정보 및 제품의 이미지 데이터에 대하여 커스터마이징(Customizing) 요청 정보를 입력받는 단계는,
    제품 관리 담당자의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해당 제품에 대한 모델명, 제품명, 사이즈, 형상 및 재질에 따른 제품의 특징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제품의 기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제품 관리 담당자의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해당 제품의 이미지 데이터에 대하여 제작하고자 하는 콘텐츠의 종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제품 관리 담당자의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토대로 제작되는 제품 콘텐츠의 배경, 배경색, 배경과 제품의 배치, 잡티 제거 및 색 온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제품의 커스터마이징 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제품 콘텐츠를 제작 및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을 운용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제품 관리 담당자의 단말로부터 입력되는 해당 제품의 이미지 데이터에 대하여 제작하고자 하는 콘텐츠의 종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제작하고자 하는 콘텐츠의 종류에 있어서, 해당 제품의 이미지 데이터에 대하여 제작하고자 하는 콘텐츠의 종류에 있어 2D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제품의 스틸 이미지 콘텐츠, 360도 회전하는 이미지 및 영상 콘텐츠와 3D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인터랙티브(Interactive) 3D 제품 콘텐츠, 가상현실(VR:Virtual Reality) 콘텐츠 및 증강현실(AR:Augmented Reality) 콘텐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선택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콘텐츠를 제작 및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을 운용하는 방법.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로부터 커스터마이징 요청 정보가 반영되어 제작된 2D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2D 제품 콘텐츠를 수신받는 단계는,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에 커스터마이징 요청 정보가 반영된 2D 제품 콘텐츠를 생성하는 제1 커스터마이징 툴을 제공하는 단계; 및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로부터 커스터마이징 툴을 통해 생성된 커스터마이징 요청 정보가 반영되어 제작된 2D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2D 제품 콘텐츠를 수신받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콘텐츠를 제작 및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을 운용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로부터 커스터마이징 툴을 통해 생성된 커스터마이징 요청 정보가 반영되어 제작된 2D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2D 제품 콘텐츠를 수신받는 단계는,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로부터 생성된 커스터마이징 요청 정보가 반영되어 제작된 2D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2D 제품 콘텐츠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및 임베드 코드(Embed Cod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신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콘텐츠를 제작 및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을 운용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로부터 커스터마이징 요청 정보가 반영되어 제작된 3D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3D 제품 콘텐츠를 수신받는 단계는,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로부터 제작 난이도에 따라 산정된 견적 가격 정보를 수신하여 제품 관리 담당자의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및
    제품 관리 담당자의 단말로부터 해당 견적 가격 정보에 대하여 승인 여부 결정에 따른 승인 또는 거절 정보를 수신하여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콘텐츠를 제작 및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을 운용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로부터 커스터마이징 요청 정보가 반영되어 제작된 3D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3D 제품 콘텐츠를 수신받는 단계는,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에 해당 견적 가격 정보에 대하여 승인 정보가 수신되면,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로부터 3D 제품 콘텐츠 외주 요청 정보를 입력받아 상호 연동된 3D 제품 콘텐츠 외주 중개 서버에 전달하는 단계; 및
    3D 제품 콘텐츠 외주 중개 서버로부터 3D 제품 콘텐츠 외주 요청 정보에 입찰한 외주 작업자의 정보 리스트를 수신하여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에 제공하고,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로부터 외주 작업자의 정보 리스트 중 외주 작업자를 선정한 외주 작업자 선정 정보를 3D 제품 콘텐츠 외주 중개 서버에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콘텐츠를 제작 및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을 운용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에 해당 견적 가격 정보에 대하여 승인 정보가 수신되면,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로부터 3D 제품 콘텐츠 외주 요청 정보를 입력받아 상호 연동된 3D 제품 콘텐츠 외주 중개 서버에 전달하는 단계는,
    3D 제품 콘텐츠 종류, 제작 기한 및 외주 비용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3D 제품 콘텐츠 외주 요청 정보를 3D 제품 콘텐츠 외주 중개 서버에 전달하고, 외주 작업자의 경력 기술서, 포트폴리오 및 이전에 해당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로부터 외주 작업자로 선정된 횟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외주 작업자의 정보 리스트를 3D 제품 콘텐츠 외주 중개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콘텐츠를 제작 및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을 운용하는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로부터 커스터마이징 요청 정보가 반영되어 제작된 3D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3D 제품 콘텐츠를 수신받는 단계는,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에서 선정한 외주 작업자의 단말에 3D 제품 콘텐츠를 생성하는 3D 에디터(Editor) 툴 및 제품의 이미지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 및
    외주 작업자의 단말로부터 3D 에디터 툴을 통해 생성된 3D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3D 제품 콘텐츠를 수신받아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콘텐츠를 제작 및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을 운용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로부터 커스터마이징 요청 정보가 반영되어 제작된 3D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3D 제품 콘텐츠를 수신받는 단계는,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에 외주 작업자의 단말로부터 생성된 3D 제품 콘텐츠에 커스터마이징 요청 정보를 반영하기 위한 제2 커스터마이징 툴을 제공하는 단계; 및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로부터 커스터마이징 툴을 통해 생성된 커스터마이징 요청 정보가 반영되어 제작된 3D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최종 3D 제품 콘텐츠를 수신받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콘텐츠를 제작 및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을 운용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로부터 커스터마이징 툴을 통해 생성된 커스터마이징 요청 정보가 반영되어 제작된 3D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최종 3D 제품 콘텐츠를 수신받는 단계는,
    플랫폼 운용 담당자의 단말로부터 생성된 커스터마이징 요청 정보가 반영되어 제작된 3D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는 최종 3D 제품 콘텐츠의 URL(uniform resource locator) 및 임베드 코드(Embed Cod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신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 콘텐츠를 제작 및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을 운용하는 방법.

KR1020190021937A 2019-02-25 2019-02-25 제품 콘텐츠를 제작 및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을 운용하는 방법 KR1022190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937A KR102219011B1 (ko) 2019-02-25 2019-02-25 제품 콘텐츠를 제작 및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을 운용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937A KR102219011B1 (ko) 2019-02-25 2019-02-25 제품 콘텐츠를 제작 및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을 운용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3435A KR20200103435A (ko) 2020-09-02
KR102219011B1 true KR102219011B1 (ko) 2021-02-23

Family

ID=72469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1937A KR102219011B1 (ko) 2019-02-25 2019-02-25 제품 콘텐츠를 제작 및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을 운용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901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6510B1 (ko) 2022-06-03 2023-01-10 주식회사 넘버제로 사용자 맞춤형 악세사리 주문 제작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4649B1 (ko) * 2020-10-23 2021-07-09 주식회사 엠엔씨넥스트 360도 제품 영상에 기반한 제품 정보 입력 방법 및 시스템
KR102274647B1 (ko) * 2020-10-23 2021-07-09 주식회사 엠엔씨넥스트 제품 영상에 기반한 제품 정보 입력 방법 및 시스템
KR102510216B1 (ko) * 2021-08-19 2023-03-15 주식회사 앱플러 비디오 커머스 시스템에서 다수의 동일 상품의 영상을 이용해 특정 구간의 종단 검색과 이를 수집된 영상으로 판매 비디오를 제작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7081B1 (ko) * 2017-05-08 2018-08-13 주식회사 브리즘 증강 현실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2221B1 (ko) * 2016-06-30 2019-05-24 전동혁 웹 기반 디지털 콘텐츠 편집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67097A (ko) * 2016-12-12 2018-06-20 주식회사 크레펀 비디오 커머스의 아웃소싱 플랫폼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7081B1 (ko) * 2017-05-08 2018-08-13 주식회사 브리즘 증강 현실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6510B1 (ko) 2022-06-03 2023-01-10 주식회사 넘버제로 사용자 맞춤형 악세사리 주문 제작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3435A (ko) 2020-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9011B1 (ko) 제품 콘텐츠를 제작 및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을 운용하는 방법
TWI718348B (zh) 基於擴增實境的線下互動方法及裝置
US10516869B2 (en) Real-time 3D virtual or physical model generating apparatus for HoloPortal and HoloCloud system
US8832576B2 (en)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for authenticating users and user devices to receive secure information via multiple authorized channels
US20210211487A1 (en) 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avatars through instant messaging application
US9544348B2 (en) Cloud-based rendering
KR102151964B1 (ko) 제품 상세정보 콘텐츠를 위한 제품 사진 촬영 서비스 제공 방법
US11756047B2 (en) Fingerprinting physical items to mint NFT's
CN112449707A (zh) 由计算机实现的用于创建包括合成图像的内容的方法
US20190164323A1 (en) Method and program for generating virtual reality contents
CN114637450A (zh) 业务流程的自动处理方法及系统、电子设备
CN116029371B (zh) 基于预训练的联邦学习工作流构建方法及相关设备
TWI531914B (zh) 擴增實境專案管理系統與方法
KR20200068921A (ko) Vr 갤러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vr 갤러리 관리 방법
US20190259115A1 (en) System and method for fractional ownership for digital content collaboration
KR101799199B1 (ko) Vr콘텐츠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dos Santos et al. A framework for developing and benchmarking sampling and denoising algorithms for Monte Carlo rendering
KR20200100336A (ko) 메신저를 통해 리소스를 요청하는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Ring et al. Jumping in at the deep end: how to experiment with machine learning in post-production software
WO2023012832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al-time design and development of internet-of-things products
KR101987270B1 (ko) 공유경제 서비스에 특화된 현실기반 3d 가상공간 제공시스템
KR102556610B1 (ko) 3d 기반 인테리어 커스터마이징 방법
Koh The future of non-fungible tokens: PNFTs as a medium for programmatic art enabling a fully realized AI-driven art ecosystem
WO2023134140A1 (zh) 基于云技术的图形渲染系统、方法及管理平台
US20230306413A1 (en) Tokenization of real-world objects and monetization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