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4649B1 - 360도 제품 영상에 기반한 제품 정보 입력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360도 제품 영상에 기반한 제품 정보 입력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4649B1
KR102274649B1 KR1020200138235A KR20200138235A KR102274649B1 KR 102274649 B1 KR102274649 B1 KR 102274649B1 KR 1020200138235 A KR1020200138235 A KR 1020200138235A KR 20200138235 A KR20200138235 A KR 20200138235A KR 102274649 B1 KR102274649 B1 KR 1022746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image
information input
holder
produc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8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민규
남광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엔씨넥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엔씨넥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엔씨넥스트
Priority to KR1020200138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46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4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46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41Shopping interfaces
    • G06Q30/0643Graphical representation of items or shopp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03B15/03Combinations of cameras with lighting apparatus; Flash units
    • G03B15/05Combinations of cameras with electronic flash apparatus; Electronic flash uni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48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photographic or optical apparat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23Item investigation
    • G06Q30/0625Directed, with specific intent or strategy
    • G06Q30/0627Directed, with specific intent or strategy using item spec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5/003D [Three Dimensional] image rendering
    • G06T15/50Lighting effects
    • G06T3/006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12Panospheric to cylindrical image transform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10Segmentation; Edge detection
    • G06T7/194Segmentation; Edge detection involving foreground-background segmen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Image Analysi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360도 제품 영상에 기반한 제품 정보 입력 방법 및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실시예는 제품 촬영 장치와 연동하여 제품 촬영 장치로부터 회전하는 제품에 대한 이미지를 연속적으로 획득한 후 제품만을 인식하고 배경을 제거한 제품 이미지들을 스티칭하여 360도 제품 이미지를 생성하고, 이미지 분석을 이용하여 제품 정보(제품 색깔, 속성), 부위별 사이즈 정보를 추출하여 제품 상세 정보에 자동 매칭하여 저장한 후 쇼핑몰 템플릿에 결합하여 각 쇼핑몰 서버에 업로드하도록 하는 360도 제품 영상에 기반한 제품 정보 입력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360도 제품 영상에 기반한 제품 정보 입력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Inputting Product Information Based On 360 Degree Product Imag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360도 제품 영상에 기반한 제품 정보 입력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 기술되는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와 관련되는 배경 정보만을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이 아니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제품을 판매하는 쇼핑몰 서버는 각종 제품 정보를 소비자에게 제공하기 위해서 제품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 후 개별 판매자로부터 제품 정보를 입력받은 후 등록하였다.
소비자는 특정 제품을 구매할 때, 제품 정보를 쇼핑 서버로부터 확인이 어려운 경우, 해당 판매자의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제품 정보를 확인하거나 판매자에게 질의하고, 판매자로부터 답변을 받아야 했다.
소비자가 특정 제품에 대해 정보를 얻고자 하는 경우, 소비자 단말기는 특정 업체의 제품 정보 제공 웹페이지 또는 쇼핑몰 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제품의 정보를 검색한다. 판매자의 홈페이지에 제품 정보가 제시된 경우, 소비자는 제품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나, 제품 정보 확인이 불가능한 경우, 해당 제품에 대한 문의를 글로 남겨서 답변을 받아야 했다.
판매자 입장에서는 각각의 제품을 복수의 쇼핑몰 서버로 업로드해야 하는데, 복수의 쇼핑몰 서버마다 서로 다른 제품 정보 양식이 존재하므로, 제품 정보 양식을 일일이 확인하여 입력하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쇼핑몰 서버에 업로드할 제품을 촬영하는 동시에 제품 정보가 입력되도록 하는 기술을 필요로 한다.
본 실시예는 제품 촬영 장치와 연동하여 제품 촬영 장치로부터 회전하는 제품에 대한 이미지를 연속적으로 획득한 후 제품만을 인식하고 배경을 제거한 제품 이미지들을 스티칭하여 360도 제품 이미지를 생성하고, 이미지 분석을 이용하여 제품 정보(제품 색깔, 속성), 부위별 사이즈 정보를 추출하여 제품 상세 정보에 자동 매칭하여 저장한 후 쇼핑몰 템플릿에 결합하여 각 쇼핑몰 서버에 업로드하도록 하는 360도 제품 영상에 기반한 제품 정보 입력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구비된 복수의 조명부를 선택적으로 발광하면서 기 설정된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제품을 연속적으로 촬영한 복수의 이미지를 생성하는 제품 촬영 장치; 및 상기 제품 촬영 장치로부터 획득한 상기 복수의 이미지를 기반으로 제품을 인지한 제품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제품 이미지를 스티칭하여 360도 제품 이미지를 생성하고, 입력받은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제품정보 입력양식을 추출하고, 상기 제품 이미지 중 특정 각도에 해당하는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분석으로 제품 속성 정보를 추출한 후 상기 제품 속성 정보의 각각의 구성요소를 상기 제품정보 입력양식 내의 각 항목마다 매칭하여 저장하고, 상기 제품정보 입력양식과 상기 360도 제품 이미지를 복수의 쇼핑몰 템플릿에 결합한 쇼핑몰 상품 정보를 복수의 쇼핑몰 서버 각각으로 업로드하는 제품정보 입력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정보 입력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제품 촬영 장치에서 구비된 복수의 조명부를 선택적으로 발광하면서 회전하는 제품을 연속적으로 촬영한 복수의 이미지를 생성하는 과정; 제품정보 입력장치에서 상기 제품 촬영 장치로부터 획득한 상기 복수의 이미지를 기반으로 제품을 인지한 제품 이미지를 생성하는 과정; 상기 제품정보 입력장치에서 상기 제품 이미지를 스티칭하여 360도 제품 이미지를 생성하는 과정; 상기 제품정보 입력장치에서 입력받은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제품정보 입력양식을 추출하는 과정; 상기 제품정보 입력장치에서 상기 제품 이미지 중 특정 각도에 해당하는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분석으로 제품 속성 정보를 추출한 후 상기 제품 속성 정보의 각각의 구성요소를 상기 제품정보 입력양식 내의 각 항목마다 매칭하여 저장하는 과정; 상기 제품정보 입력장치에서 상기 제품정보 입력양식과 상기 360도 제품 이미지를 복수의 쇼핑몰 템플릿에 결합한 쇼핑몰 상품 정보를 복수의 쇼핑몰 서버 각각으로 업로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정보 입력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품 촬영 장치와 연동하여 제품 촬영 장치로부터 회전하는 제품에 대한 이미지를 연속적으로 획득한 후 제품만을 인식하고 배경을 제거한 제품 이미지들을 스티칭하여 360도 제품 이미지를 생성하고, 이미지 분석을 이용하여 제품 정보(제품 색깔, 속성), 부위별 사이즈 정보를 추출하여 제품 상세 정보에 자동 매칭하여 저장한 후 쇼핑몰 템플릿에 결합하여 각 쇼핑몰 서버에 업로드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제품정보 입력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2a,2b,2c,2d,2e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제품 촬영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3b,3c,3d는 본 실시예에 따른 360도 제품 이미지를 생성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제품정보 입력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제품 정보 입력을 위한 로그인 및 업체 코드 입력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실루엣 이미지와 제품 이미지를 이용한 배경 분리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부분 컷 또는 디테일 컷 작업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원본 이미지로부터 디테일 컷을 추출하는 작업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제품 이미지상에서 어깨와 팔 부위의 치수를 환산하는 작업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제품 이미지상에서 가슴과 총길이의 치수를 환산하는 작업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자체 DB 내에 제품 정보를 저장하는 작업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자체 DB 내에 저장된 제품 정보 목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업로드할 쇼핑몰 템플릿을 선택하는 작업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실시예에 따른 각 쇼핑몰에 따라 제품 정보를 업로드하는 작업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제품 이미지 에디터 기능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제품정보 입력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품정보 입력시스템(100)은 제품 촬영 장치(110), 제품정보 입력장치(120), 쇼핑몰 서버(130)를 포함한다. 제품정보 입력시스템(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품 촬영 장치(110)는 구비된 복수의 조명부(250, 270)를 선택적으로 발광하면서 기 설정된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제품을 연속적으로 촬영한 복수의 이미지를 생성한다. 제품 촬영 장치(110)는 제품을 360도로 회전시키면서 기 설정된 각도마다 제품의 정면을 향하도록 조명을 발광하면서 연속적으로 촬영한 제품 원본 이미지(330)를 생성한다.
제품 촬영 장치(110)는 제품의 정면을 촬영할 때마다 제품의 회전각도와 동일한 각도 상에서 기 설정된 시간차로 제품의 뒷면에서 조명을 발광하면서 제품의 정면을 촬영한 실루엣 이미지(310)를 함께 생성한다.
제품 촬영 장치(110)는 제품 원본 이미지(330)를 촬영할 때, 전면 조명부(250)를 발광하도록 제어하며, 후면 조명부(270)를 오프하도록 제어한다. 제품 촬영 장치(110)는 실루엣 이미지(310)를 촬영할 때, 전면 조명부(250)를 오프하도록 제어하고, 후면 조명부(270)에서 발광하도록 제어한다.
제품 촬영 장치(110)는 360도 형태로 제품 거치대(210)를 회전시키면서 제품 거치대(210)에 거치되거나 착용된 제품을 연속적으로 촬영한다. 제품 촬영 장치(110)는 박스 형태의 칸막이(240)를 포함하며, 칸막이(240) 내에 마네킹 형태의 제품 거치대(210)를 위치시킨다.
제품 촬영 장치(110)는 박스 형태의 칸막이(240) 내부에 제품 거치대(210)가 설치되고, 제품 거치대(210) 뒤쪽에 후면 조명부(270)가 배치되고, 제품 거치대(210) 정면(앞쪽)에 전면 조명부(250)와 카메라(260)가 배치된다. 제품 촬영 장치(110) 내의 카메라(260)는 제품 거치대(210)를 정면으로 바라보는 위치에 배치된다. 회전부(230)는 지지 기둥부(220)를 이용하여 연결된 제품 거치대(210)가 기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기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하면서 총 360도를 회전하도록 한다. 회전부(230)는 360도를 회전할 때, 기 설정된 속도로 회전한다.
카메라(260)는 제품 거치대(210)가 회전하여 기 설정된 각도에 도달할 때마다 자동 또는 수동으로 제품을 촬영한다. 카메라(260)는 제품 거치대(210)가 360도로 회전하는 동안 대략 24~30 컷으로 제품을 촬영한다.
칸막이(240)는 반투명 재질로서, 칸막이(240) 뒷편에 배치된 후면 조명부(270)가 발광할 때 빛의 일부가 칸막이(240) 투과하여 제품 거치대(210)에 거치되거나 착용된 제품이 실루엣 형태로 촬영되도록 한다.
카메라(260)는 제품 거치대(210)에 거치된 제품의 평면을 촬영한다. 제품 촬영 장치(110)는 카메라(260)를 이용하여 제품을 촬영할 때, 제품 거치대(210) 뒷편에 배치된 후면 조명부(270)를 발광한 상태로 제품을 촬영하여 실루엣 이미지(310)를 생성한다. 제품 촬영 장치(110)는 전면 조명부(250)를 발광한 상태로 제품 거치대(210)에 거치된 제품을 촬영하여 제품 원본 이미지(330)를 생성한다.
제품 촬영 장치(110)는 기 설정된 각도로 제품 거치대(210)가 회전할 때, 제품 거치대(210)에 거치된 제품에 대해 동일한 위치에서 두 장의 이미지를 촬영한다. 카메라(260)는 렌즈 교체식으로 줌 렌즈, 접사 렌즈, 망원 렌즈 등을 교체하면서 마운트될 수 있다. 카메라(260)는 제품 거치대(210)에 올려진 제품에 대한 전체컷, 부분컷, 디테일 컷을 촬영할 수 있다.
제품정보 입력장치(120)는 제품 촬영 장치(110)로부터 획득한 복수의 이미지(실루엣 이미지(310), 제품 원본 이미지(330))를 기반으로 제품을 인지한 제품 이미지(배경제거 제품 이미지(340))를 생성한다. 제품정보 입력장치(120)는 제품 이미지(배경제거 제품 이미지(340))를 스티칭하여 360도 제품 이미지(350)를 생성한다.
제품정보 입력장치(120)는 입력받은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제품정보 입력양식을 추출한다. 제품정보 입력장치(120)는 제품 이미지(배경제거 제품 이미지(340)) 중 특정 각도에 해당하는 이미지(예컨대, 정면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분석으로 제품 속성 정보를 추출한 후 제품 속성 정보의 각각의 구성요소를 제품정보 입력양식 내의 각 항목마다 매칭하여 저장한다. 제품정보 입력장치(120)는 제품정보 입력양식과 360도 제품 이미지(350)를 복수의 쇼핑몰 템플릿에 결합한 쇼핑몰 상품 정보를 복수의 쇼핑몰 서버 각각으로 업로드한다.
제품정보 입력장치(120)는 기 설정된 각도마다 제품 원본 이미지(330)와 실루엣 이미지(310)를 기반으로 제품 원본 이미지(330) 내에서 제품만을 인식하고 배경을 제거한 배경제거 제품 이미지(340)를 생성한다. 제품정보 입력장치(120)는 기 설정된 각도에 대응하는 배경제거 제품 이미지(340)를 스티칭하여 360도 제품 이미지(350)를 생성한다.
제품정보 입력장치(120)는 설정된 각도마다 생성된 배경제거 제품 이미지(340) 중 특정 각도에 해당하는 이미지(예컨대, 정면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분석을 수행하여 제품 색깔(Color), 제품 카테고리(Category), 제품 아이템(Item), 제품 형태(Shape), 제품 텍스쳐(Textures), 제품 룩(Look)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제품 속성 정보로 추출하여 제품정보 입력양식 내의 각 항목마다 매칭하여 입력한다.
제품정보 입력장치(120)는 제품 촬영 장치(110)와 연동하여 제품 촬영 장치(110)가 촬영한 이미지를 획득한다. 제품정보 입력장치(120)는 각 제품(의류, 신발 등)의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제품정보 입력양식을 제공한다. 제품정보 입력장치(120)는 제품 촬영 장치(110)가 제품을 촬영하기 전에 입력받은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제품정보 입력양식을 불러온다.
제품정보 입력장치(120)는 제품 촬영 장치(110)와 연동하여 제품 촬영 장치(110)로부터 제품 거치대(210)가 회전할 때마다 칸막이(240) 뒷편에서 후면 조명부(270)를 발광한 실루엣 이미지(310), 전면 조명부(250)를 발광한 제품 원본 이미지(330)를 입력받는다.
제품정보 입력장치(120)는 제품 촬영 장치(110)로부터 입력받은 실루엣 이미지(310), 제품 원본 이미지(330)를 이용하여 제품 원본 이미지(330) 내의 제품만을 인식하고 배경을 제거하여 배경제거 제품 이미지(340)를 생성한다. 제품정보 입력장치(120)는 배경제거 제품 이미지(340) 내에 다른 배경색깔을 삽입할 수 있다.
제품정보 입력장치(120)는 배경제거 제품 이미지(340)에 대해 이미지 분석을 통해, 제품 색깔, 속성, 카테고리(상의, 하의, 드레스, 아우터 등)를 분석한다. 제품정보 입력장치(120)는 제품 촬영 장치(110) 이외에 별도 촬영 장치로부터 추가 제품 이미지(부분컷, 디테일 컷)를 입력받을 수 있다. 제품정보 입력장치(120)는 배경제거 제품 이미지(340) 상에 커서(스마트줄자)를 이용하여 특정 영역(어깨, 가슴, 팔)에 직선을 그리면, 직선의 거리를 산출하여 제품의 부위별 사이즈를 자동입력한다.
제품정보 입력장치(120)는 제품 거치대(210)가 360도 회전하는 동안 연속 촬영된 이미지를 모두 입력받아 하나의 영역에 360도 제품 이미지(350)를 생성한다. 360도 제품 이미지(350)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제품 이미지를 360도로 회전하면서 출력된다.
제품정보 입력장치(120)는 배경제거 제품 이미지(340)로부터 제품의 색깔 정보를 추출하여 제품정보 입력양식에 자동입력한다. 제품정보 입력장치(120)는 제품 식별 정보에 제품 사진, 제품 사이즈 정보, 제품 속성 정보가 자동 매칭된 제품 상세 정보를 생성한다. 제품정보 입력장치(120)는 제품 상세 정보를 쇼핑몰 템플릿과 결합한다.
제품정보 입력장치(120)는 쇼핑몰 템플릿에 제품 이미지 및 사이즈 정보를 삽입하여 각 쇼핑몰에 특화된 쇼핑몰 상품 정보를 생성한다. 제품정보 입력장치(120)는 쇼핑몰 상품 정보를 각 쇼핑몰 서버에 업로드한다.
제품정보 입력장치(120)는 제품 촬영 장치(110)로부터 수신된 이미지를 자체 에디터를 이용하여 선택적으로 보정 가능하다. 제품정보 입력장치(120)는 배경제거 제품 이미지(340)만을 나열한 후 사용자의 조작 또는 명령으로 코디할 수 있는 화면, 장바구니에 일괄 담기 기능을 선택적으로 제공한다.
쇼핑몰 서버(130)는 복수의 제품을 온라인으로 판매하는 서버로서, 복수의 쇼핑몰 서버를 포함한다. 쇼핑몰 서버(130)는 판매자 단말기로부터 제품 정보를 입력받아 판매할 제품에 대한 제품 정보를 출력한다. 쇼핑몰 서버(130)에 포함된 복수의 쇼핑몰 서버 각각의 각자의 규격에 따라 제품 정보를 입력하도록 하는 템플릿을 갖는다. 쇼핑몰 서버(130)는 제품정보 입력장치(120)로부터 복수의 쇼핑몰 서버 각각에 대응하는 쇼핑몰 상품 정보를 입력받아 업로드한다.
도 2a,2b,2c,2d,2e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제품 촬영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품 촬영 장치(110)는 제품 원본 이미지(330)를 촬영할 때, 전면 조명부(250)를 발광하도록 제어하며, 후면 조명부(270)를 오프하도록 제어한다. 제품 촬영 장치(110)는 실루엣 이미지(310)를 촬영할 때, 전면 조명부(250)를 오프하도록 제어하고, 후면 조명부(270)에서 발광하도록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품 촬영 장치(110)는 제품 거치대(210), 지지 기둥부(220), 회전부(230), 칸막이(240), 전면 조명부(250), 카메라(260), 후면 조명부(270)를 포함한다. 제품 촬영 장치(110)에 포함된 구성요소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품 거치대(210)는 제품이 거치되거나 착용되는 형태의 구조를 갖는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 거치대(210)는 마네킹(Mannequin)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 마네킹에 의류 제품이 착용될 수 있다. 제품 거치대(210)는 지지판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 신발, 전자기기 제품이 거치될 수 있다.
지지 기둥부(220)는 제품 거치대(210)와 연결되어 제품 거치대(210)를 고정시키는 구조를 갖는다. 회전부(230)는 지지 기둥부(220)와 연결되어 제품 거치대(210)가 기 설정된 방향으로 360도 회전하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다. 칸막이(240)는 반투명 소재를 갖는 직사각형 기둥 중 한 면이 뚫려있는 형태로서, 제품 거치대(210)를 내측에 위치하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다.
전면 조명부(250)는 제품 거치대(210)를 정면에서 바라보는 위치에 설치된다. 전면 조명부(250)는 칸막이(240)를 둘러싼 면 중 뚫려있는 면으로 노출된 제품의 정면으로 조명을 발광하여 제품 거치대(210)에 거치된 제품의 정면이 촬영되도록 한다.
카메라(260)는 제품 거치대(210)를 정면에서 바라보는 위치에 설치된다. 카메라(260)는 칸막이(240)를 둘러싼 면 중 뚫려있는 면으로 노출된 제품이 360도로 회전할 때 기 설정된 각도마다 제품의 정면을 연속적으로 촬영한다. 카메라(260)는 제품 거치대(210)가 360도로 회전하는 동안 대략 24~30 컷으로 제품을 촬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후면 조명부(270)는 제품 거치대(210)의 뒷면을 바라보는 위치에 설치된다. 후면 조명부(270)는 칸막이(240)를 둘러싼 면 중 제품 후면에 대응하는 면으로 조명을 발광하여 제품 거치대(210)에 거치된 제품이 실루엣 형태로 촬영되도록 한다.
도 2d,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칸막이(240) 외부에 전면 조명부(250)와 후면 조명부(270)를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지지 구조물(290)을 포함한다.
지지 구조물(290)은 도 2e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형 형태의 지붕부(280)와 방사형 형태의 받침부(284)를 포함하며, 방사형 형태의 지붕부(280)와 방사형 형태의 받침부(284) 사이에 기둥 형태의 외부 지지부(282)가 연결된다.
지붕부(280)와 받침부(284)가 방사형으로 구현된 경우, 칸막이(240)는 도 2e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형 형태의 지붕부(280)와 받침부(284) 내부(중앙)에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외부 지지부(282)는 제품 거치대(210)를 향하는 방향으로 좌측에 3개의 기둥이 형성되고, 우측에 3개의 기둥이 형성될 수 있다. 외부 지지부(282) 각각에는 조명을 발명하는 한 쌍의 전면 조명부(250)가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지붕부(280)와 받침부(284)가 방사형으로 구현된 경우, 칸막이(240)이 뒷편에 별도의 외부 지지부가 연결되며, 칸막이(240)이 뒷편에 위치하는 외부 지지부 상에 한 쌍의 후면 조명부(270)가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지지 구조물(290)은 도 2e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방사형 형태의 지붕부(280)와 반방사형 형태의 받침부(284)를 포함하며, 반방사형 형태의 지붕부(280)와 반방사형 형태의 받침부(284) 사이에 기둥 형태의 외부 지지부(282)가 연결된다. 지붕부(280)와 받침부(284)가 반방사형으로 구현된 경우, 칸막이(240)는 도 2e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형 형태의 지붕부(280)와 받침부(284) 외부에 위치할 수 있다.
예컨대, 외부 지지부(282)는 제품 거치대(210)를 향하는 방향으로 좌측에 3개의 기둥이 형성되고, 우측에 3개의 기둥이 형성될 수 있다. 외부 지지부(282) 각각에는 조명을 발명하는 전면 조명부(250)가 한 쌍의 형태로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지붕부(280)와 받침부(284)가 반방사형으로 구현된 경우, 칸막이(240)이 뒷편에 독립적으로 구현된 후면 조명부(270)가 배치될 수 있다.
도 3a,3b,3c,3d는 본 실시예에 따른 360도 제품 이미지를 생성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품정보 입력장치(120)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 촬영 장치(110)로부터 제품 거치대(210)가 기 설정된 각도로 회전할 때마다 실루엣 이미지(310)를 수신한다. 제품정보 입력장치(120)는 실루엣 이미지(310) 내의 실루엣으로 표현된 객체를 마스킹한 마스크 이미지(320)를 생성한다.
예컨대, 제품 촬영 장치(110)는 제품이 360도로 회전할 때, 24~30 컷을 촬영하여 총 24~30의 실루엣 이미지(310), 제품 원본 이미지(330)를 생성하여 제품정보 입력장치(120)로 전송한다. 결과적으로 제품 촬영 장치(110)는 하나의 제품이 60도로 회전할 때, 24~30 컷의 마스크 이미지(320)를 생성하여 배경제거 제품 이미지(340)를 생성한다.
제품 촬영 장치(110)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 거치대(210)가 기 설정된 각도로 회전할 때마다 제품 거치대(210)의 뒷면을 바라보는 위치에서 후면 조명부(270)를 제어하여 칸막이(240)를 둘러싼 면 중 제품 후면에 대응하는 면으로 조명을 발광하여 칸막이(240)를 일부 투과한 빛이 제품 거치대(210)에 거치된 제품이 실루엣 형태로 촬영되도록 하여 실루엣 이미지(310)를 생성한다. 제품정보 입력장치(120)는 제품 거치대(210)가 기 설정된 각도로 회전할 때마다 제품 촬영 장치(110)로부터 실루엣 이미지(310)를 수신한다. 제품정보 입력장치(120)는 실루엣 이미지(310)를 수신할 때마다 내의 실루엣으로 표현된 객체를 마스킹한 마스크 이미지(320)를 생성한다.
제품 촬영 장치(110)는 제품 거치대(210)가 기 설정된 각도로 회전할 때마다 제품 거치대(210)를 정면에서 바라보는 위치에서 전면 조명부(250)를 제어하여 칸막이(240)가 뚫려있는 면으로 노출된 제품의 정면으로 조명을 발광하여 제품 거치대(210)에 거치된 제품의 정면을 촬영한 제품 원본 이미지(330)를 생성한다.
제품정보 입력장치(120)는 제품 원본 이미지(330)로부터 마스크 이미지(320)를 차감한 영역을 배경영역으로 인지하고, 제품 원본 이미지(330)로부터 배경영역을 제거하여 배경제거 제품 이미지(340)를 생성한다.
제품정보 입력장치(120)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 설정된 각도로 회전할 때마다 제품 원본 이미지(330)로부터 배경영역을 제거하여 배경제거 제품 이미지(340)를 생성한 후 각 각도의 배경제거 제품 이미지(340)를 스티칭하여 360도 제품 이미지(350)를 생성한다.
제품 촬영 장치(110)는 회전판(230)이 회전하면서 촬영을 진행할 때마다 두 장의 이미지인 실루엣 이미지(310)와 제품 원본 이미지(330)를 함께 촬영한다. 제품정보 입력장치(120)는 제품 촬영 장치(110)로부터 회전판(230)이 회전하면서 촬영한 두 장의 이미지인 실루엣 이미지(310)와 제품 원본 이미지(330)를 이용하여 배경제거 제품 이미지(340)를 생성하고, 배경제거 제품 이미지(340)를 생성할 때마다 자체 DB에 업로드하며, 별도의 보정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360도 제품 이미지(350)는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제품 이미지를 360도로 회전시키면서 출력된다. 360도 제품 이미지(350)는 쇼핑몰 서버(130)에 업로드된 후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좌,우로 인터랙션한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제품정보 입력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제품 촬영 장치(110)는 제품 원본 이미지(330)를 촬영할 때, 전면 조명부(250)에서 조명을 발광하도록 제어하며, 후면 조명부(270)를 오프하도록 제어한다. 제품 촬영 장치(110)는 실루엣 이미지(310)를 촬영할 때, 전면 조명부(250)를 오프하도록 제어하고, 후면 조명부(270)에서 발광하도록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품정보 입력장치(120)는 영상 획득부(410), 배경 제거부(420), 360도 이미지 생성부(422), 디테일 컷 추출부(432), 제품 속성 추출부(434), 부위별 사이즈 추출부(436), 쇼핑몰 템플릿 결합부(440), 업로드부(450)를 포함한다. 제품정보 입력장치(120)에 포함된 구성요소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품정보 입력장치(12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는 장치 내부의 소프트웨어적인 모듈 또는 하드웨어적인 모듈을 연결하는 통신 경로에 연결되어 상호 간에 유기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통신 버스 또는 신호선을 이용하여 통신한다.
도 4에 도시된 제품정보 입력장치(120)의 각 구성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소프트웨어적인 모듈, 하드웨어적인 모듈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영상 획득부(410)는 회전부(230)가 기 설정된 각도로 회전할 때마다 제품 촬영 장치로부터 동일한 해상도를 갖는 제품 원본 이미지(330)와 실루엣 이미지(310)를 획득한다. 영상 획득부(410)는 별도 촬영 장치로부터 제품 라벨 이미지, 디테일 컷 이미지를 추가로 획득한다.
배경 제거부(420)는 제품 원본 이미지(330)로부터 실루엣 이미지(310) 내의 객체를 마스킹한 마스크 이미지(320)를 차감한 영역을 배경영역으로 인지한다. 배경 제거부(420)는 제품 원본 이미지(330)로부터 배경영역을 제거하여 제품만을 인지한 배경제거 제품 이미지(340)를 생성한다. 배경 제거부(420)는 제품 라벨 이미지, 디테일 컷 이미지를 실루엣 이미지(310)와 각각 비교하여 배경영역을 제거한다.
360도 이미지 생성부(422)는 기 설정된 각도마다 생성된 배경제거 제품 이미지(340)를 스티칭하여 360도 제품 이미지(350)를 생성한다.
디테일 컷 추출부(432)는 제품 이미지의 해상도가 기 설정된 해상도를 초과하는 경우, 고해상도를 갖는 이미지로 판단하여 제품 이미지 상에 사각형 형태의 툴을 확대영역(710)으로 설정한다. 디테일 컷 추출부(432)는 확대영역(710) 내의 목부분, 어깨부분, 팔부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역을 확대하여 디테일 컷 이미지로 생성한다.
제품 속성 추출부(434)는 배경제거 제품 이미지(340)를 이미지 분석하여 제품 색깔(Color), 제품 카테고리(Category), 제품 아이템(Item), 제품 형태(Shape), 제품 텍스쳐(Textures), 제품 룩(Look)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추출하여 제품정보 입력양식에 매칭하여 입력한다.
부위별 사이즈 추출부(436)는 배경제거 제품 이미지(340) 상에서 일측을 시작점으로 선택하고 종료지점까지 드래그하면 영상에서 직선이 그려지도록 한다. 부위별 사이즈 추출부(436)는 배경제거 제품 이미지(340) 내에서 직선의 길이를 기 설정된 단위로 환산하여 부위별(어깨, 가슴, 총장, 팔길이, 허리, 엉덩이, 밑위, 허벅지, 밑단, 암홀 트임길이) 사이즈 정보로 산출한 후 제품정보 입력양식에 자동으로 매칭하여 저장한다.
쇼핑몰 템플릿 결합부(440)는 기 저장된 쇼핑몰 템플릿 중 어느 하나의 쇼핑몰 템플릿을 선택하여 불러온다. 쇼핑몰 템플릿 결합부(440)는 쇼핑몰 템플릿 내에 배경제거 제품 이미지(340), 제품 라벨 이미지, 디테일 컷 이미지, 제품 색깔(Color), 제품 카테고리(Category), 제품 아이템(Item), 제품 형태(Shape), 제품 텍스쳐(Textures), 제품 룩(Look) 정보, 부위별 사이즈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삽입하여 쇼핑몰 상품 정보를 생성한다.
업로드부(450)는 쇼핑몰 상품 정보를 해당 쇼핑몰 서버로 업로드한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제품 정보 입력을 위한 로그인 및 업체 코드 입력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품정보 입력장치(120)는 제품 촬영 장치(110)로부터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해 로그인을 수행한다. 제품정보 입력장치(120)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 촬영 장치(110)와 연동하여 제품 촬영 장치(110)로부터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해 사용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아이디(ID), 패스워드(PW)를 입력받는다. 제품정보 입력장치(120)는 아이디(ID), 패스워드(PW)가 기 저장된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해당 사용자 계정을 로그인한다.
제품정보 입력장치(120)는 로그인이 수행되면,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업체 코드 입력창(510)에 업체 코드(또는 제품 코드)를 입력받는다. 제품정보 입력장치(120)는 입력된 업체 코드(또는 제품 코드)에 대응하는 제품 정보 입력 양식을 불러온다. 예컨대, 제품정보 입력장치(120)는 입력된 업체 코드(또는 제품 코드)가 의류에 해당하는 경우 의류 정보 입력 양식을 불러오고, 입력된 업체 코드(또는 제품 코드)가 신발에 해당하는 경우 신발 정보 입력 양식을 불러오고, 입력된 업체 코드(또는 제품 코드)가 전자제품에 해당하는 경우 전자제품 정보 입력 양식을 불러온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실루엣 이미지와 제품 이미지를 이용한 배경 분리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품 촬영 장치(110)는 제품 거치대(210)에 거치되거나 착용된 제품을 카메라(260)를 이용하여 제품의 평면을 촬영한다. 제품 촬영 장치(110)는 제품 거치대(210)에 거치되거나 착용된 제품을 촬영할 때, 전면 조명부(250)를 제어하여 제품의 평면을 촬영한 제품 원본 이미지(330)를 생성한다. 제품 촬영 장치(110)는 제품 거치대(210)에 거치되거나 착용된 제품을 촬영할 때, 전면 조명부(250)를 오프하고, 반투명 재질의 칸막이(240)의 뒷편에 설치된 후면 조명부(270)를 발광한 상태로 제품을 촬영하여 실루엣 이미지(310)를 생성한다. 다시 말해, 제품 촬영 장치(110)는 제품 거치대(210)에 거치되거나 착용된 제품에 대해 동일한 위치에서 두 장의 이미지를 촬영한다.
제품정보 입력장치(120)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 촬영 장치(110)로부터 실루엣 이미지(310)를 획득한다. 이후, 제품정보 입력장치(120)는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 촬영 장치(110)로부터 제품 원본 이미지(330)를 획득한다. 제품정보 입력장치(120)는 실루엣 이미지(310)와 제품 원본 이미지(330)를 이용하여 제품만을 인식하고, 제품 원본 이미지(330)에서 배경을 제거하여 배경제거 제품 이미지(340)를 생성한다. 여기서, 제품정보 입력장치(120)는 배경제거 제품 이미지(340)에 다른 배경색깔을 삽입 가능하다.
제품정보 입력장치(120)는 배경제거 제품 이미지(340)에 대한 이미지 분석을 수행하여 제품 색깔, 속성, 카테고리(상의, 하의, 드레스, 아우터 등) 정보를 추출한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부분 컷 또는 디테일 컷 작업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품정보 입력장치(120)는 배경제거 제품 이미지(340)를 생성한 후 별도 촬영 장치(스마트폰 또는 접사렌즈를 마운트한 카메라)로부터 추가 이미지를 수신한다.
제품정보 입력장치(120)는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 촬영 장치(스마트폰 또는 접사렌즈를 마운트한 카메라)와 연동하여 카메라(260) 이외에 별도 촬영 장치(스마트폰 또는 접사렌즈를 마운트한 카메라)로부터 추가 사진(제품 라벨 사진, 디테일 컷 사진)을 수신할 수 있다.
제품정보 입력장치(120)는 별도 촬영 장치(스마트폰 또는 접사렌즈를 마운트한 카메라)가 제품을 촬영할 때, 전면 조명부(250)가 발광하도록 할 수 있다.
제품정보 입력장치(120)는 별도 촬영 장치(스마트폰 또는 접사렌즈를 마운트한 카메라)로부터 제품 라벨 사진을 수신하여 업로드할 수 있다. 제품정보 입력장치(120)는 별도 촬영 장치(스마트폰 또는 접사렌즈를 마운트한 카메라)로부터 특정 부위(예컨대, 어깨, 팔, 가슴 등)별 디테일 컷 이미지를 수신한다. 제품정보 입력장치(120)는 별도 촬영 장치(스마트폰 또는 접사렌즈를 마운트한 카메라)가 제품 거치대(210)에 거치되거나 착용되는 제품을 촬영할 때, 복수의 조명 중 특정 조명이 발광하도록 한다.
제품정보 입력장치(120)는 별도 촬영 장치(스마트폰 또는 접사렌즈를 마운트한 카메라)로부터 수신된 디테일 컷 이미지를 실루엣 이미지(310)와 비교하여 디테일 컷 이미지 내에 제품만을 인식하고, 디테일 컷 이미지에서 배경을 제거할 수 있다.
제품정보 입력장치(120)는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경제거 제품 이미지(340)로부터 디테일 컷을 추출할 수 있다. 제품정보 입력장치(120)는 배경제거 제품 이미지(340)의 해상도가 기 설정된 해상도를 초과하는 경우, 고해상도를 갖는 이미지로 판단하여 배경제거 제품 이미지(340)에 사각형 형태의 툴을 확대영역(710)으로 설정하여, 확대영역(710) 내의 이미지를 확대하여 디테일 컷 이미지로 생성한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원본 이미지로부터 디테일 컷을 추출하는 작업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품정보 입력장치(120)는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 촬영 장치(110)로부터 수신한 배경제거 제품 이미지(340)가 고해상도 이미지로 판단한 경우, 목부분에 사각형 형태의 툴로 확대영역(710)을 설정한 후 목 부분의 디테일 컷 이미지를 별도로 생성하여 저장한다.
제품정보 입력장치(120)는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경제거 제품 이미지(340)가 고해상도 이미지로 판단한 경우, 어깨부분에 사각형 형태의 툴을 확대영역(710)으로 설정한 후 어깨 부분의 디테일 컷 이미지를 별도로 생성하여 저장한다.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제품 이미지상에서 어깨와 팔 부위의 치수를 환산하는 작업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품정보 입력장치(120)는 배경제거 제품 이미지(340) 상에서 제품의 사이즈를 확인하고자 하는 부분(어깨, 가슴, 팔)에 커서(또는 스마트줄자)를 이용하여 영역(직선)을 그리면, 해당 직선의 거리가 산출하여 해당 영역의 사이즈로 자동 입력한다.
제품정보 입력장치(120)는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경제거 제품 이미지(340) 상에서 어깨 영역 중 일측을 시작점으로 선택하고 종료지점까지 드래그하면 영상에서 직선이 그려지도록 한다. 제품정보 입력장치(120)는 배경제거 제품 이미지(340) 내에서 직선의 길이를 기 설정된 단위로 환산하여 제품의 어깨 부위 사이즈로 입력한다.
제품정보 입력장치(120)는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경제거 제품 이미지(340) 상에서 팔 영역 중 일측을 시작점으로 선택하고 종료지점까지 드래그하면 영상에서 직선이 그려지도록 한다. 제품정보 입력장치(120)는 배경제거 제품 이미지(340) 내에서 직선의 길이를 기 설정된 단위로 환산하여 제품의 팔 부위 사이즈로 입력한다.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제품 이미지상에서 가슴과 총길이의 치수를 환산하는 작업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품정보 입력장치(120)는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경제거 제품 이미지(340) 상에서 가슴 영역 중 일측을 시작점으로 선택하고 종료지점까지 드래그하면 영상에서 직선이 그려지도록 한다. 제품정보 입력장치(120)는 배경제거 제품 이미지(340) 내에서 직선의 길이를 기 설정된 단위로 환산하여 제품의 가슴 부위 사이즈로 입력한다.
제품정보 입력장치(120)는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경제거 제품 이미지(340) 상에서 총 길이 영역 중 일측을 시작점으로 선택하고 종료지점까지 드래그하면 영상에서 직선이 그려지도록 한다. 제품정보 입력장치(120)는 배경제거 제품 이미지(340) 내에서 직선의 길이를 기 설정된 단위로 환산하여 제품의 총 길이 사이즈로 입력한다.
도 1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자체 DB 내에 제품 정보를 저장하는 작업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품정보 입력장치(120)는 도 11의 (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경제거 제품 이미지(340), 제품 라벨 이미지, 디테일 컷 이미지, 제품 색깔, 제품 속성, 카테고리(상의, 하의, 드레스, 아우터 등) 정보를 제품 식별 정보에 매칭하여 자체 DB에 업로드한다.
도 1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자체 DB 내에 저장된 제품 정보 목록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품정보 입력장치(120)는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경제거 제품 이미지(340), 제품 라벨 이미지, 디테일 컷 이미지, 제품 색깔, 제품 속성, 카테고리(상의, 하의, 드레스, 아우터 등) 정보를 기반으로 제품 식별 정보에 상품 아이디, 제품 이미지, 브랜드, 상품명, 바코드, 제품등록일, 상태를 자동으로 매칭하여 저장한다.
제품정보 입력장치(120)는 도 1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 식별 정보에 사이즈 정보(어깨, 가슴, 총장, 팔길이, 허리, 엉덩이, 밑위, 허벅지, 밑단, 암홀 트임길이 등)를 매칭하여 저장한다. 제품정보 입력장치(120)는 제품 속성 정보에 제품 카테고리(Category), 아이템(Item), 형태(Shape), 색깔(Color), 텍스쳐(Textures), 룩(Look) 정보를 매칭하여 저장한다. 제품정보 입력장치(120)는 AI를 기반으로 제품 이미지를 분석하여 제품 속성 정보에 포함되는 복수의 요소를 자동으로 수집할 수 있다.
도 1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업로드할 쇼핑몰 템플릿을 선택하는 작업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품정보 입력장치(120)는 도 1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 식별 정보에 매칭된 제품 정면 이미지, 목 부분 디테일 컷 이미지, 팔 부분 디테일 컷 이미지, 배경이 제거된 제품 이미지, 제품 라벨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제품정보 입력장치(120)는 도 1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업로드된 배경제거 제품 이미지(340), 제품 라벨 이미지, 디테일 컷 이미지, 제품 색깔, 제품 속성, 카테고리(상의, 하의, 드레스, 아우터 등) 정보를 쇼핑몰 템플릿에 결합하기 위해 기 저장된 쇼핑몰 템플릿 중 어느 하나의 쇼핑몰 템플릿을 선택받는다.
도 14는 본 실시예에 따른 각 쇼핑몰에 따라 제품 정보를 업로드하는 작업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품정보 입력장치(120)는 도 1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 저장된 쇼핑몰 템플릿 중 어느 하나의 쇼핑몰 템플릿이 선택되면, 선택된 템플릿 내에 촬영된 이미지와 제품 정보(사이즈 정보, 색깔 정보)를 삽입하여 쇼핑몰 상품 정보를 생성한다.
도 1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쇼핑몰에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한 후 상품 목록을 선택하면 제품정보 입력장치(120)는 API를 이용하여 해당 쇼핑몰에 쇼핑몰 상품 정보를 자동 업로드한다.
도 1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제품 이미지 에디터 기능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품정보 입력장치(120)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DB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배경제거 제품 이미지(340), 제품 라벨 이미지, 디테일 컷 이미지에 대해 내부 에디터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보정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제품 촬영 장치
120: 제품정보 입력장치
130: 쇼핑몰 서버
210: 제품 거치대 220: 지지 기둥부
230: 회전부 240: 칸막이
250: 전면 조명부 260: 카메라
270: 후면 조명부
310: 실루엣 이미지 320: 마스크 이미지
330: 제품 원본 이미지 340: 배경제거 제품 이미지
350: 360도 제품 이미지
410: 영상 획득부 420: 배경 제거부
422: 360도 이미지 생성부 432: 디테일 컷 추출부
434: 제품 속성 추출부 436: 부위별 사이즈 추출부
440: 쇼핑몰 템플릿 결합부 450: 업로드부
510: 업체 코드 입력창 710: 확대영역

Claims (5)

  1. 구비된 복수의 조명부를 선택적으로 발광하면서 기 설정된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제품을 연속적으로 촬영한 복수의 이미지를 생성하는 제품 촬영 장치; 및
    상기 제품 촬영 장치로부터 획득한 상기 복수의 이미지를 기반으로 제품을 인지한 제품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제품 이미지를 스티칭하여 360도 제품 이미지를 생성하고, 입력받은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제품정보 입력양식을 추출하고, 상기 제품 이미지 중 특정 각도에 해당하는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분석으로 제품 속성 정보를 추출한 후 상기 제품 속성 정보의 각각의 구성요소를 상기 제품정보 입력양식 내의 각 항목마다 매칭하여 저장하고, 상기 제품정보 입력양식과 상기 360도 제품 이미지를 복수의 쇼핑몰 템플릿에 결합한 쇼핑몰 상품 정보를 복수의 쇼핑몰 서버 각각으로 업로드하는 제품정보 입력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제품 촬영 장치는, 상기 제품이 거치되거나 착용되는 형태의 제품 거치대; 상기 제품 거치대와 연결되어 상기 제품 거치대를 고정시키는 지지 기둥부; 상기 지지 기둥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품 거치대가 기 설정된 방향으로 360도 회전하도록 하는 회전부; 반투명 소재를 갖는 직사각형 기둥 중 한 면이 뚫려있는 형태로서, 상기 제품 거치대를 내측에 위치하도록 하는 칸막이; 상기 제품 거치대를 정면에서 바라보는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칸막이를 둘러싼 면 중 뚫려있는 면으로 노출된 상기 제품의 정면으로 조명을 발광하여 상기 제품 거치대에 거치된 상기 제품의 정면이 촬영되도록 하는 전면 조명부; 상기 제품 거치대의 뒷면을 바라보는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칸막이를 둘러싼 면 중 제품 후면에 대응하는 면으로 조명을 발광하여 상기 제품 거치대에 거치된 상기 제품이 실루엣 형태로 촬영되도록 하는 후면 조명부; 상기 제품 거치대를 정면에서 바라보는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칸막이를 둘러싼 면 중 뚫려있는 면으로 노출된 상기 제품이 360도로 회전할 때 기 설정된 각도마다 상기 제품의 정면을 연속적으로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칸막이 외부에 상기 전면 조명부와 상기 후면 조명부를 포함하며, 방사형 형태의 지붕부와 방사형 형태의 받침부를 포함하는 지지 구조물; 상기 지붕부와 상기 받침부 사이에 기둥 형태로 구현되며, 상기 제품 거치대를 향하는 방향으로 좌측에 복수 개의 기둥이 형성되고, 우측에 복수 개의 기둥이 형성되는 외부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칸막이는 상기 지붕부와 상기 받침부 중앙에 위치하며, 상기 전면 조명부는 한 쌍으로 상기 외부 지지부 각각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조명을 발광하며, 상기 후면 조명부는 한 쌍으로 상기 칸막이이 뒷편에 위치하는 외부 지지부 상에 수직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품 촬영 장치는 상기 회전부가 기 설정된 각도로 회전할 때마다 상기 전면 조명부를 오프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후면 조명부에서 조명을 발광하도록 제어하여 실루엣 이미지를 촬영하며, 상기 회전부가 기 설정된 각도로 회전할 때마다 상기 전면 조명부의 조명을 발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후면 조명부를 오프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제품 원본 이미지를 촬영하며,
    상기 제품정보 입력장치는, 상기 회전부가 기 설정된 각도로 회전할 때마다 상기 제품 촬영 장치로부터 동일한 해상도를 갖는 상기 제품 원본 이미지와 상기 실루엣 이미지를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상기 제품 원본 이미지로부터 상기 실루엣 이미지 내의 객체를 마스킹한 마스크 이미지를 차감한 영역을 배경영역으로 인지하고, 상기 제품 원본 이미지로부터 상기 배경영역을 제거하여 상기 배경제거 제품 이미지를 생성하는 배경 제거부; 기 설정된 각도마다 생성된 상기 배경제거 제품 이미지를 스티칭하여 상기 360도 제품 이미지를 생성하는 360도 이미지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정보 입력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 촬영 장치는,
    상기 제품을 360도로 회전시키면서 기 설정된 각도마다 제품의 정면을 향하도록 조명을 발광하면서 연속적으로 촬영한 상기 제품 원본 이미지를 생성하고,
    상기 제품의 정면을 촬영할 때마다 상기 제품의 회전각도와 동일한 각도 상에서 기 설정된 시간차로 상기 제품의 뒷면에서 조명을 발광하면서 상기 제품의 정면을 촬영한 상기 실루엣 이미지를 함께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정보 입력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정보 입력장치는,
    기 설정된 각도마다 상기 제품 원본 이미지와 상기 실루엣 이미지를 기반으로 상기 제품 원본 이미지 내에서 제품만을 인식하고 배경을 제거한 배경제거 제품 이미지를 생성하고, 기 설정된 각도에 대응하는 상기 배경제거 제품 이미지를 스티칭하여 상기 360도 제품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정보 입력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품정보 입력장치는,
    기 설정된 각도마다 생성된 상기 배경제거 제품 이미지 중 특정 각도에 해당하는 정면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분석을 수행하여 제품 색깔(Color), 제품 카테고리(Category), 제품 아이템(Item), 제품 형태(Shape), 제품 텍스쳐(Textures), 제품 룩(Look)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정보를 상기 제품 속성 정보로 추출하여 상기 제품정보 입력양식 내의 각 항목마다 매칭하여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정보 입력시스템.
  5. 제품 촬영 장치에서 구비된 복수의 조명부를 선택적으로 발광하면서 회전하는 제품을 연속적으로 촬영한 복수의 이미지를 생성하는 과정;
    제품정보 입력장치에서 상기 제품 촬영 장치로부터 획득한 상기 복수의 이미지를 기반으로 제품을 인지한 제품 이미지를 생성하는 과정;
    상기 제품정보 입력장치에서 상기 제품 이미지를 스티칭하여 360도 제품 이미지를 생성하는 과정;
    상기 제품정보 입력장치에서 입력받은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제품정보 입력양식을 추출하는 과정;
    상기 제품정보 입력장치에서 상기 제품 이미지 중 특정 각도에 해당하는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분석으로 제품 속성 정보를 추출한 후 상기 제품 속성 정보의 각각의 구성요소를 상기 제품정보 입력양식 내의 각 항목마다 매칭하여 저장하는 과정;
    상기 제품정보 입력장치에서 상기 제품정보 입력양식과 상기 360도 제품 이미지를 복수의 쇼핑몰 템플릿에 결합한 쇼핑몰 상품 정보를 복수의 쇼핑몰 서버 각각으로 업로드하는 과정;
    을 포함하되, 상기 제품 촬영 장치는, 상기 제품이 거치되거나 착용되는 형태의 제품 거치대; 상기 제품 거치대와 연결되어 상기 제품 거치대를 고정시키는 지지 기둥부; 상기 지지 기둥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품 거치대가 기 설정된 방향으로 360도 회전하도록 하는 회전부; 반투명 소재를 갖는 직사각형 기둥 중 한 면이 뚫려있는 형태로서, 상기 제품 거치대를 내측에 위치하도록 하는 칸막이; 상기 제품 거치대를 정면에서 바라보는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칸막이를 둘러싼 면 중 뚫려있는 면으로 노출된 상기 제품의 정면으로 조명을 발광하여 상기 제품 거치대에 거치된 상기 제품의 정면이 촬영되도록 하는 전면 조명부; 상기 제품 거치대의 뒷면을 바라보는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칸막이를 둘러싼 면 중 제품 후면에 대응하는 면으로 조명을 발광하여 상기 제품 거치대에 거치된 상기 제품이 실루엣 형태로 촬영되도록 하는 후면 조명부; 상기 제품 거치대를 정면에서 바라보는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칸막이를 둘러싼 면 중 뚫려있는 면으로 노출된 상기 제품이 360도로 회전할 때 기 설정된 각도마다 상기 제품의 정면을 연속적으로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칸막이 외부에 상기 전면 조명부와 상기 후면 조명부를 포함하며, 방사형 형태의 지붕부와 방사형 형태의 받침부를 포함하는 지지 구조물; 상기 지붕부와 상기 받침부 사이에 기둥 형태로 구현되며, 상기 제품 거치대를 향하는 방향으로 좌측에 복수 개의 기둥이 형성되고, 우측에 복수 개의 기둥이 형성되는 외부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칸막이는 상기 지붕부와 상기 받침부 중앙에 위치하며, 상기 전면 조명부는 한 쌍으로 상기 외부 지지부 각각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조명을 발광하며, 상기 후면 조명부는 한 쌍으로 상기 칸막이이 뒷편에 위치하는 외부 지지부 상에 수직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품 촬영 장치는 상기 회전부가 기 설정된 각도로 회전할 때마다 상기 전면 조명부를 오프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후면 조명부에서 조명을 발광하도록 제어하여 실루엣 이미지를 촬영하며, 상기 회전부가 기 설정된 각도로 회전할 때마다 상기 전면 조명부의 조명을 발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후면 조명부를 오프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제품 원본 이미지를 촬영하며,
    상기 제품정보 입력장치는, 상기 회전부가 기 설정된 각도로 회전할 때마다 상기 제품 촬영 장치로부터 동일한 해상도를 갖는 상기 제품 원본 이미지와 상기 실루엣 이미지를 획득하는 영상 획득부; 상기 제품 원본 이미지로부터 상기 실루엣 이미지 내의 객체를 마스킹한 마스크 이미지를 차감한 영역을 배경영역으로 인지하고, 상기 제품 원본 이미지로부터 상기 배경영역을 제거하여 상기 배경제거 제품 이미지를 생성하는 배경 제거부; 기 설정된 각도마다 생성된 상기 배경제거 제품 이미지를 스티칭하여 상기 360도 제품 이미지를 생성하는 360도 이미지 생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품정보 입력 방법.
KR1020200138235A 2020-10-23 2020-10-23 360도 제품 영상에 기반한 제품 정보 입력 방법 및 시스템 KR1022746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8235A KR102274649B1 (ko) 2020-10-23 2020-10-23 360도 제품 영상에 기반한 제품 정보 입력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8235A KR102274649B1 (ko) 2020-10-23 2020-10-23 360도 제품 영상에 기반한 제품 정보 입력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4649B1 true KR102274649B1 (ko) 2021-07-09

Family

ID=76864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8235A KR102274649B1 (ko) 2020-10-23 2020-10-23 360도 제품 영상에 기반한 제품 정보 입력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464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5876A (ko) * 2008-04-02 2009-10-07 김준성 개선된 형태의 사진 촬영용 촬영대 세트
KR20160134185A (ko) * 2015-05-15 2016-11-23 공효생 실시간 섬유제품 분석 시스템
KR20200069853A (ko) * 2018-12-07 2020-06-17 박헌종 쇼핑몰 제품 자동화 업로드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03435A (ko) * 2019-02-25 2020-09-02 주식회사 브리즘 제품 콘텐츠를 제작 및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을 운용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5876A (ko) * 2008-04-02 2009-10-07 김준성 개선된 형태의 사진 촬영용 촬영대 세트
KR20160134185A (ko) * 2015-05-15 2016-11-23 공효생 실시간 섬유제품 분석 시스템
KR20200069853A (ko) * 2018-12-07 2020-06-17 박헌종 쇼핑몰 제품 자동화 업로드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03435A (ko) * 2019-02-25 2020-09-02 주식회사 브리즘 제품 콘텐츠를 제작 및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을 운용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67155B2 (en) Method and system of spacial visualisation of objects and a platform control system included in the system, in particular for a virtual fitting room
US10380794B2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garment model data
CN105447047B (zh) 建立拍照模板数据库、提供拍照推荐信息的方法及装置
WO2018029670A1 (en) System, device, and method of virtual dressing utilizing image processing, machine learning, and computer vision
CN105373929B (zh) 提供拍照推荐信息的方法及装置
JP2017531950A (ja) 撮影テンプレートデータベースを構築し、且つ撮影推薦情報を提供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TW202022782A (zh) 一種神經網路的訓練方法及圖像匹配方法、裝置
US20170024928A1 (en) Computer-implemented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n image of a person wearing a selectable article of apparel
JP2023015989A (ja) 物品識別および追跡システム
KR102274647B1 (ko) 제품 영상에 기반한 제품 정보 입력 방법 및 시스템
KR101509213B1 (ko) 개인 구매정보 기반의 인터렉티브 미러 시스템을 이용하는 방법
JP2014139783A (ja) 製品のカスタマイズに用いるデジタル画像を生成するために赤外線写真を用いる方法
JP6120467B1 (ja) サーバ装置、端末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8084890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50120496A1 (en) Shopping System
CN105791661A (zh) 拍照系统及方法
CN111539779A (zh) 商品页面的生成方法、电子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CN103164809A (zh) 产品使用效果显示方法和系统
KR102274649B1 (ko) 360도 제품 영상에 기반한 제품 정보 입력 방법 및 시스템
CN107666572A (zh) 拍摄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20100005960A (ko) 패션 정보 제공 시스템
JP2017228278A (ja) サーバ装置、端末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0177216A (zh) 图像处理方法、装置、移动终端以及存储介质
US20220327766A1 (en) Automatic adjustable mannequin
KR20150062935A (ko) 3d 피규어 서비스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