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8966B1 - 구동 전달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구동 전달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18966B1 KR102218966B1 KR1020180050974A KR20180050974A KR102218966B1 KR 102218966 B1 KR102218966 B1 KR 102218966B1 KR 1020180050974 A KR1020180050974 A KR 1020180050974A KR 20180050974 A KR20180050974 A KR 20180050974A KR 102218966 B1 KR102218966 B1 KR 10221896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ear
- state
- tooth
- teeth
- cam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1/1647—Mechanical connection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Fix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 Gears, Cams (AREA)
Abstract
구동 전달 장치는 제1 기어, 상기 제1 기어의 회전과 연동하여 회전하고 가압 상태와 가압해제 상태 사이에서 2개의 부재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캠, 상기 캠을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가압 부재, 및 상기 제1 기어와 연동하여 상기 제1 기어에 구동을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제2 기어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기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2개의 부재 사이의 상태가 상기 가압해제 상태로부터 상기 가압 상태로 변경될 때에 상기 제1 기어가 상기 제2 기어와 계합되는 계합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공되는 제1 이를 포함하며, 상기 계합 영역 이외의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공되는 제2 이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이의 이 두께는 상기 제2 이의 이 두께보다 두껍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구동 전달 장치, 및 구동 전달 장치를 포함하는, 복사기 또는 프린터 등의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복사기 또는 프린터 등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조작성이나 메인터넌스성의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서 장치 본체에 대하여 탈착가능하게 장착가능한 각종 착탈 유닛이 제공된다. 현상제 상을 기록재에 정착하는 정착 유닛 및 감광 드럼의 표면에 형성된 현상제 상을 1차 전사하는 중간 전사 유닛도 장치 본체에 대하여 탈착가능하게 제공된다.
정착 유닛의 정착 닙부나 중간 전사 유닛의 1차 전사 닙부 등의 압접 닙부에는, 수 N 내지 수십 N의 하중이 가해진다. 이런 이유로, 이들 유닛이 가압 상태에서 장기간 방치되면, 압접 닙부의 탄성층에 영구 변형이 발생하여, 압접 닙부의 하중을 해제해도(제거해도) 탄성층의 변형이 원래 상태로 복귀되지 않는다. 장치 본체에 대하여 탈착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착탈 유닛에 구동(구동력)을 안정되고 확실하게 전달하는 구동 전달 장치로서, 커플링, 요동가능 기어 등이 사용된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JP-A) 2005-157112는, 커플링의 유격량, 구동계의 백래시량 또는 커플링이 축 방향에 대해 연결해제될 때까지의 회전량에 따라서 구동원이 역회전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이격(분리) 동작 동안의 커플링의 저항이 경감될 수 있다. (JP-A) 2013-045026에서는, 구동측 기어가 제공된 구동 전달 장치가 프레임 부재에 의해 외팔보 상태에서 지지되고, 그 지지 부분을 지지점으로 하여 구동측 기어의 축심 방향을 따라 요동가능하게 제공되고, 그래서 종동측 기어에 구동측 기어가 계합한다. 결과적으로, 구동측 기어의 플렉시블성이 확보되어, 장착 오차나 부하 변동에 대하여 기어의 계합이 원활해진다.
(JP-A) 2015-087701에서는, 캠의 회전 각도를 변경함으로써 압력 발생 부재의 압력이 조정된다. 캠의 회전에 의해 캠의 2개의 외주점이 제1 부재와 제2 부재에 접촉할 때, 압력 발생 부재의 압력에 의해 캠의 회전력이 상쇄된다. 결과적으로, 압력 적용 시의 충격음의 발생이 방지된다.
정착 유닛의 정착 닙부나 중간 전사 유닛의 1차 전사 닙부 등의 압접 닙부의 하중을 해제해도, 탄성층의 변형이 원래 상태로 복귀되지 않는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화상 형성 시 이외의 기간에 압접 닙부의 압접 상태를 자동적으로 해제하기 위해서 가압해제 캠을 사용한 압력 변경 장치가 제공된다. 장치 본체에 탈착가능하게 장착가능한 착탈 유닛에서 압접 닙부가 가압 상태로부터 가압해제 상태로 변경되도록 구동 전달이 실행될 때는, 장치 본체에 대하여 착탈 유닛을 인입하는 방향으로 힘이 발생하기 때문에, 구동 전달 기어는 서로 확실하게 맞물린다.
한편, 압접 닙부의 상태가 가압해제 상태로부터 가압 상태로 변경되도록 구동 전달이 실행될 때는, 압력 변경 장치로부터의 압력에 의해 가압해제 캠이 선행해서 회전된다. 이런 이유로, 장치 본체에 대해 착탈 유닛을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힘이 발생하여, 구동 전달 기어의 유격에 의해 압력 적용 시의 충격음이 커진다. 이때, 선행해서 회전하는 가압해제 캠의 회전력을 확실하게 받아 들이기 위해서는, 착탈 유닛의 강성의 증가가 필요하기 때문에, 크기 및 비용의 증가로 연결된다. 또한, 착탈 유닛을 장치 본체에 장착할 때에 구동 전달 기어의 이 상부가 서로 닿아서 장착 동작을 방해할 우려도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였다. 본 발명의 주 목적은 2개의 부재 사이의 가압 상태를 변경할 수 있는 캠에 구동(구동력)을 전달하는 기어의 계합 성능이 향상되는 구동 전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제1 기어; 상기 제1 기어의 회전과 연동하여 회전하고, 가압 상태와 가압해제 상태 사이에서 2개의 부재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캠; 상기 캠을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가압 부재; 및 상기 제1 기어와 계합되어 상기 제1 기어에 구동을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제2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기어 및 상기 제2 기어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2개의 부재의 상태가 상기 가압해제 상태로부터 상기 가압 상태로 변경될 때 상기 제1 기어가 상기 제2 기어와 계합되는 계합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공되는 복수의 제1 이를 포함하며, 상기 계합 영역 이외의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공되는 복수의 제2 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이의 이 두께는 상기 제2 이의 이 두께보다 두꺼운 구동 전달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 설명도이다.
도 2는 정착 유닛의 착탈 방향을 나타내는 사시 설명도이다.
도 3은 정착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 설명도이다.
도 4는 정착 장치에 제공되는 가열 유닛과 가압 롤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 설명도이다.
도 5는 정착 장치에 제공되는 가열 유닛과 가압 롤러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 설명도이다.
도 6은 정착 장치에 제공되는 가열 유닛과 가압 롤러에 압력을 부여하는 가압 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 설명도이다.
도 7은 정착 장치에 제공되는 가열 유닛과 가압 롤러에 의해 정착 닙부를 형성하는 통상 동작 시의 정착 장치의 단면 설명도이다.
도 8은 정착 장치에 제공되는 가열 유닛과 가압 롤러 사이의 정착 닙부를 해제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설명도이다.
도 9는 캠 부재에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전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 설명도이다.
도 10은 (a) 부분은 가열 유닛과 가압 롤러 사이의 가압 상태에서의 전달 기어 사이의 계합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설명도이며, 도 10의 (b) 부분은 가열 유닛과 가압 롤러 사이의 가압 상태에서의 캠 부재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설명도이다.
도 11의 (a) 부분은 가열 유닛과 가압 롤러 사이의 상태가 가압 상태로부터 가압해제 상태로 변화되는 동안의 전달 기어 사이의 계합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설명도이며, 도 11의 (b) 부분은 가열 유닛과 가압 롤러 사이의 상태가 가압 상태로부터 가압해제 상태로 변화되는 동안의 캠 부재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설명도이다.
도 12의 (a) 부분은 가열 유닛과 가압 롤러 사이의 가압해제 상태에서의 전달 기어 사이의 계합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설명도이며, 도 12의 (b) 부분은 가열 유닛과 가압 롤러 사이의 가압해제 상태에서의 캠 부재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설명도이다.
도 13의 (a) 부분은 가열 유닛과 가압 롤러 사이의 상태가 가압해제 상태로부터 가압 상태로 변화되는 동안의 전달 기어 사이의 계합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설명도이며, 도 13의 (b) 부분은 가열 유닛과 가압 롤러 사이의 상태가 가압해제 상태로부터 가압 상태로 변화되는 동안의 캠 부재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설명도이다.
도 14의 (a) 부분은 캠 부재가 1회 완전 회전을 했을 때의 회전 각도와 변위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14의 (b) 부분은 캠 부재가 1회 완전 회전을 했을 때의 회전 각도와 캠 부재의 회전축 상의 토크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5는 캠 부재의 회전축 상의 토크와 제1 기어의 이의 위치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6의 (a) 부분은 도 10의 (a) 부분에 나타내는 제1 기어(51)의 이(a 내지 j)의 요목표를 나타내는 표이며, 도 16의 (b) 부분은 도 10의 (a) 부분에 나타낸 제1 기어(51)의 이(k 내지 n)의 요목표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2는 정착 유닛의 착탈 방향을 나타내는 사시 설명도이다.
도 3은 정착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 설명도이다.
도 4는 정착 장치에 제공되는 가열 유닛과 가압 롤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 설명도이다.
도 5는 정착 장치에 제공되는 가열 유닛과 가압 롤러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 설명도이다.
도 6은 정착 장치에 제공되는 가열 유닛과 가압 롤러에 압력을 부여하는 가압 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 설명도이다.
도 7은 정착 장치에 제공되는 가열 유닛과 가압 롤러에 의해 정착 닙부를 형성하는 통상 동작 시의 정착 장치의 단면 설명도이다.
도 8은 정착 장치에 제공되는 가열 유닛과 가압 롤러 사이의 정착 닙부를 해제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 설명도이다.
도 9는 캠 부재에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전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 설명도이다.
도 10은 (a) 부분은 가열 유닛과 가압 롤러 사이의 가압 상태에서의 전달 기어 사이의 계합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설명도이며, 도 10의 (b) 부분은 가열 유닛과 가압 롤러 사이의 가압 상태에서의 캠 부재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설명도이다.
도 11의 (a) 부분은 가열 유닛과 가압 롤러 사이의 상태가 가압 상태로부터 가압해제 상태로 변화되는 동안의 전달 기어 사이의 계합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설명도이며, 도 11의 (b) 부분은 가열 유닛과 가압 롤러 사이의 상태가 가압 상태로부터 가압해제 상태로 변화되는 동안의 캠 부재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설명도이다.
도 12의 (a) 부분은 가열 유닛과 가압 롤러 사이의 가압해제 상태에서의 전달 기어 사이의 계합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설명도이며, 도 12의 (b) 부분은 가열 유닛과 가압 롤러 사이의 가압해제 상태에서의 캠 부재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설명도이다.
도 13의 (a) 부분은 가열 유닛과 가압 롤러 사이의 상태가 가압해제 상태로부터 가압 상태로 변화되는 동안의 전달 기어 사이의 계합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설명도이며, 도 13의 (b) 부분은 가열 유닛과 가압 롤러 사이의 상태가 가압해제 상태로부터 가압 상태로 변화되는 동안의 캠 부재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설명도이다.
도 14의 (a) 부분은 캠 부재가 1회 완전 회전을 했을 때의 회전 각도와 변위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며, 도 14의 (b) 부분은 캠 부재가 1회 완전 회전을 했을 때의 회전 각도와 캠 부재의 회전축 상의 토크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5는 캠 부재의 회전축 상의 토크와 제1 기어의 이의 위치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6의 (a) 부분은 도 10의 (a) 부분에 나타내는 제1 기어(51)의 이(a 내지 j)의 요목표를 나타내는 표이며, 도 16의 (b) 부분은 도 10의 (a) 부분에 나타낸 제1 기어(51)의 이(k 내지 n)의 요목표를 나타내는 표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전달 장치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화상 형성 장치>
우선,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전달 장치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 설명도이다. 화상 형성 장치(1)는, 전자사진 방식이며 4 드럼 방식의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일례이다. 도 1에 도시하는 화상 형성 장치(1)의 중앙부에는, 기록재(P)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수단으로서의 화상 형성부(2)가 제공된다. 화상 형성부(2)는, 옐로우, 마젠타, 시안, 및 블랙에 4색의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포함한다. 각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상 담지 부재로서의 감광 드럼(4)을 포함한다.
각 감광 드럼(4)의 주위에는, 대전 수단으로서의 대전 롤러(5), 현상 수단으로서의 현상 장치(6), 및 클리닝 수단으로서의 클리닝 장치(7)가 제공된다. 각각의 프로세스 카트리지(3)에는, 중간 전사 유닛(11)이 제공된다. 중간 전사 유닛(11)은, 걸침 롤러(15, 16, 17)에 의해 도 1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걸쳐진 중간 전사 벨트(18)를 포함한다.
중간 전사 벨트(18)의 내주면 측에는, 1차 전사 수단으로서의 1차 전사 롤러(19)가 감광 드럼(4)에 대향하여 각각 제공된다. 중간 전사 벨트(18)를 통해 각각의 감광 드럼(4)의 표면과 연관된 1차 전사 롤러(19) 사이에 1차 전사 닙부(N1)가 형성된다. 걸침 롤러(16)에 대향하여 중간 전사 벨트(18)를 통해 2차 전사 수단으로서의 2차 전사 롤러(12)가 제공된다. 중간 전사 벨트(18)를 통해 걸침 롤러(16)와 2차 전사 롤러(12) 사이에 2차 전사 닙부(N2)가 형성된다. 걸침 롤러(15)에 대향하여 중간 전사 벨트(18)를 통해 클리닝 수단으로서의 클리닝 장치(26)가 제공된다.
<화상 형성 동작>
각 감광 드럼(4)이 도 1의 시계 방향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각 감광 드럼(4)의 표면은, 대전 롤러(5)에 의해 균일하게 대전된다. 균일하게 대전된 감광 드럼(4)의 표면에는, 상 노광 수단으로서의 노광 장치(27)로부터 화상 정보에 따른 광이 조사된다. 결과적으로, 감광 드럼(4)의 표면에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감광 드럼(4)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 잠상에 대하여 각 현상 장치(6)에 제공된 현상제 담지 부재로서의 현상 롤러(30)로부터 연관된 색의 토너(현상제)가 공급되어서 토너상으로 현상된다.
각 감광 드럼(4)의 표면에 형성된 각 색의 토너상은, 1차 전사 롤러(19)에 1차 전사 바이어스가 인가됨으로써, 도 1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중간 전사 벨트(18)의 외주면 위로 순차적으로 중첩하여 1차 전사된다. 1차 전사 후에 각 감광 드럼(4)의 표면에 잔류하는 잔류 토너는 클리닝 장치(7)에 의해 제거되어서 회수된다.
한편, 급송 카세트(38) 내에 수용된 기록재(P)는, 급송 롤러(42)에 의해 급송되고 분리 롤러(10)에 의해 1매씩 분리 및 급송된다. 그 후, 기록재(P)의 선단부가 급송 가이드(44)에 가이드되고, 정지한 레지스트 롤러 쌍(48)의 닙부에 맞닿아서, 기록재(P)의 사행이 보정된다. 그 후, 미리결정된 타이밍에 레지스트 롤러 쌍(48)이 회전 구동되어서, 기록재(P)는 레지스트 롤러 쌍(48)에 의해 끼움지지되어 급송되고 중간 전사 벨트(18)의 외주면과 2차 전사 롤러(12)에 의해 형성되는 2차 전사 닙부(N2)에 도입된다.
2차 전사 닙부(N2)에서, 도시하지 않은 2차 전사 바이어스 전압원으로부터 2차 전사 롤러(12)에 2차 전사 바이어스가 인가됨으로써, 중간 전사 벨트(18)의 외주면 위에 중첩되어 담지된 토너상이 기록재(P)에 전사된다. 그 후, 기록재(P)는 정착 수단으로서의 정착 유닛(20)에 급송된다. 정착 유닛(20)은 가열 유닛(31)과 가압 롤러(32)를 포함한다. 미정착 토너상이 담지된 기록재(P)는 가열 유닛(31)과 가압 롤러(32)에 의한 상기 기록재(P)의 끼움지지-급송 동안 가열되고 가압되어서, 기록재(P)에 담지된 토너상이 열-정착된다. 그 후, 기록재(P)는 급송 롤러 쌍(55)과 배출 롤러 쌍(53)에 의해 끼움지지 및 급송되며 배출부(13)에 배출된다.
기록재(P)의 양면에 인쇄가 실행되는 경우에는, 배출 롤러 쌍(53)에 의해 기록재(P)의 이동 방향 후단부가 끼움지지된 상태에서, 플래퍼(54)가 회전축(54a)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배출 롤러 쌍(53)이 역회전함으로써, 기록재(P)가 양면 인쇄를 위해 급송 경로(14)로 가이드된다. 그리고, 기록재(P)는 급송 롤러 쌍(56, 58)에 의해 급송되어서 기록재(P)가 상하 반전되고 기록재(P)의 선단부가 정지하고 있는 레지스트 롤러 쌍(48)의 닙부에 맞닿으며, 그래서 기록재(P)의 사행이 보정된다.
그 후, 미리결정된 타이밍에 레지스트 롤러 쌍(48)이 회전 구동되어서, 토너상이 2차 전사 닙부(N2)에서 기록재(P)의 제2 면에 전사된다. 그 후, 기록재(P)는 정착 유닛(20)을 통과해서 토너상이 정착된 후, 플래퍼(54)가 회전축(54a)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그래서 기록재(P)는 급송 롤러 쌍(55)과 배출 롤러 쌍(53)에 의해 끼움지지되어 급송되며, 배출부(13)에 배출된다.
<화상 형성 장치 본체>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1)의 장치 본체(100)(화상 형성 장치 본체)는, 정착 유닛(20)에 제공된 제1 기어(51)와 계합되어 구동(구동력)을 전달하는 제2 기어(61)를 포함한다. 정착 유닛(20)이 장치 본체(100)에 장착되면, 제1 기어(51)와 제2 기어(61)의 소직경 기어(61b)가 서로 계합된다.
<착탈 유닛>
착탈 유닛으로서의 정착 유닛(20)은 토너상을 기록재(P)에 정착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착 유닛(20)은, 정착 유닛(20)에 제공된 2개의 부재인 가열 부재로서의 가열 유닛(31)과 가압 부재로서의 가압 롤러(32)의 상태를 가압 상태와 가압해제 상태 사이에서 변경할 수 있는 캠 부재(28, 29)를 갖는다. 또한, 정착 유닛(20)은, 캠 부재(28, 29)와 함께 가압 부재를 구성하는 가압판(22, 23)과 가압 스프링(40)을 포함한다. 이들 가압 스프링(40)은, 가열 부재로서의 가열 유닛(31)과 가압 부재로서의 가압 롤러(32)를 가압하는 가압 수단으로서 구성된다.
또한, 정착 유닛(20)은 캠 부재(28, 29)에 회전축(50)을 통해 연결된 제1 기어(51)를 포함한다. 제1 기어(51)는 캠 부재(28, 29)와 동축으로 제공된다. 캠 부재(28, 29)는, 회전축(50)을 통해 제1 기어(51)의 회전에 연동해서 회전하고, 가압 부재로서의 가압판(22, 23)을 통해 가압 스프링(가압 수단)(40)에 의한 가압력을 제어한다. 가압판(가압 부재)(22, 23)은 캠 부재(캠)(28, 29)을 가압한다.
정착 유닛(20)은, 도 2의 화살표 A 방향에 대해 장치 본체(100)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착 유닛(20)은, 가열 유닛(31), 가압 롤러(32), 급송 롤러 쌍(55), 급송 가이드(49), 및 외부 케이스(5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가열 부재>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열 부재로서의 가열 유닛(31)은 회전가능 가열 부재로서의 원통형 가요성 정착 필름(33)을 포함한다. 가열 유닛(31)은 또한 단면이 실질적 반원 홈통 형상이며 내열성 및 강성을 갖는 가이드 부재(34)를 갖는다. 또한, 가열 유닛(31)은 가열원으로서의 히터(35)를 갖는다. 히터(35)는 가이드 부재(34)의 외주면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서 제공되는 홈에 계합 및 고정된다. 정착 필름(33)은, 히터(35)가 장착된 가이드 부재(34)의 외주에 대하여 느슨하게 외부에서 끼워진다. 또한, 가열 유닛(31)은 단면이 U 형상이며 강성을 갖는 가압 스테이(36)를 포함한다. 가압 스테이(36)는 가이드 부재(34)의 내측에 제공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착 필름(33)의 길이 방향 단부에 대향하여 규제 부재(37)가 제공된다. 각각의 규제 부재(37)는, 정착 필름(33)의 길이방향 위치를 규제하고, 정착 필름(33)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의 주행 궤적을 규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규제 부재(37)의 플랜지(37a)에 의해, 정착 필름(33)의 길이 방향의 이동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정착 필름(33)의 길이방향 단부의 주행 궤적도 규제된다. 정착 필름(33)은, 내열성 수지 벨트나 금속 벨트가 기층으로서 사용되고, 기층의 외주면에 탄성층, 이형층 등이 형성되는 복합층을 포함하는 구조체이다. 정착 필름(33)은, 전체적으로 얇고, 높은 열전도율 및 낮은 열용량을 갖는 가요성 부재로 형성된다.
히터(35)는, 기록재(P)의 급송 방향과 직교하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낮은 열용량을 갖는 세장형 박육 선형 가열 부재를 포함한다. 히터(35)는, 질화알루미늄이나 알루미나 등의 세라믹 재료로 구성된 기판, 및 기판의 표면에 형성된 은-팔라듐 합금 등의 통전 발열층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세라믹 히터로 구성되는 히터(35)는 잘 공지되어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 가압 부재>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가압 부재로서의 가압 롤러는, 코어 금속으로 구성되는 회전축(32a)의 외주면에 실리콘 고무 등의 탄성층(32b)을 형성함으로써 구성된다. 비점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탄성층(32b)의 외주면에, PTFE(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등의 불소 함유 수지 재료의 층이 표층(32c)으로서 또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PFA(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비닐 에테르 공중합체) 등의 불소 함유 수지 재료의 층이 표층(32c)으로서 또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FEP(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불소 수지 재료의 층이 표층(32c)으로서 또한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 롤러(32)의 회전축(32a)의 길이방향 일단부에는, 구동 기어(41)가 제공된다. 구동 기어(41)에는, 장치 본체(100) 측에 제공된 구동원으로부터 회전 구동력이 전달된다. 결과적으로, 가압 롤러(32)가 회전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착 필름(32)의 내주면 측에는, 가이드 부재(34), 히터(35), 및 가압 스테이(36) 등이 제공된다. 가압 스프링(40)에 의해 규제 부재(37)가 가압 롤러(32)를 향해서 가압된다. 결과적으로, 정착 필름(33)이 가압 스테이(36), 가이드 부재(34), 및 히터(35)를 통해 가압 롤러(32)에 압접된다. 결과적으로, 정착 필름(33)의 외주면과 가압 롤러(32) 사이에 정착 닙부(N3)가 형성된다. 정착 필름(33)은 가압 롤러(32)의 회전에 의해 회전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규제 부재(37)는 측판(39)에 의해 지지된다. 기록재(P)는, 기록재(P)가 정착 필름(33)에 밀착해서 정착 필름(33)에 겹친 상태에서 정착 닙부(N3)를 통과한다. 기록재(P)는, 정착 필름(33)의 외주면과 가압 롤러(32)에 의해 정착 닙부(N3)에 끼움지지되어 급송되는 상태로 정착 닙부(N3)를 통과한다. 그 과정에서, 히터(35)로부터, 정착 필름(33)을 통해 기록재(P)위에 담지된 미정착 토너상에 열 에너지가 부여되어서, 미정착 토너상이 가열 및 용융되고 따라서 기록재(P)에 열-정착된다.
그 후, 기록재(P)는, 정착 닙부(N3)를 통과하고, 기록재(P)의 고강성 및 도 3에 도시된 분리 부재(45)의 작용에 의해 정착 필름(33)의 외주면으로부터 분리된다. 또한, 기록재(P)는, 분리 부재(45), 분리 부재(45)가 제공된 기록재 급송 경로 상방에 제공되는 급송 가이드(47), 및 분리 부재(45)에 제공된 급송 롤러(46)에 의해 안내되어서 급송 롤러 쌍(55)에 보내진다. 그 후, 기록재(P)는 급송 롤러 쌍(55) 및 배출 롤러 쌍(53)에 의해 급송되며 따라서 배출부(13)에 배출된다.
<가압 부재>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압 롤러(32)의 회전축(32a)의 길이방향 양 단부는, 정착 유닛(20)에 제공된 측판(39)에 장착된 베어링부(21)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가열 부재로서의 가열 유닛(31)은, 가압 롤러(32)에 대한 압접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측판(39)에 의해 지지된다. 도 4에 도시된 가열 유닛(31)의 규제 부재(37)는, 도 6에 나타내는 가압 부재의 일부로서의 가압 스프링(40)의 가압력에 의해 가압판(22, 23)을 통해 가압됨으로써, 가열 유닛(31)과 가압 롤러(32) 사이에 정착 닙부(N3)를 형성한다.
도 6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압판(22, 23)의 일단부(22b, 23b)(일단부(23b)는 이들 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는, 측판(39)에 제공된 지지 프레임(24, 25)에 제공된 구멍(24a, 25a)(구멍(25a)은 이들 도면에 도시되지 않음) 내에 삽입되어 계합된다. 도 4에 도시하는 규제 부재(37)를 가압하는 가압 스프링(40)이 지지 프레임(24)과 가압판(22) 사이 및 지지 프레임(25)과 가압판(23) 사이에 제공된다. 본 실시예의 정착 닙부(N3)의 이격(분리) 수단은, 정착 닙부(N3)에 가해지는 압력을 변경하는 캠 부재(28, 29)를 포함한다. 캠 부재(28, 29)는, 도 6에 나타내는 회전축(50)을 통해 제1 기어(51)와 일체로 회전한다.
회전축(50)의 길이방향 단부에는, 서로 형상이 대칭인 캠 부재가 제공된다. 캠 부재(28, 29)의 회전에 의해, 가압판(22, 23)에 캠 부재(28, 29)의 캠면이 작용해서, 정착 닙부(N3)에 부여되는 압력이 변경된다. 가압판(22, 23)에 작용하는 캠 부재(28, 29)는, 회전축(50)의 길이방향 일단부에 제공된 제1 기어(51)에 도 9에 나타내는 구동 전달 장치(60)의 구동원으로서의 모터(63)로부터 회전 구동력을 전달함으로써 회전된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캠 부재(28, 29)는 가압판(22, 23)의 위치를 제어하는 캠면(28a, 29a)을 포함한다. 캠 부재(28, 29)가 고정된 회전축(50)의 길이방향 일단부에는, 정착 닙부(N3)의 상태를 검출해서 제어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플래그 부재가 제공된다. 회전축(50)의 회전과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플래그 부재가 도시하지 않은 광 투과형 센서의 광학 경로를 차단하거나 혹은 광 투과를 허용할지 여부를 검출함으로써, 정착 닙부(N3)의 가압 상태와 가압해제 상태를 검지한다.
화상 형성 중에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캠 부재(28, 29)는, 캠 부재(28, 29)가 가압판(22, 23)에 접촉하지 않는 상태에서 유지된다. 결과적으로, 가열 유닛(31)은 가압 스프링(40)의 가압력에 의해 가압판(22, 23)에 의해 규제 부재(37)를 가압함으로써 가압 롤러(32)에 접촉되고, 그래서 정착 닙부(N3)가 형성된다.
정착 닙부(N3)가 잼 처리 등에 의해 해제되는 것이 필요한 경우에는, 회전 구동력이 도 6에 도시된 회전축의 길이방향 일단부에 고정된 제1 기어(51)에 전달되고, 그래서 캠 부재(28, 29)가 회전축과 일체로 회전한다. 그리고,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캠 부재(28, 29)의 캠면(28a, 29a)이 가압판(22, 23)에 접촉하여 미끄러진다. 결과적으로, 가압판(22, 23)은, 지지 프레임(24, 25)에 계합된 회전 중심(22a, 23a)을 중심으로 가압 스프링(40)의 가압력에 저항해서 도 8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결과적으로, 가열 유닛(31)은 가압 롤러(32)로부터 이격되고, 그래서 정착 닙부(N3)가 해제된다. 정착 닙부(N3)가 해제된 상태에서는, 가압 롤러(32)의 탄성층(32b)의 영구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정착 유닛(20)에 잼된 기록재(P)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1)의 전원이 오프될 때와 기록재(P)의 잼이 발생할 때, 도 9에 나타내는 모터(63)로부터 구동 전달 장치(60)에 의해 제1 기어(51)에 회전 구동력이 전달된다. 모터(63)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 수단으로서의 CPU(중앙 처리 유닛)에 의해 구동 및 제어된다. 결과적으로, 캠 부재(28, 29)가 회전축(50)과 일체적으로 회전함으로써, 정착 닙부(N3)의 해제가 실행된다.
정착 닙부(N3)의 해제는, 가압 스프링(40)의 압력을 완전히 해제하지 않더라도 그 압력을 경감함으로써 행해질 수도 있다. 이는, 캠 부재(28, 29)의 외주면으로 구성되는 캠면(28a, 29b)의 형상을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용이하게 실행될 수 있다. 캠면(28a, 29a)의 형상을 적절히 설정함으로써, 압력이 상이한 다양한 패턴을 준비할 수 있다.
또한, 캠 부재(28, 29)가 회전하면,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캠 부재(28, 29)의 캠면(28a, 29a)이 가압판(22, 23)으로부터 이격된다. 그리고, 가압 스프링(40)의 가압력에 의해, 가압판(22, 23)은 지지 프레임(24, 25)에 계합된 회전 중심(22a, 23a)을 중심으로 도 7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결과적으로, 가압판(22, 23)은 규제 부재(37)를 가압하고, 그래서 가열 유닛(31)은 가압 롤러(32)에 접촉하고, 따라서 정착 닙부(N3)은 가압 상태가 된다.
<구동 전달 장치>
도 9는, 캠 부재(28, 29)에 회전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전달 장치(60)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 설명도이다. 구동 전달 장치(60)는, 장치 본체(100)와 장치 본체(100)에 대해 탈착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착탈 유닛으로서의 정착 유닛(20) 사이에서 구동(구동력)을 전달한다. 도 9에 나타내는 구동 전달 장치(60)는, 구동 기어로서의 제2 기어(61)와 제2 기어(61)에 계합하는 종동(폴로어) 기어로서의 제1 기어(51)를 포함한다. 제2 기어(61)는, 장치 본체(100) 측에 제공되어 있고, 구동원으로서의 모터(63)로부터 회전 구동력을 전달됨으로써 회전된다. 제1 기어(51)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착 유닛(20) 측에 제공되어 있고,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기어(61)의 소직경 기어(61b)와 계합하여 회전한다.
장치 본체(100) 측에는, 구동 기어로서의 제2 기어(61), 모터(63), 및 전달 기어(62a, 62b)가 제공된다. 모터(63)의 구동 기어(63a)에 전달 기어(62)가 계합하고, 2단 기어로 구성되는 전달 기어(62a)의 대직경 기어(62a1)가 전달 기어(62b)에 계합된다. 또한, 전달 기어(62a)의 소직경 기어(62a2)에 2단 기어로 구성되는 제2 기어(61)의 대직경 기어(61a1)가 계합된다. 결과적으로, 모터(63)의 회전 구동에 의해, 구동 기어(63a), 전달 기어(62b), 및 전달 기어(62a)를 통해 제2 기어(61)가 회전한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착 유닛(20) 측에는, 종동 기어로서의 제1 기어(51), 회전축(50), 캠 부재(28), 가압 스프링(40), 가압판(22), 및 지지 프레임(24)이 제공된다. 제1 기어(51)와 캠 부재(28) 각각의 회전이 회전축(50)에 제공된 평행 핀(52)을 통해 방지된다. 제1 기어(51)는, 정착 유닛(20)이 장치 본체(100)의 화상 형성 위치에 장착된 상태에서 장치 본체(100) 측에 제공된 제2 기어(61)의 소직경 기어(61b)와의 계합 위치에 제공된다. 모터(63)의 회전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제2 기어(61)로부터 제1 기어(51)에 전달된 회전 구동력에 의해, 회전축을 통해 캠 부재(28)가 회전한다.
이어서, 도 10 내지 도 14를 참고하여, 구동 기어로서의 제2 기어(61)로부터 종동 기어로서의 제1 기어(51)로의 구동 전달에 의해 캠 부재(28)가 1회 완전 회전을 하는 때의 제2 기어(61)의 소직경 기어(61b)와 제1 기어(51) 사이의 계합 상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의 (a) 부분은, 가열 유닛(31)과 가압 롤러(32) 사이의 가압 상태에서의 제2 기어(61)의 소직경 기어(61b)와 제1 기어 사이의 계합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설명도이다. 도 10의 (b) 부분은, 가열 유닛(31)과 가압 롤러(32) 사이의 가압 상태에서의 캠 부재(28)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설명도이다. 도 10의 (a) 및 (b) 부분에 나타내는 제1 기어(51)와 캠 부재(28)의 위상은 0°이다.
도 11의 (a) 부분은, 가열 유닛(31)과 가압 롤러(32) 사이의 상태가 도 10의 (a) 및 (b) 부분에 나타내는 가압 상태로부터 도 12의 (a) 및 (b) 부분에 나타내는 가압해제 상태로 변화하는 동안의 제2 기어(61)의 소직경 기어(61b)와 제1 기어(51) 사이의 계합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설명도이다. 도 11의 (b) 부분은, 가열 유닛(31)과 가압 롤러(32)가 도 10의 (a) 및 (b)에 나타내는 가압 상태로부터 도 12의 (a) 및 (b)에 나타내는 가압해제 상태로 변화하는 동안의 캠 부재(28)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설명도이다. 도 11의 (a) 및 (b) 부분에 나타내는 제1 기어(51)와 캠 부재(28)의 위상은, 제1 기어(51)와 캠 부재(28)가 도 10의 (a) 및 (b) 부분에 나타내는 0°의 상태로부터 도 11의 (a) 및 (b) 부분에 나타내는 50°의 상태로 시계 방향으로 일체적으로 회전된 상태이다.
도 12의 (a) 부분은, 가열 유닛(31)과 가압 롤러(32) 사이의 가압해제 상태에서의 제2 기어(61)의 소직경 기어(61b)와 제1 기어(51) 사이의 계합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설명도이다. 도 12의 (b) 부분은, 가열 유닛(31)과 가압 롤러(32) 사이의 가압해제 상태에서의 캠 부재(28)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설명도이다. 도 12의 (a) 및 (b) 부분에 나타내는 제1 기어(51)와 캠 부재(28)의 위상은, 제1 기어(51)와 캠 부재(28)가 도 10의 (a) 및 (b)에 나타내는 0°의 상태로부터 도 12의 (a) 및 (b) 부분에 나타내는 180°의 상태로 시계 방향으로 일체적으로 회전된 상태이다.
도 13의 (a) 부분은, 가열 유닛(31)과 가압 롤러(32) 사이의 상태가 도 12의 (a) 및 (b) 부분에 나타내는 가압해제 상태로부터 도 10의 (a) 및 (b) 부분에 나타내는 가압 상태로 변화하는 동안의 제2 기어(61)의 소직경 기어(61b)와 제1 기어(51) 사이의 계합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설명도이다. 도 13의 (b) 부분은, 가열 유닛(31)과 가압 롤러(32) 사이의 상태가 도 12의 (a) 및 (b)에 나타내는 가압해제 상태로부터 도 10의 (a) 및 (b)에 나타내는 가압 상태로 변화하는 동안의 캠 부재(28)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설명도이다. 도 13의 (a) 및 (b) 부분에 나타내는 제1 기어(51)와 캠 부재(28)의 위상은, 제1 기어(51)와 캠 부재(28)가 도 10의 (a) 및 (b) 부분에 나타내는 0°의 상태로부터 도 13의 (a) 및 (b) 부분에 나타내는 250°의 상태로 시계 방향으로 일체적으로 회전된 상태이다.
장치 본체(100) 측에 제공되어 있는 제2 기어(61)의 소직경 기어(61b)는, 13개의 이를 포함하며, 표준 기어의 치면 형상인 통상의 인벌류트 형상을 갖는다. 한편, 정착 유닛(20) 측에 제공되어 있는 제1 기어(51)는 14개의 이(도 10 내지 도 13의 (a) 부분에 도시된 이(a 내지 n))를 포함한다.
도 13의 (a) 및 (b) 부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축(50)을 통해 제1 기어(51)와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캠 부재(캠)(28, 29)에 의해, 2개의 부재(가열 유닛(31)과 가압 롤러(32))가 가압해제 상태로부터 가압 상태로 변화된다. 그때에, 가압 스프링(40)의 가압력이 캠 부재(28, 29)의 캠면(28a, 29a)에 작용해서, 제1 기어(51)가 도 13의 (a) 부분의 시계 방향으로 선행해서 회전한다. 제1 기어(51)가 선행하여 회전해서 제2 기어(61)의 소직경 기어(61b)(제2 기어)에 계합되는 영역을 도 13의 (a) 부분에 나타내는 선행 회전 영역(R1)이라 정의한다.
그 선행 회전 영역(R1)에 대응하는 제1 기어(51)의 4개의 이(k 내지 n)의 치면(51d, 51e)은, 치면(51d 및 51e)이 제1 기어(51)의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해서 0.5 mm의 플러스 전위(어덴덤 원 직경의 증가에 의한 이 두께의 증가)가 이루어진 인벌류트 형상을 갖는다. 치면(51d, 51f)이 제1 기어(51)의 반경 방향 외측을 향해서 0.5 mm의 플러스 전위를 거친 선행 회전 영역(R1)에 대응하는 4개의 이(k 내지 n)의 뿌리 원(51f)을 고려한다. 4개의 이(k 내지 n)의 뿌리 원(51f)은, 치면(51d, 51f)이 0.5 mm의 플러스 전위를 거친 0.5 mm에 대응하여 제1 기어(51)의 반경 방향 내측을 향해 4개의 이(k 내지 n)가 커팅된 형상을 갖는다. 결과적으로, 제1 기어(51)는 14개의 이(a 내지 j 및 k 내지 n)의 뿌리 원(51c, 51f)의 직경이 서로 일치하도록 형성된다.
도 13의 (a) 부분에 나타내는 제1 기어(51)의 선행 회전 영역(R1) 이외의 영역에 대응하는 10개의 이(a 내지 j)의 형상은 다음과 같이 설정된다. 도 11의 (a) 부분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 기어(61)의 소직경 기어(61b)로부터 구동이 전달되는 측(치면의 좌측)의 치면(51a)은 표준 기어의 치면 형상인 통상의 인벌류트 형상을 갖는다. 한편, 반대측(치면의 우측)의 치면(51b)도 표준 기어의 치면 형상인 통상의 인벌류트 형상을 갖지만, 이 상부(51b1)가 커팅된다.
제1 기어(51)의 이(제1 이)(k 내지 n)는 이 상부가 커팅되지 않은 통상의 인벌류트 형상을 갖지만, 뿌리 원은 0.5 mm에 대응하는 양으로 커팅된다. 결과적으로, 제2 기어(61)의 소직경 기어(61b)가 제1 기어(51)의 이(제1 이)(k 내지 n)과 계합될 때의 소직경 기어(61b)의 이 저부의 맞닿음의 발생이 방지된다. 제1 기어(51)의 이(제2 이)(a 내지 j)는 그 중간 전이부를 제외하고 비스듬하므로, 그 자유 단부가 날카롭다(뾰족하다).
본 실시예의 제1 기어(51)와 관련하여, 도 16의 (a) 부분에 나타내는 복수의 이(제2 이)(a 내지 j)의 플러스 전위량은 0.27 mm이며, 도 16의 (b) 부분에 나타내는 복수의 이(제1 이)(k 내지 n)의 플러스 전위량은 0.77 mm이다. 이런 이유로, 도 16의 (b) 부분에 나타내는 복수의 이(제1 이)(k 내지 n)의 플러스 전위량은 도 16의 (a) 부분에 도시된 복수의 이(제2 이)(a 내지 j)의 플러스 전위량보다 크도록 설정된다. 다른 예로서, 제1 기어(51)의 복수의 이(제2 이)(a 내지 j)가 0 mm의 플러스 전위량을 갖는 통상의 이인 경우(즉, 플러스 전위를 받지 않은 경우), 제1 기어(51)의 복수의 이(제1 이)(k 내지 n)는 미리결정된 플러스 전위량만큼 플러스 전위를 받은 이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4의 (a) 부분은, 캠 부재(28)가 1회의 완전한 회전을 했을 때의 회전 각도와 변위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4의 (b) 부분은, 회전 각도와 캠 부재(28)의 회전축(50) 상의 토크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4의 (a) 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 부재(28)가 도 10의 (a) 및 (b) 부분에 도시된 가열 유닛(31)과 가압 롤러(32) 사이에서 가압 상태(0°)의 위치로부터 45°의 위치로 회전할 때, 캠 부재(28)의 캠면(28a)은 가압판(22)에 맞닿아 미끄러져서, 변위가 증가한다.
그 후, 도 11의 (a) 및 (b) 부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캠 부재(28)는 50°의 위치로 회전하고, 도 12의 (a) 및 (b) 부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캠 부재(28)는 가열 유닛(31)과 가압 롤러(32)가 가압해제 상태로 되는 180°의 위치로 회전한다.
그 후, 도 13의 (a) 및 (b) 부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캠 부재(28)는 250°의 위치로 회전한다. 이때, 도 14의 (a) 부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변위가 저하된다. 그리고, 가압 스프링(40)의 가압력이 가압판(22)을 통해 캠 부재(28)의 캠면(28a)에 작용하고, 따라서 제2 기어(61)의 소직경 기어(61b)로부터의 구동 전달보다 더 빨리 제1 기어(51)를 회전시키려고 한다. 결과적으로, 14의 (b) 부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축(50) 상의 토크가 마이너스가 되는 선행 회전 영역(R2)이 나타난다. 그 후, 캠 부재(28)는 360°의 위치로 회전하고 따라서 도 10의 (a) 및 (b) 부분에 도시된 가압 상태의 위치로 복귀한다.
여기서, 캠 부재(28, 29)가 선행하여 회전하기 전에는, 선행 회전 영역(R1)의 제1 기어(51)의 이(제1 이)(k 내지 n)는 제2 기어(61)의 소직경 기어(61b)의 연관된 이에 확실하게 계합할 필요가 있다. 이런 이유로, 도 13에 도시된 제1 기어의 이(제1 이)(k 내지 n)의 선행 회전 영역(R1)은 도 14의 (b) 부분에 도시된 캠 부재(28, 29)의 선행 회전 영역(R2)보다 크게 설정된다(R1>R2).
또한, 캠 부재(28, 29)의 선행 회전이 종료하는 영역(제1 기어(51)의 이(n)의 부분)을 고려한다. 가압판(22, 23)과 캠 부재(28, 29)가 서로 접촉하지 않고, 캠 부재(28, 29)가 구동 전달 장치(60)를 통해 모터(63)에 의해 다시 회전되기 전의 영역을 고려한다. 이때, 회전축(50) 상의 토크가 플러스 측으로 시프트되기 전에 제1 기어(51)의 선행 회전 영역(R1)의 이(제1 이)(k 내지 n)와 제2 기어(61)의 소직경 기어(61b)와의 계합이 종료되도록 설정이 이루어진다.
도 14의 (a) 부분에 나타내는 캠 부재의 그래프를 고려한다. 캠 부재(28, 29)의 외경이 최대 외경(가압해제 위치)으로부터 저하되기 시작하는 각도(225°)로부터 캠 부재(28, 29)의 외경이 최소 외경이 되는 각도(322°)까지의 영역을 고려한다. 이때의 회전 각도는 제1 기어(51)의 이(k 내지 n)가 제공되는 회전 각도로 설정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기어(51)가 선행하여 회전한 후 제2 기어(61)의 소직경 기어(제2 기어)(61b)에 계합할 때까지의 제1 기어(51)의 이(제1 이)(k 내지 n)의 선행 회전 영역(R1)의 회전 각도는 97°(=322°-225°)이다. 캠 부재(28, 29)의 형상에 따라서는, 회전 각도는 97° 미만 또는 97°초과로 설정될 수도 있다. 소음 감소 등을 고려하면, 선행 회전 영역(R1)은 80°로부터 100°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15는, 캠 부재(28)의 회전축 상의 토크와 제1 기어(51)의 이(a 내지 n)의 위치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 내지 도 13의 (a) 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 부재(28) 및 제1 기어(51)는 평행 핀(52)에 의해 회전축(50)에 고정된다. 결과적으로, 회전축(50) 상의 토크와 제1 기어(51)의 이(a 내지 n)와의 위치 관계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상-제어된다. 제1 기어(51)의 이 상부(51b1)가 커팅되는 이(a 내지 j)가 제2 기어(61)의 소직경 기어(61b)에 의해 구동되는 측의 치면(51a)은, 회전축(50) 상의 토크가 0(제로)으로부터 플러스(+)까지인 범위에 대응하여 제공된다. 플러스 전위를 받은 제1 기어(51)의 이(k 내지 n)의 치면(51d, 51e)은 회전축(50) 상의 토크가 마이너스(-)의 범위인 선행 회전 영역(R1)에 대응하여 제공된다.
이어서, 도 11 및 도 13을 참고하여, 캠 부재(28)가 도 10의 (b) 부분에 나타내는 가압 상태(0°)로부터 50° 회전했을 때의 위치와, 캠 부재(28)가 가압 상태(0°)로부터 250° 회전했을 때의 위치 각각에서 제1 기어(51)와 제2 기어(61)의 소직경 기어(61b)에서 발생하는 힘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1의 (a) 및 (b) 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0의 (a) 및 (b)에 나타낸 가압 상태(0°)로부터 도 12의 (a) 및 (b) 부분에 나타낸 가압해제 상태(180°)까지의 변화 동안의 위치(50°)를 고려한다. 이때, 제1 기어(51)는 구동원으로서의 모터(63)에 의해 도 11의 (a) 부분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는 제2 기어(61)의 소직경 기어(61b)에 의해 도 11의 (a) 부분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이때, 도 11의 (a) 부분의 화살표 B 방향의 구동(구동력)이 도 11의 (a) 부분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 기어(61)의 소직경 기어(61b)의 치면(61b1)으로부터 제1 기어(51)의 이(d)의 치면(51a)으로 전달된다. 그리고, 정착 유닛(20)에서, 정착 유닛(20)이 장치 본체(100) 내로 인입되는 방향(기어 사이의 계합 방향)에서 힘이 발생한다. 결과적으로, 제1 기어(51)와 제2 기어(61)의 소직경 기어(61b) 사이의 계합이 보증된다.
한편, 캠 부재(28)에 의해, 2개의 부재(가열 유닛(31)과 가압 롤러(32))가 도 12의 (a) 및 (b) 부분에 나타내는 가압해제 상태(180°)로부터 도 10의 (a) 및 (b) 부분에 나타내는 가압 상태(360°)로 변화된다. 상태 변화 동안의 위치(250°)에서, 도 13의 (a) 및 (b) 부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압 스프링(40)의 가압력이 가압판(22)을 통해 캠 부재(28)의 캠면(28a)에 작용한다. 이 작용에 의해, 제1 기어(51)는 제2 기어(61)의 소직경 기어(61b)로부터의 구동 전달보다 빨리 도 13의 (a) 부분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결과적으로, 캠 부재(28) 및 제1 기어(51)의 선행 회전이 발생한다. 결과적으로, 구동측은 일시적으로 제1 기어(51) 측으로 변화된다.
따라서, 도 13의 (a) 부분에 나타낸 제1 기어(51)의 플러스 전위된 이(l)의 선행 회전 치면(51e)은 제2 기어(61)의 소직경 기어(61b)의 치면(61b2)으로부터 화살표 D의 반력을 받는다. 그때, 반력에 의해, 정착 유닛(20)에는, 장치 본체(100)로부터 정착 유닛(20)을 이동시키는 힘이 작용한다.
제1 기어(51)의 치면(51e)이 선행하여 회전하고 제2 기어(입력 기어)(61)의 소직경 기어(61b)의 치면(61b2)에 맞닿으면, 소음이 발생한다. 선행 회전 동안 치면(51e)에 의해 받은 반력에 의해, 정착 유닛(20)은 장치 본체(100)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기 쉽다. 이런 이유로, 제1 기어(51)와 제2 기어(입력 기어)(61) 사이의 백래시가 확대되어, 충격음이 증가한다.
그러나, 선행 회전 영역(R1)의 제1 기어(51)의 이(k 내지 n)의 치면(51d, 51e)은, 정착 유닛(20)의 이동이 장치 본체(100)에 의해 받아들여 지는 백래시(본 실시예에서는 0.5 mm)에 대응하는 양으로 플러스 전위를 받는다. 이런 이유로, 치면(51d)의 폭(이 두께)이 증가한다. 즉, 선행 회전 영역(R1)의 제1 기어(51)의 장치 전위를 받은 이(제1 이)(k 내지 n)의 이 두께는 제1 기어(51)의 중간 전이부(51b1)의 커팅된 이(제2 이)(a 내지 j)의 이 두께보다 두껍다.
도 13의 (a) 부분에 나타내는 선행 회전 영역(R1)은, 가열 유닛(31) 및 가압 롤러(32)(2개의 부재임)의 상태가 캠 부재(캠)(28, 29)에 의해 가압해제 상태로부터 가압 상태로 변화될 때에, 제1 기어(51)가 제2 기어(61)의 소직경 기어(제2 기어)(61b)와 계합하는 영역이다. 선행 회전 영역(R1)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1 기어(51)의 플러스 전위된 복수의 이(제1 이)(k 내지 n)가 배치된다. 선행 회전 영역(R1) 이외의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제1 기어(51)의 이 상부(51b1)가 커팅된 복수의 이(제2 이)(a 내지 j)가 배치된다.
결과적으로, 플러스 전위된 이(k 내지 n)의 치면(51d)(51e)과 제2 기어(61)의 소직경 기어(61b)의 치면(61b1)(61b2) 사이의 유격이 감소된다. 즉, 선행 회전 영역(R1)의 제1 기어(51)의 플러스 전위된 이(제1 이)(k 내지 n) 각각과 제2 기어(61)의 소직경 기어(제2 기어)(61b)의 이의 연관된 하나 사이의 백래시를 고려한다. 백래시는, 제1 기어(51)의 이 상부(51b1)가 커팅된 이(제2 이)(a 내지 j) 각각과 제2 기어(61)의 소직경 기어(제2 기어)(61b)의 이의 연관된 하나 사이의 백래시보다 작다.
결과적으로, 제1 기어(51)의 플러스 전위된 이(l)의 치면(51e)이 제2 기어(61)의 소직경 기어(61b)의 치면(61b2)으로부터 반력을 받을 때에도, 정착 유닛(20)의 이동은 장치 본체(100)에 의해 받아들여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 기어(51)와 제2 기어(61)의 소직경 기어(61b) 사이의 계합이 보증된다.
도 13의 (a) 부분에 나타내는 제1 기어(51)의 플러스 전위된 이(k)의 치면(51d)의 위치가, 회전축(50) 상의 토크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너스(-)가 아닌 실질적으로 0(제로)인 영역에 제공된다. 이런 이유로, 제1 기어(51)의 플러스 전위된 이(k)와 제2 기어(61)의 소직경 기어(61b)는, 이들 부분이 캠 부재(28)의 선행 회전이 개시되는 선행 회전 영역(R1)에 들어가기 전에 서로 계합된다. 결과적으로, 캠 부재(28) 및 제1 기어(51)가 도 13의 (a) 및 (b) 부분의 시계 방향으로 선행하여 회전될 때, 이(l)의 치면(51e)과 제2 기어(61)의 소직경 기어(61b)의 치면(61b2) 사이에 형성되는 유격이 작다. 이런 이유로, 치면(51e) 및 치면(61b2)이 서로 충돌할 때의 충격음이 감소될 수 있다.
이어서, 정착 유닛(20)이 장치 본체(100)에 장착될 때의 제1 기어(51)와 제2 기어(61)의 소직경 기어(61b) 사이의 위치 관계에 대해서 설명한다. 정착 유닛(20) 단독의 상태에서, 가압 스프링(40)의 가압력은 가압판(22)을 통해 캠 부재(28)의 캠면(28a)에 작용하고, 캠 부재(28) 및 제1 기어(51)를 도 10의 (a) 및 (b) 부분에 나타낸 가압 상태(0°)의 위치까지 회전시킨다.
이런 이유로, 캠 부재(28) 및 제1 기어(51)가 선행하여 회전되는 제1 기어(51)의 선행 회전 영역(R1)은 도 13의 (a) 및 (b) 부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직경 기어(61b)에 대응하는 위치에 유지되는 것이 방지된다. 정착 유닛(20)이 장치 본체(100)의 화상 형성 위치에 장착될 때, 도 10의 (a) 부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기어(51)의 치면(51b1)이 커팅된 이(a 내지 j)는 이가 소직경 기어(61b)와 계합하는 위치에 있다. 이로 인해, 도 13의 (a) 부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행 회전 영역(R1)의 제1 기어(51) 중, 치면이 커팅되지 않지만 플러스 전위된 이(k 내지 n)의 치면(51d, 51e)은, 제2 기어(61)의 소직경 기어(61b)의 치면(61b1, 61b2)과 접촉하는 것이 방지된다.
정착 유닛(20)이 장치 본체(100)의 화상 형성 위치에 장착될 때에는, 제1 기어(51)의 치면(51b1)이 커팅된 이(a 내지 j)의 치면(51a, 51b)은 제2 기어(61)의 소직경 기어(61b)의 치면(61b1, 61b2)과 항상 접촉한다. 결과적으로, 정착 유닛(20)이 장치 본체(100)의 화상 형성 위치에 장착될 때, 제1 기어(51)의 이 상부와 제2 기어(61)의 소직경 기어(61b) 사이의 맞닿음에 의해 장치 본체(100)의 미리결정된 위치에 정착 유닛(20)을 장착할 때 방해가 일어나는 일이 없다.
본 실시예에서는, 정착 유닛(20)을 착탈할 때에 서로 계합되는 기어의 이 상부의 상호 맞닿음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이런 이유로, 제1 기어(51)는 제1 기어(51)의 선행 회전 영역(R1)에 제공된 플러스 전위된 이(k 내지 n)에서 소직경 기어(61b)와 계합되는 것이 방지된다. 즉, 제1 기어(51)는, 제1 기어(51)가 선행 회전 영역(R1)에 제공된 플러스 전위된 이(k 내지 n)와 소직경 기어(61b)의 이와의 계합에 의해 정지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이런 이유로, 캠 부재(28, 29)의 위상이 제어되며, 제어될 수 있는 캠 부재(28, 29)의 회전축(50)에 장착된 제1 기어(51)의 선행 회전 영역(R1)에 제공된 이(k 내지 n)는 플러스 전위된다.
또한, 제2 기어(입력 기어)(61)의 정지 위치는, 제2 기어(입력 기어)(61)의 위상이 제어될 수 있도록 장착 센서 등에 의해 제어될 수도 있다. 이러한 위상 제어가 실행될 수 있는 경우, 제2 기어(입력 기어)(61)의 선행 회전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에 플러스 전위된 이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연관된 선행 회전 영역에 대응하고 어느 정도 플러스 전위된 이를 각각 포함하는 제1 기어(51) 및 제2 기어(입력 기어)(61)를 채용할 수도 있다.
도 16의 (a) 부분은, 도 10의 (a) 부분에 나타내는 제1 기어(51)의 이(a 내지 j)의 요목표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16의 (b) 부분은 도 10의 (a) 부분에 나타내는 제1 기어(51)의 이(k 내지 n)의 요목표를 나타내는 표이다. 제1 기어(51)의 이 상부(51b)가 커팅된 이(a 내지 j)로 구성되는 통상의 이 각각과 제2 기어(입력 기어)(61)의 소직경 기어(61b)의 이의 연관된 하나 사이의 백래시는 0.15 mm이다.
선행 회전 영역(R1)의 제1 기어(51)의 플러스 전위된 이(k 내지 n)의 플러스 전위량과 관련하여, 선행 회전 영역(R1)의 제1 기어(51)의 플러스 전위된 이(k 내지 n) 각각에 대한 0.77 mm의 전위량을 고려한다. 또한, 제1 기어(51)의 이 상부(51b1)가 커팅된 이(a 내지 j) 각각에 대한 0.27 mm의 전위량을 고려한다. 이(k 내지 n) 각각의 플러스 전위량은 0.77 mm에서 0.27 mm를 감하여 얻은 값인 0.5 mm(= 0.77 mm - 0.27 mm)이다.
이런 이유로, 제1 기어(51)의 두꺼운 이(플러스 전위된 이(k 내지 n)) 각각과 제2 기어(입력 기어)(61)의 소직경 기어(61b)의 이의 연관된 하나 사이의 백래시의 설계값과 관련하여, 제1 기어(51)의 이(a 내지 j) 각각과 소직경 기어(61b)의 이의 연관된 하나 사이의 0.15 mm의 백래시를 고려한다. 또한, 제1 기어(51)의 플러스 전위된 이(k 내지 n) 각각에 대한 0.5 mm의 플러스 전위량을 고려한다. 백래시의 설계값은, 0.15 mm에서 0.5 mm를 감하여 얻은 값인 -0.35 mm(= 0.15 mm-0.5 mm)이다. 여기서, 정착 유닛(29)은 장치 본체(100)로부터 0.5 mm 튀어나오기 때문에, 실제 백래시는 0.15 mm이다.
제1 기어(51)의 플러스 전위된 이(k 내지 n)는 이 상부가 커팅되지 않은 통상의 인벌류트 형상을 갖는다. 각각의 이(k 내지 n)의 뿌리 원(51f)은 커팅된다.
제1 기어(51)의 모든 이(a 내지 n)의 각각의 뿌리 원 직경은 17.79 mm이다. 구체적으로는, 제1 기어(51)의 뿌리 원은, 제1 기어(51)가 이 상부(51b1)가 커팅된 이(제2 이)(a 내지 j)만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뿌리 원과 동일하다. 또한 제1 기어(51)의 플러스 전위된 이(k 내지 n) 각각의 뿌리 원과 관련하여, 뿌리 원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서, 뿌리 원의 직경은 제1 기어(51)의 이(a 내지 j) 각각의 뿌리 원 직경과 동일한 직경인 17.79 mm로 설정된다.
여기서, 제1 기어(51)의 모든 이가 이(a 내지 j)만으로 구성되는 것을 상정한 경우의 뿌리 원 직경은, 도 16의 (a) 부분에 나타낸 14의 잇수, 1.5의 모듈, 0.27의 전위량, 및 1.25의 디덴덤(dedendum) 계수를 사용하여 이하의 식 (1)에 의해 계산된다.
(식 1)
뿌리 원 직경 = 14×1.5+0.27×2-1.25×1.5×2 = 17.79 (mm)
식 1에서, 14×1.5=21 (mm)은, 도 16의 (a) 부분에 나타내는 제1 기어(51)의 이(a 내지 j)의 표준 피치원 지름을 나타낸다. 이 값에, 이(a 내지 j) 각각의 0.27 mm의 전위량을 2배한 값(0.27×2)을 가산함으로써, 전위를 고려한 이(a 내지 j)의 피치원 지름을 구한다. 이 피치원 지름으로부터, 1.25의 디덴덤 계수에 1.5의 모듈을 곱하고 2배한 값(1.25×1.5×2)을 감하여, 이(a 내지 j)의 뿌리 원 직경을 구할 수 있다.
<이 두께의 측정>
제1 기어(51)의 이(제2 이)(a 내지 j) 각각과 이(제1 이)(k 내지 n) 각각의 이 두께의 측정과 관련하여, 기본 접선 길이(이의 기본 두께)는 이와 그 연관된 이가 실질적으로 맞물림 이 깊이(높이)의 부근에서 서로 접촉하도록 결정된다. 도 16의 (a) 부분에 나타낸 제1 기어(51)의 이(제2 이)(a 내지 j)와 관련하여, 섹터 스팬에서의 이의 수가 "2"일 때의 이의 기본 두께(2개의 이에 걸쳐 측정된 바와 같은 2개의 이의 두께)는 "7.121 mm"이다. 한편, 도 16의 (b) 부분에 나타내는 제1 기어(51)의 이(제1 이)(k 내지 n)와 관련하여, 섹터 스팬의 이의 수가 "3"일 때의 이의 기본 두께(3개의 이에 걸쳐 측정된 바와 같은 3개의 이의 두께)는 "11.891 mm"이다.
"이의 기본 두께", "섹터 스팬의 이의 수", "모듈" 및 "압력각"과 조합하여 공지된 계산식을 사용함으로써, 이(제2 이)(a 내지 j) 각각의 이 두께(T2)가 이하에 나타낸 식 2에 따라 연관된 "이의 기본 두께"로부터 계산된다. 또한, 이(제1 이)(k 내지 n) 각각의 이 두께(T1)가 이하에 나타낸 식 3에 따라 연관된 "이의 기본 두께"로부터 계산된다. 또한, 이하의 식 2 및 3의 항에서, "π×1.5×cos20°"는 기본 (법선) 피치(mm)를 나타낸다.
(식 2)
T2 = 7.121- (2-1)×π×1.5×cos20° = 2.69 (mm)
(식 3)
T1 = 11.891- (3-1)×π×1.5×cos20° = 3.03 (mm)
상기 식 2 및 3으로부터, 제1 기어(51)의 이(제1 이)(k 내지 n) 각각의 이 두께(T1)는 제1 기어(51)의 이(제2 이)(a 내지 j)의 각각의 이 두께(T2)보다 두껍다.
본 실시예의 제1 기어(51)는, 이(제2 이)(a 내지 j) 및 이(제1 이)(k 내지 n)을 포함하지만, 제1 기어(51)의 뿌리 원 직경은 17.79 (mm)로 설계된다. 즉, 뿌리 원 직경은 제1 기어(51)의 모든 이가 이(제2 이)(a 내지 j)만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정하는 경우의 뿌리 원 직경과 동일하다.
또한, 제1 기어(51)의 선행 회전 영역(R1) 이외에서는, 이 상부(51b1)가 커팅된 이(제2 이)(a 내지 j)뿐만 아니라 플러스 전위된 이(제1 이)(k 내지 n)의 이 상부와 유시한 이 상부를 갖는 이도 혼재하여 존재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상기 실시예에서는, 정착 유닛(20)과 장치 본체(100) 사이의 구동 전달 장치(60)로서, 정착 유닛(20) 측의 제1 기어(51)와 장치 본체(100) 측의 제2 기어(61)의 소직경 기어(61b)를 사용한 일례에 대해서 설명했다. 그러나, 구동 전달 장치(60)는 다른 유닛으로서 중간 전사 부재인 중간 전사 유닛(11)과 장치 본체(100) 사이의 연결부에도 적용가능하다.
또한, 정착 유닛(20)에 제공되는 캠 부재(28)와 제1 기어(51)가 공통 회전축(50) 상에 제공된 일례에 대해서 설명했다. 다른 예로서, 캠 부재(28)가 제공된 회전축(50) 위에 도시하지 않은 캠 기어를 제공하고, 제1 기어(51)가 회전축(50)과 상이한 회전축에 제공되는 경우를 고려한다. 또한, 캠 기어와 제1 기어(51) 사이에, 폴로워(종동) 기어를 제공해도 된다. 이 경우, 캠 기어, 폴로워 기어, 및 제1 기어(51) 사이의 기어비는, 캠 부재(28)의 위상과 일치하도록 기어의 속도가 감소되지 않는 기어비일 수도 있고, 또는 이들 기어의 잇수가 그 정수배를 제공하는 기어비일 수도 있다. 제1 기어(51)는, 장치 본체(100) 측에 제공된 제2 기어(61)의 소직경 기어(61b)와 계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2개의 부재 사이의 가압 상태를 변경할 수 있는 캠에 구동(구동력)을 전달하는 기어의 계합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의 청구항의 범위는 이러한 모든 변형과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최광의로 해석된다.
Claims (20)
- 구동 전달 장치이며,
제1 기어;
상기 제1 기어의 회전과 연동하여 회전하고, 가압 상태와 가압해제 상태 사이에서 2개의 부재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캠;
상기 캠을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가압 부재; 및
상기 제1 기어와 계합되어(engaged) 상기 제1 기어에 구동을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제2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기어 및 상기 제2 기어 중 하나 이상은, 상기 2개의 부재의 상태가 상기 가압해제 상태로부터 상기 가압 상태로 변경될 때 상기 제1 기어와 상기 제2 기어가 서로 계합되는 계합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공되는 복수의 제1 이(teeth)를 포함하며, 상기 계합 영역 이외의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공되는 복수의 제2 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이의 이 두께는 상기 제2 이의 이 두께보다 두꺼운 구동 전달 장치. - 구동 전달 장치이며,
제1 기어;
상기 제1 기어의 회전과 연동하여 회전하고, 가압 상태와 가압해제 상태 사이에서 2개의 부재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캠;
상기 캠을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가압 부재; 및
상기 제1 기어와 계합되어 상기 제1 기어에 구동을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제2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기어 및 상기 제2 기어 중 하나 이상은, 상기 2개의 부재의 상태가 상기 가압해제 상태로부터 상기 가압 상태로 변경될 때 상기 제1 기어와 상기 제2 기어가 서로 계합되는 계합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공되는 복수의 제1 이를 포함하며, 상기 계합 영역 이외의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공되는 복수의 제2 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이 중 하나와 상기 제2 기어의 연관된 이 사이의 백래시(backlash)가 상기 제2 이 중 하나와 상기 제2 기어의 연관된 이 사이의 백래시보다 작은 구동 전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의 플러스 전위량(轉位量)이 상기 제2 이의 플러스 전위량보다 큰 구동 전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어는, 상기 제1 기어가 상기 제2 이만으로 구성될 때의 뿌리 원과 동일한 뿌리 원을 포함하는 구동 전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어 및 상기 제2 기어 중 하나 이상은 인벌류트(involute) 형상을 갖는 구동 전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 영역은, 상기 2개의 부재의 상태가 상기 캠에 의해 상기 가압해제 상태로부터 상기 가압 상태로 변경될 때에, 상기 제1 기어가 선행하여 회전한 후 상기 제2 기어에 계합되는 영역인 구동 전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어가 선행하여 회전한 후 상기 제2 기어에 계합할 때까지의 상기 계합 영역의 회전 각도는 80° 내지 100°인 구동 전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어는 상기 캠과 동축으로 제공되는 구동 전달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가 표준 이일 때, 상기 제1 이는 플러스 전위된 이인 구동 전달 장치.
- 화상 형성 장치의 장치 본체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착탈 유닛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이며, 상기 착탈 유닛은,
제1 기어,
상기 제1 기어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고, 가압 상태와 가압해제 상태 사이에서 2개의 부재 사이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캠, 및
상기 캠을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가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 본체는 상기 제1 기어와 계합하여 상기 제1 기어에 구동을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제2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기어 및 상기 제2 기어 중 하나 이상은, 상기 2개의 부재의 상태가 상기 가압해제 상태로부터 상기 가압 상태로 변경될 때 상기 제1 기어와 상기 제2 기어가 서로 계합되는 계합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공되는 복수의 제1 이를 포함하며, 상기 계합 영역 이외의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공되는 복수의 제2 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이의 이 두께는 상기 제2 이의 이 두께보다 두꺼운 화상 형성 장치. - 화상 형성 장치의 장치 본체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착탈 유닛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이며, 상기 착탈 유닛은,
제1 기어,
상기 제1 기어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고, 가압 상태와 가압해제 상태 사이에서 2개의 부재 사이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캠, 및
상기 캠을 가압하도록 구성되는 가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장치 본체는 상기 제1 기어와 계합하여 상기 제1 기어에 구동을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제2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기어 및 상기 제2 기어 중 하나 이상은, 상기 2개의 부재의 상태가 상기 가압해제 상태로부터 상기 가압 상태로 변경될 때 상기 제1 기어와 상기 제2 기어가 서로 계합되는 계합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공되는 복수의 제1 이를 포함하며, 상기 계합 영역 이외의 영역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공되는 복수의 제2 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이 중 하나와 상기 제2 기어의 연관된 이 사이의 백래시가 상기 제2 이 중 하나와 상기 제2 기어의 연관된 이 사이의 백래시보다 작은 화상 형성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가 상기 제2 기어의 이로부터 반력을 받을 때, 상기 제1 기어의 상기 제1 이는, 상기 착탈 유닛의 이동이 상기 장치 본체에 의해 받아들여지는 백래시에 대응하여 플러스 전위(轉位)되는 화상 형성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어 및 상기 제2 기어 중 하나 이상은 인벌류트 형상을 갖는 화상 형성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 유닛은 정착 유닛인 화상 형성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 영역은, 상기 2개의 부재의 상태가 상기 캠에 의해 상기 가압해제 상태로부터 상기 가압 상태로 변경될 때, 상기 제1 기어가 선행하여 회전한 후 상기 제2 기어에 계합되는 영역인 화상 형성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의 플러스 전위량이 상기 제2 이의 플러스 전위량보다 큰 구동 전달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어는, 상기 제1 기어가 상기 제2 이만으로 구성될 때의 뿌리 원과 동일한 뿌리 원을 포함하는 구동 전달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어 및 상기 제2 기어 중 하나 이상은 인벌류트 형상을 갖는 구동 전달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계합 영역은, 상기 2개의 부재의 상태가 상기 캠에 의해 상기 가압해제 상태로부터 상기 가압 상태로 변경될 때, 상기 제1 기어가 선행하여 회전한 후 상기 제2 기어에 계합되는 영역인 구동 전달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어가 선행하여 회전한 후 상기 제2 기어와 계합할 때까지의 상기 계합 영역의 회전 각도가 80° 내지 100°인 구동 전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7095484 | 2017-05-12 | ||
JPJP-P-2017-095484 | 2017-05-12 | ||
JPJP-P-2018-027517 | 2018-02-20 | ||
JP2018027517A JP7039316B2 (ja) | 2017-05-12 | 2018-02-20 | 駆動伝達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24731A KR20180124731A (ko) | 2018-11-21 |
KR102218966B1 true KR102218966B1 (ko) | 2021-02-23 |
Family
ID=64570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50974A KR102218966B1 (ko) | 2017-05-12 | 2018-05-03 | 구동 전달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7039316B2 (ko) |
KR (1) | KR102218966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7156134B2 (ja) * | 2019-03-28 | 2022-10-19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30071152A1 (en) | 2011-09-20 | 2013-03-21 |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WO2014106775A2 (en) | 2012-12-18 | 2014-07-10 | Evolva Sa | Treatment of cardiovascular risk in diabetic patients |
US20150226303A1 (en) | 2014-02-13 | 2015-08-13 | Miba Sinter Austria Gmbh | Gear |
JP2016224158A (ja) | 2015-05-28 | 2016-12-28 | キヤノン株式会社 | 定着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526974B2 (ja) * | 1995-06-13 | 2004-05-17 | 理想科学工業株式会社 | バックラッシュ反転抑制手段を有するカム装置 |
JP4975144B2 (ja) * | 2009-07-30 | 2012-07-11 | キヤノン株式会社 | 駆動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
JP6390954B2 (ja) | 2014-09-29 | 2018-09-19 | 株式会社リコー | 駆動伝達装置、駆動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
US9405244B1 (en) | 2015-07-23 | 2016-08-02 | Kabushiki Kaisha Toshiba |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reduced load fluctuation |
-
2018
- 2018-02-20 JP JP2018027517A patent/JP7039316B2/ja active Active
- 2018-05-03 KR KR1020180050974A patent/KR10221896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30071152A1 (en) | 2011-09-20 | 2013-03-21 |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WO2014106775A2 (en) | 2012-12-18 | 2014-07-10 | Evolva Sa | Treatment of cardiovascular risk in diabetic patients |
US20150226303A1 (en) | 2014-02-13 | 2015-08-13 | Miba Sinter Austria Gmbh | Gear |
JP2016224158A (ja) | 2015-05-28 | 2016-12-28 | キヤノン株式会社 | 定着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24731A (ko) | 2018-11-21 |
JP7039316B2 (ja) | 2022-03-22 |
JP2018194817A (ja) | 2018-12-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354560B2 (en) | Drive transmission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EP2211239B1 (en) |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transfer Nip adjustment function | |
US7711301B2 (en) | Image transfer device for image forming apparatus | |
US9720361B2 (en) | Belt device,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US10436256B2 (en) | Drive transmission device | |
JP6991844B2 (ja) | 一方向クラッチユニットおよび画像加熱装置 | |
US9715199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removable feeding unit | |
JP5928887B2 (ja) | 構造体及び画像形成装置 | |
US10859961B2 (en) | Drive transmission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
US9388000B2 (en) | Spacing mechanism for spacing two members, and a fixing device sheet feeding-convey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same | |
US8983316B2 (en) | Fixing device and control device | |
US9811033B2 (en) |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therewith | |
KR102218966B1 (ko) | 구동 전달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 |
JP4947020B2 (ja) | 定着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 |
US11106160B2 (en) | Drive transmission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drive transmission device | |
US9632467B2 (en) | Fixing device | |
JP2008014438A (ja) | 歯車および画像形成装置 | |
JP2011099896A (ja) | 画像形成装置 | |
US9471017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for automatically releasing pressure applied to a fixing nip portion | |
US10606205B2 (en) | Image forming apparatus | |
JP2019139086A (ja) | 定着装置 | |
US11281147B2 (en) | Driv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