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8951B1 - 휴대형 살균 전해수 제조 스프레이장치 - Google Patents

휴대형 살균 전해수 제조 스프레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8951B1
KR102218951B1 KR1020200048444A KR20200048444A KR102218951B1 KR 102218951 B1 KR102218951 B1 KR 102218951B1 KR 1020200048444 A KR1020200048444 A KR 1020200048444A KR 20200048444 A KR20200048444 A KR 20200048444A KR 102218951 B1 KR102218951 B1 KR 1022189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plate
terminal
pair
electrolyzed water
out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8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응석
Original Assignee
노응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응석 filed Critical 노응석
Priority to KR1020200048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89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8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89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3Electric current
    • A61L2/035Electroly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73Springs
    • B05B11/307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02F1/46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02F2001/46152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for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6Power suppl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휴대형 살균 전해수 제조 스프레이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해수를 분사하는 스프레이부를 상부에 구비하는 외부케이스 : 상기 외부케이스와 결합되어 물이 채워지는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전원인가시 물을 전기분해하여 전해수를 제조하는 한쌍의 전극판을 구비하는 제1본체 ; 및 상기 제1본체와 결합되어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를 배치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한쌍의 전극판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메인기판을 구비하는 제2본체 ; 를 포함하고, 상기 한쌍의 전극판은 일측면에 제1연결편을 돌출형성한 양극 전극판과, 일측면에 제2연결편을 돌출형성한 음극 전극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1본체는 외측테두리에 수직하게 일정높이 연장되어 상기 외부케이스의 하부단 내부면과 밀착되는 케이스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 결합부에는 상기 양극 전극판의 양단이 대응삽입되는 한쌍의 제1조립홈과, 상기 음극 전극판의 양단이 대응삽입되는 한쌍의 제2조립홈을 구비하는 전극판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2단자봉을 상기 제1본체에 위치고정하는 단자홀더를 포함하여, 상기 제1,2연결편을 상기 제1본체의 상부면으로부터 노출되는 제1,2단자봉의 각 상단과 일대일 대응결합하여 상기 양극, 음극 전극판과 제1,2단자봉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형 살균 전해수 제조 스프레이장치{Portable sterilized electrolytic water production spray device}
본 발명은 살균 전해수를 제조하고 제조된 살균 전해수를 스프레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휴대가능한 용기내에 저장된 물을 전기분해하여 살균 전해수를 간편하게 제조하고, 제조된 살균 전해수를 스프레이하여 살균 및 소독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한편, 내부 설치된 전극판을 교체하는 작업 및 전극판을 청소하는 작업이 용이하여 휴대성 및 사용상 편리성을 높일 수 있는 휴대형 살균 전해수 제조 스프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해수 제조장치는 물을 전기분해하여 전해 소독제 또는 전해 세척제와 같은 전해수를 생성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전해수는 수돗물이나 지하수 등의 일반적인 물에 전기적인 힘이 가해져 생성되는 물이며, 구체적으로 전해수는 물을 전기 분해하여 얻어질 수 있는데, 전기 분해 시 양극 반응에서 생성된 산화물은 살균 효과를 가진다.
따라서 전해수는 살균제, 소독제, 세정제, 농약 등과 같은 화학물질을 대신하여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종래에 살균 및 소독용으로 사용되는 손 세정제는 일정 농도의 알코올을 함유하고 있는데, 사용 중에 자주 용기를 열었다 닫았다 하게 되면 알코올의 농도가 떨어지면서 살균 및 소독 능력도 함께 감소하는 단점이 있었다.
통상적으로 고농도의 알코올이 함유된 리필용 세정제를 유통하지 않을 뿐 아니라, 설령 리필용 세정제가 있더라도 사용자가 세정제 용기에 재충전하는 것이 쉽지 않고 비용 면에서도 부담될 수 있다.
그리고, 물을 전기분해를 이용하여 살균수를 생성하는 종래의 살균 전해수 생성장치는 전기 분해 및 살균을 동시에 달성하기 위해 소금과 같이 염소를 포함하여 물에 잘 녹는 물질을 필수적으로 필요로 함에 따라, 종래의 전기분해를 이용한 살균수 생성장치를 휴대용으로 소지하면서 살균 전해수를 얻으려면 반드시 소금도 가지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전기분해를 수행하는 핵심부품인 양극 전극판과 음극 전극판을 새로운 전극판으로 교체하는 작업시 사용자가 새로운 양극 전극판과 음극 전극판을 교체하는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전원부의 양극 및 음극과 서로 다르게 전기적으로 연결하게 되는 사용상 치명적인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특허문헌 1) KR10-0643591 B1
(특허문헌 2) KR10-1493741 B1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전체적인 부피를 축소시켜 소형화하여 휴대가 간편하며, 사용상 편리성이 높으며, 장시간 사용에 따른 전극판의 오염시 이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는 휴대형 살균 전해수 제조 스프레이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시간 사용으로 소모된 전극판을 새로운 전극판으로 교체하는 작업시 초보자도 전원부의 극성과 전극판의 극성을 서로 정확하게 맞추어 간편하게 교체하여 장착할 수 있는 휴대형 살균 전해수 제조 스프레이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살균 전해수 제조 스프레이장치는, 전해수를 분사하는 스프레이부를 상부에 구비하는 외부케이스 : 상기 외부케이스와 결합되어 물이 채워지는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전원인가시 물을 전기분해하여 전해수를 제조하는 한쌍의 전극판을 구비하는 제1본체 ; 및 상기 제1본체와 결합되어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를 배치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한쌍의 전극판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메인기판을 구비하는 제2본체 ; 를 포함하고, 상기 한쌍의 전극판은 일측면에 제1연결편을 돌출형성한 양극 전극판과, 일측면에 제2연결편을 돌출형성한 음극 전극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1본체는 외측테두리에 수직하게 일정높이 연장되어 상기 외부케이스의 하부단 내부면과 밀착되는 케이스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 결합부에는 상기 양극 전극판의 양단이 대응삽입되는 한쌍의 제1조립홈과, 상기 음극 전극판의 양단이 대응삽입되는 한쌍의 제2조립홈을 구비하는 전극판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2단자봉을 상기 제1본체에 위치고정하는 단자홀더를 포함하여, 상기 제1,2연결편을 상기 제1본체의 상부면으로부터 노출되는 제1,2단자봉의 각 상단과 일대일 대응결합하여 상기 양극, 음극 전극판과 제1,2단자봉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한쌍의 제1조립홈 중 일측 조립홈에는 위치결정턱을 돌출형성하고, 상기 위치결정턱과 마주하는 양극 전극판의 하단 일측 모서리부에는 상기 위치결정턱과 접해지도록 외측으로 절개된 위치결정용 제1절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한쌍의 제2조립홈 중 일측 조립홈에는 위치결정턱을 돌출형성하고, 상기 위치결정턱과 마주하는 음극 전극판의 하단 일측 모서리부에는 상기 위치결정턱과 접해지도록 외측으로 절개된 위치결정용 제2절개부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제1단자봉과 위치결정턱사이의 제1거리는 상기 제1연결편과 위치결정용 제1절개부사이의 거리와 동일하고, 상기 제2단자봉과 위치결정턱사이의 제2거리는 상기 제2연결편과 위치결정용 제2절개부사이의 거리와 동일하게 설정함과 동시에, 상기 제1거리와 제2거리는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자홀더는 상기 제1본체의 하부면으로부터 연장된 연장리브가 대응결합되도록 함몰형성되는 안착홈을 갖추고, 상기 제1,2단자봉이 관통배치되는 제1,2단자공을 형성하는 단자배치홈에 대응결합되도록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1,2단자봉이 관통배치되는 한쌍의 배치공을 관통형성한 삽입체를 갖추어 복수개의 체결부재에 의해서 상기 제1본체의 하부에 고정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1,2단자봉의 각 길이중간에는 상기 제1,2단자공에 접하여 밀착되는 제1,2오링이 걸림배치되는 제1,2오링걸림턱을 구비하며, 상기 제1,2오링걸림턱은 상기 삽입체에 관통형성되어 상기 제1,2단자봉의 하단이 통과하는 한쌍의 단자배치공에 각각 걸림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1본체의 외부면에는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주면과 접해지는 외부 오링부재가 배치되는 외부링홈을 구비하고, 상기 외부케이스의 개방된 하부단 내주면과 탄력적으로 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환고리형 돌출턱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부압력이 전해수 제조시 부가적으로 발생되는 가스에 의해서 사전에 설정된 압력이상으로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는 저항체크모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저항체크모듈부는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부와 연통하도록 관통형성된 장착홀과 조립되는 일정길이의 관체와, 상기 관체의 하부단에 관통형성된 벤트공에 위치하는 강구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체와, 상기 벤트공의 개방시 이를 통해 배출되는 외부케이스 내의 가스를 외부로 배기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배기공을 관통하여 상기 관체의 개방된 상부단에 조립되는 덮개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장착홀은 상기 스프레이부가 결합되는 결합부의 단턱에 수직하게 관통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부로 빛을 제공하는 조명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부는 전원인가시 빛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탑재하여 상기 제1본체의 천정면과 상기 단자홀더와의 사이에 개재되는 조명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광원과 대응하는 제1본체의 천정면에는 하부측으로 개구된 일정깊이의 요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외부케이스, 제1,2본체로 이루어지는 전체적인 부피를 축소시켜 소형함으로써 손 소독제를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휴대가 간편하며, 사용상 편리성이 높일 수 있다.
외부케이스와 제1본체와의 사이에 채워지는 물을 전기분해하는 전극판의 오염시 제1본체로부터 외부케이스를 분리하여 외부노출되는 전극판을 간편하게 청소할 수 있으며, 부식되어 손상된 전극판들 새로운 전극판을 교체하는 작업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어 사용상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장시간 사용으로 소모된 전극판을 새로운 전극판으로 교체하는 작업시 전극판의 극성을 고려하여 방향성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전원부의 극성과 전극판의 극성을 항상 일치시켜 결합할 수 있어 작업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살균 전해수 제조 스프레이장치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살균 전해수 제조 스프레이장치의 외부케이스가 제1,2본체로부터 분리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살균 전해수 제조 스프레이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a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살균 전해수 제조 스프레이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b 는 도 4a 에서 A-A선을 따라 절단한 종단면도이다.
도 4c 는 도 4a 에서 B-B선을 따라 절단한 종단면도이다.
도 5a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살균 전해수 제조 스프레이장치의 횡단면도이다.
도 5b 는 도 5a 에서 C-C선을 따라 절단한 종단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살균 전해수 제조 스프레이장치에서 양극 전극판과 음극 전극판을 제1본체에 결합하여 조립하는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살균 전해수 제조 스프레이장치에서양극, 음극전극판, 제1,2단자봉 및 배터리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살균 전해수 제조 스프레이장치에서 제1,2단자봉을 고정하는 단자홀더와 제1본체와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살균 전해수 제조 스프레이장치의 저항체크모듈부를 도시한 상세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살균 전해수 제조 스프레이장치의 조명부를 도시한 상세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구조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살균 전해수 제조 스프레이장치(100)는 도 1, 도 2, 도 3, 도 4a, 도 4b 및 도 4c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을 전기분해하여 제조되는 전해수를 분사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외부케이스(10), 제1본체(20) 및 제2본체(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케이스(10)는 도 1, 도 2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을 전기분해하여 제조된 전해수를 외부로 분사하는 스프레이부(15)를 상부에 구비하여 상부단이 밀폐되고, 상기 제1본체(20)와 결합되는 하부단이 개방된 대략 중공원통체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프레이부(15)는 상기 제1본체(2)의 바닥면까지 하부단이 연장되는 안내튜브(15a)와, 스프링을 내장한 누름버튼의 누름작동시 안내튜브를 통해 흡인되는 전해수를 외부로 분무형태로 분사하는 분사노즐(15b)을 갖추어 상기 외부케이스의 상부단에 구비되는 결합구(12)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조립된다.
이러한 외부케이스(10)는 상기 제1본체(20)와의 결합시 형성되는 내부공간에 채워진 물이 전기분해되는 상태를 확인하면서 내부공간에 채워진 물이나 전해수의 수위를 확인하여 물을 재보충할 수 있도록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본체(20)는 도 3, 도 4a, 도 4b, 도 4c 및 도 5a, 도 5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외부케이스(10)의 개방된 하부단과 결합되어 전기분해 대상물인 물이 일정량 채워지는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전원인가시 물을 전기분해하여 전해수를 제조하는 한쌍의 전극판(21,2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한쌍의 전극판은 일측면에 제1연결편(21a)을 돌출형성한 양극 전극판(21)과, 일측면에 제2연결편(22a)을 돌출형성한 음극 전극판(22)을 포함한다.
상기 양극, 음극 전극판(21,22)은 각각 대략 사각판상의 도전성 금속판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제1,2연결편(21a,22a)은 후술하는 제1,2단자봉(31,32)의 각 상단이 대응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외측으로 돌출되는 호형 단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2연결편(21a,22a)은 상기 양극, 음극 전극판의 각 외부면에 한쌍의 슬릿을 절개형성한 다음, 한쌍의 슬릿이 형성된 판체의 외부면이 프레스 금형에 의해서 외측으로 밀려지면서 조립공을 형성하도록 호형 단면상으로 돌출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본체(30)와 결합되어 배터리(32a)가 배치되는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제1본체(20)의 하부측 외경은 상기 외부케이스(10)와 조립되어 물이 채워지는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제1본체(20)의 상부측 외경 보다 상대적으로 큰 크기로 구비됨으로써 상기 배터리(32a)의 부피를 확대시켜 충전용량을 높일 수 있으며, 제2본체(30)가 바닥면에 놓여질 때 안정감을 보장할 수 있다.
상기 외부케이스(10)와 결합되어 이들사이에 물이 채워지는 제1본체(20)의 외경이 상기 제2본체(30)의 외경보다 작게 구비됨으로써 전체적인 부피 및 크기를 줄여 핸드백이나 가방에 수납할 수 있도록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본체(20)는 도 6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테두리에 수직하게 일정높이 연장되어 상기 외부케이스(10)의 하부단 내부면과 밀착되는 케이스 결합부(20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결합부(20a)를 형성하는 제1본체(20)의 외부면에는 상기 외부케이스와의 결합시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주면과 접해져 밀착되는 외부 오링부재(24a)가 배치되는 외부링홈(24)을 구비하고, 상기 외부케이스(10)의 개방된 하부단 내주면과 탄력적으로 밀착되어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환고리형 돌출턱(25)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주면은 상기 외부 오링부재(24a)를 매개로 하여 상기 제1본체의 외부면과 밀착되면서 압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외부케이스의 하부단 내주면은 상기 환고리형 돌출턱에 탄력적으로 접해짐으로써, 상기 외부케이스와 제1본체와의 사이에 형성된 내부공간에 채워지는 물이나 전기분해된 전해수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완벽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 결합부(20a)의 내부면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양극 전극판(21)의 양단이 각각 대응삽입되어 위치고정되는 한쌍의 제1조립홈(23a)과, 상기 음극 전극판(22)의 양단이 각각 대응삽입되어 위치고정되는 한쌍의 제2조립홈(23b)을 서로 나란하게 구비하는 전극판 결합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쌍의 제1조립홈(23a) 중 일측 조립홈에는 위치결정턱(23c)을 돌출형성하고, 상기 위치결정턱(23c)과 마주하는 양극 전극판(21)의 하단 일측 모서리부에는 상기 위치결정턱과 접해지도록 외측으로 절개된 위치결정용 제1절개부(21b)를 구비하거나 상기 한쌍의 제2조립홈(23b) 중 일측 조립홈에는 위치결정턱(23c)을 돌출형성하고, 상기 위치결정턱(23c)과 마주하는 음극 전극판(22)의 하단 일측 모서리부에는 상기 위치결정턱과 접해지도록 외측으로 절개된 위치결정용 제2절개부(22b)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위치결정턱(23c)은 상기 제1,2조립홈에 동일한 위치에 돌출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로 반대편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양극, 음극 전극판에 서로 반대로 절개형성된 제1,2절개부와 대응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양극 전극판과 음극 전극판을 상기 전극판 결합부에 삽입하여 일정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배치하여 조립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양극, 음극 전극판의 제1,2절개부와 상기 제1,2조립홈의 위치결정턱이 서로 일대일 대응할 때에만 상기 전극판 결합부에 결합되도록 위치결정됨으로써 상기 양극 전극판의 제1연결편은 외부전원의 양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단자봉의 상단과 일대일 대응결합되고, 상기 음극 전극판의 제2연결편은 외부전원의 음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단자봉의 상단과 일대일 대응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전극판 조립 및 교체작업시 상기 양극 전극판과 음극 전극판의 각 양단에 대한 방향성을 확인하면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미숙련자의 조립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단자봉(31)과 위치결정턱(23c)사이의 제1거리(L1)는 상기 제1연결편(21a)과 위치결정용 제1절개부(21b)사이의 거리와 동일하고, 상기 제2단자봉(32)과 위치결정턱(23c)사이의 제2거리(L2)는 상기 제2연결편(22a)과 위치결정용 제2절개부(22b)사이의 거리와 동일하게 설정함과 동시에, 상기 제1거리(L1)와 제2거리(L2)는 서로 다르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단자봉(31)과 위치결정턱(23c)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1거리(L1)가 상기 제2단자봉(32)과 위치결정턱(23c)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제2거리(L2)와 서로 동일하지 않고 서로 다르게 길거나 짧게 설정됨으로써, 상기 양극 전극판의 제1연결편은 외부전원의 양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단자봉의 상단과 일대일 대응결합되고, 상기 음극 전극판의 제2연결편은 외부전원의 음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단자봉의 상단과 일대일 대응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전극판 조립 및 교체작업시 양극, 음극 전극판의 양측면에 대한 방향성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본체의 상부면인 바닥면에 구비되는 양극 전극판(21)과 음극 전극판(22)은 각 일측면에 돌출형성되는 제1,2연결편(21a,22a)이 항상 외측으로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2연결편이 돌출되지 않는 상기 양극, 음극 전극판의 각 타측면은 전기분해시 효율을 높일수 있도록 최소한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양극 전극판(21)과 음극 전극판(22)사이의 간격은 상기 양극, 음극 전극판(21,22)에 돌출형성되는 제1,2연결편(21a,22a)의 높이보다 작은 크기의 간격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양극,음극 전극판(21,22)이 조립되는 제1본체(20)의 상부면인 바닥면에는 상기 제1,2단자봉(31,32)의 서로 다른 극성인 양극과 음극을 확인하여 육안으로 구별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양극, 음극 전극판(21,22)과 일대일 결합되는 제1,2단자봉(31,32)을 상기 제1본체(20)에 위치고정하는 단자홀더(3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단자홀더(35)는 도 4b, 도 4c, 도 5b, 도 6,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본체의 하부면으로부터 연장된 연장리브(29)가 대응결합되도록 함몰형성되는 안착홈(35a)을 갖추고, 상기 제1,2단자봉(31,32)이 관통배치되는 제1,2단자공(29a,29b)을 형성하는 단자배치홈(29c)에 대응결합되어 삽입되도록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1,2단자봉(31,32)이 관통배치되는 한쌍의 배치공을 관통형성한 삽입체(35b)를 갖추어 복수개의 체결부재에 의해서 상기 제1본체의 하부측에 고정설치된다.
상기 제1,2단자봉(31,32)의 각 길이중간에는 상기 제1,2단자공(29a,29b)에 접하여 밀착되는 제1,2오링(31b,32b)이 걸림배치되는 제1,2오링걸림턱(31a,31b)을 구비하며, 상기 제1,2오링걸림턱은 상기 삽입체(35b)에 관통형성되어 상기 제1,2단자봉의 하부단이 관통하여 통과하는 한쌍의 단자배치공에 각각 걸림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1,2단자공(29a,29b)의 내경은 상기 제1,2단자봉(31,32)의 상단이 관통하도록 상기 제1본체의 상부면에 관통형성되는 한쌍의 관통공보다 큰 크기로 구비되어 상기 제1,2오링(31b,32b)이 위치되어 밀착됨으로써, 상기 제1본체의 상부면에 관통형성된 한쌍의 관통공과 이에 관통배치되는 제1,2단자봉사이의 조립부위를 통하여 물이나 전해수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삽입체(35b)에 관통형성된 한쌍의 단자배치공을 통하여 하부로 노출되는 제1,2단자봉(31,32)의 각 하단에는 도전성 제1,2연결체(36a,37b)를 갖추고, 상기 도전성 제1,2연결체는 상기 제2본체(30)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배터리(32a)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메인기판(37)과 하네스를 매개로 하여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단자홀더의 삽입체에 관통형성된 한쌍의 단자배치공에 제1,2단자봉의 하단을 대응삽입하여 제1,2단자봉과 단자홀더를 1차 조립하고, 상기 단자홀더의 삽입체를 제1,2단자공을 형성하는 단자배치홈에 대응결합한 다음, 복수개의 체결부재에 의해서 단자홀더를 제1본체에 2차로 조립함으로써, 상기 제1,2단자봉의 상단은 양극, 음극 전극판과의 조립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2단자공과 연통된 제1본체의 관통공을 통하여 제1본체의 상부 측으로 노출되고, 상기 제1,2단자봉의 길이중간에 구비된 제1,2오링은 상기 제1,2단자공에 위치되어 밀착되면서 누수를 방지하도록 실링되는 것이다.
상기 제2본체(30)는 상기 제1본체(20)의 개방된 하부와 결합되어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32a)를 배치하는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양극 전극판과 음극 전극판으로 이루어지는 한쌍의 전극판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메인기판(37)을 구비한다.
상기 메인기판(37)의 상부면에는 3.7V 의 입력전원을 12V 로 승압하는 승압부재를 탑재하고, 충전상태를 표시하도록 점등되는 엘이디 광원을 탑재하고, 충전완료상태를 알림하도록 소리를 발생시키는 알람부재를 탑재하여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메인기판(37)의 하부면에는 작동버튼(38)의 누름작동에 의한 접촉에 의해서 전원공급여부를 제어하는 택스위치(37a)를 탑재하고, 외부전원과 연결되는 충전커넥터(37b)를 탑재하여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작동버튼(38)은 상기 제1,2본체사이에 개재되어 위치고정되는 고정판(38b)과 상기 택스위치와 접해져 사용자에 의해서 눌려지고 접촉해제되도록 탄성복귀되는 탄성판(38a)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충전커넥터(37b)는 상기 제2본체(30)에 단부가 걸림연결되는 걸림부재(39a)를 구비하는 덮개부재(39)에 의해서 미충전시 외부로부터 이물이 유입되지 못하도록 덮어져 밀봉되고, 충전시에는 상기 덮개부재의 분리에 의해서 충전단자가 삽입연결되도록 노출된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휴대형 살균 전해수 제조 스프레이장치(100)에서 작동버튼(38)의 누름작동에 의해서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양극 전극판(21)과 음극 전극판(22)에 전원이 인가되어 물이 채워져 저장된 외부케이스내에서 전위차를 형성시킨다.
상기 양극 전극판(21)은 티타늄(Ti)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표면에 루테늄(Ru) 및 이리듐(Ir) 중 어느 하나 다른 금속이 코팅될 수 있으며, 이에 마주하는 음극 전극판(22)은 티타늄(Ti)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양극,음극 전극판(21,22)들간의 전기적 에너지에 의해서 물을 전기분해시키면서 물에 용존해 있는 염소 음이온(Cl-)의 화학적 반응으로 인해 염소계 살균제로써 HOCl,OCl 등이 생성되어 살균 전해수를 제조하게 된다.
이와 같이, 외부케이스내에서 화학적으로 생산된 염소계 살균 전해수를 손이나 대상물에 스프레이 분사하게 되면 강력한 산화 작용에 의해 피부나 대상물에 잔류하는 세균,박테리아 등을 살균시키고, 질소화합물, 황산화물, 기타 VOC 등을 제거하는 한편, 중금속, 독극물 등을 중화할 수 있다.
상기 외부케이스(10)내에 저장된 물의 전기분해에 의한 살균 전해수 제조시 부가적으로 발생되는 가스에 의한 외부케이스(10)의 내부압력이 사전에 설정된 압력보다 증가되면서 상기 스프레이부(15)가 외부케이스(10)로부터 분리되고, 외부케이스와의 결합부위를 통한 누기 및 누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저항체크모듈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항체크모듈부(40)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외부케이스(10)의 내부와 연통하도록 관통형성된 장착홀(13a)에 조립되는 일정길이의 관체(41)를 갖추고, 상기 관체의 하부단에 관통형성된 벤트공(42)에 위치하는 강구(43)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체(44)를 갖추며, 상기 벤트공의 개방시 이를 통해 배출되는 외부케이스 내의 가스를 외부로 배기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배기공(45a)을 관통하여 상기 관체의 개방된 상부단에 조립되는 덮개체(4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체(41)는 상기 장착홀(13a)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암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수나사부를 갖추어 상기 스프레이부(15)가 결합되는 결합구(12)의 단턱(13)에 수직하게 관통형성되는 장착홀(13a)에 착탈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으며, 상기 강구(43)의 외부면에 밀착되어 차단되는 벤트공(42)은 하부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는 단면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탄성체(44)는 상기 강구에 일단인 하단이 접하고, 상기 덮개체(45)에 타단이 접하는 코일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덮개체는 상기 장착홀의 상단 내주면에 형성되는 요홈에 외부이탈이 곤란하도록 압입되어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부에서 전원이 인가된 양극 전극판과 음극 전극판에 의해서 물을 전기분해하여 살균 전해수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부가적으로 발생하는 가스에 의하여 외부케이스의 내부압력이 외부압력인 대기압보다 상승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외부케이스 내에 다량의 기체가 만들어지면서 외부케이스의 내부압력이 사전에 설정된 압력보다 높게 되면, 상기 벤트공을 차단하도록 이에 밀착된 강구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체가 수축되기 때문에 상기 벤트공을 통해 외부케이스의 가스가 관체내부로 유입된 다음 덮개체의 배기공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 배기공을 통한 가스의 외부배출로 인하여 외부케이스의 내부압력이 낮아지면 수축된 탄성체의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벤트공에 강구를 밀착시켜 가스배출통로를 차단하게 된다.
이를 통해 살균 전해수의 누수를 막을 수 있고, 전해수 제조시 외부케이스의 내부압력이 과도하게 상승되어 스프레이부가 외부케이스로부터 분리이탈되거나 외부케이스와의 결합부위에서의 전해수 및 가스유출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저항체크모듈부(40)는 상기 결합구(12)의 단턱에 구비되어 상기 스프레이부(15)와 외부케이스(10)와의 결합시 상기 스프레이부에 의해서 외부노출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프레이부(15)와 외부케이스(10)와의 결합시 상기 덮개체(45)와 서로 대응하여 이에 접해지는 스프레이부의 하부단에는 상기 덮개체에 관통형성된 배기공(45a)을 통한 가스배출이 막힘없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돌기부를 돌출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 결합부(20a)에는 물의 전기분해에 의한 염소계 살균 전해수의 발생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전원인가시 상기 외부케이스(10)의 내부로 빛을 제공하는 조명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조명부(50)는 전원인가시 빛을 발생시키는 엘이디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광원(52)을 상부면에 탑재하여 상기 제1본체(20)의 천정면과 상기 단자홀더(35)와의 사이에 개재되는 조명기판(51)을 갖추어 상기 제1본체(20)를 통하여 살균 전해수가 제조되는 외부케이스(10)의 내부 측으로 조명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조명기판(51)은 배터리와 케이블을 매개로 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53)를 갖추고, 몸체중앙에 제1본체(20)의 하부면인 천정면으로부터 연장된 연장리브(29)가 배치되는 배치공을 관통형성한다.
이때, 상기 조명기판(51)의 상부면에 탑재된 광원(52)과 일대일 대응하는 제1본체(20)의 천정면에는 상기 광원에서 발생하는 빛을 외부케이스(10)의 내부 측으로 원활하게 투과시킬 수 있도록 하부측으로 개구된 일정깊이의 요홈(28)을 갖추어 상기 광원과 대응하는 제1본체의 천정면의 두께를 얇게 형성함으로써 외부케이스의 내부 측으로 조사되는 빛의 투과율을 높여 살균 전해수 제조시 조명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 : 외부케이스
15 : 스프레이부
20 : 제1본체
21 : 양극 전극판
21a : 제1연결편
21b : 제1절개부
22 : 음극 전극판
22a : 제1연결편
22b : 제2절개부
23 : 전극판 결합부
23a,23b : 제1,2조립홈
23c : 위치결정턱
24 : 외부링홈
29 : 연장리브
30 : 제2본체
31,32 : 제1,2단자봉
35 : 단자홀더
37 : 메인기판
40 : 저항체크모듈부
50 : 조명부

Claims (10)

  1. 전해수를 분사하는 스프레이부를 상부에 구비하는 외부케이스 :
    상기 외부케이스와 결합되어 물이 채워지는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전원인가시 물을 전기분해하여 전해수를 제조하는 한쌍의 전극판을 구비하는 제1본체 ;
    상기 제1본체와 결합되어 적어도 하나의 배터리를 배치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한쌍의 전극판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메인기판을 구비하는 제2본체 ; 를 포함하고,
    상기 한쌍의 전극판은 일측면에 제1연결편을 돌출형성한 양극 전극판과, 일측면에 제2연결편을 돌출형성한 음극 전극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1본체는 외측테두리에 수직하게 일정높이 연장되어 상기 외부케이스의 하부단 내부면과 밀착되는 케이스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 결합부에는 상기 양극 전극판의 양단이 대응삽입되는 한쌍의 제1조립홈과, 상기 음극 전극판의 양단이 대응삽입되는 한쌍의 제2조립홈을 구비하는 전극판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2단자봉을 상기 제1본체에 위치고정하는 단자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한쌍의 제1조립홈 중 일측 조립홈에는 위치결정턱을 돌출형성하고, 상기 위치결정턱과 마주하는 양극 전극판의 하단 일측 모서리부에는 상기 위치결정턱과 접해지도록 외측으로 절개된 위치결정용 제1절개부를 구비하고, 상기 한쌍의 제2조립홈 중 일측 조립홈에는 위치결정턱을 돌출형성하고, 상기 위치결정턱과 마주하는 음극 전극판의 하단 일측 모서리부에는 상기 위치결정턱과 접해지도록 외측으로 절개된 위치결정용 제2절개부를 구비하며,
    상기 양극,음극 전극판의 각 일측면에 돌출형성되는 제1,2연결편은 상기 위치결정턱과 위치결정용 제1,2절개부에 의해서 항상 외측으로 향하도록 배치되면서 상기 제1본체의 상부면으로부터 노출되는 제1,2단자봉의 각 상단과 일대일 대응결합하여 상기 양극,음극 전극판과 제1,2단자봉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며, 상기 제1,2연결편이 돌출되지 않는 양극,음극 전극판의 각 타측면은 전기분해시 효율을 높일수 있도록 최소한의 간격을 유지하면서 서로 마주하여 배치되는, 휴대형 살균 전해수 제조 스프레이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단자봉과 위치결정턱사이의 제1거리는 상기 제1연결편과 위치결정용 제1절개부사이의 거리와 동일하고, 상기 제2단자봉과 위치결정턱사이의 제2거리는 상기 제2연결편과 위치결정용 제2절개부사이의 거리와 동일하게 설정함과 동시에, 상기 제1거리와 제2거리는 서로 다르게 설정되는, 휴대형 살균 전해수 제조 스프레이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자홀더는 상기 제1본체의 하부면으로부터 연장된 연장리브가 대응결합되도록 함몰형성되는 안착홈을 갖추고, 상기 제1,2단자봉이 관통배치되는 제1,2단자공을 형성하는 단자배치홈에 대응결합되도록 돌출형성되고, 상기 제1,2단자봉이 관통배치되는 한쌍의 배치공을 관통형성한 삽입체를 갖추어 복수개의 체결부재에 의해서 상기 제1본체의 하부에 고정설치되는, 휴대형 살균 전해수 제조 스프레이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2단자봉의 각 길이중간에는 상기 제1,2단자공에 접하여 밀착되는 제1,2오링이 걸림배치되는 제1,2오링걸림턱을 구비하며, 상기 제1,2오링걸림턱은 상기 삽입체에 관통형성되어 상기 제1,2단자봉의 하단이 통과하는 한쌍의 단자배치공에 각각 걸림배치되는, 휴대형 살균 전해수 제조 스프레이장치.
  6. 청구항 1 및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본체의 외부면에는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주면과 접해지는 외부 오링부재가 배치되는 외부링홈을 구비하고, 상기 외부케이스의 개방된 하부단 내주면과 탄력적으로 밀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환고리형 돌출턱을 구비하는, 휴대형 살균 전해수 제조 스프레이장치.
  7. 청구항 1 및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부압력이 전해수 제조시 부가적으로 발생되는 가스에 의해서 사전에 설정된 압력이상으로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는 저항체크모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저항체크모듈부는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부와 연통하도록 관통형성된 장착홀과 조립되는 일정길이의 관체와, 상기 관체의 하부단에 관통형성된 벤트공에 위치하는 강구를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체와, 상기 벤트공의 개방시 이를 통해 배출되는 외부케이스 내의 가스를 외부로 배기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배기공을 관통하여 상기 관체의 개방된 상부단에 조립되는 덮개체를 포함하는, 휴대형 살균 전해수 제조 스프레이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장착홀은 상기 스프레이부가 결합되는 결합부의 단턱에 수직하게 관통형성되는, 휴대형 살균 전해수 제조 스프레이장치.
  9. 청구항 1 및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케이스의 내부로 빛을 제공하는 조명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부는 전원인가시 빛을 발생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상부면에 탑재하여 상기 제1본체의 천정면과 상기 단자홀더와의 사이에 개재되는 조명기판을 포함하는, 휴대형 살균 전해수 제조 스프레이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광원과 대응하는 제1본체의 천정면에는 하부측으로 개구된 일정깊이의 요홈을 포함하는, 휴대형 살균 전해수 제조 스프레이장치.
KR1020200048444A 2020-04-22 2020-04-22 휴대형 살균 전해수 제조 스프레이장치 KR1022189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8444A KR102218951B1 (ko) 2020-04-22 2020-04-22 휴대형 살균 전해수 제조 스프레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8444A KR102218951B1 (ko) 2020-04-22 2020-04-22 휴대형 살균 전해수 제조 스프레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8951B1 true KR102218951B1 (ko) 2021-02-22

Family

ID=74687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8444A KR102218951B1 (ko) 2020-04-22 2020-04-22 휴대형 살균 전해수 제조 스프레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895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6662B1 (ko) * 2006-03-10 2007-09-07 영일산업기술 주식회사 순간 살균수 생성장치
KR20150103914A (ko) * 2014-03-04 2015-09-14 주식회사 그렌텍 조명부를 포함하고 살균력이 증가된 휴대용 미용 살균 보습기
KR200482450Y1 (ko) * 2015-04-20 2017-01-25 김경기 휴대용 가습 및 살균기
KR20180131901A (ko) * 2017-06-01 2018-12-11 주식회사 플러스 살균수 제조장치
KR102057886B1 (ko) * 2018-05-29 2019-12-20 주식회사 에코웰 살균수 생성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6662B1 (ko) * 2006-03-10 2007-09-07 영일산업기술 주식회사 순간 살균수 생성장치
KR20150103914A (ko) * 2014-03-04 2015-09-14 주식회사 그렌텍 조명부를 포함하고 살균력이 증가된 휴대용 미용 살균 보습기
KR200482450Y1 (ko) * 2015-04-20 2017-01-25 김경기 휴대용 가습 및 살균기
KR20180131901A (ko) * 2017-06-01 2018-12-11 주식회사 플러스 살균수 제조장치
KR102057886B1 (ko) * 2018-05-29 2019-12-20 주식회사 에코웰 살균수 생성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WO2003095102A1 (ja) 電解水噴霧装置
US8999261B2 (en) Device for hand disinfection
EP1188719B1 (en) Acidic liquid apparatus
WO2019123999A1 (ja) 携帯用電解水噴霧器
KR200451601Y1 (ko) 저온 플라즈마를 이용한 휴대용 살균 세정수 생성 장치
US20130277211A1 (en) Reusable spray bottle with integrated dispenser
KR20180070881A (ko) 휴대용 수소수 분무기
WO2021014182A1 (en) Multi-use sanitizing mop and sprayer
KR102057886B1 (ko) 살균수 생성장치
KR20150103914A (ko) 조명부를 포함하고 살균력이 증가된 휴대용 미용 살균 보습기
JP2012052168A (ja) 塩徐放用カートリッジ、塩徐放用カートリッジを備えた電解水生成装置、及び塩徐放用カートリッジを備えた電解水噴霧器
KR102218951B1 (ko) 휴대형 살균 전해수 제조 스프레이장치
JP2011110541A (ja) 携帯用電解水噴霧器
WO2021132708A1 (ja) 電解水の生成方法、生成噴霧器及び生成噴霧装置
US20160097132A1 (en) Reusable spray bottle with integrated dispenser
US20140190820A1 (en) Reusable apparatus with sparingly soluble solid for cleaning and/or disinfecting
KR100756030B1 (ko) 휴대용 전해소독수 생성장치
CN105543885A (zh) 一种电解食盐水喷头
JPWO2003089150A1 (ja) 電解水噴霧装置
JP2011092883A (ja) 携帯用電解水噴霧器
JP2011092884A (ja) 携帯用電解水噴霧器
JP3227580U (ja) 次亜塩素酸水生成装置
WO2021161730A1 (ja) 携帯用電解水噴霧器
WO2021161731A1 (ja) 携帯用電解水噴霧器
CN218820875U (zh) 一种具有酸性电解水生成装置的环境消杀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