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8862B1 - 러닝머신용 모션 디스플레이 시스템 - Google Patents

러닝머신용 모션 디스플레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8862B1
KR102218862B1 KR1020200085230A KR20200085230A KR102218862B1 KR 102218862 B1 KR102218862 B1 KR 102218862B1 KR 1020200085230 A KR1020200085230 A KR 1020200085230A KR 20200085230 A KR20200085230 A KR 20200085230A KR 102218862 B1 KR102218862 B1 KR 102218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unit
caliper
treadmill
motio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5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근호
Original Assignee
김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근호 filed Critical 김근호
Priority to KR1020200085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88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8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8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43Allowing translations
    • F16M11/046Allowing translations adapted to upward-downward translation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0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68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with article holders
    • A63B2225/685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with article holders for electronic devices, e.g. phone, PDA, GPS device, noteboo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러닝머신용 모션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련되며, 이는 러닝닝신 전방에서 배치되어 운동 중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의 높낮이가 자동 조절되도록 구조 개선되어, 디스플레이부가 러닝머신 이용자의 눈높이와 수평선상에 일치되도록 사용자 셋팅된 상태로 러닝프로그램에 동기화되고, 언덕길모드가 구현되면 디스플레이부가 사용자 눈높이 대비 높게 위치되도록 상향 이동되고, 내리막길모드가 구현되면 디스플레이부가 사용자 눈높이 대비 낮게 위치되도록 하향 이동되면서 신호가 출력되되면서 시각적인 현실감을 제공하여 운동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도록 리프트모듈(100), 모션모듈(200), 리모콘(300)을 주요구성으로 한다.

Description

러닝머신용 모션 디스플레이 시스템 {Motion display system for treadmills}
본 발명은 러닝머신용 모션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련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러닝닝신 전방에서 배치되어 운동 중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의 높낮이가 자동 조절되도록 구조 개선되어, 디스플레이부가 러닝머신 이용자의 눈높이와 수평선상에 일치되도록 사용자 셋팅된 상태로 러닝프로그램에 동기화되고, 언덕길모드가 구현되면 디스플레이부가 사용자 눈높이 대비 높게 위치되도록 상향 이동되고, 내리막길모드가 구현되면 디스플레이부가 사용자 눈높이 대비 낮게 위치되도록 하향 이동되면서 신호가 출력되되면서 시각적인 현실감을 제공하여 운동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러닝머신용 모션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러닝머신은 한정된 실내 공간에서 달리기의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는 운동기구로서,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벨트위를 달릴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러닝머신은 모터의 속도 조절에 의해 운동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는 제어패널 상의 버튼 조작을 통해 이루어지게 된다.
근자에는 러닝머신에 TV와 같은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기들이 결합되고 있으며, 이는 러닝머신 고유의 기능과 결합되어 운동의 지루함을 해소하고 운동정보를 알려줌으로써 운동효과를 극대화시키고 있다.
그런데, 제어패널은 통상 사용자의 전방에 배치되는데, 제어 패널에 손이 쉽게 닿는 위치에서 운동을 할 경우, 사용자의 양팔 스윙동작시 제어패널에 사용자 손이 부딪히는 현상이 발생한다. 또한, 제어패널과 사용자 사이에 중앙손잡이가 형성된 러닝머신의 경우에는 이러한 현상이 더욱 심화된다.
이에 종래에 개시된 등록특허 10-1505736호에서, 회전축에 권회되어 무한궤도 운동하는 벨트와, 동력전달부재를 통해 회전축에 연결된 모터가 수납 및 세팅된 하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에 입설된 지지프레임과, 지지프레임에 부착된 일체형 손잡이와, 일체형 손잡이에 부착된 제어조작부를 포함하며, 일체형 손잡이는 U자형이며, U자형 폐쇄부에 제어조작부가 형성되고, 제어조작부는 사용자의 양팔 스윙공간을 제외한 설정 폭(좌우)을 갖고 U자형 개방부 방향으로 돌출되며, 제어조작부는 좌측조작부와 우측조작부를 포함하는 기술이 선 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제어조작부와 사용자 간의 공간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 조작의 편의성 및 정확성을 향상시키려는 것이나, 제어조작부가 손잡이에 일체형으로 부착됨에 따라 손잡이와 사용자 간에 공간이 축소되고, 이는 러닝머신 사용범위 축소로 이어지면서 운동범위를 제한하고, 특히 디스플레이부 고정형으로 설치되어 이용자의 다양한 신체조건에 대응하여 높낮이 조절은 물론 좌우 위치조절 및 각도조절에 불가능한 폐단이 따랐다.
KR 10-1505736 B1 (2015.03.18.)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 된 것으로서, 러닝닝신 전방에서 배치되어 운동 중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의 높낮이가 자동 조절되도록 구조 개선되어, 디스플레이부가 러닝머신 이용자의 눈높이와 수평선상에 일치되도록 사용자 셋팅된 상태로 러닝프로그램에 동기화되고, 언덕길모드가 구현되면 디스플레이부가 사용자 눈높이 대비 높게 위치되도록 상향 이동되고, 내리막길모드가 구현되면 디스플레이부가 사용자 눈높이 대비 낮게 위치되도록 하향 이동되면서 신호가 출력되되면서 시각적인 현실감을 제공하여 운동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러닝머신용 모션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특징은, 러닝머신(10) 전방에 설치되고, 받침대(110)에 의해 지지되어 상하 높낮이 조절되는 리프트모듈(100)과, 상기 리프트모듈(100) 상부에 설치되어 디스플레이부(D)를 위치조절 가능하게 제어하는 모션모듈(200); 상기 디스플레이부(D) 작동을 제어하도록 유, 무선으로 연결되고, 리닝머신(10)에 장착되는 거치대(320)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 리모콘(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리프트모듈(100)은, 받침대(110)에 설치되는 하부 리프트관(120)과, 하부 리프트관(120)에 삽입되어 종방향으로 신축조절되고, 상부에 모션모듈(200)이 설치되는 상부 리프트관(140)과, 하부 리프트관(120) 내부에 설치되어 모터(162)에 의해 회전되고, 상단부가 상부 리프트관(140) 내부로 연장되어 나사결합되는 스크루봉(160)과, 모터(162)에 연결되어 상부 리프트관(140) 신축길이를 조절하는 제어부(1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프트모듈(100)의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D)가 러닝머신(10) 이용자의 눈높이와 수평선상에 일치되도록 사용자 셋팅과정을 수행하고, 상기 제어부(180)는 러닝머신(10)의 러닝프로그램에 동기화되어, 러닝프로그램에서 언덕길모드가 구현되면 디스플레이부(D)가 사용자 눈높이 대비 높게 위치되도록 상향 이동신호가 출력되며, 러닝프로그램에서 내리막길모드가 구현되면 디스플레이부(D)가 사용자 눈높이 대비 낮게 위치되도록 하향 이동신호가 출력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션모듈(200)은, 상기 리프트모듈(100) 상단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레일(201)과, 가이드레일(201)을 타고 회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가이드블록(202)과, 가이드블록(20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단에 디스플레이부(D)가 장착되는 회전부재(203)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부재(203)는 모션락킹부(210)에 의해 디스플레이부(D) 횡형 이동 위치 및 디스플레이부(D)의 회전각도가 잠금/ 해제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션락킹부(210)는, 가이드블록(202)에 설치되어 회전부재(203)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일단에 축핀(212)과 스톱기어(214)가 형성되는 회전암(211)과, 가이드블록(202) 내부에 설치되어, 일단에 가이드레일(201)을 가압하는 브레이킹 패드(222)가 구비되고, 다른 일단에 축핀(212)과 결합되는 축홀(224)이 형성되는 제 1캘리퍼(220)와, 가이드블록(202)에 삽입되어 탄성체(232)에 의해 스톱기어(214) 측으로 돌출 이송되고, 단부에 스톱기어(214)와 키결합되는 고정키(234)가 구비되는 제 2캘리퍼(230)와, 테이블(14)에 설치되어 제 2캘리퍼(230) 작동을 제어하는 레버(240)와, 제 2캘리퍼(230)의 돌출이송력에 의해 경사운동되어 제 1캘리퍼(220)를 가이드레일(201) 측으로 가압이송하도록 제 1캘리퍼(220)와 제 2캘리퍼(230)가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한 쌍의 경사면(2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버(240) 작동에 의해 제 2캘리퍼(230)가 당겨지면, 스톱기어(214)와 고정키(234)에 의한 키결합이 해제 및 경사면(250)에 의한 제 1캘리퍼(220) 가압력이 해제되어 디스플레이부(D)의 인출 길이 및 회전부재(203)를 중심으로 디스플레이부(D)의 회전각도가 자유롭게 조절되고, 상기 레버(240)에 의해 제 2캘리퍼(230)가 당김력이 해제되어 탄성체(232)에 의해 돌출이동되면, 스톱기어(214)와 고정키(234)가 키결합되면서 경사면(250)에 의한 제 1캘리퍼(220) 가압력이 인가되어 디스플레이부(D)의 인출 길이 및 회전부재(203)를 중심으로 디스플레이부(D)의 회전각도가 잠금상태로 전환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본 발명은 러닝닝신 전방에서 배치되어 운동 중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의 높낮이가 자동 조절되도록 구조 개선되어, 디스플레이부가 러닝머신 이용자의 눈높이와 수평선상에 일치되도록 사용자 셋팅된 상태로 러닝프로그램에 동기화되고, 언덕길모드가 구현되면 디스플레이부가 사용자 눈높이 대비 높게 위치되도록 상향 이동되고, 내리막길모드가 구현되면 디스플레이부가 사용자 눈높이 대비 낮게 위치되도록 하향 이동되면서 신호가 출력되되면서 시각적인 현실감을 제공하여 운동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러닝머신용 모션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러닝머신용 모션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러닝머신용 모션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모션모듈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러닝머신용 모션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모션락킹부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러닝머신용 모션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디스플레이부 횡형 이동 및 각도조절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러닝머신용 모션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러닝머신용 모션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련되며, 이는 러닝닝신 전방에서 배치되어 운동 중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의 높낮이가 자동 조절되도록 구조 개선되어, 디스플레이부가 러닝머신 이용자의 눈높이와 수평선상에 일치되도록 사용자 셋팅된 상태로 러닝프로그램에 동기화되고, 언덕길모드가 구현되면 디스플레이부가 사용자 눈높이 대비 높게 위치되도록 상향 이동되고, 내리막길모드가 구현되면 디스플레이부가 사용자 눈높이 대비 낮게 위치되도록 하향 이동되면서 신호가 출력되되면서 시각적인 현실감을 제공하여 운동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도록 리프트모듈(100), 모션모듈(200), 리모콘(300)을 주요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리프트모듈(100)은 러닝머신(10) 전방에 설치되고, 받침대(110)에 의해 지지되어 상하 높낮이 조절된다.
도 2에서, 상기 리프트모듈(100)은, 받침대(110)에 설치되는 하부 리프트관(120)과, 하부 리프트관(120)에 삽입되어 종방향으로 신축조절되고, 상부에 모션모듈(200)이 설치되는 상부 리프트관(140)과, 하부 리프트관(120) 내부에 설치되어 모터(162)에 의해 회전되고, 상단부가 상부 리프트관(140) 내부로 연장되어 나사결합되는 스크루봉(160)과, 모터(162)에 연결되어 상부 리프트관(140) 신축길이를 조절하는 제어부(18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리프트모듈(100)의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D)가 러닝머신(10) 이용자의 눈높이와 수평선상에 일치되도록 사용자 셋팅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러닝머신(10)의 러닝프로그램에 동기화되어, 러닝프로그램에서 언덕길모드가 구현되면 디스플레이부(D)가 사용자 눈높이 대비 높게 위치되도록 상향 이동신호가 출력되며, 러닝프로그램에서 내리막길모드가 구현되면 디스플레이부(D)가 사용자 눈높이 대비 낮게 위치되도록 하향 이동신호가 출력되도록 구비되므로 시각적인 현실감을 제공하여 운동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션모듈(200)은 상기 리프트모듈(100) 상부에 설치되어 디스플레이부(D)를 위치조절 가능하게 제어하도록 구비된다.
도 3에서, 상기 모션모듈(200)은, 상기 리프트모듈(100) 상단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레일(201)과, 가이드레일(201)을 타고 회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가이드블록(202)과, 가이드블록(20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단에 디스플레이부(D)가 장착되는 회전부재(203)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부재(203)는 모션락킹부(210)에 의해 디스플레이부(D) 횡형 이동 위치 및 디스플레이부(D)의 회전각도가 잠금/ 해제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모션락킹부(210)는, 가이드블록(202)에 설치되어 회전부재(203)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일단에 축핀(212)과 스톱기어(214)가 형성되는 회전암(211)과, 가이드블록(202) 내부에 설치되어, 일단에 가이드레일(201)을 가압하는 브레이킹 패드(222)가 구비되고, 다른 일단에 축핀(212)과 결합되는 축홀(224)이 형성되는 제 1캘리퍼(220)와, 가이드블록(202)에 삽입되어 탄성체(232)에 의해 스톱기어(214) 측으로 돌출 이송되고, 단부에 스톱기어(214)와 키결합되는 고정키(234)가 구비되는 제 2캘리퍼(230)와, 테이블(14)에 설치되어 제 2캘리퍼(230) 작동을 제어하는 레버(240)와, 제 2캘리퍼(230)의 돌출이송력에 의해 경사운동되어 제 1캘리퍼(220)를 가이드레일(201) 측으로 가압이송하도록 제 1캘리퍼(220)와 제 2캘리퍼(230)가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한 쌍의 경사면(2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모션락킹부(210)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도 4 (b)와 같이 상기 레버(240) 작동에 의해 제 2캘리퍼(230)가 당겨지면, 스톱기어(214)와 고정키(234)에 의한 키결합이 해제 및 경사면(250)에 의한 제 1캘리퍼(220) 가압력이 해제되어 디스플레이부(D)의 인출 길이 및 회전부재(203)를 중심으로 디스플레이부(D)의 회전각도가 자유롭게 조절된다.
그리고, 도 4 (a)처럼 상기 레버(240)에 의해 제 2캘리퍼(230)가 당김력이 해제되어 탄성체(232)에 의해 돌출이동되면, 스톱기어(214)와 고정키(234)가 키결합되면서 경사면(250)에 의한 제 1캘리퍼(220) 가압력이 인가되어 디스플레이부(D)의 인출 길이 및 회전부재(203)를 중심으로 디스플레이부(D)의 회전각도가 잠금상태로 전환되도록 구비된다.
이처럼 상기 모션락킹부(210)에 의해 회전부재(203)가 잠금/ 해제됨에 따라 도 5와 같이 디스플레이부(D) 횡형 이동 위치 및 디스플레이부(D)의 회전각도가 자유롭고 손쉽게 조절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리모콘(300)은 상기 디스플레이부(D) 작동을 제어하도록 유, 무선으로 연결되고, 리닝머신(10)에 장착되는 거치대(320)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된다. 리모콘(300)은 디스플레이부(D)의 on/off, 볼륨, 채널 및 다양한 컨텐츠를 선택 및 제어함과 더불어 러닝머신의 작동까지 제어가능하도록 동기화된다.
100: 리프트모듈 200: 모션모듈
300: 리모콘

Claims (6)

  1. 러닝머신(10) 전방에 설치되고, 받침대(110)에 의해 지지되어 상하 높낮이 조절되는 리프트모듈(100)과,
    상기 리프트모듈(100) 상부에 설치되어 디스플레이부(D)를 위치조절 가능하게 제어하는 모션모듈(200);
    상기 디스플레이부(D) 작동을 제어하도록 유, 무선으로 연결되고, 리닝머신(10)에 장착되는 거치대(320)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 리모콘(300);을 포함하고,
    상기 모션모듈(200)은, 상기 리프트모듈(100) 상단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레일(201)과, 가이드레일(201)을 타고 회방향으로 위치 이동되는 가이드블록(202)과, 가이드블록(20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단에 디스플레이부(D)가 장착되는 회전부재(203)로 구성되고, 상기 회전부재(203)는 모션락킹부(210)에 의해 디스플레이부(D) 횡형 이동 위치 및 디스플레이부(D)의 회전각도가 잠금/ 해제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모션락킹부(210)는, 가이드블록(202)에 설치되어 회전부재(203)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일단에 축핀(212)과 스톱기어(214)가 형성되는 회전암(211)과, 가이드블록(202) 내부에 설치되어, 일단에 가이드레일(201)을 가압하는 브레이킹 패드(222)가 구비되고, 다른 일단에 축핀(212)과 결합되는 축홀(224)이 형성되는 제 1캘리퍼(220)와, 가이드블록(202)에 삽입되어 탄성체(232)에 의해 스톱기어(214) 측으로 돌출 이송되고, 단부에 스톱기어(214)와 키결합되는 고정키(234)가 구비되는 제 2캘리퍼(230)와, 테이블(14)에 설치되어 제 2캘리퍼(230) 작동을 제어하는 레버(240)와, 제 2캘리퍼(230)의 돌출이송력에 의해 경사운동되어 제 1캘리퍼(220)를 가이드레일(201) 측으로 가압이송하도록 제 1캘리퍼(220)와 제 2캘리퍼(230)가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한 쌍의 경사면(2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닝머신용 모션 디스플레이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모듈(100)은, 받침대(110)에 설치되는 하부 리프트관(120)과, 하부 리프트관(120)에 삽입되어 종방향으로 신축조절되고, 상부에 모션모듈(200)이 설치되는 상부 리프트관(140)과, 하부 리프트관(120) 내부에 설치되어 모터(162)에 의해 회전되고, 상단부가 상부 리프트관(140) 내부로 연장되어 나사결합되는 스크루봉(160)과, 모터(162)에 연결되어 상부 리프트관(140) 신축길이를 조절하는 제어부(1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닝머신용 모션 디스플레이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모듈(100)의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D)가 러닝머신(10) 이용자의 눈높이와 수평선상에 일치되도록 사용자 셋팅과정을 수행하고, 상기 제어부(180)는 러닝머신(10)의 러닝프로그램에 동기화되어, 러닝프로그램에서 언덕길모드가 구현되면 디스플레이부(D)가 사용자 눈높이 대비 높게 위치되도록 상향 이동신호가 출력되며, 러닝프로그램에서 내리막길모드가 구현되면 디스플레이부(D)가 사용자 눈높이 대비 낮게 위치되도록 하향 이동신호가 출력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닝머신용 모션 디스플레이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240) 작동에 의해 제 2캘리퍼(230)가 당겨지면, 스톱기어(214)와 고정키(234)에 의한 키결합이 해제 및 경사면(250)에 의한 제 1캘리퍼(220) 가압력이 해제되어 디스플레이부(D)의 인출 길이 및 회전부재(203)를 중심으로 디스플레이부(D)의 회전각도가 자유롭게 조절되고, 상기 레버(240)에 의해 제 2캘리퍼(230)가 당김력이 해제되어 탄성체(232)에 의해 돌출이동되면, 스톱기어(214)와 고정키(234)가 키결합되면서 경사면(250)에 의한 제 1캘리퍼(220) 가압력이 인가되어 디스플레이부(D)의 인출 길이 및 회전부재(203)를 중심으로 디스플레이부(D)의 회전각도가 잠금상태로 전환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닝머신용 모션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0200085230A 2020-07-10 2020-07-10 러닝머신용 모션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2188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5230A KR102218862B1 (ko) 2020-07-10 2020-07-10 러닝머신용 모션 디스플레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5230A KR102218862B1 (ko) 2020-07-10 2020-07-10 러닝머신용 모션 디스플레이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8862B1 true KR102218862B1 (ko) 2021-02-22

Family

ID=74687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5230A KR102218862B1 (ko) 2020-07-10 2020-07-10 러닝머신용 모션 디스플레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886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2876A (ko) 2021-02-26 2022-09-05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동작 상태 분석 및 피드백을 위한 ui 체계를 갖는 러닝머신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230105911A (ko) * 2022-01-05 2023-07-12 제이더블유글로벌 주식회사 안전장치를 구비한 휠체어 트레드밀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9617Y1 (ko) * 2001-07-19 2002-01-05 주식회사 울타리 모니터 걸이용 파티션
KR20070033211A (ko) * 2005-09-21 2007-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US20080119332A1 (en) * 2006-11-21 2008-05-22 Technogym S.P.A. Exercise machine
KR101093799B1 (ko) * 2011-09-16 2011-12-19 박상현 가상 현실에 대응 동작하는 자전거 운동기구
KR101505736B1 (ko) 2013-08-13 2015-03-25 이병돈 러닝머신
KR101731583B1 (ko) * 2017-01-03 2017-05-02 주식회사 아하정보통신 전자칠판용 디스플레이 패널 위치조정장치
US20180117419A1 (en) * 2016-11-01 2018-05-03 Icon Health & Fitness, Inc. Distance Sensor for Console Positioning
KR20200067618A (ko) * 2018-12-04 2020-06-12 온상철 디스플레이의 위치 조절이 가능한 트레드밀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9617Y1 (ko) * 2001-07-19 2002-01-05 주식회사 울타리 모니터 걸이용 파티션
KR20070033211A (ko) * 2005-09-21 2007-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US20080119332A1 (en) * 2006-11-21 2008-05-22 Technogym S.P.A. Exercise machine
KR101093799B1 (ko) * 2011-09-16 2011-12-19 박상현 가상 현실에 대응 동작하는 자전거 운동기구
KR101505736B1 (ko) 2013-08-13 2015-03-25 이병돈 러닝머신
US20180117419A1 (en) * 2016-11-01 2018-05-03 Icon Health & Fitness, Inc. Distance Sensor for Console Positioning
KR101731583B1 (ko) * 2017-01-03 2017-05-02 주식회사 아하정보통신 전자칠판용 디스플레이 패널 위치조정장치
KR20200067618A (ko) * 2018-12-04 2020-06-12 온상철 디스플레이의 위치 조절이 가능한 트레드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2876A (ko) 2021-02-26 2022-09-05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동작 상태 분석 및 피드백을 위한 ui 체계를 갖는 러닝머신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230105911A (ko) * 2022-01-05 2023-07-12 제이더블유글로벌 주식회사 안전장치를 구비한 휠체어 트레드밀
KR102639323B1 (ko) * 2022-01-05 2024-02-21 제이더블유글로벌 주식회사 안전장치를 구비한 휠체어 트레드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8862B1 (ko) 러닝머신용 모션 디스플레이 시스템
TWI735832B (zh) 跑步機
US7303510B2 (en) Bicycle training apparatus
US5277678A (en) Video interactive ski exerciser
US6712737B1 (en) Exercise apparatus with video effects synchronized to exercise parameters
EP3049162B1 (en) Bicycle trainer
US20080242511A1 (en) User interface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exercise apparatus
US11684819B2 (en) Indoor bicycle training device
EP0908201A1 (en) Treadmill for wheelchair
US9616277B2 (en) Exercise assisting device
WO2021041736A1 (en) Indoor bicycle training device
KR101190692B1 (ko) 가변 부하 운동기구
US20200306583A1 (en) Stepper exercise machine capable of adjusting motion trajectory
CN207667047U (zh) 一种自适应跑步机或走步机
CN215310006U (zh) 具有影像显示装置的运动器材
CN107802984B (zh) 智能柔性防抖屏幕云中漫步机
CN109758726A (zh) 一种支持游戏交互的无动力跑步机
KR100383719B1 (ko) 운동용 머신
CN109621301B (zh) 一种多功能体育训练装置
TWI814614B (zh) 攀爬機構造
CN114949759B (zh) 一种健美操形体矫正训练装置
CN219001870U (zh) 一种智能体育跑步训练系统
TWI811099B (zh) 多功能坐臥式健身裝置
KR101377989B1 (ko) 웨이트 트레이닝 장치와 이를 이용한 웨이트 트레이닝 방법
CN210131346U (zh) 一种平衡训练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