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8709B1 - 구조보강 및 확장성이 뛰어난 테이블 구조체 - Google Patents

구조보강 및 확장성이 뛰어난 테이블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8709B1
KR102218709B1 KR1020200138880A KR20200138880A KR102218709B1 KR 102218709 B1 KR102218709 B1 KR 102218709B1 KR 1020200138880 A KR1020200138880 A KR 1020200138880A KR 20200138880 A KR20200138880 A KR 20200138880A KR 102218709 B1 KR102218709 B1 KR 1022187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upports
duct
connection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88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순종
Original Assignee
(주)아모스아인스가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스아인스가구 filed Critical (주)아모스아인스가구
Priority to KR1020200138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87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8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87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00Extensible tables
    • A47B1/08Extensible tables with extensible frames or with additional le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03Connecting table tops to under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6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characterised by means for holding, fastening or concealing c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11Under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11Underframes
    • A47B2200/002Leg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테이블의 프레임 구조체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평지지대의 양단에 지지각이 결합된 한 쌍의 사이드지지체와, 받침지지대의 하측에 수직 방향으로의 받침지지각이 결합되어 상기 사이드지지체의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위치하는 미들지지체로 구성되되, 상기 사이드지지체와 미들지지체는 덕트지지대와 연결지지대에 의해 서로 연결 및 고정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한 쌍의 사이드지지체 사이에 위치하는 미들지지체의 개체수에 따라 2인 내지 10인용 테이블을 자유롭게 가변 조립 및 설치할 수 있어 조립성 및 확장성이 매우 뛰어난 것이고, 상기 사이드지지체와 미들지지체를 연결하는 덕트지지대와 연결지지대는 상판 전체에 작용하는 하중을 고르게 분산시켜 상호 체결부위에 하중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내구성 증대 및 사용 수명이 현저히 증가되므로 매우 경제적인 것이며, 다인용 테이블이라 할지라도 프레임체와의 간섭없이 필요공간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며, 상판 내 콘센트 매설함으로 유도되는 외부 전원선은 테이블의 측부 및 하부로 전혀 노출되지 아니하므로 외관이 개선되는 동시에 미려함을 연출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Description

구조보강 및 확장성이 뛰어난 테이블 구조체 {Multi-person table structure with excellent structural reinforcement and expandability}
본 발명은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테이블의 프레임 구조체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평지지대의 양단에 지지각이 결합된 한 쌍의 사이드지지체의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들지지체를 위치시키고, 이들 사이드지지체와 미들지지체는 복수 개의 연결지지대 및 덕트지지대에 의해 서로 고정하여 테이블 구조체가 완성되도록 하되, 상기 사이드지지체와 미들지지체 및 덕트지지대의 내부를 통해 구조체 상측의 상판에 위치하는 콘센트 매설함으로 전선이 은폐 유도되도록 하여, 뛰어난 구조적 강성과 함께 우수한 확장성을 연출하는 동시에 사용상의 편리함이 가일층 향상되게 한 테이블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실 등과 같이 여러 사람이 동일한 장소에서 동시에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개별 테이블을 연속하여 배치하거나, 비교적 긴 길이와 폭을 갖는 테이블을 구획하여 사용하게 되는 것으로, 테이블의 연속 개체수 혹은 테이블의 길이와 크기 등은 이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수와 사용 면적 등을 고려하여 배치 및 설치하게 된다.
특히, 업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테이블 위에 비치해야 할 개인용 사무기기나 서류 등이 많을 경우에는 테이블 상판의 면적이 넓거나 긴 형태의 것을 사용하여야 하는데 일반적인 단독 테이블로는 좁고 사용이 불편하기 때문에 2~3개의 단독 테이블을 연속적으로 붙여서 설치하거나 또는 별도로 확장 상판을 기존 상판의 사이드에 결합하여 사용하여야만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다수의 단독 테이블을 붙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테이블 상호 간의 연결 및 고정력이 없어 테이블 사이가 벌어지거나 움직여 사용이 번거로운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으로, 이를 개선하기 위해 등록실용신안 제20-0445448호와 같이 여러 개의 테이블을 결합하여 확장 테이블로 사용할 경우 서로 접하는 테이블의 상판이 어긋하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함과 동시에 그 하단에 설치되는 다리부재를 원하는 위치에 착탈하기 용이하고, 또한 상기 다리부재를 확장 테이블의 가장자리 부위에 설치 시에는 상기 다리부재의 각도를 외측으로 경사지도록 조절하여 설치하고, 상기 테이블의 중앙 부위에 설치 시에는 상기 다리부재의 각도를 수평으로 조절하여 설치할 수 있는 등 상기 다리부재의 각도 조절이 용이하여 사용이 편리하고 상판을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확장 테이블을 사용 시 중간 다리부재를 하나만 설치할 수 있어 경제적이며 깔끔한 외관을 지닐 수 있도록 하는 테이블의 다리구조가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다.
이어, 종래의 테이블 하부 지지구조에 대한 보강을 위한 목적으로 등록특허 제10-1379283호와 같이 연결빔의 일측에 연결되도록 제 1연결리브를 구비하고 바닥에 대해 상판을 지지하는 제1지지부, 및 이 연결빔의 타측에 연결되도록 제2연결리브를 구비하고 바닥에 대해 상판을 지지하는 제 2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에 따라, 다리를 견고하게 하여 휨 등 변형을 방지하고, 견고한 다리로써 상판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것이며, 상판에 대한 다리의 지지면적을 넓혀 상판의 휘어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테이블이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다.
그러나, 기존의 각종 테이블은 길이가 길어지고 면적이 넓어짐에 따라 상판에 작용하는 자체의 하중이나 사용자의 체중 및 상판 위에 올려지는 다양한 물품의 중량으로 인해 상판 하부의 지지체가 견고한 지지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하지 못하는 것으로, 지지체의 상호 결합부의 체결력이 느슨해지거나 상실되면서 불필요한 소음이 발생하는 것은 물론 테이블 자체의 사용 수명이 현저히 단축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또한, 여러 개의 테이블을 서로 연결하여 넓고 긴 형태의 테이블을 구축하는 경우에는 각 테이블 간 연결 및 고정부위에서의 구조적 취약성으로 인해 테이블 상판 간 사이가 벌어지거나 상판의 높이가 균일하게 유지되지 못하는 등 다양한 형태 및 크기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통상적으로 근래의 다양한 테이블의 경우 테이블 상판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전자 및 전기기기의 편리한 사용을 위해 상판에 콘센트 매립함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의 매립함 내 콘센트에 전원을 인가시키기 위한 전선이 테이블의 하측으로 지저분하게 노출되어 외관이 불량한 것은 물론 테이블의 사용 과정에서 사용자가 전선을 건드리거나 접촉하여 각종 전자 및 전기기기의 고장이나 데이터 손실 또는 각종 안전사고의 위험에 노출되는 등의 폐단을 갖고 있는 것이다.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20-0445448 (2009.07.22. 등록) 대한민국등록특허 10-1379283 (2014.03.24. 등록)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수평지지대의 양단에 지지각이 결합된 한 쌍의 사이드지지체와, 받침지지대의 하측에 수직 방향으로의 받침지지각이 결합되어 상기 사이드지지체의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위치하는 미들지지체로 구성되되, 상기 사이드지지체와 미들지지체는 덕트지지대와 연결지지대에 의해 서로 연결 및 고정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미들지지체의 개체수에 따라 적어도 2인 내지 10인 이상이 동시에 마주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는 테이블을 손쉽게 조립 설치할 수 있는 것은 물론 테이블 상판의 길이방향을 따라 공간이 구획되지 아니하므로 필요공간을 프레임 간섭없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며, 사이드지지체와 미들지지체 간의 견고한 조립성은 물론 상판의 콘센트 매설함으로 유도되는 전선이 외부로부터 전혀 노출되지 않아 외관이 매우 미려한 특징을 갖는 구조보강 및 확장성이 뛰어난 테이블 구조체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평지지대의 양단에 지지각이 결합된 한 쌍의 사이드지지체와, 받침지지대의 하측에 수직 방향으로의 받침지지각이 결합되어 상기 사이드지지체의 사이에 위치하는 미들지지체로 구성되고, 상기 사이드지지체와 미들지지체는 별도 구비의 덕트지지대와 연결지지대에 의해 서로 연결 고정되어, 이들 사이드지지체와 미들지지체 및 덕트지지대와 연결지지대 상에 상판이 밀착 고정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한 쌍의 사이드지지체 사이에 위치하는 미들지지체의 개체수에 따라 상기 덕트지지대와 연결지지대를 이용한 사이드지지체와 미들지지체의 연결 고정 및 미들지지체 상호 간의 연결 고정에 의해 2인 내지 10인용 프레임 구조체가 완성되도록 구성하고, 이들 구조체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판은 상기 수평지지대의 상면과 받침지지대의 상면 및 덕트지지대의 상면과 연결지지대의 상면에 동시 밀착 고정되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한 쌍의 사이드지지체 사이에 위치하는 미들지지체의 개체수에 따라 2인 내지 10인용 테이블을 자유롭게 가변 조립 및 설치할 수 있어 조립성 및 확장성이 매우 뛰어난 것이고, 상기 사이드지지체와 미들지지체를 연결하는 덕트지지대와 연결지지대는 상판 전체에 작용하는 하중을 고르게 분산시켜 상호 체결부위에 하중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내구성 증대 및 사용 수명이 현저히 증가되므로 매우 경제적인 것이며, 다인용 테이블이라 할지라도 프레임체와의 간섭없이 필요공간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며, 상판 내 콘센트 매설함으로 유도되는 외부 전원선은 테이블의 측부 및 하부로 전혀 노출되지 아니하므로 외관이 개선되는 동시에 미려함을 연출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구조체에 의한 테이블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구조체에 의한 테이블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구조체의 전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구조체의 전체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구조체의 사이드지지체 결합부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구조체의 미들지지체 결합부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구조체의 사이드지지체에 대한 분리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구조체의 사이드지지체에 대한 다른 방향으로의 분리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구조체의 배선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구조체에 의한 다인용 테이블의 사용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구조체에 의한 다인용 테이블의 또다른 사용 예시도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어,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구조체에 의한 테이블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구조체에 의한 테이블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구조체의 전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구조체의 전체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구조체의 사이드지지체 결합부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 구조체의 미들지지체 결합부 분리 사시도이다.
도시와 같이 본 발명의 테이블 구조체는 한 쌍의 사이드지지체(100)(100')와, 이들 사이드지지체(100)(100')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1개체 이상의 미들지지체(200)(200')와, 상기 사이드지지체(100)(100') 및 미들지지체(200)(200')를 서로 연결 고정하는 덕트지지대(300)(300')와 연결지지대(400)(400')의 상호 유기적 결합에 의해 완성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수평지지대(110)의 양단에 지지각(120)(120')이 결합된 한 쌍의 사이드지지체(100)(100')는 테이블의 양측 끝단에서의 하중 지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고, 받침지지대(210)의 하측에 수직 방향으로의 받침지지각(220)이 결합되어 상기 사이드지지체(100)(100')의 사이에 위치하는 미들지지체(200)(200')는 테이블의 중간부에 위치하여 상판 자체의 하중 및 상판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효과적으로 지지 및 분산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사이드지지체(100)(100')와 미들지지체(200)(200')를 서로 연결하는 별도 구비의 덕트지지대(300)(300')와 연결지지대(400)(400')는 상기 사이드지지체(100)(100')와 미들지지체(200)(200')에 대한 강력한 지지 고정력을 연출하는 동시에 상기 덕트지지대(300)(300')의 경우 상판에 통상적으로 구성되는 콘센트 매설함으로 외부 전기선을 은폐 유도시키는 역할을 겸하게 된다.
특히, 상기와 같은 한 쌍의 사이드지지체(100)(100') 사이에 위치하는 미들지지체(200)(200')의 개체수에 따라 상기 덕트지지대(300)(300')와 연결지지대(400)(400')를 이용한 사이드지지체(100)(100')와 미들지지체(200)(200')의 연결 고정 및 미들지지체(200)(200') 상호 간의 연결 고정에 의해 2인 내지 10인용 프레임 구조체가 완성되도록 구성하고, 이러한 프레임 구조체의 상측에 고정되는 상판(500)(500')은 상기 수평지지대(110)의 상면과 받침지지대(210)의 상면 및 덕트지지대(300)(300')의 상면과 연결지지대(400)(400')의 상면에 동시 밀착 고정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상판 자체의 하중 및 상판을 통해 작용하는 각종 물품이나 기기 혹은 서적 등의 하중을 상판 전체면에 걸쳐 하측으로 분산되도록 하여 사용 수명을 더욱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와 같은 상판(500)(500')의 경우, 전기한 사이드지지체(100)(100')와 미들지지체(200)(200')의 사이에 테이블 이용 방향을 따라 전,후로 분리되어 고정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한 쌍의 사이드지지체(100)(100')와 단일의 미들지지체(200)(200') 상에 결합되는 4개체의 상판(500)(500')에 의한 4인용 테이블 내지 한 쌍의 사이드지지체(100)(100')와 4개체의 미들지지체(200)(200') 상에 결합되는 10개체의 상판(500)(500')에 의한 10인용 테이블로 가변 제작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즉, 한 쌍의 사이드지지체(100)(100')의 사이에 단일의 미들지지체(200)(200')를 덕트지지대(300)(300')와 연결지지대(400)(400')를 고정시키게 되면, 상기 미들지지체(200)(200')를 기준으로 양측 전,후 방향으로 4개체의 분할된 상판(500)(500')이 밀착 고정된 형태의 4인용 테이블이 완성되는 것이고, 한 쌍의 사이드지지체(100)(100') 사이에 2개체의 미들지지체(200)(200')를 이격 배치한 후 덕트지지대(300)(300')와 연결지지대(400)(400')를 이용하여 이들 서로를 견고하게 체결하면 총 6개의 동일 크기로 분할된 상판이 밀착 고정된 6인용 테이블이 완성될 수 있는 것이며, 3개체의 미들지지체(200)(200')와 8개체의 분할된 상판(500)(500')에 의한 8인용 테이블 또는 4개체의 미들지지체(200)(200')와 10개체의 분할된 상판(500)(500')의 밀착 고정에 의한 10인용 테이블이 완성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미들지지체(200)(200')의 개체수를 더욱 증대시켜 10인 이상의 초대형 테이블의 구축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상기의 미들지지체(200)(200')는 금속각관으로 된 받침지지대(210)와 금속각관 및 금속판재로 된 받침지지각(220)으로 구성하되, 상기 받침지지각(220)은 상기 받침지지대(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된 한 쌍의 수직각관(221)(221')과 이들 수직각관(221)(221')의 사이에 이격 고정된 수직판재(222)(222')로 구성되어, 테이블의 설치 바닥면으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선이 상기 수직판재(222)(222') 사이의 이격 공간 및 덕트지지대(300)(300')의 내부를 통해 상판(500)(500')으로 은폐 유도되도록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받침지지대(210)의 경우 분할된 상판(500)(500')의 서로 이웃한 끝단이 동시에 올려져 상판(500)(500')에 작용하는 자체의 하중 및 다양한 물품의 하중이 상기 받침지지대(210)에 전달되도록 하고, 상기 받침지지대(210)의 하부에 이격 형성된 받침지지각(220)은 상기 받침지지대(210)에 작용하는 하중을 설치 바닥면으로부터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의 상기 받침지지각(220)은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수직각관(221)(221')에 의해 하중을 온전히 지지하는 동시에 이들 수직각관(221)(221') 사이에 내부 공간을 형성하도록 이격 배치되는 수직판재(222)(222')는 상기 수직각관(221)(221')의 지지력을 더욱 증대시켜 주는 동시에 소정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므로 상기의 내부 공간을 통해 외부로부터의 전원선이 상판(500)(500')을 향하여 은폐 유도될 수 있도록 한 전선 통로의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어, 상기의 덕트지지대(300)(300')는 금속판재를 상향 절곡하여 상측이 개구된 박스 형태로 구성하되, 덕트지지대(300)(300')의 상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에 수평의 상단밀착부(301)(301')가 절곡 형성되게 하고, 덕트지지대(300)(300')의 양측 끝단에는 각기 사이드지지체(100)(100')와 미들지지체(200)(200')에 밀착 고정되기 위한 측단밀착부(302)(302')가 절곡 형성되게 하여, 이들 상단밀착부(301)(301')와 측단밀착부(302)(302')를 이용한 상판(500)(500') 및 사이드지지체(100)(100')와 미들지지체(200)(200')와의 상호 볼트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덕트지지대(300)(300')의 측단밀착부(302)(302')가 사이드지지체(100)(100')와 미들지지체(200)(200')가 측면에 볼트 고정에 의해 상호 견고하게 연결 및 체결되게 하되, 상기 덕트지지대(300)(300')의 상단밀착부(301)(301') 상면과 사이드지지체(100)(100')의 수평지지대(110) 상면 및 미들지지체(200)(200')의 받침지지대(210) 상면이 모두 동일한 평면이 형성되도록 하면, 상판(500)(500')의 저면은 상기와 같은 다양한 개체의 평면 상에 동시에 밀착되므로 하중의 분산 작용이 매우 탁월한 것이고, 상기 사이드지지체(100)(100') 또는 미들지지체(200)(200') 또는 덕트지지대(300)(300')로부터 볼트 삽입에 의해 상판(500)(500')에 나사 고정되도록 하여 더욱 견고하고 안정적인 상태의 조립 및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어, 상기 연결지지대(400)(400')의 경우에는 양측 끝단에 횡방향으로 돌출된 고정플랜지(401)(401')를 돌출 형성하여 상기 고정플랜지(401)(401')에 의해 사이드지지체(100)(100') 및 미들지지체(200)(200')와 서로 연결 고정되도록 한 것으로, 상기 연결지지대(400)(400')의 고정플랜지(401)(401')는 연결지지대(400)(400') 끝단으로부터 양측부에만 돌출 형성되어 있으므로 결국 상기 연결지지대(400)(400')의 상면과 사이드지지체(100)(100')의 수평지지대(110) 상면 및 미들지지체(200)(200')의 받침지지대(210) 상면이 상판(500)(500') 저면에 밀착되기 위한 동일 평면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사이드지지체(100)(100')의 수평지지대(110) 상면과, 미들지지체(200)(200')의 받침지지대(210) 상면과, 덕트지지대(300)(300')의 상단밀착부(301)(301') 상면과, 연결지지대(400)(400') 자체의 상면 전체가 상판(500)(500')의 저면에 동일 평면을 형성하여 밀착되므로 상기의 상판(500)(500')에 대한 밀착 고정력이 더욱 증대하는 것이고, 그로 인해 상판(500)(500') 자체의 하중 및 상판(500)(500')에 작용하는 사용자의 체중이나 각종 기기 및 서적과 물품 등의 하중이 고르게 분산되어 테이블의 사용 수명을 크게 연장시키는 것은 물론 각각의 결합부에 집중되는 하중을 분산시켜 체결부에서의 파손이나 소음 등을 현저하게 개선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어, 상기의 사이드지지체(100)(100')를 구성하는 수평지지대(110)와 지지각(120)(120')은 별도 구비의 연결브라켓(130)에 의해 서로 결합되도록 구성한 것으로, 상기 연결브라켓(130)의 일측으로는 관체로 된 수평지지대(110)의 끝단 내측으로 삽입되게 한 수평끼움부(131)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연결브라켓(130)의 하측으로는 관체로 된 지지각(120)(120')의 선단 내측으로 삽입되게 한 수직끼움부(132)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연결브라켓(130)에 의해 수평지지대(110)와 지지각(120)(120')이 서로 간편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도 7 및 도 8의 도시와 같이 상기의 연결브라켓(130)를 이용하여 수평지지대(110)와 지지각(120)(120')이 상호 가압 결합에 의해 빠르고 간편하게 연결 고정될 수 있는 것이고, 수평지지대(110) 및 지지각(120)(120')으로부터 별도의 고정볼트를 삽입하여 상기 연결브라켓(130)의 수평끼움부(131)와 수직끼움부(132)에 나사 체결되도록 추가함에 따라 기존과 같이 용접 등의 방법에 비혀 더욱 빠르고 견고한 상호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와 같은 수평지지대(110)의 하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별도 구비의 수평안내관(140)을 양면 테이프 혹은 볼트 결합에 의해 상호 밀착 고정시키고, 상기 지지각(120)(120')의 일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별도 구비의 수직안내관(150)을 양면 테이프 혹은 볼트 결합에 의해 서로 밀착 고정하여, 전원선이 테이블의 설치 바닥면으로부터 수직안내관(150)과 수평안내관(140)의 내부를 통한 은폐 상태에서 상판(500)(500')으로 유도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결브라켓(130)의 저면에는 수직안내관(150)의 선단과 수평안내관(140)의 끝단 사이로 노출되는 전원선이 삽입되기 위한 전선수용홈(133)을 형성하여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테이블의 설치 바닥면으로부터 인출되는 외부 전원선은 상기 수직안내관(150)의 내부를 통해 상향 인출되고 상기 전선수용홈(133)의 내부를 경유하여 상기 수평안내관(140)의 내부 및 덕트지지대(300)(300')의 내부를 통해 상판(500)(500')까이 완벽하게 은폐된 상태로 도달할 수 있을 것이므로, 결국 상기 전원선은 전혀 노출되지 않은 상태로 상판(500)(500') 내 콘센트 매입함으로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도 9의 도시와 같이 실내 바닥면에 콘센트 함이 마련된 경우이거나 실내 벽체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선은 상기 사이드지지체(100)(100')의 수평안내관(140)과 수직안내관(150)을 통하거나, 미들지지체(200)(200')의 받침지지각(220) 내부를 통해 덕트지지대(300)(300')의 내부를 따라 상판(500)(500')에 은폐 상태로 도달할 수 있으므로 상기의 전원선이 전혀 드러나지 아니하여 테이블의 외관이 매우 간결하고 미려한 것이고, 테이블의 사용 과정에서도 발이나 물품에 전원선이 걸려 불필요한 사고 혹은 전원 단락 등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테이블 구조체는 도 10 및 도 11의 도시와 같이 다양한 크기로 가변 제작될 수 있는 것은 물론 분할된 상판(500)(500')에 의해 자연스럽게 개인별 사용 구역이 구획될 수 있을 것이고, 필요에 따라서는 1인이 넓은 면적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테이블의 하부에 대한 간섭없이 편리한 사용이 가능한 것이므로 다인용은 물론 1인용 테이블 구조체로 호환 가능한 것이다.
이때, 미들지지체(200)(200')의 받침지지각(220)은 받침지지대(210)의 전체 길이 대비 평면상 1/3 이내의 길이를 갖고 받침지지대(210)의 하부 중앙에 고정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테이블의 사용 과정에서 양측 사용자의 의자가 상기 받침지지각(220)과 간섭없이 테이블의 횡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고, 테이블용 서랍장이나 다양한 수납장 역시 테이블의 하부를 통해 미들지지체(200)(200')와의 한 쌍의 사이드지지체(100)(100') 사이를 간섭없이 편리하게 이동 위치할 수 있어 더욱 사용상의 편리함이 뛰어난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의 테이블 구조체는 견고한 고정력과 우수한 설치 안정성은 물론 확장성이 뛰어나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이용할 수 있어 매우 효율적이고 편리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100' : 사이드지지체
110 : 수평지지대
120,120' : 지지각
130 : 연결브라켓 131 : 수평끼움부
132 : 수직끼움부 133 : 전선수용홈
140 : 수평안내관
150 : 수직안내관
200,200' : 미들지지체
210 : 받침지지대
220 : 받침지지각 221,221' : 수직각관
222,222' : 수직판재
300,300' : 덕트지지대 301,301' : 상단밀착부
302,302' : 측단밀착부
400,400' : 연결지지대 401,401' : 고정플랜지
500,500' : 상판

Claims (8)

  1. 수평지지대(110)의 양단에 지지각(120)(120')이 결합된 한 쌍의 사이드지지체(100)(100')와, 받침지지대(210)의 하측에 수직 방향으로의 받침지지각(220)이 결합되어 상기 사이드지지체(100)(100')의 사이에 위치하는 미들지지체(200)(200')로 구성되고, 상기 사이드지지체(100)(100')와 미들지지체(200)(200')는 별도 구비의 덕트지지대(300)(300')와 연결지지대(400)(400')에 의해 서로 연결 고정되어, 이들 사이드지지체(100)(100')와 미들지지체(200)(200') 및 덕트지지대(300)(300')와 연결지지대(400)(400') 상에 상판(500)(500')이 밀착 고정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한 쌍의 사이드지지체(100)(100') 사이에 위치하는 미들지지체(200)(200')의 개체수에 따라 상기 덕트지지대(300)(300')와 연결지지대(400)(400')를 이용한 사이드지지체(100)(100')와 미들지지체(200)(200')의 연결 고정 및 미들지지체(200)(200') 상호 간의 연결 고정에 의해 4인 내지 10인용 프레임 구조체가 완성되도록 구성하고, 이러한 프레임 구조체의 상측에 고정되는 상판(500)(500')은 상기 수평지지대(110)의 상면과 받침지지대(210)의 상면 및 덕트지지대(300)(300')의 상면과 연결지지대(400)(400')의 상면에 동시 밀착 고정되도록 구성한 구조보강 및 확장성이 뛰어난 테이블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미들지지체(200)(200')는 금속각관으로 된 받침지지대(210)와 금속각관 및 금속판재로 된 받침지지각(220)으로 구성되도록 하되, 상기 받침지지각(220)은 상기 받침지지대(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된 한 쌍의 수직각관(221)(221')과 이들 수직각관(221)(221')의 사이에 이격 고정된 수직판재(222)(222')로 구성되어, 테이블의 설치 바닥면으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선이 상기 수직판재(222)(222') 사이의 이격 공간 및 덕트지지대(300)(300')의 내부를 통해 상판(500)(500')으로 은폐 유도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보강 및 확장성이 뛰어난 테이블 구조체.
  2. 수평지지대(110)의 양단에 지지각(120)(120')이 결합된 한 쌍의 사이드지지체(100)(100')와, 받침지지대(210)의 하측에 수직 방향으로의 받침지지각(220)이 결합되어 상기 사이드지지체(100)(100')의 사이에 위치하는 미들지지체(200)(200')로 구성되고, 상기 사이드지지체(100)(100')와 미들지지체(200)(200')는 별도 구비의 덕트지지대(300)(300')와 연결지지대(400)(400')에 의해 서로 연결 고정되어, 이들 사이드지지체(100)(100')와 미들지지체(200)(200') 및 덕트지지대(300)(300')와 연결지지대(400)(400') 상에 상판(500)(500')이 밀착 고정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한 쌍의 사이드지지체(100)(100') 사이에 위치하는 미들지지체(200)(200')의 개체수에 따라 상기 덕트지지대(300)(300')와 연결지지대(400)(400')를 이용한 사이드지지체(100)(100')와 미들지지체(200)(200')의 연결 고정 및 미들지지체(200)(200') 상호 간의 연결 고정에 의해 4인 내지 10인용 프레임 구조체가 완성되도록 구성하고, 이러한 프레임 구조체의 상측에 고정되는 상판(500)(500')은 상기 수평지지대(110)의 상면과 받침지지대(210)의 상면 및 덕트지지대(300)(300')의 상면과 연결지지대(400)(400')의 상면에 동시 밀착 고정되도록 구성하며, 사이드지지체(100)(100')를 구성하는 수평지지대(110)와 지지각(120)(120')은 별도 구비의 연결브라켓(130)에 의해 서로 결합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연결브라켓(130)의 일측으로는 관체로 된 수평지지대(110)의 끝단 내측으로 삽입되게 한 수평끼움부(131)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연결브라켓(130)의 하측으로는 관체로 된 지지각(120)(120')의 선단 내측으로 삽입되게 한 수직끼움부(132)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연결브라켓(130)에 의해 수평지지대(110)와 지지각(120)(120')이 서로 간편 고정되도록 구성한 구조보강 및 확장성이 뛰어난 테이블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수평지지대(110)의 하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별도 구비의 수평안내관(140)을 밀착 고정하고, 상기 지지각(120)(120')의 일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별도 구비의 수직안내관(150)을 밀착 고정하여, 전원선이 테이블의 설치 바닥면으로부터 수직안내관(150)과 수평안내관(140)의 내부를 통한 은폐 상태에서 상판(500)(500')으로 유도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연결브라켓(130)의 저면에는 수직안내관(150)과 수평안내관(140) 사이의 전원선이 삽입되기 위한 전선수용홈(133)을 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보강 및 확장성이 뛰어난 테이블 구조체.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200138880A 2020-10-26 2020-10-26 구조보강 및 확장성이 뛰어난 테이블 구조체 KR1022187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8880A KR102218709B1 (ko) 2020-10-26 2020-10-26 구조보강 및 확장성이 뛰어난 테이블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8880A KR102218709B1 (ko) 2020-10-26 2020-10-26 구조보강 및 확장성이 뛰어난 테이블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8709B1 true KR102218709B1 (ko) 2021-02-24

Family

ID=74689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8880A KR102218709B1 (ko) 2020-10-26 2020-10-26 구조보강 및 확장성이 뛰어난 테이블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870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19413A (ja) * 2006-11-15 2008-05-29 Kokuyo Co Ltd テーブル
KR200445448Y1 (ko) 2007-11-27 2009-07-30 주식회사 보루네오가구 테이블의 다리구조
KR101379283B1 (ko) 2013-08-26 2014-03-28 주식회사 코아스 다리 및 이를 구비한 테이블
JP2015104584A (ja) * 2013-11-29 2015-06-08 株式会社イトーキ 組立式デスク
KR101793154B1 (ko) * 2017-03-16 2017-11-03 주식회사 월드퍼니처 전동식 높낮이 조절 책상의 지지구조
KR102057842B1 (ko) * 2019-08-08 2019-12-20 부호체어원(주) 미노출 구조 기반의 3방향 테이블 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19413A (ja) * 2006-11-15 2008-05-29 Kokuyo Co Ltd テーブル
KR200445448Y1 (ko) 2007-11-27 2009-07-30 주식회사 보루네오가구 테이블의 다리구조
KR101379283B1 (ko) 2013-08-26 2014-03-28 주식회사 코아스 다리 및 이를 구비한 테이블
JP2015104584A (ja) * 2013-11-29 2015-06-08 株式会社イトーキ 組立式デスク
KR101793154B1 (ko) * 2017-03-16 2017-11-03 주식회사 월드퍼니처 전동식 높낮이 조절 책상의 지지구조
KR102057842B1 (ko) * 2019-08-08 2019-12-20 부호체어원(주) 미노출 구조 기반의 3방향 테이블 지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46687B2 (ja) 電力分配部を有するモジュラー什器ユニット
US10039374B2 (en) Multi-tiered workstation assembly
US20160255957A1 (en) Desk apparatus
KR102218709B1 (ko) 구조보강 및 확장성이 뛰어난 테이블 구조체
US9770112B2 (en) Chair and furniture set with the chair
KR102218706B1 (ko) 구조 보강 및 전선 은폐구조의 싱글 테이블
JP3913511B2 (ja) 枠構造体、及び枠構造体と机
US20180255921A1 (en) Multi-tiered workstation assembly
JP3685022B2 (ja) パネル付きデスク
JP7320916B2 (ja) ソファシステム
US7694924B2 (en) Support assembly for work surface
KR101830369B1 (ko) 책상몸체 프레임
JP7471050B2 (ja) 昇降テーブル
JP7343292B2 (ja) 什器システム及び天板付什器
KR200485770Y1 (ko) 책상용 프레임
JP6221353B2 (ja) 天板付家具
JP6641621B2 (ja) 天板昇降式什器
JP7002715B1 (ja) 金属フレーム構造体
CN210184930U (zh) 一种组合会议台
JP2014236789A5 (ko)
JP7119316B2 (ja) テーブル
JP2881676B2 (ja) フレキシブルテーブル
JP4528554B2 (ja) 補助テーブル付テーブルシステム
JP2024003307A (ja) 金属フレーム構造体
JP2014236789A (ja) 脚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テーブ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