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8458B1 - 차량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8458B1
KR102218458B1 KR1020140010032A KR20140010032A KR102218458B1 KR 102218458 B1 KR102218458 B1 KR 102218458B1 KR 1020140010032 A KR1020140010032 A KR 1020140010032A KR 20140010032 A KR20140010032 A KR 20140010032A KR 102218458 B1 KR102218458 B1 KR 1022184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level
area
lane departure
departure war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0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9428A (ko
Inventor
최재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40010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8458B1/ko
Publication of KR20150089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94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8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84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0Path keeping
    • B60W30/12Lane kee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40/09Driving style or behaviou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3Alar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30Driving sty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10Path keeping
    • B60Y2300/12Lane kee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운전자의 주행 패턴을 감지해 주행 패턴에 따른 위험 레벨을 판단하고, 위험 레벨에 따라 운전자에게 위험 정도를 경고하는 차선유지 보조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선유지 보조장치의 제어 방법은, 차량의 주행 패턴을 감지하고, 감지된 주행 패턴에 대응하는 위험 레벨을 판단하고, 위험 레벨에 대응하는 차선 이탈 경고 영역을 설정하고, 차량이 차선 이탈 경고 영역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되면 경고 메세지를 출력하는 것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제어 방법. { Control method of vehicle }
본 발명은 차량 제어 방법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행 중인 차량의 주행 패턴을 이용하여 차선 이탈 경고 영역을 재설정하는 차선유지 보조장치의 안전성 확보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차선유지 보조 시스템(LKAS : Lane Keeping Assist System)은 차량에 장착된 차선검출 카메라로부터 차선 정보 및 차량 위치정보를 제공받아 차량이 차선을 이탈하지 않도록 조향토크를 발생하여 차량의 주행을 보조하는 시스템이다.
일반적으로 차선유지 보조 시스템은 의도하지 않은 차선 이탈을 감지하여 차선 유지를 위한 제어를 하게 된다.
그러나 기존의 차선유지 보조 시스템은 운전자가 졸음 운전 및 전방 상황에 둔감하게 반응할 경우 잦은 지그재그 주행 및 위험 사고 상황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늦은 경고 및 제어로 인해 사고 상황에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운전자의 주행 패턴을 감지해 주행 패턴에 따른 위험 레벨을 판단하고, 위험 레벨에 따라 운전자에게 위험 정도를 경고하는 차선유지 보조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선유지 보조장치의 제어 방법은, 차량의 주행 패턴을 감지하고, 감지된 주행 패턴에 대응하는 위험 레벨을 판단하고, 위험 레벨에 대응하는 차선 이탈 경고 영역을 설정하고, 차량이 차선 이탈 경고 영역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되면 경고 메세지를 출력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위험 레벨에 대응하는 차선 이탈 경고 영역을 설정하는 것은, 위험 레벨이 제 1 레벨이면 제 1 영역을 차선 이탈 경고 영역으로 설정하고 위험 레벨이 제 2 레벨이면 제 2 영역을 차선 이탈 경고 영역으로 설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선 이탈 경고 영역을 설정하는 것은, 차선 주위의 도로 영역을 차선 이탈 경고 영역으로 설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위험 레벨에 대응하는 차선 이탈 경고 영역을 설정하는 것은 적어도 하나의 차선 이탈 경고 영역을 설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주행 패턴을 감지하는 것은, 운전자의 연속 운행 시간 및 좌/우 차선 정보를 이용해 차량의 주행 패턴을 감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감지된 주행 패턴에 대응하는 위험 레벨을 판단하는 것은, 차량의 연속 운전으로 인한 운전자의 졸음 레벨을 판단하는 것 및 야간 운전으로 인한 상황 반응 레벨을 판단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경고 메세지를 출력한 후, 설정된 위험 레벨에 대응하는 위험 레벨 리셋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설정된 위험 레벨에 대응하는 위험 레벨 리셋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제 1 시간 차량의 정차 또는 제 2 시간 엔진의 동작을 감지하여 설정된 위험 레벨에 대응하는 위험 레벨 리셋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개시된 발명에 의한 차선유지 보조장치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야간 운전 및 장거리 운행 중 운전자의 주행 패턴에 근거한 위험 정도를 경고하여 차량 제어의 안전성 및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위험 레벨에 따라 운전자에게 위험 정도를 경고하여 차량 제어의 안전성 및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의 제어 블록도 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의 제어 순서도 이다.
도 3은 위험 레벨에 따른 차선 이탈 경고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 및 2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을 사용한 경우 차량의 거동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의 제어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 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개시된 발명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은 차선검출 카메라를 이용해 운전자의 주행 패턴을 감지하고, 이에 근거해 차선이 유지되도록 차량을 제어하는 차량 제어 방법에 관한 발명으로, 이하 개시된 발명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은 차량의 주행 패턴을 감지하고, 감지된 주행 패턴에 대응하는 위험 레벨을 판단하고, 위험 레벨에 대응하는 차선 이탈 경고 영역을 설정하고, 차량이 차선 이탈 경고 영역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되면 경고 메세지를 출력하는 것을 포함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은 주행 패턴 감지부(110), 제어부(120) 및 알람부(130)를 포함하고, 주행패턴 감지부(110)는 차선검출 카메라와 주행시간 감지부(114)를 포함한다.
차선검출 카메라는 차량에 장착되어 차량이 주행 중인 도로에서의 차량 위치 오차, 차선의 곡률, 차선과 이루는 자세 각 정보 등을 감지한다. 여기서 위치 오차는 차선검출 카메라를 기준으로 차선 중앙과 떨어져 있는 거리를 의미하고, 차선의 곡률은 현재의 차선 검출 카메라의 위치에서 차선의 곡률을 의미하고, 자세각은 차량의 진행방향이 차선과 이루는 각도를 의미한다.
주행시간 감지부(114)는 차량의 운전 주행 시간을 카운트한다.
제어부(120)는 주행패턴 감지부(110)로부터 차량이 주행중인 도로에서 차량의 주행 패턴을 검출하고, 검출된 주행 패턴에 대응하는 위험 레벨을 판단하고, 위험 레벨에 대응하는 차선 이탈 경고 영역을 설정하고, 차량이 차선 이탈 경고 영역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되면 경고 메세지를 출력하도록 알람부(130)를 제어한다. 이하 관련 부분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알람부(130)는 차량이 차선 이탈 경고 영역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되면 운전자에게 경고 메세지를 출력한다.
이하, 제어부(120)의 제어 과정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의 제어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제어 방법은 차량의 주행 패턴을 검출하고(210), 검출된 주행 패턴에 대응하는 위험 레벨을 판단하고(220), 위험 레벨에 대응하는 차선 이탈 경고 영역을 설정하고(240), 차량이 차선 이탈 경고 영역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되면 경고 메세지를 출력(250)하는 것을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 차량의 주행 패턴을 검출하는 것은 운전자의 연속 운행 시간 및 좌/우 차선 정보를 이용해 차량의 주행 패턴을 감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210).
차량의 주행 패턴이 검출되면, 검출된 주행 패턴에 대응하는 위험 레벨을 판단한다. 검출된 주행 패턴에 대응하는 위험 레벨을 판단하는 것은 차량의 연속 운전으로 인한 운전자의 졸음 레벨을 판단하는 것 및 야간 운전으로 인한 상황 반응 레벨을 판단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일 예에 따른 위험 레벨을 판단하는 것은 차량의 연속 운전 시간이 길면 운전자의 졸음 레벨이 높은 것으로 판단하고, 주위의 밝기가 어두우면 상황 반응 레벨이 낮은 것으로 판단한다. 이는 주위의 밝기에 따라 돌발 상황에 따른 대응이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며, 이에, 야간에는 주위의 밝기가 어두우므로 상황 반응 레벨이 낮은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아울러, 초기 설정에 따라 졸음 레벨 및 상황 반응 레벨이 달리 판단될 수 있다(220).
위험 레벨을 판단해, 위험 레벨에 도달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계속해서 위험 레벨을 판단하고, 위험 레벨에 도달한 것으로 판단되면 위험 레벨에 따른 차선 이탈 경고 영역이 설정된다(230, 240).
보다 상세하게, 차선 이탈 경고 영역을 설정하는 것은 도로 중심선을 기준으로 도로 중심선을 포함하는 영역을 차선 이탈 경고 영역으로 설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도로 중심선을 기준으로 차선 주위의 도로 영역을 차선 이탈 경고 영역으로 설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도로 중심선을 기준으로 차선 주위의 도로 영역을 차선 이탈 경고 영역으로 설정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위험 레벨에 따른 차선 이탈 경고 영역(S1, S2, S3)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 3을 참조하여 위험 레벨에 따른 차선 이탈 경고 영역(S1, S2, S3)의 설정 과정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차선 이탈 경고 영역(S1, S2, S3)을 설정하는 것은, 위험 레벨이 높으면 차선 이탈 경고 영역(S1, S2, S3)을 넓게 설정하고, 위험 레벨이 낮으면 차선 이탈 경고 영역(S1, S2, S3)을 좁게 설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100) 제어 방법에서 위험 레벨에 대응하는 차선 이탈 경고 영역(S1, S2, S3)을 설정하는 것은, 위험 레벨이 제 1 레벨이면 제 1 영역(S1)을 차선 이탈 경고 영역(S1, S2, S3)으로 설정하고, 위험 레벨이 제 2 레벨이면 제 2 영역(S2)을 차선 이탈 경고 영역(S1, S2, S3)으로 설정하고, 위험 레벨이 제 3 레벨이면 제 3 영역(S3)을 차선 이탈 경고 영역(S1, S2, S3)으로 설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초기 설정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경고 영역이 설정될 수 있으며, 이하 제 1 영역(S1), 제 2 영역(S2) 및 제 3 영역(S3)이 차선 이탈 경고 영역(S1, S2, S3)으로 설정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제 1 레벨은 위험 레벨이 가장 높은 경우의 레벨을 의미하고, 제 2 레벨은 위험 레벨이 보통인 경우의 레벨을 의미하고, 제 3 레벨은 위험 레벨이 매우 낮은 경우의 레벨을 의미한다. 보다 상세하게, 제 1 레벨은 장시간(초기 설정에 따라3시간 이상) 주행하여 졸음도가 높게 설정되는 경우의 레벨이며, 제 2 레벨은 중시간(초기 설정에 따라 1시간 이상 3시간 미만 ) 주행하여 졸음도가 중간 정도인 경우 설정되는 레벨이며, 제 3 레벨은 단시간(초기 설정에 따라1시간 미만) 주행하여 졸음도가 매우 낮은 경우 설정되는 레벨일 수 있다.
제 1 영역(S1)은 위험 레벨이 제 1 레벨인 경우의 위험 설정 영역으로, 위험한 경우 차량(100)의 불규칙한 주행에 민감하게 반응할 필요가 있으므로 제 1 영역(S1)은 가장 넓게 설정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1 영역(S1)은 L1 라인으로부터 L4 라인을 경계로 설정되는 영역일 수 있다.
제 2 영역(S2)은 위험 레벨이 2인 경우의 위험 설정 영역으로, 제 2 영역(S2)은 제 1 영역(S1)보다 좁게 설정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 따른 제 2 영역(S2)은 L2 라인으로부터 L4 라인을 경계로 설정되는 영역일 수 있다.
제 3 영역(S3)은 위험 레벨이 제 3 레벨인 경우의 위험 설정 영역으로, 운전자의 졸음도 및 상황 반응 레벨이 정상인 경우 일반적인 경고 영역인 바 가장 좁게 설정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 2 영역(S2)은 L3 라인으로부터 L4 라인을 경계로 설정되는 영역일 수 있다.
차선 이탈 경고 영역(S1, S2, S3)이 제 1 영역(S1) 내지 제 3 영역(S3)으로 설정되고, 차량(100)이 주행 중 차선 이탈 경고 영역(S1, S2, S3)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되면 경고 메세지가 출력된다.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따른 차량(100) 제어 방법을 사용한 경우 차량(100)의 거동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4를 참조해 차량(100)의 차선 이탈 경고 영역(S1, S2, S3) 진입에 따른 경고 메세지 출력 방식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차량(100)이 A위치에서 주행하는 경우 이는 안전 영역(S0) 범위 내의 주행으로 모든 위험 레벨에서 어떠한 경고 메세지도 출력되지 않는다.
차량(100)이 L1 라인을 이탈해 B 위치에서 주행하는 경우, 위험 레벨에 따라 경고 메세지의 출력 여부가 결정된다. 보다 상세하게, 위험 레벨이 제 1 레벨이면 위험도가 높은 경우인 바 운전자에게 경고 메세지가 출력된다. 위험 레벨이 제 2 레벨 또는 제 3 레벨이면 상대적으로 제 1 레벨에 비해 위험도가 낮은 경우로 운전자에게 경고 메세지가 출력되지 않는다.
차량(100)이 L2 라인을 이탈해 C 위치에서 주행하는 경우, 위험 레벨에 따라 경고 메세지의 출력 여부가 결정된다. 보다 상세하게, 위험 레벨이 제 1 레벨 또는 제 2 레벨이면 운전자에게 경고 메세지가 출력된다. 위험 레벨이 제 3 레벨이면 상대적으로 제 1 레벨 또는 제 2 레벨에 비해 위험도가 낮은 경우로 운전자에게 경고 메세지가 출력되지 않는다.
차량(100)이 L3 라인을 이탈해 D 위치에서 주행하는 경우, 이는 차선을 이탈한 경우로 모든 레벨에서 경고 메세지가 출력된다.
도 5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100) 제어 방법의 제어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100) 제어 방법은 도 2에 도시된 과정 외에 위험 레벨에 따른 차선 이탈 경고 영역(S1, S2, S3) 재설정 과정(300) 및 위험 레벨 리셋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3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위험 레벨에 따른 차선 이탈 경고 영역(S1, S2, S3)이 설정된 후 설정된 차선 이탈 경고 영역(S1, S2, S3)에 차량(100)이 진입하면 경고 메세지가 출력된다(240, 250).
경고 메세지가 출력되고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위험 레벨 별 차선 이탈 경고 영역(S1, S2, S3)이 재설정된다(300).
이에 따라 차량(100)은 일정 시간 동안 정차하거나, 안전 영역(S0)으로 진입할 수 있다. 차량(100)이 일정 시간 동안 정차하거나 안전 영역(S0)으로 진입하면 차량(100)의 정차 또는 엔진의 동작을 감지하여 위험 레벨 리셋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위험 레벨 리셋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제 1 시간 차량(100)의 정차 또는 제 2 시간 엔진의 동작을 감지하여 설정된 위험 레벨에 대응하는 위험 레벨 리셋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위험 레벨 리셋 여부를 판단해 위험 상황을 이탈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되면 위험 레벨 별 차선 이탈 경고 영역(S1, S2, S3)이 재설정된다(300, 310).
위험 레벨 리셋 여부를 판단해 위험 상황을 이탈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 과정이 종료된다(310).
개시된 발명의 차량(100) 제어 방법은 전술한 제어 과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술한 제어 과정 외에 당업자가 용이하게 생각할 수 있는 범위 내의 제어 과정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넓게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차량
110 : 주행 패턴 감지부
112 : 차선 검출 카메라
114 : 주행 시간 감지부
120 : 제어부
130 : 알람부
S0 : 안전 영역
S1, S2, S3 : 차선 이탈 경고 영역

Claims (8)

  1. 차량의 주행 패턴을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주행 패턴에 대응하는 위험 레벨을 판단하고,
    상기 위험 레벨에 대응하는 차선 이탈 경고 영역을 설정하되, 상기 위험 레벨이 제 1 레벨이면 제 1 영역을 차선 이탈 경고 영역으로 설정하고 위험 레벨이 제 2 레벨이면 상기 제 1 영역보다 좁은 제 2 영역을 차선 이탈 경고 영역으로 설정하고,
    상기 차량이 차선 이탈 경고 영역에 진입한 것으로 판단되면 경고 메세지를 출력하고,
    상기 차량의 주행 중에 상기 경고 메세지가 출력되고, 일정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위험 레벨 별 상기 차선 이탈 경고 영역을 재설정하는 차량 제어 방법.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선 이탈 경고 영역을 설정하는 것은,
    차선 주위의 도로 영역을 차선 이탈 경고 영역으로 설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제어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험 레벨에 대응하는 차선 이탈 경고 영역을 설정하는 것은 적어도 하나의 차선 이탈 경고 영역을 설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제어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차량의 주행 패턴을 감지하는 것은,
    운전자의 연속 운행 시간 및 좌/우 차선 정보를 이용해 차량의 주행 패턴을 감지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제어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된 주행 패턴에 대응하는 위험 레벨을 판단하는 것은,
    야간 운전으로 인한 상황 반응 레벨을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제어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 메세지를 출력한 후,
    상기 설정된 위험 레벨에 대응하는 위험 레벨 리셋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제어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위험 레벨에 대응하는 위험 레벨 리셋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제 1 시간 차량의 정차 또는 제 2 시간 엔진의 동작을 감지하여 상기 설정된 위험 레벨에 대응하는 위험 레벨 리셋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 제어 방법.
KR1020140010032A 2014-01-28 2014-01-28 차량 제어 방법. KR1022184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0032A KR102218458B1 (ko) 2014-01-28 2014-01-28 차량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0032A KR102218458B1 (ko) 2014-01-28 2014-01-28 차량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9428A KR20150089428A (ko) 2015-08-05
KR102218458B1 true KR102218458B1 (ko) 2021-02-22

Family

ID=53885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0032A KR102218458B1 (ko) 2014-01-28 2014-01-28 차량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845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36756A (ja) * 2008-08-06 2010-02-18 Fuji Heavy Ind Ltd 車線逸脱防止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5835B1 (ko) * 2009-02-19 2011-11-23 심주현 중앙선 침범에 따른 차량 충돌 예방 시스템 및 방법
KR101041636B1 (ko) * 2010-11-01 2011-06-17 한원흠 적외선 센서 안경
KR101360440B1 (ko) * 2012-07-06 2014-02-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차선 유지 제어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36756A (ja) * 2008-08-06 2010-02-18 Fuji Heavy Ind Ltd 車線逸脱防止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9428A (ko) 2015-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43650B2 (en) Lane change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US9619721B2 (en) Monitoring a degree of attention of a driver of a vehicle
US7532981B2 (en) Vehicle departure detecting device
KR101502197B1 (ko) 차량의 충돌을 피하거나, 충돌의 피해를 줄이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5831624B2 (ja) 意識低下判定システム
JP5858149B2 (ja) 蛇行判定装置
JP2010125923A (ja) 緊急退避装置
EP3127102B1 (en) Driver assistance system including warning sensing by vehicle sensor mounted on opposite vehicle side
US20190263410A1 (en) Driver support method for a vehicle
JP2009116527A (ja) 車両用障害物検出装置
US20180022385A1 (en) Method and device for monitoring a steering action of a driver of a vehicle
JP2006331323A (ja) 車両逸脱警報装置
JP2015162228A (ja) 車両用制御装置
JP2017510491A (ja) 道路逸脱防止システム
KR20120135697A (ko) 차량의 차선 이탈 경고 및 차선 유지 지원 시스템 그리고 그 제어방법
KR20180124381A (ko) 운전자의 상태 판단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99490B1 (ko) 차선 유지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218458B1 (ko) 차량 제어 방법.
CN106043310B (zh) 在车辆中的用于在有潜在危险时警告驾驶员的警告单元
KR102231109B1 (ko) 차량용 차선 유지 보조 장치 및 차선 유지 보조 방법
KR20150051678A (ko) Lkas와 카메라를 이용한 차량 사고 방지 장치 및 방법
JP6354745B2 (ja) ウインカの制御装置
KR20180024479A (ko) 전방 차량과의 거리 표시장치
KR101326551B1 (ko) 방향지시등 오조작 경고장치
KR102485479B1 (ko) 자동 차선 변경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