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8061B1 - 진공 단열재용 필름 - Google Patents

진공 단열재용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8061B1
KR102218061B1 KR1020140135222A KR20140135222A KR102218061B1 KR 102218061 B1 KR102218061 B1 KR 102218061B1 KR 1020140135222 A KR1020140135222 A KR 1020140135222A KR 20140135222 A KR20140135222 A KR 20140135222A KR 102218061 B1 KR102218061 B1 KR 1022180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ilm
epoxy resin
protective layer
rub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5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2299A (ko
Inventor
김진영
김종원
Original Assignee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5/00652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6003116A1/ko
Publication of KR20160002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22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80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80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9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Coating with two or more layers, where at least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s a polymer binder
    • C08J7/0423Coating with two or more layers, where at least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s a polymer binder with at least one layer of inorganic material and at least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mer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7Amine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19/00Synthetic rub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63/00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21/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6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epoxy resins; Derivatives of epoxy resi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공 단열재용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고온 다습의 환경에서 내구성 및 장기 안정성이 뛰어나며, 단열성, 가스차단성 및 수분차단성이 우수한 진공 단열재용 필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진공 단열재용 필름{Film for vacuum heat insulating material}
본 발명은 진공 단열재용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고온 다습의 환경에서 내구성 및 장기 안정성이 뛰어나며, 단열성, 가스차단성 및 수분차단성이 우수한 진공 단열재용 필름에 관한 것이다.
진공 단열재는 내부를 진공 처리함으로써 단열재 내부의 대류 현상을 차단시켜 우수한 단열성능을 나타내는 소재이다. 이러한 진공 단열재는 유리섬유 또는 실리카로 된 패널이 적층되고 그 사이에 진공으로 형성되는 코어재와 상기 코어재의 진공을 유지하기 위하여 코어재를 감싸서 밀봉하는 밀봉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밀봉부재는 통상 알루미늄 호일과 고분자 필름이 적층된 다층 필름 구조를 가지며, 내부 고진공과 외부 대기압을 1차적으로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하여 진공 단열재 내부의 고진공 상태를 유지시킴으로써 진공 단열재의 장기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밀봉부재는 일반적으로 보호층, 차단층 및 열융착층으로 이루어지며, 보호층으로는 나일론(Nylon)이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를, 차단층으로는 알루미늄 (Aluminum) 금속을, 열융착층으로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을 사용하여 단열 성능을 발현하고, 습기와 가스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진공 단열재는 제품의 이송이나 적용 시 외부 충격에 쉽게 크랙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크랙으로 단열성능 및 가스 차단성이 저하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2-0033165호에는 알루미늄 호일을 폴리이미드 필름에 적층한 냉장고용 진공 단열재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진공 단열재는 고온에서의 장기 내구성을 높일 수 있으나, 단열 성능 및 가스 차단성 개선 효과가 미미하며, 크랙 발생에 따른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는 고분자 필름 상에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을 코팅 시 다량의 핀홀이 발생되거나, 금속 적층에 따른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외부 충격에 의한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지 않으면서 단열 성능 및 가스 차단성을 높일 수 있으며, 특히, 고분자 필름 상에 금속 증착 시 발생할 수 있는 핀홀을 방지할 수 있는 진공 단열재용 필름에 대한 연구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2012-0033165호(2012.04.0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단열 성능을 향상시키고, 금속 증착에 따른 핀홀 발생으로 인한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갖고 있어 내구성 및 장기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진공 단열재용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금속 증착으로 형성된 금속층이 다층으로 구비 시 발생할 수 있는 열교(heat bridge) 현상을 방지하는 것과 동시에 수분 차단성 및 가스 차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진공 단열재용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재필름, 상기 기재필름 상에 금속층, 제1 보호층 및 제2 보호층을 적층한 금속차단층을 포함하며, 상기 금속차단층의 상부에 접착층 및 열융착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하되,
기재필름의 일면에 형성된 금속층 또는 상기 금속층의 반대면의 기재필름 상에 제1 보호층 및 제2 보호층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층을 일층 또는 다층으로 적층하며, 상기 일면에 금속층을 형성한 기재필름을 단층으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단열재용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단열재용 필름에 있어서, 상기 제 1 보호층은 에폭시수지, 경화제 및 용매를 포함하는 제 1 수지 조성물을 코팅 및 건조하여 형성한 것이고, 제 2 보호층은 합성고무와 용매를 포함하는 제 2 수지 조성물을 코팅 및 건조하여 형성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단열재용 필름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수지는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F형 에폭시 수지,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고리지방족 에폭시 수지, 다관능형 아민 에폭시 수지, 글리시딜아민형 에폭시 수지, 다이머산 변성 에폭시 수지, 고무 변성 에폭시 수지, 우레탄 변성 에폭시 수지, 브롬화 에폭시 수지, 브롬화 페녹시 에폭시 수지,하이드리지네이티드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및 폴리올 변성 에폭시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단열재용 필름에 있어서, 상기 경화제는 지방족 아민, 변성 아민, 방향족 아민, 3급 아민 및 폴리아민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아민계 경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단열재용 필름에 있어서, 상기 경화제는 에폭시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70 ~ 250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단열재용 필름에 있어서, 상기 합성고무는 스티렌-부타디엔고무(styrene butadien rubber), 폴리클로로프렌고무(polychloroprene rubber), 니트릴고무(acrylonitrile-butadiene rubber), 부틸고무(isoprene-isobutylene rubber), 부타디엔고무(butadiene rubber), 이소프렌고무(isoprene rubber), 에틸렌프로필렌고무(ethylene propylene rubber), 다황화물계 고무(polysulfide rubber), 실리콘고무(silicone rubber), 플루오로고무(fluororubber), 우레탄고무(urethane rubber), 아크릴고무(acrylic rubber)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단열재용 필름에 있어서, 상기 기재필름은 두께가 1 ~ 200㎛이고, 열가소성 고분자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단열재용 필름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은 금속 산화물을 증착하여 형성된 것으로, 두께가 100nm이하, 바람직하게는 20 ~ 50n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단열재용 필름에 있어서, 상기 제 1 보호층은 건조도포두께가 1 ~ 10㎛이고, 제 2 보호층은 건조도포두께가 1 ~ 5㎛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단열재용 필름은 38± 2℃ 및 90± 5% 상대 습도에서 0.01g/㎡/day 이하의 WVTR(Water vapor transmission rate), 23± 2℃에서 0.001cc/㎡/day 이하의 OTR(Oxygen Transmission Rate)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단열재용 필름은 단열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과 동시에 금속 증착에 따른 핀홀 발생에 따른 성능 저하를 방지하고, 내충격성, 내열성, 내한성, 내스크래치성 및 유연성의 기계적 물성의 상승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금속층에 의한 열교(heat bridge)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수분 차단성 및 가스 차단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우수한 기계적 물성 및 장기 내구성으로 제품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내지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단열재용 필름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진공 단열재용 필름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단열재용 필름은 기재필름, 상기 기재필름 상에 금속층, 제1 보호층 및 제2 보호층을 적층한 금속차단층을 포함하며, 상기 금속차단층의 상부에 접착층 및 열융착층을 순차적으로 적층하되,
기재필름의 일면에 형성된 금속층 또는 상기 금속층의 반대면의 기재필름 상에 제1 보호층 및 제2 보호층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층을 일층 또는 다층으로 적층하며, 상기 일면에 금속층을 형성한 기재필름을 단층으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각 구성성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1) 기재필름
상기 기재필름은 열가소성 고분자 필름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기재필름의 바람직한 일예로, 에틸렌, 프로필렌, 부텐 등의 단독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 고리형 폴리올레핀 등의 비정질 폴리올레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6, 나일론 66, 나일론 12, 공중합 나일론 등의 폴리아미드,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부분 가수 분해물 (EVOH),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설폰, 폴리에테르설폰,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비닐부티랄, 폴리아릴레이트, 불소 수지, 아크릴레이트 수지, 생분해성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물성 및 비용 등을 고려하여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이미드, 나일론,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고분자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기재필름은 금속층과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우레탄계 화합물, 아크릴계 화합물 및 에스테르 화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프라이머로 처리하거나 코로나 처리한 것을 사용하면 더욱 좋다.
상기 기재필름은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원료 수지를 압출기에 의해 용융하고, 고리형 다이나 T 다이에 의해 압출하여, 급냉시킴으로써 무정형으로 배향되지 않은 미연신 필름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일축 또는 이축으로 배향 연신된 필름으로 제조된 것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다층 다이를 사용하여, 1 종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단층 필름, 1 종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다층 필름, 다종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다층 필름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기재필름은 필요에 따라 대전 방지제, 광선 차단제, 자외선 흡수제, 가소제, 활제, 필러, 착색제, 안정제, 윤활제, 가교제, 블로킹 방지제, 산화 방지제 등의 첨가제를 포함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서 기재필름의 두께는 제한되지는 않지만 1 ~ 200㎛일 수 있으며, 단열 성능, 기계적 물성과 동시에 가스 및 수분 차단성능 등의 면에서 바람직하게는 5 ~ 50㎛일 수 있다. 또한, 가공성 및 작업성을 위하여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15㎛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2) 금속차단층
본 발명에서 금속차단층은 기재필름 상에 형성된다. 상기 금속차단층은 금속층, 제1 보호층 및 제2 보호층을 포함하여 이들 적층체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상기 금속차단층이 기재필름 상에 형성된다는 것은 기재필름 일면에 금속차단층의 구성성분인 금속층이 적층되고, 금속층이 적층된 다른 일면에 제1 보호층 및 제2 보호층이 적층되거나, 상기 금속층 상부에 제1 보호층 또는 제2 보호층이 적층되고, 다른 일면에 제1 보호층 또는 제2 보호층이 적층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기재필름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상기 구성성분을 적층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제한하여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금속층은 금속 산화물을 증착하여 형성된 것으로, 산소 및 수증기와 같은 가스를 차단하며, 내부 진공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다른 구성성분과의 조합으로 가스 차단성 및 수분 차단성뿐만 아니라 내충격성, 내열성, 내한성, 내스크래치성 및 유연성의 상승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금속차단층은 둘 이상의 금속층을 포함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열교(heat bridge) 현상으로 인한 물성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서 금속층을 한층만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금속층은 제1 보호층 및 제2 보호층과 순서에 관계없이 적층되어 상기와 같은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금속차단층의 바람직한 일 양태는 기재필름 상에, 금속층, 제1 보호층 및 제2 보호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거나, 제1 보호층, 제2 보호층 및 금속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거나 제2보호층, 금속층 및 제1 보호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것일 수 있다.
이때, 금속층은 제한되지는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호일(aluminum foil)을 사용할 수 있다. 더욱 좋게는 알루미늄 산화물(AlOx, x= 2 ~3), 실리카 산화물(SiOx, x= 2 ~ 3) 등의 금속 산화물을 기재필름 상에 증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는 필요에 따라 증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에틸렌비닐알콜과 같은 소재를 사용하여 금속을 대체할 수 있으며, 금속층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금속층의 두께는 100nm이하, 바람직하게는 20 ~ 50nm일 수 있다. 가스 및 수분 차단 성능면에서 40 ~ 50nm의 두께인 것이 더욱 좋다. 상기 금속층의 두께가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열주름 등 필름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3) 보호층
본 발명에서 금속차단층은 금속층과 보호층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호층은 단열 성능 또는 가스 및 수분 차단 성능의 상승 효과를 구현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제1 보호층 및 제2 보호층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제1 보호층 및 제2 보호층을 포함하는 경우, 기재필름 상에 금속 증착 시 발생할 수 있는 핀홀에 의한 단열 또는 차단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열융착층과 조합하는 경우 필름의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더욱 좋다.
본 발명에서 보호층은 단열 및 차단 성능의 상승 효과를 위하여 더욱 바람직한 양태로 가스 차단성을 갖는 수지를 포함하는 제 1 보호층 및 수분 차단성을 갖는 수지를 포함하는 제 2 보호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제1 보호층 및 제2 보호층은 금속층과의 순서에 제한없이 적층될 수 있으며, 적층되는 보호층은 수는 제한되지는 않는다.
상기 제1 보호층 및 제2보호층은 두께가 두꺼워질수록, 각 보호층의 개수가 증가할수록 단열 및 가스 차단 성능을 상승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보호층은 건조도포두께가 1 ~ 10㎛인 것이 좋고, 더욱 좋게는 1~ 2㎛인 것이 내구성, 내충격성, 내열성, 내한성, 내스크래치성 및 유연성의 기계적 물성 상승면에서 선호된다. 이와 동시에 제 2 보호층은 건조도포두께가 1 ~ 5㎛, 더욱 좋게는 1~ 2㎛인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본 발명에서 목적으로 하는 수분차단성 및 가스차단성 향상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보다 바람직한 일 양태로 제1 보호층 및 제2 보호층이 상기 두께 범위를 만족하면서 단층인 경우 더욱 목적하는 효과의 우수성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1 보호층은 에폭시수지 수지, 경화제 및 용매를 포함하는 제1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성물은 통상의 유기 용매에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는 바람직하게는 에틸아세테이트 및 메탄올을 혼합한 혼합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에틸아세테이트 및 메탄올의 혼합중량비는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1 : 1 ~ 1 : 10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 : 5 ~ 1 : 7일 수 있다. 상기 제1 수지 조성물은 고형분 함량이 10 ~ 50중량%, 바람직하게는 30 ~ 40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1 보호층은 일 양태로, 상기 제 1 수지 조성물을 경화시켜 제조한 필름을 삽입하는 방법이나 금속차단층 상부에 도포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단열 및 가스 차단 특성을 포함하여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도포하여 형성하는 것이 좋다. 이는 기재필름에 금속층을 적층 시 또는 제품의 이송 등의 외부 노출 시 금속차단층의 상부 표면에 핀홀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필름 삽입보다는 조성물을 이용한 코팅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폭시계 수지는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F형 에폭시 수지,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고리지방족 에폭시 수지, 다관능형 아민 에폭시 수지, 글리시딜아민형 에폭시 수지, 다이머산 변성 에폭시 수지, 고무 변성 에폭시 수지, 우레탄 변성 에폭시 수지, 브롬화 에폭시 수지, 브롬화 페녹시 에폭시 수지,하이드리지네이티드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및 폴리올 변성 에폭시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에폭시계 수지는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족 화합물이나 지환식 화합물, 방향족 화합물 또는 복소환식 화합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방향족 관능기를 분자 내에 포함하는 에폭시 수지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메타크실릴렌디아민으로부터 유도된 글리시딜아민 부위를 갖는 에폭시 수지, 1,3-비스(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으로부터 유도된 글리시딜아민 부위를 갖는 에폭시 수지, 디아미노디페닐메탄으로부터 유도된 글리시딜아민 부위를 갖는 에폭시 수지, 파라아미노페놀로부터 유도된 글리시딜아민 부위 및/또는 글리시딜에테르 부위를 갖는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A에서 유도된 글리시딜에테르 부위를 갖는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F에서 유도된 글리시딜에테르 부위를 갖는 에폭시 수지, 페놀노볼락으로부터 유도된 글리시딜에테르 부위를 갖는 에폭시 수지 및 레조르시놀로부터 유도된 글리시딜에테르 부위를 갖는 에폭시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메타크실릴렌디아민으로부터 유도된 글리시딜아민 부위를 갖는 에폭시 수지, 1,3-비스(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으로부터 유도된 글리시딜아민 부위를 갖는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F에서 유도된 글리시딜에테르 부위를 갖는 에폭시 수지 및 레조르시놀로부터 유도된 글리시딜에테르 부위를 갖는 에폭시 수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폭시 수지는 다이머산(dimer acid) 변성 에폭시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다이머산 변성 에폭시 수지는 접착강도를 향상시켜 보호층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필름의 내구성, 유연성, 내충격성, 내열성 등의 기계적 물성의 상승효과를 발현시킬 수 있다. 상기 다이머산 변성 에폭시 수지는 다이머산 구조 중 하나 이상의 카르복실기와 다관능 에폭시 수지가 반응하여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경화제는 지방족 아민, 변성 아민, 방향족 아민, 3급 아민 및 폴리아민계 화합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아민계 경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아민계 경화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일예로, 에틸렌디아민, 디에틸렌트리아민, 트리에틸렌테트라민, 테트라에틸렌펜타민 등의 지방족 아민, 메타크실릴렌디아민, 파라크실릴렌디아민 등의 방향환을 갖는 지방족 아민, 1,3-비스(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 이소포론디아민, 노르보르넨디아민 등의 지환식 아민, 디아미노디페닐메탄, 메타페닐렌디아민 등의 방향족 아민을 들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경화제는 에폭시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70 ~ 25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00 ~ 250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 ~ 200중량부 함유할 수 있다. 상기 경화제의 함량이 70중량부 미만이면 경화속도가 느리며, 블록킹이 발생할 수 있으며, 250중량부 초과이면 경화속도가 빨라 가용시간이 짧고 공정성이 좋지 않으며, 점도가 상승할 수 있다.
상기 제1 수지 조성물은 제한되지는 않지만 점도가 1,000 ~ 3,000cP(25℃), 바람직하게는 1,500 ~ 2,500cP(25℃)인 것을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수지 조성물을 금속차단층의 금속층 상부에 코팅하여 형성함으로써 우수한 가스차단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제1 보호층의 두께는 5 ~ 10㎛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2 보호층은 합성고무와 용매를 포함하는 제2 수지 조성물을 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용매는 바람직하게는 합성고무를 용해할 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되지 않으며,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메틸사이클로헥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2 수지 조성물은 고형분 함량이 10 ~ 50중량%, 바람직하게는 10 ~ 20중량%인 범위에서 목적으로 하는 두께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2 보호층은 일 양태로, 상기 제 2 수지 조성물을 경화시켜 제조한 필름을 삽입하는 방법이나 금속차단층 상부에 도포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단열 및 가스 차단 특성을 포함하여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도포하여 형성하는 것이 좋다. 이는 기재필름에 금속층을 적층 시 또는 제품의 이송 등의 외부 노출 시 금속차단층의 상부 표면에 핀홀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필름 삽입보다는 조성물을 이용한 코팅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합성고무는 스티렌-부타디엔고무(styrene butadien rubber),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코폴리머(SBS, Styrene-Butadiene-Styrene block copolymer), 스티렌-이소플렌-스티렌 블록 코폴리머((SIS, Styrene-Isoprene-Styrene Block copolymer),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코폴리머((SEBS, Styrene-Ethylene-Butadiene-Styrene Block copolymer),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고무(EPDM, Ethylene propylene diene rubber), 폴리클로로프렌고무(polychloroprene rubber), 니트릴고무(acrylonitrile-butadiene rubber), 이소플렌이소부틸렌고무(isoprene-isobutylene rubber), 부타디엔고무(butadiene rubber), 이소프렌고무(isoprene rubber), 에틸렌프로필렌고무(ethylene propylene rubber), 다황화물계 고무(polysulfide rubber), 실리콘고무(silicone rubber), 플루오로고무(fluororubber), 우레탄고무(urethane rubber), 아크릴고무(acrylic rubber)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제2 수지 조성물은 제한되지는 않지만, 점도가 100 ~ 200cP(25℃), 보다 바람직하게는 점도가 120 ~ 180cP(25℃)인 범위인 것이 좋으며, 상기 제2 수지 조성물을 금속차단층의 금속층 상부에 코팅하여 형성함으로써 우수한 수분차단 특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제2 보호층의 두께는 1 ~ 5㎛일 수 있다.
(4) 접착층
본 발명에서 접착층은 금속차단층 및 열융착층를 적층하기 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접착제를 도포하여 형성하거나 접착성 필름을 열융착층과 금속차단층 사이에 적층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접착제로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계, 아크릴계 수지, 에테르계 수지, 페놀계 수지, 푸란계 수지, 우레아계 수지, 멜라민계 수지 등의 열경화형 접착제를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접착층은 박리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층간 접착 강도가 400 gf/inch 이상일 수 있다.
(5) 열융착층
본 발명에서 열융착층은 고온에서의 단열 성능을 부여하며, 가스 차단과 동시에 내부 진공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열융착층으로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직사슬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리형 폴리올레핀, 폴리프로필렌, 캐스팅 폴리프로필렌(Casting Polypropylene),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아이오노머 수지, 에틸렌-아크릴산에틸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말레산, 무수 말레산, 푸말산, 이타콘산, 그 외 등의 불포화 카르복실산으로 변성한 산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서 더욱 좋게는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 수지층(LLDPE)/에틸렌비닐알콜 수지층(EVOH)/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 수지층(LLDPE), EVOH/LLDPE/EVOH 또는 LLDPE/EVOH 등의 공압출 구조의 열융착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에틸렌비닐알콜 수지층은 두께를 증가시켜 가스 및 수분 차단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 수지층의 두께를 감소시켜 열융착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열융착층의 두께는 제한되지는 않지만 일예로 10 ~ 100㎛일 수 있으며, 상기 두께범위 내에서 우수한 단열성, 가스 및 수분 차단 성능을 구현하며, 내부 진공도를 향상시키고 비용 절감으로 인한 경제성이 뛰어나다.
상기 열융착층은 다층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일예로, 차단층에 접하는 부분은 접착성이 우수한 변성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 내지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단열재용 필름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부로부터 기재필름(100), 금속층(210), 제1 보호층(310) 및 제2 보호층(320)의 금속차단층(200), 상기 금속차단층(200)의 일면에 접착층(400) 및 열융착층(500)이 적층된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양태는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부로부터 기재필름(100), 제2 보호층(320) 및 금속층(210)의 금속차단층(200), 상기 금속차단층(200)의 일면에 접착층(400) 및 열융착층(500)이 적층된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양태는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상부로부터 기재필름(100), 제2 보호층(320), 제1 보호층(310) 및 금속층(210)의 금속차단층(200), 상기 금속차단층(200)의 일면에 접착층(400) 및 열융착층(500)이 적층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적층구조로 인하여 단열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과 동시에 금속 증착에 따른 핀홀 발생에 따른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내충격성, 내열성, 내한성, 내스크래치성 및 유연성의 기계적 물성의 상승효과를 구현할 수 있는 진공 단열재 필름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구나, 본 발명에 따른 진공 단열재 필름은 금속층에 의한 열교(heat bridge)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접착층의 사용을 현저히 줄여 접측층을 통해 유입될 수 있는 수분 및 가스를 차단함으로써 수분 차단성 및 가스 차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 단열재용 필름은 38± 2℃ 및 90± 5% 상대 습도에서 0.01g/㎡/day 이하의 WVTR(Water vapor transmission rate), 23± 2℃에서 0.001cc/㎡/day 이하의 OTR(Oxygen Transmission Rate)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을 위하여 일예를 들어 설명하는 바,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물성을 하기 방법으로 측정을 하였다.
(1) 산소 투과도
- 시험방법: ASTM D3985 (Standard Test Method for Oxygen Gas Transmission Rate Through Plastic Film and Sheeting Using a Coulometric Sensor)
- 시험기기: OX-TRAN Model 2/21 (미국 Mocon 社)
- 시험온도: (23± 2) ℃
- 측정범위: 0.05 ~ 2 000 (cm3/(m2· 24hr·atm))
- 가스배리어 평가
○ : 0.0005cc/㎡·day이하, 기타물성 만족
× : 0.0005cc/㎡·day이상, 기타물성 불만족
(2) 수분 투과도
- 시험방법: ASTM F1249 (Standard Test Method for Water Vapor Transmission Rate Through Plastic Film and Sheeting Using a Modulated Infrared Sensor)
- 시험기기: Permatran-W 3/33 MA (미국 Mocon 社)
- 시험환경: (38± 2) ℃, (90± 5) % R.H
- 측정범위: 0.1 ~ 145 g/(m2· day)
- 수분 배리어 평가
○ : 0.01g/㎡·day이하, 기타물성 만족
× : 0.01g/㎡·day이상, 기타물성 불만족
(3) 인장강도(Tensile Strength), 신장율(Elongation)
ASTM D-882에 따라 측정하였다.
(4) 가열밀봉강도(Heat seal strength)
ASTM D-882에 따라 측정하였다.
(제조예 1)
제1 보호층 조성물의 제조
에폭시 수지(코오롱인더스트리(주), KEC-2185)100중량부에 대하여, 경화제(코오롱인더스트리(주), KPH-F2002)150중량부를 MEK 용매에 고형분 함량이 30 중량%가 되도록 제조하였다.
(제조예 2)
제2 보호층 조성물의 제조
합성고무(LG 화학社 NBR 3250)에 물을 첨가하여 고형분 30 wt%가 되도록 제조하였다.
(제조예 3)
접착층 조성물의 제조
폴리우레탄계 접착제 수지(강남화성社 338S) 및 경화제(강남화성社 CL-100)를 10 : 1 중량비로 에틸아세테이트와 혼합하여 고형분 함량이 33 중량%가 되도록 제조하였다.
(실시예1)
12㎛ 두께의 우레탄프라이머 처리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코오롱인더스트리㈜, CD311)을 기재필름으로 준비하였다. 상기 기재필름의 우레탄프라이머층 상부에 알루미늄을 50nm 두께로 증착하였다. 증착 후 상온에서 6시간 동안 숙성시켰다. 상기 알루미늄 증착면의 반대면에 제조예 1에서 제조한 제1 보호층 조성물을 그라비아 코터를 이용하여 코팅한 후, 80℃에서 건조하여 제1 보호층을 형성하였다. 그 두께는 2㎛였다. 이후, 상기 알루미늄 증착면에 제조예 2에서 제조한 제2 보호층 조성물을 그라비아 코터를 이용하여 코팅한 다음, 80℃에서 건조하여 기재필름 상에 금속층, 제1 보호층 및 제2 보호층으로 이루어진 금속차단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제2 보호층의 두께는 2㎛였다. 상기 금속차단층의 상부면에 제조예 3에서 제조한 접착층 조성물을 그라비아 코터를 이용하여 코팅하고 120℃에서 건조하였다. 상기 접착층의 두께는 2㎛였다. 이후, LLDPE 필름(대원산업, B002, 두께 50㎛)과 합지하여 진공 단열재용 필름(제1 보호층/PET/Al/제2 보호층/접착층/LLDPE)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12㎛ 두께의 우레탄프라이머 처리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코오롱인더스트리㈜, CD311)을 기재필름을 준비하였다. 상기 기재필름의 우레탄프라이머층 상부에 알루미늄을 50nm 두께로 증착하였다. 증착 후 상온에서 6시간 동안 숙성시켰다. 상기 알루미늄 증착면에 제조예 1에서 제조한 제1 보호층 조성물을 그라비아 코터를 이용하여 코팅한 후, 80℃에서 건조하여 제1 보호층을 형성하였다. 그 두께는 2㎛였다. 이후, 제조예 2에서 제조한 제2 보호층 조성물을 상기 제1 보호층의 상부면에 그라비아 코터를 이용하여 코팅한 다음, 80℃에서 건조하여 기재필름 상에 금속층, 제1 보호층 및 제2 보호층으로 이루어진 금속차단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제2 보호층의 두께는 2㎛였다. 상기 금속차단층의 상부면에 제조예 3에서 제조한 접착층 조성물을 그라비아 코터를 이용하여 코팅하고 120℃에서 건조하였다. 상기 접착층의 두께는 2㎛였다. 이후, LLDPE 필름(대원산업, B002, 두께 50㎛)과 합지하여 진공 단열재용 필름(PET/Al층/제1 보호층/제2 보호층/접착층/LLDPE)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12㎛ 두께의 우레탄프라이머 처리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코오롱인더스트리㈜, CD311)을 기재필름을 준비하였다. 상기 기재필름의 일면에 제조예 2에서 제조한 제2 보호층 조성물을 그라비아 코터를 이용하여 코팅한 다음, 80℃에서 건조하여 제2 보호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제2 보호층의 두께는 2㎛였다. 상기 제2 보호층의 상부면에 알루미늄을 50nm 두께로 증착하였다. 증착 후 상온에서 6시간 동안 숙성시켰다. 상기 알루미늄 증착면에 제조예 1에서 제조한 제1 보호층 조성물을 그라비아 코터를 이용하여 코팅한 다음, 80℃에서 건조하여 제1 보호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제1 보호층의 두께는 2㎛였다. 이렇게 기재필름 상에 제2보호층, 금속층 및 제1보호층으로 이루어진 금속차단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금속차단층의 상부면에 제조예 3에서 제조한 접착층 조성물을 그라비아 코터를 이용하여 코팅하고 120℃에서 건조하였다. 상기 접착층의 두께는 2㎛였다. 이후, LLDPE 필름(대원산업, B002, 두께 50㎛)과 합지하여 진공 단열재용 필름(PET/제2 보호층/Al층/제1 보호층/접착층/LLDPE)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12㎛ 두께의 우레탄프라이머 처리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코오롱인더스트리㈜, CD311)을 기재필름을 준비하였다. 상기 기재필름의 일면에 제조예 1에서 제조한 제1 보호층 조성물을 그라비아 코터를 이용하여 코팅한 다음, 80℃에서 건조하여 제1 보호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제1 보호층의 두께는 2㎛였다. 상기 제1 보호층의 상부면에 제조예 2에서 제조한 제2 보호층 조성물을 그라비아 코터를 이용하여 코팅한 다음, 80℃에서 건조하여 제2 보호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제2 보호층의 두께는 2㎛였다. 상기 제2 보호층 상부면에 알루미늄을 50nm 두께로 증착하였다. 증착 후 상온에서 6시간 동안 숙성시켰다. 이로써 기재필름 상에 제1 보호층, 제2 보호층 및 금속층으로 이루어진 금속차단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금속차단층의 상부면에 제조예 3에서 제조한 접착층 조성물을 그라비아 코터를 이용하여 코팅하고 120℃에서 건조하였다. 상기 접착층의 두께는 2㎛였다. 이후, LLDPE 필름(대원산업, B002, 두께 50㎛)과 합지하여 진공 단열재용 필름(PET/제1 보호층/제2 보호층/Al층/접착층/LLDPE)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12㎛ 두께의 우레탄프라이머 처리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코오롱인더스트리㈜, CD311)을 기재필름을 준비하였다. 상기 기재필름의 우레탄프라이머층 상부에 알루미늄을 50nm 두께로 증착하였다. 증착 후 상온에서 6시간 동안 숙성시켰다. 상기 알루미늄 증착면에 상기 알루미늄 증착면에 제조예 3에서 제조한 접착제 조성물을 그라비아 코터를 이용하여 코팅하고, 이를 80℃에서 건조한 다음(상기 접착층의 두께는 2㎛였다.) 상기 접착층 상부면에 알루미늄을 50nm 두께로 증착하였다. 증착 후 상온에서 6시간 동안 숙성시켰다. 이후, 증착면 상부에 12㎛ 두께의 우레탄프라이머 처리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적층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상부면에 제조예 3에서 제조한 접착제 조성물을 그라비아 코터를 이용하여 코팅하고, 이를 80℃에서 건조한 다음(상기 접착층의 두께는 2㎛였다.) 접착층 상부면에 알루미늄을 50nm 두께로 증착하였다. 증착 후 상온에서 6시간 동안 숙성시켰다. 이후, 다시 12㎛ 두께의 우레탄프라이머 처리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적층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상부면에 제조예 3에서 제조한 접착제 조성물을 그라비아 코터를 이용하여 코팅하고, 이를 80℃에서 건조한 다음(상기 접착층의 두께는 2㎛였다.) LLDPE 필름(대원산업, B002, 두께 50㎛)과 합지하여 진공 단열재용 필름(PET/Al층/접착층/Al층/PET/접착층/Al층/PET/접착층/LLDPE)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12㎛ 두께의 우레탄프라이머 처리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코오롱인더스트리㈜, CD311)을 기재필름을 준비하였다. 상기 기재필름의 우레탄프라이머층 상부에 알루미늄을 50nm 두께로 증착하였다. 증착 후 상온에서 6시간 동안 숙성시켰다. 상기 알루미늄 증착면에 제조예 1에서 제조한 제1 보호층 조성물을 그라비아 코터를 이용하여 코팅한 다음, 80℃에서 건조하여 제1 보호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제1 보호층의 두께는 2㎛였다. 상기 제1 보호층의 상부면에 제조예 3에서 제조한 접착제 조성물을 그라비아 코터를 이용하여 코팅하고, 이를 80℃에서 건조한 다음(상기 접착층의 두께는 2㎛였다.), 알루미늄을 50nm 두께로 증착하였다. 증착 후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숙성시켰다. 다음으로, 상기 알루미늄 증착면에 12㎛ 두께의 우레탄프라이머 처리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적층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상부면에 제조예 3에서 제조한 접착제 조성물을 그라비아 코터를 이용하여 코팅하고, 이를 80℃에서 건조한 다음(상기 접착층의 두께는 2㎛였다.), 제조예 2에서 제조한 제2 보호층 조성물을 그라비아 코터를 이용하여 코팅하고, 이를 80℃에서 건조하여 제2 보호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제2 보호층의 두께는 2㎛였다. 다음으로, 상기 제2 보호층의 상부면에 알루미늄을 50nm 두께로 증착하였다. 증착 후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숙성시켰다. 다음으로, 12㎛ 두께의 우레탄프라이머 처리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적층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의 상부면에 제조예 3에서 제조한 접착제 조성물을 그라비아 코터를 이용하여 코팅하고, 이를 80℃에서 건조하였다. 상기 접착층의 두께는 2㎛였다. 이후, LLDPE 필름(대원산업, B002, 두께 50㎛)과 합지하여 진공 단열재용 필름(PET/Al층/제1 보호층/접착층/Al층/PET/접착층/제2 보호층/Al층/PET/접착층/LLDPE)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필름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비교예1 비교예2
Gas barrier
Moisture barrier
Tensile Strength
(MD/TD, MPa)
79/75 75/76 78/77 78/76 95/92 97/94
Elongation
(MD/TD,%)
93/70 93/72 93/70 94/72 85/66 85/66
Heat Seal Strength
(N/㎜)
4.1 4.5 4.4 4.5 4.2 4.2
OTR
(cc/㎡·day)
0.0005이하 0.0005이하 0.0005이하 0.0005이하 0.0005이하 0.0005이하
MVTR
(g/㎡·day)
0.01이하 0.01이하 0.01이하 0.01이하 0.01이하 0.01이하
표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는은 산소 및 수분 차단 특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기재필름 및 금속층을 다층으로 구비한 비교예 1 및 2와 비교하여도 금속층을 일면에 형성한 기재필름을 단층으로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의 기계적 물성은 유사하게 나타나 상기 조합에 따른 차단 특성 및 기계적 물성 상승 효과를 구현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비교예 1 및 2는 알루미늄층의 수가 3층으로 다층의 알루미늄층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전도도가 높아질 수 있으나, 실시예에 따른 필름은 알루미늄층이 단층으로 이루어져 열전도도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른 열교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습니다. 즉, 본원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기재필름 상 알루미늄층이 단층으로 형성됨에도 불구하고, 인장강도 및 신율 등의 기계적 물성이 다층으로 형성되어 높은 두께를 갖는 비교예들과 비교하여 볼 때 비슷한 수준의 물성을 구현하고, 동시에 산소 및 수분 차단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100 : 기재필름
200 : 금속차단층
210 : 금속층
310 : 제1 보호층
320 : 제2 보호층
400 : 접착층
500 : 열융착층

Claims (10)

  1. 기재필름; 금속차단층; 접착층; 및 열융착층을 순차로 포함하고,
    상기 금속차단층은 금속층, 제1 보호층 및 제2 보호층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보호층은 에폭시수지, 경화제 및 용매를 포함하는 제 1 수지 조성물을 코팅 및 건조하여 형성한 것이고,
    제 2 보호층은 합성고무와 용매를 포함하는 제 2 수지 조성물을 코팅 및 건조하여 형성한 것이며,
    상기 금속차단층은 하나의 금속층만을 포함하고,
    상기 금속층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산화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 단열재용 필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수지는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F형 에폭시 수지,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고리지방족 에폭시 수지, 다관능형 아민 에폭시 수지, 글리시딜아민형 에폭시 수지, 다이머산 변성 에폭시 수지, 고무 변성 에폭시 수지, 우레탄 변성 에폭시 수지, 브롬화 에폭시 수지, 브롬화 페녹시 에폭시 수지,하이드리지네이티드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및 폴리올 변성 에폭시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는 진공 단열재용 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제는 지방족 아민, 변성 아민, 방향족 아민, 3급 아민 및 폴리아민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아민계 경화제를 포함하는 진공 단열재용 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제는 에폭시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70 ~ 250중량부 포함되는 진공 단열재용 필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고무는 스티렌-부타디엔고무(styrene butadien rubber), 폴리클로로프렌고무(polychloroprene rubber), 니트릴고무(acrylonitrile-butadiene rubber), 부틸고무(isoprene-isobutylene rubber), 부타디엔고무(butadiene rubber), 이소프렌고무(isoprene rubber), 에틸렌프로필렌고무(ethylene propylene rubber), 다황화물계 고무(polysulfide rubber), 실리콘고무(silicone rubber), 플루오로고무(fluororubber), 우레탄고무(urethane rubber), 아크릴고무(acrylic rubber)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는 진공 단열재용 필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필름은 두께가 1 ~ 200㎛이고, 열가소성 고분자 필름으로 이루어진 진공 단열재용 필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층은 두께가 100nm이하인 진공 단열재용 필름.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호층은 건조도포두께가 1 ~ 10㎛이고, 제 2 보호층은 건조도포두께가 1 ~ 5㎛인 진공 단열재용 필름.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단열재용 필름은 38± 2℃ 및 90± 5% 상대 습도에서 0.01g/㎡/day 이하의 WVTR(Water vapor transmission rate), 23± 2℃에서 0.001cc/㎡/day 이하의 OTR(Oxygen Transmission Rate)을 갖는 진공 단열재용 필름.
KR1020140135222A 2014-06-30 2014-10-07 진공 단열재용 필름 KR1022180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5/006524 WO2016003116A1 (ko) 2014-06-30 2015-06-26 배리어용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81104 2014-06-30
KR1020140081104 2014-06-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299A KR20160002299A (ko) 2016-01-07
KR102218061B1 true KR102218061B1 (ko) 2021-02-19

Family

ID=55168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5222A KR102218061B1 (ko) 2014-06-30 2014-10-07 진공 단열재용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806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43692A (ja) 2010-01-18 2011-07-28 Dainippon Printing Co Ltd 真空断熱材用積層体および真空断熱材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896A (ja) * 1997-07-04 1999-01-26 Mitsubishi Chem Corp 真空断熱材
KR101257361B1 (ko) * 2009-05-04 2013-04-23 한국과학기술원 진공 단열체 및 그 제조방법
US8956710B2 (en) * 2009-10-23 2015-02-17 Lg Hausys, Ltd. Vacuum insulation panel
KR20120033165A (ko) 2010-09-29 2012-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진공단열재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캐비넷의 단열구조
KR101260306B1 (ko) * 2010-10-14 2013-05-03 주식회사 케이씨씨 가스 차단성이 우수한 진공단열재용 다층형 슈퍼 배리어 봉지 부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43692A (ja) 2010-01-18 2011-07-28 Dainippon Printing Co Ltd 真空断熱材用積層体および真空断熱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299A (ko) 2016-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49510B2 (en) Flexible multilayer packaging film with ultra-high barrier properties
WO2017164352A1 (ja) フィルムロール梱包体及びその製造方法
EP2818315B1 (en) Outstandingly impact resistant and incombustible vacuum-insulation-material sealing member
WO2011118727A1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保護シートおよ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KR101260306B1 (ko) 가스 차단성이 우수한 진공단열재용 다층형 슈퍼 배리어 봉지 부재
WO2012132922A1 (ja) 太陽電池用保護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太陽電池モジュール
WO2013118570A1 (ja) 太陽電池用保護シートおよ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WO2016056625A1 (ja) フィルム状封止材、封止シートおよび電子デバイス
JP2010000743A (ja) ガスバリア積層体
JP6277583B2 (ja) 真空断熱材用外包材、真空断熱材、および真空断熱材付き機器
JP2014214856A (ja) 真空断熱材の製造方法、および真空断熱材用外包材
JP4534658B2 (ja) ガスバリアフィルム積層体
KR102218061B1 (ko) 진공 단열재용 필름
JP6468810B2 (ja) フィルム状封止材、封止シートおよび電子デバイス
WO2016003116A1 (ko) 배리어용 필름
KR102190406B1 (ko) 진공 단열재용 필름
JP6928924B2 (ja) プロセス用離型フィルム、その用途、及びそれを用いた樹脂封止半導体の製造方法
JP2014228114A (ja) 真空断熱材用外包材、真空断熱材、および真空断熱材付き機器
JP4449414B2 (ja) ガスバリアフィルム積層体
TW201622984A (zh) 真空絕熱材料用外皮材料及包含其的真空絕熱材料
JP2010234525A (ja) 積層体
WO2014163189A1 (ja) 積層バリアシート
JP2016078261A (ja) フィルム状封止材、封止シートおよび電子デバイス
JP6530900B2 (ja) フィルム状封止材、封止シートおよび電子デバイス
CN110901190A (zh) 一种性能改进的共挤薄膜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