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7882B1 - 광학부재, 터치패널 및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광학부재, 터치패널 및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7882B1
KR102217882B1 KR1020140103912A KR20140103912A KR102217882B1 KR 102217882 B1 KR102217882 B1 KR 102217882B1 KR 1020140103912 A KR1020140103912 A KR 1020140103912A KR 20140103912 A KR20140103912 A KR 20140103912A KR 102217882 B1 KR102217882 B1 KR 1022178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member
display
retardation
retardation plate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3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5380A (ko
Inventor
마사토 시미즈
Original Assignee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353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53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78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78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06F3/042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by interrupting or reflecting a light beam, e.g. optical touch-scree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Liquid Crystal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상차가 제어되어 있지 않은 수지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표시부의 표시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광학부재, 터치패널 및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광학부재(200)는, 직선편광을 출사 가능한 표시부(100)의 출사방향 쪽에 배치 가능하다. 이 광학부재(200)는, 위상차가 제어되어 있지 않은 투광성을 가진 수지부(210)와, 표시부(100)와 수지부(210)와의 사이에 배치 가능한 위상차판(220)을 구비하고 있다. 위상차판(220)이, 수지부(210)의 리타데이션의 3 ~ 5배인 리타데이션을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광학부재, 터치패널 및 표시장치{OPTICAL MEMBER,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광학부재, 터치패널 및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 문헌 1 및 2에는, 편광 선글라스 등을 개재하여 시각적으로 인지되는 표시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1의 표시장치는, 액정 패널과, 액정 패널의 앞면에 설치되는 프런트 쪽 편광판과, 편광판의 앞면에 배치된 위상차판을 구비하고 있다. 위상차판의 광학축은, 프런트 쪽 편광판의 흡수축에 대해서 대략 35°~ 55°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다. 위상차판의 리타데이션(retardation)은, 대략 4,000nm 이상의 범위로 설정되어 있다. 프런트 쪽 편광판으로부터 출사(出射)된 직선편광이, 위상차판을 투과함으로써, 타원 편광으로 변화한다. 이로써, 상기 표시장치가 편광 선글라스 등을 개재하여 시각적으로 인지될 때에, 어느 방향에서 시각 인지되어도, 표시면이 불균일한 착색을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특허 문헌 2의 표시장치는, 액정 패널과, 고분자 필름과, 액정 패널과 고분자 필름과의 사이에 배치된 편광판을 구비하고 있다. 액정 패널은, 백라이트 광원인 백색 발광다이오드를 가지고 있다. 고분자 필름은, 3,000nm ~ 30,000nm의 리타데이션을 가지고 있다. 고분자 필름은, 당해 고분자 필름의 지상축(遲相軸)과 편광판의 흡수축이 이루는 각도가 대략 45°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백색 발광다이오드의 발광 스펙트럼과, 고분자 필름을 투과하는 투과광의 스펙트럼의 포락선(包絡線) 형상이 서로 닮은 형상이 된다. 이로써, 상기 표시장치가 편광 선글라스 등을 개재하여 시각적으로 인지될 때의 시인성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공개 특허공보 평06-258634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공개 특허공보 특개2012-230390호 공보
그런데, 표시장치의 커버 패널 등에 수지 패널이 이용되는 것이 있다. 수지 패널은, 복굴절에 관해서 전혀 제어하지 않고 수지 성형하게 되면, 성형 시의 재료 특성, 성형 시의 수지 유동 및 성형 시의 잔류응력 등이 원인이 되어, 부분적으로 분자 배향에 의한 복굴절 및/또는 광탄성에 의한 복굴절이 발생된다. 또, 수지 패널은, 수지를 압출 가공하거나 연신 가공하여도, 복굴절이 발생된다. 이 수지 패널은 위상차가 제어되지 않은 것이 된다. 상기 특허 문헌 1 및 2의 표시장치는, 위상차가 제어되어 있지 않은 수지 패널을 구비하고 있지 않으므로, 당해 수지 패널을 구비한 표시장치가 편광 선글라스 등을 개재하여 시각 인지될 때의 당해 표시장치의 표시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것에 대하여 전혀 고려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에 비추어 창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위상차가 제어되어 있지 않은 수지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표시부의 표시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광학부재, 터치패널 및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광학부재는, 직선편광을 출사 가능한 표시부의 출사방향 쪽에 배치 가능하다. 이 광학부재는, 위상차가 제어되어 있지 않은 투광성을 가진 수지부와, 상기 표시부와 상기 수지부와의 사이에 배치 가능한 위상차판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위상차판이, 상기 수지부의 리타데이션의 3 ~ 5배인 리타데이션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형태의 광학부재는, 표시부의 출사방향 쪽에 배치된다. 이 광학부재의 위상차판의 리타데이션이 수지부의 리타데이션의 3 ~ 5배이므로, 편광 선글라스나 전자기기의 패널 등의 편광판 및 광학부재를 개재하여 표시부가 시각 인지되면, 표시부의 표시에 무지개얼룩이 발생되거나 블랙아웃이 발생될 가능성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부의 표시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위상차판의 상기 리타데이션을 3,000nm 이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위상차판은, 당해 위상차판의 광학축이 상기 표시부로부터 출사되는 직선편광의 편광축에 대해서 대략 45°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터치패널은, 위에서 설명한 어느 하나의 형태인 광학부재와, 검출대상의 접근을 검출 가능한 센서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광학부재의 상기 위상차판과 상기 표시부와의 사이 또는 상기 광학부재의 상기 수지부와 상기 위상차판과의 사이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표시장치는, 직선편광을 출사 가능한 표시부와, 위에서 설명한 어느 하나의 형태인 광학부재를 구비하고있다. 상기 광학부재는 상기 표시부의 출사방향 쪽에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은, 위상차가 제어되어 있지 않은 수지부를 구비하고 있어도, 표시부의 표시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광학부재, 터치패널 및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표시장치의 각 구성 요소와, 편광판과의 위치관계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a는 실험예 1의 표시장치의 각 구성 요소와, 편광판과의 위치관계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b는 실험예 2의 표시장치의 각 구성 요소와, 편광판과의 위치관계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c는 실험예 3의 표시장치의 각 구성 요소와, 편광판과의 위치관계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d는 실험예 4의 표시장치의 각 구성 요소와, 편광판과의 위치관계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표시장치(L)에 대하여 도 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표시장치(L)는, 표시부(100)와, 터치패널(T)을 구비하고 있다. 이하, 표시장치(L)의 각 구성 요소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표시부(10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선편광을 출사 가능하다. 예를 들면, 표시부(100)는, 액정 패널이나 유기EL 등이다. 액정 패널은, 단순 매트릭스 구동방식(예를 들면, TFT방식 등) 또는 액티브ㆍ매트릭스 구동방식의 어느 것이어도 된다.
터치패널(T)은, 광학부재(200)와, 센서부(300)를 구비하고 있다. 광학부재(200)는, 표시부(100)의 직선편광의 출사방향(도면 표시에 있어서 화살표 방향) 쪽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광학부재(200)는, 수지부(210)와, 위상차판(220)을 가지고 있다. 수지부(210)는, 위상차가 제어되지 않은 수지이다. 예를 들면, 위상차가 제어되지 않은 성형수지, 수지(예를 들면, PC수지나 PMMA수지 등)의 압출판 또는 수지제의 연신필름(예를 들면, PET나 PC 등)이다. 수지부(210)는, 복굴절에 관해서 제어하지 않고, 수지 성형됨으로써, 성형 시의 재료 특성, 성형 시의 수지 유동 및 성형 시의 잔류응력 등이 원인이 되어, 부분적으로 분자 배향에 의한 복굴절 및/또는 광탄성에 의한 복굴절이 발생되거나, 수지의 압출가공에 의해서 복굴절이 발생되거나, 수지의 연신가공에 의해서 복굴절이 발생되고 있다. 이와 같이, 수지부(210)는, 의도하지 않은 복굴절이 발생되어, 위상차가 제어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이르고 있다.
위상차판(220)은, 수지부(210)와 표시부(100)와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수지부(210)의 출사방향의 뒷면에 고착되어 있다. 위상차판(220)은, 수지부(210)의 리타데이션의 3 ~ 5배인 리타데이션을 가지고 있다. 위상차판(220)의 리타데이션은, 3,000nm 이상으로 한다. 위상차판(220)의 리타데이션은, 5,000n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10,000nm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위상차판(220)의 리타데이션이 클수록, 위상차판(220)을 투과한 투과광에, 가시광의 전체 파장영역에 있어서, 원편광, 타원편광, 직선편광이 되는 파장이 보다 많이 존재하게 되기 때문이다. 이 투과광이 수지부(210)를 투과하여, 편광상태에 변화가 발생되었다고 해도, 당해 투과광은 여러가지 편광 상태의 빛을 가시광의 전체 파장 영역에 있어서 다수 포함하게 된다. 위상차판(220)은, 위상차판(220)의 광학축(지상축)이 표시부(100)로부터 출사되는 직선편광의 편광축에 대해서 대략 45°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다.
센서부(300)는, 표시장치(L)에 접근하는 검출대상(손가락이나 터치펜)을 검출 가능한 터치패널(T)의 센서부이다. 센서부(300)는 광학적으로 등방성을 가진다. 센서부(300)는, 표시부(100)와 위상차판(220)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본원 발명자는, 상기 표시장치(L)를 창안함에 있어서, 다음의 실험을 행하였다. 이 실험에서는, 편광판(P)을 개재하여 실험예 1 ~ 4의 표시장치가 시각 인지된 경우, 당해 표시장치의 표시에 무지개얼룩 및 블랙아웃이 발생되는지 아닌지를 체크하였다. 또한, 편광판(P)은, 편광 선글라스나 전자기기(터치패널, 차량 네비게이션, 표시기기(자동차의 인디케이터) 등)의 패널 등이다.
도 2a에 나타내는 실험예 1의 표시장치는, 표시부(100)와, 표시부(100)의 출사방향 쪽에 대향배치된 수지부(210)를 구비하고 있다. 도 2b에 나타내는 실험예 2의 표시장치는, 표시부(100)와, 표시부(100)의 출사방향 쪽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 수지부(210)와, 수지부(210)의 출사방향의 앞면 위에 설치된 1/4파장판(10)을 구비하고 있다. 도 2c에 나타내는 실험예 3의 표시장치는, 표시부(100)와, 표시부(100)의 출사방향 쪽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 수지부(210)와, 수지부(210)의 출사방향의 뒷면 위에 설치된 1/4파장판(10)을 구비하고 있다. 실험예 2 및 실험예 3의 1/4파장판(10)의 외형은, 표시부(100)의 외형보다 작다. 1/4파장판(10)의 리타데이션은, 140nm이다. 도 2d에 나타내는 실험예 4의 표시장치는, 표시부(100)와, 표시부(100)의 출사방향 쪽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 수지부(210)와, 수지부(210)의 출사방향의 뒷면 위에 형성된 위상차판(220')을 구비하고 있다. 위상차판(220')은, 당해 위상차판(220')의 외형이 표시부(100)의 외형보다 작은 점에서 위상차판(220)과 상위한 것 이외는, 위상차판(220)과 같은 것이다.
실험예 1의 표시장치에서는, 표시부(100)로부터 출사된 직선편광이, 직접, 위상차가 제어되어 있지 않은 수지부(210)에 입사한다. 수지부(210)를 투과할 때에 빛의 편광상태가 변화한다. 이 때문에, 표시부(100)의 직선편광의 편광방향과 편광판(P)의 편광방향이 대략 평행인 경우, 표시부(100)의 직선편광의 편광방향과 편광판(P)의 편광방향이 대략 직각인 경우 및 표시부(100)의 직선편광의 편광방향과 편광판(P)의 편광방향과의 각도가 상기 대략 평행과 상기 대략 직각 사이의 중간 각도인 경우에 있어서, 표시부(100)의 표시에 무지개얼룩 및 부분적인 블랙아웃이 발생하였다.
실험예 2의 표시장치에서는, 표시부(100)로부터 출사된 직선편광이, 직접, 위상차가 제어되어 있지 않은 수지부(210)에 입사한다. 수지부(210)를 투과할 때에빛의 편광상태가 변화한다. 수지부(210)와 1/4파장판(10)과의 중첩부분에서는, 편광상태가 변화된 빛이 1/4파장판(10)을 투과한다. 그러나, 표시부(100)의 직선편광의 편광방향과 편광판(P)의 편광방향이 대략 평행인 경우, 표시부(100)의 직선편광의 편광방향과 편광판(P)의 편광방향이 대략 직각인 경우 및 표시부(100)의 직선편광의 편광방향과 편광판(P)의 편광방향과의 각도가 상기 대략 평행과 상기 대략 직각 사이의 중간 각도인 경우에 있어서, 당해 중첩부분의 표시부(100)의 표시에 무지개얼룩 및 부분적인 블랙아웃이 발생하였다.
실험예 3의 표시장치에서는, 표시부(100)로부터 출사된 직선편광은, 수지부(210)와 1/4파장판(10)과의 중첩부분에서, 1/4파장판(10)을 투과한 후, 위상차가 제어되어 있지 않은 수지부(210)를 투과한다. 상기 직선편광은 1/4파장판(10)을 투과함으로써 원편광이 되지만, 수지부(210)를 투과할 때에 당해 빛의 편광 상태가 변화한다. 이 때문에, 표시부(100)의 직선편광의 편광방향과 편광판(P)의 편광방향이 대략 평행인 경우, 표시부(100)의 직선편광의 편광방향과 편광판(P)의 편광방향이 대략 직각인 경우 및 표시부(100)의 직선편광의 편광방향과 편광판(P)의 편광방향과의 각도가 상기 대략 평행과 상기 대략 직각 사이의 중간 각도인 경우에 있어서, 당해 중첩부분의 표시부(100)의 표시에 무지개얼룩 및 부분적인 블랙아웃이 발생하였다.
실험예 4의 표시장치에서는, 표시부(100)로부터 출사된 직선편광은, 수지부(210)와 위상차판(220')과의 중첩부분에서, 위상차판(220')을 투과한 후, 위상차가 제어되어 있지 않은 수지부(210)를 투과한다. 상기 직선편광은 위상차판(220')을 투과함으로써 가시광의 전체 파장 영역에 있어서, 원편광, 타원편광, 직선편광이 되는 파장이 보다 많이 존재하는 투과광이 된다. 이 투과광은, 수지부(210)를 투과하여, 편광상태에 변화가 발생되어도, 여러가지 편광 상태의 빛을 가시광의 전체 파장 영역에 있어서 다수 포함하고 있다. 이 때문에, 표시부(100)의 직선편광의 편광방향과 편광판(P)의 편광방향이 대략 평행인 경우, 표시부(100)의 직선편광의 편광방향과 편광판(P)의 편광방향이 대략 직각인 경우 및 표시부(100)의 직선편광의 편광방향과 편광판(P)의 편광방향과의 각도가 상기 대략 평행과 상기 대략 직각 사이의 중간 각도인 경우에 있어서, 당해 중첩부분의 표시부(100)의 표시에 무지개얼룩 및 블랙아웃이 발생하지 않았다.
이상의 실험으로부터도 명백한 바와 같이, 표시장치(L)는, 위상차가 제어되어 있지 않은 수지부(210)를 구비하고 있어도, 편광판(P)을 개재하여 시각 인지되었을 때에, 표시부(100)의 표시에 무지개얼룩의 발생 및 블랙아웃이 발생되는 것이 억제되어, 당해 표시장치(L)의 표시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표시부(100)로부터 출사된 직선편광은, 위상차판(220)을 투과함으로써, 가시광의 전체 파장영역에 있어서, 원편광, 타원편광, 직선편광이 되는 파장을 다수 포함하는 투과광이 된다. 이 투과광은, 위상차가 제어되어 있지 않은 수지부(210)를 투과하여도, 여러가지 편광상태의 빛(원편광, 타원편광, 직선편광이 되는 파장)을 다수 포함하고 있다. 이 때문에, 표시장치(L)가 편광판(P)을 개재하여 시각 인지되었다고 해도, 표시부(100)의 광원색에 가까운 색조로 시각 인지하게 되어, 당해 표시부(100)의 표시에 무지개얼룩이나 블랙아웃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위상차판(220)의 리타데이션이 큰 쪽이, 더욱 많은 파장의 빛이 편광판(P)을 투과하게 되기 때문에, 더욱더 표시부(100)의 광원색에 가까운 색조를 시각 인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표시부(100)의 직선편광의 편광방향과 편광판(P)의 편광방향이 대략 평행인 경우, 표시부(100)의 직선편광의 편광방향과 편광판(P)의 편광방향이 대략 직각인 경우 및 표시부(100)의 직선편광의 편광방향과 편광판(P)의 편광방향과의 각도가 상기 대략 평행과 상기 대략 직각 사이의 중간 각도인 경우에 있어서, 표시부(100)의 표시에 무지개얼룩의 발생 및 블랙아웃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위상차판(220)의 리타데이션은 3,000nm 이상이므로, 위상차판(220)의 면 안에 위상차의 불균일이 발생되어도, 사람의 눈에는 색상의 부가를 느낄 수 없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위상차판(220)을 통과한 빛이 표시부(100)로부터 출사된 직선편광과 동일한 색으로 보인다.
또한, 위에서 설명한 표시장치(L), 터치패널(T) 및 광학부재(200)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의 기재 범위에 있어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광학부재는, 직선편광을 출사 가능한 표시부의 출사방향 쪽에 배치 가능한 광학부재이며, 당해 광학부재가, 위상차가 제어되어 있지 않은 투광성을 가진 수지부와, 상기 표시부와 상기 수지부와의 사이에 배치 가능하며, 또한, 상기 수지부의 리타데이션의 3 ~ 5배인 리타데이션을 가진 위상차판을 구비하고 있는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에서 설명한 수지부와 위에서 설명한 위상차판은, 양자 사이에 간격을 가지고 배치되어 있어도 되고, 또, 위에서 설명한 위상차판은, 표시부의 출사방향 쪽에 위치하도록, 센서부 또는 표시부에 고착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센서부는 생략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표시장치는, 직선편광을 출사 가능한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의 출사방향 쪽에 배치 가능한 상기 실시예 또는 위에서 설명한 설계 변형 예의 광학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에서 설명한 표시부와, 위에서 설명한 광학부재와의 사이에는, 광학적으로 등방성을 가진 부재(예를 들면, 터치패널의 센서부, OCA, TAC필름, COP필름 등)인 한, 어느 것을 배치하여도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광학적으로 등방성을 가진 부재는, 광학부재의 수지부와 위상차판과의 사이 또는 위상차판과 표시부와의 사이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표시부는, 표시부 본체와, 이 표시부 본체의 빛의 출사방향 쪽에 배치되며, 또한, 당해 빛을 직선편광으로 하기 위한 편광판을 가진 것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표시부는, 표시부 본체 자체가 직선편광을 출사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터치패널과 표시부를 별도 구성체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표시장치(L), 터치패널(T) 및 광학부재(200)의 각 구성요소를 구성하는 소재, 형상, 치수, 숫자 및 배치 등은 그 일례를 설명한 것으로서, 같은 기능을 실현할 수 있는 한, 임의로 설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 및 설계 변경예는, 서로 모순되지 않는 한, 상호 조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L: 표시장치
100: 표시부
T: 터치패널
200: 광학부재
210: 수지부
220: 위상차판
300: 센서부

Claims (6)

  1. 직선편광을 출사 가능한 표시부의 출사방향 쪽에 배치 가능한 광학부재와,
    검출대상의 접근을 검출가능한 센서부를 포함하는 광학적으로 등방성을 가지는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광학부재는,
    위상차가 제어되어 있지 않은 투광성을 가진 수지부와,
    상기 표시부와 상기 수지부와의 사이에 배치 가능한 위상차판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위상차판이, 가시광의 전체 파장영역에 있어서, 상기 수지부의 면내 리타데이션의 3 ~ 5배의 면내 리타데이션을 가지고 있고,
    상기 광학적으로 등방성을 가지는 부재만이, 상기 광학부재의 상기 위상차판과 상기 표시부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터치패널.
  2. 직선편광을 출사 가능한 표시부의 출사방향 쪽에 배치 가능한 광학부재와,
    검출대상의 접근을 검출가능한 센서부를 포함하는 광학적으로 등방성을 가지는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광학부재는,
    위상차가 제어되어 있지 않은 투광성을 가진 수지부와,
    상기 표시부와 상기 수지부와의 사이에 배치 가능한 위상차판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위상차판이, 가시광의 전체 파장영역에 있어서, 상기 수지부의 면내 리타데이션의 3 ~ 5배의 면내 리타데이션을 가지고 있고,
    상기 광학적으로 등방성을 가지는 부재만이, 상기 광학부재의 상기 수지부와 상기 위상차판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터치패널.
  3. 직선편광을 출사 가능한 표시부의 출사방향 쪽에 배치 가능한 광학부재와,
    검출대상의 접근을 검출가능한 센서부를 포함하는 광학적으로 등방성을 가지는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광학부재는,
    위상차가 제어되어 있지 않은 투광성을 가진 수지부와,
    상기 표시부와 상기 수지부와의 사이에 배치 가능한 위상차판을 구비하고 있고,
    가시광의 전체 파장영역에 있어서, 상기 위상차판의 면내 리타데이션이 3,000nm 이상이고,
    상기 광학적으로 등방성을 가지는 부재만이, 상기 광학부재의 상기 위상차판과 상기 표시부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터치패널.
  4. 직선편광을 출사 가능한 표시부의 출사방향 쪽에 배치 가능한 광학부재와,
    검출대상의 접근을 검출가능한 센서부를 포함하는 광학적으로 등방성을 가지는 부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광학부재는,
    위상차가 제어되어 있지 않은 투광성을 가진 수지부와,
    상기 표시부와 상기 수지부와의 사이에 배치 가능한 위상차판을 구비하고 있고,
    가시광의 전체 파장영역에 있어서, 상기 위상차판의 면내 리타데이션이 3,000nm 이상이고,
    상기 광학적으로 등방성을 가지는 부재만이, 상기 광학부재의 상기 수지부와 상기 위상차판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터치패널.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차판은 상기 위상차판의 광학축이 상기 표시부로 부터 출사되는 직선 편광의 편광축에 대하여 45°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는 터치패널.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터치패널과,
    직선편광을 출사 가능한 표시부를 구비하고 있는 표시장치.
KR1020140103912A 2013-09-27 2014-08-11 광학부재, 터치패널 및 표시장치 KR1022178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202206 2013-09-27
JP2013202206A JP6192465B2 (ja) 2013-09-27 2013-09-27 タッチパネル及び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5380A KR20150035380A (ko) 2015-04-06
KR102217882B1 true KR102217882B1 (ko) 2021-02-18

Family

ID=51589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3912A KR102217882B1 (ko) 2013-09-27 2014-08-11 광학부재, 터치패널 및 표시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0274784B2 (ko)
EP (2) EP2853995A1 (ko)
JP (1) JP6192465B2 (ko)
KR (1) KR102217882B1 (ko)
CN (1) CN104516147B (ko)
TW (1) TWI61784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92465B2 (ja) * 2013-09-27 2017-09-06 ホシデン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及び表示装置
US11204524B2 (en) 2016-01-08 2021-12-21 Dai Nippon Printing Co., Ltd. Image display device
JP6166502B1 (ja) 2016-01-08 2017-07-1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表示装置の光学フィルムの選定方法
JP6876674B2 (ja) * 2016-02-29 2021-05-2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表示装置の光学フィルムの選定方法
KR102651055B1 (ko) 2016-03-24 2024-03-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학 필름 및 디스플레이 장치
JP6732614B2 (ja) * 2016-09-16 2020-07-29 ホシデン株式会社 光学積層体及びこれを備えたタッチ入力装置
CN106933419A (zh) * 2017-03-14 2017-07-07 信利光电股份有限公司 一种触摸屏以及触控模组
US10838556B2 (en) 2019-04-05 2020-11-17 Apple Inc. Sensing system for detection of light incident to a light emitting layer of an electronic device display
US11527582B1 (en) 2019-09-24 2022-12-13 Apple Inc. Display stack with integrated photodetectors
US11611058B2 (en) 2019-09-24 2023-03-21 Apple Inc. Devices and systems for under display image sensor
US11592873B2 (en) 2020-02-14 2023-02-28 Apple Inc. Display stack topologies for under-display optical transceivers
US11327237B2 (en) 2020-06-18 2022-05-10 Apple Inc. Display-adjacent optical emission or reception using optical fibers
US11487859B2 (en) 2020-07-31 2022-11-01 Apple Inc. Behind display polarized optical transceiver
US11839133B2 (en) 2021-03-12 2023-12-05 Apple Inc. Organic photodetectors for in-cell optical sensing
JP7561806B2 (ja) 2022-10-26 2024-10-04 シャープディスプレイ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表示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10370A1 (en) 2002-04-01 2003-11-13 Nitto Denko Corporation Optical film and display system
JP2005157082A (ja) * 2003-11-27 2005-06-16 Stanley Electric Co Ltd 表示装置
JP2012133313A (ja) * 2010-09-03 2012-07-12 Nitto Denko Corp 偏光膜を有する光学的表示装置
JP2012230390A (ja) 2012-06-11 2012-11-22 Keio Gijuku 液晶表示装置の視認性改善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5374B2 (ja) 1993-03-04 2000-10-30 ローム株式会社 液晶表示デバイス
JP3888335B2 (ja) * 1994-07-21 2007-02-2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入力機能付き液晶表示素子
US6020945A (en) * 1996-11-11 2000-02-01 Dowa Mining Co., Ltd. Display device with a transparent optical filter
US20100296027A1 (en) * 2006-10-17 2010-11-25 Tsutomu Matsuhira Display device
JP2008204321A (ja) * 2007-02-22 2008-09-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入力装置
JP2008204320A (ja) * 2007-02-22 2008-09-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タッチパネル
KR101029287B1 (ko) * 2008-12-03 2011-04-18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터치스크린을 적용한 액정표시장치
JP4888853B2 (ja) * 2009-11-12 2012-02-29 学校法人慶應義塾 液晶表示装置の視認性改善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EP2824506B1 (en) * 2010-06-22 2020-05-20 Toyobo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olarizer and protective film
JP2012221275A (ja) * 2011-04-11 2012-11-12 Hosiden Corp タッチパネル及びこれを備えた携帯端末装置
JP5396439B2 (ja) * 2011-07-22 2014-01-22 学校法人慶應義塾 液晶表示装置の視認性改善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CN102769079B (zh) * 2012-07-16 2015-02-25 南通玺运贸易有限公司 P型、n型半导体出光垂直传导发光二极管的制造方法
US9116390B2 (en) * 2012-08-27 2015-08-2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Touch sensing liquid crystal display compatible with linearly polarized sunglasses
JP5370601B1 (ja) * 2013-02-08 2013-12-18 東洋紡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JP2014153559A (ja) * 2013-02-08 2014-08-25 Toyobo Co Ltd 画像表示装置
JP6192465B2 (ja) * 2013-09-27 2017-09-06 ホシデン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及び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210370A1 (en) 2002-04-01 2003-11-13 Nitto Denko Corporation Optical film and display system
JP2005157082A (ja) * 2003-11-27 2005-06-16 Stanley Electric Co Ltd 表示装置
JP2012133313A (ja) * 2010-09-03 2012-07-12 Nitto Denko Corp 偏光膜を有する光学的表示装置
JP2012230390A (ja) 2012-06-11 2012-11-22 Keio Gijuku 液晶表示装置の視認性改善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617846B (zh) 2018-03-11
KR20150035380A (ko) 2015-04-06
US20190212598A1 (en) 2019-07-11
EP2853995A1 (en) 2015-04-01
JP2015068956A (ja) 2015-04-13
EP3171254B1 (en) 2020-10-21
EP3171254A1 (en) 2017-05-24
CN104516147B (zh) 2018-11-06
US20150091873A1 (en) 2015-04-02
US10274784B2 (en) 2019-04-30
JP6192465B2 (ja) 2017-09-06
TW201520610A (zh) 2015-06-01
CN104516147A (zh) 2015-04-15
US10571748B2 (en) 2020-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7882B1 (ko) 광학부재, 터치패널 및 표시장치
US9703013B2 (en) Polarizing plate and optic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US10012860B2 (en) Polarizers and the manufacturing methods thereof, and liquid crystal panels
US9874967B2 (en) Touch-panel display device
US10310153B2 (en) Polarizing plate,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ing plate, image display device, method for manufacturing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improving transmittance of polarizing plate
US20110267561A1 (en) Display device
US20120268914A1 (en) Input device
KR20120044041A (ko) 표시 장치
WO2014137754A3 (en) Reflective display with an optical digitizer
KR20120135047A (ko) 편광 모듈 및 화상 표시 장치
CN209746312U (zh) 显示装置
KR102063162B1 (ko)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CN111868586B (zh) 用于改善显示器的呈现质量的光学装置
JP2015069171A (ja) 偏光板複合体、偏光板セット、画像表示装置、偏光板複合体の製造方法、偏光板セットの製造方法、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及び画像表示装置の視認性改善方法
US20170276998A1 (en) Polarized devices and display devices
WO2011158692A1 (ja) 入力装置
CN110031926A (zh) 一种tft屏幕结构以及用于tft屏的烟熏膜结构
KR101759552B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20100081731A (ko) 액정 표시 장치
US20160161786A1 (e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WO2015122520A1 (ja) 積層体、積層体の製造方法、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及び偏光板の光透過率改善方法
KR20120119985A (ko) 입력 장치
US20190293982A1 (en) System and Method for Altering the Polarization of Light Emitted by a Liquid Crystal Display
JP2018087987A (ja)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及び画像表示装置の視認性改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