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7745B1 - 피부흡수 촉진용 탄성 리포좀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피부흡수 촉진용 탄성 리포좀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피부흡수 촉진용 탄성 리포좀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피부흡수 촉진용 탄성 리포좀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7745B1
KR102217745B1 KR1020180023624A KR20180023624A KR102217745B1 KR 102217745 B1 KR102217745 B1 KR 102217745B1 KR 1020180023624 A KR1020180023624 A KR 1020180023624A KR 20180023624 A KR20180023624 A KR 20180023624A KR 102217745 B1 KR102217745 B1 KR 1022177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weight
elastic liposome
phosphatidylcholin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3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2753A (ko
Inventor
이경태
강명주
이정은
이오규
박용배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80023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7745B1/ko
Publication of KR20190102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27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7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77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4Liposomes; Ves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61K8/553Phospholipids, e.g. lecit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27Liposo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흡수 촉진용 탄성 리포좀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리포좀이 함유할 수 있는 생리활성물질 중 특히 동백유의 피부흡수 촉진 효과가 우수한 피부흡수 촉진용 탄성 리포좀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피부흡수 촉진용 탄성 리포좀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피부흡수 촉진용 탄성 리포좀 및 이의 제조방법{elastic liposome composition for accelerating skin absorption, elastic liposome containing thereof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피부흡수 촉진용 탄성 리포좀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피부흡수 촉진용 탄성 리포좀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리포좀이 함유할 수 있는 생리활성물질 중 특히 동백유의 피부흡수 촉진 효과가 우수한 피부흡수 촉진용 탄성 리포좀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피부흡수 촉진용 탄성 리포좀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동백나무는 차나무과(Theaceae)에 속하는 상록교목으로 원산지는 아시아 지방으로 약 200여종이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한국에서는 그 중 1종(Camellia japonica L.)이 자생 분포 동백이라고 불린다. 근래, 천연물이 가지는 생리활성 물질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며, 여러 식물에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으며 씨앗을 보호하는 씨껍질 즉 종자의 외피나 내피에는 강력한 항균물질, 항산화 물질, 항염증 물질 등이 많이 함유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동백종실은 포화지방산이 9.1~11.5%, 올레인산 85.6~89.4%, 리놀산 1.3~2.9%로서 올레인산 함유량이 많은 불건성유로 알코올 흡수억제 효과와 피부 미백 작용 등의 생리 활성이 보고되어 있다. 또한 동백유는 비타민 E, 오메가6와 9, 페놀성 화합물인 tyrosol, hydroxytyrol과 배당체인 oleuropein, ligstrosid 등이 들어 있어 항산화 활성이 높고 항산화제 역할이 뛰어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최근에는 동백유의 오메가 6와 9는 우수한 피부 진정효과를 가지며, 콜라겐 합성 증진 및 콜라겐 분해억제 효과를 가지고 있어, 항노화 주름개선 소재로 매우 유용한 소재로 보고된 바 있다. 이러한 동백유의 항노화 및 주름개선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피부 각질층을 통과하여 진피 내 전달이 이루어져야 한다.
다양한 피부조건이 존재하지만, 일반적으로 피부들은 각각 외부로부터의 장벽기능 및 기타 생리학적 기능 등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각질층은 상대적으로 소수성이 높은 불용성 단백질인 캐라틴이 고밀도로 집적되어 있는 각화성 상피세포가 지질의 얇은 층인 세포간 지질이중막을 사이에 두고 적층되어 있는 구조로서, 지질과 불용성단백질이 풍부한 매트릭스의 독특한 계층적 구조가 외부 환경 유래의 다양한 형태의 물리, 화학적 요인에 대한 불투과적 성질을 만든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건강한 피부에서 각질을 통한 물질의 수송은 피부의 여러 가지 보호 작용으로 인해 쉽게 이루어지지 않으며, 투과된다고 하여도 매우 낮은 농도만 투과될 뿐이다.
화장료의 경우, 포함된 생리활성 물질이 그 효능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피부의 최외각층인 각질층을 통과하여야만 하며, 각질층의 이러한 장벽기능으로 인해, 화장료에 포함된 생리활성물질이 그 기능을 충분히 나타내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이러한 피부 장벽을 극복하고 화장료에 포함된 생리활성물질이 그 기능을 나타나기 위해서는 화장료에 생리활성물질을 고농도로 포함시켜야만 하는데 이 경우, 고가의 활성물질로 인해 제품의 가격 상승 요인이 되며, 고농도로 포함된 생리활성물질로 인해 피부 자극 유발 가능성이 높아지며, 또한 많은 양의 생리활성물질이 화장료의 안정성을 저해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 고농도로 처방할 경우, 제형화에 문제점을 가진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소량의 생리활성물질을 피부를 통해 효과적으로 흡수시킬 수 있는 약물전달체계의 개발이 중요하며 일반적으로 약물이나 피부미용성분의 피부투과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이들을 담지하여 전달하는 운반체(vesicle)가 사용되어 왔다. 특히 리포좀은 생체막의 주요성분인 인지질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생리활성 성분을 리포좀의 지질 이중층으로 구성된 베시클(vesicle)에 포접시켜 피부투과를 용이하게 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리포좀은 생체 친화적이며 수용성 또는 지용성 약물 모두를 베시클 내로 포집할 수 있다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제형의 불안정성, 극히 낮은 포집효율 등의 문제를 안고 있다. 또한 정상적인 피부에서는 깊숙하게 침투가 어려워 효과가 제한적이다.
리포좀의 피부투과를 높이기 위한 한 방법으로서 기존의 리포좀을 개선한 새로운 형태의 담체를 개발하고자 하는 노력이 있어왔는데 베시클 막이 겔(gel) 형태보다 리퀴드(liquid)상태에서 피부각질층을 더욱 잘 투과할 수 있는 점을 고려해서 더 유연하면서 탄력적으로 변형이 쉬운 상태의 베시클을 만들려는 시도가 이루어졌다. 그 예로 transfersome, deformable liposome, ethosome 등의 베시클이 개발되었는데 이들은 기존의 일반 리포좀에 비해 극단적 변형(ultradeformation)이 가능하여 각질층의 아주 작은 틈 사이로 침투 이동이 더욱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고 있다. 실제로 이와 같이 변형된 리포좀은 일반 리포좀에 비해 피부침투가 3-4배 정도 우수하다는 결과가 보고되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기존의 리포좀의 경우 동백유에 대한 충분한 피부 투과도를 제공할 수 없음을 해결하고자, 동백유의 피부 침투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탄성 리포좀 조성물을 연구하였으며, 이를 통해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리포좀이 함유할 수 있는 생리활성물질 중 특히 동백유의 피부흡수 촉진 효과가 우수한 피부흡수 촉진용 탄성 리포좀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피부흡수 촉진용 탄성 리포좀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항산화 효과, 보습효과, 콜라겐 생성촉진능을 통한 주름개선효능, 상처치유효능, 인체 안전성 등의 효과를 가진 동백유를 함유한 탄성 리포좀을 포함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피부흡수 촉진용 탄성 리포좀 조성물은 인지질, 탄성부여제, 수용성 용매 및 동백유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인지질은 탄소수가 12 ~ 24개인 지방산 사슬을 가지는 포스파티딜콜린(phosphatidyl choline),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phosphatidylethanolamine), 포스파티딜세린(phosphatidylserine), 포스파티딜글리세롤(phosphatidyl glycerol) 및 포스파티딜이노시톨(phosphatidylinositol)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인지질은 HPS(hydrogenated phosphatidylcholine), DLPC(Dilauroyl phosphatidylcholine), DMPC(Dimyristoyl phosphatidylcholine), DPPC(Dipalmitoyl phosphatidylcholine), DSPC(Distearoyl phosphatidylcholine), DOPC(Dioleoyl phosphatidylcholine), DEPC(Dierucoyl phosphatidylcholine), POPC(Palmitoyloleoyl phosphatidylcholine), DMPG(Dimyristoyl phosphatidylglycerol, sodium salt), DPPG(Dipalmitoyl phosphatidylglycerol, sodium salt), DSPG(Distearoyl phosphatidylglycerol, sodium salt), DOPG(Dioleoyl phosphatidylglycerol, sodium salt), POPG(Palmitoyloleoyl phosphatidylglycerol, sodium salt), DMPE(Dimyristoyl phosphatidylethanolamine), DPPE(Dipalmitoyl phosphatidylethanolamine), DPPE(Dipalmitoyl phosphatidylethanolamine), DSPE(Distearoyl phosphatidylethanolamine), DOPE(Dioleoyl phosphatidylethanolamine), DMPA(Dimyristoyl phosphatidic acid, sodium salt), DPPA(Dipalmitoyl phosphatidic acid, sodium salt), DSPA(Distearoyl phosphatidic acid, sodium salt) 및 DOPS(Dioleoyl phosphatidylserine, sodium salt)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탄성부여제는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Polyoxyethylenesorbitan monolaurate),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Polyoxyethylenesorbitan monopalmitate),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Polyoxyethylenesorbitan monostearate),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모노올레이트(Polyoxyethylenesorbitan monooleate), 소르비탄모노라우레이트(sorbitan monolaurate), 소르비탄모노팔미테이트(sorbitan monopalmitate), 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sorbitan monostearate), 소르비탄모노올레이트(sorbitan monooleate) 및 디옥시콜린산나트륨(sodium deoxycholate)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수용성 용매는 정제수, C1 ~ C5의 알코올 및 다가알코올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탄성 리포좀 조성물은 항산화제를 더 포함하고, 항산화제는 토코페롤(Tocopherol), 알파-토코페롤(alpha-Tocopherol), 토코페릴 아세테이트(Tocopheryl Acetate), 토코페릴 석시네이트(Tocopheryl Succinate),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테트라헥실데실 아스코르베이트(tetrahexyldecyl ascorbate), 부틸화 하이드록실 톨루엔(Butylhydroxytoluene) 및 부틸화 하이드록시아니솔(Butylated Hydroxyanisole)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탄성 리포좀 조성물은 전체 중량%에 대하여, 인지질 0.5 ~ 5 중량%, 탄성부여제 0.1 ~ 2 중량%, 동백유 1.0 ~ 4 중량% 및 잔량의 수용성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탄성 리포좀 조성물은 전체 중량%에 대하여, 항산화제 0.01 ~ 0.2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피부흡수 촉진용 탄성 리포좀은 코어쉘(core-shell) 구조를 가지는 탄성 리포좀에 있어서, 쉘(shell)을 형성하는 인지질, 상기 쉘 계면에 부착되어 탄성을 부여하는 탄성부여제, 상기 쉘의 내부 소수성층과 외부 소수성층 사이에 존재하는 동백유 및 코어 내부 및 쉘 외부의 존재하는 수용성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탄성 리포좀의 평균 입자도는 100 ~ 250nm이고, 다분산지수(Polydispersity index, PDI)는 0.3 이하일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피부흡수 촉진용 탄성 리포좀의 제조방법은 제휘발성 유기 용매에 인지질, 탄성부여제, 항산화제 및 동백유를 용해시킨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1단계, 제조된 혼합물에 수용성 용매를 적가하고 교반하는 제2단계 및 상기 휘발성 유기 용매를 휘발시켜 탄성 리포좀을 제조하는 제3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피부흡수 촉진용 탄성 리포좀의 제조방법에서 제조된 탄성 리포좀은 인지질, 탄성부여제, 동백유, 항산화제 및 수용성 용매를 포함하고, 전체 중량%에 대하여 인지질 0.5 ~ 5 중량%, 탄성부여제 0.1 ~ 2 중량%, 동백유 1.0 ~ 4 중량%, 항산화제 0.01 ~ 0.2 중량% 및 잔량의 제2수용성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제2단계의 교반은 20 ~ 60℃의 온도에서 30분 ~ 3시간동안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 조성물은 앞서 언급한 탄성 리포좀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또는 의약품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흡수 촉진용 탄성 리포좀 및 이의 제조방법은 생리활성물질인 동백유를 피부에 충분히 효과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탄성 리포좀을 포함한 피부외용제 조성물은 제형 안정성 및 사용감이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험예 2에 따라 실시예 1 ~ 3에서 제조된 탄성 리포좀, 비교예 1에서 제조된 리포좀, 비교예 2에서 제조된 크림제의 피부 침적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가한다.
본 발명의 피부흡수 촉진용 탄성 리포좀 조성물은 인지질, 탄성부여제, 수용성 용매 및 동백유를 포함한다.
이 때, 동백유는 생리활성물질로서, 본 발명의 탄성 리포좀에 의해 피부에 효과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인지질(phospholipids)은 지질 이중막의 주성분으로서 생리활성물질인 동백유를 탑재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인지질은 특별히 제한하지 않고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인지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탄소수가 12 ~ 24개인 지방산 사슬을 가지는 포스파티딜콜린(phosphatidyl choline),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phosphatidylethanolamine), 포스파티딜세린(phosphatidylserine), 포스파티딜글리세롤(phosphatidyl glycerol) 및 포스파티딜이노시톨(phosphatidylinositol)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HPS(hydrogenated phosphatidylcholine), DLPC(Dilauroyl phosphatidylcholine), DMPC(Dimyristoyl phosphatidylcholine), DPPC(Dipalmitoyl phosphatidylcholine), DSPC(Distearoyl phosphatidylcholine), DOPC(Dioleoyl phosphatidylcholine), DEPC(Dierucoyl phosphatidylcholine), POPC(Palmitoyloleoyl phosphatidylcholine), DMPG(Dimyristoyl phosphatidylglycerol, sodium salt), DPPG(Dipalmitoyl phosphatidylglycerol, sodium salt), DSPG(Distearoyl phosphatidylglycerol, sodium salt), DOPG(Dioleoyl phosphatidylglycerol, sodium salt), POPG(Palmitoyloleoyl phosphatidylglycerol, sodium salt), DMPE(Dimyristoyl phosphatidylethanolamine), DPPE(Dipalmitoyl phosphatidylethanolamine), DPPE(Dipalmitoyl phosphatidylethanolamine), DSPE(Distearoyl phosphatidylethanolamine), DOPE(Dioleoyl phosphatidylethanolamine), DMPA(Dimyristoyl phosphatidic acid, sodium salt), DPPA(Dipalmitoyl phosphatidic acid, sodium salt), DSPA(Distearoyl phosphatidic acid, sodium salt) 및 DOPS(Dioleoyl phosphatidylserine, sodium salt)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여제(edge activator)는 리포좀 계면에 탄성을 부여하는 성분으로서,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Polyoxyethylenesorbitan monolaurate),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Polyoxyethylenesorbitan monopalmitate),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Polyoxyethylenesorbitan monostearate),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모노올레이트(Polyoxyethylenesorbitan monooleate), 소르비탄모노라우레이트(sorbitan monolaurate), 소르비탄모노팔미테이트(sorbitan monopalmitate), 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sorbitan monostearate), 소르비탄모노올레이트(sorbitan monooleate) 및 디옥시콜린산나트륨(sodium deoxycholate)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수용성 용매는 정제수, C1 ~ C5의 알코올 및 다가알코올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정제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용성 용매는 휘발성 유기 용매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휘발성 유기 용매로서 정제수, C1 ~ C5의 알코올 및 다가알코올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을 포함할 수 있다. 구제적으로, 휘발성 유기 용매는 최종적으로 본 발명의 탄성 리포좀을 제조할 시 휘발되는 부분으로서 에탄올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정제수는 증발되지 않은 수용성 용매로서 본 발명의 탄성 리포좀을 제조할 시 용매로서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탄성 리포좀 조성물은 전체 중량%에 대하여, 인지질 0.5 ~ 5 중량%, 탄성부여제 0.1 ~ 2 중량%, 동백유 1.0 ~ 4 중량% 및 잔량의 수용성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만일, 인지질이 전체 중량%에 대하여 0.5중량% 미만으로 포함한다면, 본 발명의 탄성 리포좀에 함유되는 동백유의 함량이 저하되며, 5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한다면 탄성 리포좀 입자간의 뭉침, 응집 등의 물리적 안정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탄성부여제가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 중량% 미만으로 포함한다면 탄성 리포좀의 탄성 개선효과가 미비하고, 2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한다면 탄성 리포좀 이중층의 조밀도를 감소시켜 리포좀 이중층 내 함유되는 동백유의 유출(leakage)이 급격히 증가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탄성부여제를 이와 같은 중량% 범위로서 포함함으로서 탄성 리포좀의 인지질 층의 변형력이 월등히 우수하여 각질층의 아주 작은 틈 사이로 침투 이동이 더욱 효과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탄성 리포좀의 인지질층의 물성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도 우수한 탄성 변형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동백유를 전체 중량%에 대하여 1.0 중량% 미만으로 포함한다면 동백유의 함유량이 적어 효율성이 떨어지고, 4 중량%를 초과한다면 인지질 이중막의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피부흡수 촉진용 탄성 리포좀은 항산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항산화제는 토코페롤(Tocopherol), 알파-토코페롤(alpha-Tocopherol), 토코페릴 아세테이트(Tocopheryl Acetate), 토코페릴 석시네이트(Tocopheryl Succinate),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테트라헥실데실 아스코르베이트(tetrahexyldecyl ascorbate), 부틸화 하이드록실 톨루엔(Butylhydroxytoluene) 및 부틸화 하이드록시아니솔(Butylated Hydroxyanisole)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토코페놀아세테이트(Tocopheryl Acetate)를 포함할 수 있다.
항산화제는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1 ~ 0.2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며, 만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1 중량% 미만으로 포함한다면 충분한 황산화 효과를 제공하지 못한느 문제가 있을 수 있고, 0.2 중량%를 초과한다면 탄성 리포좀의 분산 안정성을 저해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피부흡수 촉진용 탄성 리포좀은 코어쉘(core-shell) 구조를 가지는 탄성 리포좀에 있어서, 쉘(shell)을 형성하는 인지질, 상기 쉘 계면에 부착되어 탄성을 부여하는 탄성부여제, 상기 쉘의 내부 소수성층과 외부 소수성층 사이에 존재하는 동백유 및 코어 내부 및 쉘 외부의 존재하는 수용성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탄성 리포좀의 평균 입자도는 100 ~ 250nm, 바람직하게는 150 ~ 210nm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탄성 리포좀의 다분산지수(Polydispersity index, PDI)는 0.3 이하, 바람직하게는 0.1 ~ 0.25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피부흡수 촉진용 탄성 리포좀의 제조방법은 하기 제1단계 내지 제3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본 발명의 피부흡수 촉진용 탄성 리포좀의 제조방법의 제1단계는 휘발성 유기 용매에 인지질, 탄성부여제, 항산화제 및 동백유를 용해시킨 혼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휘발성 유기 용매는 정제수, C1 ~ C5의 알코올 및 다가알코올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을 포함할 수 있다.
인지질은 특별히 제한하지 않고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인지질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탄소수가 12 ~ 24개인 지방산 사슬을 가지는 포스파티딜콜린(phosphatidyl choline),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phosphatidylethanolamine), 포스파티딜세린(phosphatidylserine), 포스파티딜글리세롤(phosphatidyl glycerol) 및 포스파티딜이노시톨(phosphatidylinositol)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HPS(hydrogenated phosphatidylcholine), DLPC(Dilauroyl phosphatidylcholine), DMPC(Dimyristoyl phosphatidylcholine), DPPC(Dipalmitoyl phosphatidylcholine), DSPC(Distearoyl phosphatidylcholine), DOPC(Dioleoyl phosphatidylcholine), DEPC(Dierucoyl phosphatidylcholine), POPC(Palmitoyloleoyl phosphatidylcholine), DMPG(Dimyristoyl phosphatidylglycerol, sodium salt), DPPG(Dipalmitoyl phosphatidylglycerol, sodium salt), DSPG(Distearoyl phosphatidylglycerol, sodium salt), DOPG(Dioleoyl phosphatidylglycerol, sodium salt), POPG(Palmitoyloleoyl phosphatidylglycerol, sodium salt), DMPE(Dimyristoyl phosphatidylethanolamine), DPPE(Dipalmitoyl phosphatidylethanolamine), DPPE(Dipalmitoyl phosphatidylethanolamine), DSPE(Distearoyl phosphatidylethanolamine), DOPE(Dioleoyl phosphatidylethanolamine), DMPA(Dimyristoyl phosphatidic acid, sodium salt), DPPA(Dipalmitoyl phosphatidic acid, sodium salt), DSPA(Distearoyl phosphatidic acid, sodium salt) 및 DOPS(Dioleoyl phosphatidylserine, sodium salt)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여제는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Polyoxyethylenesorbitan monolaurate),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Polyoxyethylenesorbitan monopalmitate),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Polyoxyethylenesorbitan monostearate), 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모노올레이트(Polyoxyethylenesorbitan monooleate), 소르비탄모노라우레이트(sorbitan monolaurate), 소르비탄모노팔미테이트(sorbitan monopalmitate), 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sorbitan monostearate), 소르비탄모노올레이트(sorbitan monooleate) 및 디옥시콜린산나트륨(sodium deoxycholate)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항산화제는 토코페롤(Tocopherol), 알파-토코페롤(alpha-Tocopherol), 토코페릴 아세테이트(Tocopheryl Acetate), 토코페릴 석시네이트(Tocopheryl Succinate),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테트라헥실데실 아스코르베이트(tetrahexyldecyl ascorbate), 부틸화 하이드록실 톨루엔(Butylhydroxytoluene) 및 부틸화 하이드록시아니솔(Butylated Hydroxyanisole)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토코페놀아세테이트(Tocopheryl Acetate)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피부흡수 촉진용 탄성 리포좀의 제조방법의 제1단계에서 제조된 혼합물은 20 ~ 60℃의 온도, 5,000 ~ 20,000rpm으로 3 ~ 60분동안 교반할 수 있다. 이 때, 온도가 20℃ 미만이면 리포좀의 균일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60℃를 초과하면 인지질이 분해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피부흡수 촉진용 탄성 리포좀의 제조방법의 제2단계는 제1단계에서 제조된 혼합물에 수용성 용매를 적가하고 교반할 수 있다.
이 때, 제2단계의 교반은 5,000 ~ 20,000rpm으로 3 ~ 30분간 수행할 수 있으며, 제2단계의 교반을 수행하기 위한 장비는 특별한 제한없이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비로 수행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호모게나이저(homogenizer)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수용성 용매는 정제수, C1 ~ C5의 알코올 및 다가알코올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정제수를 포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피부흡수 촉진용 탄성 리포좀의 제조방법의 제3단계는 휘발성 유기 용매를 증발시켜 탄성 리포좀을 제조할 수 있다.
이 때, 제3단계는 20 ~ 60℃의 온도에서 30분 ~ 3시간동안 교반하여 휘발성 유기 용매를 휘발시킬 수 있으며, 이 때, 온도가 20℃ 미만이면 휘발성 유기 용매의 휘발이 잘 안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60℃를 초과하면 리포좀이 파괴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피부흡수 촉진용 탄성 리포좀의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탄성 리포좀은 인지질, 탄성부여제, 동백유, 항산화제 및 수용성 용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체 중량%에 대하여 인지질 0.5 ~ 5 중량%, 탄성부여제 0.1 ~ 2 중량%, 동백유 1.0 ~ 4 중량% 및 항산화제 0.01 ~ 0.2 중량% 및 잔량의 수용성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 조성물은 앞서 언급한 탄성 리포좀을 포함한다.
이 때, 피부외용제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또는 의약품 조성물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또는 오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알려진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일반적인 유화 제형 및 가용화 제형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구현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의 구현예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가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현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 1 ~ 3 : 탄성 리포좀의 제조
(1) 에탄올 50ml에 인지질, 탄성부여제, 항산화제 및 동백유를 용해시킨 혼합물을 제조하고, 40 ~ 60℃의 온도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2) 교반이 완료된 혼합물에 정제수를 적가하고 호모게나이저를 이용하여 10,000 ~ 15,000rpm으로 5 ~ 10분간 교반하였다.
(3) 그 후, 후드(hood) 안에서 30℃의 온도에서 2시간동안 교반하고 에탄올을 휘발시켜 각각 하기 표 1에 기재된 중량%의 조성을 갖는 탄성 리포좀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18020168055-pat00001
비교예 1 : 리포좀의 제조
(1) 에탄올 50ml에 HPS(hydrogenated phosphatidylcholine), 콜레스테롤, 토코페롤아세테이트 및 동백유를 용해시킨 혼합물을 제조하고, 40 ~ 60℃의 온도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2) 교반이 완료된 혼합물에 정제수를 적가하고 호모게나이저를 이용하여 10,000 ~ 15,000rpm으로 5 ~ 10분간 교반하였다.
(3) 그 후, 후드(hood) 안에서 30℃의 온도에서 2시간동안 교반하고 에탄올을 휘발시켜 각각 하기 표 2에 기재된 중량%의 조성을 갖는 리포좀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18020168055-pat00002
비교예 2 : 동백유를 포함하는 크림제의 제조
하기 표 3에 기재된 중량%의 조성을 갖는 크림제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표 3에 기재된 성분 중 오일에 용해되는 성분을 유상성분으로, 정제수에 용해되는 성분을 수상성분으로 하여 80 ~ 85℃에서 수상성분과 유상성분을 호모믹서로 균질혼합하는 유화공정을 거쳐 점증제인 수지 성분을 사용하여 중화한 다음 냉각하는 방법으로 크림제를 제조하였다.
Figure 112018020168055-pat00003
실험예 1
입도 분석기를 통해 실시예 1 ~ 3에서 제조된 탄성 리포좀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리포좀의 평균 입자도 및 다분산지수(Polydispersity index, PDI)를 각각 평가하여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8020168055-pat00004
상기 표 4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실시예 1 ~ 3과 비교예 1의 평균 입자도는 100 ~ 250 nm 범위이며, PDI값은 0.3이하로 균일하며,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일반적으로 PDI 값이 0.3 이하일 경우 균일한 입도를 가진다고 간주한다.
실험예 2 : Franz Diffusion Cell 모델에서의 피부 침적 및 투과 실험
Franz Diffusion Cell 모델에서 흰쥐 등 스킨에 대한 실시예 1 ~ 3와 비교예 1 ~ 2의 피부 침적성 정도를 비교평가하였다. 준비된 흰쥐 (male, 8주령)의 표피층 (1.5 cm x 1.5 cm)을 수용칸(receptor chamber)과 공여칸(donor chamber) 사이에 위치시키고 32℃에서 1시간동안 유지시켰다. 수용칸(receptor chamber)에는 생리적으로 등장한 phosphate-buffered saline을 채워주었다. 이후 제조된 실시예 1, 2, 3 및 비교예 1, 2 각각 500 ㎕를 동일하게 공여부위에 도포하여 침적 실험을 진행하였다. 시험 12시간 경과 후 피부를 취하고 유기용매인 헥산에 담궈, 피부 내 침적된 동백유를 추출하였다. 가스크로마토그래피 분석을 통해 동백유 성분 중 대부분을 차지하는 올레인산 (oleic acid)을 정량하였다.
도 1은 공여칸에 가해준 동백유 중에 포함된 올레인산 대비 피부에 침적된 올레인산의 양을 퍼센트로 표현한 것이다. 실시예 1, 2, 3의 경우 5.4 - 7.3%의 높은 침적량을 나타낸 반면, 비교예 1 및 2은 각각 0.8%, 0.6%에 불과한 낮은 침적량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1 ~ 3은 비교예 1과 비교예 2에 비해 최소 6배에서 9배에 이르는 매우 높은 침적량을 나타내었다.
이를 통해 실시예 1 ~ 3의 탄성 리포좀은 유효성분의 피부 흡수 효과가 비교예 1과 2의 조성물보다 현저히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이나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서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15)

  1. 인지질, 탄성부여제, 동백유, 항산화제 및 수용성 용매를 포함하는 탄성 리포좀 조성물로서,
    상기 탄성 리포좀 조성물은 전체 중량%에 대하여, 인지질 0.5 ~ 5 중량%, 탄성부여제 0.1 ~ 2 중량%, 동백유 1.0 ~ 4 중량%, 항산화제 0.01 ~ 0.2 중량% 및 잔량의 수용성 용매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여제는 디옥시콜린산나트륨 및 소르비탄모노올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흡수 촉진용 탄성 리포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질은 탄소수가 12 ~ 24개인 지방산 사슬을 가지는 포스파티딜콜린(phosphatidyl choline),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phosphatidylethanolamine), 포스파티딜세린(phosphatidylserine), 포스파티딜글리세롤(phosphatidyl glycerol) 및 포스파티딜이노시톨(phosphatidylinositol)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흡수 촉진용 탄성 리포좀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질은 HPS(hydrogenated phosphatidylcholine), DLPC(Dilauroyl phosphatidylcholine), DMPC(Dimyristoyl phosphatidylcholine), DPPC(Dipalmitoyl phosphatidylcholine), DSPC(Distearoyl phosphatidylcholine), DOPC(Dioleoyl phosphatidylcholine), DEPC(Dierucoyl phosphatidylcholine), POPC(Palmitoyloleoyl phosphatidylcholine), DMPG(Dimyristoyl phosphatidylglycerol, sodium salt), DPPG(Dipalmitoyl phosphatidylglycerol, sodium salt), DSPG(Distearoyl phosphatidylglycerol, sodium salt), DOPG(Dioleoyl phosphatidylglycerol, sodium salt), POPG(Palmitoyloleoyl phosphatidylglycerol, sodium salt), DMPE(Dimyristoyl phosphatidylethanolamine), DPPE(Dipalmitoyl phosphatidylethanolamine), DPPE(Dipalmitoyl phosphatidylethanolamine), DSPE(Distearoyl phosphatidylethanolamine), DOPE(Dioleoyl phosphatidylethanolamine), DMPA(Dimyristoyl phosphatidic acid, sodium salt), DPPA(Dipalmitoyl phosphatidic acid, sodium salt), DSPA(Distearoyl phosphatidic acid, sodium salt) 및 DOPS(Dioleoyl phosphatidylserine, sodium salt)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흡수 촉진용 탄성 리포좀 조성물.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용매는 정제수, C1 ~ C5의 알코올 및 다가알코올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흡수 촉진용 탄성 리포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항산화제는 토코페롤(Tocopherol), 알파-토코페롤(alpha-Tocopherol), 토코페릴 아세테이트(Tocopheryl Acetate), 토코페릴 석시네이트(Tocopheryl Succinate),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테트라헥실데실 아스코르베이트(tetrahexyldecyl ascorbate), 부틸화 하이드록실 톨루엔(Butylhydroxytoluene) 및 부틸화 하이드록시아니솔(Butylated Hydroxyanisole)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흡수 촉진용 탄성 리포좀 조성물.
  7. 삭제
  8. 삭제
  9. 코어쉘(core-shell) 구조를 가지는 탄성 리포좀에 있어서,
    쉘(shell)을 형성하는 인지질;
    상기 쉘 계면에 부착되어 탄성을 부여하는 탄성부여제;
    상기 쉘의 내부 소수성층과 외부 소수성층 사이에 존재하는 동백유;
    코어 내부 및 쉘 외부의 존재하는 수용성 용매; 및 항산화제; 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리포좀은 전체 중량%에 대하여, 인지질 0.5 ~ 5 중량%, 탄성부여제 0.1 ~ 2 중량%, 동백유 1.0 ~ 4 중량%, 항산화제 0.01 ~ 0.2 중량% 및 잔량의 수용성 용매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여제는 디옥시콜린산나트륨 및 소르비탄모노올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흡수 촉진용 탄성 리포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리포좀의 평균 입자도는 100 ~ 250nm이고, 다분산지수(Polydispersity index, PDI)는 0.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흡수 촉진용 탄성 리포좀.
  11. 휘발성 유기 용매에 인지질, 탄성부여제, 항산화제 및 동백유를 용해시킨 혼합물을 제조하는 제1단계;
    제조된 혼합물에 수용성 용매를 적가하고 교반하는 제2단계; 및
    상기 휘발성 유기 용매를 휘발시켜 탄성 리포좀을 제조하는 제3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리포좀은 전체 중량%에 대하여, 인지질 0.5 ~ 5 중량%, 탄성부여제 0.1 ~ 2 중량%, 동백유 1.0 ~ 4 중량%, 항산화제 0.01 ~ 0.2 중량% 및 잔량의 수용성 용매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여제는 디옥시콜린산나트륨 및 소르비탄모노올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흡수 촉진용 탄성 리포좀의 제조방법.
  12. 삭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계의 교반은 5,000 ~ 20,000rpm으로 3 ~ 60분동안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흡수 촉진용 탄성 리포좀의 제조방법.
  14. 제9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탄성 리포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외용제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또는 의약품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20180023624A 2018-02-27 2018-02-27 피부흡수 촉진용 탄성 리포좀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피부흡수 촉진용 탄성 리포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177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3624A KR102217745B1 (ko) 2018-02-27 2018-02-27 피부흡수 촉진용 탄성 리포좀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피부흡수 촉진용 탄성 리포좀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3624A KR102217745B1 (ko) 2018-02-27 2018-02-27 피부흡수 촉진용 탄성 리포좀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피부흡수 촉진용 탄성 리포좀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2753A KR20190102753A (ko) 2019-09-04
KR102217745B1 true KR102217745B1 (ko) 2021-02-22

Family

ID=67950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3624A KR102217745B1 (ko) 2018-02-27 2018-02-27 피부흡수 촉진용 탄성 리포좀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피부흡수 촉진용 탄성 리포좀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77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6341B1 (ko) * 2019-09-26 2021-08-30 한국화학연구원 지용성 노화방지 성분을 로딩한 리포솜 나노입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21532B1 (ko) * 2020-01-16 2021-11-04 코스맥스 주식회사 피부생리활성물질을 함유하는 리포좀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3748A (ko) * 2008-10-21 2010-04-29 (주)네오팜 탄성 리포좀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120025244A (ko) * 2010-09-07 2012-03-15 (주)더페이스샵 애기동백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008182A (ko) * 2011-07-12 2013-01-22 (주)더페이스샵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한 애기동백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13541A (ko) * 2016-07-29 2018-02-07 김윤 천연 추출물을 담지한 탄성리포좀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2753A (ko) 2019-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itkari et al. Formulation and evaluation of topical liposomal gel for fluconazole
JP3009417B2 (ja) エクジステロイドにもとづく水和脂質ラメラ相またはリポソーム
CN104427976B (zh) 疏水的活性成分的储库制剂及其制备方法
US20070082042A1 (en) Multiple-layered liposom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JP5271538B2 (ja) 皮膚再生促進剤
KR101497055B1 (ko) 고밀도 지질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색상과 펄감을 구현한 고보습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07291035A (ja) リポソーム及びリポソーム含有化粧料
US10426715B2 (en) Liposome composition
JPWO2006118246A1 (ja) 経皮吸収促進剤
KR102164218B1 (ko) 피부 흡수 증진을 위한 다중층 양이온성 리포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52621B1 (ko) 각질층의 라멜라구조와 동일한 구조를 형성하는 유사 피부 모사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Gupta et al. Glycerosomes: Advanced Liposomal Drug Delivery System.
TWI236911B (en) Stabilized whitening compositions and methods of preparing same
KR102217745B1 (ko) 피부흡수 촉진용 탄성 리포좀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피부흡수 촉진용 탄성 리포좀 및 이의 제조방법
US11712407B2 (en) Hybrid-type multi-lamellar nanostructure of epidermal growth factor and liposo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2230753B1 (ko) 리포솜 화장품 및 그의 제조 방법
Venugopal Formulation development and characterization of tea tree oil loaded ethosomes
KR20220159075A (ko) 피부모사 리포좀 및 보습효능을 포함하는 이의 용도
AU2003220643A1 (en) Methods and formulations for enhancing the absorption and gastro-intestinal bioavailability of hydrophobic drugs
RU2665946C2 (ru) Композиция, содержащая луковый экстракт и липосомы
KR102451111B1 (ko) 비타민 d 및 비타민 d 유도체를 포함하는 용해성 미세바늘 패치
KR100385457B1 (ko) 리포좀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0789628B1 (ko) 레티노이드를 함유하는 경피흡수가 용이한 캡슐, 이것의 제조방법, 이를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것의 제조방법
CN105520862A (zh) 一种沙棘油脂质体及其制备方法
AU2016346203A1 (en) Isotretinoin formulations and uses and methods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