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7062B1 - 분기전력공급구조를 갖는 원판회전식 발전장치 - Google Patents

분기전력공급구조를 갖는 원판회전식 발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7062B1
KR102217062B1 KR1020190117244A KR20190117244A KR102217062B1 KR 102217062 B1 KR102217062 B1 KR 102217062B1 KR 1020190117244 A KR1020190117244 A KR 1020190117244A KR 20190117244 A KR20190117244 A KR 20190117244A KR 102217062 B1 KR102217062 B1 KR 1022170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nch
power generation
power
frame body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7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근무
Original Assignee
김근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근무 filed Critical 김근무
Priority to KR1020190117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70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7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70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8Structural association of electric generators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e.g. with turbines
    • H02K7/1807Rotary gener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5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with light sensitive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0094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lectrical or electronic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3Couplings; Details of shaf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004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pulley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20Structural association with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e.g. with electric starter motors or exci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10/0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 H02S10/10PV power plants; Combinations of PV energy systems with other systems for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including a supplementary source of electric power, e.g. hybrid diesel-PV energy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기전력공급구조를 갖는 원판회전식 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판의 회전에 의한 동력을 전달받아 전력을 생산하도록 된 발전장치로서, 상부에 안착홈을 갖는 고정케이싱이 형성된 프레임틀본체와, 상기 프레임틀본체의 고정케이싱이 회전되게 축결합되는 원판회전부와, 상기 프레임틀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원판회전부를 회전시키는 운전구동부와, 상기 원판회전부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발전하는 분기발전부로 이루어져, 원판회전부에서 회전력을 전달받아 전기를 생산하는 분기발전부를 선달발전기들과 후단발전기들로 구성시켜, 기기장치에 전기를 공급하는 과정에서 부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회전축에 마련되는 관성원판의 관성에 의해 회전효율을 높여 발전효율이 증대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분기전력공급구조를 갖는 원판회전식 발전장치 { Disc Rotating Power Generator with Branch Power Supply Structure }
본 발명은 분기전력공급구조를 갖는 원판회전식 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12V의 배터리로 이루어진 시동전원공급부로 원판회전부를 회전시켜 발전부를 통해 220V의 전기를 생산하여 기기장치를 통해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효율을 향상시키고, 원판회전부에서 회전력을 전달받아 전기를 생산하는 분기발전부를 선달발전기들과 후단발전기들로 구성시켜, 기기장치에 전기를 공급하는 과정에서 부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회전축에 마련되는 관성원판의 관성에 의해 회전효율을 높여 발전효율이 증대되도록 하는 분기전력공급구조를 갖는 원판회전식 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기는 기계적 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하는 기기로서, 대부분이 회전기이나, 직선운동에 의해서 발전기의 작용을 하는 것이 개발되어 실용화를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전자기유도작용(電磁氣誘導作用)으로 기전력을 발생시키는 점에서는 기계의 대 ·소, 직류 ·교류 발전기 등 모두 공통된 원리에 기초를 두고 있다.
기전력의 크기는 자기장의 세기와 도체의 길이 및 자기장과 도체의 상대적 속도에 비례하며, 기전력의 방향은 플레밍의 오른손 법칙에 의해 알 수 있다. 발전기를 구성하는 데는 자기장을 만들기 위한 강력한 자석과 기전력을 발생시키는 도체가 필요한데, 이 둘 중 어느 하나가 작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야 한다.
실제로 사용되는 발전기에는 회전계자형(回轉界磁型)과 회전전기자형(回轉電機子型)이 있다. 회전계자형은 도체가 정지하고 자기장이 회전하는 발전기이고, 회전전기자형은 이와 반대의 것이다. 매우 작은 발전기에는 영구자석이 사용되는 예가 있으나, 일반적으로는 철심에 계자코일을 감고 이것에 직류를 흐르게 하는 전자석이 사용된다.
이러한 종래의 발전기는 외부에서 전달되는 기계적 운동에너지를 전달받아 발전하여 전기를 생산하게 되며, 외부의 기기장치에 생산된 전기를 전달하여 구동되도록 한다.
최근에는 기계적 운동에너지를 전달받아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기의 효율을 높이고 기계적인 운동에너지는 다수의 발전기가 전달받아 각각의 기기장치에 전기를 공급하여 발전되도록 함으로써, 부하를 줄일 수 있게 되는 발전기의 개발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전술한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등록특허 제0984120호
본 발명은 최근의 기술요구에 부응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원판회전부에서 회전력을 전달받아 전기를 생산하는 분기발전부를 선달발전기들과 후단발전기들로 구성시켜, 기기장치에 전기를 공급하는 과정에서 부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회전축에 마련되는 관성원판의 관성에 의해 회전효율을 높여 발전효율이 증대되도록 하는 분기전력공급구조를 갖는 원판회전식 발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원판의 회전에 의한 동력을 전달받아 전력을 생산하도록 된 발전장치로서, 상부에 안착홈을 갖는 고정케이싱이 형성된 프레임틀본체와, 상기 프레임틀본체의 고정케이싱이 회전되게 축결합되는 원판회전부와, 상기 프레임틀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원판회전부를 회전시키는 운전구동부와, 상기 원판회전부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발전하는 분기발전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판회전부는 상기 고정케이싱의 상부에 회전되게 축결합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끼움되어 회전되고 상기 고정케이싱의 안착홈에 일부가 인입되는 관성원판과, 상기 회전축에 형성되고 상기 운전구동부와 연결되는 한쌍의 운전풀리와, 상기 회전축에 형성되고 상기 분기발전부와 연결되는 한쌍의 내측풀리와 외측풀리로 구성된 발전풀리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운전구동부는 상기 프레임틀본체에 설치되고 어느하나의 운전풀리와 밸트에 의해 연결되는 시동모터와, 상기 시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시동전원공급부와, 상기 프레임틀본체에 설치되고 다른하나의 운전풀리와 밸트연결되는 운전모터와, 상기 운전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운전전원공급부가 더 포함되고, 상기 운전모터는 상기 시동모터가 구동이 종료된 후 구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기발전부는 상기 프레임틀본체의 선단에 회전되게 축결합되고, 상기 회전축의 외측풀리와 밸트에 의해 연결되는 한쌍의 선단발전축과, 상기 선단발전축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발전되는 선단발전기와, 상기 프레임틀본체의 후단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의 내측풀리와 밸트에 의해 연결되는 후단발전축이 마련된 후단발전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틀본체에는 상기 분기발전부의 선단발전기들과 후단발전기들에서 전원을 공급받도록 분기변압기들로 이루어진 분기변압부가 더 마련되고, 상기 프레임틀본체에는 상기 분기변압기들에서 전원을 공급받도록 분기콘센트들로 이루어진 콘센트부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틀본체에는 상기 운전구동부의 시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시동전원공급부 및 운전모터에 전원하는 운전전원공급부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시동전력공급수단이 더 마련되고, 상기 시동전력공급수단은 상기 프레임틀본체에 형성되는 결합홈과, 상기 결합홈에 끼움되어 고정되는 링베어링과, 상기 결합홈에 체결되는 링베어링에 회전되게 하단부가 체결되어 회전되는 회전지주와, 상기 회전지부의 상부에 힌지되동되게 설치되는 프레임틀과, 상기 프레임틀에 설치되는 태양광패널과, 상기 태양광패널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되며, 충전된 전원을 상기 운전구동부의 시동전원공급부와 운전전원공급부에 전달하는 전원충전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분기전력공급구조를 갖는 원판회전식 발전장치는 원판회전부에서 회전력을 전달받아 전기를 생산하는 분기발전부를 선달발전기들과 후단발전기들로 구성시켜, 기기장치에 전기를 공급하는 과정에서 부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회전축에 마련되는 관성원판의 관성에 의해 회전효율을 높여 발전효율이 증대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전력공급구조를 갖는 원판회전식 발전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기전력공급구조를 갖는 원판회전식 발전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전력공급구조를 갖는 원판회전식 발전장치의 콘센트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기전력공급구조를 갖는 원판회전식 발전장치의 작동상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기전력공급구조를 갖는 원판회전식 발전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전력공급구조를 갖는 원판회전식 발전장치의 다른 실시예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전력공급구조를 갖는 원판회전식 발전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분기전력공급구조를 갖는 원판회전식 발전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하는 것이며, 본 기술 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전력공급구조를 갖는 원판회전식 발전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기전력공급구조를 갖는 원판회전식 발전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전력공급구조를 갖는 원판회전식 발전장치의 콘센트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기전력공급구조를 갖는 원판회전식 발전장치의 작동상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기전력공급구조를 갖는 원판회전식 발전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전력공급구조를 갖는 원판회전식 발전장치의 다른 실시예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분기전력공급구조를 갖는 원판회전식 발전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분기전력공급구조를 갖는 원판회전식 발전장치(10)(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원판회전식 발전장치라 명명함)는 원판의 회전에 의한 동력을 전달받아 전력을 생산하도록 된 발전장치로서, 이에 이와같은 발전장치는 프레임틀본체(20)와 원판회전부(30)와 운전구동부(40)와 분기발전부(50)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틀본체(20)는 상부에 안착홈을 갖는 고정케이싱(21)이 나사체결 또는 용접되어 고정된다. 상기 프레임틀본체(20)를 프레임들을 상호 연결하여 사각의 틀구조로 형성시키게 된다.
다르게는 상기 프레임틀본체(20)는 사각의 하우징 또는 케이싱구조로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프레임틀본체(20)의 저면에는 사방에 수평실린더들을 나사체결하여 고정시켜, 후술될 회전축을 기울어지지 않도록 수평이 유지하면서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기울어져 편중되게 회전축과 관성원판이 회전되어 발전효율일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프레임틀본체(20)에는 수포를 마련하여 수평을 확인한 후 상기 수평실린더를 구동시키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고, 위치감지센서들을 마련하여 위치감지센서의 신호를 전달받은 상기 수평실린더들이 구동하여 상기 회전축의 수평을 유지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원판회전부(30)는 상기 상기 프레임틀본체(20)의 고정케이싱(21) 상부에 형성되는 베어링을 갖는 한쌍의 홀더에 회전되게 축결합되어, 상기 운전구동부(40)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분기발전부(50)에 회전력을 전달하게 된다.
상기 원판회전부(30)는 상기 고정케이싱(21)의 상부에 마련되는 상기 홀더에 회전되게 축결합되는 회전축(31)과, 상기 회전축(31)에 끼움되어 중앙부분에 배치되고, 용접고정되어 상기 회전축(31)과 함께 회전되고 상기 고정케이싱(21)의 안착홈에 일부가 인입되는 관성원판(32)과, 상기 회전축(31)에 형성되고 상기 운전구동부(40)와 연결되는 한쌍의 운전풀리(33)와, 상기 회전축(31)에 형성되고 상기 분기발전부(50)와 연결되는 한쌍의 내측풀리(341)와 외측풀리(342)로 구성된 발전풀리부(34)로 이루어진다.
상기 관성원판(32)은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원형의 플레이트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회전축(31)에는 상기 관성원판(32)을 기준으로 외측으로 가면서 순차적으로 상기 운전풀리(33)와 상기 내측풀리(341) 및 상기 외측풀리(342)가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31)과 함께 회전된다.
상기 운전구동부(40)는 상기 프레임틀본체(20)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되며 상기 원판회전부(30)의 회전축(31)을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운전구동부(40)는 상기 프레임틀본체(20)에 설치되고 어느하나의 운전풀리(33)와 밸트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31)을 회전시키는 시동모터(41)와, 상기 프레임틀본체(20)에 마련되고 상기 시동모터(4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시동전원공급부(42)와, 상기 프레임틀본체(20)에 설치되고 다른하나의 운전풀리(33)와 밸트연결되는 운전모터(43)와, 상기 운전모터(43)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운전전원공급부(44)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운전모터(43)는 상기 시동모터(41)가 구동이 종료된 후 구동되어 상기 회전축(31)을 회전시키게 됨으로써, 상기 회전축(31) 및 상기 관성원판(32)을 최초회전시키기 위해 구동되는 시동모터(41)에 부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시동모터(41)에 의해 최초 상기 회전축(31)과 상기 관성원판(32)이 회전되며, 상기 운전모터(43)와 회전되는 관성원판(32)의 관성에 의해 회전축(31)이 회전되면서 회전력을 상기 분기발전부(50)의 선단발전기(52)와 후단발전기(54)에 전달하여 전기를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분기발전부(50)는 상기 원판회전부(30)의 회전력을 전달받이 발전하게 된다.
상기 분기발전부(50)는 상기 프레임틀본체(20)의 선단에 형성되는 베어링을 갖는 홀더들에 회전되게 축결합되고, 상기 회전축(31)의 외측풀리(342)와 밸트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31)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한쌍의 선단발전축(51)과,
상기 선단발전축(51)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선단발전축(51)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발전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선단발전기(52)와, 상기 프레임틀본체(20)의 후단에 형성되는 베어링을 갖는 홀더에 회전되게 축결합되고, 상기 회전축(31)의 내측풀리(341)와 밸트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회전축(31)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후단발전축(53)을 갖는 한쌍의 후단발전기(54)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프레임틀본체(20)에는 상기 회전축(31)에서 회전력을 전달받아 전기를 발생시키는 발전기는 선단발전기(52) 4개와 후단발전기(54) 2개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프레임틀본체(20)에는 상기 선단발전기(52)와 상기 후단발전기(54)에서 생산된 전기를 충전하도록 충전부를 더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후단발전축(53)은 상기 후단발전기(54)에 회전되게 결합되며, 상기 프레임틀본체(20)에 설치되는 베어링을 갖는 홀더에 회전되게 축결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프레임틀본체(20)에는 상기 선단발전기(52)들과 상기 후단발전기(54)들에서 전원을 공급받도록 상기 선단발전기(52)들과 상기 후단발전기(54)들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분기변압기(221)들로 이루어진 분기변압부(22)가 더 마련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틀본체(20)에는 상기 분기변압기(221)들에서 전원을 공급받도록 분기콘센트(231)들로 이루어진 콘센트부(23)가 더 마련된다. 상기 분기변압부(22)와 상기 콘센트부(23)는 상기 프레임틀본체(20)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된다.
즉, 상기 선단발전기(52)들과 상기 후단발전기(54)들에서 전달되는 전원을 상기 분기변압기(221)들이 전달받아 사용용도에 맞게 전압을 달리하여 상기 선단발전기(52) 및 상기 후단발전기(54)와 각각 연결된 분기콘센트(231)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전압이 다른 기기장치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되고, 하나의 발전기에서 전원을 공급하는 것에 비해 부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관성원판(32)의 관성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받아 발전되므로 발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프레임틀본체(20)에는 상기 운전구동부(40)의 시동모터(41)에 전원을 공급하는 시동전원공급부(42) 및 운전모터(43)에 전원하는 운전전원공급부(44)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시동전력공급수단(60)이 더 마련된다.
상기 시동전력공급수단(60)은 상기 프레임틀본체(20)에 형성되는 결합홈(61)과, 상기 결합홈(61)에 끼움되어 고정되는 링베어링(62)과, 상기 결합홈(61)에 체결되는 링베어링(62)에 회전되게 하단부가 체결되어 회전되는 회전지주(63)와, 상기 회전지주(63)의 상부에 힌지되동되게 설치되는 프레임틀(64)과, 상기 프레임틀(64)에 설치되어 전기를 생상하는 태양광(태양전지)패널(65)과, 상기 태양광패널(65)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되며, 충전된 전원을 상기 운전구동부(40)의 시동전원공급부(42)와 운전전원공급부(44)에 전달하는 전원충전기(66)로 이루어져, 태양광에 의해 전기를 생산하여 상기 시동전원공급부(42)와 상기 운전전원공급부(44)에 전기를 공급함으로써,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게 되고 상기 링베어링(62)에 의해 상기 태양광패널(65)을 회전시킬 수 있게 되고 상기 프레임틀(64)이 상기 회전지주(63)에 힌지결합되어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태양을 바라보도록 배치시켜 발전효율을 높이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원판회전식발전장치
20 : 프레임틀본체
21 : 고정케이싱
22 : 분기변압부
221 : 분기변압기
23 : 콘센트부
231 : 분기콘센트
30 : 원판회전부
31 : 회전축
32 : 관성원판
33 : 운전풀리
34 : 발전풀리부
341 : 내측풀리
342 : 외측풀리
40 : 운전구동부
41 : 시동모터
42 : 시동전원공급부
43 : 운전모터
44 : 운전전원공급부
50 : 분기발전부
51 : 선단발전축
52 : 선단발전기
53 : 후단발전축
54 : 후단발전기
60 : 시동전력공급수단
61 : 결합홈
62 : 링베어링
63 : 회전지주
64 : 프레임틀
65 : 태양광패널
66 : 전원충전기

Claims (6)

  1. 원판의 회전에 의한 동력을 전달받아 전력을 생산하도록 된 발전장치로서,
    상부에 안착홈을 갖는 고정케이싱이 형성된 프레임틀본체와, 상기 프레임틀본체의 고정케이싱에 회전되게 축결합되는 원판회전부와, 상기 프레임틀본체에 설치되며 상기 원판회전부를 회전시키는 운전구동부와, 상기 원판회전부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발전하는 분기발전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원판회전부는 상기 고정케이싱의 상부에 회전되게 축결합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끼움되어 회전되고 상기 고정케이싱의 안착홈에 일부가 인입되는 관성원판과, 상기 회전축에 형성되고 상기 운전구동부와 연결되는 한쌍의 운전풀리와, 상기 회전축에 형성되고 상기 분기발전부와 연결되는 한쌍의 내측풀리와 외측풀리로 구성된 발전풀리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운전구동부는 상기 프레임틀본체에 설치되고 어느하나의 운전풀리와 밸트에 의해 연결되는 시동모터와, 상기 시동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시동전원공급부와, 상기 프레임틀본체에 설치되고 다른하나의 운전풀리와 밸트연결되는 운전모터와, 상기 운전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운전전원공급부가 더 포함되고, 상기 운전모터는 상기 시동모터가 구동이 종료된 후 구동되도록 하는 분기전력공급구조를 갖는 원판회전식 발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틀본체의 저면에는 상기 회전축이 수평을 유지하면서 회전되도록 하는 수평실린더가 고정되고,
    상기 분기발전부는 상기 프레임틀본체의 선단에 회전되게 축결합되고, 상기 회전축의 외측풀리와 밸트에 의해 연결되는 한쌍의 선단발전축과,
    상기 선단발전축의 양단부에 설치되어 발전되는 선단발전기와,
    상기 프레임틀본체의 후단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의 내측풀리와 밸트에 의해 연결되는 후단발전축이 마련된 후단발전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전력공급구조를 갖는 원판회전식 발전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틀본체에는 상기 분기발전부의 선단발전기들과 후단발전기들에서 전원을 공급받도록 분기변압기들로 이루어진 분기변압부가 더 마련되고,
    상기 프레임틀본체에는 상기 분기변압기들에서 전원을 공급받도록 분기콘센트들로 이루어진 콘센트부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기전력공급구조를 갖는 원판회전식 발전장치.


  6. 삭제
KR1020190117244A 2019-09-24 2019-09-24 분기전력공급구조를 갖는 원판회전식 발전장치 KR1022170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7244A KR102217062B1 (ko) 2019-09-24 2019-09-24 분기전력공급구조를 갖는 원판회전식 발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7244A KR102217062B1 (ko) 2019-09-24 2019-09-24 분기전력공급구조를 갖는 원판회전식 발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7062B1 true KR102217062B1 (ko) 2021-02-22

Family

ID=74687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7244A KR102217062B1 (ko) 2019-09-24 2019-09-24 분기전력공급구조를 갖는 원판회전식 발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706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41907A (ja) * 1997-07-16 1999-02-12 Tomoharu Matsugahira 発電装置
KR200170384Y1 (ko) * 1999-07-29 2000-02-15 이상기 관성발전기
KR100984120B1 (ko) 2010-05-19 2010-09-28 (주)디자인파크개발 진자운동을 이용한 베벨기어 타입의 발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운동기구
KR20170012760A (ko) * 2015-07-23 2017-02-03 김정호 토크 향상용 회전부재 및 이를 이용한 전력 증산 발전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41907A (ja) * 1997-07-16 1999-02-12 Tomoharu Matsugahira 発電装置
KR200170384Y1 (ko) * 1999-07-29 2000-02-15 이상기 관성발전기
KR100984120B1 (ko) 2010-05-19 2010-09-28 (주)디자인파크개발 진자운동을 이용한 베벨기어 타입의 발전장치 및 이를 구비한 운동기구
KR20170012760A (ko) * 2015-07-23 2017-02-03 김정호 토크 향상용 회전부재 및 이를 이용한 전력 증산 발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10109B2 (en) Self-powered alternative energy machine to generate electricity
US8253294B1 (en) Increased efficiency dual rotational electric motor/generator
JP5966210B1 (ja) フライホイ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発電装置
CN105337474A (zh) 一种储能和驱动集成装置
US20190207438A1 (en) Ac permanent magnet motor
KR102217062B1 (ko) 분기전력공급구조를 갖는 원판회전식 발전장치
WO2024041337A1 (zh) 惯性飞轮磁能自循环发电机
CN201466812U (zh) 一种水平轴向旋转部件电子供电装置
TW200417685A (en) Apparatus for increasing power using magnetic force
CN107078601A (zh) 产生电力的自供电的替代能量机器
CN103078458A (zh) 控制器旋转的无定子无刷双转子外圈永磁体同步电机
CN206759274U (zh) 一种无刷单向同步发电机
WO2016171632A1 (en) Drive and control apparatus of permanent magnatic generator
CN204992810U (zh) 一种发动机焊机用转子无绕组的发电机
KR20210099979A (ko)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프리휠 발전시스템
CN207910637U (zh) 一种高效汽车发电机设备
CN214506905U (zh) 一种磁电空气能发电装置
KR20000076994A (ko) 맴돌이 현상을 이용한 자력 발전기
CN108183540A (zh) 一种强磁磁悬智能电机组成的超级电容驱动装置
US20220389901A1 (en) Self-powered electric generator that works by circulating water in a closed circuit
JP3220870U (ja) ハイブリッド小型発電装置
KR101498360B1 (ko) 고성능의 발전장치
KR20070098332A (ko) 회전 가속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력 생산/배분방법
CN110957893A (zh) 利用发电机磁阻力给电动设备补充电能的结构
JP2021058073A (ja) 回転界磁型発電機(以下rf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