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7005B1 - 강우유출수 및 미세먼지 관리가 가능한 포러스 콘크리트 기반 담체 - Google Patents

강우유출수 및 미세먼지 관리가 가능한 포러스 콘크리트 기반 담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7005B1
KR102217005B1 KR1020190036741A KR20190036741A KR102217005B1 KR 102217005 B1 KR102217005 B1 KR 102217005B1 KR 1020190036741 A KR1020190036741 A KR 1020190036741A KR 20190036741 A KR20190036741 A KR 20190036741A KR 102217005 B1 KR102217005 B1 KR 1022170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ous concrete
ball
based carrier
soil
photocatalyst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6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4645A (ko
Inventor
길경익
임지열
Original Assignee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36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7005B1/ko
Publication of KR20200114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4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7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70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6Catalytic processes
    • B01D53/8637Simultaneously removing sulfur oxides and nitrogen oxid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1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 A01G24/12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containing soil miner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1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 A01G24/17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containing sla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8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containing foam or presenting a foam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removing specified dissolved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2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by catalytic oxid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01C11/225Paving specially adapted for through-the-surfacing drainage, e.g. perforated, porous; Preformed paving elements comprising, or adapted to form, passageways for carrying off drain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5/00Catalysts
    • B01D2255/80Type of catalytic reaction
    • B01D2255/802Photocatalytic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5/00Use of specific compounds during water treatment
    • C02F2305/10Photocatalys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taly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러스 콘크리트 기반 담체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러스 콘크리트 기반 담체는, 골재 혼합물을 포함하는 흙 볼; 상기 흙 볼 상에 코팅된 포러스 콘크리트 볼; 상기 포러스 콘크리트 볼 상에 코팅된 광촉매층; 및 상기 광촉매층 상에 식재된 식물;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강우유출수 및 미세먼지 관리가 가능한 포러스 콘크리트 기반 담체 {POROUS CONCRETE BASE CARRIER FOR MANAGEMENT OF STROM WATER AND FINE DUST}
본 발명은 강우유출수 및 미세먼지 관리가 가능한 포러스 콘크리트 기반 담체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괄목할만한 산업화를 달성했지만 이에 따른 부작용으로 심각한 환경공해를 유발시킨 것도 사실이다.
수질의 경우에는 화학적산소요구량과 생물학적산소요구량이 심각한 상태이고, 각종폐수에는 인체에 유해한 유기물 및 무기물이 용해되어 있으며, 특히 질소산화물, 인화합물, 부유물들을 응집처리하여 슬러지를 제거시키는 처리비용이 또한 엄청나며, 슬러지의 양도 해마다 높은 비율로 증가하고 있다.
또한, 대기오염의 경우에도 미세먼지뿐만 아니라, 사무실이나 주거생활공간에 합성수지건축자재, 합성수지접착제, 합성수지도료 등을 사용함으로써 각종 휘발성 유기화합물(VOC), 공장에서 발생되는 질소산화물, 황산화물 기타 유해가스에 노출됨으로써 호흡기질환, 아토피성 피부질환이 적지 않게 발생하고 있는 상황이다.
최근 국내 환경 분야의 가장 큰 이슈는 미세먼지 및 강우유출수 관리이다. 미세먼지 및 강우유출수에 의한 환경적 영향이 증가함에 따라 두 가지를 동시에 관리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친환경적 강우유출수 관리를 위한 LID(Low Impact Development) 시설의 경우 일정 면적 이상의 부지를 필요로 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미세먼지 관리의 경우 벽면형 시설이 대부분으로 조경상의 문제 및 설치 시 고려해야 될 사항이 많다. 또한, 시설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유지관리의 어려움이 발생한다.
한편, 콘크리트 블록은 보행자가 보행하는 인도, 차량용 및 조경용으로 시공하는 것으로, 인도의 폭 및 길이에 맞추어 다수개를 규칙적으로 시공한다. 그러나, 이러한 콘크리트 블록의 경우, 외부 물질에 대한 콘크리트 블록 표면의 흡수율이 높기 때문에, 오염물질이 콘크리트 블록 내로 쉽게 침투되어 오염에 취약해지고, 이로 인해 콘크리트 블록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물과 대기와의 접촉빈도가 큰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대기 또는 수중의 오염물질을 분해감소시킬 수 있는 소재를 콘크리트 블록에 적용하고, 미세먼지 및 강우유출수를 동시에 관리할 수 있는 기술 개발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강우유출수 및 미세먼지를 동시에 관리할 수 있는 포러스 콘크리트 기반 담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해당 분야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골재 혼합물을 포함하는 흙 볼; 상기 흙 볼 상에 코팅된 포러스 콘크리트 볼; 상기 포러스 콘크리트 볼 상에 코팅된 광촉매층; 및 상기 광촉매층 상에 식재된 식물;을 포함하는, 포러스 콘크리트 기반 담체를 제공한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포러스 콘크리트 볼의 공극률은 5 % 내지 40 %이고, 상기 포러스 콘크리트 볼의 투수 계수는 0.01 cm/sec 내지 10 cm/sec인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광촉매층은, TiO2, ZnO, WO3, ZrO2, SnO2, CdS, ZnS, Nb2O53, ZrO2SrTiO3, KTaO3, Ni-K4Nb6O17CdS, ZnSCdSe, GaP, CdTe, MoSe2 및 WSe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흙 볼의 직경은 50 mm 내지 500 mm이고, 상기 포러스 콘크리트 볼의 두께는 50 mm 내지 100 mm이고, 상기 광촉매층이 최외부에 코팅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골재 혼합물은, 흙, 모래, 자갈, 고로슬래그, 황토, 백토, 화산석, 숯, 퍼얼라이트, 일라이트, 흑요석, 장호석, 화산석, 질석 및 혈암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흙 볼 내에 상기 식물이 뿌리를 내리거나 씨앗이 발아되어 정착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러스 콘크리트 기반 담체는 대기 중 미세먼지 형성의 주요성분인 NOx와 SOx 성분이 광촉매층 표면에 흡착되어 미세먼지 제거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광촉매층에 의해 오염수에 포함되어 있는 용존유기물과 용존무기물을 함께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러스 콘크리트 기반 담체는 균일하고 연속적인 투수홀이 형성된 콘크리트 블록을 제조함으로써, 강우, 우수, 하천, 저수지 등이 지반으로 신속하게 침투할 수 있고 식물이 생육할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을 조성함과 동시에 지반의 구조적인 생태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러스 콘크리트 기반 담체는 포러스 콘크리트 볼의 부식 및 내구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물이나 공기의 침투가 용이하여 식물이 뿌리를 내리거나 씨앗이 발아되기 쉽게 하고, 빗물의 배수에 의한 지반의 침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식물이 정착할 자리를 넓혀주고, 생물에 무해한 환경을 조성해 주어 생태계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러스 콘크리트 기반 담체는 호안, 도로, 정착지, 격자 등에 설치됨으로써, 빗물의 투수성을 향상시키고 식생 콘크리트 블록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러스 콘크리트 기반 담체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포러스 콘크리트 기반 담체에 대하여 실시예 및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 및 도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골재 혼합물을 포함하는 흙 볼; 상기 흙 볼 상에 코팅된 포러스 콘크리트 볼; 상기 포러스 콘크리트 볼 상에 코팅된 광촉매층; 및 상기 광촉매층 상에 식재된 식물;을 포함하는, 포러스 콘크리트 기반 담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러스 콘크리트 기반 담체는 대기 중 미세먼지 형성의 주요성분인 NOx와 SOx 성분이 광촉매층 표면에 흡착되어 미세먼지 제거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광촉매층에 의해 오염수에 포함되어 있는 용존유기물과 용존무기물을 함께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러스 콘크리트 기반 담체는 균일하고 연속적인 투수홀이 형성된 콘크리트 블록을 제조함으로써, 강우, 우수, 하천 등이 지반으로 신속하게 침투할 수 있고 식물이 생육할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을 조성함과 동시에 지반의 구조적인 생태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러스 콘크리트 기반 담체는 포러스 콘크리트 볼의 부식 및 내구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물이나 공기의 침투가 용이하여 흙 볼 내로 식물이 뿌리를 내리거나 씨앗이 발아되기 쉽게 하고, 빗물의 배수에 의한 지반의 침하를 방지할 수 있으며, 식물이 정착할 자리를 넓혀주고, 생물에 무해한 환경을 조성해 주어 생태계를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러스 콘크리트 기반 담체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러스 콘크리트 기반 담체(100)는, 흙 볼(110), 콘크리트볼(120), 광촉매층(130) 및 식물(140)을 포함한다. 도 1에서 화살표 방향은, 강우, 하천, 강가의 물이 포러스 콘크리트 기반 담체(100)를 투과하는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러스 콘크리트 기반 담체(100)는 흙 볼(110)에 의한 침투, 여과 및 저류 효과가 있고, 포러스 콘크리트 볼(120)에 의한 흡착, 여과 및 저류 효과가 있으며, 광촉매층(130)에 의한 흡착 효과 및 식물(140)에 의한 흡착, 흡수 및 여과 효과가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흙 볼(110)은 포러스 콘크리트 기반 담체(100)에서 식물이 식생할 수 있는 공간이다. 상기 흙 볼 내에 상기 식물이 뿌리를 내리거나 씨앗이 발아되어 정착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흙 볼의 크기 및 형상은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크기 및 형상은 특별하게 제한하지 않는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흙 볼(110)은 골재 혼합물 및 물을 혼합하여 적정한 크기 및 형상대로 성형한 후 소성 가열 또는 자연건조하여 제조한 것일 수 있다. 제조 시 흙 볼의 표면에 음식물 쓰레기 성분 또는 식물성 분말로 구성되는 접착제 성질의 물질을 얇은 두께로 살포한 후 건조하여 0.5 mm 내지 2 mm 정도의 일정한 두께로 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흙 볼의 강도를 높여줄 수도 있다. 단, 추가적인 코팅을 수행하는 경우 강유출수가 포러스 콘크리트 담체 내부의 흙 층으로 침투하는데 지장이 없어야 한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골재 혼합물은, 흙, 모래, 자갈, 고로슬래그, 황토, 백토, 화산석, 숯, 퍼얼라이트, 일라이트, 흑요석, 장호석, 화산석, 질석 및 혈암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골재 혼합물은, 압착이 가능할 정도의 점성력을 갖는 모든 종류의 흙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포러스 콘크리트 기반 담체(100) 중에서 상기 흙 볼(110)이 차지하는 만큼 독성성분의 발산량을 줄일 수 있고, 황토와 같은 흙 성분으로부터 발산되는 원적외선 또는 음이온과 같은 인간에게 이로운 약리성분이 발산되어 사람들의 건강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흙 성분 특유의 단열성에 의해 동파를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골재 혼합물 중 고로슬래그를 사용하는 경우, 폐자원을 사용함으로써 자원 재활용, 폐기물, 부산물의 활용 등과 같은 환경보존에 의한 환경부하 저감에 기여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흙 볼(110)의 직경은 50 mm 내지 500 mm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흙 볼(110)의 직경이 50 mm 미만인 경우 식물이 식생할 공간이 부족하게 되고, 500 mm 초과인 경우 결과적으로 포러스 콘크리트 기반 담체의 크기가 커지게 되어 설치 시 고려사항이 많아지게 된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포러스 콘크리트 볼(120)은 흙 볼 전체에 코팅된 코팅층 개념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포러스 콘크리트 볼(120)은, 흙 볼(110)을 예를 들어, 시멘트 50 중량% 내지 90 중량%, 모래 10 중량% 내지 30 중량%, 물 10 중량% 내지 40 중량%를 혼합한 몰탈에 침지시키거나, 흙 볼(110) 성형틀에 상기 몰탈을 부어 제조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포러스 콘크리트 볼(120)은 우수 및 공기의 흐름을 원활히 하여 지반으로 배출하는 기능과 다공질내 보습효과로 인해 표면 온도를 저하시켜 기존 콘크리트계 식재 블록 제품보다 여름철 높은 온도의 복사열 상승에 의한 식물의 고사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포러스 콘크리트 볼의 보습작용에 의한 포장면의 온도상승의 감소 및 식재에 의한 온도제어 효과를 동시에 기대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포러스 콘크리트 볼(120)은, 빗물에 함유된 유기물과 같은 오염물질이이 흡착되고, 여과되며, 상기 포러스 콘크리트 볼에 의해 저류가 되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포러스 콘크리트 볼(120)은, 내부에 골재 혼합물을 포함하는 흙 볼과 투수성 구조로 인한 흡착능을 보유함으로써, 낮 동안은 태양광(이에 함유되어 있는 자외선)에 의해 유기물, 미세먼지, 질소산화물(NOx) 및 황산화물(SOx)과 같은 오염물질이 제거될 뿐만 아니라, 야간에도 상기 흡착재에 유기물, 미세먼지, 질소산화물(NOx) 및 황산화물(SOx)과 같은 오염물질이 흡착되고, 이것이 낮에 자외선에 의해 분해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유기물, 미세먼지, 질소산화물(NOx) 및 황산화물(SOx)과 같은 오염물질이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효율적으로 미세먼지 및 비점오염원을 제거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포러스 콘크리트 볼(120)의 공극률은 5 % 내지 40 %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포러스 콘크리트 볼의 공극률이 5 % 미만인 경우 강우, 하천, 강가, 저수지에서와 같은 물이 투과되기 어렵고, 40 % 초과인 경우 포러스 콘크리트 기반 담체의 내구성이 약해진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포러스 콘크리트 볼(120)의 투수 계수는 0.01 cm/sec 내지 10 cm/sec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포러스 콘크리트 볼의 투수 계수가 0.01 cm/sec 미만인 경우 물이 투과하기 어렵다는 것이므로 강우 또는 하천의 물이 투과하지 못해 그 지역이 범람할 우려가 있고, 10 cm/sec 초과인 경우 흙 볼 성분이 분해되어 포러스 콘크리트 볼을 빠져나가게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의 투수 계수를 가짐으로써 유효 표면적 증가에 의한 광촉매 효율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포러스 콘크리트 볼(120)의 두께는 50 mm 내지 100 mm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포러스 콘크리트 볼의 두께가 50 mm 미만인 경우 내구성이 약해 흙 볼을 담지하기 어렵고, 100 mm 초과인 경우 강우 또는 하천의 물이 투과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광촉매층(130)은 상기 콘크리트 볼(120) 상에 코팅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광촉매층(130)은, TiO2, ZnO, WO3, ZrO2, SnO2, CdS, ZnS, Nb2O53, ZrO2SrTiO3, KTaO3, Ni-K4Nb6O17CdS, ZnSCdSe, GaP, CdTe, MoSe2 및 WSe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광촉매층(130)은 상기에 열거된 물질 중에서 빛이 조사되면 많은 양의 광자(photon) 및 수산화기를 생성할 수 있는 나노 사이즈의 TiO2 및 ZnO가 많이 사용되고, 특히, 화학적으로 안정하고, 광활성이 우수하고, 인체에 무해하다는 장점이 있는 아나타제(anatase) 결정구조의 TiO2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광촉매층(130)을 건조하기 위해 자연건조방식 및 열경화방식을 적용하는데, 상기 자연건조방식은 광촉매 물질을 상기 흙 볼(110)이 내재되어 있는 상기 포러스 콘크리트 볼(120)에 스프레이 도포한 후 10 시간 내지 24 시간에 걸쳐 자연건조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는 것이고, 열결화방식은 160 ℃ 내지 200 ℃의 온도로 10 분 내지 30 분간 열경화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광촉매층(130)은 최외부에 광촉매를 코팅을 실시하여 광촉매를 고정시킨다. 이 때 광촉매 코팅층은 표면에 고르게 분포될 수 있도록해야 한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광촉매층(130)은 빛을 에너지원으로 하여 빛이 조사된 것에 의해 화학반응을 촉진시켜 촉매 반응을 진행시키는 물질이다. 대기 중 미세먼지 형성의 주요성분인 NOx와 SOx 성분이 상기 광촉매층 표면에 흡착되어 미세먼지 제거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촉매층에 의해 오염수에 포함되어 있는 용존유기물과 용존무기물을 함께 제거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식물(140)은, 포러스 콘크리트 기반 담체(100)에 식물이 많이 자랄 수 있도록 하여 자연환경을 보호할 수 있고, 외부에서는 식물들만 보이게 되어 포러스 콘크리트 기반 담체를 시공하여도 외관을 자연스럽게 한다. 또한, 상기 식물(140)은 흡착 성능을 가져 대기 및 수중의 오염물질을 정화하도록 하는 기능이 있다.
일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식물(140)은 포러스 콘크리트 볼(120)의 세공을 통해 흘 볼(110)까지 식물의 뿌리를 번식시키고 시공된 포러스 콘크리트 기반 담체(100)들을 견고하게 지탱해줄 수 있다. 이러한 식물들에 의해 수생곤충, 양서류, 파충류, 어류 등 작은 동물들의 서식처, 휴식처, 피난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 자연 생태계를 복원 또는 유지할 수 있는 탁월한 작용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러스 콘크리트 기반 담체(100)는 광촉매층(130)에 의해 강우 시 대기중 미세먼지 형성의 주요성분인 NOx 및 SOx 성분을 흡착시켜 미세먼지를 제거할 수 있고, 식물(140), 포러스 콘크리트 볼(130) 및 흙 볼(110)에 의해 강우유출수 관리가 동시에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러스 콘크리트 기반 담체(100)는 작은 크기로 호안, 도로, 정착지, 격자 등에 손쉽게 설치할 수 있으며, 빗물의 투수성을 향상시키고 포러스 콘크리트 기반 담체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식생 등의 효과로 조경성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러스 콘크리트 기반 담체를 이용하여, 환경관리, 비점오염 저감, 미세먼지 저감, 친환경시설, 친환경재료 및 LID(Low Impact Development) 기술 분야에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포러스 콘크리트 기반 담체
110: 흙볼
120: 포러스 콘크리트 볼
130: 광촉매층
140: 식물

Claims (5)

  1. 골재 혼합물을 포함하는 흙 볼;
    상기 흙 볼 상에 코팅된 포러스 콘크리트 볼;
    상기 포러스 콘크리트 볼 상에 코팅된 광촉매층; 및
    상기 광촉매층 상에 식재된 식물;
    을 포함하고,
    구형의 코어-쉘 형상이고,
    상기 포러스 콘크리트 볼의 투수 계수는 0.01 cm/sec 내지 10 cm/sec이고,
    상기 흙 볼의 직경은 50 mm 내지 500 mm이고,
    상기 포러스 콘크리트 볼의 두께는 50 mm 내지 100 mm인 것이고,
    상기 광촉매층은, ZrO2, CdS, ZnS, Nb2O53, ZrO2SrTiO3, KTaO3, Ni-K4Nb6O17CdS, ZnSCdSe, GaP, CdTe, MoSe2 및 WSe2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식물은 흡착 성능을 가져 대기 및 수중의 오염물질을 정화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이고,
    상기 흙 볼의 표면에 음식물 쓰레기 성분 또는 식물성 분말로 구성되는 접착제 성질의 물질을 얇은 두께로 살포한 후 건조한 0.5 mm 내지 2 mm 정도의 일정한 두께로 접착제 코팅층을 포함하는 것인,
    포러스 콘크리트 기반 담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러스 콘크리트 볼의 공극률은 5 % 내지 40 %인 것인,
    포러스 콘크리트 기반 담체.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촉매층이 최외부에 코팅된 것인,
    포러스 콘크리트 기반 담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재 혼합물은, 흙, 모래, 자갈, 고로슬래그, 황토, 백토, 화산석, 숯, 퍼얼라이트, 일라이트, 흑요석, 장호석, 화산석, 질석 및 혈암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흙 볼 내에 상기 식물이 뿌리를 내리거나 씨앗이 발아되어 정착하는 것인,
    포러스 콘크리트 기반 담체.
KR1020190036741A 2019-03-29 2019-03-29 강우유출수 및 미세먼지 관리가 가능한 포러스 콘크리트 기반 담체 KR1022170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6741A KR102217005B1 (ko) 2019-03-29 2019-03-29 강우유출수 및 미세먼지 관리가 가능한 포러스 콘크리트 기반 담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6741A KR102217005B1 (ko) 2019-03-29 2019-03-29 강우유출수 및 미세먼지 관리가 가능한 포러스 콘크리트 기반 담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4645A KR20200114645A (ko) 2020-10-07
KR102217005B1 true KR102217005B1 (ko) 2021-02-17

Family

ID=72884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6741A KR102217005B1 (ko) 2019-03-29 2019-03-29 강우유출수 및 미세먼지 관리가 가능한 포러스 콘크리트 기반 담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700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3078A (ja) * 2003-08-04 2005-03-03 Yamau Co Ltd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の製造方法および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JP2007319058A (ja) 2006-05-31 2007-12-13 Takahashi Gijutsu Consultant:Kk 肥料成分を有するポーラスコンクリート
JP2010144439A (ja) 2008-12-19 2010-07-01 Taiyu Concrete Kogyo Kk コンクリート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47948A (ja) * 1996-11-18 1998-06-02 Tohoku Sekizai Block Kk 植栽土を包含し表面腐食する植栽ブロックの製造方法
JPH10327672A (ja) * 1997-05-29 1998-12-15 Isao Ogata 根付き植物を合植してなる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53078A (ja) * 2003-08-04 2005-03-03 Yamau Co Ltd 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の製造方法および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JP2007319058A (ja) 2006-05-31 2007-12-13 Takahashi Gijutsu Consultant:Kk 肥料成分を有するポーラスコンクリート
JP2010144439A (ja) 2008-12-19 2010-07-01 Taiyu Concrete Kogyo Kk コンクリート部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4645A (ko) 2020-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hen et al. Pervious concrete with titanium dioxide as a photocatalyst compound for a greener urban road environment
JP4576550B1 (ja) エコ資源スラグ有効利用方法
CN106082526B (zh) 一种具有生态净化功能的储水型城市道路隔离带
MX2010011415A (es) Sistema y metodo de bio-retencion.
JP2008002225A (ja) 吸水・保水性炭化物被覆骨材及びこれを用いた吸水・保水性舗装材
CN109704515A (zh) 一种复合人工湿地生物滤池
KR101240587B1 (ko) 수처리용 여과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217005B1 (ko) 강우유출수 및 미세먼지 관리가 가능한 포러스 콘크리트 기반 담체
KR102201653B1 (ko) 포러스 콘크리트 담체를 이용한 친환경적 강우유출수 관리 시스템
JP4625742B2 (ja) 光触媒体の製造方法
Han et al. Photocatalytic concrete
KR20070110674A (ko) 친환경 투수콘크리트 도로포장공법
KR102209260B1 (ko) 포러스 콘크리트 카블을 이용한 강우유출수 및 비점오염원 저감 시스템
KR102287700B1 (ko) 인공습지 수처리 시스템
KR20100083669A (ko) 친환경적 배수 및 정화 기능을 갖는 실내외조경용 투수블록의 제조방법
CN111675452B (zh) 一种基于纳米耦合材料水体生态净化系统
CN212982714U (zh) 一种提升河道水质的组合式生态滤床
CN208471806U (zh) 一种用于有机硅类碱性废水处理的人工湿地净化池
KR101099590B1 (ko) 화산석을 이용한 매립지 침출수 유출 방지용 정화층 구조물 시공방법 및 그 구조물
CN207597730U (zh) 一种用于雨水生物过滤净化的屋顶结构
Mircea Self-cleaning concrete for landscaping applications
KR20140112444A (ko) 기반재
JP2000045204A (ja) ブロック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656413B1 (ko) 옥상정원을 lid로 설계하는 방법
CN211498708U (zh) 一种人工湿地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