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6465B1 - 차량용 소각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소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6465B1
KR102216465B1 KR1020200033054A KR20200033054A KR102216465B1 KR 102216465 B1 KR102216465 B1 KR 102216465B1 KR 1020200033054 A KR1020200033054 A KR 1020200033054A KR 20200033054 A KR20200033054 A KR 20200033054A KR 102216465 B1 KR102216465 B1 KR 1022164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pipe
cover
unit
collection
inner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3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경아
Original Assignee
배경아
주식회사 이맥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경아, 주식회사 이맥산업 filed Critical 배경아
Priority to KR1020200033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64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6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64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40Portable or mobile incin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1/00Furnaces for cremation of human or animal carca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8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having supplementary heating
    • F23G5/14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having supplementary heating including secondary combustion
    • F23G5/16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having supplementary heating including secondary combustion in a separate combustion chamber
    • F23G5/165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having supplementary heating including secondary combustion in a separate combustion chamber arranged at a different lev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44Details; Accesso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5/00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 F23J15/02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 F23J15/022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for removing solid particulate material from the gasflow
    • F23J15/027Arrangements of devices for treating smoke or fumes of purifiers, e.g. for removing noxious material for removing solid particulate material from the gasflow using cyclone sepa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2/00Combustion
    • F23G2202/10Combustion in two or more stages
    • F23G2202/102Combustion in two or more stages with supplementary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2217/00Intercepting solids
    • F23J2217/40Intercepting solids by cycl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차량의 내부에 수납되어 이동이 가능하고 내부의 발열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소각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각장치는 후방의 개구부에 개폐도어가 형성되고 차량에 수납되는 챔버 형태의 커버부, 상기 커버부에 결합되어 상기 커버부의 내부로 화염을 발생시키는 버너부, 상기 커버부의 내부에서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수납부, 일단이 상기 커버부의 상부에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관 형태의 배기관부 및 측면은 상기 배기관부의 타단에 연통되고, 상부에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을 연결하는 배출관이 형성되는 포집부를 포함하고, 상기 포집부의 하부에는 상기 배기관부에서 유입되는 재가 포집되고 가스는 상기 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소각장치{INCINERATION APPARATUS FOR VEHICLE}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소각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에 수납되는 소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최근에는 1인가구의 증가와 반려동물을 키우는 가정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어 반려동물 산업의 성장이 크게 증가하고 있고, 이에 따라 반려동물의 수명이 다하면 반려동물의 유골을 납골장에 보관하려는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반려동물의 수명이 다한 후 사체를 먼거리에 위치한 화장터로 이송시키기 위해서는 높은 비용이 수반되고, 화장터를 기피하는 문화적 특성때문에 반려동물의 사체 처리에 많은 제한이 따르는 단점이 있다.
이와 관련되어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79706호는 반려동물 화장용 소각기가 장착된 이동식 차량을 개시하고 있고,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10166호는 이동식 열분해 소각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발명들은 이동성 및 안정성이 개선된 소각장치 기술은 개시하지 않고 있다.
차량의 내부에 수납되어 이동이 가능하고 내부의 발열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소각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소각장치는 후방의 개구부에 개폐도어가 형성되고 차량에 수납되는 챔버 형태의 커버부, 상기 커버부에 결합되어 상기 커버부의 내부로 화염을 발생시키는 버너부, 상기 커버부의 내부에서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수납부, 일단이 상기 커버부의 상부에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관 형태의 배기관부 및 측면은 상기 배기관부의 타단에 연통되고, 상부에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을 연결하는 배출관이 형성되는 포집부를 포함하고, 상기 포집부의 하부에는 상기 배기관부에서 유입되는 재가 포집되고 연기나 유해한 가스는 상기 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커버부는 내측면에 부착되어 내부공간을 둘러싸고 세라믹 코트로 제작되는 단열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집부는 상기 배기관부와 연결되는 사이클론 및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사이클론의 하부에 연통되는 포집박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집박스는 후방에 개구부가 형성된 박스 형태의 포집바디 및 상기 포집바디의 내부에 전후방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서랍 형태의 포집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기관부는 상기 커버부에 연통되는 박스 형태의 배기박스 및 일단은 상기 배기박스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포집부에 연결되는 배기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각장치는 상기 배기관부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배기관부의 일단 내부에 화염을 발생시키는 보조 버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각장치는 대용량의 수납공간이 형성된 밴, 화물차량 또는 탑차 중 어느 하나의 수납공간에 배치되어 반려동물의 소각을 필요로하는 고객에게 이송되어 편리한 반려동물 소각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소각장치는 내화 성능이 우수한 세라믹코트로 제작된 단열재가 내부에 형성되어 소각장치에서 발생되는 열이 차량에 전달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 및 2들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각장치의 사시도들.
도 3은 도 1의 소각장치의 절개사시도.
도 4는 도 1의 소각장치를 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5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각장치의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각장치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및 2들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소각장치의 사시도들을 도시한다. 도 3은 도 1의 소각장치의 절개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1의 소각장치를 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4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각장치(100)는 커버부(200), 버너부(300), 수납부(400), 배기관부(500) 및 포집부(600)를 포함한다.
최근에는 1인가구의 증가와 반려동물을 키우는 가정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어 반려동물 산업의 성장이 크게 증가하고 있고, 이에 따라 반려동물의 수명이 다하면 반려동물의 유골을 납골장에 보관하려는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반려동물의 수명이 다한 후 사체를 먼거리에 위치한 화장터로 이송시키기 위해서는 높은 비용이 수반되고, 화장터를 기피하는 문화적 특성때문에 반려동물의 사체 처리에 많은 제한이 따르는 단점이 있다.
소각장치(100)는 대용량의 수납공간이 형성된 밴, 화물차량 또는 탑차 중 어느 하나의 수납공간에 배치되어 반려동물의 소각을 필요로하는 고객에게 이송되어 편리한 반려동물 소각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소각장치(100)는 다결정 뮬라이트 섬유들을 바인더를 통해 판넬 형태로 제작한 세라믹 코트로 제작된 단열재가 내부에 형성되어 소각장치(100)에서 발생되는 열이 차량에 전달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 세라믹 코트는 ITM사의 FIBERMAX BOARD 또는 HITEMS사의 세라믹 보드(초고온용)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커버부(200)는 커버바디(210), 개폐도어(220), 단열재(230), 레일(240, 250)들 및 단열지지대(260, 270)들을 포함한다.
커버부(200)의 일단은 전방 제1 방향(1)쪽에서 내부공간이 제1 방향(1)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2)을 향해 개방된 용기 형태로 형성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제2 방향(2)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내부공간(11)을 밀폐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커버바디(210)의 일단부는 상부는 아치형태로 돌출되고 하부는 직사각 형태인 플레이트의 테두리 일부분이 제2 방향(2)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고, 타단부는 일단부에서 제2 방향(2)을 향해 연장된다.
커버바디(210)의 타단부에는 커버바디(210)의 내부공간(11) 및 외부공간을 연결하는 개구부(12)가 형성되고, 개폐도어(220)는 커버바디(210)의 타단부에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회동에 따라 개구부(12)를 밀폐 또는 개방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단열재(230)의 일단부는 아치 형태로 형성되어 제1 방향(1)쪽 일단면은 커버바디(210)의 일단부 제1 방향(1)쪽 내측면과 밀착되며, 일단부의 외측면은 커버바디(210)의 제1 방향(1)쪽 내측면에 밀착된다.
단열재(230)의 타단부는 커버바디(210)의 내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일단부에서 제2 방향(2)을 향해 커버바디(210)의 타단부까지 연장되고, 단열재(230)의 두께는 커버바디(210)의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된다.
단열재(230)는 내화소재인 세라믹코트 및 소성보드를 포함하는 내화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내화벽돌들이 화덕 형태로 쌓여지고 부착되면서 단열재(230)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레일(240, 250)들 각각은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길게 연장된 플레이트의 일측 및 타측 각각이 하부를 향해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어 일측 및 타측 끝단은 각각 내부공간(11)의 커버바디(210)의 바닥면에 밀착된다.
따라서, 레일(240, 250)들 각각은 일측 또는 타측으로 연장된 연장선상을 기준으로 레일(240, 250)들 각각을 절단한 후 제2 방향(2)쪽에서 레일(240, 250)들 각각을 주시하면 꼭지점이 상부를 향하는 삼각형 형태로 형성된다.
레일(240, 250)들 각각은 내부공간(11)에서 일측 및 타측 각각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수납부(400)는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레일(240, 250)들과 결합된다.
단열지지대(260)들 각각은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길게 연장된 사각관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의 공간은 일측 및 타측을 향해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커버바디(210)의 하부에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따라 동일한 간격을 두고 이격된 상태에서 커버바디(210)의 저면에 밀착된다.
단열지지대(270)들 각각은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길게 연장된 사각관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의 공간은 제1 및 제2 방향(1, 2)을 향해 개방되며, 단열지지대(260)들의 하부에서 단열지지대(260)들 각각의 일단 및 타단을 연결하며 단열지지대(260)들의 저면에 밀착된다.
버너부(300)는 커버부(200)의 제1 방향(1)쪽에 배치된 상태에서 화염을 발생시키는 화염발생부가 커버부(200)의 내부공간(11)에 삽입되도록 커버부(200)와 결합된다.
버너부(300)는 차량 내부에 배치되는 가스를 포함하는 연료와 연결되어 지속적으로 연료를 공급받고, 반려동물의 사체가 소각되도록 섭씨 1000도 이상의 화염을 내부공간(11)에 발생시킨다.
수납부(400)는 수납판(420), 스페이서(425), 롤러(430) 및 지지대(440)를 포함한다.
수납부(400)는 커버부(200)의 내부공간(11)에서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이동이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세라믹 코트, 내화벽돌 및 시멘트를 포함하는 내화소재로 제작된다.
수납판(420)은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길게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세라믹코트, 내화벽돌 또는 시멘트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제작되어 내화성이 개선된다.
스페이서(425)들 각각은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길게 연장된 사각 스틱 형태로 형성되고, 각각의 스페이서(425)는 수납판(420)의 상부에서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동일한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된 상태에서 수납판(420)과 결합된다.
롤러(430)들 각각은 수납판(420)의 코너쪽 저면에 각각 결합되고, 일측에 배치되는 롤러(430)들 각각의 하부에 형성되는 휠들은 레일(240)의 상부에 형성된 경사면들에 밀착되며, 타측에 배치되는 롤러(430)들 각각의 하부에 형성되는 휠들은 레일(250)의 상부에 형성된 경사면들에 밀착된다.
따라서, 수납판(420)은 롤러(430)들을 통해 레일(240, 250)들을 따라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이동이 가능하고, 작업자는 내부공간(11)에서 수납판(420)을 당겨서 편리하게 반려동물의 사체를 스페이서(425)의 상부에 배치시킬 수 있다.
지지대(440)의 일단은 수납판(420)의 타단 하부에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하부를 향해 스틱 형태로 연장되어 지면에 밀착된다.
지지대(440)의 타단에는 일단은 지지대(440)의 타단에 상하부 축을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에는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한 휠들이 형성되는 롤러가 부착된다.
수납판(420)이 내부공간(11)에 배치된 상태에서 지지대(440)의 타단은 일단의 회동을 통해 수납판(420)의 저면을 향해 이동하여 수납판(420)의 저면에 밀착되어 커버바디(210)의 바닥 및 수납판(420) 사이에 배치된다.
수납판(420)이 내부공간(11)에서 제2 방향(2)을 향해 이동하여 외부에 배치되면 지지대(440)의 타단이 하강하여 지면에 밀착되고, 지지대(440)는 수납판(420)의 제2 방향(2)쪽 부분이 하부를 향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지지대(440)는 수납판(420)의 타단이 내부공간(11)의 외부로 배치된 상태에서 수납판(420)의 타단이 하부를 향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배기관부(500)는 배기박스(510), 제1 배기관(520) 및 제2 배기관(530)을 포함한다.
배기관부(500)의 일단은 커버부(200)의 상부에 내부공간(11)과 연통되도록 커버부(200)에 결합되고, 타단은 제1 방향(1)을 향해 연장된 후 타측을 향해 절곡되어 포집부(600)에 연통된다.
배기관부(500)는 커버부(200)의 내부공간(11)에서 반려동물의 사체가 소각되면서 발생되는 유해한 가스, 연기 및 재들이 내부로 유입되면 가스, 연기 및 재들을 포집부(600)로 이동시킨다.
구체적으로, 배기박스(510)는 직육면체 형태의 박스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의 제1 공간(512)은 커버바디(210)의 상부에 형성되어 내부공간(11)과 외부공간을 연결하는 배출홀(215)에 연결된다.
배기박스(510)의 제1 방향(1)쪽 전면에는 직사각형 형태의 전면 일부분이 제2 방향(2)을 향해 함몰되어 제1 공간(512)과 외부공간을 연결하는 전방홀이 형성된다.
제1 배기관(520)의 일단은 내부공간이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개방된 사각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전방홀을 둘러싸며 배기박스(510)의 전면과 결합되고, 타단은 제1 방향(1)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며 제1 방향(1)쪽을 커버하여 제1 배기관(520)의 내부공간을 밀폐시킨다.
제2 배기관(530)의 일단은 제1 배기관(520)의 타단 타측면을 관통하는 측면홀을 둘러싸는 사각관 형태로 형성되어 제1 배기관(520)과 결합되고, 타단은 타측을 향해 연장되어 포집부(600)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포집부(600)와 결합된다.
포집부(600)는 사이클론(610), 포집박스(620) 및 배출관(630)을 포함하고, 포집박스(620)는 포집바디(622) 및 포집용기(624)를 포함한다.
포집부(600)의 상단부는 사이클론 집진기 형태로 형성되어 배기관부(500)의 타단에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하단부는 상단부에서 하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내부공간을 서랍형식으로 개폐가 가능한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하단부의 공간은 상단부를 관통하여 하단부의 내부까지 연장되는 연통과 연결된다.
따라서, 배기관부(500)에서 유입되는 가스, 연기 및 재는 포집부(600)의 내부에서 나선 형태로 회동하면서 하부를 향해 이동하고, 재는 포집부(600)의 하단부 내부에 수집되어 외부로 배출이 가능하며, 가스 및 연기는 포집부(600)의 하단부 내부에서 상기 연통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구체적으로, 사이클론(610)의 상단부는 원통 형태로 형성되어 상단부 일측은 제2 배기관(530)의 타단과 연통되도록 제2 배기관(530)과 결합되고, 하단부는 상단부에서 축소되면서 연장되어 포집박스(620)와 연통되도록 포집박스(620)와 결합된다.
포집박스(620)는 포집바디(622) 및 포집용기(624)를 포함한다.
포집박스(620)는 박스 형태로 형성되고, 제2 방향(2)쪽 일부분은 서랍 형태로 분리가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포집박스(620)의 내부에 수집되는 재는 외부로 배출이 가능하다.
포집바디(622)는 내부의 공간이 제2 방향(2)을 향해 개방된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상부에는 사이클론(610)의 내부공간과 연통되도록 사이클론(610)의 하단부에 결합된다.
포집용기(624)는 내부의 공간이 상부를 향해 개방되는 사각 용기 형태로 형성되어 포집바디(622)의 제2 방향(2)쪽에서 포집바디(622)의 내부로 삽입이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포집바디(622)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포집바디(622)의 제2 방향(2)쪽 개구부를 밀폐시킨다.
따라서, 작업자는 사이클론(610)을 통해 유입되는 재가 포집용기(624)에 수집되면 포집용기(624)를 포집바디(622)에서 제2 방향(2)쪽으로 이동시켜 분리한 후 재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배출관(630)의 일단은 포집용기(624)의 내부에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길게 연장된 원통 형태로 형성되고, 타단은 포집바디(622)의 상부홀, 사이클론(610)의 하단부 및 상단부를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된다.
배출관(630)의 일단 외측면 및 포집바디(622)의 상부홀에 해당하는 포집바디(622)의 내측면은 서로 이격되고, 이격된 공간을 통해 사이클론(610) 내부의 재가 포집용기(624)의 내부로 하강한다.
따라서, 사이클론(610)에서 나선 형태로 회전하면서 포집바디(622)의 내부로 유입되는 가스 및 연기는 배출관(630)의 일단 내부로 유입된 후 배출관(630)의 타단의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므로, 가스 및 연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상태에서는 재가 필터링되는 장점이 있다.
보조버너부(800)는 배기관부(500)의 제2 방향(2)쪽에 배치된 상태에서 보조버너부(800)의 화염 발생부가 배기박스(510)의 안쪽에 배치되도록 배기박스(510)와 결합된다.
보조버너부(800)가 작동하면, 배출홀(215)에서 배기박스(510)의 제1 공간(512)으로 유입되는 가스, 연기 및 재는 보조버너부(800)를 통해 2차 연소되면서 제1 및 제2 배기관(520, 530)들을 거쳐 사이클론(610)의 내부로 유입된다.
따라서, 내부공간(11)에서 소각되는 사체에서 발생되어 제1 공간(512)으로 유입되는 재는 제1 공간(512)에서 보조버너부(800)를 통해 완전소각되고, 사이클론(610)을 거쳐 포집용기(62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각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소각장치(120)는 포집부(700)의 포집박스(705)를 제외하면, 도 1 내지 4들의 소각장치(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와 명칭을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각장치(120)는 포집부(700)를 포함하고, 포집부(700)는 포집박스(705)를 포함한다.
포집박스(705)는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사이클론(610)과 연통되고, 제2 방향(2)쪽 일부분은 서랍 형태로 분리되어 제2 방향(2)을 향해 자동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포집박스(705)의 내부에 수집되는 재를 외부로 편리하게 배출이 가능하다.
포집박스(705)는 포집바디(710), 포집용기(720), 디스플레이(730), 모터(740), 휠(750, 760)들 및 이동판(770)을 포함한다.
포집바디(710)는 내부의 공간이 제2 방향(2)을 향해 개방된 직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 공간 하부에 위치하고 서로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이격되며 제1 또는 제2 방향(1, 2)으로 연장된 일부분이 하부를 향해 함몰되어 슬라이딩홈(742, 744)들이 형성된다.
포집용기(720)는 내부의 공간이 상부를 향해 개방된 사각 용기 형태로 형성되어 포집바디(710)의 제2 방향(2)쪽에서 포집바디(710)의 내부로 삽입되면 포집바디(710)의 내부공간을 밀폐시킨다.
디스플레이(730)는 포집용기(720)의 제2 방향(2)쪽 배면에 부착되고, 단말기를 통해 무선으로 디스플레이(730)에 연결된 제어부로 송신되는 이미지 또는 영상이 디스플레이(730)를 통해 표시된다.
모터(740)들 각각은 포집용기(720)의 제2 방향(2)쪽 일측 및 타측 하부에 각각 결합되고, 휠(750)들 각각은 모터(740)들 각각의 일측 및 타측에 구동축을 통해 연결되어 모터(740)들 각각의 구동에 따라 정회전 또는 역회전한다.
휠(750)들 각각은 포집용기(720)가 포집바디(7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슬라이딩홈(742, 744)들 각각에 삽입되고, 모터(740)들 각각의 구동에 따라 휠(750)들이 회전하여 포집용기(720)가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이동한다.
휠(760)들 각각은 포집용기(720)의 제1 방향(1)쪽 일측 및 타측에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포집용기(720)에 결합되고, 포집바디(710)의 내부에서는 슬라이딩홈(742, 744)들 각각에 삽입된다.
모터(740)는 단말기와 무선으로 연결되는 상기 제어부를 통해 구동축의 회전방향이 제어되고, 상기 구동축의 회전이 정회전일 경우, 휠(750)들 각각이 정회전하면서 포집바디(710)에서 제2 방향(2)으로 이동한다.
반대로, 모터(740)의 구동축이 역회전하는 경우, 휠(750)들 각각이 역회전 하고, 포집바디(710)가 제2 방향(2)쪽으로 이동하면서 포집바디(710)의 내부로 이동한다.
이동판(770)의 일단은 상부 및 하부 면적이 측면보다 넓은 직사각 형태로 형성되어 포집바디(710)의 저면에 플레이트 형태로 부착되고, 타단은 커버바디(210)의 타단부 끝단까지 연장되어 커버바디(210)의 타측면에 결합된다.
포집용기(720)가 포집바디(71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휠(750)들 각각은 이동판(770)의 상부면에 밀착되고, 모터(740)의 구동축이 정회전하면 휠(750)이 회전하면서 이동판(770)을 따라 제2 방향(2)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포집용기(720)의 내부에 내장된 제어부를 통해 무선으로 디스플레이(730) 또는 모터(740)를 제어하여 화장된 반려동물의 이미지 또는 영상을 통해 반려동물의 주인을 위로하면서 반려동물의 마지막 소각된 유골을 반려동물의 주인에게 제공하여 반려동물 주인의 만족을 개선시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730)에 반려동물의 이미지 또는 영상을 표시하면서 먼거리에서 다가오는 마지막 유골의 잔존물을 받을 수 있어 반려동물의 사망을 위로하는 시간을 가질 수 있다.
한편, 포집용기(720)의 내부에는 반려동물의 소각된 유골을 보관하는 유골함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유골함은 사이클론(610)의 하단부에서 낙하하는 반려동물 유골의 재를 수납한 후, 포집용기(720)를 따라 제2 방향(2)으로 이동하면 반려동물 주인에게 서비스로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유골함에는 내부공간(11)에서 버너부(300)를 통해 소각된 반려동물의 화장된 유골을 같이 수납시켜 반려동물의 주인에게 제공하고, 이를 통해 반려동물 주인의 서비스 만족도가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120: 소각장치 200: 커버부
300: 버너부 400: 수납부
500: 배기관부 600, 700: 포집부

Claims (6)

  1. 후방의 개구부에 개폐도어가 형성되고 차량에 수납되는 챔버 형태의 커버부;
    상기 커버부에 결합되어 상기 커버부의 내부로 화염을 발생시키는 버너부;
    상기 커버부의 내부에서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수납부;
    일단이 상기 커버부의 상부에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관 형태의 배기관부; 및
    측면은 상기 배기관부의 타단에 연통되고, 상부에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을 연결하는 배출관이 형성되는 포집부;를 포함하고,
    상기 포집부는, 상기 배기관부와 연결되는 사이클론, 상기 커버부의 측면에서 상기 사이클론의 하부부터 후방까지 연장되는 이동판, 상기 사이클론의 하부에 결합되는 포집바디, 내부공간이 상부로 개방된 용기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포집바디의 후방에 삽입되거나 상기 이동판을 따라 전후방 슬라이딩 이동되는 포집용기, 상기 포집용기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모터에 연결되는 휠들 및 상기 포집용기의 배면에 부착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며,
    상기 모터는 단말기의 무선 제어를 통해 구동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에는 상기 단말기에서 선택된 반려동물의 이미지 또는 영상이 표시되며,
    상기 포집용기의 내부에는 상기 배기관부에서 유입되는 재가 포집되고 가스는 상기 배출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내측면에 부착되어 내부공간을 둘러싸고 세라믹 코트로 제작되는 단열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부는,
    상기 커버부에 연통되는 박스 형태의 배기박스; 및
    일단은 상기 배기박스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포집부에 연결되는 배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부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배기관부의 일단 내부에 화염을 발생시키는 보조 버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각장치.





















KR1020200033054A 2020-03-18 2020-03-18 차량용 소각장치 KR1022164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3054A KR102216465B1 (ko) 2020-03-18 2020-03-18 차량용 소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3054A KR102216465B1 (ko) 2020-03-18 2020-03-18 차량용 소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6465B1 true KR102216465B1 (ko) 2021-02-18

Family

ID=74688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3054A KR102216465B1 (ko) 2020-03-18 2020-03-18 차량용 소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646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08335A (ja) * 1997-10-06 1999-04-23 Mametora Noki Kk ごみ焼却炉の排煙浄化装置
KR101177091B1 (ko) * 2012-01-20 2012-08-27 백승용 소형 화장로 및 이를 이용한 이동식 화장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08335A (ja) * 1997-10-06 1999-04-23 Mametora Noki Kk ごみ焼却炉の排煙浄化装置
KR101177091B1 (ko) * 2012-01-20 2012-08-27 백승용 소형 화장로 및 이를 이용한 이동식 화장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88231A (en) Fireplace for heat conservation and distribution
KR102216465B1 (ko) 차량용 소각장치
KR101177091B1 (ko) 소형 화장로 및 이를 이용한 이동식 화장 장치
CN104315521A (zh) 兜轮炉排卧式回转气化炉
CN204358732U (zh) 兜轮炉排卧式回转气化炉
CN2864387Y (zh) 连续处理垃圾卧式焚烧炉
EP1301746B1 (en) Rotative incinerator
CN209355251U (zh) 一种蓄热式智能捡灰火化炉
CN201096344Y (zh) 一种病害动物焚烧炉
CN203605236U (zh) 双层卧式带夹层余热烘干垃圾焚烧炉
CN203586223U (zh) 用于无害化提取纯煤气的双炉叠式垃圾燃烧炉
CN103604127A (zh) 双层卧式带夹层余热烘干垃圾焚烧炉
JP5887627B2 (ja) 炭化装置及び炭化方法
KR0172105B1 (ko) 화장로 시스템
KR20040093798A (ko) 비상매연방지 및 유골수거를 용이하게 한 화장로
CN214501236U (zh) 一种拣灰火化炉
CN114857581A (zh) 一种燃气式智能环保火化机
CN206291470U (zh) 一种二级热交换生物质燃油热风炉
CN110260328A (zh) 一种生活垃圾无烟免油立式热解气化炉
CN217503675U (zh) 带一次性可燃福寿装饰的遗体火化装置
CN211450930U (zh) 一种农村生活垃圾焚烧炉
KR101286601B1 (ko) 이동형 화장로
CN219120615U (zh) 一种高效取暖炉
KR101286604B1 (ko) 이동형 화장로 시스템
JP3084268U (ja) 塵投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