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6184B1 - 타이어 적재 구조물 - Google Patents

타이어 적재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6184B1
KR102216184B1 KR1020200126982A KR20200126982A KR102216184B1 KR 102216184 B1 KR102216184 B1 KR 102216184B1 KR 1020200126982 A KR1020200126982 A KR 1020200126982A KR 20200126982 A KR20200126982 A KR 20200126982A KR 102216184 B1 KR102216184 B1 KR 1022161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unit
adjustment
tire
eng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6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재성
Original Assignee
오재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재성 filed Critical 오재성
Priority to KR1020200126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61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61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61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 B62B3/06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simply clearing the load from the ground
    • B62B3/0606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simply clearing the load from the ground manually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 B62B3/06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simply clearing the load from the ground
    • B62B3/0625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simply clearing the load from the ground using rigid mechanical lifting mechanisms, e.g. levers, cams or ge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ype or characteristics of transported articles
    • B62B2202/02Cylindrically-shaped articles, e.g. drums, barrels, flasks
    • B62B2202/031Wheels, ti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3/00Grasping, holding, supporting the objects
    • B62B2203/07Comprising a moving platform or the like, e.g. for unlo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6/00Adjustable or convertible 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 B62B2206/06Adjustable or convertible 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adjustable in h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73Ti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이어 적재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타이어를 보관하는 창고부 및 타이어를 승강시키는 엘리베이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타이어 적재 구조물{TIRE LOADING STRUCTURE}
본 발명은 타이어 적재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송되는 타이어를 받혀줄 수 있는 구성을 구비하여 편리하고 안정적인 방법으로 타이어를 관리할 수 있도록 구현한 타이어 적재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에도 타이어 이송 장치를 이용하여 타이어를 이송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한 타이어가이 다수 제안된 바 있다. 이러한 타이어 적재 구조물은 타이어의 타이어를 직접 굴려서 이동시키게 되는데, 이 경우 새 타이어의 외부면이 오염되어 상품 가치가 떨어질 수 있고, 대형 타이어의 경우 무겁기 때문에 이동 과정에서 실수를 할 경우 안전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타이어의 이송을 위해 이송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타이어가 이송 장치에서 굴러서 떨어질 수 있어서 별도로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작업 과정이 필요해서 작업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21504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9-0117553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타이어를 간편하게 상승시켜서 타이어 적재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구현한 타이어 적재 구조물을 제공한다.
또한, 타이어를 작업 현장으로 편하고 빠르게 이송하기 위해 수송부를 부가하여 타이어를 편리하게 적재하고, 수송 과정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작업을 작업자 혼자서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타이어 적재 구조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적재 구조물은, 타이어를 보관하는 창고부; 및 타이어를 승강시키는 엘리베이터부;를 포함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적재 구조물은, 창고부에 보관되어 있는 타이어를 수송하는 수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송부는, 내측면에 홈이 파여져 있는 하측 가이드부, 하측 가이드부의 상측에 수평하게 배치되는 상측 가이드부, 하측 가이드부와 상측 가이드부의 일측에 연결되는 측판부, 하측 가이드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평평한 패널이며, 하측 가이드부를 따라 움직이는 하판부 및 수송부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고, 하판부의 위치를 조정하는 높이 조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높이 조정부는, 중앙에 원형의 천공면을 구비하고, 일측면은 맞물릴 수 있도록 요철을 형성하는 본체부, 반원형의 지지로부터 직선형으로 이어지는 지지부, 지지부의 높이를 조정하는 지지 조정부, 지지 조정부를 회전시키는 조정 핸들부 및 지지 조정부를 고정시키는 지지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체부는, 지지 조정부가 배치되는 중앙에 위치하고, 자력을 이용하여 지지 조정부를 부착시키는 중심 자력부, 지지부가 배치되는 측면에 위치하고, 자력을 이용하여 지지부를 부착시키는 지지 자력부, 돌출된 부분 및 함몰된 부분이 맞물려서 본체부를 연결시키는 중앙 물림부 및 돌출된 부분 및 함몰된 부분이 맞물려서 본체부를 연결시키는 측면 물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중앙 물림부는, 본체부의 중앙 부분에서 본체부의 윗면에서 이어져서 돌출되는 제1 물림부, 제1 물림부에서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아래쪽에 위치하고, 돌출되는 제2 물림부 및 바닥면에서 제1 물림부의 두께만큼 위쪽에서 위치하고, 돌출되는 제3 물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측면 물림부는, 본체부의 우측 돌출된 부분에서 미리 정해진 높이만큼 돌출되는 측면 돌출부 및 본체부의 좌측 돌출된 부분에서 측면 돌출부가 돌출된 만큼 함몰된 측면 함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부는, 원형의 형태에서 일측이 끊어진 연결 지지부, 연결 지지부의 끊어진 면에서 아래 방향으로 직선으로 이어지고, 직선면을 따라 판형 렉기어가 형성되는 수직 기어부 수직 기어부의 아래에서 앞 뒤로 돌출되는 하단 걸림부 및 지지 자력부에 부착될 수 있도록 지지 자력부와 대응되는 극성을 가지는 측면 자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 조정부는, 원기둥의 형태인 조정 본체부, 조정 본체부에서 수직 기어부와 동일한 기어비의 피니언 기어가 형성되는 회전 기어부 및 조정 본체부의 중심에서 상하좌우로 천공된 십자 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조정 핸들부는, 십자 천공부를 따라 삽입될 수 있도록 십자 형태로 돌출되는 십자 돌출부 및 십자 돌출부의 일측 끝에 반원형의 손잡이가 연결되는 조정 그립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 고정부는, 일측은 수평면을 형성하고, 타측은 미리 정해진 각도로 경사면을 형성하며, 측면을 통해 천공면을 형성하고, 상하로 움직이는 푸쉬부, 푸쉬부의 천공면을 따라 원기둥이 삽입되며, 푸쉬부가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지지하는 푸쉬 지지부, 수직 기어부와 맞물려서 수직 기어부를 고정시키고, 수직 기어부와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부 및 이동부를 수직 기어부의 방향으로 밀어내는 탄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동부는, 직육면체의 형태인 이동 본체부, 이동 본체부에서 수직 기어부의 방향으로 수직 기어부와 동일한 기어비로 복수개의 기어가 배치되는 맞물림부 및 이동 본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천공되고, 푸쉬부의 하부와 동일한 각도의 경사가 형성되는 경사 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발명의 높이 조정부는 높이 조절 과정을 수행하여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높이 조절 과정은, 조정 핸들부의 십자 돌출부가 본체부의 구멍을 통해 지지 조정부의 십자 천공부로 삽입되는 조정 핸들부 삽입 단계, 푸쉬부에 압력을 가하여 이동부의 맞물림부를 후퇴시켜 수직 기어부에서 해제시키는 지지 고정부 해제 단계, 조정 핸들부를 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반대 방향을 회전시키는 조정 핸들부 회전 단계, 조정 핸들부와 맞물려서 조정 핸들부와 동일한 방향인 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지지 조정부 회전 단계, 지지 조정부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맞물린 수직 기어부는 아래로 이동하여 지지부의 높이를 낮추고, 지지 조정부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 맞물린 수직 기어부는 위로 이동하여 지지부의 높이를 높여서 높이를 조정하는 지지부 높이 조정 단계 및 푸쉬부에 압력이 해제되어 이동부의 맞물림부가 전진하여 수직 기어부를 고정시키는 지지 고정부 고정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타이어 적재 구조물은 타이어를 간편하게 상승시켜서 타이어 적재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타이어 적재 구조물은 타이어를 작업 현장으로 편하고 빠르게 이송하기 위해 수송부를 부가하여 타이어를 편리하게 적재하고, 수송 과정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작업을 작업자 혼자서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적재 구조물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타이어 적재 구조물에 수송부를 추가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수송부에 타이어를 적재하기 위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은 수송부에 적재한 타이어를 수송하기 위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높이 조정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높이 조정부의 높이를 낮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높이 조정부의 높이를 높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높이 조정부에서 몸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높이 조정부에서 지지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높이 조정부에서 지지 조정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높이 조정부에서 지지 조정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2는 높이 조정부에서 조정 핸들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지지 고정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은 지지 고정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은 높이 조정부의 높이 조정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적재 구조물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타이어 적재 구조물(10)은 창고부(100) 및 엘리베이터부(200)를 포함한다.
창고부(100)는 타이어(T)를 보관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부(200)는 타이어(T)를 승강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지상에 있는 타이어(T)를 창고부(100)의 상측에 올릴 수 있게 되어, 타이어(T)가 적재되는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2는 도 1의 타이어 적재 구조물에 수송부를 추가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타이어 적재 구조물(10)은 수송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송부(300)는 창고부(100)에 보관되어 있는 타이어를 수송할 수 있고, 작업자는 지상에서 편리하게 타이어(T)를 수송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타이어(T)를 작업 현장으로 편하고 빠르게 이송하기 위해 수송부(300)를 부가하여 타이어(T)를 편리하게 적재하고, 수송 과정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작업을 작업자 혼자서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3은 수송부에 타이어를 적재하기 위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은 수송부에 적재한 타이어를 수송하기 위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수송부(300)는, 하측 가이드부(310), 상측 가이드부(330), 측판부(350), 하판부(370) 및 높이 조정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측 가이드부(310)는 내측면에 홈이 파여져 있다.
상측 가이드부(330)는 하측 가이드부(310)의 상측에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측판부(350)는 하측 가이드부(310)와 상측 가이드부(330)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
하판부(370)는 하측 가이드부(310)의 사이에 배치되는 평평한 패널이며, 하측 가이드부(310)를 따라 움직일 수 있다.
높이 조정부(400)는 수송부(300)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고, 하판부(37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높이 조정부(400)의 높이를 조정해서 높이 조정부(400)를 신장시키면, 아래 쪽으로 뻗어나간 부분은 지상면에 맞닿아서 마찰력을 발생시켜서 수송부(300)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게 되고, 위 쪽으로 뻗어나간 부분에 의해 하판부(370)가 당겨지면서 수송부(300)의 앞쪽이 개방되어 타이어(T)가 적재되기 쉽도록 적재 상태가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타이어(T)를 밀어도 수송부(300)는 위치가 고정되어 있어서 밀리지 않으므로 타이어(T)를 손쉽게 적재할 수 있게 된다.
높이 조정부(400)의 높이를 조정해서 높이 조정부(400)를 단축시키면, 아래 쪽으로 뻗어나간 부분은 위로 올라오면서 고정 상태가 해제되고, 위 쪽으로 뻗어나간 부분은 아래로 내려오면서 하판부(370)를 밀어내므로 하판부(370)에서 가장 앞쪽에 위치한 부분이 하측 가이드부(310)를 따라 이동하면서 위쪽으로 들어올려지게 된다.
따라서, 타이어(T)가 적재된 상태에서 수송부(300)의 고정된 상태가 해제되어 수송하기 쉬운 상태가 되고, 앞 부분이 들어올려져서 타이어(T)가 이탈되는 것을 막아주므로, 작업자는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도 5는 높이 조정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높이 조정부의 높이를 낮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은 높이 조정부의 높이를 높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높이 조정부(400)는 몸체부(500), 지지부(600), 지지 조정부(700), 조정 핸들부(800) 및 지지 고정부(90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500)는 중앙에 원형의 천공면을 구비하고, 일측면은 맞물릴 수 있도록 요철을 형성할 수 있다.
몸체부(500)는 지지부(600), 지지 조정부(700), 조정 핸들부(800) 및 지지 고정부(900)를 연결할 수 있다.
몸체부(500)는 동일한 형태의 두 개의 몸체부(500)가 상하로 뒤짚어진 상태에서 마주보면 결합할 수 있으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본체부(500a)와 제2 본체부(500b)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지지부(600)는 측판부(350)의 측면에 설치되어 수송부(300)를 고정시키거나 하판부(37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지지 조정부(700)는 지지부(600)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
지지 조정부(700)에 의해 지지부(600)의 길이를 조정되면, 하판부(370)의 위치가 이동될 수 있다.
조정 핸들부(800)는 지지 조정부(7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조정 핸들부(800)는 각각의 높이 조정부(400)에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
조정 핸들부(800)는 몸체부(500)에 결합되지 않고, 분리된 상태이며, 높이를 조정하려는 경우에만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지지 고정부(900)는 지지 조정부(7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지지 고정부(900)는 높이의 조정이 완료되면, 조정된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8은 높이 조정부에서 몸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몸체부(500)는 중심 자력부(510), 지지 자력부(520), 중앙 물림부(530) 및 측면 물림부(540)를 포함할 수 있다.
중심 자력부(510)는 지지 조정부(700)가 배치되는 중앙에 위치하고, 자력을 이용하여 지지 조정부(700)를 부착시킬 수 있다.
지지 자력부(520)는 지지부(600)가 배치되는 측면에 위치하고, 자력을 이용하여 지지부(600)를 부착시킬 수 있다.
중앙 물림부(530)는 돌출된 부분 및 함몰된 부분이 맞물려서 몸체부(500)를 연결시킬 수 있다.
측면 물림부(540)는 돌출된 부분 및 함몰된 부분이 맞물려서 몸체부(500)를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중앙 물림부(530)는 제1 물림부(531), 제2 물림부(533) 및 제3 물림부(53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물림부(531)는 몸체부(500)의 중앙 부분에서 몸체부(500)의 윗면에서 이어져서 돌출될 수 있다.
제2 물림부(533)는 제1 물림부(531)에서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아래쪽에 위치하고, 돌출될 수 있다.
제3 물림부(535)는 바닥면에서 제1 물림부(531)의 두께만큼 위쪽에서 위치하고, 돌출될 수 있다.
제1 본체부(500a)의 제3 물림부(535)는 제2 본체부(500b)의 제1 물림부(531) 및 제2 물림부(533)의 사이로 삽입되어 두 개의 몸체부(500)가 상하로 어긋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측면 물림부(540)는 측면 돌출부(541) 및 측면 함몰부(543)를 포함할 수 있다.
측면 돌출부(541)는 몸체부(500)의 우측 돌출된 부분에서 미리 정해진 높이만큼 돌출될 수 있다.
측면 함몰부(543)는 몸체부(500)의 좌측 돌출된 부분에서 측면 돌출부(541)가 돌출될 수 있다.
제1 본체부(500a)의 측면 돌출부(541)는 제2 본체부(500b)의 측면 함몰부(543)에 삽입되어 제1 본체부(500a)와 제2 본체부(500b)가 좌우로 어긋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도 9는 높이 조정부에서 지지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지지부(600)는 연결 지지부(610), 수직 기어부(620), 하단 걸림부(630) 및 측면 자력부(64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지지부(610)는 상부면이 사각형의 형태에서 일측이 끊어진 형태로 측판부(350)의 측면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수직 기어부(620)는 연결 지지부(610)의 끊어진 면에서 아래 방향으로 직선으로 이어지고, 직선면을 따라 판형 렉기어가 형성될 수 있다.
수직 기어부(620)는 직선면을 따라 형성되는 판형 렉기어의 크기 및 기어 비율은 제조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하단 걸림부(630)는 수직 기어부(620)의 아래에서 앞 뒤로 돌출될 수 있다.
지지부(600)가 몸체부(500)와 결합한 이후에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해주며, 지지부(600)의 높이를 조절할 경우 한계선이 된다.
측면 자력부(640)는 지지 자력부(520)에 부착될 수 있도록 지지 자력부(520)와 대응되는 극성을 가질 수 있다.
측면 자력부(640)는 제1 본체부(500a)와 제2 본체부(500b)가 결합하기 전 상태에서 몸체부(500)의 지지 자력부(520)와의 자력에 의해서 사용자가 인의적으로 떼어내지 않는다면 몸체부(500)에서 떨어지지 않고 붙어 있을 수 있다.
도 10은 높이 조정부에서 지지 조정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높이 조정부에서 지지 조정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지지 조정부(700)는 조정 본체부(710), 회전 기어부(730) 및 십자 천공부(750)를 포함할 수 있다.
조정 본체부(710)는 원기둥의 형태일 수 있다.
조정 본체부(710)는 몸체부(500)의 중앙 부근에 위치하여 회전을 하므로 원기둥의 형태를 가지게 된다.
회전 기어부(730)는 조정 본체부(710)에서 수직 기어부(620)와 동일한 기어비의 피니언 기어가 형성될 수 있다.
회전 기어부(730)의 피니언 기어는 수직 기어부(620)의 기어와 맞물리기 때문에 기어비가 동일하여야 한다.
십자 천공부(750)는 조정 본체부(710)의 중심에서 상하좌우로 천공될 수 있다.
십자 천공부(750)는 조정 본체부(710)의 중심에서 전체를 뚫고 지나간 형태이며, 제1 본체부(500a)의 조정 본체부(710)와 제2 본체부(500b)의 조정 본체부(710)는 서로 마주 보게 되므로, 십자 천공부(750)를 통해 끝에서 끝까지 관통하게 된다.
도 12는 높이 조정부에서 조정 핸들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조정 핸들부(800)는 십자 돌출부(810) 및 조정 그립부(820)를 포함할 수 있다.
십자 돌출부(810)는 십자 천공부(750)를 따라 삽입될 수 있도록 십자 형태로 돌출될 수 있다.
십자 돌출부(810)는 조정 본체부(710)의 십자 천공부(750)에 삽입되며, 몸체부(500)가 결합되면 조정 본체부(710)도 두 개가 마주보고 결합되므로, 십자 돌출부(810)는 이 둘 모두에 걸쳐서 조정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십자 돌출부(810)의 길이는 조정 본체부(710)의 길이의 두 배가 된다.
조정 그립부(820)는 십자 돌출부의 일측 끝에 반원형의 손잡이가 연결될 수 있다.
조정 그립부(820)는 사용자가 잡아서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도 10에서는 뚫린 형태이지만, 막힌 형태로도 제조할 수 있다.
도 11은 높이 조정부에서 지지 고정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2는 높이 조정부에서 지지 고정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지지 고정부(900)는 푸쉬부(910), 푸쉬 지지부(920), 이동부(930) 및 탄성부(94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고정부(900)는 지지부(600)가 상하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한 장치이다.
푸쉬부(910)는 일측은 수평면을 형성하고, 타측은 미리 정해진 각도로 경사면을 형성하며, 측면을 통해 천공면을 형성하고,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푸쉬부(910)는 윗면은 평평하고, 아랫면은 기울어져 있으며, 사용자가 손의 압력을 이용하여 누를 수 있다.
푸쉬 지지부(920)는 푸쉬부(910)의 천공면을 따라 원기둥이 삽입되며, 푸쉬부(910)가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지지할 수 있다.
푸쉬 지지부(920)는 푸쉬부(910)의 천공면을 관통하는 원기둥으로 푸쉬부(910)가 상하로만 움직이게 하고, 푸쉬부(910)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동부(930)는 수직 기어부(620)와 맞물려서 수직 기어부(620)를 고정시키고, 수직 기어부(620)와 수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동부(930)는 수직 기어부(620)와 가까워지는 방향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탄성부(940)는 이동부(930)를 수직 기어부 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다.
즉, 탄성부(940)는 이동부(930)가 수직 기어부(620) 방향으로 이동하여 고정 상태를 유지시켜주게 되고, 푸쉬부(910)에 압력 가해져서 이동부(930)가 수직 기어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저항하게 된다.
또한, 이동부(930)는 이동 본체부(931), 맞물림부(933) 및 경사 천공부(93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본체부(931)는 직육면체의 형태일 수 있다.
이동 본체부(931)는 지지 고정부(900) 외부 본체의 내부에 삽입되며, 중심부에는 푸쉬부(9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일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일부는 타공면이 형성된다.
따라서, 푸쉬부(910)에 압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푸쉬부(910)는 이동 본체부(931)의 경사면의 위에 위치하게 되고, 푸쉬부(910)에 압력이 가해지면, 푸쉬부(910)는 이동 본체부(931) 내측의 경사면을 따라 아래로 이동하고, 이동 본체부(931)는 탄성부(940) 방향으로 이동하여 수직 기어부(620)에서 멀어지게 된다.
맞물림부(933)는 이동 본체부(931)에서 수직 기어부(620) 방향으로 수직 기어부(620)와 동일한 기어비로 복수개의 기어가 배치될 수 있다.
맞물림부(933)는 수직 기어부(620)와 맞물리기 위한 기어로 도면에서는 3개의 기어가 형성되어 있지만, 설계에 따라 3개보다 적을 수도 있고, 많을 수도 있다.
경사 천공부(935)는 이동 본체부(931)에서 상하 방향으로 천공되고, 푸쉬부(910)의 하부와 동일한 각도의 경사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3은 지지 고정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4은 지지 고정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을 참조하면, 높이 조정부(400)의 높이 조정 과정을 알 수 있다.
높이 조정 과정(S10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15과 함께 후술하기로 한다.
도 15는 높이 조정부의 높이 조정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높이 조정부의 높이 조정 과정(S100)은 조정 핸들부 삽입 단계(S110), 지지 고정부 해제 단계(S120), 회전시키는 조정 핸들부 회전 단계(S130), 지지 조정부 회전 단계(S140), 지지부 높이 조정 단계(S150) 및 지지 고정부 고정 단계(S160)를 통해 수행할 수 있다.
조정 핸들부 삽입 단계(S110)에서는 조정 핸들부(800)의 십자 돌출부(810)가 몸체부(500)의 구멍을 통해 지지 조정부(700)의 십자 천공부(750)로 삽입될 수 있다.
지지 고정부 해제 단계(S120)에서는 푸쉬부(910)에 압력을 가하여 이동부(930)의 맞물림부를 후퇴시켜 수직 기어부(620)에서 해제시킬 수 있다.
조정 핸들부 회전 단계(S130)에서는 조정 핸들부(800)를 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반대 방향을 회전시킬 수 있다.
지지 조정부 회전 단계(S140)에서는 조정 핸들부(800)와 맞물려서 조정 핸들부(800)와 동일한 방향인 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지지부 높이 조정 단계(S150)에서는 지지 조정부(70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맞물린 수직 기어부(620)는 아래로 이동하여 지지부의 높이를 낮추고, 지지 조정부(700)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 맞물린 수직 기어부(620)는 위로 이동하여 지지부(600)의 높이를 높여서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지지 고정부 고정 단계(S160)에서는 푸쉬부(910)에 압력이 해제되어 이동부(930)의 맞물림부(933)가 전진하여 수직 기어부(62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적재 구조물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타이어 적재 구조물(10)은 창고부(100) 및 엘리베이터부(200)를 포함한다.
창고부(100)는 타이어(T)를 보관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부(200)는 타이어(T)를 승강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지상에 있는 타이어(T)를 창고부(100)의 상측에 올릴 수 있게 되어, 타이어(T)가 적재되는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2는 도 1의 타이어 적재 구조물에 수송부를 추가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타이어 적재 구조물(10)은 수송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송부(300)는 창고부(100)에 보관되어 있는 타이어를 수송할 수 있고, 작업자는 지상에서 편리하게 타이어(T)를 수송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타이어(T)를 작업 현장으로 편하고 빠르게 이송하기 위해 수송부(300)를 부가하여 타이어(T)를 편리하게 적재하고, 수송 과정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작업을 작업자 혼자서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3은 수송부에 타이어를 적재하기 위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은 수송부에 적재한 타이어를 수송하기 위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수송부(300)는, 하측 가이드부(310), 상측 가이드부(330), 측판부(350), 하판부(370) 및 높이 조정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측 가이드부(310)는 내측면에 홈이 파여져 있다.
상측 가이드부(330)는 하측 가이드부(310)의 상측에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측판부(350)는 하측 가이드부(310)와 상측 가이드부(330)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다.
하판부(370)는 하측 가이드부(310)의 사이에 배치되는 평평한 패널이며, 하측 가이드부(310)를 따라 움직일 수 있다.
높이 조정부(400)는 수송부(300)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고, 하판부(37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높이 조정부(400)의 높이를 조정해서 높이 조정부(400)를 신장시키면, 아래 쪽으로 뻗어나간 부분은 지상면에 맞닿아서 마찰력을 발생시켜서 수송부(300)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게 되고, 위 쪽으로 뻗어나간 부분에 의해 하판부(370)가 당겨지면서 수송부(300)의 앞쪽이 개방되어 타이어(T)가 적재되기 쉽도록 적재 상태가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타이어(T)를 밀어도 수송부(300)는 위치가 고정되어 있어서 밀리지 않으므로 타이어(T)를 손쉽게 적재할 수 있게 된다.
높이 조정부(400)의 높이를 조정해서 높이 조정부(400)를 단축시키면, 아래 쪽으로 뻗어나간 부분은 위로 올라오면서 고정 상태가 해제되고, 위 쪽으로 뻗어나간 부분은 아래로 내려오면서 하판부(370)를 밀어내므로 하판부(370)에서 가장 앞쪽에 위치한 부분이 하측 가이드부(310)를 따라 이동하면서 위쪽으로 들어올려지게 된다.
따라서, 타이어(T)가 적재된 상태에서 수송부(300)의 고정된 상태가 해제되어 수송하기 쉬운 상태가 되고, 앞 부분이 들어올려져서 타이어(T)가 이탈되는 것을 막아주므로, 작업자는 편리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도 5는 높이 조정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높이 조정부의 높이를 낮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은 높이 조정부의 높이를 높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높이 조정부(400)는 몸체부(500), 지지부(600), 지지 조정부(700), 조정 핸들부(800) 및 지지 고정부(900)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500)는 중앙에 원형의 천공면을 구비하고, 일측면은 맞물릴 수 있도록 요철을 형성할 수 있다.
몸체부(500)는 지지부(600), 지지 조정부(700), 조정 핸들부(800) 및 지지 고정부(900)를 연결할 수 있다.
몸체부(500)는 동일한 형태의 두 개의 몸체부(500)가 상하로 뒤짚어진 상태에서 마주보면 결합할 수 있으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본체부(500a)와 제2 본체부(500b)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지지부(600)는 측판부(350)의 측면에 설치되어 수송부(300)를 고정시키거나 하판부(37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지지 조정부(700)는 지지부(600)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
지지 조정부(700)에 의해 지지부(600)의 길이를 조정되면, 하판부(370)의 위치가 이동될 수 있다.
조정 핸들부(800)는 지지 조정부(7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조정 핸들부(800)는 각각의 높이 조정부(400)에 동시에 연결될 수 있다.
조정 핸들부(800)는 몸체부(500)에 결합되지 않고, 분리된 상태이며, 높이를 조정하려는 경우에만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지지 고정부(900)는 지지 조정부(7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지지 고정부(900)는 높이의 조정이 완료되면, 조정된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8은 높이 조정부에서 몸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몸체부(500)는 중심 자력부(510), 지지 자력부(520), 중앙 물림부(530) 및 측면 물림부(540)를 포함할 수 있다.
중심 자력부(510)는 지지 조정부(700)가 배치되는 중앙에 위치하고, 자력을 이용하여 지지 조정부(700)를 부착시킬 수 있다.
지지 자력부(520)는 지지부(600)가 배치되는 측면에 위치하고, 자력을 이용하여 지지부(600)를 부착시킬 수 있다.
중앙 물림부(530)는 돌출된 부분 및 함몰된 부분이 맞물려서 몸체부(500)를 연결시킬 수 있다.
측면 물림부(540)는 돌출된 부분 및 함몰된 부분이 맞물려서 몸체부(500)를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중앙 물림부(530)는 제1 물림부(531), 제2 물림부(533) 및 제3 물림부(53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물림부(531)는 몸체부(500)의 중앙 부분에서 몸체부(500)의 윗면에서 이어져서 돌출될 수 있다.
제2 물림부(533)는 제1 물림부(531)에서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아래쪽에 위치하고, 돌출될 수 있다.
제3 물림부(535)는 바닥면에서 제1 물림부(531)의 두께만큼 위쪽에서 위치하고, 돌출될 수 있다.
제1 본체부(500a)의 제3 물림부(535)는 제2 본체부(500b)의 제1 물림부(531) 및 제2 물림부(533)의 사이로 삽입되어 두 개의 몸체부(500)가 상하로 어긋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측면 물림부(540)는 측면 돌출부(541) 및 측면 함몰부(543)를 포함할 수 있다.
측면 돌출부(541)는 몸체부(500)의 우측 돌출된 부분에서 미리 정해진 높이만큼 돌출될 수 있다.
측면 함몰부(543)는 몸체부(500)의 좌측 돌출된 부분에서 측면 돌출부(541)가 돌출될 수 있다.
제1 본체부(500a)의 측면 돌출부(541)는 제2 본체부(500b)의 측면 함몰부(543)에 삽입되어 제1 본체부(500a)와 제2 본체부(500b)가 좌우로 어긋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도 9는 높이 조정부에서 지지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지지부(600)는 연결 지지부(610), 수직 기어부(620), 하단 걸림부(630) 및 측면 자력부(64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지지부(610)는 상부면이 사각형의 형태에서 일측이 끊어진 형태로 측판부(350)의 측면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수직 기어부(620)는 연결 지지부(610)의 끊어진 면에서 아래 방향으로 직선으로 이어지고, 직선면을 따라 판형 렉기어가 형성될 수 있다.
수직 기어부(620)는 직선면을 따라 형성되는 판형 렉기어의 크기 및 기어 비율은 제조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하단 걸림부(630)는 수직 기어부(620)의 아래에서 앞 뒤로 돌출될 수 있다.
지지부(600)가 몸체부(500)와 결합한 이후에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해주며, 지지부(600)의 높이를 조절할 경우 한계선이 된다.
측면 자력부(640)는 지지 자력부(520)에 부착될 수 있도록 지지 자력부(520)와 대응되는 극성을 가질 수 있다.
측면 자력부(640)는 제1 본체부(500a)와 제2 본체부(500b)가 결합하기 전 상태에서 몸체부(500)의 지지 자력부(520)와의 자력에 의해서 사용자가 인의적으로 떼어내지 않는다면 몸체부(500)에서 떨어지지 않고 붙어 있을 수 있다.
도 10은 높이 조정부에서 지지 조정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높이 조정부에서 지지 조정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지지 조정부(700)는 조정 본체부(710), 회전 기어부(730) 및 십자 천공부(750)를 포함할 수 있다.
조정 본체부(710)는 원기둥의 형태일 수 있다.
조정 본체부(710)는 몸체부(500)의 중앙 부근에 위치하여 회전을 하므로 원기둥의 형태를 가지게 된다.
회전 기어부(730)는 조정 본체부(710)에서 수직 기어부(620)와 동일한 기어비의 피니언 기어가 형성될 수 있다.
회전 기어부(730)의 피니언 기어는 수직 기어부(620)의 기어와 맞물리기 때문에 기어비가 동일하여야 한다.
십자 천공부(750)는 조정 본체부(710)의 중심에서 상하좌우로 천공될 수 있다.
십자 천공부(750)는 조정 본체부(710)의 중심에서 전체를 뚫고 지나간 형태이며, 제1 본체부(500a)의 조정 본체부(710)와 제2 본체부(500b)의 조정 본체부(710)는 서로 마주 보게 되므로, 십자 천공부(750)를 통해 끝에서 끝까지 관통하게 된다.
도 12는 높이 조정부에서 조정 핸들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조정 핸들부(800)는 십자 돌출부(810) 및 조정 그립부(820)를 포함할 수 있다.
십자 돌출부(810)는 십자 천공부(750)를 따라 삽입될 수 있도록 십자 형태로 돌출될 수 있다.
십자 돌출부(810)는 조정 본체부(710)의 십자 천공부(750)에 삽입되며, 몸체부(500)가 결합되면 조정 본체부(710)도 두 개가 마주보고 결합되므로, 십자 돌출부(810)는 이 둘 모두에 걸쳐서 조정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십자 돌출부(810)의 길이는 조정 본체부(710)의 길이의 두 배가 된다.
조정 그립부(820)는 십자 돌출부의 일측 끝에 반원형의 손잡이가 연결될 수 있다.
조정 그립부(820)는 사용자가 잡아서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도 10에서는 뚫린 형태이지만, 막힌 형태로도 제조할 수 있다.
도 11은 높이 조정부에서 지지 고정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2는 높이 조정부에서 지지 고정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지지 고정부(900)는 푸쉬부(910), 푸쉬 지지부(920), 이동부(930) 및 탄성부(94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고정부(900)는 지지부(600)가 상하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한 장치이다.
푸쉬부(910)는 일측은 수평면을 형성하고, 타측은 미리 정해진 각도로 경사면을 형성하며, 측면을 통해 천공면을 형성하고, 상하로 움직일 수 있다.
푸쉬부(910)는 윗면은 평평하고, 아랫면은 기울어져 있으며, 사용자가 손의 압력을 이용하여 누를 수 있다.
푸쉬 지지부(920)는 푸쉬부(910)의 천공면을 따라 원기둥이 삽입되며, 푸쉬부(910)가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지지할 수 있다.
푸쉬 지지부(920)는 푸쉬부(910)의 천공면을 관통하는 원기둥으로 푸쉬부(910)가 상하로만 움직이게 하고, 푸쉬부(910)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동부(930)는 수직 기어부(620)와 맞물려서 수직 기어부(620)를 고정시키고, 수직 기어부(620)와 수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동부(930)는 수직 기어부(620)와 가까워지는 방향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탄성부(940)는 이동부(930)를 수직 기어부 방향으로 밀어낼 수 있다.
즉, 탄성부(940)는 이동부(930)가 수직 기어부(620) 방향으로 이동하여 고정 상태를 유지시켜주게 되고, 푸쉬부(910)에 압력 가해져서 이동부(930)가 수직 기어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저항하게 된다.
또한, 이동부(930)는 이동 본체부(931), 맞물림부(933) 및 경사 천공부(93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본체부(931)는 직육면체의 형태일 수 있다.
이동 본체부(931)는 지지 고정부(900) 외부 본체의 내부에 삽입되며, 중심부에는 푸쉬부(9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일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일부는 타공면이 형성된다.
따라서, 푸쉬부(910)에 압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푸쉬부(910)는 이동 본체부(931)의 경사면의 위에 위치하게 되고, 푸쉬부(910)에 압력이 가해지면, 푸쉬부(910)는 이동 본체부(931) 내측의 경사면을 따라 아래로 이동하고, 이동 본체부(931)는 탄성부(940) 방향으로 이동하여 수직 기어부(620)에서 멀어지게 된다.
맞물림부(933)는 이동 본체부(931)에서 수직 기어부(620) 방향으로 수직 기어부(620)와 동일한 기어비로 복수개의 기어가 배치될 수 있다.
맞물림부(933)는 수직 기어부(620)와 맞물리기 위한 기어로 도면에서는 3개의 기어가 형성되어 있지만, 설계에 따라 3개보다 적을 수도 있고, 많을 수도 있다.
경사 천공부(935)는 이동 본체부(931)에서 상하 방향으로 천공되고, 푸쉬부(910)의 하부와 동일한 각도의 경사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3은 지지 고정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4은 지지 고정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을 참조하면, 높이 조정부(400)의 높이 조정 과정을 알 수 있다.
높이 조정 과정(S10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15과 함께 후술하기로 한다.
도 15는 높이 조정부의 높이 조정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높이 조정부의 높이 조정 과정(S100)은 조정 핸들부 삽입 단계(S110), 지지 고정부 해제 단계(S120), 회전시키는 조정 핸들부 회전 단계(S130), 지지 조정부 회전 단계(S140), 지지부 높이 조정 단계(S150) 및 지지 고정부 고정 단계(S160)를 통해 수행할 수 있다.
조정 핸들부 삽입 단계(S110)에서는 조정 핸들부(800)의 십자 돌출부(810)가 몸체부(500)의 구멍을 통해 지지 조정부(700)의 십자 천공부(750)로 삽입될 수 있다.
지지 고정부 해제 단계(S120)에서는 푸쉬부(910)에 압력을 가하여 이동부(930)의 맞물림부를 후퇴시켜 수직 기어부(620)에서 해제시킬 수 있다.
조정 핸들부 회전 단계(S130)에서는 조정 핸들부(800)를 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반대 방향을 회전시킬 수 있다.
지지 조정부 회전 단계(S140)에서는 조정 핸들부(800)와 맞물려서 조정 핸들부(800)와 동일한 방향인 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지지부 높이 조정 단계(S150)에서는 지지 조정부(70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맞물린 수직 기어부(620)는 아래로 이동하여 지지부의 높이를 낮추고, 지지 조정부(700)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 맞물린 수직 기어부(620)는 위로 이동하여 지지부(600)의 높이를 높여서 높이를 조정할 수 있다.
지지 고정부 고정 단계(S160)에서는 푸쉬부(910)에 압력이 해제되어 이동부(930)의 맞물림부(933)가 전진하여 수직 기어부(62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

  1. 타이어를 보관하는 창고부; 및 타이어를 승강시키는 엘리베이터부;를 포함하는 타이어 적재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타이어 적재 구조물은,
    상기 창고부에 보관되어 있는 타이어를 수송하는 수송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송부는,
    내측면에 홈이 파여져 있는 하측 가이드부;
    상기 하측 가이드부의 상측에 수평하게 배치되는 상측 가이드부;
    상기 하측 가이드부와 상기 상측 가이드부의 일측에 연결되는 측판부;'
    상기 하측 가이드부의 사이에 배치되는 평평한 패널이며, 상기 하측 가이드부를 따라 움직이는 하판부; 및
    상기 수송부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키고, 상기 하판부의 위치를 조정하는 높이 조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높이 조정부는,
    중앙에 원형의 천공면을 구비하고, 일측면은 맞물릴 수 있도록 요철을 형성하는 본체부,
    상기 측판부와 연결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높이를 조정하는 지지 조정부;
    상기 지지 조정부를 회전시키는 조정 핸들부; 및
    상기 지지 조정부를 고정시키는 지지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지지 조정부가 배치되는 중앙에 위치하고, 자력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 조정부를 부착시키는 중심 자력부;
    상기 지지부가 배치되는 측면에 위치하고, 자력을 이용하여 상기 지지부를 부착시키는 지지 자력부;
    돌출된 부분 및 함몰된 부분이 맞물려서 상기 본체부를 연결시키는 중앙 물림부; 및
    돌출된 부분 및 함몰된 부분이 맞물려서 상기 본체부를 연결시키는 측면 물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 물림부는,
    상기 본체부의 중앙 부분에서 상기 본체부의 윗면에서 이어져서 돌출되는 제1 물림부;
    상기 제1 물림부에서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아래쪽에 위치하고, 돌출되는 제2 물림부; 및
    바닥면에서 상기 제1 물림부의 두께만큼 위쪽에서 위치하고, 돌출되는 제3 물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측면 물림부는,
    상기 본체부의 우측 돌출된 부분에서 미리 정해진 높이만큼 돌출되는 측면 돌출부; 및
    상기 본체부의 좌측 돌출된 부분에서 상기 측면 돌출부가 돌출된 만큼 함몰된 측면 함몰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는,
    원형의 형태에서 일측이 끊어진 연결 지지부;
    상기 연결 지지부의 끊어진 면에서 아래 방향으로 직선으로 이어지고, 직선면을 따라 판형 렉기어가 형성되는 수직 기어부;
    상기 수직 기어부의 아래에서 앞 뒤로 돌출되는 하단 걸림부; 및
    상기 지지 자력부에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자력부와 대응되는 극성을 가지는 측면 자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 조정부는,
    원기둥의 형태인 조정 본체부,
    상기 조정 본체부에서 상기 수직 기어부와 동일한 기어비의 피니언 기어가 형성되는 회전 기어부; 및
    상기 조정 본체부의 중심에서 상하좌우로 천공된 십자 천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정 핸들부는,
    상기 십자 천공부를 따라 삽입될 수 있도록 십자 형태로 돌출되는 십자 돌출부; 및
    상기 십자 돌출부의 일측 끝에 반원형의 손잡이가 연결되는 조정 그립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 고정부는,
    일측은 수평면을 형성하고, 타측은 미리 정해진 각도로 경사면을 형성하며, 측면을 통해 천공면을 형성하고, 상하로 움직이는 푸쉬부;
    상기 푸쉬부의 천공면을 따라 원기둥이 삽입되며, 상기 푸쉬부가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지지하는 푸쉬 지지부;
    상기 수직 기어부와 맞물려서 상기 수직 기어부를 고정시키고, 상기 수직 기어부와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부; 및
    상기 이동부를 상기 수직 기어부의 방향으로 밀어내는 탄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부는,
    직육면체의 형태인 이동 본체부;
    상기 이동 본체부에서 상기 수직 기어부의 방향으로 상기 수직 기어부와 동일한 기어비로 복수개의 기어가 배치되는 맞물림부; 및
    상기 이동 본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천공되고, 상기 푸쉬부의 하부와 동일한 각도의 경사가 형성되는 경사 천공부;를 포함하는 타이어 적재 구조물.
  2. 삭제
KR1020200126982A 2020-09-29 2020-09-29 타이어 적재 구조물 KR1022161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6982A KR102216184B1 (ko) 2020-09-29 2020-09-29 타이어 적재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6982A KR102216184B1 (ko) 2020-09-29 2020-09-29 타이어 적재 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6184B1 true KR102216184B1 (ko) 2021-02-15

Family

ID=74560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6982A KR102216184B1 (ko) 2020-09-29 2020-09-29 타이어 적재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61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0632B1 (ko) * 2021-09-16 2022-03-30 제일항업(주) 지피에스를 기반으로 하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0505A (ko) * 2009-10-14 2011-04-20 조희영 리프트가 구비된 타이어 보관대
KR101321504B1 (ko) 2010-07-13 2013-10-28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타이어 정보 감시 시스템 및 타이어 정보 감시 시스템의 설정 방법
KR20190117553A (ko) 2017-02-09 2019-10-16 토마스 제이. 알렌 타이어 보관, 인출, 및 재고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40505A (ko) * 2009-10-14 2011-04-20 조희영 리프트가 구비된 타이어 보관대
KR101321504B1 (ko) 2010-07-13 2013-10-28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타이어 정보 감시 시스템 및 타이어 정보 감시 시스템의 설정 방법
KR20190117553A (ko) 2017-02-09 2019-10-16 토마스 제이. 알렌 타이어 보관, 인출, 및 재고 관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0632B1 (ko) * 2021-09-16 2022-03-30 제일항업(주) 지피에스를 기반으로 하는 수치지도 제작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09881B2 (ja) 昇降可能な棚およびそれを有する冷蔵庫
CN103561610B (zh) 用于将面板固定在抽屉上的固定装置
KR102216184B1 (ko) 타이어 적재 구조물
CA1038010A (en) Safety latch and drawer movement sequencing control arrangement for file cabinets
US3874755A (en) Anti-tilt lock mechanism
US20060196838A1 (en) Device for retaining panels
US9896264B2 (en) Freight rack
DE102013009340A1 (de) Einrichtung und Verfahren zum Ein- und Auslagern von stapelbaren Behältern
US20190337718A1 (en) Plate storage assembly
WO2005051707A1 (en) Safety jack
ES2358681T3 (es) Dispositivo para la fabricación de almohadillas de papel.
JP2019059586A (ja) 敷板格納ブラケット及び建設機械
JP6198917B2 (ja) 搬送装置
US5975495A (en) Lift
US10525940B2 (en) Internal washing device for containers
JP4284127B2 (ja) 駐輪装置
JP3639004B2 (ja) スライドレール
EP2236368A1 (en) Lift truck
JP2016008096A (ja) ローダ
CN111606182B (zh) 一种用于房屋建筑施工的安全升降机
CN204873110U (zh) 片材载置装置
JP5260160B2 (ja) 立体格納庫
JP2013151359A (ja) 自動倉庫システム
CN211496835U (zh) 一种叉车用货物保护托盘
DE102012217099B4 (de) Lastaufnahmemittel für ein Regalbediengerät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Hochregallag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