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6036B1 - 플라즈마 멸균등 장치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멸균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6036B1
KR102216036B1 KR1020200086649A KR20200086649A KR102216036B1 KR 102216036 B1 KR102216036 B1 KR 102216036B1 KR 1020200086649 A KR1020200086649 A KR 1020200086649A KR 20200086649 A KR20200086649 A KR 20200086649A KR 102216036 B1 KR102216036 B1 KR 1022160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sma
air
fan
lamp
plasma steril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6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재석
조나연
박후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자연공간가구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자연공간가구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자연공간가구산업
Priority to KR10202000866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60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6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60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88Ventilat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A61L2209/111Sensor means, e.g. motion, brightness, scent, contaminant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2Ligh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5Supporting means, e.g. stands, hooks, holes for han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 A61L2209/212Use of ozone, e.g. generated by UV radiation or electrical dischar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플라즈마 멸균등 장치가 개시된다. 플라즈마 멸균등 장치는 멸균 기능을 갖는 형광등, 형광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안정기를 포함하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등기구 본체, 등기구 본체의 양 끝단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어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팬 및 팬을 통해 순환되는 공기를 정화시키기 위한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플라즈마 발생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천장에 부착된 형광등 장치로 멸균 기능과 공기 정화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게 되어, 공간 활용성 및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된다.

Description

플라즈마 멸균등 장치{Plasma sterilization light device}
본 발명은 플라즈마 멸균등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를 정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멸균 기능까지 수행하는 플라즈마 멸균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명 장치는 실내나 실외에서 주변을 밝히거나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한 조명 효과를 내기 위해 사용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자외선 램프(UVC 램프)가 개발되면서 살균 또는 멸균 기능을 수행하는 조명등이 많이 활용되기 시작하였다.
이에 따라, 조명 장치는 더 이상 주변을 밝히기 위한 기능만을 수행하는 것이 아닌, 조명 장치가 발산하는 빛 또는 광으로 살균 또는 멸균과 같은 추가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고, 이외에도 다양한 기능을 수행 가능한 조명 장치가 개발되었다.
특히, 기존의 조명 장치는 자외선 램프를 활용하여 램프로부터 발산되는 광이 미치는 범위를 살균 또는 멸균시키는 것은 가능하였으나, 단지 살균 또는 멸균 이외에 공기 청정기 기능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요구가 함께 발생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멸균 기능을 수행하면서 공기 정화 기능도 수행 가능한 플라즈마 멸균등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라즈마 멸균등 장치는 멸균 기능을 갖는 형광등, 상기 형광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안정기를 포함하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등기구 본체, 상기 등기구 본체의 양 끝단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어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팬(fan) 및 상기 팬을 통해 순환되는 공기를 정화시키기 위한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플라즈마 발생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팬은 공기를 흡입하는 제1 팬 및 공기를 배출하는 제2 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라즈마 발생부는, 상기 등기구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공기가 순환되는 경로 상에 위치하며, 상기 발생된 플라즈마가 상기 순환되는 공기와 결합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플라즈마 멸균등 장치는 상기 플라즈마 멸균등 장치를 제어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리모트 신호 수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신된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팬, 플라즈마 발생부 및 형광등 중 적어도 하나가 턴 온되거나 턴 오프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된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플라즈마 멸균등 장치가 기설정된 시간 이후 턴 오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라즈마 멸균등 장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통신부는 외부 장치와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 방식 중 하나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플라즈마 멸균등 장치는 상기 발생된 플라즈마에 의해 변경되는 공기 정화도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공기 정화도를 외부 장치에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정보를 생성하는 프로세서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산출된 공기 정화도에 기초하여 상기 팬의 회전량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형광등은, UVC(Ultraviolet C) 램프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천장에 부착된 형광등 장치로 멸균 기능과 공기 정화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게 되어, 공간 활용성 및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라즈마 멸균등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라즈마 멸균등 장치의 등기구 본체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플라즈마 멸균등 장치의 등기구 본체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플라즈마 멸균등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플라즈마 멸균등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라즈마 멸균등 장치와 외부 장치 간의 정보 전송에 관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가 팬을 제어하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라즈마 멸균등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라즈마 멸균등 장치(100)는 형광등(110), 등기구 본체(120), 팬(fan)(130)을 포함한다. 여기서, 플라즈마 발생부(미도시)는 등기구 본체(12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형광등(110)은 멸균 또는 살균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주로 UVC(Ultraviolet C)램프 즉, 자외선 램프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자외선 램프는 자외선 파장을 발산함으로써 세균 등의 미생물을 죽이게 되는데, 이에 따라 멸균 또는 살균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형광등(110)이 고정되도록 하는 하우징을 등기구 본체로 정의하기로 하며, 도 1에서는 등기구 본체(120)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등기구 본체(120)는 형광등(11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안정기(ballast)를 포함하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구비한다.
여기서, 안정기는 형광등 또는 수은 등과 관련된 용어로서, 용량 또는 저항을 단독 또는 조합으로 구성하고, 형광램프 또는 수은램프를 적정하게 점등시키기 위하여 램프 전류를 규정치로 제한하는데 사용되며, 이에 따라 규정된 시동전압과 전류를 형광등에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등기구 본체(120)는 형광등(110)이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 뿐만 아니라, 안정기 이외에 다양한 회로 소자, 추후 설명할 팬, 플라즈마 발생부, 리모트 신호 수신부 등을 포함하며, 특히, 내부에 수용공간이 있어 이를 통해 공기가 순환되는 통로가 확보될 수 있다.
또한, 등기구 본체(120)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고, 장소에 따라 천정에 부착되는 형태 또는 천정에 매립되는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등기구 본체(120)의 양 끝단 중 적어도 하나에는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는 팬(fan)(130)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팬(130)은 공기를 흡입하는 제1 팬 및 공기를 배출하는 제2 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등기구 본체(120)의 양끝단 중 일단에만 팬이 설치될 수도 있고, 등기구 본체(120)의 양끝단 모두에 팬이 설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등기구 본체(120)의 양끝단 중 일단에만 팬이 설치될 경우에는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팬 및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팬 중 하나가 설치될 것이며, 등기구 본체(120)의 양끝단 모두에 팬이 설치될 경우에는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팬 및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팬이 모두 설치될 것이다.
한편, 도 1에서는 등기구 본체(120)의 양 끝단 중 일단에만 팬(130)이 배치되어 공기를 배출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만 도시되어 있고, 등기구 본체(120)의 양 끝단 중 타단에는 팬이 아닌 공기가 흡입될 수 있는 공기 흡입구(131)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팬(130)이 등기구 본체(120)의 일단에 1개만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공기 흡입 또는 배출 기능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팬(130)의 개수는 변경될 수 있으며, 팬의 모양 및 사이즈도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등기구 본체(120)에는 팬(130)을 통해 순환되는 공기를 정화시키기 위한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플라즈마 발생부가 포함될 수 있으며, 도 1에는 미도시 되어 있으므로, 도 2a 및 도 2b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라즈마 멸균등 장치의 등기구 본체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등기구 본체(120)의 내부에는 다양한 회로 소자가 배치될 수 있는데, 등기구 본체(120)의 양끝단에는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팬(130)과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공기 흡입구(131)가 배치된다.
그리고, 형광등(11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안정기(121), 팬(130)을 통해 순환되는 공기를 정화시키기 위한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플라즈마 발생부(140)가 등기구 본체(12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플라즈마 발생부(140)는 등기구 본체(120)의 내부에 배치되되, 공기가 순환되는 경로 상에 위치하여, 발생된 플라즈마가 순환되는 공기와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공기가 공기 흡입구(131)를 통해 등기구 본체(120)의 내부로 흡입될 수 있고, 등기구 본체(120) 내부의 수용 공간을 통과하여 플라즈마 발생부(140)를 거치면서, 플라즈마 발생부(140)에서 발생된 플라즈마와 결합되어 공기가 이온 화학 반응을 겪게 되고, 이에 따라 공기가 정화될 수 있다.
그리고, 정화된 공기는 다시 팬(130)을 통해 등기구 본체(12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등기구 본체(120)를 아래에서 바라본 방향에서 외부 및 내부에 설치될 수 있는 회로 소자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2a에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등기구 본체(120)는 양 끝단에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공기 흡입구(131) 및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팬(130)을 포함하고, 이외에 형광등(11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안정기(121) 및 플라즈마 발생부(140)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라즈마 멸균등 장치(100)는 플라즈마 멸균등 장치(100)를 제어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리모트 신호 수신부(15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등기구 본체(120)의 내부에는 리모트 신호 수신부(150)가 설치되어 있으며, 리모트 신호 수신부(150)를 통해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플라즈마 멸균등 장치(100)는 수신된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신된 제어 신호에 의해 팬(130), 플라즈마 발생부(140) 및 형광등(110) 중 적어도 하나가 턴 온 되거나 또는 턴 오프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된 제어 신호가 팬(130)을 턴 오프시키는 명령어를 포함하고 있을 경우, 플라즈마 발생부(140) 및 형광등(110)은 동작을 계속 유지하고, 팬(130)만 동작을 멈추게 된다.
또한, 수신된 제어 신호가 팬(130) 및 플라즈마 발생부(140)를 턴 오프시키는 명령어를 포함하고 있을 경우, 형광등(110)은 동작을 계속 유지하고, 팬(130)과 플라즈마 발생부(140)는 동작을 멈추게 된다.
또한, 수신된 제어 신호에 의해 플라즈마 멸균등 장치(100)가 기설정된 시간 이후 턴 오프될 수도 있다. 즉, 예약 꺼짐 설정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된 제어 신호가 플라즈마 멸균등 장치(100)를 10분 뒤에 턴 오프 시키는 것으로 예약 설정하는 명령어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해당 제어 신호가 수신되면 플라즈마 멸균등 장치(100)는 릴레이와 같은 회로 소자를 통해 10분 뒤에 턴 오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플라즈마 멸균등 장치의 등기구 본체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술한 대로 등기구 본체(120)의 양 끝단에 각각 팬(130, 131)이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등기구 본체(120)의 양 끝단 중 일단에 배치된 팬(131)은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팬이고, 타단에 배치된 팬(130)은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팬이다.
이에 따라, 등기구 본체(120)에 팬이 하나만 배치된 경우에 비해 팬(130, 131)이 두개 설치된 경우에는 좀더 빠르고 많은 양의 공기를 흡입하고 정화시켜 배출시킬 수 있어, 공기 정화 능력이 증대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플라즈마 멸균등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등기구 본체(120)의 형태가 형광등(110)을 두 개 장착할 수 있는 형태로 구현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등기구 본체(120)은 한 쌍의 UVC 램프(형광등(110))가 서로 다른 방향을 지향하도록 고정될 수 있도록 하향 돌출된 중심부의 첨단(122)에서 양측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UVC 램프(형광등(110, 110'))를 지지하는 경사면(123, 123')을 포함한다. 도 4a 및 도 4b에는 미도시되어 있으나, 이와 같은 형태의 등기구 본체(120) 내부에도 상술한 바와 같은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팬, 순환되는 공기를 정화시키기 위한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플라즈마 발생부,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리모트 신호 수신부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다른 실시 예의 플라즈마 형광등 장치(100)는 동일하게 공기 정화 기능을 수행하면서, 복수의 형광등(110)을 통해 좀더 밝은 조명 효과를 갖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플라즈마 멸균등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플라즈마 멸균등 장치(100)가 천장(10)에 매립된 형태로 구현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특히, 등기구 본체(120)가 천정(10) 면에 부착되는 것이 아닌 천정(10) 내부에 매립되는 것으로서, 플라즈마 멸균등 장치(100)를 천정(10)에 매립함으로써 인테리어 효과를 낼 수 있다.
한편, 마찬가지로 등기구 본체(120)의 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팬이 설치될 수 있는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기구 본체(120)의 길이가 긴 축을 기준으로 한 양 끝단에 설치될 수도 있으나, 도 5에서는 길이가 짧은 축을 기준으로 한 양 끝단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도 5에서 도시된 공기 순환 경로가 도 3에서 도시된 공기 순환 경로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아지게 되며, 좀더 빠르게 공기를 순환시키면서 정화시킬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매립형 플라즈마 멸균등 장치(100)는 등기구 본체(120)가 천정(10) 내부에 매립되고, 형광등(110)은 등기구 본체(120)에 구비된 소켓(111)에 의해 장착될 수 있으며, 등기구 본체(120)의 길이가 짧은 축을 기준으로 형광등(110)의 좌우에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팬(131) 및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팬(130)이 설치됨으로써, 형광등(110)의 좌측에서 공기를 흡입하고 형광등(110)의 우측에서 공기를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형광등(110)의 좌측에서 흡입된 공기는 플라즈마 발생부(140)에서 발생된 플라즈마와 결합하여 정화될 수 있고, 이렇게 정화된 공기는 형광등(110)의 우측에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서는 매립형 플라즈마 멸균등 장치(100)의 단면을 도시한 것으로서 팬(130, 131)이 각각 하나씩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양 단에 각각 복수 개의 팬이 설치됨으로써, 공기 순환 기능을 증대시킬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라즈마 멸균등 장치(100)는 발생된 플라즈마에 의해 변경되는 공기 정화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공기 정화도를 외부 장치에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정보를 생성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라즈마 멸균등 장치와 외부 장치 간의 정보 전송에 관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등기구 본체(120)의 내부에는 프로세서(160)가 포함되어 있으며, 프로세서(160)는 공기가 순환하면서 플라즈마 발생부(140)를 거쳐 플라즈마와 결합되어 정화되는 공기의 양을 센싱하는 센서(미도시)로부터 센싱값을 받아 발생된 플라즈마에 의해 변경되는 공기 정화도를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60)는 플라즈마와 결합되어 정화된 공기의 양에 대응되는 센싱값이 기설정된 구간 중 어디에 해당되는지에 따라 공기 정화도를 수치로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60)는 산출된 공기 정화도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정보를 생성하여 외부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장치(200)는 플라즈마 멸균등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n번째 형광등 공기 정화도가 80%"임을 나타내는 화면을 디스플레이 함으로써, 사용자는 각각의 플라즈마 멸균등 장치(100)의 공기 정화 상태가 어떠한지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서는 별도의 통신부를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프로세서(160)는 통신부(미도시)를 통해 산출된 공기 정화도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정보를 생성하여 외부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장치(200)는 플라즈마 멸균등 장치(100) 각각의 공기 정화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기능 이외에 플라즈마 멸균등 장치(100) 각각을 제어하기 위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장치(200)는 n 번째 플라즈마 멸균등 장치(100)를 턴 온 시키기 위한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턴 온 시키기 위한 명령을 입력하면 외부 장치(200)는 턴 온 명령 신호를 n 번째 플라즈마 멸균등 장치(100)로 전송하여 턴 온 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라즈마 멸균등 장치는 통신부(미도시)를 더 포함하며, 통신부(미도시)는 외부 장치와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 방식 중 하나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고, 플라즈마 멸균증 장치는 통신부를 통해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부 장치(200)가 도 6과 같이 스마트 폰으로 구현되는 경우,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으로 플라즈마 멸균등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으며, 플라즈마 멸균등 장치(100)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통신부(미도시)를 구비함으로써 통신부를 통해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으로 전달되는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미도시)는 서버 및 외부 기기 중 적어도 하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BT(BlueTooth), WI-FI(Wireless Fidelity), Zigbee, IR(Infrared), Serial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방식을 통해 AP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외부 장치(200)는 별도의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복수의 플라즈마 멸균등 장치(100)를 일괄적으로 또는 개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60)는 산출된 공기 정화도에 기초하여 팬의 회전량을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로세서가 팬을 제어하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60)는 플라즈마 발생부(140)로부터 발생하는 플라즈마의 발생량과 정화된 공기양을 센싱하는 센서(170)로부터 수신된 센싱값에 기초하여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팬(131)과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팬(130)의 회전량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60)는 정화된 공기양을 센싱하는 센서(170)로부터 수신된 센싱값이 기설정된 수치 이하인 경우 공기 정화 기능을 더 증대시키기 위해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팬(131)과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팬(130)의 회전량을 높이도록 팬(131, 130)을 제어하고, 수신된 센싱값이 기설정된 수치 이상인 경우에는 전력 사용량을 줄이기 위해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팬(131)과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팬(130)의 회전량을 낮추도록 팬(131, 130)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60)는 공기 정화 기능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60)는 정화된 공기양을 센싱하는 센서(170)로부터 수신된 센싱값에 기초하여 플라즈마 발생부(140)의 플라즈마 발생량도 제어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프로세서(160)는 정화된 공기양을 센싱하는 센서(170)로부터 수신된 센싱값이 기설정된 수치 이하인 경우 공기 정화 기능을 더 증대시키기 위해 플라즈마 발생부(140)의 플라즈마 발생량을 더 높이도록 제어할 수 있고, 수신된 센싱값이 기설정된 수치 이상인 경우에는 전력 사용량을 줄이기 위해 플라즈마 발생부(140)의 플라즈마 발생량을 낮추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프로세서(160)의 수행 동작은 앞서 설명한 외부 장치(200)를 통해서도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플라즈마 멸균등 장치(100)를 사용하게 되면 형광등(110)을 통해 멸균 또는 살균 기능을 수행하게 할 수도 있고, 또한, 플라즈마 발생부(140)와 팬(130, 131)을 통해 공기 정화 기능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플라즈마 멸균등 장치(100)를 통해 공간 활용도 및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플라즈마 멸균등 장치(100)를 천정에 매립하여 사용하는 실시 예를 통해, 인테리어 효과 및 조명 효과 등을 거둘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플라즈마 멸균등 장치 110, 110': 형광등
120: 등기구 본체 122 : 첨단,
123, 123' : 경사면 130: 팬
140: 플라즈마 발생부 150: 리모트 신호 수신부
160: 프로세서 170: 센서

Claims (9)

  1. 복수가 천정면에 설치되는 플라즈마 멸균등 장치에 있어서,
    멸균 기능을 갖는 형광등;
    상기 형광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안정기를 포함하고 내부에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등기구 본체;
    상기 등기구 본체의 양 끝단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어 공기를 순환시키도록 공기를 흡입하는 제1 팬 및 공기를 배출하는 제2 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팬(fan);
    상기 등기구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공기가 순환되는 경로 상에 위치하며, 상기 팬을 통해 순환되는 공기를 정화시키기 위한 플라즈마를 발생시켜 상기 순환되는 공기와 결합하도록 하는 플라즈마 발생부;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 방식 중 하나를 통해 스마트폰과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및
    발생된 플라즈마에 의해 변경되는 공기 정화도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공기 정화도에 따른 팬의 회전량을 제어 및 상기 스마트폰에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정보를 생성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형광등은 UVC(Ultraviolet C) 램프이고,
    상기 형광등과 팬 및 플라즈마 발생부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통신부에서 상기 스마트폰으로부터 수신된 제어신호에 따라 기 설정된 시간 이후에 턴 오프 또는 턴 온 되고,
    상기 등기구 본체는 한 쌍의 UVC 램프가 서로 다른 방향을 지향하도록 고정될 수 있도록 하향 돌출된 중심부의 첨단에서 양측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UVC 램프를 지지하는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폰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복수 중 선택된 n번째 플라즈마 멸균등 장치의 제어 명령을 전송하거나,
    전체 플라즈마 멸균등 장치의 일괄 제어 명령을 전송하고,
    복수의 플라즈마 멸균등 장치중에서 선택된 n번째 플라즈마 멸균등 장치의 공기정화도를 수신하는 것인, 플라즈마 멸균등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 멸균등 장치를 제어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리모트 신호 수신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신된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팬, 플라즈마 발생부 및 형광등 중 적어도 하나가 턴 온되거나 턴 오프 되는 것인, 플라즈마 멸균등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플라즈마 멸균등 장치가 기설정된 시간 이후 턴 오프되는 것인, 플라즈마 멸균등 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200086649A 2020-07-14 2020-07-14 플라즈마 멸균등 장치 KR1022160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6649A KR102216036B1 (ko) 2020-07-14 2020-07-14 플라즈마 멸균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6649A KR102216036B1 (ko) 2020-07-14 2020-07-14 플라즈마 멸균등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6036B1 true KR102216036B1 (ko) 2021-02-17

Family

ID=74731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6649A KR102216036B1 (ko) 2020-07-14 2020-07-14 플라즈마 멸균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60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60444A1 (zh) * 2021-10-12 2023-04-20 卡富环球有限公司 杀菌消毒灯、组合灯具和灯具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0797B1 (ko) * 2008-04-23 2009-03-31 을지대학교 산학협력단 천장 매립형 공기 살균 및 소독장치
KR20170093386A (ko) * 2016-02-05 2017-08-16 신명산업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61472A (ko) * 2017-11-28 2019-06-05 주식회사 엘엔케이시스템 화장실용 살균겸용 조명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0797B1 (ko) * 2008-04-23 2009-03-31 을지대학교 산학협력단 천장 매립형 공기 살균 및 소독장치
KR20170093386A (ko) * 2016-02-05 2017-08-16 신명산업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61472A (ko) * 2017-11-28 2019-06-05 주식회사 엘엔케이시스템 화장실용 살균겸용 조명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60444A1 (zh) * 2021-10-12 2023-04-20 卡富环球有限公司 杀菌消毒灯、组合灯具和灯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48712B2 (ja) 病原体を不活性化するのに充分な積算輝度値を生み出すための最小限のパワーを出力するシングルエミッタ照明装置
US20230314688A1 (en) Wireless Control Device Assembly
KR101704502B1 (ko) 건조·살균·색온도조절 기능을 갖는 네트워크형 스마트 led 복합등기구
US9171455B1 (en) Multi-modal wireless controller for controlling an LED lighting system
TW201201630A (en) Remote control and adjustment apparatus disposed in an energy saving lighting apparatus and a control system of the same
JP2009205841A (ja) 照明制御システム
JP2011249062A (ja) 照明器具の電源制御装置および照明システム
US11628234B2 (en) White light LED light bulbs for ambient lighting and pathogen inactivation
KR102216036B1 (ko) 플라즈마 멸균등 장치
US20210386901A1 (en) Lighting Fixture Having Ultraviolet Disinfection Means
WO2010013413A1 (ja) イオン発生ユニット及び照明装置
JP2010080102A (ja) 照明制御システム
TW201439484A (zh) 家用電器
JP2010040267A (ja) 照明装置
US20220047739A1 (en) Modular ultraviolet light panel
US11564303B2 (en) Multiple spectrum (visible and non visible) lighting with adjustable control system
JP2006185601A (ja) 照明制御システム
KR101550106B1 (ko) Led 조명 시스템
KR101798913B1 (ko) 살균 기능을 가진 조명 장치
JP2008205917A (ja) 可視光通信リモコンシステム
JP2016131080A (ja) 照明制御システム、照明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40112163A (ko) 짧은 시간에 여러 병원성 세균을 살균할 수 있는 자외선 led 살균 램프 및 그 제조방법
JP2006185768A (ja) 調光用アダプタ装置および遠隔照明制御システム
KR20190026223A (ko) 스마트 조명 장치
US20230263927A1 (en) System and method for disinfecting indoor environm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