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5966B1 - 헬리콥터용 에프터 콘 핀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헬리콥터용 에프터 콘 핀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5966B1
KR102215966B1 KR1020190102288A KR20190102288A KR102215966B1 KR 102215966 B1 KR102215966 B1 KR 102215966B1 KR 1020190102288 A KR1020190102288 A KR 1020190102288A KR 20190102288 A KR20190102288 A KR 20190102288A KR 102215966 B1 KR102215966 B1 KR 1022159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cone pin
helicopter
cone
manufactur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2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태영
Original Assignee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02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59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5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59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0038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sealing mean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38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the manufacturing pro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76Aircrafts
    • B29L2031/3088Helicop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에프터 콘 핀의 형상을 만드는 주물의 분리되는 부위를 최소화하여, 불량의 원인을 제거하는 헬리콥터용 에프터 콘 핀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의 헬리콥터용 에프터 콘 핀 제조 장치는 전방측 및 후방측이 일정 각도로 꺾인 형상을 가지며, 후방측 상부에 단차가 형성되는 헬리콥터용 에프터 콘 핀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에프터 콘 핀을 형성하는 복합재 및 상기 에프터 콘 핀의 상부 및 하부를 형성하고, 내부에 상기 복합재가 투입되며, 상기 에프터 콘 핀의 후방측 상부에 형성된 단차를 기준으로 상부 및 하부가 분리되는 외부몰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헬리콥터용 에프터 콘 핀 제조 장치{Apparatus for producing After Cone Fin for Helicopter}
본 발명은 헬리콥터용 에프터 콘 핀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온 고압의 공기를 내측에서 주입하여 정확한 외곽 형상을 가지며 높은 내구성을 갖고, 불량률이 낮은 헬리콥터용 에프터 콘 핀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헬리콥터는 다양한 구성 부품으로 이루어지며, 특히 끝 부분의 테일 로터를 감싸고 있는 부분(Fenestron) 중 전방 부분을 이어주는 구성이 에프터 콘 핀(After Cone Fin)이다. 상기 에프터 콘 핀은 항공기의 성능에 큰 영향을 주는 구성으로, 상기 테일 로터를 감싸고 있는 부분에서 가장 큰 힘을 받는 구성 부품이다.
도 1에서, 헬리콥터(H) 및 에프터 콘 핀(F)을 나타내었다. 에프터 콘 핀(F)은 후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원통 형태이되, 전방측(F1)과 후방측(F2)이 꺾어진 형태이다.
에프터 콘 핀의 제작을 위해서는 제작을 위한 재질을 주물에 넣어 약 200°C가 넘는 고온의 온도에서 경화하는 과정이 필요하고, 외곽형상을 구성하기 위해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압력을 전달하는 방식이 요구된다. 압력 전달 공정 중에, 서로 분리된 주물 사이가 벌어지게 되고, 그 틈으로 재료가 밀려나오면서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10-1083134 (등록일자 : 2011년11월7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에프터 콘 핀의 형상을 만드는 주물의 분리되는 부위를 최소화하여, 불량의 원인을 제거하는 헬리콥터용 에프터 콘 핀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리콥터용 에프터 콘 핀 제조 장치는, 전방측 및 후방측이 일정 각도로 꺾인 형상을 가지며, 후방측 상부에 단차가 형성되는 헬리콥터용 에프터 콘 핀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에프터 콘 핀을 형성하는 복합재 및 상기 에프터 콘 핀의 상부 및 하부를 형성하고, 내부에 상기 복합재가 투입되며, 상기 에프터 콘 핀의 후방측 상부에 형성된 단차를 기준으로 상부 및 하부가 분리되는 외부몰드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몰드는 상기 에프터 콘 핀의 상부를 형성하는 상부몰드, 상기 에프터 콘 핀의 하부를 형성하는 하부몰드, 상기 상부몰드 및 상기 하부몰드의 전단을 폐쇄하는 제1 덮개 및 상기 상부몰드 및 상기 하부몰드의 후단을 폐쇄하는 제2 덮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삭제
더 나아가, 상기 상부몰드는 상기 에프터 콘 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하부몰드는 상기 에프터 콘 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상부몰드는 상기 에프터 콘 핀의 전방측 상부를 형성하는 전방몰드 및 상기 에프터 콘 핀의 후방측 상부를 형성하는 후방몰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후방몰드는 상기 에프터 콘 핀 후방측 상부의 측면을 형성하는 제1 후방몰드 및 상기 에프터 콘 핀 후방측 상부의 상단면을 형성하는 제2 후방몰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전방몰드 또는 상기 후방몰드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에프터 콘 핀의 길이방향을 중심축을 기준으로 일측과 타측으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헬리콥터용 에프터 콘 핀 제조 장치는, 상기 외부몰드의 상부 및 하부를 체결하며 압박하는 체결 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헬리콥터용 에프터 콘 핀 제조 장치는, 상기 외부몰드의 하부를 고정하고,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부몰드는 Invar 재질이 적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리콥터용 에프터 콘 핀 제조 장치는 내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벌어지는 외부몰드의 분리 부위를 최소화하여, 복합재가 압력을 받아 외부몰드 밖으로 밀려나오는 것을 최소화하여, 에프터 콘 핀의 제조 불량률을 낮춰, 생산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헬리콥터 및 에프터 콘 핀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헬리콥터용 에프터 콘 핀 제조 장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에프터 콘 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에프터 콘 핀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헬리콥터용 에프터 콘 핀 제조 장치 우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외부몰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외부몰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헬리콥터용 에프터 콘 핀 제조 장치 정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 및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헬리콥터용 에프터 콘 핀 제조 장치(100)는, 전방측 및 후방측이 일정 각도로 꺾인 형상을 가지며, 후방측 상부에 단차가 형성되는 헬리콥터용 에프터 콘 핀(200)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에프터 콘 핀(200)을 형성하는 복합재 및 상기 에프터 콘 핀(200)의 상부 및 하부를 형성하고, 내부에 복합재가 투입되며, 상기 에프터 콘 핀(200)의 후방측 상부에 형성된 단차를 기준으로 상부 및 하부가 분리되는 외부몰드(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복합재는 상기 외부몰드(300) 내부에 삽입되어 고온 및 고압의 공기를 주입하는 공압주입부에 의해 경화되며, 상기 공압주입부는 상기 에프터 콘 핀(200)의 내부 형상을 지지하는 내부몰드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압주입부와 상기 내부몰드 구성은 종래에 상기 에프터 콘 핀(200)을 제작하기 위해 적용되는 구성들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외부몰드(300)는 상기 에프터 콘 핀(200)의 외형을 제작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복합재가 상기 외부몰드(300)의 내부에 투입된 후, 경화되어, 상기 에프터 콘 핀(200)의 외부 형상을 이룬다.
상기 외부몰드(300)는 상기 에프터 콘 핀(200)의 상부 및 하부 외형을 형성하고, 내부에 상기 복합재가 투입되며, 상기 에프터 콘 핀(200)의 후방측 상부에 형성된 단차를 기준으로 상부 및 하부가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압주입부가 상기 복합재에 고압의 공기를 주입하게 되면, 상기 복합재가 수용된 상기 외부몰드(300)의 분리되는 위치가 벌어지게 되고, 그 틈으로 상기 복합재가 밀려나오게 되어 불량이 발생 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은, 상기 외부몰드(300)가 벌어지는 부위를 최소화하여, 상기 외부몰드(300)의 벌어짐으로 인해 불량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였다.
본 발명의 헬리콥터용 에프터 콘 핀 제조 장치(100)를 통해 생성되는 상기 에프터 콘 핀(200)은 도 3의 AA’축을 기준으로 시계반대방향으로 180도 회전되어 헬리콥터에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상기 에프터 콘 핀(200)은 전방측 및 후방측이 일정 각도로 꺾인 형상을 가지며, 전방측 즉, 전방 콘 핀(210)의 양측면에는 서로 대응 되는 위치가 측면 외부를 향해 일정 길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돌출부(211)가 형성되고, 후방측 즉, 후방 콘 핀(220)의 상부에는 단차부(221)가 형성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외부몰드(300)는 상기 에프터 콘 핀(200)의 상부를 형성하는 상부몰드, 상기 에프터 콘 핀(200)의 하부를 형성하는 하부몰드, 상기 상부몰드 및 상기 하부몰드의 전단을 폐쇄하는 제1 덮개 및 상기 상부몰드 및 상기 하부몰드의 후단을 폐쇄하는 제2 덮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상부몰드는 상기 에프터 콘 핀(200)의 전방측 즉, 상기 전방 콘 핀(210)에 형성되는 상기 돌출부(211)가 상기 전방 콘 핀(210)의 하부를 기준으로 시작되는 위치에서부터 상기 전방 콘 핀(210)의 상단까지와, 상기 에프터 콘 핀(200)의 후방측 즉, 상기 후방 콘 핀(220)에 형성되는 상기 단차부(221)가 상기 후방 콘 핀(220)의 하부를 기준으로 시작되는 위치에서부터 상기 후방 콘 핀(220)의 상단까지를 형성하는 몰드이다.
상기 하부몰드는 상기 전방 콘 핀(210)의 하단에서부터 상기 돌출부(211)가 시작되는 위치까지와, 상기 후방 콘 핀(220)의 하단에서부터 상기 단차부(221)가 시작되는 위치까지를 형성하는 몰드이다.
그러나, 상기 전방 콘 핀(210)의 상기 돌출부(211)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상부몰드 및 상기 하부몰드가 아닌 다른 제작 몰드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전방 콘 핀(210)을 형성하는 상기 상부몰드는 상기 전방 콘 핀(210)의 하부를 기준으로 상기 돌출부(211)가 끝나는 위치에서부터 상기 전방 콘 핀(210)의 상단까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덮개는 상기 상부몰드와 상기 하부몰드의 전단부를 폐쇄하여, 상기 에프터 콘 핀(200)의 전단을 형성한다.
상기 제2 덮개는 상기 상부몰드와 상기 하부몰드의 후단부를 폐쇄하여, 상기 에프터 콘 핀(200)의 후단을 형성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몰드는 상기 에프터 콘 핀(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에프터 콘 핀(200)을 제작하는 과정 중에, 상기 상부몰드에 틈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복합재가 상기 상부몰드의 외부로 배출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하부몰드는 상기 에프터 콘 핀(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에프터 콘 핀(200)을 제작하는 과정 중에, 상기 하부몰드에 틈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복합재가 상기 하부몰드의 외부로 배출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 및 8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몰드는 상기 에프터 콘 핀(200)의 전방측 상부를 형성하는 전방몰드(311) 및 상기 에프터 콘 핀(200)의 후방측 상부를 형성하는 후방몰드(3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방몰드(312)는 상기 에프터 콘 핀(200) 후방측 상부의 측면을 형성하는 제1 후방몰드(312a) 및 상기 에프터 콘 핀(200) 후방측 상부의 상단면을 형성하는 제2 후방몰드(312b)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 후방몰드(312a)는 상기 단차부(221)가 상기 후방 콘 핀(220)의 하부를 기준으로 시작되는 위치에서부터 상기 후방 콘 핀(220)의 상면이 이루어지는 위치까지를 형성하는 몰드 구성으로, 상기 제1 후방몰드(312a)만 적용 되는 경우, 도 7과 같이, 즉 상기 후방 콘 핀(220)의 상부면이 개방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제2 후방몰드(312b)는 상기 후방 콘 핀(220)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몰드 구성으로, 도 8과 같이, 상기 후방 콘 핀(220)의 상부면을 덮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몰드(311) 또는 상기 후방몰드(312)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에프터 콘 핀(200)의 길이방향을 중심축을 기준으로 일측과 타측으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의 일측은 도 7 및 8의 a방향을 지칭하며, 타측은 b 방향을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의 헬리콥터용 에프터 콘 핀 제조 장치(100)는 상기 외부몰드(300)의 상부 및 하부를 체결하며 압박하는 체결 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체결 수단은 상기 외부몰드(300)를 상, 하에서 압박하여, 상기 공압주입부에 의해 상기 외부몰드(300)에 가해지는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외부몰드(300)가 벌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상기 에프터 콘 핀(200)의 불량률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외부몰드(300)는 Invar 재질이 적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외부몰드(300)를 Invar 재질로 적용하면, 금속 재질의 특성상 상기 공압주입부에 의해 상기 외부몰드(300)에 가해지는 압력에 견고하게 견딜 수 있어, 압력에 의한 변형이 최소화 되어, 상기 에프터 콘 핀(200)의 불량률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 헬리콥터용 에프터 콘 핀 제조 장치
200 : 에프터 콘 핀 210 : 전방 콘 핀
211 : 돌출부 220 : 후방 콘 핀
221 : 단차부
300 : 외부몰드 310 : 상부몰드
311 : 전방몰드 312 : 후방몰드
312a : 제1 후방몰드 312b : 제2 후방몰드
313c : 제3 후방몰드 320 : 하부몰드
330 : 제1 덮개 340 : 제2 덮개
400 : 체결 수단
500 : 지지부

Claims (10)

  1. 전방측 및 후방측이 일정 각도로 꺾인 형상을 가지며, 후방측 상부에 단차가 형성되는 헬리콥터용 에프터 콘 핀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에프터 콘 핀을 형성하는 복합재; 및
    상기 에프터 콘 핀의 상부 및 하부를 형성하고, 내부에 상기 복합재가 투입되며, 상기 에프터 콘 핀의 후방측 상부에 형성된 단차를 기준으로 상부 및 하부가 분리되는 외부몰드;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몰드는,
    상기 에프터 콘 핀의 상부를 형성하는 상부몰드;
    상기 에프터 콘 핀의 하부를 형성하는 하부몰드;
    상기 상부몰드 및 상기 하부몰드의 전단을 폐쇄하는 제1 덮개; 및
    상기 상부몰드 및 상기 하부몰드의 후단을 폐쇄하는 제2 덮개;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콥터용 에프터 콘 핀 제조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는 상기 상부몰드는,
    상기 에프터 콘 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콥터용 에프터 콘 핀 제조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는 상기 하부몰드는,
    상기 에프터 콘 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콥터용 에프터 콘 핀 제조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는 상기 상부몰드는,
    상기 에프터 콘 핀의 전방측 상부를 형성하는 전방몰드; 및
    상기 에프터 콘 핀의 후방측 상부를 형성하는 후방몰드;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콥터용 에프터 콘 핀 제조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는 상기 후방몰드는,
    상기 에프터 콘 핀 후방측 상부의 측면을 형성하는 제1 후방몰드; 및
    상기 에프터 콘 핀 후방측 상부의 상단면을 형성하는 제2 후방몰드;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콥터용 에프터 콘 핀 제조 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몰드 또는 상기 후방몰드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상기 에프터 콘 핀의 길이방향을 중심축을 기준으로 일측과 타측으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콥터용 에프터 콘 핀 제조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는,
    상기 외부몰드의 상부 및 하부를 체결하며 압박하는 체결 수단;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콥터용 에프터 콘 핀 제조 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몰드의 하부를 고정하고, 지지하는 지지부;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콥터용 에프터 콘 핀 제조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몰드는,
    Invar 재질이 적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콥터용 에프터 콘 핀 제조 장치.
KR1020190102288A 2019-08-21 2019-08-21 헬리콥터용 에프터 콘 핀 제조 장치 KR1022159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2288A KR102215966B1 (ko) 2019-08-21 2019-08-21 헬리콥터용 에프터 콘 핀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2288A KR102215966B1 (ko) 2019-08-21 2019-08-21 헬리콥터용 에프터 콘 핀 제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5966B1 true KR102215966B1 (ko) 2021-02-16

Family

ID=74687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2288A KR102215966B1 (ko) 2019-08-21 2019-08-21 헬리콥터용 에프터 콘 핀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5966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78883A1 (en) * 2004-01-08 2005-08-18 Goodworth Alan R. Helicopter tail rotor pylon
JP4236661B2 (ja) * 2004-12-16 2009-03-11 ユーロコプテール ヘリコプター回転翼フェアリング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並びにそれによって得られたフェアリング
KR20100024745A (ko) * 2008-08-26 2010-03-08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헬리콥터 로터 블레이드 제조용 몰드 조립체
KR20100083296A (ko) * 2009-01-13 2010-07-22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헬리콥터 로터 블레이드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523323B1 (ko) * 2015-03-17 2015-05-27 주식회사 동화티씨에이 엘보우성형기
JP2017071110A (ja) * 2015-10-06 2017-04-1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複合材の成型方法及び複合材
CN106738505A (zh) * 2016-12-02 2017-05-31 哈尔滨工业大学 一种具有复合结构的复合材料成型模具的制造方法
JP6171208B2 (ja) * 2011-06-07 2017-08-02 イノーバ ヘリコプターズ テクノロジー ホールディングス エヌゼット リミテッド ヘリコプタ
KR101864051B1 (ko) * 2016-12-23 2018-06-01 양용만 복합재를 이용한 경량 날개 및 블레이드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78883A1 (en) * 2004-01-08 2005-08-18 Goodworth Alan R. Helicopter tail rotor pylon
JP4236661B2 (ja) * 2004-12-16 2009-03-11 ユーロコプテール ヘリコプター回転翼フェアリング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並びにそれによって得られたフェアリング
KR20100024745A (ko) * 2008-08-26 2010-03-08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헬리콥터 로터 블레이드 제조용 몰드 조립체
KR20100083296A (ko) * 2009-01-13 2010-07-22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헬리콥터 로터 블레이드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083134B1 (ko) 2009-01-13 2011-11-11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헬리콥터 로터 블레이드 및 그의 제조방법
JP6171208B2 (ja) * 2011-06-07 2017-08-02 イノーバ ヘリコプターズ テクノロジー ホールディングス エヌゼット リミテッド ヘリコプタ
KR101523323B1 (ko) * 2015-03-17 2015-05-27 주식회사 동화티씨에이 엘보우성형기
JP2017071110A (ja) * 2015-10-06 2017-04-1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複合材の成型方法及び複合材
CN106738505A (zh) * 2016-12-02 2017-05-31 哈尔滨工业大学 一种具有复合结构的复合材料成型模具的制造方法
KR101864051B1 (ko) * 2016-12-23 2018-06-01 양용만 복합재를 이용한 경량 날개 및 블레이드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중소기업 기술개발사업 최종보고서, 항공기 복합재료 부품 제작용 특수소재 금형 국산화 개발(2012.07.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579217B (zh) 将附件安装在储箱壁上的安装方法
WO2013069482A1 (ja) インテークマニホルドの樹脂成形型、インテークマニホルド及びインテークマニホルドの樹脂成形方法
EP2959988A2 (en) Core positioning
KR102215966B1 (ko) 헬리콥터용 에프터 콘 핀 제조 장치
US8824066B2 (en) Plastic optical lens and an injection-molding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19517945A (ja) 調整可能なコアセンタリング装置を備えた射出成形金型
JP2015009449A (ja) 射出成形方法及び樹脂成形品
US9669570B2 (en) Process for injection moulding a composite part
JP6142953B1 (ja) 鋳造方法、および、一対の鋳型
US7790087B2 (en) Apparatus for the fabrication of a lipstick lead with two components
KR101868641B1 (ko) 부품 사출 몰딩 툴링
JP6638586B2 (ja) リアクトルの製造方法
JP2019136870A (ja) 中空の樹脂成形体の製造方法及び燃料タンク
CN109954839B (zh) 芯的成型方法和芯的成型装置
CN113508022B (zh) 树脂管的制造方法
JP2007237665A (ja) 樹脂成型体の製造方法
CN110914035B (zh) 用于制造机动车的挡衬部件的方法和装置、装置的应用
JP2005161542A (ja) インサート成形方法
KR101655571B1 (ko) 금형 코어 고정 방법 및 코어 고정 캡
KR20190072055A (ko) 복합재용 사출금형
KR101811697B1 (ko) 배출지지부를 포함하는 섬유강화 복합재 성형물 성형장치
RU2748662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выплавляемой модели
KR102046170B1 (ko) 글래스 성형용 유리질 탄소 금형 제조를 위한 경화체 장착 지그 및 글래스 성형용 유리질 탄소 금형 제조 방법
US20200282610A1 (en) Combined injection moulding and extrusion
KR20220073686A (ko) 프리폼 고정이 가능한 이종접합 금형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