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5347B1 - 오픈 스크류 이송장치용의 오픈 슬라이드 블록 - Google Patents

오픈 스크류 이송장치용의 오픈 슬라이드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5347B1
KR102215347B1 KR1020190167923A KR20190167923A KR102215347B1 KR 102215347 B1 KR102215347 B1 KR 102215347B1 KR 1020190167923 A KR1020190167923 A KR 1020190167923A KR 20190167923 A KR20190167923 A KR 20190167923A KR 102215347 B1 KR102215347 B1 KR 1022153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slide block
screw shaft
ope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7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천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너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5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53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F16H25/22Screw mechanisms with balls, rollers, or similar members between the co-operating parts; Elements essential to the use of such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F16H25/24Elements essential to such mechanisms, e.g. screws, n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픈 스크류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픈 스크류 이송장치에서 스크류 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직선 왕복운동하는 오픈 슬라이드 블록으로서, 상기 오픈 슬라이드 블록은 슬라이드블록 본체부 및 슬라이드블록 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블록 본체부의 양쪽에 각각 부착되는 제1 및 제2 베어링 모듈을 포함하고, 제1 및 제2 베어링 모듈의 각각에는 스크류 샤프트를 향하도록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고 이 경사면에 부착된 메인 베어링을 구비하는 오픈 슬라이드 블록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오픈 스크류 이송장치용의 오픈 슬라이드 블록 {Open nut block for open screw type transferring device}
본 발명은 스크류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크류 샤프트의 회전운동을 베어링을 매개로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오프 스크류 이송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오픈 슬라이드 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직선 왕복운동을 위한 이송장치로서 벨트 타입이나 랙/피니언 방식의 장치가 사용되기도 하지만 정밀한 제어가 필요한 경우 스크류 이송장치가 널리 사용된다.
일반적인 스크류 이송장치는 스크류 샤프트의 외측에 원통형의 슬라이드 블록이 설치되고 슬라이드 블록 내측에 스크류 샤프트의 나사산 또는 나사골 궤적을 따라 다수의 볼을 배열하며 스크류 샤프트가 회전하면 스크류 샤프트와 슬라이드 블록 사이의 다수의 볼이 구름운동하여 슬라이드 블록이 직선 왕복운동 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스크류 이송장치는 슬라이드 블록이 스크류 샤프트를 완전히 감싸는 원통 폐쇄형 타입이므로 스크류 샤프트의 중간 지점에 샤프트를 지지할 수 없어 샤프트가 길어지면 하중에 의해 휘어지게 되므로 샤프트의 길이나 슬라이드 블록에 가해지는 하중을 제한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스크류 샤프트의 회전력이 볼에 전달되기 위해서는 볼과 스크류 샤프트의 나사골 사이에 힘 전달에 필요한 마찰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일정한 접촉압력(이하에서 “예압”이라고 한다)으로 접촉이 유지되어야 하는데, 종래의 폐쇄형 타입의 슬라이드 블록에서는 볼이 슬라이드 블록 내부에 있어 외부로 드러나지 않기 때문에 각 볼의 예압을 적절한 수준으로 조절하기 어렵고 특히 운전 중에 예압의 변화가 심하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1: 한국 공개특허 제2019-0106298호 (2019년 09월 18일 공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슬라이드 블록이 스크류 샤프트를 완전히 감싸지 않고 부분적으로만 둘러싸는 오픈 타입으로 구성하여 운전 중 베어링 외륜 표면과 스크류 샤프트의 나사골 간의 접촉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오픈 스크류 이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최초 조립시나 운전 중 베어링의 외륜 표면과 스크류 샤프트의 나사골 간의 예압이 적절한 범위를 벗어났을 때 예압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오픈 슬라이드 블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픈 스크류 이송장치에서 스크류 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직선 왕복운동하는 오픈 슬라이드 블록으로서, 상기 오픈 슬라이드 블록은 슬라이드블록 본체부 및 슬라이드블록 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블록 본체부의 양쪽에 각각 부착되는 제1 및 제2 베어링 모듈을 포함하고, 제1 및 제2 베어링 모듈의 각각에는 스크류 샤프트를 향하도록 경사진 경사면이 형성되고 이 경사면에 부착된 메인 베어링을 구비하며, 제1 베어링 모듈의 메인 베어링이 스크류 샤프트의 나사골의 제1 경사면에 접하여 주행하고 제2 베어링 모듈의 메인 베어링이 상기 스크류 샤프트의 나사골의 제2 경사면에 접하여 주행하도록 배치되고, 슬라이드블록 본체부에 형성된 관통구를 통해 각각의 베어링 모듈의 측면에 하나 이상의 조절볼트가 끼워지고 이 조절볼트를 조절함으로써 베어링 모듈이 이 베어링 모듈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범위 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슬라이드 블록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슬라이드 블록이 스크류 샤프트를 완전히 감싸지 않고 부분적으로만 둘러싸는 오픈 타입으로 구성함으로써 최초 조립시나 운전 중 베어링의 외륜 표면과 스크류 샤프트의 나사 접촉면 간의 예압이 적절한 범위를 벗어났을 때 예압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오픈 슬라이드 블록은 스크류 샤프트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오픈 타입이므로 스크류 샤프트의 하부에 접촉하며 스크류 샤프트를 지지하는 서포트 베어링을 소정 간격으로 배치하여 샤프트를 지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므로 스크류 샤프트의 길이를 제한할 필요가 없는 이점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픈 스크류 이송장치의 사시도,
도2는 도1의 오픈 스크류 이송장치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
도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픈 슬라이드 블록의 분해사시도,
도4는 도3의 슬라이드블록 본체부의 사시도,
도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 모듈을 설명하는 도면,
도6은 도2의 A-A' 절단면에서 오픈 슬라이드 블록을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7은 베어링 모듈의 이송 베어링과 스크류 샤프트의 배치관계를 설명하는 도면,
도8 및 도9는 베어링 모듈과 스크류 샤프트의 배치관계를 설명하는 도면,
도10 및 도11은 피치 거리 변경에 따른 베어링 모듈과 스크류 샤프트의 배치관계를 설명하는 도면,
도12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오픈 슬라이드 블록을 설명하는 도면,
도13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오픈 슬라이드 블록을 설명하는 도면
도14는 제4 실시예에 따른 오픈 슬라이드 블록을 설명하는 도면,
도15는 제4 실시예에 따른 오픈 볼너트 모듈을 설명하는 도면,
도16은 오픈 볼너트 모듈의 대안적 구성을 설명하는 도면,
도17은 제5 실시예에 따른 오픈 슬라이드 블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을 포함한다', '~으로 구성된다', 및 '~으로 이루어진다'라는 표현은 언급된 구성요소 중 하나 이상의 생략이나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를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픈 스크류 이송장치의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픈 스크류 이송장치는 소정 길이의 스크류 샤프트(210), 스크류 샤프트(210)를 지지하는 스크류 샤프트 양단 지지 베어링(이하 간단히 "양단 지지 베어링"이라고도 함)(260,270), 스크류 샤프트(210)에 연결된 구동모터(250), 및 스크류 샤프트(210)를 따라 직선 왕복운동하는 오픈 슬라이드 블록(100)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모터(250)의 구동축이 스크류 샤프트(210)와 결합되어 있고 스크류 샤프트(210)의 양 단은 한 쌍의 양단 지지 베어링(260,270)에 의해 지지된다. 스크류 샤프트(210)에는 표면을 따라 나사골이 형성되어 있고 오픈 슬라이드 블록(100)이 스크류 샤프트(2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오픈 슬라이드 블록(이하 간단히 “슬라이드 블록”이라고도 함)(100)은 스크류 샤프트(210)의 둘레를 완전히 둘러싸는 폐쇄형 타입이 아니라 스크류 샤프트의 둘레 일부분만 둘러싸는 오픈 타입이다. 오픈 슬라이드 블록(100)의 둘 이상의 베어링이 스크류 샤프트(210)의 나사골과 접촉하고, 스크류 구동모터(250)에 의해 스크류 샤프트(210)가 회전함에 따라 스크류 샤프트(210)의 슬라이드 블록(100)이 직선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도2는 도1의 오픈 스크류 이송장치 중 오픈 슬라이드 블록(100) 주위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슬라이드 블록(100)은 스크류 샤프트(210)의 일부 둘레를 둘러싸는 오픈 타입의 블록이며 예컨대 도시한 실시예에서 슬라이드 블록(100)은 스크류 샤프트(210)의 상부면과 측면을 둘러싸며 스크류 샤프트(210)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한 쌍의 가이드레일(230)이 스크류 샤프트(210)의 양측에서 각각 스크류 샤프트(210)와 나란히 배치된다. 가이드레일(230)은 예컨대 단면이 원이나 타원 또는 다각형을 가질 수 있으며 이송장치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블록(220)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오픈 슬라이드 블록(100)의 폭방향의 양쪽 측면은 각각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이 경사면에 하나 이상의 가이드 베어링(20)이 부착되어 있다. 각각의 가이드 베어링(20)은 이송장치의 가이드레일(230)과 접촉하며 가이드된다. 따라서 슬라이드 블록(100)의 직선 왕복운동시 슬라이드 블록(100)이 폭방향으로 가이드레일(230)에 가이드되므로 슬라이드 블록(100)의 요잉이나 롤링 등 불필요한 움직임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직선운동을 보장할 수 있다.
스크류 샤프트(210)의 아래쪽에는 스크류 샤프트(210)와 접촉하며 지지하는 스크류 샤프트 처짐 방지 베어링(이하 간단히 "처짐 방지 베어링"이라고도 함)(300)이 설치될 수 있다. 처짐 방지 베어링(300)은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고 각각의 처짐 방지 베어링(300)의 회전축은 스크류 샤프트(210)의 중심축과 나란하게 되도록 배치되어 스크류 샤프트(210)의 축 직교 방향으로 구름운동 하면서 스크류 샤프트(210)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제 도3 내지 도5를 참조하여 오픈 슬라이드 블록(100)에 대해 상술하기로 한다. 도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블록(10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4는 슬라이드 블록의 본체부(10)의 사시도, 그리고 도5는 베어링 모듈(50)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블록(100)은 슬라이드블록 본체부(10), 다수의 가이드 베어링(20), 및 한 쌍의 베어링 모듈(50)을 포함한다. 한 쌍의 베어링 모듈(50)은 슬라이드블록 본체부(1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블록 본체부의 양쪽에 각각 부착될 수 있다. 본체부(10)의 상부면(11)에 베어링 모듈(50)을 수용할 수 있는 한 쌍의 모듈 수용부(15)가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베어링 모듈(50)이 모듈 수용부(15)에 안착되어 결합된다.
도3과 도5를 참조하면 베어링 모듈(50)은 상부면에 하나 이상의 관통구(53)가 형성되고 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볼트 결합공(55)이 형성되어 있다. 베어링 모듈(50)의 관통구(53)에 대응하여 슬라이드블록 본체부(10)의 모듈 수용부(15) 내에 볼트 결합공(16)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체결볼트(71)가 베어링 모듈(50)의 관통구(53)를 관통하여 볼트 결합공(16)에 결합됨으로써 베어링 모듈(50)을 모듈 수용부(15)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베어링 모듈(50)의 앞쪽 측면은 아래족을 향하도록 소정 각도 경사진 전방 경사면(52)이고 이 전방 경사면(52)에 메인 베어링(60)과의 결합을 위한 베어링 연결공(54)이 형성되어 있다. 메인 베어링(60)은 예컨대 래디얼 베어링일 수 있다. 메인 베어링(60)이 스크류 샤프트(210)의 나사골과 접촉하도록 구성되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전방 경사면(52)은 베어링 모듈(50)의 전방을 똑바로 향하도록 형성된다. 즉 도5에 도시한 것처럼 베어링 모듈(50)의 길이방향의 중심선을 "C3", 베어링 모듈의 상부면의 가상의 연장면을 "S1", 그리고 베어링 모듈의 전방 경사면(52)의 가상의 연장면을 "S2"라고 할 때, 전방 경사면(52)의 연장면(S2)과 베어링 모듈의 중심선(C3)이 위에서 볼 때 수직으로 만나도록 경사면(52)이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두 연장면(S1,S2)이 만나는 직선(L1)과 베어링 모듈(50)의 중심선(C3)이 수직을 이루도록 전방 경사면(52)이 형성된다. 전방 경사면(52)을 이와 같이 베어링 모듈(50)의 전방을 똑바로 바라보도록 형성하는 이유는 스크류 샤프트(210)의 나사골의 간격(피치)이 달라짐에 따라 슬라이드블록 본체부(10)를 교체하더라도 베어링 모듈(50)은 나사골의 피치 길이에 상관없이 항상 동일한 베어링 모듈(50)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베어링 모듈(50)의 측면에 형성된 볼트 결합공(55)에는 예압 조절을 위한 조절 볼트(72)가 끼워질 수 있다. 이를 위해, 도4에 도시한 것처럼 슬라이드블록 본체부(10)의 상부면(11)에 조절 볼트(72)를 수용할 수 있는 볼트 수용부(17)가 형성될 수 있다. 볼트 수용부(17)는 모듈 수용부(15)에 인접하게 형성되고 두 수용부(15,17) 사이를 관통구(18)가 관통하고 있다. 따라서 베어링 모듈(50)이 모듈 수용부(15)에 안착된 상태에서 조절 볼트(72)가 슬라이드블록 본체부(10)의 관통구(18)를 관통하여 베어링 모듈(50)의 볼트 결합공(55)에 결합되며 이 때 조절 볼트(72)의 조임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베어링 모듈(50)의 모듈 수용부(15) 내에서의 안착 위치를 미세 조정할 수 있다.
슬라이드블록 본체부(10)의 길이방향의 양 측면에는 커버(25)가 각각 부착될 수 있다. 그러나 커버(25)는 생략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슬라이드블록 본체부(10)의 폭방향의 양 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 베어링(20)이 부착될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슬라이드블록 본체부(10)의 폭방향의 양쪽 측면이 각각 경사면(12)으로 형성된다. 이 경사면(12)은 도4에 도시한 것처럼 경사면(12)은 상방향을 향하는 상부 경사면(12a) 및 이와 연장되며 하방향을 향하는 하부 경사면(12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부 경사면(12a)과 하부 경사면(12b)에는 각각 하나 이상의 결합공(13)이 형성되고 이 결합공(13)을 통해 가이드 베어링(20)이 부착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상부 경사면(12a)에는 상부 가이드 베어링(21)이 부착되고 하부 경사면(12b)에는 하부 가이드 베어링(22)이 부착된다. 상부 가이드 베어링(21)과 하부 가이드 베어링(22)은 각각 이송장치의 가이드 레일(230)과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이와 관련하여 도6(a)는 도2의 A-A' 절단면에서 오픈 슬라이드 블록(100)을 바라본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5에서는 커버(25)를 생략하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이송장치의 중심부에 스크류 샤프트(210)가 배치되고 스크류 샤프트(210)의 양 쪽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한 쌍의 가이드 레일(230)이 스크류 샤프트(210)와 나란하게 배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가이드 레일(230)은 이송장치의 가이드 블록(220)에 부착되어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슬라이드 블록(100)의 양 측면에 배치된 상부 가이드 베어링(21)과 하부 가이드 베어링(22)은 각각 이송장치의 가이드 레일(230)과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상부 가이드 베어링(21)이 상방향에서 가이드 레일(230)과 맞물리고 하부 가이드 베어링(22)은 하방향에서 가이드 레일(230)과 맞물리므로 슬라이드 블록(100)이 양쪽의 가이드 레일(230)에 끼워져서 가이드 되고 또한 이 때 슬라이드 블록(100)의 메인 베어링(60)은 스크류 샤프트(210)의 나사골에 접하면서 스크류 샤프트(210)와 맞물리게 되며 따라서 슬라이드 블록(100)이 요잉이나 롤링 등의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직선 운동을 할 수 있다.
한편, 가이드 레일(230)의 단면은 도6(a)도시한 것처럼 원형일 수 있지만 대안적 실시예에서 삼각형이나 사각형 등 다각형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6(b)는 대안적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일측면의 단부(231)가 V형상으로 형성된 가이드 블록(220)을 도시하였다. 이 실시예에서 가이드 블록(221)의 V자 형상 단부(231)이 슬라이드블록 본체부(10)의 상부 및 하부 가이드 베어링(21,22)의 외륜과 접촉한다. 접촉 마찰을 줄이기 위해 상부 및 하부 가이드 베어링(21,22)의 외륜이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6(b)의 실시예에서 가이드 블록(221)은 오각형 단면을 갖는 형상이며 일 측면에 V자 형상 단부(231)을 가짐으로서 그 자체로 도6(a)의 가이드 레일(230) 역할을 함을 이해할 것이다.
도6(a) 또는 도6(b)에 도시한 것처럼 스크류 샤프트(210)의 아래쪽에는 스크류 샤프트(210)와 접촉하며 지지하는 하나 이상의 처짐 방지 베어링(300)이 설치될 수 있다. 처짐 방지 베어링(300)의 회전축은 스크류 샤프트(210)의 중심축과 나란하게 되도록 배치되어 스크류 샤프트(210)를 지지하며 이에 의해 스크류 샤프트(210)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도6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오픈 슬라이드 블록(100)은 스크류 샤프트(210)의 상부와 측면만 둘러싸는 오픈 타입이므로 스크류 샤프트(210)의 아래쪽이 노출되어 있으며 따라서 처짐 방지 베어링(300)이 스크류 샤프트(210)의 아래쪽에서 접촉하며 스크류 샤프트(210)를 지지할 수 있다.
처짐 방지 베어링(300)은 이송장치의 양쪽의 양단 지지 베어링(260,270)의 중간에 하나가 설치될 수도 있고 양쪽의 양단 지지 베어링(260, 270) 사이의 구간에서 등간격으로 복수개 설치될 수도 있다.
이제 도7 내지 도11을 참조하여 베어링 모듈(50)과 스크류 샤프트(210)의 바람직한 배치 관계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7은 베어링 모듈의 이송 베어링(60)과 스크류 샤프트(210)의 배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베어링 모듈(50)과 스크류 샤프트(210)를 도식적으로 나타내었다. 도7은 한 쌍의 베어링 모듈 중 하나(예컨대 3에서 오른쪽 베어링 모듈)만 도시하였으며 나머지 하나는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 외에 구성이나 기능이 동일함을 이해할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스크류 샤프트(210)는 표면에 소정 피치(P) 거리를 갖는 나사골(211)이 형성되며, 도시한 것처럼 나사골(211)은 나사골의 최저점에서 양쪽 방향으로 경사면(211a,211b)을 가진다. 나사골의 두 경사면(211a,211b) 사이의 각도는 예컨대 90도이지만 스크류 샤프트의 종류에 따라 60도 또는 다른 각도로 형성될 수도 있다.
베어링 모듈(50)의 전방 경사면(52)에 장착된 메인 베어링(60)은 예컨대 바퀴 형태의 래디얼 베어링이며, 메인 베어링(60)은 전방면(60a), 외주면(60b), 및 전방면과 외주면이 만나는 모서리(60c)를 가질 수 있다.
오픈 슬라이드 블록(100)이 스크류 샤프트(210)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되면 베어링 모듈(60)이 스크류 샤프트(210)의 나사골(211)에 접촉하며 결합되는데 도7에 도시한 것처럼 메인 베어링(60)의 모서리(60c) 부분이 스크류 샤프트(210)의 나사골(211)에 안착하며 결합된다.
이 때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메인 베어링(60)은 아래와 같은 요건을 충족하도록 배치된다.
첫째, 메인 베어링(60)이 스크류 샤프트(210)의 나사골(210)의 한쪽 경사면(211a 또는 211b)에 접하면서 안착된다. 즉 오픈 슬라이드 블록(100)에 장착되는 한 쌍의 메인 베어링 중 도7에 도시한 메인 베어링(60)은 나사골의 제1 경사면(211a)과 접하면서 주행하고 나머지 하나의 메인 베어링(예컨대 도3의 왼쪽 메인 베어링(60))은 나사골의 제2 경사면(211b)과 접하면서 주행한다.
메인 베어링(60)의 전방면(60a)은 이와 마주보는 나사골의 경사면(즉 도7의 경우 제2 경사면(211b)과 접촉할 수도 있지만 마찰을 줄이기 위해 접촉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둘째, 메인 베어링(60)의 외주면(60b)이 나사골의 경사면(도7의 경우 제1 경사면(211a))과 선접촉하며 접한다. 이를 위해 스크류 샤프트(210)의 나사골의 제1 경사면(211a) 중 메인 베어링(60)과 접촉하는 지점의 법면(S4)과 베어링 모듈의 경사면(52)의 가상의 연장면(S2)이 서로 수직으로 만나도록 구성한다. 즉 도7에서 경사면(211a)의 법면(S4)이 베어링 모듈의 경사면(52)의 가상의 연장면(S2) 또는 메인 베어링의 전방면(60a)의 가상의 연장면(S3)과 수직으로 만나도록 구성한다.
셋째, 메인 베어링(60)이 스크류 샤프트(210)의 나사골(211)의 경로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관련하여 도8 및 도9는 베어링 모듈과 스크류의 배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스크류 샤프트(210)와 베어링 모듈(50)을 위에서 바라본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도8에서 예컨대 스크류 샤프트(210)의 피치 거리가 "P1"이고 이 때 메인 베어링(60)이 나사골(211)의 경사면(211a 또는 211b)과 접하는 지점의 수평방향 법선이 "L2"이고 스크류 샤프트(210)의 폭방향 직선을 "L3"라고 하면 법선(L2)과 폭방향 직선(L3)이 소정 각도(θ1)를 이루게 된다. 이 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메인 베어링(60)을 나사골의 법선(L2)에 평행하도록 배치하며, 이를 위해 베어링 모듈(50)의 중심선(C3)과 법선(L2)이 수직으로 만나도록 베어링 모듈(50)을 배치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베어링 모듈(50)을 스크류 샤프트(210)의 길이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θ1) 틀어진 방향으로 배치시킨다. 예를 들어 도9에 도시한 것처럼, 슬라이드블록 본체부(10)의 상부면에 베어링 모듈(50)을 수용하는 모듈 수용부(15)를 형성하되 스크류 샤프트의 중심선(C1)과 모듈 수용부(15)의 길이방향의 중심선(C2)이 상기 소정 각도(θ1)를 이루도록 모듈 수용부(15)를 형성한다. 모듈 수용부(15)에 안착되면 모듈 수용부(15)의 중심선(C2)과 베어링 모듈(50)의 중심선(C3)이 동일하게 되므로 도8에 도시한 것처럼 베어링 모듈(50)과 스크류 샤프트의 중심선(C1) 사이에 상기 소정 각도(θ1)가 형성되며 따라서 메인 베어링(60)을 나사골의 법선(L2)에 평행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그런데 이 소정 각도(θ1)는 스크류 샤프트(210)의 나사골의 피치(P1)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특정 피치(P)를 갖는 스크류 샤프트를 사용할 경우 베어링 모듈(50)이 스크류 샤프트의 길이방향에 대해 해당 피치 값에 따른 각도(θ)만큼 틀어진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10과 도11은 도8 및 도9과 비교하여 더 짧은 피치(P2)를 갖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10과 도11을 참조하면, 이 실시예에서 스크류 샤프트(210)는 도8의 피치(P1)보다 더 짧으며 따라서 나사골의 법선(L2)이 스크류 샤프트의 폭방향의 직선(L3) 사이의 각도(θ2)가 도8에서의 각도(θ1)보다 더 작은 값을 가진다.
이 경우 베어링 모듈(50)을 스크류 샤프트(210)의 길이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θ2) 틀어진 방향으로 배치시킨다. 이를 위해, 도11에 도시한 것처럼, 슬라이드블록 본체부(10)의 상부면에 베어링 모듈(50)을 수용하는 모듈 수용부(15)를 형성하되 스크류 샤프트의 중심선(C1)과 모듈 수용부(15)의 길이방향의 중심선(C2)이 상기 소정 각도(θ2)를 이루도록 모듈 수용부(15)를 형성한다. 도9와의 비교에서 알 수 있듯이 도11의 모듈 수용부(15)가 스크류 샤프트의 중심선(C1)에 덜 틀어져서(즉, 중심선(C1)에 좀 더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그런데 이 경우에도 도10의 베어링 모듈(50)은 도8의 베어링 모듈(50)과 동일하다.
따라서, 스크류 샤프트(210)의 나사골의 피치(P)가 달라지면 이 달라진 피치(P)에 따라 결정된 각도(θ)만큼 중심선(C1)에 대해 틀어진 방향으로 형성된 모듈 수용부(15)를 갖는 슬라이드블록 본체부(10)를 구비하되, 베어링 모듈(50)은 나사골의 피치 길이에 상관없이 항상 동일한 베어링 모듈(50)을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메인 베어링(60)이 상술한 요건을 충족하도록 하여 오픈 슬라이드 블록(100)을 이송장치에 장착하면, 메인 베어링(60)의 외주면(60b)의 최정점에서 나사골(211)의 경사면과 정확하게 수직으로 접촉하며 주행할 수 있으므로 구름운동이 완벽히 이루어져 미끄럼운동의 발생을 방지하며 따라서 미끄럼운동에 의한 마찰이나 소음 및 열 발생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조절 볼트(72)를 사용하여 메인 베어링(60)이 위와 같은 요건을 충족하도록 미세조정 할 수 있다. 도4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조절 볼트(72)가 슬라이드블록 본체부(10)의 관통구(18)를 관통하여 베어링 모듈(50)의 볼트 결합공(55)에 결합된 상태에서 조절 볼트(72)의 조임 정도를 조절하면 베어링 모듈(50) 및 이에 장착된 메인 베어링(60)이 슬라이드블록 본체부(10)에 대해 상대적으로 베어링 모듈(50)의 길이방향으로(즉, 도5의 중심선(C3)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고, 이에 의해 메인 베어링(60)과 나사골(211)의 경사면(211a,211b)과의 접촉위치를 미세조절 할 수 있다.
이 때 조절 볼트(72)에 의한 미세 조절을 위해 베어링 모듈(50)의 관통구(53)와 체결볼트(71) 사이에 약간의 유격이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관통구(53)의 단면이 원이 아닌 장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베어링 모듈(50)의 미세조절을 위해, 우선 베어링 모듈(50)을 슬라이드블록 본체부(10)의 모듈 수용부(15)에 안착시키고 체결볼트(71)를 관통구(53)에 끼워 베어링 모듈(50)을 느슨하게 체결한다. 그 후 조절 볼트(72)의 조임 정도를 조절하여 메인 베어링(60)의 외주면(60b)이 나사골(211)의 경사면(211a 또는 211b)에 적절히 접촉하도록 위치시키고 그 후 체결볼트(71)를 완전히 체결하여 베어링 모듈(50)을 슬라이드블록 본체부(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베어링 모듈(50)의 길이방향으로 미세 조정하는 조절 볼트(72)를 장착함으로써 슬라이드 블록(100)의 최초 조립시 뿐만 아니라 슬라이드 블록(100)의 사용 중에도 메인 베어링(60)의 외주면(60b)과 나사골(211)과의 예압이 적절한 범위를 벗어났을 때 예압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므로 동력손실 없이 스크류 샤프트(210)의 회전운동을 슬라이드 블록(100)의 직선 왕복운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도12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오픈 슬라이드 블록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이송방향에서 오픈 슬라이드 블록을 바라본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베어링 모듈(50)과 메인 베어링(60) 등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였다.
도6의 슬라이드블록 본체부(10)와의 비교에서 알 수 있듯이 도12에서 슬라이드블록 본체부(30)는 폭방향의 양쪽에 다수의 가이드 베어링(20)을 구비하되 가이드 베어링(20)이 슬라이드블록 본체부(30)의 하부면에서 안쪽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도시한 실시예에서 슬라이드블록 본체부(30)는 스크류 샤프트(210)를 둘러싸는 중앙 코어부(31) 및 코어부(31)에서 폭방향 양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베어링 지지부(32)로 구성된다. 베어링 지지부(32)는 코어부(31)를 향하는 내측면을 가지며 이 내측면의 상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에 상부 가이드 베어링(21)이 부착되고 내측면의 하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에 하부 가이드 베어링(22)이 부착된다.
스크류 샤프트(210)의 양쪽으로 각각 소정 거리 이격되어 상방향으로 돌출된 가이드 블록(220)이 각각 스크류 샤프트와 나란하게 설치되고 각 가이드 블록(220)의 일측에 가이드 레일(230)이 설치되며, 이에 따라 가이드 레일(230)의 각각은 스크류 샤프트(210)와 가이드 베어링(20)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상부 가이드 베어링(21)은 상방향에서 가이드 레일(230)과 맞물리고 하부 가이드 베어링(22)은 하방향에서 가이드 레일(230)과 맞물려서 주행하므로 슬라이드 블록(100)이 요잉이나 롤링 등의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직선 운동을 할 수 있다.
도13은 제3 실시예에 따른 오픈 슬라이드 블록을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이 실시예에서 슬라이드블록 본체부(10)는 도4의 슬라이드블록 본체부(10)와 동일하며 다만 본체부(10)에 또 다른 베어링(27)을 추가로 설치하는 점에서 상이하다.
도시한 실시예에서 슬라이드블록 본체부(10)의 하부에 베어링 설치를 위한 수용 공간(19)을 마련하고 이 수용 공간(19)에 베어링(27)을 설치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베어링(27)을 슬라이드블록 본체부(10)의 측면(예컨대 전방면이나 후방면) 등 다른 위치에 설치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베어링(27)의 회전축이 스크류 샤프트(210)의 길이방향과 나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12(b)에 도시한 것처럼 베어링(27)이 스크류 샤프트(210)의 나사골(211)에 안착하도록 배치되며, 이 경우 베어링(27)의 회전축이 샤프트 길이방향(C1)에 소정 각도(θ)를 이루고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베어링(27)이 없을 경우 슬라이드 블록(100)의 하중이 양쪽의 메인 베어링(60)에 의해서만 스크류 샤프트(210)에 전달되므로 슬라이드 블록(100)과 스크류 샤프트(210) 사이에 유격이 발생하거나 예압이 변동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으나 도12와 같이 베어링(27)을 구비하고 베어링(27)이 스크류 샤프트(210)의 나사골(211)에 안착하여 나사골(211)을 따라 회전하도록 구성하면 슬라이드 블록(100)이 스크류 샤프트(210)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뿐만 아니라 메인 베어링(60)과 스크류 샤프트(210)간의 유격을 줄이고 적절한 예압으로 메인 베어링(60)이 스크류 샤프트(210)에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블록(100)의 하중의 일부를 베어링(27)이 지지하기 때문에 메인 베어링(60)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할 수 있어 메인 베어링(60)의 내구성과 수명을 높일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베어링(27)을 하나만 도시하였지만 대안적 실시예에서 슬라이드 블록(100)에 다수개의 베어링(27)을 설치하고 각 베어링(27)이 스크류 샤프트(210)의 나사골(211)에 안착하도록 배치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도14는 제4 실시예에 따른 오픈 슬라이드 블록을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이 실시예에서 슬라이드블록 본체부(10)에 오픈 볼스크류용 오픈 볼너트 모듈(40)(이하 간단히 "오픈 볼너트 모듈"이라고도 함)이 설치된다. 오픈 볼너트 모듈(40)은 스크류 샤프트(210)의 둘레의 일부만 둘러싸는 오픈형 구조를 갖는 점에서 종래 폐쇄형 볼너트 모듈과 상이하다.
이와 관련하여 도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픈 볼너트 모듈(40)을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일 실시예에서 오픈 볼너트 모듈(40)은 모듈 본체(41)와 본체(41) 내부에 배치되는 다수의 볼(43) 및 볼(43)이 이동하는 이동경로(42)를 구비한다. 볼(43)이 전체 이동경로(42) 내에 채워져 있지만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를 생략하였음을 이해할 것이다.
모듈 본체(41)는 대략 육면체 형상일 수 있으며 한쪽 면이 스크류 샤프트(210)의 외부 둘레를 둘러싸도록 오목한 면으로 형성되고, 이 오목한 면에 볼(43)이 노출되면서 이동하는 이동경로(42)가 형성된다. 도면에 도시한 것처럼 모듈 본체(41)에 하나 이상의 이동경로(42)가 형성될 수 있고 각 이동경로(42)는 폐경로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이동경로(42)는 도15의 도면을 기준으로 제1 경로(42a)와 그 아래쪽에 배치된 제2 경로(42b)를 포함한다. 제1 경로(42a)를 따라 움직이는 볼(43)이 모듈 본체(41)의 오목한 표면에 상대적으로 많이 돌출되도록 제 1경로(42a)가 형성되고, 따라서 제1 경로(41a)를 따라 움직이는 볼(43)이 스크류 샤프트(210)의 나사골(211)에 접촉되어 안착될 수 있다.
반면 제2 경로(42b)를 따라 움직이는 볼(43)은 모듈 본체(41)의 오목한 표면에 상대적으로 거의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볼(43)이 스크류 샤프트(210)의 표면과 접하지 않도록 구성한다. 그러므로 제1 경로(42a)의 볼(43)은 스크류 샤프트(210)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움직이고 제2 경로(42b)의 볼(43)은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게 됨을 이해할 것이다.
모듈 본체(41)에는 하나 이상의 관통구(44)가 형성되고 이 관통구(44)를 통해 예컨대 볼트를 삽입하여 모듈 본체(41)를 슬라이드블록 본체부(10)에 체결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구성이며 구체적 실시 형태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오픈 볼너트 모듈(40)을 슬라이드블록 본체부(10)에 결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오픈 볼너트 모듈(40)을 슬라이드블록 본체부(10)에 설치하였지만 대안적 실시예에서 다수개의 오픈 볼너트 모듈(40)을 설치하고 각 모듈(40)의 제1 경로(42a)의 볼(43)들이 스크류 샤프트(210)의 나사골(211)에 안착하도록 배치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도16은 대안적 실시예에 따른 오픈 볼너트 모듈(40')을 개략적으로 도시하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오픈 볼너트 모듈(40')은 모듈 본체(45)와 본체(45) 내부에 배치되는 다수의 볼(48) 및 볼(48)이 이동하는 이동경로(46,47a,47b)를 구비한다. 볼(48)이 전체 이동경로(46,47a,47b) 내에 모두 채워져 있지만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를 생략하였음을 이해할 것이다.
모듈 본체(45)는 대략 육면체 형상일 수 있고 한쪽 면이 스크류 샤프트(210)의 외부 둘레를 둘러싸도록 오목한 면으로 형성되고, 이 오목한 면에 볼(48)이 노출되면서 이동하는 이동경로가 형성된다. 도15의 모듈(40)과 달리, 도16의 모듈(40')에서는 모듈 본체(45)에 형성된 이동경로(46,47a,47b)가 연결되어 하나의 폐경로를 이룬다.
예를 들어 본체(45)의 오목한 면에 형상된 이동경로(46) 중 제1 경로(46a)와 제3 경로(46c) 내의 볼(48)이 스크류 샤프트(210)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움직이고 제2 경로(46b)와 제4 경로(46d)의 볼(48)은 스크류 샤프트(210)의 회전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며, 이 경우 제1 및 제3 경로(46a,46c)를 따라 움직이는 볼(48)은 모듈 본체(45)의 오목한 표면에 상대적으로 많이 돌출되어 스크류 샤프트(210)의 나사골(211)에 안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제2 및 제4 경로(46b,46d)를 따라 움직이는 볼(48)은 모듈 본체(45)의 오목한 표면에 상대적으로 거의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볼(48)이 스크류 샤프트(210)의 표면과 접하지 않도록 구성한다.
이동경로 중 제1 연결경로(47a)와 제2 연결경로(47b)는 모듈 본체(45)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연결경로(47a)는 제2 경로(46b)와 제3 경로(46c)를 연결하는 연결통로이고 제2 연결경로(47b)는 제4 경로(46d)와 제1 경로(45a)를 연결하는 연결통로로서 기능할 수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오목한 면에 형성된 이동경로(46)가 4개의 경로(46a~46d)를 구비한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대안적 실시예에서 본체(45)의 오목한 표면에 더 많은 경로가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17은 제5 실시예에 따른 오픈 슬라이드 블록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 실시예에서 슬라이드블록 본체부(10')는 하나 이상의 오픈 볼너트 모듈(40 또는 40')을 구비하며 제1 내지 제4 실시예의 베어링 모듈(50)과 메인 베어링(60)이 생략된 구조를 가진다.
즉 제5 실시예에서 슬라이드블록 본체부(10')는 오픈 볼너트 모듈(40,40')의 볼(43 또는 48)이 스크류 샤프트(210)의 나사골(211)에 안착되면서 오픈 슬라이드 블록이 스크류 샤프트(210)에 이동가능하게 체결된다. 슬라이드블록 본체부(10')에 부착되는 오픈형 볼베어링 모듈은 예컨대 도15의 모듈(40) 또는 도16의 모듈(40')일 수 있고 도시한 것처럼 2개 이상의 모듈(40,40')이 부착될 수도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슬라이드블록 본체부(10')의 상부면에 베어링 모듈(50)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오픈 슬라이드 블록 구성이 단순하여 제조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스크류 샤프트(210)의 나사골의 피치 간격에 따라 그에 맞는 오픈 볼너트 모듈(40,40')을 준비하여 슬라이드블록 본체부(10')에 부착하면 되므로 슬라이드블록 본체부(10')를 스크류 샤프트의 피치 거리에 상관없이 범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명세서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10' 30: 슬라이드블록 본체부
20: 가이드 베어링 40: 오픈 볼너트 모듈
43,48: 볼 50: 베어링 모듈
60: 메인 베어링 71: 체결볼트
72: 조절 볼트 100: 오픈 슬라이드 블록
210: 스크류 샤프트 220: 가이드 블록
230: 가이드 레일 250: 구동모터
260, 270: 스크류 샤프트 양단 지지 베어링
300: 스크류 샤프트 처짐 방지 베어링

Claims (7)

  1. 오픈 스크류 이송장치에서 스크류 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직선 왕복운동하는 오픈 슬라이드 블록으로서,
    상기 오픈 슬라이드 블록은 슬라이드블록 본체부(10) 및 슬라이드블록 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블록 본체부의 양쪽에 각각 부착되는 제1 및 제2 베어링 모듈(50)을 포함하고,
    제1 및 제2 베어링 모듈(50)의 각각에는 스크류 샤프트를 향하도록 경사진 경사면(52)이 형성되고 이 경사면(52)에 부착된 메인 베어링(60)을 구비하며,
    제1 베어링 모듈의 메인 베어링이 스크류 샤프트의 나사골의 제1 경사면에 접하여 주행하고 제2 베어링 모듈의 메인 베어링이 상기 스크류 샤프트의 나사골의 제2 경사면에 접하여 주행하도록 배치되고,
    슬라이드블록 본체부에 형성된 관통구(18)를 통해 각각의 베어링 모듈의 측면에 하나 이상의 조절볼트(72)가 끼워지고 이 조절볼트를 조절함으로써 베어링 모듈이 이 베어링 모듈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범위 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슬라이드 블록.
  2.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베어링 모듈(50)은, 스크류 샤프트의 나사골의 경사면(211) 중 베어링 모듈의 메인 베어링과 접촉하는 지점의 법면(S4)과 베어링 모듈의 경사면(52)의 가상의 연장면(S2)이 서로 수직으로 만나도록 상기 베어링 모듈의 경사면(5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슬라이드 블록.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모듈이 슬라이드블록 본체부(10)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베어링 모듈의 경사면(52)의 가상의 연장면(S2)과 베어링 모듈의 길이방향의 중심선(C3)이 위에서 볼 때 수직으로 만나도록 경사면(5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슬라이드 블록.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블록 본체부(10)에 설치되는 추가 베어링(27)을 더 포함하고,
    상기 추가 베어링은 상기 슬라이드블록 본체부와 스크류 샤프트 사이에 개재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슬라이드 블록.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블록 본체부(10)의 폭방향의 양쪽 측면이 각각 경사면(12)으로 형성되고 이 경사면(12)에 하나 이상의 가이드 베어링(20)이 부착되며,
    각각의 가이드 베어링은 상기 스크류 샤프트의 양측에서 이 스크류 샤프트와 나란히 배치된 가이드 레일(230)과 접촉하며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슬라이드 블록.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블록 본체부는 폭방향의 양쪽 하부에 경사져서 부착되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 베어링을 포함하고,
    각각의 가이드 베어링은, 상기 스크류 샤프트의 양측에서 이 스크류 샤프트와 나란히 배치되되 각각 스크류 샤프트와 상기 가이드 베어링 사이에 위치하는 가이드 레일과 접촉하며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슬라이드 블록.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블록 본체부에 설치되는 오픈 볼너트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오픈 볼너트 모듈은,
    상기 슬라이드블록 본체부에 부착되며 스크류 샤프트의 외부를 일부분 둘러싸는 오목한 면이 형성된 오픈 볼너트 모듈 본체;
    오픈 볼너트 모듈 본체의 오목한 면의 표면을 따라 이동하는 다수의 볼; 및
    상기 오픈 볼너트 모듈 본체의 오목한 면에 형성되고 다수의 볼이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이동경로;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경로는 볼이 스크류 샤프트의 나사골에 안착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제1 경로 및 볼이 스크류 샤프트의 표면과 접촉하지 않으며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제2 경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픈 슬라이드 블록.
KR1020190167923A 2019-10-22 2019-12-16 오픈 스크류 이송장치용의 오픈 슬라이드 블록 KR1022153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1073 2019-10-22
KR20190131073 2019-10-2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5347B1 true KR102215347B1 (ko) 2021-02-16

Family

ID=7468699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7923A KR102215347B1 (ko) 2019-10-22 2019-12-16 오픈 스크류 이송장치용의 오픈 슬라이드 블록
KR1020190176322A KR102405704B1 (ko) 2019-10-22 2019-12-27 오픈형 볼너트 및 이를 구비한 볼스크류 동력전달장치와 직교로봇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6322A KR102405704B1 (ko) 2019-10-22 2019-12-27 오픈형 볼너트 및 이를 구비한 볼스크류 동력전달장치와 직교로봇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153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9366B1 (ko) 2021-06-03 2022-02-08 이종기 리드 볼 스크류용 볼 너트, 곡면 거치대 및 이를 포함하는 직선운동장치
KR102645826B1 (ko) * 2021-09-14 2024-03-07 주식회사 위너 오픈형 만곡 슬라이딩 블록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딩 블록 어셈블리
KR102522779B1 (ko) 2021-11-15 2023-04-18 주식회사 드림로봇 스프링구조를 사용한 볼스크류 장축의 공진발생방지 시스템
KR102640853B1 (ko) 2021-11-15 2024-02-27 주식회사 드림로봇 듀얼 볼스크류시스템을 구비한 액츄에이터
KR102490898B1 (ko) 2022-05-12 2023-01-20 이종기 안티 백래시 볼 너트 및 이를 포함하는 직선운동장치
KR102574821B1 (ko) 2022-12-07 2023-09-06 이종기 안티 백래시 볼 너트 및 이를 포함하는 직선운동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628B1 (ko) * 2007-06-01 2009-02-12 송천복 베어링 스크류 이송장치
KR20130013040A (ko) * 2011-07-27 2013-02-06 서미경 강구형 베어링 홀더를 갖는 베어링 스크류 이송장치
KR20190106298A (ko) 2018-03-08 2019-09-18 주식회사 위너 베어링 스크류 이송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01839B2 (ja) * 1987-09-07 1996-05-29 株式会社 アイテイーエル 半割型のボ―ルスクリュ―
KR930010902A (ko) * 1991-11-08 1993-06-23 이헌조 테이프의 주행 카운트 장치 및 카운트 방법
KR101383815B1 (ko) * 2014-01-23 2014-04-10 이종기 스크류 조립체와 이를 포함하는 이송장치 및 스크류 조립체 조립방법
KR20160049327A (ko) 2014-10-27 2016-05-09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공작 기계용 이송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628B1 (ko) * 2007-06-01 2009-02-12 송천복 베어링 스크류 이송장치
KR20130013040A (ko) * 2011-07-27 2013-02-06 서미경 강구형 베어링 홀더를 갖는 베어링 스크류 이송장치
KR20190106298A (ko) 2018-03-08 2019-09-18 주식회사 위너 베어링 스크류 이송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7788A (ko) 2021-04-30
KR102405704B1 (ko) 2022-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5347B1 (ko) 오픈 스크류 이송장치용의 오픈 슬라이드 블록
US4939946A (en) Composite motion guide device
US20090268993A1 (en) Automatic-positioning linear guide
US4253342A (en) Arrangement for transforming a rotary movement of a smooth shaft into a thrust movement of a rolling nut
CN110809681B (zh) 齿轮箱组件
US20070193470A1 (en) Friction drive unit
KR100924398B1 (ko) 각도 조정 장치
US8955404B2 (en) Ball screw module
KR20220113219A (ko) 오픈 스크류 이송장치용의 오픈 슬라이드 블록
US4515416A (en) Linear slide bearing
KR20210041707A (ko) 베어링 스크류 이송 장치의 주행블록
KR20070114346A (ko) 나사산 프로파일의 단면이 다중점 고딕 아치 형상인 개선된하중 인가식 볼 나사
JPH04129957U (ja) 送りねじ装置
JP2008121901A (ja) 角度調整装置
CN1250434C (zh) 线性导向装置以及滚子连接构件
JPWO2005038301A1 (ja) ローラねじ
KR102645826B1 (ko) 오픈형 만곡 슬라이딩 블록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딩 블록 어셈블리
EP1653097A1 (en) Linear guide device with offset-load prevention mechanism
US11091190B2 (en) Rack guide and gear mechanism
EP2584223A1 (en) Drive screw system comprising slide bearing and slide bearing
US20020026842A1 (en)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US3336090A (en) Machine assembly
WO2023157551A1 (ja) リニアガイド装置
JP2014119036A (ja) 直動案内装置の設置構造
US5251984A (en) Linear motion guide unit having a synchronized re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