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5179B1 - 코아 드릴용 굴삭기 보조장치를 이용한 암반 파쇄 공법 - Google Patents

코아 드릴용 굴삭기 보조장치를 이용한 암반 파쇄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5179B1
KR102215179B1 KR1020200090919A KR20200090919A KR102215179B1 KR 102215179 B1 KR102215179 B1 KR 102215179B1 KR 1020200090919 A KR1020200090919 A KR 1020200090919A KR 20200090919 A KR20200090919 A KR 20200090919A KR 102215179 B1 KR102215179 B1 KR 1022151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ylinder
cost
excavato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0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동석
Original Assignee
곽동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동석 filed Critical 곽동석
Priority to KR1020200090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51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5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51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7/00Special methods or apparatus for drilling
    • E21B7/02Drilling rigs characterised by means for land transport with their own drive, e.g. skid mounting or wheel mounting
    • E21B7/022Control of the drilling operation;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for activation or oper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1/00General working methods with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7/00Special methods or apparatus for drilling
    • E21B7/02Drilling rigs characterised by means for land transport with their own drive, e.g. skid mounting or wheel mounting
    • E21B7/027Drills for drilling shallow holes, e.g. for taking soil samples or for drilling postho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아 드릴용 굴삭기 보조장치를 이용한 암반 파쇄 공법에 관한 것으로, 앱을 통하여 각종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는 단말기; 상기 단말기와 연동되어 각종 정보를 저장 및 연산처리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로 앱을 설치하고 상기 앱을 활성화하는 제 1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로 천공을 선택하여, 리터당 연료비용, 건설기계운전사 노임단가, 굴삭기 월 임대료, 천공간격, 굴삭면적의 가로값, 굴삭면적의 세로값, 천공깊이를 입력하는 제 2단계; 상기 서버에서는 상기 제 2단계에서 입력된 값을 저장하고, (상기 리터당 연료비용 X 재료비계수)로 재료비를 계산하고, (상기 건설기계운전사 노임단가 X 노무비계수)로 노무비를 계산하고, (상기 굴삭기 월 임대료 X 경비계수)로 경비를 계산하고, (상기 굴삭면적의 가로값 / 상기 천공간격) X (상기 굴삭면적의 세로값 / 상기 천공간격)로 천공홀 개수를 계산하고 저장하는 제 3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재료비 + 상기 노무비 + 상기 경비) / (상기 굴삭면적의 가로값 X 상기 굴삭면적의 세로값 X 상기 천공깊이 / 상기 천공홀 개수 / 천공 작업시간) X 작업계수)로 천공할 때, 세제곱미터당 발생되는 비용을 계산하고 저장하는 제 4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로 암석파쇄를 선택하여, 할암기 월 임대료, 특별인부 노임단가, 보통인부 노임단가를 입력하는 제 5단계; 상기 서버에서는 상기 제 5단계에서 입력된 값을 저장하고, ((상기 할암기 월 임대료 / (상기 굴삭면적의 가로값 X 상기 굴삭면적의 세로값 X 상기 천공깊이 / 상기 천공홀개수 / 파쇄 작업시간)) X (1일 근무시간 X 1달 근무일자)) + ((상기 특별인부 노임단가 + 상기 보통인부 노임단가) X (상기 굴삭면적의 가로값 X 상기 굴삭면적의 세로값 X 상기 천공깊이 / 상기 천공홀개수 / 상기 파쇄 작업시간 X 상기 1일 근무시간))으로 암석파쇄할 때, 세제곱미터당 발생되는 비용을 계산하고 저장하는 제 6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로 집토를 선택하여, 버킷용량을 입력하는 제 7단계; 상기 서버에서는 상기 제 7단계에서 입력된 값을 저장하고, (재료비 + 노무비 + 경비) / (3600 X 버킷용량 X 버킷계수 X 토량환산계수 X 작업효율 / 사이클타임)으로 집토할 때, 세제곱미터당 발생되는 비용을 계산하고 저장하는 제 8단계; 상기 서버에서는 상기 제 4단계, 상기 제 6단계와 상기 제 8단계에서 계산된 값을 합해서 코아 드릴용 굴삭기 보조장치를 이용한 암반 파쇄 공법에서 발생되는 세제곱미터당 발생되는 비용을 계산하는 제 9단계; 상기 제 9단계에서 계산된 비용을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10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코아 드릴용 굴삭기 보조장치를 이용한 암반 파쇄 공법{Crushing Method Using Auxiliary Equipment of Excavator For A Core Drill}
본 발명은 코아 드릴용 굴삭기 보조장치를 이용한 암반 파쇄 공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굴삭기에 부착되어 작업에 사용되는 보조장비를 자유롭게 교체하고, 작동시킬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암반을 파쇄하는 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삭기에 사용되는 보조장비는, 굴삭기의 암에 체결되어 회전이 불가능하거나, 작업에 사용되는 보조장비를 자유롭게 교체하기가 어려워 한정된 작업만을 수행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암반을 파쇄하는 경우, 암질에 따라 구멍 크기가 달라지나, 암반에 일정 간격으로 드릴을 사용하여 천공한 다음 할암기를 삽입하여 암반을 파쇄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바닥을 드릴하기 위해서는 드릴장비를 별개로 구비시켜 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암반을 파쇄하는 경우 천공의 지름이 작은 경우 할암기가 밀어내는 암반의 거리가 제한되어 암반을 파쇄하는 공정이 추가되어야 하며, 불도저 사용 등으로 작업 공간이 협소하고 비용이 증대되며 소음 분진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단가 산출에 대한 방법이 정립되지 않아 시간이 오래 소요되고, 정확한 단가 산출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 특허 제10-0726780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굴삭기의 선단에 드릴장비를 쉽게 장착하여 동작시킬 수 있는 코아 드릴용 굴삭기 보조장치를 이용한 암반 파쇄 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인 코아 드릴용 굴삭기 보조장치를 이용한 암반 파쇄 공법은 앱을 통하여 각종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는 단말기; 상기 단말기와 연동되어 각종 정보를 저장 및 연산처리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로 앱을 설치하고 상기 앱을 활성화하는 제 1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로 천공을 선택하여, 리터당 연료비용, 건설기계운전사 노임단가, 굴삭기 월 임대료, 천공간격, 굴삭면적의 가로값, 굴삭면적의 세로값, 천공깊이를 입력하는 제 2단계; 상기 서버에서는 상기 제 2단계에서 입력된 값을 저장하고, (상기 리터당 연료비용 X 재료비계수)로 재료비를 계산하고, (상기 건설기계운전사 노임단가 X 노무비계수)로 노무비를 계산하고, (상기 굴삭기 월 임대료 X 경비계수)로 경비를 계산하고, (상기 굴삭면적의 가로값 / 상기 천공간격) X (상기 굴삭면적의 세로값 / 상기 천공간격)로 천공홀 개수를 계산하고 저장하는 제 3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재료비 + 상기 노무비 + 상기 경비) / (상기 굴삭면적의 가로값 X 상기 굴삭면적의 세로값 X 상기 천공깊이 / 상기 천공홀 개수 / 천공 작업시간) X 작업계수)로 천공할 때, 세제곱미터당 발생되는 비용을 계산하고 저장하는 제 4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로 암석파쇄를 선택하여, 할암기 월 임대료, 특별인부 노임단가, 보통인부 노임단가를 입력하는 제 5단계; 상기 서버에서는 상기 제 5단계에서 입력된 값을 저장하고, ((상기 할암기 월 임대료 / (상기 굴삭면적의 가로값 X 상기 굴삭면적의 세로값 X 상기 천공깊이 / 상기 천공홀개수 / 파쇄 작업시간)) X (1일 근무시간 X 1달 근무일자)) + ((상기 특별인부 노임단가 + 상기 보통인부 노임단가) X (상기 굴삭면적의 가로값 X 상기 굴삭면적의 세로값 X 상기 천공깊이 / 상기 천공홀개수 / 상기 파쇄 작업시간 X 상기 1일 근무시간))으로 암석파쇄할 때, 세제곱미터당 발생되는 비용을 계산하고 저장하는 제 6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로 집토를 선택하여, 버킷용량을 입력하는 제 7단계; 상기 서버에서는 상기 제 7단계에서 입력된 값을 저장하고, (재료비 + 노무비 + 경비) / (3600 X 버킷용량 X 버킷계수 X 토량환산계수 X 작업효율 / 사이클타임)으로 집토할 때, 세제곱미터당 발생되는 비용을 계산하고 저장하는 제 8단계; 상기 서버에서는 상기 제 4단계, 상기 제 6단계와 상기 제 8단계에서 계산된 값을 합해서 코아 드릴용 굴삭기 보조장치를 이용한 암반 파쇄 공법에서 발생되는 세제곱미터당 발생되는 비용을 계산하는 제 9단계; 상기 제 9단계에서 계산된 비용을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10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단계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로 환경설정을 선택하여, 상기 재료비계수, 노무비계수, 경비계수, 천공 작업시간, 작업계수, 파쇄 작업시간, 1일 근무시간, 1달 근무일자, 버킷계수, 토량환산계수, 작업효율, 사이클타임을 변경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는 제 11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코아 드릴용 굴삭기 보조장치는 몸체를 구성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단에 결합되어 굴삭기의 선단에 선택적으로 체결가능한 고리연결부; 상기 프레임과 상기 고리연결부에 마련되어 상기 고리연결부에 대하여 상기 프레임이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회전부; 상기 프레임 내부에 양단이 고정되는 제 1샤프트를 따라 이동가능한 제 1실린더몸체가 마련되는 제 1실린더; 상기 제 1실린더에 고정되어 함께 이동가능하며, 내부에 마련되는 제 2샤프트가 이동하는 제 2실린더; 및 상기 제 2실린더에 힌지결합되어, 선단에 드릴헤드가 마련되는 헤드몸체부; 상기 회전부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는 가변부가 더 마련되고, 상기 가변부는, 상기 회전부의 하단에 고정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되고, 일측은 곡면으로 형성되는 가변프레임; 상기 가변프레임의 일단과 상기 프레임을 관통하는 힌지축; 상기 가변프레임의 곡면이 형성된 쪽에 상기 가변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상기 프레임이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이동경로 중 상대적으로 상단에 형성되는 제 1지지공; 상기 가변프레임의 곡면이 형성된 쪽에 상기 가변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상기 프레임이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이동경로 중 상대적으로 하단에 형성되는 제 2지지공;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제 1지지공이 이동하는 경로 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프레임지지공이 더 마련되고, 상기 프레임지지공과 상기 제 1지지공 또는 제 2지지공을 동시에 통과하는 지지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실린더는 한 쌍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실린더 및 제 2실린더를 조정하는 제어부가 더 마련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조작하는 조작부; 상기 조작부의 동작에 의하여 전기의 인가에 의하여 상기 제 1실린더 및 제 2실린더를 동작하는 솔레노이드부; 및 상기 제 1실린더 및 제 2실린더를 사용자가 직접 조작하는 수동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코아 드릴용 굴삭기 보조장치를 이용한 암반 파쇄 공법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굴삭기의 선단에 코아 드릴용 보조장치를 간단하게 장착하여, 두개의 실린더로 길이를 더 길게 연장할 수 있으며, 회전으로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다양한 사용조건에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코아 드릴용 굴삭기 보조장치를 사용하여 암반을 파쇄 및 허물기하여 무소음, 무진동 시공이 가능하고, 경암과 연암 파쇄에 모두 사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코아 드릴용 보조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큰 용량의 할암기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할암기의 확장폭이 증가하여 암반을 쉽게 파쇄할 수 있고 허물기가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인 코아 드릴용 굴삭기 보조장치를 이용한 암반 파쇄 공법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인 코아 드릴용 굴삭기 보조장치를 이용한 암반 파쇄 공법의 순서를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코아 드릴용 굴삭기 보조장치를 이용한 암반 파쇄 공법에서 세제곱미터당 발생되는 비용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코아 드릴용 굴삭기 보조장치를 이용한 암반 파쇄 공법에서 세제곱미터당 발생되는 비용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코아 드릴용 굴삭기 보조장치를 이용한 암반 파쇄 공법에서 세제곱미터당 발생되는 비용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코아 드릴용 굴삭기 보조장치를 이용한 암반 파쇄 공법에서 세제곱미터당 발생되는 비용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코아 드릴용 굴삭기 보조장치를 이용한 암반 파쇄 공법에서 세제곱미터당 발생되는 비용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코아 드릴용 굴삭기 보조장치를 이용한 암반 파쇄 공법에서 세제곱미터당 발생되는 비용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인 코아 드릴용 굴삭기 보조장치가 장착되기 위한 굴삭기를 보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코아 드릴용 굴삭기 보조장치의 바람직한 구성을 보인 측단면도.
도 11은 도 10의 코아 드릴용 굴삭기 보조장치를 구성하는 실린더들의 동작과정을 보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코아 드릴용 굴삭기 보조장치를 조작하는 제어부를 보인 구성도.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코아 드릴용 굴삭기 보조장치를 구성하는 실린더를 보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코아 드릴용 굴삭기 보조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15는 본 발명에 의한 코아 드릴용 굴삭기 보조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16은 본 발명에 의한 코아 드릴용 굴삭기 보조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코아 드릴용 굴삭기 보조장치를 이용한 암반 파쇄 공법에서 핸드스플리트와 보조분할로드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코아 드릴용 굴삭기 보조장치를 이용한 암반 파쇄 공법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코아 드릴용 굴삭기 보조장치를 이용한 암반 파쇄 공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앱을 통하여 각종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는 단말기(P)와, 상기 단말기(P)와 연동되어 각종 정보를 저장 및 연산처리하는 서버(S)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인 코아 드릴용 굴삭기 보조장치를 이용한 암반 파쇄 공법에는 단말기(P)가 마련된다. 상기 단말기(P)는 사용자가 앱을 통하여 각종 정보를 입출력 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P)는 스마트폰, 노트북,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과 같은 휴대단말기뿐 아니라 PC(Personal Computer)와 같은 유선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도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단말기(P)는 기술의 발전에 따라 사용자는 위치한 지점에 구애받지 않고 자유롭게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이 가능해지고 있다. 무선 인터넷 서비스란 이동통신망을 통하여 인터넷 컨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말하는 것으로, 개인의 단말기 사용에 따른 진일보된 개인화 서비스이며 사용자의 이동성에 기반하여 고유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라는 특징이 있다.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무선 측위 기술(PDT : Position Determination Technology)이 기지국 수신 신호를 이용하는 망 기반(Network-Based) 방식 또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를 이용하는 핸드셋 기반(Handset-Based) 방식에서 두 가지 기술을 혼합하여 위치 정확도를 높이는 하이브리드(Hybrid) 방식으로 발전함에 따라 다양한 무선 인터넷 서비스 중 위치 기반 서비스(LBS: Location Based Services)가 부각되고 있으며 본 발명의 위치파악에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단말기(P)와 연동되어 서버(S)가 마련된다. 상기 서버(S)는 상기 단말기(P)에 마련된 다수의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서버(S)는 상기 단말기(P)와 연동되어 각종 정보를 연산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버(S)는 상기 단말기(P)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코아 드릴용 굴삭기 보조장치를 이용한 암반 파쇄 공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제 1단계(S1)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P)로 앱을 설치하고 상기 앱을 활성화한다.
여기서, 상기 서버(S)는 상기 앱을 제 3자(third party) 앱스토어를 통하여 상기 제 3자 앱스토어 접속자에게 배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예로서 상기 앱을 공급하는 제 3자 앱스토어는 안드로이드 기반 또는 iOS 기반 등 스마트폰 단말기용 앱스토어는 물론 유선기반 인터넷 앱스토어를 포함한다. 상기 앱은 유상 또는 무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유무선상의 네트워크에 접속한 단말기에 무상으로 제공된다.
제 2단계(S2)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P)로 천공을 선택한다. 상기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P)로 리터당 연료비용, 건설기계운전사 노임단가, 굴삭기 월 임대료, 천공간격, 굴삭면적의 가로값, 굴삭면적의 세로값, 천공깊이를 입력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P)로 입력한 값은 상기 서버(S)로 전송된다.
여기서, 상기 천공간격은 천공하는 구멍 사이의 간격에 관한 것으로 60 내지 65c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현장여건이나 상황에 따라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굴삭면적의 가로값과 상기 굴산면적의 세로값은 암반을 파쇄하고자 하는 지역의 면적의 가로값과 세로값에 관한 것이다.
상기 천공깊이는 천공하는 구멍의 깊이에 관한 것이다. 상기 천공깊이는 60 내지 65c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현장여건이나 상황에 따라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제 3단계(S3)에서 상기 제 2단계(S2)에서 입력된 값을 상기 서버(S)에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서버(S)에서는 (상기 리터당 연료비용 X 재료비계수)로 재료비를 계산하고, (상기 건설기계운전사 노임단가 X 노무비계수)로 노무비를 계산하고, (상기 굴삭기 월 임대료 X 경비계수)로 경비를 계산하고, (상기 굴삭면적의 가로값 / 상기 천공간격) X (상기 굴삭면적의 세로값 / 상기 천공간격)로 천공홀 개수를 계산하고 상기 서버(S)에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천공홀 개수는 소수점 첫째자리에서 반올림하여 계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재료비는 사용되는 연료와 기타 사용되는 재료의 비용에 관한 것으로, 리터당 연료 비용 X 재료비계수로 계산한다. 상기 재료비계수는 연료와 기타 사용되는 재료를 포함하기 위하여 12.4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현장여건이나 상황에 따라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노무비는 건설기계운전사의 임금에 관한 것으로, 건설기계운전사 노임단가 X 노무비계수로 계산한다. 상기 노무비계수는 굴삭기를 운전하는 건설기계운전사에 사용되는 비용을 적용하기 위하여 0.2083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현장여건이나 상황에 따라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경비는 굴삭기 사용비용에 관한 것으로, 굴삭기 월 임대료 X 경비계수로 계산한다. 상기 경비계수는 기계손료를 적용하기 위하여 2085 X 10-7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현장여건이나 상황에 따라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제 4단계(S4)에서 상기 서버(S)에서 ((상기 재료비 + 상기 노무비 + 상기 경비) / (상기 굴삭면적의 가로값 X 상기 굴삭면적의 세로값 X 상기 천공깊이 / 상기 천공홀 개수 / 천공 작업시간) X 작업계수)로 천공할 때, 세제곱미터당 발생되는 비용을 계산하고 상기 서버(S)에 저장한다.
상기 천공 작업시간은 상기 굴삭면적에 천공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에 관한 것으로, 통상적으로 상기 천공홀 당 준비시간 1분을 포함시키며, 천공홀을 형성하는 시간 9분, 상기 천공홀 내부의 돌을 제거하는 2분을 포함하여 12분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천공홀 당 0.2시간이 소요되어 0.2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현장여건이나 상황에 따라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작업계수는 소모자재를 포함하기 위한 것으로, 1.24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현장여건이나 상황에 따라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서버(S)에서 계산된 천공할 때, 세제곱미터당 발생되는 비용을 상기 단말기(P)로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P)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제 5단계(S5)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P)로 암석파쇄를 선택한다. 상기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P)로 할암기 월 임대료, 특별인부 노임단가, 보통인부 노임단가를 입력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P)로 입력한 값은 상기 서버(S)로 전송된다.
여기서, 상기 특별인부 노임단가는 보통인부보다는 다소 높은 기능 정도를 요하며, 특수한 작업조건 하에서 작업하는 사람에 대한 월 인건비를 평균 근무일수로 나눈 금액이다.
상기 보통인부 노임단가는 기능을 요하지 않는 경작업인 일반 잡역에 종사하면서 단순육체노동을 하는 사람에 대한 월 인건비를 평균 근무일수로 나눈 금액이다.
제 6단계(S6)에서 상기 제 5단계(S5)에서 입력된 값을 상기 서버(S)에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서버(S)에서는 ((상기 할암기 월 임대료 / (상기 굴삭면적의 가로값 X 상기 굴삭면적의 세로값 X 상기 천공깊이 / 상기 천공홀개수 / 파쇄 작업시간)) X (1일 근무시간 X 1달 근무일자)) + ((상기 특별인부 노임단가 + 상기 보통인부 노임단가) X (상기 굴삭면적의 가로값 X 상기 굴삭면적의 세로값 X 상기 천공깊이 / 상기 천공홀개수 / 상기 파쇄 작업시간 X 상기 1일 근무시간))으로 암석파쇄할 때, 세제곱미터당 발생되는 비용을 계산하고 상기 서버(S)에 저장한다.
상기 파쇄 작업시간은 상기 할암기를 상기 천공홀에 삽입하여 암반을 파쇄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에 관한 것으로, 암반의 재질과 강도에 따라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차이가 있다. 일반적인 암석 파쇄의 경우에는 상기 천공홀을 암 표면에 수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암터파기 같은 경우에는 작업공간이 협소하고 자유사면이 형성되어있지 않아 작업조건이 다소 까다로워 작업 효율을 높이기 위해 수직 천공과 경사 천공을 병행해야 하므로 천공 수량이 수직천공만 하는 압석 절취 보다 적다.
일반적인 암석 파쇄의 경우 상기 천공홀 당 상기 할암기를 설치하는 등의 준비시간 3분, 암 파쇄시간 10분, 상기 할암기 인발 및 이동시간 5분을 포함하여 18분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천공홀 당 0.3시간이 소요되어 0.3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현장 여건이나 상황에 따라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암터파기의 경우 상기 천공홀 구멍당 상기 할암기를 설치하는 등의 준비시간 5분, 암 파쇄시간 15분, 상기 할암기 인발 및 이동시간 13분을 포함하여 33분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천공홀 당 0.55시간이 소요되며 0.55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현장 여건이나 상황에 따라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1일 근무시간은 1일동안 근무하는 시간이며, 통상적으로 1일동안 8시간 근무하여 8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1달 근무일자는 1달동안 근무하는 일자이며, 통상적으로 1달동안 20일 근무하여 20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서버(S)에서 계산된 암석파쇄할 때, 세제곱미터당 발생되는 비용을 상기 단말기(P)로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P)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제 7단계(S7)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P)로 집토를 선택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P)로 버킷용량을 입력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P)로 입력한 값은 상기 서버(S)로 전송된다.
여기서, 상기 버킷용량은 굴삭기의 버킷 용량(m3)이다.
제 8단계(S8)에서 상기 제 7단계(S7)에서 입력된 값을 상기 서버(S)에 저장한다, 그리고 상기 서버(S)에서는 (재료비 + 노무비 + 경비) / (3600 X 버킷용량 X 버킷계수 X 토량환산계수 X 작업효율 / 사이클타임)으로 집토할 때, 세제곱미터당 발생되는 비용을 계산하고 상기 서버(S)에 저장한다.
상기 버킷계수는 토질의 상태에 관한 것으로, 0.55 내지 1.1의 값을 사용할 수 있으며, 1.1은 용이하게 굴삭할 수 있는 연한 토질로, 버킷에 가득찰 때가 많은 조건일 경우 사용하며, 보통토인 경우 사용한다. 0.9는 보통토보다는 약간 단단한 토질로서 버킷에 거의 가득찰 수 있는 모래인 경우 사용한다. 0.7은 버킷에 가득 채우기 어렵거나 가벼운 발파를 필요한 것으로 단단한 점토질이나 점토, 역토질인 경우 사용한다. 0.55의 경우 버킷에 넣기 어렵고 불규칙한 공극이 생가는 것으로 발파작업에 의하 얻어진 암괴, 파쇄암, 호박돌 등인 경우 사용한다. 여기서 상기 버킷계수는 0.55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현장여건이나 상황에 따라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토량환산계수는 토양이 흐트러진 상태로, 0.8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현장여건이나 상황에 따라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작업효율은 0.45 내지 0.75의 값을 사용할 수 있으며, 현장조건에 따라, 0.75는 굴삭 깊이가 1-4m 정도에서 토질이 단단하지 않으며 장애물이 없이 작업이 순조롭게 진행될 경우 사용한다. 0.45는 굴삭 깊이가 너무 깊거나 얕고 토질이 단단하며, 장애물이 있어서 작업에 곤란을 느낄 때 사용하며, 0.6은 현장조건이 불량한 상태와 양호한 상태의 중간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 사용한다. 여기서 작업효율은 0.6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현장여건이나 상황에 따라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사이클타임은 선회각도에 관한 것으로 버킷용량에 따라 굴삭기가 회전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에 관한 것으로 22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현장여건이나 상황에 따라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서버(S)에서 계산된 집토할 때, 세제곱미터당 발생되는 비용을 상기 단말기(P)로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P)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제 9단계(S9)에서 상기 서버(S)에서는 상기 제 4단계(S4), 상기 제 6단계(S6)와 상기 제 8단계(S8)에서 계산된 값을 합해서 코아 드릴용 굴삭기 보조장치를 이용한 암반 파쇄 공법에서 발생되는 세제곱미터당 발생되는 비용을 계산한다.
제 10단계(S10)에서 상기 서버(S)에서는 상기 제 9단계(S9)에서 계산된 비용을 상기 단말기(P)로 전송한다. 상기 사용자는 상기 단말기(P)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제 11단계(S11)에서는 상기 제 1단계(S1)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P)로 환경설정을 선택한다. 여기서 상기 재료비계수, 노무비계수, 경비계수, 천공 작업시간, 작업계수, 파쇄 작업시간, 1일 근무시간, 1달 근무일자, 버킷계수, 토량환산계수, 작업효율, 사이클타임은 기본 값으로 설정되어 있으나, 작업 환경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P)를 통해서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코아 드릴용 굴삭기 보조장치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를 구성하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상단에 결합되어 굴삭기의 선단에 선택적으로 체결가능한 고리연결부(20)와, 상기 프레임(10)과 상기 고리연결부(20)에 마련되어 상기 프레임(10)이 상기 고리연결부(20)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회전부(30)와, 상기 프레임(10) 내부에 양단이 고정되는 제 1샤프트(44)를 따라 이동하는 제 1실린더(40)와, 상기 제 1실린더(40)에 고정되어 함께 이동가능하며, 내부에 마련되는 제 2샤프트(54)가 이동하는 제 2실린더(50)와, 상기 제 2실린더(50)에 힌지결합되어, 선단에 드릴헤드가 마련되는 헤드몸체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굴삭기 보조장치에는 프레임(10)이 마련된다. 상기 프레임(1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굴삭기 보조장치의 몸체를 구성한다.
상기 프레임(10)의 상단에는 고리연결부(20)가 마련된다. 상기 고리연결부(20)는, 본 발명인 굴삭기 보조장치가 굴삭기의 선단에 선택적으로 체결가능하도록 한다. 즉, 상기 고리연결부(20)를 통하여 상기 굴삭기 보조장치가 상기 굴삭기의 선단에 고정된다.
상기 프레임(10)과 상기 고리연결부(20) 사이에는 회전부(30)가 마련된다. 상기 회전부(30)는 상기 프레임(10)이 상기 고리연결부(20)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전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회전부(30)는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웜과 상기 웜의 동력을 회전방향을 변경하여 상기 프레임(10)과 함께 회전하는 웜휠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모터의 반대편에 상기 모터의 축과 연결된 수동의 조절부를 두어 작업자가 상기 조절부를 통하여 모터를 강제로 회전시켜 수동으로 회전부가 동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조절부에는 조절핸들이 구비될 수도 있으며, 공구를 끼워서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30)를 중심으로 상기 고리연결부(20)에 대해 상기 프레임(10)이 경사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프레임(10)을 회전시키면서, 아래에서 설명될 드릴헤드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프레임(10) 내부에는 제 1실린더(40)가 마련된다 상기 제 1실린더(40)는 상기 프레임(10) 내부에 제 1샤프트(44)의 양단이 고정되고, 상기 제 1샤프트(44)를 따라 제 1실린더몸체(42)가 승하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1실린더(40)는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 1실린더(40)에 고정되는 제 2실린더(50) 및 헤드몸체부(60)의 하중에도 안전하게 동작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실린더(40)는 상기 프레임(10)에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실린더(40)의 일측에는 제 2실린더(50)가 마련된다. 상기 제 2실린더(5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실린더(40)와 함께 승하강되며, 상기 제 2실린더(50)에 제 2샤프트(54)가 마련되어, 상기 제 2샤프트(54)가 상기 제 2실린더(50)의 제 2실린더몸체(52)에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1실린더(40)와 상기 제 2실린더(5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되어 연동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실린더(40)와 상기 제 2실린더(50)에서 각각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플랜지를 관통하는 볼트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2실린더(50)의 일측에는 가이드(56)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56)는 상기 프레임(10)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2실린더(50)가 상기 제 1실린더(40)의 제 1실린더몸체(42)와 함께 승하강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제 1실린더몸체(42)와 상기 제 2실린더몸체(52)의 하중에 모두 제 1실린더(40)의 제 1샤프트(44)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 2실린더몸체(52)가 상기 가이드(56)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제 2실린더몸체(52)에 체결되는 헤드몸체부(60)의 하중에도 상기 제 1실린더(40) 및 제 2실린더(50)가 안정하게 지지되어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2실린더(50) 및 상기 가이드(56)는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 1실린더(40)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 2실린더(50)에 고정되는 헤드몸체부(60)의 하중에도 안전하게 동작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실린더(50) 및 상기 가이드(56)는 상기 프레임(10)에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실린더(40)와 상기 제 2실린더(50)에 의하여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 먼 거리까지 확장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1실린더(40)와 상기 제 2실린더(50)는 서로 길이를 동일 또는 다르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2실린더(50)에는 헤드몸체부(60)가 마련된다. 상기 헤드몸체부(60)는 상기 제 2실린더(50)에 결합되어 선단에 드릴헤드(62)가 마련되어 작업이 필요한 부분에 드릴헤드(62)가 동작하여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헤드몸체부(60) 내부에는 상기 드릴헤드(62)가 동작하기 위한 각종 장치가 마련된다. 상기 헤드몸체부(60)는 회전부(30)의 회전에 의하여 그 위치를 좌우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2실린더(50)와 상기 헤드몸체부(60) 사이에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실린더(100)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 3실린더(100)는 상기 제 2실린더(50)와 함께 승하강되며, 상기 제 3실린더(100)는 상기 제 2샤프트(54) 끝단에 마련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 2샤프트(54) 끝단과 상기 제 3실린더(100) 끝단이 연결된다. 상기 제 3실린더(100)는 상기 제 2실린더(50)의 승하강 방향과 반대로 동작된다. 여기서, 상기 제 3실린더(100)는 한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30)와 상기 프레임(10) 사이에는 가변부(70)가 더 마련된다. 상기 가변부(70)는 상기 프레임(10)이 상기 회전부(30)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로 틸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30)를 중심으로 상기 고리연결부(20)에 대해 상기 프레임(10)이 회전할 때, 경사진 각도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 아래에서 설명될 헤드몸체부(60)의 각도를 사용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가변부(70)는 상술한 기능을 위하여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가변부(70)는, 상기 회전부(30)의 하단에 고정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되고, 일측은 곡면으로 형성되는 가변프레임(72)과, 상기 가변프레임(72)의 일단과 상기 프레임(10)을 관통하는 힌지축(73)과, 상기 가변프레임(72)의 곡면이 형성된 쪽에 상기 가변프레임(72)과 상기 프레임(10)에 상기 프레임(10)이 상기 힌지축(73)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이동경로 중 상대적으로 상단에 형성되는 제 1지지공(74)과, 상기 가변프레임(72)의 곡면이 형성된 쪽에 상기 가변프레임(72)과 상기 프레임(10)에 상기 프레임(10)이 상기 힌지축(73)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이동경로 중 상대적으로 하단에 형성되는 제 2지지공(76)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10)에는 상기 제 1지지공(74)이 이동하는 경로 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프레임지지공(77)이 더 마련되고, 상기 프레임지지공(77)과 상기 제 1지지공(74) 또는 제 2지지공(76)을 동시에 통과하는 지지핀(78)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가변부(70)에는 가변프레임(72)이 마련된다. 상기 가변프레임(72)은 상기 회전부(30)의 하단에 고정되고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일측은 곡면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변프레임(72)의 일단에는 상기 프레임(10)과 상기 가변프레임(72)의 일단을 동시에 관통하여 힌지축(73)이 마련된다. 상기 힌지축(73)은 상기 가변프레임(72)에 대해 상기 프레임(10)이 회전가능한 축 역할을 한다.
상기 가변프레임(72)의 곡면이 형성되는 쪽에 관통된 제 1지지공(74)이 마련된다. 상기 제 1지지공(74)은 상기 가변프레임(72)의 곡면쪽에 상기 가변프레임(72)에 대해 상기 프레임(10)이 상기 힌지축(73)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이동경로 중 상대적으로 상단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지지공(74)의 일측에는 제 2지지공(76)이 마련된다. 상기 제 2지지공(76)은 상기 가변프레임(72)의 곡면쪽에 상기 가변프레임(72)에 대해 상기 프레임(10)이 상기 힌지축(73)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이동경로 중 상대적으로 하단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10)에는 상기 제 1지지공(74) 및 상기 제 2지지공(76)에 대응되는 프레임지지공(77)이 더 마련된다. 상기 프레임지지공(77)과 상기 제 1지지공(74) 또는 상기 제 2지지공(76)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통과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지지핀(78)이 마련된다.
상기 제 1지지공(74), 상기 제 2지지공(76) 및 상기 프레임지지공(77)은 양측에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핀(78)도 한 쌍으로 형성되어 상술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지지공이 상기 제 1지지공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프레임은 경사지게 위치되고, 상기 프레임지지공이 상기 제 2지지공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프레임은 수직으로 위치된다.
그리고, 본 발명인 코아 드릴용 굴삭기 보조장치에는 제어부(80)가 마련된다. 상기 제어부(80)는, 사용자가 조작하는 조작부(82)와, 상기 조작부(82)의 동작에 의하여 전기의 인가에 의하여 상기 제 1실린더(40) 및 제 2실린더(50)를 동작하는 솔레노이드부(84)와, 상기 제 1실린더(40) 및 제 2실린더(50)를 사용자가 직접 조작하는 수동조절부(8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제어부(80)에는 조작부(82)가 마련된다. 상기 조작부(82)는 on off식 솔레노이드 밸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on에 위치한 경우 헤드몸체부(60)를 동작시키는 동시에 상기 제 1실린더(40) 및 제 2실린더(50)을 조절하며, off에 위치한 경우 상기 제 1실린더(40) 및 제 2실린더(50)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어부(80)에는 솔레노이드부(84)가 더 마련된다. 상기 솔레노이드부(84)는 운전석에 마련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실린더(40)와 제 2실린더(50)를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동작하도록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수동조절부(86)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수동조절부(86)는 별개의 조작부가 마련되어 상기 제 1실린더(40) 및 상기 제 2실린더(50)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물리적으로 바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상기 조작부에는 회전부의 동작과, 헤드몸체부의 동작을 모두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0) 내부 즉 상기 헤드몸체부(60)가 이동할 수 있도록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부(90)가 마련되며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0) 내부에는, 외부의 전원이 인가되면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91)와, 상기 모터(91)의 축에 연장되는 웜(92)과, 상기 웜(92)에 연동되는 웜휠(93)과, 상기 프레임(10) 상단에 수평으로 형성되는 웜휠의 회전축에 연장되는 제 1스프라켓(94)과, 상기 프레임(10) 하단에 수평으로 형성되는 상기 웜휠(93)의 회전축과 평행하는 축을 따라 회전하는 제 2스프라켓(95)과, 상기 제 1스프라켓(94)과 상기 제 2스프라켓(95)을 연결하는 체인(96)과, 상기 체인(96)과 헤드몸체부(60)를 연결하는 연결브라켓(97)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모터(91)에 전원이 인가되어 동력이 발생되면, 모터(91)의 회전축이 회전하면서 웜(92)이 회전하고, 상기 웜(92)에 연동되는 웜휠(93)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웜휠(93)이 회전하면 체인(96)이 이동하게 되고, 체인(96)에 연결된 헤드몸체부(60)가 승하강하게 된다.
물론, 상기 모터(91)의 반대편에 상기 모터(91)의 축과 연결된 수동조절부를 두어 작업자가 상기 수동조절부를 통하여 모터(91)를 강제로 회전시켜 수동으로 회전부가 동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수동조절부에는 조절핸들이 구비될 수도 있으며, 공구를 끼워서 사용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코아 드릴용 굴삭기 보조장치를 이용한 암반 파쇄 방법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제 1단계는 본 발명인 코아 드릴용 굴삭기 보조장치를 굴삭기 선단에 고정한다. 이때, 고리연결부(20)를 굴삭기 선단에 고정하고, 유압선과 각종 배선을 연결한다.
제 2단계는 암반 드릴지점에 헤드몸체부(60)를 위치시킨다. 여기서, 상기 헤드몸체부(60)가 틸팅이 필요한 경우, 가변부(70)를 이용하여 각도를 변환한 후 드릴지점에 위치시킬 수 있으며, 회전부(30)를 이용하여 회전시켜 각도를 바꿀수도 있으며, 드릴헤드(62)를 드릴지점에 위치시킬 수 있다.
제 3단계는 상기 헤드몸체부(60)가 전진하여 상기 암반에 천공홀을 형성한다. 상기 헤드몸체부(60)가 전진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실린더(40)와 상기 제 2실린더(50)를 동작시켜 상기 헤드몸체부(60)를 전진시킬 수 있으며, 상기 웜(92)과 연동되는 웜휠(93)이 회전하고 상기 체인(96)이 이동하면서 상기 헤드몸체부(60)를 전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천공 간격과 깊이는 60 내지 65c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4단계는 상기 헤드몸체부(60)를 상기 천공홀에서 제거하고, 상기 천공홀 내부에 돌을 제거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실린더(40)와 상기 제 2실린더(50)를 동작시켜 상기 헤드몸체부(60)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상기 웜(92)과 연동되는 웜휠(93)이 회전하고 상기 체인(96)이 이동하면서 상기 헤드몸체부(6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천공홀 내부에 큰 돌이나 돌 부스러기 등을 제거할 수 있다.
제 5단계는 상기 천공홀에 할암기를 넣고 동작시켜 상기 암반을 파쇄한다. 여기서, 상기 할암기가 동작하면서 상기 암반을 밀어 파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아 드릴용 굴삭기 보조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천공홀의 지름을 일반 크롤라 드릴을 사용하는 것 보다 크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더 큰 용량의 상기 할암기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할암기의 확장폭이 증가하여, 암반을 쉽게 파쇄할 수 있다.
여기서, 현장요건에 따라 스플리터(2000)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스플리터(2000)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쐐기형상으로 마련되어 하방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도록 양측면에 경사면이 형성되는 쐐기부(2100), 상기 쐐기부(2100) 양측에 상기 경사면과 대응되어 역경사면이 형상되는 한쌍의 확장지지부(2200), 상기 쐐기부(2100)와 상기 확장지지부(2200)를 연결하는 고정부(2300)로 구성되며, 상기 쐐기부(2100)가 하방으로 진행됨에 따라 상기 확장지지부(2200)가 양측으로 확장되면서 상기 천공홀을 넓히는 용도로 사용된다.
상기 천공홀에 상기 스플리터(2000)를 사용하여 상기 천공홀을 확장한다. 상기 스플리터(2000)를 사용하여 상기 천공홀을 1회 확장시킬 수 있으며, 이때 균열 폭이 적어 완전한 허물기가 되지 않아 추가적으로 브레이커 작업으로 허물기를 해야하는 단점이 있다. 상기 천공홀을 상기 스플리터(2000)를 사용하는 구멍의 크기보다 큰 규격의 구멍을 천공할때, 상기 보조분할로드(3000)를 삽입하여 상기 천공홀을 확장한다.
상기 보조분할로드(3000)는 기둥형상으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상부에 외면으로 돌출되어 돌출부가 형성되는 몸체부(3100)가 마련된다.상기 몸체부(3100) 내부로는 상기 스플리터(2000)가 관통하며, 상기 몸체부(3100) 상부에는 상기 고정부(2300)가 걸리도록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3100)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에 걸리도록 형성되며, 판상으로 양단이 상방으로 절곡되는 손잡이부(3200)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3200)는 상기 몸체부(310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며, 상기 천공홀 상부에 상기 몸체부(3100)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부(3200)는 상기 스플리터(2000)의 삽입 방향을 고정시키는 가이드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3100)는 상기 천공홀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마련되어 사용자가 간편하게 상기 천공홀 크기에 맞는 상기 보조분할로드(3000)를 사용하여 상기 천공홀을 확장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천공홀에 상기 보조분할로드(3000)를 삽입하고, 상기 보조분할로드(3000) 중앙에 스플리터(2000)를 삽입하여 확장하고, 암을 파쇄하면서 상기 천공홀을 확장시킨다. 그리고 확장된 상기 천공홀에 맞는 보조분할로드(3000)를 변경하여 계속반복적으로 천공홀을 확장시킬 수 있다.
제 6단계는 파쇄된 암반을 집토한다. 구체적으로 파쇄된 암반을 굴삭기를 사용하여 허물기와 집토를 한다. 파쇄된 상기 암반을 굴착시 현장 여건이나 상황에 따라 굴삭기 리퍼와 병행하여 파쇄된 암을 허물기와 집토를 한다. 그리고 굴삭기를 이용하여 상기 암반을 선회하여 적제하며 차 등으로 운반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관리서버 및/또는 시스템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씌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관리서버 및/또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고, 앱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한편, 여기서 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은 방법, 장치, 또는 표준 프로그래밍 및/또는 엔지니어링 기술을 사용한 제조 물품(article)으로 구현될 수 있다. 용어 "제조 물품"은 임의의 컴퓨터 판독가능한 장치로부터 액세스 가능한 컴퓨터 프로그램, 캐리어, 또는 매체(media)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는 자기 저장장치(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자기 스트립, 등), 광학 디스크(예를 들면, CD, DVD, 등), 스마트 카드, 및 플래쉬 메모리 장치(예를 들면, EEPROM, 카드, 스틱, 키 드라이브, 등)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여기서 제시되는 다양한 저장 매체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장치 및/또는 다른 기계-판독가능한 매체를 포함한다. 용어 "기계-판독가능한 매체"는 명령(들)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 보유, 및/또는 전달할 수 있는 무선 채널 및 다양한 다른 매체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P : 단말기
S : 서버
S1 : 사용자가 단말기로 앱을 설치하고 앱을 활성화 하는 단계
S2 : 사용자가 단말기로 천공을 선택하고 값을 입력하는 단계
S3 : 서버에서 입력된 값을 저장하고 각종 값을 계산하고 저장하는 단계
S4 : 서버에서 천공할 때, 세제곱미터당 발생되는 비용을 계산하고 저장하는 단계
S5 : 사용자가 단말기로 암석파쇄를 선택하고 값을 입력하는 단계
S6 : 서버에서 입력된 값을 저장하고 암석파쇄할 때, 세제곱미터당 발생되는 비용을 계산하고 저장하는 단계
S7 : 사용자가 단말기로 집토를 선택하고 값을 입력하는 단계
S8 : 서버에서 입력된 값을 저장하고 집토할 때, 세제곱미터당 발생되는 비용을 계산하고 저장하는 단계
S9 : 각 단계별 세제곱미터당 발생되는 비용을 합해서 암반 파쇄 공법에서 세제곱미터당 발생되는 비용을 계산하고 저장하는 단계
S10 : 서버에서 암반 파쇄 공법에서 세제곱미터당 발생되는 비용을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1000 : 코아 드릴용 굴삭기 보조장치
10: 프레임 20: 고리연결부
30: 회전부 40: 제 1실린더
42: 제 1실린더몸체 44: 제 1샤프트
50: 제 2실린더 52: 제 2실린더몸체
54: 제 2샤프트 56: 가이드
60: 헤드몸체부 62: 드릴헤드
70: 가변부 72: 가변프레임
73: 힌지축 74: 제 1지지공
76: 제 2지지공 77: 프레임지지공
78: 지지핀 80: 제어부
82: 조작부 84: 솔레노이드부
86: 수동조작부 90: 동력전달부
91: 모터 92: 웜
93: 웜휠 94: 제 1스프라켓
95: 제 2스프라켓 96: 체인
97: 연결브라켓 100 : 제 3실린더

Claims (5)

  1. 앱을 통하여 각종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는 단말기;
    상기 단말기와 연동되어 각종 정보를 저장 및 연산처리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로 앱을 설치하고 상기 앱을 활성화하는 제 1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로 천공을 선택하여, 리터당 연료비용, 건설기계운전사 노임단가, 굴삭기 월 임대료, 천공간격, 굴삭면적의 가로값, 굴삭면적의 세로값, 천공깊이를 입력하는 제 2단계;
    상기 서버에서는 상기 제 2단계에서 입력된 값을 저장하고, (상기 리터당 연료비용 X 재료비계수)로 재료비를 계산하고, (상기 건설기계운전사 노임단가 X 노무비계수)로 노무비를 계산하고, (상기 굴삭기 월 임대료 X 경비계수)로 경비를 계산하고, (상기 굴삭면적의 가로값 / 상기 천공간격) X (상기 굴삭면적의 세로값 / 상기 천공간격)로 천공홀 개수를 계산하고 저장하는 제 3단계;
    상기 서버에서 ((상기 재료비 + 상기 노무비 + 상기 경비) / (상기 굴삭면적의 가로값 X 상기 굴삭면적의 세로값 X 상기 천공깊이 / 상기 천공홀 개수 / 천공 작업시간) X 작업계수)로 천공할 때, 세제곱미터당 발생되는 비용을 계산하고 저장하는 제 4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로 암석파쇄를 선택하여, 할암기 월 임대료, 특별인부 노임단가, 보통인부 노임단가를 입력하는 제 5단계;
    상기 서버에서는 상기 제 5단계에서 입력된 값을 저장하고, ((상기 할암기 월 임대료 / (상기 굴삭면적의 가로값 X 상기 굴삭면적의 세로값 X 상기 천공깊이 / 상기 천공홀개수 / 파쇄 작업시간)) X (1일 근무시간 X 1달 근무일자)) + ((상기 특별인부 노임단가 + 상기 보통인부 노임단가) X (상기 굴삭면적의 가로값 X 상기 굴삭면적의 세로값 X 상기 천공깊이 / 상기 천공홀개수 / 상기 파쇄 작업시간 X 상기 1일 근무시간))으로 암석파쇄할 때, 세제곱미터당 발생되는 비용을 계산하고 저장하는 제 6단계;
    상기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로 집토를 선택하여, 버킷용량을 입력하는 제 7단계;
    상기 서버에서는 상기 제 7단계에서 입력된 값을 저장하고, (재료비 + 노무비 + 경비) / (3600 X 버킷용량 X 버킷계수 X 토량환산계수 X 작업효율 / 사이클타임)으로 집토할 때, 세제곱미터당 발생되는 비용을 계산하고 저장하는 제 8단계;
    상기 서버에서는 상기 제 4단계, 상기 제 6단계와 상기 제 8단계에서 계산된 값을 합해서 코아 드릴용 굴삭기 보조장치를 이용한 암반 파쇄 공법에서 발생되는 세제곱미터당 발생되는 비용을 계산하는 제 9단계;
    상기 제 9단계에서 계산된 비용을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 10단계;로 구성되고,
    상기 제 1단계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로 환경설정을 선택하여, 상기 재료비계수, 노무비계수, 경비계수, 천공 작업시간, 작업계수, 파쇄 작업시간, 1일 근무시간, 1달 근무일자, 버킷계수, 토량환산계수, 작업효율, 사이클타임을 변경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는 제 11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천공 작업시간은 0.2이고, 상기 파쇄 작업시간은 0.3이며,
    상기 코아 드릴용 굴삭기 보조장치는
    몸체를 구성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단에 결합되어 굴삭기의 선단에 선택적으로 체결가능한 고리연결부;
    상기 프레임과 상기 고리연결부에 마련되어 상기 고리연결부에 대하여 상기 프레임이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회전부;
    상기 프레임 내부에 양단이 고정되는 제 1샤프트를 따라 이동가능한 제 1실린더몸체가 마련되는 제 1실린더;
    상기 제 1실린더에 고정되어 함께 이동가능하며, 내부에 마련되는 제 2샤프트가 이동하는 제 2실린더; 및
    상기 제 2실린더에 힌지결합되어, 선단에 드릴헤드가 마련되는 헤드몸체부;
    상기 회전부와 상기 프레임 사이에는 가변부가 더 마련되고,
    상기 가변부는,
    상기 회전부의 하단에 고정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되고, 일측은 곡면으로 형성되는 가변프레임;
    상기 가변프레임의 일단과 상기 프레임을 관통하는 힌지축;
    상기 가변프레임의 곡면이 형성된 쪽에 상기 가변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상기 프레임이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이동경로 중 상대적으로 상단에 형성되는 제 1지지공;
    상기 가변프레임의 곡면이 형성된 쪽에 상기 가변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상기 프레임이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이동경로 중 상대적으로 하단에 형성되는 제 2지지공;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제 1지지공이 이동하는 경로 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프레임지지공이 더 마련되고, 상기 프레임지지공과 상기 제 1지지공 또는 제 2지지공을 동시에 통과하는 지지핀;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1실린더는 한 쌍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 1실린더 및 제 2실린더를 조정하는 제어부가 더 마련되고,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조작하는 조작부;
    상기 조작부의 동작에 의하여 전기의 인가에 의하여 상기 제 1실린더 및 제 2실린더를 동작하는 솔레노이드부; 및
    상기 제 1실린더 및 제 2실린더를 사용자가 직접 조작하는 수동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아 드릴용 굴삭기 보조장치를 이용한 암반 파쇄 공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00090919A 2020-07-22 2020-07-22 코아 드릴용 굴삭기 보조장치를 이용한 암반 파쇄 공법 KR1022151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919A KR102215179B1 (ko) 2020-07-22 2020-07-22 코아 드릴용 굴삭기 보조장치를 이용한 암반 파쇄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0919A KR102215179B1 (ko) 2020-07-22 2020-07-22 코아 드릴용 굴삭기 보조장치를 이용한 암반 파쇄 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5179B1 true KR102215179B1 (ko) 2021-02-10

Family

ID=745613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0919A KR102215179B1 (ko) 2020-07-22 2020-07-22 코아 드릴용 굴삭기 보조장치를 이용한 암반 파쇄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5179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6690A (ko) * 2001-09-26 2003-04-03 주식회사 대석엔지니어링 포크레인에 장착되는 굴착기용 헤드
KR20050120551A (ko) * 2004-07-14 2005-12-22 (주)수호산업개발 암반천공장치
KR20060062455A (ko) * 2004-12-03 2006-06-12 (주)한석엔지니어링 웹을 통한 토목 설계 지원 방법 및 시스템
KR100726780B1 (ko) 2006-01-27 2007-06-11 (주)수호산업개발 굴삭기에 장착되는 암반천공장치
KR100762426B1 (ko) * 2007-03-28 2007-10-02 (주)수호산업개발 굴삭기에 장착하는 암반천공기의 수평회전장치
KR101666994B1 (ko) * 2015-06-08 2016-10-18 지준모 멀티스플리터
KR101846231B1 (ko) * 2017-04-05 2018-04-06 한영숙 접이식 굴삭기용 집게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6690A (ko) * 2001-09-26 2003-04-03 주식회사 대석엔지니어링 포크레인에 장착되는 굴착기용 헤드
KR20050120551A (ko) * 2004-07-14 2005-12-22 (주)수호산업개발 암반천공장치
KR20060062455A (ko) * 2004-12-03 2006-06-12 (주)한석엔지니어링 웹을 통한 토목 설계 지원 방법 및 시스템
KR100726780B1 (ko) 2006-01-27 2007-06-11 (주)수호산업개발 굴삭기에 장착되는 암반천공장치
KR100762426B1 (ko) * 2007-03-28 2007-10-02 (주)수호산업개발 굴삭기에 장착하는 암반천공기의 수평회전장치
KR101666994B1 (ko) * 2015-06-08 2016-10-18 지준모 멀티스플리터
KR101846231B1 (ko) * 2017-04-05 2018-04-06 한영숙 접이식 굴삭기용 집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24493A (en) Cycle planner for an earthmoving machine
Høien et al. Rock mass grouting in the Løren tunnel: case study with the main focus on the groutability and feasibility of drill parameter interpretation
CA2972507A1 (fr) Methods and systems for estimating the hardness of a rock mass
ES2128481T3 (es) Excavadora hidraulica para un equipo de avence de galerias subterraneas.
Marzouk et al. Modeling microtunneling projects using computer simulation
KR102215179B1 (ko) 코아 드릴용 굴삭기 보조장치를 이용한 암반 파쇄 공법
CN203729876U (zh) 多功能非开挖水平定向钻机
Han et al. Simulation analysis of productivity variation by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implementation in earthmoving operations
JP6077616B1 (ja) 杭施工用ケーシングの打設方法
Han et al. Productivity evaluation of the conventional and GPS-based earthmoving systems using construction simulation
CN210342043U (zh) 一种土建基坑挖掘装置
CN106703021A (zh) 一种螺杆桩桩帽的施工方法及其装置
Cardu et al. Productivity and working costs of modern trench-cutters for the construction of concrete diaphragms in an urban environment
Pallotta The Construction Alphabet Book: Read Along or Enhanced eBook
CN116220028B (zh) 一种一体化方桩吊装施工装置及其施工方法
Kadyrov et al. Study and calculation of earth-moving machines for the construction by" wall in the ground” method
Cardu et al. Technical–operational comparison between trench-cutters and clam excavators for concrete diaphragm construction in underground works at shallow depths
Heikkilä et al. Automation of road construction–the state of the art in Europe
CN211172162U (zh) 一种推土机的松土装置
CN208310686U (zh) 一种地下矿山反井钻机
JP2005147781A (ja) 境界杭の埋設具
JP2016223130A (ja) 地盤改良工事に用いる機械撹拌装置
Surana et al. Overcoming tunnelling challenges on the Mumbai Coastal Road project in India
KR20230026080A (ko) 원지반 차폐벽을 이용한 석산 채굴 방법
KR20210085700A (ko) 와이어 쏘를 이용한 암반 파쇄 보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