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4748B1 - University Information Service System - Google Patents

University Information Service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4748B1
KR102214748B1 KR1020200051957A KR20200051957A KR102214748B1 KR 102214748 B1 KR102214748 B1 KR 102214748B1 KR 1020200051957 A KR1020200051957 A KR 1020200051957A KR 20200051957 A KR20200051957 A KR 20200051957A KR 102214748 B1 KR102214748 B1 KR 1022147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university
screen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19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지문
Original Assignee
정지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지문 filed Critical 정지문
Priority to KR1020200051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474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4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474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2053Education institution selection, admissions, or financial ai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5Retrieval from the web using information identifiers, e.g. uniform resource locators [UR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046Histo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providing university information to provide customized university information based on a location where an electronic bulletin board is installed and user information. The system comprises: an electronic bulletin board including a display unit for visually outputting information on a screen; a file cabinet capable of storing multiple publications; and an administrator server assigning codes according to predetermined classification for each university. The display unit outputs a screen when one or more users are recogniz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Description

대학 정보 제공 시스템{University Information Service System}University Information Service System

본 발명은 전자게시판이 설치된 위치 및 사용자정보를 기반으로 맞춤 대학 정보를 제공하는 대학 정보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niversity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that provides customized university information based on a location where an electronic bulletin board is installed and user information.

대학 입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광고 매체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종래의 광고 매체는 주로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직접 광고를 하는 방법으로 해당 고등학교를 방문하여 복도, 계단 등의 벽면에 포스터 형태의 전단지를 부착하는 방식으로 광고를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단지 부착 방법은 대행 업체가 직접 모든 학교를 방문하여 주기적으로 전단지를 교체해야 하므로 비용 및 시간 소모가 많이 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대학에서도 비용을 지불하고 광고 전단지 부착을 의뢰하였으나, 대행 업체에서 해당 전단지를 부착 후 단기간 내에 파손이 되거나 쉽게 떨어지는 문제로 적절한 홍보 효과를 보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학 입시 정보를 제공받는 학생들 입장에서도 원치 않는 대학 정보까지 수백, 수천개의 대학 정보 사이에서 본인이 원하는 대학 정보를 찾아내야 한다는 어려움이 있다.There are various advertising media to provide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information, but the conventional advertising media is a method of directly advertising mainly for high schools, and by visiting the high school, poster-type flyers are attached to the walls such as corridors and stairs. Advertising in a way. However, this method of attaching leaflets has a problem in that it is expensive and time consuming because the agency must directly visit all schools and periodically replace the leaflets. In addition, although the university paid a fee and requested to attach an advertisement leaflet,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obtain an appropriate promotional effect due to a problem that it is damaged or falls easily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after attaching the leaflet by an agency. In addition, even from the standpoint of students receiving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information, there is a difficulty in finding the college information they want from among hundreds or thousands of college information, including unwanted college information.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파손 없이 계약한 기간 동안의 적절한 광고 효과를 볼 수 있으며, 한번의 설치로 용이하게 전국 각 지역에 설치된 대학 정보 제공 시스템을 통해 대학 정보 및 광고를 동시에 관리할 수 있으며, 사용자별, 지역별 맞춤 대학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대학 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ee an appropriate advertisement effect for the contracted period without damage, and with a single installation, university information and advertisements can be simultaneously managed through the university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installed in each region of the country. , To provide a university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that can provide customized university information for each region.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9-0114272 (2009.11.03. 공개)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10-2009-0114272 (published on November 3, 2009)

본 발명은 지역 또는 개인의 관심에 따라 맞춤 대학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customized university information according to local or individual interests.

또한, 한 번의 설치로 전산망을 통해 대학 정보 및 광고를 업데이트 할 수 있는 대학 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it aims to provide a system for providing university information that can update university information and advertisements through a computer network with one installation.

또한, 조회된 대학 입시 일정을 개인 단말기로 이미지 저장하여 보관할 수 있는 대학 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stem for providing university information that can store and store an image of the inquired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schedule with a personal terminal.

또한,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겹치는 경우, 한국사 연표를 출력하여 모든 사용자에게 유익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대학 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university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capable of providing useful information to all users by outputting a chronological table of Korean history when multiple users overlap at the same time.

또한, 유료 결제 지불을 한 대학에 한하여 별도의 광고 게시판에 표시되어 광고 홍보 효과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urpose is to provide advertisement promotion effect by displaying on a separate advertisement bulletin board only for universities that have paid for paid payment.

또한, 전자게시판을 제공하되, 전기 소모량이 최소화될 수 있는 대학 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an object to provide an electronic bulletin board, but to provide a university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in which electricity consumption can be minimized.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정보를 시각적으로 화면에 출력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전자게시판, 복수의 간행물을 보관할 수 있는 자료보관함 및 각 대학별로 소정의 분류에 따른 코드를 부여하는 관리자서버를 포함하고, 표시부는 소정 거리 이내에 한 명 이상의 사용자가 인식된 경우 화면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학 정보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lectronic bulletin board including a display unit that visually outputs information on a screen, a data storage box capable of storing a plurality of publications, and an administrator server that assigns a cod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lassification for each university. Including, the display unit provides a university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outputting a screen when at least one user is recogniz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본 발명에 따르면, 지역 및 개인의 관심도에 따른 맞춤 대학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being able to receive customized university information according to local and individual interests.

또한, 대학 정보 제공 시스템의 관리자의 인력 및 시간 소모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the manpower and time consumption of the administrator of the university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또한, 사용자가 개인에게 필요한 대학 입시 일정을 개인 단말기로 저장하여 일정 관리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user can manage the schedule by storing the university admission schedule required by the individual in a personal terminal.

또한,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겹치는 경우, 공통 수능과목인 한국사 연표를 출력함으로써 또 다른 유익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hen multiple users overlap at the same time,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another useful information by outputting a chronological table of Korean history, which is a common SAT subject.

또한, 대학에서도 맞춤 광고 및 홍보를 제공함으로써 홍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improve the effect of promotion by providing customized advertisements and promotions in universities.

또한, 사용자의 감지에 의해서만 작동이 시작됨으로써 불필요한 전기가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operation is started only by the user's detection,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unnecessary electricity from being was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학 정보 제공 시스템의 게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게시판의 구성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학분류 코드 부여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 매칭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학 정보 제공 시스템의 알고리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게시판의 표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간행물 QR코드를 스캔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 posting state of a university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n electronic bulletin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ssignment of a college classification c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showing a user terminal matching ste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showing an algorithm of a system for providing university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to 9 are views showing a display unit of an electronic bulletin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scanning a QR code for a public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가지 상이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어 이하에서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or shown in the drawings since it may be made in various different forms. In addition, parts irrelevant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in the drawings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am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deno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in the drawings.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Object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naturally understood or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e object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only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학 정보 제공 시스템의 게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a posting state of a university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대학 정보 제공 시스템은 전자게시판(100), 자료보관함(200) 및 관리자서버(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대학 정보 제공 시스템은 게시판 형태로 설치될 수 있으며, 각 고등학교 또는 고등학생들이 주로 이용하는 도서관 등의 복도, 계단, 교실 등의 벽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전자게시판(100)은 정보를 시각적으로 화면에 출력하는 표시부(180)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전자게시판(100)의 작동을 위한 각종 구성들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자료보관함(200)은 전자게시판(100)의 양 측면에 구비되는 책꽂이, 서랍장 등의 보관함으로 각 대학에서 발행된 책자, 홍보 팜플렛 등의 복수의 간행물(20)이 보관될 수 있다. 관리자서버(400)는 전자게시판(100)을 제어하고, 각 대학별로 소정의 분류에 따른 코드를 부여하기 위한 별도의 서버로, 하나의 관리자서버(400)에서 복수의 전자게시판(100)을 모두 관리할 수 있다.The system for providing university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electronic bulletin board 100, a data storage box 200, and an administrator server 400. Referring to FIG. 1, the university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in the form of a bulletin board, and may be preferably installed on walls of corridors, stairs, classrooms, etc., such as libraries mainly used by high school or high school students. The electronic bulletin board 100 may be provided to include a display unit 180 that visually outputs information on a screen, and may be controlled by various components for operating the electronic bulletin board 100. The data storage box 200 is a storage box such as bookshelves and drawer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electronic bulletin board 100, and a plurality of publications 20 such as booklets and promotional pamphlets issued by each university may be stored. The manager server 400 is a separate server for controlling the electronic bulletin board 100 and assigning a cod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lassification for each university, and a plurality of electronic bulletin boards 100 are all provided by one administrator server 400. Can be managed.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게시판(100)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게시판의 구성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게시판(100)은 사용자 감지부(110), 위치정보 수신부(120), 사용자정보 요청부(130), 사용자정보 수신부(140), 수신데이터 분석부(150), 정보 송신부(160), 입력부(170), 표시부(180) 및 데이터 전송부(190)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이하, 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electronic bulletin board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2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n electronic bulletin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the electronic bulletin board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ser detecting unit 110, a loca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120, a user information requesting unit 130, a user information receiving unit 140, and receiving A data analysis unit 150, an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160, an input unit 170, a display unit 180, and a data transmission unit 190 may be included. Hereinafter, each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사용자 감지부(110)는 전자게시판(100)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사용자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구성이다. 상세하게, 사용자 감지부(110)는 전자게시판(100)의 전면 또는 측면의 일부에 구비된 움직임 센서, 적외선 센서 등으로 사용자를 감지할 수도 있으며, 와이파이 또는 블루투스 등의 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300)를 인식하여 사용자를 인식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하게, 사용자 감지부(110)는 각종 감지 센서 또는 통신 센서 중 어느 하나를 통해 고정 거리 이내의 사용자를 감지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 복수의 사용자가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의 숫자 또한 카운팅 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user detection unit 110 is a component that detects whether a user is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electronic bulletin board 100. In detail, the user detection unit 110 may detect a user with a motion sensor or an infrared sensor provided on a part of the front or side of the electronic bulletin board 100, and the user terminal 300 through communication such as Wi-Fi or Bluetooth. ) To recognize the user. In more detail, the user detection unit 110 can detect a user within a fixed distance through any one of various detection sensors or communication sensors, and more preferably, when there are multiple users, the number of users is also counted. It is desirable to be able to.

위치정보 수신부(120)는 전자게시판(100)이 설치된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구성이다. 상세하게, 위치정보 수신부(120)는 GPS센서 등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 위치정보 수신부(120)는 정확한 설치 위치를 파악하여 후술될 위치기반의 대학 정보 제공 시, 해당 전자게시판(100)의 설치 위치로부터 미리 지정된 일정 거리 반경 이내의 대학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그러나, 반드시 정확한 설치 위치의 좌표를 파악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설치 위치의 지역군만 파악하여, 해당 지역을 기반으로 대학 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따라서, 위치정보 수신부(120)는 수신된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지역코드(X)를 매칭시킬 수 있으며, 전자게시판(100)은 관리자서버(400)에서 각 대학에 미리 부여된 지역코드(X)에 따라 대학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120 is configured to receive location information on which the electronic bulletin board 100 is installed. In detail,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120 is preferably provided including a sensor capable of recognizing a location such as a GPS sensor. In more detail, when providing location-based university information to be described later by identifying an exact installation location,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120 may provide university information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radius from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corresponding electronic bulletin board 100. have. However, it is not necessary to grasp the exact coordinates of the installation location, and only the local group of the installation location can be identified, and university information may be provided based on the corresponding area. Therefore,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120 can match the area code (X) based on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electronic bulletin board 100 is the area code (X) previously assigned to each university in the manager server 400. University information can be provided according to.

사용자정보 요청부(130)는 사용자별 맞춤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소정 거리 이내에 감지된 사용자 단말기(300)로 사용자정보 공유를 요청하는 구성이다. 상세하게, 전자게시판(100)을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맞춤 대학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개인 사용자 단말기(300)의 사용자 정보 공유를 요청하는 구성으로, 여기서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가 개인 사용자 단말기(300)를 통해 검색한 대학 정보 등의 데이터를 요청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기(300)의 사용자가 관심있는 대학을 파악할 수 있다. 사용자정보 요청부(130)를 통해 요청한 사용자정보는 사용자 단말기(300)에서 사용자가 공유를 허락한 경우, 사용자정보 수신부(140)를 통해 전자게시판(100)으로 공유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한 내용은 도 4의 설명에서 후술하도록 한다.The user information request unit 130 is configured to request user information sharing to the user terminal 300 sens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in order to provide customized information for each user. In detail, a configuration requesting sharing of user information of the personal user terminal 300 so that customized university information can be provided to a user who wants to use the electronic bulletin board 100, wherein the user information is the user's personal user terminal 300 By requesting data such as university information searched through, a university of interest to a user of the user terminal 300 may be identified. User information requested through the user information request unit 130 may be shared to the electronic bulletin board 100 through the user information receiving unit 140 when the user permits sharing in the user terminal 300. More details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description of FIG. 4.

수신데이터 분석부(150)는 위치정보 수신부(120) 및 사용자정보 수신부(140)를 통해 수신된 각종 데이터를 분석하는 구성이다. 상세하게, 수신데이터 분석부(150)에서는 관리자서버(400)에서 미리 분류된 각 대학의 지역코드(X) 및 유료코드(Y)를 기반으로 해당 전자게시판(100)에서 수신된 데이터와 비교하여 적정한 맞춤 대학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분석할 수 있다.The received data analysis unit 150 is a component that analyzes various types of data received through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120 and the user information receiving unit 140. In detail, the reception data analysis unit 150 compares the data received from the corresponding electronic bulletin board 100 based on the area code (X) and the paid code (Y) of each university pre-categorized in the manager server 400. It can be analyzed to provide appropriate customized university information.

수신데이터 분석부(150)에 의해서 분석되어 매칭된 맞춤 대학 정보는 정보 송신부(160)에 의해 전자게시판(100)으로 전달되어 표시부(180)를 통해 화면으로 출력될 수 있다. 상세하게, 표시부(180)는 정보 송신부(160)를 통해 송신된 정보를 시각적으로 화면에 출력하는 구성으로, 하나의 제1 표시부(181)와 둘 이상의 제2 표시부(182)로 구획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제1 표시부(181)는 유료코드(Y)가 부여된 대학 정보 중 선택하여 출력할 수 있으며, 제2 표시부(182)는 지역정보 및 사용자정보를 기준으로 맞춤 대학 정보를 선택하여 출력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한 내용은 후술될 도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The customized university information analyzed and matched by the received data analysis unit 150 may be transmitted to the electronic bulletin board 100 by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160 and may be displayed on a screen through the display unit 180. In detail, the display unit 180 is a component that visually outputs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160 on the screen, and is divided into one first display unit 181 and two or more second display units 182 to be provided. The first display unit 181 may select and output university information to which a paid code (Y) is assigned, and the second display unit 182 selects and outputs customized university information based on local information and user information. can do. More detail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7 to 10 to be described later.

입력부(17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여 인식하는 구성이다. 상세하게, 표시부(180)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실현하기 위하여 제2 표시부(182)는 터치스크린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터치스크린으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개인 사용자 단말기(300)를 통해 입력부(170)로 입력신호를 전송할 수는 있으나, 사용자의 편리를 위해 표시부(180)의 터치 입력을 통해 입력신호가 전송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세하게, 둘 이상의 제2 표시부(182)중 어느 하나에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인가되는 경우, 입력부(170)는 터치 입력신호를 입력받아 제2 표시부(182)의 출력 화면을 전환할 수 있다. 전환되는 화면에 관해서는 도7 내지 도10의 설명을 통해 후술하도록 한다.The input unit 170 is a component that detects and recognizes a user's touch input. In detail, the display unit 180 is preferably provided as a touch screen capable of sensing a user's touch input. In particular, in order to realiz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display unit 182 is provided as a touch screen. It is desirable. Even if the touch screen is not provided, the input signal can be transmitted to the input unit 170 through the personal user terminal 300, but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input signal is transmitted through the touch input of the display unit 180 for user convenience. Do. In detail, when a user's touch input is applied to any one of the two or more second display units 182, the input unit 170 may receive the touch input signal and switch the output screen of the second display unit 182. The screen to be switched will be described later through the description of FIGS. 7 to 10.

데이터 전송부(190)는 전자게시판(100)의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300)로 전송하는 구성이다. 상세하게, 표시부(180)를 통해 출력된 화면을 데이터 전송부(19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300)로 공유할 수 있다. 이때, 공유되는 데이터는 이미지 형태로 사용자 단말기(300)의 사진첩에 저장될 수도 있으며, 문서 형태로 전송되거나, 데이터 공유 링크를 사용자 단말기(300)로 문자나 카톡 등을 통해 전송할 수도 있다. 상세하게, 후술될 설명에 따르면 여기서 공유되는 데이터는 대학 입시일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선택한 달의 해당 대학 입시일정이 달력 이미지로 사용자 단말기(300)에 저장될 수도 있으며, 별도의 코드화된 정보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300)의 달력에 해당 일정 내용이 복사될 수도 있다.The data transmission unit 190 is a component that transmits the data of the electronic bulletin board 100 to the user terminal 300. In detail, the screen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180 may be shared with the user terminal 300 through the data transmission unit 190. In this case, the shared data may be stored in the photobook of the user terminal 300 in the form of an image, transmitted in the form of a document, or a data sharing link may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300 through text or katok. In detail, according to the description to be described later, the data shared here relates to the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schedule, and the corresponding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schedule for the month selected by the user may be stored in the user terminal 300 as a calendar image, and separate coded information Through this, the contents of the schedule may be copied to the calendar of the user terminal 300.

상술한 전자게시판(100)의 각 구성에 따른 유기적인 단계 및 알고리즘은 후술될 도면들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며, 상세한 설명에 앞서, 도 3을 통해 사용자에게 맞춤 대학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미리 부여하는 대학분류 코드에 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학분류 코드 부여를 설명한 도면이다.The organic steps and algorithms according to each configuration of the above-described electronic bulletin board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drawings to be described later, and prior to the detailed description, university classification given in advance to provide customized university information to users through FIG. 3 Explain the code.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ssignment of a college classification c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관리자서버(400)에서는 미리 정해진 프로그램 및 관리자의 설정에 따라 각 대학별로 소정의 분류에 따른 코드를 부여할 수 있다. 상세하게, 해당 대학의 위치 및 비용 결제여부에 따라 코드가 분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각 대학은 주소지를 기반으로 해당 대학의 위치에 따른 지역코드(X)가 분류될 수 있으며, 광고 홍보 비용의 결제여부에 따라 유료코드(Y)가 분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시/도를 기반으로 동일 시/도의 경우 동일한 지역코드(X)를 포함하도록 코드가 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울시 지역의 대학은 (X1) 코드를 부여하고, 경기도 지역의 대학은 (X2) 코드, 강원도 지역의 대학은 (X3), 경상북도 지역의 대학은 (X4), 전라남도 지역의 대학은 (X5) 등으로 주요 시/도에 따라 서로 다른 지역코드(X)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게시판(100)이 설치된 위치정보에 따라 전자게시판(100)이 설치된 위치가 서울시인 경우, 서울시 지역코드가 부여된 (X1) 코드를 포함하는 대학 정보들 중 선택하여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지역코드에 따라 해당 지역 학생들이 원하는 지역 기반 대학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전자게시판(100)이 설치된 지역과 동일 지역코드를 갖는 대학 정보만 제공할 수도 있으나, 전국의 모든 학생들이 관심있는 주요 30개 대학 및 국립대학은 모든 지역코드를 갖도록 설정하여, 어느 지역에 설치된 전자게시판(100)에서든 노출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유료코드(Y)는 대학에서 학생들에게 홍보 노출 빈도를 높이기 위해 본 발명의 대학 정보 제공 시스템의 관리자에게 비용을 지불한 경우 부여받을 수 있는 코드로, 유료코드(Y)가 포함된 대학 정보는 노출 빈도가 높아질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획되는 표시부의 제1 표시부(181)는 유료코드(Y)가 부여된 대학 정보 중에서만 선택하여 출력되도록 설정함으로써, 노출 빈도수를 통해 대학의 홍보 효과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제1 표시부(181)는 1명의 사용자 당 유료코드(Y)가 부여된 대학 정보 중 1개의 대학 정보만 고정적으로 노출될 수도 있으나, 홍보 효과를 기대하는 여러 대학의 니즈를 반영하고 노출 빈도수를 높이기 위해 소정의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유료코드(Y)가 부여된 대학 정보에 한해서 다른 대학 정보로 전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상세하게, 10초에 한 번씩 다른 대학의 정보가 노출되도록 화면이 전환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는 후술하도록 하며, 이하, 도 4를 통해 전자게시판(100)과 사용자 단말기(300)의 매칭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3, the manager server 400 may assign a cod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lassification for each university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ogram and a manager's setting. In detail, the code may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university and whether the cost is paid. In more detail, each university may be classified with an area code (X)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university based on its address, and a paid code (Y) may be classified according to whether advertisement promotion costs are paid. Specifically, codes may be classified to include the same area code (X) in the case of the same city/province based on the city/province. For example, universitie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give (X1) code, universities in Gyeonggi-do area (X2) code, universities in Gangwon-do area (X3), universities in Gyeongsangbuk-do area (X4), and universities in Jeollanam-do area It can be classified according to different area codes (X) according to major cities/provinces such as (X5). Therefor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location where the electronic bulletin board 100 is installed is Seoul, accor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on which the electronic bulletin board 100 is installed, a screen by selecting from among university information including the (X1) code to which the Seoul area code is assigned. Can be printed 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ovide information on a region-based university desired by students in the region according to the region code.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provide only university information having the same area code as the area where the electronic bulletin board 100 is installed, but 30 major universities and national universities that are interested in all students across the country are set to have all area codes. It can also be exposed in the installed electronic bulletin board 100. The paid code (Y) is a code that can be given when a fee is paid to the administrator of the university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frequency of publicity exposure to students at the university, and university information including the paid code (Y) is exposed. The frequency can be increased. In addition, the first display unit 181 of the display unit divided as described above is set to be output by selecting only from the university information to which the paid code (Y) is assigned, so that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promotion effect of the university through the frequency of exposure is achieved. have. At this time, the first display unit 181 may be fixedly exposed to only one university information among university information to which a paid code (Y) is assigned per user, but reflects the needs of various universities that are expected to have a promotional effect and the frequency of exposure. In order to increase the value,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only the university information to which the paid code (Y) is assigned may be converted to other university information and output. In detail, the screen can be set to be switched so that the information of other universities is exposed once every 10 seconds. A more specific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later, and a matching process between the electronic bulletin board 100 and the user terminal 300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4.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 매칭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diagram showing a user terminal matching ste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게시판(100)은 사용자별 맞춤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자정보 요청부(130)를 통해 소정 거리 이내의 사용자 단말기(300)로 사용자정보 공유를 요청하고, 사용자 단말기(300)에서 공유를 허락하면, 사용자정보 수신부(14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300)에서 공유된 사용자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세하게, 사용자정보 요청부(130)는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의 통신을 통해 소정 거리 이내의 사용자 단말기(300)로 개인 사용자정보 공유를 요청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이를 거절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300)의 정보가 공유되지 않고 지역정보를 기반으로 대학 정보가 출력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공유를 허락하는 경우에 한해서 사용자 단말기(300)의 정보가 공유되어 사용자정보 수신부(140)에서는 해당 공유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세하게, 사용자가 공유를 허락하는 경우, 공유되는 사용자 단말기(300)의 정보는 사용자의 관심에 따른 대학 정보로, 사용자가 개인 단말기(300)를 통해 주로 검색한 대학명, 사용자가 방문한 대학 홈페이지 등의 정보를 공유 받아 사용자정보 기반의 맞춤 대학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개인 단말기(300)에 개인 모의고사 및 내신 등의 성적표를 입력한 이력이 있는 경우, 해당 성적 데이터가 사용자정보 수신부(140)에서 수신되면, 전년도 대학 합격 데이터를 기반으로 해당 사용자의 적정, 상향, 하향 지원 대학 정보를 함께 출력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개인 사용자 단말기(300)의 정보를 전자게시판(100)으로 공유하는 경우에는 해당 사용자별로 원하는 맞춤 대학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as described above, the electronic bulletin board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user terminal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through the user information request unit 130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customized information for each user. If the user information sharing is requested to 300 and the user terminal 300 permits the sharing, the user information shared by the user terminal 300 may be received through the user information receiving unit 140. In detail, the user information request unit 130 may request to share personal user information to the user terminal 300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through communication such as Bluetooth and Wi-Fi, and if the user rejects this, the user terminal 300 Information is not shared and university information may be output based on local information, and the information of the user terminal 300 is shared only when the user permits sharing, so that the user information receiving unit 140 can receive the shared information. I can. Specifically, when the user permits sharing, the information of the shared user terminal 300 is university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user's interest, the name of the university the user mainly searches through the personal terminal 300, and the university homepage visited by the user. By sharing information such as, etc., customized university information based on user information can be output. In addition, if the user has a history of inputting transcripts such as personal mock exams and reports on the personal terminal 300, if the corresponding grade data is received from the user information receiving unit 140, the appropriate user's It is also possible to output and provide information on colleges applied for, upstream and downstream. Accordingly, when a user shares information on the personal user terminal 300 through the electronic bulletin board 100, desired customized university information for each user can be provided.

이하,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학 정보 제공 시스템의 표시부(180) 출력 화면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process of an output screen of the display unit 180 of the university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9.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학 정보 제공 시스템의 알고리즘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게시판의 표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diagram showing an algorithm of a system for providing university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6 to 9 are diagrams showing a display unit of an electronic bulletin boar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학 정보 제공 시스템은 전자게시판(100)의 표시부(180)가 설치된 위치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한 명 이상의 사용자가 인식된 경우 화면의 출력이 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없는 경우 화면 출력을 하지 않음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방지하고, 사용자가 인식된 경우에만 정보를 출력하여 별도의 사용자의 온(ON)/오프(OFF)설정 없이도 작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사용자가 인식된 경우, 표시부(180)의 화면이 출력될 수 있으며, 출력된 첫번째 화면에서는 위치기반의 대학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상세하게,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표시부(18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제1 표시부(181)와 둘 이상의 제2 표시부(182)로 구획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정확한 위치의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광고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제1 표시부(181)는 표시부(180)의 최상단에 위치되는 것이 비교적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제2 표시부(182)는 둘 이상의 표시부(180)로 구획되어 제공될 수 있으며, 각각의 제2 표시부(182)는 서로 다른 대학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2 표시부(182)는 게시판 형태로 동일 크기의 화면이 복수개 구획되어 구비될 수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5, in the university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one or more users are recogniz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location where the display unit 180 of the electronic bulletin board 100 is installed, the screen output is Can begin. Therefore, by not displaying the screen when there is no user, unnecessary power consumption is prevented, and information is output only when the user is recognized, thereby enabling operation without separate user's ON/OFF setting. have. When the user is recognized, a screen of the display unit 180 may be displayed, and location-based university information may be provided on the output first screen. In detail, referring to FIG. 6, the display unit 180 may be divided into one first display unit 181 and two or more second display units 182 as described above, and the exact position is limited. Although not present, it may be relatively preferable that the first display unit 181 be positioned at the top of the display unit 180 in order to improve the advertisement effect. In addition, the second display unit 182 may be divided into two or more display units 180 and provided, and it is preferable that each second display unit 182 provide different university information. That is, the second display unit 182 may be provided by partitioning a plurality of screens of the same size in the form of a bulletin board.

일 실시예에 따른 전자게시판(100)은 소정 거리 이내에 사용자가 존재함을 감지한 경우, 표시부(180)의 화면을 출력할 수 있으며, 이 때 출력되는 화면에서는 위치기반의 대학 정보를 표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하게, 제1 표시부(181) 및 둘 이상의 제2 표시부(182)는 위치정보 수신부(120)로부터 수신된 전자게시판(100)이 설치된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지역코드(X)가 부여된 대학 정보 중 각각 서로 다른 어느 하나의 대학 정보를 선택하여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지역코드(X)는 상술한 바와 같이 관리자서버(400)를 통해 각 대학별로 미리 부여될 수 있으며, 미리 부여된 지역코드(X)와 전자게시판(100)의 설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대응되는 위치기반의 대학 정보가 각각의 구획된 표시부(180)마다 서로 다른 대학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180)는 도 6과 같은 화면으로 각 대학 정보를 표출할 수 있다.The electronic bulletin board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may output a screen of the display unit 180 when it detects that a user exist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t this time, the displayed screen shows location-based university information. desirable. In detail, the first display unit 181 and two or more second display units 182 are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n which the electronic bulletin board 100 received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120 is installed, and an area code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 A screen may be displayed by selecting one of the university information that is different from the university information assigned with X). In more detail, the area code (X) may be given in advance for each university through the manager server 400 as described above, and is based on the previously assigned area code (X) and the installation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onic bulletin board 100. Different university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for each of the display units 180 in which the corresponding location-based university information is divided. In this case, the display unit 18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may display information about each university on the screen shown in FIG. 6.

위치기반의 정보가 표출된 표시부(180)는 사용자 단말기(300) 매칭을 통해 사용자 맞춤 대학 정보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우선, 사용자 맞춤 대학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소정 거리 이내에 인식된 사용자가 2인 이하여야 하며, 1인인 경우 전체 화면에 해당 사용자 맞춤형 대학 정보가 출력될 수 있으며, 2인인 경우 구획된 표시부(180)를 분할하여 1/2의 표시부(180) 화면에는 A 사용자의 맞춤형 대학 정보가, 나머지 1/2의 표시부(180) 화면에는 B 사용자의 맞춤형 대학 정보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소정 거리 이내에 인식된 사용자가 2인을 초과하는 3인 이상인 경우, 각 사용자의 맞춤 대학 정보를 제공하기에는 화면의 한계와 타인과 공유하기 싫은 개인 사용자의 니즈를 반영하기 위하여 표시부(180)를 한국사 연표 출력 화면으로 전환할 수 있다. 현재 교육과정에 따르면, 대학 입시를 위해 수학능력시험을 치루는 전체 수험생은 한국사가 필수 시험과목으로 지정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니즈를 반영하여 모든 사용자에게 유익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소정 거리 이내에 인식된 사용자 단말기(300)가 둘을 초과하는 경우, 도 9에서와 같이 제2 표시부(182)는 한국사 연표 화면으로 출력 화면을 전환할 수 있다. 한국사 연표 화면으로 전환되는 경우, 제1 표시부(181)는 비용을 결제한 유료코드(Y)가 부여된 대학 정보를 출력하는 표시부(180)로, 지속적으로 대학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단, 이때 출력되는 대학 정보는 해당 지역코드(X) 및 유료코드(Y)를 동시에 만족하는 대학 정보만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 표시부(181)의 전체 화면에 대학 정보가 제공될 수도 있으나, 분할하여 기존의 화면보다 작은 화면 내에만 제한적으로 대학 정보가 제공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둘을 초과하는 경우 한국사 연표를 표출하도록 설명하였으나, 이는 실시예일 뿐이며, 모든 사용자에게 유익할 수 있는 수학 공식, 영어 단어, 그 외 각종 기사 또는 여가 정보 등을 노출시킬 수도 있다.The display unit 180 on which the location-based information is displayed may be converted to a customized university information screen through matching with the user terminal 300. First, in order to provide user-customized university information, the number of users recogniz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must be 2 or less, and in case of 1, the corresponding user-customized university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on the entire screen. In case of 2, the divided display unit 180 is displayed. By dividing, the user A's customized university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1/2 display unit 180, and the customized university information of the user B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80 of the other 1/2 screen. However, if there are 3 or more recognized users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display unit 180 is displayed to reflect the limitations of the screen and the needs of individual users who do not want to share with others in order to provide customized university information for each user. You can switch to the Korean history chronological output screen. According to the current curriculum, Korean history is designated as a mandatory test subject for all candidates who take the math ability test for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Therefore, when there are more than two user terminals 300 recogniz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so as to reflect these needs and provide useful information to all users, the second display unit 182 displays the Korean history chronological table as shown in FIG. You can switch the output screen. When the screen is switched to the Korean history chronological table, the first display unit 181 is a display unit 180 that outputs university information to which the pay code Y for which the cost has been paid is assigned, and may continuously output university information. However, as for the university information output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output only university information that satisfies the corresponding area code (X) and the paid code (Y) at the same time, and university information may be provided on the entire screen of the first display unit 181. By dividing, it may be set so that university information is limitedly provided within a screen smaller than the existing screen. In one embodiment, when there are more than two users, it has been described to display the Korean history chronology,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mathematical formulas, English words, and other various articles or leisure information that may be beneficial to all users may be exposed. .

사용자가 2인 이하인 경우, 도 4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300)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 받아 둘 이상의 제2 표시부(182)는 사용자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정보 기반의 사용자 맞춤 대학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상세하게, 도 6과 같이 표시부(180)에 대학 정보가 출력되되, 사용자 단말기(300)가 매칭되어 사용자정보를 수신한 경우, 위치기반으로 표출된 대학정보가 사용자 맞춤 대학 정보로 전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When the number of users is 2 or less,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the user terminal 300 receives and requests information, and at least two second display units 182 receive user-specific university information based on user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300. Can be printed. In detail, as shown in FIG. 6, university information is output on the display unit 180, but when the user terminal 300 is matched and user information is received, the university information expressed based on the location is converted into user-customized university information to be output. I can.

위치기반 정보 또는 사용자 맞춤 정보에 따라 복수의 제2 표시부(182)에 서로 다른 대학 정보가 표시되는 경우, 표시되는 첫 화면은 대학의 명칭 및 각 대학에서 제공하는 광고 화면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으로 구비된 제2 표시부(182)는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터치 입력이 인가될 수 있으며, 도 6에서와 같이 복수의 제2 표시부(182) 중 터치 입력이 인가된 제2 표시부(182)는 도 7과 같이 출력 화면을 해당 대학의 입시일정 화면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이때, 입시일정 화면은 각 입시일정이 정리된 글 형태의 화면일 수도 있으나, 달력 형상으로 월 별 입시일정 화면을 제공하는 것이 사용자의 직관적 파악이 용이할 수 있다. 달력 형상으로 전환된 입시일정 화면은 도 8과 같은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의해 전월 또는 다음월의 달력으로 전환하여 월별 입시 일정을 확인할 수 있다.When different university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plurality of second display units 182 according to location-based information or user-customized information, the first screen displayed may be provided as the name of the university and an advertisement screen provided by each university. At this time,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display unit 182 provided as a touch screen capable of detecting a user's touch input may be applied with a touch input by a user's touch, and a plurality of second display units as shown in FIG. Among 182, the second display unit 182 to which the touch input is applied may convert the output screen to the entrance examination schedule screen of the corresponding university as shown in FIG. 7. In this case, the entrance examination schedule screen may be a screen in the form of a text in which each entrance examination schedule is arranged, but providing a monthly entrance examination schedule screen in a calendar shape may facilitate intuitive grasp of the user. The entrance examination schedule screen converted into a calendar shape may be provided in the form as shown in FIG. 8, and the monthly entrance examination schedule can be checked by switching to the calendar for the previous month or the next month by a user's touch input.

제2 표시부(182)를 통해 출력된 대학 입시일정은 사용자 단말기(300)로 공유될 수 있다. 상세하게, 사용자 단말기(300)가 전자게시판(100)과 통신망에 의해 연동된 경우, 휴대폰공유 버튼을 사용자가 터치함으로써 이미지 화면으로 사용자 단말기(300)로 저장될 수 있으며, 저장 방법은 이미지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술한 각종 저장 방법에 따라 대학 입시일정이 사용자 단말기(300)로 저장될 수 있다.The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schedule output through the second display unit 182 may be shared with the user terminal 300. In detail, when the user terminal 300 is interlocked with the electronic bulletin board 100 by a communication network, the user touches the mobile phone sharing button to store the image as an image screen, and the storage method is limited to images. Instead, the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schedule may be stored in the user terminal 300 according to various storage methods described above.

이하,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간행물 QR코드를 스캔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Hereinafter,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0.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scanning a QR code for a public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도 1의 자료보관함(200)에 구비된 인쇄물 형태의 복수의 대학 정보 간행물(20)은 각 대학 정보가 포함된 QR코드가 인쇄되어 부착될 수 있으며, 전자게시판(100)에서 소정 거리 이내의 사용자로 인식된 사용자 단말기(300)로 해당 간행물(20) 중 어느 하나에 인쇄된 QR코드를 인식하는 경우, 도 6과 같은 표시부(180)의 둘 이상의 제2 표시부(182) 중 어느 하나는 인식된 QR코드에 대응되는 대학 정보로 출력 화면을 전환할 수 있다. 따라서, 간행물(20)을 통해 사용자가 관심있는 대학을 추린 후, 관심있는 대학 간행물(20)의 QR코드를 스캔하여 전자게시판(100)을 통해 상세정보 및 입시일정 등을 확인할 수 있다. 전자게시판(100)을 통해 한 페이지의 표시부(180)에 동시 노출될 수 있는 대학의 숫자는 한정적이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대학 정보를 한 번에 획득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을 수도 있다. 따라서, 전자게시판(100) 측면에 구비된 자료보관함(200)의 각 대학별 간행물(20)을 통해 먼저 대학 정보를 얻고, 원하는 대학을 추려 사용자가 정보를 얻고 싶은 대학을 선택하여 전자게시판(1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QR코드를 통한 스캔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실시예일 뿐이며 바코드, 대학별 부여 코드, RFID 등의 각종 코드로 대체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10, a plurality of university information publications 20 in a printed form provided in the data storage box 200 of FIG. 1 may be attached by printing a QR code including each university information, and the electronic bulletin board 100 In the case of recognizing the QR code printed on any one of the publications 20 with the user terminal 300 recognized as a user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two or more second display units 182 of the display unit 180 as shown in FIG. 6 Any one of them may switch the output screen to universit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QR code. Therefore, after selecting the universities of interest to the user through the publication 20, detailed information and admission schedules can be checked through the electronic bulletin board 100 by scanning the QR code of the university publication 20 of interest. Since the number of universities that can be simultaneously exposed on the display unit 180 of one page through the electronic bulletin board 100 is limited, it may be difficult for a user to obtain desired university information at once. Therefore, first obtain university information through the publications 20 for each university in the data storage box 200 provided on the side of the electronic bulletin board 100, select the desired university, and select the university in which the user wants to obtain the information, and the electronic bulletin board 100 Can be transferred to. In other embodiments described above, scanning through a QR code has been described, but this is only an embodiment and may be replaced with various codes such as barcodes, college-specific codes, and RFID.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에 따른 대학 정보 제공 시스템은 바람직한 실시예로 설명한 것으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로 제공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system for providing university informa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nd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s a preferred embodiment, and may be provided in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20: 간행물
100: 전자게시판
110: 사용자 감지부 120: 위치정보 수신부
130: 사용자정보 요청부 140: 사용자정보 수신부
150: 수신데이터 분석부 160: 정보 송신부
170: 입력부 180: 표시부
190: 데이터 전송부
200: 자료보관함
300: 사용자 단말기
400: 관리자서버
20: publication
100: electronic bulletin board
110: user detection unit 120: loca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130: user information request unit 140: user information receiving unit
150: reception data analysis unit 160: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170: input unit 180: display unit
190: data transmission unit
200: archive
300: user terminal
400: admin server

Claims (8)

정보를 시각적으로 화면에 출력하는 표시부(180);를 포함하는 전자게시판(100);
복수의 간행물(20)을 보관할 수 있는 자료보관함(200); 및
각 대학별로 소정의 분류에 따른 코드를 부여하는 관리자서버(400);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180)는,
하나의 제1 표시부(181); 및 둘 이상의 제2 표시부(182)로 구획되고,
소정 거리 이내에 한 명 이상의 사용자가 인식된 경우 화면을 출력하며,
상기 소정의 분류는,
해당 대학의 위치에 따른 지역코드(X) 및 비용 결제여부에 따른 유료코드(Y)로 분류되며,
상기 제1 표시부(181)는 상기 유료코드(Y)가 부여된 대학 정보 중 선택하여 출력하고,
둘 이상의 상기 제2 표시부(182)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으로 구비되고,
수신된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지역코드(X)가 부여된 대학 정보 중 각각 서로 다른 어느 하나의 대학 정보를 선택하여 화면을 출력하며,
상기 전자게시판(100)은,
소정 거리 이내의 사용자를 감지하되, 소정 거리 이내의 사용자가 복수인 경우, 사용자의 숫자를 카운팅 하는 사용자 감지부(110);
상기 전자게시판(100)이 설치된 위치정보를 수신하는 위치정보 수신부(120);
사용자별 맞춤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소정 거리 이내의 사용자 단말기(300)로 사용자정보 공유를 요청하는 사용자정보 요청부(130);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에서 사용자가 공유를 허락한 경우, 사용자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정보 수신부(1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정보 수신부(140)에서 사용자정보가 수신된 경우,,
수신된 상기 사용자정보 기반의 맞춤 대학 정보를 선택하여 출력 화면을 전환하고,
둘 이상의 상기 제2 표시부(182) 중 어느 하나에 사용자의 터치 입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기 터치 입력이 인가된 제2 표시부(182)는,
상기 출력 화면을 해당 대학의 입시일정 화면으로 전환하며,
상기 소정 거리 이내의 사용자 단말기(300)에서,
상기 간행물(20) 중 어느 하나에 인쇄된 QR코드를 인식하는 경우,
둘 이상의 상기 제2 표시부(182) 중 어느 하나는,
인식된 상기 QR코드에 대응되는 대학 정보로 출력 화면을 전환하며,
상기 제2 표시부(182)를 통해 출력된 대학 입시일정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300)로 이미지 저장되고,
상기 소정 거리 이내의 사용자 단말기(300)가 둘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2 표시부(182)는,
한국사 연표 출력 화면으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학 정보 제공 시스템.
An electronic bulletin board 100 including a display unit 180 for visually outputting information on a screen;
A data storage box 200 capable of storing a plurality of publications 20; And
Including; a manager server 400 for assigning a cod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lassification for each university,
The display unit 180,
One first display unit 181; And two or more second display units 182,
If more than one user is recogniz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a screen is displayed,
The predetermined classification,
It is classified into an area code (X)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university and a paid code (Y) according to the payment status
The first display unit 181 selects and outputs university information to which the pay code Y is assigned,
Two or more of the second display units 182,
It is provided with a touch screen capable of detecting a user's touch input,
Among the university information to which the area code (X) is assigned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location information, each different university information is selected and a screen is displayed,
The electronic bulletin board 100,
A user detection unit 110 that detects a user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but counts the number of users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users within the predetermined distance;
A location information receiving unit 120 for receiving location information on which the electronic bulletin board 100 is installed;
A user information request unit 130 for requesting user information sharing to a user terminal 300 within the predetermined distance in order to provide customized information for each user; And
The user terminal 300 further includes a user information receiving unit 140 for receiving user information when the user permits sharing,
When user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user information receiving unit 140,
Switch the output screen by selecting the customized university information based on the received user information,
When a user's touch input is applied to any one of the two or more second display units 182,
The second display unit 182 to which the touch input is applied,
Converts the output screen to the screen of the entrance examination schedule of the corresponding university,
In the user terminal 300 within the predetermined distance,
When recognizing the QR code printed on any one of the publications 20,
Any one of the two or more second display units 182,
Switch the output screen to universit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QR code,
The university admission schedule output through the second display unit 182 is,
The image is stored in the user terminal 300,
When the number of user terminals 300 within the predetermined distance exceeds two,
The second display unit 182,
University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switching to the output screen of the Korean history chronological tabl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00051957A 2020-04-29 2020-04-29 University Information Service System KR1022147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1957A KR102214748B1 (en) 2020-04-29 2020-04-29 University Information Service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1957A KR102214748B1 (en) 2020-04-29 2020-04-29 University Information Service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4748B1 true KR102214748B1 (en) 2021-02-09

Family

ID=74559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1957A KR102214748B1 (en) 2020-04-29 2020-04-29 University Information Service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4748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4272A (en) 2008-04-29 2009-11-03 정인환 University advertising system at highschool dining hall by internet
KR20120093466A (en) * 2011-02-15 2012-08-23 김경중 Online information provide method and book have search information code and data record tag
KR20130130626A (en) * 2013-04-10 2013-12-02 주식회사풍자 A local social network service system using kiosk
KR20140034416A (en) * 2012-09-11 2014-03-20 주식회사 씨에듀컴 System for providing the entrance exam information
KR20160105123A (en) * 2015-02-27 2016-09-06 주식회사 아이디어빈스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dvertisement using digital sinage device
KR20190015643A (en) * 2017-06-27 2019-02-14 주식회사 인포마인드 System for providing user customized touring information based on big data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14272A (en) 2008-04-29 2009-11-03 정인환 University advertising system at highschool dining hall by internet
KR20120093466A (en) * 2011-02-15 2012-08-23 김경중 Online information provide method and book have search information code and data record tag
KR20140034416A (en) * 2012-09-11 2014-03-20 주식회사 씨에듀컴 System for providing the entrance exam information
KR20130130626A (en) * 2013-04-10 2013-12-02 주식회사풍자 A local social network service system using kiosk
KR20160105123A (en) * 2015-02-27 2016-09-06 주식회사 아이디어빈스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dvertisement using digital sinage device
KR20190015643A (en) * 2017-06-27 2019-02-14 주식회사 인포마인드 System for providing user customized touring information based on big data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17505A2 (en) Electronic board system
US20140297666A1 (en) Managing event data in a diary
US20150278927A1 (en) E-commerce support system, e-commerce support method, and advertising medium
US20190340644A1 (en) Digital Signage Control Device, Digital Signage Control Program, And Digital Signage System
CN1549983B (e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electronic documents from a physical document and for displaying said electronic documents over said physical document
US20130138488A1 (en) System and method for advertising goods and services using a short identifying code
KR102214748B1 (en) University Information Service System
JP6354798B2 (en) Distribution apparatus, distribution method, and program
Naraparaju et al. Smart poster for tourism promotion through NFC technology
JP5320903B2 (en) Content transmission apparatus, program, and content transmission method
KR101305754B1 (en) Method for creation community for common teaching materials information using teaching materials code and advertisement channel of location based answerer
WO2011014028A2 (en) Product trade intermediary system and product trade intermediary method using the same
JP2012128812A (en) Information presentation system and electronic display device of information presentation system
WO2016185840A1 (en) Information link system, information link program, and method for operating information link system
KR101785030B1 (en) Online system for providing gallery information
KR101961153B1 (en) Advertisement service system in which banner advertisement is inserted to contents page according to priorities by reference region
KR101210802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ubiquitous services based on the length of user stay
KR20210094212A (en) SNS system using KIOSK
Kalaitzakis et al. People-Flows: An innovative flow monitoring and management system in urban environments
Winter et al. Fail better: lessons learned from a formative evaluation of social object labels
KR20210021674A (en) System for supply daily event information in using calendar application and application
KR102031522B1 (en) Electronic book Library
JP2014160480A (en) Advertisement distribution system, store-side terminal device, and program
KR102080890B1 (en) System for advertising immovable property using position information
KR102497633B1 (en) Device and method for issuing visa to multiple countr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